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4286A - 광각 렌즈계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 - Google Patents

광각 렌즈계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4286A
KR20140124286A KR1020130041837A KR20130041837A KR20140124286A KR 20140124286 A KR20140124286 A KR 20140124286A KR 1020130041837 A KR1020130041837 A KR 1020130041837A KR 20130041837 A KR20130041837 A KR 20130041837A KR 20140124286 A KR20140124286 A KR 201401242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group
wide
lens system
posi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1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수지 요네야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41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24286A/ko
Priority to EP20140163741 priority patent/EP2793065A1/en
Priority to US14/252,999 priority patent/US9297986B2/en
Priority to CN201410153288.6A priority patent/CN104111517A/zh
Publication of KR20140124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42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4Reversed telephoto objectiv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18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with lenses having one or more non-spherical faces, e.g. for reducing geometrical aberr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9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for automatic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2Diaphrag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es (AREA)

Abstract

광각 렌즈계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광각 렌즈계는, 물체측에서 상측으로 순서대로 배열된 부의 굴절력을 가진 제1렌즈군, 상기 제1렌즈군과 최대공기간격에 의해 이격된 정의 굴절력을 가진 제2렌즈군을 포함하고, 상기 제2렌즈군은 정의 제2-1군, 부의 굴절력을 가지고 포커싱을 수행하는 제2-2군, 정의 제2-3군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광각 렌즈계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Wide angle lens system and photograph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광각 렌즈계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포커싱 렌즈군을 경량화한 광각 렌즈계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CCD(Charge Coupled Device)나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등과 같은 고체 촬상 소자를 가진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나 비디오 카메라(video camera)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특히, 렌즈 교환식 카메라의 수요가 늘고 있다.
그리고, 카메라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망원 렌즈나 광각 렌즈와 같은 단초점 렌즈(single focus lens)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광각 렌즈로는 후초점 거리가 길고,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렌즈군과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렌즈군으로 구성된 소위 레트로포커스형(역망원형) 렌즈 가 많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레트로포커스형 렌즈계를 통하여 긴 후초점 거리를 가지면서 넓은 화각을 갖도록 할 수 있다. 그런데, 최근에는 스틸 카메라나 비디오카메라 등에 포커싱 렌즈군을 모터로 구동해서 자동적으로 핀트를 맞추는 소위 오토 포커싱 광학계가 많이 보급되고 있다. 오토 포커싱 광학계에서는 빠른 포커싱을 위해 포커싱 렌즈군을 경량화하려고 하고 있다. 하지만, 광각 렌즈계에 서는 대구경화와, 포커싱 렌즈군의 경량화가 동시에 만족되기 어렵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포커싱 렌즈군이 경량화된 광각 렌즈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실시예는 포커싱 렌즈군이 경량화된 광각 렌즈계를 포함한 촬영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각 렌즈계는, 물체측에서 상측으로 순서대로 배열된 것으로,
부의 굴절력을 가진 제1렌즈군; 상기 제1렌즈군과 최대공기간격에 의해 이격된 정의 굴절력을 가진 제2렌즈 군;을 포함하고,
상기 제2렌즈군은 정의 제2-1군, 부의 제2-2군, 정의 제2-3군을 포함하고,
상기 제2-2군이 광축 상을 움직여서 포커싱을 한다.
상기 제2-1군과 제2-2군의 사이에 조리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2군이 접합 렌즈 또는 단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1군이 적어도 하나의 비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3군이 적어도 하나의 비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3군이 상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부 렌즈와 정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군은 물체측에서 순서대로 배열된 부의 메니스커스 렌즈, 정 렌즈, 부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1군은 정 렌즈와, 정 렌즈와 부 렌즈로 이루어진 접합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각 렌즈계는 다음 식을 만족할 수 있다.
<식>
 
