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2287A - 엔진의 윤활유 공급 기구 - Google Patents

엔진의 윤활유 공급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2287A
KR20140122287A KR1020147028239A KR20147028239A KR20140122287A KR 20140122287 A KR20140122287 A KR 20140122287A KR 1020147028239 A KR1020147028239 A KR 1020147028239A KR 20147028239 A KR20147028239 A KR 20147028239A KR 20140122287 A KR20140122287 A KR 201401222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bricating oil
cam
flow path
engine
cam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8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8445B1 (ko
Inventor
야스히로 히키타
Original Assignee
다이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22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22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8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8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9/00Lubrication mean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7/00
    • F01M9/10Lubrication of valve gear or auxilia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9/00Lubrication mean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7/00
    • F01M9/10Lubrication of valve gear or auxiliaries
    • F01M9/101Lubrication of valve gear or auxiliaries of cam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02Valve drive
    • F01L1/04Valve drive by means of cams, camshafts, cam discs, eccentric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06Lubricat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therein of crankshafts or connecting rods with lubricant passageways, e.g. bo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1/00Cylinders; Cylinder heads 
    • F02F1/24Cylinder he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08Lubricat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therein of lubricant jet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ubric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캠 캡의 위쪽의 스페이스를 필요로 하지 않는 엔진의 윤활유 공급 기구를 제공하다. 실린더 헤드(10), 캠 축(흡기측 캠 축(40) 및 배기측 캠 축(42)) 및 캠 캡(50)을 개입시켜 밸브 트레인 기구(30)의 캠(캠(40a) 및 캠(42a))으로 윤활유를 공급하는 엔진(1)의 윤활유 공급 기구에 있어서, 그 상단이, 높이 방향에서 캠 캡(50)의 상단 이하가 되도록 해당 캠 캡(50)에 설치됨과 동시에, 캠 캡(50)을 개입시켜 공급되는 윤활유를 캠(40a) 및 캠(42a)으로 안내하는 유로(제1 유로(124), 제2 유로(126) 및 제3 유로(128))가 형성된 급유 부재(10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엔진의 윤활유 공급 기구{LUBRICATING OIL SUPPLY MECHANISM FOR ENGINE}
본 발명은, 실린더 헤드, 캠 축 및 캠 캡(cam cap)을 개입시켜 밸브 트레인(動辯, valve train) 기구의 캠에 윤활유를 공급하는 엔진의 윤활유 공급 기구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 실린더 헤드, 캠 축 및 캠 캡을 개입시켜 밸브 트레인 기구의 캠에 윤활유를 공급하는 엔진의 윤활유 공급 기구의 기술은 공지가 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개2010-164009호 공보에 기재된 것과 같다.
특개2010-164009호 공보 기재의 엔진의 윤활유 공급 기구는, 베어링부를 가지는 실린더 헤드와, 해당 베어링부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를 받는 캠 축과, 해당 캠 축을 협지하도록 위쪽으로부터 실린더 헤드에 고정되는 캠 캡과, 해당 캠 캡의 상부에 접속되는 캠 샤워 파이프를 구비한다.
또, 해당 윤활유 공급 기구는, 실린더 헤드의 오일 갤러리로부터 캠 축(베어링부)까지를 연통하는 유로, 캠 축(캠 저널)을 관통하는 유로, 및 캠 캡에 형성되어, 캠 축으로부터 캠 샤워 파이프까지를 연통하는 유로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윤활유 공급 기구에서, 오일 갤러리를 유통하는 윤활유는, 실린더 헤드, 캠 축, 캠 캡 및 캠 샤워 파이프를 개입시켜 밸브 트레인 기구의 복수의 캠에 공급된다. 이와 같이, 비교적 지름이 큰, 즉 압력 손실이 적은 오일 갤러리로부터 윤활유를 취출함으로써, 복수의 캠에 대략 동량의 윤활유를 공급할 수 있다.
그렇지만, 특개2010-164009호 공보 기재의 기술에서는, 캠에 윤활유를 공급하기 위한 캠 샤워 파이프가 캠 캡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통상, 캠 캡의 위쪽은 실린더 헤드 커버로 덮여, 해당 캠 캡의 위쪽에는 좁은 공간 밖에 남아 있지 않다. 따라서, 특개2010-164009호 공보 기재의 기술을 실제로 적용하는 경우, 캠 샤워 파이프가 다른 부재(예를 들면, 실린더 헤드 커버측에 배치된 배플 플레이트(baffle plate) 등)와 간섭할 우려가 있고, 해당 간섭을 피하기 위해서 새롭게 설계의 변경 등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는 점에서 불리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상황을 감안한 것으로, 그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는, 캠 캡의 위쪽의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 엔진의 윤활유 공급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는 이상과 같으며, 다음으로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을 설명한다.
즉, 본 발명의 엔진의 윤활유 공급 기구는, 실린더 헤드, 캠 축 및 캠 캡을 개입시켜 밸브 트레인 기구의 캠에 윤활유를 공급하는 엔진의 윤활유 공급 기구에 있어서, 그 상단이, 높이 방향에 대해 상기 캠 캡의 상단 이하가 되도록 해당 캠 캡에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캠 캡을 개입시켜 공급되는 윤활유를 상기 캠으로 안내하는 유로가 형성된 급유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엔진의 윤활유 공급 기구는, 상기 캠 캡에는, 해당 캠 캡을 상기 실린더 헤드에 고정하기 위한 볼트공의 주위에 요부(凹部)가 형성되고, 상기 급유 부재는, 해당 급유 부재의 일부가 상기 요부 내에 수용되어, 볼트에 의해서 상기 캠 캡과 함께 상기 실린더 헤드에 고정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엔진의 윤활유 공급 기구에서는, 상기 급유 부재는, 복수의 판재를 중복하여 형성되고, 상기 급유 부재의 유로의 전부 또는 일부는, 해당 급유 부재의 복수의 판재가 서로 당접하는 면 중 적어도 1개에 홈을 파는 것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엔진의 윤활유 공급 기구에서는, 상기 급유 부재의 유로는, 2개의 캠으로 윤활유를 안내하도록, 그 상류단부 또는 중도부로부터 2개로 분기하여 형성되고, 상기 2개의 캠에 각각 동량의 윤활유가 공급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엔진의 윤활유 공급 기구에서는, 상기 급유 부재의 유로는, 2개의 캠으로 윤활유를 안내하도록, 그 상류단부 또는 중도부로부터 2개로 분기하여 형성되고, 상기 2개의 캠에 각각 임의로 다른 양의 윤활유가 공급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엔진의 윤활유 공급 기구에서는, 상기 급유 부재를 형성하는 복수의 판재 중 최하층의 판재는, 해당 급유 부재가 설치되는 캠 캡과 일체가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엔진의 윤활유 공급 기구는, 상기 캠 캡을 복수 구비하고, 해당 복수의 캠 캡이 일체가 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로서, 이하에 나타내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엔진의 윤활유 공급 기구에서는, 캠 캡의 위쪽의 스페이스를 필요로 하지 않고, 캠에 윤활유를 공급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부재끼리의 간섭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 해당 간섭을 피하기 위한 설계 변경 등의 필요가 없어진다.
