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9591A - 이너 포커스식 망원 렌즈계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 - Google Patents

이너 포커스식 망원 렌즈계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9591A
KR20160029591A KR1020140119365A KR20140119365A KR20160029591A KR 20160029591 A KR20160029591 A KR 20160029591A KR 1020140119365 A KR1020140119365 A KR 1020140119365A KR 20140119365 A KR20140119365 A KR 20140119365A KR 20160029591 A KR20160029591 A KR 201600295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lens group
telephoto
group
lens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9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수지 요네야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9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29591A/ko
Priority to EP15183954.5A priority patent/EP2993507A1/en
Priority to PCT/KR2015/009382 priority patent/WO2016036210A1/en
Priority to US14/845,427 priority patent/US20160070116A1/en
Priority to CN201510561419.9A priority patent/CN105403983A/zh
Publication of KR20160029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95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2Telephoto objectives, i.e. systems of the type + - in which the distance from the front vertex to the image plane is less than the equivalent focal length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64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more than six compon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9/00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5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 H04N23/687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by shifting the lens or sensor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70SSIS architectures; Circuits associated therewith
    • H04N25/71Charge-coupled device [CCD] sensors; Charge-transfer registers specially adapted for CCD sens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enses (AREA)

Abstract

이너 포커스식 망원 렌즈계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망원 렌즈계는, 물체측에서 상측으로 순서대로 배열된 것으로,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렌즈군;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렌즈군; 및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3렌즈군;을 포함하고, 상기 제2렌즈군을 광축을 따라 움직여 포커싱을 실시한다.

Description

이너 포커스식 망원 렌즈계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Telephoto lens system having inner focusing method and photographing apparatus}
예시적인 실시예는 이너 포커스식 망원 렌즈계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포커스 렌즈군을 경량화한 망원 렌즈계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에 관한 것이다.
CCD(Charge Coupled Device)나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등과 같은 고체 촬상 소자를 가진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나 비디오 카메라(video camera)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특히, 렌즈 교환식 카메라의 수요가 늘고 있다.
그리고, 카메라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망원 렌즈나 광각 렌즈와 같은 단초점 렌즈(single focus lens)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단초점 렌즈들의 구경이 커지고 있다.
또한, 스틸 카메라나 비디오 카메라에서도 포커스 렌즈군을 모터로 구동하여 자동적으로 핀트를 맞추는 이른바 오토 포커스 렌즈가 많이 보급되고 있다. 예를 들어, CCD나 CMOS촬상소자를 사용한 디지털 카메라에서는 촬상 소자에서 보낸 콘트라스트 신호에 기초한 콘트라스트 최대 위치를 포커스 위치로 오토포커스 제어를 실시하는 콘트라스트 오토 포커스 방식이 많이 사용된다. 이 방식에서는 콘트라스트 최대 위치를 확인한 후, 포커스 렌즈군을 되돌려서 최종적으로 포커싱한다. 콘트라스트 오토 포커스 방식에서는 포커스 렌즈군이 전후로 빠르게 정확한 거리를 움직여야만 하기 때문에 빛을 투사하여 그 반사광으로 거리를 측정하는 액티브 방식이나, 렌즈의 입사동(entrance pupil)과 다른 부분을 통과한 빛의 위상차를 구하는 위상차 검출 방식 보다 포커스 렌즈군을 더욱 경량화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망원 렌즈계에서 대구경화와, 포커스 렌즈군의 경량화가 같이 만족되기 어렵다.
예시적인 실시예는 대구경을 가지고, 경량화된 포커스 렌즈군을 가지는 이너포커스식 망원 렌즈계를 제공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는 대구경을 가지고, 경량화된 포커스 렌즈군을 가지는 이너포커스식 망원 렌즈계를 포함하는 촬영 장치를 제공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이너 포커스식 망원 렌즈계는, 물체측에서 상측으로 순서대로 배열된 것으로,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렌즈군;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렌즈군; 및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3렌즈군;을 포함하고,
상기 제2렌즈군을 광축을 따라 움직여 포커싱을 실시하고,
상기 제1렌즈군은 물체측에서부터 순서대로 제1정렌즈, 제2정렌즈, 제3부렌즈, 물체측을 향해 볼록한 매니스커스형의 제4부렌즈, 제5정렌즈를 포함하며, 제 2렌즈군은 물체측에서부터 순서대로 제6정렌즈와 제7부렌즈의 접합 렌즈를 포함하고, 제 3렌즈군은 물체측에 조리개를 가지며, 상기 조리개의 상측의 일부 렌즈를 광축에 대해 거의 직각방향으로 움직여 손 떨림을 방지하는 손떨림 방지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 떨림 방지군은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측에서부터 순서대로 제8정렌즈와 제9부렌즈로 이루어진 접합렌즈와, 제10부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너 포커스식 망원 렌즈계는 다음 식을 만족할 수 있다.
<식>
1.2<β2<3.5
여기서, β2는 무한 물체 거리에 초점을 맞췄을 경우 제2렌즈군의 배율을 나타낸다.
상기 이너 포커스식 망원 렌즈계는 다음 식을 만족할 수 있다.
