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0621B1 - 렌즈계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 Google Patents

렌즈계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0621B1
KR101710621B1 KR1020090112794A KR20090112794A KR101710621B1 KR 101710621 B1 KR101710621 B1 KR 101710621B1 KR 1020090112794 A KR1020090112794 A KR 1020090112794A KR 20090112794 A KR20090112794 A KR 20090112794A KR 101710621 B1 KR101710621 B1 KR 101710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lens group
lens system
sub
refractiv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2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6106A (ko
Inventor
최은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2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0621B1/ko
Priority to US12/940,285 priority patent/US8369023B2/en
Priority to CN201010557892.7A priority patent/CN102081221B/zh
Publication of KR20110056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61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0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0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5/00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 G02B15/14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 G02B15/144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having four groups only
    • G02B15/1441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having four groups only the first group being positive
    • G02B15/144113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having four groups only the first group being positive arranged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9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having zoom fun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5/00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 G02B15/02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changing, adding, or subtracting a part of the objective, e.g. convertible objective
    • G02B15/04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changing, adding, or subtracting a part of the objective, e.g. convertible objective by changing a par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5/00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 G02B15/14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 G02B15/22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with movable lens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ocusing at close distan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87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index gradi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2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 G02B3/04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with continuous faces that are rotationally symmetrical but deviate from a true sphere, e.g. so called "aspheric" lens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Abstract

렌즈계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렌즈계는,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배열된 정의 굴절력을 가진 제 1렌즈군, 부의 굴절력을 가진 제 2 렌즈군, 정의 굴절력을 가진 제 3렌즈군, 정의 굴절력을 가진 제 4렌즈군 및 상기 제3렌즈군과 교체 가능한 제5렌즈군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렌즈계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Lens system and image pickup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다양한 초점 거리를 가지는 렌즈계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CCD 혹은 CMOS와 같은 이미징 센서를 채용한 디지털 카메라 혹은 핸드폰 카메라와 같은 촬상 장치에서 소형화, 경량화, 저 비용화가 중요한 요소로 요구된다. 한편, 이러한 요구와 함께 다양한 광학적 성능도 요구된다. 예를 들어, 줌 렌즈계는 사용되는 렌즈군들의 종류에 따라 구현할 수 있는 광학적 특성에 차이를 갖는다. 사용자는 촬상 장치의 사용 목적에 따라 줌 렌즈계를 선택해야 한다. 예를 들어 풍경을 찍기를 원하는 경우 광각 성능이 우수하여 넓은 화각을 가지는 광각 줌 렌즈계를 사용해야 하고, 멀리 있는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해서는 화각이 좁고 초점 거리가 긴 망원 줌 렌즈계를 사용해야 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촬영 목적에 따라 다양한 줌 렌즈계를 구매하여야 하므로 비용이 증가하고, 촬영 도중에 줌 렌즈계를 교환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렌즈계에서 다양한 종류의 초점 거리를 가지는 렌즈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렌즈계를 이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초점 거리를 구현하는 촬상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계는,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배열된 정의 굴절력을 가진 제 1렌즈군, 부의 굴절력을 가진 제 2 렌즈군, 정의 굴절력을 가진 제 3렌즈군, 정의 굴절력을 가진 제 4렌즈군 및 상기 제3렌즈군과 교체 가능한 제5렌즈군을 포함하고, 상기 제1렌즈군, 제2렌즈군, 제3렌즈군 및 제4렌즈군은 제1서브 렌즈계를 이루고, 상기 제1렌즈군, 상기 제2렌즈군, 제5렌즈군 및 제4렌즈군은 제2서브 렌즈계를 이룬다.
상기 제1서브 렌즈계는 다음의 줌 배율을 가질 수 있다.
<식>
5.0 ≤ ft/fw ≤ 15.0
여기서, ft는 제1렌즈계의 망원단의 전체 초점거리, fw는 제1렌즈계의 광각단의 전체 초점거리를 나타낸다.
