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1527A - 이식기 - Google Patents

이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1527A
KR20140141527A KR20140066366A KR20140066366A KR20140141527A KR 20140141527 A KR20140141527 A KR 20140141527A KR 20140066366 A KR20140066366 A KR 20140066366A KR 20140066366 A KR20140066366 A KR 20140066366A KR 20140141527 A KR20140141527 A KR 201401415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seedling
arm
shaft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66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4088B1 (ko
Inventor
마사미 무라나미
요시히코 오쿠보
노부히로 야마네
코타 아즈마
아키오 타사키
Original Assignee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3115398A external-priority patent/JP583182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3138875A external-priority patent/JP593921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3273661A external-priority patent/JP593924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4037067A external-priority patent/JP6197693B2/ja
Application filed by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41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15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4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40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01C11/025Transplanting machines using seedling trays; Devices for removing the seedlings from the tray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Abstract

(과제) 트레이 이송 정밀도를 확보하는 것에 의한 안정된 이식물의 인출을 가능하게 하는 트레이 공급장치를 구비하는 이식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육묘 포트(21)를 구비하는 트레이(20)를 일정 피치로 이송하는 트레이 공급장치(100)와, 이 트레이 공급장치(100)로부터 이식물을 인출하는 인출장치(200)와, 이 인출장치(200)로부터 받은 이식물을 포장에 이식하는 식부장치를 구비한 이식기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공급장치(100)에는 상기 트레이(20)의 이면측에 형성되어 있는 육묘 포트(21)간의 간극(21b)에 상기 트레이(20)의 이면측에서 들어가서 소정 위치까지 이송 동작해서 상기 간극(21b)으로부터 빠지고, 이송 상측에 인접하는 육묘 포트(21)간의 간극(21b)에 들어가서 이송 동작하는 트레이 종이송 장치(12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기로 한다.

Description

이식기{TRANSPLANTER}
본 발명은 육묘 포트를 구비하는 트레이로부터 이식물을 자동적으로 인출하여 이식하는 이식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도 7,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육묘 포트를 구비하는 트레이의 모종을 자동적으로 식부하는 모종 공급장치를 구비한 모종 이식기가 알려져 있다. 이 모종 공급장치는 육묘 포트를 구비하는 트레이를 실은 모종 적재대를 모종 트레이 이동장치에 의해 일정 피치로 기체 폭 방향으로 횡이송하면서 모종 인출장치에 의해 인출된 이식 포기를 모종 식부구에 순차적으로 반송 투입하고, 또한 모종 적재대에는 트레이 저면측의 포트간 홈부에 맞물릴 수 있는 주회(周回) 체인을 구비하고, 횡이송한 측단 위치에서 트레이를 종이송해서 인접 위치의 포트열의 식부로 이행할 수 있다.
일본 특허 공개 2009-261278호 공보
그러나, 상기 주회 체인에 의한 종이송량의 오차와 박육 플라스틱제의 트레이의 치수 오차 등에 의해, 모종 인출장치에 의한 인출의 혼란을 초래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트레이 이송 정밀도를 확보하는 것에 의한 안정된 이식물의 인출을 가능하게 하는 트레이 공급장치를 구비하는 이식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청구항 1에 의한 발명은, 육묘 포트(21)를 구비하는 트레이(20)를 일정 피치로 보내는 트레이 공급장치(100)와, 이 트레이 공급장치(100)로부터 이식물(22)을 인출하는 인출장치(200)와, 이 인출장치(200)로부터 받은 이식물(22)을 포장에 식부하는 식부장치(7)를 구비한 이식기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공급장치(100)에는 상기 트레이(20)의 이면측에 형성되어 있는 육묘 포트(21)간의 간극(21b)에 상기 트레이(20)의 이면측으로부터 들어가서 소정 위치까지 이송 동작해서 상기 간극(21b)으로부터 빠지고, 이송 위쪽에 인접하는 육묘 포트(21)간의 간극(21b)에 들어가서 이송 동작하는 트레이 종이송 장치(12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기로 한다.
청구항 2에 의한 발명은, 상기 트레이 종이송 장치(120)는 상기 간극(21b)에 들어가는 트레이 이송구(121)와, 이 트레이 이송구(121)를 회동 지점축을 통해서 연결하는 이송 암(140)과, 그 트레이 이송구(121)를 상기 회동 지점축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는 이송 로드 암(130)을 구비하고, 이들 이송 암(140)과 이송 로드 암(130)의 각각을 종동 캠으로 하고, 그 종동 캠을 공통의 구동 캠에 의해 각각 소정의 타이밍에서 작동시키는 캠 기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이식기로 한다.
청구항 3에 의한 발명은, 상기 트레이 이송구(121)를 상기 회동 지점축을 중심으로 상기 육묘 포트(21)간의 간극(21b)에 진입하는 측으로 바이어싱하는 진입용의 바이어싱구(161)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이식기로 한다.
청구항 4에 의한 발명은, 상기 인출장치(200)는 상기 트레이 종이송 장치(120)가 들어가 있는 육묘 포트(21)간의 간극(21b)에 인접하는 육묘 포트(21) 내의 이식물(22)을 인출하여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서 청구항 3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이식기로 한다.
청구항 5에 의한 발명은, 상기 이송 암(140)을 트레이 이송구(121)의 이송 동작 방향으로 바이어싱하는 이송용의 바이어싱구(16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기재된 이식기로 한다.
청구항 6에 의한 발명은, 상기 트레이 공급장치(100)는 상기 트레이(20)를 트레이 반송로(111)를 따라 세로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보내는 트레이 종이송 장치(120)와, 상기 트레이 반송로(111)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트레이 반송로 이동장치(170)를 갖고, 상기 트레이 반송로 이동장치(170)는 상기 트레이 반송로(111)의 이면측에 설치되고 상기 트레이 반송로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리드 캠축(171)과, 상기 리드 캠축(171)보다 상방에 설치되고 상기 트레이 반송로(111)의 상기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 레일(155)을 갖고, 상기 트레이 반송로(111)는 상기 리드 캠축(171)과 상기 안내 레일(155)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서 청구항 3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이식기로 한다.
청구항 7에 의한 발명은, 상기 트레이 이송구(121)가 상기 이송 동작 방향으로 이동한 후, 상기 육묘 포트(21)간의 간극(21b)으로부터 빠져 나가기까지의 동안에 있어서 일시적으로 상기 트레이 이송구(121)를 유지하여 상기 트레이(20)가 움직이는 것을 규제하는 이송 규제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서 청구항 3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이식기로 한다.
청구항 8에 의한 발명은, 상기 트레이 공급장치는 상기 트레이(20)를 가로 방향으로 보내는 트레이 반송로 이동장치(170)와, 상기 트레이 반송로 이동장치(170)에 의한 상기 트레이의 이송량을 바꾸는 이송량 스위칭 장치(510)를 갖고, 상기 이송량 스위칭 장치(510)는 엔진(12)으로부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기어(511)에 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스위칭 전동 샤프트(520)와, 상기 스위칭 전동 샤프트(520)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된 전동비가 다른 2세트의 스위칭 기어와, 상기 스위칭 전동 샤프트(520)를 상기 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회동 가능하게 부착된 슬라이드 레버(540)와, 상기 슬라이드 레버(540)에 대하여 상기 회동을 촉진시키는 방향으로 바이어싱 포오스를 부여하는 스프링 부재(545)를 갖고, 상기 슬라이드 레버(540)가 하향 위치로 되는 한쪽의 위치로부터 상향 위치로 되는 다른쪽의 위치로 회동되었을 때, 상기 스위칭 전동 샤프트(520)가 상기 바이어싱 포오스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이동함과 아울러 상기 구동 기어(511)와 상기 2세트의 스위칭 기어 중 한쪽의 스위칭 기어(512a)가 연결되고, 또한 상기 슬라이드 레버(540)가 상기 다른쪽의 위치로부터 상기 한쪽의 위치로 회동되었을 때에 상기 스위칭 전동 샤프트(520)가 상기 바이어싱 포오스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이동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함과 아울러 상기 구동 기어(511)와 상기 2세트의 스위칭 기어 중 한쪽의 스위칭 기어(512b)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서 청구항 3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이식기로 한다.
청구항 9에 의한 발명은, 상기 트레이 공급장치(100)는 상기 트레이 종이송 장치(120)의 작동에 연동하여 상기 트레이(20)의 상기 세로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압박력을 변경하는 트레이 누름 장치(92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서 청구항 3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이식기로 한다.
(발명의 효과)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해, 인출장치(200)가 트레이 공급장치(100)로부터 이식물을 인출하여 식부장치(7)에 순차적으로 전달함으로써 이식 포기의 식부를 행하고, 이 때, 트레이 공급장치(100)의 트레이 종이송 장치(120)가 트레이(20)의 이면의 육묘 포트(21)간의 간극(21b)에 들어가서 소정의 위치까지 이송 동작하기 때문에, 포트 단위의 트레이 이송에 의해 이송 정밀도가 확보되어 인출장치(200)에 의해 이식물을 인출하고, 확실하게 식부장치(7)에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트레이 종이송 장치(120)를 간결하고 또한 콤팩트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의한 발명에 의해, 청구항 1의 효과에 추가하여 이송 암(140)과 이송 로드 암(130)의 각각을 종동 캠으로 하고, 그 종동 캠을 공통의 구동 캠에 의해 각각 소정의 타이밍에서 작동시키는 간이한 캠 기구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트레이 이송구(121)를 육묘 포트(21)간의 간극(21b)에 넣을 수 있음과 아울러 트레이 이송구(121)를 이송 동작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육묘 포트(21)의 위치를 기준으로 트레이(20)를 이동할 수 있으며, 이어서 트레이 이송구(121)를 동작시켜서 다음의 육묘 포트(21)간의 간극(21b)에 넣어서 이송 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의한 발명에 의해, 청구항 2의 효과에 추가하여 트레이 이송구(121)는 상기 캠 기구의 작용시를 제외하고, 진입용의 바이어싱구(161)에 의해 육묘 포트(21)간의 간극(21b)에 진입 유지되기 때문에 트레이(20)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의한 발명에 의해, 청구항 1에서 청구항 3 중 어느 1항의 효과에 추가하여 인출 대상이 되는 육묘 포트(21)가 트레이 종이송 장치(120)에 의해 구속된 상태에서 인출장치(200)에 의한 인출 동작이 행하여지기 때문에, 위치 어긋남이 억제되어서 이식물의 확실한 인출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5에 의한 발명에 의해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의 효과에 추가하여, 상기 캠 기구의 작용시를 제외하고 이송용의 바이어싱구(160)에 의해 이송 동작하기 때문에, 고정밀도이고 또한 안정된 위치 결정이 가능해지므로 인출장치(200)에 의한 적정한 인출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6에 의한 발명에 의해 청구항 1에서 청구항 3 중 어느 1항의 효과에 추가하여, 트레이 종이송 장치(120)를 콤팩트한 구조로 할 수 있다. 또한, 간단한 구조로 트레이 반송로 이동장치(170)를 좌우 이동할 수 있게 지지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의한 발명에 의해 청구항 1에서 청구항 3 중 어느 1항의 효과에 추가하여, 인출장치(200)가 트레이(20)부터 이식물(22)을 인출할 때에 트레이(20)가 하방으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인출 정밀도가 향상된다.
청구항 8에 의한 발명에 의해 청구항 1에서 청구항 3 중 어느 1항의 효과에 추가하여, 스위칭 전동 샤프트(520) 자체를 축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구성이므로 구조가 간단해진다. 또한, 스프링 부재(545)에 의해 슬라이드 레버(540)는 상향 위치와 하향 위치로 조작되는 구성이므로 어느 때라도 장치의 컴팩트화를 꾀할 수 있다.
청구항 9에 의한 발명에 의해 청구항 1에서 청구항 3 중 어느 1항의 효과에 추가하여, 트레이(20)의 세로 방향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종이송시에는 트레이 누름 장치(920)의 압박력을 약화시킴으로써 트레이(20)를 원활하게 종이송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 1의 모종 이식기의 좌측면도
도 2는 본 실시형태 1의 모종 이식기의 평면도
도 3은 본 실시형태 1의 모종 이식기에 있어서의 모종 식부장치와 모종 식부장치 구동기구의 좌측면도
도 4는 본 실시형태 1의 모종 이식기에 있어서의 모종 식부장치 구동기구의 개략 좌측면도
도 5는 본 실시형태 1의 모종 이식기에 있어서의 변속 레버의 사시도
도 6은 본 실시형태 1의 모종 이식기에 있어서의 미션 케이스의 변속 기어기구를 설명하는 개략 단면도
도 7의 (a)는 본 실시형태 1의 트레이 공급장치의 사시도, (b)는 도 7(a)의 X부의 확대 사시도
도 8은 본 실시형태 1의 트레이 종이송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
도 9는 본 실시형태 1의 인출장치의 개략 사시도
도 10은 본 실시형태 1의 인출장치의 개략 좌측면도
도 11은 본 실시형태 1의 인출장치에 있어서의 모종 구동 암의 회동의 위치와, 한쌍의 인출 클로의 선단부 궤적 상의 위치의 개략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12는 본 실시형태 1의 조작 핸들의 좌우 한쌍의 핸들 그립의 근방에 배치된 각종 조작 레버, 및 조작부를 설명하는 평면도
도 13은 본 실시형태 1의 식부 깊이 조정기구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좌측면도
도 14는 본 실시형태 1의 제어부에의 입출력을 설명하는 개략 블럭도
도 15는 본 실시형태 1의 엔진과 미션 케이스 사이에 유압 펌프를 배치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는 측면도
도 16의 (a)는 별도의 기체 제어기구의 개략 평면도, (b)는 별도의 기체 제어기구의 개략 측면도, (c)는 유압 로드 장치의 개략 확대 부분 측면도
도 17은 트레이 반송로에 설치된 트레이 가이드 앵글을 설명하는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의 제 2 모종 이식기의 평면도
도 19는 도 18 중에 나타낸 Q부의 제 2 기어기구에 있어서의 동력의 전달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 부분 단면도
도 20은 도 18 중에 나타낸 Q부의 확대 우측면도
도 21은 도 20의 슬라이드 레버를 R방향으로부터, 즉 주행차체의 후방측에서 보았을 때의 배면도
도 22는 본 실시형태 2의 트레이 누름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측면도
도 23은 본 실시형태 3의 제 3 기어기구에 있어서의 동력의 전달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 부분 단면도
도 24는 제 2 식부 클러치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 측면도
도 25의 (a)는 모종 이식기의 보닛의 사시도, (b)는 도 25(a)의 보닛을 H방향으로부터 본 사시도
이하,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이식기의 일실시형태의 모종 이식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1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모종 이식기의 측면도를 나타내고, 도 2에 평면도를 나타낸다.
야채 등의 모종을 이식하는 모종 이식기(1)는,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행차륜으로서의 좌우 한쌍의 전륜(2) 및 후륜(3)을 구비한 주행차체(15)와, 주행차체(15)의 전방부에 배치되고 보닛(109)으로 피복된 엔진(12) 및 미션 케이스(4)(주전동 케이스라고도 부른다)와, 주행차체(15)의 후방부에 배치된, 모종(22)(도 7 참조)을 포장에 식부하기 위한 식부구(11)를 상하 요동시키는 모종 식부장치(300)와, 그 모종(22)을 수용한 트레이(20)를 공급하는 트레이 공급장치(100)와, 그 트레이 공급장치(100)의 트레이(20)의 육묘 포트(21)로부터 모종(22)을 인출하여 식부구(11)에 공급하는 인출장치(200)와, 모종의 식부 깊이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센서판(710)을 포함하는 식부 깊이 조정기구(700)(도 13 참조)와, 진압륜(13), 조작 핸들(8), 및 조작 핸들(8)의 중앙부에 배치된 조작부(600) 등을 구비해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트레이 공급장치(100) 및 인출장치(200)에 대해서는, 도 7∼도 11을 이용하여 후술한다.
엔진(12)으로부터 출력되는 회전동력은 미션 케이스(4)에 의해 분기되어 좌우 한쌍의 주행 전동 케이스(9)를 통해서 좌우 한쌍의 후륜(3)에 전동됨과 아울러, 미션 케이스(4)의 후방측에 설치된 식부 전동장치(18)에도 전동되는 구성이다.
즉, 본 실시형태의 모종 이식기(1)에서는 육묘 포트(21)로부터 모종(22)을 인출하여 포장의 이랑부에 식부하기 위해, 미션 케이스(4)로부터의 동력이 식부 전동장치(18)에 전동되어서 체인 벨트(202)를 통해서 인출장치(200)에 전동됨과 아울러, 그 식부 전동장치(18)에 부착된 모종 식부장치 구동기구(400)를 통해서 식부구(11)에 전달된다.
또한, 미션 케이스(4)로부터 식부 전동장치(18)에 전동된 동력의 일부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이송 구동 체인 벨트(181)를 통해서 후술하는 종이송 구동축(151)에 전달된다. 종이송 구동시에 전달된 동력의 일부는 기어기구(182)를 통해서 후술하는 리드 캠축(171)에 전달된다. 이들 종이송 구동 체인 벨트(181)나 기어기구(182)는 모종 이송 전동 케이스(180)(도 2 참조)에 수납되어 있다.
또한, 모종 식부장치(300) 및 모종 식부장치 구동기구(400)에 대해서는 도 3∼도 4를 이용하여 후술한다.
또한, 미션 케이스(4)의 후단의 좌우 방향에 배치된 좌우 프레임(16)의 후방부에는 우측 근처의 위치로 연장되는 주 프레임(17)을 설치하고 있다. 상기 주 프레임(17)의 후단부에는 좌우단측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조작 핸들(8)을 설치하고, 이 조작 핸들(8)이 주 프레임(17) 및 좌우 프레임(16)을 통해서 미션 케이스(4)에 지지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작업자는 주행차체(15)의 후방을 걸으면서 조작 핸들(8)로 주행차체(15)의 조향 조작을 행할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모종 이식기(1)는 좌우 한쌍의 전륜(2, 2) 및 좌우 한쌍의 후륜(3, 3)에 의해 이랑(U)를 걸친 상태에서 주행차체(15)를 진행시키면서, 트레이(20)에 수용되어 있는 모종(22)을 이랑(U)의 상면에 자동적으로 식부할 수 있는 구성이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의 조작 핸들(8)의 근본부 좌측에는 식부 작업을 행할 때의 주행 속도의 스위칭, 및 주행 모드의 스위칭를 행하는 변속 레버(190)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의 변속 레버(190)는 본 발명의 주행 변속장치의 일례에 해당한다.
또한, 변속 레버(190)에 대해서는 도 5∼도 6을 이용하여 후술한다.
또한, 주행부에는 주행차체(15)에 대하여 좌우 한쌍의 후륜(3, 3)을 상하동시켜서 주행차체(15)의 자세 및 차고를 제어하는 기체 제어기구(500)가 설치되어 있다.
기체 제어기구(500)에는 좌우 한쌍의 후륜(3)의 주행 전동 케이스(9)와 주행차체(15) 사이에 있어서 후륜(3)의 오르내림에 의해 주행차체(15)를 승강시키는 유압 승강 실린더(10)와, 주행차체(15)를 좌우 경사시키는 수평용 유압실린더(14)가 설치되어 있고, 이 유압 승강 실린더(10)를 신축 작동시키면 좌우 한쌍의 후륜(3)이 같은 방향으로 동량만큼 주행차체(15)에 대하여 상하동하여 주행차체(15)가 승강한다.
또한, 유압 승강 실린더(10)는 미션 케이스(4)의 상부에 부착된 유압 스위칭 밸브부(40)(도 1 참조)에 고착해서 설치되고, 미션 케이스(4)에 부착된 유압 펌프로부터의 유압을 스위칭하는 유압 스위칭 밸브부(40)에 구비된 승강 조작 밸브(도시생략)를 조작함으로써 작동하는 구성이다.