<식>
1.60<f/f1<2.70        
여기서, f는 무한 물체 거리에 초점을 맞췄을 경우 망원 렌즈계의 초점 거리를, f1은 무한 물체 거리에서 제1렌즈군의 초점 거리를 나타낸다. 
상기 이너 포커스식 망원 렌즈계는 다음 식을 만족할 수 있다.
<식>
0.035<d1-2/f<0.100      
여기서, d1-2는 무한 물체 거리에 초점을 맞췄을 경우 제1렌즈군과 제2렌즈군 사이의 공기 간격을 나타낸다.
상기 이너 포커스식 망원 렌즈계는 다음 식을 만족할 수 있다.
<식>
n2n>1.85
여기서, n2n는 제2렌즈군의 제7부렌즈의 d-Line에서의 굴절률을 나타낸다.
상기 제2정렌즈가 90 이상의 아베수를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는, 망원 렌즈계 및 상기 망원 렌즈계에 의해 결상된 광을 수광하는 이미징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망원 렌즈계는 물체측에서 상측으로 순서대로 배열된 것으로,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렌즈군;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렌즈군; 및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3렌즈군;을 포함하고,
상기 제2렌즈군을 광축을 따라 움직여 포커싱을 실시하고,
상기 제1렌즈군은 물체측에서부터 순서대로 제1정렌즈, 제2정렌즈, 제3부렌즈, 물체측을 향해 볼록한 매니스커스형의 제4부렌즈, 제5정렌즈를 포함하며, 제 2렌즈군은 물체측에서부터 순서대로 제6정렌즈와 제7부렌즈의 접합 렌즈를 포함하고, 제 3렌즈군은 물체측에 조리개를 가지며, 상기 조리개의 상측의 일부 렌즈를 광축에 대해 거의 직각방향으로 움직여 손 떨림을 방지하는 손떨림 방지군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망원 렌즈계는 오토 포커스에 의해 고품질의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망원 렌즈계의 포커스 렌즈군이 경량화되어 빠르게 포커싱을 수행할 수 있고, 포커스 렌즈군을 움직이는 포커싱 구동부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망원 렌즈계는 오토 포커싱을 수행함과 아울러 밝은 렌즈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망원 렌즈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망원 렌즈계의 무한 물체거리에서의 종수차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망원 렌즈계의 지근 거리에서의 종수차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망원 렌즈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망원 렌즈계의 무한 물체거리에서의 종수차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망원 렌즈계의 지근 거리에서의 종수차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망원 렌즈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망원 렌즈계의 무한 물체거리에서의 종수차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망원 렌즈계의 지근 거리에서의 종수차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이너 포커스식 망원 렌즈계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각 구성 요소의 크기나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이하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러한 실시예 들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망원 렌즈계(100)를 도시한 것이다.
망원 렌즈계(100)는 물체측(object side)(O)에서 상측(image side)(I)으로 순서대로 배열된 것으로,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렌즈군(G1),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렌즈군(G2), 및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3렌즈군(G3)을 포함한다.
상기 제2렌즈군(G2)을 광축을 따라 움직여 포커싱을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망원 렌즈계(100)는 망원 렌즈계 내부에 있는 렌즈를 움직여 포커싱을 실시하는 이너 포커스식 망원 렌즈계이다.
상기 제1렌즈군(G1)은 물체측(O)에서부터 순서대로 제1정렌즈(1), 제2정렌즈(2), 제3부렌즈(3), 제4부렌즈(4), 제5정렌즈(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정렌즈(1)는 예를 들어, 양볼록 렌즈 또는 물체측(O)을 향해 볼록한 메니스커스 렌즈일 수 있다. 상기 제2정렌즈(2)는 예를 들어, 양볼록 렌즈 또는 물체측(O)을 향해 볼록한 메니스커스 렌즈일 수 있다. 상기 제3부렌즈(3)는 예를 들어, 양오목 렌즈일 수 있다. 상기 제4부렌즈(4)는 예를 들어, 물체측(O)을 향해 볼록한 매니스커스형 렌즈일 수 있다. 상기 제5정렌즈(5)는 예를 들어, 물체측(O)을 향해 볼록한 메니스커스형 렌즈일 수 있다. 상기 제4부렌즈(4)와 제5정렌즈(5)는 예를 들어 접합되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4부렌즈(4)와 제5렌즈(5)가 이격되는 것도 가능하다.
전장이 초점거리보다 짧아지는 망원 렌즈계에 있어서, 후군(제2렌즈군과 제3렌즈군)의 부의 굴절력에 의해 초점 거리나 수차가 확대되기 때문에, 제1렌즈군(G1)은 색수차나 구면수차 등을 보정해 둘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대략 F2.8을 가지는 비교적 밝은 대구경 망원렌즈에 있어서는 구면수차, 코마수차를 충분히 보정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제1렌즈군(G1)의 가장 물체측에 정렌즈를 2매 배치하여 구면수차 발생을 적게 하고, 다음 부렌즈로 구면수차, 색수차를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제1렌즈군(G1)의 제2정렌즈(2)는 90 이상의 아베수를 가지는 이상 분산성을 가지는 재료를 채용하여 색수차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제1정렌즈(1), 제2정렌즈(2) 및 제3부렌즈(3)에 의해 수렴되는 광속을, 물체측이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의 제4 부렌즈(4)의 볼록면에서 받음으로써 입사 각도를 작게 해 수차 발생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부렌즈(4)와 제5정렌즈(5)가 협력하여 수차 보정을 실시한다. 상기 제5 정렌즈(5)도 90 이상의 아베수를 가지는 이상 분산성을 가지는 재료를 채용할 수 있다.
