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4401A - 밀봉 요소 - Google Patents

밀봉 요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4401A
KR20140124401A KR1020147025351A KR20147025351A KR20140124401A KR 20140124401 A KR20140124401 A KR 20140124401A KR 1020147025351 A KR1020147025351 A KR 1020147025351A KR 20147025351 A KR20147025351 A KR 20147025351A KR 20140124401 A KR20140124401 A KR 201401244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file
groove
sealing element
width
groov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5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9274B1 (ko
Inventor
헤르베르트 마틴
미카엘 바우만
토마스 벅크
Original Assignee
듀르 시스템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듀르 시스템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듀르 시스템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40124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44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9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9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16J15/10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non-metallic packing
    • F16J15/104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non-metallic packing characterised by structure
    • F16J15/1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non-metallic packing characterised by structure homogeneo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16J15/10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non-metallic packing

Abstract

본 발명은 밀봉 요소, 가급적이면, 두 개의 구성요소 단면(B1, B2)에 의해 형성되고 홈 개구(NO) 및 홈 바닥(NG)을 가지는 홈(N)에 두 개의 구성요소 부분(B1, B2)에 의해 압착되어 두 개의 구성요소 단면(B1, B2) 사이를 밀봉하도록 된 밀봉 링에 관한 것이다. 밀봉 요소는 비압축 상태에서 상이한 프로파일 높이(DH) 및 적어도 두 개의 외면(10, 20)을 가지는 프로파일(P)을 포함한다. 프로파일(P)은 압축상태에서 변형되어 적어도 하나의 측면부(SA1, SA2)와 함께 홈 개구(NO) 속으로 연장하여 그에 의해 가급적 부분적으로 홈 개구(NO)를 폐쇄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밀봉 요소 {SEALING ELEMENT, PREFERABLY SEALING RING}
본 발명은 밀봉 요소, 바람직하게는 밀봉 링에 관한 것이다. 밀봉 요소는, 특히, 두개의 구성요소의 단면 사이에 밀봉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두 개의 구성요소 단면에 의해 상기 두개의 구성요소 중 하나의 단면에 제공된 홈에 압착되게끔 되어 있다.
페인트 기술에 있어, 밀봉 요소는 페인트로부터 , 예컨대, 플랜지 패키지, 색조 나사 조인트, 분무기 인터페이스, 컬러 체인저 인터페이스 및/또는 색조 압력 조정기 인터페이스, 등을 밀봉시키기 위해 필요한 것이다. 일반적인 밀봉 요소는 두 구성요소의 단면 사이를 밀봉시키는 것으로서 두 구성요소 중 하나의 단면에 제공된 홈에 위치한다. 목적하는 바는 압력-안정 및 스페이스-프리 밀봉(space-free seal)을 없애서 누설 및 컬러 캐리-오버(colar carry-over)을 방지하는 한편, 동시에 갭 압출(gap extrusion)의 가능적인 원인을 제공하는 홈-오버 필링(groove-over filling)을 방지하는 것이다. 종래의 밀봉 요소는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또는 원형의 밀봉 링 또는 O-링 시일으로서 설계된다. 종래의 밀봉 링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단점들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된다:
- 홈 오버- 필링(홈 과다 충전), 갭 압출
- 데드 스페이스 프리돔(dead space freedom: 사각공간-프리)의 결핍으로 인한 누설과 컬러 캐리-오버(colour carry-over)
- 특히, 동적 압축 하중 하에서의 낮은 압축 강도
따라서, 본 발명은 개선된 및/또는 대안적인 밀봉 요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은 메인 청구항에 따른 밀봉 요소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밀봉 요소가 특별히 코팅 시스템 구성요소를 위해 제공된다. 밀봉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밀봉 링 형식으로 구성된다. 밀봉 요소는 두 구성요소 단면 사이를 밀봉하고 이 두 구성요소 단면 중 어느 하나에 제공되는 홈 내에서 두 구성요소 부분에 의해 압축되도록 구성된다. 밀봉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적절히 서로 마주하여 놓인 적어도 두개의 외면을 갖는 프로파일(profile)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이 프로파일은 폭 방향으로 상이한 프로파일 높이를 포함한다.
프로파일은 가급적 압착된 상태로 변형될 수 있도록 그것의 측면부 중 어느 하나와 홈 개구로 연장하게끔 구성되며, 그에 의해 홈 개구, 예컨대 적어도 부분적으로 폭 방향의 한쪽에서 홈 개구를 폐쇄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의해, 특히, 적어도 누설을 감소시키거나 유체 또는 액체의 캐리-오버(예컨대, 물감/페인트의 캐리-오버)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적어도 일 측면부는 가급적 홈 바닥으로부터 멀리 대향하여 있는 외면에 제공되고 그리고/또는 예컨대 프로파일의 폭 방향으로 측단부를 나타낸다.
프로파일은 가급적 압착된 상태로 변형될 수 있도록 그것의 측면부 중 두개와 함께 홈 개구로 연장하게끔 구성되며, 그에 의해 홈 개구, 예컨대 적어도 부분적으로 폭 방향의 양쪽에서 홈 개구를 폐쇄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프로파일은 압착된 상태로 변형될 수 있도록 양 측면부 사이에서 홈 개구로 연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홈 개구가 적어도 전체 홈 폭 및/또는 홈의 개구 폭에 걸쳐, 예를 들면, 적어도 데드 스페이스(사각공간) 없이 폐쇄되는 것이 가능하다.
