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6374A - 폴리머 분산물에서 가소제/응집제로서 유용한 모노벤조에이트 - Google Patents

폴리머 분산물에서 가소제/응집제로서 유용한 모노벤조에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6374A
KR20140126374A KR1020147025554A KR20147025554A KR20140126374A KR 20140126374 A KR20140126374 A KR 20140126374A KR 1020147025554 A KR1020147025554 A KR 1020147025554A KR 20147025554 A KR20147025554 A KR 20147025554A KR 20140126374 A KR20140126374 A KR 201401263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ticizer
polymer
flocculant
plasticizers
coat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5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6123B1 (ko
Inventor
윌리엄 디. 아렌트
에밀리 맥브라이드
Original Assignee
에메랄드 칼라마 케미칼,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메랄드 칼라마 케미칼, 엘엘씨 filed Critical 에메랄드 칼라마 케미칼,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40126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63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6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61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01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08K5/103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with poly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10Printing inks based on artificial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01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16Plastic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2Esters; Ether-esters of cyclic 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1/00Compositions of oils, fats or wax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1/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cyloxy radical of a saturated carboxylic acid, of carbonic acid, or of a haloformic aci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1/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09J131/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1/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cyloxy radical of a saturated carboxylic acid, of carbonic acid or of a haloformic aci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1/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08L31/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5/00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 C09J5/02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involving pretreatment of the surfaces to be join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건축용 및 다른 코팅, 페인트, OEM 코팅, 특수용 코팅, 오버프린트 바니시, 잉크, 손톱 광택제, 및 바닥 광택제 등을 제한 없이 포함하는, 폴리머 분산물을 위한 가소제 또는 응집제로서 유용한 독특한 모노벤조에이트가 본원에 제공된다. 이러한 모노벤조에이트는 향미 또는 향료 제제로서 기존에 알려져 있지만 폴리머 적용에서 가소제 또는 응집제로서 기존에 사용되지 않은 벤조에이트 에스테르인 3-페닐 프로필 벤조에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모노벤조에이트는 매우 다양한 폴리머와 상용성인 가소제 또는 응집제에 대한 적합한 비-프탈레이트인 보다 낮은 VOC 함량의 대체물을 제공한다. 적용에 좌우하여, 본 발명의 모노벤조에이트의 사용에 의해 제공되는 이점은, 통상의 가소제 또는 응집제에 의해 달성되는 것에 비해, 다른 것들 중에서, 탁월한 용매화 특성, 점도 안정성, 개선된 레올로지, 우수한 필름 형성 및 비슷하거나 그보다 우수한 광택도, 경도, 접착성, 내수성 및 내알칼리성, 스크럽 및 럽 내성, 블록 내성, 색 농도, 건조한 촉감에 대한 시간, 오픈 타임, 및 MFFT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폴리머 분산물에서 가소제/응집제로서 유용한 모노벤조에이트{MONOBENZOATE USEFUL AS A PLASTICIZER/COALESCENT IN POLYMERIC DISPERSIONS}
본 발명은 건축용 코팅, 산업용 코팅, OEM 코팅, 페인트, 에나멜, 래커(lacquer), 잉크, 오버프린트 바니시(overprint varnish)("OPV"), 그 밖의 코팅, 및 광택제(polish) 등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 다양한 폴리머 적용에서 가소제 또는 응집제로서 유용한 비-프탈레이트 모노벤조에이트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상용성, 보다 낮은 VOC 함량, 및 탁월한 필름 형성 특성을 제공하는, 코팅 적용에서 모노벤조에이트 에스테르인 3-페닐 프로필 벤조에이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코팅 적용에 좌우하여, 본 발명은, 통상의 가소제 또는 응집제에 비해, 다른 이점들 중에서, 비슷하거나 그 보다 우수한 레올로지, 점도 안정성, 상용성, 가공성, 광택, 경도, 스크럽(scrub) 및 럽(rub) 저항성, 내수성 및 내알칼리성, 접착성, 색 농도(color density), 및 필름 형성을 지니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건축용 및 산업용 코팅, 페인트, OEM 코팅, 특수용 코팅, OPV, 잉크, 손톱 광택제, 바닥 광택제 및 그 밖의 폴리머 코팅과 같은 본 발명의 모노벤조에이트를 포함하는 폴리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폴리머-기반 코팅 조성물에서, 필름-형성 보조제, 즉, 응집제는 매우 중요한 성분이다. 응집제는 응집제가 없는 폴리머보다 더 낮은 온도에서 필름 형성이 발생되게 한다. 전형적으로, 약 4℃는 응집제가 폴리머의 최소 필름 형성 온도(minimum film formation temperature: MFFT)를 저하시켜야 하는 온도이다. 이미 낮은 MFFT를 지니는 폴리머의 경우에, 응집제는 응집제가 없는 필름에 비해 개선된 특성을 지니는 필름의 형성을 제공한다. 높은 유리 전이 온도(Tg)를 지니는 폴리머의 경우에, 응집제는 요망되는 주위 조건에서 필름 형성이 발생되게 하는데, 연속 필름은 응집제 없이 그러한 폴리머에 의해서 형성되지 않을 것이다.
응집제는 에멀젼에서 폴리머로 분할되고, 분산된 입자들을 연화시켜 이들이 연속 필름을 융합시키거나 형성시키게 한다. 그 후에, 응집제는 응집제에 좌우하여 필름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휘발시켜 필름이 이의 본래의 물리적 특성을 회복하게 할 것이다. 응집제로서 사용되는 가소제는 덜 휘발성이며, 필름으로부터 배출되는 것이 더 느리다.
보다 저온에서의 연속 필름 형성을 용이하게 하는 것 외에, 응집제는 페인트/코팅 필름의 특성, 예컨대, 광택, 스크럽 저항성, 및 블록 저항성을 개선시키도록 선택된다. 응집제는 또한, 휘발성, 혼화성, 안정성, 상용성, 사용 용이성, 및 비용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 다양한 특성을 기초로 하여 선택된다.
가소제는 주로 이들의 탁월한 응집 특성 때문에 라텍스 페인트 및 다른 코팅에서 수년간 알려지고 사용되어 왔다. 일부 경우에, 이들은 또한 더 높은 사용 수준에서 이들의 가소제 기능을 위해 요망된다. 전형적인 가소제는 폴리머를 연화시키고, 이를 보다 작업가능하게 만든다. 또한, 가소제는 페인트 성능 특징, 예컨대, 머드 크래킹(mud cracking), 웨트 엣지(wet edge) 및 오픈 타임(open time)을 개선시킬 수 있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코팅 조성물을 위한 가소제/응집제를 선택하는데 있어서 특히 우려되는 것은 생성된 필름에서 가소제/응집제의 VOC 함량이다. 이의 성질로 인해, 응집제를 "탈피(escaping)" 또는 "휘발"시키는 것은 응집상으로 시작하고 이후의 계속된 기간 동안 지속하는 필름의 VOC에 상당히 기여한다. 결과적으로, 이는 필름 주위의 공기의 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불쾌한 악취로 나타날 수 있다. 통상의 응집제는 고도로 휘발성이고, 페인트 또는 코팅의 VOC 함량에 상당히 기여할 수 있으며, 상당한 환경 및 건강적 단점을 지닌다. VOC는 공기 중에 용이하게 휘발되거나 증발되는데, 여기서 이들은 오존을 생성시키는 다른 원소 또는 화합물과 반응할 수 있다. 오존은 또한 공기 오염, 및 몇 가지 예를 들자면, 호흡 문제, 두통, 화상, 유류증(watery eye) 및 구토를 포함한 다수의 건강 문제를 초래한다.
VOC는 VOC를 함유하는 제품의 제조 및 적용에 있어서 페인트 및 코팅 산업에서 특히 우려가 되고 있다. 페인트 및 코팅의 제조에서 VOC의 사용은 불량한 공장 공기의 질 및 해로운 화학물질에 대한 작업자 노출을 초래한다. VOC에 노출된 사람은 여러 유형의 암, 뇌 기능 손상, 신장 기능장애 및 그 밖의 건강 문제를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 다수의 건강 문제로 고통받을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정기적으로 해로운 VOC 증기에 노출되는 도장공 및 VOC-함유 페인트 및 코팅의 다른 사용자는 건강 문제로 고통받을 수 있다. VOC-함유 제품은 이것이 건조됨에 따라서 공기 중으로 해로운 VOC를 방출하고, 특히 실내 적용시에 농축된다. 실내의 VOC 수준은 일반적으로 실외 수준보다 10배 더 높으며, 페인팅 직후에는 최대 1,000배 더 높을 수 있다. 또한, 비록 VOC 수준이 페인팅 동안 및 페인팅 직후에 가장 높을지라도, 이는 수일 동안 계속해서 스며나온다. 사실상, VOC의 50퍼센트만이 첫 해에 방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고 VOC 함량을 지니는 페인트 및 코팅은 건강 및 환경적 위험요소로 간주되고, 제조 작업자 및 최종 사용자를 보호하기 위해 규제가 시행되어 왔다.
수계 오버프린트 바니시(OPV) 및 잉크는 그래픽 아트 산업에서 상당한 역할을 지니는 특정 유형의 코팅이다. OPV는 인쇄 매체에, 책, 잡지, 포장재, 및 그 밖의 인쇄 물질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 매우 다양한 적용을 위해 잉크 및 인쇄 물질을 보호하는 마무리 손질(finishing touch)을 제공한다. 이러한 투명한 코팅은 또한 아래에 있는 잉크를 손상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에 더하여 시각적인 효과를 제공한다.
광범위한 조성을 지니는 다양한 OPV 및 잉크가 존재한다. OPV 및 잉크는 이용될 인쇄 공정 및 사용 공간을 기초로 하여 사용을 위해 선택된다. OPV는 가장 일반적으로 다음 세 가지 형태를 포함한다: 수계, UV-경화성 폴리머 분산물, 또는 그 밖의 용액(용매) 폴리머. 수계 OPV는 모두 다양한 조성 및 유리 전이 온도(Tg)를 지니는 폴리머 분산물을 기초로 한다. OPV와 같이 폴리머 분산물에 사용되는 전형적인 유형의 폴리머는 탁월한 광택 및 내구성 특징을 지니는 경질 스티렌 아크릴이다.
OPV는 흔히 가공 동안 그리고 사용 중에 가혹한 조건에 노출되지만, 최종적으로 진열되어 놓일 때에는 완벽하게 보여야 한다. 따라서, OPV는 럽 저항성 및 내스크래치성 및 내마모성을 부여하는 다양한 다른 첨가제들을 함유할 수 있다. 추가의 다른 첨가제들이 수분, 오일 또는 다른 오염물에 대한 효과적인 장벽 형성을 용이하게 하고 내열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선택될 수 있다. 첨가제의 선택은 OPV를 사용하여 제조된 그래픽 아트 매체용으로 의도된 최종 용도 및 예측되는 사용량에 좌우될 수 있다.
