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3183A - 표지판용 지주 조립체 - Google Patents

표지판용 지주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3183A
KR20140133183A KR1020130052915A KR20130052915A KR20140133183A KR 20140133183 A KR20140133183 A KR 20140133183A KR 1020130052915 A KR1020130052915 A KR 1020130052915A KR 20130052915 A KR20130052915 A KR 20130052915A KR 20140133183 A KR20140133183 A KR 201401331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support
sign
base structure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2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1164B1 (ko
Inventor
김현기
이성혁
이진욱
최찬용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052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1164B1/ko
Publication of KR20140133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31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1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1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 E01F9/631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specially adapted for breaking, disengaging, collapsing or permanently deforming when deflected or displaced, e.g. by vehicle impact
    • E01F9/63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specially adapted for breaking, disengaging, collapsing or permanently deforming when deflected or displaced, e.g. by vehicle impact by connection of stud-and-socket type, e.g. spring-load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7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 표지판용 지주에 비해 경량이며, 차량이 받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표지판용 지주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표지판용 지주 조립체{COLUMN ASSEMBLY FOR SIGN BOARD}
본 발명은 표지판용 지주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등에서 교통을 표시하는 표지판은 지주를 통하여 바닥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설치된다.
표지판용 지주는 수미터로 설치되는 길이가 다양하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표지판용 지주는 상하로 길게 형성되고 상부 끝부분에 지지암부(2)가 형성되는 몸체(1)와, 상기 몸체(1)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판형상의 플랜지부(4)와, 상기 플랜지부와 몸체(1)를 일체로 연결하는 복수의 보강편(4)과 몸체(1)을 앙카볼트(8)로 연결되어 지지하는 하부 콘트리트기초(7)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의 지지암부(2) 끝부분에는 표지판(3)이 설치되고, 플랜지부는 콘크리트기초(7)에 매설되는 앙카볼트(8)에 조립된다.
이러한 표지판은 일반적으로 알루미늄과 같은 강성의 재질로 형성되고, 바람의 영향을 많이 받아, 강풍이 부는 경우 표지판이 지주로부터 분리되어 운행중인 차량에 영향을 주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표지판용 지주는 표지판의 지중을 지지하고 바람에 의하여 표지판이 날아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 강철 재질로 형성되고, 큰 규모의 하부 콘크리트 구조체와 앵커볼트로 강하게 체결되어, 차량 충돌시 충격이 차량에 그대로 전달되어 탑승자에게 신체적으로 치명적인 부상을 야기하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543117호 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 10-2011-0130205호에서, 각각 "회동식 교통 지주"와 "충격 흡수형 회동식 교통표지판"이 개시되었으나, 차량이 지주 전면으로 충돌하였을 때 차량이 받는 충격을 감소시켜 주지 못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 등이 충돌하였을 때, 차량이 받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표지판용 지주 조립체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표지판을 종래 알루미늄등의 재질보다 경량의 재질로 하여 표지판이 추락한 경우에도 운행중인 차량에 위험을 적게 주는 표지판용 지주 조립체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표지판을 통기성 재질로 형성하여 바람에 의해 표지판이 받는 공기 저항을 감소시켜, 추락 위험을 종래 강성 재질의 표지판에 비해 감소시키는 표지판용 지주 조립체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표지판이 경량화됨에 따라 표지판을 지지하는 지주와 하부 콘크리트 구조체도 종전에 비해 가볍고 작은 규모로 설계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전체 구조를 작고 가볍게 할 수 있는 표지판용 지주 조립체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로 지면에 고정되는 베이스 구조체와, 상기 베이스 구조체에 결합되며, 표지판을 상기 도로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지지하는 지주와, 상기 베이스 구조체와 상기 지주 사이를 고정시키며, 차량이 상기 지주에 충돌하였을 때 상기 지주가 차량 진행 방향으로 넘어지도록 상기 베이스 구조체와 지주 사이의 고정을 해제시키는 연결 유닛을 포함하는 표지판용 지주 조립체를 개시한다.
