KR20140142025A - 고구마 구이장치 - Google Patents

고구마 구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2025A
KR20140142025A KR1020130063549A KR20130063549A KR20140142025A KR 20140142025 A KR20140142025 A KR 20140142025A KR 1020130063549 A KR1020130063549 A KR 1020130063549A KR 20130063549 A KR20130063549 A KR 20130063549A KR 20140142025 A KR20140142025 A KR 201401420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sweet potato
main body
duct
sw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3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4624B1 (ko
Inventor
이형만
Original Assignee
(주) 크리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크리쉐프 filed Critical (주) 크리쉐프
Priority to KR1020130063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4624B1/ko
Publication of KR20140142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20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4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46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47J37/0664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구마 구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고구마가 타지 않고 균일하게 구워지며 다 구워진 고구마를 온기를 그대로 유지한 상태로 용이하게 본관 및 전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내부에 사각 박스형상의 공간을 형성하고, 정면에는 상중하로 내부공간을 개폐가능한 칸막이가 순차적으로 형성되며, 상면은 개방되고 저면은 고구마를 올려놓을 수 있는 철망으로 구성되어 정면이 중간에 위치한 칸막이의 배면에 고정되어 내부에 추가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일을 따라 서랍과 같은 방식으로 내부에 수납되는 트레이와, 수납된 상기 트레이의 상부와 하부에 인접하여 여러 번 수평으로 절곡된 경로를 가지고 전기 또는 가스에 의하여 열을 발산하는 상부 및 하부 히터와, 내부 공간의 저면에 상면이 개방된 상태로 수납되어 떨어지는 각종 이물질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이물질 제거트레이를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를 관통하는 제1 배출홀과, 상기 제1 배출홀을 통하여 배출되는 연기 및 열기를 측방향에 형성되는 제2 배출홀로 안내하는 제1 덕트와, 외부 연통과 내부 원통이 이격되게 형성되는 연통과, 상기 제2 배출홀을 통하여 빠져나온 연기 및 열기를 상기 연통 방항으로 안대하는 제2 덕트와, 상기 제2 덕트 저면에 관통된 관통홀과, 온도차이에 의하여 외부 연통과 내부 원통 사이에 응결된 수증기가 낙하여 상기 관통홀을 통하여 떨어질 때 이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물받이를 포함하는 연기배출부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면 및 정면이 투시창으로 형성되고, 정면은 개폐가능한 개폐도어가 형성되는 고구마 보관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구마 구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구마 구이장치{The roasting apparatus for a sweet potato}
본 발명은 고구마 구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고구마가 타지 않고 균일하게 구워지며 다 구워진 고구마를 온기를 그대로 유지한 상태로 용이하게 본관 및 전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고구마 구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구마 구이는 추억을 불러일으키는 대표적인 겨울 간식으로 노년과 중장년층에서부터 비교적 젊은 계층에게까지 아주 친숙한 음식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고구마 구이는 집에서 부뚜막을 이용하여 굽거나 야외에서 모닥불을 이용하여 굽는 경우가 많으나 이는 개인이 직접 요리하기 위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고구마 구이를 판매하는 것을 보면 보통 드럼통을 개조하여 내부에는 장작을 태우면서 뉘어진 드럼통의 상면과 배면의 테두리를 따라 고구마을 수 개 넣고 닫을 수 있는 다수의 트레이을 구비하여 내부에서 트레이에 넣어진 상태에서 구워지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고구마 구이기의 경우 화력이 하부에서 상부로 올라가는 구조로 고구마가 고르게 구워지지 않고 일부가 탈 경우가 많으며, 구워진 고구마를 상부에 위치한 곳으로 옮긴다고 하더라도 내부 온도 때문에 타거나 건조가 진행된다.