Figure pat00001
상기 광각 렌즈계는 다음 식을 만족할 수 있다.
<식>
  
Figure pat00002
  
상기 광각 렌즈계는 1.8이하의 F 넘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는, 광각 렌즈계 및 상기 광각 렌즈계에 의해 결상된 상을 수광하는 이미징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광각 렌즈계는 물체측에서 상측으로 순서대로 배열된 것으로,
부의 굴절력을 가진 제1렌즈군; 상기 제1렌즈군과 최대공기간격에 의해 이격된 정의 굴절력을 가진 제2렌즈 군;을 포함하고,
상기 제2렌즈군은 정의 제2-1군, 부의 제2-2군, 정의 제2-3군을 포함하고,
상기 제2-2군이 광축 상을 움직여서 포커싱을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각 렌즈계는 오토 포커싱에 의해 고품질의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광각 렌즈계의 포커싱 렌즈군이 경량화되어 빠르게 포커싱을 수행할 수 있고, 포커싱 렌즈군을 움직이는 포커싱 구동부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각 렌즈계는 오토 포커싱을 수행함과 아울러 밝은 렌즈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각 렌즈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각 렌즈계의 무한 물체거리에서의 종수차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각 렌즈계의 지근 거리에서의 종수차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각 렌즈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각 렌즈계의 무한 물체거리에서의 종수차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각 렌즈계의 지근 거리에서의 종수차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광각 렌즈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광각 렌즈계의 무한 물체거리에서의 종수차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광각 렌즈계의 지근 거리에서의 종수차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광각 렌즈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광각 렌즈계의 무한 물체거리에서의 종수차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광각 렌즈계의 지근 거리에서의 종수차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광각 렌즈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광각 렌즈계의 무한 물체거리에서의 종수차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광각 렌즈계의 지근 거리에서의 종수차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각 렌즈계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각 구성 요소의 크기나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이하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러한 실시예 들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각 렌즈계(100-1)를 도시한 것이다.
광각 렌즈계(100-1)는 물체측(0)에서 상측(I)으로 순서대로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렌즈군(G1)과,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렌즈군(G2)을 포함한다. 상기 제1렌즈군(G1)과 제2렌즈군(G2)은 최대공기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여기서, 최대공기간격은 상기 광각 렌즈계(100-1)에 있는 렌즈간 공기 간격 중 최대 간격을 나타낸다.
광각 렌즈계(100-1)는 레트로포커스(retrofocus) 타입일 수 있다. 광각 렌즈계(100-1)를 비디오카메라나 디지털 스틸 카메라에 적용하는 경우, 필터(OF) 등을 배치하는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후초점 거리(back focal length)의 확보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대구경 렌즈계에서는 후초점 거리가 짧아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각 렌즈계(100-1)는 대구경 렌즈계이면서 어느 정도의 후초점 거리가 확보될 수 있다.
제1렌즈군(G1)은 물체측(O)에서 상측(I)으로 순서대로 배열된 제1 부렌즈(1), 제2 정렌즈(2), 제3부렌즈(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부렌즈(1)는 예를 들어, 메니스커스 렌즈일 수 있으며, 물체측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레트로포커스(retrofocus) 타입의 렌즈계에서 왜곡 수차를 보정하기 위해서, 제1렌즈군에서 후술될 조리개(ST)로부터 벗어난 위치, 즉 가장 물체측(O)에 정 렌즈를 배치하기도 하지만, 가장 물체측에 정 렌즈를 배치하면 렌즈 구경이 커져버려, 렌즈계의 대형화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렌즈계의 대형화를 억제하고, 왜곡 수차의 보정을 위해 물체측으로부터 2번째에 정 렌즈를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군(G2)은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1군(G2-1),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2군(G2-2),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3군(G2-3)을 포함하고, 상기 제2-2군(G2-2)은 광축 상을 움직여서 포커싱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2-2군(G2-2)이 포커싱 렌즈군일 수 있다.
제2-1군(G2-1)은,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렌즈군으로부터 발산해 오는 광속을 수렴하기 위해서, 비교적 강한 정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2-1군(G2-1)의 가장 물체측(O)에 정 렌즈(4)를 배치하고, 강한 정의 굴절력에 의한 구면수차, 코마 등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서 정의 굴절력을 분배하기 위해 제2-1군의 두 번째 물체측(O)에 정 렌즈(5)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제2-1군의 세 번째 물체측(O)에 부 렌즈(6)를 배치하여 구면수차, 코마를 보정할 수 있다. 상기 정 렌즈(5)와 부 렌즈(6)를 접합 렌즈로 제작하여 색 수차를 용이하게 보정할 수 있다.
상기 제2-1군(G2-1)과 제2-2군(G2-2) 사이에 조리개(ST)가 배치될 수 있다. 조리개(ST)는 상기 제2-1군(G2-1)에 포함될 수 있다. 포커싱시 조리개가 제2-2군(G2-2)과 함께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므로 포커싱 렌즈군이 경량화될 수 있다. 또한, 조리개 이후에 배치된 제2-2군(G2-2)의 구경이 작아져 포커싱 렌즈군인 제2-2군(G2-2)을 경량화할 수 있다.
한편, 광각 렌즈계를 렌즈 교환식 카메라에 이용하는 경우, 렌즈를 탈착하기 위한 마운트 기구가 필요하며, 마운트 기구에는 기계적인 구경의 제한이 있다. 또한, 최근의 카메라에 있어서는 마운트 기구를 통해 전기적인 신호의 교환을 하기 위한 배선 등이 있어 마운트 기구 가까이에 있는 렌즈는 구경이 작은 것이 좋다. 조리개를 제2-1군(G2-1)과 제2-2군(G2-2)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2렌즈군 전체의 렌즈 구경이 대형화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각 렌즈계(100-1)는 1.8 이하의 F 넘버를 가지는 대구경 렌즈계일 수 있다. 이러한 대구경 렌즈계에 있어서는 구경이 커지는 경향이 있는데, 조리개를 제2-1군(G2-1)과 제2-2군(G2-2)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렌즈 구경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제2-2군(G2-2)은 접합 렌즈 또는 단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2군(G2-2)은 정렌즈와 부렌즈로 이루어진 접합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제3실시예), 도 10(제4실시예)에서는 제2-2군(G2-2)이 접합 렌즈를 포함한 예를 도시한다.
또는, 제2-2군(G2-2)은 한 매의 부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제1실시예), 도 4(제2실시예), 도 13(제5실시예)에서는 제2-2군(G2-2)이 한 매의 부렌즈(7)를 포함한 예를 도시한다. 이와 같이 포커싱 렌즈군인 제2-2군(G2-2)의 렌즈 매수가 적어 경량화될 수 있다. 포커싱 렌즈군이 경량화됨으로써 빠른 오토 포커싱을 할 수 있고, 포커싱 렌즈군을 이동하기 위한 구동부가 소형화되고, 간단하게 될 수 있다.
