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7826A -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용액, 피부 외용제 - Google Patents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용액, 피부 외용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7826A
KR20140127826A KR1020147023346A KR20147023346A KR20140127826A KR 20140127826 A KR20140127826 A KR 20140127826A KR 1020147023346 A KR1020147023346 A KR 1020147023346A KR 20147023346 A KR20147023346 A KR 20147023346A KR 20140127826 A KR20140127826 A KR 201401278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ascorbic acid
salt
acid derivative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3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5784B1 (ko
Inventor
게이이치 나카무라
다카노리 아오키
Original Assignee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27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7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5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57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6Ascorbic acid, i.e. vitamin 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65Lactones
    • A61K31/375Ascorbic acid, i.e. vitamin C; Sal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2Nutrients, e.g. vitamins, mine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9/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5 or 15 of the Periodic Table
    • C07F9/02Phosphorus compounds
    • C07F9/547Heterocyclic compounds, e.g. containing phosphorus as a ring hetero atom
    • C07F9/655Heterocyclic compounds, e.g. containing phosphorus as a ring hetero atom having oxygen atoms, with or without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F9/65515Heterocyclic compounds, e.g. containing phosphorus as a ring hetero atom having oxygen atoms, with or without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the oxygen atom being part of a five-membered 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matology (AREA)
  • Diabetes (AREA)
  • Obesit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Furan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제1 형태의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1)의 염과,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2)의 염을 포함하고, 상기 화합물 (1)의 염과 상기 화합물 (2)의 염의 합계량에 대한 상기 화합물 (2)의 염의 비율이 0.1 내지 10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pct00011

[식 중, R1은 탄소수 6 내지 20의 직쇄 또는 분지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2는 탄소수 6 내지 20의 직쇄 또는 분지의 알킬기를 나타내며, R1과 R2는 동일해도 되고 서로 상이해도 됨]

Description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용액, 피부 외용제{ASCORBIC ACID DERIVATIVE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ASCORBIC ACID DERIVATIVE SOLUTION, AND EXTERNAL PREPARATION FOR SKIN}
본 발명은,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용액 및 피부 외용제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2년 12월 20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2-278725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아스코르브산(비타민 C)은 과산화지질 억제, 콜라겐 형성 억제, 멜라닌 형성 지연, 면역 기능 증강 등의 작용이 있어, 종래부터 그들의 목적으로 의약, 농약, 동물약, 식품, 사료, 화장료 등의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아스코르브산은, 안정성이 나쁘고 지용성도 부족하기 때문에, 세포막을 투과하여 세포 내에 축적되는 양도 한정된다. 그 때문에, 아스코르브산 그 자체의 사용으로는, 반드시 비타민 C의 생리 작용이 충분히 얻어진다고는 할 수 없는 경향이 있다.
아스코르브산의 안정성이나 지용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다양한 아스코르브산 유도체가 제안되어 있다.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중, 아스코르브산의 2위치의 수산기를 인산에스테르화한 아스코르브산-2-인산 유도체는, 공기 중에서 산화되기 어려워, 안정성이 우수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또한, 아스코르브산의 수산기를 고급 지방산으로 아실화한 유도체는, 지용성이 우수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특허문헌 1에서는, 6-O-고급 아실아스코르브산-2-인산에스테르의 제조 방법과 물질의 구조 결정 결과가 기재되어 있다.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6-O-고급 아실아스코르브산-2-인산에스테르는, 안정성, 지용성의 양쪽이 개선되어, 세포 내에 도입되기 쉽다고 기재되어 있다. 6-O-고급 아실아스코르브산-2-인산에스테르는 통상 염의 형태로 사용된다.
특허문헌 2에서는, 6-O-고급 아실아스코르브산-2-인산에스테르의 염 0.03 내지 25질량%와, 글리세린 모노지방산 에스테르 0.05 내지 25질량%를 함유하는 유화 피부 외용제가 개시되어 있다. 이 유화 피부 외용제에 있어서는, 글리세린 모노지방산 에스테르를 공존시킴으로써, 6-O-고급 아실아스코르브산-2-인산에스테르의 염의 분해에 의한 감소를 억제할 수 있다고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10-29817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7-56009호 공보
그러나, 6-O-고급 아실아스코르브산-2-인산에스테르염, 그 중에서 6-O-팔미토일아스코르브산-2-인산에스테르나트륨염의 안정성은 아직 충분한 것은 아니다.
또한, 6-O-고급 아실아스코르브산-2-인산에스테르염을 앞서 예를 든 용도, 특히 화장료 등의 피부 외용제에 사용하는 경우, 수성 매체(예를 들면 물, 또는 알코올을 포함하는 물)에 용해시킨 제제로 하는 것이 통상이지만, 6-O-고급 아실아스코르브산-2-인산에스테르염은 그들에 대한 용해성이 부족한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안정성이 우수하고, 또한 수성 매체에의 용해성도 우수한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상기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조성물을 함유하는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용액 및 피부 외용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한 결과, 6-O-고급 아실아스코르브산-2-인산에스테르염에 소량의 6-O-고급 아실아스코르브산-3-인산에스테르염을 공존시킴으로써, 상기 과제가 달성되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이하의 형태를 갖는다.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1)의 염과,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2)의 염을 포함하고,
상기 화합물 (1)의 염과 상기 화합물 (2)의 염의 합계량에 대한 상기 화합물 (2)의 염의 비율이 0.1 내지 10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조성물.
Figure pct00001
[식 중, R1은 탄소수 6 내지 20의 직쇄 또는 분지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2는 탄소수 6 내지 20의 직쇄 또는 분지의 알킬기를 나타내며, R1과 R2는 동일해도 되고 서로 상이해도 됨]
[2] 상기 화학식 (1) 중의 R1과 상기 화학식 (2) 중의 R2가 동일한 [1]에 기재된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조성물.
[3] 상기 화학식 (1) 중의 R1 및 상기 화학식 (2) 중의 R2가 각각 탄소수 15의 직쇄 알킬기인 [1] 또는 [2]에 기재된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조성물.
[4] 상기 화합물 (1)의 염 및 상기 화합물 (2)의 염이 각각,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 토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금속의 염인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조성물.
[5] 상기 화합물 (1)의 염 및 상기 화합물 (2)의 염이 각각,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및 칼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금속의 염인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조성물.
[6]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조성물이, 물 및 알코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수성 매체에 용해된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용액.
[7]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조성물 또는 [6]에 기재된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용액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8] 화장료인 [7]에 기재된 화장료.
[9]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며,
상기 화합물 (1)의 염과, 상기 화합물 (2)의 염을 혼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조성물의 제조 방법.