적어도 두개의 측면부는 바람직하게는 홈 바닥으로부터 멀리 대향하여 있는 외면에 제공되고 그리고/또는 예컨대 프로파일의 폭 방향으로 측단부를 나타낸다.
프로파일은 바람직하게는 압착된 상태로 변형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전체 홈 폭 또는 그 이상이라도 위에 홈 개구로 연장되도록 되어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프로파일은 압착된 상태로 변형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외면 중 하나가, 예를 들어, 전체 홈 폭 위에 또는 그 이상으로도 실질적으로 직선으로 홈 개구에 연장되도록 한다. 홈부 바닥면으로부터 멀리 대향하는 프로파일의 외면은 직선 구성부에 의해, 예를 들면, 압축된 상태에서 가압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것으로 이것에만 제한되지 않는 실시예에서 홈 폭이 홈 개구폭을 정의한다고 언급할 가치가 있다.
프로파일은 압축 상태에서 유체(페인트 또는 다른 액체 등)를 밀봉하게끔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파일은, 특히, 페인트-저항성 및/또는 용매-저항성이 있다. 프로파일은 바람직하게는 압축상태에서 변형되도록 홈이 유체의 침입에 대하여 밀봉하고, 그 수단에 의해, 예를 들면, 유체의 누설 또는 캐리-오버가 적어도 감소될 수 있게 구성된다.
이 프로파일은 바람직하게는 미리 정해진 다른 프로파일의 높이, 특히, 경사(테이퍼)에 의해, 횡단면을 감소시켜 갭 압출 및/또는 홈 오버-필링이 적어도 감소 또는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 프로파일은 따라서 압축된 상태로 변형되도록 하여 갭 압출 및/또는 갭 압출을 유도하는 홈 오버-필링이 적어도 감소 또는 방지될 수 있도록 적절히 구성될 수 있다.
언급되어야 하는 것으로, 갭 압출은 특히 블록 어셈블리 상에, 밀봉 요소가 데드 스페이스를 밀봉하도록 선택되는 특정의 이유로 발생하지 않는다. 특히, 구조로 인해, 밀봉 요소는 갭에 걸리지 않는다.
특별히, 홈 개구는 확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파일은 압축 상태에서 변형되도록, (예컨대, 폭 방향의 한쪽 또는 양쪽에서) 이 확대 영역으로 돌출되도록 적절히 구성된다. 이 경우, 프로파일은 홈 폭 및/또는 홈 개구 폭을 넘어 (이를 테면, 일측면 또는 양측면상의 폭 방향으로)를 압축상태로 확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프로파일은 측면부 중 어느 한 측면부 또는 두 측면부가 확대 영역으로 연장할 수 있다.
프로파일이 압축된 상태로 변형되게끔 데드 스페이스가 홈 바닥과 프로파일 사이에 생성되도록 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프로파일은 프로파일의 비압축 상태에서 최대 폭과 최대 높이르 포함한다. 홈은 바람직하게는 홈 폭 및 홈 높이를 포함한다.
홈 높이보다 커야하는 프로파일의 비변형 상태에서의 최대 프로파일 폭이 홈 폭보다 더 크도록 그리고/또는 비변형 상태에서의 최대 프로파일 높이가 홈 높이보다 크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별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비압축 상태에서 (적절하다면 최대) 프로파일 폭 : (적절하다면 최대) 프로파일 높이의 비율은 1.0 내지 1.35 또는 1.5의 범위, 상세하게는 범위 ≥ 1.0; 1.2; 또는 1.4, 및/또는 범위 ≤ 1.1; 1.3 또는 1.5를 갖는다.
(적절하다면 최대) 홈 높이 : (적절하다면 최대) 홈 폭의 비는 ≥ 1.2의 범위에서, 특히, 1.2 - 2.1, 더 상세하게는 범위 ≥ 1.4; 1.6; 1.8; 2.0 또는 2.2, 및/또는 및/또는 범위가 ≤ 1.3; 1.5; 1.7; 1.9; 2.1 또는 2.3 이 바람직하다.
프로파일은 최소 구성 및 최대 구성에서 갭 압출이 적어도 감소될 수 있고, 적절하게는, 플랜지 영역으로의 밀봉 요소의 누름 (홈 오버-필링)은 적어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는 프로파일의 비압축 상태에서, 프로파일의 최대 높이를 정의하는 프로파일의 영역이 프로파일의 폭에 대한 중심을 벗어난 구성으로도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파일의 비압축 상태에서, 프로파일은 단면상으로 실질적으로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 기본 몸체를 형성할 수 있으나, 그의 외면은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상승 및/또는 함몰부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이들의 모서리(예를 들어 둥근형 및/또는 모따기형)를 감소할 수 있다.
