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0999B1 - 줌 렌즈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 - Google Patents

줌 렌즈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0999B1
KR101950999B1 KR1020120024545A KR20120024545A KR101950999B1 KR 101950999 B1 KR101950999 B1 KR 101950999B1 KR 1020120024545 A KR1020120024545 A KR 1020120024545A KR 20120024545 A KR20120024545 A KR 20120024545A KR 101950999 B1 KR101950999 B1 KR 101950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lens group
sub
positive
refractiv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4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3144A (ko
Inventor
테츠야 아리모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24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0999B1/ko
Priority to US13/752,799 priority patent/US9341825B2/en
Priority to EP13155837.1A priority patent/EP2637055B1/en
Priority to CN201310072579.8A priority patent/CN103309025B/zh
Priority to PCT/KR2013/001888 priority patent/WO2013133660A1/en
Publication of KR20130103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31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0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0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4Reversed telephoto objectiv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6Panoramic objectives; So-called "sky lenses" including panoramic objectives having reflecting surfa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5/00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 G02B15/14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 G02B15/144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having four groups only
    • G02B15/1445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having four groups only the first group being negative
    • G02B15/144515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having four groups only the first group being negative arranged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Abstract

줌 렌즈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줌 렌즈는,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렌즈군,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렌즈 군,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3렌즈군, 가장 물체측에 조리개를 가지고,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4렌즈 군을 포함하고, 광각단에서 망원단으로의 주밍시, 제1렌즈군과 제2렌즈군 사이 간격이 증가하고, 제2렌즈군과 제3렌즈군 사이의 간격은 감소하고, 제3렌즈군과 제4렌즈군 사이의 간격은 감소되도록 각 렌즈군을 이동하고, 제3렌즈군을 이동하여 포커싱을 한다.

Description

줌 렌즈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Zoom lens and photographing apparatu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경량의 포커싱 렌즈군으로 빠르게 포커싱을 할 수 있는 줌 렌즈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에 관한 것이다.
CCD 디지털 카메라, 교환 렌즈 또는 비디오 카메라 등 고체촬상소자를 사용하는 광학계에 있어서, 사용자들은 고해상력은 물론이고 광각화, 고배율에 대한 요구를 가지고 있다. 또한, 카메라에 대한 소비자의 전문성이 지속적으로 높아져 가고 있다. 이런 시장의 수요에 따라 렌즈 교환식 카메라에서는 90°을 넘는 화각을 가지는 초광각 줌 렌즈가 개발되고 있고, 이러한 줌 렌즈에서 오토 포커싱을 통해 고품질의 사진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포커싱 렌즈군이 무거우면 오토 포커스의 포커싱이 늦어진다. 한편, 포커싱 렌즈군을 경량화하면 상면 만곡 등의 수차 보정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포커싱 렌즈군의 경량화와 함께 수차 보정이 양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빠르게 포커싱을 할 수 있는 줌 렌즈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은 빠르게 포커싱을 할 수 있는 줌 렌즈를 포함하는 촬영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는,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렌즈군,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렌즈 군,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3렌즈군, 가장 물체측에 조리개를 가지고,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4렌즈 군을 포함하고, 광각단에서 망원단으로의 주밍시, 제1렌즈군과 제2렌즈군 사이 간격이 증가하고, 제2렌즈군과 제3렌즈군 사이의 간격은 감소하고, 제3렌즈군과 제4렌즈군 사이의 간격은 감소되도록 각 렌즈군을 이동하고, 제3렌즈군을 이동하여 포커싱을 한다.
상기 줌 렌즈는 아래 식을 만족할 수 있다.
<식>
1.1<TL/TW<1.6
여기서, TW는 광각단에서의 제1렌즈군과 제2렌즈군 사이의 간격을 나타내고, TL은 망원단에서의 제1렌즈군과 제2렌즈군 사이의 간격을 나타낸다.
제3렌즈군은 정 렌즈와 부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 렌즈와 부 렌즈는 접합 렌즈로 형성되고, 아래 식을 만족할 수 있다.
<식>
2.3<|f3/√(fw×ft)|<3.4
여기서, f3은 제3렌즈군의 초점거리를, fw는 광각단에서의 초점 거리를, ft는 망원단에서의 초점 거리를 나타낸다.
제1렌즈 군은 적어도 2매의 부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2매의 부렌즈는 적어도 하나의 비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4렌즈군은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서브 렌즈군과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 서브 렌즈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서브 렌즈군은 정 렌즈 한 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서브 렌즈군은 정 렌즈와 부 렌즈로 이루어진 접합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서브 렌즈군은 다음 식을 만족할 수 있다.
<식>
0.4 < fP/f4 < 1.3
여기서, fP는 제4렌즈군의 제1 서브 렌즈군의 초점 거리를, f4는 제4렌즈군의 초점 거리를 나타낸다.
제2서브 렌즈군은 부 렌즈와 정 렌즈로 이루어진 접합 렌즈를 포함하고, 다음을 만족할 수 있다.