상기 제2서브 렌즈계는 단초점 거리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계는, 복수 개의 렌즈군을 포함하여 광각 단에서 망원단으로 주밍을 하는 줌 렌즈계; 및 상기 복수 개의 렌즈군 중 적어도 하나의 렌즈군과 교체 가능한 교체 렌즈군;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는,
렌즈계; 및
상기 렌즈계에 의해 결상된 상을 전기적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징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계는,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배열된 정의 굴절력을 가진 제 1렌즈군, 부의 굴절력을 가진 제 2 렌즈군, 정의 굴절력을 가진 제 3렌즈군, 정의 굴절력을 가진 제 4렌즈군 및 상기 제3렌즈군과 교체 가능한 제5렌즈군을 포함하고, 상기 제1렌즈군, 제2렌즈군, 제3렌즈군 및 제4렌즈군은 제1서브 렌즈계를 이루고, 상기 제1렌즈군, 상기 제2렌즈군, 제5렌즈군 및 제4렌즈군은 제2서브 렌즈계를 이룬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계와 촬상 장치는 렌즈계 전체를 교환하지 않고, 간단하게 일부 렌즈군을 교체하여 다양한 초점 거리를 구현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계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계(111)는 복수 개의 렌즈군을 포함하는 제1서브 렌즈계(111a)와 상기 복수 개의 렌즈군 중 적어도 한 렌즈군과 교체 가능한 교체 렌즈군을 포함하는 제2서브 렌즈계(111b)를 포함한다. 상 기 제1서브 렌즈계(111a)와 제2서브 렌즈계(111b)는 서로 교체되는 렌즈군을 제외한 나머지 렌즈군을 공유할 수 있다. 상기 제1서브 렌즈계(111a)는 예를 들어 줌 렌즈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서브 렌즈계(111b)는 단초점(single focus) 렌즈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서브 렌즈계는 상기 제1서브 렌즈계(111a)의 망원단에서의 초점 길이보다 긴 초점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는, 제2서브 렌즈계는 상기 제1서브 렌즈계(111a)의 광각단에서의 초점 길이보다 짧은 초점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서브 렌즈계(111a)와 제2서브 렌즈계(111b)가 각각 서로 다른 줌 배율을 가지는 줌 렌즈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계는 줌 렌즈계와 단초점 렌즈계를 하나의 렌즈계에 구비하고 있어, 하나의 렌즈계를 통해 다양한 배율을 얻을 수 있다. 제1서브 렌즈계와 제2서브 렌즈계는 일부 렌즈군과 이미징 소자를 서로 공유하므로, 두 가지 종류의 렌즈계를 각각 구비하는 것에 비해 부품의 수가 줄어들고, 소형화와 박형화에 유리하며, 재료비도 절감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계(111)를 광각단, 중간단, 망원단, 및 단초점 위치에서 각각 도시한 것이다. 상기 렌즈계(111)는 예를 들어, 물체측(O)에서 상측(I)으로 순서대로 배열된 제1렌즈군(G1), 제2렌즈군(G2), 제3렌즈군(G3), 제4렌즈군(G4), 및 상기 제3렌즈군(G3)과 교체 가능한 제5렌즈군(G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렌즈군(G1)(G2)(G3)(G4)이 제1서브 렌즈계(111a)를 이루고, 상기 제1, 제2, 제5, 및 제4렌즈군(G1)(G2)(G5)(G4)이 제2서브 렌즈계(111b)를 이룰 수 있다. 제1서브 렌즈계(111a)에서 제2서브 렌즈계(111b)로 변환 시 상기 제3렌즈군(G3)이 광축에서 벗어나게 이동되고, 상기 제5렌즈군(G5)이 광축 상에 오도록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어, 상기 제1서브 렌즈계(111a)는 연속적인 초점 거리 변화가 가능한 복수의 렌즈군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렌즈군 중 일부를 교체하여 연속적인 줌 렌즈계가 구현할 수 없는 초점 거리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군(G1)은 정의 굴절력을 가지고, 제2렌즈군(G2)은 부의 굴절력을 가지고, 제3렌즈군(G3)은 정의 굴절력을 가지고, 제4렌즈군(G4)은 정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5렌즈군(G5)은 정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서브 렌즈계(111a)는 주밍이 가능한 줌 렌즈계일 수 있다. 광각단에서 망원단으로 주밍시 제1렌즈군(G1) 과 제2렌즈군(G2)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고, 제2렌즈군(G2)과 제3렌즈군(G3) 사이의 간격이 좁아질 수 있다. 상기 제1서브 렌즈계(111a)는 다음의 줌 배율을 가질 수 있다.
5.0 ≤ ft/fw ≤ 15.0
상기 제3렌즈군(G3)은 광축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여 손떨림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4렌즈군(G4)은 주밍시 포커싱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2서브 렌즈계(111b)는 상기 제3렌즈군(G3)이 광축에서 벗어나게 이동되고, 제5렌즈군(G5)이 광축 상에 오도록 이동되어,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정의 굴절력을 가진 제1렌즈군(G1), 부의 굴절력을 가진 제2렌즈군(G2), 정의 굴절력을 가진 제5렌즈군(G5), 정의 굴절력을 가진 제4렌즈군(G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서브 렌즈계(111b)는 단초점 렌즈계일 수 있다. 상기 제2서브 렌즈계(111b)는 제1서브 렌즈계(111a) 보다 긴 초점거리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서브 렌즈계(111b)는 다음 식을 만족할 수 있다.
1.1 ≤ ff/ft ≤ 1.5
여기서, ft는 제1서브 렌즈계의 망원단에서의 전체 초점거리를, ff는 제2서브렌즈계의 단초점 거리를 나타낸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계는 복수 렌즈 군 중 일부 렌즈군을 다른 렌즈군으로 교체하여 다양한 범위의 초점 거리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계는 다음 식을 만족할 수 있다.
0.8 < (Lt3/ft)+(Lf3/ff) < 1.2
여기서, Lt3은 제1서브 렌즈계의 망원단에서 제3렌즈군의 가장 물체측 렌즈의 첫 번째 면에서 상면까지의 거리를, Lf3은 제2서브 렌즈계에서 제3렌즈군의 가장 물체측 렌즈의 첫 번째 면에서 상면까지의 거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계는 다음 식을 만족할 수 있다.
Lf3 ≤ Lt3
수학식 3, 4를 만족함으로써 제1서브 렌즈계에서 제2서브 렌즈계로 변경시 렌즈계의 길이 변화를 적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계는 다음 식을 만족할 수 있다.
