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9860B1 - 줌 렌즈 및 촬상 장치 - Google Patents

줌 렌즈 및 촬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9860B1
KR101139860B1 KR1020057007335A KR20057007335A KR101139860B1 KR 101139860 B1 KR101139860 B1 KR 101139860B1 KR 1020057007335 A KR1020057007335 A KR 1020057007335A KR 20057007335 A KR20057007335 A KR 20057007335A KR 101139860 B1 KR101139860 B1 KR 101139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lens group
group
negative
grou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7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1285A (ko
Inventor
마사키 다무라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60061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12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9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9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9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having zoom fun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5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employing a special optical element
    • G02B13/006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employing a special optical element having a beam-folding prism or mirro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5/00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 G02B15/14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 G02B15/145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having five groups only
    • G02B15/1451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having five groups only the first group being positive
    • G02B15/145113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having five groups only the first group being positive arranged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4Pris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e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줌 렌즈의 깊이 방향의 박형화와 함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렌즈군(GR1~GR5)으로 이루어지고 군간격을 바꾸는 것에 의해 변배를 실시하는 줌 렌즈이며, 복수의 렌즈군(GR1~GR5)을 통과하는 광축을 구부리기 위한 프리즘(G2)를 포함해, 복수의 렌즈군(GR1~GR5) 중 물체측에서 센 최종의 렌즈군(GR5)중에 물체측에서 순서대로, 부렌즈군, 정렌즈군이, 공기 간격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이 줌 렌즈에 의해 형성된 광학상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촬상 소자를 갖추는 촬상 장치이다.

Description

줌 렌즈 및 촬상 장치{Zoom lens and imaging device}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나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등의 디지털 입출력 기기의 촬영 광학계에 매우 적합한 컴팩트하고 고변배율을 가지는 줌 렌즈 및 이것을 이용한 촬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년, 디지털 카메라 등의 고체 촬상 소자를 이용한 촬상 장치가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카메라의 보급에 수반해 한층 더 고화질화가 요구되며, 특히 화소수가 많은 디지털 카메라 등에 있어서는, 화소수가 많은 고체 촬상 소자에 대응한 결상 성능이 뛰어난 촬영용 렌즈, 특히 줌 렌즈가 요구되고 있다. 또, 게다가, 소형화에 대한 요구도 강하고, 소형이고 고성능인 줌 렌즈가 요구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제 2750775호 공보(특허 문헌 1) 참조). 또 한편에서는, 렌즈간에 프리즘을 삽입하고, 광학계를 구부려 광축 방향의 소형화를 더욱 추진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개평 8-248318호 공보(특허 문헌 2) 참조).
그렇지만, 종래 제안되고 있는 은염필름용의 렌즈 셔터 카메라와 같은 물체 측에 정의 굴절력, 상측에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광학계에서는, 렌즈지름이나 전체 길이 등의 소형화에는 매우 유효하기는 하지만, 사출눈동자 위치가 상면의 근처에 있고, 고체 촬상 소자의 전면에 설치된 마이크로 렌즈의 집광성능을 충분히 만족시 키지 못하고, 화상 중앙부와 화상 주변부에서의 화상의 밝기가 극단적으로 변화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 특허 문헌 1에 기재의 고체 촬상 소자를 이용한 광학계에서는, 최종군을 부군으로 하고 있지만, 부군(minus group)의 파워가 약하고 소형화가 충분히 달성되고 있지 않다.
