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1631A - 제어 시스템,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기록 장치 - Google Patents

제어 시스템,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기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1631A
KR20140141631A KR1020147027796A KR20147027796A KR20140141631A KR 20140141631 A KR20140141631 A KR 20140141631A KR 1020147027796 A KR1020147027796 A KR 1020147027796A KR 20147027796 A KR20147027796 A KR 20147027796A KR 20140141631 A KR20140141631 A KR 201401416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data
information
input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7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3074B1 (ko
Inventor
가즈히로 다카스
고이치로 츠츠미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2048496A external-priority patent/JP593540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2129446A external-priority patent/JP6003252B2/ja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41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1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3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30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79Controller construction, e.g. aspects of the interface hardwa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9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adapted or bridged legacy communication protocols, e.g. emulation, protocol exten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24Client or server resources management
    • G06F3/1228Printing driverless or using generic dri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06Q20/202Interconnection or interaction of plural electronic cash registers [ECR] or to host computer, e.g. network details, transfer of information from host to ECR or from ECR to EC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06Q20/209Specified transaction journal output feature, e.g. printed receipt or voice outpu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GREGISTERING THE RECEIPT OF CASH, VALUABLES, OR TOKENS
    • G07G1/00Cash registers
    • G07G1/0036Checkout procedures
    • G07G1/0045Checkout procedures with a code reader for reading of an identifying code of the article to be registered, e.g. barcode reader or radio-frequency identity [RFID] reade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GREGISTERING THE RECEIPT OF CASH, VALUABLES, OR TOKENS
    • G07G1/00Cash registers
    • G07G1/12Cash registers electronically operated
    • G07G1/14Systems including one or more distant stations co-operating with a central processing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제어 시스템(1)은, 입력 정보를 판독하여 출력하는 입력 디바이스와, 입력 디바이스에 접속된 프린터(11)와, 프린터(11)에 접속된 태블릿 단말(10)을 갖고, 프린터(11)는, 입력 디바이스로부터 입력 정보가 출력되었을 경우에, 입력원의 입력 디바이스를 식별하여, 입력 정보를 태블릿 단말(10)에 출력한다.

Description

제어 시스템,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기록 장치{CONTROL SYSTEM, METHOD FOR CONTROLLING CONTROL SYSTEM, AND RECORDING DEVICE}
본 발명은, 입력 디바이스에 접속된 기록 장치와, 이 기록 장치에 접속된 정보 처리 장치를 구비하는 제어 시스템, 상기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상기 기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바코드 입력부가 접속된 기록 장치로서의 POS 본체와, 이 기록 장치에 접속된 POS 콘트롤러를 구비하는 시스템이 있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시스템은, 기록 장치와 POS 콘트롤러가 협동하여, 각종 처리를 실행해서, POS 시스템으로서 동작한다. 이러한 시스템에서는, 일반적으로, POS 콘트롤러 등의 정보 처리 장치에, 기록 장치의 제어용의 프린터 드라이버 이외의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이 인스톨된다. 그리고, 애플리케이션 및 프린터 드라이버의 기능에 의해, 바코드 스캐너 등의 입력 디바이스로부터 입력된 정보의 처리 등이 실행된다.
(선행 기술 문헌)
(특허 문헌)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평 제5-73769호 공보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시스템에 있어서, 정보 처리 장치에 전용의 애플리케이션이 인스톨되지 않고, 정보 처리 장치가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에 액세스하고, 서버상의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이용하여 각종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 정보 처리 장치로서, 기록 장치의 제어용의 소프트웨어적 혹은 하드웨어적으로 특화한 전용품이 아니고, 적어도 서버에 액세스하는 기능을 갖는 범용품을 사용할 수 있어, 편리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록 장치를 거쳐서 정보 처리 장치에 입력 디바이스로부터 정보가 입력되었을 경우에, 정보 처리 장치의 OS의 기능을 가능한 한 이용하지 않고, 입력 디바이스에 따른 처리를 적절히 실행할 수 있으면, OS의 종류, 버젼의 영향을 가능한 한 받지 않고, 각종 단말을 정보 처리 장치로서 이용할 수 있다. 즉, 정보 처리 장치로서 범용품을 사용하는 장점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POS 시스템에서는, 바코드 스캐너 등의 각종의 입력 디바이스가 이용되고, 입력 디바이스가 접속되는 장치에는 각 입력 장치에 대응한 디바이스 드라이버가 인스톨된다. 이 때문에, 입력 디바이스의 수나 종류가 많아짐에 따라 필요한 디바이스 드라이버도 많아져서, 디바이스 드라이버의 인스톨 등, 관리의 수고가 증가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범용의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이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범용의 디바이스 드라이버는, 범용성을 확보하기 위해, 제어 대상의 디바이스를 동종의 디바이스로서 제어한다. POS 시스템에서는, 상거래에 관한 각종의 데이터를 정확하게 처리하기 위해서, 데이터를 출력한 출력원의 입력 디바이스를 구별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POS 시스템과 같은 시스템에서는, 상이한 종류의 입력 디바이스를 종류마다 제어할 필요가 있고, 입력 디바이스의 종류마다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준비하지 않으면 안 되어, 범용의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이용해도 장점이 없다.
본 발명은, 상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정보 처리 장치의 OS의 기능을 가능한 한 이용하는 일 없이, 기록 장치에 접속된 입력 디바이스로부터 입력이 있었을 경우에, 입력 디바이스에 따른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이한 종류의 복수의 입력 디바이스를 구비한 시스템에 있어서 입력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디바이스 드라이버의 관리의 수고를 경감하여, 효율적으로 입력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어 시스템은, 입력 정보를 판독하여 출력하는 입력 디바이스와, 상기 입력 디바이스에 접속되어, 상기 입력 정보가 입력되었을 경우에, 상기 입력 정보를 출력한 입력 디바이스를 식별하고, 상기 입력 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출력하는 기록 장치와, 상기 기록 장치에 접속되어, 상기 기록 장치가 출력한 상기 데이터를 취득하는 정보 처리 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입력 디바이스로부터 입력 정보가 출력되었을 경우에, 기록 장치는, 입력 정보를 출력한 입력 디바이스를 식별하여, 상기 입력 정보를 정보 처리 장치로 출력한다. 이 때문에, 정보 처리 장치가 입력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일 없이, 입력 디바이스에 대응한 입력 정보의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정보 처리 장치의 OS의 기능을 가능한 한 이용하는 일 없이, 기록 장치에 접속된 입력 디바이스에 따른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거쳐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와 접속되는 서버를 갖고, 상기 기록 장치는, 상기 데이터에, 상기 입력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부가하여,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 출력하고,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기록 장치가 출력한 상기 식별 정보가 부가된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입력 디바이스를 식별하고, 상기 데이터에 대해서 상기 입력 디바이스에 대응한 처리를 실행해도 좋다.
이 경우, 기록 장치는, 입력 디바이스로부터 입력 정보가 입력되었을 경우에, 입력원의 입력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입력 정보에 부가하여 정보 처리 장치로 출력한다. 정보 처리 장치는, 입력 정보에 부가된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입력원의 입력 디바이스를 식별하여, 입력원의 입력 디바이스에 대응한 처리를 실행한다. 이 때문에, 정보 처리 장치의 OS의 기능을 이용하는 일 없이, 기록 장치와 정보 처리 장치가 연계하여 입력 디바이스의 식별, 및 입력 디바이스에 따른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데이터에 근거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며, 상기 서버에 액세스하여, 상기 데이터에 근거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용 파일을 취득하고,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상기 표시용 파일에 근거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식별 정보에 근거하는 상기 입력 디바이스의 식별, 및 상기 입력 디바이스에 대응한 처리의 실행을, 상기 표시용 파일에 실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해도 좋다.
이 경우, 정보 처리 장치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용의 표시용 파일을 취득하는 기능을 활용하여, 표시용 파일에 실장된 프로그램의 기능에 의해, OS의 기능을 이용하는 일 없이, 입력 디바이스의 식별, 및 입력 디바이스에 따른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입력 디바이스는, 바코드 스캐너, 혹은 카드 판독기이어도 좋다.
일반적인 POS 시스템에서는, 기록 장치에 바코드 스캐너나 카드 판독기가 접속되고, 바코드 스캐너에 의해 상품의 바코드를 판독하여, 판독 결과에 따른 처리를 행하고, 마찬가지로, 카드 판독기에 의해 회원 카드 등의 각종 카드를 판독하여, 판독 결과에 따른 처리를 행한다. 이런 종류의 POS 시스템에 본 발명을 적용하면, 정보 처리 장치의 OS의 기능을 사용하지 않고, 입력된 정보의 입력원이 바코드 스캐너인지 카드 판독기인지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데이터를 처리하는 POS 애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키고, 상기 기록 장치는, 상기 입력 디바이스와 접속하여 상기 입력 정보가 입력되는 입력부, 상기 입력 정보에 근거하는 데이터를 생성하는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실행시킴과 아울러 상기 데이터를 출력한 입력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필터 드라이버를 동작시켜 취득한 상기 식별 정보를 상기 데이터에 부가하는 제어부, 상기 필터 드라이버로 취득된 데이터를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 출력하는 출력부, 및 인쇄를 실행하는 인쇄부를 갖고,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에 근거하여 상기 인쇄부에서 인쇄를 실행해도 좋다.
이 경우, 디바이스 드라이버에 의해 입력 데이터가 생성되고, 이 입력 데이터에 대응하는 입력 디바이스가 필터 드라이버에 의해 특정된다. 이 때문에, 입력 데이터를 입력 디바이스의 종류에 근거하여 처리할 수 있으므로,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입력 데이터를 적절히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 디바이스를 특정하는 데이터를 디바이스 드라이버가 처리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범용의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디바이스 드라이버의 관리의 수고를 경감하여, 효율적으로 입력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POS 애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키는 웹 페이지에 근거하는 화면을 생성하는 웹 브라우저, 및 상기 웹 브라우저로 생성된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웹 페이지에 근거하는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POS 애플리케이션을 동작시켜, 거래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입력 디바이스에 의해 출력되는 입력 정보는 거래 정보이며, 상기 POS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거래 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처리해도 좋다.
이 경우, 입력 디바이스가 출력하는 입력 정보에 근거하여 POS 애플리케이션을 동작시켜, 거래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필터 드라이버는, 상기 디바이스 드라이버로 상기 데이터가 생성된 후, 상기 POS 애플리케이션으로 지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취득하여도 좋다.
이 경우, POS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에 의해, 필터 드라이버가 취득하는 입력 데이터에 관한 조건을 지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정보 처리 장치나 기록 장치가 필터 드라이버를 관리하는 기능을 갖지 않아도 좋다. 따라서, 범용적인 장치를 정보 처리 장치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다른 입력 디바이스를 구분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필터 드라이버가 동작하는 조건을 POS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변경할 수 있으므로, 입력 디바이스의 관리가 보다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입력 디바이스에서 입력 정보를 판독하여 출력하고, 상기 입력 디바이스에 접속된 기록 장치에서, 상기 입력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입력 정보를 입력했을 경우에, 상기 입력 정보를 출력한 상기 입력 디바이스를 식별하고, 상기 입력 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기록 장치에 접속된 정보 처리 장치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입력 디바이스로부터 입력 정보가 출력되었을 경우에, 기록 장치는, 입력 정보를 출력한 입력 디바이스를 식별하여, 상기 입력 정보를 정보 처리 장치로 출력한다. 이 때문에, 정보 처리 장치가 입력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일 없이, 입력 디바이스에 대응한 입력 정보의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정보 처리 장치의 OS의 기능을 가능한 한 이용하는 일 없이, 기록 장치에 접속된 입력 디바이스에 따른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록 장치는, 식별한 상기 입력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상기 데이터에 부가하여 정보 처리 장치로 출력하고,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식별 정보가 부가된 데이터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입력 디바이스를 식별하고, 상기 데이터에 대해, 상기 입력 디바이스에 대응한 처리를 실행해도 좋다.