이는 언제 손님이 올지 예상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고구마가 구워지기 까지 걸리는 시간을 고려하여 미리 굽는다면 최적으로 구워진 상태의 고구마를 얻을 수 있는 경우도 있으나 상대적으로 덜 구워지거나 너무 구워져 수분이 많이 손실된 퍼석한 고구마 구이가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특허 문헌 1)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179544-0000호 (2000년02월10일) (특허 문헌 2)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217694-0000호 (2001년01월10일) (특허 문헌 3)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264467-0000호 (2002년01월31일) (특허 문헌 4)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372846-0000호 (2005년01월04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고구마를 구울 때 상하에서 고르게 익힐 수 있도록 하는 고구마 구이장치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또한 구워진 고구마가 온도를 유지하면서도 지나치게 높은 열로 인하여 더 구워지거나 수분이 서서히 줄어드는 것을 방지하는 고구마 보관부를 구비한 고구마 구이장치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사각 박스형상의 공간을 형성하고, 정면에는 상중하로 내부공간을 개폐가능한 칸막이가 순차적으로 형성되며, 상면은 개방되고 저면은 고구마를 올려놓을 수 있는 철망으로 구성되어 정면이 중간에 위치한 칸막이의 배면에 고정되어 내부에 추가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일을 따라 서랍과 같은 방식으로 내부에 수납되는 트레이와, 수납된 상기 트레이의 상부와 하부에 인접하여 여러 번 수평으로 절곡된 경로를 가지고 전기 또는 가스에 의하여 열을 발산하는 상부 및 하부 히터와, 내부 공간의 저면에 상면이 개방된 상태로 수납되어 떨어지는 각종 이물질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이물질 제거트레이를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를 관통하는 제1 배출홀과, 상기 제1 배출홀을 통하여 배출되는 연기 및 열기를 측방향에 형성되는 제2 배출홀로 안내하는 제1 덕트와, 외부 연통과 내부 원통이 이격되게 형성되는 연통과, 상기 제2 배출홀을 통하여 빠져나온 연기 및 열기를 상기 연통 방항으로 안대하는 제2 덕트와, 상기 제2 덕트 저면에 관통된 관통홀과, 온도차이에 의하여 외부 연통과 내부 원통 사이에 응결된 수증기가 낙하여 상기 관통홀을 통하여 떨어질 때 이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물받이를 포함하는 연기배출부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면 및 정면이 투시창으로 형성되고, 정면은 개폐가능한 개폐도어가 형성되는 고구마 보관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고구마 보관부의 하부에는 다수의 자갈이 갈려 있으며, 저면은 상기 제1 덕트와 연통되는 다수의 열기홀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트레이는 저면이 개방되고 상면이 철망으로 이루어진 상부트레이와, 상면이 개방되고 저면이 철망으로 이루어진 하부트레이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에는 모터와 연동하며 본체의 내부 일측면 중앙을 관통하여 회전하는 축과, 상기 축의 끝단에 고정되어 수 개의 볼트홀이 형성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과 결합하여 상호 겹쳐진 상부트레이와 하부트레이의 상면과 저면이 사이에서 삽입되도록 상단과 하단이 수평절곡되고 후방 끝단이 수평절곡되어 삽입된 트레이의 배면이 밀착하는 제1 트레이 고정레일과, 상기 제1 트레이 고정레일와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되 상기 본체의 내측면 중앙을 관통하여 회전하는 힌지축을 구비하는 제2 트레이 고정레일과, 상기 축에서 법선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는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와 인접한 전후면에 배치되어 포스트가 충돌하면 모터의 회전 방향을 전환시키는 한 쌍의 리미트 스위치로 구성되는 고구마 교반장치가 추가로 장착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뉘어진 드럼통의 형상을 가지고 하단은 상기 본체와 연기배출부 및 고구마 보관부의 일부를 덮고, 연통은 상부로 관통되어 연장되는 원통형 케이스를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구마가 담겨져 있는 트레이의 상부와 하부에 인접하여 열을 발산시키는 상부 및 하부 히터를 두어 고구마을 