제2-1군(G2-1)은 적어도 하나의 비구면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1군(G2-1)은 정 렌즈(4)와, 정 렌즈(5)와 부 렌즈(6)로 이루어진 접합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각 렌즈계는 F 넘버가 대략 1.8 이하의 대구경이기 때문에,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렌즈군으로부터 발산해 오는 축상 광속을 결속하는 강한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1군에서는 큰 부의 구면수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구면 수차는 제2-1군에 적어도 하나의 비구면 렌즈를 배치함으로써 보정될 수 있다.
제2-3군(G2-3)은 적어도 하나의 비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2-3군(G2-3)은 가장 상측(I)으로부터 순서대로 부 렌즈(11)와 정 렌즈(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3군(G2-3)은 상기 정렌즈(10)의 물체측에, 두 매의 렌즈(8)(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두 매의 렌즈(8)(9)는 전체로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측(O)으로부터 순서대로 정과 부의 접합 렌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부의 제2-2군(G2-2)으로부터 발산해 오는 광속을 결속해 제2-3군(G2-3) 전체의 구경을 소형으로 유지할 수 있고, 색수차도 보정할 수 있다.
광각 렌즈계에 있어서는, 넓은 화각에 따라 발생하는 상면 만곡, 비점수차, 왜곡 수차를 보정 할 필요가 있다. 조리개로부터 벗어난, 축외 광선의 입사 높이가 높아지는 렌즈에 비구면을 배치하여 이러한 수차들을 효과적으로 보정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리개보다 상측(I)에 배치된 제2-3군(G2-3)에 비구면 렌즈를 배치하여 수차를 보정할 수 있다. 넓은 화각에 따른 수차를 보정하기 위해서 조리개의 물체측(O)에 배치된 제1렌즈군에 비구면 렌즈를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 경우 조리개의 배치와 더불어 제1렌즈군보다 소형인 제2렌즈군에 비구면 렌즈를 배치하는 것이 비구면 렌즈의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1군(G2-1)과 제2-3군(G2-3)에 비구면 렌즈를 배치함으로써 강한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렌즈군 전체의 수차를 효과적으로 보정할 수 있다. 또한, 포커싱 렌즈군인 제2-2군(G2-2)의 수차 보정의 부담이 상대적으로 작아지기 때문에, 제2-2군의 렌즈 매수를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제2-3군의 가장 상측(I)에서부터 물체측(O) 방향으로, 부 렌즈(11)와 정 렌즈(10)를 배치하여, 화각에 따라 발생하는 상면 만곡, 비점수차를 효과적으로 보정할 수 있다. 정 렌즈(10)와 부 렌즈(11)의 조합에 의해 수차 보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배열에 의해 텔레센트릭 성능을 높일 수 있다.
한편, 광각 렌즈계(100-1)는 다음 식을 만족할 수 있다.
Figure pat00003
<식 1>
여기서, f2는 제2렌즈군의 초점 거리를, f2 -2는 2-2군의 초점 거리를 나타낸다.
식 1은 제2렌즈군(G2)에 있어서의 제2-2군(G2-2)의 굴절력에 관한 것으로, (f2/f2-2)가 식 1의 하한을 넘으면 제2-2군의 부의 굴절력이 약해져, 근거리 물체로의 포커싱시 포커싱 렌즈군의 이동량이 커지고, 광각 렌즈계의 대형화가 초래될 수 있다.
(f2/f2 -2)가 식 2의 상한을 넘으면 제2-2군의 부의 굴절력이 강해져, 포커싱시의 이동량은 작아지지만, 제2-2군의 정의 구면 수차가 커져 포커싱에 따르는 전제 광각 렌즈계의 수차 변화가 커지며, 무한 거리로부터 근거리까지 광학 성능을 유지하기 어렵다.
광각 렌즈계는 다음 식을 만족할 수 있다.
Figure pat00004
   <식 2> 
여기서, f는 무한 물체 거리에서의 광학 렌즈계의 초점 거리를, f1은 제1렌즈 군의 초점거리를 나타낸다.
식 2는 제1렌즈군의 굴절력에 관한 것이다. (f/f1)이 식 2의 하한을 넘으면 제1렌즈군(G1)의 부의 굴절력이 약해지고, 필터(OF) 등을 배치하기 위한 후초점 거리가 짧아질 수 있다.
(f/f1)이 식 2의 상한을 넘으면, 제1렌즈군의 부의 굴절력이 강해지고, 후초점 거리는 커지지만, 정의 구면수차 등의 제1렌즈군의 수차가 커지고, 광학 렌즈계 전체의 수차를 적절하게 보정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각 렌즈계는 포커싱 렌즈군을 경량화할 수 있어, 오토 포커싱에 적합한 대구경의 광각 렌즈계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광각 렌즈계는 카메라, 비디오 카메라 등에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각 렌즈계에 사용되는 비구면의 정의를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비구면 형상은 광축 방향을 x축으로 하고, 광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을 y축으로 할 때, 광선의 진행 방향을 정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x는 렌즈의 정점으로부터 광축 방향으로의 거리를, y는 광축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의 거리를, K는 코닉 상수(conic constant)를, a, b, c, d는 비구면 계수를, C는 렌즈의 정점에 있어서의 곡률 반경의 역수(1/R)를 각각 나타낸다.
Figure pat00005
<식 3>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이 다양한 설계에 따른 실시예를 통해 광각 렌즈계를 구현한다. 이하에서, EFL은 전체 초점거리로서, mm 단위를 사용하며, FNO는 F 넘버를 나타내고, w는 반화각으로 degree의 단위를 사용한다. R을 곡률 반경을, TH는 렌즈 두께 또는 렌즈간 간격을, Nd는 굴절률을, Vd는 아베수를 나타낸다. 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에서 가장 상측(I)에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OF)가 구비될 수 있다. 필터는 예를 들어, Lowpass Filter, IR-Cut Filter, 커버 글라스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필터 없이 렌즈계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면에서 IMG는 상면을 나타낸다.
<제1 실시예>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광각 렌즈계(100-1)를 도시한 것이며, 다음은 제1 실시예의 설계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렌즈면 부호는 물체측(O)으로부터 상측(I)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일렬로 부쳐지며, 도 1에서는 각 렌즈의 렌즈면 부호를 일부만을 나타내었으며, 다른 실시예의 도면에서도 이와 동일하다.
EFL=24.624, FNO=1.44, w= 30.6도
렌즈면      R         TH         Nd      Vd
 S1       68.415      2.000      1.66449  59.4
 S2       32.371       4.837      1.00000   0.0
 S3       47.368       8.251      1.84666  24.9
 S4      715.880      10.346      1.00000   0.0
 S5      265.820       1.600     1.72973  39.9
 S6      18.189      22.598     1.00000   0.0
 S7       52.023       9.306     1.60602  60.4
 S8      -29.730      0.100     1.00000   0.0
 S9       34.280      7.205     1.59282  72.1
 S10      -34.370      1.600     1.92286  21.8
 S11    -118.494      1.034     1.00000   0.0
 S12(ST)    Infinity      2.282     1.00000   0.0 
 S13    -105.576      1.200      1.55740  46.0
S14      19.000      8.520     1.00000   0.0
 S15      97.418      4.000      1.91000  39.7
 S16      -27.715       1.000     1.58739  40.6
 S17      145.198      0.786     1.00000   0.0
 S18    -294.421      3.448     1.80470  42.9
 S19      -31.677      1.091     1.00000   0.0
 S20     -58.249      1.400     1.61011  39.0
S21    -234.115     19.704     1.00000   0.0
 S22    Infinity      2.000     1.51680  67.5 (필터)
 S23    Infinity      0.500      1.00000   0.0
 
