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8530B1 - 승용 이앙기 - Google Patents

승용 이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8530B1
KR100448530B1 KR10-2001-7007020A KR20017007020A KR100448530B1 KR 100448530 B1 KR100448530 B1 KR 100448530B1 KR 20017007020 A KR20017007020 A KR 20017007020A KR 100448530 B1 KR100448530 B1 KR 100448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transplanter
main step
cover
transmission case
body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7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8004A (ko
Inventor
오노우에마코토
야마시타츠나타케
Original Assignee
얀마-노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노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노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108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80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8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85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1/00Undercarriage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on various kinds of agricultural tools or apparatus
    • A01B51/02Undercarriage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on various kinds of agricultural tools or apparatus propelled by a motor
    • A01B51/026Undercarriage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on various kinds of agricultural tools or apparatus propelled by a motor of the automotive vehicle type, e.g. including driver accommod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3Transplanting machines for aquatic plants; for planting underwater, e.g. r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9/00Tractors
    • B62D49/06Tractors adapted for multi-purpose use
    • B62D49/0664Light, simple, and economical tractors
    • B62D49/0671Light, simple, and economical tractors the driver riding on the tract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용이앙기(乘用移秧機)에 관한 것으로, 전륜과 후륜를 가지는 기체와, 기체에 설치된 동력부 및 식부부를 구비하고, 기체에 메인스텝과 보조스텝이 일체성형된 차체커버를 더 구비한다. 또, 기체에는 운전석의 하중을 그 1 정점 부근에서 지지하는 측면에서 볼때 위에 볼록모양의 거의 삼각형상의 차체프레임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승용 이앙기 {MANNED RICE TRANSPLANTER}
종래, 산간부 등의 소규모의 농포(農圃)에 있어서는, 보행형의 이앙기가 이용되고 있었지만, 최근, 작업자의 고령화 및 작업자의 감소화 등의 농업사정에 의해, 보행형 이앙기는 작업자에 대한 부담이 크고,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는 점에서, 승용형 이앙기가 소망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승용형 이앙기에 있어서는, 차체커버 위의 스텝과는 별도로 승강용 보조스텝이 설치되어 있다.
또, 이와 같은 승용형 이앙기에 있어서는, 차체프레임이 측면에서 보았을 때 거의 삼각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가 많지만, 운전석의 하중은 기체전장(機體全長)을 고려하여 앞쪽측의 사변(斜邊) 중도부에 설치되는 스테이 등으로 지지된다.
그렇지만, 상술한 것과 같은 승강용 보조스텝은, 차체프레임에 고착하는 등, 차체커버와는 별체로 구성되어 있고, 부품점수가 많아져서 코스트적으로 바람직하다고는 말할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또 상술한 것 처럼, 측면에서 볼때 거의 삼각형상으로 형성되는 차체프레임의 사변 중도부에 설치되는 스테이 등으로 운전석의 하중을 지탱하도록 되어 있으면, 차체프레임은 강성(剛性)이 높은 부재를 사용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코스트가 높아지게 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부품점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는 저 코스트의 승용 이앙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차체프레임에 강성이 높은 부재를 사용하지 않아도 운전석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저 코스트의 승용 이앙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승용이앙기(乘用移秧機)에 관한 것으로써, 이앙기의 차체커버 구조 및 차체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승용이앙기의 모식적 측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승용이앙기의 주행차량의 모식적 평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승용이앙기의 주행차량의 차체프레임의 모식적 평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승용이앙기의 주행차량의 차체프레임의 모식적 측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승용이앙기의 주행차량의 뒷부(後部)커버의 모식적 평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승용이앙기의 주행차량의 앞부(前部)커버의 모식적 평면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승용이앙기의 주행차량의 차체프레임의 일부확대 평면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승용이앙기의 주행차량의 앞부커버의 일부확대 측면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승용이앙기의 주행차량의 고정부의 다른예를 나타내는 모식적 평면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는 승용이앙기의 주행차량의 미끄럼 방지부재의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승용이앙기의 주행차량의 미끄럼 방지부재의 모식적 평면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에 따른 승용이앙기의 주행차량의 모식적 측면도이다.
도 13 은 본 발명에 따른 승용이앙기의 주행차량의 뒷부커버와 트랜스미션케이스의 끼워맞춤부분의 모식적 측면도이다.
도 14 는 본 발명에 따른 승용이앙기의 주행차량의 트랜스미션케이스 커버 내의 뒷부 기구를 나타내는 모식적 측면도이다.
도 15 는 본 발명에 따른 승용이앙기의 주행차량의 트랜스미션케이스 커버 내의 뒷부 기구를 나타내는 모식적 평면도이다.
도 16 은 본 발명에 따른 승용이앙기의 주행차량의 트랜스미션커버 내의 전체기구를 나타내는 모식적 평면도이다.
도 17 은 본 발명에 따른 승용이앙기의 주행차량의 엔진에서 트랜스미션케이스로 동력을 전달하는 기구를 나타내는 모식적 측면도이다.
도 18 은 본 발명에 따른 승용이앙기의 주행차량의 엔진에서 트랜스미션케이스로 동력을 전달하는 기구를 나타내는 모식적 평면도이다.
우선, 제 1 발명은, 전륜 및 후륜과, 상부를 덮는 차체커버와, 이 차체커버 위에 설치된 메인스텝과, 이 메인스텝으로 승강을 위한 보조스텝를 구비한 기체(機體)에 식부부(式付部, 모심기부)가 설치된 승용 이앙기에 있어서, 상기 차체커버는, 상기 메인스텝 및 보조스텝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제 1 발명에서는, 메인스텝과 보조스텝을 구비한 차체커버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조 및 조립이 용이하게 되어, 부품점수가 삭감되어 코스트다운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제 2 발명은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조스텝은 상기 전륜과 상기 후륜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메인스텝과 상기 보조스텝은, 상기 메인스텝에서 상기 기체의 아래쪽을 향해서 연장되는 벽면과, 측면에서 볼때 각각 상기 전륜 및 상기 후륜을 따른 형상의 측면으로 이루어지는 연접부(連接部)를 통해서 연속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제 2 발명에서는, 메인스텝과 보조스텝 사이에는 연접부(連接部)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보조스텝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보조스텝은 전륜과 후륜 사이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전륜 및 후륜의 커버를 겸용할 수 있어서, 오퍼레이터가 만일 보조스텝에서 기체 앞뒤방향으로 발이 미끄러져도 전륜 또는 후륜에 발이 말려 들어갈 위험성이 없다.
제 3 발명은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접부의 상기 기체의 아래쪽을 향해서 연장되는 측면에 트인구멍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제 3 발명에서는, 연접부에 트인구멍부의 상기 기체의 아래쪽을 향해서 연장되는 측면에 트인구멍부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오퍼레이터가 보조스텝에 발을 올렸을 때, 그 트인구멍부에 발 끝을 넣을 수 있어서, 안쪽 폭이 적은 보조스텝이라고 하더라도 안전하게 승강할 수 있다. 더욱이, 기체 좌우방향의 폭을 가급적으로 작게할 수 있으므로, 기체 좌우 폭방향의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 4 발명은, 제 1 내지 제 3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메인스텝의 상기 기체의 아래쪽을 향해서 연장되는 벽면과의 둘레부분이, 평면에서 볼때 기체 내측으로 오목한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5 발명은 제 1 내지 제 4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조스텝은, 상기 메인스텝과 그리고 상기 기체의 아래쪽을 향해서 연장되는 벽면의 둘레보다도 평면에서 볼때 기체 외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제 4 및 제 5 발명에서는, 메인스텝의 기체 아래쪽을 향해서 연장되는 벽면과의 둘레가 평면에서 볼때 기체 내측으로 오목한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보조스텝은, 그 둘레보다도 평면에서 볼때 기체 바깥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보조스텝의 위치를 확인하기 쉽다.