다수 유형의 잉크가 다양한 인쇄 공정에 맞도록 그래픽 아트 산업에서 사용된다. OPV와 유사하게, 수계 잉크는 흔히 폴리머 분산물을 포함한다. 잉크는 흔히 OPV로 "코팅"되거나 보호된다.
건축용 코팅(페인트) 및 산업용 코팅의 경우, 적절한 성능을 달성하는 연속 필름의 형성이 그래픽 아트 적용에서 중요하다. 수계 OPV 및 잉크는, 적절한 필름 특성 발달을 위해 가소제/응집제를 필요로 할 수 있는 코팅이다. OPV에 사용되는 구세대 폴리머 시스템은 매우 높은 유리 전이 온도를 지닌다. 이러한 구세대 시스템은 실온에서 필수적인 필름 형성제는 아니지만 여러 적용을 위해 탁월한 성능을 제공하였다. 이러한 보다 경질인 시스템에서 성능 특성의 발달을 돕기 위해서, 그래픽 아트 산업은 수계 OPV 및 잉크에서 필름 형성을 돕기 위해 응집제를 사용한다. 이러한 응집제는 또한 전형적으로 보다 휘발성인 유형이었다. 이들은 잘 기능하지만, VOC 함량은 마찬가지로 이러한 유형의 코팅의 경우에 문제가 된다.
OPV 및 잉크에서 사용되는 신세대의 폴리머 에멀젼은 다른 코팅에서 찾아볼 수 있는 동일한 경향을 따르는 듯 하다. 이러한 시스템은 보다 연질이며, 이들의 사용 조건하에 필름을 형성시키는데 어떠한 응집제 또는 가소제를 필수적으로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다. 열 및/또는 공기 흐름이 그래픽 아트에서 응집을 돕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응집에 대한 이러한 방법은 불량한 성능 특성을 초래할 수 있어서, 이들의 사용은 제한된다.
통상의 페인트용 응집제는 통상의 산업용 표준 필름-형성 보조제인 2,2,4-트리메틸-1,3-펜탄디올 모노이소부티레이트(TXMB)를 포함한다. 상이한 코팅 산업 분야에서 선택되는 다른 응집제에는 글리콜 에테르가 포함된다. 이들 모두는 페인트 및 그 밖의 코팅 시스템에 사용되는 VOC 측정 방법인 EPA 24 D2369 휘발성 시험에 의해서 항상 100% 휘발성이다. 모노벤조에이트인 2-에틸 헥실 벤조에이트는 OPV 및 수계 잉크에서 응집제로서 사용되고 있으며, 기능성이지만 여전히 상당히 높은 VOC 함량을 지닌다.
소비자는 보다 안전한 대체물을 요구하고 있으며, 코팅 포뮬레이터는 VOC를 줄이면서 동시에 코팅에 요망되는 성능 특징을 제공하려는 도전에 계속하여 직면하고 있다. 가장 흔히, 포뮬레이터는 코팅에 사용되는 대부분의 휘발성 성분의 양을 줄이거나 이를 보다 낮은 VOC 함량의 성분으로 대체하는데, 이 둘 모두는 어느 정도 VOC 문제를 줄이지만, 이는 성능의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다른 방법은 응집제 없이(일부 경우에 성능을 희생시키면서) 연질 폴리머의 사용, 부동 및 툴링(tooling)에 사용되는 글리콜의 저하 또는 제거, 또는 저 VOC 가소제 또는 응집제의 사용이다.
가소제는 저 VOC 기여를 지니지만; 보다 큰 영구성을 부여하는, 즉, 필름에서 더 느리게 방출되고, 그에 따라서, 덜 휘발성이기 때문에 수계 시스템을 위한 유용한 응집제이다. 일부 경우에, 가소제의 영구성은 손상될 수 있다. 응집제로서 가소제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보다 큰 영구성, 및 그에 따라서, 보다 낮은 VOC와 우수한 최종 필름 특성 간의 균형이 맞춰져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저 VOC 함량 페인트 또는 코팅은, 최소한, 보다 높은 VOC 함량을 지니는 페인트 또는 코팅과 동일한 성능을 지녀야 한다. 그러한 목적을 위하여, 원료 공급업체는 성능을 저해하지 않고 페인트 및 코팅에 사용하기 위한 새로운 보다 낮은 VOC 제품을 계속해서 개발하고 있다.
코팅 산업(그래픽 아트 적용 포함)에 전형적으로 사용되는 가소제에는 디-n-부틸 프탈레이트(DBP), 디이소부틸 프탈레이트(DIBP) 또는 부틸 벤질 프탈레이트(BBP)가 포함된다. 이러한 가소제는 높은 Tg를 지니는 폴리머가 하나의 적용 또는 또 다른 적용에 사용되는 경우에서 처럼 진정한 가소제가 필요한 경우에 사용되었다. DBP 및 DIBP는 통상의 응집제보다 낮은 VOC 함량을 지니지만, 여전히 다소 휘발성인 반면에, BBP는 매우 낮은 VOC 함량을 가진다. 그러나, VOC 함량과는 별개로, 프탈레이트 에스테르 사용은, 특히 DBP 및 BBP 사용이 규제 문제로 인해 제한되는 것과 같은 일부 단점을 가진다.
디벤조에이트 가소제는 코팅에서 잘 알려져 있는 유용성을 지닌다. 이들의 성질로 인해 디벤조에이트는 비-프탈레이트이고, 프탈레이트와 관련된 제한 또는 건강 문제를 지니지 않는다. 벤조에이트는 그래픽 아트 산업을 위한 역사적인 대체물이다. 응집제로서 사용되는 전형적인 디벤조에이트에는 DPGDB뿐만 아니라 DEGDB와 DPGDB의 배합물이 포함된다. 벤조에이트의 상업적인 예에는, 다수 다른 것들 중에서, K-Flex® DP(DPGDB), K-Flex® 500(DEGDB/DPGDB 배합물), K-Flex® 850S(보다 신규한 등급의 DEGDB/DPGDB 배합물), 및 K-Flex® 975 P(DEGDB/DPGDB/1,2-PGDB를 포함한 보다 신규의 삼중배합물)가 포함된다.
가소제로서 유용한 것으로 알려진 모노벤조에이트 에스테르에는 이소데실 벤조에이트(IDB), 이소노닐 벤조에이트(INB), 및 2-에틸헥실 벤조에이트(EHB)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Arendt의 미국 특허 제5,236,987호에는 이소데실 벤조에이트가 페인트 조성물을 위한 유용한 응집제로서 개시되어 있다. Arendt 등의 미국 특허 제6,989,830호에는 DEGDB 및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벤조에이트와의 배합물에서 2-에틸헥실 벤조에이트의 용도가 개시되어 있다. Grass 등의 미국 특허 제7,638,568호에는 에멀젼 페인트, 모르타르(mortar), 플라스터(plaster), 접착제, 및 바니시(varnish)와 같은 조성물에서 필름-형성제로서 벤조산의 이소노닐 에스테르의 용도가 개시되어 있다.
"하프 에스테르(half ester)" 모노벤조에이트에는 디벤조에이트 생산의 부산물이고 거의 생산의 대상이 아닌 디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벤조에이트 및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벤조에이트가 포함된다. 하프 에스테르는 높은 용해제(solvator)인 것으로 알려져 있지 않고, PVC에서 상응하는 디벤조에이트보다 덜 상용성이다. 그러나, 하프 에스테르는 페인트 및 코팅 적용에서 흔히 사용되는 에멀젼 폴리머, 예컨대, 아크릴계 및/또는 비닐 에스테르 폴리머와 상용성이다.
코팅 적용에 사용하기 위한 저 VOC 가소제 및 응집제인 비-프탈레이트가 필요하다. 그러한 대체물은 매우 다양한 폴리머와 상용성이고, 가소제 및/또는 응집제를 통상적으로 필요로 하는 코팅 적용에서 사용하는 경우에 보다 낮은 VOC 함량을 지니며 비슷하거나 그 보다 우수한 성능 특성을 지녀야 한다. 저 VOC 대체물인 비-프탈레이트는 다수의 통상의 가소제 및 응집제와 관련된 환경, 건강 및 안전성 문제 면에서 특히 요망된다.
완전히 상이한 모노 벤조에이트인 3-페닐 프로필 벤조에이트(3-PPB)는 페인트 및 다른 코팅, OPV 및 잉크를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 폴리머 적용에서 사용하기 위한 TXMB, IDB 또는 INB에 비해 놀랍게 효과적인 보다 낮은 VOC 가소제 대체물인 것으로 밝혀졌다. 보다 낮은 VOC 외에, 이러한 모노벤조에이트의 이점은 이의 탁월한 건강, 안전성 및 환경 프로파일과 취급 특성이며, 이는 종래에 사용된 대부분의 디벤조에이트 및 모노벤조에이트보다 우수하다. 이러한 신규한 모노벤조에이트는 임의의 "위험" 부류하에 위험한 것으로 분류되지 않으며, 어떠한 위험한 라벨링 구성요소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과거에는 모노벤조에이트, 3-PPB가 본원에 논의된 유형의 폴리머 적용에 사용되지 않았다. 이는 향미 및 향료 적용에 사용되었고, 계속해서 사용되고 있다. 이는 또한 미국 특허 공보 제2005/015285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퍼스널 케어 제품에서 특정 작용성 또는 기능성 유기 화합물을 위한 가용화제로서 사용되었다.
본 발명은 페인트 및 다른 코팅에서 본 발명의 가소제의 용도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본 발명의 모노벤조에이트를 위한 다른 적용에는 공동 계류중인 출원의 주제인 플라스티솔(plastisol), 접착제, 실란트(sealant), 코크(caulk)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소제 및 응집제가 통상적으로 요구되는 페인트, 건축용 코팅, 산업용 코팅, OEM 코팅, 특수용 코팅, 래커, 에나멜, OPV, 잉크, 광택제 및 다른 폴리머 코팅에서 단독으로 또는 다른 가소제/응집제와 조합하여 사용하기 위한, 통상의 가소제 또는 응집제에 비해 매우 다양한 폴리머와 탁월한 상용성 및 보다 낮은 VOC 함량을 지니는 비-프탈레이트 가소제/응집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은 폴리머 분산물, 예컨대, OPV 및 잉크에서 응집제로서 유용한 모노벤조에이트로서, 보다 낮은 VOC 함량을 지니며, 상용성, 광택, 경도, 내수성 및 내알칼리성, 접착성, 건조한 촉감에 대한 시간(dry to touch time), 색 농도 및 필름 형성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 통상의 응집제와 비슷하거나 그보다 우수한 성능을 달성하는 모노벤조에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또 다른 목적은 폴리머 분산물에서 응집제로서 유용한 모노벤조에이트로서, 보다 낮은 VOC 함량을 지니며, 통상의 라텍스 에멀젼 또는 다른 폴리머 코팅에 사용하는 경우에 효율성과 상용성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 통상의 응집제와 비슷하거나 그보다 우수한 성능을 달성하는 모노벤조에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은 현재의 저 VOC 에멀젼 코팅으로 달성되는 것에 비해 저 VOC 함량, 및 점도, 경도, 광택, 블록 저항성, 스크럽 및 럽 저항성, 화학적 저항성, 건조 시간, 오픈 타임/웨트 엣지, 머드크랙 저항성, 및 열 에이징 안정성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 개선된 성능 특성을 지니는 폴리머 에멀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또 다른 목적은, 환경 친화적이고, 취급에 대하여 안전하고, 규제 통제가 가해지지 않는 저 VOC 함량의 폴리머 에멀젼 코팅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추가의 목적은, 가소제 단독으로 또는 가소제들의 배합물로 페인트 또는 다른 폴리머 코팅에서의 사용에 유용하고, 통상의 응집제에 비해 보다 낮은 VOC 함량 및 비슷하거나 그보다 우수한 성능을 지니는 모노벤조에이트 가소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은 본원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은 폴리머 분산물, 예컨대, 다른 것들 중에서, 건축용 코팅(페인트), 산업용 코팅, OPV, 잉크, 및 광택제를 위한 응집제로서 유용한 비-프탈레이트 벤조에이트 가소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코팅 적용을 위한 가소제 또는 응집제로서 기존에 알려지거나 사용되지 않은 성분인 신규한 모노벤조에이트인 3-페닐 프로필 벤조에이트(3-PPB)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가소제/응집제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양으로 본 발명의 모노벤조에이트를 사용하면, 통상의 가소제 또는 응집제로 달성되는 것에 비해 낮은 VOC 함량 및 비슷하거나 그보다 우수한 성능 및 취급 특성이 야기된다. 본 발명의 모노벤조에이트는 독성이 낮으며, 통상의 프탈레이트 가소제 또는 응집제와 관련된 환경, 건강 및 안전성 문제를 지니지 않는다.