이때, 상기 연결 유닛은 상기 지주 하단에 형성된 플랜지와 상기 베이스 구조체를 관통하는 복수의 와이어와, 상기 플랜지의 상측과 상기 베이스 구조체의 하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를 긴장 상태로 고정시키는 한 쌍의 와이어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고정부는 지주에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졌을 때 파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와이어의 고정부는 상기 와이어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고정쇠와, 상기 와이어의 타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고정쇠와 체결되어 제1고정쇠와 함께 상기 와이어를 가압하는 제2고정쇠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구조체는 상기 도로 지면상에 설치되며, 상기 플랜지와 면접촉하는 지지판과, 상기 도로 지면의 내부에 매립되며 상기 지지판의 하부에 고정되는 지주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플랜지와 지지판에 각각 형성된 관통홀을 관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와이어의 고정부는 상기 와이어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고정쇠와, 상기 와이어의 타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고정쇠와 체결되어 제1고정쇠와 함께 상기 와이어를 가압하는 제2고정쇠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 유닛은 상기 베이스 구조체에 고정되어 상기 지주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와이어와, 상기 지주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를 외부로 관통시키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를 긴장 상태로 고정시키는 와이어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고정부는 지주에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졌을 때 파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와이어의 고정부는 상기 와이어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고정쇠와, 상기 와이어의 타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고정쇠와 체결되어 제1고정쇠와 함께 상기 와이어를 가압하는 제2고정쇠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구조체는 상기 도로 지면상에 설치되며, 상기 지주 하면에 면접촉하는 지지판과, 상기 도로 지면의 내부에 매립되며 상기 지지판의 하부를 관통하여 고정되는 지주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지주 고정부 단부에 형성된 고리를 관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 고정부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헤드부 사이에 설치되는 압축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표지판은 합성수지 재료로 형성되거나 섬유재료를 엮어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주와 표지판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표지판을 지지하는 지지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 유닛은 상기 표지판의 상단 및 하단에 위치하는 상부바 및 하부바와, 상기 상부바 및 하부바에 교차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상부바 및 하부바를 고정하는 제1 및 제2링크와, 상기 제1 및 제2링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링크를 탄성 지지하는 고정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표지판은 통기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표지판은 직포 또는 다공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표지판은 복수의 핀 부재가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표지판은 상기 복수의 핀 부재 중 일부가 착색되어 교통 안내를 위한 표지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핀 부재는 발포폴리스틸렌(EPS) 또는 재활용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등이 충돌하였을 때 차량이 받는 충격을 흡수하는 표지판용 지주 조립체를 제공하여, 탑승객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표지판을 종래 알루미늄등의 재질보다 경량의 재질로 하여 표지판이 추락한 경우에도 운행중인 차량에 피해를 적게 줄 수 있다.
또한, 표지판을 통기성 재질로 형성하여 바람에 의해 표지판이 받는 공기 저항을 감소시켜, 추락 위험을 종래 강성 재질의 표지판에 비해 감소시킬 수 있으며, 하부 콘크리트 구조체로 전달되는 바람하중에 의한 모멘트를 작게하여 하부 콘크리트 구조체의 규모를 작게 설계할 수 있다.
또한, 표지판이 경량화됨에 따라 표지판을 지지하는 지주도 종전에 비해 가볍게 설계할 수 있고 하부 콘크리트 구조체의 규모도 작게 설계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표지판요 지주 구조 전체를 작고 가볍게 할 수 있다.
도 1은 표지판용 지주에 관한 종래기술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표지판용 지주 조립체에 관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표지판용 지주 조립체에 관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표지판용 지주 조립체의 상부 구조의 다른 실시예다.
도 5a, 5b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표지판용 지주 조립체의 와이어 고정부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6a, 6b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표지판용 지주 조립체의 와이어 고정부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7은 표지판용 지주 조립체에 있어서 표지판을 지지하는 지지 유닛에 관한 개략도이다.
도 8은 표지판이 다공판으로 형성되는 경우의 개략도이다.
도 9는 표지판이 핀 부재가 적층되어 형성되는 경우의 개략도이다.
도 10은 표지판이 핀 부재가 적층되어 형성되는 경우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표지판용 지주 조립체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표지판용 지주 조립체의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지판용 지주 조립체는 베이스 구조체(200), 지주(300), 연결 유닛(130)을 포함한다.
베이스 구조체(200)는 하부 콘크리트 구조체와 일체화 되어 도로 지면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 구조체(200)는 지지판(210) 및 지주 고정부(250)를 포함한다.
지지판(210)은 도로 지면상에 위치하며, 후술할 플랜지(330)와 면접촉하도록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판(210)의 외측에는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된다.
지주 고정부(250)는 지지판(210) 하부에 고정 설치되며, 도로 내부에 매립되어 지지판(210)을 도로 지면상에 고정시킨다. 지주 고정부(250)는 지지판(210)과 일체로서 형성되거나, 지지판(210)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도로 내부에 매립된 지주 고정부(250) 외주에는 콘크리트가 타설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지주 고정부(250)가 도로 내부에 더욱 단단히 고정된다.