제 6 발명은 제 2 내지 제 5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접부의 트인멍부는, 상기 메인스텝과 그리고 상기 기체 아래쪽을 향해서 연장되는 벽면의 둘레보다도 평면에서 볼때 기체 바깥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제 6 발명에서는, 연접부의 트인구멍부는, 메인스텝과 그리고 기체의 아래쪽을 향해서 연장되는 벽면의 둘레보다도 평면에서 볼때 바깥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메인스텝 위의 진흙 등은 보조스텝 위로는 떨어지지 않고, 트인구멍부에서 지상으로 낙하고, 오퍼레이터가 보조스텝에 발을 올려 놓았을 때에는, 보조스텝의 전면으로 확실하게 발을 지탱할 수 있어서, 안전하게 승강할 수 있다.
제 7 발명은, 제 1 내지 제 6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조스텝근방에 상기 기체커버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제 7 발명에서는, 보조스텝근방에 차체커버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설치했기 때문에, 메인스텝 및 보조스텝의 연직방향 아래쪽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확실하게 지탱할 수 있어서, 오퍼레이터가 기체에 승강할 때 메인스텝 및 보조스텝이 휘는 것을 유효적으로 적게할 수 있어서, 휨에 의한 발의 미끄러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제 8 발명은, 제 7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전륜을 지지하는 앞차축케이스(front axle case)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제 8 발명에서는, 차체커버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앞차축케이스에 장착했기 때문에, 작업중에 앞차축케이스에 가해지는 전륜으로 부터 오는 연직방향 위쪽 하중을 지탱할 수 있어서, 전체의 부품점수를 줄일 수 있고, 경량화 및 코스트다운을 도모할 수 있다.
제 9 발명은, 전륜 및 후륜과 상부에 운전석을 구비한 기체에 동력부 및 식부부(植付部, 모심기부)가 배치하여 설치된 승용이앙기에 있어서, 상기 기체는, 상기 운전석의 하중을 그 1 정점근변에서 지지하는 측면에서 볼때 위로 볼록한 모양의 거의 삼각형상의 차체프레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제 9 발명에서는, 측면에서 볼때 거의 삼각형상을 이루는 차체프레임의 1 정점근변에서 운전석의 하중을 받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차체프레임 자체에 그다지 강성은 필요없고, 차체프레임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부품점수가 삭감되어 코스트다운을 도모할 수 있다.
제 10 발명은 제 9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체는 상기 전륜의 구동축과, 상기 후륜의 구동축과, 상기 동력부에서 상기 양구동축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기구를 가지고, 상기 거의 삼각형상의 차체프레임의 저변(底邊, 밑변)을 구성하는 트랜스미션케이스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제 10 발명에서는, 그 거의 삼각형상을 이루는 차체프레임의 저변을, 전륜의 구동축과 후륜의 구동축과, 여기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기구를 구비한 트랜스미션케이스로 연결했기 때문에, 운전석에 가해지는 하중을 트랜스미션케이스에서도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져서, 강성(剛性)있는 컴팩트한 이앙기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나타내는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승용이앙기의 모식적 측면도이다.
승용이앙기(A)는 주행차량(1)과, 그 뒷부(後部)에 연결한 식부부(9)로 구성되어 있다. 주행차량(1)의 앞부 및 뒷부에는 각각 전륜(2) 및 후륜(3)이 현가되고, 차체프레임(4)의 앞부에는 동력부인 엔진(5)이 탑재되어 있다. 그리고 엔진(5) 뒤쪽의 차체프레임(4)의 좌우 거의 중앙에는 전후로 길게 형성한 트랜스미션케이스(6)가 배치되어 있고, 트랜스미션케이스(6)의 앞부에는 전륜(2)이 지지되고, 뒷부에 후륜(3)이 지지되고 있다. 엔진(5)를 덮는 보닛(bonnet)(22)의 양측에는 예비 묘탑재대(90)이 설치되고, 오퍼레이터(조작자)가 탑승하는 차체커버(20)의 뒤쪽 윗부에 운전석(7)이 설치되어 있고, 차체커버(20) 앞부의 보닛(22)의 후방에 조향핸들(8)이 배치되어 있다.
식부부(9)는 4조 식부로 한 묘탑재대(91), 복수의 식부날(爪)(93)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전고후저(前高後低)로 설치한 묘탑재대(91)를 하부레일(95) 및 가이드레일(96)을 통해서 식부전동(傳動)프레임(92)에 좌우 왕복으로 자유롭게 미끄러져 동작할 수 있도록 지지시키는 동시에, 크랭크기구에 의해서 크랭크운동하는 식부날(93)를 식부전동프레임(92)의 뒷부에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승용이앙기(A)는, 전륜(2) 및 후륜(3)을 주행구동하여 이동하는 동시에, 좌우로 왕복 미끄러저 움직일 수 있는 묘탑재대(91)에서 1 포기분의 묘(모)를 식부날(93)에 의해서 끄집어 내면서 연속적으로 모심기작업을 할 수 있다.
식부전동프레임(92)의 앞부에는 롤링지점(支点)축(176)을 통해서 피치(94)가 설치되어 있다. 이 피치(94)는, 피치(94)의 상부 좌우양측에 피벗지지되어 있는 탑링크(11)와, 피치(94)의 하부 좌우양측에 피벗지지되어 있는 로우링크(12)를 포함하는 승강링크기구(10)를 통해서 주행차량(1)의 뒷부에 연결되어 있다.
로우링크(12)의 앞끝부 내측면에는 리프트암(13)의 기틀(基部)이 고정설치되 있고, 이 리프트암(13)이 로우링크(12)의 설치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윗방향으로돌출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승강링크기구(10)를 승강구동시키는 승강실린더(15)가 이 로우링크(12)에 연결한 리프트암(13)에 연결하고 있다.
또, 리프트암(13)의 위쪽 끝부와 로우링크(12)의 뒤쪽 끝부 사이에는 보강링크(14)가 연결되어 있으며, 로우링크(2)의 강성을 높이고 있다.
또, 탑링크(11) 및 로우링크(12)의 앞쪽 끝부는, 후술하는 뒷부연결프레임 (43,44) 사이에 가로로 설치된 피벗핀을 통해서 피벗지지되고 있다. 이 뒷부 연결프레임(43,44)은 승강링크기구(10)의 지지부로서 겸용되고 있고, 식부부(9)의 안정된 승강, 부품점수의 삭감 및 구성의 심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운전석(7) 등이 설치되는 차체커버(20)에는 주변속레버(75), 모이음레버 (75), 식부승강레버(77), 주 클러치페달(74), 브레이크페달(73) 등이 설치되어 있다. 식부부(9)의 하부에는 식부부(9)를 일정 높이로 지지하는 평균용 센터플로트 (97) 및 사이드플로트(98, 99)가 설치되어 있다. 센터플로트(97)는 주행차량(1)의 좌우 중심선상에 배치되어 있다. 센터플로트(97)의 좌우 대칭위치에는 사이트플로트(98, 99)가 배치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식부부(9)의 좌우 밸런스를 양호하게 유지하고, 식부자세를 안정시켜서, 정확하게 식부(모심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승용이앙기의 주행차량의 모식적 평면도이고, 도 3 은 그 차체프레임의 모식적 평면도, 도 4 는 그 모식적 측면도이다.