이 경우, 기록 장치가, 입력원의 입력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입력 정보에 부가하여 정보 처리 장치로 출력한다. 정보 처리 장치는, 입력 정보에 부가된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입력원의 입력 디바이스를 식별하고, 입력원의 입력 디바이스에 대응한 처리를 실행한다. 이 때문에, 정보 처리 장치의 OS의 기능을 이용하는 일 없이, 기록 장치와 정보 처리 장치가 연계하여 입력 디바이스의 식별, 및 입력 디바이스에 따른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 디바이스에서 판독되는 상기 입력 정보는 거래 정보이며, 상기 기록 장치는, 상기 거래 정보에 근거하여 생성된 데이터를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 출력하고,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POS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거래 정보에 근거하여 생성된 데이터를 처리해도 좋다.
또한, 상기 POS 애플리케이션으로 처리된 데이터를 상기 기록 장치로 출력하고, 상기 기록 장치는, 상기 POS 애플리케이션으로 처리된 데이터를 인쇄해도 좋다.
이 경우, 디바이스 드라이버에 의해 입력 데이터가 생성되고, 이 입력 데이터에 대응하는 입력 디바이스가 필터 드라이버에 의해 특정된다. 이 때문에, 입력 데이터를 입력 디바이스의 종류에 근거하여 처리할 수 있으므로,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입력 데이터를 적절히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 디바이스를 특정하는 데이터를 디바이스 드라이버가 처리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범용의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디바이스 드라이버의 관리의 수고를 경감하여, 효율적으로 입력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기록 장치는, 입력 디바이스로부터 출력된 입력 정보가 입력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 정보에 근거하는 데이터를 생성함과 아울러, 상기 입력 정보를 출력한 상기 입력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제어부와,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입력 디바이스로부터 입력 정보가 출력되었을 경우에, 기록 장치가, 입력 정보를 출력한 입력 디바이스를 식별하여, 상기 입력 정보를 정보 처리 장치로 출력한다. 이 때문에, 정보 처리 장치가 입력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일 없이, 입력 디바이스에 대응한 입력 정보의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정보 처리 장치의 OS의 기능을 가능한 한 이용하는 일 없이, 기록 장치에 접속된 입력 디바이스에 따른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식별된 상기 입력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상기 데이터에 부가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식별 정보가 부가된 데이터를 송신해도 좋다.
이 경우, 기록 장치가, 입력 디바이스로부터 입력 정보가 입력되었을 경우에, 입력원의 입력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입력 정보에 부가하여 정보 처리 장치로 출력한다. 이 때문에, 정보 처리 장치는, 입력 정보에 부가된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입력원의 입력 디바이스를 식별할 수 있으므로, 정보 처리 장치의 OS의 기능을 이용하는 일 없이 입력 디바이스의 식별, 및 입력 디바이스에 따른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정보에 근거하는 데이터를 생성하는 디바이스 드라이버 및 상기 입력 디바이스를 식별하여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필터 드라이버를 동작시켜도 좋다.
이 경우, 기록 장치가, 디바이스 드라이버가 생성한 입력 데이터를 필터 드라이버에 의해 취득하여, 입력 데이터에 대응하는 입력 디바이스를 특정하므로, 정보 처리 장치는, 입력 데이터를 입력 디바이스의 종류에 근거하여 처리할 수 있다. 이에 의해, POS 시스템에 있어서 입력 데이터를 적절히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 디바이스를 특정하는 데이터를 디바이스 드라이버가 처리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범용의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디바이스 드라이버의 관리의 수고를 경감하여, 효율적으로 입력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제어 시스템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터치 패널에 표시된 전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제어 시스템의 각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5는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 시스템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6은 제어 시스템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프린터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제 1 실시 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 시스템(1)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제어 시스템(1)은, 쇼핑 센터나, 백화점 등의 점포에 적용되고, 점포에 있어서의 상품의 판매의 상황이나, 상품의 재고의 상황, 매상의 상황 등을 관리하는 이른바 POS 시스템의 일부이며, 적어도 점포에 복수 마련된 체크아웃 카운터 L에 있어서, 고객이 구입한 상품에 따른 회계를 하는 기능, 및 고객의 대금의 지불에 따라 영수증을 발행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제어 시스템(1)이 적용된 점포에서는, 복수의 체크아웃 카운터 L의 각각에, 태블릿 단말(10)(정보 처리 장치)과, 이 태블릿 단말(10)에 접속된 프린터(11)(기록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태블릿 단말(10)과 프린터(11)은, 이더네트(ethernet)(등록상표)의 규격에 준거한 무선 LAN(5)(네트워크)를 거쳐서 데이터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태블릿 단말(10)은, 태블릿형(판 형상)의 컴퓨터이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태블릿 단말(10)은, 전면의 거의 전역에 터치 패널(10a)(표시부)이 마련되고, 각종 정보의 입력 조작 등은 터치 패널(10a)에 대한 터치 조작에 의해 행해지고, 외부 부착의 키보드나 표시 패널 등이 접속되어 있지 않다.
프린터(11)는, 적어도 영수증을 발행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프린터(11)에는, 각종의 외부 디바이스가 접속되어 있다. 외부 디바이스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코드 스캐너(12)(입력 디바이스), 카드 판독기(13)(입력 디바이스), 캐시 드로어(14), 커스터머 디스플레이(15) 등이 있다. 바코드 스캐너(12)는, 상품이나, 상품의 포장에 첨부된 바코드를 판독한다. 카드 판독기(13)는, 고객의 회원 카드 등을 판독한다. 캐시 드로어(14)는 지폐나, 화폐, 금권 등을 수납한다. 커스터머 디스플레이(15)는, 회계에 관한 정보를 고객에게 제시한다. 이러한 외부 디바이스 중, 바코드 스캐너(12)는, 프린터(11)와의 사이에서, Bluetooth(등록상표) 규격에 준거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행한다. 또한, 카드 판독기(13)는, USB 케이블 등의 통신 케이블에 의해 프린터(11)에 접속되고, 프린터(11)와의 사이에서, 소정의 통신 규격에 준거한 데이터 통신을 행한다.
무선 LAN(5)에는, POS 서버(17)(서버)가 접속되어 있다. POS 서버(17)는, 각종의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며, 이들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제어 시스템(1) 전체를 통괄적으로 관리한다. POS 서버(17)가 구비하는 데이터베이스는, 상품을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나, 매상을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재고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등이다. POS 서버(17)와, 태블릿 단말(10)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술한다.
도 2는, 태블릿 단말(10), 프린터(11), 및 POS 서버(17)의 기능적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린터(11)는, 프린터측 제어부(20)와, 프린터 유닛(21)과, 무선 통신부(22)와, 유선 통신부(24)와, 프린터측 인터페이스(23)(I/F)를 구비하고 있다.
프린터측 제어부(20)는, 프린터(11)의 각 부를 중추적으로 제어한다. 프린터측 제어부(20)는, CPU, RAM, ROM, 그 외의 주변 회로 등을 구비하고 있다. 프린터(11)에는, 적어도 프린터 유닛(21)을 제어하는 프린터 드라이버, 및 태블릿 단말(10)과의 사이에서 소정의 규격에 준거하여 통신을 행하는 통신 드라이버가 인스톨되어 있다. 프린터측 제어부(20)는, 기능 블록으로서, 프린터 드라이버를 실행하는 프린터 드라이버 실행부(20a)와, 통신용 드라이버를 실행하는 통신용 드라이버 실행부(20b)를 갖고 있다. 이들 기능 블록의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프린터 유닛(21)은, 롤지에 화상을 기록하여 절단함으로써 영수증을 발행한다. 프린터 유닛(21)은, 각 기구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프린터 유닛(21)은, 롤지를 소정 방향으로 반송하는 반송 기구나, 기록 헤드에 의해 롤지에 화상을 기록하는 기록 기구, 롤지를 절단하는 절단 기구 등을 구비하고 있다. 프린터측 제어부(20)(특히, 프린터 드라이버 실행부(20a))와, 프린터 유닛(21)이 협동하여,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된 정보에 근거하여 인쇄를 행하는 인쇄부」로서 기능한다.
무선 통신부(22)는, 입력 디바이스 중, 적어도 바코드 스캐너(12)와의 사이에서 Bluetooth의 규격에 준거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행한다. 무선 통신부(22)는, 예를 들면, 링크 매니저나, 링크 콘트롤러, 고주파 회로, 안테나 등을 가진다.
프린터측 제어부(20)가 구비하는 기능 블록의 하나인 통신 제어부(20c)는, Bluetooth 하드웨어를 제어하기 위해, 이른바 Bluetooth Driver Stack를 판독하여 실행한다. 그리고, 통신 제어부(20c)는 무선 통신부(22)를 제어하여, 바코드 스캐너(12)와의 사이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행한다. 무선 통신부(22)와 통신 제어부(20c)가 협동하여 「입력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로서 기능한다.
유선 통신부(24)는, 입력 디바이스 중, 적어도 카드 판독기(13), 및 커스터머 디스플레이(15)와의 사이에서 소정의 통신 규격에 준거한 유선 통신을 행한다. 유선 통신부(24)는, 물리 포트에 접속된 네트워크 카드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프린터측 제어부(20)의 통신 제어부(20c)는, 유선 통신부(24)를 제어하여, 카드 판독기(13) 및 커스터머 디스플레이(15)의 사이에서 유선 통신을 행한다. 유선 통신부(24)와 통신 제어부(20c)가 협동하여, 「입력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로서 기능한다.
통신 제어부(20c)는, 식별 정보 부가부(20d)를 구비하고 있다. 식별 정보 부가부(20d)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프린터측 인터페이스(I/F)(23)는, 프린터측 제어부(20)의 제어 하에, 태블릿 단말(10)과 통신 규격에 준거한 통신을 행한다. 프린터측 제어부(20)(특히, 통신용 드라이버 실행부(20b))와, 프린터측 인터페이스(23)가 협동하여, 「제어부에서 식별 정보가 부가된 입력 정보를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부」로서 기능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태블릿 단말(10)은, 단말측 제어부(26)와, 터치 패널(10a)과, 단말측 인터페이스(I/F)(27)를 구비하고 있다.
단말측 제어부(26)는, 태블릿 단말(10)의 각 부를 제어한다. 단말측 제어부(26)는, CPU나, ROM, RAM, 그 외의 주변 회로 등을 구비하며, 소정의 브라우저를 실행하는 기능 블록인 브라우저 실행부(26a)를 구비하고 있다.
터치 패널(10a)은, 단말측 제어부(26)의 제어 하에, 액정 표시 패널 등의 표시 패널에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터치 패널(10a)은 표시면에 대한 터치 조작을 검출하여, 단말측 제어부(26)에 출력한다.