 제1렌즈군의 구성에 의해 대구경 망원 렌즈계에서 수차를 충분히 보정할 수 있다.
상기 제 2렌즈군(G2)은 물체측(O)에서부터 순서대로 제6정렌즈(6)와 제7부렌즈(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6정렌즈(6)와 제7부렌즈(7)는 접합 렌즈(cemented lens)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모터로 렌즈를 구동하여 자동적으로 포커스를 맞추는 오토 포커스가 채용될 수 있다. 제2렌즈군(G2)이 오토 포커스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트라스트 오토 포커스 방식에서는 포커스 렌즈군을 빠르게 반전 동작시키기 위해, 포커스 렌즈군을 경량화하는 것이 좋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제2렌즈군을 정, 부의 접합 렌즈를 포함하여 경량화하고 있다. 망원 렌즈계에서는 전체 색 수차의 보정이 중요하지만, 망원 렌즈 계의 안에서 움직이는 포커스 렌즈군에서도 전체의 색수차가 변화되지 않도록 색 수차 보정을 해야 한다.
상기 제 3렌즈군(G3)은 물체측(O)에 조리개(ST)를 가지며, 상기 조리개(ST)의 상측(I)의 일부 렌즈를 광축에 대해 거의 직각방향으로 움직여 손 떨림을 방지하는 손떨림 방지군(G3-1)을 포함할 수 있다. 손떨림 방지군(G3-1)은 제3렌즈군(G3)의 가장 물체측(O)에 있는 일부 렌즈, 예를 들어, 세 매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떨림 방지군(G3-1)은 부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손떨림 방지군(G3-1)은 예를 들어, 물체측(O)에서부터 순서대로 제8정렌즈(8), 제9부렌즈(9), 제10부렌즈(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8정렌즈(8)와 제[8]9부렌즈(9)가 접합 렌즈일 수 있다.
상기 조리개(ST)는 조리개 기구 전체의 크기를 작게 하기 위해 구경이 작은 것이 좋다. 따라서, 구경이 상대적으로 큰 제1렌즈군(G1)보다 구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상측(I)의 렌즈군에 배치하는 것이 좋다. 조리개를 제2렌즈군(G2)에 배치하면 포커스 시에 조리개도 함께 움직여야 하기 때문에, 움직이는 부분이 무거워져 경량화에 반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리개(ST)는 포커스 시에 고정되어 있는 제3렌즈군(G3)에 배치하는 것이 좋다.
상기 조리개(ST)의 바로 상측(I)에 있는 일부 렌즈를 움직여 손떨림 방지를 할 때, 손떨림 방지군(G3-1)을 경량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3렌즈군(G3)의 조리개 주변에 있는 렌즈는 상대적으로 구경이 작기 때문에, 손떨림 방지군(G3-1)을 조리개 다음에 배치함으로써 손떨림 방지군(G3-1)의 구경을 작게 하고, 경령화할 수 있다.
또한, 망원 렌즈계에서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1렌즈군 이후의 제2 및 제3 렌즈군은 전체적으로 부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손떨림 방지를 위해 어느 정도의 굴절력을 가져야 하는 손떨림 방지군이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것이 수차 보정에 유리할 수 있다. 만약, 손떨림 방지군이 정의 굴절력을 가지면, 전체적으로 부의 굴절력을 가지기 위해 부의 굴절력을 보다 강하게 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정의 렌즈군의 수차와 부의 렌즈군의 수차가 서로 부정적으로 영향을 받게 되어 민감도가 높아지기 쉽고, 렌즈 매수도 증가될 수 있다.   
 그리고, 손떨림 방지군이 제8정렌즈와 제9부렌즈의 접합렌즈와, 제10부렌즈를 포함하여 색 수차와 다른 여러 가지 수차를 적절하게 보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0부렌즈(10)의 상측(I)에 복수 개의 렌즈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1정렌즈(11) 및 제12부렌즈(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1정렌즈(11)와 제12부렌즈(12)는 접합 렌즈일 수 있다. 상기 제12부렌즈(12)의 상측(I)에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과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12부렌즈(12)의 상측(I)에 제13렌즈(13) 및 제14렌즈(14)가 구비된 예를 도시하였다. 예를 들어, 제13렌즈(13)는 정렌즈일 수 있고, 제14렌즈는 부렌즈일 수 있다. 도 7에서는, 제12부렌즈(12)의 상측에 제13렌즈(13)가 구비된 예를 도시하였다.
망원 렌즈계(100)는 다음 식을 만족할 수 있다.