차체프레임(4)는 파이프로 구성되어 있고, 양측이 기체 뒤쪽을 향해서 굴곡형성되고, 넓게 열린 거의 U자형을 이루는 앞(프런트)프레임(40)과, 트랜스미션케이스(6)가 배치된 상태에 있어서, 트랜스미션케이스(6)의 앞끝부 부근에서 거의 V자 모양으로 넓게 열리도록 형성되어 있는 좌우 한쌍의 사이드프레임(41, 42)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이드프레임(41, 42)가 V자 모양으로 넓게 열린 앞끝부가 앞프레임(40)의 개방측 뒷부에 연결되고, 더욱이, 도 4 에 나타내고 있듯이, 사이드프레임(41, 42)의 뒷부가 위쪽을 향해서 굴곡형성되어 있다.
앞프레임(40)의 양측 끝부에는, 예비 묘탑재대(90)의 지주(支柱)(90a)를 끼워 넣는 지지부(28)가 스테이(29)를 통해서 설치되어 있고, 예비 묘탑재대(90)는 지지부(28)에서 지주(90a)를 떼어 내는 것에 의해, 방향을 180도 바꿀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사이드프레임(41, 42)의 앞측이 V자 모양으로 넓게 열려 있기 때문에, 넓은 엔진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고, 사이드프레임(41, 42)의 트랜스미션케이스(6)의 앞끝부 부근보다 뒤쪽은 그 트랜스미션케이스(6)과 평행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후륜(3) 및 각종 조작레버 등의 설치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으며, 이것들의 고정 및 연결방법을 간소화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도 4 에 나타내고 있듯이, 앞프레임(40)의 중앙부에 아래쪽을 향해서는 평판모양의 지지부재(50)가 연장설치되어 있고, 엔진(5)은 이 지지부재(50) 위에 재치된다. 지지부재(50)의 앞부는 앞프레임(40)을 향해서 위쪽으로 완곡하도록 형성되고, 그 완곡한 부분에 긴구멍 모양의 개구부(50a)가 뚫어 설치되어 있다. 또, 이 엔진지지부재(50)의 뒷끝부는 사이드프레임(41, 42)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45)에 지지되어 있고, 이 연결부분 근방에도 긴구멍모양의 개구부(50b)가 뚫어 설치된다.
지지부재(50)에 뚫어 설치된 개구부(50a, 50b)는, 기체 전체의 경량화를 도모하는 동시에, 엔진(5)의 방열효과를 촉진하기 위한 것이고, 이것 외에도 엔진드레인을 끼워통하게 하는 구멍으로 이용하거나, 유지보수 등을 할 때에도 이용할 수 있다. 또, 이 지지부재(50)는 평판모양이므로, 엔진(5) 하부의 보호커버로서 이용할 수 있어서, 별도 보호커버를 설치하는 경우에 비해서, 코스트다운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엔진(5)의 장착높이 위치를 낮은 위치로 할 수 있기 때문에, 기체 전체의 중심을 낮게 할 수 있고, 전도각(轉倒角)이 우수한 이앙기를 실현할 수 있다.
또, 엔진(5)의 위쪽에는 보닛(22)로 커버되어 있지만, 엔진(5)의 하부가 도 1 에 나타내고 있듯이 차체프레임(4) 보다도 아래쪽으로 돌출하고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엔진(5)으로서 공랭엔진을 사용하고 있지만, 되감기시동기(리코일스타터)근방의 냉각풍 흡입구(5a)가 차체프레임(4)의 아래쪽으로 노출하고, 더욱이 냉각풍흡입구(5a)의 반대측에 비교적 고온이 되는 머플러(5b)의 배기구를 기체 바깥쪽을 향해서 설치하고 있으므로, 냉각풍의 흡기저항이 없어서 흡인로스가 적어지는 동시에, 냉각풍의 온도를 내릴 수 있다. 그리고, 엔진(5)이 노출하고 있는 부분으로부터도 방열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엔진(5)의 열밸런스가 양호하게 되고, 출력저항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열밸런스가 뛰어난 이앙기를 실현할 수 있다.
또, 보닛(22)에도 필요 최소한의 슬릿 또는 창을 설치하는 것 만으로 되기 때문에, 오퍼레이터에게 열기가 전달되지 않는 위치에 보닛(22)을 설치할 수 있다. 도, 보닛(22) 자체의 높이도 낮아지기 때문에, 오퍼레이터의 시야도 양호하게 되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승용 이앙기의 주행차량의 뒷부커버의 모식적 평면도이고, 도 6 은 마찬가지로 앞부커버의 모식적 평면도이다.
차체프레임(4)의 위에는 차체커버(2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차체커버(20)는 보닛(22)과 서브스텝(23)이 합성수지에 의한 블로형성으로 일체 중공성형된 앞부커버(21)와, 오퍼레이터가 탑승하는 운전석(7)의 설치부(31)과 메인스텝(32)과 오퍼레이터 승강할 때의 보조스텝(33)이 합성수지에 의한 블로형성으로 일체 중공성형된 뒷부커버(30)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조 및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부품점수의 감소에 의한 코스트다운을 도모할 수 있다.
뒷부커버(30)는 차체프레임(4)에 볼트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서 고정되고, 메인스텝(32)에서 뒤측이 뒤 위쪽을 향해서 팽출성형되어 운전석(7)의 설치부(31)를 형성하고 있다.
뒷부커버(30)와 일체 성형된 보조스텝(33)은, 도 1, 도 2, 도 5 에 나타내고 있듯이, 메인스텝(32)의 양측부에서 기체 바깥방향을 향해서 약간 경사한 벽면(33a)과, 측면에서 볼때 각각 전륜(2) 및 후륜(3)을 따르는 형상을 한 측면(33b, 33c)로 이루어지는 연접부를 통해서 연속하여 설치되어 있고, 전륜(2)와 후륜(3)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연접부의 측면(33b, 33c)는 각각 전륜(2) 및 후륜(3)을 따른 형상을 하고 있기 때문에, 전륜(2) 및 후륜(3)의 커버를 겸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오퍼레이터가 보조스텝(33)에서 기체 앞뒤방향으로 발이 미끄러져도 전륜(2) 또는 후륜(3)에 발이 간섭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 보조스텝(33)은 앞뒤방향의 양측에서 지지되고 있기 때문에, 보조스텝(33)의 강도를 유효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연접부의 벽면(33a)에는 보조스텝(33)의 앞뒤방향의 길이와 거의 같은 정도의 길이의 변(33d)를 가지는 거의 대(臺) 형상의 트인구멍부(33e)가 뚫어 설치되어 있고, 오퍼레이터가 발을 보조스텝(33)에 올린 경우에 그 트인구멍부(33e)에 발의 앞끝을 넣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안쪽 폭이 적은 보조스텝(33)이라 하여도 오퍼레이터는 안전하게 승강할 수 있으며, 또한, 보조스텝(33)의 기체 좌우방향의 폭을 가급적 작게할 수 있으므로, 기체 좌우폭 방향의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도 2 , 도 5 의 평면시에 나타나고 있듯이, 메인스텝(32)의 양측의 보조스텝(33)이 연속하여 설치되어 있는 벽면(33a)와의 둘레변의 부분은 기체 내측을 향해서 오목부(32a)로서 형성되어 있고, 오퍼레이터가 기체에서 내릴 때에, 그 오목부(32a)와 경사한 벽면(33a)에 의해서 보조스텝(33)의 전면(全面)에서 확실하게 발을 지탱할 수 있으며, 안정하게 승강할 수 있다. 더욱이, 그 벽면(33a)이 메인스텝 (32)의 오목부(32a)보다 기체 바깥방향을 향해서 약간 경사하여 연속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평면에서 볼때 트인구멍부(33e)가 보이도록, 즉 트인구멍부 (33e)의 바깥 끝부의 변(33d)이 평면에서 볼때 메인스텝(32)의 오목부(32e)보다도 바깥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메인스텝(32) 위의 진흙 등은 보조스텝(33) 위로는 떨어지지 않고, 트인구멍부(33e)에서 지상으로 낙하한다.