한 가지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필름 형성을 돕고, 특성, 예컨대, 점도, 광택, 블록(block) 내성, 스크럽(scrub) 및 럽(rub) 내성, 화학적 내성, 건조 시간, 오픈-타임/웨트 엣지, 머드크랙 내성, 및 열 에이징 안정성을 개선시키는 코팅 적용에서 유용한 비-프탈레이트 응집제인 3-PPB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3-PPB를 포함하는 건축용 코팅, 페인트, 산업용 코팅, OEM 코팅, 특수용 코팅, 래커, 에나멜, OPV, 잉크, 손톱 광택제, 또는 바닥 광택제이다.
추가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3-PPB를 포함하는 다양한 수성 또는 비수성 폴리머 조성물이다.
추가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페인트, OPV, 수계 잉크, 착색제, 및 다른 코팅에 사용하기 위한, 고형 가소제를 포함하는 다른 가소제 및 응집제와 3-PPB의 배합물이다.
도 1은 110℃에서 1시간 동안 ASTM D2369를 이용하여 평가된 순수한 가소제에 대하여 측정된 휘발성 특징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2는 110℃에서 1시간 동안 TGA 등온선 스캔을 이용하여 평가된 순수한 가소제에 대하여 측정된 휘발성 특징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3은 다양한 가소제/응집제를 포함하는 이성분 배합물의 점도 반응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비교를 위해 공칭 점도인 150mPa·s로 점도를 저하시키는데 필요한 물의 양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5는 4중량%의 가소제/응집제 수준에서 이성분 배합물의 MFFT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6은 4중량%, 6중량% 및 8중량%의 가소제/응집제 수준에서 이성분 배합물의 MFFT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7은 1일 에이징에서 4% 가소제/응집제로 얻어진 OPV 점도 반응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8은 다양한 가소제/응집제를 포함하는 OPV에 대한 건조한 촉감에 대한 시간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9는 다양한 가소제/응집제를 포함하는 OPV에 대하여 얻어진 광택도 데이터를 보여주는 것이다(3B 레네타(Leneta) 기재 상의 20°광택도).
도 10은 다양한 가소제/응집제를 포함하는 OPV에 대하여 얻어진 쾨니히(Konig) 경도 데이터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11은 평가된 가소제/응집제에 대한 1-일(RT 및 120℉)에서의 반광택(semigloss) 아크릴의 블록 내성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12는 7-일(RT 및 120℉)에서의 반광택 아크릴에 대한 블록 내성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13은 평가된 가소제/응집제에 대한 반광택 아크릴의 스크럽 내성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14는 평가된 가소제/응집제에 대한 반광택 아크릴의 오픈-타임, 웨트 엣지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15의 15a 및 15b는 평가된 가소제/응집에 대한 반광택 아크릴의 열 에이징 안정성을 델타 점도(Delta 점도) 및 델타 E 색 변이(Delta E Color Shift) 둘 모두로 각각 보여주는 것이다.
도 16은 평가된 가소제/응집제에 대한 반광택 아크릴의 머드크랙 내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17은 평가된 가소제/응집제에 대한 반광택 아크릴의 저온 터치-업(touch-up)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18은 평가된 가소제/응집제에 대한 비닐 아크릴 플랫 페인트(flat paint)의 블록 내성 7-일 결과(RT 및 120℉)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19는 평가된 가소제/응집제에 대한 비닐 아크릴 플랫 페인트의 스크럽 내성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20은 평가된 가소제/응집제에 대한 비닐 아크릴 플랫 페인트의 오픈-타임/웨트-엣지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21의 21a 및 21b는 평가된 가소제/응집제에 대한 비닐 아크릴 플랫 페인트의 열 에이징 안정성을 델타 점도와 델타 E 색 변이 결과 둘 모두로 각각 보여주는 것이다.
도 22는 평가된 가소제/응집제에 대한 비닐 아크릴 플랫 페인트의 머드크랙 내성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23은 평가된 가소제/응집제에 대한 비닐 아크릴 플랫 페인트의 저온 터치-업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은 건축용 코팅(페인트), 산업용 코팅, OEM 코팅, 특수용 코팅, OPV, 잉크 및 광택제를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 수성 및 비-수성 기반 폴리머 코팅을 위한 일차 또는 이차 가소제/응집제로서 유용한 모노벤조에이트 가소제에 관한 것이다. 벤조에이트 가소제는 폴리머 코팅에서 가소제 또는 응집제로서 기존에 알려지거나 사용되지 않은 공지된 향미 및 향료 성분인 독특한 모노벤조에이트, 3-페닐 프로필 벤조에이트(3-PPB)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모노벤조에이트 가소제는 일반적으로, 흔히 더 높은 VOC 함량을 지니는 통상적인 가소제/응집제에 대한 대안물 또는 대체물로서, 일차 가소제, 다른 가소제와의 배합물로 이차 가소제, 또는 다수 폴리머 분산물과 응집제로 사용될 수 있다. 건축용 코팅(페인트), 산업용 코팅, OEM 코팅, 특수용 코팅, 손톱 광택제, OPV, 잉크, 바닥 광택제 또는 다른 유사한 폴리머 코팅으로 포뮬레이션될 수 있는 어떠한 공지된 폴리머가 본 발명에 따른 저 VOC 함량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본 발명의 모노벤조에이트와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 논의된 폴리머 분산물을 제조하는데 유용한 폴리머는 당해 분야에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수계 및 비-수성-기반 폴리머 조성물 둘 모두를 포함한 매우 다양한 폴리머에 유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적합한 폴리머에는 다양한 비닐 폴리머, 예컨대,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코폴리머, 비닐 아세테이트, 비닐 아크릴레이트, 비닐 클로라이드 코- 및 터-폴리머, 비닐리덴 클로라이드, 디에틸 푸마레이트, 또는 디에틸 말레에이트; 다양한 폴리우레탄 및 이들의 코폴리머; 셀룰로오스 니트레이트;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및 이들의 코폴리머; 다양한 폴리아크릴레이트 미치 이들의 코폴리머, 및 버사트산(versatic acid)의 다양한 에스테르가 포함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다양한 적용을 위한 아크릴 폴리머 조성물은 또한 본 발명의 모노벤조에이트와 사용될 수 있으며, 다양한 폴리알킬 메타크릴레이트, 예컨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부틸 메타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알릴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다양한 방향족 메타크릴레이트, 예컨대, 벤질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스티렌 아크릴레이트; 또는 다양한 알킬 아크릴레이트, 예컨대,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또는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또는 다양한 아크릴산, 예컨대, 메타크릴산 및 다른 스티렌화된 아크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모노벤조에이트가 가소제로서 유용할 수 있는 다른 폴리머는 에폭시, 폴리아미드, 및 니트로셀룰로오스를 포함한다. 추가의 다른 폴리머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모노벤조에이트의 용도는 어떠한 특정 폴리머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주로 페인트, OPV 및 잉크 적용에 대하여 기재되지만, 본 발명은 그러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가소제 및/또는 응집제를 필요로 하고 가소제 및/또는 응집제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폴리머-기반 코팅 조성물이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신규한 모노벤조에이트는 다양한 통상의 폴리머 분산물을 위한 저 VOC 대안물 또는 대체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어떠한 특정 폴리머 분산물에 사용되는 본 발명의 모노벤조에이트의 총량은 특정 폴리머, 폴리머 및 다른 성분의 특징, 공정, 적용 또는 용도 및 요망되는 결과에 좌우하여 범위가 넓을 것이다. 가소제/응집제에 대한 예시적인 양은 실시예에 포함되고, 본원에 일반적으로 추가로 기재된다.
일반적으로, 폴리머 분산물에 필요한 응집제의 양은 기본 폴리머의 MFFT를 기초로 하며, 실온에서 필름을 형성시키기에 충분한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폴리머가 경질일수록(MFFT 및 Tg가 높을수록), 더 많은 가소제/응집제가 필요하다.
페인트 또는 코팅에서, 가소제/응집제는 특정 폴리머에 좌우하여 시스템에서 최대 약 20%의 폴리머 고형물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OPV 및 잉크에서, 응집제는 오버프린트 바니시 또는 잉크의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최대 약 20중량%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양은 약 2중량% 내지 약 8중량%의 범위일 수 있다.
유용한 양의 3-PPB가 실시예에 기재된다. 당업자는 특정 폴리머 적용에서 의도된 용도 및 요망되는 성능을 기초로 하여 다른 적용의 경우에 추가의 허용량에 이를 수 있는 것으로 예상된다.
본 발명의 모노벤조에이트를 위한 다른 적용에는 손톱 광택제, 바닥 광택제, OEM 코팅, 및 특수용 코팅이 포함된다. 손톱 광택제 제품의 경우에, 특히, 프탈레이트가 적어도 십년간 사용되어 오고 있으며, 특정 디벤조에이트가 또한 수년간 사용되었는데, 이들에는 본원에 논의된 응집제에 기인하는 이점이 요망된다.