지주(300)는 베이스 구조체(200)에 결합되며, 표지판(500)을 도로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위치시킨다.
지주(300)는 내부 중공을 갖는 실린더 형상으로 도시되었으나,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지주 하단에는 플랜지(330)가 형성되며, 플랜지(330)에는 지지판(210)에 형성된 관통홀에 대응하는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된다.
연결 유닛(130)은 베이스 구조체(200)와 지주(300)를 고정시키는 기능을 한다.
차량이 지주(300)에 충돌하였을 때 연결 유닛(130)의 연결이 해제되고, 지주(300)가 차량 진행 방향으로 넘어지게 되어 차량이 받는 충격을 감소시킨다. 이로써 충돌 차량이 받는 충격을 종래 고정된 지주에 차량이 충돌하였을 경우에 비해 감소킬 수 있다.
연결 유닛(130)은 와이어(131) 및 와이어 고정부(135)를 포함한다.
와이어(131)는 지주(300) 하단에 형성된 플랜지(330)와 베이스 구조체(200)를 관통한다. 구체적으로, 플랜지(330)와 지지판(210)에 형성된 관통홀을 관통하여, 지주(300)와 지지판(210)을 연결한다. 와이어(131)는 플랜지(330)와 지지판(210)에 형성된 관통홀의 수와 동일한 수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와이어 고정부(135)는 위/아래로 복수개가 설치되며, 관통홀을 관통하는 와이어(131)를 긴장 상태로 고정시킨다.
도 5a, 5b를 참조하면 와이어 고정부(135)는 제1고정쇠(135a)와 제2고정쇠(135b)로 구성되며, 각각의 고정쇠(135a, 135b)는
Figure pat00001
와 같은 형상으로 굴곡되게 형성된다.
즉, 와이어 고정부(135)는 와이어(131)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고정쇠(135a) 와, 와이어(131)의 타측에 설치되며 제1고정쇠(135a)와 함께 와이어(131)를 가압하는 제2고정쇠(135b)를 포함한다.
제1고정쇠(135a)와 제2고정쇠(135b)는 그 굴곡면이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굴곡면에 와이어(131)가 삽입된 후 제1고정쇠(135a)와 제2고정쇠(135b)가 와이어(131)를 가압한다.
제1고정쇠(135a)와 제2고정쇠(135b)의 연결 수단(P)은 리벳 연결, 볼트 연결 등과 같이 다수의 물체를 체결하여 고정하는 수단일 수 있다.
와이어 고정부(135)는 자동차의 충돌 등으로 지주(300)에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졌을 때 파단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지주(300)에 충격이 가해지면 연결 수단(P)이 파단되어 제1고정쇠(135a)와 제2고정쇠(135b)가 분리되는 것이다.
차량 충돌시 와이어 고정부(135)가 파단되어 지주(300)가 차량 진행 방향으로 넘어지게 되어 차량이 받는 충격을 감소시킨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표지판용 지주 조립체의 개략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지판용 지주 조립체는 베이스 구조체(200), 지주(300), 연결 유닛(15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지판용 지주 조립체는 베이스 구조체(200), 지주(300), 연결 유닛(150)의 세부 구성을 제외하고는 앞선 제 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은 앞선 실시예의 설명에 갈음한다.
도로 지면에 고정되는 베이스 구조체(200)는 지지판(210) 및 지주 고정부(250)를 포함한다.
지지판(210)은 지주(300) 하면에 면접촉하도록 지면 상에 설치된다.
지지판(210) 중앙에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개구부를 통해 지주 고정부(250)의 상부가 관통하여 결합된다.
지주 고정부(250)의 하부는 도로 내부에 매립되어, 지지판(210)을 도로 지면상에 고정시킨다.
지주 고정부(250)의 상단부에는 고리(255)가 형성되며, 와이어(155)가 고리를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지주(300) 내부에는 종공이 형성되며, 중공은 후술할 와이어(300)가 관통하는 경로이다.
이때, 지주(300) 내경에는 와이어 고정플레이트(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와이어(151)는 와이어 고정플레이트(미도시)를 관통하며, 와이어 고정플레이트(미도시)는 지주 내경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며, 지주(300)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가 설치될 수 있으며, 와이어(151)를 지주(300) 내부에 일정 위치로 고정시켜, 와이어(300)의 흔들림을 방지한다.
연결 유닛(150)은 와이어(151), 헤드부(153), 와이어 고정부(155)를 포함한다.