단말측 인터페이스(27)는, 단말측 제어부(26)의 제어 하에, 프린터(11), 및 POS 서버(17)와 통신 규격에 준거한 통신을 행한다.
POS 서버(17)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버측 제어부(30)와, 서버측 기억부(31)와, 서버측 인터페이스(I/F)(32)를 구비하고 있다.
서버측 제어부(30)는, POS 서버(17)의 각 부를 제어한다. 서버측 제어부(30)는, CPU나, ROM, RAM, 그 외의 주변 회로 등을 구비하며, 또한, 하드 디스크나 EEPROM 등의, 각종 데이터를 리라이트 가능하게 기억하는 불휘발성 메모리를 구비하고 있다. 서버측 인터페이스(32)는, 서버측 제어부(30)의 제어 하에, 태블릿 단말(10)과의 사이에서 통신 규격에 준거한 통신을 행한다.
서버측 기억부(31)에는, Web 애플리케이션(35)이 로드 가능하게 기억되어 있다. 그리고, 서버측 제어부(30)의 애플리케이션 실행부(30a)는, Web 애플리케이션(35)을 실행하는 기능 블록이다. Web 애플리케이션(35)의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다음에, 제어 시스템(1)의 각 장치가 협동하여 회계에 따른 처리를 행할 때의 동작을 설명한다.
회계에 따른 처리가 행해지기 전에, 태블릿 단말(10)은, 이하의 처리를 실행한다.
레지스터의 담당자, 그 외의 작업에 종사하는 사람이, 태블릿 단말(10)의 브라우저를 기동하여, 터치 패널(10a)로의 전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UI(사용자 인터페이스. 도 3 참조.)의 표시를 지시하는 조작을 행한다. 이 지시에 따라, 단말측 제어부(26)의 브라우저 실행부(26a)는, POS 서버(17)상의 소정의 어드레스에 액세스하여, 전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UI 표시용의 HTML 파일(표시용 파일)을 취득하고, 상기 파일에 근거하여 전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UI를 표시한다. 이 HTML 파일에는, POS 서버(17)의 애플리케이션 실행부(30a)와 협동하여 회계에 따른 각종 처리(후술)를 실행하는 기능을 갖는 프로그램이, 소정의 스크립트 언어에 의해 실장(기술)되어 있다.
도 3은, 터치 패널(10a)상에 표시된 전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UI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전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UI에 있어서, 좌상부에는, 고객이 구입한 상품의 명칭, 상품의 단가, 및 상품의 수량이 일람 표시되는 일람 표시 에어리어(39)가 표시되어 있다. 일람 표시 에어리어(39)의 우측에는, 고객이 구입한 상품의 합계 금액, 회계시에 고객으로부터 맡은 금전의 금액, 고객에게 건네주어야 할 거스름돈의 금액, 및 회계에 적용되는 할인의 형태를 나타내는 정보가 각각 입력되어 표시되는 입력 필드인 금액 입력 필드(40)가 표시되어 있다.
일람 표시 에어리어(39)의 하부에는, 바코드 스캐너(12)에 의해 판독된 바코드가 나타내는 정보(이하, 「바코드 정보」라고 함)가 입력되어 표시되는 입력 필드인 바코드 정보 입력 필드(41)가 형성되어 있다. 바코드 정보는, 기본적으로는, 상품의 종류마다 고유하게 할당된 식별 정보이다.
바코드 정보 입력 필드(41)의 하방에는, 카드 판독기(13)에 의해 고객의 회원 카드가 판독되었을 경우에, 상기 판독에 의해 취득되는 회원 번호가 입력되어 표시되는 입력 필드인 회원 번호 입력 필드(42)가 표시되어 있다.
바코드 정보 입력 필드(41), 및 회원 번호 입력 필드(42)의 우측에는, 소프트웨어 텐 키(43)가 표시되어 있다. 전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UI에 형성된 입력 필드의 각각에 대해서는, 이 소프트웨어 텐 키(43)를 거쳐서 정보를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고, 소프트웨어 텐 키(43)는,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서 필요한 모든 키를 갖고 있다.
전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UI의 상단부에는, 액세스 대상의 어드레스가 표시되는 어드레스 입력 필드(44)가 표시되어 있다.
제어 시스템(1)의 각 장치가 협동하여 회계에 따른 처리를 행할 때의 동작에 대해, 도 4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의 플로우차트는 일례로서, 고객이 임의의 1개의 상품을 구입하는 경우의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4의 플로우차트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각 스텝의 처리를 행하는 주체가 동일하지 않다.
또한, 이하의 설명의 전제로서, 고객은, 회원 카드를 보유하고 있고, 체크아웃 카운터 L에 있어서의 회계시에, 레지스터의 담당자에게 회원 카드가 건네어진다고 가정한다. 회원 카드에는, 카드 판독기(13)에 의해 판독 가능한 형상으로 회원 번호가 기록되어 있고, 예를 들면, 회계 처리에 있어서 회원 번호에 따른 할인이 행해진다.
체크아웃 카운터 L에 있어서, 레지스터의 담당자는, 카드 판독기(13)에 의해 고객의 회원 카드를 판독한다(스텝 SA1). 프린터측 제어부(20)의 통신 제어부(20c)는, 유선 통신부(24)를 거쳐서, 카드 판독기(13)의 판독 결과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취득하고, 상기 데이터에 근거하여, 회원 번호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생성한다(스텝 SA2). 그 다음에, 통신 제어부(20c)의 식별 정보 부가부(20d)는, 회원 번호를 나타내는 데이터(입력 정보)에, 카드 판독기(13)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부가한다(스텝 SA3).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식별 정보 부가부(20d)가, 「수신부에서 수신된 입력 정보를 송신한 입력 디바이스를 식별하여, 식별 정보를 입력 정보에 부가하는 제어부」로서 기능한다.
식별 정보는, 예를 들면, 카드 판독기(13) 고유의 벤더(vendor) ID나, 프로덕트(product) ID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입력 디바이스의 종류마다 접속되는 포트가 고정인 경우에는, 식별 정보로서, 포트를 나타내는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정보를 식별 정보로서 이용하는 경우에도, 그 정보가, Web 애플리케이션(35)에 있어서 카드 판독기(13)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로서 관리되어 있는 데이터나 값(후술하는 전용 스크립트에 있어서, 카드 판독기(13)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로서 관리되어 있는 데이터나 값)과 동일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POS 서버(17)에 있어서, Web 애플리케이션(35)이 참조 가능한 설정 파일에, 입력 디바이스의 종류와, 식별 정보의 대응지음이 기술되어 있다. 또한, 설정 파일에 기술된 식별 정보의 값은, 소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거쳐서 변경 가능하고, 프린터(11)에 새롭게 입력 디바이스가 접속될 때마다, 작업자에 의해 설정 파일의 내용이 리라이트될 수 있다. Web 애플리케이션(35), 및 후술하는 전용 스크립트에 있어서 하나의 입력 디바이스의 종류에 대응 지어진 식별 정보와, 식별 정보 부가부(20d)에 의해 상기 하나의 입력 디바이스의 입력 정보에 부가되는 식별 정보의 동일성이 담보된다.
통신 제어부(20c)는, 카드 판독기(13)의 식별 정보가 부가된 회원 번호를 나타내는 데이터(이하, 「식별 정보 첨부 회원 번호 데이터」라고 함)를, 통신용 드라이버 실행부(20b)에 출력한다(스텝 SA4).
프린터(11)에 인스톨되어 있는 통신용 드라이버에는, 태블릿 단말(10)의 브라우저 실행부(26a)에, 식별 정보 첨부 회원 번호 데이터를 출력하는 기능이 실장되어 있다. 이 기능을 이용하여, 통신용 드라이버 실행부(20b)는, 식별 정보 첨부 회원 번호 데이터를, 브라우저 실행부(26a)에 출력한다(스텝 SA5).
식별 정보 첨부 회원 번호 데이터가 입력되면, 브라우저 실행부(26a)는, 전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UI에 따른 HTML 파일에 실장된 프로그램(이하, 「전용 스크립트」라고 함)의 기능에 의해, 식별 정보 첨부 회원 번호 데이터에 부가된 식별 정보(이 경우에는, 카드 판독기(13)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데이터의 입력원의 입력 디바이스가, 카드 판독기(13)인 것을 식별한다(스텝 SA6).
스텝 SA6의 처리는 이하와 같이 하여 행해진다. 즉, 전용 스크립트상에는, 식별 정보와, 입력 디바이스의 종류의 대응 관계가 기술되어 있고,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입력 디바이스의 종류를 특정하는 기능이 실장되어 있다. 브라우저 실행부(26a)는, 상기 기능을 이용하여, 식별 정보 첨부 회원 번호 데이터에 부가된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데이터의 입력원의 입력 디바이스가, 카드 판독기(13)인 것을 식별한다.
입력원의 입력 디바이스가 카드 판독기(13)인 것을 식별한 후, 브라우저 실행부(26a)는, 입력원이 카드 판독기(13)이기 때문에, 식별 정보 첨부 회원 번호 데이터가 나타내는 정보(=회원 번호)는, 회원 번호 입력 필드(42)에 입력하여야 할 정보인 것을 판별하여, 회원 번호를 회원 번호 입력 필드(42)에 입력한다(스텝 SA7). 이에 의해, 전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UI의 회원 번호 입력 필드(42)에 고객의 회원 번호가 표시된 상태로 된다.
카드 판독기(13)로부터의 출력값에 근거하여 생성되는 회원 번호를 나타내는 데이터 그 자체에는, 입력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정보가 부가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이 데이터에 근거하여 데이터의 입력원의 입력 디바이스의 종류를 판별할 수 없다. 이 때문에, 프린터(11)로부터 태블릿 단말(10)에 회원 번호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입력되었을 경우, 단말측 제어부(26)는, 입력원의 입력 디바이스를 판별하기 위해서, 태블릿 단말(10)의 OS에 실장된 주변 기기나 접속 기기를 검출하는 기능을 이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 시스템(1)에서는, 상기 시스템의 각 기기가 협동하는 것에 의해 실현되는 상기의 수단에 의해, 태블릿 단말(10)은, 입력 디바이스의 종류를 식별하여, 상기 종류에 대응한 처리를 행한다. 이 때문에, 입력 디바이스의 판별에 있어, 태블릿 단말(10)의 OS의 기능을 이용할 필요가 없다. 그리고, 태블릿 단말(10)의 OS의 기능을 이용하는 일 없이, 입력 디바이스를 식별하여, 종류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므로, OS의 종류, 버젼으로부터 가능한 한 영향을 받는 일 없이, 각종 단말을 태블릿 단말(10)로서 이용할 수 있어, 태블릿 단말(10)로서 범용품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태블릿 단말(10)은, 전용 스크립트의 기능에 의해, 입력원의 입력 디바이스의 종류의 식별을 행한다. 이에 의해, 전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UI의 HTML 파일(표시용 파일)을 취득한다고 하는 특성을 바람직하게 활용하여, 표시용 파일에 실장된 프로그램의 기능에 의해, OS의 기능을 이용하는 일 없이, 입력 디바이스의 식별, 및 입력 디바이스에 따른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그런데, 스텝 SA6에 있어서, 브라우저 실행부(26a)는, 입력원의 입력 디바이스의 종류가 카드 판독기(13)인 것을 식별하지만, 이 식별 결과에 근거하여, 브라우저 실행부(26a)는, 애플리케이션 실행부(30a)에 대해서, 식별 정보 첨부 회원 번호 데이터가 나타내는 회원 번호의 고객에 대해, 회계에 있어서 실시되어야 할 할인의 형태(예를 들면, 10% 오프)를 문의한다(스텝 SA8). 상기 문의를 받은 애플리케이션 실행부(30a)는, 상기 회원 번호를 키로 하여, 소정의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하고, 회계시에, 상기 회원에 대해서 실시되어야 할 할인의 형태(예를 들면, 10% 오프)를 특정하여, 응답한다. 이후에 명백해지는 바와 같이, 여기서 특정된 할인의 형태에 따라 할인이 행해지게 된다.