또한, 승강 조작 밸브에는 후술하는 승강 조작 레버(81)(도 12 참조)가 케이블(82)을 통해서 연결됨과 아울러, 후술하는 카운터 암(760)(도 13 참조)이 로드(765)를 통해서 연결되어 있다.
또한, 미션 케이스(4)의 우측에는 진자식의 좌우 경사 센서(41)가 설치되어 있고, 이 좌우 경사 센서(41)의 검출에 의해 유압 스위칭 밸브부(40)에 구비된 수평 조작 밸브(도시생략)를 통해서 수평용 유압실린더(14)를 작동시키고, 좌측의 후륜(3)만을 상하동시켜서 이랑(U)의 곡부의 요철에 관계없이 주행차체(15)를 좌우 수평으로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기체 제어기구(500)가 본 발명의 승강기구의 일례에 해당하고, 본 실시형태의 승강 조작 레버(81)가 본 발명의 승강 조작구의 일례에 해당한다.
이어서, 도 3, 도 4를 이용하여 상술한 모종 식부장치(300), 및 모종 식부장치 구동기구(400)에 대해서 더욱 설명한다.
도 3은 모종 식부장치(300)와 모종 식부장치 구동기구(400)의 좌측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모종 식부장치 구동기구(400)의 개략 좌측면도이다.
모종 식부장치(300)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종(22)을 포장에 식부하는 식부구(11)와, 식부구(11)를 상하 방향으로 요동시키기 위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상부 암(311)과 하부 암(312)을 갖는 요동 링크기구(310)와, 하부 암(312)에 제 1 연결축(321)을 통해서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고, 요동 링크기구(310)를 상하동시키는 상하동 암(320)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연결축(321)은 상하동 암(320)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하동 암(320)을 회동시키기 위한 상하동 암 구동축(440)은 모종 식부장치 구동기구(400)로부터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고, 그 선단부에 상하동 암(320)이 고정되어 있다.
또한 모종 식부장치(300)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 암(312)에 제 2 연결축(341)을 통해서 회동 가능하게 부착됨과 아울러 식부구(11)를 개폐시키는 개폐 암(340)과, 제 1 연결축(321)에 고정됨과 아울러 제 2 연결축(341)을 중심으로 해서 개폐 암(340)의 선단부에 제 3 연결축(343)을 통해서 회동 가능하게 부착된 개폐 롤러(342)의 외주 가장자리부에 접촉하면서 회동함으로써 개폐 암(340)을 전후 방향으로 요동시키는 개폐 캠(322)과, 일단부(351)가 개폐 암(340)의 선단부의 제 3 연결축(343)에 연결되고 타단부(352)가 식부구(11)의 개폐기구(11a)측에 연결된 개폐용 연결 케이블(350)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상술한 요동 링크기구(310)에 대해서 더욱 설명한다.
즉, 요동 링크기구(310)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종 식부장치 구동기구(400)를 수납한 케이싱(401)의 전방측 상단부(401a)에, 상단이 상부 전방축(313a)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하단이 하부 전방축(314a)을 통해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 지지판(315)에 연결된 전방 요동 암(316a)과, 모종 식부장치 구동기구(400)를 수납한 케이싱(401)의 후방측 상단부(401b)에, 상단이 상부 후방축(313b)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하단이 하부 후방축(314b)을 통해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 지지판(315)에 연결된 후방 용동 암(316b)을 구비하고, 연결 지지판(315)에 설치된 상부 축(316)에 상술한 상부 암(311)의 전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또한 연결 지지판(315)의 하부 후방축(314b)에 상술한 하부 암(312)의 전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부 암(311) 및 하부 암(312)의 각각의 후단부가 식부구(11)의 지지판(317)에 설치한 회동 상축(317a)과 회동 하축(317b)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모종(22)이 본 발명의 이식물의 일례에 해당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모종 식부장치 구동기구(400)에 있어서 상하동 암 구동축(440)에 회전 구동력이 전동되면 상하동 암 구동축(440)에 고정되어 있는 상하동 암(320)이 화살표 A의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하부 암(312) 및 상부 암(311)이 상하로 요동을 바꿔치기 함과 아울러 전후로의 요동도 행해져서 식부구(11)에 의한 모종(22)의 식부 동작이 이랑(U)에 대하여 소정의 간격으로 자동적으로 행하여진다.
또한, 이 식부 동작시에 제 1 연결축(321)이 고정되어 있는 상하동 암(320)이 화살표 A의 방향으로 회동하면, 제 1 연결축(321)에 고정되어 있는 개폐 캠(322)이 개폐 롤러(342)의 외주 가장자리부에 접촉하면서 회동하므로, 개폐 암(340)이 제 2 연결축(341)을 중심으로 해서 전방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요동(회동)한다. 그 동작에 따라서 개폐용 연결 케이블(350)의 일단부(351)가 전방 방향으로 잡아 당겨지므로 개폐기구(11a)가 식부구(11)를 개방하기 위해 동작한다.
또한, 개폐 암(340)이 제 2 연결축(341)을 중심으로 하여 후방 방향(시계 방향)으로 요동(회동)하면, 개폐기구(11a)에 설치된 식부구(11)를 항상 폐쇄하는 방향으로 바이어싱하는 바이어싱 스프링(도시생략)의 작용에 의해 개폐용 연결 케이블(350)의 일단부(351)가 후방 방향으로 잡아 당겨지므로 개폐기구(11a)가 식부구(11)를 폐쇄하기 위해 동작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상하동 암(320)의 구동이 1축이기 때문에 구조가 심플함과 아울러, 상하동 암(320), 개폐 암(340), 및 개폐 캠(322)을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고, 식부 작동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이어서, 평면으로 볼 때에 모종 식부장치(300)보다 우측에 배치(도 2 참조)된 모종 식부장치 구동기구(400)에 있어서의 상하동 암 구동축(440)으로의 전동의 온오프를 행하는 클러치 기구에 대해서 주로 도 4를 이용하여 더욱 설명한다.
모종 식부장치 구동기구(400)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식부 전동장치(18)로부터 출력되는 식부 작업의 구동력을 식부 클러치(420)에 전동하기 위한 제 1 기어(410)와, 제 1 기어(410)로부터의 구동력을 받아서 상하동 암 구동축(440)으로의 전동을 「온」 상태로 할지 「오프」 상태로 할지를 스위칭하는 식부 클러치(420)와, 식부 클러치(420)가 「온」 상태일 때에 구동력이 전동되는, 식부 클러치(420)의 전동축(421)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는 전동 기어(421a)로부터 구동력을 받는 제 2 기어(430)와, 제 2 기어(430)와 동축에 고정된 소경 기어(430a)와 맞물려서 상하동 암 구동축(440)에 구동력을 전동하기 위한 상하동 암 구동축(440)에 고정된 제 3 기어(450)를 각각 회동 가능하게 배치하고 있다. 여기에서, 식부 클러치(420)의 전동축(421)은 식부 클러치(420)가 「오프」 상태일 때에는 회동하지 않고 정지되어 있으며, 제 2 기어(430)로의 구동력의 전동은 행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식부 클러치(420)로서 종래의 정위치 정지 클러치를 사용해도 좋다.
또한, 모종 식부장치 구동기구(400)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식부 클러치(420)의 전동 하류측에 설치되어 상하동 암 구동축(440)에 고정됨과 아울러, 식부 클러치(420)를 「온」 상태로부터 「오프」 상태에 강제적으로 스위칭하기 위해서 원형상의 외주 가장자리부의 일부에 형성된 오목부(441a)를 갖는 간헐용 캠(441)과, 일단부(460a)가 식부 클러치(420)로부터 떨어지거나 또는 접촉하는지에 따라, 해당 식부 클러치(420)에 있어서의 클러치의 온 상태와 오프 상태의 스위칭을 행하게 하는, 회동지점(461)에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측면으로 볼 때 대략 「ヘ」 자 형상의 제 1 암(460)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모종 식부장치 구동기구(400)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장 스프링(480)의 인장력에 대항해서 제 1 암(460)의 타단부(460b)를 가동 플레이트(472)를 통해서 화살표 B의 방향으로 흡인함으로써 회동지점(461)을 중심으로 해서 제 1 암(460)의 일단부(460a)를 화살표 C 방향으로 회동시켜서 식부 클러치(420)를 「오프」 상태로부터 「온」 상태로 스위칭하는 동작을 행하게 하는 솔레노이드(470)를 구비하고, 솔레노이드(470)의 흡인력이 식부 클러치(420)의 「온」 상태로의 스위칭 동작에 유효하게 작용하도록 솔레노이드(470)의 설치 위치가 조절 가능한 설치 조정용 장공(471a)이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케이싱(401)의 하방 위치에 고정된 솔레노이드 고정판(471)과, 제 1 암(460)의 회동지점(461)에 일단부(462a)가 고정되고 제 1 암(460)의 동작과 연동해서 타단부(462b)가 간헐용 캠(441)의 외주 가장자리부에 접촉하는 제 2 암(462)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술한 인장 스프링(480)은 제 1 암(460)을 식부 클러치(420)가 「오프」 상태가 되는 방향으로, 또한 제 2 암(462)의 타단부(462b)를 간헐용 캠(441)의 외주 가장자리부에 압박하는 방향으로 바이어싱하기 위한 스프링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솔레노이드(470)가 본 발명의 구동장치의 일례에 해당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식부 클러치(420)의 전동 하류측에 설치된 간헐용 캠(441)을 사용하여 식부 클러치(420)를 「온」 상태로부터 「오프」 상태로 할 수 있고, 간단한 구성의 간헐 식부기구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제 1 암(460)과 제 2 암(462)이 회동지점(461)을 중심으로 해서 일체 회동하는 구성으로 하고, 또한 그 회동지점(461)을 식부 클러치(420)의 전동축(421)보다 간헐용 캠(441)측에 배치함으로써 제 1 암(460)과 제 2 암(462)을 합리적이며 또한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중량물인 솔레노이드(470)를 케이싱(401)의 하방에 배치함으로써 모종 이식기(1)의 저중심화가 도모된다.
이어서, 도 4를 참조하면서 모종 식부장치 구동기구(400)에 있어서의 상하동 암 구동축(440)으로의 전동의 온오프를 행하는 식부 클러치(420)와 간헐용 캠(441)의 동작을 중심으로, 항목 A로부터 항목 C의 3개의 장면으로 나누어서 각각 설명한다.
A. 솔레노이드(470)에 통전(펄스 신호에 의한 단시간의 통전)되면 솔레노이드(470)의 선단의 가동 플레이트(472)가 인장 스프링(480)의 인장력에 대항해서 화살표 B의 방향으로 흡인되어서, 제 1 암(460)의 일단부(460a)와 제 2 암(462)의 타단부(462b)가 회동지점(461)을 중심으로 해서 반시계 방향(도 4의 화살표 C 참조)으로 회동한다.
이것에 의해, 제 1 암(460)의 일단부(460a)가 식부 클러치(420)로부터 멀어짐으로써 하기의 i)과 ii)의 동작이 행하여진다.
i) 해당 식부 클러치(420)가 「온」 상태로 되고, 전동축(421)이 회동함으로써 제 2 기어(430)측에 구동력이 전달되어서 제 3 기어(450)를 통해서 상하동 암 구동축(440)이 회동을 개시함과 아울러, ii) 제 2 암(462)의 타단부(462b)가 간헐용 캠(441)의 외주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오목부(441a)로부터 멀어져[이 직전까지 제 2 암(462)의 타단부(462b)는 간헐용 캠(441)의 오목부(441a)에 위치하면서 식부 클러치(420)가 「오프」 상태에 있고, 상하동 암 구동축(440)은 회동을 정지하고 있음], 볼록 형상의 외주 가장자리부(441b)를 따르면서 간헐용 캠(441)과 상하동 암(320)이 회동을 계속한다.
즉, 이미 솔레노이드(470)에의 통전은 정지되어 있어 화살표 B로의 흡인력은 발생하지 않지만, 제 2 암(462)의 타단부(462b)가 간헐용 캠(441)의 볼록 형상의 외주 가장자리부(441b)를 따르는 상태가 유지되고 있는 동안은, 제 1 암(460)의 일단부(460a)가 식부 클러치(420)로부터 떨어져 있으므로 해당 식부 클러치(420)는 「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하동 암(320)의 회동에 의해 식부구(11)(도 3 참조)는 상하동(식부 동작)을 계속하여 간헐용 캠(441)이 1회전 하기까지의 동안에 식부구(11)는 1회만 식부 동작을 실행한다.
B. 그 후에 간헐용 캠(441)이 1회전하여 제 2 암(462)의 타단부(462b)가 간헐용 캠(441)의 오목부(441a)에 도달하면, 인장 스프링(480)의 인장력에 의해 제 1 암(460)이 시계 방향으로 회동함과 아울러 제 1 암(460)의 일단부(460a)가 식부 클러치(420)에 접촉함으로써 하기의 i)과 ii)의 동작이 행하여진다.
i) 식부 클러치(420)는 「오프」 상태로 되고, 전동축(421)의 회동이 정지함으로써 제 2 기어(430)측으로 구동력이 전달되지 않게 되므로 상하동 암 구동축(440)은 회동을 정지함과 아울러, ii) 제 2 암(462)의 타단부(462b)가 간헐용 캠(441)의 외주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오목부(441a)에 머무른 채[이 직전까지, 제 2 암(462)의 타단부(462b)는 간헐용 캠(441)의 볼록 형상의 외주 가장자리부(441b)를 따르면서 식부 클러치(420)가 「온」 상태에 있고, 상하동 암 구동축(440)은 회동을 계속하고 있음], 간헐용 캠(441)과 상하동 암(320)은 회동을 계속해서 정지하므로 식부구(11)(도 3 참조)는 상하동(식부 동작)을 계속해서 정지한다.
C. 더욱 그 후에 임의의 타이밍에서 솔레노이드(470)가 통전되면, 식부 클러치(420)가 「온」 상태로 되고, 상기 항목 A에서 설명한 동작을 개시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솔레노이드(470)에 통전하는, 상기 임의의 타이밍을 제어함으로써 식부구(11)의 상하동(식부 동작)이 정지하고 있는 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간단한 구성으로 간헐 식부가 가능해진다.
또한, 솔레노이드(470)를 통전시키는 타이밍, 즉 솔레노이드(470)의 작동 주기는 작업자가 설정하는 식부 주간(planting crop space)과 주행 속도(후술하는 「식부 1(저속)」또는 「식부 2(고속)」)에 의거하여 제어부(800)에 의해 결정된다. 이것에 대해서는, 주로 도 12와 도 14를 이용하여 더욱 후술한다.
이어서, 도 5, 도 6을 이용하여 상술한 변속 레버(190)를 중심으로 더욱 설명한다.
도 5는 변속 레버(190)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미션 케이스(4)의 변속 기어기구를 설명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변속 레버(190)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진」 주행, 「중립(정지)」, 및 「후진」 주행의 3가지 주행 모드의 스위칭과, 식부 작업을 행할 때의 주행 속도를 낮게 설정하는 「식부 1」과, 주행 속도를 높게 설정하는 「식부 2」의 스위칭를 행하기 위한 레버이며, 작업자가 수동으로 회동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변속 레버(190)의 선단부, 즉 작업자가 손으로 잡는 부분인 노브(192)와 반대측의 변속 레버 단부(191)는 미션 케이스(4)의 변속 기어기구의 일단에 연결되어 있다.
변속 기어기구는 샤프트(193)에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게 유지된 대소 한쌍의 기어(194)와, 샤프트(193)에 평행하게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고, 일단(196a)이 미션 케이스(4)의 밖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타단에 5개의 관통공(196b)이 형성되고 있고, 대소 한쌍의 기어(194)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기어 시프트 플레이트(195)가 도중에 고정된 막대 형상의 변속용 시프터(196)와, 관통공(196b)의 개구부에 스프링(196c)으로 압박되어서 배치된 스틸 볼(196d)을 구비하고, 변속용 시프터(196)의 일단(196a)에는 변속용 시프터(196)가 변속 레버(190)의 회동 동작에 연동해서 축방향으로 시프트 이동 가능한 구성으로 되도록 변속 레버 단부(191)에 고정되고, 그 변속 레버 단부(191)의 회동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연결판(197)의 선단부(197a)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연결판(197)의 근본부에는 돌기부(197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변속 레버(190)에 의한 식부 작업을 행할 때의 주행 속도의 스위칭를 검지하기 위해서 해당 돌기부(197b)의 근방에 배치된 제 1 변속 스위치(198)와 제 2 변속 스위치(199)의 각각의 스위치 가동 플레이트(198a, 199a)를, 그 돌기부(197b)가 변속 레버(190)의 회동 위치에 따라 압박되거나, 압박되지 않거나 할 수 있는 구성이다.
즉, 변속 레버(190)가 저속의 주행 속도에서 식부 작업을 행하는 「식부 1」로 스위칭된 경우, 제 1 변속 스위치(198)가 ON하고, 또한 제 2 변속 스위치(199)가 OFF하고 있다.
한편, 변속 레버(190)가 고속의 주행 속도에서 식부 작업을 행하는 「식부 2」로 스위칭된 경우, 제 1 변속 스위치(198)가 OFF하고, 또한 제 2 변속 스위치(199)가 ON하고 있다.
또한, 변속 레버(190)가 「중립(정지)」 모드의 위치로 스위칭된 경우, 제 1 변속 스위치(198)가 OFF하고, 또한 제 2 변속 스위치(199)가 ON하고 있다.
또한, 변속 레버(190)가 「전진」 모드, 및 「후진」 모드의 어느 것으로 설정되어도 제 1 변속 스위치(198)가 OFF하고, 또한 제 2 변속 스위치(199)가 OFF하고 있다.
어느 경우에나, 각각의 스위치로부터 ON정보, 또는 OFF정보를 제어부(800)에 보내는 구성이기 때문에, 제어부(800)는 변속 레버(190)에 의해 「식부 1」이 설정되어 있는 것인지, 「식부 2」가 설정되어 있는 것인지, 그렇지 않으면 「중립(정지)」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것인지를 판정할 수 있다(도 14 참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변속 레버(190)가 「중립(정지)」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제어부(800)에 판정시키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주행차체(15)가 주행을 정지하고 있을 때에 제어부(800)로부터 솔레노이드(470)에 통전 지령을 내서 식부 클러치(420)를 「온」 상태로 해서 식부구(11)를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중립 모드에서 식부구(11)의 전동 확인을 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제어부(800)에 의한 상기 판정 결과의 식부 주간의 제어 등에의 활용에 대해서는 더욱 후술한다.
또한, 도 6에 나타내어진 연결판(197)과 대소 한쌍의 기어(194)의 위치는, 변속 레버(190)가 「전진」주행의 모드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와, 「후진」주행의 모드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의 양쪽의 경우에 대해서 각각 실선으로 그렸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변속 레버(190)가 도 5에 나타낸 「전진」부터 「후진」의 5가지 중 어느 모드로 설정되는 것인지에 따라서, 변속용 시프터(196)가 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대소 한쌍의 기어(194)가 슬라이드 이동하여 연결 상대가 되는 기어(도시생략)가 변경된다.
이어서, 도 7(a), 도 7(b), 도 8을 이용하여 상술한 트레이 공급장치(100)에 대해서 더욱 설명한다.
도 7(a)는 트레이 공급장치(100)의 사시도이며, 도 7(b)는 도 7(a)의 X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트레이 공급장치(100)의 트레이 종이송 장치(120)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트레이(20)는 복수의 육묘 포트(21)를 종횡으로 연설한 것으로, 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가요성을 유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각 육묘 포트(21)는 표면측에서 연결되고, 이면은 독립된 형태로 되어 있다.
