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5835A - 미터 장치 - Google Patents

미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5835A
KR20140125835A KR1020147024606A KR20147024606A KR20140125835A KR 20140125835 A KR20140125835 A KR 20140125835A KR 1020147024606 A KR1020147024606 A KR 1020147024606A KR 20147024606 A KR20147024606 A KR 20147024606A KR 20140125835 A KR20140125835 A KR 201401258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l
upper case
lower case
c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4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6972B1 (ko
Inventor
도모노리 하야시
준 스즈키
츠요시 오구치
마사시 나마이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25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5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6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6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60K35/6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5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cycl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B62J1/00 - B62J45/00
    • B62J50/20Information-providing devices
    • B60K35/215
    • B60K35/5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5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cycl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B62J1/00 - B62J45/00
    • B62J50/20Information-providing devices
    • B62J50/21Information-providing devices intended to provide information to rider or passenger
    • B62J50/22Information-providing devices intended to provide information to rider or passenger electronic, e.g. displ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3/00Component parts of indicators for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3/02Scales; Dials
    • G01D13/04Construction
    • B60K2360/691
    • B60K2360/695
    • B60K2360/822
    • B60K2360/834
    • B60K2360/9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W2300/36Cycles; Motorcycles; Scooters
    • B60W2300/365Scoo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어퍼 케이스와 로어 케이스 사이에 끼워 넣은 문자판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미터 장치를 제공한다.
어퍼 케이스(60)와 로어 케이스(80) 사이에 문자판(120)을 끼워 넣어 상기 어퍼 케이스(60)와 로어 케이스(80)를 서로 걸어 맞춤 고정함으로써 문자판(120)이 정해진 위치에 유지되도록 한 미터 장치(50)에 있어서, 문자판(120)에 판 스프링부(124)를 마련하고, 어퍼 케이스(60)와 로어 케이스(80)를 서로 걸어 맞춤 고정하면, 판 스프링부(124)가 로어 케이스(80)측으로 압박된 상태로 문자판(120)이 정해진 위치에 유지되도록 구성한다. 문자판(120)을 압박하는 힘은, 어퍼 케이스(60)에 마련된 압박 돌기(73)가 판 스프링부(124)를 로어 케이스(80)측으로 압박 변형시킴으로써 생기는 탄발력에 의해 발생한다.

Description

미터 장치{METER APPARATUS}
본 발명은 미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속이나 엔진 회전수 등의 정보를 탑승자에게 전달하기 위해 차량에 부착되는 미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미터 케이스의 내부에 정해진 숫자 등이 인자된 문자판을 고정하고, 이 문자판의 위에서 요동하는 지침에 의해 현재의 차속 등의 정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 지침식의 미터 장치가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차체 상방측에 위치하는 어퍼 케이스와 차체 하방측에 위치하는 로어 케이스로 이루어지는 상하 2분할 구조의 미터 케이스를 갖고, 이 양 케이스 사이에 문자판을 끼워 넣어 양 케이스를 걸어 맞춤함으로써, 미터 케이스 내에 문자판을 고정하도록 한 미터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3-194589호
그런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미터 장치와 같이, 어퍼 케이스와 로어 케이스 사이에 문자판을 끼워 넣어 고정하는 구조에 있어서는, 어퍼 케이스와 로어 케이스의 접촉부나 문자판의 두께 등에 불균일이 있으면, 양 케이스 사이에서 문자판이 덜걱거리거나 접촉부가 접촉하기 어려워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각 부품의 치수 정밀도를 높일 필요가 있었다. 또한, 각 부품의 치수 정밀도를 높인 경우라도, 기온의 영향으로 덜걱거림 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어퍼 케이스와 로어 케이스 사이에 끼워 넣은 문자판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미터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어퍼 케이스(60)와 로어 케이스(80) 사이에 문자판(120)을 끼워 넣어 상기 어퍼 케이스(60)와 상기 로어 케이스(80)를 서로 고정함으로써 상기 문자판(120)이 정해진 위치에 유지되도록 한 미터 장치(50)에 있어서, 상기 문자판(120)에 판 스프링부(124)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어퍼 케이스(60)와 로어 케이스(80)를 서로 고정하면, 상기 문자판(120)은, 상기 판 스프링부(124)가 상기 어퍼 케이스(60)측 또는 상기 로어 케이스(80)측으로 압박된 상태로 상기 정해진 위치에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에 제1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문자판(120)은, 상기 어퍼 케이스(60) 또는 상기 로어 케이스(80)에 마련된 압박 돌기(73)가 상기 판 스프링부(124)를 압박 변형시킴으로써 생기는 탄발력에 의해, 상기 로어 케이스(80)측 또는 상기 어퍼 케이스(60)측으로 압박되는 점에 제2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판 스프링부(124)는, 상기 문자판(120)의 주연에 마련되는 평판부(121)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평판부(121)와, 상기 평판부(121)의 내측에 위치하는 표시부(123) 사이에, 정해진 각도로 구부러지는 굴곡부(122)가 마련되어 있는 점에 제3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어퍼 케이스(60)에는, 투과성의 렌즈(61)를 통해 상기 문자판(120) 중 적어도 일부를 외방으로부터 시인 가능하게 하는 투과부(61a)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굴곡부(122)가, 상기 투과부(61a)의 외연부(61b)보다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점에 제4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문자판(120)의 표시부(123)가, 곡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점에 제5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문자판(120)의 상기 굴곡부(122)보다 외측의 위치에, 상기 로어 케이스(80) 또는 상기 어퍼 케이스(60)에 대한 위치 결정을 행하는 위치 결정 구멍(126)이 마련되어 있는 점에 제6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판 스프링부(124)는, 상기 문자판(120)의 평판부(121)에 2개의 대략 평행한 절입부(125)를 마련함으로써 형성되는 점에 제7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판 스프링부(124)는, 상기 걸어 맞춤부(81)와, 상기 표시부(123) 상에서 회동하는 지침(132)의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D, E) 상에 배치되는 점에 제8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문자판(120)의 판 스프링부(124)에 대향하는 위치의 상기 어퍼 케이스(60) 또는 상기 로어 케이스(80)에, 상기 판 스프링부(124)의 릴리프부가 되는 오목부(90)가 형성되어 있는 점에 제9 특징이 있다.
