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0504A - 콤바인의 예취 높이 검출 장치 - Google Patents

콤바인의 예취 높이 검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0504A
KR20140140504A KR20140064371A KR20140064371A KR20140140504A KR 20140140504 A KR20140140504 A KR 20140140504A KR 20140064371 A KR20140064371 A KR 20140064371A KR 20140064371 A KR20140064371 A KR 20140064371A KR 20140140504 A KR20140140504 A KR 201401405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ine
bracket
unit body
heigh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64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0064B1 (ko
Inventor
사토시 키타가와
켄타로 츠지
Original Assignee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40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05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0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00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0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eciprocating cutters
    • A01D34/24Lifting devices for the cutter-ba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7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utside Dividers And Delivering Mechanisms For Harvesters (AREA)

Abstract

(과제) 곡간이 걸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콤바인의 예취 높이 검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결 수단) 콤바인의 예취 높이 검출 장치(100)는 브래킷(101)과 유닛 본체(110)와 포텐셔미터(111)와 접지체(112)를 구비한다. 브래킷(101)은 콤바인(1)의 분초체(51)에 고정되어 있다. 유닛 본체(110)는 브래킷(101)에 제 1 회전축(107)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포텐셔미터(111)는 유닛 본체(110)의 제 1 회전축(107) 둘레의 회전 위치를 검출한다. 접지체(112)는 유닛 본체(110)에 부착되어 있고, 전진 시에는 지면(G)으로부터 압박됨으로써 유닛 본체(110)와 일체로 회전한다.

Description

콤바인의 예취 높이 검출 장치{REAPING HEIGHT DETECTOR FOR COMBINE HARVESTER}
본 발명은 콤바인의 예취 높이 검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콤바인은 주행 장치와, 예취 장치와, 탈곡 장치를 구비하고 있고, 주행하면서 예취하여 탈곡 및 선별을 행한다. 콤바인은 예취한 후의 그루터기에 의한 주행 저항 및 진동을 저감하고, 예취 자국의 돋보임을 좋게 하고, 예취한 곡간의 반송, 탈곡에 악영향을 주지 않기 위해서 곡간의 지면으로부터의 일정 높이의 위치를 예취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이 때문에, 콤바인은 예취 장치의 지면으로부터의 높이를 측정하는 예취 높이 검출 장치(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특허문헌 1에 나타내어진 콤바인의 예취 높이 검출 장치는 예취 장치의 분초체에 전후 방향과 평행한 축심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브래킷과, 브래킷의 후단부에 차폭 방향과 평행한 제 1 축심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유닛 본체와, 유닛 본체 전단부에 차폭 방향과 평행한 제 2 축심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접지체와, 유닛 본체에 설치되며 또한 접지체의 제 2 축심 둘레의 각도를 검출하는 포텐셔미터 등을 구비하고 있다.
상술한 예취 높이 검출 장치는 콤바인의 직진 시에는 접지체가 지면에 접촉하고, 지면으로부터 밀려서 접지체만이 제 2 축심 둘레로 회전하여 포텐셔미터가 제 2 축심 둘레의 각도를 검출함으로써 예취 장치의 지면으로부터의 높이를 검출한다. 그리고, 콤바인은 예취 높이 검출 장치가 검출한 예취 장치의 지면에 의거하여 예취 장치의 지면으로부터의 높이가 미리 결정된 일정 높이가 되도록 예취 장치를 승강 실린더 등에 의해 승강시키면서 예취하여 탈곡 및 선별을 행한다. 또한, 상술한 예취 높이 검출 장치는 콤바인의 선회 시 등에는 상기 축심 둘레로 회전시킨다.
일본 특허 공개 2008-148573호 공보
그런데, 상술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예취 높이 검출 장치를 구비한 콤바인은 예취 장치의 조맞춤을 위해서 직진 시에 차폭 방향으로 조금씩 흔들리는 경우가 있다. 이때, 예취 높이 검출 장치가 축심 둘레로 조금씩 회전해서 유닛 본체에 곡간이 걸려 최악의 경우에는 파손되어버릴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곡간이 걸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콤바인의 예취 높이 검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한 콤바인의 예취 높이 검출 장치(100)는 예취 장치(5)의 분초체(51)에 설치되고, 지면(G)에 대한 상기 예취 장치(5)의 높이를 검출하는 콤바인의 예취 높이 검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초체(51)의 하부에 있어서 좌우 방향을 향하는 자세로 유지된 제 1 회전축(107)과, 이 제 1 회전축(107)을 중심으로 해서 상하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지면(G)에 접촉하는 접지체(112)를 구비한 유닛 본체(110)와, 상기 제 1 회전축(107)을 중심으로 하는 유닛 본체(110)의 회전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111)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콤바인의 예취 높이 검출 장치(100)에서는 상기 제 1 회전축(107)을 분초체(51)의 하부에 지지하는 브래킷(101)을 구비하고, 이 브래킷(101)은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함에 따라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전방부가 상기 분초체(51)에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콤바인의 예취 높이 검출 장치(100)에서는 상기 브래킷(101)은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간격이 넓어지는 좌우의 판상 부재(103a, 103b)와, 이 판상 부재(103a, 103b)끼리를 연결하며 또한 분조체(51)에 고정된 보강 부재(103c)를 구비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콤바인의 예취 높이 검출 장치(100)에서는 상기 브래킷(101)은 그 전단부(103)보다 후단부(104) 쪽이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콤바인의 예취 높이 검출 장치(100)에서는 상기 브래킷(101)의 하단부는 상기 유닛 본체(110)의 하단부보다 하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콤바인의 예취 높이 검출 장치(100)에서는 상기 브래킷(101)의 하면(104a)은 상기 브래킷(101)의 상면(104b)보다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콤바인의 예취 높이 검출 장치(100)에서는 상기 유닛 본체(110)에는 상기 제 1 회전축(107)을 통과시키는 제 1 보스부(115)와, 상기 접지체(112)를 상기 유닛 본체(110)에 대하여 상하 회전 가능하게 부착하는 제 2 회전축(125)을 통과시키는 제 2 보스부(116)와, 상기 제 1 보스부(115)와 제 2 보스부(116)를 연결하는 리브(120)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콤바인의 예취 높이 검출 장치(100)에서는 상기 