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3080A - 리코펜 함유 조성물 - Google Patents

리코펜 함유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3080A
KR20140123080A KR1020147023438A KR20147023438A KR20140123080A KR 20140123080 A KR20140123080 A KR 20140123080A KR 1020147023438 A KR1020147023438 A KR 1020147023438A KR 20147023438 A KR20147023438 A KR 20147023438A KR 20140123080 A KR20140123080 A KR 201401230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lycopene
composition
compound
m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3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3261B1 (ko
Inventor
카츠히코 카나자와
히로유키 키타오카
후미 쿠스다
Original Assignee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23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30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3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32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2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4Preservati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리코펜과, 부틸카르바민산 요오드화 프로피닐을 포함하는 리코펜 함유 조성물.

Description

리코펜 함유 조성물{LYCOPENE-CONTAINING COMPOSITION}
본 발명은 리코펜 함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리코펜은 식물 중에 분포되는 지용성의 카로티노이드 색소이다. 최근의 연구에서는, 리코펜에는 활성 산소 소거 작용, 발암 억제 작용 등의 유용한 활성을 나타내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 이 때문에, 내복제 및 외용제의 양면으로부터 그 활용이 기대되어 여러가지로 검토되고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2002-125619호 공보 및 일본 특허공개 평 11-35444호 공보, 참조).
한편, 카로티노이드 색소는 광이나 열 등에 의해 용이하게 산화되는 것이 알려져 있고, 카로티노이드 색소를 안정화시키는 방법이 여러가지로 검토되고 있다. 예를 들면, 일본 특허 4398246호 공보에는 카로티노이드 색소와 소정의 양의 12∼18의 HLB를 갖는 유화제를 조합시킨, 양호한 유화 안정성을 나타내는 카로티노이드 현탁액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허 3921305호 공보에는 광안정성이 양호한 착색제로서 물과 유기용제의 적당한 혼합비에 의거한 특정 형태의 카로티노이드 응집체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화장료나 식품 등의 조성물에서는 위생면에서 미생물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서 여러가지 방부제 성분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방부제 성분으로서 부틸 카르바민산 요오드화 프로피닐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평 5-148127호 공보 및 일본 특허공개 2010-229081호 공보, 참조).
일본 특허공개 2002-125619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평 11-35444호 공보 일본 특허 4398246호 공보 일본 특허 3921305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평 5-148127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10-229081호 공보
그러나, 카로티노이드 중에서도 리코펜은 특히 안정성이 떨어지는 화합물이며, 예를 들면 제제의 방부성의 관점으로부터 범용되고 있는 특정의 항균성 화합물과의 조합에 의해서는 특히 불안정해지는 것이 명확해졌다.
본 발명은 충분한 방부성을 갖고, 또한 리코펜을 안정되게 배합 가능한 리코펜 함유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이하와 같다.
[1] 리코펜과, 부틸카르바민산 요오드화 프로피닐을 포함하는 리코펜 함유 조성물.
[2] 대장균에 대한 최소 발육 저지 농도(MIC)가 10질량% 이하인 적어도 1종의 항균성 화합물을 더 포함하고, 그 항균성 화합물이 페녹시에탄올, 총 탄소수가 6∼11인 글리세린과 지방족 알콜의 에테르 화합물, 및 탄소쇄 길이 3∼10의 지방족 디올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을 포함하는 [1]기재의 리코펜 함유 조성물.
[3] 하기 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부틸카르바민산 요오드화 프로피닐의 실효계수와,
하기 식(II)으로 나타내어지는 상기 항균성 화합물의 실효계수의 합계와의 총합이 1.5 이상 4.5 이하인 [2]기재의 리코펜 함유 조성물.
실효계수 I=[부틸카르바민산 요오드화 프로피닐의 함유량(질량%)]/[부틸카르바민산 요오드화 프로피닐의 대장균에 대한 최소 성육 저지 농도(MIC)(질량%)] …(I)
실효계수 II=[항균성 화합물의 함유량(질량%)]/[항균성 화합물의 대장균에 대한 최소 성육 저지 농도(MIC)(질량%)]} …(II)
[4] 글리세린과 지방족 알콜의 에테르 화합물이 에틸헥실글리세린인 [2] 또는 [3]기재의 리코펜 함유 조성물.
[5] 지방족 디올 화합물이 펜틸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 헵탄디올, 및 옥탄디올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2]∼[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조성물.
[6] 아스코르브산을 더 포함하는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리코펜 함유 조성물.
[7] 아스코르브산의 함유량이 조성물 전체 질량 중 0.01질량%∼0.5질량%인 [6]에 기재된 리코펜 함유 조성물.
[8] 부틸카르바민산 요오드화 프로피닐의 함유량이 조성물 전체 질량 중 0.0001질량%∼0.5질량%인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리코펜 함유 조성물.
[9] 리코펜을 유상 성분의 하나로서 함유하는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이며, 수상 성분의 함유율이 조성물 전체의 70질량% 이상인 [1]∼[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리코펜 함유 조성물.
[10] [1]∼[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리코펜 함유 조성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충분한 방부성을 갖고, 또한 리코펜을 안정되게 배합 가능한 리코펜을 함유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리코펜 함유 조성물은 리코펜과 부틸카르바민산 요오드화 프로피닐을 포함하는 리코펜 함유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의 지견에 의하면, 리코펜에, 통상 주된 방부제로서 사용되는 벤조산 에스테르 화합물을 통상 사용되는 양으로 조합시키면 리코펜의 안정성이 현저하게 손상되는 것이 판명되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특히 불안정한 리코펜에 대하여 부틸카르바민산 요오드화 프로피닐을 사용함으로써 충분한 방부성을 가짐과 아울러, 리코펜을 안정되게 배합한 리코펜 함유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경시 안정성」이란 리코펜 함유 조성물을 조제한 후, 시간 경과에 의해 조성물의 안정성이 손상되지 않고 지속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A∼B」를 이용하여 나타내어진 수치 범위는 수치 A 및 B를 각각 최소값 및 최대값으로서 포함하는 범위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상」이란 용매의 종류에 관계없이 「유상」에 대한 말로서 사용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공정」이라는 말은 독립된 공정 뿐만 아니라, 다른 공정과 명확하게 구별할 수 없을 경우라도 본 공정의 소기의 목적이 달성되면 본 용어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조성물 중의 각 성분의 양은, 조성물 중에 각 성분에 해당하는 물질이 복수 존재할 경우에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조성물 중에 존재하는 상기 복수의 물질의 합계량을 의미한다.
<리코펜>
본 발명에 있어서의 리코펜은 화학식 C40H56(분자량 536.87)으로 나타내어지는 카로티노이드이며, 카로티노이드의 일종 카로틴류에 속하고, 474㎚(아세톤)에 흡수 극대를 나타내는 적색 색소이다.
리코펜에는 분자 중앙의 공역 이중결합의 cis-, trans-의 이성체도 존재하고, 예를 들면 전체 trans-, 9-cis체와 13-cis체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것들의 어느 것이라도 좋다.
리코펜은 그것을 함유하는 천연물로부터 분리 또는 추출되는 리코펜을 함유하는 오일 또는 페이스트로서,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리코펜은 천연에 있어서는 토마토, 감, 수박, 핑크 그레이프프루트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 리코펜을 함유하는 오일은 이것들의 천연물로부터 분리 또는 추출되는 것이라도 좋다. 제품에서의 형태는 오일 타입, 유화액 타입, 페이스트 타입, 분말 타입의 4종류가 알려져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리코펜은 상기 천연물의 추출물, 또한 이 추출물을 필요에 따라서 적당하게 더 정제한 것이라도 좋고, 또한 합성품이라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리코펜의 특히 바람직한 형태의 하나로서는 토마토 펄프로부터 추출되는 지용성 추출물을 들 수 있다. 상기 토마토 펄프로부터 추출되는 지용성 추출물은 상기 지용성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안정성, 품질, 생산성의 점으로부터 특히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토마토 펄프으로부터 추출되는 지용성 추출물이란 토마토를 분쇄해서 얻어지는 분쇄물을, 더욱 원심분리해서 얻어지는 펄프상의 고형물로부터 유성 용제를 이용하여 추출되는 추출물을 의미한다.