<식>
0.2 < r/L4 < 0.7
여기서, r은 제2서브 렌즈군의 접합 렌즈의 접합면의 곡률반경을,             L4는 4렌즈군의 전장을 나타낸다.
제2서브 렌즈군은 부 렌즈와 정 렌즈로 이루어진 접합 렌즈를 포함하고, 다음을 만족할 수 있다.
<식>
n1-n2 > 0.25
여기서, n1은 제2서브 렌즈군의 접합 렌즈의 부 렌즈의 굴절율을, n2는 제2서브 렌즈군의 접합 렌즈의 정 렌즈의 굴절율을 나타낸다.
상기 제4렌즈군은 적어도 하나의 비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는, 줌 렌즈 및 상기 줌 렌즈에 의해 결상된 상을 수광하는 이미징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줌 렌즈는,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렌즈군,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렌즈 군,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3렌즈군, 가장 물체측에 조리개를 가지고,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4렌즈 군을 포함하고, 광각단에서 망원단으로의 주밍시, 제1렌즈군과 제2렌즈군 사이 간격이 증가하고, 제2렌즈군과 제3렌즈군 사이의 간격은 감소하고, 제3렌즈군과 제4렌즈군 사이의 간격은 감소되도록 각 렌즈군을 이동하고, 제3렌즈군을 이동하여 포커싱을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를 광각단, 중간단, 망원단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의 광각단, 중간단 및 망원단에서의 수차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를 광각단, 중간단, 망원단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a 내지 4c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의 광각단, 중간단 및 망원단에서의 수차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를 광각단, 중간단, 망원단별로 나타낸 것이다.
도 6a 내지 6c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의 광각단 및 망원단에서의 수차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를 광각단, 중간단, 망원단별로 나타낸 것이다.
도 8a 내지 8c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의 광각단 및 망원단에서의 수차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를 광각단, 중간단, 망원단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0a 내지 10c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의 광각단 및 망원단에서의 수차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각 구성 요소의 크기나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이하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러한 실시예들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100)를 도시한 것이다. 줌 렌즈(100)는 물체측(O)으로부터 순서대로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렌즈군(G1)과,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렌즈군(G2),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3렌즈군(G3), 및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4 렌즈군(G4)을 포함한다. 상기 제4렌즈군(G4)은 가장 물체측(O)에 조리개(ST)를 포함할 수 있다.
줌 렌즈(100)는 광각단에서 망원단으로 주밍시, 제1렌즈군(G1)과 제2렌즈군(G2) 사이 간격은 증가되고, 제2렌즈군(G2)과 제3렌즈군(G3) 사이 간격은 감소되고, 제3렌즈군(G3)과 제4렌즈군(G4) 사이의 간격은 감소한다. 줌 렌즈(100)는 광각단에서 망원단으로 주밍시, 제1렌즈군(G1)과, 제2렌즈군(G2)과, 제3렌즈군(G3)과, 제4렌즈군(G4)이 각각 이동할 수 있다. 광각단에서 망원단으로의 주밍(zooming)시, 제1렌즈군과· 제2렌즈군 사이의 간격이 증가되도록 함으로써, 망원측에서 상대적으로 작아지는 제1렌즈 군과· 제2렌즈군을 통과하는 주광선 높이의 차이를 적절하게 컨트롤할 수 있다. 그러므로, 광각 줌렌즈에서 발생하는 주밍에 따르는 상면 만곡 변동과 기타 다른 수차 변동을 작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렌즈군(G3)이 상측(I)으로 이동하여 무한 거리로부터 지근거리로의 포커싱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군(G1)은 적어도 2매의 부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렌즈군(G1)은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렌즈(1),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렌즈(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군(G1)은 적어도 하나의 비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렌즈군(G2)은 적어도 하나의 정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렌즈군(G2)은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3렌즈(3) 한 매로 구성될 수 있다.
제3렌즈군(G3)은 예를 들어,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4 렌즈(4)와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5 렌즈(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렌즈(4)와 제5렌즈(5)는 접합 렌즈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는 렌즈가 부렌즈와 정렌즈의 순서로 배치되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정렌즈와 부렌즈의 순서로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제3렌즈군(G3)은 적은 매수의 렌즈를 포함하여 가벼우므로 제3렌즈군(G3)이 포커싱 렌즈군으로 사용될 때, 포커싱 동작이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4렌즈군(G4)은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서브 렌즈군(G4-1)과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서브 렌즈군(G4-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서브 렌즈군(G4-1)은 제1서브 렌즈군(G4-1)은 한 매 이상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6렌즈(6)와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7렌즈(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6렌즈(6)와 제7렌즈(7)는 접합 렌즈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 3과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서브 렌즈군(G4-1)이 한 매의 정 렌즈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서브 렌즈군(G4-2)은 적어도 하나의 접합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서브 렌즈군(G4-2)은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8렌즈(8),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9렌즈(9) 및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0렌즈(10) 및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1렌즈(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9렌즈(9)와 제10렌즈(10)가 접합 렌즈로 형성될 수 있다. 제9렌즈(9)와 제10렌즈(10)로 이루어진 접합 렌즈는 전체적으로 정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100)는 다음 식을 만족할 수 있다.