브래킷(101)의 하면(104a)은 그 후단부가 콤바인(1)의 측방으로부터 볼 때 상기 리브(120)와 겹치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콤바인의 예취 높이 검출 장치(100)에서는, 예를 들면 상기 제 2 보스부(116)에는 방진용 컬러(133b)가 부착되어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콤바인의 예취 높이 검출 장치(100)에서는 상기 유닛 본체(110) 내에 상기 제 1 회전축(107)에 고정되며 또한 상기 검출 수단(111)과 결합된 결합암(108)과, 상기 결합암(108)과 접촉해서 상기 유닛 본체(110)의 하강 한계 위치를 규제하는 규제 부재(128)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콤바인의 예취 높이 검출 장치(100)에서는 상기 접지체(112)에 갖는 지면(G)에 접촉하는 접촉부(123)의 수평 방향의 단면 형상은 그 좌우 방향의 양단부가 좌우 방향의 중앙부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U자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한 콤바인의 예취 높이 검출 장치는 유닛 본체를 콤바인의 분초체에 부착하는 브래킷이 분초체의 하방에 고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예취 장치의 조맞춤을 위해서 콤바인이 직진 시에 차폭 방향으로 조금씩 흔들려도 브래킷이 조금씩 회전하는 일이 없다. 이 때문에, 콤바인이 직진 시에 차폭 방향으로 조금씩 흔들려도 예취 높이 검출 장치가 조금씩 회전하지 않으므로 유닛 본체에 곡간이 걸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파손되어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접지체의 접촉부가 단면 U자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콤바인의 선회 시에 접지체의 접촉부에 차폭 방향의 힘이 작용해도 이 힘에 의해 접지체의 접촉부가 상방으로 밀리게 된다. 따라서, 접지체가 파손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의한 콤바인의 높이 검출 장치를 구비한 콤바인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에 의한 콤바인의 높이 검출 장치를 구비한 콤바인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어진 콤바인의 분초체를 일부 노치해서 콤바인의 높이 검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 중의 Ⅳ-Ⅳ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 중의 Ⅴ-Ⅴ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나타내어진 콤바인의 높이 검출 장치의 유닛 본체가 접지체마다 상방으로 퇴피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에 의한 콤바인의 높이 검출 장치가 부착된 분초체 등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3 중의 Ⅷ-Ⅷ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 중의 Ⅸ-Ⅸ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실시형태에 의한 콤바인의 높이 검출 장치를 일부 단면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실시형태에 의한 콤바인의 높이 검출 장치를 구비한 콤바인의 전진 시의 높이 검출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2는 실시형태에 의한 콤바인의 높이 검출 장치를 구비한 콤바인의 후진 시의 높이 검출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의해 이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구성 요소에는 당업자가 치환 가능함과 아울러 용이한 것,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포함된다.
[실시형태]
실시형태에 의한 콤바인의 높이 검출 장치(콤바인의 예취 높이 검출 장치)(100)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실시형태에 의한 콤바인의 높이 검출 장치를 구비한 콤바인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실시형태에 의한 콤바인의 높이 검출 장치를 구비한 콤바인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전후 방향이란 콤바인(1)의 전후 방향이다. 다시 말하면, 전후 방향이란 이 콤바인(1)이 직진할 때의 진행 방향이며, 직진 방향 전방을 전방, 후방을 후방이라고 한다. 또한, 차폭 방향이란 상기 전후 방향에 대하여 수평으로 직교하는 방향이며, 직진 방향 전방의 우측을 우측, 직진 방향 전방의 좌측을 좌측이라고 한다. 또한, 연직 방향이란 전후 방향과 차폭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이들 전후 방향, 차폭 방향, 및 연직 방향은 서로 직교한다.
실시형태에 의한 콤바인의 높이 검출 장치(100)는 도 1에 나타내어지는 콤바인(1)에 설치된다. 도 1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의 콤바인(1)은 구동력원으로서의 엔진(3)이 발생하는 구동력에 의해 자주하면서 벼, 보리 등의 곡간을 예취하고, 탈곡할 수 있는 콤바인이다. 콤바인(1)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체 프레임(2)과, 구동력원으로서의 엔진(3)과, 주행 장치(4)와, 예취 장치(5)와, 탈곡 장치(10)와, 그레인 탱크(8)와, 피드 체인 구동 기구(9)를 구비한다.
기체 프레임(2)은 콤바인(1)의 차체의 프레임상의 구조 부재를 이루고 있다. 엔진(3)은 기체 프레임(2) 상의 전후 방향에 탑재되어 있다. 엔진(3)은 콤바인(1)에서 사용하는 구동력의 발생원이다. 엔진(3)은 내연 기관이며, 연소실에서 연료를 연소시킴으로써 연료의 에너지를 기계적 일로 변환해서 회전력으로서 출력하는 열기관이다.
또한, 엔진(3)은 기체 프레임(2) 상의 조작석(21)(도 2에 나타낸다)을 설치한 캐빈(22)(도 2에 나타낸다)의 하방에 설치되어 있다.
주행 장치(4)는 기체 프레임(2)의 연직 방향 하측에 설치된다. 주행 장치(4)는 엔진(3)으로부터의 구동력에 의해 콤바인(1) 전체를 주행시키는 것이다. 주행 장치(4)는 크롤러(41)를 갖는다. 크롤러(41)는 기체 프레임(2)의 연직 방향 하방에 있어서 차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1대 설치된다. 주행 장치(4)는 엔진(3)으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크롤러(41)가 구동함으로써 콤바인(1) 전체를 전후 방향 전방으로 주행시킨다.
예취 장치(5)는 기체 프레임(2)의 전방부에 설치된다. 예취 장치(5)는 엔진(3)으로부터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하여 곡간을 예취하고, 예취한 곡간을 탈곡 장치(10) 등으로 반송하는 것이다. 예취 장치(5)는 엔진(3)으로부터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하여 곡간을 예취하는 것으로서, 포장에 식생하는 곡간을 분초하는 분초체(51)와, 도복되어 있는 곡간을 일으키는 일으킴 장치(52)와, 일으켜진 곡간을 절단하는 예취날(53)이 설치됨과 아울러 예취된 곡간을 반송하는 반송 장치(56)를 구비하고 있다. 분초체(51)는 차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설치되고, 예취 장치(5)의 하부에 설치된 원통상의 하부 프레임(57)의 선단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예취 장치(5)는 도시되지 않는 승강 실린더에 의해 기체 프레임(2)의 전방부에 연직 방향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탈곡 장치(10)는 예취 장치(5)의 후방이며 또한 그레인 탱크(8)의 측방에 설치되고, 하부의 선별부(6)와 상부의 탈곡부(7)를 갖는다. 선별부(6)는 기체 프레임(2)의 상방이며 또한 예취 장치(5)의 반송 장치(56)의 후방에 설치된다. 또한, 선별부(6)는 그레인 탱크(8)의 측방이며 또한 기체 프레임(2)의 좌측에 설치된다. 선별부(6)는 엔진(3)으로부터의 구동력에 의해 탈곡부(7)에 의해 탈곡된 곡간의 고등의 협잡물과 곡립을 분리하는 장치이다.
또한, 탈곡 장치(10)를 통과하여 곡립이 훑어진 곡간(폐짚)은 콤바인(1)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는 폐짚 절단 장치로 반송된다. 폐짚 절단 장치는 폐짚 반송 장치에 투입된 폐짚을 절단하고, 예를 들면 포장으로 방출한다.