본 발명의 모노벤조에이트는 폴리머 조성물의 특성을 향상시키거나 높이는 다양한 다른 통상적인 가소제와 배합될 수 있지만, 이것이 필수적이지는 않다. 통상적인 가소제가 본원에 기재되고, 최대 C5의 프탈레이트 에스테르,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폴리에스테르, 시트레이트, 이소부티레이트, 설폰아미드, 설폰산 에스테르, 최대 C4의 테레프탈레이트 에스테르, 에폭시 가소제, 디- 및 모노-벤조에이트 둘 모두를 포함한 벤조에이트 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모노벤조에이트는 또한 고형 가소제, 예컨대, 수크로오스 벤조에이트, 디사이클로헥실 프탈레이트, 트리페닐 포스페이트, 글리세롤 트리벤조에이트, 1,4-사이클로헥산 디메탄올(CHDM) 디벤조에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벤조에이트, 알킬 글리콜 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노벤조에이트는 또한 특정 코팅 적용에 좌우하여, 다양한 양의 통상적인 첨가제, 예컨대, 오일, 희석제, 항산화제, 소포제(defoamer), 계면활성제, 열 안정화제, 방염제, 계면활성제, 왁스, 및 용매 등과 조합되거나 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첨가제 양은 일반적으로 매우 광범위하게 다양할 수 있고, 흔히 코팅 조성물의 모든 100중량부에 대하여 약 0.1중량부 내지 약 75중량부의 범위이다.
예로서, 응집제에 더하여 전형적인 OPV는 고 Tg(>10℃) 폴리머의 분산물, 왁스 분산물, 다양한 고 Tg 수지, 계면활성제, 소포제, 및 물을 포함한다. 응집제에 더하여, 전형적인 잉크는 OPV와 같은 유사한 성분을 포함하지만, 색을 위해 안료가 첨가된다.
다양한 폴리머 적용에 유용한 다른 성분이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다. 예시적인 단순한 기본적인 OPV 및 잉크 및 페인트 포뮬레이션이 실시예에 기재된다.
본 발명의 모노벤조에이트는 다수의 통상의 응집제에 비해서 보다 낮은 VOC 함량의 대체물을 제공하며, 적용에 좌우하여, 다른 이점들 중에서, 비슷하거나 그보다 우수한 상용성, 점도 안정성, 레올로지, 필름 형성, 광택, 내수성 및 내알칼리성, 건조한 촉감에 대한 시간, 오픈 타임, 스크럽 및 럽 내성, 색 농도, 접착성, 박리 강도 및 경도를 제공한다. 다수 예에서, 본 발명의 모노벤조에이트는 통상의 그리고 더 신규의 디벤조에이트 배합물을 포함하여 VOC 함량에 상관없이 산업 표준 응집제를 능가한다. 모노벤조에이트는 다양한 저 VOC 포뮬레이션에서 보다 연질인 폴리머에 대한 대체물로서 보다 경질인 폴리머의 사용을 고려해 볼 때 응집제로서 특히 유용하다.
본 발명은 본원에 기재된 실시예에 의해 추가로 기술된다.
실시예
가소제/응집제의 평가는 다양한 실험으로 구성되었다. 먼저, 선택된 순수 가소제/응집제의 VOC를 측정하였다. 그 후에, 통상의 폴리머를 지니는 응집제의 효과 및 효율을 단순한 이성분 배합물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또 다른 부분에서, 실제 OPV에서 신규한 가소제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서 출발의 기본적인 OPV 포뮬레이션을 제조하였다. 추가의 또 다른 부분에서, 단순한 수계 모델 잉크 포뮬레이션에서 응집제 성능을 평가하였다. 그 후에, 잉크를 실험용 OPV로 코팅하고 평가하였다.
다른 평가는 접착제 및 플라스티솔에서 본 발명의 모노벤조에이트의 용도를 포함하였고, 하기에서 본원에 기재된다.
실시예 1 내지 4 - OPV 및 잉크
OPV/잉크 실시예에서의 사용을 위해 선택된 폴리머는 그래픽 아트 산업에서 표준인 통상의 고 Tg의 경질 스티렌 아크릴 에멀젼이었지만, 본 발명의 응집제는 이러한 산업에 사용되는 다수의 폴리머 분산물에 유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한 폴리머는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을 것이다. 폴리머는 본원에 기재된 단순한 출발 포뮬레이션 모두에 사용되었다.
하기 가소제/응집제를 실시예에서 평가를 위해 선택하였다(전체 또는 일부):
2,2,4-트리메틸-1,3-펜탄디올 모노이소부티레이트(TMPDMB)(이 응집제는 종래부터 OPV 또는 잉크에서는 필수적이 아니지만 페인트 및 다른 코팅에서 선택된 통상의 응집제임)
2-에틸헥실 벤조에이트(2-EHB)(이 응집제는 신규한 보다 낮은 VOC 유형의 응집제로서 몇 년 전에 도입된 것임)
부틸 Carbitol™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BC)
Carbitol™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C)
부틸 Cellosolve™ 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BCL)
디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DPM)
디에틸렌 글리콜 디벤조에이트(DEGDB)
디-n-부틸 프탈레이트(DBP)
부틸 벤질 프탈레이트(BBP)
디에틸렌 글리콜 디벤조에이트와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벤조에이트의 통상의 이중배합물(CB1)
K-Flex® 975P(X 20), DEGDB, DPGDB 및 PGDB를 특정 비율로 포함하는 디벤조에이트 삼중배합물(80중량%의 4:1 DEGDB:DPGDB 및 20중량%의 PGDB)
K-Flex® 850S(X-250), DEGDB과 DPGDB의 보다 신규의 디벤조에이트 이중배합물
X-613 본 발명의 모노벤조에이트, 3-페닐 프로필 벤조에이트(3-PPB)
가소제/응집제 및 TMPDMB는 물에 가용성이 아니지만, DPM, BCL 및 C는 물에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가용성이다. 수불용성 가소제/응집제는 분산물 중에서 폴리머로 분할될 것으로 예상된다.
하기 원료를 실시예 1 내지 4를 위해 제조된 포뮬레이션에 사용하였다.
원료
Figure pct00001
이용된 시험 - 하기 시험을 이용하였다:
순수 가소제 - EPA 24, ASTM D2369 휘발성, 110℃에서 1시간; 및 110℃에서TGA 등온선 스캔.
이성분 폴리머 에멀젼/응집제 배합물 - MFFT, 응집제와의 기본 에멀젼의 점도 반응, 및 점도 저하.
OPV - 점도, MFFT, 광택, 내수성, 내알칼리성, 경도, 및 건조한 촉감.
잉크 - 럽 내성, 접착성, 광택, 광학 밀도, 및 잉크 점도.
시험 방법 - 시험 방법에 대한 특정 세부 사항은 하기에 기재된다:
휘발성: ASTM D2369 이용. 110℃에서의 공기하에 1시간 동안 TGA 등온선을 또한 이용하였다.
점도 반응: 초기와 24시간 점도 둘 모두를 측정하였다. 23 ± 2℃에서 10회 회전 동안 20RPM에서 Brookfield RVT를 이용하여 점도를 측정하였다.
MFFT(최소 필름 형성 온도): MFFT를 공기 하에 Rheopoint MFFT 90로 측정하였다. ASTM D2354-10을 이용하였다.
광택도: Micro-TRI-Gloss II Meter에 의해서 20° 및 60°에서 기재 또는 프린트의 광택도를 측정하였다. ASTM D523을 이용하였다.
내수성: 2방울의 증류수를 프린트에 적용하고, 시계 접시로 덮고, 2분, 5분 또는 10분 동안으로 시간을 맞추었다. 할당된 시간 후에, 물을 접힌 Kimwipe로 조심해서 제거하였다. 프린트 및 Kimwipe™ 티슈를 검사하고 등급을 매겼다. 필름에서 등급은 다음과 같다: 5 - 효과 없음; 4 - 약간 붉어짐; 3 - 붉어짐; 2- 부분 파괴됨; 1 - 완전 파괴됨.
내알칼리성: 2방울의 알칼리성 용액(Clorox® Formula 409)을 프린트에 적용하고, 시계 접시로 덮고, 2분, 5분 또는 10분 동안으로 시간을 맞추었다. 할당된 시간 후에, 용액을 접힌 Kimwipe™로 조심해서 제거하였다. 프린트 및 Kimwipe™ 티슈를 검사하고 등급을 매겼다. 필름에서 등급은 다음과 같다: 5 - 효과 없음; 4 - 약간 붉어짐; 3 - 붉어짐; 2- 부분 파괴됨; 1 - 완전 파괴됨.
럽 내성: 럽 내성을 1kg 추 하에서 5층의 치즈크로스(cheesecloth)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치즈크로스 및 추를 잉크 또는 OPV 피복된 잉크로 100회 문질렀다. 그 후에, 치즈크로스를 평가하고 등급을 매겼다. 필름에서 등급은 다음과 같다: 5 - 효과 없음; 4 - 약간 붉어짐; 3 - 붉어짐; 2- 부분 파괴됨; 1 - 완전 파괴됨.
경도: OPV를 알루미늄 판 상에 3mil 드로우다운(drawdown)을 사용하여 코팅하였다. 그 후에, 샘플을 4시간 동안 건조시키고, 쾨니히 펜듈럼 시험기(Konig Pendulum Tester)를 사용하여 시험하였다. 제조한 지 4시간, 24시간, 3일 및 7일 후에 샘플을 시험하였다. ASTM D4366을 이용하였다.
프린트에 대한 접착성: 스카치 테이프를 프린트 표면에 단단히 가압한 후, 프린트를 아래로 고정시키면서 가능한 신속하게 90°각도로 떼어냈다. ASTM D3359-9를 이용하였다.
잉크의 광학 밀도 및 색: 프린트의 광학 밀도(착색 강도)를 X-Rite Color i7 분광광도계로 측정하였다. ASTM D2066을 이용하였다.
잉크의 점도: 제조된 잉크의 점도를 TA AR2000ex 레오미터로 측정하였다. 100마이크론의 갭을 지니는 2센티미터의 판을 25℃에서 사용하였다. 전단 속도는 100sec-1였다.
기본적인 제조/적용 - 평가에 이용되는 공정 및 기술은 하기에 더욱 상세하게 기술된다.
포뮬레이션 제조:
이중배합물 포뮬레이션: 지피 블레이드(Jiffy blade)가 장착된 고속 혼합기를 사용하여 500RPM에서 에멀젼에 응집제를 서서히 첨가함으로써 제조하였다. 응집제를 첨가하자마자, 속도를 30분의 총 혼합 시간 동안 750RPM으로 증가시켰다.
기본적인 OPV 포뮬레이션: 지피 블레이드가 장착된 고속 혼합기를 사용하여 500RPM에서 혼합하면서 혼합 용기에 개별 성분들을 첨가함으로써 제조하였다. 응집제를 마지막에 첨가하였다. 이러한 혼합물을 마지막 성분의 첨가 후에 500RPM에서 총 5분 동안 교반하고, 그 후에 혼합기의 속도를 추가 5분 동안 750RPM으로 증가시켰다.
수계 프탈올 블루 플렉소그래픽 분산 잉크: 마지막 첨가가 왁스 분산물로 되어 있는 열거된 순서로 개별 성분들을 서서히 함께 첨가하였다. 잉크를 5분 동안 지피 블레이드를 지니는 고속 혼합기로 500RPM에서 혼합하였다.