제1 특징에 따르면, 문자판에 판 스프링부가 마련되어 있고, 어퍼 케이스와 로어 케이스를 서로 고정하면, 상기 문자판은, 판 스프링부가 어퍼 케이스측 또는 로어 케이스측으로 압박된 상태로 정해진 위치에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문자판을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각 부품에 치수 불균일이 생긴 경우라도, 이 불균일 치수가 판 스프링부의 변형에 의해 흡수되기 때문에, 온도의 변화의 영향으로 문자판이 덜걱거리거나 하는 일이 없어, 생산성이나 상품성이 우수한 미터 장치를 얻을 수 있다.
제2 특징에 따르면, 문자판은, 어퍼 케이스 또는 로어 케이스에 마련된 압박 돌기가 판 스프링부를 압박 변형시킴으로써 생기는 탄발력에 의해, 로어 케이스측 또는 어퍼 케이스측으로 압박되기 때문에, 압박 돌기에 의해 판 스프링부를 변형시켜, 문자판을 한쪽측으로 압박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3 특징에 따르면, 판 스프링부는, 문자판의 주연에 마련되는 평판부에 형성되어 있고, 평판부와 상기 평판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표시부 사이에, 정해진 각도로 구부러지는 굴곡부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판 스프링부가 크게 변형된 경우라도 그 변형을 굴곡부에서 멈추어, 정해진 숫자 등을 기재하는 표시부에 변형이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4 특징에 따르면, 어퍼 케이스에는, 투과성의 렌즈를 통해 문자판 중 적어도 일부를 외방으로부터 시인 가능하게 하는 투과부가 마련되어 있고, 굴곡부가, 투과부의 외연부보다 외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굴곡부의 외측에 위치하며, 변형의 영향을 받기 쉬운 판부가 외방에 시인되는 것을 막아, 미터 장치의 외관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5 특징에 따르면, 문자판의 표시부가 곡면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표시부의 강성을 높여, 판 스프링부의 변형의 영향을 더욱 받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제6 특징에 따르면, 문자판의 굴곡부보다 외측의 위치에, 로어 케이스 또는 어퍼 케이스에 대한 위치 결정을 행하는 위치 결정 구멍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위치 결정 구멍이 투과부로부터 외방에 시인되는 것을 막아, 미터 장치의 외관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만일, 문자판을 끼워 넣을 때에 위치 결정 구멍에 하중이 가해진 경우라도, 표시부에 영향을 부여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제7 특징에 따르면, 판 스프링부는, 문자판의 평판부에 2개의 대략 평행한 절입부를 마련함으로써 형성되기 때문에, 간단한 구성으로 판 스프링부를 얻을 수 있다. 이에 의해, 예컨대, 문자판을 펀칭 프레스 가공으로 형성할 때에 판 스프링부도 동시에 얻을 수 있어, 생산 공정수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판 스프링부의 선단이 문자판의 외연부를 따른 형상이 되기 때문에, 문자판의 운반이나 보관 시에 판 스프링부의 선단이 걸리는 일이 없이, 이것을 보호할 수 있다.
제8 특징에 따르면, 판 스프링부는, 걸어 맞춤부와 표시부 상에서 회동하는 지침의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 상에 배치되기 때문에, 양 케이스를 걸어 맞추기 위한 걸어 맞춤부와 문자판의 판 스프링부가 근접 배치되게 되어, 판 스프링부를 확실하게 압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9 특징에 따르면, 문자판의 판 스프링부에 대향하는 위치의 어퍼 케이스 또는 로어 케이스에, 판 스프링부의 릴리프부가 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판 스프링부가 압박되었을 때의 굽힘 여유분이 확보되게 되어, 문자판을 확실하게 어퍼 케이스측 또는 로어 케이스측으로 압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미터 장치를 적용한 자동 이륜차의 좌측면도이다.
도 2는 자동 이륜차의 핸들 주위의 일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미터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미터 장치의 좌측면도이다.
도 5는 미터 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6은 미터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7은 어퍼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어퍼 케이스를 이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9는 어퍼 케이스를 제거한 상태의 미터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문자판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어퍼 케이스 및 문자판을 제거한 상태의 미터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어퍼 케이스 및 문자판을 제거한 상태의 미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액정 표시부를 구성하는 액정 패널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액정 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액정 표시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3의 16-16선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3의 17-17선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9의 18-18선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로어 케이스 및 기판의 정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미터 장치(50)를 적용한 자동 이륜차(1)의 좌측면도이다. 자동 이륜차(1)는, 저상 플로어(27)를 갖는 스쿠터형의 안장형 차량이다. 차체 프레임(2)을 구성하는 메인 프레임(3)의 전단부에는, 스티어링 스템(5)을 회동 가능하게 피봇 지지하는 헤드 파이프(4)가 고정되어 있다. 스티어링 스템(5)의 상단부에는 조향 핸들(20)이 부착되고, 한쪽의 하단부에는, 좌우 한쌍의 프론트 포크(6)가 부착되어 있다. 프론트 포크(6)의 하단부에는 전륜(WF)이 회전 가능하게 피봇 지지되어 있고, 그 상부에는 흙받이 장치로서의 프론트 펜더(26)가 배치되어 있다.