Lf1 ≤ Lt1
여기서, Lt1은 제1서브 렌즈계의 망원단에서 제1렌즈군의 가장 물체측 렌즈의 첫 번째 면에서 상면까지의 거리를, Lf1은 제2서브 렌즈계에서 제1렌즈군의 가장 물체측 렌즈의 첫 번째 면에서 상면까지의 거리를 나타낸다. 상기 수학식 5를 만족할 때, 제1서브 렌즈계의 초점 거리보다 긴 초점 거리를 가지는 제2서브 렌즈계에서도 전장의 길이가 늘어나지 않아 소형화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계는 다음 식을 만족할 수 있다.
5.0 < ff/ff3 < 6.5
여기서, ff3은 제2서브 렌즈계에서 제5렌즈군의 초점거리를 나타낸다.
상기 수학식 6을 만족시킴으로써 제5렌즈군의 광학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다.상기 제1렌즈군(G1)은 부렌즈(1)와 정렌즈(2)로 이루어진 접합 렌즈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군(G1)은 물체측(O)으로부터 상측(I)으로 배열된 것으로, 전체적으로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접합렌즈(1)(2)와 정의 굴절력을 갖는 구면 렌즈(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군(G1)은 적어도 하나의 비구면 렌즈 또는 하이브리드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군(G1)의 가장 물체측(O)의 렌즈(1)가 다음을 만족할 수 있다.
1.9 ≤ Nd1
여기서, Nd1은 제1렌즈군의 가장 물체측 렌즈의 굴절률을 나타낸다.
상기 제1렌즈군(G1)은 다음을 만족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80 ≤ Vd1
여기서, Vd1은 제1렌즈군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의 아베수를 나타낸다. 제1렌즈군의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수학식 8의 아베수를 가짐으로써 렌즈계의 성능을 높이고, 제1서브 렌즈계에서 제2서브 렌즈계로의 변경시 광학 성능을 유지할 수 있고, 색수차를 보정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군(G2)은 부렌즈와 정렌즈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접합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렌즈군(G2)은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렌즈(4),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렌즈(5),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렌즈(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렌즈군(G2)은 적어도 하나의 비구면 렌즈 또는 하이브리드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렌즈군(G2)은 다음 식을 만족할 수 있다.
1.88 ≤ Nd2
여기서, Nd는 제2렌즈군의 가장 상측의 렌즈의 굴절률을 나타낸다.
상기 제2렌즈군(G2)은 다음 식을 만족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30 ≤ Vd2 ≤ 50
여기서, Vd2는 제2렌즈군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의 아베수를 나타낸다. 제2렌즈군의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수학식 9의 아베수를 가짐으로써 렌즈계의 광학 성능을 높일 수 있다.
제3렌즈군(G3)은 정렌즈(8)와 부렌즈(9)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접합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렌즈군(G3)은 정렌즈(7)와 접합 렌즈(8)(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렌즈군(G3)은 적어도 하나의 비구면 렌즈 또는 하이브리드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렌즈군(G4)은 하나의 렌즈(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의 렌즈(10)는 정렌즈일 수 있다. 상기 제4렌즈군은 적어도 하나의 비구면 렌즈 또는 하이브리드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5렌즈군(G5)은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정렌즈(12)와 부렌즈(13)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접합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5렌즈군(G5)은 물체측(O)에서 상측(I) 방향으로 배열된 것으로 정의 굴절력을 갖는 렌즈(11)와 전체적으로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접합렌즈(12)(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렌즈군(G4)의 상측(I)에 필터(P1)(P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렌즈계에 사용되는 비구면의 정의를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비구면 형상은 광축 방향을 x축으로 하고, 광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을 y축으로 할 때, 광선의 진행 방향을 정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x는 렌즈의 정점으로부터 광축 방향으로의 거리를, y는 광축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의 거리를, K는 코닉 상수(conic constant)를, A, B, C, D는 비구면 계수를, c는 렌즈의 정점에 있어서의 곡률 반경의 역수(1/R)를 각각 나타낸다.
Figure 112009071489541-pat00001
다음은 본 발명의 렌즈계의 다양한 설계에 따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EFL은 전체 초점거리를, FOV는 화각을, F/#는 F넘버를, D0, D1, D2, D3, D4는 가변거리를 나타낸다. 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에서 각 렌즈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부기하여 나타내었다.
[실시예 1]
도 2는 제1실시예에 따른 렌즈계의 제1 및 제2 서브 렌즈계를 도시한 것이다.
<제1서브 렌즈계>
렌즈면 곡률반경 두께 굴절률 아베수
OBJECT INFINITY D0
S1 23.404 0.93 1.931644 22.2224
S2 17.140 2.71 1.497436 81.4906
S3 56.074 0.10
S4 26.611 1.88 1.822682 45.0985
S5 91.000 D1
S6 86.195 0.60 1.872825 41.4325
S7 5.994 2.66
S8 -80.217 0.66 1.798889 47.2668
S9 8.536 0.28
S10 9.735 1.19 1.922860 20.8804
S11 99.000 D2
S12 INFINITY 0.30
S13(ST) 4.643 1.53 1.579828 66.1344
S14 -14.681 0.10
S15 5.628 1.14 1.651599 58.4039
S16 8.856 0.45 1.856256 25.9977
S17 3.206 D3
S18 35.037 1.67 1.496997 81.6084
S19 -12.728 D4
S20 INFINITY 0.30 1.516798 64.1983
S21 INFINITY 0.30
S22 INFINITY 0.50 1.516798 64.1983
S23 INFINITY 0.40
IMAGE INFINITY
다음은 제1실시예에 따른 렌즈계의 제1서브 렌즈계의 비구면 계수를 나타낸 것이다.