다음은 제1실시예에서의 비구면 계수를 나타낸 것이다.
렌즈면    K a b
  S7  -1.0000 -5.87431e-006  0.00000e+000
 S18  -1.0000 -8.36614e-006  1.96736e-008
 
다음은 제1실시예에서 최단 거리에서의 포커싱시 렌즈간 가변 거리를 나타낸 것이다.
MAG         0.2453
TH(S0)      70.218
TH(S12)     6.831
TH(S14)     3.971
TH(S21)    19.712
TH(S23) 0.500
위 표 3에서 MAG는 최단 거리에서의 광각 렌즈계의 배율을, TH(S0)는 물체로부터 제1렌즈의 물체측 면까지의 거리를 나타낸다.
다음은 제1실시예에서의 제1렌즈군의 초점거리(f1), 제2렌즈군의 초점거리(f2), 제2-2군의 초점거리(f2-2)를 나타내고, 식 1과 식 2의 값을 나타낸 것이다.
f1 -36.087
f2 30.073
f2-2 -28.789
f2/f2-2 -1.045
f/f1 -0.682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각 렌즈계의 무한 물체 거리에서의 구면수차(spherical aberration), 상면만곡(astigmatic field curves), 왜곡수차(distortion)를 나타낸 것이다. 상면만곡으로는 자오상면 만곡(T: tangential field curvature)과 구결상면 만곡(S: sagittal field curvature)을 보여준다. 도 3은 제1실시예에 따른 광각 렌즈계의 지근 거리에서의 구면수차, 상면만곡, 왜곡수차를 나타낸 것이다.
<제2 실시예>
도 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광각 렌즈계(100-2)를 도시한 것이며, 다음은 제2 실시예의 설계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EFL= 24,617, FNO=1.44, w=30.6도
렌즈면     R         TH         Nd       Vd
  S1       72.886       2.000      1.69680  58.3
  S2      32.930      4.604     1.00000   0.0
  S3       43.554     10.084     1.84666  24.9
  S4     806.677      8.768     1.00000   0.0
  S5     523.269      1.600     1.74950  36.7
  S6       18.410     22.989      1.00000   0.0
  S7       56.729      9.500     1.60602  60.4
  S8      -29.717      0.100     1.00000   0.0
  S9       32.770      7.468     1.59240  71.8
 S10     -34.308      1.600     1.92286  21.8
 S11     -119.502      1.027     1.00000   0.0
 S12(ST)    Infinity      2.303     1.00000   0.0 
 S13     -104.307      1.200     1.54814  48.1
 S14      19.138      8.697      1.00000   0.0
 S15     129.488      4.000     1.91082  37.0
 S16     -26.739      1.000     1.59551  41.1
 S17    -289.187      0.786      1.00000   0.0
 S18     -145.047      3.335     1.80470  42.9
 S19     -30.395      1.115     1.00000   0.0
 S20     -59.932      1.400     1.76182  27.9
 S21    -502.406     19.182     1.00000   0.0
 S22    Infinity      2.800     1.51680  67.5 (필터)
 S23    Infinity       0.500      1.00000   0.0
 
다음은 제2실시예에서의 비구면 계수를 나타낸 것이다.
렌즈면    K         a           b   
  S7  -1.0000 -5.56187e-006  0.00000e+000
 S18  -1.0000 -1.00959e-005  1.90096e-008
 