본 발명의 엔진의 윤활유 공급 기구에서는, 기존의 볼트(캠 캡을 실린더 헤드에 고정하기 위한 볼트)를 이용해 급유 부재를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볼트 등의 체결 부재를 추가할 필요가 없고,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엔진의 윤활유 공급 기구에서는, 급유 부재의 유로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엔진의 윤활유 공급 기구에서는, 2개의 캠을 동일하게 윤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엔진의 윤활유 공급 기구에서는, 2개의 캠에 공급되는 윤활유의 양(급유량)을 의도적으로 다르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필요에 따라서 해당 2개의 캠에 공급되는 윤활유의 양을 각각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엔진의 윤활유 공급 기구에서는, 급유 부재 및 캠 캡의 실린더 헤드에의 설치가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의 엔진의 윤활유 공급 기구에서는, 캠 캡의 실린더 헤드에의 설치가 용이하게 된다.
[도 1]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엔진의 실린더 헤드 커버 내의 단면도.
[도 2]캠 캡 및 급유 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도 2에서의 A-A 단면도.
[도 4]캠 캡 및 급유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동일하게, 분해 사시도.
[도 6](a) 캠 캡을 나타내는 평면도. (b) 캠 캡의 B-B 단면을 나타내는 정면 단면도. (c) 캠 캡을 나타내는 저면도.
[도 7](a) 제1 판재를 나타내는 평면도. (b) 동일하게, 정면도.
[도 8](a) 제2 판재를 나타내는 평면도. (b) 동일하게, 저면도. (c) 동일하게, 정면도. (d) 제2 판재의 C-C 단면을 나타내는 정면 단면도.
[도 9](a) 샤프트 내 유로에 윤활유가 공급되지 않는 경우의 도 2에서의 A-A단면도. (b) 샤프트 내 유로에 윤활유가 공급되는 경우의 도 2에서의 A-A 단면도.
[도 10]급유 부재로부터 캠으로 윤활유가 토출되는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
[도 11](a)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제2 판재를 나타낸 평면도. (b) 제2 판재의 D-D 단면을 나타내는 정면 단면도. (c) 동일하게 E-E 단면을 나타내는 정면 단면도.
[도 12]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캠 캡 및 급유 부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3]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캠 캡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4]제5 실시 형태에 따른 배기측 캠 축을 나타내는 정면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 중에 나타낸 화살표를 따라서, 상하 방향,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을 정의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8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윤활유 공급 기구를 구비하는 엔진(1)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엔진(1)은, 직렬 4 기통 16 밸브의 DOHC 가솔린 엔진이다. 이하에서는, 전후 방향으로 나란한 4개의 기통 중 1개의 기통에 주로 주목하여 설명을 실시한다. 엔진(1)은, 주로 실린더 헤드(10), 실린더 헤드 커버(20), 밸브 트레인 기구(30), 캠 캡(50) 및 급유 부재(100)를 구비한다.
도 1, 도 3 및 도 5에 나타내는 실린더 헤드(10)는, 실린더 블록(미도시)과 함께 엔진(1)의 주된 구조체가 되는 것이다. 실린더 헤드(10)는, 상기 실린더 블록(미도시)의 상부에 고정된다. 실린더 헤드(10)는, 주로 흡기측 베어링부(12), 배기측 베어링부(14), 오일 갤러리(16) 및 캠 저널용 유로(18)를 구비한다.
도 1 및 도 5에 나타내는 흡기측 베어링부(12)는, 후술하는 흡기측 캠 축(40)을 하부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다. 흡기측 베어링부(12)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위쪽이 개방된 반원 모양의 요부가 되도록, 실린더 헤드(10)의 왼쪽 부분에 형성된다.
도 1, 도 3 및 도 5에 나타내는 배기측 베어링부(14)는, 후술하는 배기측 캠 축(42)를 하부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다. 배기측 베어링부(14)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위쪽이 개방된 반원 모양의 요부가 되도록, 실린더 헤드(10)의 오른쪽 부분에 형성된다.
도 1 및 도 3에 나타내는 오일 갤러리(16)는, 엔진(1)의 각부(예를 들면, 후술하는 래시 어저스터(Lash Adjuster)(38) 등)로 윤활유를 안내하기 위한 유로이다. 오일 갤러리(16)는, 실린더 헤드(10)의 좌우 측벽 근방을 전후 방향으로 통과하도록 형성된다.