시험 판 샘플 제조 조건:
프린트에 대한 광택도, 내수성, 내알칼리성, 럽 내성 및 접착성을 프린트가 먼저 제조되는 경우와 3일 동안의 에이징 후 둘 모두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OPV를 #6 메이어 권취 봉(Mayer wound rod)으로 적용하여 약 15μm의 습식 필름을 3B 레네타 카드, 점토 코팅된 보드 상에 또는 3B 레네타 카드, 산화된 폴리프로필렌 필름 또는 점토 코팅된 보드 상에 블루 플렉소그래픽 잉크 위에 침착시켰다.
핸드 프루프(Hand Proof) 제조:
3B 레네타 카드, 점토 코팅된 보드 및 처리된 폴리프로필렌 필름 상에서 180 피라미드 셀 아니록스 롤(180 pyramid cell anilox roll)을 지니는 플렉소 핸드-프루퍼로 잉크를 드로잉하였다. 잉크를 공기 건조시킨 후, 오븐에서 70℃에서 30초 동안 3회 건조시켰다.
잉크 제조에서 OPV:
OPV를 상기 핸드 프루프와 같이 적용하고, 공기 건조시킨 후, 오븐에서 70℃에서 30초 동안 3회 건조시켰다. 각각의 OPV는 모든 경우에 상응하는 잉크와 매칭하였다.
실시예 1 - 순수 가소제/응집제의 VOC/휘발성
도 1 및 2는 평가된 순수 가소제/응집제에 대하여 측정된 휘발성 특징을 도시한 것이다. 통상의 에테르 응집제는 확실히 휘발성이었다. 평가의 가소제는 휘발성이 모두 낮았으며, 그에 따라서, 전형적인 사용 수준에서 포뮬레이션의 전체 VOC에 유의하게 기여하지 않을 것이다. 반대로, 100% 휘발성인 응집제는 전체 VOC 방출에 유의하게 기여할 것이다.
2-EHB가 아닌 평가된 벤조에이트 응집제 중에서, TGA 스캔 데이터는 본 발명의 모노벤조에이트인 X-613(3-PPB)가 가장 휘발성이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X-613은 VOC 함량이 보다 오래된 통상의 고 VOC 응집제보다 현저히 낮았다. 평가의 가소제/응집제 모두는 에테르, TMPDMB 및 2-EHB에 비해 20% 휘발성보다 상당히 더 낮았다.
실시예 2 - 응집제와 폴리머의 이성분 배합물
이러한 실시예의 경우, 평가된 이성분 배합물은 하기 나타나 있다.
이성분 배합물
Figure pct00002
기본 폴리머에 대한 그러한 응집제의 효과를 관찰하기 위하여 기본적인 출발 OPV 포뮬레이션(4%)에서의 사용 수준에서 기본 에멀젼에 응집제를 혼입하였다. 응집제가 폴리머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평가하는 중요한 시험은 다음과 같다: 점도 반응(폴리머의 상호작용 및 팽윤을 나타냄), 최소 필름 형성 온도(MFFT), 및 감수성.
점도 반응
기본 에멀젼의 점도 반응은 시험된 수불용성 응집제의 상용성에 대한 지표이다. 도 3은 다양한 가소제/응집제를 포함하는 이성분 배합물의 점도 반응을 도시한 것이다. TMPDMB를 제외하고, 모든 수불용성 응집제는 탁월한 점도 반응을 지녔다. TMPDMB에 대한 결과는 배합물에서 사용된 기본 스티렌화된 아크릴계 폴리머와의 완전한 상용성이 부족함을 나타냈다.
감수성
OPV의 점도가 일반적으로 동일한 점도에서 적용을 가능하게 하는 일정한 값으로 저하됨에 따라서, 요망되는 점도를 얻는데 필요한 물의 양을 측정하였고, 이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비교를 위한 공칭 점도인 150mPa·s로 점도를 저하시키는데 필요한 물의 양을 나타낸다. 각각에서 필요한 물의 양은 예상되는 바와 같이, 초기 점도를 기초로 한 것이었고, 사용되는 가소제/응집제에 대하여 달성될 수 있는 물 희석을 암시하는 것이다.
MFFT
도 5는 첨가된 4% 습윤 가소제/응집제와의 이성분 배합물의 MFFT를 보여주는 것이다. 저수준의 가소제가 기본 폴리머의 MFFT의 저하에 대하여 매우 긍정적인 효과를 지니지만, 그것이 실온 부근 어디에서도 야기되지 않았음을 주지해야 한다. 이는 아직 완전한 포뮬레이션이 아닌 단순한 이성분 배합물을 평가했기 때문이다.
이성분 배합물의 MFFT는 실온에서보다 현저히 더 높았기 때문에, 6%와 8% 습윤 가소제 수준과의 배합물을 제조하고 이의 MFFT를 측정하기로 결정하였다. 이러한 시험의 결과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발전된 데이터는 꽤 흥미로웠고 다소 예상치 못한 것이었다. 모노 및 디벤조에이트는 예상될 수 있는 바와 같이 MFFT를 현저히 감소시켰다. 흥미롭게도, TMPDMB와 포뮬레이션된 필름은 다른 필름들에 비해 모든 응집제 수준에서 현저히 더 높은 MFFT를 지녔다. 또한, TMPDMB 필름은, 스티렌화된 아크릴 폴리머 에멀젼과의 TMPDMB의 불량한 상용성에 의해 초래된 얼룩덜룩한 필름 품질로 인해 MFFT 바에 대하여 판독하기가 특히 어려웠다. 이러한 분명한 비상용성 때문에, 남아있는 평가 부분의 경우에는 TMPDMB의 사용을 중단하였다. Carbitol 및 Butyl Cellusolve는 MFFT를 증가시키지도 감소시키지도 않았다. 이는 기본 폴리머와의 비상용성 정도를 시사할 것이다. X-20(디벤조에이트 삼중배합물)은 X-613(본 발명의 모노벤조에이트)와 같이 MFFT 억제에 있어서 특히 효과적인 것으로 보였다. 이러한 효과는 다른 폴리머에서 주지되었다.
이러한 평가에서 다음 단계는 실험 가소제/응집제가 이성분 배합물에서의 시험 수준에서 기본적인 출발 포뮬레이션에 필요한 것으로 수행될 수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실시예 3 - 오버프린트 바니시
점도 반응
가소제/응집제(4%의 사용 수준에서)를 표 1에 열거된 기본적인 출발 포뮬레이션에 혼입하였다. 점도 반응 및 건조 필름 특성을 측정하였다.
표 1. 기본적인 오버프린트 바니시 포뮬레이션
Figure pct00003
기본 에멀젼의 점도 반응은 시험된 가소제/응집제의 상용성에 대한 지표이다. 도 7은 1일 에이징에서 4% 가소제/응집제로 얻어진 OPV 점도 반응을 도시한 것이다. 디벤조에이트 OPV의 점도는 모두 예상된 범위 내에 있었다. 즉, 삼중배합물 X 20, 본 발명의 모노벤조에이트 X 613 및 이중배합물 X 250은 DEGDB, 2-EHB, 및 BC(디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100-150mPa 범위 내)와 비슷하였다. DPM에 대한 점도 반응은 더 낮았다. 이러한 응집제는 수용성이고, 폴리머로 분할되지 않았다(적어도 완전히는 아님).
4% 대신에 6% 응집제를 지니는 OPV 포뮬레이션에서 디벤조에이트를 선택하는 점도 반응을 또한 측정하였다. X-250과 X-20 OPV 둘 모두는 250mPa·s의 점도를 지녔고, 이는 비교적 낮은 첨가 수준(2% 증가)이 이러한 유형의 가소제/응집제를 지니는 OPV 점도에 대하여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입증하는 것이다.
MFFT
표 2는 OPV 포뮬레이션에 대하여 얻어진 MFFT를 기재한 것이다. 포뮬레이션 모두가 실온 조건에서 필름을 잘 형성시켰다. 수용성 응집제 유형은 MFFT 억제에 더욱 효과적이었다. MFFT 저하는 에테르보다 디벤조에이트의 경우에 다소 낮기 때문에, 상기 논의된 두 디벤조에이트 배합물(X250과 X20)에 대한 6중량%에서 투여된 OPV의 MFFT를 또한 측정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또한 표 2에 기재되어 있으며, 추가 2% 미만이 에테르와 유사한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서 필수적일 것임을 나타낸다. 가장 유사하게는, 2% 추가 가소제가 완전한 성능 특징의 요망되는 발달을 달성하기 위해서 필수적이지 않을 것이다.
표 2. 최소 필름 형성 온도
Figure pct00004
건조 시간
휘발성 응집제 대신 실제 가소제의 사용과 관련되어 해결되는 한 가지 문제는 건조 시간과 같은 파라미터에 대한 영향이다. OPV의 건조한 촉감에 대한 시간을 측정하였고, 이는 도 8에 나타나 있다. 휘발성과 비-휘발성 가소제 또는 응집제 간에는 건조 시간에 유의한 차이가 주지되지 않았음을 주지하라.
광택도
도 9는 OPV에 대하여 얻어진 광택도 데이터를 기재한 것이다. 응집제의 존재 또는 부재의 포뮬레이션 간의 20°광택도 값에는 거의 차이가 없었다. 이는 전체 포뮬레이션에서의 광택도 뿐만 아니라 응집제/가소제 수준에 대한 용액 수지의 사용 및 이의 기여로 인한 듯하다.
내수성 및 내알칼리성
표 3, 4 및 5는 평가 OPV의 내수성 및 내알칼리성을 기재한 것이다. 레네타 3B 차트에 대한 초기 1일 OPV의 내수성은 3일 동안 에이징된 필름만큼 거의 우수하지 않았다. 벤조에이트 가소화된 필름의 초기 내수성은, 가소제가 일반적으로 필름의 내수성을 개선시킬 것이기 때문에, 예상되는 바와 같이 우수하지 않았다. 포뮬레이션에서 다른 요인이 OPV에서 내성을 야기하는 것으로 보인다. 3일 후에 내수성은 개선되었다. 점토 코팅된 보드에 대하여, 벤조에이트 필름은 우수한 초기 내수성을 지닌다.
내알칼리성의 경우에, 적절하게 응집된 필름은 응집제 또는 가소제가 없는 필름보다 약간 더 우수하게 기능하는 것으로 보였다.
표 3. 내수성 - 레네타 3B 기재
Figure pct00005
등급 시스템 - 5 가장 우수; 1 가장 우수하지 않음
표 4. 내수성 - 점토 코팅된 보드 기재
Figure pct00006
표 5. 내알칼리성 - 점토 코팅된 보드 기재
Figure pct00007
경도
도 10은 OPV에 대하여 얻어진 경도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가소제는 흔히 코팅에서 좋지 않은 평가를 받았는데, 그 이유는 이들이 응집제보다 영구적이기 때문에 이들은 필름에 너무 많이 머무르고 연화시켜 불량한 성능을 초래할 것이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도 10에 나타나 있는 데이터는 "너무 연질인" 의견과는 대조적인데, 이는 이것이 일반적으로 그릇된 의견임을 반증하는 것이다. 응집제 기대치를 충족시키는 적절하게 포뮬레이션된 코팅에서, 저 VOC 가소제/응집제는 불필요하게 너무 많이 연화시키지 않을 것이다. 6% 가소제 필름은 다소 더 연질이지만, 이들은 다소 과응집된다. 덜할수록 더 우수하고 허용가능하다. 4% OPV는 모두 더욱 더 휘발성의 응집된 OPV와 유사하다.
