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9973A - 하이버네이션 기능을 구비한 화상 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기억매체 - Google Patents

하이버네이션 기능을 구비한 화상 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기억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9973A
KR20140139973A KR1020140063474A KR20140063474A KR20140139973A KR 20140139973 A KR20140139973 A KR 20140139973A KR 1020140063474 A KR1020140063474 A KR 1020140063474A KR 20140063474 A KR20140063474 A KR 20140063474A KR 20140139973 A KR20140139973 A KR 201401399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stat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device connection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3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케이코 우쓰미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39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99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9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a still pictur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928Initialisation or control of normal start-up or shut-down, i.e. non failure or error rela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01Bootstra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01Bootstrapping
    • G06F9/4418Suspend and resume; Hibernate and awak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5Program loading or initia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85Power supply means, e.g.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power supply to th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85Power supply means, e.g.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power supply to th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 H04N1/00888Control thereof
    • H04N1/00896Control thereof using a low-power mode, e.g. standb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9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a still pictur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938Software related arrangements, e.g. loading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하이버네이션 기능을 구비하고, 전원 오프시와 다음번 기동시에 디바이스의 접속 상태가 다른 경우에도 적절한 기동 방법을 선택가능한 화상 형성장치를 제공한다. 화상 형성장치의 메모리에 기억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작성된 하이버네이션 이미지와, 화상 형성장치에 디바이스가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제1 디바이스 접속 상태가 플래시 디스크에 기억된다. 그후, 화상 형성장치의 전원이 오프되고 이 전원이 다시 온될 때, 디바이스가 화상 형성장치에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제2 디바이스 접속 상태가 취득된다. 제 1 디바이스 및 제 2 디바이스 접속 상태가 다를 때에는, 하이버네이션 이미지를 사용하지 않고 화상 형성장치를 기동하고, 같을 때에는, 하이버네이션 이미지를 사용하여 화상 형성장치를 기동한다.

Description

하이버네이션 기능을 구비한 화상 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기억매체{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HIBERNATION FUNCTION,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화상 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및 이 제어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억매체에 관한 것이다.
화상 형성장치는 고기능화에 따라, 유저가 전원 스위치를 온하고 나서 화상 형성장치가 조작 가능하게 될 때까지의 시간이 길어지는 경향이 있다. 이에 대해, 유저가 전원 스위치를 오프했을 때에 주기억 메모리를 통전한 채로 유지하는 서스팬드 방식을 이용한 고속화 기동 수법이 존재한다.
이 서스팬드 방식에서는, 전원 스위치를 오프할 때의 상태를 기억해 두고, 다음번 기동시에, 이 기억한 상태로 장치를 복귀시키는데, 그 때, 제어 프로그램이 리셋되지 않기 때문에, 메모리의 단편화가 진행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서, 동작 개시시의 메모리 이미지를 하이버네이션 이미지로 불리는 스냅샷으로서 기억장치에 기억하고, 기동시에, 이 스냅샷을 메모리에 전송함으로써 고속기동을 가능하게 하는 하이버네이션 기동 기술이 존재한다. 그렇지만, 이 하이버네이션 기동 기술에 따르면, 하이버네이션 이미지를 작성하지 않으면 동작을 개시할 수 없다.
그 때문에, 화상 처리장치와 같이, 다양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옵션이 추가 및 삭제될 수 있으며 초기화 시퀀스와 초기 화면 등이 변경되는 장치가 하이버네이션 이미지를 이용하여 기동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화상 처리장치에 하이버네이션 기동 기술은 적합하지 않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구성 변경시에 하이버네이션 이미지를 다시 작성한다고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 2012-18554호 공보 참조). 구체적으로, 이 기술에 따르면, 하이버네이션 이미지를 공통 부분과 옵션 부분으로 분할하고, 모든 이미지를 미리 기억장치에 기억한다. 옵션 설정에 의해, 전회의 종료시 또는 기동시에, 옵션 부분의 이미지의 조합을 판단하여, 전체의 하이버네이션 이미지를 작성한다.
또한,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소프트웨어 구성의 변경시에 하이버네이션 이미지를 삭제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 2013-004044호 공보 참조). 구체적으로, 이 기술에 따르면, 기억하고 있는 하이버네이션 이미지가 사용 불가로 판단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변경이 일어난 경우, 기억하고 있는 하이버네이션 이미지를 삭제하고, 다음번 기동시에는, 하이버네이션 기동하지 않는다.
상기 일본국 특개 2012-18554호 공보에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구성 변경을 검지하고, 미리 기억하고 있는 하이버네이션 이미지를 조합하여 전체의 하이버네이션 이미지를 작성함으로써, 구성 변경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일본국 특개 2013-004044호 공보에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소프트웨어의 구성 변경시에는 하이버네이션 이미지를 삭제하고, 다음번 기동시에 강제적으로 콜드 부트(통상 기동)를 수행함으로써, 유저 설정과 하이버네이션 이미지의 부정합을 회피하는 것은 가능하다.
일본국 특개 2012-18554호 공보 일본국 특개 2013-004044호 공보
그렇지만, 상기 일본국 특개 2012-18554호 공보에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화상처리장치에서 많은 옵션 기능이 추가 또는 삭제할 수 있기 때문에, 모든 패턴을 상정하여, 미리 부분 하이버네이션 이미지를 기억하는 것은 효율적이지 않다. 또한, 이 방법에 따르면, 많은 버전 관리를 행하는 것과 버전의 정합성을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다. 더구나, 일본국 특개 2013-004044호 공보에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디바이스 구성의 변경에 대처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하이버네이션 기능은, 전원 오프시와 다음번 기동시에 다른 디바이스 접속 상태를 지원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문제를 갖는다.