트레이 공급장치(100)는 트레이(20)의 저부를 지지하는 앞이 내려가게 경사진 트레이 반송로(111)를 갖는 모종 적재대(110)와, 트레이(20)를 트레이 반송로(111)를 따라서 세로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이송하는 트레이 종이송 장치(120)와, 트레이 반송로(111)를 갖는 모종 적재대(110)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트레이 반송로 이동장치(170)(도 2 참조)와, 종이송 구동 체인 벨트(181)나 기어기구(182)를 수납한 모종 이송 전동 케이스(180)(도 2 참조)를 구비한다.
또한, 트레이 종이송 장치(120)는 트레이(20)의 이면측에서 그 이면측으로 돌출된 육묘 포트(21)끼리의 사이에 들어가서 하방으로 이동함으로써 트레이(20)를 육묘 포트(21)의 횡 1열분만큼 이송하고, 그 후에 육묘 포트(21)끼리의 사이로부터 빠져나와서 육묘 포트(21)의 횡 1열분만큼 상방으로 이동하는 구성의 트레이 이송구(121)를 갖고 있다. 트레이 이송구(121)는 중앙부(121a)가 트레이 반송로(111)의 하부에 설치된 퇴피 홈(111a)에 출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양단부(121b)는 직각으로 구부러져서 트레이 반송로(111)의 양쪽 사이드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있어 트레이(20)가 트레이 반송로(111) 상을 이동할 때에 방해되지 않는 구성이다.
또한, 트레이 공급장치(100)는 퇴피 홈(111a)의 하류측이며 트레이 반송로(111)의 양쪽 사이드의 끝면부에 있어서, 트레이 이송구(121)의 움직임을 규제하기 위한 좌우 한쌍의 로드 가이드 플레이트(112)를 구비하고 있다. 이 로드 가이드 플레이트(112)의 상단 가장자리부에는 트레이 이송구(121)의 중앙부(121a)의 양단에서 하류측으로 돌출된 돌기부(121ab)가 진입 가능한 노치부(112a)가 형성되어 있다(도 7(b) 참조).
즉, 이 노치부(112a)는 트레이 이송구(121)의 중앙부(121a)가 하방으로 이동한 후, 육묘 포트(21)끼리의 사이로부터 빠져나가기까지의 동안에 있어서 일시적으로 트레이 이송구(121)의 중앙부(121a)의 양단의 돌기부(121ab)를 유지하여 육묘 포트(21)에 넣어져 있는 모종(22)의 무게에 의해 트레이(20)가 하바응로 벗어나 움직이는 것을 규제하는 구성이다. 또한, 트레이 이송구(121)의 중앙부(121a)의 궤적에 대해서는 도 8을 이용하여 후술한다.
또한, 트레이 반송로 이동장치(170)는 트레이 반송로(111)의 이면측에 설치되고, 모종 이식기(1)의 본체측에서 구동력을 얻어서 트레이 반송로(111)를 갖는 모종 적재대(110)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리드 캠축(171)과, 리드 캠축(171)보다 상방에 설치되고 트레이 반송로(111)를 갖는 모종 적재대(110)의 좌우 방향으로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 레일(155)을 갖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트레이 반송로 이동장치(170)는 본 발명의 횡이송 장치의 일례에 해당하고, 본 실시형태의 트레이 종이송 장치(120)는 본 발명의 종이송 장치의 일례에 해당한다.
또한, 트레이 반송로(111)는 리드 캠축(171)과, 트레이 반송로(111)의 내측상부에 설치된 좌우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 레일(155)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이에 따라 안내 레일(155)은 리드 캠축(171)과 떨어진 위치에서 트레이 반송로(111)를 지지하기 때문에 좌우측 방향으로의 이동시에 덜컹거림이 적다.
트레이 반송로(111)와 누름 프레임(25) 사이에 끼워넣도록 해서 트레이(20)를 모종 적재대(110)의 상방으로부터 집어넣으면, 트레이(20)의 이면측의 홈부에 트레이 이송구(121)의 선단부가 맞물린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 트레이 이송구(121)가 측면으로 볼 때에 대략 사각형의 궤적 A를 그려서 회동함으로써 트레이(20)가 트레이 반송로(111)를 따라 비스듬히 아래쪽으로 간헐적으로 종이송되는 구성이다.
또한, 트레이 이송구(121)를 사용하여 트레이(20)의 종이송을 간헐적으로 행하는 기구에 대해서는 또한 후술한다.
그런데, 인출장치(200)는 모종 적재대(110)의 하단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인출 클로(210)의 선단이 궤적 K를 그리도록 작동하여 가로 방향으로 이동하는 육묘 포트(21)로부터 순차적으로 모종(22)을 인출하여 식부장치(7)에 공급하는 구성이다.
이어서, 주로 도 9, 도 10을 이용하여 본 실시형태의 모종 이식기(1)에 설치된 인출장치(200)의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9는 인출장치(200)의 개략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9의 지면의 좌측 위 안쪽으로부터 우측 아래 앞쪽을 본 인출장치(200)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9,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출장치(200)는 모종 이식기(1)의 본체에 고정된 인출장치 고정 부재(201)에 회동 가능하게 유지되어서 체인 벨트(202)를 통해서 본체측의 구동원인 동력으로 화살표 B 방향으로 회동하는 구동축(203)에 의해 같은 방향으로 회동하는 구동 암(220)과, 구동 암(220)의 선단 측부(220a)에 일단부(230a)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연결 암(230)과, 인출장치 고정 부재(201)에 고정 핀(201a, 201b)에 의해 유지되어 외형이 대략 알파벳의 J자의 형상을 보인 판 형상 부재로서, 트레이 공급장치(100)에 가까운 측이 직선 형상이며 먼 측이 대략 R 형상으로 세워진 형상을 보인 안내 홈(241)을 갖는 안내부(24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인출장치(200)는 안내 홈(241)에 대하여 덜컹거림 없이 또한 스무스하게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게 삽입된, 후술하는 캠축(271)과 일체인 제 1 피안내 부재(245)와 제 2 피안내 부재(247)가 연결되고, 그들 피안내 부재가 연결된 측면의 일단측으로부터 돌출하여 대략 직각으로 꺽여 구부러진 절곡부(251)를 갖는 기판(250)과, 기판(250)의 절곡부(251)로부터 수직으로 돌출하여 회동 가능하게 유지된 좌우 한쌍의 인출 클로 유지 핀(252L, 252R), 근원부가 각각 좌우 한쌍의 인출 클로 유지 핀(252L, 252R)에 설치되고 선단부의 폭이 핀셋 형상으로 가늘게 되어 있는, 육묘 포트(21) 내의 모종(22)을 인출하는 한쌍의 인출 클로(261L, 261R)와, 한쌍의 인출 클로(261L, 261R)의 대향하는 내면부의 근원부측에 그 양단이 부착된인장 스프링(263)을 갖는 인출 부재(26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인출장치(200)는 기판(250)에 회동 가능하게 관통한 상기 제 1 피안내 부재(245)와 일체인 캠축(271)을 가진 캠(270)으로서, 그 캠(270)의 외주부의 두께에 관해서 상기 한쌍의 인출 클로(261L, 261R)의 내면부에 설치된 좌우 한쌍의 클로 선단폭 규제 돌기(262L, 262R)의 선단면과 접촉할 때, 그 외주부의 장소에 의해 두께가 변화되고 있는 외주부(272)와, 그 캠(270)의 가장 바깥 가장자리부의 캠축(271)의 축 중심으로부터의 거리(외경이라고도 함)에 관해서 그 가장 바깥 가장자리부의 장소에 의해 그 외경이 변화되고 있는 가장 바깥 가장자리부(273)를 구비한 캠(270)과, 기판(25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캠(270)의 가장 바깥 가장자리부(273)의 외경의 변화에 의해 한쌍의 인출 클로(261L, 261R)를 따라서 육묘 포트(21)로부터 인출하여 한쌍의 인출 클로(261L, 261R)에 의해 유지되어 있는 모종(22)을 밀어내는 압출기구(28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캠축(271)과 일체인 제 1 피안내 부재(245)의 선단 근방 가장자리부(245a)는 연결 암(230)의 타단부(230b)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캠축(271)과 일체인 제 1 피안내 부재(245)는 구동 암(220)의 회전력에 의해 제 1 기어(291), 제 2 기어(292), 제 3 기어(293)로 구성된 전달기구(290)를 통해서 회동되어 구동 암(220)의 구동 주기에 맞춰서 캠축(271)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성이다.
또한, 캠(270)의 외주부(272)가 한쌍의 인출 클로(261L, 261R)의 내면측에 설치된 좌우 한쌍의 클로 선단폭 규제 돌기(262L, 262R)의 선단면과 접촉할 때, 캠(270)의 외주부(272)의 두께의 변화와 인장 스프링(263)의 복원력의 상호작용에 의해 한쌍의 인출 클로(261L, 261R)를 개폐시키는 구성이다.
이어서, 상기 전달기구(290)에 대해서 더욱 설명한다.
즉, 제 1 기어(291)는 구동 암(220)의 선단 측부(220a)에 고정되어 있고, 연결 암(230)에 대해서는 제 1 회동축(291a)을 통해서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제 3 기어(293)는 캠축(271)과 일체인 제 1 피안내 부재(245)의 선단부(245b)에 고정되어 있고, 제 1 피안내 부재(245)의 선단 근방 가장자리부(245a)가 연결 암(230)의 타단부(230b)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제 3 기어(293)는 연결 암(23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따라서, 제 3 기어(293)는 제 1 피안내 부재(245)와 일체로 회동한다. 또한, 제 2 기어(292)는 연결 암(230)의 중앙 위치에 있어서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제 1 기어(291) 및 제 3 기어(293)의 양쪽에 끼워져서 쌍방의 기어와 감합되어 있다.
이어서, 상기 압출기구(280)에 대해서 주로 도 10을 참조하면서 더욱 설명한다.
압출기구(280)는 한쌍의 인출 클로(261L, 261R)에 의해 유지되어 있는 모종(22)을 밀어내는, 선단부(281a)가 직각으로 구부러져 인출 클로(261L, 261R)의 선단부의 폭에 맞춘 노치부(281b)가 형성된 압출 로드(281)와, 대략 직각 형상으로 절곡된 연결 봉(282)으로서 그 한쪽의 선단부(282a)가 압출 로드(281)의 후단부에 설치된 후단 구멍부(281c)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어서 빠짐 방지의 분할 핀(도시생략)으로 유지된 연결 봉(282)과, 연결 봉(282)의 다른쪽의 선단부(282b)가 상단부(283a)에 고정되고, 하단부(283b)가 기판(250)에 대하여 압출 암 연결축(283d)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중앙부의 인장 스프링 유지용 제 1 돌기(283c)가 형성된 압출 암(283)과, 일단이 인장 스프링 유지용 제 1 돌기(283c)에 걸리고 타단이 기판(250)에 고정된 인장 스프링 유지용 제 2 돌기(250a)에 걸린 압출 암 인장 스프링(284)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캠(270)이 화살표 B 방향으로 회동했을 때에 가장 바깥 가장자리부(273) 중에서 다른 부분(273a)보다 외경이 큰 돌출부(273b)가 인장 스프링 유지용 제 1 돌기(283c)의 근원부의 외주 가장자리부에 접촉함으로써 압출 암 인장 스프링(284)이 잡아 늘려지고, 압출 암(283)은 도 10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 되어서 연결 봉(282)으로 연결된 압출 로드(281)가 후퇴하는 구성이다(화살표 C 참조). 또한, 캠(270)이 화살표 B 방향으로 회동했을 때에 가장 바깥 가장자리부(273) 중에서 돌출부(273b)보다 외경이 작은 다른 부분(273a)이 인장 스프링 유지용 제 1 돌기(283c)의 근원부의 외주 가장자리부에 접촉함으로써 압출 암 인장 스프링(284)이 수축되고, 압출 암(283)은 도 10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동되어서 연결 봉(282)으로 연결된 압출 로드(281)가 돌출되어 오는 구성이다(화살표 D 참조). 압출 로드(281)가 돌출되어 올 때마다 압출 로드(281)의 선단부(281a)에 형성된 노치부(281b)를 한쌍의 인출 클로(261L, 261R)의 선단부가 통과하게 되므로, 그 선단부에 부착되어 있던 흙 등이 제거되는 구성이다.
여기에서, 압출 로드(281)는 상부가 평면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이것에 의해 한쌍의 인출 클로(261L, 261R)에 모종(22)의 잎이 얽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다음에 도 9∼도 11을 참조하면서 인출장치(200)의 동작을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안내부(240)는 모종 이식기(1)의 본체에 고정된 인출장치 고정 부재(201)에 확실히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움직이지 않는다.
구동 암(220)의 회동에 따라서 연결 암(230)이 요동하지만, 그 움직임은 안내부(240)에 형성된 안내 홈(241)을 관통해서 기판(250)에 연결되어 있는 제 1 피안내 부재(245)에 의해 규제된다.
한편, 연결 암(230)의 움직임에 따라 기판(250)도 요동하지만, 기판(250)은 제 1 피안내 부재(245) 이외에 제 2 피안내 부재(247)가 안내 홈(241)을 관통하고 있기 때문에[단, 제 2 피안내 부재(247)는 연결 암(230)에는 연결되어 있지 않다], 그 움직임은 안내 홈(241)을 따르는 왕복 이동을 반복한다. 기판(250)에는 인출 부재(260)가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인출 부재(260)도 기판(250)과 같은 움직임을 하고, 한쌍의 인출 클로(261L, 261R)의 선단부(261Lp, 261Rp)는 도 10, 도 11에 나타내는 궤적 K을 그린다.
여기에서, 도 11은 구동 암(220)의 회동의 위치와, 한쌍의 인출 클로(261L, 261R)의 선단부(261Lp, 261Rp)의 궤적 K 상의 위치의 개략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1에 나타내는 구동 암(220)의 회동의 위치 P1∼P6은, 한쌍의 인출 클로(261L, 261R)의 선단부(261Lp, 261Rp)의 궤적 K 상의 위치 K1∼K6에 대응한다. 또한, 궤적 K를 나타내는 파선 상에 기재한 화살표는 동작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쌍의 인출 클로(261L, 261R)의 선단부(261Lp, 261Rp)가 위치 K1로부터 위치 K2를 향하는 동작은, 육묘 포트(21)로부터 모종(22)을 빼내는 동작에 대응하고 있다. 위치 K1로부터 위치 K2까지의 궤적 K가 직선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한쌍의 인출 클로(261L, 261R)의 선단부(261Lp, 261Rp)는 육묘 포트(21)로부터 곧장 후퇴한다. 이 때, 한쌍의 인출 클로(261L, 261R)의 선단부(261Lp, 261Rp)에는 인장 스프링(263)의 복원력에 의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의 힘이 작용하고 있어 육묘 포트(21)로부터 빼낸 모종(22)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한쌍의 인출 클로(261L, 261R)의 선단부(261Lp, 261Rp)의 개폐 동작에 대해서는 압출 로드(281)의 동작과 함께 더욱 후술한다.
또한, 한쌍의 인출 클로(261L, 261R)의 선단부(261Lp, 261Rp)가 위치 K6로부터 위치 K1을 향하는 동작은, 모종 인출 위치에 있는 트레이(20)의 육묘 포트(21)내의 모종(22)에 대하여 한쌍의 인출 클로(261L, 261R)를 삽입시키는 동작에 대응하고 있고, 위치 K1로부터 위치 K2를 향하는 궤적 K과 거의 같은 경로를 역방향으로 이동하므로, 한쌍의 인출 클로(261L, 261R)의 선단부(261Lp, 261Rp)는 육묘 포트(21)에 거의 곧장 삽입된다. 이 때, 한쌍의 인출 클로(261L, 261R)의 선단부(261Lp, 261Rp)에는 인장 스프링(263)의 복원력에 대항해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의 힘이 작용하고 있고, 쌍방의 선단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육묘 포트(21)에 진입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한쌍의 인출 클로(261L, 261R)의 선단부(261Lp, 261Rp)가 트레이(20), 육묘 포트(21), 및 모종 자체를 상처를 입힐 일이 없다.
또한, 위치 K1로부터 위치 K2까지의 궤적 K, 및 위치 K6으로부터 위치 K1까지의 궤적 K가 대략 직선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은 안내 홈(241)의 트레이 공급장치(100)에 가까운 측이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어서, 위치 K2로부터 위치 K3을 향함에 따라서 한쌍의 인출 클로(261L, 261R)의 선단부(261Lp, 261Rp)는 그 때까지 육묘 포트(21)에 대향하고 있던 자세로부터 대략 하방을 향해서 급격하게 자세를 변화시키고, 위치 K4까지 이동했을 때에는 선단부(261Lp, 261Rp)는 거의 바로 아래를 향하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대략 하방을 향해서 급격하게 자세를 변화시키는 것은 안내 홈(241)의 트레이 공급장치(100)로부터 먼 측이 대략 R 형상으로 세워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정확히 그 때, 그 선단부(261Lp, 261Rp)의 하방에는 상사점을 향해서 궤적 T1(도 1 참조) 상의 상승 공정에 있는 식부장치(7)의 모종 투입구(도시생략)가 상방을 향하고 있고, 위치 K4로부터 위치 K5의 사이에 있어서 압출 로드(281)에 의해 한쌍의 인출 클로(261L, 261R)의 선단부(261Lp, 261Rp)로부터 압출된 모종(22)이 식부장치(7)의 모종 투입구에 낙하하여 식부구(11)에 공급된다. 또한, 압출 로드(281)의 동작에 대해서는 더욱 후술한다.
다음에, 위치 K5로부터 위치 K6을 향함에 따라서 한쌍의 인출 클로(261L, 261R)의 선단부(261Lp, 261Rp)는 그 때까지 대략 하방을 향하고 있던 자세를 다음 육묘 포트(21)에 대향할 수 있도록 급격하게 자세를 변화시켜서 위치 K1까지 이동했을 때에는 선단부(261Lp, 261Rp)는 새로운 육묘 포트(21)에 삽입되어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구동 암(220)의 회동의 위치와, 한쌍의 인출 클로(261L, 261R)의 선단부(261Lp, 261Rp)의 궤적 K 상의 위치의 개략의 대응 관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위치 K4로부터 위치 K5를 향하는 동작은 상술한 위치 K1로부터 위치 K2를 향하는 동작에 비해서 천천히 행하여지므로, 육묘 포트(21)로부터의 모종(22)의 인출은 빠르게 행할 수 있고, 또한 식부장치(7)에의 모종(22)의 방출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은, 연결 암(230)이 구동 암(220)보다 전방[트레이 공급장치(100)의 빠짐 위치]측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한 구동 암(220)이 연결 암(230)에 비하여 트레이 공급장치(100)의 빠짐 위치로부터 멀기 때문에, 모종(22)을 인출할 때에 모종(22)에 접촉할 일이 없어 방해되지 않는다.
다음에, 주로 도 9, 도 10, 도 11을 참조하면서 전달기구(290)와 압출기구(280)의 동작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암(220)의 B 방향으로의 회동에 의해 구동 암(220)의 선단 측부(220a)에 고정된 제 1 기어(291)는 구동 암(220)의 회동지점(220b)을 중심으로 해서 B 방향으로 공전한다. 제 1 기어(291)는 연결 암(230)에 대하여 제 1 회동축(291a)을 통해서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제 2 기어(292)를 통해서 제 3 기어(293)를 B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제 3 기어(293)는 캠축(271)과 일체인 제 1 피안내 부재(245)의 선단부(245b)와 고정되어 있고, 또한 제 1 피안내 부재(245)의 선단 근방 가장자리부(245a)가 연결 암(230)의 타단부(230b)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제 3 기어(293)의 회동에 의해 캠축(271)을 통해서 캠(270)이 B 방향으로 회동한다. 즉, 구동 암(220)의 구동 주기에 맞춰서 캠(270)이 회동한다.