1.1<TL/TW<1.6   <식 1>
여기서, TW는 광각단에서의 제1렌즈군과 제2렌즈군 사이의 간격을, TL은 망원단에서의 제1렌즈군과 제2렌즈군 사이의 간격을 나타낸다. 식 1은 주밍시 제1렌즈군과 제2렌즈군 사이의 간격에 대한 것으로, TL/TW가 식 1의 하한을 넘을 경우, 제1렌즈군과 제2렌즈군 사이의 간격이 가까워지고, 망원단에서의 주광선 통과 위치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없어, 망원단에서의 상면 만곡 보정이 과잉으로 될 수 있다. TL/TW이 식 1의 상한을 넘을 경우는, 수차 보정에는 유리하지만 망원단에서의 줌 렌즈 전장이 지나치게 커져 제1렌즈군과 제2렌즈군이 적절한 파워 관계를 확보할수 없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계에서는, 제3렌즈군이 포커싱을 수행한다. 상기 제3렌즈군(G3)은 다음 식을 만족할 수 있다.
2.3<|f3/√(fw×ft)|<3.4  <식 2>
여기서, f3은 제3렌즈군의 초점거리를, fw는 광각단에서의 전체 초점거리를, ft는 망원단에서의 전체 초점거리를 나타낸다.
|f3/√(fw×ft)|가 식 2의 하한을 넘을 경우는, 제3렌즈군의 파워가 강해져, 포커싱에 따르는 구면 수차와 상면 만곡의 변동이 지나치게 커진다. |f3/√(fw×ft)|가 식 2의 상한을 넘을 경우는, 제3렌즈군의 파워가 지나치게 약해져 포커싱시 이동량이 커져 빠르게 오토 포커싱을 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렌즈군이 적어도 두 매의 부 렌즈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비구면을 포함하여, 왜곡과 상면 만곡을 보정할 수 있다.
제4렌즈군은 가장 물체측에 조리개(ST)를 포함하여 사출동의 위치가 상면에 지나치게 근접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조리개(ST) 다음에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서브렌즈(G4-1)가 배치되며, 다음 식을 만족할 수 있다.
0.4 < fP/f4 < 1.3   <식 3>
여기서, fP는 제4렌즈군의 제1서브 렌즈군의 초점거리를, f4는 제4렌즈군의 초점거리를 나타낸다.
fP/f4 가 식 3의 하한을 넘을 경우는, 제4렌즈군의 제1서브 렌즈군의 파워가 지나치게 강해져, 구면수차의 보정이 잘 되지 않을 수 있다. fP/f4 가 식 3의 상한을 넘을 경우는, 제4렌즈군의 제1서브 렌즈군의 파워가 지나치게 약해져서 사출동의 위치가 상면측에 지나치게 근접해 쉐이딩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제4렌즈군의 제2서브 렌즈군(G4-2)이 부렌즈와 정렌즈의 접합 렌즈를 포함하고, 그 접합면이 다음 식을 만족할 수 있다.
0.2 < r/L4 < 0.7   <식 4>
여기서, r은 제4렌즈군의 제2서브 렌즈군에 포함된 접합 렌즈의 접합면의 곡률반경을, L4는 제4렌즈군의 전장을 나타낸다.
또한, 제4렌즈군의 제2서브 렌즈군(G4-2)은 다음 식을 만족할 수 있다.
n1-n2 > 0.25     <식 5>
여기서, n1은 제4렌즈군의 제2 서브 렌즈군에 포함된 접합 렌즈의 부 렌즈의 굴절율을, n2는 제2서브 렌즈군에 포함된 접합 렌즈의 정 렌즈의 굴절율을 나타낸다.
식 4와 식5는 제2서브 렌즈군에 포함된 접합 렌즈에 의한 고차 수차의 컨트롤에 관한 것으로, r/L4 이 식 4의 하한을 넘으면, 접합면의 곡률이 지나치게 강해져 구면수차, 상면 만곡등과 같은 고차 수차의 발생이 많아져 수차 밸런스를 맞추는 것이 어려워진다. r/L4 이 식 4의 상한을 넘으면 접합면의 곡률이 작아져 고차수차를 적절하게 발생시킬 수 없다.
n1-n2 이 식 5를 충족하지 않으면, 접합면의 파워가 너무 작아져 고차수차를 컨트롤하는 자유도를 얻기 어렵다.
한편, 제4렌즈군이 적어도 하나의 비구면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비구면이 상대적으로 물체측(O)에 배치되면 (실시예1), 비구면이 구면 수차나 코마 수차의 보정에 기여할 수 있다. 또는, 비구면이 상대적으로 상측에 (실시 예2,3,4,5)에 배치되면 비구면이 상면 만곡, 왜곡의 보정에 기여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는 광각단에서의 화각이 90°을 넘는 광각을 가지며, 빠른 오토 포커싱이 가능하고, 콤팩트해서 고성능의 초광각 줌렌즈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줌렌즈에 사용되는 비구면의 정의를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비구면 형상은 광축 방향을 x축으로 하고, 광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을 y축으로 할 때, 광선의 진행 방향을 정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x는 렌즈의 정점으로부터 광축 방향으로의 거리를, y는 광축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의 거리를, K는 코닉 상수(conic constant)를, A, B, C, D는 비구면 계수를, c는 렌즈의 정점에 있어서의 곡률 반경의 역수(1/R)를 각각 나타낸다.