1.2<β2<3.5         <식 1>
여기서, β2는 무한 물체 거리에 초점을 맞췄을 경우의 제2렌즈군의 배율을 나타낸다. 배율은 결상 배율(imaging magnification)을 나타낸다.
β2가 식 1의 하한을 넘어 배율이 작아지면 포커스 감도가 낮아져 포커스 시의 이동량이 커지고, 그럼으로써 렌즈계 전장의 대형화를 초래하거나 지근 거리에서의 수차 변화가 커질 수 있다. β2가 식 1의 상한을 넘어 배율이 높아지면 포커스 감도가 높아져 포커스 시의 이동량을 줄일 수 있지만 제2렌즈군의 굴절력도 강해져 제2렌즈군의 접합 렌즈만으로 수차를 보정하는 것이 어려워질 수 있다.
망원 렌즈계(100)는 다음 식을 만족할 수 있다.
1.60<f/f1<2.70            <식 2>
여기서, f는 무한 물체 거리에 초점을 맞췄을 경우의 망원 렌즈계의 초점 거리를, f1은 무한 물체 거리에 초점을 맞췄을 경우의 제1렌즈군의 초점 거리를 나타낸다. 
식 2는 제1렌즈군의 굴절력을 한정하는 것으로, f/f1이 식 2의 상한을 넘어 제1렌즈군의 굴절력이 강해지면 제1렌즈군에서의 색수차나 구면 수차를 적절히 보정하기 어려워질 수 있다. 또한, 식 1과 함께, 제1렌즈군에서 수렴하는 광속 내에서 제2렌즈군이 움직이고, 근거리 측으로 감에 따라 제2렌즈군에 대한 광의 입사 높이가 낮아지기 때문에 근거리 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수차가 작아져 거리 변화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f/f1이 식 2의 하한을 넘어 굴절력이 약해지면 수차 보정은 양호해지지만 렌즈계 전장의 대형화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수렴이 약해지기 때문에 제2렌즈군에 대한 광의 입사 높이의 변화도 작아져 근거리 변화를 억제하는 효과가 작아져 근거리에서의 수차를 유지할 수 없게 된다.  
망원 렌즈계(100)는 다음 식을 만족할 수 있다.
0.035<d1-2/f<0.100          <식 3>
여기서, d1-2는 무한 물체 거리에 초점을 맞췄을 경우의 제1렌즈군과 제2렌즈군 사이의 공기 간격을 나타낸다.
(d1-2/f)이 식 3의 하한을 넘어 d1-2가 작아지면, 제2렌즈군(G2)이 구경이 큰 제1렌즈군에 가까워지기 때문에 제2렌즈군의 구경도 커져 제2렌즈군의 경량화를 달성하기 어려워질 수 있다. (d1-2/f)이 식 3의 상한을 넘어 커지면, 제2렌즈군(G2)의 구경을 작게 할 수 있어 경량화에는 유리하지만 제2렌즈군의 포커스 시의 이동 공간을 확보할 수 없게 된다.
망원 렌즈계(100)는 다음 식을 만족할 수 있다.
n2n>1.85           <식 4>
여기서, n2n는 제2렌즈군의 제7부렌즈의 d-Line에서의 굴절률을 나타낸다.
 (n2n)이 식 4의 하한보다 작으면, 포커스 렌즈군인 제2렌즈군의 거리 변화가 억제되기 때문에, 제2렌즈군의 수차를 작게 할 필요가 있는데, 경량화를 위해 렌즈 매수를 2장으로 했기 때문에 수차 보정의 자유도가 적다. 식 4처럼 제7부렌즈에 고굴절률 소재를 선택하여 색수차의 보정과 동시에 구면 수차를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식 4를 만족할 때, 페츠발 합(Petzval sum)을 유지하는 효과도 높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망원 렌즈계는 포커스 렌즈군을 경량화하여 오토 포커스를 수행하고, 비교적 대구경인 망원 렌즈계를 구현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서는 다양한 설계를 통해 망원 렌즈계를 구현할 수 있다. 이하에서, EFL은 무한 물체 거리에 초점을 맞췄을 경우의 전체 초점거리로서, mm 단위를 사용하며, FNO는 F 넘버를 나타내고, BFL은 후초점 거리로서, mm 단위를 사용하며, w는 반화각으로 degree의 단위를 사용한다. R을 곡률 반경을, TH는 렌즈 두께 또는 렌즈간 간격을, Nd는d-Line에서의 굴절률을, Vd는 아베수를 나타낸다. 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에서 가장 상측(I)에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는 제1필터(P1) 및 제2필터(P2)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는 예를 들어, Lowpass Filter, IR-Cut Filter, 커버 글라스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필터 없이 렌즈계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면에서 IMG는 상면을 나타낸다.
<제1 실시예>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망원 렌즈계(100)를 도시한 것이며, 다음은 제1 실시예의 설계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렌즈면 부호는 물체측(O)으로부터 상측(I)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일렬로 부쳐지며, 도 1에서는 각 렌즈의 렌즈면 부호를 일부만을 나타내었으며, 다른 실시예의 도면에서도 이와 동일하다.