다음은 제2실시예에서 최단 거리에서의 포커싱시 렌즈간 가변 거리를 나타낸 것이다.
MAG      0.2459
TH(S0)       70.000
TH(S12)    6.852
TH(S14)    4.148
TH(S21)   19.190
TH(S23)    0.500
 
다음은 제2실시예에서의 제1렌즈군의 초점거리(f1), 제2렌즈군의 초점거리(f2), 제2-2군의 초점거리(f2-2)를 나타내고, 식 1과 식 2의 값을 나타낸 것이다.
f2 30.001
f2-2 -29.400
f2/f2-2 -1.020
f1 -35.568
f/f1 -0.692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각 렌즈계의 무한 물체 거리에서의 종방향 구면수차, 상면만곡, 왜곡수차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제2실시예에 따른 광각 렌즈계의 지근 거리에서의 종방향 구면수차, 상면만곡, 왜곡수차를 나타낸 것이다.
<제3 실시예>
도 7은 제3 실시예에 따른 광각 렌즈계(100-3)를 도시한 것이며, 다음은 제3 실시예의 설계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광각 렌즈계(100-3)에서는 제1렌즈군(G1)은 부렌즈(1), 정렌즈(2), 부렌즈(3)를 포함하고, 제2-1군(G2-1)은 정렌즈(4), 정렌즈(5), 부렌즈(6)를 포함하며, 제2-2군(G2-2)은 정렌즈(7a)와 부렌즈(7b)를 가지는 접합 렌즈를 포함한다. 제2-3군(G2-3)은 접합 렌즈(8)(9), 정렌즈(10), 부렌즈(11)를 포함한다.
EFL=24.523, FNO=1.44, w=30.7도
렌즈면      R       TH           Nd      Vd
  S1       58.333      2.000       1.64769  35.5
  S2      27.909      5.628      1.00000   0.0
  S3       42.434       8.852      1.84666  24.9
  S4     -701.831      2.502      1.00000   0.0
  S5      334.980       1.600       1.60562  45.9
  S6      16.749     23.071      1.00000   0.0
  S7      56.140      7.940      1.48463  73.5
  S8     -25.056      0.100      1.00000   0.0
  S9       65.440       5.640       1.80420  48.8
 S10     -35.241      1.600       1.92286  21.8
 S11     -248.309      1.389       1.00000   0.0
 S12(ST)     Infinity      2.574       1.00000   0.0 
 S13     -72.852      1.100      1.53172  51.3
 S14      16.935      2.314       1.92286  21.8
 S15      20.253     12.326      1.00000   0.0
 S16      -96.819      4.000      1.80420  48.8
 S17     -19.298      1.000      1.80518  26.6
 S18     -41.687      0.786      1.00000   0.0
 S19      55.157      5.290      1.83481  44.8
 S20     -38.920      1.069      1.00000   0.0
 S21     -35.622      1.400      1.68893  32.6
 S22    -181.378     19.176      1.00000   0.0
 S23    Infinity      2.800      1.51680  67.5(필터)
 S24     Infinity       0.500       1.00000   0.0
 
다음은 제3실시예에서의 비구면 계수를 나타낸 것이다.
렌즈면    K          a       
  S7  -1.0000 -8.12036e-006
다음은 제3실시예에서 최단 거리에서의 포커싱시 렌즈간 가변 거리를 나타낸 것이다.
MAG      0.2731
TH(S0)      70.000
TH(S12)   10.157
TH(S15)    4.742
TH(S22)   19.183
TH(S24)    0.500
 
다음은 제3실시예에서의 제1렌즈군의 초점거리(f1), 제2렌즈군의 초점거리(f2), 제2-2군의 초점거리(f2-2)를 나타내고, 식 1과 식 2의 값을 나타낸 것이다.
f1 -43.706
f2 20.449
f2-2 -34.467
f2/f2-2 -0.593
f/f1 -0.561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광각 렌즈계의 무한 물체 거리에서의 종방향 구면수차, 상면만곡, 왜곡수차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제3실시예에 따른 광각 렌즈계의 지근 거리에서의 종방향 구면수차, 상면만곡, 왜곡수차를 나타낸 것이다.
<제4 실시예>
도 10은 제4 실시예에 따른 광각 렌즈계(100-4)를 도시한 것이며, 다음은 제4 실시예의 설계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광각 렌즈계(100-4)에서, 제1렌즈군(G1)은 부렌즈(1-4), 정렌즈(2-4), 부렌즈(3-4)를 포함한다. 제2-1군(G2-1)은 4매의 렌즈(4-4)(5-4)(6-4)(7-4)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2-1군(G2-1)은 정렌즈(4-4), 부렌즈(5-4), 정렌즈(6-4), 및 부렌즈(7-4)를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1군의 굴절력 배치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제2-2군(G2-2)은 정렌즈(8a)와 부렌즈(8b)를 가지는 접합 렌즈를 포함한다. 제2-3군(G2-3)은 접합 렌즈(9)(10), 정렌즈(11), 부렌즈(12)를 포함한다.
EFL=24.521, FNO=1.44, w=30.7도
렌즈면      R        TH            Nd      Vd
  S1       43.624       2.000       1.65682  55.2
  S2       24.213      6.259       1.00000   0.0
  S3       37.398      8.809       1.84700  23.8
  S4     -487.325      3.646       1.00000   0.0
  S5    -821.231      1.500       1.79055  31.6
  S6       17.404     18.620       1.00000   0.0
  S7     204.750      6.135       1.79012  47.1
  S8      -27.302      0.100       1.00000   0.0
  S9     -46.309      1.500       1.84700  23.8
 S10     -81.619      0.100       1.00000   0.0
 S11      30.495      8.358       1.62314  58.4
 S12     -24.391      1.700       1.90000  22.5
 S13     -48.099      1.000       1.00000   0.0
 S14(ST)    Infinity      2.000       1.00000    0.0
 S15    -128.510      1.000       1.87031  33.1
 S16       11.243       4.324        1.90000  22.5
 S17      21.362      9.036       1.00000   0.0
 S18      -45.246      3.607       1.77272  53.4
 S19     -17.199       1.000        1.81257  24.8
 S20     -26.012      0.786       1.00000   0.0
 S21       47.411      5.401       1.83294  43.4
 S22     -48.202      1.054       1.00000   0.0
 S23     -62.902      1.400       1.71018  28.9
 S24   -1072.646      19.165       1.00000   0.0
 S25    Infinity       2.800       1.51680  64.2(필터)
 S26     Infinity       0.500        1.00000   0.0
 