헤드 파이프(4)로부터 대략 차체 하방으로 연장되는 메인 프레임(3)은, 저상 플로어(27)를 형성하기 위해 만곡부(7)에서 차체 후방으로 만곡하고 나서 차체 상방으로 연장되어, 좌우 한쌍의 리어 프레임(9)에 접속된다. 만곡부(7)의 차체 후방에는, 좌우 한쌍의 피봇 프레임(8)이 고정되어 있다. 피봇 프레임(8)의 피봇축(32)에는, 엔진과 자동 무단 변속기를 일체로 형성한 유닛 스윙(10)이 요동 가능하게 피봇 지지되어 있다. 유닛 스윙(10)에는, 구동륜으로서의 후륜(WR)이 회전 가능하게 피봇 지지되어 있고, 유닛 스윙(10)의 후단부가 리어 쿠션(12)을 통해 리어 프레임(9)에 현수되어 있다. 유닛 스윙(10)의 상부에는, 엔진의 흡기 포트(도시하지 않음)에 혼합기를 공급하는 연료 분사 장치(13) 및 에어 클리너 박스(11)가 배치되어 있고, 한쪽의 하측에는, 배기 포트(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는 배기관(14)이 둘러싸여 있다.
차체 프레임(2)의 헤드 파이프(4)는, 차체 전방측의 프론트 카울(24)과, 탑승자의 발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플로어 카울(25)에 의해 차체 전후 방향으로부터 덮어져 있다. 조향 핸들(20)의 양 단부에는 핸들 그립(21)이 부착되어 있고, 조향 핸들(20)의 차폭 방향 중앙은, 상측 커버(17) 및 하측 커버(18)로 이루어지는 핸들 커버(16)로 덮어져 있다. 핸들 커버(16)에는, 헤드 라이트(19), 윈드 스크린(22) 및 좌우 한쌍의 리어뷰 미러(23)가 부착되어 있고, 또한, 윈드 스크린(22)의 후방에, 차속 등의 정보를 표시하는 미터 장치(50)가 부착되어 있다.
저상 플로어(27)의 후방부 상방에는, 힌지 기구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되는 시트(30)가 배치되어 있다. 시트(30)의 하부에는, 헬멧(31) 등의 수납을 가능하게 하는 수납 박스(29) 및 연료 탱크(15)가 배치되어 있다. 시트(30)의 후방에는, 리어 카울(33), 리어 캐리어(34) 및 미등 장치(35)가 마련되어 있다. 미등 장치(35)의 하방에는, 라이센스 라이트를 내장하는 리어 펜더(36)가 부착되어 있다.
도 2는 자동 이륜차(1)의 핸들 주위의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 확대 사시도이다. 이 도면은, 시트(30)에 착석한 운전자가 핸들 주위를 내려다 본 상태에 대응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핸들 커버(16)는, 상측 커버(17) 및 하측 커버(18)로 이루어지고, 상측 커버(17)의 차폭 방향 중앙에 미터 장치(50)가 매설되어 있다. 미터 장치(50)에는, 화장 커버(37)가 씌워져 있고, 이 화장 커버(37)에 마련된 크고 작은 창으로부터, 속도계(51), 주행 거리계 등을 표시하는 액정 표시부(52) 및 각종 경고등(53, 54, 55, 56)을 시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핸들 커버(16)의 차폭 방향 좌측에는, 전조등의 광축 조정 스위치(38), 혼 스위치(39) 및 윙커 스위치(40)가 배치되어 있고, 한쪽의 우측에는, 엔진 스탑 스위치(41) 및 스타터 스위치(42)가 배치되어 있다.
도 3은 미터 장치(50)의 정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동좌측면도이고, 도 5는 동우측면도이며, 도 6은 동배면도이다. 미터 장치(50)는, 차체 상방측에 위치하는 어퍼 케이스(60)와, 차체 하방측에 위치하는 로어 케이스(80) 사이에 미터 기판이나 문자판 등을 수납하고, 나사 등의 체결 부품을 불필요로 하는 걸어 맞춤 구조에 의해 어퍼 케이스(60)와 로어 케이스(80)를 서로 고정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속도계(51)는, 무색 투명의 렌즈(61)에 의해 형성되는 대략 원형의 메인 투과부(61a)로부터 시인된다. 또한, 액정 표시부(52)는, 렌즈(61)에 의해 형성되는 대략 직사각형의 보조 투과부(62)로부터 시인된다. 수지제의 렌즈(61)는, 메인 투과부(61a)로부터 보조 투과부(62)에까지 이르는 단일의 부품이며, 경질인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어퍼 케이스(60)에 인서트 성형되어 있다.
메인 투과부(61a)의 외주부에는, 전조등 상향 표시등(53), 뉴트럴 램프(54), 엔진 경고등(55) 및 윙커 작동등(56)이 마련되어 있다. 4개의 경고등(53∼56)은, 표시 도형을 녹색이나 노란색 등의 유색 투명한 인쇄로 형성하며, 그 주위를 흑색으로 인쇄한 수지 플레이트(57, 58)를 마련하고, 이 수지 플레이트(57, 58)의 이면으로부터 백색 LED의 조사광을 맞힘으로써, 표시 도형만이 유색으로 발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속도계(51)의 지침(132)은, 그 회전축 부분이 커버 부재(64)에 의해 덮어져 있다. 커버 부재(64)로부터 세워서 설치하는 돌기(65)는, 수지 플레이트(57, 58)의 근방에 세워서 설치하는 2개의 돌기(68)와 마찬가지로, 화장 커버(37)(도 2 참조)의 위치 결정에 이용된다.