[10]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며,
산성 조건 하에서 상기 화합물 (1)의 일부를 이성화함으로써, 상기 화합물 (1)과 상기 화합물 (2)의 혼합물을 얻는 공정과,
상기 혼합물을 중화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조성물의 제조 방법.
[11] 상기 산성 조건이 pH 1 내지 6인 [10]에 기재된 제조 방법.
본 발명에 의하면, 안정성이 우수하고, 또한 수성 매체에의 용해성도 우수한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상기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조성물을 함유하는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용액 및 피부 외용제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1)의 염과,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2)의 염을 포함하고,
상기 화합물 (1)의 염과 상기 화합물 (2)의 염의 합계량에 대한 상기 화합물 (2)의 염의 비율이 0.1 내지 10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pct00002
[식 중, R1은 탄소수 6 내지 20의 직쇄 또는 분지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2는 탄소수 6 내지 20의 직쇄 또는 분지의 알킬기를 나타내며, R1과 R2는 동일해도 되고 서로 상이해도 됨]
화합물 (1)은 소위 6-O-고급 아실아스코르브산-2-인산에스테르(아스코르브산-2-인산-6-고급 지방산이라고도 함)이다.
화학식 (1) 중, R1은 탄소수 6 내지 20의 직쇄 또는 분지의 알킬기이다.
R1로서는, 탄소수 10 내지 18의 직쇄 또는 분지의 알킬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탄소수 12 내지 16의 직쇄 또는 분지의 알킬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원료 입수성 등의 관점에서, 탄소수 15의 직쇄 알킬기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즉, 화합물 (1)로서는, 6-O-팔미토일아스코르브산-2-인산에스테르(아스코르브산-2-인산-6-팔미트산이라고도 함)가 특히 바람직하다.
화합물 (1)의 염은, 화합물 (1)을 염기로 중화한 것이며, 화합물 (1)로부터 유래하는 음이온과 반대 이온(염기로부터 유래하는 양이온)으로 형성되는 화합물이다.
화합물 (1)로부터 유래하는 음이온은, 통상, 화합물 (1) 중의 4개의 수산기(인 원자에 결합한 수산기 2개와 아스코르브산의 3위치 및 5위치의 탄소 원자에 각각 결합한 수산기) 중 적어도 1개로부터 수소 원자가 해리한 1 내지 4가의 음이온이다.
상기 음이온과 염을 형성하는 반대 이온으로서는, 아스코르브산 유도체의 용도를 실질적으로 저해하지 않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나트륨, 칼륨 등의 알칼리 금속 이온, 마그네슘, 칼슘, 바륨 등의 알칼리 토금속 이온, 암모늄 이온, 알칸올아민 이온, 알킬아민 이온, 아미노산 등을 들 수 있다. 화합물 (1)의 염이나 그 원료의 입수가 용이한 것,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조성물의 수성 매체를 포함하는 제제에의 배합이 용이한 것 등으로부터, 반대 이온으로서는, 알칼리 금속 이온 및 알칼리 토금속 이온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금속 이온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화합물 (1)의 염으로서는,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 토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금속의 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으로서는, 화합물 (1)의 염이나 그 원료의 취급이나 입수가 용이한 것으로부터,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및 칼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 보다 바람직하다.
화합물 (1)의 염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화합물 (2)는 소위 6-O-고급 아실아스코르브산-3-인산에스테르(아스코르브산-3-인산-6-고급 지방산이라고도 함)이다.
화학식 (2) 중, R2는 탄소수 6 내지 20의 직쇄 또는 분지의 알킬기이다.
R2로서 바람직한 알킬기는, R1로서 바람직한 알킬기와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조성물에 있어서, R1과 R2는 동일해도 되고 서로 상이해도 된다. 제제 제조의 용이함의 관점에서는, R1과 R2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R1과 R2가 동일한 기인 경우, 화합물 (1)과 (2)의 제제에 있어서의 용해성이 동등해진다는 점에서도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원료 입수성 등의 관점에서, R1 및 R2가 각각 탄소수 15의 직쇄 알킬기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화합물 (2)의 염은, 화합물 (2)를 염기로 중화한 것이며, 화합물 (2)로부터 유래하는 음이온과 반대 이온(염기로부터 유래하는 양이온)으로 형성되는 화합물이다.
화합물 (2)로부터 유래하는 음이온은, 통상, 화합물 (2) 중의 4개의 수산기(인 원자에 결합한 수산기 2개와 아스코르브산의 2위치 및 5위치의 탄소 원자에 각각 결합한 수산기) 중 적어도 1개로부터 수소 원자가 해리한 1 내지 4가의 음이온이다.
상기 음이온과 염을 형성하는 반대 이온으로서는, 아스코르브산 유도체의 용도를 실질적으로 저해하지 않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화합물 (1)의 염의 설명에서 예를 든 반대 이온과 마찬가지의 것을 들 수 있다. 화합물 (2)의 염이나 그 원료의 입수가 용이한 것,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조성물의 수성 매체를 포함하는 제제에의 배합이 용이한 것 등으로부터, 반대 이온으로서는, 알칼리 금속 이온 및 알칼리 토금속 이온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금속 이온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화합물 (2)의 염으로서는,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 토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금속의 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으로서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및 칼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 보다 바람직하다.
화합물 (2)의 염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조성물에 있어서는, 화합물 (1)의 염과 화합물 (2)의 염의 합계량에 대한 화합물 (2)의 염의 비율이 0.1 내지 10질량%이며, 1 내지 1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5 내지 10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화합물 (2)의 염의 비율이 0.1 내지 10질량%임으로써, 화합물 (2)의 염의 비율이 0.1질량% 미만 또는 10질량% 초과인 경우에 비해,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조성물의 안정성이 향상되고, 물, 알코올 등의 수성 매체에의 용해성도 향상된다.
상기 효과가 얻어지는 이유는 명확하지 않지만, 안정성의 개선은, 화합물 (1)의 염과 함께 소정량의 화합물 (2)의 염을 공존시킴으로써, 2종류의 인산 화합물이 공존하는 것에 의한 완충 작용이 발생하여, 용액 중의 pH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추정된다. 또한, 용해성의 개선은, 화합물 (2)의 염이 존재함으로써, 화합물 (1)의 염의 결정성이 저하되는 것에 의한다고 추정된다.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조성물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조성물은, 공지의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고, 그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조성물의 제조 방법의 일례로서, 화합물 (1)의 염과, 화합물 (2)의 염을 혼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을 들 수 있다.