또, 보조스텝(33)의 앞부측 근방에서, 메인스텝(32)의 아래면 근방에는, 단면이 거의 U자형의 각주형(角柱型) 스테이(36)의 윗면이 볼트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서 장착되어 있고, 그 스테이(36)의 아래면은, 후술하는 도 12 에 나타내고 있는 앞차축케이스(37)에 장착되어 있다. 이밖에, 앞차축케이스(37)는 차체프레임(4)의 앞부에 연결부재(37a)를 통해서 고정되어 있다.
보조스텝(33)의 연접부에 있어서의 전륜(2) 측의 측면(33b)은 앞차축케이스 (37)의 윗면 근방에 배치되어 있고, 앞차축케이스(37)와 메인스텝(32)를 스테이 (36)에 의해서 연결하는 것에 의해, 메인스텝(32) 및 보조스텝(33)에 대해서 연직방향 아래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지탱하도록 하고 있다.
결국, 이 스테이(36)에 의해서, 오퍼레이터가 기체(1)에 승강할 때에 메인스텝(32) 및 보조스텝(33)에 가해지는 연직방향 아래방향의 하중에 의한 스텝이 휘는 것을 유효적으로 적게하고, 이들의 휘는 것에 의한 오퍼레이터의 발의 미끄러짐 등을 방지하고 있다. 그리고, 이것과 동시에, 작업중에 앞차축케이스(37)에 가해지는 전륜(2)에서 오는 연직방향 위쪽방향의 하중을 그 스테이(36)로 지지하고, 서로 보강하는 관계, 즉 스텝스테이와 앞차축케이스스테이를 이 스테이(36)로 겸용하는 것에 의해 전체의 부품점수를 감소시켜서 경량화 및 코스트다운을 도모하고 있다.
기타, 메인스텝(32)의 앞부의 좌우 페달용 개구부(開口部, 구멍트인부) (34a, 34b)에는 가장자리부 (32b)를 설치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메인스텝(32)의 페달 아래부분에 고이는 진흙 및 물 등을 그 개구부(43a, 34b)에서 빼낼 수 있도록 되기 때문에, 페달을 밟았을 때의 미끄러짐 및 오조작등이 방지되며, 안전성이 높아진다.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승용이앙기의 주행차량의 미끄럼방지부재의 모식적 단면도이고, 도 11 은 그 모식적 평면도이다.
이들 도에 나타내고 있듯이, 또, 메인스텝(32) 및 앞부커버(21)의 서브스텝 (23)의 윗면에는 볼록모양의 돌기의 중앙부를 움푹들어가게 한 미끄럼방지부재(35)가 이들 메인스텝(32) 및 서브스텝(23)과 일체적으로 다수, 더구나 격자모양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스텝쿠션 등을 별도로 사용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부품점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코스트다운 및 생산공정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미끄럼방지부재(35)를 이와 같은 형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높은 미끄럼방지효과를 높일 수 있고, 기체 전방에서의 승강시 및 예비 묘탑재대(90)에서 묘탑재대(91)로 모판 이동작업시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특히 미끄럼방지부재(35)가 격자모양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배수, 진흙배출 효과가 높고, 미끄럼방지부재(35) 사이가 진흙에 의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앞부커버(21)는, 도 6 에 나타내고 있듯이, 엔진(5)를 덮어 장착하는 중앙의 보닛(2)과, 보닛(22)의 양측에 설치되어 예비 묘탑재대(90)으로의 통로용이 되는 서브스텝(23)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엔진(5)의 위쪽 위치에 연료탱크(136)를 배치할 수 있도록, 보닛(22)의 상부는 열려있다.
이 앞부커버(21)는 페달부분에서 뒷부커버(30)와 분할 가능하게 되어 있고, 차체프레임(4) 위에서 기체 앞뒤수평방향으로 전방에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탈착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차체프레임(4)이 앞부커버(21)를 탈착할 때의 가이드부재로서 기능하고, 앞부커버(21)의 아래면과 차체프레임(4)의 윗면이 거의 동일 높이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앞부커버(21)를 페달부분에서 뒷부커버(30)와 분할하고, 전방에서 슬라이드 이동시켜서 탈착하도록 구성한 것에 의해, 페달용 개구부(34a, 34b)는 적어도 브레이크페달 및 주 클러치페달 등의 지주(支柱)(73a, 74a) 부분의 스페이스가 확보되어 있으면 좋아지고, 그 개구부(34a,34b)의 크기를 작게할 수 있으며, 다른 스텝부분 등에 있어서, 디자인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조향핸들(8)의 스티어링 등, 스텝 위쪽에 위치하는 부품에 관계없이, 앞부커버(21)의 탈착을 할 수 있도록 되기 때문에, 엔진(5) 등의 유지보수성이 향상하고, 그와 같은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차체프레임(4)의 윗면이 앞부커버(21)의 가이드로 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 가이드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부품점수의 감소에 의한 코스트다운을 도모할 수 있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승용이앙기의 주행차량의 차체프레임의 일부확대 평면도이고, 도 8 은 동일하게 앞부커버의 일부확대 측면도이다.
이들 도에 나타내듯이, 앞부커버(21)는, 노브나사 등의 파지부가 붙은 체결구(25)에 의해서 차체프레임(4)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고, 그 체결구(25)의 조작에 의해 간단하게 탈착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코스트다운을 도모할 수 있다.
파지부가 붙은 체결구(25)는 차체프레임(4)의 아래쪽에서, 차체프레임(4)에 설치된 고정부(24)에 뚫어 설치된 관통구멍(24a)를 통하여, 앞부커버(21)의 서브스텝(23) 측 아래면에 나사맞춤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서브스텝(23)의 윗면에 파지부가 붙은 체결구(25)에 의한 디자인의 영향이 미치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승강시 및 모판보급시 등의 작업시에 있어서, 오퍼레이터가 보닛(22)의 옆의 서브스텝(23)을 지날 때에 발 등이 걸릴 염려도 없어진다.
또, 차체프레임(4)의 고정부(24)에는, 앞부커버(21)와 차체프레임(4)의 장착위치에 아주 작은 오차가 있어도 장착될 수 있도록 융통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이 융통기구는, 예를 들면 고정부(24)에 뚫어 설치하는 융통구멍(24a)을 긴 구멍모양으로 형성하는 등으로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 각 부품의 치수에 약간의 편차가 있어도, 그 융통기구에 의해서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확실하게 앞부커버(21)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동시에, 앞부커버(21)의 관리 및 품질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밖에,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승용이앙기의 주행차량의 고정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모식적 평면도이다. 관통구멍(24a)의 형상은, 도 3 및 도 7 에 나타내고 있는 듯한 앞뒤방향으로 긴 것 이외에, 도 9 에 나타내고 있는 것과 같은 기체 폭방향(좌우방향)에 긴 것, 또는 앞뒤 및 기체 폭방향으로 긴 십자모양으로 조합시킨 것이라도 좋고, 임의적이다.