EFL=  291.97, BFL= 0.98, FNO:2.88, w=4.18
렌즈면      R        TH        Nd      Vd
  S1     207.797     10.730    1.48749  70.4
  S2   -1331.507      0.300    
  S3      98.708     21.000    1.43875  94.9
  S4    -262.808      0.100    
  S5    -288.092      3.500    1.78590  43.9
  S6    5388.297     28.710    
  S7      84.103      3.000    1.74330  49.2
  S8      46.358      0.207    
  S9      46.360     15.890    1.43875  94.9
 S10     366.953     15.250    
 S11     490.634      6.000    1.80518  25.5
 S12    -106.559      2.000    1.88300  40.8
 S13      81.365     41.750    
 S14(ST)    Infinity      4.500    
 S15    -277.940      4.100    1.84666  23.8
 S16     -56.241      1.800    1.60311  60.7
 S17     148.641      3.700    
 S18    -158.269      1.800    1.80610  33.3
 S19     123.928      3.400    
 20     209.019      6.730    1.80420  46.5
 S21     -39.192      1.800    1.84666  23.8
 S22    -116.747     12.750    
 S23     253.967      5.260    1.88100  40.1
S24     -89.594      1.110    
 S25     -84.359      1.500    1.51742  52.2
 S26    1457.940     20.000    
 S27    Infinity      1.500    1.51680  64.2
 S28    Infinity     60.300    
 S29    Infinity      2.000    1.51680  64.2
 S30    Infinity     
 
 다음은 지근 거리에서의 망원 렌즈계의 배율(MAG)과, 후초점 거리(BFL)를 나타낸 것이다.
MAG=  0.174
BFL=  0.98
 다음은 지근 거리에서의 포커싱시 제1렌즈군의 제5부렌즈와 제2렌즈군의 제6정렌즈 사이의 공기 간격(TH(10))과, 제2렌즈군의 제7부렌즈와 제3렌즈군의 조리개 사이의 공기 간격(TH(13))을 나타낸 것이다.
TH( 10)=   30.296
TH( 13)=   26.704
 다음은 제1실시예에서의 식 1, 식 2, 식 3, 식 4의 값을 나타낸 것이다.
식 1 β2=2.66
식 2 f/f1=291.97/142.39=2.05
식 3 d1-2/f=15.25/291.97=0.052
식 4 n2n=1.88300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망원 렌즈계의 무한 물체 거리에서의 구면수차(spherical aberration), 상면만곡(astigmatic field curves), 왜곡수차(distortion)를 나타낸 것이다. 상면만곡으로는 자오상면 만곡(T: tangential field curvature)과 구결상면 만곡(S: sagittal field curvature)을 보여준다. 도 3은 제1실시예에 따른 망원 렌즈계의 지근 거리에서의 구면수차, 상면만곡, 왜곡수차를 나타낸 것이다.
<제2 실시예>
도 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망원 렌즈계(100)를 도시한 것이며, 다음은 제2 실시예의 설계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EFL=  294.134, BFL=1.000, FNO = 2.88, w= 4.14
렌즈면      R       TH       Nd      Vd
  S1     179.361    10.580   1.48749  70.4
  S2    3714.762     2.690   
  S3     113.340    18.000   1.43875  94.9
  S4    -395.115     3.200   
  S5    -393.652     3.500   1.78590  43.9
  S6    1683.290    23.710   
  S7      95.418     3.500   1.74330  49.2
  S8      52.215     0.110   
  S9      51.922    17.000   1.43875  94.9
 S10     853.240    13.560   
 S11     330.306     5.000   1.80518  25.5
 S12    -282.338     2.000   1.88300  40.8
 S13     123.675    44.440   
 S14(ST)    Infinity     4.450   
 S15    -357.453     3.890   1.84666  23.8
 S16     -69.384     1.800   1.60311  60.7
 S17     259.561     3.700   
 S18    -210.705     1.800   1.80610  33.3
 S19     119.159     7.260   
 S20    -291.779     5.000   1.80420  46.5
 S21     -44.129     2.370   1.84666  23.8
 S22    -114.716    31.330   
 S23     151.777     5.500   1.88100  40.1
S24    -121.039     8.040   
 S25     -83.975     1.800   1.51742  52.2
 S26    1457.940     4.987   
 S27    Infinity     1.500   1.51680  64.2
 S28    Infinity    47.952   
 S29    Infinity     2.000   1.51680  64.2
 S30    Infinity     1.000   
 
  다음은 지근 거리에서의 망원 렌즈계의 배율(MAG)과, 후초점 거리(BFL)를 나타낸 것이다.
MAG=  0.172
BFL=  1.000
 
다음은 지근 거리에서의 포커싱시 제1렌즈군의 제5부렌즈와 제2렌즈군의 제6정렌즈 사이의 공기 간격(TH(10))과, 제2렌즈군의 제7부렌즈와 제3렌즈군의 조리개 사이의 공기 간격(TH(13))을 나타낸 것이다.
THI( 10)=   39.123
THI( 13)=   18.877
다음은 제2실시예에서의 식 1, 식 2, 식 3, 식 4의 값을 나타낸 것이다.