이는 적어도 두 개의 외면 중 적어도 한 외면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지지부를 구비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프로파일의 비압축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는 적절하다면 외면으로부터 돌기하여 그 위에 돌기부가 형성되기도 한다. 특히,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는 압축상태에서 밀봉 요소를 안정시키도록 되어 있다(예를 들어, 밀봉 요소의 불필요한 경사 또는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양 외면에는 각각 반대 방향으로 적절하게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가 제공된다. 충분한 압축 강도/압축 안정성은 돌기부(들)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예컨대 14, 15 또는 심지어 16 바아(bar) 이상의 압력 범위에서 동적 압축 하중 하에서 특히 확보될 수 있다.
비압축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의 영역에서의 프로파일이 최대 프로파일 높이보다 작은 프로파일 높이를 갖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파일은 프로파일의 압축된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가 적어도 거의 완전하게 프로파일 내부로 변형되어 이와 적절히 굳어지거나 또는 더이 상 배당된 외면으로부터 돌기하지 않게 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비압축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프로파일 폭의 중심을 지나 연장한다.
비압축 상태에서, 프로파일은 최대 프로파일 높이를 한정하는 영역으로부터 일 측면을 향해 그리고 가급적이면 두 측면을 향해 경사지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프로파일은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까지 경사질 수 있으며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측 방향 프로파일 단부까지 경시질 수 있다. 적절하게는, 프로파일은 또한 다른 측면 프로파일 단부를 향해 경사질 수도 있다.
비압축 상태에서, 프로파일은 단면상 적어도 하나의 감소된 코너 영역을 포함하며 이 영역은 압축상태에서 프로파일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채워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프로파일의 비압축 상태에서, 감소된 코너 영역은 홈 바닥으로부터 떨어지는 외면에 제공된다.
프로파일의 비압축 상태에서, 적어도 두개의 측면은, 부분적으로 60°, 50°, 40°, 30° 또는 20° 보다 작거나 같은 경사각으로 에워쌀 수 있다.
밀봉 요소는 특히, 코팅 시스템 구성 요소(예를 들어, 물감/페인트 나사 조인트, 분무기, 분무기 인터페이스, 컬러 변경기, 색상압력 조정기, 컬러 변경기 인터페이스 및/또는 색상압력 조정기 인터페이스, 밸브, 밸브 인터페이스, 등)에 적합하다.
언급되어야 할 것으로, 홈은 가급적이면 환형 홈 및/또는 단면이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예를 들어, 홈 개구 및/또는 홈 바닥 영역에 라운딩 또는 모따기 된 모서리를 갖는)으로 구성되어 있다. 적절하게는, 홈 개구의 폭(홈 개구 폭)은 바람직하게는 홈의 폭(홈 폭)에 대응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홈이 단면상 서로 다른 폭, 예컨대, 본질적으로 사다리꼴 홈으로 구성된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다.
환형 홈으로서 구성된 홈은 내경을 가지는 환형 홈으로서 그리고 밀봉 요소는 내경을 가지는 밀봉 링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적절하게는, 밀봉 링의 내경은 비압축 및/또는 비변형 상태의 환형 홈의 내경보다도 작다. 밀봉 요소는 따라서 바람직하게도 환형 홈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것으로, 비압축 및/또는 비변형 상태에서, 최대 프로파일 높이를 정의하는 프로파일의 영역은 적어도 밀봉 요소의 내경에 적어도 근접하여 구성되어 적어도 데드 스페이스의 낮은 방식으로 적절히 밀봉시키고, 그리고/또는 프로파일은 외경을 향해 경사져서 적절하게도 변위될 프로파일의 체적 공간을 제공하도록 한다.
또한, 언급할 것으로, 홈 개구가 예를 들어, 넓은 홈 개구와 같이, 다양한 구성으로 설계될 수도 있다.
또한 언급될 것으로, 프로파일은 가급적 예를 들어 탄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는 전체 프로파일이다.
또한 언급될 것으로, 비압축 상태는 특히, 포함할 수 있음을 언급한다, 프로파일 및/또는 밀봉 요소의 비압축 및/또는 비변형 출발(시작)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위에 기재된 밀봉 요소, 두 개의 구성요소 부분 및 두 구성요소 부분중 하나에 제공되고 홈 개구 및 홈 바닥을 포함하는 홈을 갖는 밀봉 장치(예를 들면, 플랜지 밀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문맥 내에서 밀봉 장치는 압축 상태에서, 또는 비압축 상태에서 밀봉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두 구성요소 단면과 두 성분요소 단면 중 하나에 제공되고 홈 개구 및 홈 바닥을 포함하는 홈을 갖는 코팅 시스템 구성요소(예를 들면, 플랜지 시일, 물감/페인트 나사 조인트, 분무기, 분무기 인터페이스, 컬러 체인저, 색 조정기, 컬러 체인저 인터페이스 및/또는 색상 압력 조정기 인터페이스, 밸브, 밸브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한다. 두 구성요소 단면에 의해 압축되고, 두 구성요소 부분 사이를 밀봉하는 밀봉 요소가 홈 안으로 삽입된다. 밀봉 요소는 적어도 두 외면 및/또는 적절하게는 비압축 상태에서 서로 다른 프로파일 높이를 갖는 프로파일을 포함한다. 프로파일은 그것의 측면부 중 어느 하나와 함께 홈 개구로 연장되도록 변형되고, 그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부분적으로 홈 개구를 폐쇄시킨다. 또한, 밀봉 요소는 여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밀봉 요소에 대해 상기한 프로파일을 제공함으로써, 이 프로파일이 가급적 압착된 상태로 변형될 수 있도록 그것의 측면부 중 어느 하나와 홈 개구로 연장하게끔 구성되어, 그에 의해 홈 개구, 예컨대 적어도 부분적으로 폭 방향의 한쪽에서 홈 개구를 폐쇄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의해, 특히, 적어도 누설을 감소시키거나 유체 또는 액체의 캐리-오버(예컨대, 물감/페인트의 캐리-오버)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비압축(비변형) 상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봉 요소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밀봉 요소를 비압축 상태에서 본 단면도,
도 3은 도 1 및 도 2의 밀봉 요소를 부분적으로 변형된 상태에서 본 단면도,
도 4는 도 1 내지 도 3의 밀봉 요소를 압축상태에서 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봉 요소를 부분적으로 변형된 상태에서 본 일부 단면의 응력도,
도 6은 도 5의 밀봉 요소를 압축 상태에서 본 일부 단면의 응력도,
도 7은 에시된 홈의 확대 단면도.