탈곡부(7)는 기체 프레임(2)의 상방이며 또한 예취 장치(5)의 반송 장치(56)의 후방에 설치된다. 또한, 탈곡부(7)는 그레인 탱크(8)의 측방이며 또한 기체 프레임(2)의 좌측에 설치된다. 탈곡부(7)는 엔진(3)으로부터의 구동력에 의해 반송된 곡간을 탈곡하는 것이다.
즉, 탈곡부(7)는 예취 장치(5)가 예취한 곡간으로부터 곡립을 잘라버리는 장치이다.
그레인 탱크(8)는 탈곡 장치(10)의 측방에 설치된다. 그레인 탱크(8)는 탈곡 장치(10)의 선별부(6)가 분리한 곡립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것이다. 그레인 탱크(8)는 배출 오거(81)가 접속된다. 배출 오거(81)는 엔진(3)으로부터의 구동력에 의해 그레인 탱크(8) 내의 곡립을 반송하고, 그레인 탱크(8)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이다.
피드 체인 구동 기구(9)는 피드 체인(96)을 회전 구동해서 예취 장치(5)의 반송 장치(56)로부터 탈곡 장치(10)의 탈곡부(7)를 향해서 예취 장치(5)가 예취한 곡간을 반송하는 것이다. 피드 체인 구동 기구(9)는 탈곡 장치(10)의 그레인 탱크(8)가 배치되어 있는 측과는 반대측, 즉 좌측부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콤바인(1)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취 장치(5)의 전방부에 갖는 분초체(51)의 하방에 설치되고, 지면(G)에 대한 예취 장치(5)의 높이를 검출하는 콤바인의 높이 검출 장치(100)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콤바인(1)은 복수의 분초체(51) 중 좌측으로부터 2번째의 분초체(51)에 높이 검출 장치(100)를 부착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높이 검출 장치(100)는 복수의 분초체(51) 중 차폭 방향의 양단과 중앙의 분초체(51) 이외에 부착되면 좋다.
이어서, 콤바인의 높이 검출 장치(100)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어진 콤바인의 분초체를 일부 노치해서 콤바인의 높이 검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도 3 중의 Ⅳ-Ⅳ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5는 도 3 중의 V-V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6은 도 3에 나타내어진 콤바인의 높이 검출 장치의 유닛 본체가 접지체마다 상방으로 퇴피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7은 실시형태에 의한 콤바인의 높이 검출 장치가 부착된 분초체 등의 평면도, 도 8은 도 3 중의 Ⅷ-Ⅷ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9은 도 8 중의 Ⅸ-Ⅸ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10은 실시형태에 의한 콤바인의 높이 검출 장치를 일부 단면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한, 실시형태에 의한 콤바인의 높이 검출 장치(100)(이하, 간단히 높이 검출 장치라고 기재한다)는 콤바인(1)의 예취 장치(5)의 분초체(51)의 하방에 설치되고, 지면(G)에 대한 예취 장치(5)의 높이를 검출하는 것이다. 높이 검출 장치(100)가 부착된 분초체(51)는 도 3,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홈통상의 분초체 커버(51a)와, 평판상의 커버 지지 부재(51b)와, 커버 지지 부재(51b)의 하면에 부착된 분초체 플레이트(51c)와, 커버 지지 부재(51b)의 후방부와 연결된 원통상의 하부 프레임(57)을 구비하고 있다.
분초체 커버(51a)는 포장에 식립하는 곡간을 분초한다. 분초체 커버(51a)는 개구부가 하방으로 상대하고, 또한 길이 방향이 전후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분초체 커버(51a)는 측면으로 볼 때에 전방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지면(G)에 근접하도록 연직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고 있다.
커버 지지 부재(51b)는 분초체 커버(51a)와의 사이에 공간(K)(도 3 및 도 5에 나타낸다)을 갖고, 분초체 커버(51a)의 하부에 부착된다. 커버 지지 부재(51b)는 측면으로 볼 때에 く자상으로 굴곡하고 있다. 커버 지지 부재(51b)는 일단부가 분초체 커버(51a)의 하부에 부착되어 있음과 아울러 후방부로서의 타단부가 하부 프레임(57)에 부착되어 있다.
분초체 플레이트(51c)는 분초체 커버(51a)와 함께 포장에 식립하는 곡간을 분초한다. 분초체 플레이트(51c)는 커버 지지 부재(51b)의 하면에 부착되고, 또한 평면으로 볼 때에는 전후 방향과 평행하며, 정면으로 볼 때에는 연직 방향과 평행한 평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부 프레임(57)은 상부에 공간(K)과 연통하는 개구를 갖고 있다.
높이 검출 장치(100)는 도 3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브래킷(101)과, 유닛 본체(110)와, 포텐셔미터(111)(검출 수단에 상당)와, 접지체(112)를 구비하고 있다.
브래킷(101)은 분초체(51)의 하부에 설치되는 분초체 플레이트(51c)에 고정되어 있다. 브래킷(101)은 도 3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초체(51)의 분초체 플레이트(51c)에 고정된 전단부로서의 고정부(103)와, 후단부로서의 유닛 부착부(104)를 구비하고 있다.
고정부(103)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으로 볼 때에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간격이 넓어지는 한쌍의 판상 부재(103a, 103b)와, 한쌍의 판상 부재(103a, 103b)끼리를 연결한 보강 부재(103c)를 구비하고 있다. 즉, 브래킷(101)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함에 따라 차폭 방향의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쌍의 판상 부재(103a, 103b)는 선단끼리가 연결되어서 고정부(103)를 V자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보강 부재(103c)는 평판상으로 형성되고, 한쌍의 판상 부재(103a, 103b)의 상단부끼리를 연결하고 있다. 고정부(103)의 선단이 분초체 플레이트(51c)에 용접(고정)되고, 보강 부재(103c)의 상면이 분초체 플레이트(51c)에 용접(고정)되고, 브래킷(101)은 분초체(51)의 분초체 플레이트(51c)에 고정(용접)되어 있다.
유닛 부착부(104)는 높이 검출 장치(100)의 유닛 본체(110)를 부착하는 것이며, 고정부(103)의 한쌍의 판상 부재(103a, 103b) 중 한쪽의 판상 부재(103a)로부터 후방을 향해서 전후 방향을 따라 직선상으로 연장된 평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유닛 부착부(104), 즉 브래킷(101)의 후단부에는 도 8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회전축(107)이 고정되어 있다. 제 1 회전축(107)은 차폭 방향과 평행한 원기둥상으로 형성되고, 유닛 부착부(104), 즉 브래킷(101)에 대하여 상기 제 1 회전축(107) 둘레로 상하 회전 가능하게 유닛 본체(110)를 부착하는 것이다. 즉, 브래킷(101)의 후단부에 제 1 회전축(107)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 1 회전축(107)에는 상기 제 1 회전축(107)의 외주 방향(지름 방향)으로 연장된 센서 암(108)(도 8 및 도 9에 나타내고, 결합암에 상당한다)이 고정되어 있다.