렌즈면 K A B C D S8 -38.08605 -1.933574e-003 1.102705e-004 -2.367617e-006 1.321229e-008 S9 -6.11824 -8.930660e-004 1.006160e-004 -2.016335e-006 0.000000e+000
S13 -0.92295 2.541269e-004 -1.302114e-005 1.165031e-005 -1.736424e-007
S14 -9.34473 5.361785e-004 -1.219555e-005 1.155170e-005 0.000000e+000
S18 0.49483 2.748435e-004 0.000000e+000 0.000000e+000 0.000000e+000
S19 -0.99753 5.341231e-004 -1.101354e-005 0.000000e+000 0.000000e+000
<제2서브 렌즈계>
렌즈면 곡률반경 두께 굴절률 아베수
S13(ST) 4.558 1.20 1.502319 80.2164
S14 -8.758 0.20
S15 5.046 1.01 1.685490 56.0522
S16 -7.266 1.63 1.886073 40.0927
다음은 제1실시예에 따른 렌즈계의 제2서브 렌즈계의 비구면 계수를 나타낸 것이다.
렌즈면 K A B C D S13 -0.83453 3.906883e-004 -8.590593e-005 1.044172e-005 1.225457e-006
S14 -4.65031 1.283505e-004 -1.270635e-004 2.313506e-005 0.000000e+000
본 발명의 제1서브 렌즈계(111a)와 제2서브 렌즈계(111b)는 S1-S12, S17~IMAGE 면을 공용으로 사용한다.
광각단 중간단 망원단 단초점
EFL 4.380 13.140 41.172 44.238
FOV 41.682 16.531 5.411 5.038
F/# 3.240 4.835 5.897 6.650
D0 INFINITY INFINITY INFINITY INFINITY
D1 0.575 8.572 18.756 18.229
D2 13.831 5.768 1.100 1.100
D3 4.313 10.455 14.633 13.787
D4 3.104 3.000 2.100 2.100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제1서브 렌즈계의 광각단에서의 구면수차(longitudinal spherical aberration), 비점상면만곡(astigmatic field curves), 왜곡(distortion)을 나타낸 것이다. 비점상면만곡으로는 자오 상면 만곡(T: tangential field curves)과 구결 상면 만곡(S: sagittal field curves)을 보여준다. 왜곡 수차도에서 종축은 상높이(IH)를 나타낸다. 도 3b 및 도 3c는 도 2에 도시된 제1서브 렌즈계의 중간단 및 광각단에서의 구면수차, 비점상면만곡, 왜곡을 나타낸 것이다. 도 3d는 제2서브 렌즈계의 구면수차, 비점상면만곡, 왜곡을 나타낸 것이다.
[실시예 2]
도 4는 제2실시예에 따른 렌즈계의 제1 및 제2 서브 렌즈계를 도시한 것이다.
<제1서브 렌즈계>
렌즈면 곡률반경 두께 굴절률 아베수
OBJECT INFINITY D0
S1 23.422 0.90 1.931046 21.9041
S2 17.154 2.73 1.497601 81.4466
S3 56.050 0.10
S4 26.563 1.89 1.821618 45.1887
S5 91.000 D1
S6 94.751 0.60 1.873083 40.8521
S7 6.046 2.69
S8 -76.812 0.61 1.798760 47.2795
S9 8.596 0.27
S10 9.764 1.66 1.922860 20.8804
S11 95.084 D2
S12 INFINITY 0.30
S13(ST) 4.644 1.54 1.579702 60.2527
S14 -14.698 0.10
S15 5.630 1.14 1.651626 58.4018
S16 8.875 0.45 1.856598 24.7347
S17 3.205 D3
S18 49.377 1.71 1.497060 81.5914
S19 -11.633 D4
S20 INFINITY 0.30 1.516798 64.1983
S21 INFINITY 0.30
S22 INFINITY 0.50 1.516798 64.1983
S23 INFINITY 0.40
IMAGE INFINITY
렌즈면 K A B C D S8 -50.00000 -2.060463e-003 1.216407e-004 -2.701659e-006 1.605631e-008
S9 -6.61109 -9.372677e-004 1.074454e-004 -2.192468e-006 0.000000e+000
S13 -0.92312 2.542013e-004 -1.709538e-005 1.210068e-005 -2.860370e-007
S14 -9.33196 5.287963e-004 -1.292466e-005 1.078911e-005 0.000000e+000
S18 -2.26545 4.565649e-005 0.000000e+000 0.000000e+000 0.000000e+000
S19 -10.89150 -3.893052e-004 -4.814758e-007 0.000000e+000 0.000000e+000
<제2서브 렌즈계>
렌즈면 곡률반경 두께 굴절률 아베수
S13(ST) 4.782 1.63 1.496997 81.6084
S14 -9.115 0.10
S15 5.162 1.62 1.656549 58.0326
S16 -5.100 1.57 1.874142 41.3495
렌즈면 K A B C D S13 -0.75687 4.964696e-004 -3.267803e-005 7.128976e-006 4.370830e-007
S14 -4.20724 1.460385e-004 -6.315315e-005 1.215563e-005 0.000000e+000
광각단 중간단 망원단 단초점
EFL 4.380 13.140 41.172 49.406
FOV 41.682 16.531 5.411 4.513
F/# 3.259 4.879 5.938 6.138
D0 INFINITY INFINITY INFINITY INFINITY
D1 0.594 8.552 18.765 19.116
D2 13.705 5.685 1.050 1.000
D3 4.268 10.526 14.662 12.878
D4 3.178 3.000 2.100 2.100
도 5a, 도 5b, 도 5c, 도 5d는 각각 도 4에 도시된 렌즈계의 광각단, 중간단, 망원단, 단초점 위치에서의 수차도를 나타낸 것이다.