도 3에 나타내는 캠 저널용 유로(18)는, 실린더 헤드(10)의 오른쪽 부분에 형성되고, 배기측 베어링부(14)로 윤활유를 안내하기 위한 유로이다. 캠 저널용 유로(18)의 일단은 오일 갤러리(16)와 연통되어, 캠 저널용 유로(18)의 타단은 실린더 헤드(10)의 배기측 베어링부(14)와 연통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지만, 캠 저널용 유로(18)는 실린더 헤드(10)의 왼쪽 부분에도 형성되고, 좌측의 오일 갤러리(16)와 흡기측 베어링부(12)를 연통하고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실린더 헤드 커버(20)는, 실린더 헤드(10)의 상부를 가리는 것이다. 실린더 헤드 커버(20)는 실린더 헤드(10)의 상부에 재치되어, 볼트 등에 의해서 적당하게 고정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밸브 트레인 기구(30)는, 엔진(1)의 흡기 포트 및 배기 포트(미도시)를 소정의 타이밍으로 개폐시키기 위한 것이다. 밸브 트레인 기구(30)는, 주로 흡기 밸브(32), 배기 밸브(34), 로커암(rocker arm)(36)·(36), 래시 어저스터(Lash Adjuster)(38)·(38), 흡기측 캠 축(40) 및 배기측 캠 축(42)을 구비한다.
흡기 밸브(32)는, 엔진(1)의 흡기 포트(미도시)를 개폐하는 것이다. 흡기 밸브(32)는, 그 긴 방향을 대략 상하 방향을 향해서 배치된다. 흡기 밸브(32)의 하단은 상기 흡기 포트까지 연장하여 설치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지만, 흡기 밸브(32)는 1개의 기통에 대해서 전후 방향으로 나란하게 2개 설치되어 있다.
배기 밸브(34)는, 엔진(1)의 배기 포트(미도시)를 개폐하는 것이다. 배기 밸브(34)는, 그 긴 방향을 대략 상하 방향을 향해서 배치된다. 배기 밸브(34)의 하단은 상기 배기 포트까지 연장하여 설치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지만, 배기 밸브(34)는 1개의 기통에 대해서 전후 방향으로 나란하게 2개 설치되어 있다.
로커암(36)·(36)은, 흡기 밸브(32) 및 배기 밸브(34)를 개폐 구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로커암(36)·(36)의 일단은, 각각 흡기 밸브(32) 및 배기 밸브(34)의 상단에 위쪽으로부터 당접된다.
래시 어저스터(38)·(38)는, 밸브 클리어런스를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래시 어저스터(38)·(38)는, 각각 로커암(36)·(36)의 타단에 아래쪽으로부터 당접된다.
도 1, 도 2 및 도 4에 나타내는 흡기측 캠 축(40)은, 로커암(36)을 소정의 타이밍으로 요동시키는 것으로, 흡기 밸브(32)를 개폐 구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흡기측 캠 축(40)은, 그 긴 방향을 전후 방향을 향한 상태로, 실린더 헤드(10)의 흡기측 베어링부(12)에 재치된다. 흡기측 캠 축(40)은, 주로 캠(40a)·(40a)을 구비한다.
캠(40a)·(40a)은, 회전 중심(흡기측 캠 축(40)의 중심)으로부터 외주까지의 거리가 일정하지 않은 판 모양으로 형성된 부분이다. 캠(40a)·(40a)은, 흡기측 캠 축(40) 중 실린더 헤드(10)의 흡기측 베어링부(12)에 재치된 부분(캠 저널)보다 전방으로 2개 나란하게 형성된다. 해당 캠(40a)·(40a)은, 흡기 밸브(32) 측의 로커암(36)에 위쪽으로부터 당접된다.
도 1, 도 2 및 도 4에 나타내는 배기측 캠 축(42)은, 로커암(36)을 소정의 타이밍으로 요동 시키는 것으로, 배기 밸브(34)를 개폐 구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배기측 캠 축(42)은, 그 긴 방향을 전후 방향을 향한 상태로, 실린더 헤드(10)의 배기측 베어링부(14)에 재치된다. 배기측 캠 축(42)은, 주로 캠(42a)·(42a) 및 샤프트 내 유로(42b)를 구비한다.
캠(42a)·(42a)은, 회전 중심(배기측 캠 축(42)의 중심)으로부터 외주까지의 거리가 일정하지 않은 판 모양으로 형성된 부분이다. 캠(42a)·(42a)은, 배기측 캠 축(42) 중 실린더 헤드(10)의 배기측 베어링부(24)에 재치된 부분(캠 저널)보다 전방으로 2개 나란하게 형성된다. 해당 캠(42a)·(42a)은, 배기 밸브(34) 측의 로커암(36)에 위쪽으로부터 당접된다.
도 3에 나타내는 샤프트 내 유로(42b)는, 배기측 캠 축(42) 중 실린더 헤드(10)의 배기측 베어링부(24)에 재치된 부분(캠 저널)에 형성되어, 해당 배기측 캠 축(42)을 관통하는 유로이다. 샤프트 내 유로(42b)는, 배기측 캠 축(42)이 소정의 위치까지 회전했을 때, 그 일단(일측의 개구부)이 실린더 헤드(10)의 캠 저널용 유로(18)에 대향하고, 그 타단(타측의 개구부)이 왼쪽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지만, 흡기측 캠 축(40)에도 배기측 캠 축(42)의 샤프트 내 유로(42b)와 같은 유로가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내 보이는 캠 캡(50)은, 실린더 헤드(10)의 상부에 고정되어, 해당 실린더 헤드(10)와의 사이에 흡기측 캠 축(40) 및 배기측 캠 축(42)을 보관 유지하는 것이다. 캠 캡(50)은, 긴 방향을 좌우 방향을 향한 대략 직육면체 모양으로 형성된다. 캠 캡(50)은, 주로 흡기측 베어링부(52), 흡기측 요부(54), 흡기측 관통공(56), 흡기측 연통 유로(58), 배기측 베어링부(60), 배기측 요부(62), 배기측 관통공(64) 및 배기측 연통 유로(66)를 구비한다.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내 보이는 흡기측 베어링부(52)는, 흡기측 캠 축(40)을 위쪽으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다. 흡기측 베어링부(52)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하부가 개방된 반원 모양의 요부가 되도록, 캠 캡(50)의 왼쪽 부분에 형성된다. 해당 캠 캡(50)의 흡기측 베어링부(52)는, 실린더 헤드(10)의 흡기측 베어링부(12)와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해당 흡기측 베어링부(52) 및 흡기측 베어링부(12)의 사이에 흡기측 캠 축(40)이 회동 가능하게 지지(보관 유지)된다.