식 1 β2=1.63
식 2 f/f1=294.13/154.13=1.91
식 3 d1-2/f=13.560/294.13=0.046
식 4 n2n=1.88300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망원 렌즈계의 무한 물체 거리에서의 구면수차(spherical aberration), 상면만곡(astigmatic field curves), 왜곡수차(distortion)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제2실시예에 따른 망원 렌즈계의 지근 거리에서의 구면수차, 상면만곡, 왜곡수차를 나타낸 것이다.
<제3 실시예>
도 7은 제3 실시예에 따른 망원 렌즈계(100)를 도시한 것이며, 다음은 제3 실시예의 설계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EFL=  291.58, BFL=  1.00, FNO= 2.88, w= 4.20
렌즈면      R        TH        Nd      Vd
  S1     106.578     21.459    1.49700  81.6
  S2    -418.488      0.202    
  S3     118.698      9.438    1.49700  81.6
  S4     306.465      5.849    
  S5    -450.638      3.500    1.66680  33.1
  S6     494.274     20.096    
  S7      92.928      3.000    1.71300  53.9
  S8      42.550     16.935    1.49700  81.6
  S9     336.926     15.274    
 S10     389.787      6.000    1.80518  25.5
 S11    -106.904      2.000    1.88300  40.8
 S12      74.366     41.727    
 S13(ST)    Infinity      4.828    
 S14    -172.014      4.029    1.84666  23.8
 S15     -52.105      1.800    1.60311  60.7
 S16     189.020      3.374    
 S17    -201.769      1.800    1.80610  33.3
 S18     121.439      3.293    
 S19     172.089      6.844    1.88300  40.8
 S20     -41.016      1.800    1.84666  23.8
 S21    -176.612     13.990    
 S22     170.800      5.500    1.88300  40.8
 S23    -650.062      2.357    
 S24    Infinity      2.000    1.51680  64.2
 S25    Infinity     80.205    
 S26    Infinity      2.000    1.51680  64.2
 S27    Infinity      1.000    
다음은 지근 거리에서의 망원 렌즈계의 배율(MAG)과, 후초점 거리(BFL)를 나타낸 것이다.
MAG=  0.175
BFL=    1.00
다음은 지근 거리에서의 포커싱시 제1렌즈군의 제5부렌즈와 제2렌즈군의 제6정렌즈 사이의 공기 간격(THI(9))과, 제2렌즈군의 제7부렌즈와 제3렌즈군의 조리개 사이의 공기 간격(TH(12))을 나타낸 것이다.
THI(  9)=   30.179
THI( 12)=   26.821
 다음은 제3실시예에서의 식 1, 식 2, 식 3, 식 4의 값을 나타낸 것이다.
식1 β2=2.88
식2 f/f1=291.58/143.16 =2.04
식3 d1-2/f=0.052
식4 n2n=1.88300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망원 렌즈계의 무한 물체 거리에서의 구면수차(spherical aberration), 상면만곡(astigmatic field curves), 왜곡수차(distortion)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제3실시예에 따른 망원 렌즈계의 지근 거리에서의 구면수차, 상면만곡, 왜곡수차를 나타낸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망원 렌즈계는 스틸 카메라, 비디오카메라 등에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이너 포커스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그리고, 대략 F 2.8를 가지는 대구경의 망원 렌즈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원 렌즈계(100)를 구비한 촬영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망원 렌즈계(100)는 앞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한 망원 렌즈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촬영 장치는 상기 망원 렌즈계(100)에 의해 결상된 광을 수광하는 이미징 소자(112)를 포함한다. 상기 촬영 장치는 상기 이미징 소자(112)로부터 광전 변환된 피사체 상에 대응되는 정보가 기록된 기록 수단(113)과, 피사체 상을 관찰하기 위한 뷰 파인더(finder)(11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피사체 상이 표시되는 표시부(115)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는, 뷰 파인더(114)와 표시부(115)가 따로 구비된 예를 보여주었으나 뷰 파인더가 따로 없이 표시부만 구비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촬영 장치는 일 예일 뿐이며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카메라 이외에 다양한 광학 기기에 적용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원 렌즈계를 디지털 카메라 등의 촬영 장치에 적용함으로써 빠르게 오토 포커스를 할 수 있는 촬영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CCD나 CMOS와 같은 이미징 소자를 사용한 촬영 장치에 있어서, 이미징 소자로부터의 콘트라스트 신호에 기초해 콘트라스트 최대의 위치로 포커싱하는 콘트라스트 오토 포커싱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서는 콘트라스트 최대위치를 통과해서 확인한 후, 다시 포커스 렌즈군을 되돌려서 포커싱을 하기 때문에 포커스 렌즈군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움직여야 한다. 따라서, 콘트라스트 오토 포커싱 방식을 채용한 촬영 장치에서, 포커스 렌즈군을 경량화함으로써 신속하고 정확한 포커싱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에서는 액티브 방식이나 위상차 검출 방식 등을 오토 포커싱 방식으로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망원 렌즈계는 렌즈계 내부의 일부 렌즈를 움직여서 포커싱하는 이너 포커스(inner focus) 방식을 채택하여 소형화를 구현하고,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G1-제1렌즈군, G2-제2렌즈군
G3-제3렌즈군, G3-1-손떨림 방지군

Claims (8)

  1. 물체측에서 상측으로 순서대로 배열된 것으로,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렌즈군;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렌즈군; 및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3렌즈군;을 포함하고,
    상기 제2렌즈군을 광축을 따라 움직여 포커싱을 실시하고,
    상기 제1렌즈군은 물체측에서부터 순서대로 제1정렌즈, 제2정렌즈, 제3부렌즈, 물체측을 향해 볼록한 매니스커스형의 제4부렌즈, 제5정렌즈를 포함하며, 제 2렌즈군은 물체측에서부터 순서대로 제6정렌즈와 제7부렌즈의 접합 렌즈를 포함하고, 제 3렌즈군은 물체측에 조리개를 가지며, 상기 조리개의 상측의 일부 렌즈를 광축에 대해 거의 직각방향으로 움직여 손 떨림을 방지하는 손떨림 방지군을 포함하는 이너 포커스식 망원 렌즈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 떨림 방지군은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물체측에서부터 순서대로 제8정렌즈와 제9부렌즈로 이루어진 접합렌즈와, 제10부렌즈를 포함하는 이너 포커스식 망원 렌즈계.