어퍼 케이스(60)에 마련된 3부분의 상측 플랜지(63)는 박판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상측 플랜지(63)가, 로어 케이스(80)에 형성된 하측 플랜지(84)(도 6 참조)의 차체 상방측으로부터 덮이는 구조로 된다. 미터 장치(50)는, 상측 플랜지(63) 및 하측 플랜지(84)의 관통 구멍(59)에 삽입 관통하는 체결 볼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핸들 커버(16)(도 2 참조)에 고정된다.
로어 케이스(80)의 주연부에는, 어퍼 케이스(60)를 걸어 맞춤 고정하기 위한 5개의 걸어 맞춤 클로(81; claw)가 마련되어 있다. 걸어 맞춤 클로(81)는, 선단에 훅 형상을 갖는 박판형으로 되어, 로어 케이스(8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어퍼 케이스(60)의 주연부의 5부분에는, 이 걸어 맞춤 클로(81)와 걸어 맞추는 걸어 맞춤 돌기(66)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어퍼 케이스(60)와 로어 케이스(80)를 서로 근접시켜 가면, 걸어 맞춤 돌기(66)의 경사면에 접촉하는 걸어 맞춤 클로(81)가 서서히 외측으로 확대되어 탄성 변형하여, 정해진 위치까지 압입된 시점에서, 걸어 맞춤 클로(81)가 본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가면서 걸어 맞춤 클로(81)의 훅 부분이 걸어 맞춤 돌기(66)의 수평면에 걸리게 된다.
로어 케이스(80)에는, 미터 장치(50)의 하면에 하네스(도시하지 않음)를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100)가 돌출하며, 이 커넥터(100)를 둘러싸고 세워서 설치하는 가드 부재(82)가 마련되어 있다.
도 7은 어퍼 케이스(60)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8은 어퍼 케이스(60)를 이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커버 부재(64)에는, 부투과창(62)의 외형의 일부를 구성하는 연장부(67)가 마련되어 있다. 경고등(53∼56)을 구성하는 수지 플레이트(57, 58)(도 3 참조)는, 수지 플레이트(57, 58)의 두께분의 깊이를 갖는 단차부(70)에 걸어 맞춤 고정된다. 단차부(70)의 바닥면에는, 백색 LED의 조사광을 유도하는 관통 구멍(69)이 형성되어 있다.
어퍼 케이스(60)의 이면측에는, 관통 구멍(69)을 구성하는 4개의 원통 부재(74)가 마련되어 있다. 커버 부재(64)는, 렌즈(61)를 사이에 끼우도록 하여, 어퍼 케이스(60)와 일체로 형성되는 이면측 커버부(71)와 연결되어 있다. 이면측 커버부(71)에는, 속도계(51)의 지침을 제로 위치에 세우는 스토퍼로서의 핀(72)이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주투과창(61a)의 주위에는, 4개의 압박 돌기(73)가 마련되어 있다. 이 압박 돌기(73)는, 어퍼 케이스(60)와 로어 케이스(80)를 걸어 맞춤시킬 때에, 후술하는 문자판(120)의 판 스프링부(도 9 참조)를 압박하여 탄성 변형시키기 위해 마련되어 있다.
도 9는 어퍼 케이스(60)를 제거한 상태의 미터 장치(50)의 정면도이다. 또한, 도 10은 문자판(120)의 사시도이다. 미터 장치(50)의 조립은, 우선, 로어 케이스(80)의 바닥부에 전자 기판으로서의 기판(101)을 부착하고, 다음에, 이 기판(101)의 상방에 문자판(120)을 배치하며, 마지막으로 로어 케이스(80)의 차체 상방측으로부터 어퍼 케이스(60)를 실어 양 케이스(60, 80)를 서로 압박하여 걸어 맞춤 고정함으로써 완료된다.
대략 정방형의 기판(101)에는, 액정 표시 유닛(150) 및 4개의 백색의 LED(102)가 부착되어 있다. 기판(101)은, 로어 케이스(80)에 형성된 위치 결정 돌기(87) 등에 의해 위치 결정되고, 총 5개의 걸어 맞춤 클로(88)(도 11 참조)에 의해 걸어 맞춤 고정되어 있다.
문자판(120)은, 금속제의 박판의 프레스 성형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정면에서 보아 대략 원형 또한 만곡된 표시부(123)를 갖는다. 표시부(123)의 차폭 방향 우측에는, 액정 표시 유닛(150)의 액정 패널(151)을 시인하기 위한 창 프레임(130)이 형성되어 있다. 표시부(123)의 대략 중앙에는, 지침(132)의 회동축(133)(도 16 참조)을 통과시키는 개구(129)가 마련되어 있다. 표시부(123)의 도색이나 숫자는 인쇄에 의해 표시되어 있고, 기초부(131)가 회동함으로써 지침(132)이 정해진 속도를 가리키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백색 도색 바탕에 흑색 문자의 인쇄가 실시되어 있다.