흡기측 요부(54)는, 캠 캡(50)의 표면의 왼쪽 부분(좌우 방향에서, 흡기측 베어링부(52)의 바로 우측)에 형성된다. 흡기측 요부(54)는, 그 주위보다 하부에 소정 깊이만 패이도록, 위쪽 및 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흡기측 관통공(56)은, 캠 캡(50)을 실린더 헤드(10)에 고정하기 위해서 후술하는 볼트(140)가 삽통되는 볼트공이다. 흡기측 관통공(56)은, 흡기측 요부(54)의 저면의 왼쪽 부분으로부터 캠 캡(50)의 하면까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바꾸어 말하면, 흡기측 관통공(56)의 상단의 주위에 흡기측 요부(54)가 형성되게 된다. 흡기측 관통공(56)의 직경은, 후술하는 볼트(140)의 축부의 직경보다 커지도록, 즉, 흡기측 관통공(56)에 볼트(140)의 축부를 삽통했을 때, 해당 흡기측 관통공(56)과 볼트(140)와의 사이에 틈새가 생기도록 형성된다.
도 6에 나타내는 흡기측 연통 유로(58)는, 흡기측 베어링부(52)와 흡기측 관통공(56)을 연통하는 유로이다. 흡기측 연통 유로(58)는, 캠 캡(50)의 하면의 전후 대략 중앙부에 형성된다. 흡기측 연통 유로(58)의 일단은 흡기측 베어링부(52)와 연통되고, 흡기측 연통 유로(58)의 타단은 흡기측 관통공(56)과 연통된다.
도 3 내지 도 6에 나타내 보이는 배기측 베어링부(60)는, 배기측 캠 축(42)을 위쪽으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다. 배기측 베어링부(60)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하부가 개방된 반원 모양의 요부가 되도록, 캠 캡(50)의 오른쪽 부분에 형성된다. 해당 캠 캡(50)의 배기측 베어링부(60)는, 실린더 헤드(10)의 배기측 베어링부(14)와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해당 배기측 베어링부(60) 및 배기측 베어링부(14)의 사이에 배기측 캠 축(42)이 회동 가능하게 지지(보관 유지)된다.
배기측 요부(62)는, 캠 캡(50)의 표면의 오른쪽 부분(좌우 방향에서, 배기측 베어링부(60)의 바로 좌측)에 형성된다. 배기측 요부(62)는, 그 주위보다 하부에 소정 깊이만 패이도록, 위쪽 및 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도 3,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배기측 관통공(64)은, 캠 캡(50)을 실린더 헤드(10)에 고정하기 위해서 후술하는 볼트(140)가 삽통되는 볼트공이다. 배기측 관통공(64)은, 배기측 요부(62)의 저면의 오른쪽 부분으로부터 캠 캡(50)의 하면까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바꾸어 말하면, 배기측 관통공(64)의 상단의 주위에 배기측 요부(62)가 형성되게 된다. 배기측 관통공(64)의 직경은, 후술하는 볼트(140)의 축부의 직경보다 커지도록, 즉, 배기측 관통공(64)에 볼트(140)의 축부를 삽통했을 때, 해당 배기측 관통공(64)와 볼트(140) 사이에 틈새가 생기도록 형성된다.
도 3 내지 도 6에 나타내 보이는 배기측 연통 유로(66)는, 배기측 베어링부(60)과 배기측 관통공(64)을 연통하는 유로이다. 배기측 연통 유로(66)는, 캠 캡(50)의 하면의 전후 대략 중앙부에 형성된다. 배기측 연통 유로(66)의 일단은 배기측 베어링부(60)과 연통되고, 배기측 연통 유로(66)의 타단은 배기측 관통공(64)과 연통된다.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내 보이는 급유 부재(100)는, 윤활유를 흡기측 캠 축(40)의 캠(40a) 및 배기측 캠 축(42)의 캠(42a)으로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흡기측 캠 축(40)의 캠(40a)으로 윤활유를 안내하는 급유 부재(100)(좌측에 배치되는 급유 부재(100))의 구성은, 배기측 캠 축(42)의 캠(42a)으로 윤활유를 안내하는 급유 부재(100)(우측에 배치되는 급유 부재(100))의 구성과 좌우 대칭이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특히 우측에 배치되는 급유 부재(100)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하고, 좌측에 배치되는 급유 부재(100)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급유 부재(100)는,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2매)의 판재를 중복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급유 부재(100)는, 주로 제1 판재(110) 및 제2 판재(120)를 구비한다.
도 5 및 도 7에 나타내는 제1 판재(110)는, 급유 부재(100)의 상부를 구성하는 판 모양의 부재이다. 제1 판재(110)는, 그 판면을 상하 방향을 향한 상태로 배치된다. 제1 판재(110)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L자 모양이 되도록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판재(110)는, 좌우 방향으로 향해진 단변과, 해당 단변의 좌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하여 설치 된 장변을 가지는 모양이 되도록 형성된다. 제1 판재(110)의 단변의 우단부 근방에는, 해당 제1 판재(110)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112)이 형성된다.
도 5 및 도 8에 나타내는 제2 판재(120)는, 급유 부재(100)의 하부를 구성하는 판 모양의 부재이다. 제2 판재(120)는, 그 판면을 상하 방향을 향한 상태로 배치된다. 제2 판재(120)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제1 판재(110)와 같은 대략 L자 모양이 되도록 형성된다. 제2 판재(120)는, 주로 관통공(122), 제1 유로(124), 제2 유로(126), 제3 유로(128), 제1 토출구(130) 및 제2 토출구(132)를 구비한다.
관통공(122)은, 제2 판재(120)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이다. 관통공(122)은, 제2 판재(120)의 단변의 우단부 근방에서, 평면에서 보았을 때 제1 판재(110)의 관통공(112)과 중복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관통공(122)의 직경은, 후술하는 볼트(140)의 축부의 직경보다 커지도록, 즉, 관통공(122)에 볼트(140)의 축부를 삽통했을 때, 해당 관통공(122)과 볼트(140)와의 사이에 틈새가 생기도록 형성된다.