  3. 제1항에 있어서,
    다음 식을 만족하는 이너 포커스식 망원 렌즈계.
    <식>
    1.2<β2<3.5
    여기서, β2는 무한 물체 거리에 초점을 맞췄을 경우의 제2렌즈군의 배율을 나타낸다.
  4. 제1항에 있어서,
    다음 식을 만족하는 이너 포커스식 망원 렌즈계.
    <식>
    1.60<f/f1<2.70        
    여기서, f는 무한 물체 거리에 초점을 맞췄을 경우의 망원 렌즈계의 초점 거리를, f1은 무한 물체 거리에서 제1렌즈군의 초점 거리를 나타낸다.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음 식을 만족하는 이너 포커스식 망원 렌즈계.
    <식>
    0.035<d1-2/f<0.100      
    여기서, d1-2는 무한 물체 거리에 초점을 맞췄을 경우의 제1렌즈군과 제2렌즈군 사이의 공기 간격을 나타낸다.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음 식을 만족하는 이너 포커스식 망원 렌즈계.
    <식>
    n2n>1.85
    여기서, n2n는 제2렌즈군의 제7부렌즈의 d-Line에서의 굴절률을 나타낸다.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정렌즈가 90 이상의 아베수를 가지는 이너 포커스식 망원 렌즈계.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망원 렌즈계; 및
    상기 망원 렌즈계에 의해 결상된 광을 수광하는 이미징 소자;를 포함하는 촬영 장치.
KR1020140119365A 2014-09-05 2014-09-05 이너 포커스식 망원 렌즈계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 KR20160029591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9365A KR20160029591A (ko) 2014-09-05 2014-09-05 이너 포커스식 망원 렌즈계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
EP15183954.5A EP2993507A1 (en) 2014-09-05 2015-09-04 Inner focusing telephoto lens system and photograph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PCT/KR2015/009382 WO2016036210A1 (en) 2014-09-05 2015-09-04 Inner foucing telephoto lens system and photograph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4/845,427 US20160070116A1 (en) 2014-09-05 2015-09-04 Inner focusing telephoto lens system and photograph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201510561419.9A CN105403983A (zh) 2014-09-05 2015-09-06 内对焦远摄镜头系统和包括其的拍摄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9365A KR20160029591A (ko) 2014-09-05 2014-09-05 이너 포커스식 망원 렌즈계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9591A true KR20160029591A (ko) 2016-03-15

Family

ID=54064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9365A KR20160029591A (ko) 2014-09-05 2014-09-05 이너 포커스식 망원 렌즈계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60070116A1 (ko)
EP (1) EP2993507A1 (ko)
KR (1) KR20160029591A (ko)
CN (1) CN105403983A (ko)
WO (1) WO201603621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218276A (ja) * 2015-05-21 2016-12-22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光学系及びそれを有する撮像装置
KR20200129711A (ko) * 2019-05-09 2020-11-18 주식회사 삼양옵틱스 망원 렌즈계 및 이를 포함한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0545B1 (ko) * 2016-04-06 2024-01-03 삼성전기주식회사 촬상 광학계
JP6759086B2 (ja) * 2016-12-15 2020-09-23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結像レンズ系及びそれを備えた撮像装置
DE112017006663T5 (de) * 2016-12-28 2019-09-26 Olympus Corporation Optisches Endoskopobjektivsystem
CN106950683B (zh) * 2017-04-28 2022-10-11 深圳市东正光学技术股份有限公司 长焦镜头
KR101981775B1 (ko) * 2017-05-10 2019-05-27 주식회사 삼양옵틱스 렌즈 광학계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
JP6961441B2 (ja) * 2017-09-28 2021-11-05 キヤノン株式会社 光学系およびそれを有する撮像装置
JP7086709B2 (ja) * 2018-05-14 2022-06-20 キヤノン株式会社 光学系およびそれを有する撮像装置
CN109254388B (zh) * 2018-11-21 2023-09-19 福建福光股份有限公司 远心光学检像系统及成像方法
CN110018554B (zh) * 2019-03-15 2024-03-26 广东奥普特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广角机器视觉镜头
CN110074753B (zh) * 2019-04-26 2021-10-26 北京至真互联网技术有限公司 眼底相机
CN110426816B (zh) * 2019-08-02 2024-04-30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小型化全景日夜共焦光学系统
CN112335227A (zh) * 2019-08-21 2021-02-05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控制装置、摄像系统、控制方法以及程序