본 발명은, 하이버네이션 기능을 구비하고, 전원 오프시와 다음번 기동시에 디바이스의 접속 상태가 다른 경우에도 적절한 기동 방법을 선택가능한 화상 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이 제어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억매체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면은, 디바이스를 접속 가능하고 하이버네이션 기능을 구비한 화상 형성장치로서, 상기 화상 형성장치의 메모리에 기억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하이버네이션 이미지를 작성하도록 구성된 작성 유닛과, 상기 화상 형성장치에 상기 디바이스가 접속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표시하는 제1 디바이스 접속 상태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제1 취득 유닛과, 상기 제1 취득 유닛에 의해 취득된 상기 제1 디바이스 접속 상태 및 상기 작성 유닛에 의해 작성된 상기 하이버네이션 이미지를 기억부에 기억하도록 구성된 기억 유닛과, 상기 기억 유닛에 의해, 상기 제1 디바이스 접속 상태 및 상기 하이버네이션 이미지를 상기 기억부에 기억한 후에, 상기 화상 형성장치의 전원을 오프하고, 다시 상기 전원을 온으로 하였을 때에, 상기 화상 형성장치에 상기 디바이스가 접속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표시하는 제2 디바이스 접속 상태를 기억하도록 구성된 제2 취득 유닛과, 상기 제1 디바이스 접속 상태와 상기 제2 디바이스 접속 상태가 다른 경우에,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하이버네이션 이미지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화상 형성장치를 기동하도록 구성된 콜드 부트 유닛과, 상기 제1 디바이스 접속 상태와 상기 제2 디바이스 접속 상태가 같은 경우에,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하이버네이션 이미지를 사용하여 상기 화상 형성장치를 기동하도록 구성된 하이버네이션 기동 유닛을 구비한 화상 형성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 면은, 디바이스를 접속 가능하고 하이버네이션 기능을 구비한 화상 형성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화상 형성장치의 메모리에 기억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하이버네이션 이미지를 작성하는 작성 스텝과, 상기 화상 형성장치에 상기 디바이스가 접속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표시하는 제1 디바이스 접속 상태를 취득하는 제1 취득 스텝과, 상기 제1 취득 스텝에서 취득된 상기 제1 디바이스 접속 상태 및 상기 작성 스텝에서 작성된 상기 하이버네이션 이미지를 기억부에 기억하는 기억 스텝과, 상기 기억 스텝에서 상기 제1 디바이스 접속 상태 및 상기 하이버네이션 이미지를 상기 기억부에 기억한 후에, 상기 화상 형성장치의 전원을 오프하고, 다시 상기 전원을 온으로 하였을 때에, 상기 화상 형성장치에 상기 디바이스가 접속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표시하는 제2 디바이스 접속 상태를 기억하는 제2 취득 스텝과, 상기 제1 디바이스 접속 상태와 상기 제2 디바이스 접속 상태가 다른 경우에,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하이버네이션 이미지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화상 형성장치를 기동하는 콜드 부트 스텝과, 상기 제1 디바이스 접속 상태와 상기 제2 디바이스 접속 상태가 같은 경우에,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하이버네이션 이미지를 사용하여 상기 화상 형성장치를 기동하는 하이버네이션 기동 스텝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3면은, 디바이스를 접속 가능하고 하이버네이션 기능을 구비한 화상 형성장치의 제어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비일시적 기억매체로서,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화상 형성장치의 메모리에 기억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하이버네이션 이미지를 작성하는 작성 스텝과, 상기 화상 형성장치에 상기 디바이스가 접속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표시하는 제1 디바이스 접속 상태를 취득하는 제1 취득 스텝과, 상기 제1 취득 스텝에서 취득된 상기 제1 디바이스 접속 상태 및 상기 작성 스텝에서 작성된 상기 하이버네이션 이미지를 기억부에 기억하는 기억 스텝과, 상기 기억 스텝에서 상기 제1 디바이스 접속 상태 및 상기 하이버네이션 이미지를 상기 기억부에 기억한 후에, 상기 화상 형성장치의 전원을 오프하고, 다시 상기 전원을 온으로 하였을 때에, 상기 화상 형성장치에 상기 디바이스가 접속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표시하는 제2 디바이스 접속 상태를 기억하는 제2 취득 스텝과, 상기 제1 디바이스 접속 상태와 상기 제2 디바이스 접속 상태가 다른 경우에,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하이버네이션 이미지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화상 형성장치를 기동하는 콜드 부트 스텝과, 상기 제1 디바이스 접속 상태와 상기 제2 디바이스 접속 상태가 같은 경우에,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하이버네이션 이미지를 사용하여 상기 화상 형성장치를 기동하는 하이버네이션 기동 스텝을 포함하는 기억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디바이스 접속 상태 및 하이버네이션 이미지를 기억한 후에, 화상 형성장치의 전원을 오프하고, 다시 화상 형성장치에의 전원을 온으로 했을 때에, 제2 디바이스 접속 상태를 취득하고, 제1 디바이스 접속 상태와 제2 디바이스 접속 상태가 다른 경우에, 하이버네이션 이미지를 사용하지 않고 화상 형성장치를 기동하고, 제1 디바이스 접속 상태와 제2 디바이스 접속 상태가 같은 경우에, 하이버네이션 이미지를 사용해서 기동한다. 따라서, 전원 오프시와 다음번 기동시에 제1 디바이스 접속 상태와 제2 디바이스 접속 상태가 다른 경우에도, 접속 상태와 기억부에 기억된 하이버네이션 이미지의 부정합을 회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주어지는) 이하의 실시형태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콘트롤러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어서의 전원부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도 2에 있어서의 메인 보드에 접속된 디바이스의 접속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b는 도 2에 있어서의 서브 보드에 접속된 디바이스의 접속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는 종래기술에 따른 서스펜딩 처리의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5b는 종래기술에 따른 하이버네이션 처리의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며, 도 5c는 도 2에 있어서의 CPU에 의해 실행되는 디바이스 접속 상태 기억처리의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다.
도 6은 도 2에 있어서의 CPU에 의해 실행되는 기동 처리의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다.
도 7은 도 6의 스텝 S706의 서브보드 디바이스 처리의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하이버네이션 기능을 구비한 화상 형성장치(100)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화상 형성장치(100)는, 콘트롤러(111), 스캐너 장치(101), 프린터 장치(102), 팩시밀리 장치(115), 조작부(103), HDD(104), 및 전원부(116)로 구성된다. 화상 형성장치(100)는 LAN(107)을 거쳐 PC(108)에 접속되어 있다. 콘트롤러(111)는 화상 형성장치(10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한다. 이 콘트롤러(111)의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스캐너 장치(101)는, 자동적으로 원고 다발을 자동적으로 순차 바꿔 넣는 것이 가능한 원고 급지 유닛(109), 및 원고에서 화상을 광학적으로 판독하여 화상을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것이 가능한 스캐너 유닛(110)을 구비한다. 화상 데이터는 콘트롤러(111)에 송신된다.