브래킷(101)은 도 3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체 프레임(2)의 측면으로 볼 때에 고정부(103)가 후방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상방을 향하고, 유닛 부착부(104)가 수평 방향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즉, 브래킷(101)은 전단부로서의 고정부(103)보다 후단부로서의 유닛 부착부(104)가 지면(G)보다 멀어진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브래킷(101)은 고정부(103)와 유닛 부착부(104)가 연결되는 중앙부가 굴곡해서 へ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브래킷(101)의 유닛 부착부(104)의 하면(104a)은 브래킷(101)의 유닛 부착부(104)의 상면(104b)보다 콤바인(1)의 후방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유닛 본체(110)는 브래킷(101)의 유닛 부착부(104)에 제 1 회전축(107)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유닛 본체(110)는 도 3에 나타내는 하강 한계 위치와 도 6에 나타내는 상승 한계 위치에 걸쳐 브래킷(101)에 대하여 제 1 회전축(107) 둘레로 상하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유닛 본체(110)는 지면(G)에 접촉하는 접지체(112)를 부착하고 있다.
유닛 본체(110)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속제의 주물로 구성된 케이스체(113)와, 평판상의 덮개체(114)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체(113)는 편평한 상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유닛 본체(110)의 케이스체(113)에는 제 1 회전축(107)을 회전 가능하게 통과시키는 원통상의 제 1 보스부(115)와, 접지체(112)에 고정된 제 2 회전축(125)을 회전 가능하게 통과시키는 원통상의 제 2 보스부(116)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보스부(115, 116)는 케이스체(113)의 표면으로부터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다. 제 1 보스부(115)는 제 2 보스부(116)보다 전방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유닛 본체(110)의 케이스체(113)에는 제 1 보스부(115)와, 제 2 보스부(116)를 연결하는 리브(120)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리브(120)는 케이스체(113)의 표면으로부터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다. 리브(120)는 브래킷(101)의 유닛 부착부(104)의 하면(104a)과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직 방향으로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브래킷(101)의 유닛 부착부(104)의 하면(104a)은 그 후단부가 콤바인(1)의 측방으로부터 볼 때 리브(120)와 연직 방향으로 겹치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다.
케이스체(113), 즉 유닛 본체(110) 내에는 제 1 보스부(115) 내에 제 1 회전축(107)을 회전 가능하게 통과시켜 제 1 회전축(107)의 선단에 고정된 센서 암(108)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체(113), 즉 유닛 본체(110) 내에는 센서 암(108)과 접촉해서 유닛 본체(110)의 하강 한계 위치를 규제하는 규제 부재(128)가 설치되어 있다. 규제 부재(128)는 센서 암(108)과 접촉해서 유닛 본체(110)를 하강 한계 위치에 위치 부여한다. 규제 부재(128)는 센서 암(108)과 접촉해서 하강 한계 위치로부터 제 2 보스부(116)가 하방을 향하도록 제 1 회전축(107) 둘레로 케이스체(113), 즉 유닛 본체(110)가 회전하는 것을 규제한다. 이와 같이 규제 부재(128)는 센서 암(108)과 접촉하면 하강 한계 위치보다 제 2 보스부(116)가 하방을 향해 케이스체(113), 즉 유닛 본체(110)가 회전하는 것을 규제한다. 규제 부재(128)는 케이스체(113)의 전단부이며 또한 제 1 보스부(115), 즉 제 1 회전축(107)보다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규제 부재(128)는 덮개체(114)의 외측으로부터 유닛 본체(110) 내에 비틀어 넣은 볼트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체(113), 즉 유닛 본체(110)는 분초체 플레이트(51c)와 접촉해서 상승 한계 위치가 규제된다. 케이스체(113), 즉 유닛 본체(110)는 분초체 플레이트(51c)와 접촉해서 상승 한계 위치에 위치 부여된다. 케이스체(113), 즉 유닛 본체(110)는 분초체 플레이트(51c)와 접촉한 상승 한계 위치로부터 제 2 보스부(116)가 상방을 향하도록 제 1 회전축(107) 둘레로 케이스체(113), 즉 유닛 본체(110)가 회전하는 것이 규제된다. 이와 같이 케이스체(113), 즉 유닛 본체(110)는 분초체 플레이트(51c)와 접촉하면 상승 한계 위치보다 제 2 보스부(116)가 상방을 향해서 회전하는 것이 규제된다. 또한, 상승 한계 위치에서는 센서 암(108)은 유닛 본체(110)의 케이스체(113)의 내면에 접촉하지 않고, 케이스체(113)의 내면으로부터 간격을 둔다.
덮개체(114)는 케이스체(113)에 부착되어서 케이스체(113)의 개구부를 가로막는다. 유닛 본체(110)는 케이스체(113)의 제 1 보스부(115) 내에 제 1 회전축(107)을 회전 가능하게 통과시킴으로써 차폭 방향과 평행한 제 1 회전축(107)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브래킷(101)에 부착된다.
또한, 유닛 본체(110)가 브래킷(101)에 부착되어서 하강 한계 위치에 위치 부여되면 브래킷(101)의 가장 하방에 위치하는 최하부로서의 고정부(103)의 선단은 유닛 본체(110)의 가장 하방에 위치하는 최하부로서의 제 2 보스부(116)의 하단보다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유닛 본체(110)가 브래킷(101)에 부착되면 그 하면(110a)에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의 중앙에 함몰부(117)가 형성되어 있다. 함몰부(117)는 예취 장치(5)의 측면으로 볼 때에 유닛 본체(110)의 하면(110a)을 산형으로 형성하고 있다.
포텐셔미터(111)는 제 1 회전축(107) 둘레의 유닛 본체(110)의 회전 위치를 검출하는 것이다. 포텐셔미터(111)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닛 본체(110)의 케이스체(113)에 부착되어 있음과 아울러 유닛 본체(110)의 보스부(115, 116)의 쌍방보다 상측에 설치되어 있다. 즉, 케이스체(113)에는 포텐셔미터(111)가 구비되어 있다. 포텐셔미터(111)는 유닛 본체(110)가 브래킷(101)에 부착되면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브래킷(101)의 유닛 부착부(104)의 외측면(104c)보다 분초체(51)의 예폭 방향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외측면(104c)은 브래킷(101)의 외측면에 상당한다. 포텐셔미터(111)는 높이 검출 장치(100)가 브래킷(101)에 부착되면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체 프레임(2)의 전후 방향으로 제 1 회전축(107)의 축심과 제 2 회전축(125)의 축심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포텐셔미터(111)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닛 본체(110)의 케이스체(113)에 부착된 센서 커버(130)에 의해 덮여 있다.