[실시예 3]
도 6은 제3실시예에 따른 렌즈계의 제1서브 렌즈계와 제2서브 렌즈계를 도시한 것이다.
<제1서브 렌즈계>
렌즈면 곡률 반경 두께 굴절률 아베수
OBJECT INFINITY D0
S1 23.874 0.90 1.922860 20.8804
S2 17.548 2.84 1.496997 81.6084
S3 55.600 0.10
S4 25.753 2.08 1.823971 44.9902
S5 91.000 D1
S6 -277.233 0.60 1.884126 40.5408
S7 6.255 2.40
S8 -40.582 0.50 1.792856 47.8723
S9 9.858 0.26
S10 9.320 1.72 1.922860 20.8804
S11 99.000 D2
S12 INFINITY 0.30
S13(ST) 4.617 1.61 1.582273 51.5338
S14 -14.455 0.12
S15 5.622 1.33 1.660467 58.0682
S16 -100.000 0.47 1.852471 27.4978
S17 3.234 D3
S18 30.373 1.76 1.693500 53.2008
S19 -14.000 D4
S20 INFINITY 0.30 1.516798 64.1983
S21 INFINITY 0.30
S22 INFINITY 0.50 1.516798 64.1983
S23 INFINITY 0.40
IMAGE INFINITY
렌즈면 K A B C D
S4 -0.65396 -5.364244e-006 1.019051e-008 0.000000e+000 0.000000e+000
S5 -50.00000 -3.995928e-006 1.324739e-008 0.000000e+000 0.000000e+000
S8 -17.47272 -5.380284e-004 6.459203e-005 -1.826165e-006 2.207213e-008
S9 -9.67537 6.443796e-004 3.352423e-005 -8.687407e-007 0.000000e+000
S13 -0.82493 3.811616e-004 -6.217054e-006 1.928185e-005 -3.307176e-007
S14 -9.84891 7.199459e-004 5.683928e-006 1.919705e-005 0.000000e+000
S18 -35.221432 0.000000e+000 0.000000e+000 0.000000e+000 0.000000e+000
S19 0.978960 0.000000e+000 0.000000e+000 0.000000e+000 0.000000e+000
<제2서브 렌즈계>
렌즈면 곡률 반경 두께 굴절률 아베수
S13(ST) 4.033 1.70 1.496997 81.6084
S14 -10.225 0.10
S15 3.904 1.72 1.541958 71.8461
S16 -4.465 0.60 1.845722 43.2825
렌즈면 K A B C D S13 -0.55028 6.602368e-004 2.093539e-005 5.271381e-006 5.626225e-007
S14 -19.29024 -1.195566e-003 9.648517e-005 3.048732e-006 0.000000e+000
광각단 중간단 망원단 단초점
EFL 4.450 13.350 41.830 50.196
FOV 41.231 16.285 5.327 4.443
F/# 3.156 4.824 5.710 5.915
D0 INFINITY INFINITY INFINITY INFINITY
D1 0.804 8.548 18.569 18.949
D2 13.178 5.753 1.000 1.000
D3 4.121 11.039 14.448 13.861
D4 3.122 3.000 2.128 2.100
도 7a, 도 7b, 도 7c, 도 7d는 각각 도 6에 도시된 렌즈계의 광각단, 중간단, 망원단, 단초점 위치에서의 수차도를 나타낸 것이다.
[실시예 4]
도 8은 제4실시예에 따른 렌즈계의 제1서브 렌즈계와 제2서브 렌즈계를 도시한 것이다.