프린터 장치(102)는, 종이 다발로부터 1매씩 순차 급지가능한 급지 유닛(114), 급지한 종이에 화상 데이터를 인쇄하기 위한 마킹 유닛(112), 및 인쇄후의 종이를 배지하기 위한 배지 유닛(113)을 구비한다. 프린터 장치(102)는, PC(108)로부터의 요구에 응답하여 인쇄를 행하고, 스캐너 장치(101)에 의해 판독된 화상 데이터를 인쇄한다.
조작부(103)는, 터치패널로서, 유저로부터의 요구를 받아들이는 동시에 기능 처리에 적합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한다. HDD(104)은, 스캐너 장치(101)가 취득한 화상 데이터, 제어 프로그램, 및 각 디바이스의 초기화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기동 파일 등을 기억한다. 팩시밀리 장치(115)는, 전화 회선을 사용해서 화상 데이터를 외부장치에 대해 송수신한다. 전원부(116)는, 화상 형성장치(100)의 각 구성요소에 대해 전력을 공급한다. 이 전원부(116)의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전술한 구성에 의해, 화상 형성장치(100)는, 스캐너 장치(101)에서 원고를 스캔함으로써 얻어진 화상 데이터를 HDD(104)에 기억하고, 이와 동시에 프린터 장치(102)를 사용해서 인쇄를 행하는 복사 기능을 구비한다. 또한, 화상 형성장치(100)는, 스캐너 장치(101)에서 원고를 스캔함으로써 얻어진 화상 데이터를 LAN(107)을 거쳐 PC(108)에 송신하는 화상 송신 기능을 구비한다.
더구나, 화상 형성장치(100)는, 스캐너 장치(101)에서 원고를 스캔함으로써 얻어진 화상 데이터를 HDD(104)에 기억하고, 필요에 따라 화상 데이터의 송신과 화상 데이터의 인쇄를 행하는 화상 보존 기능을 구비한다. 또한, 화상 형성장치(100)는, PC(108)로부터 송신된, 예를 들면, 페이지 기술 언어를 해석하고, 프린터 장치(102)를 사용하여 인쇄를 행하는 화상 인쇄 기능을 구비한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콘트롤러(111)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콘트롤러(111)는 메인 보드(200) 및 서브 보드(220)로 구성된다. 메인 보드(200)은, 범용적인 CPU 시스템으로 구성되고, 메인 보드(20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CPU(201)을 구비하고 있다. 부트 ROM(202)은 부트 프로그램 등을 기억하고 있다.
메모리(203)는, CPU(201)에 접속되고, CPU(201)에 의해 워크 메모리로서 사용되며, 다양한 데이터가 매모리(203)에 기억된다. 메모리(203)는 용량 확대를 위해 복수개 장착되는 일도 있다. 버스 콘트롤러(204)는, CPU(201)에 접속되고, 외부 버스에 대해 브리지로서의 기능을 행한다. 불휘발성 메모리(205)는, CPU(201)에 접속되고, 전원이 끊어진 후에도 정보를 유지한다.
디스크 콘트롤러(206)는, CPU(201)에 접속되어, HDD(104)와, 반도체 디바이스로 구성된 비교적 소용량을 갖는 스토리지 장치인 SSD 등의 플래시 디스크(207)에 대한 액세스를 제어한다. USB 콘트롤러(208)는, CPU(201)에 접속되어, USB 메모리(209)와, 그 밖의 USB를 거쳐 접속이 가능한 장치에 대한 액세스를 제어한다. NIC(210)은, CPU(201)에 접속되어, LAN(107)에 대한 데이터의 송수신을 제어한다. 조작부(103)는, 이 도면에 도시한 것과 같이 CPU(201)에 접속되어 있다.
서브 보드(220)는, 비교적 작은 범용 CPU 시스템으로 구성되고, 서브 보드(22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CPU(221)을 구비하고 있다. 메모리(223)는, CPU(221)에 접속되고, CPU(221)에 의해 워크 메모리로서 사용되고, 메모리(223)에는 다양한 데이터가 기억된다.
버스 콘트롤러(224)는, CPU(221)에 접속되어, 외부 버스에 대해 브리지로서의 기능을 행한다. 불휘발성 메모리(225)는, CPU(221)에 접속되고, 전원이 끊어진 후에도 정보를 유지한다.
화상 처리 프로세서(227)는, CPU(221)에 접속되어, 실시간 디지털 화상 처리를 행한다. 디바이스 콘트롤러(226)는, 화상 처리 프로세서(227)에 접속되어, 스캐너 장치(101) 및 프린터 장치(102)와 화상 데이터의 교환을 행한다. 팩시밀리 장치(115)는 이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CPU(221)에 접속되어 있다.
이때, CPU 201 및 221 모두는 칩세트, 버스 브리지 및 클록 제네레이터 등의 CPU 주변 하드웨어를 다수 구비하고 있지만, 이것들은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콘트롤러(111)의 동작에 대해 복사 기능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유저가 조작부(103)를 거쳐 화상 복사를 지시하는 명령을 내리면, CPU(201)은, 서브 보드(220)의 CPU(221)를 거쳐 스캐너 장치(101)에 화상 판독 명령을 보낸다. 스캐너 장치(101)는 원고를 스캔함으로써 얻어진 화상 데이터를 디바이스 콘트롤러(226)를 거쳐 화상 처리 프로세서(227)에 입력한다. 화상 처리 프로세서(227)는 CPU(221)을 거쳐 메모리(223)에 DMA 전송을 행하여 화상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CPU 201은, 화상 데이터가 메모리(223)에 일정량 또는 모두 기억된 것을 확인하면, CPU 221을 통해 프린터 장치(102)에 인쇄 지시를 내린다. CPU 221은, 화상 처리 프로세서(227)에게 메모리(223) 내부의 화상 데이터의 위치를 통보하고, 프린터 장치(102)로부터의 동기신호에 따라, 화상 처리 프로세서(227)와 디바이스 콘트롤러(226)를 거쳐, 메모리(223)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를 프린터 장치(102)에 송신한다. 프린터 장치(102)는 화상 데이터를 복사 화상으로서 기록 매체에 인쇄한다.
여기에서, 복수매 복사본을 만드는 경우, CPU 201은 메모리(223)의 화상 데이터를 HDD(104)에 기억한다. 이에 따라, 2매째 이후의 복사본을 만들기 위한 인쇄중에, 스캐너 장치(101)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얻지 않고, HDD(104)에 기억한 화상 데이터를 프린터 장치(102)에 동기해서 보내는 것이 가능하다.