지용성 추출물인 리코펜으로서는 리코펜을 함유하는 오일 또는 페이스트로서 널리 시판되고 있는 토마토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선브라이트(주)에서 판매되고 있는 Lyc-O-Mato 15%, Lyc-O-Mato 6%, 쿄와 핫코 고교(주)에서 판매되고 있는 리코펜 18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의 리코펜의 함유량은, 제형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조성물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0.00001질량%∼5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005∼0.5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001∼0.05질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부틸카르바민산 요오드화 프로피닐>
본 발명에 있어서의 부틸카르바민산 요오드화 프로피닐은 리코펜의 안정성을 손상하지 않고 양호한 방부성(항균성)을 발휘하기 위해서 필수적인 성분이다.
부틸카르바민산 요오드화 프로피닐의 함유량은 리코펜의 안정성을 손상하지 않고 방부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방부성의 관점으로부터 조성물 전체 질량 중 0.0001질량%∼0.5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5질량%∼0.05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0.0001질량% 이상의 함유량이면 방부 효과를 양호하게 발휘할 수 있는 경향이 있고, 0.5질량% 이하의 함유량이면 피부에 대한 자극성이 지나치게 강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부틸카르바민산 요오드화 프로피닐은 시판품으로서 입수할 수 있고, 예를 들면, 글라카실 2000(GLYCACIL 2000), L, S(론자 가부시키가이샤 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부틸카르바민산 요오드화 프로피닐의 대장균에 대한 최소 성육 저지 농도(MIC)는 0.01질량%이다.
<항균성 화합물>
본 발명의 리코펜 함유 조성물은 부틸카르바민산 요오드화 프로피닐에 추가해서, 항균성(방부성) 효과가 있는 화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성물의 방부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방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첨가 가능한 화합물로서, 대장균에 대한 최소 발육 저지 농도(MIC)가 0.001질량% 이상 10질량% 이하인 항균성 화합물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항균성 화합물」에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부틸카르바민산 요오드화 프로피닐은 포함되지 않는다.
최소 발육 저지 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MIC)는 특정 세균의 증식을 저지하기 위한 방부제의 필요최소량(질량%)을 의미한다. MIC값이 작을수록 그 화합물의 방부 효과가 강한 것으로 되고, 반대로 그 수치가 크면 클수록 어떤 일정 기준의 방부 효과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다량으로 첨가할 필요가 있는 것을 나타낸다.
MIC의 대상이 되는 세균은 대장균(Escherichia coli)으로 한다. 최소 발육 저지 농도(MIC)는 이하의 방법에 의해 구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MIC」는 이하의 방법에 의해 구해진 대장균에 대한 MIC를 의미한다.
MIC는 「일본 약국방 제15개정(2006년)」중, 일반 시험법에 있어서의 「미생물 한도 시험법」으로 구해진다. 미생물 한도 시험법으로서는 멤브레인 필터법, 한천 평판 혼석법, 한천 평판 표면 도말법, 액체 배지단계 희석법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MIC로서는 액체 배지단계 희석법에 의해 얻어진 값을 사용한다.
MIC가 10질량% 이하인 항균성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파라옥시벤조산 메틸(MIC: 0.2질량%), 파라옥시벤조산 에틸(MIC: 0.1질량%), 파라옥시벤조산 프로필(MIC: 0.05질량%), 펜틸렌글리콜(MIC: 2.65질량%), 페녹시에탄올(MIC: 0.4질량%), 에틸헥실글리세린(MIC: 0.2질량%), 에데트산 2나트륨(MIC: 0.02질량%), 1,3-부틸렌글리콜(MIC: 10질량%), 살리실산(MIC: 0.06질량%), 디히드로아세트산(MIC: 0.008질량%), 벤조산(MIC: 0.1질량%), 소르빈산(MIC: 0.2질량%), 프로필렌글리콜(MIC: 10질량%), 히노키티올(MIC: 0.002질량%), 이소프로필메틸페놀(MIC: 0.015질량%)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리코펜의 분해 억제의 관점으로부터 MIC가 3질량% 이하인 항균성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항균성 화합물로서는 리코펜의 안정성 및 방부성의 양립과의 관점으로부터 페녹시에탄올, 총 탄소수가 6∼11인 글리세린과 지방족 알콜의 에테르 화합물, 및 탄소쇄 길이 3∼10의 지방족 디올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글리세린과 지방족 알콜의 에테르 화합물에 있어서 글리세린과 에테르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지방족 알콜로서는 직쇄상 또는 분기를 갖고 있어도 좋다. 상기 에테르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헥실글리세린이 바람직하다.
탄소쇄 길이가 3∼10인 지방족 디올 화합물에 있어서, 탄소쇄 길이란 2개의 히드록시기가 결합하는 지방족 쇄를 구성하는 연속한 탄소원자의 수를 의미한다. 탄소쇄 길이가 3∼10인 지방족 디올로서는 부탄디올, 펜틸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 헵탄디올, 옥탄디올, 데칸디올을 들 수 있다. 수산기의 치환 부위는 어느 것이라도 좋고, 또한 탄소쇄는 직쇄라도 분기를 갖고 있어도 관계없다. 항균성의 강도의 관점으로부터 펜틸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 헵탄디올, 및 옥탄디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조성물로서의 실효계수>
본 발명에 의한 리코펜 함유 조성물 전체의 방부성의 관점으로부터 하기 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부틸카르바민산 요오드화 프로피닐의 실효계수와, 하기 식(II)으로 나타내어지는 항균성 화합물의 실효계수의 합계와의 총합이 1.5 이상 4.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효계수 I=[부틸카르바민산 요오드화 프로피닐의 함유량(질량%)]/[부틸카르바민산 요오드화 프로피닐의 대장균에 대한 최소 성육 저지 농도(MIC)(질량%)] …(I)
실효계수 II=[항균성 화합물의 함유량(질량%)]/[항균성 화합물의 대장균에 대한 최소 성육 저지 농도(MIC)(질량%)]} …(II)
이것에 의해, 조성물 전체로서의 방부성을 확실하게 담보하면서 리코펜 분해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항균성 화합물이 조성물 중에 2 이상 존재할 경우에는 각각의 항균성 화합물의 실효계수 II를 구하고, 그 합계와 카르바민산 요오드화 프로피닐의 실효계수 I의 합계의 총합이 상기 범위 내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I) 및 식(II)으로 나타내어지는 실효계수는 대상이 되는 카르바민산 요오드화 프로피닐 또는 항균성 화합물의 조성물 중에서의 함유량(질량%)을 각각의 MIC의 값으로 나눈 것이다. 실효계수는 클수록 방부 효과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조성물 전체의 양호한 방부성과 리코펜의 확실한 분해 억제의 관점으로부터, 카르바민산 요오드화 프로피닐의 실효계수 I과 조성물 중의 항균성 화합물의 실효계수 II의 합계와의 총합으로서는, 조성물에 대한 방부성과 리코펜의 분해 억제의 관점으로부터 1.5 이상 4.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7 이상, 3.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리코펜 함유 조성물에는 그 형태, 목적 등에 따라서 리코펜과, 카르바민산 요오드화 프로피닐과, 항균성 화합물 이외의 다른 성분을 적당하게 선택해서 함유할 수 있다. 다른 성분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예를 들면 항산화 물질, 기능성 유성 성분, 계면활성제, 인지질, 기타 첨가 성분 등을 들 수 있다.