도 1은 밀봉 링 형태의 밀봉 요소(1)의 사시도를 보여주고, 도 2는 도 1의 밀봉 요소의 단면을 보여준다. 도 1 및 도 2는 비변형 및/또는 비압축 상태(시작)의 밀봉 요소를 보여준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밀봉 요소를 부분적으로 변형된 상태에서 본 단면도로서 비압축 상태로부터 압축상태까지의 것을 보여준다.
밀봉 요소(1)는 압축상태에서 두 구성요소 부분(B1 및 B2) 사이를 밀봉하여,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두 구성요소 부분(B1 및 B2)에 의해 홈(N)에 압착되도록 구성된다. 홈(N)은 홈 개구(NO), 홈 바닥(NG), 홈 폭(NB) 및 홈 높이(NH)를 포함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N)은 단면이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홈이며,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서 다른 구성을 가정할 수도 있다. 홈 폭(NB)은 홈 개구 폭을 한정하고, 홈 개구 폭은 홈 폭(NB)에 상응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 요소(1)는 세 개의 외면(10, 20, 30)을 가지는 프로파일(P)을 포함한다. 이 프로파일(P)은 그의 폭 방향(BR)으로 다양한 프로파일 높이(DH), 예를 들면, 최대 프로파일 높이(DHm)을 포함한다. 프로파일(P)은 또한 최대 프로파일 폭(DBm)을 포함한다. 최대 프로파일 높이(DHm)를 한정하는 프로파일(P)의 영역은 프로파일 폭에 대해 중심을 벗어나도록 구성되어 있다. 프로파일(P)의 기본 본체는 단면이 대략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로 구성되고 둥근 모서리를 포함한다.
도 2는 외면(10)에 돌기부(S1)가 제공된 것을 나타낸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외면(20)에는 돌기부(S2)가 제공될 수 있다. 돌기부 (S1)는 외면(10)으로부터 세워져 있고, 돌기부 (S2)는 외면(20)로부터 세워져 있다. 두 개의 돌기부(S1 및 S2)는 프로파일 폭의 중심을 지나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한다. 프로파일(p)은 두 개의 돌기부(S1 및 S2)의 영역에서 프로파일 최대 높이(DHm)보다 작은 프로파일 높이를 갖는다. 돌기부(S1 및 S2)는 적어도 압축 상태에서 밀봉 요소(1)의 불필요한 틸팅 또는 미끄러짐을 줄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프로파일(P)은 최대 프로파일 높이(DHm)를 정의하는 영역으로부터 돌기부(S1 및 S2)까지 경사지고 그리고 돌기부(S1 및 S2)로부터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측면 프로파일 단부에까지 경사져 있다. 반면에, 프로파일(P)은 최대 프로파일 높이(DHm)를 정의하는 영역으로부터 다른 측면 프로파일 단부에 까지 경사져 있다.
프로파일(P)은 단면상, 두 개의 감소된 코너 영역(E1 및 E2)을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감소된 코너 영역(E1 및 E2)은 압축상태에서 프로파일(P)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채워진다.
마찬가지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외면(10 및 20)은 단면상 약 45°의 테이퍼 각도(α)로 에워싸여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도 3에 있어, 밀봉 요소(1)는 환형 홈으로 구성된 홈(N)에 삽입된다. 밀봉 요소(1)는 내경을 가지며 환형 홈으로 구성된 홈(N)도 내경을 가지며, 밀봉 요소(1)의 비변형 및/또는 비압축 출발상태에서의 내경은 환형 홈으로 구성된 홈(N)의 내경보다 작다. 프로파일(P)의 최대 프로파일 높이(DHm)는 밀봉 요소(1)의 내경과 적어도 가깝도록 구성되어 그로부터 적절하게 외경측으로 경사진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으로, 프로파일(P)의 비변형 상태에서, 최대 프로파일 폭(DBm)은 홈 폭(NB)보다 크고 최대 프로파일 높이(DHm)는 홈 높이(NH) 보다 크다. 최대 프로파일 높이(DHm) : 최대 프로파일 폭(DBm)의 비는 1.0-1.35의 범위에 있다. 홈 폭(NB) : 홈 높이(NH)의 비는 1.2-2.1의 범위에 있다.