<제1 렌즈계>
렌즈면 곡류반경 두께 굴절률 아베수
OBJECT INFINITY D0
S1 INFINITY 0.95
S2 27.459 0.90 1.993389 21.7442
S3 19.154 2.74 1.504143 79.7567
S4 75.679 0.10
S5 23.899 2.06 1.826710 44.7627
S6 91.000 D1
S7 52.135 0.60 1.911990 35.0574
S8 5.762 2.86
S9 -97.000 0.90 1.811141 46.1090
S10 7.787 0.13
S11 9.329 1.69 1.20026 19.320
S12 78.370 D2
S13 INFINITY 0.30
S14(ST) 4.733 1.95 1.582763 62.3642
S15 -15.557 0.14
S16 5.491 1.18 1.509683 78.4118
S17 10.345 0.49 1.788126 24.5208
S18 3.334 D3
S19 21.100 1.75 1.497563 81.4566
S20 -17.000 D4
S21 INFINITY 0.30 1.516798 64.1983
S22 INFINITY 0.30
S23 INFINITY 0.50 1.516798 64.1983
S24 INFINITY 0.40
IMAGE INFINITY
렌즈면 K A B C D
S9 -30.76950 -2.291500e-003 1.046488e-004 -1.699025e-006 0.000000e+000
S10 1.00000 -2.782020e-003 1.301520e-004 -2.881407e-006 0.000000e+000
S14 -0.96893 7.212680e-004 2.225291e-005 1.489693e-005 -1.599167e-007
S15 0.94081 1.534263e-003 3.648990e-005 1.376594e-005 6.558430e-007
S19 -39.93351 6.840088e-004 -8.513116e-006 0.000000e+000 0.000000e+000
S20 -3.55035 6.823133e-005 -8.915550e-006 0.000000e+000 0.000000e+000
<제2서브 렌즈계>
렌즈면 곡류반경 두께 굴절률 아베수
S14(ST) 4.684 1.65 1.578729 66.2775
S15 -15.511 0.27
S16 5.608 1.25 1.496997 81.6084
S17 11.106 0.59 1.807494 26.7477
렌즈면 K A B C D
S14 -0.98122 9.319258e-004 -1.995461e-004 6.037849e-005 -3.093815e-006
S15 -49.24624 -3.157479e-005 -1.341465e-004 7.850190e-005 -5.261582e-006
광각단 중간단 망원단 단초점
EFL 4.450 13.350 41.830 50.196
FOV 41.231 16.285 5.327 4.443
F/# 3.270 4.910 5.921 5.825
D0 INFINITY INFINITY INFINITY INFINITY
D1 0.446 8.315 17.770 19.514
D2 12.472 5.393 0.900 0.900
D3 3.862 10.355 14.371 13.199
D4 3.257 3.000 2.100 2.100
도 9a, 도 9b, 도 9c, 도 9d는 각각 도 8에 도시된 렌즈계의 광각단, 중간단, 망원단, 단초점 위치에서의 수차도를 나타낸 것이다.
다음은 제1 내지 제4 실시예가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3을 만족시킴을 보인 것이다.
  실시예 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수학식1 9.4 9.4 9.4 9.4
수학식2 1.074468 1.19999 1.2 1.2
수학식3 1.065503 1.013472 1.00602 1.001732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계는 하나의 렌즈계로 서로다른 종류의 초점 거리를 구현하며, 다양한 종류의 초점 거리를 가지면서도 소형화, 박형화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계(111)를 구비한 촬상 장치(100)를 도시한 것이다. 촬상 장치는 앞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한 렌즈계(111)와, 상기 렌즈계(111)에 의해 결상된 상을 전기적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징 센서(112)를 포함한다. 상기 촬상 장치(100)는 상기 이미징 센서(112)로부터 광전 변환된 피사체 상에 대응되는 정보가 기록된 기록 수단(113)과, 피사체 상을 관찰하기 위한 뷰 파인더(finder)(11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피사체 상이 표시되는 표시부(115)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는, 뷰 파인더(114)와 표시부(115)가 따로 구비된 예를 보여주었으나 뷰 파인더가 따로 없이 표시부만 구비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촬상 장치는 일 예일 뿐이며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카메라 이외에 다양한 광학 기기에 적용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줌렌즈를 디지털 카메라 등의 촬상 장치에 적용함으로써 소형이면서 저가이고 밝으며 광각 촬영이 가능한 광학 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는 렌즈계 전체를 교환하지 않고, 간단하게 일부 렌즈군을 교체하여 다양한 초점 거리를 구현함으로써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저렴한 비용으로 충족시킬 수 있다. 또한, 두 가지 종류의 초점 거리를 가지는 렌즈계를 별도로 휴대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자가 매우 편리하게 본 발명의 촬상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렌즈계를 광각단, 중간단, 망원단, 단초점 위치에서 도시한 것이다.
도 3a, 도 3b, 도 3c, 도 3d는 각각 본 발명의 제1실시에에 따른 렌즈계의 광각단, 중간단, 망원단, 단초점 위치에서의 수차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렌즈계를 광각단, 중간단, 망원단, 단초점 위치에서 도시한 것이다.
도 5a, 도 5b, 도 5c, 도 5d는 각각 본 발명의 제2실시에에 따른 렌즈계의 광각단, 중간단, 망원단, 단초점 위치에서의 수차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렌즈계를 광각단, 중간단, 망원단, 단초점 위치에서 도시한 것이다.
도 7a, 도 7b, 도 7c, 도 7d는 각각 본 발명의 제3실시에에 따른 렌즈계의 광각단, 중간단, 망원단, 단초점 위치에서의 수차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렌즈계를 광각단, 중간단, 망원단, 단초점 위치에서 도시한 것이다.
도 9a, 도 9b, 도 9c, 도 9d는 각각 본 발명의 제4실시에에 따른 렌즈계의 광각단, 중간단, 망원단, 단초점 위치에서의 수차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G1...제1렌즈군, G2...제2렌즈군
G3...제3렌즈군, G4...제4렌즈군
G5...제5렌즈군, 111...렌즈계
111a...제1서브 렌즈계, 111b...제2서브 렌즈계

Claims (24)

  1.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배열된 정의 굴절력을 가진 제 1렌즈군, 부의 굴절력을 가진 제 2 렌즈군, 정의 굴절력을 가진 제 3렌즈군, 정의 굴절력을 가진 제 4렌즈군 및 상기 제3렌즈군과 교체 가능한 제5렌즈군을 포함하고,
    상기 제1렌즈군, 제2렌즈군, 제3렌즈군 및 제4렌즈군은 제1서브 렌즈계를 이루고,
    상기 제1렌즈군, 상기 제2렌즈군, 제5렌즈군 및 제4렌즈군은 제2서브 렌즈계를 이루며,
    상기 제1서브 렌즈계는 다음의 줌 배율을 가지는 렌즈계.