또, 특허 문헌 2에 기재의 광학계에서는, 정부정정의 줌 타입중에 프리즘을 이용하고 광축을 구부리는 것으로, 광축 방향의 소형화를 도모하고 있지만, 전옥 및 반사 부재가 크고, 소형화가 충분하지 않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복수의 렌즈군으로 이루어져 군간격을 바꾸는 것에 의해 변배를 실시하는 줌 렌즈 및 이것을 이용한 촬상 장치이며, 줌 렌즈중에 광축을 구부리기 위한 반사 부재를 포함하고, 복수의 렌즈군 중 물체측으로부터 카운트한 최종의 렌즈군중에 물체측에서 순서대로, 부렌즈군, 정렌즈군이, 공기 간격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복수의 렌즈군으로 완성되며, 군간격을 바꾸는 것에 의해 변배를 실시하는 줌 렌즈와 이것을 이용한 촬상 장치이며, 줌 렌즈에 있어서의 물체측으로부터 카운트한 최종의 렌즈군으로서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것을 이용해 그 최종의 렌즈군중에 물체측에서 순서대로, 부렌즈군, 정렌즈군이, 공기 간격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는, 렌즈계 전체의 소형화와 입사눈동자 위치를 상면으로부터 떼어 놓을 수 있고, 줌 렌즈 및 촬상 장치의 소형화,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제 1실시예의 단촛점거리단에서의 렌즈 구성도이다.
도 2는 제 2실시예의 단촛점거리단에서의 렌즈 구성도이다.
도 3은 제 3실시예의 단촛점거리단에서의 렌즈 구성도이다.
도 4는 제 4실시예의 단촛점거리단에서의 렌즈 구성도이다.
도 5 A~도 5 C는 제 1실시예의 단촛점거리단에서의 여러 수차도이다.
도 6 A~도 6 C는 제 1실시예의 중간 촛점거리로의 여러 수차도이다.
도 7 A~도 7 C는 제 1실시예의 장 촛점거리단에서의 여러 수차도이다.
도 8 A~도 8 C는 제 2실시예의 단촛점거리단에서의 여러 수차도이다.
도 9 A~도 9 C는 제 2실시예의 중간 촛점거리로의 여러 수차도이다.
도 10 A~도 10 C는 제 2실시예의 장 촛점거리단에서의 여러 수차도이다.
도 11 A~도 11 C는 제 3실시예의 단 촛점거리단에서의 여러 수차도이다.
도 12 A~도 12 C는 제 3실시예의 중간 촛점거리로의 여러 수차도이다.
도 13 A~도 13 C는 제 3실시예의 장 촛점거리단에서의 여러 수차도이다.
도 14 A~도 14 C는 제 4실시예의 단 촛점거리단에서의 여러 수차도이다.
도 15 A~도 15 C는, 제4실시예의 중간 촛점거리로의 여러 수차도이다.
도 16 A~도 16 C는 제 4실시예의 장 촛점거리단에서의 여러 수차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설명한다.
즉,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줌 렌즈는, 비디오 카메라, 디지털 카메라 등의 촬상 장치에 이용되는 컴팩트한 줌 렌즈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줌 렌즈는, 복수의 렌즈군으로 이루어지며, 군간격을 바꾸는 것에 의해 변배를 실시하는 광학계에 있어서, 복수의 렌즈군을 통과하는 광축을 구부리기 위한 반사 부재를 포함하고 복수의 렌즈군 중 물체측에서 센 최종의 렌즈군중에 물체측에서 순서대로, 부렌즈군, 정렌즈군이, 공기 간격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 이 줌 렌즈에 의해 형성된 광학상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촬상 소자를 갖추는 촬상 장치이기도 하다.
또,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줌 렌즈는, 복수의 렌즈군 중 물체측에서 센 최초의 렌즈군이 고정이며, 이 렌즈군에 반사 부재가 포함되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또,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줌 렌즈는, 복수의 렌즈군에 있어서의 물체측에서 센 최종의 렌즈군이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줌 렌즈는, 최종의 렌즈군중의 부렌즈군이 이하의 조건식(1)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건식(1) 0.9<|fa/fw|<1.25
단,
fa:최종군중의 부렌즈군의 촛점거리
fw:광각단에서의 촛점거리
이다.