Figure 112012019397185-pat00001
(식 8)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이 다양한 설계에 따른 실시예를 통해 줌렌즈를 구현한다. 이하에서, f는 전체 초점거리로 mm 단위를 사용하며, fno는 F 넘버를 나타내고, 2ω는 화각으로 degree의 단위를 사용하며, R은 곡률 반경을, Dn은 렌즈 사이의 거리 또는 렌즈 두께를, Nd는 굴절률을, νd 는 아베수를, *는 비구면을 각각 나타낸다. 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에서 가장 상측(I)에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실시예>
도 1은 제1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의 광각단, 중간단, 망원단을 각각 도시한 것이며, 다음은 제1 실시예의 설계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에서는 각 렌즈의 렌즈면 부호를 나타내었으나, 다른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렌즈면의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f; 12.36 ~ 17.00 ~ 23.28 fno; 4.1 ~ 4.73 ~ 5.8  2ω; 103°~ 82°~ 64°
렌즈면   R      Dn    Nd       vd
1      33.480    3.500    1.77250   49.6
2      13.585    8.031
3     363.241     3.000    1.77250    49.6
4*   14.785     D1
5    41.413     3.000   1.84666    23.8
        6     252.681     D2
        7      32.111     1.000    1.84666    23.8
        8      21.588     3.000    1.54814    45.8
        9    -69.778      D3
       10    INFINITY     1.000
       11     12.571      2.000    1.48749    70.4
       12    -20.081      1.000    1.77250    49.6
       13    -40.683      4.652
       14*   -21.445      2.400     1.48749   70.2
       15    -10.823      0.800
       16    -18.759      1.697     1.79952   42.2
       17     10.613      6.500     1.48749   70.4
       18    -11.579      1.000 
       19    -10.012      1.500     1.77250   49.6
       20    -13.233
다음은 제1실시예에서의 비구면 계수를 나타낸 것이다.
   렌즈면 비구면 계수
4 K  : 0.0  A : -0.557723E-04   B : -0.116818E-06
C : -0.255655E-09   D : -0.278214E-11
14 K :  0.0  A :-0.211457E-03    B  :  -0.316202E-06 
C  : -0.737882E-07   D : 0.263416E-08
다음은 제1실시예에서의 주밍시 가변 거리를 나타낸 것이다.
D0     INFINITY    INFINITY    INFINITY     232.177    239.016   239.856
       D1      6.140      7.294     7.837     6.140    7.294    7.837
       D2      18.246      7.837     1.000     19.231    8.882    2.126
       D3       8.857      4.957     2.127      7.872    3.913    1.001
도 2a 내지 도 2c는 각각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줌렌즈의 광각단, 중간단 및 망원단에서의 종방향 구면수차(longitudinal spherical aberration), 상면만곡(astigmatic field curves), 왜곡수차(distortion)를 나타낸 것이다. 상면만곡으로는 자오상면 만곡(T: tangential field curvature)과 구결상면 만곡(S: sagittal field curvature)을 보여준다.
<제2 실시예>
도 3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줌렌즈를 도시한 것이며, 다음은 제2 실시예의 설계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f; 12.36 ~ 17.00 ~ 23.40 fno; 4.1 ~ 4.73 ~ 5.8  2ω; 103°~ 82°~ 64°
     렌즈면      R     Dn      Nd       vd
       1    38.412   3.000    1.77250  49.6
       2    13.802   8.222
       3*   836.077   1.700  1.77250  49.6
       4*   14.967    D1
       5    40.557   3.000   1.84666  23.8
       6   173.189    D2
       7    35.160   0.800   1.84666  23.8
       8    26.500   3.000   1.54814  45.8
       9   -70.576    D3
      10  INFINITY   1.000
      11    14.490    2.000   1.49700  81.6
      12    73.143    5.335
      13    17.625    2.400   1.48749  70.4
      14   -24.134    0.800
      15   -17.784    1.200   1.79952  42.2
      16    12.221    7.945   1.48749  70.4
      17   -13.858    1.000
      18   -19.561    1.500   1.77250  49.6
      19*  -32.460
다음은 제2실시예에서의 비구면 계수를 나타낸 것이다.
 렌즈면 비구면 계수
3  K  :  0.0  A :  0.153307E-04   B  :-0.125166E-06  
 C :  0.472337E-09   D  : -0.129958E-11
4 K  :  0.0  A : -0.420204E-04   B  : -0.202328E-06
 C : -0.349806E-09   D  : -0.214128E-11
19  K  : 0.0   A :  0.539287E-04   B  :  0.172745E-06
 C :  0.153889E-08   D  : -0.140743E-10
다음은 제2실시예에서의 주밍시 가변 거리를 나타낸 것이다.