(항산화 물질)
본 발명에 의한 리코펜 함유 조성물은 리코펜의 안정성 향상이라고 하는 관점으로부터 항산화 물질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항산화 물질로서는 아스코르브산 화합물,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토코페롤류 등을 들 수 있지만, 리코펜의 안정성을 현저에 향상시킨다고 하는 점에서 아스코르브산 화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아스코르브산 화합물로서는 아스코르브산, 아스코르브산 나트륨, 아스코르브산 마그네슘, 아스코르브산 황산 마그네슘, 아스코르브산 황산 나트륨, 아스코르브산 인산 마그네슘, 아스코르브산 인산 나트륨, 아스코르브산 글루코시드, 아스코르브산 팔미테이트를 들 수 있고, 상기 리코펜 함유 조성물은 이들 아스코르브산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아스코르브산을 포함함으로써 리코펜의 분해가 현저하게 억제되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리코펜 함유 조성물에 있어서의 아스코르브산의 배합량으로서는,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0.01질량%∼0.5질량% 배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1질량%∼0.5질량%이다. 아스코르브산의 배합량이 0.01질량% 이상임으로써 리코펜의 분해에의 억제 효과가 보다 발휘된다. 또한 아스코르브산의 배합량이 0.5질량% 이하임으로써 아스코르브산의 시간에 따른 변화에 의한 착색이나 냄새의 발생을 양호하게 억제할 수 있다.
(기능성 유성 성분)
기능성 유성 성분으로서는 수성 매체에 용해되지 않고, 유성 매체에 용해되는 유용성 성분이면 특별하게 한정은 없고, 목적에 따른 물성이나 기능성을 갖는 것을 적당하게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다른 유성 성분으로서는, 통상 자외선흡수제, 항염증제, 보습제, 모발보호제, 미백제, 안티 블레미쉬제, 세포활성화제, 에몰리언트제, 각질용해제, 대전방지제, 지용성 비타민류, 대사증후군 개선제, 강압제, 진정제 등으로서 사용되고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여기에서, 기능성 유성 성분이란 생물체 내에 존재했을 경우에 생체에 있어서 원하는 생리학적 작용의 발휘가 기대될 수 있는 유성 성분을 의미한다.
기능성 유성 성분의 예로서는, 천연형 세라미드류, 스핑고당지질 등의 당수식 세라미드 등 세라미드 및 세라미드 유사체를 포함하는 세라미드류, 올리브유, 동백유, 마카다미아 너트유, 피마자유, 코코넛유 등의 유지류; 유동 파라핀, 파라핀, 바셀린, 세레신,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스쿠알란 등의 탄화수소; 카르나우바 왁스, 칸데릴라 왁스, 호호바유, 밀랍, 라놀린 등의 납류; 미리스트산 이소프로필, 미리스트산 2-옥틸도데실, 2-에틸헥산산 세틸, 말산 디이소스테아릴 등의 에스테르류;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이소스테아르산 등의 지방산류; 세틸알콜, 스테아릴알콜, 이소스테아릴알콜, 2-옥틸도데칸올 등의 고급 알콜류; 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등의 실리콘유; 글리세린의 지방산 에스테르류; 비타민E(토코페롤)류, 비타민A류, 비타민D류 등의 지용성 비타민; 기타, 고분자류, 리코펜 및 이외의 다른 카로티노이드류(아스타크산틴 등) 등의 유용성 색소류, 유용성 단백질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그것들의 혼합물인 각종의 식물 유래 오일, 동물 유래 오일도 포함된다.
(계면활성제)
본 발명의 리코펜 함유 조성물은 계면활성제를 1종 또는 2종 이상 함유해도 좋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본 발명의 리코펜 함유 조성물을 유화 조성물로서 구성할 경우 등에 있어서 유화제로서 기능할 수 있는 성분이다.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계면활성제로서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중 어느 것이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계면활성제로서는 유화력의 관점으로부터 HLB가 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2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HLB가 지나치게 낮으면 유화력이 불충분하게 될 경우가 있다. 또한, 억포 효과의 관점으로부터 HLB=5 이상 10 미만인 계면활성제를 병용해도 좋다.
여기에서, HLB는 통상 계면활성제의 분야에서 사용되는 친수성-소수성의 밸런스이며, 통상 사용하는 계산식, 예를 들면 카와카미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카와카미식을 다음에 나타낸다.
HLB=7+11.7log(Mw/M0)
여기에서, Mw는 친수기의 분자량, M0은 소수기의 분자량이다.
또한, 카탈로그 등에 기재되어 있는 HLB의 수치를 사용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식으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HLB의 가성성을 이용하여 임의의 HLB값의 유화제를 얻을 수 있다.
계면활성제 중에서도 저자극성인 것, 환경에의 영향이 적은 것 등으로부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예로서는 단당 또는 다당의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유기산 모노글리세리드,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 축합 리시놀레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 중에서도 단당 또는 다당의 지방산 에스테르, 및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단당 또는 다당의 지방산 에스테르를 구성하는 단당 또는 다당으로서는 글루코오스, 수크로오스 등을 들 수 있다.
단당 또는 다당의 지방산 에스테르로서는 단당 또는 다당과 탄소수 6∼22의 직쇄 또는 분기를 갖는 지방산과의 에스테르체가 보다 바람직하다. 안정성이 높은 리코펜 함유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는 관점으로부터, 수크로오스 미리스트산 에스테르, 수크로오스 팔미트산 에스테르, 수크로오스 스테아르산 에스테르, 수크로오스 올레산 에스테르가 더욱 바람직하고, 수크로오스 스테아르산 에스테르가 가장 바람직하다.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로서는 중합도가 2 이상인 폴리글리세린과 탄소수 6∼22의 직쇄 또는 분기를 갖는 지방산의 에스테르체가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로서는 안정성이 높은 피부외용제 제작의 관점으로부터 라우르산 폴리글리세릴-6, 미리스트산 폴리글리세릴-6, 스테아르산 폴리글리세릴-6, 올레산 폴리글리세릴-6, 라우르산 폴리글리세릴-10, 미리스트산 폴리글리세릴-10, 스테아르산 폴리글리세릴-10, 모노올레산 데카글리세릴, 올레산 폴리글리세릴-10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모노올레산 데카글리세릴, 올레산 데카글리세릴- 10이 가장 바람직하다.
(인지질)
또한, 본 발명의 리코펜 함유 조성물은 레시틴 등의 인지질을 함유해도 좋다. 상기 인지질은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를 유화 조성물로서 구성할 경우 등에 있어서 유화제로서 기능할 수 있는 성분이다.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인지질은 글리세린 골격과 지방산 잔기 및 인산 잔기를 필수 구성 성분으로 하고, 이것에 염기나 다가알콜 등이 결합한 것으로, 레시틴이라고도 불리는 것이다. 인지질은 분자 내에 친수기와 소수기를 갖고 있기 때문에, 종래부터 식품, 의약품, 화장품 분야에서 널리 유화제로서 사용되고 있다.
산업적으로는 레시틴 순도 60% 이상의 것이 레시틴으로서 이용되고 있고, 본 발명에서도 이용할 수 있지만, 미세한 유적 입경의 형성 및 기능성 유성 성분의 안정성의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일반적으로 고순도 레시틴이라고 불리는 것이며, 이것은 레시틴 순도가 8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이 것이다.