화합물 (1)의 염, 화합물 (2)의 염은 각각 시판되고 있는 것을 사용해도 되고, 공지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한 것을 사용해도 된다.
화합물 (1)의 염은, 화합물 (1)에 염기를 첨가하여 중화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화합물 (2)의 염은, 상기와 마찬가지로, 화합물 (2)에 염기를 첨가하여 중화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중화에 사용하는 화합물 (1), 화합물 (2)는 각각 시판되고 있는 것이어도 되고, 공지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한 것이어도 된다.
화합물 (1)은 예를 들면 후술하는 [Ⅰ]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화합물 (2)는 예를 들면 후술하는 [Ⅱ]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조성물의 제조 방법의 다른 일례로서, 화합물 (1)과 화합물 (2)의 혼합물을 중화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 혼합물은, 화합물 (1)과 화합물 (2)를 혼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조 방법은, 화합물 (1)과 화합물 (2)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얻는 공정과, 상기 혼합물을 중화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상기 혼합물은, 후술하는 [Ⅲ] 또는 [Ⅳ]의 방법에 의해서도 제조할 수 있다. [Ⅲ]의 방법은, 산성 조건 하에서 화합물 (1)의 일부를 이성화함으로써, 상기 화합물 (1)과 상기 화합물 (2)의 혼합물을 얻는 공정과, 상기 혼합물을 중화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Ⅳ]의 방법은, 화합물 (3)(아스코르브산-2-인산에스테르)의 일부를 이성화함으로써, 화합물 (3)과 화합물 (5)(아스코르브산-3-인산에스테르)의 혼합물을 얻는 공정과, 상기 혼합물을 에스테르화함으로써 상기 화합물 (1)과 상기 화합물 (2)의 혼합물을 얻는 공정과, 상기 에스테르화에 의해 얻어진 혼합물을 중화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특히, 이 [Ⅲ]의 방법에 의해 혼합물을 제조할 때의 이성화 조건을, 화합물 (1)과 화합물 (2)의 합계량에 대한 화합물 (2)의 비율이 0.1 내지 10질량%인 혼합물이 얻어지도록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얻어진 혼합물을 중화하는 것만으로, 본 발명의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단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이성화에 의해 얻어진 혼합물에, 화합물 (1) 또는 화합물 (2)를 더 첨가하여, 화합물 (1)과 화합물 (2)의 합계량에 대한 화합물 (2)의 비율이 소정의 비율로 되도록 조정해도 된다. 또한, 혼합물 중의 화합물 (1)과 화합물 (2)를 각각 단리한 후에 다시 혼합하는 등의 조작을 행해도 된다.
혼합물의 중화는, 상기 화합물 (1), 화합물 (2)의 중화와 마찬가지로, 상기 혼합물에 염기를 첨가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Ⅰ] 화합물 (1)의 제조 방법:
이 방법에서는, 하기의 반응에 의해 화합물 (1)을 제조한다. 즉,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3)과,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 (4)의 적어도 1종을 반응시킴으로써, 화합물 (1)이 얻어진다.
Figure pct00003
[식 중, R1은 탄소수 6 내지 20의 직쇄 또는 분지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X1은 수소 원자, 양이온 또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를 나타냄]
화합물 (3)은 아스코르브산-2-인산에스테르이다. 화합물 (3)으로서는, 시판되고 있는 것을 사용해도 되고, 통상법에 의해 합성된 것을 사용해도 된다.
화합물 (4)는 지방산, 그의 에스테르 또는 염이다.
화학식 (4) 중의 R1은 상기 화학식 (1) 중의 R1과 마찬가지이다.
X1은 수소 원자, 양이온 또는 탄소수 1 내지 5의 직쇄 또는 분지의 알킬기이다. 양이온으로서는, 예를 들면 알칼리 금속 이온, 알칼리 토금속 이온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나트륨 이온, 칼륨 이온, 마그네슘 이온, 칼슘 이온이 바람직하다.
X1로서는 수소 원자, 메틸기 또는 에틸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수소 원자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화합물 (4)로서는, 예를 들면, 에난트산, 카프릴산, 펠라르곤산, 카프르산,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마르가르산, 스테아르산, 에난트산메틸, 에난트산에틸, 에난트산프로필, 에난트산부틸, 카프릴산메틸, 카프릴산에틸, 카프릴산프로필, 카프릴산부틸, 펠라르곤산메틸, 펠라르곤산에틸, 펠라르곤산프로필, 펠라르곤산부틸, 카프르산메틸, 카프르산에틸, 카프르산프로필, 카프르산부틸, 라우르산메틸, 라우르산에틸, 라우르산프로필, 라우르산부틸, 미리스트산메틸, 미리스트산에틸, 미리스트산프로필, 미리스트산부틸, 팔미트산메틸, 팔미트산에틸, 팔미트산프로필, 팔미트산부틸, 마르가르산메틸, 마르가르산에틸, 마르가르산프로필, 마르가르산부틸, 스테아르산메틸, 스테아르산에틸, 스테아르산프로필, 스테아르산부틸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중에서는, 입수 용이의 관점에서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라우르산메틸, 미리스트산 메틸, 팔미트산메틸, 스테아르산메틸, 라우르산에틸, 미리스트산에틸, 팔미트산에틸, 스테아르산에틸 등이 바람직하다.
화합물 (4)는, 공지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한 것을 사용해도 되고, 시판되고 있는 것을 사용해도 된다.
화합물 (4)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화합물 (3)과 화합물 (4)의 반응은, 축합제 및/또는 탈수제의 존재 하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축합제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N,N'-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 N,N'-디이소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N-에틸-N'-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벤조트리아졸-1-일-트리스(디메틸아미노)포스포늄헥사플루오로인화물염, 디페닐포스포릴아지드 등이 적절하게 사용 가능하다. 이들 중에서는, N,N'-디이소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탈수제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오산화인, 고체 인산, 산화티타늄, 알루미나, 황산 등이 적절하게 사용 가능하다. 이들 중에서는, 황산(보다 바람직하게는 95질량% 이상의 농황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합물 (3)과 화합물 (4)의 반응에 있어서는, 축합제 및/또는 탈수제만을 용매로 하여 반응을 행하고, 다른 용매는 첨가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농황산만을 용매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용매를 첨가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디옥산,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테트라히드로푸란, 아세톤, 톨루엔, 에틸벤젠, 메틸-t-부틸에테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반응에 있어서의 원료(화합물 (3), 화합물 (4))의 사용량은, 등몰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화합물 (3)과, 화합물 (3)에 대하여 등몰량의 화합물 (4)를 반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단리 정제 등에서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한, 화합물 (3) 및 화합물 (4) 중 어느 한쪽이 과잉이어도 된다.