다음은 제4실시예에서의 비구면 계수를 나타낸 것이다.
렌즈면    K         a   
 S11  -1.0000 -2.70034e-007
 S21  -1.0000  6.06841e-007
 
다음은 제4실시예에서 최단 거리에서의 포커싱시 렌즈간 가변 거리를 나타낸 것이다.
MAG     0.2702
TH(S0)       70.000
TH(S14)    6.307
TH(S17)    4.729
TH(S24)    19.185
TH(S26)     0.500
다음은 제4실시예에서의 제1렌즈군의 초점거리(f1), 제2렌즈군의 초점거리(f2), 제2-2군의 초점거리(f2-2)를 나타내고, 식 1과 식 2의 값을 나타낸 것이다.
f1 -34.153
f2 32.821
f2-2 -21.368
f2/f2-2 -1.536
f/f1 -0.718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광각 렌즈계의 무한 물체 거리에서의 종방향 구면수차, 상면만곡, 왜곡수차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제4실시예에 따른 광각 렌즈계의 지근 거리에서의 종방향 구면수차, 상면만곡, 왜곡수차를 나타낸 것이다.
<제5 실시예>
도 13은 제5 실시예에 따른 광각 렌즈계(100-5)를 도시한 것이며, 다음은 제5 실시예의 설계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EFL=24.612, FNO=1.44, w=30.6도
렌즈면       R         TH          Nd      Vd
  S1      69.906        2.000      1.62299  61.1
  S2      31.872      4.823      1.00000   0.0
  S3      46.112     8.262      1.84666  24.9
  S4     533.307     10.343      1.00000   0.0
  S5     249.778      1.600      1.73077  42.5
  S6       17.895      23.335       1.00000   0.0
  S7      54.271      8.511      1.60602  60.4
  S8     -29.515      0.100       1.00000   0.0
  S9      33.455      7.482      1.59282  72.1
 S10     -32.253      1.600      1.92286  21.8
 S11    -114.663     1.012      1.00000   0.0
 S12    Infinity      2.030      1.00000   0.0
 S13    -229.438      1.200      1.59551  41.1
 S14      19.424      8.568      1.00000   0.0
 S15     127.907      4.000      1.91082  37.0
 S16     -26.310     1.000      1.56732  44.9
 S17     109.873      0.786      1.00000   0.0
 S18   -1196.642      3.757      1.80470  43.0
 S19     -29.572      0.765       1.00000   0.0
 S20     -52.097     1.400      1.58144  42.9
 S21    6204.991    19.723       1.00000   0.0
 S22    Infinity      2.000      1.51680  67.5
 S23    Infinity       0.500       1.00000   0.0
 다음은 제5실시예에서의 비구면 계수를 나타낸 것이다.
렌즈면    K          a        b
  S7  -1.0000 -5.35397e-006  0.00000e+000
 S13  -1.0000 -4.17120e-006  0.00000e+000
 S18  -1.0000 -9.43807e-006  2.07285e-008
다음은 제5실시예에서 최단 거리에서의 포커싱시 렌즈간 가변 거리를 나타낸 것이다.
MAG  0.24348
TH(S0)      70.000
TH(S12)    6.570
TH(S14)    4.027
TH(S23)    0.500
다음은 제5실시예에서의 제1렌즈군의 초점거리(f1), 제2렌즈군의 초점거리(f2), 제2-2군의 초점거리(f2-2)를 나타내고, 식 1과 식 2의 값을 나타낸 것이다.
f1     -36.083
f2       29.800
f2-2   -30.017
f2/f2-2 -0.993
f/f1     -0.682
도 14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광각 렌즈계의 무한 물체 거리에서의 종방향 구면수차, 상면만곡, 왜곡수차를 나타낸 것이다. 도 15는 제5실시예에 따른 광각 렌즈계의 지근 거리에서의 종방향 구면수차, 상면만곡, 왜곡수차를 나타낸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각 렌즈계는 스틸 카메라, 비디오카메라 등에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소위 레트로포커스(retrofocus)형 렌즈이며, 이너 포커싱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그리고, 대략 F 1.8 이하의 밝은 렌즈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각 렌즈계(100)를 구비한 촬영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광각 렌즈계(100)는 앞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한 광각 렌즈계(100-1)(100-2)(100-3)(100-4)(100-5)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촬영 장치는 상기 광각 렌즈계(100)에 의해 결상된 광을 수광하는 이미징 소자(112)를 포함한다. 상기 촬영 장치는 상기 이미징 소자(112)로부터 광전 변환된 피사체 상에 대응되는 정보가 기록된 기록 수단(113)과, 피사체 상을 관찰하기 위한 뷰 파인더(finder)(11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피사체 상이 표시되는 표시부(115)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는, 뷰 파인더(114)와 표시부(115)가 따로 구비된 예를 보여주었으나 뷰 파인더가 따로 없이 표시부만 구비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촬영 장치는 일 예일 뿐이며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카메라 이외에 다양한 광학 기기에 적용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각 렌즈계를 디지털 카메라 등의 촬영 장치에 적용함으로써 빠르게 오토 포커싱을 할 수 있는 촬영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CCD나 CMOS와 같은 이미징 소자를 사용한 촬영 장치에 있어서, 이미징 소자로부터의 콘트라스트 신호에 기초해 콘트라스트 최대의 위치로 포커싱하는 콘트라스트 오토 포커싱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서는 콘트라스트 최대위치를 통과해서 확인한 후, 다시 포커싱 렌즈군을 되돌려서 포커싱을 하기 때문에 포커싱 렌즈군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움직여야 한다. 따라서, 콘트라스트 오토 포커싱 방식을 채용한 촬영 장치에서, 포커싱 렌즈군을 경량화함으로써 신속하고 정확한 포커싱을 수행할 수 있다. 이밖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에서는 빛을 투사해서 그 반사광에 의해 거리를 측량하여 포커싱하는 액티브 방식이나 렌즈의 입사동의 다른 부분을 통한 빛의 위상차를 요구하는 위상차 검출 방식 등을 오토 포커싱 방식으로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광각 렌즈계는 이너 포커스 방식을 채택하여 소형화를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광각 렌즈계 내부의 일부 렌즈를 움직여서 포커싱하는 이너 포커싱(inner focusing)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G1...제1렌즈군, G2...제2렌즈군
G2-1...제2-1군, G2-2...제2-2군
G2-3...제2-3군