       D0    INFINITY  INFINITY   INFINITY      141.002   148.597  149.915
       D1      4.651     6.088      6.726        4.651      6.088     6.726
       D2      15.161      6.357       1.000        16.403      7.694     2.445
       D3     14.298      7.574       2.466        13.055     6.238     1.021
도 4a, 도 4b 및 도 도 4c는 각각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줌렌즈의 광각단, 중간단 및 망원단에서의 종방향 구면수차(longitudinal spherical aberration), 상면만곡(astigmatic field curves), 왜곡수차(distortion)를 나타낸 것이다.
<제3 실시예>
도 5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줌렌즈를 도시한 것이며 다음은 제3 실시예의 설계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f; 12.36 ~ 17.00 ~ 23.28 fno; 4.1 ~ 4.73 ~ 5.8  2ω; 103°~ 82°~ 64°
렌즈면   R     Dn     Nd      vd
       1    40.460    3.352   1.77250  49.6
       2    13.816    8.191
       3*  881.987    2.964   1.80450  39.6
       4*    14.678    D1
       5     37.699    3.000    1.84666  23.8
       6   654.674    D2
       7     39.542    0.800   1.84666  23.8
       8     29.233    3.000    1.54814  45.8
       9   -64.786    D3
      10   INFINITY   1.000
      11    13.938    2.000   1.49700  81.6
      12     46.828    5.971
      13     16.096    2.400    1.48749  70.4
      14   -21.177    0.800
      15   -15.876    1.200    1.79952  42.2
      16    12.219    6.671    1.48749  70.4
      17   -12.135    1.000
      18   -16.671    1.500    1.77250  49.6
      19*  -29.185
다음은 제3실시예에서의 비구면 계수를 나타낸 것이다.
렌즈면 비구면 계수
    3    K :  0.0   A  :  0.247810E-04   B  :  -0.266040E-06 
C  :  0.143137E-08  D  :  -0.359785E-11
   4    K :  0.0 A  : -0.327993E-04  B  :  -0.489322E-06   
C  :  0.198776E-08  D  :  -0.974853E-11
19 K :  0.0 A  :  0.592566E-04  B  :   0.267946E-06     
C  :  0.210245E-09  D  :  -.0949002E-11
다음은 제3실시예에서의 주밍시 가변 거리를 나타낸 것이다.
 D0    INFINITY     INFINITY     INFINITY     141.000     148.620     149.920
     D1     4.677        5.598       6.032       4.677       5.598       6.032
     D2     15.689        6.713        1.000      17.075       8.196       2.606
     D3     12.741       6.852        2.618      11.355       5.370       1.012
도 6a, 도 6b 및 도 6c는 각각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줌렌즈의 광각단 및 망원단에서의 종방향 구면수차(longitudinal spherical aberration), 비점 상면만곡(astigmatic field curves), 왜곡수차(distortion)를 나타낸 것이다.
<제4 실시예>
도 7은 제4 실시예에 따른 줌렌즈를 도시한 것이며 다음은 제4 실시예의 설계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f; 12.36 ~ 17.00 ~ 23.41 fno; 4.1 ~ 4.73 ~ 5.8  2ω; 103°~ 82°~ 64°
       렌즈면      R     Dn      Nd      vd
        1        39.132   3.000   1.77250   49.6
        2      12.911   7.661
        3*   1130.629   1.700   1.77250    49.6
        4*     14.191   D1
        5      39.560   3.000    1.84666   23.8
        6     224.560   D2
        7      26.068   0.800    1.84666   23.8
        8      16.477   3.500    1.62588   35.7
        9     -233.053   D3 
       10    INFINITY   2.500
       11     16.661    3.000    1.49700   81.6
       12     -31.737     2.522
       13     -18.899     1.200    1.77250   49.6
       14     68.562     0.500
       15      11.729     2.800    1.48749   70.4
       16    -52.139    0.800
       17     97.174    1.200     1.77250   49.6
       18       7.695     6.500    1.48749   70.4
       19   -13.712     1.000
       20     -11.147     1.500    1.77250 49.6
       21*    -18.629
다음은 제4실시예에서의 비구면 계수를 나타낸 것이다.
렌즈면 비구면 계수
3 K :0.0   A  :  0.261940E-04   B  :  -0.149604E-06   
C  :  0.515180E-09   D  :  -0.180429E-11
4 K : 0.0   A  : -0.493587E-04   B  :  -0.206555E-06    
C  : -0.120861E-08   D  :  -0.230094E-11
21 K :0.0   A  :  0.431619E-04   B  :   0.327603E-07   
C  :  0.671948E-08   D  :  -0.821777E-10
다음은 제4실시예에서의 주밍시 가변 거리를 나타낸 것이다.
D0    INFINITY    INFINITY    INFINITY     141.015     146.011     145.423
     D1      4.500       5.625      6.055       4.500       5.625       6.055
     D2     14.824        .786       2.000       15.906      7.956       3.270
     D3     12.972       7.719       3.254       11.890      6.549       1.984
도 8a, 도 8b 및 도 8c는 각각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줌렌즈의 광각단 및 망원단에서의 종방향 구면수차(longitudinal spherical aberration), 상면만곡(astigmatic field curves), 왜곡수차(distortion)를 나타낸 것이다.