인지질로서는 식물, 동물 및 미생물의 생체로부터 추출 분리된 종래 공지의 각종의 것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인지질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대두, 옥수수, 낙화생, 유채씨, 보리 등의 식물이나, 난황, 소 등의 동물 및 대장균 등의 미생물 등으로부터 유래되는 각종 레시틴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난황 유래의 레시틴 또는 대두 유래의 레시틴이 바람직하고, 대두 유래의 레시틴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레시틴을 화합물명으로 예시하면, 포스파티드산, 포스파티딜글리세린, 포스파티딜이노시톨,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포스파티딜메틸에탄올아민,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세린, 비스포스파티드산, 디포스파티딜글리세린(카르디올리핀),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포스파티딜이노시톨, 리소포스파티딜콜린 등의 글리세로레시틴; 스핑고미엘린 등의 스핑고레시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의 고순도 레시틴 이외에도 수소첨가 레시틴, 효소분해 레시틴, 효소분해 수소첨가 레시틴, 히드록시레시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이들 레시틴은 단독 또는 복수종의 혼합물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기타 첨가 성분)
상기 성분 외에, 식품, 화장품 등의 분야에 있어서 통상 사용되는 첨가 성분을 본 발명의 리코펜 함유 조성물에, 그 형태에 따라 적당하게 함유시켜도 좋다.
다른 첨가 성분은 그 특성에 따라 유용성 또는 수용성의 첨가 성분으로서, 본 발명의 리코펜 함유 조성물에 함유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기타의 첨가 성분으로서는 글리세린 등의 다가알콜; 카파카라기난, 로커스트빈검, 구아검, 히드록시프로필 구아검, 크산탄검, 카라야검, 타마린드 종자 다당, 아라비아검, 트래거캔스검, 히알루론산, 히알루론산 나트륨, 콘드로이틴황산 나트륨, 덱스트린 등의 단당류 또는 다당류; 소르비톨, 만니톨, 말티톨, 락토오스, 말티토트리이톨, 크실리톨 등의 당알콜; 염화나트륨, 황산나트륨 등의 무기염; 카제인, 알부민, 메틸화 콜라겐, 가수분해 콜라겐, 수용성 콜라겐, 젤라틴 등의 분자량 5000 초과의 단백질; 글리신, 알라닌, 발린, 류신, 이소류신, 세린, 트레오닌,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시스틴, 메티오닌, 리신, 히드록시리신, 아르기닌, 히스티딘, 페닐알라닌, 티로신, 트립토판, 프롤린, 히드록시프롤린, 아세틸히드록시프롤린 등의 아미노산 및 그것들의 유도체;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폴리비닐알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산화 에틸렌·산화 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등의 합성 고분자;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메틸셀룰로오스 등의 수용성 셀룰로오스 유도체; 플라보노이드류(카테킨, 안토시아닌, 플라본, 이소플라본, 플라반, 플라바논, 루틴), 아스코르브산 또는 그 유도체(아스코르브산, 아스코르브산 나트륨, 아스코르브산 칼륨, 아스코르브산 칼슘, L-아스코르브산 인산 에스테르, 인산 아스코르빌마그네슘, 인산 아스코르빌나트륨, 황산 아스코르빌, 황산 아스코르빌 2나트륨염, 및 아스코르빌-2-글루코시드 등), 토코트리에놀 및 그 유도체, 페놀산류(클로로겐산, 엘라그산, 갈릭산, 갈릭산 프로필), 리그난류, 커큐민류, 쿠마린류, 프테로스틸벤 등을 포함하는 히드록시스틸벤, 등을 들 수 있고, 그 기능에 의거하여 예를 들면 기능성 성분, 부형제, 점도 조정제, 라디칼 포착제 등으로서 포함해도 좋다.
기타, 본 발명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여러가지의 약효 성분, pH 조정제, pH 완충제, 자외선흡수제, 상기 항균성 화합물 이외의 방부제, 향료, 착색제 등, 통상 그 용도로 사용되는 다른 첨가물을 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리코펜 함유 조성물의 형태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유효성분 외에, 의약으로서 허용 가능한 담체, 필요에 따른 다른 임의 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형태로 해도 좋다. 상기 조성물의 형태로서는 오일 조성물, 유화 조성물 등을 들 수 있다. 유화 조성물로서는 리코펜을 유상 성분의 하나로서 함유하는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리코펜 함유 조성물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리코펜 함유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공지 의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화 조성물 형태의 리코펜 함유 조성물을 얻는 경우에는, a)수성 매체(물 등)에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용해시켜서 수상을 얻고, 또한 b)리코펜을 포함하는 유성 성분을 혼합·용해하여 유상 조성물을 얻고, c)교반 하에서 이 수상 조성물과 유상 조성물을 혼합하여 유화 분산을 행하고 리코펜 함유 조성물을 얻는다,라고 하는 스텝으로 이루어지는 제조방법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리코펜 함유 조성물을 제조할 경우에 있어서의 유상 조성물 및 수상 조성물에 함유되는 성분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안정성이 높은 리코펜 함유 조성물을 얻는 관점으로부터 상술한 계면활성제 등의 성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i)단당 또는 다당의 지방산 에스테르, ii)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iii)인지질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화 분산에 있어서의 유상과 수상의 비율(질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유상/수상 비율(질량%)로서 0.1/99.9∼50/50이 바람직하고, 0.5/99.5∼30/70이 보다 바람직하고, 1/99∼20/80이 더욱 바람직하다.
유상/수상 비율을 0.1/99.9 이상으로 함으로써 유효성분이 낮아지지 않기 때문에 리코펜 함유 조성물의 실용상의 문제가 생기지 않는 경향으로 되어 바람직하다. 또한 유상/수상 비율을 50/50 이하로 함으로써 계면활성제 농도가 옅어질 일이 없고, 리코펜 함유 조성물의 유화 안정성이 악화하지 않는 경향으로 되어 바람직하다.
특히, 수상 성분의 함유율이 조성물 전체의 70질량% 이상인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인 것이 본 발명의 효과의 보다 양호한 발현의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다.
유화 분산은 1스텝의 유화 조작을 행함으로써도 좋지만, 2스텝 이상의 유화 조작을 행하는 것이 균일하고 미세한 입자를 얻는 점으로부터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전단작용을 이용하는 통상의 유화장치(예를 들면 스터러나 임펠러 교반, 호모믹서, 연속 유통식 전단장치 등)를 이용하여 유화한다고 하는 1스텝의 유화 조작에 추가해서, 고압 호모지나이저, 초음파 분산기 등을 통해서 유화하는 등의 방법으로 2종 이상의 유화장치를 병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고압 호모지나이저를 사용함으로써 유화물을 더욱 균일한 미립자의 액적으로 맞출 수 있다. 또한, 더욱 균일한 입자지름의 액적으로 할 목적으로 복수회 행해도 좋다.
유화물을 미세화하기 위한 유용한 방법으로서 PIT 유화법, 겔 유화법 등의 계면화학적 유화법이 알려져 있다. 이 방법은 소비하는 에너지가 작다고 하는 이점이 있고, 열에 의해 열화되기 쉬운 소재를 미세하게 유화할 경우에 적합하다.
또한,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유화법으로서 기계력을 사용한 방법, 즉 외부로부터 강한 전단력을 줌으로써 유적을 분열시키는 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기계력으로서 가장 일반적인 것은, 고속, 고전단 교반기이다. 이러한 교반기로서는 호모믹서, 디스퍼믹서 및 울트라믹서라고 불리는 것이 시판되고 있다.
또한, 미세화에 유용한 다른 기계적인 유화장치로서 고압 호모지나이저가 있고,여러가지 장치가 시판되고 있다. 고압 호모지나이저는 교반방식과 비교해서 큰 전단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유화제의 양을 비교적 적게 해도 미세화가 가능하다.
고압 호모지나이저에는 크게 나누어서 고정된 스로틀부를 갖는 챔버형 고압 호모지나이저와, 스로틀의 개방도를 제어하는 타입의 균질 밸브형 고압 호모지나이저가 있다.
