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9401B1 - 이식기 - Google Patents

이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9401B1
KR101799401B1 KR1020160081345A KR20160081345A KR101799401B1 KR 101799401 B1 KR101799401 B1 KR 101799401B1 KR 1020160081345 A KR1020160081345 A KR 1020160081345A KR 20160081345 A KR20160081345 A KR 20160081345A KR 101799401 B1 KR101799401 B1 KR 101799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arm
stopper
clutch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1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2321A (ko
Inventor
마사미 무라나미
노부히로 야마네
요시히코 오쿠보
코타 아주마
아키오 타사키
Original Assignee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02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3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9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9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01C11/025Transplanting machines using seedling trays; Devices for removing the seedlings from the t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2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clut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4Arrangement, location, or adaptation of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7/00Vehicles characterised by having other propulsion or other ground- engaging means than wheels or endless track, alone or in addition to wheels or endless t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 Arrangement And Driving Of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과제) 간단한 구성으로 포기 사기 조정이 가능한 이식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해결 수단) 식부구로의 전동을 온/오프하는 식부 클러치(420)와, 캠 부재(441)의 형상에 기초하여 상기 식부 클러치(420)의 전동을 오프 상태로 하는 규제 부재(460)와, 규제 부재(460)를 이동시켜서 식부 클러치(420)의 오프 상태를 온 상태로 하는 구동 장치(1400)를 구비하는 식부 구동 기구(400)를 설치하고, 구동 장치(1400)는 규제 부재(460)를 식부 클러치(420)가 온 상태가 되는 측으로 바이어싱하는 바이어싱 부재(1420)와, 규제 부재(460)가 식부 클러치(420)를 온 상태로 하는 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스토퍼(1430)와, 스토퍼(1430)에 의한 규제를 스위칭하는 액츄에이터(1440)로 구성되고, 스토퍼(1430)를 스위칭함으로써, 규제 부재(460)가 식부 클러치(420)를 온 상태로 하는 측으로의 규제가 해제되어 식부 클러치(420)가 온 상태로 이행되는 구성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식기{TRANSPLANTER}
본 발명은 모종이나 씨감자 등의 이식기에 관한 것이고, 농업 기계의 기술 분야에 속한다.
종래, 이식기의 재치대 상에 준비된 씨감자나 모종 등의 이식물을 주행에 맞춰서 루프상으로 회전 반송되는 복수개 공급컵에 1개씩 공급하고, 식부구를 통해서 포장에 이식하는 이식기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참조).
또한, 상기 이식기는 식부 클러치를 통해서 식부구측으로 구동력을 전동 하는 구성이다.
상기 이식기의 포기 사이 조정 기구는 포기 사이 변속 출력축에 설치한 핀이 식부 전동규제 암에 접촉함으로써, 이 식부 전동규제 암을 회전시켜서 식부 클러치의 외주부에 형성된 식부 전동규제 홈과의 계합(契合)을 해제하여, 식부 클러치축을 구동해서 식부구를 상하동시키는 구성이다.
또한, 식부 클러치의 외주부가 1회전하면, 재차 외주부의 식부 전동규제 홈에 식부 전동규제 암의 선단부가 계합되어 식부 클러치축의 구동을 정지함과 아울러, 식부구의 상하동을 정지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포기 사이 변속 출력축과 일체 회전하는 복수의 포기 사이 변속 출력 기어로부터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포기 사이 변속 입력축으로부터의 전동비를 변경해서 포기 사이 변속 출력축의 회전 속도를 변경하여 포기 사이를 조정하는 구성이다.
일본 특허공개 평 11-227593호 공보
그러나, 상기 포기 사이 조정 기구는 복수의 포기 사이 변속 출력 기어로부터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포기 사이 변속 입력축으로부터의 전동비를 변경해서 포기 사이 변속 출력축의 회전 속도를 변경하는 구성이므로, 구성이 복잡해진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에 비해서 간단한 구성으로 포기 사이 조정을 할 수 있는 이식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의 발명은, 이식물(22)을 이식하는 식부구(11)와, 상기 식부구(11)를 간헐적으로 작동시키는 식부 구동 기구(400)를 주행 차체(15)에 구비하는 이식기에 있어서, 상기 식부 구동 기구(400)는 상기 식부구(11)로의 전동을 온/오프 하는 식부 클러치(420)와, 상기 식부 클러치(420)의 전동 하류측에 설치하는 회전가능한 캠 부재(441)와, 상기 캠 부재(441)의 형상에 기초하여 상기 식부 클러치(420)의 전동을 오프 상태로 하는 규제 부재(460)와, 상기 규제 부재(460)를 이동시켜서 상기 식부 클러치(420)의 오프 상태를 온 상태로 하는 구동 장치(1400)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 장치(1400)는 상기 규제 부재(460)를 상기 식부 클러치(420)가 온 상태가 되는 방향으로 바이어싱하는 바이어싱 부재(1420)와, 상기 규제 부재(460)가 상기 식부 클러치(420)를 온 상태로 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스토퍼(1430)와, 상기 스토퍼(1430)에 의한 규제를 작용 상태와 비작용 상태로 스위칭하는 액츄에이터(1440)로 구성되고, 상기 액츄에이터(1440)를 작동시켜서 스토퍼(1430)를 작용 상태로부터 비작용 상태로 스위칭함으로써, 상기 규제 부재(460)가 상기 식부 클러치(420)를 온 상태로 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의 규제가 해제되어 상기 식부 클러치(420)가 오프 상태로부터 온 상태로 이행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기이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상기 스토퍼(1430)의 이동을 소정 위치에서 규제함과 아울러 이동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플레이트(1460)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의 이식기이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상기 액츄에이터(1440)와 상기 스토퍼(1430) 사이에, 상기 액츄에이터(1440)의 작동에 상관없이 상기 스토퍼(1430)를 수동으로 작용 상태로부터 비작용 상태로 스위칭 가능하게 한 융통 기구(1450)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또는 2의 이식기이다.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해, 식부 클러치(420)의 전동 하류측에 설치한 캠 부재(441)에 의해 식부 클러치(420)를 오프 상태로 할 수 있음과 아울러, 구동 장치(1400)를 작동시켜서 규제 부재(460)를 이동시켜서 식부 클러치(420)를 온 상태로 할 수 있으므로, 식부 구동 기구(400)의 구성의 간결화가 도모된다.
또한, 액츄에이터(1440)를 작동시켜서 스토퍼(1430)를 작용 상태 또는 비작용 상태로 스위칭함으로써 식부 클러치(420)의 온/오프를 스위칭할 수 있으므로, 구동 장치(1400)의 소형화가 도모되고, 경량화 및 비용 절감이 도모된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해, 청구항 1의 발명의 효과에 추가해서, 스토퍼(1430)의 이동을 소정 위치에서 규제함과 아울러 이동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플레이트(1460)를 설치함으로써, 스토퍼(1430)의 작용 위치와 비작용 위치로 정확하게 이동하므로, 식부 클러치(420)의 온/오프가 적절하게 행해짐과 아울러, 스토퍼(1430)를 스무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해, 청구항 1 또는 2의 발명의 효과에 추가해서, 임의의 타이밍에서 식부 클러치(420)를 온 상태로 할 수 있으므로, 식부 위치의 수동 조정이 가능하다. 또한, 메인터넌스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모종 이식기의 좌측면도이다.
도 2는 모종 이식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인출 부재와 식부구의 동작, 및 모종 적재대의 횡이송 동작의 타이밍을 나타냄과 아울러, 인출 부재와 식부구의 동작, 및 공급 장치의 이송 로드의 종이송 동작의 타이밍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a)는 공급 장치의 사시도이고, (b)는 공급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종이송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6은 모종 식부 장치와 식부 구동 기구의 좌측면도이다.
도 7은 식부 구동 기구의 개략 좌측면도이다.
도 8의 (a)는 식부 구동 기구의 구동 장치 및 스토퍼 암의 평면도이고, (b)는 구동 장치 및 스토퍼 암의 배면도이고, (c)는 구동 장치 및 스토퍼 암의 우측면도이다.