후술하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흐름도는, CPU 201 및 CPU 221에 의해 실행된다. 부트 로더 프로그램, 오퍼레이팅 시스템, 펌웨어, 및 어플리케이션 등은, 부트 ROM(202), 플래시 디스크(207) 및 HDD(104)에 미리 기억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구성요소 중에서, 스캐너 장치(101), 프린터 장치(102), 팩시밀리 장치(115), 디스크 콘트롤러(206)와 USB 콘트롤러(208)에 접속되는 기기, 메모리 203, 223, 및 NIC(210)을 디바이스라고 부르는 일이 있다.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장치(100)는 메인 보드(200) 및 서브 보드(220)를 구비한다. 즉, 화상 형성장치(100)는 디바이스를 접속 가능한 CPU 시스템을 복수 구비한다.
도 3은, 도 1에 있어서의 전원부(116)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원부(116)는, 토글형 스위치(301) 및 전원 유닛(302)으로 구성된다. 또한, 전원 유닛(302)은, AC-DC 컨버터(303)를 구비한다.
AC-DC 컨버터(303)에는 전원 케이블 304를 거쳐 AC 전원이 입력된다. 전원 케이블 305, 306 및 309는, 각각 프린터 장치(102), 콘트롤러(111), 스캐너 장치(101)에, AC-DC 컨버터(303)로부터 DC 전력을 공급한다. 제어 라인(307)은, 토글형 스위치(301)의 상태를 콘트롤러(111)에 통지한다. 전원 리모트 신호 라인(308)은, AC-DC 컨버터(303)의 출력을 제어한다.
유저는, 토글형 스위치(301)를 조작함으로써, 화상 형성장치(100)의 전원을 온 또는 오프하는 것이 가능하다. 토글형 스위치(301)가 온일 때에는, 토글형 스위치(301)는 AC-DC 컨버터(303)에 접속되어, 화상 형성장치(100)는 통전 상태가 된다.
토글형 스위치(301)가 오프로 되었을 때에는, 화상 형성장치(100)의 셧다운이 완료할 때까지, 전원 케이블 306을 거쳐 콘트롤러(111)에 대한 DC 전원의 공급이 계속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라인(307)을 거쳐 토글형 스위치(301)의 상태가 콘트롤러(111)에 통지되고, 화상 형성장치(100)의 셧다운 완료후에, 콘트롤러(111)가 전원 리모트 신호 라인(308)을 거쳐 전원 리모트 신호를 AC-DC 컨버터(303)에 통지함으로써, 전원 케이블 306을 거쳐 콘트롤러(111)에의 전력의 공급을 오프로 하도록 제어가 행해진다.
이때, 토글형 스위치(301)는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로 기계적으로 계속해서 유지되는 스위치로서 구성되어 있다. 유저는, 토글형 스위치(301)를 온 또는 오프측으로 누름으로써, 화상 형성장치(100)에 대해 전원의 온 또는 오프를 지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오프 상태 또는 온 상태의 명시적인 상태를 갖는 토글형 스위치가 이용되고 있지만, 퍼스널컴퓨터 등의 다수의 장치는 온 상태 및 오프 상태의 명시적인 상태를 갖지 않아, 전력 절약 이행 스위치로서 기능하는 스위치를 구비한다. 이들 상태를 갖지 않는 스위치는, 전원이 온인 제1 상태에서는 "오프/전력 절약 상태로의 이행을 지시"하는 기능을 하고, 전원이 오프인 제2 상태에 있어서는 "온"이 되는 기능을 하는 제어 패턴을 갖는다. 또한, 스위치는, 일정 시간 이상 스위치를 계속해서 누름으로써 "강제 오프"를 입력하는 것 등의 제어 패턴을 갖는다.
본 실시형태를 상태를 갖지 않는 스위치에 적용하는 경우, 상기 제1 상태 및 제2 상태에서의 온-오프의 제어 패턴에 토글형 스위치(301)의의 온-오프를 적용시켜야 한다.
도 4a는, 도 2에 있어서의 메인 보드(200)에 접속되고, 하이버네이션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디바이스의 접속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b는, 도 2에 있어서의 서브 보드(220)에 접속되고, 프로세스 제어에 영향을 미치는 디바이스의 접속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이버네이션 이미지의 작성과 함께, 화상 형성장치(100)에 디바이스가 접속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표시하는 디바이스 접속 상태를 취득하고, 이 하이버네이션 이미지와 디바이스 접속 상태를 플래시 디스크(207)(기억부)에 기억한다. 이때 기억된 디바이스 접속 상태는, 1회 이전의 기동시, 즉, 전회의 기동시에 기억된 디바이스 접속 상태이므로, 도면에서는 "전회"라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화상 형성장치(100)의 기동시에, 다시 디바이스 접속 상태를 취득하여, 플래시 디스크(207)에 기억되어 있는 디바이스 접속 상태와 비교한다. 이때 기억된 디바이스 접속 상태는 금회의 기동시에 취득된 디바이스 접속 상태이므로, 도면에서는 "금회"라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다. 후술하는 제1 디바이스 접속 상태는 "전회"의 디바이스 접속 상태에 대응하고 있다. 제2 디바이스 접속 상태는 "금회"의 디바이스 접속 상태에 대응하고 있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디바이스 접속 상태는, 디바이스 이름과 시리얼 번호의 조합으로 표현된다. 예를 들면, 도 4a에 있어서, 디바이스 "DISK1"으로서 시리얼 번호가 "FRASH111"인 플래시 디스크가 접속되어 있다.
시리얼 번호란이 공란인 디바이스는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것을 표시한다. 예를 들면, 도 4b의 전회 취득한 디바이스 접속 상태에서는, 디바이스 "팩시밀리"로서 아무 것도 접속되어 있지 않다.
더구나, 도 4a에 있어서 "전회"와 "금회"를 비교하면, DISK2 및 DRAM2가 새롭게 접속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도 4a 및 도 4b의 모든 디바이스 접속 상태에 있어서, "전회"와 "금회"의 접속 상태를 비교함으로써, 접속 또는 분리된 디바이스를 알 수 있다.