그 다음에, 레지스터의 담당자는, 바코드 스캐너(12)에 의해, 회계의 대상으로 되는 하나의 상품에 첨부된 바코드를 판독한다(스텝 SA9). 프린터측 제어부(20)의 통신 제어부(20c)는, 무선 통신부(22)를 거쳐서, 바코드 스캐너(12)의 판독 결과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취득하고, 상기 데이터에 근거하여, 바코드 정보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생성한다(스텝 SA10). 그 다음에, 통신 제어부(20c)의 식별 정보 부가부(20d)는, 바코드 정보를 나타내는 데이터(입력 정보)에, 바코드 스캐너(12)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부가한다(스텝 SA11). 이 식별 정보의 값은, 상술한 바와 같이, Web 애플리케이션(35), 및 전용 스크립트에 의해 바코드 스캐너(12)의 식별 정보로서 관리되어 있는 데이터나 값과 동일하다.
그 다음에, 통신 제어부(20c)는, 바코드 스캐너(12)의 식별 정보가 부가된 바코드 정보를 나타내는 데이터(이하, 「식별 정보 첨부 바코드 정보 데이터」라고 함)를, 통신용 드라이버 실행부(20b)에 출력한다(스텝 SA12). 통신용 드라이버 실행부(20b)는, 식별 정보 첨부 바코드 정보 데이터를, 브라우저 실행부(26a)에 출력한다(스텝 SA13).
식별 정보 첨부 바코드 정보 데이터가 입력되면, 태블릿 단말(10)의 단말측 제어부(26)의 브라우저 실행부(26a)는, 전용 스크립트의 기능에 의해, 식별 정보 첨부 바코드 데이터에 부가된 식별 정보(이 경우에는, 바코드 스캐너(12)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데이터의 입력원의 입력 디바이스가, 바코드 스캐너(12)인 것을 식별한다(스텝 SA14). 상기 식별은, 스텝 SA6과 동일한 수단에 의해 행해진다.
입력원의 입력 디바이스가 바코드 스캐너(12)인 것을 식별한 후, 브라우저 실행부(26a)는, 입력원이 바코드 스캐너(12)이기 때문에, 식별 정보 첨부 바코드 정보 데이터가 나타내는 정보(=바코드 정보)는, 바코드 정보 입력 필드(41)에 입력하여야 할 정보인 것을 판별하여, 바코드 정보를, 바코드 정보 입력 필드(41)에 입력한다(스텝 SA15). 이에 의해, 전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UI의 바코드 정보 입력 필드(41)에 바코드 정보가 표시된 상태로 된다.
그 다음에, 브라우저 실행부(26a)는, 전용 스크립트의 기능에 의해, POS 서버(17)의 애플리케이션 실행부(30a)와 통신하여, 바코드 정보가 나타내는 상품의 상품 명칭, 단가를 문의한다(스텝 SA16). 상기 문의를 받은 애플리케이션 실행부(30a)는, Web 애플리케이션(35)의 기능에 의해, 적절히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하여, 필요한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정보를 태블릿 단말(10)의 브라우저 실행부(26a)에 출력한다(스텝 SA17). 여기서, Web 애플리케이션(35)에는, 이른바 POS 애플리케이션에 통상 실장되어 있는 기능, 예를 들면, 상품 검색이나, 매상의 관리, 재고 관리 등의 기능이 실장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어 시스템(1)에서는, 태블릿 단말(10)에, 이른바 POS 애플리케이션이 실장되어 있는 것은 아니고, 점포내에 설치된 각 태블릿 단말(10)은, 각각, 필요에 따라서 POS 서버(17)에 액세스하여, Web 애플리케이션(35)의 기능에 의해, POS 시스템에 관한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이에 의해, 각 태블릿 단말(10)이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의 동일성을 유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의 버전 업 시에, 각 태블릿 단말(10)에 대해서, 버전 업에 따른 작업을 행할 필요가 없어져서, 유지 보수성이 향상한다. 또한, 태블릿 단말(10)에는, 특별한 기능을 실장할 필요도 없고, 특별한 외부 부착된 기기를 접속할 필요도 없어, 태블릿 단말(10)로서, 적어도 브라우저가 인스톨된 범용품을 사용할 수 있다.
그 다음에, 태블릿 단말(10)의 브라우저 실행부(26a)는, 전용 스크립트의 기능에 의해, 고객이 구입한 상품의 명칭, 상품의 단가, 및 상품의 수량을 일람 표시 에어리어(39)에 표시함과 아울러, 금액 입력 필드(40)의 소정의 란에, 고객이 구입한 상품의 합계 금액을 표시한다(스텝 SA18).
그 다음에, 레지스터의 담당자에 의해, 소프트웨어 텐 키(43)를 거쳐서 회계해야 할 상품을 확정하는 취지의 조작이 행해진다. 상기 조작을 트리거로 하여, 브라우저 실행부(26a)는, 전용 스크립트의 기능에 의해, 고객이 지불해야 할 합계 금액을 산출한다(스텝 SA19). 합계 금액의 산출은, 이하와 같이 하여 행해진다. 즉, 전용 스크립트에는, 스텝 SA8에서 특정한 할인의 형태를 근거로 하여, 합계 금액을 산출하는 기능이 실장되어 있다. 브라우저 실행부(26a)는, 전용 스크립트에 실장된 상기 기능을 이용하여, 합계 금액을 산출한다.
합계 금액의 산출 후, 브라우저 실행부(26a)는, 전용 스크립트의 기능에 의해, 산출한 합계 금액, 및 회계에 적용되는 할인을 나타내는 정보를 금액 입력 필드(40)의 적절한 란에 입력함과 아울러, 고객으로부터 대금의 수령액, 및 거스름돈의 반환에 따라, 적절히 금액 입력 필드(40)의 적절한 란에 적절한 정보를 표시한다(스텝 SA20).
그 다음에, 브라우저 실행부(26a)는, 전용 스크립트의 기능에 의해, 프린터 유닛(21)에 의해 발행시켜야 할 영수증에 관한 정보(이하, 「인쇄의 정보」라고 함)를 생성한다(스텝 SA21). 상기 인쇄의 정보에는, 영수증에 기록하여야 할 문자의 데이터나, 로고 마크의 화상 데이터, 문자나 화상의 위치, 문자의 수식에 관한 정보, 그 외의 문자나, 화상을 기록하여 영수증을 발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정보가 부족하지 않게 포함되어 있다.
그 다음에, 브라우저 실행부(26a)는, 소정의 프로토콜에 준거하여, 생성한 인쇄의 정보를, 프린터(11)의 통신용 드라이버 실행부(20b)를 거쳐서, 프린터 드라이버 실행부(20a)에 출력한다(스텝 SA22). 프린터 드라이버 실행부(20a)는, 입력된 인쇄의 정보에 근거하여, 프린터 유닛(21)의 커맨드 체계에 준거한 제어 커맨드로서, 프린터 유닛(21)에게 영수증의 발행에 따른 각종 처리를 행하게 하는 제어 커맨드를 생성하여, 프린터 유닛(21)의 제어 회로에 출력한다(스텝 SA23). 프린터 유닛(21)의 제어 회로는, 제어 커맨드에 근거하여, 각종 기구를 제어하여, 영수증을 발행한다(스텝 SA24).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어 시스템(1)은, 데이터를 판독하여 출력하는 입력 디바이스와, 입력 디바이스에 접속된 프린터(11)(기록 장치)와, 프린터(11)에 접속된 태블릿 단말(10)(정보 처리 장치)을 갖고, 프린터(11)는, 입력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가 출력되었을 경우에, 데이터를 출력한 입력 디바이스를 식별하여, 데이터를 태블릿 단말(19)에 출력하므로, 태블릿 단말(10)에 대해 입력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일 없이, 입력 디바이스에 대응한 입력 정보의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태블릿 단말(10)의 OS의 기능을 가능한 한 이용하는 일 없이, 프린터(11)에 접속된 입력 디바이스에 따른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시스템(1)에서, 프린터(11)는, 입력 디바이스로부터 입력이 있었을 경우, 입력에 따른 데이터에, 입력원의 입력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부가하여, 태블릿 단말(10)(정보 처리 장치)에 출력한다. 한편, 태블릿 단말(10)은, 프린터(11)로부터 입력 디바이스로부터의 입력에 따른 데이터가 입력되었을 경우, 상기 데이터에 부가된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입력원의 입력 디바이스의 종류를 식별하고, POS 서버(17)상에서 동작하는 Web 애플리케이션(35)을 이용하여, 입력원의 입력 디바이스에 대응한 처리를 실행한다. 이에 의해, 태블릿 단말(10)의 OS의 기능을 이용하는 일 없이, 제어 시스템(1)을 구성하는 각 장치가 연계하여 입력 디바이스의 식별, 및 입력 디바이스에 따른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태블릿 단말(10)은, 각종 정보를 표시 가능한 터치 패널(10a)을 구비하며, POS 서버(17)에 액세스하여, Web 애플리케이션(35)에 대해서 정보를 입력하는 전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UI를 표시시키는 HTML 파일(표시용 파일)을 취득하고, 소정의 브라우저의 기능에 의해, 터치 패널(10a)상에 전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UI를 표시한다. 그리고,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입력원의 입력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기능, 및 Web 애플리케이션(35)을 이용하여, 입력원의 입력 디바이스에 대응한 처리를 실행하는 기능은, HTML 파일에 실장된 프로그램(전용 스크립트)에 의해 실현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전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UI의 HTML 파일을 취득한다고 하는 특성을 바람직하게 살려, HTML 파일에 실장된 프로그램의 기능에 의해, OS의 기능을 이용하는 일 없이, 입력 디바이스의 식별, 및 입력 디바이스에 따른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입력 디바이스에는, 바코드 스캐너(12), 및 카드 판독기(13)가 포함되어 있고, 프린터(11)는, 바코드 스캐너(12), 또는 카드 판독기(13)로부터 입력에 따른 데이터가 입력되었을 경우, 상기 데이터에, 바코드 스캐너(12)의 식별 정보, 또는 카드 판독기(13)의 식별 정보를 부가하여, 태블릿 단말(10)에 출력한다. 한편, 태블릿 단말(10)은, 식별 정보가 부가된 데이터가 입력되었을 경우, 상기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입력원의 입력 디바이스가 바코드 스캐너(12)인지 카드 판독기(13)인지를 식별하고, Web 애플리케이션(35)을 이용하여, 입력원의 입력 디바이스가 바코드 스캐너(12)인 경우에는, 바코드의 판독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에 근거한 처리를 행하고, 입력원의 입력 디바이스가 카드 판독기(13)인 경우에는, 카드의 판독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에 근거하여 처리를 행한다.