제1 유로(124)는, 제2 판재(120)의 표면에 형성되어, 윤활유를 안내하기 위해서 파진 홈이다. 제1 유로(124)의 일단은, 관통공(122)에 연통된다. 제1 유로(124)는, 관통공(122)으로부터 좌방으로 연장하여 설치되고, 해당 좌방에 연장하여 설치된 좌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하여 설치되고, 해당 전방에 연장하여 설치된 전단부로부터 우측으로 연장하여 설치된다.
제2 유로(126)는, 제2 판재(120)의 표면에 형성되어, 윤활유를 안내하기 위해서 파진 홈이다. 제2 유로(126)의 일단은, 제1 유로의 타단(우전단)에 연통된다. 제2 유로(126)는, 제1 유로(124)의 타단(우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여 설치되고, 해당 후방에 연장하여 설치된 후단부에서 우측으로 연장하여 설치된다.
제3 유로(128)는, 제2 판재(120)의 표면에 형성되어, 윤활유를 안내하기 위해서 파진 홈이다. 제3 유로(128)의 일단은, 제1 유로의 타단(우전단)에 연통된다. 제3 유로(128)는, 제1 유로(124)의 타단(우전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하여 설치되고, 해당 전방에 연장하여 설치된 전단부로부터 우측으로 연장하여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유로(126) 및 제3 유로(128)는, 제1 유로(124)의 타단(우전단)으로부터 분기하도록 형성된다. 또, 제2 유로(126) 및 제3 유로(128)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제1 유로(124)로부터의 분기점(제1 유로(124)의 타단)을 지나는 좌우 방향의 축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대칭이 되도록 형성된다. 또, 제2 유로(126) 및 제3 유로(128)의 단면 형상은 서로 동일 형상이 되도록 형성된다.
제1 토출구(130)는, 제2 판재(120)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윤활유를 해당 제2 판재(120)의 하부로 토출하기 위한 구멍이다. 제1 토출구(130)는, 제2 유로(126)의 타단(오른쪽 후단)과 제2 판재(120)의 하면을 연통하도록 형성된다.
제2 토출구(132)는, 제2 판재(120)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윤활유를 해당 제2 판재(120)의 하부로 토출하기 위한 구멍이다. 제2 토출구(132)는, 제3 유로(128)의 타단(우전단)과 제2 판재(120)의 하면을 연통하도록 형성된다. 제2 토출구(132)의 형상(단면 형상)은, 제1 토출구(130)와 동일 형상이 되도록 형성된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듯이,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제1 판재(110)를, 제2 판재(120)의 위에 중복되고(제1 판재(110)의 하면과 제2 판재(120)의 표면을 당접시켜) 볼트 등(미도시)에 의해 고정함으로써 급유 부재(100)가 형성된다. 이 때, 제2 판재(120)에 형성된 제1 유로(124), 제2 유로(126) 및 제3 유로(128)가 제1 판재(110)에 의해서 위쪽으로부터 폐색되고, 관통공(122)으로부터 제1 토출구(130) 및 제2 토출구(132)까지 윤활유를 안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관통공(122), 제1 유로(124), 제2 유로(126), 제3 유로(128), 제1 토출구(130) 및 제2 토출구(132)에 의해서, 윤활유가 유통하기 위한 유로가 구성된다.
또, 도 3 내지 도 5까지 나타내 보이듯이, 급유 부재(100)의 후단부(제1 판재(110) 및 제2 판재(120)의 단변부)는, 캠 캡(50)의 배기측 요부(62) 내에 수용된다. 급유 부재(100)의 관통공(제1 판재(110)의 관통공(112) 및 제2 판재(120)의 관통공(122))은, 캠 캡(50)의 배기측 관통공(64)과 평면에서 보았을 때 중복되도록 배치되고, 해당 각 관통공에 위쪽으로부터 볼트(140)가 삽통되어, 해당 볼트(140)는 실린더 헤드(10)에 체결된다. 이와 같이 하고, 볼트(140)에 의해서 급유 부재(100)가 캠 캡(50)에 고정되는 것과 동시에, 해당 캠 캡(50)이 실린더 헤드(10)에 고정된다.
이 때, 급유 부재(100)의 두께(제1 판재(110)와 제2 판재(120)의 상하 방향 두께의 합계)는, 캠 캡(50)의 배기측 요부(62)의 깊이와 같거나 그 이하가 되도록 형성된다. 이 때문에, 급유 부재(100)를 캠 캡(50)에 고정해도, 해당 급유 부재(100)의 상단은, 높이 방향(상하 방향)에 대해 캠 캡(50)의 상단 이하가 되어, 해당 급유 부재(100)가 캠 캡(50)보다 위쪽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또, 급유 부재(100)가 캠 캡(50)에 고정되었을 경우, 도 2에 나타내듯이, 제1 토출구(130) 및 제2 토출구(132)는, 각각 배기측 캠 축(42)의 캠(42a)·(42a)과 전후 방향에 대해 동일 위치가 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해당 제1 토출구(130) 및 제2 토출구(132)는, 각각 배기측 캠 축(42)의 캠(42a)·(42a)의 대체로 위쪽에 위치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10을 이용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엔진(1)의 윤활유 공급 기구에 의한, 배기측 캠 축(42)의 캠(42a)·(42a)으로의 윤활유의 공급의 모양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엔진(1)의 윤활유 공급 기구에 의한, 흡기측 캠 축(40)의 캠(40a)·(40a)으로의 윤활유의 공급의 모양도 대략 같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9(a)에 나타내듯이, 엔진(1)이 구동하는 것에 의해서 배기측 캠 축(42)이 회전하고, 샤프트 내 유로(42b)의 일단이 실린더 헤드(10)의 캠 저널용 유로(18)와 대향하지 않는 경우, 오일 갤러리(16)를 유통하는 윤활유는, 캠 저널용 유로(18)를 개입시켜 배기측 베어링부(14)로 공급된다. 해당 윤활유는 샤프트 내 유로(42b) 내에는 공급되지 않고, 배기측 캠 축(42)으로 배기측 베어링부(14)(및 배기측 베어링부(60))와의 접동면을 윤활한다.