타지않고 전체적으로 고르게 익힐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부에 구운 고구마를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외부에서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면서 고구마 보관부의 온도를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장식성과 함께 상품을 소비자가 직접 확인하여 따뜻하고 적당히 구워진 고구마를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구마 보관부의 개폐도어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구마 트레이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연동구조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고구마 보관부의 개폐도어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정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동부와 트레이를 나타낸 부분분해사시도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작동원리를 나타낸 개념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이에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구마 보관부의 개폐도어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구마 트레이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단면도로서, 내부에 사각 박스형상의 공간을 형성하고, 정면에는 상중하로 내부공간을 개폐가능한 칸막이(11, 12, 13)가 순차적으로 형성되며, 상면은 개방되고 저면은 고구마를 올려놓을 수 있는 철망으로 구성되어 정면이 중간에 위치한 칸막이(12)의 배면에 고정되어 내부에 추가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일(14)을 따라 서랍과 같은 방식으로 내부에 수납되는 트레이(15)와, 수납된 상기 트레이(15)의 상부와 하부에 인접하여 여러 번 수평으로 절곡된 경로를 가지고 전기 또는 가스에 의하여 열을 발산하는 상부 및 하부 히터(16, 17)와, 내부 공간의 저면에 상면이 개방된 상태로 수납되어 떨어지는 각종 이물질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이물질 제거트레이(18)를 구비하는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상부를 관통하는 제1 배출홀(21)과, 상기 제1 배출홀(21)을 통하여 배출되는 연기 및 열기를 측방향에 형성되는 제2 배출홀(22)로 안내하는 제1 덕트(23)와, 외부 연통(241)과 내부 원통(242)이 이격되게 형성되는 연통(24)과, 상기 제2 배출홀(22)을 통하여 빠져나온 연기 및 열기를 상기 연통(24) 방항으로 안대하는 제2 덕트(25)와, 상기 제2 덕트(25) 저면에 관통된 관통홀(26)과, 온도차이에 의하여 외부 연통(241)과 내부 원통(242) 사이에 응결된 수증기가 낙하여 상기 관통홀(26)을 통하여 떨어질 때 이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물받이(27)를 포함하는 연기배출부(2)와;
상기 본체(1)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면 및 정면이 투시창으로 형성되고, 정면은 개폐가능한 개폐도어(31)가 형성되는 고구마 보관부(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구마 구이장치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은 먼저 기존의 장작을 태우는 방법은 도심에서 연기와 불의 취급에 따라 상당히 주의해야할 것으로 인근에서 전기를 끌어오거나 별도의 가스통을 이용하여 고구마를 구울수 있는 방법으로 제안한 것이다.
이때 본원은 상부 히터(16)와 하부 히터(17)에 의하여 상하로 구워지게 되는 것으로 고르게 고무마가 구워질 수 있게 되었으며, 특히 저면이 철망으로 이루어진 트레이(15)에 의하여 열기가 직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고구마를 굽는 와중에 떨어지는 고구마 껍질을 포함하는 각종 껍질을 용이하게 치울 수 있도록 이물질 제거트레이(18)를 형성하였다.
또 본원의 특징으로는 몸체(1)의 열기가 영향을 주는 상부에 고구마 보관부(3)를 형성하되 투명한 투시창으로 하여 내부를 용이하게 확인하고 개폐도어(31)에 의하여 쉽게 넣고 뺄 수 있도록 하여 행인들의 주목성을 보다 이끌어 낼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원의 연기 배출부(2)는 온도차이 때문에 수증기가 연통(24)에서 응결되면 물이 흘러내리고 부식의 원인이 되고 이는 비위생적으로 보일 우려가 높으나 이를 이중의 연통(24)으로 제작한 후 흘러내리는 물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불받이(27)를 구비한 것이다.