여기서, 상기 조건식(1)은, 최종의 렌즈군중의 부렌즈군의 촛점거리를 규정하는 조건식이다. 조건식(1)의 하한을 넘으면 주변 콤마 수차나 배율 색수차의 보정이 곤란하게 된다. 조건식(1)의 상한을 넘으면 부렌즈군의 파워가 약해져 소형화가 곤란하게 된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줌 렌즈에서는, 상기 반사 부재를 이용하지 않고 복수의 렌즈군만으로 구성해도 괜찮다. 또한, 광축을 구부리기 위한 반사 부재로서 프리즘을 사용하는 경우, 굴절률이 높은 초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제 1실시예와 관련되는 줌 렌즈의 구성도이며, 도중 화살표는 광각단으로부터 망원단에 이를 때까지의 각 군의 이동 궤적을 나타내고 있다. 제 1의 실시예에서는, 물체측에서 순서대로 정의 제 1렌즈군(GR1), 부의 제 2렌즈군(GR2), 정의 제 3렌즈군(GR3), 정의 제 4렌즈군(GR4), 부의 제 5렌즈군(GR5)으로 이루어지고, 제 1렌즈군(GR1)은, 부렌즈(G1)와 광축을 90°구부리기 위한 직각 프리즘(G2)과 양면비구면을 가지는 정렌즈(G3)로 구성된다.
제 2렌즈군(GR2)은, 부렌즈(G4)와, 부렌즈(G5)와 정렌즈(G6)의 접합 렌즈로 구성되어 있다. 제 3렌즈군(GR3)은, 양면비구면을 가지는 정렌즈(G7)로 구성된다. 제 4렌즈군(GR4)은, 물체측에 비구면을 가지는 정렌즈(G8)와 부렌즈(G9)의 접합 렌즈로 구성되어 있다. 제 5렌즈군은, 부렌즈(G10)와 정렌즈(G11)의 접합 렌즈와 정렌즈(G12)로 구성된다. 또한, 도중 LPF는 필터, CG는 커버 유리, IMG는 촬상 소자의 수광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제 2실시예와 관련되는 줌 렌즈의 구성도이며, 도중 화살표는 광각단으로부터 망원단에 이를 때까지의 각 군의 이동 궤적을 나타내고 있다. 제 2실시예에서는, 물체측에서 순서대로, 정의 제 1렌즈군(GR1), 부의 제 2렌즈군(GR2), 정의 제 3렌즈군(GR3), 정의 제 4렌즈군(GR4), 부의 제 5렌즈군(GR5)으로 되어 있고, 제 1렌즈군(GR1)은, 부렌즈와 G1, 광축을 90°구부리기 위한 직각 프리즘(G2)과 양면비구면을 가지는 정렌즈(G3)로 구성된다. 제 2렌즈군(GR2)은, 부렌즈(G4)와, 부렌즈(G5)와 정렌즈(G6)의 접합 렌즈로 구성되어 있다. 제 3렌즈군(GR3)은, 양면비구면을 가지는 정렌즈(G7)로 구성된다. 제 4렌즈군(GR4)은, 양면비구면을 가지는 정렌즈(G8)와 부렌즈(G9)로 구성되어 있다. 제 5렌즈군(GR5)은, 부렌즈(G10)와 정렌즈(G11)로 구성된다. 또한, 도중 LPF는 필터, CG는 커버 유리, IMG는 촬상 소자의 수광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제 3실시예와 관련되는 줌 렌즈의 구성도이며, 도중 화살표는 광각단으로부터 망원단에 이를 때까지의 각 군의 이동 궤적을 나타내고 있다. 제 3실시예에서는, 물체측에서 순서대로, 정의 제 1렌즈군(GR1), 부의 제 2렌즈군(GR2), 정의 제 3렌즈군(GR3), 정의 제 4렌즈군(GR4), 부의 제 5렌즈군(GR5)으로 되어 있고, 제 1렌즈군(GR1)은, 부렌즈(G1)와 광축을 90°구부리기 위한 직각 프리즘(G2)과 양면비구면을 가지는 정렌즈(G3)로 구성된다.