여기서, 제어 시스템(1)과 같이 POS 시스템을 구성하는 시스템에 있어서는, 프린터(11)에 바코드 스캐너(12), 및 카드 판독기(13)가 접속되어, 바코드 스캐너(12)에 의해 상품의 바코드를 판독하고, 판독 결과에 따른 처리를 행하여, 마찬가지로, 카드 판독기(13)에 의해 회원 카드 등의 각종 카드를 판독하여, 판독 결과에 따른 처리를 행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행해진다. 그리고, 상기 구성에 의하면, OS의 기능을 가능한 한 이용하는 일 없이, 태블릿 단말(10)은, 입력된 정보의 입력원이, 바코드 스캐너(12)인지 카드 판독기(13)인지를 식별할 수 있어, 각 장치에 따른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제 2 실시 형태)
계속해서, 본 발명을 적용한 제 2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 시스템(100)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5는, 제어 시스템(100)을 구성하는 태블릿 단말(110), 프린터(118), 및 POS 서버(117)의 기능적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제어 시스템(100)은, 제 1 실시 형태의 제어 시스템(1)(도 1)과 마찬가지로 점포에 설치되어, POS 시스템의 일부로서, 마찬가지의 기능을 담당한다. 제어 시스템(100)은, 제어 시스템(1)의 태블릿 단말(10) 대신에 태블릿 단말(110)(정보 처리 장치)을 구비하며, 프린터(11) 대신에 프린터(118)(기록 장치)를 구비하며, POS 서버(17) 대신에 POS 서버(117)(서버)를 구비한다.
태블릿 단말(110) 및 POS 서버(117)는, 각각,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기능에 있어서 태블릿 단말(110) 및 POS 서버(117)와 상이하지만, 그 외의 구성은 공통이다. 또한, 프린터(118)는, 후술하는 필터 드라이버 실행부(20g), 디바이스 드라이버 실행부(20f), USB 인터페이스(25a), 및 시리얼 인터페이스(25b)의 기능에 관해서, 프린터(11)와 상이하다. 프린터(118)의 그 외의 구성은, 프린터(11)와 공통이다.
제어 시스템(100)을 구성하는 각 부 중, 제 1 실시 형태의 제어 시스템(1)과 공통의 구성부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이들의 각 부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린터(118)는, 프린터측 제어부(120), 프린터 유닛(21), 및 프린터측 인터페이스(23)에 부가하여, USB 인터페이스(25a)(입력부)와, 시리얼 인터페이스(25b)를 구비하고 있다.
프린터측 제어부(120)는, 프린터측 제어부(20)(도 2)와 마찬가지로 CPU, RAM, ROM, 그 외의 주변 회로 등을 구비하고 있다. 프린터측 제어부(120)는, 프린터(118)의 각 부를 제어한다. 프린터(118)에는, 프린터 유닛(21)을 제어하는 프린터 드라이버, USB 인터페이스(25a)에 접속된 바코드 스캐너(12) 및 카드 판독기(13)를 포함하는 기기를 제어하는 디바이스 드라이버, 시리얼 인터페이스(25b)에 접속된 커스터머 디스플레이(15)를 제어하는 디바이스 드라이버, 태블릿 단말(110)과의 사이에서 소정의 규격에 준거하여 통신을 행하는 통신 드라이버, 및 이러한 드라이버 프로그램의 기능을 이용하여 프린터(118)를 제어하는 오퍼레이팅 시스템(OS)이 인스톨되어 있다. 또한, 프린터(118)에는, 디바이스 드라이버 실행부(20f)가 실행하는 디바이스 드라이버의 기능에 의해 생성되는 입력 데이터를 검출하여 취득하는 필터 드라이버가 인스톨되어 있다. 프린터(118)의 소프트웨어 구성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프린터측 제어부(120)는, 프린터 드라이버 실행부(20a), 통신용 드라이버 실행부(20b), 필터 드라이버를 실행하는 필터 드라이버 실행부(20g), 및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실행하는 디바이스 드라이버 실행부(20f)를 가진다.
USB 인터페이스(25a)는, 복수의 USB 커넥터(도시 생략), 및 이러한 USB 커넥터를 거쳐서, 입력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각종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USB 호스트 콘트롤러(도시 생략)를 구비하고 있다. USB 인터페이스(25a)의 각 USB 커넥터에는, 바코드 스캐너(12) 및 카드 판독기(13)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USB 인터페이스(25a)는, 디바이스가 USB 커넥터에 접속된 것을 검출했을 경우에, 접속된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부여하여, 프린터측 제어부(120)의 디바이스 드라이버 실행부(20f)에 대해서 접속 검출을 통지한다. 또한, USB 인터페이스(25a)는, 바코드 스캐너(12) 또는 카드 판독기(13)로부터 데이터 출력 요구를 받았을 경우에, 이 데이터 출력 요구에 응답하여 바코드 스캐너(12) 또는 카드 판독기(13)가 출력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식별 정보와 함께 디바이스 드라이버 실행부(20f)에 출력한다.
USB 인터페이스(25a)에 접속되는 디바이스(바코드 스캐너(12)나 카드 판독기(13) 등)의 식별 정보는, 예를 들면, 각 디바이스가 갖는 벤더 ID 및 프로덕트 ID를 USB 인터페이스(25a)가 취득하고, 이 벤더 ID 및 프로덕트 ID이어도 좋다. 또한, USB 인터페이스(25a)가 구비하는 각 커넥터에 고유의 식별 정보가 부여되어 있는 경우, USB 인터페이스(25a)에 디바이스가 접속되었을 경우에, 그 디바이스가 접속된 커넥터의 식별 정보를, 그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로 해도 좋다. 또한, USB 인터페이스(25a)에 의해 디바이스의 접속이 검출되어, 디바이스 드라이버 실행부(20f)에 대해 접속 검출이 통지되었을 경우에, 디바이스 드라이버 실행부(20f)의 기능에 의해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가 부여되고, 부여된 식별 정보를 디바이스 드라이버 실행부(20f) 및 USB 인터페이스(25a)가 기억해도 좋다.
디바이스 드라이버 실행부(20f)는, 매스 스토리지 클래스(mass storage storage), HID(Human Interface Device) 클래스 등의 각 디바이스 클래스에 대응한 USB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실행할 수 있다. 디바이스 드라이버 실행부(20f)는, 프린터 드라이버 실행부(20a)로부터 접속 검출이 통지되면, 접속된 디바이스의 클래스를 식별하여, 식별한 클래스에 대응하는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실행한다. 예를 들면, 디바이스 드라이버 실행부(20f)는, 프린터 드라이버 실행부(20a)에 바코드 스캐너(12) 또는 카드 판독기(13)가 접속되었을 경우, HID 클래스에 대응하는 HID 클래스 드라이버를 실행한다. 바코드 스캐너(12)에 의해 바코드가 판독되었을 경우, 혹은, 카드 판독기(13)에 의해 카드가 판독되었을 경우에, USB 인터페이스(25a)가 입력 데이터와 함께 식별 정보를 디바이스 드라이버 실행부(20f)에 출력한다. 디바이스 드라이버 실행부(20f)는, 입력된 입력 데이터 및 식별 정보를 취득한다. 여기서, 디바이스 드라이버 실행부(20f)는, 각 디바이스 클래스에 대응한 USB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실행하므로, 프린터 드라이버 실행부(20a)에 접속된 각 디바이스를 클래스에 의해 분류하지만, 각 디바이스의 종류는 식별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바코드 스캐너(12) 및 카드 판독기(13)는, 모두 HID 클래스에 속하는 디바이스이다. 이 때문에, 디바이스 드라이버 실행부(20f)는, 바코드 스캐너(12) 및 카드 판독기(13)에 의해 판독된 데이터를, HID 디바이스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로 하여 마찬가지로 처리한다.
디바이스 드라이버 실행부(20f)는, USB 인터페이스(25a)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에, 이 데이터를 입력한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부가하여, 프린터(118)의 오퍼레이팅 시스템에 출력한다.
필터 드라이버 실행부(20g)는, 어느 특정의 입출력 디바이스를 제어하여,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에 대해서 추상화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인 필터 드라이버라 지칭되는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어느 특정의 입출력 디바이스는, 확장 카드나 주변 기기 등의 하드웨어이며, 예를 들면 그래픽 디스플레이, 프린터나 이더네트(등록상표) 보드 등이다. 필터 드라이버 실행부(20g)는, 디바이스 드라이버 실행부(20f)가 오퍼레이팅 시스템에 출력하는 입력 데이터와 식별 정보를 훅(hook)하여 취득한다. 필터 드라이버 실행부(20g)는, 취득한 식별 정보가, 미리 지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에, 취득한 식별 정보와 입력 데이터를, 통신용 드라이버 실행부(20b)의 기능에 의해 프린터측 인터페이스(23)를 거쳐서 태블릿 단말(110)에 송신한다.
또한, 시리얼 인터페이스(25b)는, 디바이스 드라이버 실행부(20f)로부터 커스터머 디스플레이(15)에 표시하는 문자 데이터가 입력되면, 입력된 문자 데이터를 커스터머 디스플레이(15)에 출력하여 표시를 실행시킨다.
프린터측 인터페이스(23)(I/F)는, 프린터측 제어부(120)의 제어 하에, 태블릿 단말(110)에 통신 규격에 준거한 통신을 행한다. 프린터측 인터페이스(23)는, 프린터측 제어부(120)의 통신용 드라이버 실행부(20b)와 함께, 출력부로서 기능한다.
태블릿 단말(110)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말측 제어부(26)와, 터치 패널(10a)과, 단말측 인터페이스(27)를 구비하고 있다. 태블릿 단말(110)은, 단말측 인터페이스(27)에 의해, 프린터(118), 및 POS 서버(117)와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POS 서버(117)는, 서버측 제어부(30)와, 서버측 기억부(31)와, 서버측 인터페이스(32)를 구비한다. POS 서버(117)는, 서버측 인터페이스(32)에 의해, 태블릿 단말(110)과의 사이에서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도 6은, POS 서버(117), 태블릿 단말(110), 및 프린터(118)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6에는 각 장치를 구성하는 소프트웨어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고 있고, 각 장치의 기능 중 도 6에 나타내지 않은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이 있어도 좋다.
POS 서버(117)는, 서버측 제어부(30)(도 5)가 실행하는 오퍼레이팅 시스템(171)과, 이 오퍼레이팅 시스템(171)상에서 동작하는 POS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72)을 가진다. POS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72)은 애플리케이션 실행부(30a)(도 5)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이며, 서버측 기억부(31)(도 5)에 Web 애플리케이션(35)으로서 기억되어 있다.
POS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72)은, 제어 시스템(100)이 POS를 관리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에 이용하는 프로그램이다.