반응 시간, 반응 온도는, 화합물 (4)의 종류(화합물 (4)가 유리의 지방산, 에스테르, 염 중 어느 것인지 등), 축합제 및/또는 탈수제의 사용량이나 종류를 고려하여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반응 시간은 1 내지 60시간이 바람직하고, 1시간 내지 12시간이 보다 바람직하다. 반응 온도는 5℃ 내지 70℃가 바람직하고, 15℃ 내지 50℃가 보다 바람직하다.
원료나 촉매인 축합제 및/또는 탈수제로부터 반응액 중에 반입되는 수분량은, 10질량% 이하가 적당하고, 바람직하게는 5질량% 이하이다.
반응 후, 화합물 (1)의 단리 정제를 행해도 된다.
단리 정제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용매 추출, 세정, 염석 및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등의 일반적인 방법이 이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에테르 추출이나, 비극성 용매, 예를 들면 헥산 세정함으로써 단리 정제할 수 있다. 필요하면, 역상 크로마토그래피 등의 방법에 의해 더 정제하는 것도 가능하다.
화합물 (1)에 염기를 첨가하여 중화함으로써, 화합물 (1)의 염을 얻을 수 있다. 중화에 사용하는 염기는, 제조하려고 하는 염의 종류에 따라서 공지의 염기 중으로부터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염기의 구체예로서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칼슘, 수산화바륨, 암모니아, 모노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디시클로헥실아민, 금속 알콕시드(나트륨메톡시드, 칼륨메톡시드, 나트륨에톡시드, 칼륨-t-부톡시드 등), 금속 산화물(산화마그네슘, 산화칼슘 등)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금속 알콕시드,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칼슘, 산화마그네슘, 산화칼슘 등이 바람직하다.
중화 반응 시에는, 용매로서 물 및 메탄올이나 에탄올 등의 알코올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용매에 대하여, 화합물 (1)의 농도가 1 내지 30질량% 정도의 비율로 되도록 화합물 (1)을 첨가하고, 그 후, 염기를 첨가하여 반응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 시의 pH는 5 내지 9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에 의해 생성ㆍ석출된 염은, 예를 들면 여과ㆍ용매 세정 등의 통상법에 의해 채취ㆍ정제할 수 있다.
[Ⅱ] 화합물 (2)의 제조 방법:
이 방법에서는, 하기의 반응에 의해 화합물 (2)를 제조한다. 즉,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 (5)와, 하기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6)의 적어도 1종을 반응시킴으로써, 화합물 (2)가 얻어진다.
Figure pct00004
[식 중, R2는 탄소수 6 내지 20의 직쇄 또는 분지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X2는 수소 원자, 양이온 또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를 나타냄]
화합물 (5)는 아스코르브산-3-인산에스테르이다. 화합물 (5)로서는, 시판되고 있는 것을 사용해도 되고, 통상법에 의해 합성된 것을 사용해도 된다. 합성 방법의 일례로서, 일본 특허 공고 소43-9218호 공보에 기재된, 케톤류를 용매로 하여 제3급 아민의 존재 하에서 아스코르브산과 옥시염화인을 반응시키는 것에 의한 아스코르브산-3-인산에스테르의 제조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화합물 (6)은 지방산, 그의 에스테르 또는 염이다.
화학식 (6) 중의 R2는 상기 화학식 (2) 중의 R2와 마찬가지이다. R2는 R1과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X2로서는, 상기 화학식 (4) 중의 X1과 마찬가지의 것을 들 수 있다.
화합물 (6)으로서는, 상기 화합물 (4)와 마찬가지의 것을 들 수 있다.
화합물 (6)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화합물 (5)와 화합물 (6)의 반응은, 화합물 (3)과 화합물 (4)의 반응과 마찬가지로 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하는 축합제 및/또는 탈수제, 용매, 원료 사용량, 반응 온도, 반응 시간, 원료나 촉매로부터 반응액 중에 반입되는 수분량, 단리 정제 방법도 마찬가지이다.
얻어진 화합물 (2)에 염기를 첨가하여 중화함으로써, 화합물 (2)의 염이 얻어진다. 중화는 상기 [Ⅰ]에 있어서 기재한 방법과 마찬가지로 행할 수 있다.
[Ⅲ] 이성화에 의한 화합물 (1)과 화합물 (2)의 혼합물의 제조 방법
그의 1:
이 방법에서는, 산성 조건 하에서 화합물 (1)의 일부를 이성화하여, 화합물 (2)를 생성시킴으로써, 화합물 (1)과 화합물 (2)의 혼합물을 얻는다.
구체적으로는, 화합물 (1)을 물 또는 알코올을 포함하는 물에 용해하고, 얻어진 용액의 pH를 산성 조건 하로 제어한다. 이에 의해, 하기의 반응식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합물 (1)의 인산기가 전이하여 화합물 (2)로 된다.
Figure pct00005
[식 중, R1은 상기 화학식 (1) 중의 R1과 동의이고, R2는 상기 화학식 (1) 중의 R2와 동의임]
알코올로서는, 이 후에 예를 드는 수성 매체에 있어서의 알코올과 마찬가지의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반응에 있어서의 「산성 조건」은 pH 1 내지 6인 것이 바람직하고, pH 2 내지 4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pH가 6보다도 높으면, 반응에 시간이 걸려 효율적이지 않고, 1보다도 낮으면 화합물 (1)이나 화합물 (2)의 분해가 일어나기 쉽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있어서, pH는 25℃에 있어서의 값이다.
pH는 산의 첨가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pH의 제어에 사용하는 산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산의 구체예로서는, 황산, 질산, 염산 등의 무기산, 메탄술폰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등의 유기산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염산이 바람직하다.
반응 온도는 10 내지 55℃가 바람직하고, 20 내지 30℃가 보다 바람직하다.
반응 시간은 pH나 온도에 의해 변화하지만, 1 내지 24시간 동안인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 시간이 지나치게 긴 경우, 화합물 (2)의 비율이 과잉으로 된다는 것이 생각된다.
적절한 시점에서 이성화 반응을 정지함으로써, 화합물 (1) 및 (2)가 소정의 비율로 함유된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이성화 반응을 정지하는 적절한 시점은, 반응계의 조성을 공지 방법에 의해 모니터링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이성화 반응의 정지 방법으로서는, 염기에 의한 중화나 용매 추출에 의해 산을 제거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반응 종료 후, 화합물 (1)과 화합물 (2)의 혼합물의 정제를 더 행해도 된다.