센서 커버(130)는 포텐셔미터(111)를 덮는 것이며, 유닛 본체(110)에 부착되어 있다. 센서 커버(130)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닛 본체(110)의 케이스체(113)에 겹쳐져서 케이스체(113)에 고정되는 한쌍의 고정편(130a, 130b)과, 한쌍의 고정편(130a, 130b) 사이에 설치되고, 또한 포텐셔미터(111)에 겹쳐지는 덮개부(130c)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고정편(130a)과 덮개부(130c) 사이에 설치된 센서 커버(130)의 전방부(130d)는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유닛 본체(110)의 케이스체(113)의 표면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전후 방향과 차폭 방향의 쌍방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또한, 센서 커버(130)에 있어서의 차폭 방향에서 유닛 본체(110)로부터 가장 이간된 이간 부분으로서의 덮개부(130c)는 브래킷(101)에 있어서의 차폭 방향에서 유닛 본체(110)로부터 가장 멀어진 이간 부분으로서의 유닛 부착부(104)보다 유닛 본체(110)에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포텐셔미터(111)의 축심 둘레로 회전 가능한 검출축(118)과, 검출축(118)에 고정되고, 이 검출축(118)의 외주 방향으로 연장된 검출 암(119)은 포텐셔미터(111)가 유닛 본체(110)에 부착되면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닛 본체(110)의 케이스체(113) 내에 수용된다. 검출 암(119)은 그 선단이 센서 암(108)의 선단부와 맞물려 있다. 즉, 센서 암(108)은 포텐셔미터(111)와 맞물리는 것이다. 포텐셔미터(111)는 브래킷(101)에 대하여 제 1 회전축(107) 둘레로 유닛 본체(110)가 회전되면 제 1 회전축(107)에 센서 암(108)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검출 암(119)이 검출축(118)의 축심 둘레로 회전한다.
그리고, 포텐셔미터(111)는 검출축(118)의 축심 둘레로 회전 위치를 검출함으로써 유닛 본체(110)의 제 1 회전축(107) 둘레의 회전 위치를 검출한다.
포텐셔미터(111)로부터 연장된 복수의 전선 등으로 구성된 하니스(131)는 도 3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닛 본체(110)의 케이스체(113)와 브래킷(101)의 유닛 부착부(104) 사이를 통과한다. 하니스(131)는 커버 지지 부재(51b)에 형성된 관통 구멍(132)을 통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간(K) 내로 통해진다. 그리고, 하니스(131)는 공간(K) 내로 통해진 후, 공간(K)으로부터 하부 프레임(57)의 선단의 개구를 통해 하부 프레임(57)의 내부로 라우팅되어서 기체 프레임(2)에 적당 개소에 설치된 제어 장치(도시 생략)에 접속되어서 검출한 회전 위치를 제어 장치에 전달한다.
유닛 본체(110)가 하강 한계 위치에 위치 부여되면 제 1 회전축(107)보다 제 2 회전축(125)이 하방에 배치된다. 또한, 유닛 본체(110)가 하강 한계 위치에 위치 부여되면 도 1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회전축(107)의 축심과 포텐셔미터(111)의 검출축(118)의 축심을 연결한 가상선(L)[도 11(a)에 1점쇄선으로 나타낸다]보다 검출 암(119)과 센서 암(108)이 맞물리는 맞물림부(121)가 상방에 배치된다.
또한, 상승 한계 위치에서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닛 본체(110)의 후방부가 브래킷(101)의 하단보다 상방에 위치한다. 이 때문에, 유닛 본체(110)는 하강 한계 위치로부터 유닛 본체(110)의 후방부가 브래킷(101)의 하단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제 1 회전축(107) 둘레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유닛 본체(110) 내에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토크 스프링(122)(제 1 바이어싱 수단에 상당)을 설치하고 있다. 제 1 토크 스프링(122)은 제 1 회전축(107)의 외주에 부착되고, 일단부가 케이스체(113)의 내면에 접촉하고, 타단부가 센서 암(108)에 부착되어 있다. 제 1 토크 스프링(122)은 일단부가 케이스체(113)의 내면에 접촉하고, 타단부가 센서 암(108)에 부착되어 있음으로써 상승 한계 위치로부터 하강 한계 위치를 향해서 유닛 본체(110)를 바이어싱한다.
접지체(112)는 유닛 본체(110)에 제 2 회전축(125)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음과 아울러 지면(G)에 접촉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유닛 본체(110)는 지면(G)에 접촉하는 접지체(112)를 갖고 있다. 접지체(112)는 도 3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면(G)에 접촉하는 띠상부(123)(접촉부에 상당)와, 이 띠상부(123)의 가장자리로 이어진 부착부(124)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띠상부(123)는 하강 한계 위치에 유닛 본체(110)가 위치 부여되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부(123a)가 상하 양단부(123b, 123c)보다 전방에 위치하도록 측면으로 볼 때에 く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중앙부(123a)가 접지체(112)의 중앙부에 상당하고, 상하 양단부(123b, 123c)가 접지체(112)의 상하 양단부에 상당한다. 접지체(112)의 띠상부(123)의 하단부(123c)의 폭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부(123a)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다. 접지체(112)의 띠상부(123)의 하단부(123c)의 폭은 유닛 본체(110)의 차폭 방향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접지체(112)의 띠상부(123)의 하단부(123c)는 차폭 방향에 있어서 브래킷(101)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띠상부(123)의 하단부(123c)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평 방향의 단면이 U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띠상부(123)의 하단부(123c)는 수평 방향의 단면에 있어서 차폭 방향의 중앙이 전방에 위치하고, 차폭 방향의 양단이 중앙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띠상부(123)의 하단부(123c)는 유닛 본체(110)가 하강 한계 위치와 상승 한계 위치의 중간에 위치 부여되면 차폭 방향의 중앙이 차폭 방향의 양단에 대하여 하방에 위치한다.
부착부(124)는 띠상부(123)의 상단부(123b)의 가장자리로 이어져 있다. 접지체(112)의 부착부(124)에는 제 2 보스부(116)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 2 회전축(125)이 고정되어 있다. 제 2 회전축(125)이 제 2 보스부(116) 내로 통해짐으로써 접지체(112)는 유닛 본체(110)의 후방부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다. 즉, 제 2 회전축(125)은 접지체(112)를 유닛 본체(110)에 대하여 상하 회전 가능하게 부착하는 것이다.