표시부(123)의 주연에는 평판부(121)가 형성되고, 이 평판부(121)의 가장자리의 총 5부분의 판 스프링부(124)가 마련되어 있다. 판 스프링부(124)는, 평판부(121)에 정해진 간격을 갖는 2개의 대략 평행한 절입부(125)를 마련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 구조에 따르면, 금속의 박판으로 이루어지는 문자판(120)을 펀칭 프레스 등으로 성형할 때에 동시에 판 스프링부(124)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판 스프링부(124)의 선단이 문자판(120)의 외연을 따른 형상으로 되기 때문에, 외연으로부터 판 스프링부(124)의 선단이 돌출하지 않아, 문자판(120)의 운반이나 보관 시에 판 스프링부(124)의 선단을 보호할 수 있다.
평판형의 평판부(121)와, 만곡면을 갖는 표시부(123)의 사이에는, 정해진 각도로 구부러지는 굴곡부(122)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판 스프링부(124)가 크게 변형된 경우라도 그 변형을 굴곡부(122)에서 멈추어, 표시부(123)에 변형이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굴곡부(122)는, 메인 투과부(61a)의 외연부(61b)(도 17, 18 참조)보다 외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굴곡부(122)가 외방으로부터 시인되는 것을 막아, 미터 장치(50)의 외관성이 손상되는 일이 없다.
평판부(121)의 창 프레임(130) 쪽의 위치에는, 상하 대칭의 돌출부(128)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128)에는, 위치 결정 돌기(85)의 위치 결정 구멍(126)이 형성되어 있다. 세워서 설치되는 리브(127)로 둘러싸여 긴 구멍 형상으로 되는 총 3개의 위치 결정 구멍(126)의 길이 방향은, 돌출부(128)의 2개가 정면에서 보아 상하 방향을 지향하는 데 대하여, 차폭 방향 좌측의 하나가 차폭 방향을 지향하고 있다. 이러한 긴 구멍 구조에 의해, 문자판(120)에 치수 변동이 생긴 경우라도, 이것을 허용하여 정해진 위치에 위치 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문자판(120)의 위치 결정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3부분의 위치 결정 돌기를 가능한 한 서로 이격하여 배치하고자 하는 바, 본 실시형태에서는, 돌출부(128)를 마련하여 위치 결정 구멍(126)을 형성함으로써, 문자판(120) 전체가 지나치게 커지지 않는 범위에서 3개의 위치 결정 구멍(126)의 간격을 극력 넓혀, 미터 장치(50)의 대형화를 피하면서 문자판(120)의 위치 결정의 정밀도를 높이도록 구성되어 있다.
5개의 판 스프링부(124) 중, 정면에서 보아 좌측에 위치하는 2개는, 지침(132)의 기초부(131)의 회전축과 걸어 맞춤 클로(81)의 중심을 잇는 직선(D, E) 상에 각각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판 스프링부(124)에 가까운 위치에서 걸어 맞춤 클로(81)와 걸어 맞춤 돌기(66)의 걸어 맞춤이 행해지기 때문에, 압박 돌기(73)에 의한 판 스프링부(124)의 압박을 보다 확실하게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직선(D, E)이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설정되어 있다.
도 11은 어퍼 케이스(60) 및 문자판(120)을 제거한 상태의 미터 장치(50)의 정면도이다. 또한, 도 12는 동사시도이다. 이 양 도면에서는, 부품의 식별이 용이해지도록 기판(101)에 해칭을 실시하고 있다. 또한, 도 11에는, 문자판(120)의 위치를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관통 구멍(59)을 갖는 하측 플랜지(84)는, 로어 케이스(80)의 가장자리부(92)의 일부를 돌출시킨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프린트 기판인 기판(101)에는, 회동축 구멍(141)에 부착되는 지침(132)을 구동시키는 스텝핑 모터(140), 액정 표시 유닛(150), 경고등의 발광원으로서의 4개의 LED(102)가 실장되어 있다.
액정 표시 유닛(150)은, 기판(101)에 부착되는 지지대(160)와, 상기 지지대(160)에 지지되는 액정 패널(151)로 이루어진다. 액정 패널(151)에는, 연료 중의 알코올 농도 표시(152), 오도미터/트립미터 전환 표시(153), 7 세그멘트 표시로 이루어지는 오도미터/트립미터(154), 연료계(155) 및 기어 포지션 표시(156)가 표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기판(101)은, 로어 케이스(80)에 형성된 대략 사각형의 수납부(93)의 바닥부에 수납된다. 기판(101)의 위치 결정은, 로어 케이스(80)에 형성된 2개의 위치 결정 돌기(87)와, 수납부(93)의 내벽에 일체 형성된 대략 타원 단면을 갖는 2개의 기둥 부재(86)에 의해 행해진다. 위치 결정 돌기(87)가 걸어 맞춰지는 걸어 맞춤 구멍은, 한쪽만이 긴 구멍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기둥 부재(86)는, 기판(101)의 대향하는 2변에 대향하여 형성되는 걸어 맞춤 홈(103)에 걸어 맞춰진다. 기둥 부재(86)와 걸어 맞춤 홈(103) 사이에는, 약간의 간극이 마련되어 있다. 문자판(120)을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돌기(85)는, 기둥 부재(86)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고, 위치 결정 돌기(85)가 없는 평활면(89)에는 문자판(120)의 이면측이 접촉한다. 보다 자세하게는, 문자판(120)은, 평판부(121)의 이면측이 로어 케이스(80)의 평활면(89)에 지지되는 한편, 판 스프링부(124)가 어퍼 케이스(60)에 의해 압박됨으로써, 로어 케이스와 어퍼 케이스(60)에 협지되게 된다.