캠(270)은 장소에 따라 두께가 변화되고 있는 외주부(272)와, 장소에 따라 캠축(271)의 축 중심으로부터의 거리(외경)가 변화되고 있는 가장 바깥 가장자리부(273)를 갖고 있고,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장 바깥 가장자리부(273) 중에서 돌출부(273b)는 다른 부분(273a)보다 외경이 크고, 캠축(271)의 축 중심으로부터 같은 거리에 있는 외주부(272) 중에서 제 1 범위(272a)의 두께는 나머지의 두께 부분인 제 2 범위(272b)의 두께에 비해서 얇게 설정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을 기초로, 구동 암(220)의 구동 주기에 동기해서 캠(270)이 회동할 때에 한쌍의 인출 클로(261L, 261R)의 선단부(261Lp, 261Rp)가 위치 K6으로부터 위치 K1을 향하는 동작을 행할 때의 한쌍의 인출 클로(261L, 261R)의 선단부(261Lp, 261Rp)의 개폐 동작, 및 압출 로드(281)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즉, 캠(270)의 외주부(272) 중 두꺼운 부분인 제 2 범위(272b)가 좌우 한쌍의 클로 선단폭 규제 돌기(262L, 262R)의 선단면과 접촉함으로써 한쌍의 인출 클로(261L, 261R)의 선단부(261Lp, 261Rp)는 인장 스프링(263)의 복원력에 대항해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의 힘이 작용하고 있고, 쌍방의 선단부가 개방된 상태이다.
한편, 이 때 캠(270)의 가장 바깥 가장자리부(273) 중 돌출부(273b)가 인장 스프링 유지용 제 1 돌기(283c)의 근원부의 외주 가장자리부에 접촉하고 있음으로써 압출 암 인장 스프링(284)이 잡아 늘려지고, 압출 암(283)은 도 10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해서(화살표 C 참조) 연결 봉(282)으로 연결된 압출 로드(281)가 후퇴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한쌍의 인출 클로(261L, 261R)의 선단부(261Lp, 261Rp)는 육묘 포트(21)에 진입하여 모종을 인출할 수 있다.
이어서, 한쌍의 인출 클로(261L, 261R)의 선단부(261Lp, 261Rp)가 위치 K1로부터 위치 K2를 향하는 동작을 행할 때의 한쌍의 인출 클로(261L, 261R)의 선단부(261Lp, 261Rp)의 개폐 동작, 및 압출 로드(281)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즉, 위치 K1로부터 위치 K2를 향하는 동작을 개시함과 동시에 캠(270)의 외주부(272) 중 얇은 부분인 제 1 범위(272a)가 좌우 한쌍의 클로 선단폭 규제 돌기(262L, 262R)의 선단면과 접촉함으로써 한쌍의 인출 클로(261L, 261R)의 선단부(261Lp, 261Rp)는 인장 스프링(263)의 복원력에 의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쌍방의 선단부가 폐쇄되는 상태로 된다.
한편, 이 때, 캠(270)의 가장 바깥 가장자리부(273) 중 돌출부(273b)가 여전히 인장 스프링 유지용 제 1 돌기(283c)의 근원부의 외주 가장자리부에 접촉하고 있음으로써 압출 암 인장 스프링(284)이 잡아 늘려지고, 압출 암(283)은 도 10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화살표 C 참조), 연결 봉(282)으로 연결된 압출 로드(281)가 후퇴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한쌍의 인출 클로(261L, 261R)의 선단부(261Lp, 261Rp)는 인출한 모종(22)을 선단부에 확실히 유지할 수 있고, 그대로 식부장치(7)측으로 이동해 간다.
이어서, 한쌍의 인출 클로(261L, 261R)의 선단부(261Lp, 261Rp)가 위치 K4로부터 위치 K5를 향하는 동작을 행할 때의 한쌍의 인출 클로(261L, 261R)의 선단부(261Lp, 261Rp)의 개폐 동작, 및 압출 로드(281)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즉 위치 K4로부터 위치 K5를 향하는 동작을 개시함과 동시에 캠(270)의 가장 바깥 가장자리부(273) 중 돌출부(273b) 대신에 다른 부분(273a)이 인장 스프링 유지용 제 1 돌기(283c)의 근원부의 외주 가장자리부에 접촉함으로써 압출 암 인장 스프링(284)의 복원력에 의해 압출 암(283)은 순식간에 도 10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동한 상태가 되고(화살표 D 참조), 연결 봉(282)으로 연결된 압출 로드(281)가 압출됨과 동시에 압출 로드(281)의 선단부(281a)의 노치부(281b)가 한쌍의 인출 클로(261L, 261R)의 선단부를 눌러 넓히면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압출 로드(281)의 선단부(281a)에 의해 한쌍의 인출 클로(261L, 261R)의 선단부(261Lp, 261Rp)로부터 밀어내어진 모종(22)이 식부장치(7)의 모종 투입구에 낙하하고, 식부구(11)에 공급된다. 이 때, 압출 로드(281)의 선단부(281a)의 노치부(281b)가 한쌍의 인출 클로(261L, 261R)의 선단부를 눌러 넓히면서 이동하게 되므로, 그 선단부에 부착되어 있던 흙 등이 동시에 제거된다.
다음에, 한쌍의 인출 클로(261L, 261R)의 선단부(261Lp, 261Rp)가 위치 K5로부터 위치 K6을 향하는 동작을 행할 때의 한쌍의 인출 클로(261L, 261R)의 선단부(261Lp, 261Rp)의 개폐 동작, 및 압출 로드(281)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즉, 캠(270)의 외주부(272) 중 얇은 부분인 제 1 범위(272a)를 대신해 두꺼운 부분인 제 2 범위(272b)가 좌우 한쌍의 클로 선단폭 규제 돌기(262L, 262R)의 선단면과 접촉함으로써 한쌍의 인출 클로(261L, 261R)의 선단부(261Lp, 261Rp)는 인장 스프링(263)의 복원력에 대항해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의 힘이 작용하여 쌍방의 선단부가 개방된 상태로 변화된다.
또한, 위치 K6의 근방에 왔을 때에 캠(270)의 가장 바깥 가장자리부(273) 중 다른 부분(273a)을 대신해 돌출부(273b)가 인장 스프링 유지용 제 1 돌기(283c)의 근원부의 외주 가장자리부에 접촉함으로써 압출 암 인장 스프링(284)이 잡아 늘려지고, 압출 암(283)은 도 10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어서(화살표 C 참조) 연결 봉(282)으로 연결된 압출 로드(281)가 후퇴한 상태로 변화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한쌍의 인출 클로(261L, 261R)를 근원부에서 선단부에 걸쳐, 일체의 동일한 금속제의 판 부재로 구성되어 있을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선단측에 대해서 분리가 가능하고 탄성을 가진 예를 들면 고무판이나, 수지판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인장 스프링(263)의 복원력에 의해 선단부가 모종(22)을 잡아도 선단측의 탄성에 의해 고무판 쪽이 변형되므로 모종(22)을 찌부러뜨리지 않는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압출 로드(281)는 한쌍의 인출 클로(261L, 261R)의 선단부(261Lp, 261Rp)가 위치 K6의 근방으로 이동할 때까지는 한쌍의 인출 클로(261L, 261R)의 선단부(261Lp, 261Rp)의 상방을 덮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이것에 의해 위치 K5로부터 위치 K6으로 이동할 때에 트레이(20) 상의 모종(22)의 잎이 한쌍의 인출 클로(261L, 261R)의 선단부(261Lp, 261Rp)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압출 로드(281)는 한쌍의 인출 클로(261L, 261R)의 선단부(261Lp, 261Rp)가 육묘 포트(21)에 삽입될 때의 삽입 속도에 맞추어서 후퇴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고, 이에 따라 모종(22)의 잎이 선단부(261Lp, 261Rp)에 얽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다시, 도 7, 도 8을 참조하면서 트레이 공급장치(100)의 트레이 이송구(121)를 간헐적으로 구동시키는 기구를 중심으로 더욱 설명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트레이 종이송 장치(120)는 (1) 상술한 트레이 이송구(121)와, (2) 트레이 이송구(121)의 양단부(121b)의 상측 선단부(121b1)가 고정되고, 한쪽이 내측으로 만곡된 만곡 가장자리부(131a)를 갖는 돌기 형상 캠(131)이 하부에 형성된 이송 로드 암(130)과, (3) 근원부(141)가 모종 적재대(110)의 측판(110a)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선단부의 선단 축부(142)에서 이송 로드 암(130)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단 가장자리부에 제 1 오목부(143a), 제 2 볼록부(143b), 제 3 오목부(143c)가 측면으로 볼 때에 매끄러운 형상으로 연속해서 형성된 이송 암(140)과, (4) 모종 이식기(1)의 동력원으로부터 얻은 구동력에 의해 화살표 E 방향으로 회동하는 종이송 구동축(151)을 인출장치(200)측으로부터 보아서 종이송 구동축(151)의 중앙 위치와 우단 위치의 2개소에 각각 고정되고, 선단부에 견제 롤러(152)를 회동 가능하게 갖는 종이송 구동 암(150)을 구비한다. 따라서, 선단 축부(142)가 트레이 이송구(121)를 연결하는 회동 지점축이 된다.
또한, 이송 암(140)의 선단부의 선단 축부(142)와, 모종 적재대(110)의 측판(110a)의 하부(110a1) 사이에는 이송 암(140)에 항상 하향으로 인장하는 힘이 인가되도록 이송 암 인장 스프링(160)이 부착되어 있다. 이 이송 암 인장 스프링(160)이 이송 암(140)을, 트레이 이송구(121)의 이송 동작 방향으로 바이어싱하는 이송용의 바이어싱구가 된다. 또한, 이송 암(140)의 근원부(141)에는 이송 로드 암(130)의 상단부에 부착된 핀(132)에 한쪽 끝이 부착된 이송 로드 암 인장 스프링(161)의 다른쪽 끝을 유지하는 스프링 설치 로드(163)가 고정되어 있다. 이 이송 로드 암 인장 스프링(161)이 트레이 이송구(121)를, 회동 지점축이 되는 선단 축부(142)를 중심으로 육묘 포트(21)간의 간극(21b)에 진입하는 측으로 바이어싱하는 진입용의 바이어싱구가 된다.
이어서, 도 7, 도 8을 참조하면서 트레이 이송구(121)의 간헐적인 동작 에 대하여 설명한다.
리드 캠축(171)의 회동에 의해 모종 적재대(110)가 우측 방향, 즉 화살표 F 방향(도 7 참조)을 향해서 이동하고 있다고 한다. 그 때, 종이송 구동축(151)는 화살표 E 방향으로 회동하고 있다(도 8 참조).
그 동안에 있어서, 인출장치(200)는 우단의 육묘 포트(21)로부터 순차적으로 모종(22)을 인출하여 식부장치(7)에 모종(22)을 공급하고 있고, 그 후에 모종 적재대(110)가 최우단으로 이동한 시점에서 최좌단의 육묘 포트(21)의 모종(22)이 인출장치(200)에 의해 인출된다. 이것에 의해, 육묘 포트(21)의 횡 1열분의 모든 모종(22)이 인출되게 된다.
이 때, 종이송 구동축(151)과 함께 화살표 E 방향으로 회동하고 있는, 종이송 구동축(151)의 우단에 고정되어 있는 종이송 구동 암(150)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견제 롤러(152)가 이송 암(140)의 제 1 오목부(143a)와의 접촉을 개시한 후, 조금 늦게 이송 로드 암(130)의 만곡 가장자리부(131a)와의 접촉을 개시하는 구성이므로, 트레이 이송구(121)는 이송 암(140)의 시계 방향의 회동에 따라 일단 상승 이동한 후, 선단부의 선단 축부(142)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을 개시한다.
즉, 트레이 이송구(121)가 화살표 121a0[도 7(b), 도 8 참조]의 방향으로 일단 상승 이동함으로써, 그때까지 노치부(112a)[도 7(b) 참조]에 유지되어 있던 트레이 이송구(121)의 돌기부(121ab)[도 7(b) 참조]가 노치부(112a)로부터 빠져 나감과 아울러, 그때까지 육묘 포트(21)의 이면측의 간극(21a)에 대기하고 있던 트레이 이송구(121)의 중앙부(121a)도, 그 간극(21a)의 범위 내에서 화살표 121a0의 방향으로 상승 이동한다. 그 후에 이송 로드 암(130)이 선단부의 선단 축부(142)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을 개시함으로써 트레이 이송구(121)의 중앙부(121a)는 화살표 121a1(도 8 참조)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노치부(112a)의 홈 깊이는 트레이 이송구(121)의 중앙부(121a)가 간극(21a)의 범위 내에서 이동할 수 있는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그 후, 견제 롤러(152)가 더욱 회동을 계속하면, 견제 롤러(152)가 이송 로드 암(130)의 만곡 가장자리부(131a)와의 접촉을 계속하고 있기 때문에 트레이 이송구(121)의 중앙부(121a)는 퇴피 홈(111a)에 위치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 때, 동시에 견제 롤러(152)가 이송 암(140)의 제 1 오목부(143a)로부터 제 2 볼록부(143b)를 향해서 이동하므로 이송 암(140)은 더욱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트레이 이송구(121)의 중앙부(121a)는 결과적으로 퇴피 홈(111a)에 위치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화살표 121a2(도 8 참조)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후, 견제 롤러(152)가 더욱 회동을 계속하면, 견제 롤러(152)가 이송 로드 암(130)의 만곡 가장자리부(131a)와 비접촉 상태로 됨과 동시에, 이송 로드 암 인장 스프링(161)의 복원력에 의해 이송 로드 암(130)이 선단부의 선단 축부(142)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순식간에 회동함으로써 트레이 이송구(121)의 중앙부(121a)는 간극(21a)으로부터 육묘 포트(21)의 1열분만큼 상측에 위치하는 간극(21b)을 향해서 화살표 121a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한다.
그 후, 견제 롤러(152)가 더욱 회동을 계속하면, 견제 롤러(152)는 이송 암(140)의 제 3 오목부(143c)와 접촉하면서 이동하므로 이송 암 인장 스프링(160)의 복원력에 의해 이송 암(140)이 하방으로 잡아당겨져서 트레이 이송구(121)의 중앙부(121a)는, 결과적으로 간극(21b)에 위치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화살표 121a4(도 8 참조)의 방향으로 이동함과 아울러, 트레이 이송구(121)의 중앙부(121a)의 돌기부(121ab)가 노치부(112a)에 유지된다.
그리고, 화살표 121a4(도 8 참조)의 방향으로 이동한 트레이 이송구(121)의 중앙부(121a)는 육묘 포트(21)의 이면측의 육묘 포트끼리의 간극에 위치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고, 모종 적재대(110)가 화살표 G 방향, 즉 좌측 방향으로 이동을 개시하면 인출장치(200)는 좌단의 육묘 포트(21)로부터 순차적으로 모종(22)을 인출하여 식부장치(7)에 모종(22)을 공급하고, 그 후에 모종 적재대(110)가 최좌단 으로 이동한 시점에서 최우단의 육묘 포트(21)의 모종(22)이 인출장치(200)에 의해 인출된다. 이에 따라 육묘 포트(21)의 횡 1열분의 모든 모종(22)이 인출되게 된다.
또한, 이 동안은 트레이 이송구(121)의 중앙부(121a)의 돌기부(121ab)가 노치부(112a)에 유지되어 있으므로, 육묘 포트(21)에 넣어져 있는 모종(22)의 무게에 의해 트레이(20)가 아랫쪽으로 벗어나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육묘 포트(21)의 횡 1열분의 모든 모종(22)이 인출되면, 상기와 달리 종이송 구동축(151)의 중앙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종이송 구동 암(150)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견제 롤러(152)가 이송 로드 암(130)의 만곡 가장자리부(131a)와 이송 암(140)의 제 1 오목부(143a)의 접촉을 개시한다.
상기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트레이(20)는 우측 방향 또는 좌측 방향으로 이동됨과 아울러 육묘 포트(21)의 1열분만큼 간헐적으로 종이송된다.
이것에 의해, 콤팩트한 구조의 트레이 종이송 장치(120)가 얻어진다. 또한, 안내 레일(155)과, 리드 캠축(171)의 간단한 구조로 트레이 반송로(111)를 좌우 이동할 수 있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트레이 이송구(121)의 중앙부(121a)는 트레이 반송로(111)의 평면부(111b)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트레이(20)가 내측으로 휠 일이 없으므로 육묘 포트(21)의 이면측에 있어서 일정 폭의 간극(21a, 21b)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트레이 이송구(121)가 간극(21a, 21b)에 확실하게 들어갈 수 있다.
또한, 트레이 반송로(111)의 평면부(111b)의 하류측에 곡면부(111c)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트레이(20)는 그 곡면을 따라 휜다. 그 때문에, 트레이 이송시에 트레이 이송구(121)가 화살표 121a2의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을 때라도 그 휨이 저항으로 되어서 트레이(20)가 하류측으로 벗어나는 것이 방지된다.
이어서, 도 12를 참조하면서 조작 핸들(8)의 좌우 한쌍의 핸들 그립(8L, 8R)의 근방에 배치된 각종 조작 레버, 및 조작부(6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조작 핸들(8)의 좌우 한쌍의 핸들 그립(8L, 8R)의 근방에 배치된 각종 조작 레버, 및 조작부(600)를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핸들(8)의 좌측의 핸들 그립(8L)의 근방에는 주클러치 레버(80)가 설치되고, 우측의 핸들 그립(8R)의 근방에는 유압 승강 실린더(10)를 작동시키는 승강 조작 레버(81)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 조작 레버(81)는 「하강」, 「중립」, 「상승」의 3단계로 수동 스위칭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하강」 위치로 스위칭되면 유압 승강 실린더(10)가 주행차체(15)를 하강시키기 위해 작동하고, 후술하는 센서판(710)(도 13 참조)에 의해 하강이 정지됨과 아울러, 후술하는 식부 온오프 버튼(620)(도 12 참조)이 ON 상태이면 식부 클러치(420)가 「온」 상태로 되고, 식부 작업이 개시된다.
또한, 승강 조작 레버(81)를 「중립」 위치로 스위칭하면 식부 작업을 정지시키고, 「상승」 위치로 스위칭하면 유압 승강 실린더(10)가 주행차체(15)를 상승시키기 위해 작동한다.
또한,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패널(601)에는 그 좌단으로부터 우단을 향해서 순차적으로, (1) 주행차체(15)의 주행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식부구(11)만 작동시키기 위한 빈 식부 조작 버튼(610)과, (2) 승강 조작 레버(81)가 주행차체(15)를 하강시키는 하강 조작 위치로 조작되었을 때에 그 하강 조작에 연동해서 식부구(11)를 작동시키는 상태와 그 하강 조작에 연동시키지 않은 상태 중 어느 하나로 스위칭하는 식부 온오프 버튼(620)과, (3) 적어도 식부 주간을 표시하는 표시부(630)와, (4) 적어도 식부 주간을 조절하는 조절 버튼(640)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식부 온오프 버튼(620)은 빈 식부 조작 버튼(610)과 전기적으로는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빈 식부 조작 버튼(610)을 ON 조작할 때에는 식부 온오프 버튼(620)도 ON 조작함으로써 식부구(11)가 작동한다.