도 9(b)에 나타내듯이, 배기측 캠 축(42)이 360도 회전할 때 마다 한 번만 샤프트 내 유로(42b)의 일단이 실린더 헤드(10)의 캠 저널용 유로(18)와 대향함과 동시에, 샤프트 내 유로(42b)의 타단이 배기측 연통 유로(66)와 대향한다. 이 경우, 오일 갤러리(16)를 유통하는 윤활유는, 캠 저널용 유로(18)를 개입시켜 샤프트 내 유로(42b)로 공급된다. 더욱이, 해당 윤활유는 해당 샤프트 내 유로(42b), 배기측 연통 유로(66)를 개입시켜 배기측 관통공(64)으로 공급된다. 해당 배기측 관통공(64)에는 볼트(140)가 삽통되고 있지만, 해당 배기측 관통공(64)과 볼트(140) 사이에는 틈새가 있기 때문에, 윤활유는 해당 배기측 관통공(64) 내를 유통할 수 있다. 해당 윤활유는, 배기측 관통공(64)을 위쪽으로 유통하고, 급유 부재(100)(보다 상세하게는, 제2 판재(120)의 관통공(122))로 공급된다.
제2 판재(120)의 관통공(122)으로 공급된 윤활유는, 제1 유로(124) 내를 유통하고, 해당 제1 유로(124)의 타단(우전단)으로부터 제2 유로(126) 및 제3 유로(128)(도 8 등 참조)으로 분기하여 공급된다. 제2 유로(126)로 공급된 윤활유는, 제1 토출구(130)를 개입시켜 하부로 토출된다. 또, 제3 유로(128)로 공급된 윤활유는, 제2 토출구(132)를 개입시켜 하부로 토출된다. 도 10에 파선의 화살표로 나타내 보이듯이, 급유 부재(100)의 제1 토출구(130) 및 제2 토출구(132)로부터 토출된 윤활유는, 해당 제1 토출구(130) 및 제2 토출구(132)의 하부에 배치된 캠(42a)·(42a)에 공급되어, 해당 캠(42a)·(42a)을 윤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배기측 캠 축(42)이 소정의 각도까지 회전했을 때, 윤활유가 캠(42a)·(42a)으로 공급된다. 즉, 윤활유를 간헐적으로(배기측 캠 축(42)이 1회전하는 동안에 한 번만) 캠(42a)·(42a)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윤활유는 상시 캠(42a)·(42a)으로 공급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해당 캠(42a)·(42a)에 윤활유가 과잉으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제2 유로(126) 및 제3 유로(128)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대칭이 되고, 단면 형상이 서로 동일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제2 유로(126) 및 제3 유로(128)는, 서로 같은 길이, 단면 형상, 굴곡 회수 및 굴곡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있다. 이것에 의해서, 제1 유로(124)로부터 공급되는 윤활유가 제2 유로(126) 및 제3 유로(128)를 유통할 때의 압력 손실은 대략 동일하기 때문에, 해당 제2 유로(126) 및 제3 유로(128)를 유통하는 윤활유의 유량은 대략 동일하다. 따라서, 캠(42a)·(42a)에 대략 동량의 윤활유를 공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엔진(1)의 윤활유 공급 기구는, 실린더 헤드(10), 캠 축(흡기측 캠 축(40) 및 배기측 캠 축(42)) 및 캠 캡(50)을 개입시켜 밸브 트레인 기구(30)의 캠(캠(40a) 및 캠(42a))으로 윤활유를 공급하는 엔진(1)의 윤활유 공급 기구에 있어서, 그 상단이, 높이 방향에서 캠 캡(50)의 상단 이하가 되도록 해당 캠 캡(50)에 설치됨과 동시에, 캠 캡(50)을 개입시켜 공급되는 윤활유를 캠(40a) 및 캠(42a)으로 안내하는 유로(제1 유로(124), 제2 유로(126) 및 제3 유로(128))가 형성된 급유 부재(100)를 구비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캠 캡(50)의 위쪽의 스페이스를 필요로 하는 일 없이, 캠(40a) 및 캠(42a)으로 윤활유를 공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부재끼리의 간섭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 해당 간섭을 피하기 위한 설계 변경 등의 필요가 없어진다.
또, 캠 캡(50)에는, 해당 캠 캡(50)을 실린더 헤드(10)에 고정하기 위한 볼트공(흡기측 관통공(56) 및 배기측 관통공(64))의 주위에 요부(흡기측 요부(54) 및 배기측 요부(62))가 형성되고, 급유 부재(100)는, 해당 급유 부재(100)의 일부가 상기 요부 내에 수용되어, 볼트(140)에 의해서 캠 캡(50)과 함께 실린더 헤드(10)에 고정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기존의 볼트(140)(캠 캡(50)을 실린더 헤드(10)에 고정하기 위한 볼트)를 이용해 급유 부재(100)를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 볼트 등의 체결 부재를 추가할 필요가 없고, 부품 점수를 삭감할 수 있다.