또, 파지부가 붙은 체결구(25)가 작업중에 진동으로 헐거워져 빠지는 일이 없도록, 체결구(25)의 축심방향으로 거의 직교하는 수평방향에서 납작머리핀 등의 규제핀(26)을 돌출시켜서, 파지부가 붙은 체결구(25)를 움푹한 파지부분에 걸어 맞추고, 체결구(25)의 회전을 규제하도록 하고 있다. 이밖에, 이때, 규제구(26)는 차체프레임(4)에 설치된 스테이(29)의 구멍에 끼워 통하게 되어 수평방향으로 미끄럼 이동이 자유롭게 되어 있기 때문에, 스냅핀 등의 걸거나 벗기는 것이 자유로운 위치결정구(27)에 의해서, 그 미끄져 움직이는 것을 억제하도록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규제구(26)에 복수의 구멍(26a)를 소정 간격으로 설치하고, 스테이(29)의 양측에 위치한 구멍에 그 위치결정구(27)를 끼워 넣고, 규제구(26)가 미끄러져 움직이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규제구(26)가 휘던지, 빠지지 않는 한 체결구(25)와의 걸어맞춤은 해제되지 않기 때문에, 안전성이 확보된다. 또, 2 개의 걸거나 벗김(係脫)이 자유로운 위치결정구(27)에 의해서 위치결정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체결구(25)측의 위치결정구만을 떼어 내는 것 만으로, 간단하게 규제구(26)은 미끄러져 움직일 수 있게 되고, 체결구(25)에 대한 규제구(26)의 걸어맞춤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밖에 이때, 규제구(26)에는, 다른 한쪽의 위치결정구가 끼워 넣어진채로 있기 때문에, 앞부커버(21)의 해체작업시 등에 있어서, 규제구 (26)를 분실하는 등의 일은 없다. 또, 규제구(26)에 대해서, 체결구(25)가 회전하는 방향에 힘이 가해져도 위치결정구(27)에는 직접 힘이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작업중에 위치결정구(27)가 빠지는 것과 같은 일이 없어서 안전하다.
그외에, 앞부커버(21)의 예를들면, 페달부분 근방을 굴곡가능하게 형성하여, 보닛(22)이 위쪽으로 회전가능하게 되도록 구성하여도 좋고, 이경우는 엔진(5) 등의 유지보수 시에 있어서, 앞부커버(21)를 떼어내는 작업을 하지 않아도 좋고, 용이하게 작업을 할 수 있다.
또, 뒷부커버(30)의 아래쪽에는 트랜스미션케이스(6)의 거의 전체가 배치되지만, 그 경우에 트랜스미션케이스(6)의 앞부 윗면이 메인스텝(32)의 앞부 아래면에 맞닿고 있고, 연직방향 아래방향의 힘이 많이 가해지는 메인스텝(32)을 트랜스미션케이스(6)으로 아주 적당하게 지탱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메인스텝 (32)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차체프레임(4)에 별도의 스텝지지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져서, 부품점수를 삭감할 수 있어서 코스트다운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맞닿음부분에 있어서 이하와 같은 구성을 채용하는 것에 의해, 트랜스미션케이스(6)에 대한 뒷부커버(30)의 위치결정 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2 는 본 발명에 따른 승용이앙기의 주행차량의 모식적 측면도이고, 도 13 은 본 발명에 따른 승용이앙기의 주행차량의 뒷부커버와 트랜스미션케이스의 끼워맞춤부분의 모식적 측면도이다.
이들 도에 나타내고 있듯이, 트랜스미션케이스(6)의 앞부 윗면의 거의 중앙에 볼록부(6a)를 설치하고, 메인스텝(32)의 앞부 아래면의 거의 중앙에 오목부 (32c)를 설치하여 이들을 서로 끼워맞추게 하는 것에 의해, 양자를 위치결정하여 맞닿토록 한다. 이밖에, 볼록부(6a) 및 오목부(32c)는 원추대 등의 형상과 같이, 측면에서 볼때, 측면을 경사시켜서 테이퍼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그 경사한 측면이 가이드가 되어 뒷부커버(30)의 위치결정 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어서,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밖에, 트랜스미션케이스(6)에 오목부를 설치하고, 뒷부커버(30)에 볼록부를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트랜스미션케이스(6)는, 뒷부가 메인스텝(32)의 아래면에서 멀어지도록, 즉, 도 4 및 도 12에 나타내고 있듯이, 앞이 낮고 뒤가 높게 형성된 차체프레임(4)의 앞뒤방향 거의 중앙 하부에서 차체프레임(4)의 뒷끝부까지 연출된 앞뒤방향으로길게 형성되어 있고, 도 1 에서 나타내는 측면에서 볼때에 있어서, 앞이 높고 뒤가 낮게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트랜스미션케이스(6)의 뒷부 위쪽에, 식부부(9)로 PTO전동축(158) 및 식부부(9)를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15) 및 각종 조작레버 관계등을 배치할 수 있는 유효한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고, 기체 전체길이를 짧게 할 수 있는 동시에, 낭비가 없는 심플한 배치구성을 채택할 수 있으며, 설계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트랜스미션케이스(6)는 차체프레임(4)에 대해서, 그 가장 앞부 근방과 가장 뒷부 근방 및 중간부 근방에서 고정되어 있지만, 트랜스미션케이스(6)의 가장 앞부 근방은, 엔진(5)이 탑재되는 지지부재(50)에, 지지부재(50)에서 비스듬하게 내측 뒷방향을 향해서 연속 설치되어 있는 장착부재(51)를 통해서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아주 무거운 엔진(5)의 하중을 트랜스미션케이스(6)으로도 지탱하고 있고, 그 하중은 트랜스미션케이스(6)를 압축하는 방향으로 가해지도록 되어있다. 따라서, 엔진(5)의 진동을 강성있는 트랜스미션케이스(6)로 억제할 수 있도록 되는 동시에, 차체프레임(4) 자체를 경량화할 수 있으며, 그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차체프레임(4)을 구성하는 사이드프레임(41, 42)은 앞뒤방향 거의 중앙부(41a, 42a)에서 위쪽을 향해서 굴곡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굴곡하기 시작하는 중앙부(41a, 42a) 부근의 기체 폭방향으로 센터프레임(46)이 가설되어 있다. 그리고, 이 센터프레임(46)의 기체 폭방향 거의 중앙에 설치된 장착부재(47)에, 트랜스미션케이스(6)의 중도부(6b)가 연결되어 있다. 이밖에, 이 중도부(6b)는 뒤쪽을 향해서 돌출하고 있는 PTO축(65)의 직상부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트랜스미션케이스(6)의 뒷부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뒤차축케이스(38)에 장착플레이트(39)를 통해서 연결되어 있는 뒷부연결프레임(43,44)의 위끝부(43a, 44a)와, 사이드프레임(41, 42)의 뒤끝부(41b, 42b)가 일체적으로 연결되고, 사이드프레임(41, 42)과 뒷부연결프레임(43, 44)과 트랜스미션케이스(6)으로 측면에서 볼때 거의 삼각형상의 프레임을 구성하고 있다.