여기에서, 표시부(630)에 대해서 더욱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모종 이식기(1)에서는 변속 레버(190)에 의해 저속 주행에 의한 식부 작업을 행하는 「식부 1」이 지정되는지, 그렇지 않으면 고속 주행에 의한 식부 작업을 행하는 「식부 2」가 지정되는지에 따라, 표시부(630)에 표시 가능한 식부 주간의 범위를 다르게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변속 레버(190)를 「식부 1(저속 주행)」로 설정했을 때에는, 작업자가 설정 가능한 식부 주간의 범위는 22㎝∼40㎝이며, 변속 레버(190)를 「식부 2(고속 주행)」으로 설정했을 때에는, 작업자가 설정 가능한 식부 주간의 범위는 32㎝∼70㎝인 것이, 제어부(800)의 메모리부(810)에 미리 초기 설정되어 있다. 이들 초기 설정값은 각각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식부 1」과 「식부 2」의 속도비를 변경했을 경우, 조작부(600)에 있어서 식부 주간의 범위를 변경하는 모드로 바꾼 후, 조절 버튼(640)을 사용하여 식부 주간의 범위를 각각 독립하여 변경 설정할 수 있는 구성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변속 레버(190)가 「식부 1」과 「식부 2」의 어느 것으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제 1 변속 스위치(198)와 제 2 변속 스위치(199)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따라 판정한 제어부(800)(도 14 참조)는, 표시부(630)에 대하여 그 판정 결과에 대응한 지령을 낸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설정 가능한 식부 주간의 범위가 표시된다.
즉, 표시부(630)의 좌측 절반의 영역에 작업자가 설정 가능한 식부 주간의 범위인 상한과 하한이 동시에 표시되고, 또한, 우측 절반의 영역에 식부 주간의 센터값을 가상의 값으로서 표시하는 구성이다.
작업자는 표시부(630)의 좌측 절반의 표시 영역에 표시된 식부 주간의 범위 내에 있어서 표시부(630)의 우측 절반의 표시 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가상의 값을, 원하는 주간(株間)으로 변경하기 위해 조절 버튼(640)을 조작한다.
이와 같이 해서 작업자에 의해 설정된 식부 주간을 실현하기 위해서, 제어부(800)는 (i) 조절 버튼(640)에 의해 설정된 식부 주간의 수치정보와, (ii) 변속 레버(190)에 의해 「식부 1」과 「식부 2」의 어느 것이 설정되었는지를 판정하기 위한 제 1 변속 스위치(198)와 제 2 변속 스위치(199)로부터의 ON 신호의 유무를 이용하여, 식부 클러치(420)를 「온」 상태로 하기 위한 솔레노이드(470)의 작동 주기를 결정하고, 그 결정한 작동 주기에 따라서 솔레노이드(470)를 통전시킨다.
이것에 의해, 변속 레버(190)에 의해 지정된 주행 속도(「식부 1(저속)」, 「식부 2(고속)」)에 대응한 식부 주간의 범위가 표시 가능한 표시부(630)를 이용함으로써 지정된 주행 속도에 대응한 식부 주간의 범위 내에서 작업자는 적정한 식부 주간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행 속도를 느린 모드로 설정했을 때에는 좁은 식부 주간에서 식부하게 된다. 그 때문에, 식부구의 작동 속도가 극단적으로 빨라지지 않으므로 식부 정밀도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또한, 주행 속도를 빠른 모드로 설정했을 때에는 넓은 식부 주간에서 식부하게 된다. 그 때문에,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모종 이식기(1)에 의하면, 예를 들면 좁은 식부 주간에서 식부하고 싶을 때에는 주행 속도를 느리게 하여 식부구의 작동 속도가 극단적으로 빨라지지 않도록 하여 식부 정밀도의 향상을 꾀할 수 있고, 넓은 식부 주간에서 식부하고 싶을 때에는 주행 속도를 빨리해서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포장이나 주행 속도 등의 작업 조건에 대응하여 적정한 식부 주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경사지에 있어서 식부 작업을 행할 경우, 오름 경사면과 내림 경사면에서 같은 식부 주간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주행차체(15)의 슬립을 고려한 식부 주간의 설정이 필요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식부 1」과 「식부 2」에 의해 쌍방에 대응하는 식부 주간의 범위에 있어서 중복된 범위를 설정함으로써, 오름 경사면과 내림 경사면에서 같은 식부 주간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는, 본실시형태에서는 중복된 식부 주간의 범위는 32㎝∼40㎝이다. 여기에서, 오름 경사면에서는 슬립을 고려하여 변속 레버(190)를 고속주행이 가능한 「식부 2(고속)」로 설정하고, 식부 주간을 33㎝로 설정한다.
한편, 내림 경사면에서는 슬립을 고려하여 변속 레버(190)를 저속주행이 가능한 「식부 1(저속)」로 설정하고, 식부 주간을 30㎝로 설정한다.
이에 따라, 실제의 식부 주간은 오름 경사면에서 31.5㎝, 내림 경사면에서 31.5㎝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식부 1」과 「식부 2」에 의해, 식부 주간의 조절 범위를 다르게 함으로써 경사지의 오름 내림에 대응하는 것 이외에, 넓은 주간에서 식부할 때에는 주행 속도를 빨리해서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메모리부(810)는 본 발명의 수용부의 일례에 해당하고, 본 실시형태의 제어부(800)는 본 발명의 결정부의 일례에 해당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조절 버튼(640)은 본 발명의 주간 스위칭부의 일례에 해당한다.
여기에서, 다시 조작패널(601)의 설명으로 되돌아간다. 즉, 상기 구성에 의해 식부 온오프 버튼(620)이 조작패널(601)의 중앙부 부근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조작이 하기 쉽다.
또한, 빈 식부 조작 버튼(610)이 다른 조작 버튼이 배치된 상면(601a)과는 다른 후면(601b)의 좌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작업자에 의한 오조작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630)가 조작패널(601)의 중앙 부근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확인하기 쉽다.
조절 버튼(640)은 상측에 주간을 넓히는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상승」푸시 스위치(640a)와, 하측에 주간을 좁히는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하강」푸시 스위치(640b)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상승」 푸시 스위치(640a), 「하강」 푸시 스위치(640b)를 조작함으로써 주간을 나타내는 수치가 다이렉트로 표시부(630)에 표시되므로 작업자가 주간을 인식하기 쉽다.
이어서, 주로 도 13, 도 14를 참조하면서 식부 깊이 조정기구(700)와, 식부 온오프 버튼(620)과, 승강 조작 레버(81) 등의 조작에 의거하여 식부의 온오프를 행하는 솔레노이드(470) 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80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3은 식부 깊이 조정기구(7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며, 도 14는 제어부(800)에의 입출력을 설명하는 개략 블럭도이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식부 깊이 조정기구(700)는 (1) 포장면(701)에 접함으로써 모종의 식부 깊이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저면이 완만하게 만곡된 센서판(710)과, (2) 측면으로 볼 때에 대략 L자 형상의 판 형상 부재로서 L자의 굴곡부가 회동 지지축(721)에 의해 주행차체(15)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후방으로 연장되는 일단부(722)가 센서판(710)의 전단부(711)와 회동 지지축(722a) 을 통해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과 아울러, 상방으로 연장되는 타단부(723)가 작업자가 수동으로 조작해서 센서판(710)의 수직(상하) 방향의 위치를 설정하는 깊이 레버(730)의 움직임을 전달하는 전달 로드(740)의 선단부(741)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깊이 암(720)과, (3) 깊이 암(720)을 주 프레임(17)으로부터 요동 가능하게 매어다는 스프링(750)과, (4) 측면으로 볼 때에 대략 L자 형상의 판 형상 부재로서 L자의 굴곡부가 회동 지지축(761)에 의해 주행차체(15)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회동 지지축(761)의 하부에 장공(762)이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단부(763)에 연결된 인장 스프링(766)에 의해 회동 지지축(761)을 축심으로서 화살표 Y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바이어싱되고, 유압 스위칭 밸브부(40)에 구비된 승강 조작 밸브(도시생략)에 대하여 전단부(764)가 로드(765)로 연결된 카운터 암(760)과, (5) 카운터 암(760)의 장공(762)의 전단측에 온오프 검지 레버(771)가 위치하도록 카운터 암(760) 상에 배치된 식부 스위치(770)와, (6) 일단부(781)에 설치된 연결핀(781a)이 장공(762) 내에 삽입되고, 타단부(782)가 연결축(783)을 통해서 센서판(710)의 상단부(712)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센서 로드(78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센서 로드(780)가 센서판(710)의 윗쪽 방향으로의 요동에 의한 센서판(710)의 상단부(712)의 화살표 Z 방향의 요동에 연동함으로써 그 일단부(781)의 전단 가장자리부(781b)가 온오프 검지 레버(771)를 누르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식부 스위치(770)를 ON시키는 구성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깊이 암(720)이 스프링(750)에 의해 매달려 있으므로 깊이 암(720)과 깊이 레버(730)의 연결 부분의 덜컹거림을 없애서 깊이 레버(730)에 의해 설정된 깊이가 안정된다. 또한, 스프링(750)은 깊이 암(720)을 매어다는 구성이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깊이 암(720)을 주프레임측에 압박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 구성에 의하면 카운터 암(760)은 센서판(710)을 밀어내리는 방향으로 인장 스프링(766)에 의해 잡아당겨져 있으므로, 센서 로드(780)와 카운터 암(760)에 의한 덜컹거림을 없앨 수 있다.
또한, 인장 스프링(766)의 탄성력을 바꿈으로써 센서판(710)을 누르는 힘을 바꿀 수 있다.
이어서, 도 14를 참조하면서 조작패널(601)의 하방에 설치된 제어부(800)에 의한 솔레노이드(470)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부(800)에는 적어도 식부 온오프 버튼(620)으로부터의 온오프 신호와, 승강 조작 레버(81)의 스위칭 신호와, 식부 스위치(770)로부터의 온오프 신호가 입력되고, 이들 입력 신호에 의해 솔레노이드(470)에 펄스 신호가 출력되는 구성이다.
이상의 구성을 기초로, 주로 도 12∼도 14를 참조하면서 제어부(800)의 동작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모종 이식기(1)를 포장의 소정 위치에 이동시킨 후, (1) 식부 작업을 개시하려고 하는 장면, 그 후에 (2) 포장 내를 식부 작업하면서 주행하는 장면, 그리고, (3) 이랑의 끝까지 와서 선회하는 장면으로 나누어서 설명한다.
(1) 식부 작업을 개시하려고 하는 장면:
모종 이식기(1)를 포장의 소정 위치로 이동시켰을 때, 식부 온오프 버튼(620)은 「온」 상태에, 승강 조작 레버(81)는 「상승」 위치에 각각 설정되어 있고, 주행차체(15)의 차고는 높은 위치에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작업자는 변속 레버(190)를 「식부 1」로 설정했다고 한다. 이에 따라 제 1 변속 스위치(198)가 ON으로 되고, 제 2 변속 스위치(199)가 OFF로 되며, 제 1 변속 스위치(198)로부터만 ON 신호가 제어부(800)에 보내진다. 제어부(800)는 제 1 변속 스위치(198)로부터의 ON 신호를 수취하고, 또한 제 2 변속 스위치(199)로부터의 ON 신호를 수취하지 않았으므로 「식부 1(저속)」이 설정되었다고 판정하고, 메모리부(810)에 미리 격납되어 있는 「식부 1(저속)」에 대응하는 식부 주간의 범위 「22㎝∼40㎝」를 판독하여 표시부(630)의 좌측 절반의 표시 영역에 표시시킨다.
작업자는 표시부(630)에 표시된 식부 주간의 범위를 보고 원하는 식부 주간인 50㎝가 그 범위에 들어 있지 않은 것을 확인한 후, 변속 레버(190)를 조작하여 「식부 2(고속)」로 스위칭한다. 그렇게 하면 이번에는 표시부(630)의 좌측 절반의 표시 영역에 식부 주간의 범위 「32㎝∼70㎝」가 표시됨과 아울러 우측 절반의 표시 영역에 식부 주간의 가상의 값으로서 51㎝가 표시된다.
작업자는 조절 버튼(640)을 눌러서 가상의 값인 51㎝를 스스로가 원하는 50㎝로 변경한다. 이에 따라 식부 주간의 설정이 완료된다.
다음에 작업자가 승강 조작 레버(81)를 「하강」 위치로 조작하여 주행차체(15)의 차고를 낮춤으로써 센서판(710)이 주행차체(15)와 함께 포장면(701)을 향해서 내려간다.
센서판(710)이 포장면(701)에 접하면 센서판(710)의 전단부(711)가 화살표 Z 방향(도 13 참조)으로 회동하므로 센서 로드(780) 전단 가장자리부(781b)가 온오프 검지 레버(771)를 누르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식부 스위치(770)를 ON시킴으로써 식부 스위치(770)로부터의 ON 신호가 제어부(800)에 입력된다.
제어부(800)는 식부 온오프 버튼(620)으로부터 「온」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와, 승강 조작 레버(81)로부터 「하강」 위치를 나타내는 신호와, 식부 스위치(770)로부터 「ON」 신호를 AND 조건 하에서 접수함으로써 솔레노이드(470)를 통전시키는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식부 클러치(420)는 「오프」 상태로부터 「온」 상태로 바뀌고, 식부 작업이 개시된다.
즉, 제어부(800)가 상기 각종 신호를 받아서 식부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단하면, 우선 식부 클러치(420)를 「온」 상태로 바꾸어서 식부구(11)를 작동시키는 구성으로 했으므로, 작업자가 승강 조작 레버(81)를 조작하거나 해서 식부 작업을 개시했을 때에 바로 식부구(11)가 1포기째의 모종을 이식한다. 이것에 의해, 포장의 끝으로부터 식부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센서판(710)과 식부 스위치(770)를 포함하는 구성은 본 발명의 높이 검출부의 일례에 해당한다.
(2) 포장 내를 식부 작업하면서 주행하는 장면:
여기에서는, 승강 조작 레버(81)는 「하강」 위치에 있고, 센서판(710)은 포장면(701)의 요철을 따라 상하동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제어부(800)는 솔레노이드(470)에 대하여 소정의 작동 주기로 통전시키기 위해 펄스 신호를 그 작동 주기로 출력한다. 따라서, 식부 클러치(420)는 솔레노이드(470)가 통전됨으로써 「온」 상태로 됨과 아울러 간헐용 캠(441)이 회동을 개시해서 1회전을 종료하면(즉, 모종의 식부 동작을 1회 종료하면) 「오프」 상태로 되돌아온다고 하는 일련의 동작을 상기 작동 주기로 반복한다.
이것에 의해 식부 작업이 간헐적으로 행하여져서 원하는 식부 주간이 실현된다.
여기에서, 소정의 작동 주기는 작업자에 의해 지정된 「식부 2(고속)」에 대응한 주행 속도, 및 작업자에 의해 선택된 식부 주간의 값인 50㎝에 의거하여 제어부(800)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소정의 작동 주기는 제어부(800) 내의 타이머에 의해 카운트된다.
센서판(710)의 상하동에 따라 유압 승강 실린더(10)가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즉, 센서판(710)이 상방으로 움직이면 센서판(710)의 전단부(711)가 회동 지지축(722a)을 중심으로 화살표 Z 방향으로 이동함과 아울러, 센서 로드(780)의 일단부(781)에 설치된 연결핀(781a)이 장공(762)의 전방 가장자리부를 누르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카운터 암(760)이 회동 지지축(761)을 축심으로 해서 도 13 중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이 움직임이 로드(765)를 통해서 유압 스위칭 밸브부(40)에 구비된 승강 조작 밸브(도시생략)에 전달되어서 유압 승강 실린더(10)가 신장되는 방향으로 작동하여 주행차체(15)의 차고가 높아진다.
한편, 센서판(710)이 하방으로 움직이면 센서판(710)의 전단부(711)가 회동 지지축(722a)을 중심으로 화살표 Z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함과 아울러, 센서 로드(780)의 일단부(781)에 설치된 연결핀(781a)이 장공(762)의 전방 가장자리부에서 벗어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인장 스프링(766)의 인장력에 의해 카운터 암(760)이 회동 지지축(761)을 축심으로 해서 화살표 Y 방향으로 회동하고, 이 움직임이 로드(765)를 통해서 유압 스위칭 밸브부(40)에 구비된 승강 조작 밸브(도시생략)에 전달되어서 유압 승강 실린더(10)가 짧아지는 방향으로 작동하여 주행차체(15)의 차고가 낮아진다.
상기 동작에 의해 포장면(701)에 요철이 있어도 모종의 식부 깊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3) 이랑의 끝까지 와서 선회하는 장면:
이 장면에서는, 작업자는 식부 작업을 중단시키기 위해서 승강 조작 레버(81)를 「하강」 위치로부터 「중립」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제어부(800)는 승강 조작 레버(81)로부터의 「중립」 위치를 나타내는 신호를 받아서 솔레노이드(470)에 대한 펄스 신호의 출력을 정지한다. 이에 따라, 식부 클러치(420)는 「온」 상태로부터 「오프」 상태에 바뀐 후에는 「오프」 상태를 계속해서 유지하므로 식부 작업이 중단된다.
또한, 작업자는 주행차체(15)를 옆의 이랑을 향해서 선회시키기 위해서 승강 조작 레버(81)를 「중립」위치로부터 「상승」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 승강 조작 레버(81)의 조작에 따른 케이블(82)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유압 스위칭 밸브부(40)에 구비된 승강 조작 밸브(도시생략)가 작동하고, 유압 승강 실린더(10)가 신장되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주행차체(15)의 차고가 높아진다.
이 때, 센서판(710)은 내려가고, 식부 스위치(770)가 OFF 상태로 되지만, 제어부(800)로부터는 아무것도 신호는 출력되지 않는다.
또한, 식부 클러치(420)는 「오프」 상태를 유지하고 있고, 식부 작업이 중단한 채의 상태가 계속되고 있다.
그래서 작업자는 주행차체(15)를 선회시킨다.
이어서 작업자는, 승강 조작 레버(81)를 「상승」 위치로부터 「중립」 위치를 거쳐서 「하강」 위치로 이동시키면, 승강 조작 레버(81)의 조작에 따른 케이블(82)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유압 스위칭 밸브부(40)에 구비된 승강 조작 밸브가 작동하고, 유압 승강 실린더(10)가 짧아지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주행차체(15)의 차고가 낮아지기 시작한다. 또한, 승강 조작 레버(81)의 상기 조작에 의해 승강 조작 레버(81)가 「하강」 위치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가 제어부(800)에 대하여 출력된다.
그리고, 주행차체(15)의 차체가 강하하여 이윽고 센서판(710)이 포장면(701)에 접하면, 상기 항목 (1)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식부 스위치(770)가 ON하고, 그 신호가 제어부(800)에 입력된다.
식부 온오프 버튼(620)은 「온」 상태 그대로이므로, 제어부(800)는 식부 온오프 버튼(620)으로부터 「온」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와, 승강 조작 레버(81)로부터 「하강」 위치를 나타내는 신호와, 식부 스위치(770)로부터 「ON」 신호를 AND조건 하에서 접수함으로써 솔레노이드(470)를 통전시키는 신호를 출력한다. 즉, 제어부(800)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솔레노이드(470)에 대하여 소정의 작동 주기로 통전시키기 위해 펄스 신호를 그 작동 주기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식부 클러치(420)는 「오프」 상태로부터 「온」 상태로 바뀌고, 다시 식부 작업이 개시된다.
또한, 이 경우 작업자가 승강 조작 레버(81)를 조작하거나 해서 다시 식부 작업을 개시했을 때, 제어부(800) 내의 타이머의 카운트가 리셋되는 구성으로 했으므로, 다음 이랑에서도 바로 식부구(11)가 1포기째의 모종을 이식한다. 이에 따라 항상 포장의 끝으로부터 식부 동작을 개시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식부 온오프 버튼(620)을 「온」 상태에 해 둠으로써 승강 조작 레버(81)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상기의 (1) 식부 작업을 개시하고나서, 그 후에 (2) 포장 내를 식부 작업하면서 주행하고, 그리고, (3) 이랑의 끝까지 와서 선회한 후, 다시 식부 작업을 한다고 하는 일련의 작업을 연속해서 행할 수 있다.