실시예 4 - 수계 잉크
기본적으로 수계 잉크는 색이 부가된 OPV이다. 잉크를 하기 표 6에 기재된 기본적인 포뮬레이션을 이용한 각각의 응집제/가소제를 기초로 하여 제조하였다.
표 6. 베이직 블루 수계 잉크 포뮬레이션
Figure pct00008
잉크를 동일한 응집제/가소제 유형을 지니는 OPV하에 사용하였다. 각각의 경우에, 가소제/응집제는 잉크 및 OPV 중에 4%로 존재하였다. 이러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모노벤조에이트 X-613에 초점을 두고 있다.
잉크에 대하여 얻어진 점도는 "응집제가 없는" 잉크의 경우에 317mPa·s, X-613 잉크의 경우에 758mPa·s, DPM 잉크의 경우에 411mPa·s 및 C 잉크의 경우에 251mPa·s였다. 또한, 더 낮은 점도가 수용성 응집제를 지니는 잉크의 경우에 주지되었다.
핸드 프루퍼로 제조된 프린트에 대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다. 잉크에 대한 광택도, 럽 내성, 접착성 및 색 농도를 OPV를 잉크 상에 두고 건조시킨 후에 수행하였다.
광택도
표 7은 잉크 상의 OPV에 대하여 얻어진 광택도 데이터를 기재한 것이다. 가소제/응집제는 광택도를 개선시켰다. X-250은 이와 관련하여 가소제 중에 가장 우수했고, 에테르 응집제와 유사하였다.
표 7. 잉크 및 OPV의 20°광택도 - 레네타 3B 기재
Figure pct00009
표 8은 레네타 3B 및 폴리프로필렌 필름 상에서 잉크, 및 OPV로 코팅된 잉크에 대하여 얻어진 럽 데이터를 기재한 것이다. OPV는 필름의 럽 내성을 상당히 개선시켰다. 평가 잉크와 OPV 간에는 성능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주지되지 않았다.
표 8. 럽 시험
Figure pct00010
접착성
표 9, 10 및 11은 OPV/잉크에 대하여 얻어진 테이프 접착성 데이터를 기재한 것이다. 밀봉된 기재 상에서, 응집된 필름은 초기와 건조 3일 후 둘 모두에서 더 우수하게 기능하는 것으로 보인다. 에이징된 필름은 점토 코팅된 물품 상에서 잘 수행되었다.
표 9. 레네타 3B 기재 상의 OPV 및 잉크에 대한 테이프의 접착성
Figure pct00011
등급 = 5A는 가장 우수한 것이고, 1A는 가장 불량한 것임.
표 10. 점토 코팅된 보드 기재 상의 OPV 및 잉크에 대한 테이프의 접착성
Figure pct00012
표 11. 산화된 폴리프로필렌 기재 상의 OPV 및 잉크에 대한 테이프의 접착성
Figure pct00013
등급 = 5B는 가장 우수한 것이고 0B는 가장 불량한 것임.
색 농도
잉크에 대하여 얻어진 Dc는 크게 다르지 않았다. 이들은 OPV 및 잉크의 평가에 대하여 1.23 내지 1.28의 범위였다.
상기 실시예는 이성분 배합물, OPV 및 잉크에서 저 VOC 응집제/가소제의 사용에 관한 기본적인 분석을 예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디벤조에이트 X-613은 이것이 탁월한 보다 낮은 VOC 가소제/응집제임을 입증하였다. 또한, 이는 비-프탈레이트 및 비-에테르이다.
시험된 대조 응집제 중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된 TMPDMB는 사용된 기본 폴리머와 제한된 상용성을 지니므로 이러한 유형의 OPV 및 수계 잉크에 대하여 우수한 선택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BCL 및 C는 또한 상용성 및 유용성에서 제한되었다.
실시예 5 및 6 - 페인트 평가
실험 방법
시험된 코팅:
반-광택 아크릴(Rhoplex™ SG-30) 및 비닐 아크릴 플랫 페인트(UCAR® 379 G)를 시험하였다.
코팅에 대한 중요한 파라미터는 하기 기재되어 있다:
비닐 아크릴 플랫 페인트 - 고형물 부피 = 34.8% 및 PVC = 58%
아크릴 반광택 - 고형물 부피 = 33.7% 및 PVC = 29.8%
하기 응집제/가소제를 평가하였다:
TMPDMB - 2,2,4-트리메틸-1,3-펜탄디올 모노이소부티레이트
TEGDO -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2-에틸 헥사노에이트
X-613 - 본 발명의 모노벤조에이트, 3-PPB
페인트/코팅 시험. 페인트 평가는 하기 측정으로 구성되었다:
WPG, pH, 광택도, 및 하이드(Hide)를 포함한, 물리적 특성
성능 특성, 예컨대, 블록 내성, 스크럽 내성, 건조-시간, 오픈-타임/습윤 엣지, 열 에이징 안정성, 저온 터치-업, 저온 공극률, 머드크랙 내성 및 동결-융해 안정성.
시험 방법에 대한 세부 사항은 하기 표 12에 기재되어 있다:
표 12. 이용된 시험 방법의 요약
Figure pct00014
실시예 5 - 반광택 아크릴
하기 표 13은 상기 주지된 가소제/응집제 및 블랭크를 사용한 반광택 아크릴에 대한 물리적 특성 측정치를 보여주는 것이다.
표 13. 물리적 특성, 반광택 아크릴
Figure pct00015
결과는 산업 표준 응집제 및 저 VOC 함량을 지니는 것으로 청구된 것(TEGDO)을 포함한 여러 응집제와 비교한 3-PPB에 대한 동등한 성능을 보여주는 것이다.
하기 표 14는 평가된 다양한 가소제/응집제에 대한 반광택 아크릴의 레올로지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다.
표 14. 레올로지, 반광택 아크릴
Figure pct00016
또한, 결과는 3-PPB가 동등한 성능을 지닌다는 것을 보여준다.
표 15. 하이드, 반광택 아크릴
Figure pct00017
표 15는 반광택 아크릴의 하이드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다. 하이드 결과는 기재를 완전히 덮는 코팅의 능력을 반영하는 것이다.
도 11은 평가된 가소제/응집제에 대한 1-일(RT 및 120℉)에서의 반광택 아크릴의 블록 내성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3-PPB는 이 시험에서 매우 잘 수행되었는데, 시험된 샘플들 간에 실제 차이가 없었다. 3-PPB는 TMPDMB보다 더 낮지만 TEGDO보다 더 높은 VOC 함량 가소제/응집제이다. 이러한 블록 내성 결과는 중요한데, 그 이유는 그러한 결과가, 휘발성 물질보다 높은 영구성(더 낮은 휘발성)을 지니는 것으로 여겨지는 가소제는 연화됨으로써 불량한 블록킹 특징뿐만 아니라 그 밖의 특징, 예컨대, 보다 낮은 쾨니히 경도를 지니는 전형적인 예에 반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데이터는 패러다임이 벤조에이트 패밀리의 가소제에 관해서라면 틀리다는 것을 입증하는 것이다.
도 12는 평가된 가소제/응집제에 대한 7-일(RT 및 120℉)에서의 반광택 아크릴의 블록 내성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다. 3-PPB는 TMPDMB 및 TEGDO보다 훨씬 더 우수한 탁월한 성능을 입증하였다.
도 13은 평가된 가소제/응집제에 대한 반광택 아크릴의 스크럽 내성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다. 결과는 3-PPB가 적어도 산업 표준인 TMPDMB만큼 우수하고, TEGDO보다 약간 더 우수하게 매우 잘 수행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하기 표 16은 평가된 가소제/아크릴에 대한 반광택 아크릴의 건조 시간(분)을 보여주는 것이다. 더 빠를수록 우수하지만, 오픈 타임에 대해서는 균형이 이루어져야 한다. 결과는 3-PPB가 다른 평가된 가소제/응집제와 유사하게 수행되었음을 보여준다.
표 16. 건조 시간, 반광택 아크릴
Figure pct00018
도 14는 평가된 가소제/응집제에 대한 반광택 아크릴의 오픈-타임, 웨트 엣지를 보여주는 것이다. 결과는 3-PPB가 적어도 다른 가소제/응집제만큼 우수하게, 그리고 일부 경우에는 보다 우수하게 수행됨을 보여준다.
도 15의 15a 및 15b는 평가된 가소제/응집제에 대한 반광택 아크릴의 델타 점도 및 델타 E 둘 모두에서의 열 에이징 안정성 결과 및 색 변이를 각각 보여주는 것이다. 점도 변화 또는 델타 E 면에서 다양한 가소제/응집제 간에는 큰 차이가 인지되지 않았다.
도 16은 평가된 가소제/응집제에 대한 반광택 아크릴의 머드크랙 내성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다. 결과는 주위 밀봉, 주위 비밀봉, 40℉ 밀봉 및 40℉ 비밀봉에 대하여 보고한 것이었다. 평가된 임의의 가소제/응집제 간에는 기본적인 차이가 없었다.
하기 표 17은 평가된 가소제/응집제에 대한 반광택 아크릴의 저온 필름 형성/공극률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다. 결과는 3-PPB에 대한 성능 이점을 보여주고 있다.
표 17. 저온 필름 형성/공극률, 반광택 아크릴
Figure pct00019
도 17은 평가된 가소제/응집제에 대한 반광택 아크릴의 저온 터치-업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기본적으로, 평가된 다양한 가소제/응집제 간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TMPDMB 및 3-PPB는 색에 있어서 TEGDO에 비해 약간 이점을 나타냈다.
반광택 아크릴의 동결-융해 안정성 결과는 모든 샘플에서 동결-융해 안정성 실패를 나타냈다.
실시예 6 - 비닐 아크릴 플랫 페인트
하기 표 18, 19(레올로지) 및 20(하이드)은 평가된 가소제/응집제에 대한 비닐 아크릴 플랫 페인트의 물리적 특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결과는 평가된 다양한 가소제/응집제 간에 차이가 없음을 보여주고 있다.
도 18. 물리적 특성, 비닐 아크릴 플랫
Figure pct00020
표 19. 레올로지, 비닐 아크릴 플랫
Figure pct00021
표 20. 하이드, 비닐 아크릴 플랫
Figure pct00022
도 18은 평가된 가소제/응집제에 대한 비닐 아크릴 플랫 페인트의 블록 내성 7-일 결과(RT 및 120℉)를 보여주는 것이다. 평가된 가소제/응집제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도 19는 평가된 가소제/응집제에 대한 비닐 아크릴 플랫 페인트의 스크럽 내성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다. 다양한 가소제/응집제 간에는 현저한 차이가 없었다.