챔버형 고압 호모지나이저의 예로서는, 마이크로플루이다이저(마이크로플루이딕스사제), 나노마이저(요시다 기카이 쿄교(주)제), 얼티마이저((주)스기노머신제) 등을 들 수 있다.
균질 밸브형 고압 호모지나이저로서는 가울린 타입 호모지나이저(APV사제), 라니어 타입 호모지나이저(라니어사제), 고압 호모지나이저(니로 소아비사제), 호모게나이저(산와키카이(주)제), 고압 호모게나이저(이즈미푸드머시너리(주)제), 초고압 호모지나이저(이카사제) 등을 들 수 있다.
비교적 에너지 효율이 좋은 분산장치로, 간단한 구조를 갖는 유화장치로서 초음파 호모지나이저가 있다. 제조도 가능한 고출력 초음파 호모지나이저의 예로서는 초음파 호모지나이저 US-600, 동 US-1200T, 동 RUS-1200T, 동 MUS-1200T(이상, (주)니폰세이키 세이사쿠쇼제), 초음파 프로세서 UIP2000, 동 UIP-4000, 동 UIP-8000,동 UIP-16000 (이상, 힐셔사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고출력 초음파 조사장치는 25kHz 이하, 바람직하게는 15∼20kHz의 주파수에서 사용된다.
또한, 다른 공지의 유화수단으로서 외부로부터의 교반부를 가지지 않고, 저에너지밖에 필요로 하지 않는 스테틱믹서, 마이크로채널, 마이크로믹서, 막 유화장치 등을 사용하는 방법도 유용한 방법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유화 분산할 때의 온도 조건은 특별하게 한정되는 것이 아니지만, 기능성 유성 성분의 안정성의 관점으로부터 10℃∼100℃인 것이 바람직하고, 취급하는 기능성 유성 성분의 융점 등에 따라 적당하게 바람직한 범위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고압 호모지나이저를 사용할 경우에는, 그 압력은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28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280㎫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화 분산된 조성물인 유화액은 챔버 통과 직후 30초 이내, 바람직하게는 3초 이내에 어떠한 냉각기를 통과시켜서 냉각하는 것이 분산입자의 입자지름유지의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다.
<용도>
본 발명의 리코펜 함유 조성물은 방부성과 리코펜의 안정성이 양호한 것이기 때문에 화장료 용도, 경피 의약품 용도 등의 용도에 적용할 수 있고, 특히 피부외용제로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는 리코펜 함유 조성물을 포함하고, 리코펜 함유 조성물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로서는 스킨 화장료(화장수, 미용액, 유액, 크림 등), 립스틱, 자외선차단 화장료, 메이크업 화장료 등을 들 수 있지만, 이것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를 특히 화장수, 미용액, 유액, 크림, 팩·마스크, 팩, 세발용 화장품, 프레이그런스 화장품, 액체 바디 세정료, UV 케어 화장품, 방취 화장품, 오럴 케어 화장품 등(화장품의 경우) 등의 수성 제품에 사용했을 경우에는, 투명감이 있는 제품이 얻어지고, 또한 장기 보존 또는 멸균 처리 등의 가혹 조건 하에서의 불용물의 석출, 침전 또는 네크링 등의 좋지 못한 현상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그것들에 조금도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실시예 7, 비교예 1∼비교예 5, 참고예 1]
≪리코펜 함유 유화 조성물의 조제≫
〔유상 조성물〕
·토마토 올레오레진 1.14g
(선브라이트제, Lyc-O-Mato 15%(리코펜 15질량% 함유))
·믹스드 토코페롤
(리켄비타민(주)제, 리켄 E 오일 800) 1.0g
·중쇄 지방산 글리세라이드(카오(주)제, 코코나드 MT) 12.8g
·디글리세린 모노스테아레이트(닛코케미칼즈(주) NIKKOL DGMS)
0.5g
〔수상 조성물〕
·올레산 데카글리세릴-10 8.0g
(HLB=12.0, 닛코케미칼즈(주)제, Decaglyn 1-OV)
·글리세린 45.0g
·정제수 100g까지의 잔량
수상 조성물에 사용하는 각 성분을 상기의 조성에 따라서 용기에 칭량하고, 70℃의 항온조에서 교반하면서 가열 혼합하여 잘 혼합된 것을 확인하고, 70℃로 유지하여 수상 조성물을 얻었다.
또한, 유상 조성물에 사용하는 각 성분을 상기의 조성에 따라서 용기에 칭량하고, 150℃의 핫플레이트 상에서 교반하면서 5분간 가열 혼합하여 잘 혼합된 것을 확인하고, 유상 조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수상 조성물을 유상 조성물에 첨가해서 교반 혼합하고, 초음파 호모지나이저를 이용하여 소정의 시간 분산시켜서 조분산액을 얻었다.
그 후, 얻어진 조분산물을 더욱 초고압 유화장치(얼티마이저, (주)스기노머신사제)를 사용하여 200㎫의 고압 유화를 행하고, 리코펜 함유의 조성물(리코펜 함유율: 0.17질량%)을 조제했다.
얻어진 리코펜 함유 유화 조성물을 밀리Q수로 1질량% 희석하고, 입경 애널라이저 FPAR-1000(오츠카덴시(주))을 이용하여 분산 입자의 입경을 측정한 결과, 52㎚(메디안 지름(d=50))이었다.
<화장품 제제의 조제>
상기에서 얻어진 리코펜 함유 유화 조성물을 이용하여 하기 표 1 또는 표 2에 나타내는 조성을 갖는 화장품 제제를 상법에 의해 조제했다. 표 1 및 표 2 중의 조성을 설명하는 수치는 「질량%」를 나타낸다.
표 1 중, 히노키티올로서는 와코쥰야쿠(주)제를 사용했다.
표 2 중, 토마토 추출물로서는 Lyc-O-Mato 6%(리코펜 함유율: 0.1질량%, 선브라이트(주)제)를 글리세린으로 희석한 것을 사용했다.
표 2 중, 크릴 추출물로서는 아스탁스 ST((주)이타노 레이도우제)를 사용했다.
표 1 중, 아스타크산틴 함유 유화 조성물은 이하와 같이 해서 조제된 것을 사용했다.
≪아스타크산틴 함유 유화 조성물의 조제≫
하기의 성분을 70℃로 가열하면서 1시간 용해하여 수상 조성물 A를 얻었다.
·수크로오스 스테아르산 에스테르(HLB=16) 33.0g
·모노올레산 데카글리세릴(HLB=12) 67.0g
·글리세린 450.0g
·순수 300.0g
하기 성분을 70℃로 가열하면서 1시간 용해하여 유상 조성물 A를 얻었다.
·헤마토코쿠스조 추출물(Haematococcus algae extract) 15.0g
(아스타크산틴류 함유율 20질량%, 제품명 아스타트 S, 타케다 시키(주))
·믹스드 토코페롤
(리켄비타민(주)제, 리켄 E 오일 800) 32.0g
·중쇄 지방산 글리세라이드(카오(주)제, 코코나드 MT) 93.0g
·레시틴(리켄비타민(주)제, 레시온 P, 대두 유래) 10.0g
상기에서 얻어진 수상 조성물 A를 70℃로 유지한 채 호모지나이저(기종명: HP93, (주)에스엠티사제)로 교반하고(10000rpm), 수상 조성물 A에 유상 조성물 A를 첨가해서 예비 유화물을 얻었다.
계속해서, 얻어진 예비 유화물을 약 40℃까지 냉각하고, 얼티마이저 HJP-25005((주)스기노머신사제)를 이용하여 200㎫의 압력에서 고압 유화를 행하였다. 그 후, 평균 구멍지름 1㎛의 마이크로필터로 여과하여 아스타크산틴 함유 유화 조성물(아스타크산틴 함유율: 0.3질량%)을 조제했다.