도 9는 각종 조작 레버 및 조작부를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제어부로의 입출력을 설명하는 블럭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식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채소 등의 모종을 이식하는 모종 이식기(1)는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의 전륜(2) 및 후륜(3)을 구비한 주행 차체(15)와, 주행 차체(15)의 앞부분에 배치된 엔진(12) 및 미션 케이스(4)와, 주행 차체(15)의 뒷부분에 설치하는 모종(22)을 포장에 이식하기 위해 식부구(11)를 상하 회전시키는 모종 식부 장치(300)와, 모종(22)을 수용한 트레이(20)를 공급하는 공급 장치(100)와, 공급 장치(100)의 트레이(20)의 육묘 포트(21)의 내부로 인출 부재(260)를 돌입시켜서 모종(22)을 인출하여 식부구(11)에 공급하는 인출 장치(200)와, 진압륜(13) 및 조종 핸들(8)의 중앙부에 배치된 조작부(600) 등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엔진(12)으로부터 출력되는 동력은 미션 케이스(4)에 의해 분기되고, 좌우의 주행 전동 케이스를 통해서 좌우의 후륜(3)으로 각각 전동됨과 아울러, 미션 케이스(4)의 후측에 설치하는 식부 전동 장치(18)로 전동되는 구성으로 한다.
즉, 육묘 포트(21)로부터 모종(22)을 인출해서 포장의 이랑부에 이식하기 위해, 미션 케이스(4)로부터의 동력이 식부 전동 장치(18)로 전동되고, 체인 벨트(202)를 통해서 인출 장치(200)로 전동됨과 아울러, 상기 식부 전동 장치(18)에 설치하는 식부 구동 기구(400)와 모종 식부 장치(300)를 통해서 식부구(11)로 전달된다.
또한, 모종 이식기(1)의 식부 동작은 식부 구동 기구(400)에 의해 간헐적으로 행해지는 구성으로 한다.
상기 공급 장치(100)의 이송 동작에는 트레이(20)의 횡방향 일렬분의 육묘 포트(21)의 모종을 인출 부재(260)에 의해 순차 인출하기 위해, 모종 적재대(110)는 간헐적으로 좌우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횡이송 동작과, 횡방향 일렬분의 모든 육묘 포트(21)의 모종의 인출이 완료된 후, 모종 적재대(110) 상의 트레이(20)가 이송 로드(121)에 의해 육묘 포트(21)의 횡방향 일렬분에 대해서 하방으로 이송되는 종이송 동작이 있다.
이송 로드(121)에 의한 종이송은 트레이(20)의 이면측의 인접하는 육묘 포트(21) 간의 홈부로 이송 로드(121)의 선단부가 결합된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 이송 로드(121)가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대략 사각형의 궤적(A)(도 5 참조)을 그리고 회전함으로써, 트레이(20)가 반송로(111)를 따라 비스듬한 하방으로 간헐적으로 종이송됨으로써 실행된다.
또한, 미션 케이스(4)의 후단의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좌우 프레임(16)의 뒷부분에는 우측의 위치로 연장되는 주 프레임(17)을 설치한다. 상기 주 프레임(17)의 후단부에는 좌우단측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조종 핸들(8)을 각각 설치하고, 상기 조종 핸들(8)이 주 프레임(17) 및 좌 프레임(16)을 통해서 미션 케이스(4)에 지지된 구성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주행 차체(15)의 후방을 걸으면서 조종 핸들(8)로 주행 차체(15)의 조향 조작을 행할 수 있다.
즉, 좌우의 전륜(2) 및 후륜(3)에 의해 이랑(U)에 걸쳐있는 상태에서 주행 차체(15)를 진행시키면서, 트레이(20)에 수용되는 모종(22)을 이랑(U)의 상면에 자동적으로 이식할 수 있는 구성이다.
또한, 주행부에는 주행 차체(15)를 기준으로 해서 좌우의 후륜(3)을 상하동시켜서, 주행 차체(15)의 자세 및 차고를 제어하는 기체 제어 기구(50)가 설치되어져 있다.
기체 제어 기구(50)는 좌우의 주행 전동 케이스와 주행 차체(15) 사이에 후륜(3)의 상하동에 의해 주행 차체(15)를 승강시키는 승강 실린더(10)와, 주행 차체(15)를 좌우 경사시키는 수평용 실린더(14)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 실린더(10)를 신축시키면 좌우의 후륜(3)이 같은 방향으로 동량만큼 주행 차체(15)로부터 상하동하여 주행 차체(15)가 승강한다.
다음에, 상기 인출 부재(260), 식부구(11), 공급 장치(100) 및 이송 로드(121)의 동작 타이밍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인출 부재(260)의 동작, 식부구(11)의 동작 및 공급 장치(100)의 모종 적재대(110)의 횡이송 동작의 동작 타이밍을 나타냄과 아울러, 인출 부재(260)의 동작, 식부구(11)의 동작 및 공급 장치(100)의 이송 로드(121)의 종이송 동작의 동작 타이밍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종이송 동작은 모종 적재대(110)가 좌우측 방향의 최단부로 이동하고, 최후의 육묘 포트(21)의 모종(22)이 빼내어졌을 때에 행해지는 동작이다.
도 3의 횡축은 각종 구동 암의 수평방향으로부터의 회전 각도를 기준으로 한다. 예를 들면, 인출 부재(260)는 구동 암(220)의 회전 각도를, 식부구(11)는 상하동 암(320)의 회전 각도를, 공급 장치(100)에 의한 종이송은 종이송 구동 암(150)의 회전 각도를 각각 기준으로 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출 클로의 동작 타이밍(2210)에 의하면, 타이밍(P2)에서 인출 부재(260)가 육묘 포트(21)로부터 모종(22)을 잡아 빼내고, 타이밍(P3)의 앞쪽에서 모종(22)의 식부구(11)로의 방출을 개시하고, 타이밍(P3)에 있어서 모종(22)의 방출을 종료하고, 타이밍(P4)에 있어서 인접하는 육묘 포트(21)의 내부로 돌입해서 모종(22)을 잡은 후, 육묘 포트(21)의 내부로부터 빼내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식부구의 동작 타이밍(2220)에 의하면, 상사점에서 조금 떨어진 타이밍(P3)에서 식부구(11)는 하강 동작을 정지하고, 타이밍(P4)에서 하사점에 도달하는 구성으로 한다.
여기에서, 식부구(11)가 하강 동작을 정지하는 타이밍(P3)에서는 인출 부재(260)의 동작, 공급 장치(100)의 횡이송 동작(모종 적재대(110)의 동작), 및 종이송 동작(이송 로드(121)의 동작)을 포함하는 식부 동작이 동시에 정지된다. 이것에 의해, 식부 동작을 간헐적으로 행하여 식부 포기 사이의 조정이 가능한 구성으로 된다. 또한, 상기 동작의 정지 기간은 소망한 식부 포기 사이에 맞춰서 0초~소정 시간까지 조작부(600)에 의해 설정하는 것으로 한다.
식부 동작을 간헐적으로 행하는 구성은 식부 구동 기구(400)의 식부 클러치(420)나 간헐용 캠(441)이나 액츄에이터(1440) 등을 갖는다.
또한, 상기 공급 장치(100)의 모종 적재대(110)에 있어서의 횡이송 동작의 동작 타이밍(2230)에 의하면, 인출 부재(260)가 육묘 포트(21)로 돌입하고 있는 사이, 즉 타이밍(P4) 이후 타이밍(P2)까지의 사이는 육묘 포트(21) 1개분의 횡이송 동작은 정지하여 있고, 식부구(11)의 식부 동작이 정지하고 있는 타이밍(P3)에서는 육묘 포트(21)의 1개분의 횡이송 동작의 도중에 있어서 횡이송 동작도 동시에 정지하는 구성이다.