사이드프레임(41, 42)의 뒤끝부(41b, 42b)와 뒷부연결프레임(43, 44)의 위끝부(43a, 44a)가 연결된 부분, 즉 거의 삼가형상을 구성하는 가장 위측의 정점부에는 뒤쪽프레임(48) 위에, 뒷부커버(30)의 운전석 설치부(31)의 아래면 뒤측이 재치고정되는 동시에, 연결부재를 통해서 운전석(7)의 뒷부지지부재(72)가 연결되어 있다.
또, 사이드프레임(41, 42)의 중앙부(41a, 42a)와 뒤끝부(41b, 42b)의 거의 중간에 세워 설치되어 기체 폭방향에 가설된 파이프스테이 등의 지지부재(49) 위에, 설치부(31)의 아래면 앞측이 재치고정되는 동시에, 연결부재를 통해서 운전석(7)의 앞부지지부재(71)가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거의 삼각형상을 구성하는 프레임의 정점부의 거의 바로위에 운전석(7)의 뒷부가 오도록 배치하고, 차체프레임(4)의 중앙부(41a, 42a)와, 차체프레임 (4)의 뒤끝부(41b, 42b)를 트랜스미션케이스(6)로 지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에 의해, 운전석(7)에 가해지는 연직방향의 거의 모든 하중을 그 정점부분 및 트랜스미션케이스(6)으로 강고하게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차체프레임(4) 자체에는 그다지 강성을 요구하지 않아도 되고, 차체프레임(4)의 경량화를 도모하는동시에, 부품점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운전석(7)의 앞부도 종래와 같이 뒷부커버(30)으로 지지하는 것이 아니라, 차체프레임(4)에 세워 설치한 파이프스테이(49)에 의해서 지지하기 때문에, 뒷부커버(30)가 휘는 듯한 문제점은 발생하지 않는다.
또, 차체프레임(4)이 측면에서 볼때 삼각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그 안쪽측 부분에 있어서의 스페이스의 유효이용을 도모할 수 있으며, 기체 전체의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전술한 바와 같이, 사이드프레임(41,42)의 기체 폭방향에 가설하는 보강용 센터프레임(46)의 평면에서 볼때 거의 중앙에는, 트랜스미션케이스(6)의 중도부(6b)가 연결되는 장착부재(47)가 설치되어 있고, 그 장착부재(47)의 다른 끝에는, 식부부(9)를 승강시키는 유압식 승강실린더(15)의 기틀(基部)(15a)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트랜스미션케이스중도부(6b)의 연결점(47a)와 센터프레임(46)의 고정점(47b)와 승강실린더(15)의 장착점(47c) 3점이, 측면에서 볼때 승강실린더 (15)의 힘이 가해지는 직선방향과 거의 동일 직선상에 위치하도록 차례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차륜에서 트랜스미션케이스(6)에 가해지는 비틀림 힘에 대한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동시에, 센터프레임(46)에는 주로 승강실린더(15)에 의한 인장압력밖에 걸리지 않기 때문에, 강도상 더욱 유리하게 되고, 이것에 의해서도 차체프레임(4) 자체의 경량화, 컴팩트화를 실현할 수 있고, 코스트다운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체프레임(4)에 트랜스미션케이스(6)의 앞, 뒤, 중앙을 연결시키는 것 만으로, 차체프레임(4)의 수평, 수직, 비틀림 방향의 강성 및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그 적은 장착개소에도 불구하고, 트랜스미션케이스(6)는 차체프레임(4)과 함께 유효한 이앙기의 강도보강부재가 되어 있다.
다음에, 트랜스미션케이스(6)의 내부기구에 대해서 도 14 내지 도 18 을 바탕으로 설명한다. 도 14 는 본 발명에 따른 승용이앙기의 주행차량의 트랜스미션케이스 내의 기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5 는 본 발명에 따른 승용이앙기의 주행차량의 트랜스미션케이스 내의 뒷부의 기구를 나타내는 모식적 평면도이고, 도 16 은 본 발명에 따른 승용이앙기의 주행차량의 트랜스미션케이스 내의 전체 기구를 나타내는 모식적 평면도이고, 도 17 은 본 발명에 따른 승용이앙기의 주행차량의 엔진에서 트랜스미션케이스로 동력을 전달하는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적 측면도이고, 도 18 은 본 발명에 따른 승용이앙기의 주행차량의 엔진에서 트랜스미션케이스로 동력을 전달하는 기구를 나타내는 모식적 평면도이다.
트랜스미션케이스(6)의 앞부에는 주행변속기구가 내설되는 변속실(60)이 형성되고, 변속실(60)의 좌우 양측면에 앞차축케이스(37)가 일체적으로 고정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앞차축케이스(37)의 좌우 끝부보다 아래을 향해서 차축케이스가 고정설치되고, 차축케이스의 아래끝부에 전륜(2)을 고정설치하는 앞차륜측(66)이 축지지되고 있다. 트랜스미션케이스(6)의 뒷끝부에는 축심을 좌우방향으로 가지는 실린더모양의 뒤차축케이스(38)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뒤차축케이스(38) 내에 뒤차륜구동축(69)가 축 지지되고 있다. 그리고, 뒤차륜구동축(69)의 좌우 양끝부에 후륜(3)이 고정 설치되어, 종래와 같은 전동(傳動)케이스를 폐지한 구성이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앞차축케이스(37)와 뒤차축케이스(38)를 트랜스미션케이스(6)에 일체적으로 설치하면, 트랜스미션케이스(6)로 각 차륜(2, 3)을 지지할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기체 강도보강부재로서의 프레임의 일부를 담당할 수 있기 때문에, 차체프레임(4)에 대한 부담을 저감할 수 있다. 이밖에, 트랜스미션케이스(6) 내면에는 복수의 리브(6f)가 형성되어 단면 계수가 높아져 있고, 트랜스미션케이스 (6)는 강성이 있는 케이스로 되어 있다.
트랜스미션케이스(6)의 변속실(60)의 상부에는, 좌우방향에 입력축(56)이 축 지지되고, 입력축(56)의 왼쪽끝부가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종동풀리(55)가 고정 설치되고, 엔진(5)의 좌측면보다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출력축(52)에 고정 설치된 구동풀리(53)로부터의 동력이, 벨트(54)를 통해서 트랜스미션케이스(6) 내로 입력되고 있다. 그리고, 이 벨트(54)는 텐션암(57)의 끝에 장착된 텐션롤러(58)에 의해서 긴장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주 클러치페달(74)의 밟기 조작 및 모중계레버 (76)의 시프트조작에 연동하여 동력의 단 ·접선(斷 ·接線)이 이루어 지도록 되어 있다. 또, 엔진(5) 측의 구동풀리(53)와 트랜스미션케이스(6)측의 종동풀리(56)에 두루 감아져 있는 벨트(54)와, 트랜스미션케이스(6)은 거의 직선상으로 배치되어 있고, 전륜(2) 및 후룬(3)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경로가 스페이스 절약되어 효율이 좋은 배치구성으로 되어 있다.