이때 본원의 일련의 구동 및 온도의 조절은 본체(1)의 일측에 형성되는 조작부(199)에서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연동구조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개념도로서, 상기 고구마 보관부(3)의 하부에는 다수의 자갈(32)이 갈려 있으며, 저면은 상기 제1 덕트(23)와 연통되는 다수의 열기홀(33)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제시하였다.
상기 실시 예는 구워진 고구마를 보다 효과적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배출되는 열기의 일부가 열기홀(33)을 통하여 자갈(32)를 가열하면 고구마 및 고구마 보관부(3)의 내부는 지나치게 뜨겁지 않고 적당한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여 최적의 고구마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자갈(32)은 맥반석, 거정석, 옥, 황토볼 등 다양한 소재를 활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고구마 보관부의 개폐도어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정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동부와 트레이를 나타낸 부분분해사시도이고,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작동원리를 나타낸 개념도로서, 상기 트레이(15)는 저면이 개방되고 상면이 철망으로 이루어진 상부트레이(151)와, 상면이 개방되고 저면이 철망으로 이루어진 하부트레이(152)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1)에는 모터(191)와 연동하며 본체(1)의 내부 일측면 중앙을 관통하여 회전하는 축(192)과, 상기 축(192)의 끝단에 고정되어 수 개의 볼트홀이 형성되는 고정브라켓(193)과, 상기 고정브라켓(193)과 결합하여 상호 겹쳐진 상부트레이(151)와 하부트레이(152)의 상면과 저면이 사이에서 삽입되도록 상단과 하단이 수평절곡되고 후방 끝단이 수평절곡되어 삽입된 트레이(15)의 배면이 밀착하는 제1 트레이 고정레일(194)과, 상기 제1 트레이 고정레일(194)와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되 상기 본체(1)의 내측면 중앙을 관통하여 회전하는 힌지축(195)을 구비하는 제2 트레이 고정레일(196)과, 상기 축(192)에서 법선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는 포스트(197)와, 상기 포스트(197)와 인접한 전후면에 배치되어 포스트(197)가 충돌하면 모터(191)의 회전 방향을 전환시키는 한 쌍의 리미트 스위치(198)로 구성되는 고구마 교반장치(19)가 추가로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제시하였다.
상기 실시 예는 보다 고구마가 효과적이고 고르게 익기 위해서는 위치를 바궈줘야할 필요성이 있으며 이를 위하여 상부 및 하부 트레이(151, 152)로 이루어진 트레이(15)를 전방과 후방으로 번갈아가면서 기울어지도록 하면 고구마는 자중에 의하여 이동하면서 모든 면이 고르게 열기가 전달되며, 자칙 트레이(15)를 구성하는 철망에 늘어 붙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로서, 뉘어진 드럼통의 형상을 가지고 하단은 상기 본체(1)와 연기배출부(2) 및 고구마 보관부(3)의 일부를 덮고, 연통(24)은 상부로 관통되어 연장되는 원통형 케이스(4)를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제시하였다.
상기 실시 예는 드럼통 형상의 고구마 구이장치의 경우 모든 사람이 고구마를 파는 것이구나라고 인식을 하는 것으로 그 구성이 비록 보다 효과적으로 구울 수 있는 방법이라도 행인의 주목성을 끌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기존의 고구마통 혹은 고구마 구이기와 같은 형상의 드럼통으로 상부를 장식하도록 하여 주목성을 이끌고자 제시한 실시 예이다.