더구나, 전회와 금회에 접속되어 있는 것은 동일하지만, 모델이 바뀐 디바이스가 새롭게 접속되거나, 기억 사이즈가 다른 HDD나 RAM이 새롭게 접속된 경우에는, 다른 시리얼 번호에 의해 디바이스의 교체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회"와 "금회"가 같을 때, 이것은, 디바이스가 접속되어 있는지 아닌지 뿐만 아니라, 그들의 시리얼 번호가 동일한 것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전회"에는 아무 것도 접속되어 있지 않았지만 "금회"에는 디바이스가 접속되어 있을 때, 이것을 "새로운 디바이스가 접속되었다"고 표현하고, "전회"에 접속된 디바이스와 시리얼 번호가 다른 디바이스가 "금회" 접속되어 있을 때, 이것을 "디바이스가 교환되었다"고 표현한다.
이하, 종래기술의 설명과 함께 화상 형성장치(100)에 의해 행해지는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5a는, 종래기술에 따른 종래의 서스펜딩 처리의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5b는, 종래기술에 따른 종래의 하이버네이션 처리의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며, 도 5c는, 도 2의 콘트롤러(111)의 CPU 201 및 CPU 221에 의해 실행되는 디바이스 접속 상태 기억처리의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다.
도 5a를 참조하면, 유저가, 특정한 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서스펜딩 요구 지시를 내린다(스텝 S401). 이어서, 현시점에서 휘발성 메모리에 기억된 정보에 근거하여 서스펜딩 이미지로서 작성되어, 휘발성 메모리에 기억되고(스텝 S402), 장치는 서스펜딩 상태로 이행한다(스텝 S403).
장치가 서스펜딩 상태에 있는 동안에는 휘발성 메모리가 통전되어 있기 때문에, 기억한 서스펜딩 이미지가 사라지는 일은 없다. 유저가, 특정한 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서스펜딩 복귀 요구 지시를 내려(스텝 S404), 스텝 S402에서 기억한 서스펜딩 이미지를 사용해서 장치가 서스펜딩 상태 전의 상태로 복귀하고(스텝 S405), 본 처리를 종료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서스펜딩 처리에서는, 서스펜딩 상태로의 이행 직전에 서스펜딩 이미지가 작성되어 휘발성 메모리에 기억되고, 복귀시에는, 기억된 서스펜딩 이미지를 사용하여 장치가 서스펜딩 전의 상태로 복귀한다. 서스펜딩 상태에서는, 특정한 휘발성 메모리에만 통전하고 있기 때문에, 서스펜드된 장치에 전원이 공급될 필요가 있다. 즉, 전원을 차단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장치가 서스펜드되는 동안 디바이스의 착탈을 행할 수 없다.
다음에, 도 5b를 참조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종래의 하이버네이션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5b를 참조하면, 유저가, 특정한 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전원 오프 요구 지시를 내린다(스텝 S501). 이어서, 현시점에서 휘발성 메모리에 기억된 정보에 근거하여 하이버네이션 이미지가 작성되어, HDD에 기억되고(스텝 S502), 장치는 전원 오프 상태로 이행한다(스텝 S503).
그리고, 유저가, 특정한 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전원 온 요구 지시를 내리고(스텝 S504), 스텝 S502에서 기억한 하이버네이션 이미지를 사용해서 장치가 기동된 후(스텝 S505), 본 처리를 종료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하이버네이션 처리에서도, 종래의 서스펜딩 처리와 마찬가지로, 서스펜딩 상태 또는 전원 오프 상태로 이행전의 메모리 이미지를 기억하고, 복귀시 또는 기동시에는, 기억한 메모리 이미지를 사용해서 장치가 복귀 또는 기동한다. 이때, 하이버네이션 처리중의 전원 오프 상태에서는, 서스펜딩 상태와는 다르게, 전원이 공급될 필요는 없다.
일반적으로, 퍼스널컴퓨터 등의 하이버네이션 이미지의 사이즈는 화상 형성장치의 그것과 비교해서 크지 않기 때문에, 이 하이버네이션 이미지를 작성하는데 시간이 걸리지 않는다. 그 때문에, 전원 오프시마다 이미지를 작성해도, 유저가 불만스럽게 생각할 만큼의 시간이 걸리지 않는다. 한편, 화상 형성장치에서는, 이미지 작성에 퍼스널컴퓨터의 몇배의 시간이 걸려 버리므로, 전원 오프시마다 하이버네이션 이미지를 작성하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이버네이션 이미지의 작성을 전원 오프시가 아니라 기동시에 행함으로써, 전원이 오프될 때 유저가 기다릴 필요가 없으므로, 유저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도 5c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디바이스 접속 상태 기억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5c를 참조하면, 콘트롤러(111)는 하이버네이션 이미지를 작성하고(스텝 S601: 작성 유닛), 상기 작성한 하이버네이션 이미지를 플래시 디스크(207)에 기억한다(스텝 S602).
이어서, 콘트롤러(111)는, 메인 보드(200) 및 서브 보드(220)마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디바이스 접속 상태(제1 디바이스 접속 상태)를 취득하고(스텝 S603: 제1 취득 유닛), 이 취득한 디바이스 접속 상태를 메인 보드(200) 및 서브 보드(220)마다 플래시 디스크(207)에 기억하고(스텝 S604), 본 처리를 종료한다.
상기 스텝 S602 및 S604는, 제1 디바이스 접속 상태 및 하이버네이션 이미지를 기억부인 플래시 디스크(207)에 기억하는 기억 유닛에 대응한다.
이상 설명한 디바이스 접속 상태 기억처리에 의해, 하이버네이션 이미지 및 보드마다의 디바이스 접속 상태가 기억부에 기억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한 "전회"의 디바이스 접속 상태가 기억부에 기억된다.
도 6은, 도 2의 콘트롤러(111)의 CPU 201 및 CPU 221에 의해 실행되는 기동 처리의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다.
도 6을 참조하면, 콘트롤러(111)는, 유저가 토글형 스위치(301)를 조작하여 내려진 전원 오프 요구 지시에 응답하여, 화상 형성장치(100)를 전원 오프 상태로 이행시킨다(스텝 S701). 이어서, 콘트롤러(111)는, 유저가 토글형 스위치(301)를 조작하여 내려진 전원 온 요구 지시에 응답하여, 화상 형성장치(100)의 전원을 온으로 한다(스텝 S702).
콘트롤러(111)는, 부트 ROM(202)에 기억되어 있는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로드하는 로더를 이용하여 메인 보드(200)의 디바이스 접속 상태를 취득한다(스텝 S703: 제2 취득 유닛). 구체적으로는,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한 디바이스 접속 상태에 의해 표시되는 디바이스를 기초로, 메인 보드(200)에 있어서 각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시리얼 번호가 취득된다. 이와 같이 해서, 도 4a에 있어서의 "금회"의 디바이스 접속 상태(제2 디바이스 접속 상태)가 취득된다.