입력축(56)의 앞 아래쪽에는 주변속축(61)이 축 지지되고, 주 변속축(61)의 앞 아래쪽에는 앞차륜구동축(62)가 축 지지되고, 입력축(56)에 입력한 동력이 거의 앞 아래쪽으로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전륜(2)의 앞차륜축(66)은 앞차륜구동축(62)의 연직방향 아래쪽으로 배치되어 있고, 입력축(56)의 동력을 직선상으로 연장방향 아래쪽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경로가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동력전달경로를 짧게 할 수 있고, 동력손실이 적은 심플한 구성으로 할 수 있는 동시에, 차축케이스의 상항 방향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으며, 코스트다운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축(56)의 전방에서 주변속축(61)의 위쪽에는 부변속축(63)이 축 지지되고 있고, 입력축(56)과 주변속축(61)은 측면에서 볼때, 부변속축(63)을 정점으로 하는 거의 이등변삼각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고, 트랜스미션케이스(6) 내의 구성이 심플하게 되어 있다.
또, 후륜(3)을 구동하는 뒤차륜구동축(69)으로의 구동력은, 입력축(56)과 앞차륜구동축(62)의 사이의 주변속축(61)에서 체인(70)을 통해서 트랜스미션케이스 (6) 뒤 아래쪽의 뒤차륜구동부에 전달되고 있고, 트랜스미션케이스(6)의 배치방향인 앞이 높고 뒤가 낮은 방향으로 동력전달경로가 구성되어 있다.
즉, 이 트랜스미션케이스(6) 뒷부의 뒤차축구동부에는 트랜스미션케이스(6)의 배치방향을 따르는 뒤 아래방향으로 종동축(67), 카운터축(69), 뒤차륜구동축 (69)이 차례로 배치되어 있고, 체인(70)이 종동축(67)에 전달되고, 카운터축(68)을 통해서 뒤차륜구동축(69)으로 동력이 전달되어, 뒤차륜구동축(69)에 대한 동력전달경로를 트랜스미션케이스(6)의 배치방향에 맞춘 앞이 높고 뒤가 낮은 직선상으로 전달하여, 심플 또한 스페이스절약으로 효율좋은 동력전달경로의 배치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 이 동력전달경로는 최단경로가 되기 때문에, 체인(70)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어서 코스트다운을 도모할 수 있다. 더욱이, 뒤차륜구동축(69)의 높이 위치가 자체프레임(4)보다도 아래쪽 위치가 되기 때문에, 후륜(3)의 차륜을 소직경으로 할 수 있으며, 주행차량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밖에, 여기에서는 뒤차축구동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성으로서는 체인(70)이 이용되고 있지만, 동력을 전달하는 구성으로서는 체인(70)과 같은 끝이 없는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전동축(傳動軸)을 이용할 수도 있다.
트랜스미션케이스(6) 뒷부의 뒤차축구동부에는, 동력단접(斷接)기구와 제동기구가 배치되어 있고, 도 17 에 나타내고 있듯이, 종동축(67)의 좌우 중앙부에는 보스부 (101)가 고정설치되고, 보스부(101)의 외주면위에는 스프로킷(100)이 고정 설치되어 체인(70)이 감기어 있다. 보스부(101)의 좌우양측의 종동축(67)에는 미끄럼(摺動)기어 (102)가 스플라인끼워맞추어져 있고, 미끄럼기어(102)와 사이드클러치 (103)가 잇수를 동일하게 하여 일체 성형되어 부품점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조립하기 쉽도록 구성되어 있다. 미끄럼기어(102)에는 카운터축(68)에 피벗한 안쪽기어(104)가 맞물리고, 안쪽기어(104)에 일체적으로 형성한 바깥기어 (105)에는 뒤차축구동축(69)에 고정설치되는 기어(106)이 맞물리고 있다.
또, 미끄럼기어(102)에는 트랜스미션케이스(6) 아래면에 피벗한 조작축(107)에 고정설치하는 포크가 끼워맞추어지고, 조작축(107) 하부에 고정설치하는암(108)을 회전조작함으로써, 조작축(107)이 회전하고, 미끄럼기어(102)가 미끄러져 움직인다.
미끄럼기어(102)를 내측으로 미끄러지게 하면, 미끄럼기어(102) 내측이 보스부(101) 내로 걸어 맞춘것이 빠지고, 동력의 전달이 이탈되는 동시에, 미끄럼기어 (102)의 바깥쪽 끝부에 형성하여 설치한 패드와 협지체(挾持體)에 의해서 구성되는 브레이크기구(130)가 작동하고, 미끄럼기어(102)의 회전이 제동되어 뒤차축구동축(69)의 회전이 정지된다.
이상에 설명한 본 발명의 승용이앙기에 의하면, 메인스텝과 보조스텝을 가지는 차체커버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조 및 조립이 용이해지고, 부품점수가 삭감되어 코스트다운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승용이앙기에 의하면, 메인스텝과 보조스텝 사이에는 연접부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보조스텝의 강도를 유효하게 유지할 수 있고, 또 보조스텝은 전륜과 후륜 사이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전륜 및 후륜의 커버를 겸용할 수 있고, 오퍼레이터가 만일 보조스텝에서 기체 앞뒤방향으로 발이 미끄러져도 전륜 및 후륜에 발이 말려들어갈 위험성이 없다.
더욱이, 본 발명의 승용이앙기에 의하면, 연접부에 트인구멍부의 상기 기체의 아래쪽을 향해서 연장되는 벽면에 트인구멍부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오퍼레이터가 보조스텝에 발을 올렸을 때, 그 트인구멍부에 발끝을 넣을 수 있어서, 안쪽 폭이 적은 보조스텝이라도 안전하게 승강할 수 았다. 게다가, 기체 좌우방향의 폭을가급적 작게할 수 있으므로, 기체좌우 폭방향의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승용이앙기에 의하면, 메인스텝의 기체 아래쪽을 향해서 연장되는 벽면의 부분에, 평면에서 볼때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또, 보조스텝은, 메인스텝과 거기에서 기체 아래방향을 향해서 연장된느 벽면과의 둘레보다도 평면에서 볼때 바깥쪽에 위치하므로, 보조스텝의 위치를 확인하기 쉽다.
또, 더욱이 본 발명의 승용이앙기에 의하면, 연접부의 트인구멍부는, 메인스텝과 그리고 기체의 아래쪽을 향해서 연장되는 벽면의 둘레변보다도 평면에서 볼때 바깥측에 위치하므로, 메인스텝 위에는 떨어지지 않고, 트인구멍부에서 지상으로 낙하하고, 오퍼레이터가 보조스텝에 발을 올려 놓았을 때에는, 보조스텝의 전체면으로 확실하게 발을 지탱할 수 있어서, 안전하게 승강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승용이앙기에 의하면, 보조스텝 근방에 차체커버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설치했기 때문에, 메인스텝 및 보조스텝의 연직방향 아래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으며, 오퍼레이터가 지체에 승강할 때에 메인스텝 및 보조스텝이 휘는 것을 유효적으로 적게 할 수 있어서, 휨에 의해서 발이 미끄러지는 것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또, 본 발명의 승용이앙기에 의하면, 차체커버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앞차축케이스에 장착했기 때문에, 작업중에 앞차축에 갛지는 전륜에서 오는 연직방향 윗방향 하중을 지탱할 수 있고, 전체 부품점수를 줄일 수 있으며, 경량화 및 코스트다운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승용이앙기에 의하면, 측면에서 볼때 거의 삼각형상을 이루는차체프레임의 정점부근에서 운전석의 하중을 받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차체프레임 자체에 그다지 강성은 필요하지 않으며, 차체프레임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부품점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어서, 코스트다운을 도모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승용이앙기에 의하면, 그 거의 삼각형상을 이루는 차체프레임의 바닥변을, 앞차축구동축과 뒤차축구동축과 이것들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기구를 구비한 트랜스미션케이스로 연결했기 때문에, 운전석에 가해지는 하중을 트랜스미션케이스에서도 지지할 수 있게 되어, 강성이 있는 컴팩트한 이앙기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승용이앙기에 의하면, 차륜 등의 지지구조 및 트랜스미션케이스 내에 있어서의 동력전달구성 등이 심플하고, 주행차량 전체구성도 간략화되어 있기 때문에, 조립작업도 용이하고, 강성을 손상하는 일 없이 경량화 · 소형화되어 있기 때문에, 전체로서 코스트가 들지 않고, 저가로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더욱이 본 발명의 승용이앙기에 의하면, 메인스텝과 보조스텝을 가지는 차체커버를 일체형성했으므로, 전체의 부품점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코스트다운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승용이앙기에 의하면, 특히, 차체프레임과 트랜스미션케이스로 측면에서 볼때 거의 삼각형을 이루는 프레임을 구성하고, 운전석을 그 정점부 부근에 설치하여 하중을 받도록 했기 때문에, 차체프레임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전체로서 컴팩트한 이앙기을 실현할 수 있다.