POS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72)은, 태블릿 단말(110)로부터 요구된 웹 페이지의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혹은 서버측 기억부(31)(도 5)로부터 판독하여, 태블릿 단말(110)에 송신한다. 또한, POS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72)은, 태블릿 단말(110)로부터, POS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72)의 실행을 요구하는 데이터와, POS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72)에서 처리하는 데이터가 송신되었을 경우에, 이들 데이터를 오퍼레이팅 시스템(171)의 기능에 의해 수신한다. POS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72)은, 태블릿 단말(110)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에 근거하는 회계 처리를 실행하여, 처리 결과를 태블릿 단말(110)에 송신한다.
태블릿 단말(110)은, 오퍼레이팅 시스템(101)과, 오퍼레이팅 시스템(101)상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인 웹 브라우저(102)와, 오퍼레이팅 시스템(101)의 제어 하에 터치 패널(10a)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103)를 가진다. 오퍼레이팅 시스템(101), 디스플레이 드라이버(103)는 태블릿 단말(110)의 단말측 제어부(26)(도 5)에 의해 실행되고, 웹 브라우저(102)는 브라우저 실행부(26a)(도 5)에 의해 실행된다.
웹 브라우저(102)는, HTML 등의 마크업 언어나 스크립트 언어로 기술된 웹 페이지를, POS 서버(117)로부터 다운로드한다. 다운로드된 웹 페이지의 데이터는,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는 RAM에 기억된다. 웹 브라우저(102)는, 다운로드된 웹 페이지의 데이터를 판독하고, 이 웹 페이지를 표시하는 표시 데이터를 생성하고, 오퍼레이팅 시스템(101)에 출력한다. 오퍼레이팅 시스템(101)은, 웹 브라우저(102)가 생성한 표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드라이버(103)에 출력하고, 이 표시 데이터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 드라이버(103)이 터치 패널(10a)을 구동하여, 화면을 표시한다.
또한, 웹 브라우저(102)는, POS 서버(117)로부터 다운로드한 웹 페이지에, POS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72)을 실행시키는 스크립트 등이 기술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 스크립트 등을 실행하여, POS 서버(117)의 POS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72)을 실행시킨다.
오퍼레이팅 시스템(101)은, 터치 패널(10a)로의 터치 조작을 검출하면, 터치 조작의 조작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 데이터를 취득하고, 이 터치 조작에 의해 입력된 내용을 특정하여, 터치 조작에 의한 입력 내용을 웹 브라우저(102)에 출력한다. 웹 브라우저(102)는, 오퍼레이팅 시스템(101)으로부터 입력된 터치 조작의 입력 내용에 근거하여 회계 처리용의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 데이터를 POS 서버(117)에 송신하여, POS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72)에 의해 상기 데이터에 근거하는 처리를 실행시킨다. 웹 브라우저(102)는, POS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72)의 실행 결과를 POS 서버(117)로부터 수신하여, 수신한 데이터를 반영한 표시 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프린터(118)에 접속된 바코드 스캐너(12)가 바코드를 판독하거나, 혹은, 카드 판독기(13)가 자기 카드를 판독하여 데이터가 프린터(118)에 입력되면, 입력 데이터가 프린터(118)로부터 태블릿 단말(110)에 입력된다. 이 데이터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데이터를 입력한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부가되어 있다. 오퍼레이팅 시스템(101)은, 프린터(118)로부터 입력된 입력 데이터와 식별 정보를 취득하여, 웹 브라우저(102)에 출력한다.
웹 브라우저(102)는, 오퍼레이팅 시스템(101)으로부터 입력된 입력 데이터를, 식별 정보와 함께 오퍼레이팅 시스템(101)의 기능에 의해 POS 서버(117)에 송신한다.
POS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72)은, 태블릿 단말(110)로부터 송신된 입력 데이터에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가 부여되어 있는 경우, 이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입력 데이터를 입력한 디바이스의 종류를 특정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POS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72)은, 태블릿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입력 데이터가 바코드 스캐너(12)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인 경우, 이 입력 데이터를, 고객이 구입하는 상품을 특정하는 상품 코드의 데이터로서 처리한다. 또한, 태블릿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입력 데이터가 카드 판독기(13)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인 경우, 이 데이터가, 고객의 회원 카드로부터 판독한 회원 번호의 데이터인지, 고객이 결제에 사용하는 크레디트 카드의 데이터인지를 판별한다. 회원 번호의 데이터와 크레디트 카드의 데이터는, 데이터의 자리수, 데이터의 선두 부분의 값이 특정의 값, POS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72)에 의한 회계 처리 상태 등에 근거하여 판별할 수 있다. POS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72)은, 판별 결과에 근거하여, 태블릿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입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회계 처리를 행한다.
프린터(118)는, 프린터측 제어부(120)가 실행하는 오퍼레이팅 시스템(113)에 부가하여, 디바이스 드라이버 실행부(20f)(도 5)에 의해 실행되는 HID 클래스 드라이버(111)와, 필터 드라이버 실행부(20g)에 의해 실행되는 필터 드라이버(112)를 가진다. 또한, 프린터측 제어부(120)는, 필터 드라이버(112)에 의해 데이터를 취득하는 훅 데이터 요구 애플리케이션(114)을 실행한다.
HID 클래스 드라이버(111)는, USB 인터페이스(25a)에 접속된 디바이스 중 HID 클래스에 속하는 디바이스를 제어하여, 이들 디바이스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데이터를, 오퍼레이팅 시스템(113)에 출력한다. HID 클래스 드라이버(111)는, 제어 대상의 디바이스의 종류를 HID 디바이스로서 인식하여, HID 디바이스에 공통되는 기능에 대해 제어한다. 즉, HID 클래스 드라이버(111)는, USB 인터페이스(25a)를 거쳐서 제어 대상의 디바이스에 대해서 일정 시간마다 폴링(polling)을 행하여, 제어 대상의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 송신 요구가 이루어졌을 경우에 데이터 송신을 허가하여, 그 디바이스로부터 출력되는 입력 데이터를 취득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HID 클래스 드라이버(111)에 의해 바코드 스캐너(12) 및 카드 판독기(13)가 제어된다. 바코드 스캐너(12)가 판독한 바코드의 데이터, 및 카드 판독기(13)가 카드의 자기 정보를 판독한 판독 데이터는, 모두 HID 디바이스로부터의 입력 데이터로서, 오퍼레이팅 시스템(113)의 입력 인터페이스에 대해서 출력된다. 이 입력 데이터는, 오퍼레이팅 시스템(113)에 의해, 예를 들면 프린터(118)의 기능에 관한 입력 데이터로서 처리된다.
여기서, HID 클래스 드라이버(111)는, HID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가 입력되었을 경우에, 데이터를 입력한 HID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입력 데이터와 함께 오퍼레이팅 시스템(113)에 출력한다. 이 식별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HID 클래스 드라이버(111)가 오퍼레이팅 시스템(113)에 입력 데이터와 식별 정보를 출력하는 경우, 필터 드라이버(112)를 경유한다.
필터 드라이버(112)는, HID 클래스 드라이버(111)가 오퍼레이팅 시스템(113)에 출력하는 데이터를 감시하여, 미리 지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입력 데이터를 취득하는 기능을 가진다. 상기와 같이 HID 클래스 드라이버(111)가 오퍼레이팅 시스템(113)에 출력하는 데이터는 필터 드라이버(112)를 경유하므로, 필터 드라이버(112)는, HID 클래스 드라이버(111)가 출력하는 데이터의 모두, 혹은, 적어도 HID 디바이스로부터의 입력 데이터를 취득하여, 데이터에 첨부되어 있는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가 지정된 조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필터 드라이버(112)는, 지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가 첨부된 데이터를 훅 데이터 요구 애플리케이션(114)에 출력한다.
훅 데이터 요구 애플리케이션(114)은, 필터 드라이버(112)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데이터를 취득하여, 취득한 입력 데이터에 첨부되어 있는 식별 정보와 함께, 태블릿 단말(110)에 송신한다. 이 입력 데이터와 식별 정보는, 태블릿 단말(110)의 오퍼레이팅 시스템(101)에 의해 수신되어, 웹 브라우저(102)가 실행하는 스크립트에 의해 회계 처리에 제공된다.
또한, 필터 드라이버(112)는, HID 클래스 드라이버(111)가 출력한 입력 데이터가 지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데이터인 경우, 이 입력 데이터의 오퍼레이팅 시스템(113)으로의 출력을 정지시킨다. 이에 의해, 바코드 스캐너(12)나 카드 판독기(13)에 의해 입력된 거래 정보인 상품의 바코드나 자기 카드의 판독 데이터가, 다른 용도의 데이터로서 처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프린터(118)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로서, 특히, 바코드 스캐너(12) 및 카드 판독기(13)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경우의 동작을 나타낸다. 도 7 중, (a)는 HID 클래스 드라이버(111)를 실행하는 디바이스 드라이버 실행부(20f)의 동작을 나타내고, (a)는 필터 드라이버(112)를 실행하는 필터 드라이버 실행부(20g)의 동작을 나타내고, (a)는 훅 데이터 요구 애플리케이션(114)을 실행하는 프린터측 제어부(120)의 동작을 나타낸다.
이 도 7에 나타내는 동작에 앞서, 필터 드라이버(112)가 HID 클래스 드라이버(111)의 출력 데이터를 훅하는 조건인 필터링 조건이, 태블릿 단말(110)에 의해 지정된다. 구체적으로는, POS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72)의 기능에 의해 필터링 조건이 지정되어, 이 필터링 조건이 웹 브라우저(102)로부터 훅 데이터 요구 애플리케이션(114)에 대해서 지정된다.
훅 데이터 요구 애플리케이션(114)은, 필터 드라이버(112)에 대해서 필터링 조건을 지정하고(도 7(c)의 스텝 S11), 필터 드라이버(112)는 지정된 필터링 조건을 설정한다(도 7(b)의 스텝 S21). 필터링 조건은, 예를 들면, 프린터(118)에 접속되어 있는 입력 디바이스 중, POS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거래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이다.
그 후, 바코드 스캐너(12) 또는 카드 판독기(13)에 의해 판독이 행해지고, USB 인터페이스(25a)가 판독 데이터를 취득하여 식별 정보와 함께 HID 클래스 드라이버(111)에 출력하면, HID 클래스 드라이버(111)는, 이 판독 데이터와 식별 정보를 취득한다(도 7(A)의 스텝 S31). HID 클래스 드라이버(111)는, 판독 데이터에 근거하여, HID 클래스의 디바이스의 입력 데이터를 생성하고(스텝 S32), 생성한 입력 데이터와 식별 정보를 오퍼레이팅 시스템(113)에 대해서 출력한다(스텝 S33).
여기서, 필터 드라이버(112)는, HID 클래스 드라이버(111)가 생성한 입력 데이터와 식별 정보를 검출하고(스텝 S22), 이 식별 정보를 스텝 S21에서 설정한 필터링 조건과 비교한다(스텝 S23). 필터 드라이버(112)는, 식별 정보가 필터링 조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스텝 S24), 필터링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에는(스텝 S24; Yes), 검출한 입력 데이터가 HID 클래스 드라이버(111)로부터 오퍼레이팅 시스템(113)으로의 입력 데이터의 출력을 정지시킨다(스텝 S25). 그 다음에, 필터 드라이버(112)는, HID 클래스 드라이버(111)로부터 취득한 입력 데이터와 식별 정보를 훅 데이터 요구 애플리케이션(114)에 출력한다(스텝 S26). 훅 데이터 요구 애플리케이션(114)은, 필터 드라이버(112)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데이터와 식별 정보를 취득하고(스텝 S12), 웹 브라우저(102)에 출력한다(스텝 S13).