제 2렌즈군(GR2)은, 부렌즈(G4)와, 부렌즈(G5)와 정렌즈(G6)의 접합 렌즈로 구성되어 있다. 제 3렌즈군(GR3)은, 양면비구면을 가지는 정렌즈(G7)로 구성된다. 제 4렌즈군(GR4)은, 물체측에 비구면을 가지는 정렌즈(G8)와 부렌즈(G9)의 접합 렌즈로 구성되어 있다. 제 5렌즈군(GR5)은, 부렌즈(G10)와 정렌즈(G11)의 접합 렌즈와 정렌즈(G12)로 구성된다. 또한, 도중 LPF는 필터, CG는 커버 유리, IMG는 촬상 소자의 수광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제 4실시예와 관련되는 줌 렌즈의 구성도이며, 도중 화살표는 광각단으로부터 망원단에 이를 때까지의 각 군의 이동 궤적을 나타내고 있다. 제 4실시예에서는, 물체측에서 순서대로, 정의 제 1렌즈군(GR1), 부의 제 2렌즈군(GR2), 정의 제 3렌즈군(GR3), 정의 제 4렌즈군(GR4), 부의 제 5렌즈군(GR5)으로 되어 있어 제 1렌즈군(GR1)은, 부렌즈(G1)와 광축을 90°구부리기 위한 직각 프리즘(G2)과 양면 비구면을 가지는 정렌즈(G3)로 구성된다.
제 2렌즈군(GR2)은, 부렌즈(G4)와, 부렌즈(G5)와 정렌즈(G6)의 접합 렌즈로 구성되어 있다. 제 3렌즈군(GR3)은, 양면 비구면을 가지는 정렌즈(G7)로 구성된다. 제 4렌즈군(GR4)은, 물체측에 비구면을 가지는 정렌즈(G8)와 부렌즈(G9)의 접합 렌즈로 구성되어 있다. 제 5렌즈군(GR5)은, 부렌즈(G10)와 정렌즈(G11)의 접합 렌즈와, 물체측에 비구면을 가지는 정렌즈(G12)로 구성된다. 또한, 도중 LPF는 필터, CG는 커버 유리, IMG는 촬상 소자의 수광면을 나타내고 있다.
이하의 표 1~표 4에, 제 1실시예 ~ 제 4실시예의 각각의 여러 가지를 나타낸다.
Figure 112005022150975-pct00001
Figure 112005022150975-pct00002
Figure 112005022150975-pct00003
Figure 112005022150975-pct00004
상기 각 표중, FNo.은 F넘버, f는 촛점거리, ω는 반화각, R은 곡률 반경, d는 렌즈면간격, nd는 d선에 대한 굴절률, νd는 아베수를 나타낸다. 또, (ASP)로 나타낸 면은 비구면이며, 비구면의 형상은 다음식 1로 나타내지는 형상이다.
Figure 112005022150975-pct00005
x : 렌즈면 정점에서의 광축방향의 거리
y : 광축과 수직한 방향의 높이
c : 렌즈정점에서의 근축곡률
ε: 원추정수
Ai : 제 i차의 비구면계수
또, 이하의 표 5에 상기 제 1실시예~ 제 4실시예에 나타낸 줌 렌즈의 상기 조건식(1)의 조건을 구하기 위한 각 수치 및 각 조건식을 나타낸다.