<제5 실시예>
도 9는 제5 실시예에 따른 줌렌즈를 도시한 것이며 다음은 제5 실시예의 설계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f; 12.36 ~ 18.00 ~ 23.4 fno; 4.1 ~ 4.73 ~ 5.8  2ω; 103°~ 79°~ 64°
렌즈면      R     Dn      Nd      vd
        1        35.537  3.000  1.83481   42.72
        2      12.683   8.110
    3*   3231.806     1.700  1.77250   49.62
        4*     14.805      D1
        5      33.642     3.210  1.84666   23.78
        6     374.122      D2
        7      26.177     1.000  1.84666   23.78
        8      15.716     4.000  1.60342   38.01
        9    -230.085      D3
       10    INFINITY     2.500
       11      14.289     3.000  1.49700   81.61
       12     304.443     2.550
       13      19.022     2.400  1.48749   70.44
       14     -33.561     1.200
       15     -20.891     1.200  1.88300   40.80
       16      14.528     6.500  1.48749   70.44
       17     -15.186     1.000
       18     -22.568     1.500  1.77250   49.62
       19*    -38.034     
다음은 제5실시예에서의 비구면 계수를 나타낸 것이다.
 렌즈면 비구면 계수
  3    K : 0.0   A :  0.282208E-04    B :  -0.170632E-06   
C :  0.783184E-09   D :  -0.230535E-11
  4   K : 0.0   A  : -0.354777E-04   B :  -0.290803E-06       
C :  0.457762E-10    D :  -0.609647E-11
  19  K : 0.0   A :  0.671962E-04    B :   0.358213E-06     
C : -0.376745E-10    D :   0.181612E-10
다음은 제5실시예에서의 주밍시 가변 거리를 나타낸 것이다.
      D0    INFINITY    INFINITY    INFINITY   144.102   150.293    149.963
      D1      4.500      5.250      5.100      4.500      5.250      5.100
      D2     14.244      4.551      1.302     15.630      6.074      2.896
      D3     12.668      7.645      3.913     11.283      6.123      2.319
다음은, 상기 제1 내지 제5 실시예가 각각 상기 식 1 내지 5를 만족시킴을 보인 것이다.
           식1    식2    식3    식 4   식5
제1실시예 1.28   2.90   0.60   0.47   0.31
제2실시예 1.45   2.87   1.04   0.53   0.31
제3실시예 1.29   3.01   1.10   0.54   0.31
제4실시예 1.35   2.67   0.63   0.33   0.29
제5실시예 1.13 2.99 0.90 0.67 0.40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줌렌즈(100)를 구비한 촬영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촬영 장치는 앞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한 줌렌즈(100)와, 상기 줌렌즈(100)에 의해 결상된 광을 수광하는 이미징 소자(112)를 포함한다. 상기 촬영 장치는 상기 이미징 소자(112)로부터 광전 변환된 피사체 상에 대응되는 정보가 기록된 기록 수단(113)과, 피사체 상을 관찰하기 위한 뷰 파인더(finder)(11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피사체 상이 표시되는 표시부(115)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는, 뷰 파인더(114)와 표시부(115)가 따로 구비된 예를 보여주었으나 뷰 파인더가 따로 없이 표시부만 구비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촬영 장치는 일 예일 뿐이며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카메라 이외에 다양한 광학 기기에 적용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줌렌즈를 디지털 카메라 등의 촬영 장치에 적용함으로써 빠르게 오토 포커싱을 하고, 광각이고, 밝으며 고배율로 촬영이 가능한 광학 기기를 실현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G1...제1 렌즈군, G2...제2 렌즈군,
G3...제3 렌즈군, G4...제4렌즈군
D0,D1,D2,D3...가변 거리

Claims (16)

  1.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렌즈군,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렌즈 군,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3렌즈군, 가장 물체측에 조리개를 가지고,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4렌즈 군을 포함하고, 광각단에서 망원단으로의 주밍시, 제1렌즈군과 제2렌즈군 사이 간격이 증가하고, 제2렌즈군과 제3렌즈군 사이의 간격은 감소하고, 제3렌즈군과 제4렌즈군 사이의 간격은 감소되도록 각 렌즈군을 이동하고, 제3렌즈군을 이동하여 포커싱을 하고,
    제3렌즈군은 정 렌즈와 부 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정 렌즈와 부 렌즈는 접합 렌즈로 형성되고, 아래 식을 만족하는 줌 렌즈.
    <식>
    2.3<|f3/√(fw×ft)|<3.4
    여기서, f3은 제3렌즈군의 초점거리를, fw는 광각단에서의 초점 거리를, ft는 망원단에서의 초점 거리를 나타낸다.
  2. 제1항에 있어서,
    아래 식을 만족하는 줌 렌즈. 