이어서, 엔진(12)과 미션 케이스(4)(도 2 참조) 사이에 유압 펌프(850)를 배치한 구성에 대해서 주로 도 15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엔진(12)과 미션 케이스(4) 사이에 유압 펌프(850)를 배치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전동 벨트(855)는 엔진(12)으로부터의 구동력을 받아서 회전하는 엔진 풀리(860)와 주전동 케이스(4)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미션 풀리(865) 사이에 걸려 있다. 제 2 전동 벨트(870)는 엔진(12)으로부터의 구동력을 받아서 회전하는 엔진 풀리(860)와 유압 펌프(850)을 회전시키기 위한 유압 풀리(875) 사이에 걸려 있다.
제 1 전동 벨트(855)와 제 2 전동 벨트(870)는 좌우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1 텐션 암(880)의 선단부에는 제 1 전동 벨트(855)에 텐션을 가하기 위한 제 1 텐션 풀리(881)가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제 2 텐션 암(882)의 선단부에는 제 2 전동 벨트(870)에 텐션을 가하기 위한 제 2 텐션 풀리(883)가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제 1 텐션 암(880)과 제 2 텐션 암(882)은 좌우 병렬로 배치되고, 또한 같은 축(885)을 중심으로 해서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동력 전동기구의 구성의 간략화를 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컴팩트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기체 제어기구(500)에 대해서 도 2에 나타낸 구성의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16(a)∼도 16(c)에 나타내는 구성이라도 좋다.
여기에서, 도 16(a)∼도 16(c)는 기체 제어기구(500)의 별도의 기체 제어기구(900)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6(a)은 별도의 기체 제어기구(900)의 개략 평면도, 도 16(b)는 별도의 기체 제어기구(900)의 개략 측면도, 도 16(c)는 유압 로드 장치(910L)의 개략 확대 부분 측면도이며, 이하,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압 승강 실린더(10)의 실린더 로드단(901)은 스프링(902)을 통해서 좌우로 연장되는 횡로드(903)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횡로드(903)의 좌우 양단부에는 좌우 한쌍의 스윙 암(904)과의 사이를 연결하는 유압 로드 장치(910L, 910R)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좌측의 유압 로드 장치(910L)와 횡로드(903) 사이에는 비스듬히 서브 실린더(906)가 배치되어 있다.
도 1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압 로드장치(910)의 전후 방향으로의 요동에 대응하여 스윙 암(904)이 회동축(905)을 중심으로 전후 요동하고, 이것에 연동해서 주행 전동 케이스(9)가 회동함으로써 후륜(3)이 상하 요동하는 구성이다.
또한, 도 1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압 로드장치(910)는 (1) 스윙 암(904)의 상단부의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좌우 한쌍의 플레이트(911L, 911R)와, (2) 좌우 한쌍의 플레이트(911L, 911R) 사이에 배치된 연장 로드부(912)와, (3) 그 연장 로드부(912)의 후단부(912a)가 너트(913)를 통해서 신축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유압 로드부(914)와, (4) 연장 로드부(912)의 플랜지부(912b)와 좌우 한쌍의 플레이트(911L, 911R)의 플랜지부[911La(911Ra)]를 이용하여 좌우 한쌍의 플레이트(911L, 911R)와 연장 로드부(912)의 외주에 끼워 넣어진 스프링 받이용 와셔(915)와, (5) 스프링 받이용 와셔(915)의 사이에 삽입되어 좌우 한쌍의 플레이트(911L, 911R)와 연장 로드부(912)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압축 스프링(916)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후륜(3)의 미세한 상하동을 압축 스프링(916)에 의해 흡수할 수 있으므로, 주행차체(15)의 미세한 요동이 억제되고, 좌우 경사 센서(41)의 작동에 의한 서브 실린더(906)의 빈번한 동작을 완화한다고 하는 버퍼적인 기능을 발휘한다.
또한, 너트(913)를 조작함으로써 연장 로드부(912)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면 포장의 조건에 따라 주행차체(15)의 흔들림을 억제하고 싶을 때에는 너트(913)를 강하게 조임으로써 압축 스프링(916)에 의한 버퍼적 기능을 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륜(3)이 포장면의 요철에 따라 빈번히 상하동하면, 그 상하 이동이 그대로 주행차체(15)에 전해져서 좌우 경사 센서(41)가 빈번히 작동하고, 그것에 연동하여 수평용 유압실린더(14)가 빈번히 작동하여 주행차체(15)의 좌우의 흔들림을 완화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식부구(11)의 내벽면에 부착된 진흙 등을 쓸어내기 위한 스크레이퍼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구성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스크레이퍼(도시생략)를 식부구(11)의 좌측(좌우 한쪽)에 배치하고, 식부구(11)의 선단부가 전후로 개방되어서 상승할 때에 스크레이퍼가 식부구(11)의 선단부로부터 식부구(11)의 내부로 진입해서 내벽면에 부착된 진흙 등을 쓸어내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 구성의 경우, 식부구(11)의 좌측으로 퇴피되어 있는 스크레이퍼에 진압륜(13)이 간섭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기 위해, 진압륜 부착 프레임(도시생략)을 스크레이퍼의 더욱 좌측(좌우 한쪽)으로 피하는 위치에 배치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트레이 공급장치(100)의 트레이 반송로(111)는 퇴피 홈(111a)과 평면부(111b)와 곡면부(111c)를 구비하고 있을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부(111b) 상단부의 양측으로부터 비스듬하게 위쪽으로 연장된 트레이 가이드 앵글(111e)을 더 구비한 구성이라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해, 간단하고 경량인 구성이면서 보다 많은 모종(22)을 트레이 공급장치(100)에 탑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이식물로서 야채 등의 모종을 사용했을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씨감자 등 어떠한 이식물이라도 좋다.
(실시형태 2)
본 실시형태 2에서는 상기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모종 이식기(1)의 트레이 공급장치(100)의 변형예로서의 제 2 트레이 공급장치(1100)를 구비한, 본 발명의 이식기의 일례인 제 2 모종 이식기에 대해서 도면을 이용하여 그 구성과 동작을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 2의 제 2 모종 이식기(101)에 있어서 상기 실시형태 1의 모종 이식기(1)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 2에서는, 최초로 도 18∼도 21을 사용하여 모종 적재대(110)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리드 캠축(171)의 회전속도를 바꾸는 제 2 기어기구(1182)에 대하여 설명하고, 이어서 도 22를 사용하여 트레이 종이송 장치(120)의 동작에 연동하여 트레이(20)의 세로 방향으로의 이동을 적정한 타이밍에서 규제하기 위하여 트레이(20)에 주는 압박력을 변화시키는 트레이 누름 장치(92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8은 본 실시형태 2의 제 2 모종 이식기(101)의 평면도이며, 도 19는 도 18 중에 나타낸 Q부의 제 2 기어기구(1182)에 있어서의 동력의 전달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 부분 단면도이다.
또한, 도 19는 Q부를 주행차체(15)의 전방측에서 본 도면임과 아울러, 주로 동력의 전달경로를 알기 쉽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므로, 각 기어의 맞물림에 대해서는 도 20에 나타낸 A1-A2-A3 부분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고, 슬라이드 레버(540)의 도시는 생략했다.
또한, 도 20은 도 18 중에 나타낸 Q부의 확대 우측면도이며, 도 21은 도 20의 슬라이드 레버(540)를 R방향으로부터, 즉 주행차체(15)의 후방측에서 보았을 때의 배면도이다.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종 이송 전동 케이스(180)의 내부에는,
(i) 엔진(12)으로부터의 구동력을 종이송 구동축(151)의 선단부에 고정된 스프로킷(183)에 전달하는 종이송 구동 체인 벨트(181)와,
(ii) 스프로킷(183)에 전달된 구동력을 스위칭 장치(510)에 전달하기 위해서 스프로킷(183)에 인접 배치됨과 아울러 종이송 구동축(151)에 고정된 전달 기어(184)와,
(iii) 트레이 반송로 이동장치(170)(도 18 참조)에 의한 모종 적재대(110)의 횡이송량을 바꾸는, 즉 리드 캠축(171)의 회전수를 바꾸기 위한 스위칭 장치(510)[단, 후술하는 슬라이드 이동기구(530)는 제외한다]와,
(iv) 스위칭 장치(510)에 의해 변속된 구동력을 다른 경로에서 수취하기 위한 리드 캠축(171)의 선단부에 인접 배치되어서 고정되어 있는 소경 기어(185a) 및 대경 기어(185b)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또한, 스위칭 장치(510)는 도 19,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i) 엔진(12)으로부터의 구동력을 스프로킷(183)을 통해서 전달 기어(184)로부터 수취하는 구동 기어(511)가 샤프트에 대하여 스플라인 접속됨과 아울러, 그 샤프트의 축방향에 그 샤프트 자체가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된 스위칭 전동 샤프트(520)와,
(ii) 스위칭 전동 샤프트(52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헐겁게 끼워진 전동비가 다른 제 1 스위칭 기어(512a) 및 제 2 스위칭 기어(512b)와,
(iii) 스위칭 전동 샤프트(520)를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한 모종 이송 전동 케이스(180)의 외측에 배치된 슬라이드 이동기구(530)(도 20 참조)를 갖고 있다.
또한, 스위칭 전동 샤프트(520)의 외주 표면에는 축방향으로 긴 대략 타원형의 돌기부(키부)(521)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스위칭 전동 샤프트(520)가 회동 가능하게 삽입된 제 1 스위칭 기어(512a)와 제 2 스위칭 기어(512b)의 각각의 중심부의 관통구멍의 내벽면에는 돌기부(521)에 끼워맞추는 오목부(도시생략)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위칭 전동 샤프트(520)의 외단부측의 전체 둘레에는,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끝 가장자리부(523)의 내측에 소정 폭의 홈부(522)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모종 이송 전동 케이스(180)의 외부에 배치된 슬라이드 이동기구(530)는, 도 20,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i) 스위칭 전동 샤프트(520)를 그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기 위해서 작업자가 수동으로 가동시키는 슬라이드 레버(540)와,
(ii) 슬라이드 레버(540)의 회동지점(541)으로부터 슬라이드 레버(540)에 수직으로 세워서 설치하여 고정된 지지축(542)과,
(iii) 지지축(542)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드 레버(540)측에 배치된 제 1 지지 플레이트(542a), 및 지지축(542)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위칭 전동 샤프트(520)측에 배치된 제 2 지지 플레이트(542b)와,
(iv) 지지축(542)의 선단부의 외주면 상에 고정되고, 그 선단부로부터 지지축(542)에 평행하게 더욱 돌출된 원기둥 형상의 슬라이드 핀(543)과,
(v) 슬라이드 레버(540)의 회동지점(541)보다 기체의 중심 근처이고, 또한 회동지점(541)보다 슬라이드 레버(540)의 파지부(540a)측에 슬라이드 레버(540)에 수직으로 세워서 설치한 스프링 고정 핀(544)과,
(vi) 스프링 고정 핀(544)과 기체측 사이에 부착된 인장 스프링(545)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스위칭 장치(510)는 본 발명의 이송량 스위칭 장치의 일례에 해당하고, 본 실시형태의 구동 기어(511)는 본 발명의 구동 기어의 일례에 해당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스위칭 전동 샤프트(520)는 본 발명의 스위칭 전동 샤프트의 일례에 해당하고, 본 실시형태의 제 1 스위칭 기어(512a), 제 2 스위칭 기어(512b)는 본 발명의 2조의 스위칭 기어의 일례에 해당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슬라이드 레버(540)는 본 발명의 슬라이드 레버의 일례에 해당하고, 본 실시형태의 인장 스프링(545)은 본 발명의 스프링 부재의 일례에 해당한다.
슬라이드 레버(540)의 파지부(540a)가,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방을 향해서 배치된 경우에는, 슬라이드 핀(543)이 도 21에 있어서 비스듬히 좌측 위의 위치(도 21에서는 파선으로 나타냈다)에 있고, 스위칭 전동 샤프트(520)의 홈부(522)의 내측 내벽(522b)을 가장 내측으로 밀어넣은 상태이며[도 21의 홈부(522)의 내측 내벽(522b)의 이동범위 W 참조], 스위칭 전동 샤프트(520)가 도 19, 도 21에 나타내는 화살표 N의 방향으로 한계까지 슬라이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스위칭 전동 샤프트(520)의 돌기부(521)(도 19 참조)가 제 2 스위칭 기어(512b)의 오목부와 끼워맞춰진다.
이것에 대하여, 슬라이드 레버(540)의 파지부(540a)를 도 21에 나타내는 화살표 S의 방향으로 180°회동한 경우에는, 슬라이드 핀(543)이 도 21에 있어서 비스듬히 오른쪽 아래의 위치(도 21에서는 2점 쇄선으로 나타냈다)까지 이동함으로써[도 21의 슬라이드 핀(543)의 이동범위 V 참조], 슬라이드 핀(543)은 스위칭 전동 샤프트(520)의 홈부(522)의 외측 내벽(522a)을 가장 외측까지 밀어낸 상태이며, 스위칭 전동 샤프트(520)가 도 19에 나타내는 화살표 M의 방향으로 한계까지 슬라이딩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스위칭 전동 샤프트(520)의 돌기부(521)가 제 1 스위칭 기어(512a)의 오목부와 끼워맞추어진다.
이와 같이, 슬라이드 레버(540)의 파지부(540a)가 바로 위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제 2 스위칭 기어(512b)를 통해서 저속으로 리드 캠축(171)이 회동하고, 슬라이드 레버(540)의 파지부(540a)가 바로 아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제 1 스위칭 기어(512a)를 통해서 고속으로 리드 캠축(171)이 회동한다. 그리고, 슬라이드 레버(540)로부터 스위칭 전동 샤프트(520)로의 조작 전달 경로에는 슬라이드 핀(543)의 외경보다 큰 홈부(522)의 폭에 의해 구성되는 융통기구가 구성되고, 슬라이드 레버(540)의 회동 조작 도중으로부터 슬라이드 핀(543)이 외측 내벽(522a) 또는 내측 내벽(522b)을 밀어서 스위칭 전동 샤프트(520)를 슬라이딩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슬라이드 레버(540)의 슬라이드량에 관계없이 슬라이드 레버(540)의 조작 스트로크(회동 조작 각도)를 원하는 180도로 설정하고 있다.
따라서, 속도가 바뀐 후에는 슬라이드 레버(540)가 옆으로 튀어나오지 않으므로 방해가 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융통기구는 상술한 바와 같은 홈부(522)의 폭에 의해 구성되는 것 이외에, 슬라이드 레버(540)로부터 슬라이드 핀(543)으로 조작을 연계하는 원호 형상의 장공에 의해 구성해도 좋다. 또한, 상기 장공은 슬라이드 레버(540)에 지지축(542)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하고, 슬라이드 핀(543)이 삽입된 구성으로 하면 좋다. 이 구성에서는 슬라이드 레버(540)는 회동지점(541)을 중심으로 회동하지만, 지지축(542)과는 고정되어 있지 않다. 또한, 슬라이드 핀(543)의 선단부는 스위칭 전동 샤프트(520)의 홈부(52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음과 아울러[이 구성의 경우, 홈부(522)의 홈의 폭은 슬라이드 핀(543)의 선단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정도이면 된다.], 슬라이드 핀(543)의 근본부는 상기와 같이 슬라이드 레버(540)에 형성된 장공에 삽입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드 핀(543)은 지지축(542)의 외주면 상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드 핀(543)이 회동할 때에 간섭하지 않도록, 상술한 제 1 지지 플레이트(542a), 및 제 2 지지 플레이트(542b)(도 20 참조)에는 적당하게 슬릿이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슬라이드 레버(540)를 회동시키면 장공이 동시에 회동하고, 슬라이드 레버(540)의 회동 조작 도중에서 슬라이드 핀(543)의 근본부가 장공의 한쪽의 내벽 또는 다른쪽의 내벽에 눌려서 지지축(542)과 함께 회동함과 동시에, 슬라이드 핀(543)의 선단부가 외측 내벽(522a) 또는 내측 내벽(522b)을 눌러서 스위칭 전동 샤프트(520)를 슬라이드시킨다.
또한, 슬라이드 레버(540)의 표면에는 리드 캠축(171)에 의한 이송 속도의 표시가 2종류, 상하 방향이 각각 역방향으로 나타내어져 있다. 슬라이드 레버(540)가 상향으로 배치되어 있을 때에는 「200」의 숫자를 읽을 수 있는 방향에 있고, 육묘 포트(21)이 종횡으로 200구멍 설치된 모종 트레이(세로 20열×가로 10열)의 가로 방향의 육묘 포트(21)의 피치에 맞춘 모종 적재대(110)의 횡이송량으로 셋트된 것을 의미한다.
또한, 슬라이드 레버(540)가 하향으로 배치되어 있을 때에는 「128」의 숫자를 읽을 수 있는 방향에 있고, 육묘 포트(21)이 종횡으로 128구멍 설치된 모종 트레이(세로 16열×가로 8열)의 가로 방향의 육묘 포트(21)의 피치에 맞춘 모종 적재대(110)의 횡이송량으로 셋트된 것을 의미한다.
이것에 의해, 숫자가 표시되는 방향으로부터 셋트되어 있는 횡이송량이 직감적으로 이해할 수 있어 이해하기 쉽다.
여기에서, 스프링 고정 핀(544)과 기체측 사이에 부착된 인장 스프링(545)에 대해서 더욱 설명한다.
돌기부(521)는, 예를 들면 제 1 스위칭 기어(512a), 또는 제 2 스위칭 기어(512b)의 오목부와 끼워맞출 경우, 회동 방향에 있어서의 상호의 위치가 맞을 때 까지는 끼워맞출 수 없다. 그 때문에 가령 인장 스프링(545)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고 하면, 작업자는 쌍방의 위치가 맞을 때까지 슬라이드 레버(540)를 누르지 않으면 안된다. 또한, 억지로 누르면 슬라이드 레버(540) 등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상술한 인장 스프링(545)을 설치함으로써 슬라이드 레버(540)를 상방 또는 하방의 위치에 셋트했을 때, 돌기부(521)와 제 1 스위칭 기어(512a), 또는 제 2 스위칭 기어(512b)의 오목부가 끼워맞추어질 때까지 일시적으로 대기하고 있는 상태가 유지되도록 인장 스프링(545)의 인장력이 고정 핀(544)에 작용하는 구성이므로, 쌍방의 위치가 맞으면 그 인장력에 의해 돌기부(521)와 오목부의 끼워맞춤이 안전하게 또한 확실하게 행하여진다. 또한, 인장 스프링(545)은 슬라이드 레버(540)의 상방의 위치와 하방의 위치 사이의 대략 중앙[슬라이드 레버(540)가 대략 수평 방향을 향하는 자세]에서 사점을 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스프로킷(183)을 통해서 전달 기어(184)로부터 동력을 수취한 구동 기어(511)는 스위칭 전동 샤프트(520)에 대하여 스플라인 접속되어 있으므로 스위칭 전동 샤프트(520)를 회동시킨다.
그 후에 작업자가 슬라이드 레버(540)를 상방을 향해서 셋트했을 경우, 슬라이드 이동기구(530)에 의해 스위칭 전동 샤프트(520)가 내측(도 19의 화살표 N 참조)을 향해서 시프트된다. 이에 따라, 스위칭 전동 샤프트(520)의 외주 표면에 형성된 돌기부(521)가 제 2 스위칭 기어(512b)측으로 시프트하므로, 같은 방향으로 시프트해 온 돌기부(521)가 제 2 스위칭 기어(512b)의 오목부와 끼워맞추어지고, 스위칭 전동 샤프트(520)의 회동이 제 2 스위칭 기어(512b)를 통해서 대경 기어(185b)에 전달되어 리드 캠축(171)이 저속으로 회동한다.
한편, 작업자가 슬라이드 레버(540)를 하방을 향해서 셋트했을 경우, 슬라이드 이동기구(530)에 의해 스위칭 전동 샤프트(520)가 외측(도 19의 화살표 M 참조)을 향해서 시프트된다. 이에 따라, 스위칭 전동 샤프트(520)의 외주 표면에 형성된 돌기부(521)가 제 1 스위칭 기어(512a)측으로 시프트되므로, 같은 방향에 시프트 해 온 돌기부(521)가 제 1 스위칭 기어(512a)의 오목부와 끼워맞추어지고, 스위칭 전동 샤프트(520)의 회동이 제 1 스위칭 기어(512a)를 통해서 소경 기어(185a)에 전달되어 리드 캠축(171)이 고속으로 회동한다.