기판(101)은, 그 외연부에 위치하는 4개의 걸어 맞춤 클로(88)와, 스텝핑 모터(140) 및 액정 표시 유닛(150)의 사이에 위치하는 하나의 걸어 맞춤 클로(88)를 이용하여, 로어 케이스(80)에 걸어 맞춤 고정된다. 기판(101)에 실장되는 액정 표시 유닛(150)의 배치 위치는, 속도계(51)의 지침(132)의 회동 범위 외로 설정되어 있고, 이에 의해, 스텝핑 모터(140)와 가능한 한 근접시켜, 기판(101) 전체의 소형화가 도모되고 있다.
로어 케이스(80)에 있어서, 판 스프링부(124)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어퍼 케이스(60)의 압박 돌기(73)에 눌려 탄성 변형되는 판 스프링부(124)의 릴리프부로 되는 오목부(90)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90)에 의해 변형 시의 굽힘 여유분이 확보됨으로써, 판 스프링부(124)를 크게 변형시켜, 문자판(120)을 로어 케이스(80)측으로 효과적으로 압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3은 액정 표시 유닛(150)을 구성하는 액정 패널(151)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14는 액정 패널(151)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160)의 사시도이며, 도 15는 액정 표시 유닛(150)의 사시도이다.
액정 패널(151)에는, 그 표시면과 수직 방향으로 연장하여 기판(101)과 접속되는 복수개(예컨대, 22개)의 단자(157)가 마련되어 있다. 수지 등으로 형성되는 지지대(160)는, 액정 패널(151)의 이면측을 덮는 보울형부(161)가 마련되어 있고, 이 공기형부(161)의 바닥부에, 기판(101)에 실장되는 LED 백라이트(도시하지 않음)의 조사광을 도입하는 채광구(16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대(160)에는, 액정 패널(151)을 지지하기 위한 4개의 지지 클로(164)와, 지지대(160)를 기판(101)에 부착하기 위한 2개의 고정용 클로(165)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지지대(160)의 측면에는, 단자(157)를 1개씩 관통시키는 복수의 관통 구멍(163)이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액정 패널(151)을 지지대(160)의 정해진 위치에 부착함으로써, 단자(157)가 관통 구멍(163)을 통과하여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기판(101)에의 부착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6은 도 3의 16-16선 단면도이다. 어퍼 케이스(60)에 인서트 성형되는 렌즈(61)는, 지침(132)의 회전축(133)에 대응하는 부분을 정점으로 하여 상방으로 볼록한 만곡 형상을 갖는다. 어퍼 케이스(60) 및 로어 케이스(80)를 걸어 맞춘 상태에 있어서는, 로어 케이스(80)의 가장자리부(92)의 차체 상방측의 면에, 어퍼 케이스(60)의 외연부에 형성된 수평면이 접촉함으로써 형성되는 접촉면(92a)에 의해, 어퍼 케이스(60)와 로어 케이스(80) 사이의 거리가 규정되고 있다. 이에 의해, 어퍼 케이스(60)의 걸어 맞춤 돌기(66)에 로어 케이스(80)의 걸어 맞춤 클로(81)가 걸어 맞춰지는 것과 더불어, 양 케이스 사이의 거리가 정확하게 규정되게 된다. 바꾸어 말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미터 장치(50)에서는, 어퍼 케이스(60)와 로어 케이스(80)가 접촉면(92a)에 의해 접촉함으로써, 양 케이스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며, 또한 문자판(120)도 안정적으로 협지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4개의 경고등(53∼56)에 LED(102)의 조사광을 유도하는 원통 부재(74)는, 기판(102)에 근접하는 위치까지 로어 케이스(80)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기판(101)의 이면측에 부착되는 커넥터(100)를 둘러싸고 세워서 설치되는 가드 부재(82)는, 커넥터(100)의 하단부로부터 하방의 위치까지 연장되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굴곡부(122)를 메인 투과부(61a)의 외연부(61b)보다 외측에 배치함으로써, 굴곡부(122)의 외측에 위치하여 변형의 영향을 받기 쉬운 평판부(121)가 외방에 시인되는 것을 막아, 미터 장치(50)의 외관성이 높여져 있다.
도 17은 도 3의 17-17선 단면도이다. 로어 케이스(80)는, 기판(101)을 수납하는 부분만이 상자형으로 구성되어 있어, 미터 장치(50)의 소형 경량화가 실현되어 있다. 액정 표시 유닛(150)의 지지대(160)에 형성된 공기형부(161)는, 기판(101)에 실장된 광원의 조사광을 도입하기 위해, 채광구(162)가 기판(101)에 근접하는 위치까지 로어 케이스(80)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지지대(160)를 기판(101)에 부착하면, 단자(157)의 선단이 기판(101)을 관통하여 이면측으로 돌출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로어 케이스(80)에 형성된 문자판(120)의 위치 결정 돌기(85)는, 문자판(120)의 위치 결정 구멍(126)을 관통하여 어퍼 케이스(60)에 대략 접촉하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다. 또한, 위치 결정 구멍(126)의 주위에 세워서 설치되는 리브(127)도, 어퍼 케이스(60)에 대략 접촉하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다.
도 18은 도 9의 18-18선 단면도이다. 어퍼 케이스(60)와 로어 케이스(80)를 걸어 맞춤시키면, 문자판(120)에 형성되는 판 스프링부(124)가, 어퍼 케이스(60)에 형성되는 압박 돌기(73)에 의해 도시 하방으로 압박되어 탄성 변형된다. 이때, 로어 케이스(80)에 형성되는 오목부(90)는, 탄성 변형되는 판 스프링부(124)의 릴리프 여유가 된다. 이 구성에 의해, 문자판(120)은, 판 스프링부(124)의 탄성 변형에 기초하는 탄발력에 의해 로어 케이스(80)측으로 압착되게 되어, 덜걱거림 등을 발생시키는 일없이 문자판(12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로어 케이스(80a) 및 기판(210)의 정면도이다. 상기와 동일 부호는 동일 또는 동등 부분을 나타낸다. 본 변형예에서는, 로어 케이스(80a)에 대한 기판(210)의 위치 결정 구조가 약간 상이하다.