얻어진 화합물 (1)과 화합물 (2)의 혼합물에 염기를 첨가하여 중화함으로써, 화합물 (1)의 염과 화합물 (2)의 염의 혼합물이 얻어진다. 중화는 상기 [Ⅰ]에 있어서 기재한 방법과 마찬가지로 행할 수 있다.
[Ⅳ] 이성화에 의한 화합물 (1)과 화합물 (2)의 혼합물의 제조 방법
그의 2:
이 방법에서는, 우선, 하기의 반응식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산성 조건 하에서 화합물 (3)의 일부를 이성화하여, 화합물 (5)를 생성시킴으로써, 화합물 (3)과 화합물 (5)의 혼합물을 얻는다.
Figure pct00006
[Ⅳ]의 방법에 있어서의 「산성 조건」은 [Ⅲ]의 방법과 마찬가지로, pH 1 내지 6인 것이 바람직하고, pH 2 내지 4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반응에 있어서 계 내를 산성 조건으로 하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산을 첨가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사용되는 산으로서는, 공지의 산 중 어느 것을 사용해도 되고, 예를 들면 염산, 황산, 술폰산류, 질산, 붕산 또는 아세트산, 시트르산, 포름산, 옥살산, 타르타르산, 락트산 등의 카르복실산류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아세트산, 황산, 염산이 바람직하고, 황산 혹은 농황산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반응 시, 용매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용매를 사용해도 상관없다. 구체적인 용매로서는, 디옥산,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테트라히드로푸란, 아세톤, 톨루엔, 에틸벤젠, 메틸-t-부틸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 이성화 반응은, 상기 [Ⅲ]에서 설명한, 화합물 (1)로부터 화합물 (1)과 (2)의 혼합물로의 이성화 반응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행해도 된다.
다음에, 상기 이성화 반응에 의해 얻어진 혼합물(화합물 (3)과 화합물 (5)의 혼합물)과, 화합물 (4)를 반응시킨다(에스테르화한다). 이에 의해 화합물 (1)과 화합물 (2)의 혼합물이 얻어진다.
에스테르화는, 상기 [Ⅰ]에 있어서 기재한, 화합물 (3)과 화합물 (4)의 반응과 마찬가지로 행할 수 있다.
얻어진 화합물 (1)과 화합물 (2)의 혼합물에 염기를 첨가하여 중화함으로써, 화합물 (1)의 염과 화합물 (2)의 염의 혼합물이 얻어진다. 중화는 상기 [Ⅰ]에 있어서 기재한 방법과 마찬가지로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조성물은, 화합물 (1)의 염과 화합물 (2)의 염을 특정한 질량비로 함유함으로써, 안정성이 우수하고, 또한 수성 매체에의 용해성도 우수하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조성물은, 물 및 알코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수성 매체에 용해하여,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용액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이것에 의해 얻어지는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용액은, 보존 중에, 아스코르브산 유도체의 함유량이 감소하기 어려운 것이다.
수성 매체에 있어서의 알코올로서는, 물과 균일하게 혼화 가능한 것이면 되고, 예를 들면 에탄올, 메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1-부탄올, 2-부탄올, 벤질알코올 등의 저급 모노알코올; 이소스테아릴알코올, 옥틸도데칸올, 헥실데칸올, 콜레스테롤, 피토스테롤, 라우릴알코올, 미리스틸알코올, 세탄올, 스테아릴알코올, 올레일알코올, 베헤닐알코올, 세토스테아릴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3-메틸-1,3-부탄디올, 1,3-부탄디올, 1,2-펜탄디올, 1,2-헥산디올 등의 다가 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에탄올, 1,3-부탄디올, 글리세린이 적합하다.
수성 매체로서는, 물 또는 알코올을 포함하는 물이 바람직하다.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용액 중의 아스코르브산 유도체의 함유량은,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용액의 총 질량에 대하여, 0.01 내지 20질량%가 바람직하고, 0.5 내지 1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효과를 발휘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조성물 및 이것을 수성 매체에 용해한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용액은, 의약, 농약, 동물약, 식품, 사료, 화장료 등의 원료로서 유용하고, 특히 피부 외용제의 원료로서 유용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조성물 또는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용액에, 피부 외용제에 사용되는 통상의 성분을 더 첨가하여 피부 외용제로 할 수 있다.
피부 외용제로서는, 화장료, 의약품 등을 들 수 있고, 화장료가 적합하다.
피부 외용제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조성물의 함유량(화합물 (1)의 염과 화합물 (2)의 염의 합계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피부 외용제의 전량에 대하여, 0.1 내지 1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5 내지 5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피부 외용제에 사용되는 통상의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탄화수소류, 천연 유지류, 지방산류, 고급 알코올류, 알킬글리세릴에테르류, 에스테르류, 실리콘유류, 다가 알코올류, 1가의 저급 알코올류, 당류, 고분자류, 음이온 계면 활성제, 양이온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비이온 계면 활성제, 천연계 계면 활성제, 자외선 흡수제, 분체류, 색재류, 아미노산류, 펩티드류, 비타민류, 비타민 유사 작용 인자류, 방부제, 산화 방지제, 금속 이온 봉쇄제, 보습제, 항염증제, pH 조정제, 염류, 유기산류, 미백제, 정유류, 테르펜류, 향료, 물 등을 들 수 있다.
피부 외용제가 화장료인 경우, 또한, 기존의 화장품 원료를 일반적인 농도로 첨가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화장품 원료 기준 제2판 주해, 일본 공정서 교회편, 1984(야꾸지닛보사), 화장품 원료 기준외 성분 규격, 후생성 약무국 심사과 감수, 1993(야꾸지닛보사), 화장품 원료 기준외 성분 규격 추보, 후생성 약무국 심사과 감수, 1993(야꾸지닛보사), 화장품 종별 허가 기준, 후생성 약무국 심사과 감수, 1993(야꾸지닛보사), 화장품 종별 배합 성분 규격, 후생성 약무국 심사과 감수, 1997(야꾸지닛보사) 및 화장품 원료 사전, 1991년(닛꼬 케미컬즈) 등에 기재되어 있는 모든 화장품 원료를 사용할 수 있다.
피부 외용제의 제형으로서는, 사용 시에 피부에 접촉시켜 사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용도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로션, 유액, 크림, 팩 등에 적용할 수 있다. 피부 외용제의 제형으로서는, 본 발명의 유용성의 면에서, 전술한 수성 매체를 포함하는 제형이 적합하다.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조성물 또는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용액의 피부 외용제 등으로의 제제화는, 제형에 따라서, 통상법에 따라서 실시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전혀 제한되지 않는다.