조건식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4
(1)fa/fw 1.045 1.113 0.988 1.157
도 5 A~도 16 C에 각각의 실시예의 여러 수차도를 나타낸다. 여기서, 도 5 A~도 5 C는 제 1실시예의 단촛점거리단에서의 여러 수차도, 도 6 A~도 6 C는 제 1실시예의 중간 촛점거리에서의 여러 수차도, 도 7 A~도 7 C는 제 1실시예의 장 촛점거리단에서의 여러 수차도, 도 8 A~도 8 C는 제 2실시예의 단촛점거리단에서의 여러 수차도, 도 9 A~도 9 C는 제 2실시예의 중간 촛점거리에서의 여러 수차도, 도 10 A~도 10 C는 제 2실시예의 장 촛점거리단에서의 여러 수차도, 도 11 A~도 11 C는 제 3실시예의 단촛점거리단에서의 여러 수차도, 도 12 A~도 12 C는 제 3실시예의 중간 촛점거리에서의 여러 수차도, 도 13 A~도 13 C는 제 3실시예의 장 촛점거리단에서의 여러 수차도, 도 14 A~도 14 C는 제 4실시예의 단촛점거리단에서의 여러 수차도, 도 15 A~도 15 C는 제 4실시예의 중간 촛점거리에서의 여러 수차도, 도 16 A~도 16 C는 제 4실시예의 장 촛점거리단에서의 여러 수차도이다.
각 도에 있어서의 구면 수차에서는 세로축은 개방 F치와의 비율, 횡축에 디포커스(defocus)를 취하고, 실선이 d선, 파선이 c선, 1점쇄선이 g선에서의 구면 수차를 나타낸다. 비점수차에서는 세로축이 상고상(像高), 횡축이 포커스이고, 실선이 시상(sagittal), 파선이 자오선(meridional)의 상면을 나타낸다. 왜곡 수차는 세로축이 상고, 횡축이 왜곡(%)을 나타낸다.
제 1실시예~ 제 4실시예와 관련되는 줌 렌즈는 상기 표 5로부터도 분명한 것 같이, 조건식(1)을 만족하고, 또, 각 수차도로 나타내듯이, 광각단, 광각단과 망원단과의 중간 촛점거리 및 망원단에 있어서, 각 수차와도 밸런스가 우수하게 보정되고 있다.
또한,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 도시한 각 부의 구체적인 형상 및 구조는, 어느 것도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것에 있어서의 구체화의 일례를 나타낸 것에 지나지 않고, 이것들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적으로 해석되는 것이 있어서는 안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비디오 카메라, 디지털 카메라 등에 이용되는 줌 렌즈의 결상 성능의 향상 및 소형화를 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줌 렌즈는,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등의 촬상 장치외, 휴대 전화기, 퍼스널 컴퓨터, 휴대형 단말(PDA) 등에 조립되는 촬상 기능 부분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6)

  1. 복수의 렌즈군으로 이루어지고 군간격을 바꾸는 것에 의해 변배를 실시하는 줌렌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렌즈군을 통과하는 광축을 구부리기 위한 반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렌즈군 중 물체측에서 센 최종의 렌즈군중에 물체측에서 순서대로, 부렌즈군, 정렌즈군이, 공기 간격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최종의 렌즈군중의 부렌즈군이 이하의 조건식(1)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 렌즈.
    조건식(1) 0.9<|fa/fw|<1.25
    단,
    fa:최종군중의 부렌즈군의 촛점거리
    fw: 광 각단에서의 촛점거리
    이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렌즈군은 5개의 렌즈군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렌즈군은,
    상기 물체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정(positive)의 제 1렌즈군, 부(negative)의 제 2렌즈군), 정의 제 3렌즈군, 정의 제 4렌즈군 및, 부의 제 5렌즈군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
  4. 복수의 렌즈 군으로 이루어지고 군간격을 바꾸는 것에 의해 변배를 실시하는 줌렌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렌즈군에 있어서의 물체측에서 센 최종의 렌즈군으로서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것을 이용하고, 그 최종의 렌즈군중에 물체측에서 순서대로, 부렌즈군, 정렌즈군이 공기 간격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
  5. 삭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렌즈군은 5개의 렌즈군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
  7. 삭제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의 렌즈군중의 부렌즈군이 이하의 조건식(1)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
    조건식(1) 0.9<|fa/fw|<1.25
    단,
    fa:최종군중의 부렌즈군의 촛점거리
    fw:광각단 에서의 촛점거리이다.