Claims (14)

  1. 전륜 및 후륜과,
    상부를 덮는 차체커버와,
    상기 차체커버 위에 설치된 메인스텝과,
    상기 메인스텝으로의 승강을 위한 보조스텝을 구비한 기체에 식부부가 설치된 승용이앙기에 있어서,
    상기 차체커버는, 상기 메인스텝 및 보조스텝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조스텝은 상기 전륜과 후륜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메인스텝과 보조스텝은, 상기 메인스텝에서 상기 기체의 아래쪽을 향해서 연장되는 벽면을 통해 연접되어 있고,
    상기 메인스텝의 상기 기체의 아래쪽을 향해서 연장되는 벽면과의 둘레부분이 평면에서 볼 때 기체 내측으로 오목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이앙기.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보조스텝 근방에 상기 차체커버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구비하는 승용이앙기.
  3.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전륜을 지지하는 앞차축케이스에 장착되어 있는 승용이앙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스텝과 보조스텝은, 상기 메인스텝에서 상기 기체의 아래쪽을 향해서 연장되는 벽면과,
    측면에서 볼때 각각 상기 전륜 및 후륜을 따른 형상의 측면으로 이루어지는 연접부를 통해서 연속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이앙기.
  5. 청구항 4 에 있어서
    상기 보조스텝 근방에 상기 차체커버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구비하는 승용이앙기.
  6. 청구항 5 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전륜을 지지하는 앞차축케이스에 장착되어 있는 승용이앙기.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연접부의 상기 기체의 아래쪽을 향해서 연장되는 벽면에 트인구멍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이앙기.
  8. 청구항 7 에 있어서,
    상기 보조스텝 근방에 상기 차체커버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구비하는 승용이앙기.
  9. 청구항 8 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전륜을 지지하는 앞차축케이스에 장착되어 있는 승용이앙기.
  10. 삭제
  11. 청구항 1, 4,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스텝은,
    상기 메인스텝과 그리고 상기 기체의 아래쪽을 향해서 연장되는 벽면의 둘레보다도 평면에서 볼때 기체 바깥측에 위치하는 승용이앙기.
  12. 청구항 4 또는 7 에 있어서,
    상기 연접부의 트인구멍부는,
    상기 메인스텝과 그리고 상기 기체의 아래쪽을 향해서 연장되는 벽면의 둘레보다도 평면에서 볼때 기체 바깥측에 위치하는 승용이앙기.
  13. 전륜 및 후륜을 구비한 기체에 동력부 및 식부부가 설치된 승용이앙기에 있어서,
    상기 기체는,
    측면에서 볼 때 위로 볼록모양의 대략 삼각형상의 차체프레임과, 상기 전륜의 구동축과, 상기 후륜의 구동축과, 상기 동력부에서 상기 양구동부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기구와, 트랜스미션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대략 삼각형상의 차체프레임의 저변이 상기 트랜스미션케이스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이앙기.
  14. 청구항 13 에 있어서,
    상기 삼각형상의 차체프레임의 상기 트랜스미션케이스로 구성되는 저변과 대향하는 1정점부근에서 지지된 운전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이앙기.
KR10-2001-7007020A 1998-12-11 1998-12-11 승용 이앙기 KR1004485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1998/005636 WO2000035264A1 (fr) 1998-12-11 1998-12-11 Repiqueur de riz pilo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8004A KR20010108004A (ko) 2001-12-07
KR100448530B1 true KR100448530B1 (ko) 2004-09-13

Family

ID=14209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7020A KR100448530B1 (ko) 1998-12-11 1998-12-11 승용 이앙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448530B1 (ko)
CN (1) CN1294798C (ko)
WO (1) WO20000352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67310B2 (ja) * 2002-01-17 2008-03-26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田植機
KR101355044B1 (ko) * 2006-05-22 2014-01-24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작업 차량
KR100786234B1 (ko) * 2007-01-02 2007-12-17 대동공업주식회사 승용 이앙기
JP5656274B2 (ja) * 2008-10-14 2015-01-21 株式会社クボタ 歩行型水田作業機
JP6319206B2 (ja) * 2015-06-29 2018-05-09 井関農機株式会社 作業車両
KR20190078465A (ko) * 2017-12-26 2019-07-04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수전 작업기 및 포장 작업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57373A (ja) * 1985-05-07 1986-11-14 Iseki & Co Ltd 農用乗用牽引車
JPH07112381B2 (ja) * 1986-09-17 1995-12-06 井関農機株式会社 移植機
JPH086425Y2 (ja) * 1989-07-14 1996-02-28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乗用田植機におけるペダルアームの配設構造
JP2530343Y2 (ja) * 1990-02-21 1997-03-26 三菱農機株式会社 乗用水田作業機
JP2606302Y2 (ja) * 1993-07-20 2000-10-23 三菱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における乗降用ステツプ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0035264A1 (fr) 2000-06-22
CN1327363A (zh) 2001-12-19
CN1294798C (zh) 2007-01-17
KR20010108004A (ko) 200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61324B2 (ja) 乗用田植機
KR100448530B1 (ko) 승용 이앙기
JP3803194B2 (ja) 乗用田植機
JP3969838B2 (ja) 乗用田植機
JP4139669B2 (ja) 乗用田植機の機体フレーム構造
JP3761325B2 (ja) 乗用田植機
JP3756667B2 (ja) 乗用田植機
JP3969837B2 (ja) 乗用田植機
JP3103351B2 (ja) 乗用田植機
JP4488518B2 (ja) 乗用型田植機
JP3631148B2 (ja) 乗用田植機
JP3631147B2 (ja) 乗用田植機
JP2002186315A (ja) 田植機の植付部
JP4443065B2 (ja) 乗用田植機
KR100193455B1 (ko) 이앙기의 기체구조
JP4439132B2 (ja) 乗用田植機
JP4753284B2 (ja) 乗用型田植機
JP3103350B2 (ja) 乗用田植機の植付部
JP3106432B2 (ja) 乗用田植機
JPH1052127A (ja) 乗用型田植機
JP3803889B2 (ja) 小型乗用田植機
JPH1052120A (ja) 田植機の機体構造
JP3803891B2 (ja) 小型乗用田植機の植付部
JP3803890B2 (ja) 小型乗用田植機
JP3527199B2 (ja) 乗用田植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