    <식>
    1.1<TL/TW<1.6
    여기서, TW는 광각단에서의 제1렌즈군과 제2렌즈군 사이의 간격을 나타내고, TL은 망원단에서의 제1렌즈군과 제2렌즈군 사이의 간격을 나타낸다.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제1렌즈 군은 적어도 2매의 부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2매의 부렌즈는 적어도 하나의 비구면을 포함하는 줌 렌즈.
  6. 제1항, 제2항, 및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4렌즈군은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서브 렌즈군과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 서브 렌즈군을 포함하는 줌 렌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서브 렌즈군은 정 렌즈 한 매를 포함하는 줌 렌즈.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서브 렌즈군은 정 렌즈와 부 렌즈로 이루어진 접합 렌즈를 포함하는 줌 렌즈.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서브 렌즈군은 다음 식을 만족하는 줌 렌즈.
    <식>
    0.4 < fP/f4 < 1.3
    여기서, fP는 제4렌즈군의 제1 서브 렌즈군의 초점 거리를, f4는 제4렌즈군의 초점 거리를 나타낸다.
  10. 제6항에 있어서,
    제2서브 렌즈군은 부 렌즈와 정 렌즈로 이루어진 접합 렌즈를 포함하고, 다음을 만족하는 줌 렌즈.
    <식>
    0.2 < r/L4 < 0.7
    여기서, r은 제2서브 렌즈군의 접합 렌즈의 접합면의 곡률반경을, L4는 4렌즈군의 전장을 나타낸다.
  11. 제6항에 있어서,
    제2서브 렌즈군은 부 렌즈와 정 렌즈로 이루어진 접합 렌즈를 포함하고, 다음을 만족하는 줌 렌즈.
    <식>
    n1-n2 > 0.25
    여기서, n1은 제2서브 렌즈군의 접합 렌즈의 부 렌즈의 굴절율을, n2는 제2서브 렌즈군의 접합 렌즈의 정 렌즈의 굴절율을 나타낸다. 
  12. 제1항, 제2항, 및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4렌즈군은 적어도 하나의 비구면을 포함하는 줌 렌즈.
  13. 제1항, 제2항,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줌 렌즈; 및
    상기 줌 렌즈에 의해 결상된 상을 수광하는 이미징 소자;를 포함하는 촬영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제4렌즈군은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서브 렌즈군과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 서브 렌즈군을 포함하는 촬영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서브 렌즈군은 정 렌즈 한 매를 포함하는 촬영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서브 렌즈군은 정 렌즈와 부 렌즈로 이루어진 접합 렌즈를 포함하는 촬영 장치.


KR1020120024545A 2012-03-09 2012-03-09 줌 렌즈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 KR101950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4545A KR101950999B1 (ko) 2012-03-09 2012-03-09 줌 렌즈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
US13/752,799 US9341825B2 (en) 2012-03-09 2013-01-29 Zoom lens and photograph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EP13155837.1A EP2637055B1 (en) 2012-03-09 2013-02-19 Zoom lens and photograph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201310072579.8A CN103309025B (zh) 2012-03-09 2013-03-07 变焦镜头和包括该变焦镜头的拍摄设备
PCT/KR2013/001888 WO2013133660A1 (en) 2012-03-09 2013-03-08 Zoom lens and photograph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4545A KR101950999B1 (ko) 2012-03-09 2012-03-09 줌 렌즈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3144A KR20130103144A (ko) 2013-09-23
KR101950999B1 true KR101950999B1 (ko) 2019-02-21

Family

ID=47749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4545A KR101950999B1 (ko) 2012-03-09 2012-03-09 줌 렌즈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341825B2 (ko)
EP (1) EP2637055B1 (ko)
KR (1) KR101950999B1 (ko)
CN (1) CN103309025B (ko)
WO (1) WO20131336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212134A (ja) * 2015-04-30 2016-12-1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
JP6558954B2 (ja) * 2015-05-28 2019-08-14 キヤノン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及びそれを有する光学機器
CN107132643B (zh) * 2016-02-26 2020-01-17 亚太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广角镜头
JP6594281B2 (ja) * 2016-09-29 2019-10-2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
CN106990515B (zh) * 2016-12-16 2019-06-18 嘉兴中润光学科技有限公司 一种变焦镜头
JP6946774B2 (ja) * 2017-06-21 2021-10-06 株式会社ニコン 変倍光学系および光学装置
JP7013194B2 (ja) * 2017-10-16 2022-01-31 キヤノン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及びそれを有する撮像装置
CN108490586A (zh) * 2018-05-23 2018-09-04 嘉兴中润光学科技有限公司 监控用定焦镜头
JP7261388B2 (ja) * 2019-02-22 2023-04-20 株式会社ニコン 変倍光学系及び光学機器
JP7234034B2 (ja) * 2019-05-22 2023-03-07 キヤノン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およびそれを有する光学機器
WO2021138782A1 (zh) * 2020-01-06 2021-07-15 天津欧菲光电有限公司 光学系统、镜头模组及终端设备
WO2021189463A1 (zh) * 2020-03-27 2021-09-30 天津欧菲光电有限公司 光学成像系统、成像模组、电子装置及驾驶装置
CN113885185A (zh) * 2021-11-05 2022-01-04 舜宇光学(中山)有限公司 投影镜头