또한, 도 3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급 장치(100)의 이송 로드(121)에 의한 종이송 동작의 동작 타이밍(2240)에 의하면, 상기 이송 로드(121)가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대략 사각형의 궤적(A)을 그리는 동작에 있어서, 트레이(20)의 이면측의 인접하는 육묘 포트(21) 사이의 간극(21a)으로부터 이송 로드(121)의 선단부가 빠져나오고, 다음에 상방으로 이동하고, 다시 다음의 육묘 포트(21) 사이의 간극(21b)으로 진입할 때까지의 복귀 동작은 인출 부재(260)가 육묘 포트(21)의 내부로 돌입한 후에 개시되고, 인출 부재(260)가 육묘 포트(21)의 내부로부터 빠져나가기 직전에 완료되고, 타이밍(P2)에서 종이송 동작을 개시하고, 타이밍(P3)에서 종이송 동작을 완료하는 구성이다.
상기 구성에 의해, 이송 로드(121)의 복귀 동작 중에 있어서, 인출 부재(260)가 육묘 포트(21)로 돌입함으로써, 트레이(20)는 인출 부재(260)에 의해 가압되므로, 트레이(20)가 반송로(111) 상을 하방을 향해서 여분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간헐 식부에 의해 식부구(11)의 동작이 정지될 때에는 이송 로드(121)에 의한 트레이(20)의 종이송 동작이 완료되어 있으므로, 간헐 식부에 있어서의 정지 상태에서 이송 로드(121)가 트레이(20)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어서, 트레이(20)가 반송로(111) 상을 하방을 향해서 여분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간헐 식부의 정지 상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식부 동작에 관련되는 부재는 동시에 정지하므로, 기체의 진동 등에 의해 트레이(20)의 상하 위치의 어긋남이 생기기 쉽지만, 이송 로드(121)에 의한 트레이(20)의 종이송 동작이 완료되었을 때에는 이송 로드(121)가 인접하는 육묘 포트(21)끼리의 간극(21a)으로 들어간 상태에서 정지함으로써, 이송 로드(121)가 트레이(20)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인출 부재(260)가 육묘 포트(21)로 돌입하고 있는 사이에는 반송로 이동장치(170)에 공급 장치(100)의 모종 적재대(110)의 횡이송 동작을 시키지 않고도, 또한 간헐 식부 동작에 의해 식부구(11)의 동작이 정지될 때에는 육묘 포트(21)의 1개분의 횡이송 동작의 도중이므로, 육묘 포트(21)의 1개분의 횡이송을 모종의 인출 동작의 지장이 되지 않는 타이밍이고 또한 천천히 작동시킬 수 있어서 횡이송의 정밀도가 향상된다.
또한, 이송 로드(121)가 복귀 동작을 하고 있는 사이에는 반송로 이동 장치(170)에 의한 공급 장치(100)의 모종 적재대(110)의 횡이송 동작을 시키지 않는 구성으로 했다. 이것에 의해, 반송로 이동 장치(170)에 의한 공급 장치(100)의 횡이송 동작에 의해 트레이(20)의 위치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안정한 종이송을 실현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 공급 장치(100)의 이송 로드(121)를 간헐적으로 구동시키는 기구를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이송 장치(120)는 상기 이송 로드(121)와, 이송 로드(121)의 양단부(121b)의 상측 선단부(121b1)가 고정되고, 편방이 내측으로 만곡한 만곡 가장자리부(131a)를 갖는 돌기형상 캠(131)이 하부에 형성된 이송 로드 암(130)과, 근원부(141)가 모종 적재대(110)의 측판(110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선단부(142)에 의해 이송 로드 암(13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하단 가장자리부에 제 1 오목부(143a), 제 2 볼록부(143b), 제 3 오목부(143c)가 측면에서 볼 때에 매끄럽게 연속해서 형성된 이송 암(140)과, 동력원으로부터의 구동력에 의해 화살표(E) 방향으로 회전하는 종이송 회전축(151)을 인출 장치(200)측으로부터 볼 때 종이송 회전축(151)의 중앙 위치와 우단 위치의 2개소에 각각 고정하고, 선단부에 견제 롤러(152)를 회전 가능하게 갖는 종이송 구동 암(150)을 구비한다.
또한 이송 암(140)의 선단부(142)와, 모종 적재대(110)의 측판(110a)의 하부(110a1) 사이에는 이송 암(140)을 상시 하방을 향해서 바이어싱하는 제 1 바이어싱 부재(160)를 설치한다. 또한, 이송 암(140)의 근원부(141)에는 이송 로드 암(130)의 상단부에 설치한 핀(132)에 한쪽 단을 장착하는 제 2 바이어싱 부재(161)의 다른쪽 단을 유지하는 스프링 설치 로드(163)를 고정한다.
그리고, 리드 캠축(171)의 회전에 의해 모종 적재대(110)가 우측 방향, 즉 화살표(F) 방향을 향해서 이동하고 있다고 하면, 종이송 회전축(151)은 화살표(E)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다.
그 사이, 인출 장치(200)는 우단 육묘 포트(21)로부터 순차적으로 모종(22)을 인출해서 식부구(11)로 공급하여 두고, 그 후 모종 적재대(110)가 최우단으로 이동한 시점에서, 최좌단의 육묘 포트(21)의 모종(22)이 인출 장치(200)로 인출된다.
이때, 상기 종이송 구동 암(150)의 선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는 견제 롤러(152)가 이송 암(140)의 제 1 오목부(143a)와 접촉을 개시한 후, 조금 지연시켜 이송 로드 암(130)의 만곡 가장자리부(131a)와 접촉을 개시하는 구성이므로, 이송 로드(121)는 이송 암(140)의 시계방향의 회전을 따라 일단 상승 이동한 후, 선단부(142)의 축 중심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을 개시한다.
즉, 이송 로드(121)가 화살표(121a0)의 방향으로 일단 상승 이동함으로써, 노치부(112a)에 유지되어 있었던 트레이 이송 로드(121)의 돌기부(121ab)가 노치부(112a)로부터 빠져나감과 아울러, 육묘 포트(21)의 이측의 간극(21a)에서 대기하고 있었던 이송 로드(121)의 중앙부(121a)도 간극(21a)의 범위 내에서 화살표(121a0) 방향으로 상승 이동한다. 그 후, 이송 로드 암(130)이 선단부(142)의 축중심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을 개시함으로써, 이송 로드(121)의 중앙부(121a)는 화살표(121a1)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노치부(112a)의 노치 깊이는 이송 로드(121)의 중앙부(121a)가 간극(21a)의 범위 내에서 이동할 수 있는 정도로 한다.
또한, 견제 롤러(152)가 회전을 계속하면, 견제 롤러(152)가 이송 로드 암(130)의 만곡 가장자리부(131a)와 계속해서 접촉하고 있음으로써, 이송 로드(121)의 중앙부(121a)는 퇴피홈(111a)에 위치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동시에 견제 롤러(152)가 이송 암(140)의 제 1 오목부(143a)로부터 제 2 볼록부(143b)를 향해서 이동하므로, 이송 암(140)은 더욱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송 로드(121)의 중앙부(121a)는 퇴피홈(111a)에 위치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화살표(121a2)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후, 견제 롤러(152)가 회전을 계속하면, 견제 롤러(152)가 이송 로드암(130)의 만곡 가장자리부(131a)와 비접촉 상태로 됨과 동시에, 제 2 바이어싱 부재(161)의 북원력에 의해 이송 로드 암(130)이 선단부(142)의 축중심에서 시계방향으로 순시로 회전함으로써 이송 로드(121)의 중앙부(121a)는 간극(21a)으로부터 육묘 포트(21)의 일렬분 만큼 상측에 위치하는 간극(21b)을 향해서 화살표(121a3)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한다.
그 후, 견제 롤러(152)가 회전을 계속하면, 견제 롤러(152)는 이송 암(140)의 제 3 오목부(143c)와 접촉하면서 이동하므로, 제 1 바이어싱 부재(160)의 북원력에 의해 이송 암(140)이 하방으로 인장되고, 이송 로드(121)의 중앙부(121a)는 간극(21b)에 위치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화살표(121a4)의 방향으로 이동함과 아울러, 이송 로드(121)의 중앙부(121a)의 돌기부(121ab)가 노치부(112a)에 유지된다.