후술하는 제조예에서 합성한 화합물의 수율은, 이하에 나타내는 측정 조건에서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에 의한 측정을 행하고, 그 결과로부터 산출하였다.
(수율의 평가에 있어서의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측정 조건)
칼럼 : Shodex OHpak SB802. 5HQ(쇼와 덴꼬 가부시끼가이샤제) 2개.
온도 : 40℃.
용리액 : 황산나트륨ㆍ인산 수용액(0.03M Na2SO4+0.03M H3PO4)/테트라히드로푸란=1/2(체적비).
유속 : 0.5mL/min.
주입량 : 20μL.
검출 : UV 검출기, 파장 270㎚.
<제조예 1 : L-아스코르브산-2-인산-6-팔미트산>
L-아스코르브산-2-인산마그네슘염 10mmol(3.8g)(쇼와 덴꼬 가부시끼가이샤제)을 실온에서 농황산 60mL에 용해하고, 이 용액에 팔미트산 15mmol(3.8g)을 첨가, 균질하게 교반하였다. 실온에서 24시간 방치 후, 반응 혼합물을 빙수 약 300mL에 주입하고, 침전물을 디에틸에테르 200mL로 2회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합하고, 이것을 30% 이소프로판올을 포함하는 2N 염산 300mL로 세정하고, 감압 하에서 디에틸에테르를 증류 제거하였다. 석출물을 n-헥산 약 200mL로 2회 세정한 후, 감압 건조하여, L-아스코르브산-2-인산-6-팔미트산 3.2g을 얻었다(수율 65%).
<제조예 2 : L-아스코르브산-2-인산-6-팔미트산나트륨염>
메탄올에, 제조예 1에서 얻어진 L-아스코르브산-2-인산-6-팔미트산을, 농도가 5질량%로 되도록 첨가하고, 교반하면서 나트륨 메톡시드를 pH 약 8로 될 때까지 서서히 첨가하여, 결정을 석출시켰다. 얻어진 결정을 여과 취출한 후, 최초의 용해에 사용한 양과 동량의 메탄올로 2회 세정, 감압 건조하여 L-아스코르브산-2-인산-6-팔미트산나트륨염을 얻었다.
<제조예 3 : L-아스코르브산-3-인산-6-팔미트산>
L-아스코르브산-2-인산마그네슘염 대신에 L-아스코르브산-3-인산마그네슘염을 사용한 것 이외는 제조예 1과 마찬가지의 조작을 실시하여, L-아스코르브산-3-인산-6-팔미트산 3.0g을 얻었다(수율 61%).
<제조예 4 : L-아스코르브산-3-인산-6-팔미트산나트륨염>
L-아스코르브산-2-인산-6-팔미트산 대신에 제조예 3에서 얻어진 L-아스코르브산-3-인산-6-팔미트산을 사용한 것 이외는 제조예 2와 마찬가지의 조작을 실시하여, L-아스코르브산-3-인산-6-팔미트산나트륨염을 얻었다.
<제조예 5 : 2-인산체의 3-인산체로의 이성화>
제조예 1에서 얻어진 L-아스코르브산-2-인산-6-팔미트산 2.0g을 100mL의 메탄올에 용해하고, 36% 염산으로 pH 2로 조정하였다. 이 용액을 30℃에서 5시간 교반하고, 감압 하에서 메탄올을 증류 제거하였다. 석출물을 n-헥산 약 150mL로 2회 세정 후, 감압 건조하여, L-아스코르브산-2-인산-6-팔미트산과 L-아스코르브산-3-인산-6-팔미트산의 혼합물 2.0g을 얻었다(수율 100%).
<제조예 6 : L-아스코르브산-2-인산-6-팔미트산과 L-아스코르브산-3-인산-6-팔미트산 혼합물의 나트륨염>
L-아스코르브산-2-인산-6-팔미트산 대신에 제조예 5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사용한 것 이외는 제조예 2와 마찬가지의 조작을 실시하여, L-아스코르브산-2-인산-6-팔미트산나트륨염과 L-아스코르브산-3-인산-6-팔미트산나트륨염의 혼합물을 얻었다.
이 혼합물의 조성비는, L-아스코르브산-2-인산-6-팔미트산나트륨염 : L-아스코르브산-3-인산-6-팔미트산나트륨염=97.7 : 2.3(질량비)이었다.
<시험예 1 : 보존 안정성 시험>
제조예 2에서 얻은 L-아스코르브산-2-인산-6-팔미트산나트륨염과, 제조예 4에서 얻은 L-아스코르브산-3-인산-6-팔미트산나트륨염을, 표 1에 나타내는 비율(질량%)로 혼합하여 실시예 1 내지 3의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6에서 얻은 혼합물(L-아스코르브산-2-인산-6-팔미트산나트륨염 : L-아스코르브산-3-인산-6-팔미트산나트륨염=97.7 : 2.3(질량비))을 그대로 실시예 4의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조성물로 하였다.
제조예 2에서 얻은 L-아스코르브산-2-인산-6-팔미트산나트륨염을 그대로 비교예 1의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제조예 4에서 얻은 L-아스코르브산-3-인산-6-팔미트산나트륨염을 그대로 비교예 2의 아스코르브산 유도체로 하였다.
얻어진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조성물 또는 아스코르브산 유도체를, 아스코르브산 유도체의 농도가 2질량%로 되도록 정제수에 용해하였다. 얻어진 용액을, 덮개 부착 유리병 안에 넣고 40℃(차광 조건)에서 10일간 방치하였다.
방치 전(제조 직후), 10일간의 방치 후 각각의 용액 중의 아스코르브산 유도체의 농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로부터, 하기 식에 의해 「잔존율」을 구하였다.
용액 중에 포함되는 아스코르브산 유도체의 농도는, Shodex SB802. 5HQ 칼럼(쇼와 덴꼬 가부시끼가이샤제)을 사용하여,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장치에 의해, 수율의 평가와 마찬가지의 측정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2에 있어서, 아스코르브산 유도체의 농도로서는, L-아스코르브산-2-인산-6-팔미트산나트륨염 및 L-아스코르브산-3-인산-6-팔미트산나트륨염의 합계 농도(질량%)를 구하였다.