이어서, 콘트롤러(111)는 취득한 메인 보드(200)의 "금회"의 디바이스 접속 상태와, 도 5c의 스텝 S604에서 기억한 메인 보드(200)의 "전회"의 디바이스 접속 상태를 비교한다. 그리고, 콘트롤러(111)는, 메인 보드(200)의 디바이스 접속 상태가 "전회"와 "금회"에서 같은지 아닌지 판별한다(스텝 S704).
스텝 S704에서의 판별의 결과, 디바이스 접속 상태가 같은 경우에는(스텝 S704에서 YES), 콘트롤러(111)는, 도 5c의 스텝 S602에서 기억한 하이버네이션 이미지를 사용해서 화상 형성장치(100)의 하이버네이션 기동을 행한다(스텝 S705: 하이버네이션 기동 유닛). 구체적으로는, 로더가 스텝 S602에서 기억한 하이버네이션 이미지를 지정하고, 하이버네이션 모드에서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기동한다.
이와 같이, 하이버네이션 기동을 행할 것인지 아닌지는,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기동전에 판별된다. 일반적인 기동의 순서에서는, 로더가 동작하여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기동하고, 오퍼레이팅 시스템 기동후에, 어플리케이션과 펌웨어가 기동해서 동작한다.
이어서, 후술하는 서브 보드(220)에 접속되는 디바이스에 관한 서브보드 디바이스 처리가 행해지고(스텝 S706), 화상 형성장치(100)는 통상 동작으로 이행한 후(스텝 S709), 본 처리를 종료한다.
이때, 로더로부터 취득가능한 디바이스 접속 상태는 메인 보드(200)에 접속된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접속 상태에 한정되므로, 상기 스텝 S706의 처리는 로더에 의해 실행할 수 없다. 따라서, 도 7을 참조해서 후술하는 서브보드 디바이스 처리에 나타낸 것과 같이, 서브 보드(220)에 관한 디바이스 접속 상태는, 서브 보드(220)의 기동후에 취득된다.
상기 스텝 S704로 되돌아가, 스텝 S704의 판별의 결과, 디바이스 접속 상태가 다른 경우에는(스텝 S704에서 NO), 콘트롤러(111)는, 화상 형성장치(100)를 통상 기동(콜드 부트)하여(스텝 S707: 콜드 부트 유닛), 도 5c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한 디바이스 접속 상태 기억처리를 행하고(스텝 S708), 통상 동작으로 이행한 후(스텝 S709), 본 처리를 종료한다.
콜드 부트에 의해 화상 형성장치(100)가 기동되면, 스텝 S708에 있어서, 콘트롤러(111)는, 하이버네이션 이미지를 작성하여, 제1 디바이스 접속 상태를 취득하고, 제1 디바이스 접속 상태 및 하이버네이션 이미지를 기억부인 플래시 디스크(207)에 기억한다.
도 7은, 도 6의 스텝 S706에서의 서브보드 디바이스 처리의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다.
도 7을 참조하면, 콘트롤러(111)는 서브 보드(220)의 디바이스 접속 상태를 취득한다(스텝 S801). 구체적으로는,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한 디바이스 접속 상태에 의해 표시되는 디바이스를 기초로, 서브 보드(220)에 있어서 각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시리얼 번호가 취득된다. 이와 같이 해서, 도 4b에 있어서의 "금회"의 디바이스 접속 상태가 취득된다.
이어서, 콘트롤러(111)는, 취득한 "금회"의 디바이스 접속 상태와, 도 5c의 스텝 S604에서 기억한 서브 보드(220)의 "전회"의 디바이스 접속 상태를 비교한다. 그리고, 콘트롤러(111)는, 서브 보드(220)의 디바이스 접속 상태가 "전회"와 "금회"에서 같은지 아닌지 판별한다(스텝 S802).
스텝 S802의 판별의 결과, 디바이스 접속 상태가 같은 경우에는(스텝 S802에서 YES), 콘트롤러(111)는 본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스텝 S802의 판별의 결과, 디바이스 접속 상태가 다른 경우에는(스텝 S802에서 NO), 콘트롤러(111)는, 서브 보드(220)에 새로운 디바이스가 접속되었는지 아닌지 판별한다(스텝 S803).
스텝 S803의 판별의 결과, 서브 보드(220)에 새로운 디바이스가 접속된 경우에는(스텝 S803에서 YES), 콘트롤러(111)는, 추가된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세스를 기동한다(스텝 S804).
이어서, 콘트롤러(111)는, 조작부(103)에 표시되는 조작 화면을, 접속되어 있는 디바이스에 적합한 화면으로 갱신하고(스텝 S808), 도 5c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한 디바이스 접속 상태 기억처리를 행한 후(스텝 S809), 본 처리를 종료한다. 조작 화면의 갱신의 구체적 방법에 대해서는 나중에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스텝 S803으로 되돌아가, 스텝 S803의 판별의 결과, 서브 보드(220)에 새로운 디바이스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803에서 NO), 콘트롤러(111)는, "전회"에 접속되어 있고, "금회"에서 접속되어 있지 않은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세스를 정지한다(스텝 S805).
이어서, 콘트롤러(111)는, 디바이스가 교환되었는지 아닌지 판별한다(스텝 S806). 스텝 S806의 판별의 결과, 디바이스가 교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806에서 NO), 상기 스텝 S808로 처리를 진행한다. 한편, 스텝 S806의 판별의 결과, 디바이스가 교환된 경우에는(스텝 S806에서 YES), 콘트롤러(111)는, 교환된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세스를 기동하고(스텝 S807), 상기 스텝 S808로 처리를 진행한다.
상기 스텝 S808에서 조작 화면을 갱신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조작부(103)의 화면은, 서브 보드(220)에 새로운 디바이스가 접속되기 전, 또는 디바이스가 교환되는 전에 작성된 하이버네이션 이미지를 사용해서 표시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서브 보드(220)에 새롭게 팩시밀리가 접속된 경우에는, 팩시밀리에 대한 조작 화면이 조작부(103)에 표시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그 때문에 재차 조작 화면을 갱신한다.