Claims (12)

  1. 물체측에서 상측으로 순서대로 배열된 것으로,
    부의 굴절력을 가진 제1렌즈군;
    상기 제1렌즈군과 최대공기간격에 의해 이격된 정의 굴절력을 가진 제2렌즈 군;을 포함하고,
    상기 제2렌즈군은 정의 제2-1군, 부의 제2-2군, 정의 제2-3군을 포함하고,
    상기 제2-2군이 광축 상을 움직여서 포커싱을 하는 광각 렌즈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1군과 제2-2군의 사이에 조리개가 구비된 광각 렌즈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2군이 접합 렌즈 또는 단 렌즈를 포함하는 광각 렌즈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1군이 적어도 하나의 비구면을 포함하는 광각 렌즈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3군이 적어도 하나의 비구면을 포함하는 광각 렌즈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3군이 상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부 렌즈와 정 렌즈를 포함하는 광각 렌즈계.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군은 물체측에서 순서대로 배열된 부의 메니스커스 렌즈, 정 렌즈, 부 렌즈를 포함하는 광각 렌즈계.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1군은 정 렌즈와, 정 렌즈와 부 렌즈로 이루어진 접합 렌즈를 포함하는 광각 렌즈계.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음 식을 만족하는 광각 렌즈계.
    <식>
    Figure pat00006
  10. 제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음 식을 만족하는 광각 렌즈계.
    <식>
      
    Figure pat00007
     
  11. 제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각 렌즈는 1.8이하의 F 넘버를 가지는 광각 렌즈계.
  12.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각 렌즈계; 및
    상기 광각 렌즈계에 의해 결상된 상을 수광하는 이미징 소자;를 포함하는 촬영 장치.
KR1020130041837A 2013-04-16 2013-04-16 광각 렌즈계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 KR20140124286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1837A KR20140124286A (ko) 2013-04-16 2013-04-16 광각 렌즈계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
EP20140163741 EP2793065A1 (en) 2013-04-16 2014-04-07 Wide angle lens system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
US14/252,999 US9297986B2 (en) 2013-04-16 2014-04-15 Wide angle lens system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
CN201410153288.6A CN104111517A (zh) 2013-04-16 2014-04-16 广角镜头系统和具有该广角镜头系统的电子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1837A KR20140124286A (ko) 2013-04-16 2013-04-16 광각 렌즈계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4286A true KR20140124286A (ko) 2014-10-24