그리고, 화살표(121a4) 방향으로 이동한 이송 로드(121)의 중앙부(121a)는 육묘 포트(21)끼리의 간극에 위치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고, 모종 적재대(110)가 화살표(G) 방향, 즉 좌측 방향으로 이동을 개시하면, 인출 장치(200)는 좌단의 육묘 포트(21)로부터 순차적으로 모종(22)을 인출해서 식부구(11)로 공급하고, 모종 적재대(110)가 최좌단으로 이동한 시점에서 최우단의 육묘 포트(21)의 모종(22)이 인출 장치(200)로 인출된다.
또한, 이 사이는 이송 로드(121)의 중앙부(121a)의 돌기부(121ab)가 노치부(112a)에 유지되어 있으므로, 모종(22)의 무게에 의해 트레이(20)가 하방으로 어긋나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횡일렬분의 모든 모종(22)이 인출되면, 상기 견제 롤러(152)가 이송 로드암(130)의 만곡 가장자리부(131a) 및 이송 암(140)의 제 1 오목부(143a)와 접촉을 개시한다.
상기 동작의 반복에 의해 트레이(20)는 우측 방향 또는 좌측 방향으로 이동할 때마다 육묘 포트(21)의 일렬분만 간헐적으로 종이송한다.
이것에 의해, 콤팩트한 구조의 종이송 장치(120)가 얻어진다. 또한, 안내 레일(G)과, 리드 캠축(171)의 간단한 구조로 반송로(111)를 좌우 이동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이송 로드(121)의 중앙부(121a)가 반송로(111)의 평면부(111b)에 배치 됨으로써, 트레이(20)가 내측으로 휘는 것이 방지되어, 육묘 포트(21)의 이측에 간극(21a, 21b)을 확보할 수 있어서 이송 로드(121)를 간극(21a, 21b)으로 확실하게 진입시킬 수 있다.
또한, 반송로(111)의 평면부(111b)의 하류측에 곡면부(111c)를 형성함으로써, 트레이(20)는 곡면부(111c)를 따라 휘므로, 트레이 이송 시에 이송 로드(121)가 화살표(121a2)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을 때에서도, 이 휨이 저항으로 되어 트레이(20)가 하류측으로 벗어나는 것이 방지된다.
다음에, 도 6~도 8을 이용하여, 상기 모종 식부 장치(300) 및 식부 구동 기구(400)에 대해서 더욱 설명한다.
상기 모종 식부 장치(300)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종(22)을 포장에 이식하는 식부구(11)와, 식부구(11)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서로 평행하게 배치함과 아울러, 암(311)과 하부 암(312)을 갖는 요동 링크 기구(310)와, 하부 암(312)에 제 1 연결축(321)을 통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요동 링크 기구(310)를 상하동시키는 상하동 암(320)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연결축(321)은 상하동 암(320)에 고정된다.
또한, 상하동 암(320)을 회전시키는 상하동 암 구동축(440)은 식부 구동 기구(400)로부터 돌출시켜서 설치하고, 그 선단부에 상하동 암(320)을 고정한다.
또한, 모종 식부 장치(300)는 하부 암(312)에 제 2 연결축(341)을 통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는 식부구(11)의 개폐 암(340)과, 상기 제 1 연결축(321)에 설치되고 상기 개폐 암(340)의 선단부에 설치하는 개폐 롤러(342)의 외주 가장자리부에 접촉해서 회전하면 개폐 암(340)을 전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개폐 캠(322)과, 일단부(351)가 개폐 암(340)의 선단부의 제 3 연결축(343)에 연결되고, 타단부(352)가 식부구(11)의 개폐 기구(11a)측에 연결된 개폐용 연결 케이블(350)을 구비한다.
상기 요동 링크 기구(310)는 식부 구동 기구(400)를 수납한 케이스(410)의 전측 상단부(401a)에 상단이 상부 전면축(313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하단이 하부 전면축(314a)을 통해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 지지판(315)에 연결된 전측 요동 암(316a)과, 상기 케이스(401)의 후측 상단부(401b)에 상단이 상부 후면축(313b)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하단이 하부 후면축(314b)을 통해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 지지판(315)에 연결된 후측 요동 암(316b)을 구비하고, 연결 지지판(315)에 설치하는 상부축(316)에 상기 상부 암(311)의 전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또한 연결 지지판(315)의 하부 후면축(314b)에 상기 하부 암(312)의 전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과 아울러, 상부 암(311) 및 하부 암(312)의 각각의 후단부가 식부구(11)의 지지판(317)에 설치한 회전 상부축(317a)와 회전 하부축(317b)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식부 구동 기구(400)에 의해 상하동 암 구동축(440)에 회전 구동력이 전동되면, 상하동 암 구동축(440)에 고정되어 있는 상하동 암(320)이 화살표(A1)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하부 암(312) 및 상부 암(311)이 상하로 요동을 반복함과 아울러 전후로의 요동도 행해져서, 식부구(11)에 의한 모종(22)의 식부 동작이 이랑(U)에 대하여 소정 간격으로 자동적으로 행해진다.
또한, 이 식부 동작시, 제 1 연결축(321)을 고정하고 있는 상하동 암(320)이 화살표(A1)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 1 연결축(321)에 고정되어 있는 개폐 캠(322)이 개폐 롤러(342)의 외주 가장자리부에 접촉하면서 회전하므로, 개폐 암(340)이 제 2 연결축(341)을 중심으로 해서 전방향(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동작에 따라, 개폐용 연결 케이블(350)의 일단부(351)가 전방향으로 인장되므로, 개폐 기구(11a)가 식부구(11)를 개방하기 위해 동작한다.
또한, 개폐 암(340)이 제 2 연결축(341)을 중심으로 하여 후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개폐 기구(11a)에 설치한 식부구(11)를 항상 폐쇄하는 방향으로 바이어싱하는 바이어싱 스프링(도시 생략)의 작용에 의해, 개폐용 연결 케이블(350)의 일단부(351)가 후방향으로 인장되므로, 개폐 기구(11a)가 식부구(11)를 폐쇄하기 위해 동작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상하동 암(320)을 일축으로 구동할 수 있는 심플한 구조로 됨과 아울러, 상하동 암(320), 개폐 암(340) 및 개폐 캠(322)이 컴팩트하게 배치되어, 식부 작동이 원활해진다.
다음에, 평면에서 볼 때에 모종 식부 장치(300)보다 우측에 배치된 식부 구동 기구(400)에 있어서의 상하동 암 구동축(440)으로의 전동의 온/오프를 행하는 클러치 기구에 대해서 도 2, 도 7 및 도 8(a), (b), (c)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식부 구동 기구(400)는,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식부 전동 장치(18)로부터 출력되는 구동력을 식부 클러치(420)로 전동하는 제 1 기어(410)와, 제 1 기어(410)로부터 구동력을 받아서 상하동 암 구동축(440)으로의 전동을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로 스위칭하는 식부 클러치(420)와, 식부 클러치(420)가 온 상태일 때에 구동력이 전동되고, 식부 클러치(420)의 전동축(421)에 고정되는 전동 기어(421a)로부터 구동력을 받는 제 2 기어(430)와, 제 2 기어(430)와 동축에 고정된 소경 기어(430a)와 맞물려서 상하동 암 구동축(440)에 구동력을 전동하고, 상하동 암 구동축(440)에 고정된 제 3 기어(450)를 각각 회전 가능하게 배치한다. 상기 식부 클러치(420)의 전동축(421)은 식부 클러치(420)가 오프 상태일 때에는 회전하지 않고 정지하고 있어, 제 2 기어(430)로의 전동은 행하지 않는다.