한편, 서브 보드(220)로부터 디바이스가 분리된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분리된 디바이스에 대한 조작 화면을 표시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고, 또는, 디바이스가 교환된 경우에는, 기능이나 구성요소가 다른 디바이스에 대한 조작 화면을 표시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그 때문에, 적합한 조작 화면으로 조작 화면을 갱신할 필요가 있다.
상기 스텝 S804 및 S80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서브 보드(220)에 새로운 디바이스가 접속되거나 디바이스가 교환되었기 때문에, 제1 디바이스 접속 상태와 제2 디바이스 접속 상태가 다른 경우에는, 콘트롤러(111)는, 새로운 디바이스 또는 교환후의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세스를 기동한다.
한편, 스텝 S80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서브 보드(220)로부터 디바이스가 분리되었기 때문에, 제1 디바이스 접속 상태와 제2 디바이스 접속 상태가 다른 경우에는, 콘트롤러(111)는, 분리된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세스를 정지한다.
또한, 도 6 및 도 7의 처리에 나타낸 것과 같이, 화상 형성장치(100)가, 디바이스를 접속 가능한 CPU 시스템을 복수 구비하는 경우에는, 제1 디바이스 접속 상태 및 제2 디바이스 접속 상태가 각각의 CPU 시스템마다 취득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장치는, 기동시에 디바이스의 접속 상태를 취득하고, 전회와 접속 상태가 다른 경우에는 콜드 부트를 행함으로써, 하이버네이션 이미지의 부정합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다. 콜드 부트를 행한 경우에는, 기동후에 하이버네이션 이미지를 신규로 작성하므로, 모든 디바이스 접속 상태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1 디바이스 접속 상태 및 하이버네이션 이미지가 기억된 후에, 화상 형성장치의 전원이 오프되고, 다시 화상 형성장치의 전원이 온되었을 때에, 제2 디바이스 접속 상태가 취득된다(스텝 S703). 제1 디바이스 접속 상태와 제2 디바이스 접속 상태가 다른 경우에(스텝 S704에서 NO), 하이버네이션 이미지를 사용하지 않고 화상 형성장치의 기동이 행해진다(스텝 S707). 한편, 제1 디바이스 접속 상태와 제2 디바이스 접속 상태가 같은 경우에(스텝 S704에서 YES), 하이버네이션 이미지를 사용해서 기동이 행해지므로(스텝 S705), 전회와 디바이스의 접속 상태가 다른 경우에도, 모든 접속 상태에 대응이 가능해진다.
기타 실시형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형태(들)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기억장치(예를 들면,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을 판독하여 실행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나,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형태(들)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기억매체로부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을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는, 1개 이상의 중앙처리장치(CPU), 마이크로 처리장치(MPU) 또는 기타 회로를 구비하고, 별개의 컴퓨터들의 네트워크 또는 별개의 컴퓨터 프로세서들을 구비해도 된다.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은, 예를 들어, 기억매체의 네트워크로부터 컴퓨터로 주어져도 된다. 기록매체는, 예를 들면, 1개 이상의 하드 디스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분산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 디스크(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TM 등), 플래시 메모리 소자, 메모리 카드 등을 구비해도 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자명하다. 이하의 청구범위의 보호범위는 가장 넓게 해석되어 모든 변형, 동등물 구조 및 기능을 포괄하여야 한다.
본 출원은 2013년 5월 28일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3-111952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 출원의 전체내용을 참조를 위해 본 출원에 원용한다.

Claims (12)

  1. 디바이스를 접속 가능한 화상 형성장치로서,
    상기 화상 형성장치의 메모리에 기억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하이버네이션 이미지를 작성하도록 구성된 작성 유닛과,
    상기 화상 형성장치를 오프하는 타이밍에서의 디바이스 접속 상태를 표시하는 제1 디바이스 접속 상태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제1 취득 유닛과,
    상기 화상 형성장치를 온하는 타이밍에서의 디바이스 접속 상태를 표시하는 제2 디바이스 접속 상태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제2 취득 유닛과,
    상기 제2 디바이스 접속 상태가 상기 제1 디바이스 접속 상태에 대응하는 경우에는 상기 하이버네이션 이미지를 사용해서 상기 화상 형성장치를 기동하고, 상기 제2 디바이스 접속 상태가 상기 제1 디바이스 접속 상태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하이버네이션 이미지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화상 형성장치를 기동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을 구비한 화상 형성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장치가 기동되면, 상기 작성 유닛은 상기 하이버네이션 이미지를 다시 작성하고, 상기 제1 취득 유닛은 상기 제1 디바이스 접속 상태를 다시 취득하는 화상 형성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화상 형성장치로부터 분리되었기 때문에 상기 제2 디바이스 접속 상태가 상기 제1 디바이스 접속 상태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에는, 분리된 상기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세스를 정지하고,
    상기 디바이스가 교환되었거나 새로운 디바이스가 상기 화상 형성장치에 접속되었기 때문에 상기 제2 디바이스 접속 상태가 상기 제1 디바이스 접속 상태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에는, 교환후의 디바이스 또는 상기 새로운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세스를 기동하는 화상 형성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를 접속 가능한 복수의 CPU 시스템을 더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CPU 시스템 각각에 관해, 상기 제1 디바이스 접속 상태 및 상기 제2 디바이스 접속 상태가 취득되는 화상 형성장치.
  5. 디바이스를 접속 가능한 화상 형성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화상 형성장치의 메모리에 기억된 내용에 근거하여 하이버네이션 이미지를 작성하는 작성 스텝과,
    상기 화상 형성장치의 전원을 오프하는 타이밍에서의 디바이스 접속 상태를 표시하는 제1 디바이스 접속 상태를 취득하는 제1 취득 스텝과,
    상기 화상 형성장치의 전원을 온하는 타이밍에서의 디바이스 접속 상태를 표시하는 제2 디바이스 접속 상태를 취득하는 제2 취득 스텝과,
    상기 제2 디바이스 접속 상태가 상기 제1 디바이스 접속 상태에 대응하는 경우에는 상기 하이버네이션 이미지를 사용해서 상기 화상 형성장치를 기동하고, 상기 제2 디바이스 접속 상태가 상기 제1 디바이스 접속 상태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하이버네이션 이미지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화상 형성장치를 기동하는 제어 스텝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장치의 제어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장치가 기동되면, 상기 작성 스텝에 있어서 상기 하이버네이션 이미지가 다시 작성되고, 상기 제1 취득 스텝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 접속 상태가 다시 취득되는 화상 형성장치의 제어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화상 형성장치로부터 분리되었기 때문에 상기 제2 디바이스 접속 상태가 상기 제1 디바이스 접속 상태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에는, 분리된 상기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세스를 정지하고,
    상기 디바이스가 교환되었거나 새로운 디바이스가 상기 화상 형성장치에 접속되었기 때문에 상기 제2 디바이스 접속 상태가 상기 제1 디바이스 접속 상태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에는, 교환후의 디바이스 또는 상기 새로운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세스를 기동하는 화상 형성장치의 제어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를 접속 가능한 복수의 CPU 시스템이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CPU 시스템 각각에 관해, 상기 제1 디바이스 접속 상태 및 상기 제2 디바이스 접속 상태가 취득되는 화상 형성장치의 제어방법.