    <식>
    5.0 ≤ ft/fw ≤ 15.0
    여기서, ft는 제1렌즈계의 망원단의 전체 초점거리, fw는 제1렌즈계의 광각단의 전체 초점거리를 나타낸다.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서브 렌즈계는 단초점 거리를 가지는 렌즈계.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5렌즈군은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렌즈계.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계가 다음 식을 만족하는 렌즈계.
    <식>
    1.0 ≤ ff/ft ≤ 1.5
    여기서, ft는 제1서브 렌즈계의 망원단의 전체 초점 거리를, ff는 제2서브 렌즈계의 전체 초점거리를 나타낸다.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계가 다음 식을 만족하는 렌즈계.
    <식>
    0.8 < (Lt3/ft)+(Lf3/ff) < 1.2
    Lf3 ≤ Lt3
    여기서, Lt3은 제1서브 렌즈계의 망원단에서 제3렌즈군의 가장 물체측 렌즈의 첫 번째 면에서 상면까지의 거리를, Lf3은 제2서브 렌즈계에서 제3렌즈군의 가장 물체측 렌즈의 첫 번째 면에서 상면까지의 거리를 나타낸다.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계가 다음의 식을 만족하는 렌즈계.
    <식>
    Lf1 ≤ Lt1
    여기서, Lt1은 제1서브 렌즈계의 망원단에서 제1렌즈군의 가장 물체측 렌즈의 첫 번째 면에서 상면까지의 거리를, Lf1은 제2서브 렌즈계에서 제1렌즈군의 가장 물체측 렌즈의 첫 번째 면에서 상면까지의 거리를 나타낸다.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계가 다음의 식을 만족하는 렌즈계.
    <식>
    5.0 < ff/ff3 < 6.5
    여기서, ff3은 상기 제5렌즈군의 초점거리를, ff는 제2서브 렌즈계의 전체 초점 거리를 나타낸다.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5렌즈군은 물체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배열된 것으로, 정의 굴절력을 가진 비구면 렌즈와 부의 굴절력을 가진 접합렌즈를 포함하는 렌즈계.
  10.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군은 가장 물체측에 정의 굴절력을 가지고, 다음의 식을 만족하는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계.
    <식>
    1.9 ≤ Nd1
    여기서, Nd1는 제1렌즈군의 가장 물체측 렌즈의 굴절률을 나타낸다.
  11.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렌즈군은 가장 상측에 정의 굴절력을 가지고, 다음의 식을 만족하는렌즈를 포함하는 렌즈계.
    <식>
    1.88 ≤ Nd2
    여기서, Nd2는 제2렌즈군의 가장 상측 렌즈의 굴절률을 나타낸다.
  12.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군은 다음을 만족하는 렌즈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렌즈계.
    <식>
    80 ≤ Vd1
    여기서, Vd1은 제1렌즈군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의 아베수를 나타낸다.
  13.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렌즈군은 다음을 만족하는 렌즈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렌즈계.
    <식>
    30 ≤ Vd2 ≤ 50
    여기서, Vd2은 제2렌즈군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의 아베수를 나타낸다.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서브 렌즈계가 광각에서 망원으로 주밍시 제1렌즈군과 제2렌즈군의 간격이 넓어지고, 제2렌즈군과 제 3렌즈군의 간격이 좁아지는 렌즈계.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서브 렌즈계가 광각에서 망원으로 주밍시 제4렌즈군이 포커싱을 수행하는 렌즈계.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렌즈군이 손떨림 보정을 수행하는 렌즈계.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군 내지 제4렌즈군 중 적어도 하나가 하이브리드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계.
  18. 복수 개의 렌즈군을 포함하여 광각단에서 망원단으로 주밍을 하는 줌 렌즈계; 및
    상기 복수 개의 렌즈군 중 적어도 하나의 렌즈군과 교체 가능한 교체 렌즈군;을 포함하고,
    다음의 줌 배율을 가지는 렌즈계.
    <식>
    5.0 ≤ ft/fw ≤ 15.0
    여기서, ft는 제1렌즈계의 망원단의 전체 초점거리, fw는 제1렌즈계의 광각단의 전체 초점거리를 나타낸다.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줌 렌즈계가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정의 굴절력을 가진 제 1렌즈군, 부의 굴절력을 가진 제 2 렌즈군, 정의 굴절력을 가진 제 3렌즈군, 정의 굴절력을 가진 제 4렌즈군을 포함하는 렌즈계.
  20. 제18 항 또는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교체 렌즈군이 상기 복수 개의 렌즈 군 중 적어도 하나의 렌즈군과 교체될 때 상기 렌즈계가 단초점 거리를 가지는 렌즈계.
  21.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단초점 거리가 상기 줌 렌즈계의 망원단에서의 전체 초점 거리보다 긴 렌즈계.