하기 표 21은 평가된 가소제/응집제에 대한 비닐 아크릴 플랫 페인트의 건조 시간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3-PPB는 보다 오랜 건조 시간을 지녔지만, 이는 웨트 엣지/오픈 타임 결과의 경우에 이점일 수 있다.
표 21. 건조 시간, 비닐 아크릴 플랫
Figure pct00023
도 20은 평가된 가소제/응집제에 대한 비닐 아크릴 플랫 페인트의 오픈-타임/웨트-엣지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3-PPB로 일부 웨트 엣지 이점이 있을 수 있다.
도 21의 21a 및 21b는 평가된 가소제/응집제에 대한 비닐 아크릴 플랫 페인트의 델타 점도와 델타 E 둘 모두의 열 에이징 안정성 및 색 변이 결과를 각각 보여주는 것이다. 결과는 3-PPB가 다른 가소제/응집제와 비슷하게 수행되었음을 보여준다.
도 22는 평가된 가소제/응집제에 대한 비닐 아크릴 플랫 페인트의 머드크랙 내성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다. 결과는 주위-밀봉; 주위-비밀봉; 40℉-밀봉, 및 40℉-비밀봉에 대하여 얻어진 것이었다. 결과는 모든 가소제/응집제가 동등하였음을 보여주었다.
표 22는 평가된 가소제/응집제에 대한 비닐 아크릴 플랫 페인트의 저온 필름 형성/공극률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다. 결과는 모든 가소제/응집제가 블랭크보다 우수하게 수행되었음을 보여준다. 3-PPB는 잘 수행되었지만, 다른 샘플들만큼 많이 우수하지는 않았는데, 이는 비닐 아크릴 플랫 페인트에서의 필름 형성에서 효율적이 아니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표 22. 저온 필름 형성/공극률, 비닐 아크릴 플랫
Figure pct00024
도 23은 평가된 가소제/응집제에 대한 비닐 아크릴 플랫 페인트의 저온 터치-업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다. 결과는 보드간에 유사한 성능을 보여준다.
비닐 아크릴 플랫 페인트에 대한 동결-융해 안정성 결과는 모든 샘플에서 동결-융해 안정성 실패는 보여주었다.
상기 결과는 3-PPB가 폴리머 코팅 적용에서 가소제/응집제로서 사용하기 위한 실현가능한 저 VOC 대체물임을 입증한다.
특허 규정에 따라, 가장 우수한 방식 및 바람직한 구체예가 기술된 것이고; 본 발명의 범위는 이로 제한되지 않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한된다.

Claims (16)

  1. 3-페닐 프로필 벤조에이트를 포함하는, 페인트 및 다른 폴리머-기반 코팅에서 보다 낮은 VOC 가소제/응집제로서 사용하기 위한, 모노벤조에이트.
  2. 3-페닐 프로필 벤조에이트인 가소제를 포함하는 폴리머-기반 코팅 조성물로서, 3-페닐 프로필 벤조에이트가 통상의 가소제/응집제에 비해 얻어지는 것과 비교해 볼 때, 비슷하거나 그보다 우수한 필름 형성, 광택, 경도, 내수성, 블록 내성, 및 스크럽 내성(scrub resistance)을 부여하는, 폴리머-기반 코팅 조성물.
  3. 3-페닐 프로필 벤조에이트인 가소제/응집제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페인트 포뮬레이션(formulation).
  4. 3-페닐 프로필 벤조에이트를 포함하는, 수계 오버프린트 바니시(waterborne overprint varnish) 및 잉크를 위한, 모노벤조에이트 응집제.
  5. 폴리머 분산물, 및 3-페닐 프로필 벤조에이트인 응집제를 포함하는, 오버프린트 바니시 조성물.
  6. a. 폴리머 분산물; 및
    b. 약 2중량% 내지 약 8중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는 3-페닐 프로필 벤조에이트인 저 VOC 응집제를 포함하는, 수계 오버프린트 바니시 조성물.
  7.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폴리머 분산물이 스티렌화된 아크릴계 폴리머를 포함하는 조성물.
  8. 폴리머 분산물, 및 3-페닐 프로필 벤조에이트인 저 VOC 응집제를 포함하는, 수계 잉크 조성물.
  9. a. 폴리머 분산물;
    b. 3-페닐 프로필 벤조에이트인 저 VOC 응집제; 및
    c. 안료를 포함하는, 수계 잉크 조성물로서,
    응집제가 약 2중량% 내지 약 8중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는, 수계 잉크 조성물.
  10.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폴리머 분산물이 스티렌화된 아크릴계 폴리머를 포함하는 조성물.
  11.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비닐 아세테이트 에틸렌, 비닐 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레이트, 스티렌 아크릴레이트, 폴리우레탄, 비닐 클로라이드 코- 및 터-폴리머, 버사트산(versatic acid)의 비닐 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수계 폴리머 조성물에서 사용하기 위한, 모노벤조에이트 가소제/응집제로서, 모노벤조에이트가 3-PPB인, 모노벤조에이트 가소제/응집제.
  12. 아크릴,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비닐 아세테이트 에틸렌, 메타크릴레이트, 스티렌 아크릴레이트, 에폭시, 폴리아미드, 니트로셀룰로오스, 비닐 클로라이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비-수성 기반 폴리머 조성물에서 사용하기 위한, 모노벤조에이트 가소제/응집제로서, 모노벤조에이트가 3-PPB인, 모노벤조에이트 가소제/응집제.
  13. 최대 C5의 프탈레이트, 최대 C4의 테레프탈레이트,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폴리에스테르, 시트레이트, 이소부티레이트, 설폰아미드, 설폰산 에스테르, 에폭시 가소제, 벤조에이트 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조합된 3-PPB를 포함하는 폴리머 코팅에서 사용하기 위한, 가소제/응집제의 배합물.
  14. 수크로오스 벤조에이트, 디사이클로헥실 프탈레이트, 트리페닐 포스페이트, 글리세롤 트리벤조에이트, 1,4-사이클로헥산 디메탄올(CHDM) 디벤조에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벤조에이트, 알킬 글리콜 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고형 가소제와 조합된 3-PPB를 포함하는 폴리머 코팅 조성물에서 사용하기 위한 가소제/응집제의 배합물.
  15. 폴리머 분산물 및 3-PPB를 포함하는, 손톱 광택제 조성물.
  16. 3-페닐 프로필 벤조에이트를 단독으로, 또는 다른 가소제와 조합하여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페인트, 오버프린트 바니시, 잉크 및 다른 코팅의 필름 형성 특성을 개선시키는 방법.
KR1020147025554A 2012-02-14 2013-02-14 폴리머 분산물에서 가소제/응집제로서 유용한 모노벤조에이트 KR1016261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598372P 2012-02-14 2012-02-14
US61/598,372 2012-02-14
PCT/US2013/026083 WO2013123149A2 (en) 2012-02-14 2013-02-14 Monobenzoate useful as a plasticizer/coalescent in polymeric dispers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6374A true KR20140126374A (ko) 2014-10-30
KR101626123B1 KR101626123B1 (ko) 2016-05-31

Family

ID=48984679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5747A KR20140131538A (ko) 2012-02-14 2013-02-14 플라스티솔 조성물에서 가소제로서 유용한 모노벤조에이트
KR1020147025554A KR101626123B1 (ko) 2012-02-14 2013-02-14 폴리머 분산물에서 가소제/응집제로서 유용한 모노벤조에이트
KR1020147025548A KR20140131537A (ko) 2012-02-14 2013-02-14 접착제 제조에서 가소제로서 유용한 모노벤조에이트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5747A KR20140131538A (ko) 2012-02-14 2013-02-14 플라스티솔 조성물에서 가소제로서 유용한 모노벤조에이트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5548A KR20140131537A (ko) 2012-02-14 2013-02-14 접착제 제조에서 가소제로서 유용한 모노벤조에이트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3) US20150025187A1 (ko)
EP (3) EP2841512A4 (ko)
JP (4) JP5985660B2 (ko)
KR (3) KR20140131538A (ko)
CN (3) CN104080850A (ko)
AU (3) AU2013221533B2 (ko)
BR (3) BR112014020080A8 (ko)
CA (3) CA2864252C (ko)
IN (2) IN2014DN06861A (ko)
MX (3) MX2014009821A (ko)
RU (3) RU2584011C2 (ko)
SG (3) SG11201404896SA (ko)
WO (3) WO2013123149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74220B2 (en) * 2015-10-02 2022-03-15 The Chemours Company Fc, Llc Hydrophobic extenders in non-fluorinated surface effect coating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93389B2 (en) 2011-09-19 2018-06-12 Fenwal, Inc. Red blood cell products and the storage of red blood cells in containers free of phthalate plasticizer
US20150025187A1 (en) * 2012-02-14 2015-01-22 Emerald Kalama Chemical, Llc Monobenzoate useful as a plasticizer/coalescent in polymeric dispersions
US11160728B2 (en) 2014-02-20 2021-11-02 Fresenius Kabi Deutschland Gmbh Medical containers and system components with non-DEHP plasticizers for storing red blood cell products, plasma and platelets
US10995198B2 (en) 2014-09-26 2021-05-04 Emerald Kalama Chemical, Llc Monobenzoate analogs useful as plasticizers in plastisol compositions
WO2016049479A1 (en) * 2014-09-26 2016-03-31 Emerald Kalama Chemical, Llc Monobenzoate analogs useful as plasticizers in plastisol compositions
DE102015200498A1 (de) 2015-01-14 2016-07-14 Wacker Chemie Ag Wässrige Polymerdispersionen für Adhäsive
CN105086236B (zh) * 2015-08-14 2017-07-11 联塑科技发展(贵阳)有限公司 一种硬质聚氯乙烯(u‑pvc)塑料及其管件和制作方法
CN105733491A (zh) * 2016-04-18 2016-07-06 广东普赛达密封粘胶有限公司 一种低tvoc聚氨酯耐候密封胶及其制备方法
MX2018014819A (es) * 2016-06-01 2019-08-21 S Kang Hack Revestimiento de plastisol alternativo de pvc de termofusion ultra baja y tinta de impresión textil.
MX2018014820A (es) 2016-06-01 2019-12-19 S Kang Hack Revestimiento de plastisol de pvc de termofusión ultra baja y tinta de impresión textil.