또한, 식부 구동 기구(400)는 식부 클러치(420)의 전동 하류측에 설치되고, 상하동 암 구동축(440)에 고정됨과 아울러, 식부 클러치(420)를 온 상태로부터 오프 상태로 강제적으로 스위칭하기 위해, 외주 가장자리부의 일부에 형성된 볼록부(441a)를 갖는 간헐용 캠(441)과, 선단부가 간헐용 캠(441)의 외주 가장자리부에 접촉하기 위해 배치된 제 1 암(460A)을 가짐과 아울러, 선단부가 식부 클러치(420)에 접촉 및 이간 가능하게 배치된 제 2 암(460B)을 갖고, 케이스(40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축(461)에 고정된 규제 부재(460)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암(460A)의 선단부가 간헐용 캠(441)의 볼록부(441a)에 접촉함으로써, 규제 부재(460)가 우측면에서 볼 때에 회전축(461)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제 2 암(460B)의 선단부가 식부 클러치(420)에 접촉하고, 제 1 암(460A)의 선단부가 간헐용 캠(441)의 볼록부(441a) 이외의 외주 가장자리부에 접촉함으로써, 규제 부재(460)가 우측면에서 볼 때에 회전축(46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제 2 암(460B)의 선단부가 식부 클러치(420)로부터 이간되는 구성으로 한다.
또한, 제 2 암(460B)의 선단부가 식부 클러치(420)로부터 이간되면 상기 식부 클러치(420)가 온 상태로 되고, 제 2 암(460B)의 선단부가 식부 클러치(420)에 접촉하면 상기 식부 클러치(420)가 오프 상태로 되는 구성으로 한다.
또한, 식부 구동 기구(400)의 구동 장치(1400)는 회전축(461)에 일단부가 고정된 스토퍼 암(1410)과, 스토퍼 암(141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항상 바이어싱하는 바이어싱 부재(1420)와, 스토퍼 암(141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규제하는 스토퍼(1430)와, 스토퍼(1430)를 주행 차체(15)의 좌우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액츄에이터(1440)를 갖는다.
상기 바이어싱 부재(1420)의 일단부는 스토퍼 암(1410)의 상단측에 설치되어 있고, 타단부는 케이스(401)의 상단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액츄에이터(1440)의 우측면부(1440a)로부터 좌우측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로드(1443)를 돌출시켜서 설치하고, 상기 로드(1443)의 선단의 노치부에 스토퍼(1430)의 근본부(1431)를 연결한다.
액츄에이터(1440)는 평면에서 볼 때에 장방형상의 탑재 플레이트(1441) 상에 고정되어 있고, 탑재 플레이트(1441)의 선단측(도 8(a)의 도면 중의 우측)에는 스토퍼 암(1410)의 선단부(1410a)가 진입가능한 제 1 노치부(1441a)가 기체의 전후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또한, 탑재 플레이트(1441)의 선단측의 하면에는 배면에서 볼 때 대략 L자형상으로 굴곡된 고정 앵글(1442)을 고정한다. 고정 앵글(1442)에 있어서도, 상기 제 1 노치부(1441a)에 대응하는 위치에 동일 형상의 제 2 노치부(1442a)를 설치한다. 고정 앵글(1442)의 하방으로 구부려진 부위가 케이스(401)의 상단부에 체결 부재(1442b)를 통해서 고정된다.
한편, 스토퍼(1430)는 근본부(1431)와 선단부 사이에 있어서, 상하폭이 다른 부위보다 넓은 플랜지부(1432)를 갖고 있고, 플랜지부(1432)로부터 앞의 부위에는 일정한 상하폭을 갖는 작용부(1433)와, 하단부가 노치되어 그 상하폭이 작용부(1433)보다 좁은 비작용부(1434)가 형성된다. 작용부(1433)는 스토퍼 암(1410)의 선단부(1410a)가 접촉함으로써 스토퍼 암(1410)의 화살표(N)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기능을 갖고, 비작용부(1434)는 스토퍼 암(1410)의 선단부(1410a)가 통과 함으로써 스토퍼 암(1410)의 화살표(N) 방향으로의 이동을 허가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탑재 플레이트(1441)의 선단측의 상면에는 가이드 플레이트(1460)가 체결 부재(1460a)에 의해 고정된다. 가이드 플레이트(1460)는 제 1 가이드 플레이트(1461)와, 제 1 가이드 플레이트(1461)의 전단부(1461b)로부터 직각으로 구부려지고, 기체의 좌우 폭방향을 기준으로 해서 우측방향으로 연장된 제 2 가이드 플레이트(1462)와, 제 2 가이드 플레이트(1462)의 하단부에서 더욱 직각으로 구부려지고, 기체의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해서 전방향으로 연장된 제 3 가이드 플레이트(1463)로 구성된다.
제 1 가이드 플레이트(1461)는 액츄에이터(1440)의 우측면부(1440a)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고, 장방 형상의 슬릿(1461a)을 갖고 있다. 슬릿(1461a)의 상하폭은, 스토퍼(1430)의 작용부(1433)는 관통해서 화살표(Q1) 방향 및 화살표(Q2)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지만, 스토퍼(1430)의 플랜지부(1432)는 관통할 수 없는 구성으로 한다.
또한, 제 2 가이드 플레이트(1462)는 스토퍼 암(1410)의 선단부(1410a)가 진입가능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제 3 노치부(1462a)를 갖는다.
또한, 제 3 가이드 플레이트(1463)는 스토퍼 암(1410)의 선단부(1410a)가 진입가능하고, 제 2 가이드 플레이트(1462)의 제 3 노치부(1462a)의 하단부와 연통한 제 4 노치부(1463a)를 갖는다.
또한, 제 3 가이드 플레이트(1463)의 제 4 노치부(1463a)와, 탑재 플레이트(1441)의 제 1 노치부(1441a)와, 고정 앵글(1442)의 제 2 노치부(1442a)는 평면에서 볼 때에 서로 완전히 중복되는 구성으로 한다.
또한, 스토퍼(1430)의 플랜지부(1432)와 액츄에이터(1440)의 우측면부(1440a)의 사이에는 융통 기구(1450)를 설치하여, 스토퍼(1430)를 화살표(Q1) 방향으로 항상 바이어싱하는 구성으로 한다.
상기 액츄에이터(1440)는 제어부(800)(도 10 참조)의 지령에 의해 통전을 받으면, 로드(1443)가 융통 기구(1450)에 의한 화살표(Q1) 방향으로의 바이어싱력에 대항하여 화살표(Q2) 방향으로 흡인되는 구성이다.
즉, 액츄에이터(1440)로의 통전의 개시에 의해 로드(1443)가 화살표(Q2) 방향으로 흡인되면, 스토퍼(1430)의 작용부(1433)가 슬릿(1461a)을 통과해서 액츄에이터(1440)측으로 끌려 들어감과 아울러, 비작용부(1434)가 스토퍼 암(1410)의 선단부(1410a)의 전측으로 이동한다. 즉, 액츄에이터(1440)로의 통전에 의해 스토퍼(1430)의 위치는 작용 상태로부터 비작용 상태로 스위칭된다.
그리고, 스토퍼(1430)의 작용부(1433)에 의한 스토퍼 암(1410)의 선단부(1410a)에 대한 이동 규제가 해제되고, 스토퍼 암(1410)이 회전축(461)을 중심으로 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함과 아울러, 제 2 암(460B)의 선단부가 식부 클러치(420)로부터 이간된다.
이것에 의해, 식부 클러치(420)가 오프 상태로부터 온 상태로 이행하고, 구동력이 식부 클러치(420)를 통해서 상하동 암 구동축(440)측으로 전달된다. 그리고, 상하동 암 구동축(440)에 고정되는 간헐용 캠(441)이 회전을 개시한다.
또한, 비작용 상태에 있을 때의 스토퍼(1430)의 위치는 도 7에서 2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 스토퍼(1430)의 위치가 비작용 상태에 있고, 또한 스토퍼 암(1410)의 선단부(1410a)가 제 1 노치부(1441a)∼제 4 노치부(1463a)로 진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액츄에이터(1440)로의 통전이 정지된 상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때, 액츄에이터(1440)에 의한 흡인력이 없어지므로, 상기 스토퍼(1430)는 융통 기구(1450)에 의한 바이어싱력에 의해 화살표(Q1) 방향으로 돌출되지만, 비작용부(1434)의 노치부 내 작용부(1433)에 인접하는 끝가장자리부(1434a)가 스토퍼 암(1410)의 선단부(1410a)의 내면측에 접촉하여, 화살표(Q1) 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한다. 그리고, 스토퍼 암(1410)의 선단부(1410a)는 제 1 노치부(1441a)∼제 4 노치부(1463a)에 진입한 상태를 유지하므로, 식부 클러치(420)는 제 1 암(460A)의 선단부가 간헐용 캠(441)의 볼록부(441a)에 접촉하여, 오프 상태로 이행할 때까지 온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상하동 암 구동축(440)에 고정되어 있는 간헐용 캠(441)이 더욱 회전을 계속하고, 제 1 암(460A)의 선단부가 간헐용 캠(441)의 외주 가장자리부의 볼록부(441a)에 접촉함으로써, 식부 클러치(420)가 온 상태로부터 오프 상태로 이행한다. 이것에 의해, 상하동 암 구동축(440)측으로의 구동력의 전달이 정지된다.