얻어진 아스타크산틴 유화 조성물을 밀리Q수에 의해 1질량%로 희석하고, 입경 애널라이저 FPAR-1000(오츠카 덴시(주))을 이용하여 분산입자의 입경을 측정한 결과, 58㎚(메디안 지름(d=50))이었다.
<평가>
상기에서 얻어진 화장품 제제의 경시 안정성을 리코펜의 잔존율을 측정함으로써 평가했다. 또한, 그것과 동시에 방부성의 평가를 행하였다.
<경시 안정성>
실시예 1∼실시예 6, 비교예 1∼비교예 13, 및 참고예 1∼참고예 3에서 얻어진 피부외용제를 뚜껑이 있는 유리병에 각 1개씩 준비했다. 조제 직후, 및 40℃에서 2주간 또는 40℃ 6주간 경시 보관한 후의 흡광도를 이하의 조건에 따라 측정했다. 얻어진 측정 결과를 이용하여 흡광도의 변화율(%)을 하기 식에 의해 산출하고, 얻어진 잔존율에 의거하여 하기의 A∼C로 평가했다. 결과를 표 1 및 표 2에 나타낸다.
변화율(%)=40℃에서 2주간 또는 3주간 시간 경과시킨 후의 흡광도/조제 직후의 흡광도×100
A: 리코펜 잔존율이 70% 이상
B: 리코펜 잔존율이 50% 이상 70% 미만
C: 리코펜 잔존율이 50% 미만
<방부성>
방부성능은 「일본 약국방 제15 개정」(2006년) 중, 「28. 보존 효력 시험법」에 따라 평가했다.
세균으로서는 Aspergillus niger ATCC16404(흑색 누룩곰팡이 검은콤팡이), Candida albicans ATCC 10231(진균), Escherichia coli ATCC8739(대장균), Pseudomonas aeruginosa ATCC9027(녹농균), Staphylococcus aureus ATCC6538(황색 포도상구균))을 사용했다.
보존 효력 시험법은 다회 투여 용기 중에 충전된 제제 자체 또는 제제에 첨가된 보존제의 효력을 미생물학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이다. 본 시험법에서는 제제에 시험의 대상이 되는 균종을 강제적으로 접종, 혼합하고, 경시적으로 시험균의 소장(消長)을 추적함으로써 보존력을 평가한다. 리코펜 함유 조성물의 방부성의 평가는 「28. 보존 효력 시험」에 있어서의 카테고리 I 제제의 시험 순서에 따르고, 세균의 상태에 따라서 이하와 같이 평가했다.
A: 모든 균에 있어서 2주간 이내에 검출 한계 이하이다.
B: 4주간 이내에 검출 한계 이하 또는 곰팡이에 있어서는 정균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C: 4주간째라도 103개 이상의 생균이 확인된다.
결과를 표 1 및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실시예 8∼14]
<화장품 제제의 조제>
상기에서 얻어진 리코펜 함유 유화 조성물, 아스코르브산을 이용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는 조성을 갖는 화장품 제제를 상법에 의해 조제했다. 표 3 중의 조성을 설명하는 수치는 「질량%」를 나타낸다.
표 3 중, 아스코르브산으로서는 와코쥰야쿠제를 사용했다.
<평가>
상기에서 얻어진 화장품 제제의 경시 안정성을 리코펜의 잔존율을 측정함으로써 평가했다. 또한, 그것과 동시에 방부성 및 냄새에 관한 평가를 행하였다. 경시 안정성 및 방부성의 평가방법은 실시예 1에 대해서 행한 경시 안정성 및 방부성의 평가방법과 동일하다.
<냄새>
아스코르브산은 시간 경과에 의해 산화분해가 일어나서 카라멜과 같은 냄새(탄 것 같은 단 냄새)를 발생시킨다. 그 때문에, 아스코르브산을 포함하는 화장품은 경시 변화에 의해 상품 가치를 저하시켜 버리는 경향이 있다.
5명의 피험자가 실제로 아스코르브산을 포함하는 표 3에 나타내는 화장품 제제의 냄새를 맡고, 화장품 제제의 시간 경과에 의한 냄새의 변화에 대해서 이하와 같이 평가했다.
OK: 피험자 전원이 상품 가치로서 문제없는 레벨이라고 판단했을 경우
NG: 피험자 중 1사람이라도 카라멜과 같은 냄새를 느꼈을 경우
Figure pct00003
표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스코르브산을 첨가함으로써 리코펜의 잔존율이 대폭 회복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아스코르브산을 1.0질량% 이상 첨가하면 상품 가치로서 문제가 있는 냄새가 발생해 버리기 때문에, 아스코르브산의 첨가량은 1.0질량% 미만으로 억제함으로써 매우 안정된 리코펜 함유 조성물이 얻어진다고 하는 것이 판명되었다. 이것은 예상 밖이며, 당업자에게는 용이하게 상도(想到)할 수 없는 효과라고 사료된다.
리코펜 유화물 대신에 토마토 추출물을 사용한 화장품 제제에서도 아스코르브산을 첨가함으로써 마찬가지로 리코펜의 잔존율이 대폭 회복되는 것이 확인되어 있다.
[실시예 15∼실시예 21]
이하 각 처방에 따라서 각각 상법에 의해 피부외용제를 조제했다. 이하의 수치는 각 처방의 전체 질량(100%)에 대한 질량%를 의미한다.
또한 리코펜 함유 유화 조성물 및 아스타크산틴 함유 유화 조성물은 상기에서 조제한 것이다.
이하에 있어서, 토마토 추출물, 헤마토코쿠스조 추출물은 실시예 1∼7에서 사용한 것과 같다.
「GLYCACIL 2000」(론자 가부시키가이샤제)은 부틸카르바민산 요오드화 프로피닐을 6질량% 함유한다.