또한, 제 2 회전축(125)의 선단에는 유닛 본체(110)의 케이스체(113) 내에 수용되는 규제 부재(126)(도 8에 나타낸다)가 고정되어 있다. 규제 부재(126)는 유닛 본체(110)가 하강 한계 위치에 위치 부여되어서 접지체(112)의 상하 양단부(123b, 123c)가 연직 방향으로 배열되는 위치(도 3에 나타낸다)에 위치 부여되면 유닛 본체(110)의 케이스체(113)의 내면에 접촉한다. 그리고, 규제 부재(126)는 유닛 본체(110)의 케이스체(113)의 내면에 접촉함으로써 유닛 본체(110)가 하강 한계 위치에 위치 부여되어서 접지체(112)의 상하 양단부(123b, 123c)가 연직 방향으로 배열되는 위치(도 3에 나타낸다)보다 하단부(123c)가 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접지체(112)가 제 2 회전축(125) 둘레로 회전하는 것을 규제한다.
이 때문에, 접지체(112)는 도 3에 나타내는 상하 양단부(123b, 123c)가 연직 방향으로 배열되는 위치로부터 하단부(123c)가 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만 제 2 회전축(125) 둘레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접지체(112)는 도 3에 나타내는 상하 양단부(123b, 123c)가 연직 방향으로 배열되는 위치로부터 하단부(123c)가 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제 2 회전축(125) 둘레로 회전하면 도 12(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부(123a)가 함몰부(117) 내에 침입해서 함몰부(117)의 내면에 접촉한다. 이와 같이 접지체(112)는 도 3에 나타내는 상하 양단부(123b, 123c)가 연직 방향으로 배열되는 위치와, 도 12(d)에 나타내는 중앙부(123a)가 함몰부(117) 내에 침입하는 위치에 걸쳐 유닛 본체(110)에 대하여 제 2 회전축(125) 둘레로 회전한다.
또한, 유닛 본체(110) 내에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토크 스프링(127)(제 2 바이어싱 수단에 상당)을 설치하고 있다. 제 2 토크 스프링(127)은 유닛 본체(110)의 제 2 회전축(125)의 외주에 부착되고, 일단부가 케이스체(113)의 내면에 접촉하고, 타단부가 규제 부재(126)에 부착되어 있다. 제 2 토크 스프링(127)은 일단부가 케이스체(113)의 내면에 접촉하고, 타단부가 규제 부재(126)에 부착되어 있음으로써 하단부(123c)가 후방을 향하도록 도 3에 나타내는 상하 양단부(123b, 123c)가 연직 방향으로 배열되는 위치를 향해서 접지체(112)를 바이어싱 한다.
또한, 접지체(112)는 유닛 본체(110)가 상승 한계 위치에 위치 부여되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 프레임(57)에 하단부(123c) 또는 상단부(123b)가 접촉하여 제 2 토크 스프링(127)의 바이어싱력에 저항해서 압박되어 제 2 회전축(125) 둘레로 약간 회전한다. 그리고, 접지체(112)는 유닛 본체(110)가 상승 한계 위치에 위치 부여되면 하단부(123c)의 선단, 즉 하단의 높이가 분초체(51)의 선단의 높이이상이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접지체(112)는 유닛 본체(110)가 상승 한계 위치에 위치 부여되면 하단부(123c)의 선단, 즉 하단이 분초체(51)의 선단보다 높다.
또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닛 본체(110)의 제 1 보스부(115)에는 방진용 컬러(133a)가 부착되고, 유닛 본체(110)의 제 2 보스부(116)에는 방진용 컬러(133b)가 부착되어 있다. 방진용 컬러(133a)는 내측에 제 1 회전축(107)을 통과시키며 또한 제 1 보스부(115)의 외주에 씌워진다. 방진용 컬러(133a)는 브래킷(101)의 유닛 부착부(104)과 제 1 보스부(115) 사이에 설치된다. 방진용 컬러(133b)는 내측에 제 2 회전축(125)을 통과시키며 또한 제 2 보스부(116)의 외주에 씌워진다. 방진용 컬러(133b)는 접지체(112)의 부착부(124)와 제 2 보스부(116) 사이에 설치된다.
이어서, 상술한 구성의 높이 검출 장치(100)의 동작을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실시형태에 의한 콤바인의 높이 검출 장치를 구비한 콤바인의 전진 시의 높이 검출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12는 실시형태에 의한 콤바인의 높이 검출 장치를 구비한 콤바인의 후진 시의 높이 검출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상술한 구성의 높이 검출 장치(100)는 접지체(112)의 띠상부(123)에 어느 것도 접촉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제 1 토크 스프링(122) 및 제 2 토크 스프링(127)의 바이어싱력에 의해 유닛 본체(110)가 하강 한계 위치에 위치 부여되고, 도 1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지체(112)의 하단부(123c)가 분초체(51)보다 하방으로 돌출한다. 여기에서, 접지체(112)는 도 11(a)에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제 2 회전축(125) 둘레로 하단부(123c)가 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만 회전하는 것이 허용되고, 후방을 향하는 방향의 회전이 규제되어 있다.
이 때문에, 콤바인(1)의 전진 시에는 접지체(112)의 하단부(123c)가 지면(G)이나 그루터기에 접촉하면, 이들의 지면(G)이나 그루터기로부터 압박되어 접지체(112)와 높이 검출 장치(100)가 일체가 되어서 도 11(b)~도 11(g)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회전축(107) 둘레로 상승 한계 위치를 향해서 회전한다. 그리고, 높이 검출 장치(100)는 포텐셔미터(111)가 제 1 회전축(107) 둘레의 브래킷(101)에 대한 회전 위치를 검출해서 분초체(51)의 지면(G)으로부터의 높이를 검출한다. 높이 검출 장치(100)는 검출 결과를 콤바인(1) 전체의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 장치(도시 생략)에 출력한다. 그리고, 이 제어 장치는 포텐셔미터(111)의 검출 결과로부터 산출되는 분초체(51)의 지면(G)으로부터의 높이를 일정하게 하도록 상술한 승강 실린더를 작동시켜 예취 장치(5)의 높이를 변경한다.