또한, 제 1 암(460A)의 선단부가 간헐용 캠(441)의 외주 가장자리부의 볼록부(441a)에 접촉함으로써, 스토퍼 암(1410)이 회전축(461)을 중심으로 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것에 의해, 스토퍼(1430)는 작용부(1433)에 인접하는 끝가장자리부(1434a)가 스토퍼 암(1410)의 선단부(1410a)의 내면측에 접촉하여, 화살표(Q1) 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되어 있었던 상태로부터 해방되어서 화살표(Q1) 방향으로 돌출되고, 플랜지부(1432)가 제 1 가이드 플레이트(1461)의 슬릿(1461a)의 상하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접촉해서 정지한다.
또한, 식부 구동 기구(400)는 식부 클러치(420)가 온 상태로부터 오프 상태로 이행했을 때, 제 1 암(460A)의 선단부와 간헐용 캠(441)의 볼록부(441a)의 접촉 위치를 통과한 위치에서 간헐용 캠(441)이 회전을 정지하는 구성으로 한다.
따라서, 식부 클러치(420)가 오프 상태에 있을 때에는 액츄에이터(1440)로의 통전에 의해 스토퍼(1430)를 화살표(Q2)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작업자가 스토퍼(1430)의 선단부(1430a)(도 8(a) 참조)를 손으로 화살표(Q2) 방향으로 임의의 타이밍에서 누름으로써, 스토퍼(1430)의 위치가 작용 상태로부터 비작용 상태로 스위칭되므로, 이전까지 작용부(1433)에 의해 이동이 규제되고 있었던 스토퍼 암(1410)의 선단부(1410a)의 이동이 허가되어서, 스토퍼 암(1410)이 회전축(461)을 중심으로 해서 시계방향(도 7의 화살표(N) 방향 참조)으로 회전하여, 식부 클러치(420)를 오프 상태로부터 온 상태로 스위칭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구동 장치(1400)는 액츄에이터(1440)에 의해 스토퍼(1430)를 구동할 뿐인 간단한 구조가 되어, 액츄에이터(1440)의 소형화, 경량화 및 비용 절감이 도모된다.
또한, 스토퍼(1430)의 플랜지부(1432)와 액츄에이터(1440)의 우측면부(1440a) 사이에 융통 기구(1450)를 설치함으로써, 액츄에이터(1440)로의 통전의 유무에 관계없이 임의의 타이밍에서 식부 클러치(420)를 온 상태로 할 수 있으므로, 식부 위치의 수동 조정을 할 수 있음과 아울러, 메인터넌스성이 향상된다.
또한, 스토퍼(1430)의 표면에 평행하게 배치하는 제 2 가이드 플레이트(1462)에 의해, 스토퍼(1430)와 제 2 가이드 플레이트(1462)의 슬라이딩부가 평면이기 때문에, 스토퍼(1430)가 스무드하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이어싱 부재(1420)는 제 2 암(460B)의 선단부를 식부 클러치(420)가 온 상태가 되는 방향에서, 또한 제 1 암(460A)의 선단부를 간헐용 캠(441)의 외주 가장자리부에 압박하는 방향으로 바이어싱하는 스프링이다.
상기 구성에 의해, 식부 클러치(420)의 전동 하류측에 설치된 간헐용 캠(441)을 사용하여 식부 클러치(420)를 온 상태로부터 오프 상태로 할 수 있으므로, 간헐 식부 기구의 구성이 간결화된다.
또한, 제 1 암(460A)과 제 2 암(460B)이 회전축(461)을 중심으로 해서 일체 회전하는 구성으로 하고, 또한 상기 회전축(461)을 식부 클러치(420)의 전동축(421)보다 간헐용 캠(441)측에 배치함으로써, 제 1 암(460A)과 제 2 암(460B)을 컴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다.
다음에, 도 7을 참조하면서, 식부 구동 기구(400)에 있어서의 상하동 암 구동축(440)으로의 전동의 온/오프를 행하는 식부 클러치(420)와 간헐용 캠(441)의 동작을 중심으로 항목 A∼C의 3개로 나누어서 각각 설명한다.
A.액츄에이터(1440)에 통전(펄스 신호에 의한 단시간의 통전)되면, 액츄에이터(1440)의 선단의 로드(1443)가 융통 기구(1450)의 복원력(신장력)에 대항해서 화살표(Q2) 방향으로 흡인된다.
이것에 의해, 로드(1443)에 연결된 스토퍼(1430)의 작용부(1433)가 제 1 가이드 플레이트(1461)의 슬릿(1461a)을 통과해서 액츄에이터(1440) 측으로 끌려 들어감과 아울러, 비작용부(1434)가 스토퍼 암(1410)의 선단부(1410a)의 끝가장자리부(1410a1)의 전측으로 이동한다.
즉, 액츄에이터(1440)로 통전됨으로써, 스토퍼(1430)의 작용부(1433)에 의한 스토퍼 암(1410)의 선단부(1410a)로의 이동 규제가 해제되어서, 스토퍼 암(1410)이 회전축(461)을 중심으로 해서 시계방향(도 7의 화살표(N) 참조)으로 회전하고, 스토퍼 암(1410)의 선단부가 제 1 노치부(1441a)로 진입함과 아울러, 제 2 암(460B)의 선단부가 식부 클러치(420)로부터 이간된다.
제 2 암(460B)의 선단부가 식부 클러치(420)로부터 이간됨으로써 하기의 i)과 ii)의 동작이 행해진다.
i) 상기 식부 클러치(420)가 온 상태가 되어, 전동축(421)이 회전함으로써 제 2 기어(430)측으로 구동력이 전달되고, 제 3 기어(450)를 통해서 상하동 암 구동축(440)이 회전을 개시한다.
ii) 한편, 제 1 암(460A)의 선단부는 간헐용 캠(441)의 외주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볼록부(441a)로부터 이간되고, 외주 가장자리부(441b)의 표면을 따르면서 (이 직전까지, 제 1 암(460A)의 선단부는 간헐용 캠(441)의 볼록부(441a)를 통과하고, 또한 외주 가장자리부로부터 격리된 위치에서 정지하면서, 식부 클러치(420)가 오프 상태에 있고, 상하동 암 구동축(440)은 회전을 정지하고 있음), 간헐용 캠(441)과 상하동 암(320)은 회전을 계속한다.
또한, 액츄에이터(1440)로의 통전이 정지된 후에는 액츄에이터(1440)에 있어서, 화살표(Q2) 방향(도 8(a) 참조)으로의 흡인력은 발생하지 않고, 로드(1443)에 연결되어 있는 스토퍼(1430)는 융통 기구(1450)에 의한 바이어싱력에 의해 화살표(Q1)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러나, 스토퍼(1430)의 비작용부(1434)의 노치부 중, 작용부(1433)에 인접하는 끝가장자리부(1434a)(도 8(b) 참조)가 제 1 노치부(1441a)에 이미 진입하여 있는 스토퍼 암(1410)의 선단부(1410a)의 내면측에 접촉하여, 화살표(Q1) 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된다.
즉, 액츄에이터(1440)로의 통전이 정지된 후에도, 스토퍼 암(1410)의 선단부(1410a)가 제 1 노치부(1441a)에 진입한 상태가 유지되므로, 제 1 암(460A)의 선단부는 간헐용 캠(441)의 외주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볼록부(441a)로부터 이간되어, 외주 가장자리부의 표면을 따른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제 1 암(460A)의 선단부가 간헐용 캠(441)의 외주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볼록부(441a)로부터 이간되어 외주 가장자리부의 표면을 따른 상태가 유지되어 있는 사이에는 제 2 암(460B)의 선단부가 식부 클러치(420)로부터 이간되어 있으므로, 식부 클러치(420)는 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상하동 암(320)의 회전에 의해 식부구(11)는 상하동(식부 동작)을 계속하고, 간헐용 캠(441)이 1회전하는 사이에 식부구(11)는 1회만 식부 동작을 실행한다.