실시예 15: 유액
(성분) (질량%)
·유상 성분
토마토 추출물 0.1
리코펜 함유 유화 조성물 0.1
헤마토코쿠스조 추출물 0.5
아스타크산틴 함유 유화 조성물 0.5
스쿠알란 8.0
호호바유 7.0
세틸알콜 1.5
·수상 성분
글리세린 모노스테아레이트 2.0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 3.0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 2.0
1,3-부틸렌글리콜 1.0
글리세린 2.0
GLYCACIL 2000 0.2
스테아르산 수크로오스 0.1
올레산 폴리글리세릴-10 0.1
스테아르산 폴리글리세릴-2 0.1
페녹시에탄올 0.2
콜라겐 1.0
시트르산 나트륨 1.0
향료 적당량
정제수 잔량
실효계수 I과 실효계수 II의 합계의 총합: 1.8
실시예 16: 크림
(성분) (질량%)
토마토 추출물 0.2
크릴 추출물 0.3
세토스테아릴알코올 3.0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2.0
모노올레산 폴리옥시에틸렌(20) 소르비탄 1.0
모노스테아르산 소르비탄 1.0
N-스테아로일-N-메틸타우린나트륨 0.5
바셀린 5.0
레시틴 0.5
펜틸렌글리콜 2.0
페녹시에탄올 0.2
토코페롤 0.01
1,3-BG 1.0
디메틸폴리실록산(100mPa·s) 3.0
트리-2-에틸헥산산 글리세릴 20.0
락트산 1.0
아스코르브산 인산 마그네슘 0.5
디프로필렌글리콜 10.0
시트르산 나트륨 0.5
산화티탄 0.1
향료 적당량
에데트산 2나트륨 0.03
부틸카르바민산 요오드화 프로피닐 0.01
정제수 잔량
실효계수 I과 실효계수 II의 합계의 총합: 2.35
실시예 17: 젤리형 미용액
(성분) (질량%)
토마토 추출물 0.05
리코펜 함유 유화 조성물 0.05
헤마토코쿠스조 추출물 0.1
아스타크산틴 함유 유화 조성물 0.2
세라미드 III, VI 혼합물 1.0
가수분해 콜라겐 1.0
GLYCACIL 2000 0.1
아세틸히드록시프롤린 1.0
에틸헥실글리세린 0.1
(PEG-20/데실테트라데세스-20/HDI) 코폴리머 0.3
올레산 0.5
1,3-부틸렌글리콜 1.0
글리세린 2.0
수크로오스 0.1
올레산 폴리글리세릴-10 0.1
스테아르산 폴리글리세릴-2 0.1
페녹시에탄올 0.2
콜라겐 1.0
시트르산 나트륨 1.0
아스코르브산 나트륨 0.05
다마스크 로즈오일 적당량
향료 적당량
정제수 잔량
실효계수 I과 실효계수 II의 합계의 총합: 2.45
실시예 18: 차외선차단제
(성분) (질량%)
토마토 추출물 0.1
리코펜 함유 유화 조성물 0.1
헤마토코쿠스조 추출물 0.1
아스타크산틴 함유 유화 조성물 0.1
스쿠알란 3.0
시클로펜타실록산 3.0
산화티탄 1.5
수산화AL 1.5
t-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1.0
메톡시계피산 에틸헥실 2.0
디폴리히드록시스테아르산 PEG-30 0.5
크산탄검 0.05
마이카 0.2
산화철 0.01
1,3-부틸렌글리콜 1.0
펜틸렌글리콜 2.0
글리세린 2.0
GLYCACIL 2000 0.15
스테아르산 스크로오스 0.1
레시틴 0.1
실리카 0.1
올레산 폴리글리세릴-10 0.1
스테아르산 폴리글리세릴-2 0.1
페녹시에탄올 0.2
가수분해 콜라겐 1.0
히알루론산 나트륨 0.5
향료 적당량
정제수 잔량
실효계수 I과 실효계수 II의 합계의 총합: 2.25
실시예 19: 팩용 화장료
(성분) (질량%)
리코펜 함유 유화 조성물 0.1
헤마토코쿠스조 추출물 0.1
부틸렌글리콜 5.0
글리세린 10.0
스테아르산 글리세릴 0.3
펜틸렌글리콜 1.0
이소노난산 이소트리데실 1.0
페녹시에탄올 0.5
카보머 0.3
아세틸히드록시프롤린 0.1
가수분해 콜라겐 0.1
아스코르브산 팔미테이트 0.5
아스코르브산 인산 마그네슘 0.2
GLYCACIL 2000 0.1
에틸헥실글리세린 0.1
메틸파라벤 0.05
정제수 잔량
실효계수 I과 실효계수 II의 합계의 총합: 2.48
실시예 20: 유액
(성분) (질량%)
·유상 성분
토마토 추출물 0.1
리코펜 함유 유화 조성물 0.1
헤마토코쿠스조 추출물 0.5
아스타크산틴 함유 유화 조성물 0.5
스쿠알란 8.0
호호바유 7.0
세틸알콜 1.5
·수상 성분
글리세린 모노스테아레이트 2.0
폴리옥시에틸렌 세틸에테르 3.0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 2.0
1,3-부틸렌글리콜 1.0
글리세린 2.0
GLYCACIL 2000 0.2
스테아르산 수크로오스 0.1
올레산 폴리글리세릴-10 0.1
스테아르산 폴리글리세릴-2 0.1
페녹시에탄올 0.2
콜라겐 1.0
시트르산 나트륨 1.0
아스코르브산 0.02
향료 적당량
정제수 잔량
실효계수 I과 실효계수 II의 합계의 총합: 1.8
실시예 21: 크림
(성분) (질량%)
토마토 추출물 0.2
크릴 추출물 0.3
세토스테아릴알콜 3.0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3.0
모노올레산 폴리옥시에틸렌(20) 소르비탄 1.0
모노스테아르산 소르비탄 1.0
N-스테아로일-N-메틸타우린나트륨 0.5
바셀린 6.0
레시틴 0.5
펜틸렌글리콜 2.0
페녹시에탄올 0.2
토코페롤 0.05
1,3-BG 1.0
디메틸폴리실록산(100mPa·s) 3.0
트리-2-에틸헥산산 글리세릴 22.0
락트산 1.0
아스코르브산 인산 마그네슘 0.1
디프로필렌글리콜 10.0
시트르산 나트륨 0.5
아스코르브산 0.4
산화티탄 0.1
향료 적당량
에데트산 2나트륨 0.03
부틸카르바민산 요오드화 프로피닐 0.01
정제수 잔량
실효계수 I과 실효계수 II의 합계의 총합: 2.35
실시예 22: 화장수
(성분) (질량%)
리코펜 함유 유화 조성물 0.1
아스타크산틴 함유 유화 조성물 0.5
펜틸렌글리콜 2.0
1,3-부틸렌글리콜 1.5
글리세린 1.0
프로필렌글리콜 2.0
GLYCACIL 2000 0.2
페녹시에탄올 0.2
가수분해 콜라겐 0.5
수용성 콜라겐 0.5
아세틸히드록시프롤린 0.5
아르기닌 0.1
크산탄검 0.05
로열젤리 추출물 0.1
풀루란 0.1
글루코실루틴 0.1
글루코실트레할로오스 0.1
베타인 1.0
인도키노나무껍질 추출물 0.1
소르비톨 0.1
시트르산 나트륨 1.0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0.2
아스코르브산 나트륨 0.3
아스코르브산 인산 마그네슘 0.5
히알루론산 나트륨 0.2
다마스크 장미오일 적당량
향료 적당량
정제수 잔량
실효계수 I과 실효계수 II의 합계의 총합: 2.8
본 발명에 의하면 충분한 방부성을 갖고, 또한 리코펜을 안정되게 배합 가능한 리코펜 함유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일본 출원 2012-039372호의 개시 및 일본 출원 2012-213109호의 개시는 그것들의 전체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도입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모든 문헌, 특허출원, 및 기술규격은 개개의 문헌, 특허출원, 및 기술규격이 참조에 의해 도입되는 것이 구체적 또한 개별적으로 기록되었을 경우와 같은 정도로, 본 명세서에 참조에 의해 도입된다.

Claims (10)

  1. 리코펜과, 부틸카르바민산 요오드화 프로피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코펜 함유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대장균에 대한 최소 발육 저지 농도(MIC)가 10질량% 이하인 적어도 1종의 항균성 화합물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항균성 화합물은 페녹시에탄올, 총 탄소수가 6∼11인 글리세린과 지방족 알콜의 에테르 화합물, 및 탄소쇄 길이 3∼10의 지방족 디올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코펜 함유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하기 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부틸카르바민산 요오드화 프로피닐의 실효계수와, 하기 식(II)으로 나타내어지는 상기 항균성 화합물의 실효계수의 합계와의 총합은 1.5 이상 4.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코펜 함유 조성물.
    실효계수 I=[부틸카르바민산 요오드화 프로피닐의 함유량(질량%)]/[부틸카르바민산 요오드화 프로피닐의 대장균에 대한 최소 성육 저지 농도(MIC)(질량%)] …(I)
    실효계수 II=[항균성 화합물의 함유량(질량%)]/[항균성 화합물의 대장균에 대한 최소 성육 저지 농도(MIC)(질량%)]} …(II)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글리세린과 지방족 알콜의 에테르 화합물은 에틸헥실글리세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코펜 함유 조성물.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방족 디올 화합물은 펜틸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 헵탄디올, 및 옥탄디올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코펜 함유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아스코르브산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코펜 함유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아스코르브산의 함유량은 조성물 전체 질량 중 0.01질량%∼0.5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코펜 함유 조성물.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틸카르바민산 요오드화 프로피닐의 함유량은 조성물 전체 질량 중 0.0001질량%∼0.5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코펜 함유 조성물.