다음에, 도 22를 사용하여 트레이 누름 장치(92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2는 본 실시형태 2의 트레이 누름 장치(920)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측면도이다.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트레이 누름 장치(920)는,
(i) 트레이 반송로(111)의 양 옆에 설치된 트레이(20)의 가로 방향으로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는 횡어긋남 방지 가이드판(921)과,
(ii) 횡어긋남 방지 가이드판(921)의 측면에 세워서 설치하여 고정된 스토퍼축(922)과,
(iii) 일단부가 스토퍼축(922)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됨과 아울러 타단부가 횡어긋남 방지 가이드판(921)을 따라 비스듬히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있고, 또한 그 타단부의 선단부(923a)가 횡어긋남 방지 가이드판(921) 상단 가장자리부(921a) 상을 횡단하도록 대략 L자 형상으로 굴곡된(도 22 중에서는, 앞쪽에서 안쪽을 향해서 굴곡되어 있다) 제 1 누름판(923)과,
(iv) 일단부가 스토퍼축(922)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됨과 아울러 타단부가 이송 로드 암(130)의 상단부에 부착된 원기둥 형상의 핀(132)의 비스듬하게 위쪽으로 연장되어 있고, 또한 일단부와 타단부의 중앙 부근 하단 가장자리부(924a)가 원기둥 형상의 핀(132)의 외주면에 접촉한 제 2 누름판(924)과,
(v) 스토퍼축(922)에 권취된 소용돌이 형상의 스프링 부재로서, 한쪽 끝(925a)이 제 1 누름판(923)을, 도 22의 측면으로 볼 때에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방향의 힘을 주고, 또한 다른쪽 끝(925b)이 제 2 누름판(924)을, 도 22의 측면으로 볼 때에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즉 하단 가장자리부(924a)가 원기둥 형상의 핀(132)에 접촉시키는 방향의 힘을 주는 트레이 누름용 스프링(925)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핀(132)은 이송 로드 암 인장 스프링(161)의 한쪽 끝을 부착하는 지점의 기능과, 제 2 누름판(924)을 작동시키는 캠의 기능을 겸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 2에서는 트레이 반송로(111) 상에 트레이(20)를 셋트했을 때에 플랜지 형상으로 외측을 향해서 돌출된 트레이(20)의 외주 가장자리부(20a)는 횡어긋남 방지 가이드판(921)의 상단 가장자리부(921a)와, 대략 L자 형상으로 굴곡된 선단부(923a)의 하단 에지부(923b)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배치되는 구성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트레이 누름 장치(920)는 본 발명의 트레이 누름 장치의 일례에 해당하고, 본 실시형태의 제 2 트레이 공급장치(1100)는 본 발명의 트레이 공급장치의 일례에 해당한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다음에 트레이 누름 장치(920)의 동작에 대해서 도 2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트레이 이송구(121)의 돌기부(121ab)[도 7(b) 참조]가 노치부(112a)로부터 빠져 나간 후, (1) 트레이 이송구(121)의 중앙부(121a)가 화살표 121a1(도 22 참조)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장면과, (2) 화살표 121a3(도 22 참조)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장면으로 나누어서 설명한다.
(1) 화살표 121a1(도 22 참조)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장면:
이송 로드 암(130)이 선단 축부(142)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을 개시함으로써 트레이 이송구(121)의 중앙부(121a)는 화살표 121a1(도 22 참조)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트레이 이송구(121)의 중앙부(121a)가 트레이(20)의 간극(21a)으로부터 빠져 나가므로, 트레이(20)는 자체 중량에 의해 하방으로 벗어나 움직이려고 한다.
한편, 이송 로드 암(130)이 선단 축부(142)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을 개시함과 동시에, 이송 로드 암(130)의 상단부에 부착된 핀(132)이 선단 축부(142)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핀(132)의 외주면에 트레이 누름용 스프링(925)의 복원력에 의해 접촉하고 있는 제 2 누름판(924)을 스토퍼축(922)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제 2 누름판(924)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면, 소용돌이 형상의 트레이 누름용 스프링(925)의 다른쪽 끝(925b)이 그 소용돌이부를 더욱 권회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그 한쪽 끝(925a)은 제 1 누름판(923)의 선단부(923a)의 하단 에지부(923b)에 대하여 트레이(20)의 외주 가장자리부(20a)로의 압박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이에 따라, 트레이(20)가 자체 중량에 의해 하방으로 벗어나 움직이려고 하는 동작이 저지된다.
(2) 화살표 121a3(도 22 참조)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장면:
견제 롤러(152)가 이송 로드 암(130)의 만곡 가장자리부(131a)와 비접촉 상태가 됨과 동시에, 이송 로드 암 인장 스프링(161)의 복원력에 의해 이송 로드 암(130)이 선단 축부(142)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순간적으로 회동함으로써 트레이 이송구(121)의 중앙부(121a)는 간극(21a)으로부터 육묘 포트(21)의 1열분만큼 상측에 위치하는 간극(21b)을 향해서 화살표 121a3(도 22 참조)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트레이 이송구(121)의 중앙부(121a)가 트레이(20)의 간극(21b)에 확실하게 삽입되어서 트레이(20)는 아랫쪽으로의 이송 동작으로 이행한다.
한편, 이송 로드 암 인장 스프링(161)의 복원력에 의해 이송 로드 암(130)이 선단 축부(142)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순간적으로 회동함과 동시에, 이송 로드 암(130)의 상단부에 부착된 핀(132)이 선단 축부(142)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핀(132)의 외주면에 트레이 누름용 스프링(925)의 복원력에 의해 접촉하고 있는 제 2 누름판(924)은 스토퍼축(922)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제 2 누름판(924)이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면, 소용돌이 형상의 트레이 누름용 스프링(925)의 다른쪽 끝(925b)이 그 소용돌이부를 해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그 한쪽 끝(925a)은 제 1 누름판(923)의 선단부(923a)의 하단 에지부(923b)에 대하여 트레이(20)의 외주 가장자리부(20a)로의 압박력을 완화하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이에 따라, 트레이 이송구(121)이 화살표 121a4의 방향(도 22 참조)으로 이동할 때에 트레이(20)를 아랫쪽으로 스무스하게 보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구성에 의하면, 트레이(20)가 무게에 의해 하방으로 벗어나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트레이(20)의 외주 가장자리부(20a)를 제 1 누름판(923)으로 누르기 때문에, 상술한 육묘 포트(21)가 종횡으로 200구멍 형성된 모종 트레이(세로 20열×가로 10열)나 128구멍 형성된 모종 트레이(세로 16열×가로 8열) 등, 트레이(20)의 사이즈에 관계없이 눌러진다.
또한, 트레이(20)의 외주 가장자리부(20a)를 제 1 누름판(923)의 선단부(923a)의 하단 에지부(923b)로 누르기 때문에, 간단한 구조이면서 트레이(20)가 미끄러지기 어렵다.
(실시형태 3)
본 실시형태 3에서는 상기 실시형태 2에서 설명한 제 2 모종 이식기(101)의 제 2 트레이 공급장치(1100)에 설치된 제 2 기어기구(1182)(도 19 참조)의 다른 구성예인 제 3 기어기구(2182)에 대해서, 도면을 이용하여 그 구성과 동작을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 3의 제 3 기어기구(2182)에 있어서 상기 실시형태 2의 제 2 기어기구(1182)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23은 본 실시형태 3의 제 3 기어기구(2182)에 있어서의 동력의 전달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 부분 단면도이다.
또한, 도 23은 주로 동력의 전달 경로를 알기 쉽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므로, 모종 이송 전동 케이스(180)나 슬라이드 레버(540)는 도면 중에 나타내지 않고 있다. 또한, 도 23은 도 19와 같이 도 20에 나타낸 A1-A2-A3 부분의 단면에 상당나는 도면이다.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 3의 제 3 기어기구(2182)와 상기 실시형태 2의 제 2 기어기구(1182)의 주된 차이점은, 제 2 기어기구(182)에서는 스위칭 전동 샤프트(520)의 돌기부(521)가 제 1 스위칭 기어(512a)의 오목부와 끼워맞추어지거나, 또는 제 2 스위칭 기어(512b)의 오목부와 끼워맞추는 구성인 것에 대해서(도 19 참조), 본 실시형태 3의 제 3 기어기구(2182)에서는 별도의 스위칭 전동 샤프트(1520)의 슬라이드 방향[도 23의 화살표 M 방향과 화살표 N 방향에 대응]의 축심에 직교해서 형성된 원통 형상의 홈(1521)에 압축 스프링(1522)에 의해 항상 외측을 향해서 압박된 볼 부재(1523)가 제 1 스위칭 기어(512a)의 오목부(1512a)와 끼워맞추어지거나, 또는 제 2 스위칭 기어(512b)의 오목부(1512b)와 끼워맞추어지는 구성인 점이다.
이하, 도 23을 참조하면서 상기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달 기어(184)로부터 전동되는 구동력을 수취하는 구동 기어(511)는, 별도의 스위칭 전동 샤프트(1520)에 대하여 스플라인 접속됨과 아울러, 제 1 스위칭 기어(512a)를 기준으로 해서 별도의 스위칭 전동 샤프트(1520)의 끝 가장자리부(523)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1 스위칭 기어(512a)를 기준으로 해서 별도의 스위칭 전동 샤프트(1520)의 끝 가장자리부(523)와 반대측에는, 칼라 부재(1524)를 사이에 개재하여 제 2 스위칭 기어(512b)가 인접 배치되어 있다. 칼라 부재(1524)는 별도의 스위칭 전동 샤프트(1520)에 삽입된 링 형상의 부재이며, 그 링 형상의 내주측의 양단부에는 볼 부재(1523)의 표면과 점접촉 하는 테이퍼부(1524a, 1524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볼 부재(1523)의 직경은 제 1 스위칭 기어(512a)의 폭, 및 제 2 스위칭 기어(512b)의 폭보다 크다.
또한, 볼 부재(1523)가 제 1 스위칭 기어(512a)의 오목부(1512a)와 끼워맞추어져 있을 때와, 제 2 스위칭 기어(512b)의 오목부(1512b)와 끼워맞추어져 있을 때는, 어느 경우에나 볼 부재(1523)의 중심 위치가 별도의 스위칭 전동 샤프트(1520)의 표면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구성이다.
다음에 볼 부재(1523)의 동작에 대해서 도 2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1) 슬라이드 레버(540)가 화살표 S(도 21 참조)와는 반대의 방향으로 조작되어서 별도의 스위칭 전동 샤프트(1520)가 N 방향(도 23 참조)으로 슬라이드 이동을 개시했을 때 :
이 경우의 초기 상태는 볼 부재(1523)의 절반 이상의 부분이 홈(1521) 속에 삽입되어 있고, 나머지의 부분이 제 1 스위칭 기어(512a)의 오목부(1512a)에 들어가져 있는 상태이다[도 23에 있어서 실선으로 나타낸 볼 부재(1523) 참조]. 즉, 제 1 스위칭 기어(512a)가 별도의 스위칭 전동 샤프트(1520)와 맞물려 있는 상태이다.
상기 상태에 있어서, 별도의 스위칭 전동 샤프트(1520)가 N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을 개시하면 홈(1521)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볼 부재(1523)도 동시에 슬라이드 이동함과 아울러, 볼 부재(1523)는 칼라 부재(1524)의 테이퍼부(1524a)를 따라 이동하고, 압축 스프링(1522)의 반발력에 거슬러 나아가면서 홈(1521)의 안쪽 방향으로 밀어넣어진다.
이에 따라, 볼 부재(1523)는 제 1 스위칭 기어(512a)의 오목부(1512a)로부터 완전하게 빠져나가므로 제 1 스위칭 기어(512a)와 별도의 스위칭 전동 샤프트(1520)의 맞물림이 해제된다.
(2) 슬라이드 레버(540)(도 20 참조)의 화살표 S와는 반대의 방향으로의 조작을 더욱 계속하여, 별도의 스위칭 전동 샤프트(1520)가 N 방향으로 더욱 슬라이드 이동을 계속했을 때 :
별도의 스위칭 전동 샤프트(1520)가 N 방향으로 더욱 슬라이드 이동을 계속함으로써 홈(1521)이 더욱 슬라이드 이동함과 아울러 볼 부재(1523)도 슬라이드 이동한다. 그리고, 볼 부재(1523)가 제 2 스위칭 기어(512b)의 위치까지 이동해 오면, 압축 스프링(1522)의 반발력에 의해 볼 부재(1523)는 제 2 스위칭 기어(512b)의 오목부(1512b)의 간극으로 압출된다[도 23에 있어서 2점 쇄선으로 나타낸 볼 부재(1523) 참조]. 즉, 제 2 스위칭 기어(512b)가 볼 부재(1523)를 통하여 별도의 스위칭 전동 샤프트(1520)와 맞물린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리드 캠축(171)으로의 회전 구동력의 전동이 제 1 스위칭 기어(512a)로부터 제 2 스위칭 기어(512b)로 바뀐다.
(3) 슬라이드 레버(540)가 화살표 S(도 21 참조) 방향으로 조작되어서 별도의 스위칭 전동 샤프트(1520)가 M 방향(도 23 참조)으로 슬라이드 이동을 개시했을 때 :
이 경우의 초기 상태는 제 2 스위칭 기어(512b)가 볼 부재(1523)를 통하여 별도의 스위칭 전동 샤프트(1520)와 맞물려 있는 상태이다[도 23에 있어서 2점 쇄선으로 나타낸 볼 부재(1523) 참조].
상기 상태에 있어서, 별도의 스위칭 전동 샤프트(1520)가 M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을 개시하면 홈(1521)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볼 부재(1523)도 동시에 슬라이드 이동함과 아울러, 볼 부재(1523)는 칼라 부재(1524)의 테이퍼부(1524b)를 따라 이동하고, 압축 스프링(1522)의 반발력에 거슬러 나아가면서 홈(1521)의 안쪽 방향으로 밀어넣어진다.
이에 따라, 볼 부재(1523)는 제 2 스위칭 기어(512b)의 오목부(1512b)로부터 완전하게 빠져나가므로, 제 2 스위칭 기어(512b)와 별도의 스위칭 전동 샤프트(1520)의 맞물림이 해제된다.
(4) 슬라이드 레버(540)(도 20 참조)의 화살표 S 방향으로의 조작을 더욱 계속하고, 별도의 스위칭 전동 샤프트(1520)가 M 방향으로 더욱 슬라이드 이동했을 때 :
별도의 스위칭 전동 샤프트(1520)가 M 방향으로 더욱 슬라이드 이동을 계속함으로써 홈(1521)이 더욱 슬라이드 이동함과 아울러 볼 부재(1523)도 슬라이드 이동한다. 그리고, 볼 부재(1523)가 제 1 스위칭 기어(512a)의 위치까지 이동해 오면 압축 스프링(1522)의 반발력에 의해 볼 부재(1523)는 제 1 스위칭 기어(512a)의 오목부(1512a)의 간극으로 압출된다[도 23에 있어서 실선으로 나타낸 볼 부재(1523) 참조]. 즉, 제 1 스위칭 기어(512a)가 볼 부재(1523)를 통하여 별도의 스위칭 전동 샤프트(1520)와 맞물린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리드 캠축(171)으로의 회동 구동력의 전동이 제 2 스위칭 기어(512b)로부터 제 1 스위칭 기어(512a)로 바뀐다.
본 실시형태 3에 있어서, 칼라 부재(1524)를 제 1 스위칭 기어(512a)와 제 2 스위칭 기어(512b) 사이에 배치하고, 그 내주측의 양단부에 형성된 테이퍼부(1524a, 1524b)가 볼 부재(1523)에 접촉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별도의 스위칭 전동 샤프트(1520)의 슬라이드 방향(N 방향 또는 M 방향)으로의 덜컹거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스위칭 기어(512a) 및 제 2 스위칭 기어(512b)의 폭보다 볼 부재(1523)의 외경을 크게 하고, 볼 부재(1523)가 제 1 스위칭 기어(512a)의 오목부(1512a) 및 제 2 스위칭 기어(512b)의 오목부(1512b)에 들어가는 부분의 용적을 크게 하며, 별도의 스위칭 전동 샤프트(1520)로부터 제 1 스위칭 기어(512a) 또는 제 2 스위칭 기어(512b)로의 전동을 확실하게 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 3에 있어서 볼 부재(1523)를 압축 스프링(1522)에 의해 오목부(1512a, 1512b)를 향해서 압박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예를 들면 리드 캠축(171)에 과부하가 걸려서 제 1 스위칭 기어(512a) 또는 제 2 스위칭 기어(512b)가 일시적으로 록 상태가 된 경우에도 별도의 스위칭 전동 샤프트(1520)는 회동을 계속하려고 하므로, 오목부(1512a) 또는 오목부(1512b)에 대하여 홈(1521)이 회동 방향으로 위치어긋나고, 그 결과 볼 부재(1523)가 홈(1521)의 안쪽 방향으로 밀어넣어진다. 또한, 오목부(1512a) 또는 오목부(1512b)에 볼 부재(1523)의 중심을 포함하지 않는 일부만이 끼워넣어져 있음으로써 볼 부재(1523)의 비스듬한 구형 표면이 오목부(1512a) 또는 오목부(1512b) 가까이의 제 1 스위칭 기어(512a) 또는 제 2 스위칭 기어(512b)의 내경 부분의 어깨부(즉, 내경 부분과 오목부의 경계선)에 접촉해서 밀리므로, 볼 부재(1523)가 홈(1521)의 안쪽 방향으로 밀어넣어지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제 1 스위칭 기어(512a) 또는 제 2 스위칭 기어(512b)와, 별도의 스위칭 전동 샤프트(1520)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볼 부재(1523)가 안전 클러치로서 작용한다. 즉, 별도의 스위칭 전동 샤프트(1520)가 헛돌므로 제 3 기어기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식부 1(저속)」에 대응하는 식부 주간의 범위와, 「식부 2(고속)」에 대응하는 식부 주간의 범위가 일부 중복되어 있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각각의 식부 주간의 범위가 겹치지 않는 구성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식부 1(저속)」과 「식부 2(고속)」의 2종류의 주행 속도에 대응하는 2종류의 식부 주간의 범위를 미리 메모리부(810)에 격납납하고 있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3종류 이상의 주행 속도에 대응하는 3종류 이상의 식부 주간의 범위를 미리 메모리부(810)에 격납하고 있는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표시부(630)에 있어서 설정 가능한 식부 주간의 범위인 상한과 하한이 동시에 표시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상한 또는 하한의 어느 한쪽이 선택적으로 표시되는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표시부(630)에 있어서 설정 가능한 식부 주간의 범위를 좌측 절반의 표시 영역에 표시함과 아울러, 실제로 설정되는 식부 주간의 값을 우측 절반의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설정 가능한 식부 주간의 범위의 표시와, 실제로 설정되는 식부 주간의 값의 표시 중 어느 한쪽을 표시부(630)의 전체의 표시 영역에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표시부(630)에 있어서 설정 가능한 식부 주간의 범위를 좌측 절반의 표시 영역에 표시함과 아울러, 실제로 설정되는 식부 주간의 값을 우측 절반의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설정 가능한 식부 주간의 범위의 표시와, 실제로 설정되는 식부 주간의 값과, 또한 누계의 식부 개수를 표시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이에 따라, 식부 개수의 관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표시되는 식부 개수를 리셋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예를 들면 각 포장마다 모종의 식부 개수를 계측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트레이 누름용 스프링(925)의 압박력은 작업자가 조절할 수 없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트레이 누름용 스프링(925)의 다른쪽 끝(925b)의 고정 위치를 복수 개소에 설치해서 선택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트레이(20)의 무게에 따라 작업자가 압박력을 조절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누름판(923)의 선단부(923a)는 트레이(20)를 종이송하는 경우에도 트레이(20)의 외주 가장자리부(20a)에 대하여 일정한 압박력에 의해 누르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트레이(20)를 종이송하는 경우에는 압박력을 제로로 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누름판(923)이 판 형상 부재일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단면 형상이 원형인 막대 형상 부재라도 좋다. 이에 따라, 트레이(20)가 상처받기 어렵다.