CN110579862B (zh) * 2019-09-16 2021-11-16 福建福光股份有限公司 一种八千万像素超高分辨率广角光学镜头
CN111929831B (zh) * 2020-09-09 2020-12-11 瑞泰光学(常州)有限公司 摄像光学镜头
CN112230375B (zh) * 2020-10-30 2021-10-01 诚瑞光学(苏州)有限公司 摄像光学镜头
CN112230372B (zh) * 2020-10-30 2021-10-01 诚瑞光学(苏州)有限公司 摄像光学镜头
CN112099203B (zh) * 2020-11-02 2021-01-29 瑞泰光学(常州)有限公司 摄像光学镜头
CN113625432B (zh) * 2021-09-10 2022-12-20 嘉兴中润光学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大光圈定焦镜头和图像拾取装置
CN114114616B (zh) * 2021-11-01 2024-03-01 湖南长步道光学科技有限公司 一种高分辨率超低畸变光学系统及镜头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1988A (ja) * 1992-12-28 1994-07-22 Nikon Corp 大口径比内焦望遠レンズ
US5646779A (en) * 1994-03-15 1997-07-08 Nikon Corporation Optical system capable of correcting image position
US5461228A (en) * 1994-04-07 1995-10-24 Owens-Brockway Glass Container Inc. Optical inspection of container dimensional parameters using a telecentric lens
JP3541283B2 (ja) * 1995-05-26 2004-07-07 株式会社ニコン 内焦式望遠レンズ
US6115188A (en) * 1997-10-16 2000-09-05 Canon Kabushiki Kaisha Optical system and optical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1495540B1 (ko) * 2009-03-13 2015-02-25 삼성전자주식회사 망원 렌즈계 및 이를 구비한 촬영 장치
JP2011123334A (ja) * 2009-12-11 2011-06-23 Canon Inc リアアタッチメントレンズ及びそれを有する撮影光学系
JP5558281B2 (ja) * 2010-09-14 2014-07-23 株式会社シグマ 防振機能を有するインナーフォーカス式マクロレンズ
JP5585425B2 (ja) * 2010-12-07 2014-09-10 ソニー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
JP2012242690A (ja) * 2011-05-20 2012-12-10 Sony Corp インナーフォーカス式レンズ
JP5867294B2 (ja) * 2012-05-30 2016-02-24 株式会社ニコン 撮影レンズ、光学機器、および撮影レンズ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218276A (ja) * 2015-05-21 2016-12-22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光学系及びそれを有する撮像装置
KR20200129711A (ko) * 2019-05-09 2020-11-18 주식회사 삼양옵틱스 망원 렌즈계 및 이를 포함한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070116A1 (en) 2016-03-10
WO2016036210A1 (en) 2016-03-10
EP2993507A1 (en) 2016-03-09
CN105403983A (zh) 2016-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29591A (ko) 이너 포커스식 망원 렌즈계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
KR101919011B1 (ko) 망원 줌 렌즈계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
US9253382B2 (en) Zoom lens and image pickup apparatus
KR101853808B1 (ko) 광각 렌즈계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US7791824B2 (en) Telephoto lens system
JP6388853B2 (ja) 撮像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
CN111580256B (zh) 变焦透镜和摄像装置
KR101941249B1 (ko) 망원 렌즈계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
US8953260B2 (en) Telephoto lens system
US9952405B2 (en) Imaging lens and imaging apparatus
US9341825B2 (en) Zoom lens and photograph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2004988B1 (ko) 줌 렌즈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
CN108474926B (zh) 物镜光学系统
US8045275B2 (en) Zoom lens and image pickup device having the same
KR20130092846A (ko) 결상렌즈 시스템
KR101890304B1 (ko) 줌렌즈 및 이를 구비한 촬영 장치
KR20150006936A (ko) 줌 렌즈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
KR101582089B1 (ko) 광각 렌즈 및 이를 구비한 결상 광학 장치
KR101880633B1 (ko) 줌 렌즈 및 이를 구비한 촬영 장치
US9851583B2 (en) Single focus lens and photograph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1708895B1 (ko) 텔레포토 단초점 렌즈계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
KR20140124286A (ko) 광각 렌즈계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
KR20150029511A (ko) 줌 렌즈 및 촬상 장치
KR101676787B1 (ko) 접사 렌즈계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KR101925056B1 (ko) 줌렌즈 및 이를 구비한 촬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