또한, 콤바인(1)의 후진 시에는 접지체(112)의 하단부(123c)가 지면(G)이나 그루터기에 접촉하면, 이들의 지면(G)이나 그루터기로부터 압박되어서 우선 도 12(a)~도 1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지체(112)가 유닛 본체(110)에 대하여 하단부(123c)가 전방을 향하도록 제 2 회전축(125) 둘레로 회전한다. 또한, 도 1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지체(112)의 중앙부(123a)가 함몰부(117)에 침입해서 함몰부(117)의 내면에 접촉한 상태로 접지체(112)가 그루터기 등으로부터 상방에 압박되면, 접지체(112)와 높이 검출 장치(100)가 일체가 되어서 도 12(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회전축(107) 둘레로 상승 한계 위치를 향해서 회전한다. 이때, 접지체(112)의 하단의 높이가 분초체(51)의 선단의 높이 이상이므로 접지체(112)에 지면이 간섭하는 일 없이 접지체(112)가 유닛 본체(110)와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콤바인(1)의 전진 및 후진 시에 있어서 선회하면 접지체(112)의 띠상부(123)의 하단부(123c)가 단면 U자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접지체(112)의 띠상부(123)에 차폭 방향의 힘이 작용한다. 그리고, 이 차폭 방향의 힘에 의해 접지체(112)의 띠상부(123)가 상방으로 밀려서 접지체(112)와 높이 검출 장치(100)가 일체가 되어서 제 1 회전축(107) 둘레로 상승 한계 위치를 향해 회전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콤바인(1)은 엔진(3)이 발생시키는 구동력에 의해 주행 장치(4)가 구동해서 주행하면서 예취 장치(5)에 의해 곡간을 예취한다. 이때, 예취 장치(5)는 분초체(51)에 의해 분초되고, 일으킴 장치(52)에 의해 일으켜 곡간을 예취날(53)로 예취한다. 그리고, 콤바인(1)은 예취 장치(5)로 예취한 곡간을 반송 장치(56)에 의해 탈곡 장치(10)의 탈곡부(7)로 반송한다. 그리고, 콤바인(1)은 피드 체인 구동 기구(9)가 곡간을 후방으로 반송하면서 탈곡부(7)에서 엔진(3)으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곡간을 탈곡한다. 탈곡된 곡립 등은 선별부(6)에 낙하한다. 그리고, 콤바인(1)은 선별부(6)에서 곡립을 선별하고, 선별한 곡립을 그레인 탱크(8)에 저장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형태에 의한 높이 검출 장치(100)에 의하면 유닛 본체(110)를 콤바인(1)의 분초체(51)에 부착하는 브래킷(101)이 분초체(51)의 하방에 고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예취 장치(5)의 조맞춤을 위해서 콤바인(1)이 직진 시에 차폭 방향으로 조금씩 흔들려도 브래킷(101)이 조금씩 회전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콤바인(1)이 직진 시에 차폭 방향으로 조금씩 흔들려도 높이 검출 장치(100)가 조금씩 회전하지 않으므로 유닛 본체(110)에 곡간이 걸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파손되어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높이 검출 장치(100)는 접지체(112)의 띠상부(123)의 하단부(123c)가 단면 U자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콤바인(1)의 선회 시에 접지체(112)의 띠상부(123)에 차폭 방향의 힘이 작용해도 이 힘에 의해 접지체(112)의 띠상부(123)가 상방으로 밀리게 된다. 따라서, 접지체(112)가 파손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높이 검출 장치(100)는 브래킷(101)이 전방을 향함에 따라 폭이 좁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브래킷(101)에 곡간 등이 걸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브래킷(101)을 분초체(51)에 용접에 의해 고정하고 있으므로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높이 검출 장치(100)는 브래킷(101)이 한쌍의 판상 부재(103a, 103b)와 판상 부재(103a, 103b)끼리를 연결하는 보강 부재(103c)를 구비한다는 간편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추가적인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높이 검출 장치(100)는 브래킷(101) 전단부로서의 고정부(103)보다 후단부로서의 유닛 부착부(104)가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분초체(51)와 지면(G) 사이의 유닛 본체(110)를 설치하기 위한 스페이스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높이 검출 장치(100)는 브래킷(101)의 최하부로서의 고정부(103)의 선단을 유닛 본체(110)의 최하부로서의 제 2 보스부(116)의 하단보다 하방에 배치하고 있으므로 유닛 본체(110)에 곡간이 걸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높이 검출 장치(100)는 브래킷(101)의 하면(104a)을 상면(104b)보다 후방으로 연장시키고 있으므로 곡간이 유닛 본체(110)에 부착되는 포텐셔미터(111)나 포텐셔미터(111)에 접속한 하니스(131)에 걸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높이 검출 장치(100)는 유닛 본체(110)에 보스부(115, 116)끼리를 연결하는 리브(120)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유닛 본체(110)의 강성을 향상시켜서 유닛 본체(110)가 파손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높이 검출 장치(100)는 보스부(115, 116)에 방진용 컬러(133a, 133b)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보스부(115, 116)를 통해 유닛 본체(110) 내에 먼지 등이 침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높이 검출 장치(100)는 유닛 본체(110)의 하면(104a)이 보스부(115, 116)끼리를 연결하는 리브(120)에 겹치는 위치까지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유닛 본체(110)의 하면(104a)과 리브(120)가 협동해서 곡간이 유닛 본체(110)에 부착되는 포텐셔미터(111)이나 포텐셔미터(111)에 접속한 하니스(131)에 걸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높이 검출 장치(100)는 유닛 본체(110) 내에 센서 암(108)과 규제 부재(128)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곡간 등의 접촉에 의한 포텐셔미터(111)의 오검출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높이 검출 장치(100)는 규제 부재(128)를 제 1 회전축(107)보다 상방에 설치하고 있으므로 만일 유닛 본체(110) 내에 먼지 등이 침입해도 먼지가 규제 부재(128)에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포텐셔미터(111)의 오검출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높이 검출 장치(100)는 센서 커버(130)의 전방부(130d)가 전방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유닛 본체(110)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으므로 센서 커버(130)에 곡간이 걸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높이 검출 장치(100)는 센서 커버(130)의 이간 부분으로서의 덮개부(130c)가 브래킷(101)의 이간 부분으로서의 유닛 부착부(104)보다 유닛 본체(110)에 가까우므로 포텐셔미터(111)로의 곡간의 걸림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포텐셔미터(111)에 접속한 하니스(131)를 분초체 커버(51a)와 커버 지지 부재(51b) 사이의 공간(K)과 하부 프레임(57)의 내측으로 통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하니스(131)는 상기 공간(K) 내를 통하는 일 없이 포텐셔미터(111)로부터 하부 프레임(57)에 형성된 구멍을 지나 하부 프레임(57)의 내측으로 통해도 좋다. 이 경우, 하니스(131)가 라우팅되기 쉽고, 하니스(131)를 구성하는 전선 등이 단선되기 어렵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콤바인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1 : 콤바인 5 : 예취 장치
51 : 분초체
100 : 콤바인의 높이 검출 장치(콤바인의 예취 높이 검출 장치)
101 : 브래킷 103 : 고정부(전단부)
103a, 103b : 판상 부재 103c : 보강 부재
104 : 유닛 부착부(후단부, 이간 부분) 104a : 하면
104b : 상면 107 : 제 1 회전축
108 : 센서 암(결합암) 110 : 유닛 본체
111 : 포텐셔미터(검출 수단) 112 : 접지체
113 : 케이스체 115 : 제 1 보스부
116 : 제 2 보스부 120 : 리브
123 : 띠상부(접촉부) 125 : 제 2 회전축
128 : 규제 부재 130 : 센서 커버
130c : 덮개부(이간 부분) 130d : 전방부
133a, 133b : 방진용 컬러 G : 지면

Claims (10)

  1. 예취 장치(5)의 분초체(51)에 설치되고, 지면(G)에 대한 상기 예취 장치(5)의 높이를 검출하는 콤바인의 예취 높이 검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초체(51)의 하부에 있어서 좌우 방향을 향하는 자세로 유지된 제 1 회전축(107)과,
    이 제 1 회전축(107)을 중심으로 해서 상하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지면(G)에 접촉하는 접지체(112)를 구비한 유닛 본체(110)와,
    상기 제 1 회전축(107)을 중심으로 하는 유닛 본체(110)의 회전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111)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예취 높이 검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전축(107)을 분초체(51)의 하부에 지지하는 브래킷(101)을 구비하고, 이 브래킷(101)은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함에 따라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전방부가 상기 분초체(51)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예취 높이 검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101)은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간격이 넓어지는 좌우의 판상 부재(103a, 103b)와, 이 좌우의 판상 부재(103a, 103b)끼리를 연결하며 또한 상기 분초체(51)에 고정된 보강 부재(103c)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예취 높이 검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101)은 그 전단부(103)보다 후단부(104) 쪽이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예취 높이 검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101)의 하단부는 상기 유닛 본체(110)의 하단부보다 하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예취 높이 검출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101)의 하면(104a)은 상기 브래킷(101)의 상면(104b)보다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예취 높이 검출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 본체(110)에는 상기 제 1 회전축(107)을 통콰시키는 제 1 보스부(115)와, 상기 접지체(112)를 상기 유닛 본체(110)에 대하여 상하 회전 가능하게 부착하는 제 2 회전축(125)을 통과시키는 제 2 보스부(116)와, 상기 제 1 보스부(115)와 제 2 보스부(116)를 연결하는 리브(12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예취 높이 검출 장치.