또한, 제 1 누름판(923)을 단면 형상이 원형인 막대 형상 부재로 했을 경우, 대략 L자 형상으로 굴곡된 선단부(923a)에 대응하는, 횡어긋남 방지 가이드판(921)의 상단 가장자리부(921a)의 표면에, 측면으로 볼 때에 대략 반원 형상의 오목부를 형성한 구성이라도 좋다. 이 구성으로 의해, 단면 형상이 원형인 제 1 누름판의 선단부에서 트레이(20)의 외주 가장자리부(20a)를 누르면, 그 외주 가장자리부(20a)가 그 오목부의 형상을 따라 만곡되기 때문에 확실히 트레이(20)를 누를 수 있고, 트레이(20)의 어긋남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횡어긋남 방지 가이드판(921)의 상단 가장자리부(921a)의 표면에, 대략 반원 형상의 오목부를 형성한 구성의 경우, 그 오목부의 중앙에 측면으로 볼 때에 그 오목부의 가장자리의 높이보다 선단부의 높이가 낮은 돌기가 형성된 구성이라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해, 제 1 누름판에 의해 트레이(20)의 외주 가장자리부(20a)를 눌렀을 때만 그 외주 가장자리부(20a)가 상기 돌기에 걸리고, 트레이(20)를 확실히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 1에서는 식부 클러치(420)로서 공지의 정위치 정지 클러치를 사용했을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24에 나타내는 롤러식의 제 2 식부 클러치를 사용해도 좋다. 이하에, 제 2 식부 클러치(1420)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 상기 실시형태와 같은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에서, 도 24는 제 2 식부 클러치(1420)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 측면도이다.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식부 클러치(1420)는 외측의 입력축(1421)으로부터 3개의 롤러(1422)를 통해서 내측의 출력축(1423)에 회전 구동력이 전동되는 구성이다. 도 24의 출력축(1423)은 상기 실시형태 1의 식부 클러치(420)의 전동축(421)에 대응한다.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력축(1421)의 단면의 내주 형상과 외주 형상은 모두 원 형상이다. 한편, 출력축(1423)의 외주 형상은,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3개의 롤러(1422)의 위치에 대응해서 배치된 3변이 직선부(1423a)이며, 그들 직선부(1423a)끼리를 원호부(1423b)로 연결시킨 형상이다. 직선부(1423a)와 입력축(1421)의 내주면(1421a) 사이에 존재하는 간극(1424)은, 측면으로 볼 때에 그 직선부(1423a)의 양단부가 중앙부 부근에 비해서 좁아져 있음과 아울러 양단부는 롤러(1422)의 직경보다 좁고, 또한 중앙부 부근은 롤러(1422)의 직경보다 넓다.
간극(1424)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단면 형상이 원형인 롤러(1422)는, 스프링(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음)에 의해 바이어싱된 단면 형상이 원형인 링 형상의 트립캠케이지(1425)에 의해 화살표 A 방향[즉, 입력축(1421) 및 출력축(1423)의 회전 방향과 같은 방향임]으로 바이어싱되어 있다.
화살표 A 방향으로 바이어싱된 3개의 롤러(1422)가 직선부(1423a)의 양단부의 한쪽 단부(1423a1)에 압박됨으로써 3개의 롤러(1422)가 입력축(1421)과 출력축(1423)에 동시에 접촉한다. 이에 따라, 입력축(1421)의 회전 구동력이 출력축(1423)에 전동된다.
따라서, 이 전동 상태에서 입력축(1421), 출력축(1423) 및 트립캠케이지(1425)가 일체 회전한다.
그리고, 트립캠케이지(1425)가 도 4에서 설명한 제 1 암(460)의 일단부(460a)에 의해 그 A 방향으로의 회동을 규제받으면, 출력축(1423)에 대하여 3개의 롤러(1422)는 화살표 A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고, 입력축(1421)과 출력축(1423) 사이의 간극(1424)이 넓은 부분에 롤러(1422)가 위치해서 롤러(1422)가 입력축(1421)의 내주면(1421a) 또는 출력축(1423)의 직선부(1423a)로부터 벗어나서 비전동 상태가 된다.
이 비전동 상태가 될 때, 관성 등의 영향에 의해 3개의 롤러(1422)가 화살표 A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지나치게 이동하면, 출력축(1423)이 약간 역방향으로 돌려지거나 해서 출력축(1423)의 정지가 불안정해질 경우가 있다. 그러나, 도 24에 나타낸 구성예에서는, 출력축(1423)과 일체 회전하는 스토퍼 플레이트(1426)를 설치함으로써 화살표 A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3개의 롤러(1422)를 수용하여 반대 방향으로 지나치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므로, 출력축(1423)의 정지가 불안정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엔진(12)및 미션 케이스(4) 등이 보닛(109)으로 덮여져 있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했다. 이에 대하여, 도 25(a), 도 25(b)에서는 이 보닛(109)의 후방부에 배열구(109a)를 형성한 예를 나타낸다. 도 25(a)는 보닛(109)의 사시도이며, 도 25(b)는 도 25(a)의 보닛(109)을 H 방향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배열구(109a)에 의해 보닛(109)의 전면부에 형성된 흡기구(109b)로부터 진입한 외기가 엔진(12) 및 미션 케이스(4) 등을 냉각한 후 배열구(109a)로부터 후방을 향해서 배출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 1에서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 풀리(860)와 미션 풀리(865) 사이에 유압 펌프(유압 기어펌프)(850)를 배치한 구성, 즉 측면으로 볼 때에 엔진 출력축과 미션 입력축 사이에 유압 펌프(850)를 배치했을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측면으로 볼 때에 엔진 풀리(860)(즉, 엔진 출력축)의 전방에 유압 기어펌프와 얼터네이터(충전용 발전기)(도시생략)를 배치한 구성이라도 좋다. 이에 따라, 기체 전방으로부터 유압 기어펌프나 얼터네이터(충전용 발전기)의 메인터넌스가 하기 쉽다. 또한, 이 구성의 경우, 엔진 풀리(860)(즉, 엔진 출력축)의 전방에 배치된 유압 기어펌프 및 얼터네이터와 엔진 풀리(860) 사이에 걸린 전동 벨트에 의해 엔진 출력축에 가해지는 장력이 엔진 풀리(860)와 미션 풀리(865) 사이에 걸린 제 1 전동 벨트(855)에 의해 엔진 출력축에 가해지는 장력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엔진 출력축에 대하여 전동 벨트에 의한 쌍방의 장력이 상쇄되므로 엔진 출력축에 전동 벨트에 의한 부하가 걸리지 않는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 3에서는 볼 부재(1523)가 제 1 스위칭 기어(512a)의 오목부(1512a)와 끼워맞추어져 있을 때와, 제 2 스위칭 기어(512b)의 오목부(1512b)와 끼워맞추어져 있을 때는, 어느 경우에나 볼 부재(1523)의 중심 위치가 별도의 스위칭 전동 샤프트(1520)의 표면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볼 부재(1523)의 중심 위치가 별도의 스위칭 전동 샤프트(1520)의 표면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해, 볼 부재(1523)의 체적의 절반 이상(또는 대부분)이 오목부(1512a) 또는 오목부(1512b)의 간극에 들어가 있으므로, 예를 들면 리드 캠축(171)에 큰 부하가 걸린 경우에도 볼 부재(1523)가 오목부(1512a) 또는 오목부(1512b)로부터 어긋날 일이 없으므로, 오목부(1512a) 또는 오목부(1512b)에 대하여 홈(1521)이 회동 방향으로 위치 어긋날 일은 없고, 제 1 스위칭 기어(512a) 또는 제 2 스위칭 기어(512b)는 별도의 스위칭 전동 샤프트(1520)의 회동에 동기해서 회전한다.
한편, 이 구성의 경우에도 볼 부재(1523)의 중심은 테이퍼부(1524a, 1524b)보다 홈(1521)과는 반대측에까지 위치하지 않는 구성이며, 별도의 스위칭 전동 샤프트(1520)가 N 방향, M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변속시에는 칼라 부재(1524)의 테이퍼부(1524a, 1524b)에서 볼 부재(1523)가 홈(1521)의 안쪽 방향으로 밀어넣어지므로, 제 1 스위칭 기어(512a) 또는 제 2 스위칭 기어(512b)로의 스위칭은 스무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이 구성의 경우에는 볼 부재(1523)가 안전 클러치로서 작용하지 않는다.
또한 오목부(1512a)의 깊이와 오목부(1512b)의 깊이를 다르게 하여[오목부(1512a)의 깊이를 오목부(1512b)의 깊이보다 깊게 하고] 오목부(1512a)와 오목부(1512b)에서 볼 부재(1523)가 들어가는 용적을 다르게 함으로써, 제 1 스위칭 기어(512a)와 제 2 스위칭 기어(512b)에 의한 각각의 전동비에 대응하여 적절한 차단 하중으로 상기 안전 클러치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또한, 오목부(1512a)의 깊이와 오목부(1512b)의 깊이를 다르게 하고, 오목부(1512a) 및 오목부(1512b) 중 한쪽의 오목부 내에 볼 부재(1523)의 중심이 끼워넣어지지만, 다른쪽의 오목부 내에는 볼 부재(1523)의 중심이 끼워넣어지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에 따라, 한쪽의 오목부에 대응하는 스위칭 기어에 대해서는 볼 부재(1523)가 안전 클러치로서 작용하지 않지만, 다른쪽의 오목부에 대응하는 스위칭 기어에 대해서는 볼 부재(1523)가 안전 클러치로서 작용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 2에서는 본 발명의 이식기의 일례로서 상기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모종 이식기(1)의 트레이 공급장치(100) 대신에 제 2 트레이 공급장치(1100)를 구비한 제 2 모종 이식기(101)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모종 인출장치가 트레이의 육묘 포트로부터 순차적으로 모종을 인출하여 식부구에 의해 포장에 이식하는 종래의 모종 이식기(즉, 실시형태 1에서 설명 한, 지정된 주행 속도에 대응한 식부 주간의 범위 내에서 적정한 식부 주간을 설정할 수 있다고 하는 특징을 갖고 있지 않은 종래의 모종 이식기)의 트레이 공급장치 대신에 상기 제 2 트레이 공급장치(1100)(도 18 참조)를 구비한 모종 이식기라도 좋다. 이 구성의 경우에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리드 캠축(171)의 상술한 변속에 관한 효과와 트레이 누름 장치(920)에 의한 트레이(20)의 세로 방향의 어긋남 방지에 관한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2 트레이 공급장치(1100)로서 이송량 스위칭 장치(510)와, 트레이 누름 장치(920)의 양쪽을 동시에 구비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이송량 스위칭 장치(510)와 트레이 누름 장치(920)의 어느 한쪽의 기능을 구비한 구성의 모종 이식기라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한 이식기는 주행 속도에 대응한 주간의 설정 범위 내에서 적정한 주간을 설정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갖고, 모종 이식기 등으로서 유용하다.

Claims (9)

  1. 육묘 포트(21)를 구비하는 트레이(20)를 일정 피치로 보내는 트레이 공급장치(100)와, 이 트레이 공급장치(100)로부터 이식물(22)을 인출하는 인출장치(200)와, 이 인출장치(200)로부터 받은 이식물(22)을 포장에 식부하는 식부장치(7)를 구비한 이식기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공급장치(100)에는 상기 트레이(20)의 이면측에 형성되어 있는 육묘 포트(21)간의 간극(21b)에 상기 트레이(20)의 이면측으로부터 들어가서 소정 위치까지 이송 동작해서 상기 간극(21b)으부터 빠지고, 이송 위쪽에 인접하는 육묘 포트(21)간의 간극(21b)에 들어가서 이송 동작하는 트레이 종이송 장치(12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종이송 장치(120)는 상기 간극(21b)에 들어가는 트레이 이송구(121)와, 이 트레이 이송구(121)를 회동 지점축을 통해서 연결하는 이송 암(140)과, 그 트레이 이송구(121)를 상기 회동 지점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이송 로드 암(130)을 구비하고, 이들 이송 암(140)과 이송 로드 암(130)의 각각을 종동 캠으로 하고, 그 종동 캠을 공통의 구동 캠에 의해 각각 소정의 타이밍에서 작동시키는 캠 기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이송구(121)를 상기 회동 지점축을 중심으로 상기 육묘 포트(21)간의 간극(21b)에 진입하는 측으로 바이어싱하는 진입용의 바이어싱구(161)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장치(200)는 상기 트레이 종이송 장치(120)가 들어가 있는 육묘 포트(21)간의 간극(21b)에 인접하는 육묘 포트(21) 내의 이식물(22)을 인출하여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기.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암(140)을 트레이 이송구(121)의 이송 동작 방향으로 바이어싱하는 이송용의 바이어싱구(16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기.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공급장치(100)는 상기 트레이(20)를 트레이 반송로(111)를 따라서 세로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보내는 트레이 종이송 장치(120)와, 상기 트레이 반송로(111)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트레이 반송로 이동장치(170)를 갖고, 상기 트레이 반송로 이동장치(170)는 상기 트레이 반송로(111)의 이면측에 설치되고 상기 트레이 반송로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리드 캠축(171)과, 상기 리드 캠축(171)보다 상방에 설치되고 상기 트레이 반송로(111)의 상기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 레일(155)을 갖고, 상기 트레이 반송로(111)는 상기 리드 캠축(171)과 상기 안내 레일(155)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기.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이송구(121)는 상기 이송 동작 방향으로 이동한 후, 상기 육묘 포트(21)간의 간극(21b)으로부터 빠져 나가기까지의 동안에 있어서 일시적으로 상기 트레이 이송구(121)를 유지하여 상기 트레이(20)가 움직이는 것을 규제하는 이송 규제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기.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공급장치는 상기 트레이(20)를 가로 방향으로 보내는 트레이 반송로 이동장치(170)와, 상기 트레이 반송로 이동장치(170)에 의한 상기 트레이의 이송량을 바꾸는 이송량 스위칭 장치(510)를 갖고, 상기 이송량 스위칭 장치(510)는 엔진(12)으로부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기어(511)에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된 스위칭 전동 샤프트(520)와, 상기 스위칭 전동 샤프트(520)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된 전동비가 다른 2세트의 스위칭 기어와, 상기 스위칭 전동 샤프트(520)를 상기 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회동 가능하게 부착된 슬라이드 레버(540)와, 상기 슬라이드 레버(540)에 대하여 상기 회동을 촉진시키는 방향으로 바이어싱 포오스를 주는 스프링 부재(545)를 갖고, 상기 슬라이드 레버(540)가 하향 위치로 되는 한쪽의 위치로부터 상향 위치로 되는 다른쪽의 위치로 회동되었을 때, 상기 스위칭 전동 샤프트(520)가 상기 바이어싱 포오스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이동함과 아울러 상기 구동 기어(511)와 상기 2세트의 스위칭 기어 중 한쪽의 스위칭 기어(512a)가 연결되고, 또한 상기 슬라이드 레버(540)가 상기 다른쪽의 위치로부터 상기 한쪽의 위치로 회동되었을 때, 상기 스위칭 전동 샤프트(520)가 상기 바이어싱 포오스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이동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함과 아울러 상기 구동 기어(511)와 상기 2세트의 스위칭 기어 중 다른쪽의 스위칭 기어(512b)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기.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공급장치(100)는 상기 트레이 종이송 장치(120)의 작동에 연동하여 상기 트레이(20)의 상기 세로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압박력을 변경하는 트레이 누름 장치(92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기.
KR1020140066366A 2013-05-31 2014-05-30 이식기 KR1016540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15398A JP5831822B2 (ja) 2013-05-31 2013-05-31 移植機
JPJP-P-2013-115398 2013-05-31
JPJP-P-2013-138875 2013-07-02
JP2013138875A JP5939211B2 (ja) 2013-07-02 2013-07-02 移植機
JP2013273661A JP5939247B2 (ja) 2013-12-28 2013-12-28 移植機
JPJP-P-2013-273661 2013-12-28
JPJP-P-2014-037067 2014-02-27
JP2014037067A JP6197693B2 (ja) 2014-02-27 2014-02-27 移植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1527A true KR20140141527A (ko) 2014-12-10
KR101654088B1 KR101654088B1 (ko) 2016-09-05

Family

ID=52088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6366A KR101654088B1 (ko) 2013-05-31 2014-05-30 이식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54088B1 (ko)
CN (1) CN10420608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21132B2 (ja) * 2018-02-27 2021-01-27 井関農機株式会社 移植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62203A (ja) * 1982-03-18 1983-09-26 株式会社サ−クル鉄工 移植機
JPH1175433A (ja) * 1997-09-01 1999-03-23 Kubota Corp 移植機
JPH1175432A (ja) * 1997-09-16 1999-03-23 Kubota Corp 移植機の苗トレイ送り装置
JP2009261278A (ja) 2008-04-23 2009-11-12 Iseki & Co Ltd 苗移植機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28910A (en) * 1989-03-08 1990-09-12 British Res Agricult Eng Increasing the spacing between receptacles of an endless conveyor
JP3316642B2 (ja) * 1993-04-09 2002-08-19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移植機の苗植付装置
JPH07298718A (ja) * 1994-05-06 1995-11-14 Kubota Corp 移植機
JPH08294307A (ja) * 1996-06-10 1996-11-12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苗取爪の駆動装置
JP3849084B2 (ja) * 1997-09-08 2006-11-22 株式会社サークル鉄工 苗株トレイからの苗株取出し方法とその装置
JP2000014211A (ja) * 1998-06-30 2000-01-18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移植機
CN202587833U (zh) * 2012-04-09 2012-12-12 现代农装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移栽机及其钵苗输送装置
CN202713947U (zh) * 2012-08-24 2013-02-06 庄严 一种确保水稻钵苗插秧机输送秧位置准确的载秧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62203A (ja) * 1982-03-18 1983-09-26 株式会社サ−クル鉄工 移植機
JPH1175433A (ja) * 1997-09-01 1999-03-23 Kubota Corp 移植機
JPH1175432A (ja) * 1997-09-16 1999-03-23 Kubota Corp 移植機の苗トレイ送り装置
JP2009261278A (ja) 2008-04-23 2009-11-12 Iseki & Co Ltd 苗移植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206083B (zh) 2016-08-24
CN104206083A (zh) 2014-12-17
KR101654088B1 (ko) 2016-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6802B1 (ko) 이식기
KR101799401B1 (ko) 이식기
JP2018130118A (ja) 移植機
KR101654088B1 (ko) 이식기
JP2017012042A5 (ko)
JP6137385B2 (ja) 移植機
KR101772451B1 (ko) 이식기
JP6197693B2 (ja) 移植機
JP6233493B2 (ja) 移植機
JP2016144480A5 (ko)
JP6287591B2 (ja) 移植機
JP6344230B2 (ja) 移植機
JP6274528B2 (ja) 苗移植機
JP6677282B2 (ja) 移植機
JP6631605B2 (ja) 移植機
JP2015226480A5 (ko)
JP2016010329A5 (ko)
JP2015126721A (ja) 移植機
JP6555317B2 (ja) 移植機
JP2018186817A (ja) 移植機
JP6481709B2 (ja) 移植機
JP6458624B2 (ja) 移植機
JP2016220557A5 (ko)
JP2017195841A (ja) 移植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