잔존율(%)=100×[방치 후의 용액 중의 아스코르브산 유도체의 농도(질량%)/방치 전의 용액 중의 아스코르브산 유도체의 농도(질량%)]
Figure pct00007
상기 결과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스코르브산 유도체가 L-아스코르브산-2-인산-6-팔미트산나트륨염과 L-아스코르브산-3-인산-6-팔미트산나트륨염의 혼합물인 실시예 1 내지 4는, 아스코르브산 유도체가 L-아스코르브산-2-인산-6-팔미트산나트륨염만을 포함하는 비교예 1, 아스코르브산 유도체가 L-아스코르브산-3-인산-6-팔미트산나트륨염만을 포함하는 비교예 2에 비해 잔존율이 높았다. 이것으로부터, L-아스코르브산-2-인산-6-팔미트산나트륨염과 L-아스코르브산-3-인산-6-팔미트산나트륨염을 병용함으로써, 수성 매체 용액 중에서의 보존 안정성이 개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2 : 용해성 시험>
표 2에 나타내는 각 물질을, 표 2에 나타내는 비율(질량%)로, 전량이 100g으로 되도록 준비하였다. 먼저 용매로 되는, 순수 또는 순수와 메탄올의 혼합액을 용량 200mL의 비이커에 넣고, 이것을 20℃로 컨트롤한 수욕에 침지하였다. 그 후, 직경이 2.5㎝인 교반기 팁으로 회전 속도 500rpm으로 교반하고, 액온이 20℃로 된 시점에서, 아스코르브산 유도체를 혼합하였다. 이때를 영점으로 하여 혼합물 중으로부터 고체가 없어질 때까지의 시간(분)을 계측하였다. 종점은, 교반 개시로부터 5분마다 육안으로 관측하고, 혼합물이 투명해진 시간을 종점으로 판단하였다.
Figure pct00008
상기 결과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스코르브산 유도체가 L-아스코르브산-2-인산-6-팔미트산나트륨염과 L-아스코르브산-3-인산-6-팔미트산나트륨염의 혼합물인 실시예 5 내지 10은, 아스코르브산 유도체가 L-아스코르브산-2-인산-6-팔미트산나트륨염만을 포함하는 비교예 3 내지 4에 비해, 아스코르브산 유도체가 물 또는 알코올을 포함하는 물에 단시간에 용해되었다. 이것으로부터, L-아스코르브산-2-인산-6-팔미트산나트륨염과 L-아스코르브산-3-인산-6-팔미트산나트륨염을 병용함으로써, 수성 매체에의 용해성이 개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3 : 보존 안정성 시험(에멀전 크림)>
표 3에 나타내는 조성(단위 : 질량%)의 에멀전 크림을 이하의 수순으로 제조하였다.
우선, 표 3 중의 Ⅰ란에 나타내는 각 재료를, 표 3에 나타내는 조성 비율로, 80℃에서 혼합 용해하여 Ⅰ상(유상)을 제조하였다. Ⅰ상은 80℃로 유지하였다.
별도로, 표 3 중의 Ⅱ란에 나타내는 각 재료를, 표 3에 나타내는 조성 비율로, 80℃에서 혼합 용해하여 Ⅱ상(수상)을 제조하였다. Ⅱ상은 80℃로 유지하였다.
Ⅱ상을 Ⅰ상에 첨가하여, 교반하면서 냉각하여 유화시키고, 30℃까지 냉각하여 O/W형의 에멀전 크림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에멀전 크림을 덮개 부착 유리병 안에 넣고, 40℃(차광 조건)에서 1개월간 방치하였다.
방치 전(제조 직후), 1개월간의 방치 후 각각의 에멀전 크림 중의 아스코르브산 유도체의 농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로부터, 하기 식에 의해 「잔존율」을 구하였다.
아스코르브산 유도체의 농도의 측정 방법은 시험예 1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아스코르브산 유도체의 농도로서는, 실시예 11 내지 12, 비교예 5, 7 내지 8에 있어서는 L-아스코르브산-2-인산-6-팔미트산나트륨염 및 L-아스코르브산-3-인산-6-팔미트산나트륨염의 합계 농도(질량%), 실시예 13 내지 14, 비교예 6에 있어서는 L-아스코르브산-2-인산-6-아라키드산암모늄염 및 L-아스코르브산-3-인산-6-카프르산바륨염의 합계 농도(질량%)를 구하였다.
잔존율(%)=100×[방치 후의 에멀전 크림 중의 아스코르브산 유도체의 농도(질량%)/방치 전의 에멀전 크림 중의 아스코르브산 유도체의 농도(질량%)]
Figure pct00009
표 3에 나타내는 아스코르브산 유도체는 각각 이하의 것을 사용하였다.
L-아스코르브산-2-인산-6-팔미트산나트륨염 : 제조예 2에서 얻은 것.
L-아스코르브산-3-인산-6-팔미트산나트륨염 : 제조예 4에서 얻은 것.
L-아스코르브산-2-인산-6-아라키드산암모늄염 : 팔미트산을 아라키드산으로 바꾸고, 수산화나트륨을 암모니아(암모니아수)로 바꾼 것 이외는 제조예 1, 2와 마찬가지의 제법에 의해 얻은 것.
L-아스코르브산-3-인산-6-카프르산바륨염 : 팔미트산을 카프르산으로 바꾸고, 수산화나트륨을 수산화바륨으로 바꾼 것 이외는 제조예 3, 4와 마찬가지의 제법에 의해 얻은 것.
또한, 표 3 중의 스테아르산POE(20)소르비탄은, 옥시에틸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가 20인 스테아르산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을 나타낸다.
상기 결과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스코르브산 유도체가 L-아스코르브산-2-인산-6-고급 지방산염과 L-아스코르브산-3-인산-6-고급 지방산염의 혼합물인 실시예 11 내지 14는, 90% 이상의 높은 잔존율을 나타냈다.
한편, 아스코르브산 유도체가 L-아스코르브산-2-인산-6-고급 지방산염만을 포함하는 비교예 5 내지 6, 아스코르브산 유도체가 L-아스코르브산-3-인산-6-고급 지방산염만을 포함하는 비교예 7은, 실시예 11 내지 14에 비해 잔존율이 낮았다.
아스코르브산 유도체가 L-아스코르브산-2-인산-6-고급 지방산염과 L-아스코르브산-3-인산-6-고급 지방산염의 혼합물이어도, 그들의 합계량에 대한 L-아스코르브산-3-인산-6-고급 지방산염의 비율이 20질량%인 비교예 8의 잔존율은, 비교예 5 내지 7보다 개선되었지만, 실시예 11 내지 14보다도 낮았다.