지주 고정부(250) 단부에 형성된 고리(255)를 통과한 와이어(151)는 지주(300) 내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헤드부(153)는 지주(300) 상측에 설치되며, 와이어(151)를 외부로 관통시킨다.
헤드부(153)는 지주(300) 상면을 덮는 원형의 덮개 형상일 수 있다.
와이어 고정부(155)는 헤드부(153) 상측에 설치된다.
와이어 고정부(155)는 헤드부(153)를 통과한 와이어(151) 양단을 고정하며, 와이어(151)를 긴장 상태로 유지시킨다.
도 6a, 6b를 참조하면 와이어 고정부(155)는 제1고정쇠(155a)와 제2고정쇠(155b)로 구성된다.
와이어 고정부(155)는 고리(255)를 통과한 와이어(151)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고정쇠(155a) 및 와이어(151)의 타측에 설치되며 제1고정쇠(155a)와 함께 와이어(151)를 가압하는 제2고정쇠(135b)를 포함한다.
제1고정쇠(155a)와 제2고정쇠(155b)는 그 굴곡면이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굴곡면에 와이어(151) 양단이 삽입된 후 제1고정쇠(155a)와 제2고정쇠(155b)가 와이어(151)를 가압한다.
제1고정쇠(155a)와 제2고정쇠(155b)의 연결 수단(P)은 리벳 연결, 볼트 연결 등과 같이 다수의 물체를 체결하여 고정하는 수단일 수 있다.
와이어 고정부(155)는 자동차의 충돌 등으로 지주에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졌을 때 파단되도록 구성되며, 와이어 고정부(155)가 파단되어 지주(300)가 차량 진행 방향으로 넘어지게 되어 차량이 받는 충격을 감소시킨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표지판용 지주 조립체는 지지 플레이트(163)와 압축 스프링(165)을 더 포함할 수 있다.(도 4 참조)
도 4를 참조하면, 지지 플레이트(163)는 헤드부(153) 상측에 설치되며, 와이어 고정부(155) 하단을 지지한다.
압축 스프링(165)은 지지 플레이트(163)와 헤드부(153) 사이에 설치되어, 지지 플레이트(163)를 탄성 지지한다.
즉, 헤드부(153)와 지지 플레이트(163) 사이에 설치된 압축 스프링(165) 내부로 와이어(151)가 관통하고, 압축 스프링(165)의 탄성력에 의해 헤드부(153) 상측에 설치된 와이어 고정부(155)가 와이어(151)의 긴장 상태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 플레이트(163)와 헤드부(153)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지지 수단이 압축 스프링(165)으로 기재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지지 플레이트(163)와 헤드부(153)에 탄성력을 주는 다른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표지판용 지주 조립체의 표지판(500)은 발포폴리스텔렌(EPS), 재활용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 재료로 형성되거나, 섬유재료를 엮어서 형성될 수 있다.
합성수지 재료 또는 섬유재료는 종래의 알루미늄 재질에 비해 무게가 적게 나가 가볍게 설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표지판을 지지하는 지주나 기둥도 적은 재료를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또한, 합성수지 재료는 표지판 제작시 사용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이때, 표지판용 지주 조립체는 지지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 유닛은 표지판(500)의 뒷면에 설치되어, 표지판(500)을 지지한다.
지지 유닛은 표지판(500)의 무게가 가벼운 경우 바람에 의해 표지판(500)이 날리는 것을 방지한다.
지지 유닛은 상부바(610), 하부바(620), 제1링크(630), 제2링크(640), 고정 스프링(650)을 포함한다.
상부바(610) 및 하부바(620)는 표지판(500)의 상/하부에 각각 설치된다.
상부바(610) 및 하부바(620)는 표지판(500)의 가로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링크(630) 및 제2링크(640)는 상부바(610) 및 하부바(620)를 교차하도록 설치되어, 상부바(610) 및 하부바(620)를 지지한다.
고정 스프링(650)은 제1링크(630)와 제2링크(640) 사이에 설치되어, 제1링크(630) 및 제2 링크(640)를 탄성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 스프링(650)은 제1링크(630)와 제2링크(640) 사이에 가로로 설치되었으나, 세로로 설치되어 제1링크(630) 및 제2링크(640)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표지판용 지주 조립체에 있어서, 표지판(650)은 통기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직포 또는 다공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다공판은 복수로 서로 조금씩 어긋나도록 겹치게 위치시키되, 중앙부에 만곡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바람이 통과하여 공기 저항이 감소되는 반면, 만곡형상에 의해 빛은 차단되어 시인성(視認性)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중심부가 위로 만곡되어 강우시에도 물이 다공판 내부에 고이지 않고 배출된다.