1 : 본체
11, 12, 13 : 칸막이 14 : 레일
15 : 트레이 151 : 상부 트레이
152 : 하부 트레이 16 : 상부 히터
17 : 하부 히터 18 : 이물질 제거트레이
19 : 고구마 교반장치 191 : 모터
192 : 축 193 : 고정브라켓
194 : 제1 트레이 고정레일 195 : 힌지축
196 : 제2 트레이 고정레일 197 : 포스트
198 : 리미트 스위치 199 : 조작부
2 : 연기배출부
21 : 제1 배출홀 22 : 제2 배출홀
23 : 제1 덕트 24 : 연통
241 : 외부연통 242 : 내부연통
25 : 제2 덕트 26 : 관통홀
27 : 물받이
3 : 고구마 보관부
31 : 개폐도어 32 : 자갈
33 : 열기홀
4 : 원통형 케이스
5 : 고구마
6 : 리어카

Claims (4)

  1. 내부에 사각 박스형상의 공간을 형성하고, 정면에는 상중하로 내부공간을 개폐가능한 칸막이(11, 12, 13)가 순차적으로 형성되며, 상면은 개방되고 저면은 고구마를 올려놓을 수 있는 철망으로 구성되어 정면이 중간에 위치한 칸막이(12)의 배면에 고정되어 내부에 추가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일(14)을 따라 서랍과 같은 방식으로 내부에 수납되는 트레이(15)와, 수납된 상기 트레이(15)의 상부와 하부에 인접하여 여러 번 수평으로 절곡된 경로를 가지고 전기 또는 가스에 의하여 열을 발산하는 상부 및 하부 히터(16, 17)와, 내부 공간의 저면에 상면이 개방된 상태로 수납되어 떨어지는 각종 이물질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이물질 제거트레이(18)를 구비하는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상부를 관통하는 제1 배출홀(21)과, 상기 제1 배출홀(21)을 통하여 배출되는 연기 및 열기를 측방향에 형성되는 제2 배출홀(22)로 안내하는 제1 덕트(23)와, 외부 연통(241)과 내부 원통(242)이 이격되게 형성되는 연통(24)과, 상기 제2 배출홀(22)을 통하여 빠져나온 연기 및 열기를 상기 연통(24) 방항으로 안대하는 제2 덕트(25)와, 상기 제2 덕트(25) 저면에 관통된 관통홀(26)과, 온도차이에 의하여 외부 연통(241)과 내부 원통(242) 사이에 응결된 수증기가 낙하여 상기 관통홀(26)을 통하여 떨어질 때 이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물받이(27)를 포함하는 연기배출부(2)와;
    상기 본체(1)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면 및 정면이 투시창으로 형성되고, 정면은 개폐가능한 개폐도어(31)가 형성되는 고구마 보관부(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구마 구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구마 보관부(3)의 하부에는 다수의 자갈(32)이 갈려 있으며, 저면은 상기 제1 덕트(23)와 연통되는 다수의 열기홀(33)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구마 구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15)는 저면이 개방되고 상면이 철망으로 이루어진 상부트레이(151)와, 상면이 개방되고 저면이 철망으로 이루어진 하부트레이(152)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1)에는 모터(191)와 연동하며 본체(1)의 내부 일측면 중앙을 관통하여 회전하는 축(192)과, 상기 축(192)의 끝단에 고정되어 수 개의 볼트홀이 형성되는 고정브라켓(193)과, 상기 고정브라켓(193)과 결합하여 상호 겹쳐진 상부트레이(151)와 하부트레이(152)의 상면과 저면이 사이에서 삽입되도록 상단과 하단이 수평절곡되고 후방 끝단이 수평절곡되어 삽입된 트레이(15)의 배면이 밀착하는 제1 트레이 고정레일(194)과, 상기 제1 트레이 고정레일(194)와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되 상기 본체(1)의 내측면 중앙을 관통하여 회전하는 힌지축(195)을 구비하는 제2 트레이 고정레일(196)과, 상기 축(192)에서 법선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는 포스트(197)와, 상기 포스트(197)와 인접한 전후면에 배치되어 포스트(197)가 충돌하면 모터(191)의 회전 방향을 전환시키는 한 쌍의 리미트 스위치(198)로 구성되는 고구마 교반장치(19)가 추가로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구마 구이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에 있어서, 뉘어진 드럼통의 형상을 가지고 하단은 상기 본체(1)와 연기배출부(2) 및 고구마 보관부(3)의 일부를 덮고, 연통(24)은 상부로 관통되어 연장되는 원통형 케이스(4)를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구마 구이장치.