CN114488485B (zh) * 2022-02-14 2023-07-07 合肥埃科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f22mm的大靶面广角低畸变工业镜头
CN114509863B (zh) * 2022-04-20 2022-09-09 江西联创电子有限公司 广角镜头及成像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2698A (ja) * 1999-04-02 2000-10-20 Canon Inc ズームレンズ
JP2011022282A (ja) * 2009-07-14 2011-02-03 Fujifilm Corp 投影用ズームレンズおよび投写型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74267A (en) * 1995-10-20 1998-06-30 Nikon Corporation Zoom lens
JP2001124989A (ja) 1999-10-25 2001-05-11 Minolta Co Ltd ズームレンズ
JP4123683B2 (ja) 2000-05-17 2008-07-23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
JP2003043354A (ja) * 2001-05-14 2003-02-13 Olympus Optical Co Ltd 電子撮像装置
JP4285951B2 (ja) * 2002-08-02 2009-06-24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撮像装置
JP4337363B2 (ja) 2003-02-27 2009-09-30 株式会社ニコン ズームレンズ
TWI273303B (en) 2005-08-10 2007-02-11 Asia Optical Co Inc Zoom lens
KR100745509B1 (ko) 2005-10-13 2007-08-02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광각 및 고변배 줌 렌즈 및 이를 채용한 카메라
JP5371178B2 (ja) 2006-03-29 2013-12-18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撮像光学系
JP5458477B2 (ja) 2007-06-29 2014-04-02 株式会社ニコン 変倍光学系、光学装置、変倍光学系の変倍方法
JP5407119B2 (ja) 2007-06-29 2014-02-05 株式会社ニコン 変倍光学系、光学装置、変倍光学系の変倍方法
JP5286518B2 (ja) 2008-01-28 2013-09-11 株式会社タムロン 広角ズームレンズ
JP5027018B2 (ja) 2008-03-12 2012-09-1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
JP5244498B2 (ja) 2008-08-14 2013-07-2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投写型可変焦点レンズおよび投写型表示装置
US8154648B2 (en) 2008-12-18 2012-04-10 Olympus Imaging Corp. Zoom lens system and image pickup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10145696A (ja) 2008-12-18 2010-07-01 Olympus Imaging Corp ズームレンズ及びそれを備えた撮像装置
JP5345890B2 (ja) * 2009-04-28 2013-11-2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投写用ズームレンズおよび投写型表示装置
KR101706266B1 (ko) 2009-12-24 2017-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줌 렌즈 및 이를 구비한 촬영 장치
JP5513248B2 (ja) 2010-04-28 2014-06-0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投写用ズームレンズおよび投写型表示装置
US8797655B2 (en) * 2011-10-05 2014-08-05 Canon Kabushiki Kaisha Zoom lens and image pickup apparatus hav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2698A (ja) * 1999-04-02 2000-10-20 Canon Inc ズームレンズ
JP2011022282A (ja) * 2009-07-14 2011-02-03 Fujifilm Corp 投影用ズームレンズおよび投写型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37055A1 (en) 2013-09-11
US20130235465A1 (en) 2013-09-12
CN103309025A (zh) 2013-09-18
WO2013133660A1 (en) 2013-09-12
CN103309025B (zh) 2017-06-09
US9341825B2 (en) 2016-05-17
EP2637055B1 (en) 2023-02-01
KR20130103144A (ko) 2013-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0999B1 (ko) 줌 렌즈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
KR102004988B1 (ko) 줌 렌즈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
KR101941248B1 (ko) 줌 렌즈 및 이를 구비한 촬상장치
JP6129023B2 (ja) ズームレンズ及びそれを有する撮像装置
KR101853808B1 (ko) 광각 렌즈계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KR101844509B1 (ko) 줌렌즈 및 이를 구비한 촬영 장치
KR101941249B1 (ko) 망원 렌즈계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
KR102422126B1 (ko) 줌 렌즈계
KR102052124B1 (ko) 어안 렌즈계 및 이를 구비한 촬영 장치
KR101932722B1 (ko) 줌 렌즈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
KR101890304B1 (ko) 줌렌즈 및 이를 구비한 촬영 장치
KR20150062803A (ko) 줌 렌즈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
KR101853810B1 (ko) 접사 렌즈계 및 이를 구비한 촬영 장치
KR20150006936A (ko) 줌 렌즈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
KR102066941B1 (ko) 줌 렌즈계
KR101710621B1 (ko) 렌즈계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KR101676785B1 (ko) 소형 줌 렌즈
KR101880633B1 (ko) 줌 렌즈 및 이를 구비한 촬영 장치
KR102013241B1 (ko) 줌 렌즈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
US9939620B2 (en) Zoom lens and image pickup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1776704B1 (ko) 줌 렌즈계 및 이를 구비한 촬영 장치
KR101271733B1 (ko) 줌 렌즈계
KR20150060398A (ko) 줌 렌즈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
KR20150029511A (ko) 줌 렌즈 및 촬상 장치
JP5058634B2 (ja) ズームレンズ及びそれを有する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