  9. 복수의 렌즈군으로 이루어 지고 군간격을 바꾸는 것에 의해 변배를 실시하는 줌 렌즈와, 상기 줌렌즈에 의해 형성된 광학상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촬상 소자를 갖추는 촬상 장치이며,
    상기 줌 렌즈중에 광축을 구부리기 위한 반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렌즈군 중 물체측에서 센 최종의 렌즈군중에 물체측에서 순서대로, 부렌즈군, 정 렌즈군이, 공기 간격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렌즈군중 물체측에서 센 최초의 렌즈군이 고정이며, 이 렌즈군에 상기 반사 부재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줌 렌즈는 5개의 렌즈군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14. 삭제
  15.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의 렌즈군중의 부렌즈군이 이하의 조건식(1)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 상 장치.
    조건식(1) 0.9<|fa/fw|<1.25
    단,
    fa:최종군중의 부렌즈군의 촛점거리
    fw: 광각단에서의 촛점거리
    이다.
  16. 삭제
KR1020057007335A 2003-09-08 2004-09-08 줌 렌즈 및 촬상 장치 KR1011398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15070 2003-09-08
JP2003315070A JP4222165B2 (ja) 2003-09-08 2003-09-08 ズーム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
PCT/JP2004/013395 WO2005026809A1 (ja) 2003-09-08 2004-09-08 ズーム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1285A KR20060061285A (ko) 2006-06-07
KR101139860B1 true KR101139860B1 (ko) 2012-05-02

Family

ID=34308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7335A KR101139860B1 (ko) 2003-09-08 2004-09-08 줌 렌즈 및 촬상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327953B2 (ko)
EP (1) EP1679539B1 (ko)
JP (1) JP4222165B2 (ko)
KR (1) KR101139860B1 (ko)
CN (1) CN100380162C (ko)
MY (1) MY141548A (ko)
SG (1) SG140599A1 (ko)
TW (1) TWI242654B (ko)
WO (1) WO20050268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22498B2 (ja) * 2003-04-18 2007-12-19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光リンク・モジュール、光接続方法、該光リンク・モジュールを含む情報処理装置、信号転送方法、プリズ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143933B2 (ja) * 2005-03-29 2008-09-03 ソニー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及び撮像装置
JP2006317481A (ja) * 2005-05-10 2006-11-24 Konica Minolta Photo Imaging Inc 変倍光学系
JP2006323051A (ja) * 2005-05-18 2006-11-30 Konica Minolta Photo Imaging Inc 変倍光学系
JP2007033879A (ja) 2005-07-27 2007-02-08 Sony Corp 撮像レンズ装置及び撮像装置
JP4961710B2 (ja) * 2005-10-12 2012-06-27 ソニー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及び撮像装置
JP4823684B2 (ja) * 2005-12-28 2011-11-24 株式会社タムロン ズームレンズ
JP4929903B2 (ja) 2006-07-27 2012-05-09 株式会社ニコン ズームレンズ、撮像装置、ズームレンズの変倍方法
TWI314217B (en) * 2006-09-15 2009-09-01 Asia Optical Co Inc Periscope-type zooming lens
JP2008083125A (ja) * 2006-09-26 2008-04-10 Olympus Imaging Corp ズームレンズ及びそれを用いた撮像装置
JP4264842B2 (ja) 2006-12-06 2009-05-20 ソニー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及び撮像装置
EP1967883B1 (en) 2007-03-09 2012-11-07 Nikon Corporation Zoom lens of the telephoto type and having four lens groups
ATE514968T1 (de) 2007-03-09 2011-07-15 Nikon Corp Zoomteleobjektiv mit vier linsengruppen
JP5245320B2 (ja) 2007-08-13 2013-07-24 株式会社ニコン ズームレンズ、これを用いた光学機器及び結像方法