B.그 후, 간헐용 캠(441)이 1회전의 동작을 완료함과 동시에, 제 1 암(460A)의 선단부가 간헐용 캠(441)의 볼록부(441a)에 걸리면, 스토퍼 암(1410)이 회전축(461)을 중심으로 해서 반시계방향(도 7의 화살표(M) 참조)으로 회전한다.
이것에 의해, 스토퍼(1430)는 작용부(1433)에 인접하는 끝가장자리부(1434a) (도 8(b) 참조)가 스토퍼 암(1410)의 선단부(1410a)의 액츄에이터(1440)에 면하는 내면측에 접촉해서 화살표(Q1) 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되어 있었던 상태로부터 해방되어서 화살표(Q1) 방향으로 돌출되고, 플랜지부(1432)가 제 1 가이드 플레이트(1461)의 슬릿(1461a)의 상하의 가장자리부에 접촉해서 정지된다. 이때, 스토퍼 암(1410)의 선단부(1410a)의 끝가장자리부(1410a1)(도 7 참조)의 전측에는 스토퍼(1430)의 작용부(1433)가 위치하고 있다.
한편, 제 1 암(460A)의 선단부가 간헐용 캠(441)의 볼록부(441a)에 걸리면, 제 2 암(460B)의 선단부가 식부 클러치(420)에 접촉하고, 식부 클러치(420)는 온 상태로부터 오프 상태로 되어, 상하동 암 구동축(440)은 회전을 정지한다.
이때, 제 1 암(460A)의 선단부가 간헐용 캠(441)의 볼록부(441a)와의 접촉 위치를 통과한 위치에서 간헐용 캠(441)은 회전을 정지한다.
그리고, 스토퍼 암(1410)의 선단부(1410a)는 스토퍼(1430)의 작용부(1433)(도 8(b) 참조)에 의해 시계방향(도 7의 화살표(N) 참조)으로의 회전이 저지되므로, 제 2 암(460B)의 선단부가 식부 클러치(420)에 접촉한 상태가 유지된다.
이것에 의해, 제 2 암(460B)의 선단부가 식부 클러치(420)에 접촉함으로써 하기의 i)과 ii)의 동작이 행해진다.
i) 식부 클러치(420)가 온 상태로부터 오프 상태로 되어 전동축(421)의 회전이 정지함으로써 제 2 기어(430)측으로 구동력이 전달되지 않게 되므로, 상하동 암 구동축(440)은 회전을 정지한다.
ii) 한편, 제 1 암(460A)의 선단부가 간헐용 캠(441)의 외주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볼록부(441a)와의 접촉 위치를 통과한 위치에 채류한 채(이 직전까지, 제 1 암(460A)의 선단부는 간헐용 캠(441)의 외주 가장자리부(441b)를 따르면서, 식부 클러치(420)는 온 상태로 있고, 상하동 암 구동축(440)은 회전을 계속하고 있음), 간헐용 캠(441)과 상하동 암(320)은 회전을 계속해서 정지하므로, 식부구(11)는 상하동(식부 동작)을 계속해서 정지한다.
C. 더욱 그 후, 임의의 타이밍에서 액츄에이터(1440)가 통전되면, 식부 클러치(420)가 온 상태가 되고, 상기 항목 A에서 설명한 동작을 개시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액츄에이터(1440)로 통전하는 임의의 타이밍을 제어함으로써, 식부구(11)의 상하동이 정지하는 시간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간헐 식부가 가능해진다.
또한, 식부 클러치(420)가 오프 상태에 있을 때에는 스토퍼(1430)의 선단부(1430a)(도 8(a) 참조)를 손으로 화살표(Q2) 방향으로 임의의 타이밍에서 누름으로써, 스토퍼(1430)의 위치가 작용 상태로부터 비작용 상태로 스위칭되므로, 작용부(1433)에 의해 이동이 규제되어 있었던 스토퍼 암(1410)의 선단부(1410a)의 이동이 허가되어서, 스토퍼 암(1410)이 회전축(461)을 중심으로 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식부 클러치(420)를 오프 상태로부터 온 상태로 이행시키는 구성으로 된다.
다음에,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종 핸들(8)의 좌측의 핸들 그립(8L)의 근방에는 주 클러치 레버(80)를 설치하고, 우측의 핸들 그립(8R)의 근방에는 유압승강 실린더(10)를 작동시키는 승강 조작 레버(81)를 설치한다.
승강 조작 레버(81)는 하강, 중립, 상승의 3단계로 수동 스위칭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하강 위치로 스위칭되면 유압 승강 실린더(10)가 주행 차체(15)를 하강시키기 위해 작동하고, 센서판(710)(도 14 참조)에 의해 하강이 정지됨과 아울러, 식부 온/오프 버튼(620)이 온 상태이면, 식부 클러치(420)가 온 상태가 되어 식부 작업이 개시된다.
또한, 승강 조작 레버(81)를 중립 위치로 스위칭하면 식부 작업을 정지시키고, 상승 위치로 스위칭하면 유압 승강 실린더(10)가 주행 차체(15)를 상승시키기 위해 작동한다.
또한, 조작 패널(601)에는 그 좌단으로부터 우단을 향해서 순차적으로 주행 차체(15)의 주행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식부구(11)만을 작동시키는 공 식부 조작버튼(610)과, 승강 조작 레버(81)가 주행 차체(15)를 하강시키는 하강 조작 위치로 조작되었을 때, 그 하강 조작에 연동해서 식부구(11)를 작동시키는 상태와 그 하강 조작에 연동시키지 않는 상태 중 어느 하나로 스위칭하는 식부 온/오프 버튼(620)과, 적어도 식부 포기 사이를 표시하는 표시부(630)와, 적어도 식부 포기 사이를 조절하는 조절 버튼(640)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식부 온/오프 버튼(620)이 조작 패널(601)의 중앙부 부근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조작이 쉽다.
또한, 공식부 조작버튼(610)이 다른 조작버튼이 배치된 상면(601a)과는 다른 후면(601b)의 좌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작업자에 의한 오조작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630)가 조작 패널(601)의 중앙 부근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확인하기 쉽다.
조정 버튼(640)은 포기 사이를 넓히는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상승 푸시 스위치(640a)와, 포기 사이를 좁히는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하강 푸시 스위치(640b)를 구비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상승 푸시 스위치(640a)와 하강 푸시 스위치(640b)를 조작함으로써 포기 사이를 나타내는 수치가 직접적으로 표시부(630)에 표시되므로, 포기 사이를 인식하기 쉬워진다.
다음에, 도 10을 참조하면서, 조작 패널(601)의 하방에 설치하는 제어부(800)에 의한 액츄에이터(1440)의 제어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부(800)에는 적어도 식부 온/오프 버튼(620)으로부터의 온/오프 신호와, 승강 조작 레버(81)의 전환 신호와, 식부 스위치(770)로부터의 온/오프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입력 신호에 의해 액츄에이터(1440)로 펄스 신호가 출력된다.