스텝핑 모터(140) 및 액정 표시 유닛(150)이 실장되는 기판(210)은, 로어 케이스(80a)에 형성된 대략 사각형의 수납부(200)의 바닥부에 수납된다. 기판(210)의 위치 결정은, 로어 케이스(80a)에 형성된 4개의 위치 결정 돌기(201)와, 수납부(200)의 내벽에 일체 형성된 대략 타원 단면을 갖는 2개의 기둥 부재(203)에 의해 행해진다. 기둥 부재(203)의 상면에는, 문자판(120)의 위치 결정 돌기(202)가 마련되어 있다.
기둥 부재(203)는, 기판(200)의 대향하는 2변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걸어 맞춤 홈(204)에 걸어 맞춰진다. 기둥 부재(203)와 걸어 맞춤 홈(204) 사이에는, 상기 제1 실시형태에 나타낸 바와 같은 간극은 마련하고 있지 않으며, 기판(210)을 수납부(200)의 바닥부의 정해진 위치에 수납할 때에, 위치 결정 돌기(201) 및 기둥 부재(203)가 감합함으로써, 로어 케이스(80a)에 대한 기판(210)의 걸어 맞춤 고정이 완료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터 장치에 따르면, 문자판(120)에 판 스프링부(124)가 마련되어 있고, 어퍼 케이스(60)와 로어 케이스(80)를 서로 걸어 맞춤 고정하면, 어퍼 케이스(60)에 마련된 압박 돌기(73)가 판 스프링부(124)를 로어 케이스(80)측으로 압박 변형시킴으로써 탄발력이 생기며, 이 탄발력에 의해 판 스프링부(124)가 로어 케이스(80)측으로 압박된 상태로 문자판(120)이 정해진 위치에 유지되기 때문에, 어퍼 케이스와 로어 케이스를 걸어 맞춤 구조로 고정함으로써 나사 등의 체결 부품을 삭감하면서, 문자판을 안정적으로 유지 고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각 부품에 치수 불균일이 생긴 경우라도, 이 불균일 치수가 판 스프링부의 변형에 의해 흡수되기 때문에, 온도나 습도의 변화의 영향으로 문자판이 덜걱거리거나 걸어 맞춤부의 걸어 맞춤을 하기 어려워지는 일이 없어, 생산성이나 상품성이 우수한 미터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어퍼 케이스, 로어 케이스, 문자판의 재질이나 형상, 판 스프링부의 형상이나 성형 방법 등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예컨대, 판 스프링부를 압박하는 압박 돌기는 로어 케이스측에 마련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어퍼 케이스와 로어 케이스를 서로 걸어 맞춤 고정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비스 등을 이용하여 로어 케이스를 어퍼 케이스에 고정하는 것, 또는 어퍼 케이스를 로어 케이스에 고정하는 것이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른 미터 장치는, 자동 이륜차에 한정되지 않고, 안장형의 3/4륜차 등의 각종 차량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1…자동 이륜차, 50…미터 장치, 51…속도계, 60…어퍼 케이스, 61…렌즈, 61a…메인 투과부(투과부), 61b…외연부, 73…압박 돌기, 80…로어 케이스, 81…걸어 맞춤 클로, 85…위치 결정 돌기, 101…기판, 120…문자판, 121…평판부, 122…굴곡부, 123…표시부, 124…판 스프링부, 125…절입부, 126…위치 결정 구멍, 132…지침, 150…액정 표시 유닛

Claims (9)

  1. 어퍼 케이스(60)와 로어 케이스(80)의 사이에 문자판(120)을 끼워 넣어 상기 어퍼 케이스(60)와 로어 케이스(80)를 서로 고정함으로써 상기 문자판(120)이 정해진 위치에 유지되도록 한 미터 장치(50)에 있어서,
    상기 문자판(120)에 판 스프링부(124)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어퍼 케이스(60)와 상기 로어 케이스(80)를 서로 고정하면, 상기 문자판(120)은, 상기 판 스프링부(124)가 상기 어퍼 케이스(60)측 또는 상기 로어 케이스(80)측으로 압박된 상태로 상기 정해진 위치에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판(120)은, 상기 어퍼 케이스(60) 또는 상기 로어 케이스(80)에 마련된 압박 돌기(73)가 상기 판 스프링부(124)를 압박 변형시킴으로써 생기는 탄발력에 의해, 상기 로어 케이스(80)측 또는 상기 어퍼 케이스(60)측으로 압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터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부(124)는, 상기 문자판(120)의 주연에 마련되는 평판부(121)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평판부(121)와, 상기 평판부(121)의 내측에 위치하는 표시부(123) 사이에, 정해진 각도로 구부러지는 굴곡부(122)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케이스(60)에는, 투과성의 렌즈(61)를 통해 상기 문자판(120) 중 적어도 일부를 외방으로부터 시인 가능하게 하는 투과부(61a)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굴곡부(122)가, 상기 투과부(61a)의 외연부(61b)보다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터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판(120)의 표시부(123)가, 곡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터 장치.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판(120)의 상기 굴곡부(122)보다 외측의 위치에, 상기 로어 케이스(80) 또는 상기 어퍼 케이스(60)에 대한 위치 결정을 행하는 위치 결정 구멍(126)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터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부(124)는, 상기 문자판(120)의 평판부(121)에 2개의 대략 평행한 절입부(125)를 마련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터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부(124)는, 상기 어퍼 케이스(60)와 상기 로어 케이스(80)를 서로 고정하는 고정부(81)와, 상기 표시부(123) 상을 회동하는 지침(132)의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D, E)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터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판(120)의 판 스프링부(124)에 대향하는 위치의 상기 어퍼 케이스(60) 또는 상기 로어 케이스(80)에, 상기 판 스프링부(124)의 릴리프부가 되는 오목부(9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터 장치.