도 4는 도 압축상태에서의 도 1 내지 도 3의 밀봉 요소(1)를 도시한다. 압축된 상태에서, 프로파일(P)은 홈 바닥(NG)으로부터 멀어지는 외면(10)에 구성되어 프로파일(P)의 폭 방향(BR)으로 측단부를 나타내는 두 측부(SA1 및 SA2)를 포함한다.
프로파일(P)은 두 측부(SA1 및 SA2)와 함께 홈 개구(NO) 속으로 연장하여 일부 양측부상의 홈 개구(NO)에 근접하고, 결국은 누설이나 페인트/컬러 캐리-오버를 적어도 감소시키도록 변형 및 압축상태로 된다. 프로파일(P)은 또한 두 측부(SA1 및 SA2)와 함께 홈 개구(NO) 속으로 연장하여 일부 양측부상의 홈 개구(NO)에 근접하고, 결국은 홈 개구(NO)가 전체의 홈 폭(NB)을 넘어 실질적으로 데드 스페이스-프리를 폐쇄시키도록 변형 및 압축상태로 되도록 할 수 있다. 동시에, 프로파일(P)은 하나 또는 양쪽 폭 방향(BR)으로의 단면에 프로파일(P)의 테이퍼(경사) 또는 감소를 유도하는 상이한 프로파일 높이(DH)들을 가져서 예컨대, 갭 압출을 유도할 수 있는 홈 오버-필링이 방지되거나 또는 적어도 감소될 수 있게끔 한다.
도 4로부터 명백한 바, 프로파일(P)은 변형되어서, 두 돌기부(S1 및 S2)가 프로파일의 내부로 눌려지서 더 이상 외면(10 및 20)으로부터 돌기하지 않도록 하고, 데드 스페이스(TR)가 홈 바닥(NG)과 프로파일(P) 사이에 발생되도록 한다.
도 7은 홈(N)의 확대도를 보여준다. 도 7에 따른 홈(N)은 상기 예시적인 실시예와 크게 일치한다. 따라서, 동일 유사한 부분은 동일부호로 사용되고 그 참고내용도 이에 상응한다.
도 7에 따른 홈(N)은 구성요소부(B1)에 제공되고, 단면상 본질적으로 직사각형으로 구성되고 그리고 예컨대, 라운딩 모서리를 갖는다. 홈(N)은 홈 개구(NO), 홈 바닥(NG), 홈 높이(NH) 및 홈 폭(NB)을 포함한다. 홈 개구 폭은 홈 폭(NB)에 상응한다. 홈 개구(NO)는 홈 개구 폭을 가진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 개구(NO)는 예컨대 광폭형 홈 개구로 구성될 수 있고 따라서 광폭 영역(NA)을 포함할 수 있다. 부호 BR은 홈 개구(NO)와 광폭 영역(NA)의, 홈(N)의 폭방향을 나타낸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 개구(NO)는 광폭 영역(NA)를 포함하고, 프로파일(P)은 바람직하게는 압축상태에서, 두 개의 측면부(SA1 및 SA2)를 갖춘 두 측부 상에 돌기하고 또한 적어도 폭방향(BR)으로 광폭 영역(NA)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따른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비압축 상태에서 압축상태로 일부 변형된 상태의 단면상의 일부 밀봉 요소를 보여준다. 도 6은 압축상태의 단면상의 도 5의 밀봉 요소(1)의 응력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따른 밀봉 요소는 크게는 상기한 예시적인 실시예와 일치하므로, 동일 유사한 부분은 동일부호를 사용하였으며 내용도 동일하게 사용하였다.
홈 개구 폭은 다시 홈 폭(NB)에 대응한다. 도 5 및 도 6으로부터 명백한 것으로, 상기 프로파일(P)은 또한 두개의 측면부(SA1 및 SA2)와 함께 홈 개구(NO) 속으로 연장하여 단면상 양 측부상의 홈 개구(NO)를 폐쇄시킬 뿐만 아니라, 홈 개구(NO)의 두 측면부(SA1 및 SA2) 사이로 연장하여 가급적 적어도 대부분의 데드 스페이스-프리로서 홈 폭(NB) 전체를 지나 홈 개구(NO)를 폐쇄시키도록 구성된다. 외면(10)은 구성요소부(B2)에 의해 변형되어져서 전체의 홈 폭(NB)을 지나 직선으로 연장하도록 한다. 아울러 알 수 있는 것으로, 압축상태에서, 돌기부(S1 및 S2)는 프로파일 내부로 변형되어 더 이상 외면(10 및 20)으로부터 돌기하지 않게 된다.