또한, HID 클래스 드라이버(111)가 생성한 입력 데이터와 식별 정보가 필터링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스텝 S24; No), 그대로 본 처리를 종료한다. 이에 의해, 이 입력 데이터와 식별 정보는 오퍼레이팅 시스템(113)에 출력된다.
이 도 7에 나타내는 동작에 의해, 프린터(118)에 접속된 입력 디바이스 중, 거래 정보의 입력에 사용되는 입력 디바이스에 대해서는, 입력 데이터가 웹 브라우저(102)에 입력된다.
프린터(118)는, 디바이스 클래스마다의 범용의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갖고, 프린터(118)에 접속되어 있는 입력 디바이스를 디바이스 클래스에 의해 구별하지만, 그 이상의 각 디바이스의 종류를 구별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HID 클래스 드라이버(111)는, 거래 정보에 관한 입력 데이터이어도, 프린터(118)의 동작에 따른 설정 데이터 등의 프린터(118)가 처리해야 할 입력 데이터이어도, 마찬가지로 오퍼레이팅 시스템(113)에 출력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HID 클래스 드라이버(111)가 출력하는 데이터를 필터링하는 필터 드라이버(112)가, 지정된 필터링 조건에 근거하여 입력 데이터를 검출함으로써, 거래 정보에 관한 입력 데이터를 태블릿 단말(110)에 송신함과 아울러, 오퍼레이팅 시스템(113)으로의 출력을 정지시킨다. 이 때문에, 거래 정보에 관한 입력 데이터를 확실히 취득하여 POS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72)에 의해 처리할 수 있어, 거래 정보에 관한 데이터가 상정되어 있지 않은 처리에 제공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 구성을, 입력 디바이스마다의 전용의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이용하는 일 없이, 범용의 HID 클래스 드라이버(111)를 이용하여 실현하고 있으므로, 디바이스 드라이버의 관리의 수고를 경감할 수 있다.
태블릿 단말(110)은, 태블릿 단말(10)과 마찬가지로 도 3에 나타내는 화면(4a)을 터치 패널(10a)에 표시한다. 화면(4a)이 표시된 상태에서, 태블릿 단말(110)을 조작하는 사용자는, 카드 판독기(13)에 의해 회원 카드를 판독하고, 바코드 스캐너(12)에 의해 상품의 바코드를 판독하고, 소프트웨어 텐 키(43)의 조작에 의해 금액 등을 입력하여, 소프트웨어 텐 키(43)의 확정 키 등을 조작함으로써, 레지스터의 회계 처리 업무를 행한다. 태블릿 단말(110)은, 태블릿 단말(10)과 마찬가지로, POS 서버(117)로부터 다운로드한 웹 페이지의 스크립트의 기능에 의해, 카드 판독기(13)에 의해 고객의 회원 카드로부터 판독된 회원 번호를 나타내는 데이터, 바코드 스캐너(12)에 의해 판독된 상품의 바코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취득한다. 그리고, 태블릿 단말(110)은, 고객이 구입한 상품의 명칭, 상품의 단가, 및 상품의 수량을 일람 표시 에어리어(39)에 표시함과 아울러, 금액 입력 필드(40)의 소정의 란에, 구입 상품의 합계 금액을 표시한다.
그 후, 사용자에 의해, 소프트웨어 텐 키(43)를 거쳐서 회계해야 할 상품을 확정하는 취지의 조작이 행해진다. 이 조작에 따라, 태블릿 단말(110)은, 브라우저 실행부(26a)의 스크립트의 기능에 의해 고객이 지불해야 할 합계 금액을 산출하고, 합계 금액을 금액 입력 필드(40)의 적절한 란에 입력한다. 또한, 브라우저 실행부(26a)는, 사용자가 고객으로부터 대금을 수령하여 수령된 금액을 소프트웨어 텐 키(43)에 의해 입력하면, 거스름돈의 금액을 산출하여 금액 입력 필드(40)에 입력하여 표시한다. 그 다음에, 브라우저 실행부(26a)는, 영수증을 인쇄하기 위한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여, 프린터(118)에 송신한다. 프린터(118)의 프린터 드라이버 실행부(20a)는, 태블릿 단말(110)로부터 입력되는 인쇄 데이터에 따라, 프린터 유닛(21)을 제어하여, 영수증을 인쇄한다.
이와 같이, 제어 시스템(100)은, 태블릿 단말(110)이 POS 서버(117)로부터 웹 페이지를 다운로드하여, 화면(4a)을 표시함과 아울러 스크립트를 실행함으로써, Web 애플리케이션(35)의 기능을 이용하여 POS 시스템으로서 기능한다. 이 때문에, 태블릿 단말(110)에, 이른바 POS 애플리케이션이 실장되어 있을 필요가 없다. 이 구성에 의해, 각 태블릿 단말(110)이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의 동일성을 유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의 버전 업 시에, 각 태블릿 단말(110)에 대해서, 버전 업에 따른 작업을 행할 필요가 없어져서, 유지 보수성이 향상한다. 또한, 태블릿 단말(110)에 특별한 기능을 실장할 필요가 없고, 특별한 외부 부착된 기기를 접속할 필요도 없기 때문에, 적어도 브라우저가 인스톨된 범용품의 태블릿 단말(110)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어 시스템(100)은, 웹 브라우저(102)의 기능에 의해, 거래 정보를 처리하는 POS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72)을 동작시키는 태블릿 단말(110)과, 입력 디바이스로서 데이터를 출력하는 바코드 스캐너(12), 카드 판독기(13)와, 이들 입력 디바이스에 접속되어, 입력 디바이스로부터 입력된 데이터가 입력되는 시리얼 인터페이스(25b), USB 인터페이스(25a), 입력 디바이스의 출력에 근거하여 입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HID 클래스 드라이버(111)를 실행시킴과 아울러 입력 데이터와 입력 데이터에 대응하는 입력 디바이스를 특정하는 디바이스 정보를 취득하는 필터 드라이버(112)를 동작시키는 프린터측 제어부(120), 필터 드라이버(112)에서 취득된 데이터를 태블릿 단말(110)에 출력하는 프린터측 인터페이스(23), 인쇄를 실행하는 프린터 유닛(21), 및 태블릿 단말(110)과 통신하는 통신용 드라이버 실행부(20b)(통신부)를 갖고, 태블릿 단말(110)의 제어에 근거하여 프린터 유닛(21)에서 인쇄를 실행하는 프린터(118)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범용의 HID 클래스 드라이버(111)를 이용하여, 각 입력 디바이스가, 예를 들면 HID 클래스의 디바이스로서 동일하게 처리되는 경우에도, 각 입력 디바이스의 입력 데이터를, POS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72)이 입력 디바이스의 종류에 근거하여 처리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거래 정보에 따른 입력 데이터를 POS 시스템으로서 적절히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범용의 디바이스 드라이버인 HID 클래스 드라이버(111)를 이용함으로써, 디바이스 드라이버의 관리의 수고를 경감하여, 효율적으로 입력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태블릿 단말(110)은, POS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72)을 동작시키는 웹 페이지를 POS 서버(117)로부터 다운로드하여 실행해서, 다운로드한 웹 페이지에 근거하는 화면을 생성하는 웹 브라우저(102), 및 웹 브라우저(102)에 의해 생성된 화면을 표시하는 터치 패널(10a)을 구비하므로, 태블릿 단말(110)이 POS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단독으로 직접 실행하는 환경이 없어도, 웹 브라우저(102)에 의해 웹 페이지를 처리함으로써, 제어 시스템(100)을 POS 시스템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프린터(118)가 구비하는 입력 디바이스의 적어도 일부, 즉 바코드 스캐너(12) 및 카드 판독기(13)가 출력하는 데이터는 거래 정보 또는 거래 정보에 따른 데이터이며, 태블릿 단말(110)은, 입력 디바이스의 출력에 근거하여 생성된 입력 데이터와, 이 입력 데이터를 입력한 입력 디바이스의 종류에 근거하여, POS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72)에 의해 거래 정보를 처리한다. 이 때문에, 복수의 상이한 종류의 입력 디바이스에 의해 거래 정보를 입력하여, POS 시스템으로서 거래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필터 드라이버(112)는, POS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72)에 의해 지정된 필터링 조건에 해당하는 입력 데이터를 취득하므로, 태블릿 단말(110)이나 프린터(118)가 필터 드라이버(112)를 관리하는 기능을 가질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범용의 단말을 태블릿 단말(110)로 할 수 있다. 또한, 거래 정보의 입력에 사용하는 입력 디바이스를 변경하는 경우, POS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72)에 의해 필터링 조건을 변경하면 좋고, 태블릿 단말(110)이나 프린터(118)의 소프트웨어를 변경할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입력 디바이스에 대응한 소프트웨어의 관리가 보다 한층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각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한 종류를 나타내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임의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바코드 스캐너(12), 및 카드 판독기(13)를 예로 하여, 이들 입력 디바이스를 식별할 때의 동작이나, 입력 디바이스의 종류에 근거하는 동작을 설명했지만, 입력 디바이스의 종류는 이들 기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은, 기록 장치에 입력 디바이스가 접속되어 있고 입력 디바이스를 식별할 필요가 있는 시스템에 대해, 넓게 적용 가능하다.
또한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식별 정보를 부가하는 기능을, 프린터 유닛(21)이 갖고 있었지만, 상기 기능이 실장되는 대상은 프린터 유닛(21)에 한정하지 않고, 프린터(11)에 있어서의 임의의 소프트웨어, 회로에 실장 가능하다. 또한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본원 발명에 따른 제어 시스템(1)이, POS 시스템에 적용되었을 경우를 예로 했지만, 본원 발명의 적용 대상은 POS 시스템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예를 들면, 도 2, 도 5에 나타내는 각 기능 블록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협동에 의해 임의로 실현 가능하고, 특정의 하드웨어 구성을 시사하고 있지 않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각 기기의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하드웨어는, 도 5 및 도 6의 기재 및 상기 실시 형태의 설명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각 기기는, 외부 접속되는 기억 매체에 기억시킨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도 4, 도 7의 플로우차트에 따른 동작을 포함하는 각종 동작을 실행하도록 해도 좋다.