KR1020147024606A 2012-02-16 2013-02-08 미터 장치 KR1016569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31700 2012-02-16
JP2012031700 2012-02-16
PCT/JP2013/053127 WO2013122014A1 (ja) 2012-02-16 2013-02-08 メー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5835A true KR20140125835A (ko) 2014-10-29
KR101656972B1 KR101656972B1 (ko) 2016-09-12

Family

ID=48984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4606A KR101656972B1 (ko) 2012-02-16 2013-02-08 미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2816324B1 (ko)
JP (1) JP5945556B2 (ko)
KR (1) KR101656972B1 (ko)
CN (1) CN104126104B (ko)
BR (1) BR112014019788B1 (ko)
WO (1) WO20131220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27432A (zh) * 2014-12-17 2015-04-22 绍兴四环怡东仪表有限公司 一种电动汽车仪表总成
CN107709078B (zh) * 2015-06-19 2020-01-17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跨骑型车辆的显示装置
JP2019159074A (ja) * 2018-03-13 2019-09-19 株式会社リコー 光学装置、光学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移動体
JP2020034668A (ja) * 2018-08-29 2020-03-05 日本精機株式会社 表示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6314U (ko) * 1984-11-30 1986-06-20
JPS63155097U (ko) * 1987-03-30 1988-10-12
JPH0265194U (ko) * 1988-11-08 1990-05-16
JPH0471120U (ko) * 1990-10-31 1992-06-24
JP2003194589A (ja) 2001-12-27 2003-07-09 Nippon Seiki Co Ltd 指針式計器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79497B (en) * 1980-06-02 1983-11-16 Citizen Watch Co Ltd Mounting structure for a dial
JPS61144422U (ko) * 1985-02-28 1986-09-06
JPS635420U (ko) * 1986-06-30 1988-01-14
JPH03110315U (ko) * 1990-02-27 1991-11-12
JP3599202B2 (ja) * 1995-04-28 2004-12-08 株式会社エッチ・ケー・エス 車両用計器
US6389896B1 (en) * 1998-06-05 2002-05-21 Calsonic Kansei Corporation Vehicular meter unit
JP4845101B2 (ja) * 2006-03-22 2011-12-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計器表示装置
JP2008076176A (ja) * 2006-09-20 2008-04-03 Calsonic Kansei Corp メータ装置
JP4936316B2 (ja) * 2006-09-28 2012-05-2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メーターパネルの防水構造
JP4994055B2 (ja) * 2007-02-14 2012-08-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メータ構造
JP5152850B2 (ja) * 2008-03-28 2013-02-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用車速メーター
JP5333995B2 (ja) * 2009-12-11 2013-11-06 日本精機株式会社 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6314U (ko) * 1984-11-30 1986-06-20
JPS63155097U (ko) * 1987-03-30 1988-10-12
JPH0265194U (ko) * 1988-11-08 1990-05-16
JPH0471120U (ko) * 1990-10-31 1992-06-24
JP2003194589A (ja) 2001-12-27 2003-07-09 Nippon Seiki Co Ltd 指針式計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4019788A8 (pt) 2017-07-11
WO2013122014A1 (ja) 2013-08-22
BR112014019788B1 (pt) 2022-01-04
JPWO2013122014A1 (ja) 2015-05-11
KR101656972B1 (ko) 2016-09-12
JP5945556B2 (ja) 2016-07-05
EP2816324B1 (en) 2017-07-19
CN104126104B (zh) 2017-04-05
BR112014019788A2 (ko) 2017-06-20
CN104126104A (zh) 2014-10-29
EP2816324A1 (en) 2014-12-24
EP2816324A4 (en) 2016-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10880B2 (ja) 自動車用機能部品
KR101656972B1 (ko) 미터 장치
JP5660726B2 (ja) 車両用灯火装置
CN102166986B (zh) 车辆用车门后视镜
JP2007269143A (ja) 車両用テールランプ装置及び該テールランプ装置を備えた自動二輪車
JP5335617B2 (ja) 自動二輪車
US20070272462A1 (en) Vehicle instrument panel device
WO2013154099A1 (ja) 鞍乗型車両の表示装置
JP5152850B2 (ja) 自動二輪車用車速メーター
JP4936316B2 (ja) 車両用メーターパネルの防水構造
TWI436036B (zh) 二輪機車之儀錶單元
EP2208663B1 (en) Saddle-riding vehicle
JP6553109B2 (ja) 車両のウインカ装置
JP2013120094A (ja) 車両用表示装置
JP5279692B2 (ja) 車両用メータ装置
JP2013119286A (ja) 車両用表示装置
JP2011046292A (ja) 自動二輪車のメータユニット
JP6345723B2 (ja) 車両のメータ装置
EP2428386B1 (en) Vehicle meter device
JP6054656B2 (ja) 車両用灯火器
EP3300950B1 (en) Straddled vehicle
US10619819B2 (en) Vehicular lamp device
JP4994055B2 (ja) メータ構造
WO2017123165A1 (en) Meter cover structure for motorcycle
JP6426675B2 (ja) 車両の灯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