CN109153815B (zh) 2016-12-12 2020-10-02 株式会社Lg化学 增塑剂组合物和包含该增塑剂组合物的树脂组合物
US11535769B1 (en) 2016-12-29 2022-12-27 Henkel Ag & Co. Kgaa Solvent free vinyl plastisol composition
KR102236923B1 (ko) * 2017-12-04 2021-04-07 주식회사 엘지화학 가소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US20210198449A1 (en) * 2018-06-07 2021-07-01 Eastman Chemical Company Highly filled plastisols
WO2020004001A1 (ja) * 2018-06-28 2020-01-02 Dic株式会社 水性樹脂組成物、コーティング剤、及び物品
US10793807B2 (en) * 2018-07-19 2020-10-06 International Flavors & Fragrances Inc Organoleptic compounds
EP3861071A4 (en) * 2018-10-04 2022-07-20 Fardanov, Aleksandra FLAVORED PLASTISOL BASED ON LIPOPHILIC POLYMER-FREE POLYVINYL CHLORIDE
KR102211886B1 (ko) * 2019-04-03 2021-02-03 성원판지 주식회사 자체 접착 밀봉되는 친환경 종이 포장재
EP3946249A4 (en) * 2019-04-05 2023-01-18 Emerald Kalama Chemical, LLC MULTIFUNCTIONAL LOW VOC ADDITIVES TO IMPROVE THE PROPERTIES OF AQUEOUS POLYMERIC FILM

Family Cites Families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99214A (en) * 1932-02-10 1933-02-28 Eastman Kodak Co Cellulose organic ester composition containing phenylethyl benzoate
GB546716A (en) * 1941-01-25 1942-07-28 John Heron Mcgill Production of improved coatings on fabric supports
GB1155572A (en) * 1965-08-28 1969-06-18 Bridgestone Tire Co Ltd Adhesives for Tyre Cords
GB1103681A (en) * 1966-01-28 1968-02-21 Geigy Uk Ltd Chemical compositions
GB1321383A (en) * 1970-11-12 1973-06-27 Sheller Globe Corp Vinyl chloride resin moulding compositions
US3987001A (en) * 1975-02-03 1976-10-19 Chevron Research Company Ultraviolet protectorant composition
JPS6357550A (ja) * 1986-08-28 1988-03-12 Chisso Corp 安定化エステル系可塑剤の製造方法
US5236987A (en) * 1987-07-02 1993-08-17 Velsicol Chemical Corporation Isodecyl benzoate coalescing agents in latex compositions
US5102654A (en) * 1990-04-18 1992-04-07 Revlon, Inc. Nail enamel emulsion lacquer comprising a water phase and a lacquer phase
US5747573A (en) * 1994-02-07 1998-05-05 H. B. Fuller Licensing & Financing, Inc. High heat resistant hot melt adhesive
US5728760A (en) * 1995-04-11 1998-03-17 Great Lakes Chemical Corporation Use of ring-brominated benzoate compounds as flame retardants and/or plasticizers
JPH0948745A (ja) * 1995-08-04 1997-02-18 Kuraray Co Ltd カルボン酸エステルの製造法
US6300400B1 (en) * 1997-04-18 2001-10-09 Illinois Tool Works Inc. Wallboard adhesive
FR2766834B1 (fr) * 1997-07-29 1999-10-08 Eurocopter France Composition adhesive pour le collage a chaud et procede de collage permettant sa mise en oeuvre
US5990214A (en) 1997-07-31 1999-11-23 Velsicol Chemical Corporation Liquid glycol benzoate compositions
US5965111A (en) * 1998-05-01 1999-10-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ast drying water-borne nail polish
US6221571B1 (en) * 1998-12-10 2001-04-24 Eastman Kodak Company Silver halide light-sensitive element
US6130031A (en) * 1998-12-11 2000-10-10 Eastman Kodak Company Photographic element containing a benzolylacetanilide DIR coupler
US6689830B1 (en) * 1999-10-15 2004-02-10 Velsicol Chemical Corporation Film forming compositions containing benzoic acid esters of 8-carbon alcohols as additives
JP2002194159A (ja) * 2000-12-25 2002-07-10 Kanegafuchi Chem Ind Co Ltd 塩化ビニル系ペースト樹脂組成物およびディスポーザブル手袋
US6537530B2 (en) * 2001-01-26 2003-03-25 Tevco, Inc. Phthalate free nail polish enamel composition employing novel plasticizers
CN100506928C (zh) * 2001-02-22 2009-07-01 瓦尔斯巴尔探寻股份有限公司 含有低挥发性化合物的涂料组合物
US6939551B2 (en) * 2001-05-21 2005-09-06 Coty Inc. Cosmetic films
US7056966B2 (en) * 2001-08-30 2006-06-06 Velsicol Chemical Corporation Liquid benzoate ester compositions and aqueous polymer compositions containing same as plasticizers
JP2003334441A (ja) * 2002-03-13 2003-11-25 Kyoeisha Chem Co Ltd カルボン酸エステル化用固体酸触媒
US20030185774A1 (en) * 2002-04-02 2003-10-02 Dobbs Suzanne Winegar Cosmetic coating composition comprising carboxyalkyl cellulose ester
US7071252B2 (en) * 2002-09-12 2006-07-04 Velsicol Chemical Corporation Plasticizer compositions for non-aqueous plastisols
DE10249912A1 (de) * 2002-10-26 2004-05-06 Oxeno Olefinchemie Gmbh Benzoesäureisodecyclestergemische,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US7285587B2 (en) * 2002-12-20 2007-10-23 Eastman Chemical Company Flame retardant polyester compositions for calendering
US7166275B2 (en) * 2003-07-11 2007-01-23 Isp Investments Inc. Compositions containing phenethyl aryl esters as solubilizing agents for active organic compounds
US20050152858A1 (en) * 2003-07-11 2005-07-14 Isp Investments Inc. Solubilizing agents for active or functional organic compounds
DE10336150A1 (de) * 2003-08-07 2005-03-10 Oxeno Olefinchemie Gmbh Schäumbare Kompositionen, die Benzoesäureisononylester aufweisen
DE10341428A1 (de) * 2003-09-09 2005-03-31 Oxeno Olefinchemie Gmbh Verwendung von Isononylbenzoaten als Filmbildehilfsmittel
EP1713432A2 (en) * 2004-01-14 2006-10-25 Finetex, Inc. Phenylethyl benzoate for use in cosmetics, toiletries and personal care products
RU2401847C2 (ru) * 2005-01-18 2010-10-20 Эксонмобил Кемикэл Пейтентс Инк.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ия, касающиеся пластификаторных композиций
US20060241197A1 (en) * 2005-04-25 2006-10-26 Velsicol Chemical Corporation Plasticizer compositions for flexible closed cell foams
US8034860B2 (en) * 2006-07-21 2011-10-11 Eastman Specialties Holdings Corporation Organosol plastisol compositions
WO2008014505A2 (en) * 2006-07-28 2008-01-31 Isp Investments Inc. Blends for improved solubilization of active and functional organic compounds
DE102006038715A1 (de) * 2006-08-18 2008-02-21 Evonik Röhm Gmbh Plastisole auf Basis eines Methylmethacrylat-Mischpolymerisats
US7812080B2 (en) * 2006-12-06 2010-10-12 Genovique Specialties Holdings Corporation Low-color foam compositions
JP2008231370A (ja) * 2007-03-23 2008-10-02 Mitsubishi Rayon Co Ltd 重合体粒子、その製造方法、プラスチゾル組成物および物品
JP5015648B2 (ja) * 2007-04-11 2012-08-29 サイデン化学株式会社 光学用粘着剤組成物および光学機能性フィルム
US20090292058A1 (en) * 2008-05-23 2009-11-26 Velsicol Chemical Corporation Aqueous Polymer Compositions Exhibiting Increased Open Time With Reduced Level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US20110028624A1 (en) * 2009-07-30 2011-02-03 Genovique Specialties Holdings Corporation Polymer Compositions That Include High Solvating Plasticizer And Surfactant
US20110118362A1 (en) * 2009-11-13 2011-05-19 Randal Dull Polymers for cardiopulmonary therapies
BR112013016920B1 (pt) 2010-12-30 2021-06-29 Emerald Kalama Chemical, Llc Aditivo de mistura tripla coalescente de baixo voc para uso em uma composição de revestimento polimérica e composição de revestimento de baixo voc
US20150025187A1 (en) * 2012-02-14 2015-01-22 Emerald Kalama Chemical, Llc Monobenzoate useful as a plasticizer/coalescent in polymeric dispersion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74220B2 (en) * 2015-10-02 2022-03-15 The Chemours Company Fc, Llc Hydrophobic extenders in non-fluorinated surface effect coatin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4136798A (ru) 2016-04-10
CN104619430A (zh) 2015-05-13
KR20140131538A (ko) 2014-11-13
US20150025187A1 (en) 2015-01-22
CA2864240A1 (en) 2013-08-22
WO2013123149A2 (en) 2013-08-22
RU2601458C2 (ru) 2016-11-10
KR101626123B1 (ko) 2016-05-31
BR112014015883B1 (pt) 2021-05-11
CA2864252C (en) 2016-08-09
CN104704077A (zh) 2015-06-10
AU2013221560A1 (en) 2014-06-26
AU2013221533A1 (en) 2014-08-28
US9725573B2 (en) 2017-08-08
EP2841512A4 (en) 2016-03-09
KR20140131537A (ko) 2014-11-13
CA2863431C (en) 2017-03-21
WO2013123127A1 (en) 2013-08-22
EP2841512A2 (en) 2015-03-04
EP2814878B1 (en) 2018-05-23
BR112014020199A8 (pt) 2017-07-11
US20140275376A1 (en) 2014-09-18
BR112014020080A2 (ko) 2017-06-20
CN104080850A (zh) 2014-10-01
IN2014DN06861A (ko) 2015-05-22
CA2863431A1 (en) 2013-08-22
AU2013221533B2 (en) 2015-11-26
MX2014009821A (es) 2015-03-03
JP2016188372A (ja) 2016-11-04
BR112014015883A8 (pt) 2017-07-04
AU2013221582B2 (en) 2016-01-21
SG11201404896SA (en) 2014-12-30
US20150038625A1 (en) 2015-02-05
CA2864252A1 (en) 2013-08-22
EP2814878A1 (en) 2014-12-24
WO2013123188A3 (en) 2015-03-12
EP2814894A2 (en) 2014-12-24
JP2015506409A (ja) 2015-03-02
MX2014008582A (es) 2014-08-22
BR112014020080A8 (pt) 2017-07-11
SG11201403068VA (en) 2014-09-26
EP2814878A4 (en) 2015-07-29
MX2014009820A (es) 2014-09-25
IN2014DN06860A (ko) 2015-05-22
BR112014015883A2 (pt) 2017-06-13
JP2015518057A (ja) 2015-06-25
BR112014020199A2 (ko) 2017-06-20
AU2013221582A1 (en) 2014-08-28
EP2814894A4 (en) 2016-03-09
JP2015518058A (ja) 2015-06-25
RU2014136797A (ru) 2016-04-10
WO2013123188A2 (en) 2013-08-22
AU2013221560B2 (en) 2015-11-05
JP5985660B2 (ja) 2016-09-06
RU2584011C2 (ru) 2016-05-20
WO2013123149A3 (en) 2015-03-12
RU2014136796A (ru) 2016-04-10
SG11201404897TA (en) 2014-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6123B1 (ko) 폴리머 분산물에서 가소제/응집제로서 유용한 모노벤조에이트
CA2823206C (en) New dibenzoate plasticizer/coalescent blends for low voc coatings
CN113811287B (zh) 用于改善水性聚合物膜特性的低voc多功能添加剂
EP1664210B1 (en) Styrene acrylic copolymer based waterborne coat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