도 5 및도 6에 도시된 홈(N)은 홈 광폭 영역(NA)을 포함한다. 압축된 상태에서, 프로파일(P)은 그의 두 측면부(SA1 및 SA2)와 함께 광폭 영역(NA)으로 연장하고, 결국 광폭 영역은 폭 방향(BR)으로 양측부상에서 감소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오히려 다수의 변형예들이 본 발명의 개념을 이용하여 보호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보호받고자 하는 사항을 독립항으로 그리고 그를 한정하는 사항은 종속항으로 분리하여 보호받고자 한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20 : 외면 B1, B2 : 구성요소 단면
DB : 프로파일 폭 DBm : 최대 프로파일 폭
DH :프로파일 높이 DHm : 최대 프로파일 높이
N : 홈 NB : 홈 폭
NG : 홈 바닥 NO : 홈 개구
P : 프로파일 S1, S2 :측부
SA1, SA2 : 측면부

Claims (25)

  1. 코팅 시스템 구성요소를 위한 것으로, 두 개의 구성요소 단면(B1, B2) 사이에서 밀봉하고 상기 두 개의 구성요소 단면(B1, B2)에 의해 홈(N)에 압착되며, 홈(N)은 두 개의 구성요소 단면(B1, B2) 중 어느 하나에 제공되고 홈 개구(NO) 및 홈 바닥(NG)을 가지는 밀봉 링과 같은 밀봉 요소가,
    - 비압축 상태에서 상이한 프로파일 높이(DH) 및 적어도 두 개의 외면(10, 20)을 가지는 프로파일(P)을 포함하고,
    - 상기 프로파일(P)은 압축상태에서 두 개의 측면부(SA1, SA2) 중 적어도 하나와 함께 홈 개구(NO) 속으로 연장하고 그에 의해 가급적 홈 개구(NO)를 부분적으로 폐쇄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요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P)은 압축상태에서 두 개의 측면부(SA1, SA2)과 함께 홈 개구(NO) 속으로 연장하고 그에 의해 가급적 홈 개구(NO)를 부분적으로 폐쇄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요소.
  3.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P)은 압축상태에서 두 측면부(SA1 및 SA2) 사이 및 홈 개구(NO) 속으로 연장하여 적어도 전체의 홈 폭(NB)을 지나 홈 개구(NO)를 실질적으로 데드 스페이스-프리 하게 홈 개구(NO)를 폐쇄하도록 변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요소.
  4.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P)은 압축상태에서,
    - 전체의 홈 폭(NB)을 지나 홈 개구(NO) 속으로 연장하도록하거나, 또는
    - 외면 중 어느 한 외면(10)이 적어도 전체의 홈 폭(NB)을 지나 직선으로 홈 개구(NO)로 연장하거나, 또는
    -홈 개구(NO)를 전체의 홈 폭(NB)에 걸쳐 데드 스페이스-프리 로 폐쇄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요소.
  5.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P)은,
    - 압축상태에서, 유체, 특히, 페인트에 대해 밀봉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가급적 페이트 저항성 및 용매 저항성을 가지며, 및/또는
    - 압축상태에서, 홈(N)이 유체의 침입을 막도록 밀봉되어 결국 유체의 누설이나 캐리-오버가 방지되거나 적어도 감소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요소.
  6.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P)은 미리 결정된 상이한 프로파일 높이(DH)에 의해 특별히 감소되도록 구성되어, 갭 압출 및/또는 홈 오버-필링이 방지되거나 적어도 감소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요소.
  7.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홈 개구(NO)에는 광폭 영역(NA)이 구비되고 그리고 프로파일(P)은 압축상태에서 변형되어 가급적 양 측면부(SA1, SA2) 중 한 측면부나 두 측면부와 함께 광폭 영역(NA)으로 돌기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요소.
  8.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P)은 압축상태에서 변형되어 데드 스페이스(TR)가 홈 바닥(NG)과 프로파일(P) 사이에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요소.
  9.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로파일(P)의 비압축 상태에서, 최대 프로파일 폭(DBm)은 홈 폭(NB) 보다 크고 최대 프로파일 높이(DHm)도 홈 높이(NH)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요소.
  10.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로파일(P)의 비압축 상태에서, 최대 프로파일 폭(DBm) : 최대 프로파일 높이(DHm)의 비는 1.0 내지 1.35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요소.
  11.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로파일(P)의 비압축 상태에서, 홈 폭(NB) : 홈 높이(NH)의 비는 1.2 내지 2.1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요소.
  12.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로파일(P)의 비압축 상태에서, 최대 프로파일 높이(DHm)를 정의하는 프로파일(P)의 영역은 프로파일 폭에 대해 중심이 벗어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요소.
  13.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로파일(P)의 비압축 상태에서, 프로파일(P)은 단면상 실질적으로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 기본 몸체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요소.
  14.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로파일의 비압축 상태에서,
    - 적어도 두 개의 외면(10, 20) 중 적어도 한 외면에는 외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적어도 한 개의 돌기부(S1, S2)가 제공되거나, 또는
    - 두 외면(10, 20)에는 각기 그들이 형성된 외면(10, 20)으로부터 돌기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S1, S2)가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요소.
  15. 제 14항에 있어서,
    프로파일의 비압축 상태에서, 프로파일(P)은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S1, S2)의 영역에 최대 프로파일 높이(DHm) 보다 작은 프로파일 높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요소.
  16. 제 14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로파일(P)의 비압축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S1, S2)가 프로파일 폭의 중심을 넘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요소.
  17. 제 14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프로파일(P)의 비압축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S1, S2)가 가급적 적어도 거의 dh완전하게 프로파일 내부 속으로 변형되어지고, 그리고/또는
    -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S1, S2)가 프로파일 (P)의 압축상태에서 밀봉 요소를 안정화하도록 적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요소.