  9.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리코펜을 유상 성분의 하나로서 함유하는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이며, 수상 성분의 함유율은 조성물 전체의 70질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코펜 함유 조성물.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리코펜 함유 조성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외용제.
KR1020147023438A 2012-02-24 2013-01-22 리코펜 함유 조성물 KR1016432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39372 2012-02-24
JPJP-P-2012-039372 2012-02-24
JP2012213109A JP2013199466A (ja) 2012-02-24 2012-09-26 リコピン含有組成物
JPJP-P-2012-213109 2012-09-26
PCT/JP2013/051213 WO2013125281A1 (ja) 2012-02-24 2013-01-22 リコピン含有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3080A true KR20140123080A (ko) 2014-10-21
KR101643261B1 KR101643261B1 (ko) 2016-07-27

Family

ID=49005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3438A KR101643261B1 (ko) 2012-02-24 2013-01-22 리코펜 함유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818157A4 (ko)
JP (1) JP2013199466A (ko)
KR (1) KR101643261B1 (ko)
CN (1) CN104135994A (ko)
WO (1) WO201312528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4305A (ko) * 2018-11-02 2021-06-02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수중 유적형 피부 외용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14146A (zh) * 2012-02-24 2014-10-22 富士胶片株式会社 皮肤外用剂及正常皮肤细胞赋活化剂
JP6245850B2 (ja) * 2012-06-01 2017-12-13 ロート製薬株式会社 外用組成物
WO2014051116A1 (ja) * 2012-09-28 2014-04-0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リコピン含有水中油型エマルション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6208644B2 (ja) * 2014-09-29 2017-10-0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皮膚外用剤
JP2016069336A (ja) * 2014-09-30 2016-05-0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ゲル状水性化粧料
JP2017114845A (ja) * 2015-09-29 2017-06-2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透明化粧料
CN110582263B (zh) * 2017-04-21 2022-06-21 富士胶片株式会社 凝胶状水包油型乳化组合物
US20210052481A1 (en) * 2017-12-27 2021-02-25 Rohto Pharmaceutical Co., Ltd. External composition containing ascorbic acid and/or salt thereof
JP6667565B2 (ja) * 2018-03-29 2020-03-1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ゲル状水性化粧料
CN110934758A (zh) * 2018-09-21 2020-03-31 上海睿泰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雨生红球藻提取的高纯度虾红素在不同剂型化妆品中的应用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8127A (ja) 1991-05-07 1993-06-15 Richardson Vicks Inc 改良サンケア組成物
JPH1135444A (ja) 1997-07-18 1999-02-09 Nikko Chem Kk 新規化粧料
JP2002125619A (ja) 2000-10-31 2002-05-08 Kikkoman Corp リコペン組成物、その製法及び用途
JP3921305B2 (ja) 1998-01-21 2007-05-30 ビーエーエスエフ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カロチノイド−凝集体を含有する着色剤
US20090023628A1 (en) * 2004-12-29 2009-01-22 Luciana Villa Nova Silva Cosmetic Composition and a Process for Preparing This Cosmetic Composition and a Cosmetic Product
JP4398246B2 (ja) 2001-10-23 2010-01-13 ケミン・フーズ・エル・シー 食品類に使用する細かに分散したカロチノイド懸濁液及びその調製方法
JP2010229081A (ja) 2009-03-27 2010-10-14 Mandom Corp 皮膚外用剤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21386U1 (de) * 2002-02-19 2005-10-06 Symrise Gmbh & Co. Kg Synergistische Mischungen von 1,2-Alkandiolen
BR0308051A (pt) * 2003-12-15 2005-09-06 Natura Cosmeticos Sa Composição base para preparação de formulações multifuncionais para o cuidado e proteção da pele e cabelo
BRPI0404331A (pt) * 2004-09-24 2006-05-16 Natura Cosmeticos Sa complexo antioxidante e composição cosmética e farmacêutica compreendendo o referido complexo
CA3005835C (en) * 2004-12-22 2023-01-31 Ambrx, Inc. Compositions containing, methods involving, and uses of non-natural amino acids and polypeptides
DE102005011626A1 (de) * 2005-03-02 2006-09-07 Beiersdorf Ag Antibakterieller Wirkkomplex für ölfreie Zubereitungen
JP2009234917A (ja) * 2006-08-09 2009-10-15 Shiseido Co Ltd 水中油型乳化組成物
JP5084010B2 (ja) * 2006-11-10 2012-11-28 キユーピー株式会社 化粧料用水系分散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化粧料
JP5404068B2 (ja) * 2009-01-20 2014-01-29 株式会社 資生堂 固形粉末化粧料
JP2011099020A (ja) * 2009-11-05 2011-05-19 Seiwa Kasei Co Ltd 抗酸化剤
JP2011241177A (ja) * 2010-05-18 2011-12-01 Fujifilm Corp カロチノイド含有組成物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8127A (ja) 1991-05-07 1993-06-15 Richardson Vicks Inc 改良サンケア組成物
JPH1135444A (ja) 1997-07-18 1999-02-09 Nikko Chem Kk 新規化粧料
JP3921305B2 (ja) 1998-01-21 2007-05-30 ビーエーエスエフ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カロチノイド−凝集体を含有する着色剤
JP2002125619A (ja) 2000-10-31 2002-05-08 Kikkoman Corp リコペン組成物、その製法及び用途
JP4398246B2 (ja) 2001-10-23 2010-01-13 ケミン・フーズ・エル・シー 食品類に使用する細かに分散したカロチノイド懸濁液及びその調製方法
US20090023628A1 (en) * 2004-12-29 2009-01-22 Luciana Villa Nova Silva Cosmetic Composition and a Process for Preparing This Cosmetic Composition and a Cosmetic Product
JP2010229081A (ja) 2009-03-27 2010-10-14 Mandom Corp 皮膚外用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4305A (ko) * 2018-11-02 2021-06-02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수중 유적형 피부 외용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25281A1 (ja) 2013-08-29
JP2013199466A (ja) 2013-10-03
EP2818157A1 (en) 2014-12-31
KR101643261B1 (ko) 2016-07-27
EP2818157A4 (en) 2015-11-18
CN104135994A (zh) 2014-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3261B1 (ko) 리코펜 함유 조성물
EP2832344B1 (en) Composition, and external preparation for the skin or functional food each containing said composition
EP2727580B1 (en) Astaxanthin-containing composi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cosmetic
JP6016728B2 (ja) セラミド分散組成物
JP6580018B2 (ja) 透明化粧水
JP6752313B2 (ja) 透明化粧料
TW200932283A (en) Skin external preparation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6016700B2 (ja) 水中油型エマルション組成物
KR20140121835A (ko) 피부 외용제 및 정상 피부세포 부활화제
WO2013125282A1 (ja) リコピン含有組成物
JP2014156456A (ja) 皮膚外用剤
JP2014012656A (ja) 水性分散組成物
KR101669831B1 (ko) 수중 유형 에멀젼 조성물
JP2013245205A (ja) 皮膚外用組成物及び化粧料
JP3774219B2 (ja) 防腐殺菌剤並びに該防腐殺菌剤を配合した化粧品、医薬品及び食品
JP2005179241A (ja) 水中油型用の乳化剤組成物、及び該組成物を含有する化粧料
WO2015016055A1 (ja) 乳化組成物
JP5706223B2 (ja) W/o/w型乳化組成物
JP6284895B2 (ja) エアゾル化粧料
JP2013173695A (ja) 皮膚外用剤
JP2007015965A (ja) ユビキノン類を含有する水溶性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