또, 급유 부재(100)는, 복수(2매)의 판재(제1 판재(110) 및 제2 판재(120))를 중복하여 형성되고, 급유 부재(100)의 유로의 일부(제1 유로(124), 제2 유로(126) 및 제3 유로(128))는, 해당 급유 부재(100)의 2매의 판재가 서로 당접하는 면 중 하나(제2 판재(120)의 표면)에 홈을 파는 것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의해서, 급유 부재(100)의 유로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 급유 부재(100)의 유로는, 2개의 캠(42a)·(42a)으로 윤활유를 안내하도록, 그 중도부로부터 2개(제2 유로(126) 및 제3 유로(128))에 분기하여 형성되고, 2개의 캠(42a)·(42a)에 각각 동량의 윤활유가 공급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으로써, 2개의 캠(42a)·(42a)를 동일하게 윤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엔진(1)은, 직렬 4 기통 16 밸브의 DOHC 가솔린엔진인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한 엔진은 이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급유 부재(100)의 유로(제1 유로(124), 제2 유로(126) 및 제3 유로(128))를 제2 판재(120)에 형성하는 것으로 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제1 판재(110)에 형성하는 구성이나, 제1 판재(110) 및 제2 판재(120)의 양쪽 모두에 형성하는 구성(판재가 서로 당접하는 면 중 적어도 1개에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급유 부재(100)의 형상은, 본 실시 형태와 같이 평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L자 모양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캠(캠(40a) 및 캠(42a))에 윤활유를 공급할 수 있는 형상일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 급유 부재(100)는 2매의 판재(제1 판재(110) 및 제2 판재(120))에 의해서 구성되는 것으로 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급유 부재(100)가 캠 캡(50)보다 위쪽으로 돌출되지 않고, 예를 들면 해당 급유 부재(100)를 파이프 등에 의해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 급유 부재(100)를 형성하는 판재는 2매(제1 판재(110) 및 제2 판재(120))인 것으로 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급유 부재(100)를, 3매 이상의 판재를 중복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해당 복수(3매 이상)의 판재가 서로 당접하는 면 중 어느 한 쪽에 홈을 파는 것으로, 윤활유를 안내하는 유로가 형성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 급유 부재(100)는 복수(2매)의 판재(제1 판재(110) 및 제2 판재(120))를 중복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했지만, 해당 복수의 판재의 사이에 개스킷 등의 씰 부재를 개설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급유 부재(100)의 유로는, 그 중도부(제1 유로(124))로부터 2개(제2 유로(126) 및 제3 유로(128))에 분기하는 것으로 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급유 부재(100)의 유로는, 그 상류단부로부터 2개로 분기하여 형성하는 구성, 즉, 1개의 유로의 중도부에서 분기하는 것이 아니라 최초부터 2개의 유로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엔진의 윤활유 공급 기구의 그 외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2의 실시 형태로서, 제2 판재(120)에 형성되는 제2 유로(126) 및 제3 유로(128)는, 도 11에 나타내듯이, 각각 임의로 다른 길이, 단면 형상, 굴곡 회수 또는 굴곡 각도 등을 가지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도 11에 나타내는 제2 판재(120)에서는, 제2 유로(126)의 단면 형상은 제3 유로(128)의 단면 형상보다 크게(폭이 넓고, 깊이가 깊게) 형성되고 있다. 또, 제2 유로(126)는 제3 유로(128)보다 완만하게 굴곡 하도록 형성되어, 이것에 의해서, 제2 유로(126)의 길이는 제3 유로(128)보다 짧아지고 있다.
이와 같이, 제2 유로(126) 및 제3 유로(128)를 서로 비대칭이 되는 형상에 형성하는 것으로, 제1 유로(124)로부터 공급되는 윤활유가 제2 유로(126) 및 제3 유로(128)를 유통할 때의 압력 손실에 차이를 내고, 해당 제2 유로(126) 및 제3 유로(128)를 유통하는 윤활유의 유량을 의도적으로 다르게 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로서, 도 12에 나타내듯이, 급유 부재(100)를 형성하는 복수(2매)의 판재(제1 판재(110) 및 제2 판재(120)) 중 최하층(본 실시 형태에서는, 2매의 판재 중 아래쪽(캠 캡(50)측))에 위치하는 제2 판재(120)를, 캠 캡(50)과 일체가 되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제2 판재(120)·(120)가 캠 캡(50)의 흡기측 요부(54) 및 배기측 요부(62)로부터 각각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해당 캠 캡(50)과 일체화하여, 해당 캠 캡(50) 및 제2 판재(120)·(120)를 1개의 부재로서 취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해당 캠 캡(50) 및 제2 판재(120)·(120)의 부품 관리나, 실린더 헤드(10)에의 설치가 용이하게 된다.
제4 실시 형태로서, 도 13에 나타내듯이, 4개의 기통에 대응하듯이 각각 설치되는 4개의 캠 캡(50)·(50)…을, 일체가 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캠 캡(50)·(50)…의 좌우 양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것으로, 4개의 캠 캡(50)·(50)…을 일체화하고, 1개의 부재로서 취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해당 캠 캡(50)·(50)…의 부품 관리나, 실린더 헤드(10)에의 설치가 용이하게 된다.
제5의 실시 형태로서, 도 14에 나타내듯이, 샤프트 내 유로(42b)를 배기측 캠 축(42)의 회전축의 중심을 통과하는 직선 모양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캠 저널용 유로(18)의 타단은 배기측 베어링부(14)의 우단부에 연통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배기측 캠 축(42)이 180도 회전할 때 마다 샤프트 내 유로(42b)의 단부가 캠 저널용 유로(18)와 대향한다. 이것에 의해서, 배기측 캠 축(42)이 180도 회전할 때 마다(배기측 캠 축(42)이 1회전 하는 동안에 두 번) 윤활유를 캠(42a)·(42a)으로 공급할 수 있다.
제5의 실시 형태(도 14)에서는, 배기측 캠 축(42)이 180도 회전할 때 마다, 샤프트 내 유로(42b) 내의 윤활유가 유통하는 방향이 역방향으로 완전히 교체된다. 배기측 캠 축(42)이 저속으로 회전하고 있는 동안은, 배기측 캠 축(42)이 180도 회전할 때 마다 유통 방향을 새로 바꾸면서, 샤프트 내 유로(42b) 내의 윤활유는 배기측 연통 유로(66)로 공급된다. 한편, 배기측 캠 축(42)의 회전이 고속으로 되면, 샤프트 내 유로(42b) 내의 윤활유의 유통 방향은 원활히 완전히 교체되지 못하고, 해당 샤프트 내 유로(42b) 내에서 정체해 버린다. 즉, 배기측 캠 축(42)이 고속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캠(42a)·(42a)으로의 윤활유의 공급이 끊어진다.