US8320051B2 (en) 2009-10-13 2012-11-27 Panasonic Corporation Zoom lens system, imaging device and camera
KR20110040245A (ko) * 2009-10-13 2011-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줌 렌즈계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US8798388B2 (en) * 2009-12-03 2014-08-05 Qualcomm Incorporated Digital image combining to produce optical effects
CN102455491A (zh) * 2010-10-22 2012-05-16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变焦镜头系统
TWI443410B (zh) * 2011-12-02 2014-07-01 Asia Optical Co Inc Zoom lens
JP5915261B2 (ja) * 2012-02-29 2016-05-11 株式会社ニコン 変倍光学系、光学装置、変倍光学系の製造方法
CN103744168B (zh) * 2013-12-25 2015-10-28 福建福光股份有限公司 高分辨率、大变倍比机载变焦距镜头
KR101740815B1 (ko) 2015-10-14 2017-05-26 삼성전기주식회사 촬상 광학계
KR101901701B1 (ko) * 2016-12-28 2018-09-27 삼성전기 주식회사 촬상 광학계
CN112467392B (zh) * 2020-11-17 2021-09-07 厦门大学 中心对称类π形单边多频左手材料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8318A (ja) * 1995-03-08 1996-09-27 Sony Corp ズームレンズ
JP2000221393A (ja) * 1999-02-01 2000-08-11 Minolta Co Ltd 撮影光学系及び撮像装置並びに撮影光学系の画面サイズ変換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3423A (ja) * 1984-10-12 1986-05-12 Minolta Camera Co Ltd 大口径比ズ−ムレンズ
JP2750775B2 (ja) 1990-05-07 1998-05-13 コニカ株式会社 コンパクトなズームレンズ
US5751499A (en) * 1994-08-24 1998-05-12 Nikon Corporation Zoom lens system
US5633759A (en) 1994-09-20 1997-05-27 Minolta Camera Co., Ltd. Zoom lens system
US6104432A (en) * 1995-11-10 2000-08-15 Sony Corporation Compact image pickup lens system for a video camera
US5790317A (en) * 1995-12-13 1998-08-04 Nikon Corporation Zoom lens system
JP3340609B2 (ja) * 1996-01-29 2002-11-05 旭光学工業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系
JPH09211295A (ja) * 1996-02-07 1997-08-15 Nikon Corp ズームレンズ系
JPH1020191A (ja) * 1996-07-08 1998-01-23 Sony Corp ズームレンズ
JP3486532B2 (ja) 1997-08-04 2004-01-13 キヤノン株式会社 振動補償機能を有したズームレンズ及びそれを有するカメラ
JPH11194268A (ja) * 1997-12-26 1999-07-21 Canon Inc リアコンバーターレンズ及びそれを有するカメラ
JP3570253B2 (ja) 1998-10-28 2004-09-29 ソニー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
US6400515B1 (en) * 1999-02-01 2002-06-04 Minolta Co., Ltd. Taking optical system, image tak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verting frame-format in a taking optical system
US6867922B1 (en) * 1999-06-14 2005-03-15 Canon Kabushiki Kaisha Projection optical system and projection exposure apparatus using the same
US6633436B2 (en) * 2000-02-23 2003-10-14 Canon Kabushiki Kaisha Optical system, projection optical system, image projection apparatus having it, and image pickup apparatus
JP3598971B2 (ja) * 2000-04-07 2004-12-08 ミノルタ株式会社 撮像レンズ装置
KR100481960B1 (ko) 2000-06-21 2005-04-14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줌 렌즈 및 그 제조방법
JP3402318B2 (ja) 2000-09-04 2003-05-06 ミノルタ株式会社 撮像装置
US7436599B2 (en) 2001-05-14 2008-10-14 Olympus Corporation Electronic image pickup system