표지판(500)이 통기성 재질일 경우 공기의 저항을 감소시키고 바람에 의한 추락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표지판용 지주 조립체의 표지판(500)은 복수의 핀 부재(530)가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표지판(500)은 핀 부재(530)가 지지틀에 차례로 적층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형성된다.
복수의 핀 부재(530) 사이에 바람구멍이 형성되어 공기의 저항을 감소시키고 바람에 의한 표지판(500)의 추락 위험을 감소시킨다.
이때, 교통 안내를 위한 문자, 숫자 ,기호 등은 일부 핀 부재(530)의 표면을 착색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핀 부재(530)는 중공의 실린더 형태일 수 있고, 이때 중심부가 위로 만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중공의 만곡된 핀 부재(530)는 중공으로 바람이 통과하여 공기 저항이 감소되는 반면, 만곡형상에 의해 빛은 차단되어 시인성(視認性)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중심부가 위로 만곡되어 강우시에도 물이 핀 부재(530) 내부에 고이지 않고 배출된다.
핀 부재(530)는 발포폴리스틸렌(EPS) 또는 재활용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표지판(500)을 가볍게 설계할 수 있고, 제작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표지판용 지주 조립체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130, 150 : 연결 유닛 131, 151 : 와이어 135, 155 : 와이어 고정부
135a, 155a : 제1고정쇠 135b, 155b : 제2고정쇠 153 : 헤드부
163 : 지지 플레이트 165 : 압축 스프링 200 : 베이스 구조체
210 : 지지판 250 : 지주 고정부 255 : 고리
300 : 지주 330 : 플랜지 500 : 표지판
510 : 벌집다공형다공판 530 : 핀 부재 610 : 상부바
620 : 하부바 630 :제1링크 640 : 제2링크
650 : 고정 스프링 P : 연결 수단

Claims (14)

  1. 도로 지면에 고정되는 베이스 구조체;
    상기 베이스 구조체에 결합되며, 표지판을 상기 도로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지지하는 지주; 및
    상기 베이스 구조체와 상기 지주 사이를 고정시키며, 차량이 상기 지주에 충돌하였을 때 상기 지주가 차량 진행 방향으로 넘어지도록 상기 베이스 구조체와 지주 사이의 고정을 해제시키는 연결 유닛을 포함하는 표지판용 지주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유닛은
    상기 지주 하단에 형성된 플랜지와 상기 베이스 구조체를 관통하는 복수의 와이어; 및
    상기 플랜지의 상측과 상기 베이스 구조체의 하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를 긴장 상태로 고정시키는 한 쌍의 와이어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고정부는 지주에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졌을 때 파단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지판용 지주 조립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구조체는,
    상기 도로 지면상에 설치되며, 상기 플랜지와 면접촉하는 지지판과,
    상기 도로 지면의 내부에 매립되며 상기 지지판의 하부에 고정되는 지주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플랜지와 지지판에 각각 형성된 관통홀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지판용 지주 조립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유닛은
    상기 베이스 구조체에 고정되어 상기 지주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와이어;
    상기 지주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를 외부로 관통시키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를 긴장 상태로 고정시키는 와이어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고정부는 지주에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졌을 때 파단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지판용 지주 조립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구조체는,
    상기 도로 지면상에 설치되며, 상기 지주 하면에 면접촉하는 지지판과,
    상기 도로 지면의 내부에 매립되며 상기 지지판의 하부를 관통하여 고정되는 지주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지주 고정부 단부에 형성된 고리를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지판용 지주 조립체.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고정부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헤드부 사이에 설치되는 압축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지판용 지주 조립체.
  7. 제 2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고정부는
    상기 와이어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고정쇠; 및
    상기 와이어의 타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고정쇠와 체결되어 제1고정쇠와 함께 상기 와이어를 가압하는 제2고정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지판용 지주 조립체.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지판은 합성수지 재료로 형성되거나 섬유재료를 엮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지판용 지주 조립체.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표지판의 뒷면에 설치되어, 상기 표지판을 지지하는 지지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 유닛은
    상기 표지판의 상단 및 하단에 위치하는 상부바 및 하부바;
    상기 상부바 및 하부바에 교차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상부바 및 하부바를 고정하는 제1 및 제2링크; 및
    상기 제1 및 제2링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링크를 탄성 지지하는 고정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지판용 지주 조립체.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지판은 통기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지판용 지주 조립체.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표지판은 직포 또는 다공판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지판용 지주 조립체.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지판은 복수의 핀 부재가 적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지판용 지주 조립체.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표지판은 상기 복수의 핀 부재 중 일부가 착색되어 교통 안내를 위한 표지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지판용 지주 조립체.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핀 부재는 발포폴리스틸렌(EPS) 또는 재활용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지판용 지주 조립체.