  18.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로파일(P)의 비압축 상태에서, 최대 프로파일 높이(DHm)을 정의하는 영역으로부터, 프로파일(P)의 단면에 있어,
    - 양측 측부를 향해 경사지고, 또는
    - 일측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S1, S2)에 까지 , 그리고 또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S1, S2)로부터 측방향 프로파일 단부까지 그리고 타측상에서 타측 측방향 프로파일 단부까지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요소.
  19.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로파일(P)의 비압축 상태에서, 프로파일(P)은 단면상에 압축상태에서 프로파일(P)에 의해 일부 충전되는 적어도 하나의 감소된 모서리 부분(E1, E2)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요소.
  20.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로파일(P)의 비압축 상태에서, 적어도 두 개의 외면이 단면상에 경사각(α) ≤ 50°, 40° 또는 30°으로 둘러싸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요소.
  21.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홈(N)은 본질적으로 단면상 직사각형으로서 가급적 환형 홈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요소.
  22.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밀봉 요소는 내경을 가지는 밀봉 링이고 그리고 홈(N)은 내경을 가지는 환형 홈이고, 밀봉 요소의 내경은 비변형 상태에서 환형 홈의 내경보다 작고, 그리고/또는
    - 프로파일(P)의 비압축 상태에서, 최대 프로파일 높이(DHm)을 정의하는 프로파일의 영역은 밀봉 요소의 내경에 적어도 근접하여 형성되고 프로파일(P)은 외경을 향해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요소.
  23. 밀봉 요소, 두 개의 구성요소 부분(B1, B2) 및 상기 두 개의 구성요소 부분(B1, B2) 중 어느 하나에 제공되면서 홈 개구(NO) 및 홈 바닥(NG)을 포함하고, 상기 밀봉 요소는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것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 장치.
  24. 두 개의 구성요소 부분(B1, B2) 및 상기 두 개의 구성요소 부분(B1, B2) 중 어느 하나에 제공되면서 홈 개구(NO) 및 홈 바닥(NG)을 포함하고, 두 개의 구성요소 부분(B1, B2)에 의해 압착되어 두 개의 구성요소 부분(B1, B2) 사이를 밀봉하는 밀봉 요소가 홈(N) 속에 삽입되는 코팅 시스템 구성요소에 있어서, 상기 밀봉 요소가,
    - 비 압축상태에서 상이한 프로파일 높이(DH) 및 적어도 두 개의 외면(10, 20)을 가지며,
    - 상기 프로파일(P)은 상기 구성요소 부분의 측면부(SA1, SA2)와 함께 홈 개구(NO) 속으로 연장하여 그에 의해 가급적 홈 개구(NO)를 부분적으로 폐쇄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 시스템 구성요소.
  25. 제 24항에 있어서,
    밀봉 요소는 청구항 제 1항 내지 제 2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것 밀봉 요소인 것을 코팅 시스템 구성요소.
KR1020147025351A 2012-02-14 2013-02-13 밀봉 요소 KR1020892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2002888.1 2012-02-14
DE102012002888A DE102012002888A1 (de) 2012-02-14 2012-02-14 Dichtelement, vorzugsweise Dichtring
PCT/EP2013/000422 WO2013120609A1 (de) 2012-02-14 2013-02-13 Dichtelement, vorzugsweise dichtr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4401A true KR20140124401A (ko) 2014-10-24
KR102089274B1 KR102089274B1 (ko) 2020-03-17

Family

ID=47715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5351A KR102089274B1 (ko) 2012-02-14 2013-02-13 밀봉 요소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9618119B2 (ko)
EP (1) EP2815157B1 (ko)
JP (1) JP6530912B2 (ko)
KR (1) KR102089274B1 (ko)
CN (1) CN104169619B (ko)
BR (1) BR112014019899B1 (ko)
CA (1) CA2864186C (ko)
DE (1) DE102012002888A1 (ko)
ES (1) ES2628339T3 (ko)
HU (1) HUE034881T2 (ko)
MX (1) MX357671B (ko)
MY (1) MY182836A (ko)
PL (1) PL2815157T3 (ko)
PT (1) PT2815157T (ko)
RU (1) RU2617263C2 (ko)
WO (1) WO2013120609A1 (ko)
ZA (1) ZA20140609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45309B2 (ja) * 2018-12-27 2022-03-31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流体機械
JP7164447B2 (ja) * 2019-01-22 2022-11-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回転機のパイプ取付構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9240A (ja) * 1996-06-10 1997-12-22 Abb Ind Kk 2部材端面間のシー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52750A (en) * 1945-07-06 1951-05-15 Thornhill Craver Company Pipe joint
BE564484A (ko) * 1957-02-21
US3078110A (en) * 1958-10-13 1963-02-19 Accessory Products Co Sealing device
JPS4612586Y1 (ko) * 1966-05-09 1971-05-04
NO133599L (ko) * 1967-09-20