JP2003043354A (ja) * 2001-05-14 2003-02-13 Olympus Optical Co Ltd 電子撮像装置
JP2003029146A (ja) * 2001-07-11 2003-01-29 Sony Corp ズームレンズおよびこれを用いた撮像装置
JP4103392B2 (ja) 2002-01-08 2008-06-18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撮像装置
JP2003215457A (ja) * 2002-01-25 2003-07-30 Canon Inc ズームレンズ及びそれを有する光学機器
US7177094B2 (en) 2002-04-05 2007-02-13 Olympus Corporation Zoom lens, and electronic imaging system using the same
JP2004037925A (ja) * 2002-07-04 2004-02-05 Minolta Co Ltd 撮像装置
JP2004037926A (ja) * 2002-07-04 2004-02-05 Minolta Co Ltd 撮像装置
JP2004170707A (ja) * 2002-11-20 2004-06-17 Minolta Co Ltd 撮像レンズ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デジタルカメラ
JP4477336B2 (ja) * 2003-10-15 2010-06-09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撮像装置
KR100604310B1 (ko) * 2004-04-23 2006-07-25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고배율 줌 렌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48318A (ja) * 1995-03-08 1996-09-27 Sony Corp ズームレンズ
JP2000221393A (ja) * 1999-02-01 2000-08-11 Minolta Co Ltd 撮影光学系及び撮像装置並びに撮影光学系の画面サイズ変換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222165B2 (ja) 2009-02-12
EP1679539A1 (en) 2006-07-12
TW200521475A (en) 2005-07-01
KR20060061285A (ko) 2006-06-07
US7327953B2 (en) 2008-02-05
JP2005084283A (ja) 2005-03-31
CN100380162C (zh) 2008-04-09
CN1701254A (zh) 2005-11-23
MY141548A (en) 2010-05-14
SG140599A1 (en) 2008-03-28
EP1679539A4 (en) 2010-06-02
EP1679539B1 (en) 2012-07-18
TWI242654B (en) 2005-11-01
US20060051082A1 (en) 2006-03-09
WO2005026809A1 (ja) 2005-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9860B1 (ko) 줌 렌즈 및 촬상 장치
KR100558509B1 (ko) 줌렌즈 및 그것을 가지는 카메라
US6515805B2 (en) Taking lens device
KR101612444B1 (ko) 접사 렌즈계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KR101932722B1 (ko) 줌 렌즈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
KR101630282B1 (ko) 줌 렌즈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JP2006209100A (ja) ズームレンズ及び撮像装置
KR20060129133A (ko) 줌 렌즈 및 촬상장치
KR101706265B1 (ko) 줌 렌즈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KR20140125680A (ko) 광각 렌즈 및 이를 구비한 촬상장치
KR20150062803A (ko) 줌 렌즈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
KR20140081317A (ko) 줌 렌즈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
KR20110040245A (ko) 줌 렌즈계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JP2009037125A (ja) 3群ズームレンズ及びそれを備えた撮像装置
US6970298B1 (en) Zoom lens system and image capture apparatus having the same
JP2006058363A (ja) ズームレンズおよびそれを用いたカメラモジュール
KR101710621B1 (ko) 렌즈계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
JP2004133058A (ja) 撮像レンズ
KR101880633B1 (ko) 줌 렌즈 및 이를 구비한 촬영 장치
KR20060091299A (ko) 줌렌즈 및 촬상 장치
JP4444625B2 (ja) ズームレンズ及びそれを有する撮像装置
KR100781161B1 (ko) 고배율 줌렌즈
JP2005055725A (ja) ズームレンズおよび電子機器
KR101204095B1 (ko) 줌 렌즈계 및 이를 구비한 촬영 장치
KR101660840B1 (ko) 소형 줌 광학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