  9. 디바이스를 접속 가능한 화상 형성장치의 제어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비일시적 기억매체로서,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화상 형성장치의 메모리에 기억된 내용에 근거하여 하이버네이션 이미지를 작성하는 작성 스텝과,
    상기 화상 형성장치의 전원을 오프하는 타이밍에서의 디바이스 접속 상태를 표시하는 제1 디바이스 접속 상태를 취득하는 제1 취득 스텝과,
    상기 화상 형성장치의 전원을 온하는 타이밍에서의 디바이스 접속 상태를 표시하는 제2 디바이스 접속 상태를 취득하는 제2 취득 스텝과,
    상기 제2 디바이스 접속 상태가 상기 제1 디바이스 접속 상태에 대응하는 경우에는 상기 하이버네이션 이미지를 사용해서 상기 화상 형성장치를 기동하고, 상기 제2 디바이스 접속 상태가 상기 제1 디바이스 접속 상태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하이버네이션 이미지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화상 형성장치를 기동하는 제어 스텝을 포함하는 기억매체.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장치가 기동되면, 상기 작성 스텝에 있어서 상기 하이버네이션 이미지가 다시 작성되고, 상기 제1 취득 스텝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 접속 상태가 다시 취득되는 기억매체.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화상 형성장치로부터 분리되었기 때문에 상기 제2 디바이스 접속 상태가 상기 제1 디바이스 접속 상태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에는, 분리된 상기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세스를 정지하고,
    상기 디바이스가 교환되었거나, 새로운 디바이스가 상기 화상 형성장치에 접속되었기 때문에 상기 제2 디바이스 접속 상태가 상기 제1 디바이스 접속 상태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에는, 교환후의 디바이스 또는 상기 새로운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세스를 기동하는 기억매체.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를 접속 가능한 복수의 CPU 시스템이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CPU 시스템 각각에 관해, 상기 제1 디바이스 접속 상태 및 상기 제2 디바이스 접속 상태가 취득되는 기억매체.
KR1020140063474A 2013-05-28 2014-05-27 하이버네이션 기능을 구비한 화상 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기억매체 KR201401399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11952A JP6164938B2 (ja) 2013-05-28 2013-05-28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JP-P-2013-111952 2013-05-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9973A true KR20140139973A (ko) 2014-12-08

Family

ID=51986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3474A KR20140139973A (ko) 2013-05-28 2014-05-27 하이버네이션 기능을 구비한 화상 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기억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563444B2 (ko)
JP (1) JP6164938B2 (ko)
KR (1) KR20140139973A (ko)
CN (1) CN10421940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36848B2 (ja) * 2014-09-08 2020-08-05 株式会社リコー 情報配信システム、情報配信装置、及び情報配信方法
JP6590722B2 (ja) * 2016-02-10 2019-10-16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8459882B (zh) * 2017-02-21 2022-04-05 佳能株式会社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JP7229786B2 (ja) * 2019-01-16 2023-02-28 東芝テック株式会社 制御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起動方法
JP7516126B2 (ja) 2020-06-18 2024-07-16 東芝テック株式会社 制御装置及びその起動方法、ならびに電気機器
JP7536630B2 (ja) 2020-12-18 2024-08-20 東芝テック株式会社 制御装置及びその起動方法、ならびに電気機器
JP2022138650A (ja) * 2021-03-10 2022-09-26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66560B2 (ja) * 1998-01-07 2002-03-18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KR100283243B1 (ko) * 1998-05-11 2001-03-02 구자홍 운영체제의 부팅방법
JP2006015608A (ja) * 2004-07-01 2006-01-19 Oki Data Corp 画像形成装置
US7640440B2 (en) * 2006-04-25 2009-12-29 App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device hibernation
JP5343647B2 (ja) * 2009-03-18 2013-11-13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データ復帰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5146495B2 (ja) * 2010-07-08 2013-02-20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ハイバネーション起動方法
KR101668312B1 (ko) * 2010-10-19 2016-10-21 삼성전자 주식회사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하이버네이션 기능 지원 방법 및 장치
JP2012226605A (ja) * 2011-04-20 2012-11-15 Canon Inc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773773B2 (ja) 2011-06-22 2015-09-0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起動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KR101813641B1 (ko) * 2011-11-15 2018-01-02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하이버네이션 기능을 갖는 화상형성장치를 부팅하는 방법
JP5959841B2 (ja) * 2011-12-12 2016-08-0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3182313A (ja) * 2012-02-29 2013-09-12 Canon Inc ジョブ処理装置、ジョブ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008545B2 (ja) * 2012-04-09 2016-10-1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219409A (zh) 2014-12-17
JP6164938B2 (ja) 2017-07-19
JP2014232366A (ja) 2014-12-11
US20140359260A1 (en) 2014-12-04
CN104219409B (zh) 2018-04-24
US9563444B2 (en) 2017-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39973A (ko) 하이버네이션 기능을 구비한 화상 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기억매체
JP6041522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US8922805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having updatable firmware,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US20120327473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startup of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8527984B2 (en) Application platform and application
JP2012155533A (ja)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US931728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program update method for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JP6489751B2 (ja) データ処理装置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701043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267692B2 (ja) ファームウェアを更新する画像形成装置
US933646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changing partitions of storage unit, and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therefor
JP6212972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ソフトウェア更新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7263067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
JP2015123650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959841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6842641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6132186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処理方法及び画像形成処理プログラム
JP6798278B2 (ja) 複合機、複合機において実行される制御方法及び複合機の制御プログラム
JP5800861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6953828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24035488A (ja) 画像形成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471561B2 (ja) 画像形成システム、および電源制御装置
JP2020014040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4238647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更新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4002613A (ja)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