  8. 제 7 항에 있이서,
    상기 브래킷(101)의 하면(104a)은 그 후단부가 콤바인(1)의 측방으로부터 볼 때 상기 리브(120)와 겹치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예취 높이 검출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 본체(110) 내에 상기 제 1 회전축(107)에 고정되며 또한 상기 검출 수단(111)과 결합된 결합암(108)과, 상기 결합암(108)과 접촉해서 상기 유닛 본체(110)의 하강 한계 위치를 규제하는 규제 부재(128)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예취 높이 검출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체(112)에 갖는 지면(G)에 접촉하는 접촉부(123)의 수평 방향의 단면 형상은 그 좌우 방향의 양단부가 좌우 방향의 중앙부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U자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예취 높이 검출 장치.
KR1020140064371A 2013-05-29 2014-05-28 콤바인의 예취 높이 검출 장치 KR1016500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13385A JP5630534B1 (ja) 2013-05-29 2013-05-29 コンバインの高さ検出装置
JPJP-P-2013-113385 2013-05-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0504A true KR20140140504A (ko) 2014-12-09
KR101650064B1 KR101650064B1 (ko) 2016-08-22

Family

ID=52088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4371A KR101650064B1 (ko) 2013-05-29 2014-05-28 콤바인의 예취 높이 검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630534B1 (ko)
KR (1) KR101650064B1 (ko)
CN (1) CN104206105B (ko)
TW (1) TWI57889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66008B2 (ja) * 2016-05-27 2017-01-25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CN107439152A (zh) * 2017-06-21 2017-12-08 枞阳县周泽红家庭农场 一种可调节收割机收割倾角与高度的底架
CN108760620A (zh) * 2018-06-27 2018-11-06 浙江亚特电器有限公司 一种草疏密程度检测装置及割草机
CN108738636A (zh) * 2018-06-27 2018-11-06 浙江亚特电器有限公司 一种草高度检测装置及割草机
CN110567409B (zh) * 2019-08-09 2021-06-29 北京农业智能装备技术研究中心 农机用割台高度监测方法及农机用割台高度传感器
KR102085714B1 (ko) 2019-11-01 2020-03-06 함영철 콤바인용 왕복동 예취날 수평제어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4167A (ja) * 2005-01-27 2006-08-10 Kubota Corp コンバインの刈高さ検出装置
JP2008148573A (ja) 2006-12-14 2008-07-03 Kubota Corp コンバインの刈高さ検出装置
JP2011092096A (ja) * 2009-10-29 2011-05-12 Kubota Corp コンバイン
JP2011172507A (ja) * 2010-02-24 2011-09-08 Yanmar Co Ltd 作業機
JP2011200197A (ja) * 2010-03-26 2011-10-13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の刈り高さ検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735Y1 (ko) * 1970-02-12 1974-01-10
JPS54145622U (ko) * 1978-03-29 1979-10-09
JPS62149916U (ko) * 1986-03-14 1987-09-22
JP5271037B2 (ja) * 2008-10-28 2013-08-21 株式会社クボタ 自脱型コンバイン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4167A (ja) * 2005-01-27 2006-08-10 Kubota Corp コンバインの刈高さ検出装置
JP2008148573A (ja) 2006-12-14 2008-07-03 Kubota Corp コンバインの刈高さ検出装置
JP2011092096A (ja) * 2009-10-29 2011-05-12 Kubota Corp コンバイン
JP2011172507A (ja) * 2010-02-24 2011-09-08 Yanmar Co Ltd 作業機
JP2011200197A (ja) * 2010-03-26 2011-10-13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の刈り高さ検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446128A (zh) 2014-12-16
JP2014230525A (ja) 2014-12-11
TWI578894B (zh) 2017-04-21
CN104206105B (zh) 2018-04-03
KR101650064B1 (ko) 2016-08-22
JP5630534B1 (ja) 2014-11-26
CN104206105A (zh) 2014-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0064B1 (ko) 콤바인의 예취 높이 검출 장치
US10512216B2 (en) Combine harvester with grain culm sensor
KR20180073456A (ko) 콤바인 및 탈곡 장치
AU2012202333A1 (en) Material guide assembly
JP5857987B2 (ja) コンバイン
JP2021094000A (ja) 草刈機
EP2609804B1 (en) Mower unit
JP2012210163A (ja) 普通型コンバイン
JP5954275B2 (ja) コンバイン
JP5672293B2 (ja) コンバイン
JP5929888B2 (ja) コンバイン
JP6066008B2 (ja) コンバイン
KR20170053651A (ko) 전간 투입형 콤바인의 탈곡 장치 및 콤바인
JP5728870B2 (ja) コンバイン
WO1982001805A1 (en) Crop threshing mechanism
JPS6014356Y2 (ja) 刈取機の穂先送りカバ−
JP6309869B2 (ja) 収穫機
JP5884712B2 (ja) コンバイン
JP2012090577A (ja) コンバインの穀粒搬出装置
JP2013226097A (ja) コンバイン
JP2010099026A (ja) コンバインの茎稈細断装置
WO2016063883A1 (ja) コンバイン
JPH0446527Y2 (ko)
JP6020399B2 (ja) コンバイン
JP2603751B2 (ja) 排ワラカッ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