Family

ID=50434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1837A KR20140124286A (ko) 2013-04-16 2013-04-16 광각 렌즈계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297986B2 (ko)
EP (1) EP2793065A1 (ko)
KR (1) KR20140124286A (ko)
CN (1) CN10411151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61714B2 (ja) * 2015-09-15 2019-08-21 株式会社リコー 結像レンズ系および撮像装置および携帯情報端末装置
JP6789898B2 (ja) * 2017-08-31 2020-11-2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
JP7058981B2 (ja) * 2017-11-17 2022-04-25 キヤノン株式会社 光学系及びそれを有する撮像装置
CN112965203A (zh) * 2019-11-27 2021-06-15 广东思锐光学股份有限公司 一种大光圈变形镜头
TWI734536B (zh) 2020-06-20 2021-07-2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攝像用光學鏡片組、取像裝置及電子裝置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99005B2 (ja) * 1989-01-30 1999-06-02 キヤノン株式会社 内蔵フォーカスレンズを具えたズームレンズ
US5000550A (en) 1989-01-30 1991-03-19 Canon Kabushiki Kaisha Wide-angle type zoom lens having inner-focus lens
JPH0894935A (ja) * 1994-07-29 1996-04-12 Nikon Corp 内焦式ズームレンズ
JP4046834B2 (ja) * 1998-02-13 2008-02-13 キヤノン株式会社 防振機能を有した変倍光学系
JP3579627B2 (ja) 2000-02-16 2004-10-20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広角レンズ系
JP2003043350A (ja) 2001-07-30 2003-02-13 Pentax Corp 広角レンズ系
JP2003270530A (ja) * 2002-03-14 2003-09-25 Fuji Photo Optical Co Ltd 非球面合成樹脂レンズを有する広角レンズ
JP4418618B2 (ja) 2002-06-28 2010-02-17 キヤノン株式会社 単焦点レンズのフォーカス方式
JP4197994B2 (ja) * 2003-06-19 2008-12-17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撮像装置
JP2005173275A (ja) 2003-12-12 2005-06-30 Sigma Corp 超広角レンズ
US20060227129A1 (en) * 2005-03-30 2006-10-12 Cheng Pe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JP4946445B2 (ja) 2007-01-11 2012-06-06 株式会社ニコン 広角レンズ、撮像装置、広角レンズの合焦方法
JP5015657B2 (ja) * 2007-05-18 2012-08-2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レンズ、および該撮像レンズを備えた撮像装置
TWI351530B (en) * 2007-07-05 2011-11-01 Largan Precision Co Ltd Inverse telephoto with correction lenses
US8472125B2 (en) * 2007-11-15 2013-06-25 Konica Minolta Opto, Inc. Variable power optical system, imaging device, and digital device
JP5387139B2 (ja) 2009-05-25 2014-01-15 株式会社リコー 結像レンズおよびカメラ装置および携帯情報端末装置
US8369030B2 (en) 2009-05-25 2013-02-05 Ricoh Company, Limited Image forming lens, camera device, and handheld terminal
JP2011028009A (ja) 2009-07-27 2011-02-10 Topcon Corp 画像取得用レンズ
US8098443B2 (en) * 2009-12-11 2012-01-17 Tdk Taiwan Corp. Miniature zoom lens system
CN102109662A (zh) * 2009-12-25 2011-06-29 佛山普立华科技有限公司 取像镜头
JP5495800B2 (ja) 2010-01-06 2014-05-21 キヤノン株式会社 光学系及びそれを有する撮像装置
JP5486385B2 (ja) 2010-04-15 2014-05-07 株式会社シグマ 超広角レンズ系
JP5554143B2 (ja) 2010-05-17 2014-07-23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結像光学系を用いた撮像装置
JP5691855B2 (ja) 2010-06-23 2015-04-01 株式会社ニコン 撮影レンズ、この撮影レンズを有する光学機器、及び、撮影レンズの製造方法
JP5691854B2 (ja) 2010-06-23 2015-04-01 株式会社ニコン 撮影レンズ、この撮影レンズを有する光学機器、及び、撮影レンズの製造方法
US20110317282A1 (en) 2010-06-23 2011-12-29 Nikon Corporation Imaging lens, optical apparatus equipped therewith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imaging lens
US8717686B2 (en) * 2010-11-22 2014-05-06 Nikon Corporation Optical system, optical apparatus and optical system manufacturing method
JP5714925B2 (ja) 2011-01-31 2015-05-07 ソニー株式会社 インナーフォーカス式レンズ
US8711489B2 (en) * 2011-02-18 2014-04-29 Olympus Imaging Corp. Zoom lens
US8503102B2 (en) * 2011-04-19 2013-08-06 Panavision International, L.P. Wide angle zoom le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111517A (zh) 2014-10-22
US9297986B2 (en) 2016-03-29
EP2793065A1 (en) 2014-10-22
US20140307332A1 (en) 2014-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9011B1 (ko) 망원 줌 렌즈계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
KR101826332B1 (ko) 단초점 렌즈계 및 이를 구비한 촬영 장치
KR102083931B1 (ko) 광각 렌즈계
EP2626733B1 (en) Imaging lens system
KR101853808B1 (ko) 광각 렌즈계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US8498063B2 (en) Telephoto lens system
JP4777018B2 (ja) ズームレンズおよびそれを有する撮像装置
KR101612444B1 (ko) 접사 렌즈계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KR20160029591A (ko) 이너 포커스식 망원 렌즈계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
KR101950999B1 (ko) 줌 렌즈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
KR101932722B1 (ko) 줌 렌즈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
US8953260B2 (en) Telephoto lens system
US8724232B2 (en) Zoom lens and photograph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1844509B1 (ko) 줌렌즈 및 이를 구비한 촬영 장치
JP6548590B2 (ja) 撮像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
KR20130103123A (ko) 어안 렌즈계 및 이를 구비한 촬영 장치
JP4827454B2 (ja) ズームレンズおよびそれを有する撮像装置
KR20130013514A (ko) 줌 렌즈 및 이를 구비한 촬영 장치
KR101457415B1 (ko) 렌즈 광학계
KR20140124286A (ko) 광각 렌즈계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
KR101582089B1 (ko) 광각 렌즈 및 이를 구비한 결상 광학 장치
CN105607236A (zh) 内对焦微距镜头和使用该内对焦微距镜头的摄像装置
KR101880633B1 (ko) 줌 렌즈 및 이를 구비한 촬영 장치
KR20160107805A (ko) 줌 렌즈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
KR102378519B1 (ko) 단초점 렌즈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