US3479063A (en) * 1968-12-24 1969-11-18 Flexfloat Eng Co Fluid pressure tightened joint
US3550990A (en) * 1969-06-17 1970-12-29 Minnesota Rubber Co Sealing device
US3746348A (en) * 1971-01-15 1973-07-17 Parker Hannifin Corp Sealing ring with retaining means
US3930656A (en) * 1974-02-22 1976-01-06 Parker-Hannifin Corporation Sealed joint and gasket therefor
FR2535813B1 (fr) * 1982-11-05 1986-09-26 Forsheda Sa Joint d'etancheite
US4511152A (en) * 1984-02-08 1985-04-16 Aeroquip Corporation Self-reinforced face seal
JPH0131330Y2 (ko) * 1985-03-08 1989-09-26
SU1733821A1 (ru) * 1989-01-06 1992-05-15 Златоустовский Машиностроительный Завод Фланцевое соединение
FR2644217A1 (fr) * 1989-03-07 1990-09-14 Procal Joint d'etancheite statique
SE9402643L (sv) * 1994-08-05 1995-10-02 Skega Ab Tätningsring
FR2733021B1 (fr) * 1995-04-13 1997-06-06 Joint Francais Joint et son procede de montage
US5687976A (en) * 1996-05-10 1997-11-18 Vertex, Inc. Symmetrical gasket for a pipe joint
JP2773856B2 (ja) * 1996-08-09 1998-07-09 株式会社ビービーリッチ エアーブラシ用エアーボンベ接続具
GB2328989B (en) * 1997-09-09 2001-11-28 T & N Technology Ltd Gaskets
JPH11126648A (ja) * 1997-10-21 1999-05-11 Yazaki Corp パッキンの保持構造
JP3349132B2 (ja) * 1999-04-12 2002-11-20 三菱電線工業株式会社 低荷重シール
CN1407260A (zh) * 2001-08-31 2003-04-02 拉尔夫·P·赫格勒 连接波纹管窝口与具有光滑内壁的管插座的密封圈
JP4430884B2 (ja) * 2003-04-14 2010-03-10 日本バルカー工業株式会社 蟻溝用シール材
JP2006097807A (ja) 2004-09-30 2006-04-13 Toyota Motor Corp シール構造
JP4824351B2 (ja) * 2005-06-24 2011-11-30 株式会社マーレ フィルターシステムズ ガスケット
JP2007107546A (ja) * 2005-09-16 2007-04-26 Nok Corp ガスケット
EP1837564A1 (de) * 2006-03-23 2007-09-26 Carl Freudenberg KG Dichtring
JP5151241B2 (ja) * 2007-05-10 2013-02-27 Nok株式会社 密封構造
JP5081004B2 (ja) * 2008-01-30 2012-11-21 日本メクトロン株式会社 ガスケット
FR2995961B1 (fr) * 2012-09-26 2014-10-17 Joint Francais Joint annulaire, et moule de fabrication d'un tel joint.
JP6056343B2 (ja) * 2012-10-03 2017-01-11 Nok株式会社 密封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9240A (ja) * 1996-06-10 1997-12-22 Abb Ind Kk 2部材端面間のシー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507161A (ja) 2015-03-05
KR102089274B1 (ko) 2020-03-17
BR112014019899A2 (ko) 2017-06-20
US20140367922A1 (en) 2014-12-18
HUE034881T2 (en) 2018-05-02
CA2864186C (en) 2019-11-12
CA2864186A1 (en) 2013-08-22
WO2013120609A1 (de) 2013-08-22
ZA201406099B (en) 2015-12-23
JP6530912B2 (ja) 2019-06-12
EP2815157A1 (de) 2014-12-24
EP2815157B1 (de) 2017-03-29
MX357671B (es) 2018-07-18
CN104169619A (zh) 2014-11-26
PL2815157T3 (pl) 2017-09-29
RU2617263C2 (ru) 2017-04-24
BR112014019899B1 (pt) 2020-12-29
RU2014136996A (ru) 2016-04-10
MX2014009763A (es) 2014-10-14
BR112014019899A8 (pt) 2017-07-11
MY182836A (en) 2021-02-05
DE102012002888A1 (de) 2013-08-14
US9618119B2 (en) 2017-04-11
CN104169619B (zh) 2018-01-26
ES2628339T3 (es) 2017-08-02
PT2815157T (pt) 2017-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08839B2 (en) Plastic container with snap lid and a sealing web located on the inside of the container
US20020175173A1 (en) Plastic container with snap lid
US4625978A (en) Low temperature seal
US20060220326A1 (en) Multilobe gasket and sealing groove
US9841103B2 (en) Metal gasket
JP6114740B2 (ja) 建築構造用パネル用建築部材
CN107816476B (zh) 浮动连接装置及包含浮动连接装置的包装体
KR20140124401A (ko) 밀봉 요소
JPH0579126U (ja) 弾性パッキンを有するシール装置
JP2013174287A (ja) 密封構造
JP2015507161A5 (ko)
KR102372680B1 (ko) 밀봉 가스켓
JP2009210049A (ja) ガスケット
CN107539666B (zh) 密封装置及具有其的集装箱
KR102251418B1 (ko) 밀봉 가스켓
KR102239332B1 (ko) 밀봉 가스켓
JP4655921B2 (ja) 軒樋継手
JP4557728B2 (ja) 形材の連結構造
JP6520390B2 (ja) シール構造
JPH08217126A (ja) 帯状パッキン
JPS6340691Y2 (ko)
KR100405673B1 (ko) 유체 저장 용기의 결합 케이스
JP2004360448A (ja) 函体接合部用ゴム継手
KR200194564Y1 (ko) 볼밸브의 유체누설 차단구조
KR200247964Y1 (ko) 자중 결합형 조립식 암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