또한, 상기에서는 액츄에이터의 일례로서 통전되면 Q2 방향(도 8(a) 참조)으로 인장되는 로드(1443)를 구비한 액츄에이터(1440)를 사용한 구성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통전되면 Q1 방향(도 8(a) 참조)으로 돌출하는 제 2 로드(도 8(a)의 부호 1443 참조)를 구비한 액츄에이터를 사용해도 좋다. 이 구성의 경우, 제 2 로드에 연결된 제 2 스토퍼(도 8(b)의 부호 1430 참조)의 작용부와 비작용부의 배치는 상기 스토퍼(1430)의 작용부(1433)와 비작용부(1434)의 배치의 반대 구성이다. 즉, 액츄에이터에 통전되어서 제 2 스토퍼가 Q1 방향으로 돌출했을 때에 스토퍼 암(1410)의 선단부(1410a)가 비작용부를 통과하고, 액츄에이터로의 통전이 정지되고 제 2 스토퍼가 Q2 방향으로 인장되었을 때에, 스토퍼 암(1410)의 선단부(1410a)가 작용부에 접촉해서 기체 전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Claims (3)

  1. 이식물(22)을 이식하는 식부구(11)와, 상기 식부구(11)를 간헐적으로 작동시키는 식부 구동 기구(400)를 주행 차체(15)에 구비하는 이식기에 있어서,
    상기 식부 구동 기구(400)는 상기 식부구(11)로의 전동을 온/오프 하는 식부 클러치(420)와, 상기 식부 클러치(420)의 전동 하류측에 설치하는 회전가능한 캠 부재(441)와, 상기 캠 부재(441)의 형상에 기초하여 상기 식부 클러치(420)의 전동을 오프 상태로 하는 규제 부재(460)와, 상기 규제 부재(460)를 이동시켜서 상기 식부 클러치(420)의 오프 상태를 온 상태로 하는 구동 장치(1400)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 장치(1400)는 상기 규제 부재(460)를 상기 식부 클러치(420)가 온 상태가 되는 방향으로 바이어싱하는 바이어싱 부재(1420)와, 상기 규제 부재(460)가 상기 식부 클러치(420)를 온 상태로 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스토퍼(1430)와, 상기 스토퍼(1430)에 의한 규제를 작용 상태와 비작용 상태로 스위칭하는 액츄에이터(1440)로 구성되고,
    상기 액츄에이터(1440)를 작동시켜서 스토퍼(1430)를 작용 상태로부터 비작용 상태로 스위칭함으로써, 상기 규제 부재(460)가 상기 식부 클러치(420)를 온 상태로 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의 규제가 해제되어 상기 식부 클러치(420)가 오프 상태로부터 온 상태로 이행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1430)의 이동을 소정 위치에서 규제함과 아울러 이동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플레이트(1460)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1440)와 상기 스토퍼(1430) 사이에, 상기 액츄에이터(1440)의 작동에 상관없이 상기 스토퍼(1430)를 수동으로 작용 상태로부터 비작용 상태로 스위칭 가능하게 한 융통 기구(1450)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식기.
KR1020160081345A 2015-06-29 2016-06-29 이식기 KR1017994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30239A JP6319206B2 (ja) 2015-06-29 2015-06-29 作業車両
JPJP-P-2015-130239 2015-06-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321A KR20170002321A (ko) 2017-01-06
KR101799401B1 true KR101799401B1 (ko) 2017-11-20

Family

ID=5765143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7119A KR101799406B1 (ko) 2015-06-29 2016-06-21 이식기
KR1020160081345A KR101799401B1 (ko) 2015-06-29 2016-06-29 이식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7119A KR101799406B1 (ko) 2015-06-29 2016-06-21 이식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319206B2 (ko)
KR (2) KR101799406B1 (ko)
CN (2) CN106258120B (ko)
MY (1) MY18557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70658B2 (ja) * 2018-05-22 2021-05-12 井関農機株式会社 作物引抜機
JP7195213B2 (ja) * 2019-04-25 2022-12-23 株式会社クボタ 圃場作業機
CN111557155A (zh) * 2020-06-09 2020-08-21 云南省农业科学院园艺作物研究所 一种高原山区蔬菜移栽装置及方法
JP7428160B2 (ja) 2021-04-21 2024-02-06 井関農機株式会社 移植機
CN114532016B (zh) * 2022-03-17 2022-10-28 江苏玖顺农业机械有限公司 一种高速插秧机智能分秧机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91163B2 (ja) 1995-06-19 2002-06-10 株式会社クボタ 移植機の動力伝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43432U (ko) * 1972-07-27 1974-04-16
JPS5348815A (en) * 1976-10-18 1978-05-02 Iseki Agricult Mach Riding type rice transplanting machine
JPH11227593A (ja) 1998-02-16 1999-08-24 Iseki & Co Ltd 農作業機
WO2000035264A1 (fr) * 1998-12-11 2000-06-22 Yanmar Agricultural Equipment Co., Ltd. Repiqueur de riz pilote
JP2004008059A (ja) * 2002-06-05 2004-01-15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移植機
JP4934517B2 (ja) 2007-06-15 2012-05-16 ヤンマー株式会社 走行型苗移植機
JP5088070B2 (ja) * 2007-09-28 2012-12-05 井関農機株式会社 苗移植機
CN100567066C (zh) * 2007-12-13 2009-12-09 南京航空航天大学 复合式越障行走系统
JP4989546B2 (ja) * 2008-04-18 2012-08-01 株式会社クボタ 走行体
JP2011045280A (ja) * 2009-08-26 2011-03-10 Iseki & Co Ltd 苗移植機
JP2012143191A (ja) * 2011-01-12 2012-08-02 Iseki & Co Ltd 苗植機
JP5689739B2 (ja) * 2011-05-09 2015-03-25 ヤンマー株式会社 田植機
CN202243748U (zh) * 2011-10-10 2012-05-30 江苏柳工机械有限公司 带悬浮减震装置的高置式履带行走系统
CN102498809B (zh) * 2011-10-26 2013-11-20 咸阳恒佳机械有限公司 一种开沟施肥覆盖机
CN202617682U (zh) * 2012-06-28 2012-12-26 中国烟草总公司四川省公司 插栽式烟苗移栽机
CN202941131U (zh) * 2012-12-05 2013-05-22 黑龙江水田机械化研究所 八行折叠式四轮驱动水稻插秧机
JP2014187887A (ja) * 2013-03-26 2014-10-06 Yanmar Co Ltd 田植機
JP5939211B2 (ja) * 2013-07-02 2016-06-22 井関農機株式会社 移植機
CN104429244B (zh) * 2013-09-12 2016-09-21 株式会社久保田 苗移植机
JP6162570B2 (ja) * 2013-10-24 2017-07-12 株式会社クボタ 苗移植機
CN203708823U (zh) * 2014-02-17 2014-07-16 山东省农业机械科学研究院 一种大蒜收获机
CN103947353A (zh) * 2014-05-06 2014-07-30 云南佳叶工贸有限公司 一种自走式种苗移栽机
CN204184533U (zh) * 2014-06-22 2015-03-04 贾国友 可以爬坡登楼的电动车
CN203951796U (zh) * 2014-07-16 2014-11-26 桐乡市龙翔农机粮油专业合作社 一种插秧机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91163B2 (ja) 1995-06-19 2002-06-10 株式会社クボタ 移植機の動力伝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012042A (ja) 2017-01-19
KR20170002321A (ko) 2017-01-06
KR20170002296A (ko) 2017-01-06
CN106258119B (zh) 2018-10-26
CN106258120A (zh) 2017-01-04
CN106258120B (zh) 2019-03-19
KR101799406B1 (ko) 2017-12-20
MY185572A (en) 2021-05-21
JP6319206B2 (ja) 2018-05-09
CN106258119A (zh) 2017-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9401B1 (ko) 이식기
KR101570722B1 (ko) 모종 이식기
JP6724941B2 (ja) 移植機
JP2017012042A5 (ko)
KR20150004266A (ko) 이식기
JP6137385B2 (ja) 移植機
JP2016144480A5 (ko)
JP6274528B2 (ja) 苗移植機
JP5939247B2 (ja) 移植機
KR101716291B1 (ko) 이식기
JP6292170B2 (ja) 移植機
JP2017060516A (ja) 移植機
JP6197693B2 (ja) 移植機
JP2016214115A5 (ko)
JP2016010329A5 (ko)
JP2018186817A (ja) 移植機
JP2016111992A (ja) 移植機
JP6705463B2 (ja) 移植機
JP6458624B2 (ja) 移植機
JP6555317B2 (ja) 移植機
JP6631605B2 (ja) 移植機
JP2017127337A (ja) 移植機
JP2020022499A (ja) 移植機
KR101654088B1 (ko) 이식기
JP2017195841A (ja) 移植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