KR1020130063549A 2013-06-03 2013-06-03 고구마 구이장치 KR1015646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3549A KR101564624B1 (ko) 2013-06-03 2013-06-03 고구마 구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3549A KR101564624B1 (ko) 2013-06-03 2013-06-03 고구마 구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2025A true KR20140142025A (ko) 2014-12-11
KR101564624B1 KR101564624B1 (ko) 2015-11-02

Family

ID=52459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3549A KR101564624B1 (ko) 2013-06-03 2013-06-03 고구마 구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462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5564B1 (ko) * 2015-12-07 2016-08-05 (주) 대동에프앤디 회전 드럼식 조리기
WO2021230603A1 (ko) * 2020-05-12 2021-11-18 화이버텍(주) 휴대용 직화 구이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7468B1 (ko) * 2017-02-22 2018-08-13 주식회사 세원시스첸 구이 및 보온장치
KR101963544B1 (ko) 2018-11-26 2019-03-28 이춘근 휴대용 직화 구이기
KR102062304B1 (ko) 2019-08-07 2020-01-03 농업회사법인온드림푸드주식회사 대량 구워짐이 가능한 자동 고구마 구이장치
KR102174897B1 (ko) 2020-05-12 2020-11-05 화이버텍(주) 휴대용 직화 구이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9544Y1 (ko) 1999-11-30 2000-04-15 정광모 고구마 구이기
JP2003135284A (ja) 2001-11-06 2003-05-13 Potato Land:Kk サツマイモ等食品加熱調理保温装置
JP2006002957A (ja) 2004-06-15 2006-01-05 Sanden Corp 食品加熱調理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5564B1 (ko) * 2015-12-07 2016-08-05 (주) 대동에프앤디 회전 드럼식 조리기
WO2017099388A1 (ko) * 2015-12-07 2017-06-15 (주)대동에프앤디 회전 드럼식 조리기
WO2021230603A1 (ko) * 2020-05-12 2021-11-18 화이버텍(주) 휴대용 직화 구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4624B1 (ko) 2015-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4624B1 (ko) 고구마 구이장치
KR100705147B1 (ko) 가열 조리기
KR101286834B1 (ko) 열전달이 용이한 회전식 구이기
JP6258939B2 (ja) ドラム式調理器
US20090320882A1 (en) Barbecue smoker
KR200416339Y1 (ko) 다용도 구이기
US20040050841A1 (en) Microwave oven with toaster
AU2008286234B2 (en) A convected-air cabinet
KR102328873B1 (ko) 항아리를 이용한 숯불구이장치
KR200474658Y1 (ko) 서랍형 오븐 구이기
KR200387043Y1 (ko) 훈제 그릴장치를 구비한 숯불 그릴장치
KR200347663Y1 (ko) 숯불 구이장치
JP6568463B2 (ja) 加熱調理器
KR101214728B1 (ko) 다기능 구이기
KR20170000584U (ko) 숯불구이조리장치 및 숯불구이조리장치용 숯통
KR101425771B1 (ko) 가마형 참나무 바비큐 장치
KR100950183B1 (ko) 간접열을 이용한 균일 가열이 이루어지게 한 구이장치
KR19990010232U (ko) 다목적 구이기
KR100644973B1 (ko) 이중도어를 갖는 구이장치
JP2006029622A (ja) 加熱調理用受け皿セット及び加熱調理器
KR200372636Y1 (ko) 바비큐 구이 장치
KR20170024723A (ko) 고강도 가스통을 재활용한 타지 않는 간접화 바비큐 장치
JP6612203B2 (ja) 加熱調理器
KR200380713Y1 (ko) 닭 구이기
KR200411328Y1 (ko) 장군 적외선 구이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