  22.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교체 렌즈군이 제 3렌즈군과 교체되는 렌즈계.
  23. 제 1항에 기재된 렌즈계; 및
    상기 렌즈계에 의해 결상된 상을 전기적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징 센서;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서브 렌즈계는 단초점 거리를 가지는 촬상 장치.
KR1020090112794A 2009-11-20 2009-11-20 렌즈계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KR101710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2794A KR101710621B1 (ko) 2009-11-20 2009-11-20 렌즈계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US12/940,285 US8369023B2 (en) 2009-11-20 2010-11-05 Lens system and image capturing device having the same
CN201010557892.7A CN102081221B (zh) 2009-11-20 2010-11-22 镜头系统和具有所述镜头系统的图像捕获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2794A KR101710621B1 (ko) 2009-11-20 2009-11-20 렌즈계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6106A KR20110056106A (ko) 2011-05-26
KR101710621B1 true KR101710621B1 (ko) 2017-03-08

Family

ID=44061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2794A KR101710621B1 (ko) 2009-11-20 2009-11-20 렌즈계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369023B2 (ko)
KR (1) KR101710621B1 (ko)
CN (1) CN10208122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4221A (ko) * 2011-06-01 2012-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줌 렌즈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JP6433259B2 (ja) * 2014-11-18 2018-12-05 キヤノン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エクステンダレンズ群、および撮像装置
JP6768375B2 (ja) * 2016-06-30 2020-10-14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ンズ装置および撮像装置
CN111474809B (zh) * 2020-04-30 2021-08-2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CN111538145B (zh) * 2020-05-12 2022-08-1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变焦镜头、相机模组和电子装置
CN111505813B (zh) * 2020-06-30 2020-10-09 嘉兴中润光学科技有限公司 一种小型摄像装置和变焦镜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9913A (ja) * 2006-04-10 2006-07-20 Canon Inc 防振機能を有した変倍光学系及びそれを有する撮像装置
JP2007065513A (ja) * 2005-09-01 2007-03-15 Ricoh Co Ltd 変倍撮影光学系システム、撮像装置、及び携帯情報端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94090A (en) * 1993-02-01 1998-08-11 Canon Kabushiki Kaisha Zoom lens
JP3927684B2 (ja) * 1998-04-09 2007-06-13 キヤノン株式会社 防振機能を有した変倍光学系
JP4292795B2 (ja) * 2002-12-13 2009-07-0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カメラ付き携帯端末
JP4876460B2 (ja) 2005-07-05 2012-02-15 株式会社ニコン 像シフト可能なズームレンズ
JP4838557B2 (ja) * 2005-09-12 2011-12-14 キヤノン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及びそれを有する撮像装置
JP4942091B2 (ja) 2006-10-31 2012-05-30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広角高変倍ズームレンズ及びそれを用いた撮像装置
JP5082499B2 (ja) 2007-02-27 2012-11-28 株式会社ニコン ズームレンズと、これを有する光学装置
JP2009014931A (ja) * 2007-07-03 2009-01-22 Ricoh Co Ltd 撮影光学系、カメラ装置および携帯情報端末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5513A (ja) * 2005-09-01 2007-03-15 Ricoh Co Ltd 変倍撮影光学系システム、撮像装置、及び携帯情報端末装置
JP2006189913A (ja) * 2006-04-10 2006-07-20 Canon Inc 防振機能を有した変倍光学系及びそれを有する撮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369023B2 (en) 2013-02-05
CN102081221A (zh) 2011-06-01
KR20110056106A (ko) 2011-05-26
CN102081221B (zh) 2015-03-11
US20110122505A1 (en) 2011-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33275B2 (en) Zoom lens system and image pickup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1932722B1 (ko) 줌 렌즈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
KR101950999B1 (ko) 줌 렌즈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
KR102052124B1 (ko) 어안 렌즈계 및 이를 구비한 촬영 장치
KR101844509B1 (ko) 줌렌즈 및 이를 구비한 촬영 장치
KR101670054B1 (ko) 줌 렌즈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KR101139860B1 (ko) 줌 렌즈 및 촬상 장치
JP5727513B2 (ja) ズーム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
KR20150062803A (ko) 줌 렌즈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
KR101706265B1 (ko) 줌 렌즈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KR20110040245A (ko) 줌 렌즈계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KR101853810B1 (ko) 접사 렌즈계 및 이를 구비한 촬영 장치
KR101710621B1 (ko) 렌즈계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KR101782992B1 (ko) 렌즈계 및 이를 구비한 촬영 장치
KR101582089B1 (ko) 광각 렌즈 및 이를 구비한 결상 광학 장치
KR101880633B1 (ko) 줌 렌즈 및 이를 구비한 촬영 장치
KR101776704B1 (ko) 줌 렌즈계 및 이를 구비한 촬영 장치
US9519125B2 (en) Zoom lens and photograph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2007187740A (ja) ズームレンズ
KR101660839B1 (ko) 줌 렌즈계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KR101271733B1 (ko) 줌 렌즈계
KR20150060398A (ko) 줌 렌즈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
JP2005062227A (ja) ズームレンズ及びそれを有する撮像装置
JP2008059000A (ja) ズーム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
KR101925056B1 (ko) 줌렌즈 및 이를 구비한 촬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