KR1020130052915A 2013-05-10 2013-05-10 표지판용 지주 조립체 KR101471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2915A KR101471164B1 (ko) 2013-05-10 2013-05-10 표지판용 지주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2915A KR101471164B1 (ko) 2013-05-10 2013-05-10 표지판용 지주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3183A true KR20140133183A (ko) 2014-11-19
KR101471164B1 KR101471164B1 (ko) 2014-12-11

Family

ID=52453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2915A KR101471164B1 (ko) 2013-05-10 2013-05-10 표지판용 지주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11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6675B1 (ko) * 2015-04-01 2016-07-06 주식회사 남신테크 도보길 표시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7342B1 (ko) * 2019-09-23 2020-12-31 휴인 주식회사 프리스트레스 긴장재를 이용한 고성능 울타리 구조물
KR102197343B1 (ko) * 2019-09-23 2020-12-31 휴인 주식회사 텐던 인장형 고성능 울타리 구조물
KR102197344B1 (ko) * 2019-10-08 2020-12-31 휴인 주식회사 고하중 저항력을 갖는 고성능 목재 방호 울타리
KR102197345B1 (ko) * 2019-10-08 2020-12-31 휴인 주식회사 고성능 목재 방호 울타리
KR102186713B1 (ko) * 2019-11-21 2020-12-04 휴인 주식회사 텐던에 의한 직립성이 향상된 다기능 목재지주
KR102197346B1 (ko) * 2019-11-21 2020-12-31 휴인 주식회사 캔틸레버형 다기능 목재지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97121B2 (ja) * 2000-07-27 2004-02-16 正廣 小林 復元可能な標識柱
KR200228238Y1 (ko) * 2000-12-16 2001-06-15 주식회사정도엔지니어링 도로 시설물용 충격흡수 기둥
KR200286079Y1 (ko) * 2002-05-22 2002-08-21 정대용 밴드형 클램프
KR200407452Y1 (ko) * 2005-08-29 2006-01-31 양규장 도로 교통 안내 표시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6675B1 (ko) * 2015-04-01 2016-07-06 주식회사 남신테크 도보길 표시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1164B1 (ko) 2014-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1164B1 (ko) 표지판용 지주 조립체
ES2627189T3 (es) Viga de parachoques de vehículo, conjunto parachoques y vehículo asociados
US8087723B2 (en) Crashworthy seat for a vehicle
KR101936643B1 (ko) 충격흡수 가드레일
KR20100090014A (ko) 완충형 도로용 가드레일
KR101630851B1 (ko) 완충형 핸드레일을 갖는 방호 울타리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700417B1 (ko) 차량용 방호울타리
KR101374392B1 (ko) 가드레일 장치
KR101103716B1 (ko) 지주본체 파단부 연결구조
KR100908328B1 (ko) 도로용 안전펜스
KR20110001808U (ko) 와이어 탄성에 의해 가변성을 갖는 볼라드
KR101134563B1 (ko) 가드레일 장치
KR101294724B1 (ko) 차량 방호 울타리
KR100893323B1 (ko) 차량 방호용 목재 난간
AU2010101365A4 (en) A barrier element and a barrier assembly
KR100921250B1 (ko) 도로용 표지장치
KR101057721B1 (ko) 압출지주속에 케이블을 삽입하여 등주가 전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분리형 가로등 지주
KR101208582B1 (ko) 보강파이프가 구비된 가드레일
KR101053103B1 (ko) 스틸지주속에 케이블을 삽입하여 등주가 전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분리형 가로등 지주
KR101948987B1 (ko) 가드레일 지주 구조체
KR101414511B1 (ko) 체결 및 고정이 용이한 표지판을 구비하는 가드레일
BR102015005248A2 (pt) dispositivo de proteção contra capotagens para veículos e método para reforço e proteção contra capotagens de veículos
KR20120008771A (ko) 도로용 중앙분리대 및 그 시공방법
CN218952982U (zh) 一种道路桥梁施工用防撞护栏
KR101668647B1 (ko) 도로용 분리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