Claims (15)

  1. 입력 정보를 판독하여 출력하는 입력 디바이스와,
    상기 입력 디바이스에 접속되어, 상기 입력 정보가 입력되었을 경우에, 상기 입력 정보를 출력한 입력 디바이스를 식별하고, 상기 입력 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출력하는 기록 장치와,
    상기 기록 장치에 접속되어, 상기 기록 장치가 출력한 상기 데이터를 취득하는 정보 처리 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거쳐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와 접속되는 서버를 갖고,
    상기 기록 장치는, 상기 데이터에, 상기 입력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부가하여,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 출력하고,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기록 장치가 출력한 상기 식별 정보가 부가된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입력 디바이스를 식별하고, 상기 데이터에 대해서 상기 입력 디바이스에 대응한 처리를 실행하는 제어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데이터에 근거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며,
    상기 서버에 액세스하여, 상기 데이터에 근거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용 파일을 취득하고,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상기 표시용 파일에 근거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식별 정보에 근거하는 상기 입력 디바이스의 식별, 및 상기 입력 디바이스에 대응한 처리의 실행을, 상기 표시용 파일에 실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하는 제어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디바이스는, 바코드 스캐너, 혹은 카드 판독기인 제어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데이터를 처리하는 POS 애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키고,
    상기 기록 장치는, 상기 입력 디바이스와 접속하여 상기 입력 정보가 입력되는 입력부, 상기 입력 정보에 근거하는 데이터를 생성하는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실행시킴과 아울러 상기 데이터를 출력한 입력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필터 드라이버를 동작시켜 취득한 상기 식별 정보를 상기 데이터에 부가하는 제어부, 상기 식별 정보가 부가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인쇄를 실행하는 인쇄부를 갖고,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에 근거하여 상기 인쇄부에서 인쇄를 실행하는 제어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디바이스에 의해 출력되는 상기 입력 정보는 거래 정보이며,
    상기 POS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거래 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처리하는 제어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드라이버는, 상기 디바이스 드라이버로 상기 데이터가 생성된 후, 상기 POS 애플리케이션으로 지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취득하는 제어 시스템.
  8. 입력 디바이스에서 입력 정보를 판독하여 출력하고,
    상기 입력 디바이스에 접속된 기록 장치에서, 상기 입력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입력 정보를 입력했을 경우에, 상기 입력 정보를 출력한 상기 입력 디바이스를 식별하고, 상기 입력 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기록 장치에 접속된 정보 처리 장치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장치는, 식별한 상기 입력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상기 데이터에 부가하여 정보 처리 장치로 출력하고,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식별 정보가 부가된 데이터에 포함되는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입력 디바이스를 식별하고,
    상기 데이터에 대해, 상기 입력 디바이스에 대응한 처리를 실행하는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디바이스에서 판독되는 상기 입력 정보는 거래 정보이며,
    상기 기록 장치는, 상기 거래 정보에 근거하여 생성된 데이터를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 출력하고,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POS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거래 정보에 근거하여 생성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POS 애플리케이션으로 처리된 데이터를 상기 기록 장치로 출력하고,
    상기 기록 장치는, 상기 POS 애플리케이션으로 처리된 데이터를 인쇄하는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
  12. 입력 정보가 입력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 정보에 근거하는 데이터를 생성함과 아울러, 상기 입력 정보를 출력한 상기 입력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제어부와,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식별된 상기 입력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를 상기 데이터에 부가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식별 정보가 부가된 데이터를 송신하는 기록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정보에 근거하는 데이터를 생성하는 디바이스 드라이버 및 상기 입력 디바이스를 식별하여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필터 드라이버를 동작시키는 기록 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는 인쇄부를 구비하는 기록 장치.
KR1020147027796A 2012-03-05 2013-03-01 제어 시스템,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기록 장치 KR1016430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48496A JP5935400B2 (ja) 2012-03-05 2012-03-05 制御システム、制御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プリンター
JPJP-P-2012-048496 2012-03-05
JP2012129446A JP6003252B2 (ja) 2012-06-07 2012-06-07 Posシステム、pos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印刷装置
JPJP-P-2012-129446 2012-06-07
PCT/JP2013/001284 WO2013132809A1 (ja) 2012-03-05 2013-03-01 制御システム、制御システムの制御方法、および、記録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1631A true KR20140141631A (ko) 2014-12-10
KR101643074B1 KR101643074B1 (ko) 2016-08-10

Family

ID=49116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7796A KR101643074B1 (ko) 2012-03-05 2013-03-01 제어 시스템,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기록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342264B2 (ko)
EP (1) EP2796295A4 (ko)
KR (1) KR101643074B1 (ko)
CN (1) CN104144793B (ko)
IN (1) IN2014DN05813A (ko)
RU (1) RU2598820C2 (ko)
WO (1) WO20131328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05178B (zh) * 2012-03-23 2015-10-21 Seiko Epson Corp Printing systems and printers
AU2013204965B2 (en) 2012-11-12 2016-07-28 C2 Systems Limited A system, method, computer program and data signal for the registration, monitoring and control of machines and devices
JP6237110B2 (ja) * 2013-10-22 2017-11-2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リンター、印刷システム及びプリンターの制御方法
PL3066612T3 (pl) 2013-11-07 2019-06-28 Scantrust Sa Dwuwymiarowy kod kreskowy oraz sposób uwierzytelniania takiego kodu kreskowego
WO2015087547A1 (ja) * 2013-12-13 2015-06-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情報生成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JP6446812B2 (ja) * 2014-03-31 2019-01-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Posシステム及びposシステムの制御方法
KR20150113815A (ko) * 2014-03-31 2015-10-08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os 시스템 및 pos 시스템의 제어 방법
JP6326924B2 (ja) * 2014-04-08 2018-05-2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Posシステムおよびpos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6572884B2 (ja) * 2014-04-04 2019-09-1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Posシステム及びpos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6331608B2 (ja) * 2014-04-07 2018-05-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Posシステム、及び、印刷制御装置
ES2551278B1 (es) * 2014-05-16 2016-08-24 Chapp Solutions S.L.U. Kiosco de autoservicio
JP6540195B2 (ja) * 2014-08-05 2019-07-1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会計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US10438177B2 (en) * 2015-06-15 2019-10-08 Worldpay, Llc System and method for third party payment at point of sale terminals
CN108352852B (zh) * 2015-10-26 2021-01-29 株式会社村田制作所 开关模块
CN106781117B (zh) * 2015-11-24 2020-10-02 富士电机株式会社 Pos收银系统和pos收银系统的自动找钱机控制方法
US10193940B2 (en) * 2017-02-07 2019-01-2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dding recorded content to an interactive timeline of a teleconference session
JP7172244B2 (ja) 2018-07-26 2022-11-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及び印刷装置の制御方法
JP7047673B2 (ja) * 2018-08-30 2022-04-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印刷装置の制御方法、及び、制御システム
CN110532210B (zh) * 2019-08-07 2021-10-22 北京数衍科技有限公司 安全获取操作系统任意输出设备数据的桥接方法
US11269564B1 (en) 2020-09-03 2022-03-08 Xerox Corporation Processing-independent tablet interface for printing devic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99633A (ja) * 2007-05-31 2008-12-11 Oki Electric Ind Co Ltd Posレジスタシステム、買物カートシステムおよびposレジスタ運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3769A (ja) 1991-09-11 1993-03-26 Nec Eng Ltd Posシステム
JPH0573869A (ja) 1991-09-13 1993-03-26 Mitsubishi Electric Corp 回転ドラム装置
US6813650B1 (en) 1999-10-26 2004-11-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ultimode non-standard universal serial bus computer input device
US20040177004A1 (en) * 2002-03-29 2004-09-09 Mueller Raymond J. Digital advertisement board in communication with point-of-sale terminals
DE60308098T2 (de) * 2002-06-10 2007-02-01 Seiko Epson Corp. POS-System, Netzwerk-System, Verfahren zum Erzeugen von Druckdaten für ein POS-System, und Verfahren zum Verwalten von Verkaufs- und Werbeinformationen in einem Netzwerk-System
JP2004110205A (ja) 2002-09-13 2004-04-08 Canon Inc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及びそれを実施するプログラムを情報処理装置読み出し可能に記憶した記憶媒体及びそのプログラム
US20070005685A1 (en) * 2002-09-16 2007-01-04 Wunchun Chau Browser-based payment system
JP2004164195A (ja) 2002-11-12 2004-06-10 Seiko Epson Corp Posシステムおよびその会計処理方法
JP2005084759A (ja) 2003-09-04 2005-03-31 World:Kk Pos端末装置、pos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05242517A (ja) 2004-02-25 2005-09-08 Toshiba Tec Corp 商品販売データ処理装置
JP2006185399A (ja) 2004-12-28 2006-07-13 Canon Software Inc 印刷システムおよび印刷指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6287413A (ja) 2005-03-31 2006-10-19 Ricoh Co Ltd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WO2007026531A1 (ja) 2005-08-30 2007-03-08 Seiko Epson Corporation Pos端末装置及びpos周辺機器の駆動方法
JP4635800B2 (ja) 2005-09-22 2011-02-2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画像形成方法、画像形成装置、及びセンタサーバ
US20080114678A1 (en) 2006-11-15 2008-05-15 David Lawrence Bennett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 authorization
US20080182639A1 (en) * 2007-01-30 2008-07-31 Konstantinos Antonopoulos Lottery terminal
JP2009093290A (ja) 2007-10-04 2009-04-30 Toshiba Tec Corp 商品販売処理装置
JP2009217699A (ja) 2008-03-12 2009-09-24 Seiko Epson Corp フィルタドライバ及びフィルタドライバの制御方法
JP2010262414A (ja) 2009-04-30 2010-11-18 Teraoka Seiko Co Ltd 印刷システム
JP4908553B2 (ja) * 2009-07-09 2012-04-04 東芝テック株式会社 商品販売システム、ハンディ端末およ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US20110231272A1 (en) * 2010-03-16 2011-09-22 App Masters Llc Retail mobile point-of-sale (POS) software application and retail middleware software application
CA2707929A1 (en) * 2010-06-15 2011-12-15 Faizal Haji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electronic receipts from print data
JP2012014426A (ja) 2010-06-30 2012-01-19 Optoelectronics Co Ltd データ送信方法及びデータ送信システム
JP5464094B2 (ja) * 2010-07-30 2014-04-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中継装置、中継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クーポン発行システムの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99633A (ja) * 2007-05-31 2008-12-11 Oki Electric Ind Co Ltd Posレジスタシステム、買物カートシステムおよびposレジスタ運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96295A4 (en) 2015-08-12
RU2014140163A (ru) 2016-04-20
WO2013132809A1 (ja) 2013-09-12
CN104144793A (zh) 2014-11-12
IN2014DN05813A (ko) 2015-05-15
RU2598820C2 (ru) 2016-09-27
EP2796295A1 (en) 2014-10-29
KR101643074B1 (ko) 2016-08-10
US9342264B2 (en) 2016-05-17
CN104144793B (zh) 2017-08-15
US20150002896A1 (en) 2015-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3074B1 (ko) 제어 시스템,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기록 장치
RU2550527C2 (ru) Устройство обработки данных, система pos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системой pos
JP5935400B2 (ja) 制御システム、制御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プリンター
JP6149864B2 (ja) 制御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装置
KR20130101468A (ko) Pos 시스템, 제어 시스템, 및 제어 시스템의 제어 방법
US10521783B2 (en) POS terminal, POS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a POS terminal
JP2013250602A (ja) 端末装置、端末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686881B2 (en) Transmission system, transmission device, and data transmission method
US9852413B2 (en) POS system and printing device
CN104952163A (zh) Pos系统以及pos系统的控制方法
JP6003252B2 (ja) Posシステム、pos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印刷装置
JP6172333B2 (ja) 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
JP5983097B2 (ja) データ処理装置、posシステム、及びpos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6331608B2 (ja) Posシステム、及び、印刷制御装置
EP2866213B1 (en) Display system.
JP7124161B2 (ja) チェックアウトシステム、登録装置、決済装置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JP7189379B2 (ja) 情報端末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13250844A (ja) 端末装置、及び、posシステム
JP6402982B2 (ja) 記録装置、制御システム、及び、記録装置の情報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