이것으로부터, L-아스코르브산-2-인산-6-고급 지방산염과 소량의 L-아스코르브산-3-인산-6-고급 지방산염을 병용함으로써, 에멀전 크림 중에서의 보존 안정성이 개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1)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1)의 염과,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2)의 염을 포함하고,
    상기 화합물 (1)의 염과 상기 화합물 (2)의 염의 합계량에 대한 상기 화합물 (2)의 염의 비율이 0.1 내지 10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조성물.
    Figure pct00010

    [식 중, R1은 탄소수 6 내지 20의 직쇄 또는 분지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2는 탄소수 6 내지 20의 직쇄 또는 분지의 알킬기를 나타내며, R1과 R2는 동일해도 되고 서로 상이해도 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 중의 R1과 상기 화학식 (2) 중의 R2가 동일한,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 중의 R1 및 상기 화학식 (2) 중의 R2가 각각 탄소수 15의 직쇄 알킬기인,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 (1)의 염 및 상기 화합물 (2)의 염이 각각,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 토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금속의 염인,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 (1)의 염 및 상기 화합물 (2)의 염이 각각,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및 칼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금속의 염인,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조성물이, 물 및 알코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수성 매체에 용해된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용액.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조성물 또는 제6항에 기재된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용액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8. 제7항에 있어서,
    화장료인 피부 외용제.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며,
    상기 화합물 (1)의 염과, 상기 화합물 (2)의 염을 혼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조성물의 제조 방법.
  10.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며,
    산성 조건 하에서 상기 화합물 (1)의 일부를 이성화함으로써, 상기 화합물 (1)과 상기 화합물 (2)의 혼합물을 얻는 공정과,
    상기 혼합물을 중화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조성물의 제조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산성 조건이 pH 1 내지 6인, 제조 방법.
KR1020147023346A 2012-12-20 2013-10-11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용액, 피부 외용제 KR1016257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78725 2012-12-20
JP2012278725 2012-12-20
PCT/JP2013/077784 WO2014097721A1 (ja) 2012-12-20 2013-10-11 アスコルビン酸誘導体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アスコルビン酸誘導体溶液、皮膚外用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7826A true KR20140127826A (ko) 2014-11-04
KR101625784B1 KR101625784B1 (ko) 2016-05-30

Family

ID=50978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3346A KR101625784B1 (ko) 2012-12-20 2013-10-11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용액, 피부 외용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351915B2 (ko)
EP (1) EP2813208B1 (ko)
JP (1) JP6265550B2 (ko)
KR (1) KR101625784B1 (ko)
CN (1) CN104135997B (ko)
IL (1) IL234087A0 (ko)
TW (1) TWI483743B (ko)
WO (1) WO20140977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88198B (zh) * 2018-07-09 2023-10-03 西铁城时计株式会社 6价铬处理剂、含有6价铬的污染物质的处理方法和含有6价铬的骨灰的处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52613A (ja) 1984-12-26 1986-07-11 Kanebo Ltd 皮膚化粧料
JPH10298174A (ja) 1997-04-30 1998-11-10 Showa Denko Kk アスコルビン酸誘導体及びそれを含有するビタミンc剤
US6127409A (en) * 1997-04-30 2000-10-03 Showa Denko Kabushiki Kaisha Ascorbic acid derivative and vitamin C preparation containing the same
JP2000226578A (ja) * 1999-02-03 2000-08-15 Showa Denko Kk 色素安定剤及びその用途
JP4111856B2 (ja) * 2002-04-12 2008-07-02 昭和電工株式会社 安定化されたアスコルビン酸誘導体
JP2007056009A (ja) * 2005-07-27 2007-03-08 Showa Denko Kk 乳化皮膚外用剤および該皮膚外用剤の安定化方法
CN102480950B (zh) * 2009-09-14 2014-07-23 国立大学法人北海道大学 抗植物病毒剂
JP5690208B2 (ja) * 2011-05-12 2015-03-25 昭和電工株式会社 皮膚外用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135997B (zh) 2017-03-22
JP6265550B2 (ja) 2018-01-24
US20150031650A1 (en) 2015-01-29
CN104135997A (zh) 2014-11-05
TW201427707A (zh) 2014-07-16
US9351915B2 (en) 2016-05-31
EP2813208B1 (en) 2017-09-27
EP2813208A4 (en) 2015-08-12
WO2014097721A1 (ja) 2014-06-26
TWI483743B (zh) 2015-05-11
IL234087A0 (en) 2014-09-30
KR101625784B1 (ko) 2016-05-30
EP2813208A1 (en) 2014-12-17
JPWO2014097721A1 (ja) 2017-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5784B1 (ko)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아스코르브산 유도체 용액, 피부 외용제
KR20090094082A (ko) 화장료
JP2011178735A (ja) グリセリルアスコルビン酸とアスコルビン酸及び/又はアスコルビン酸誘導体を含有する組成物
JP2011099020A (ja) 抗酸化剤
KR20180045728A (ko) 3,4,5-트리메톡시 신남산 에스테르 유도체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JP2010195687A (ja) アスコルビン酸誘導体由来組成物、その製造方法、及び化粧料
EP3395807B1 (en) Salicylic acid derivative, method for preparing same, and cosmetic composition for whitening comprising same
JP4879344B1 (ja) 抗酸化性ポリヒドロキシベンゼン誘導体および抗炎症用皮膚外用剤
JP2003201264A (ja) ヒノキチオール誘導体、こ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及び毛髪用化粧料
JP2016113394A (ja) アスコルビン酸誘導体又はその塩、及び化粧料。
JP7267657B1 (ja) アスコルビン酸誘導体又はその塩及びその化粧料
KR101451401B1 (ko) 비타민 c와 비타민 e의 컨쥬게이트 및 그를 포함하는 항산화제
JP2018070508A (ja) コラーゲン産生促進効果に優れる化粧料又は皮膚外用剤
JPH1135443A (ja) 保湿剤、肌あれ改善剤及び皮膚外用剤
JP2012254957A (ja) 皮膚外用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778134B2 (ja) 皮膚外用剤
JP2008231077A (ja) 皮膚外用剤
KR101645531B1 (ko) 게니스테인 및 다이드제인을 함유하는 액정젤 및 이를 포함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EP1514872B1 (en) Phosphorylated glyceryl ether aluminium salts
JP2024076613A (ja) アスコルビン酸誘導体又はその塩及びその化粧料
JP2007254395A (ja) メイクアップ化粧料製造のためのヒドロキシクエン酸誘導体又はその塩の使用
WO2010021034A1 (ja) 皮膚外用剤
JP5856766B2 (ja) 皮膚外用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50006852A (ko) 발모제
JP2010195686A (ja) リン酸アスコルビル誘導体又はその塩、その製造方法、及び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