그렇지만, 배기측 캠 축(42)의 회전이 고속으로 되었을 경우에는, 캠(42a)·(42a)에는 다른 부재의 운동에 의해서 뛰어 올려진 윤활유가 부착하기 때문에, 해당 캠(42a)·(42a)을 윤활 할 필요가 없다. 즉, 제5의 실시 형태와 같이 배기측 캠 축(42)이 고속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캠(42a)·(42a)으로의 윤활유의 공급을 끊음으로써, 과잉인(쓸데 없는) 윤활유의 공급을 방지할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실린더 헤드, 캠 축 및 캠 캡을 개입시켜 밸브 트레인 기구의 캠으로 윤활유를 공급하는 엔진의 윤활유 공급 기구에 이용 가능하다.
1 엔진
10 실린더 헤드
30 밸브 트레인 기구
40 흡기측 캠 축
40a 캠
42 배기측 캠 축
42a 캠
50 캠 캡
100 급유 부재
110 제1 판재
120 제2 판재
124 제1 유로
126 제2 유로
128 제3 유로
140 볼트

Claims (7)

  1. 실린더 헤드, 캠 축 및 캠 캡을 개입시켜 밸브 트레인 기구의 캠으로 윤활유를 공급하는 엔진의 윤활유 공급 기구에 있어서,
    상기 캠 캡을 개입시켜 공급되는 윤활유를 상기 캠으로 안내하는 유로가 형성된 급유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급유 부재는, 복수의 판재를 중복하여 형성되고,
    상기 급유 부재의 유로의 전부 또는 일부는, 해당 급유 부재의 복수의 판재가 서로 당접하는 면 중 적어도 1개에 홈을 파는 것으로 형성되는
    엔진의 윤활유 공급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유 부재는, 그 상단이, 높이 방향에 대해 상기 캠 캡의 상단 이하가 되도록 해당 캠 캡에 설치되는,
    엔진의 윤활유 공급 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캠 캡에는,
    해당 캠 캡을 상기 실린더 헤드에 고정하기 위한 볼트공의 주위에 요부가 형성되고,
    상기 급유 부재는,
    해당 급유 부재의 일부가 상기 요부 내에 수용되어, 볼트에 의해서 상기 캠 캡과 함께 상기 실린더 헤드에 고정되는,
    엔진의 윤활유 공급 기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급유 부재의 유로는,
    2개의 캠으로 윤활유를 안내하도록, 그 상류단부 또는 중도부로부터 2개로 분기하여 형성되고, 상기 2개의 캠에 각각 동량의 윤활유가 공급되도록 형성되는,
    엔진의 윤활유 공급 기구.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급유 부재의 유로는,
    2개의 캠으로 윤활유를 안내하도록, 그 상류단부 또는 중도부로부터 2개로 분기하여 형성되고, 상기 2개의 캠에 각각 임의로 다른 양의 윤활유가 공급되도록 형성되는,
    엔진의 윤활유 공급 기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급유 부재를 형성하는 복수의 판재 중 최하층의 판재는,
    해당 급유 부재가 설치되는 캠 캡과 일체가 되도록 형성되는,
    엔진의 윤활유 공급 기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캠 캡을 복수 구비하고,
    해당 복수의 캠 캡이 일체가 되도록 구성한,
    엔진의 윤활유 공급 기구.
KR1020147028239A 2012-06-06 2013-05-30 엔진의 윤활유 공급 기구 KR1015284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29276 2012-06-06
JP2012129276A JP5662965B2 (ja) 2012-06-06 2012-06-06 エンジンの潤滑油供給機構
PCT/JP2013/065036 WO2013183537A1 (ja) 2012-06-06 2013-05-30 エンジンの潤滑油供給機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2287A true KR20140122287A (ko) 2014-10-17
KR101528445B1 KR101528445B1 (ko) 2015-06-11

Family

ID=49711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8239A KR101528445B1 (ko) 2012-06-06 2013-05-30 엔진의 윤활유 공급 기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115614B2 (ko)
EP (1) EP2860364B1 (ko)
JP (1) JP5662965B2 (ko)
KR (1) KR101528445B1 (ko)
CN (1) CN104350245B (ko)
WO (1) WO20131835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51672B2 (ja) * 2014-08-27 2017-06-21 大豊工業株式会社 給油部材及びそれを具備するエンジンの潤滑油供給機構
JP5751392B1 (ja) * 2015-01-05 2015-07-22 スズキ株式会社 エンジンの動弁機構
JP6327281B2 (ja) * 2016-03-30 2018-05-23 マツダ株式会社 エンジンのカムジャーナル潤滑油供給機構
US10415442B2 (en) * 2017-08-28 2019-09-1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oil warming with directed spray in cylinder head
JP6922715B2 (ja) * 2017-12-15 2021-08-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潤滑油供給装置
DE112018000078B4 (de) 2018-10-29 2023-03-23 Komatsu Ltd. Zylinderkopf mit Kraftstoffrückführungs-Strömungsweg
CN111971467A (zh) * 2020-02-17 2020-11-20 株式会社小松制作所 气缸盖及发动机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050847A5 (ko) * 1969-06-26 1971-04-02 Citroen Sa
JPS58154806U (ja) * 1982-04-09 1983-10-17 マツダ株式会社 エンジンのオイル冷却装置
DE3609206A1 (de) * 1985-03-27 1986-10-09 Volkswagen AG, 3180 Wolfsburg Zylinderkopfdeckel fuer eine brennkraftmaschine mit obenliegender nockenwelle
ES286364Y (es) * 1985-04-26 1987-01-16 Herrando Villanueva Eliseo Maquina para la fabricacion de cuerpos planos, en proceso lineal continuo
DE3520876C1 (de) * 1985-06-11 1986-09-04 Peter Hufnagel GmbH, 8500 Nürnberg Vorrichtung zum Zuführen von Schmieröl zu den Reibstellen einer Nockenwelle
JPS62116108U (ko) 1986-01-13 1987-07-23
JPS63112210U (ko) * 1987-01-14 1988-07-19
JPH0440106U (ko) * 1990-07-31 1992-04-06
SE470576B (sv) * 1993-02-01 1994-09-19 Saab Scania Ab Smörjoljeledande anordning vid förbränningsmotor
JP3003470B2 (ja) * 1993-08-30 2000-01-3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カム潤滑装置
US5492086A (en) * 1994-09-15 1996-02-20 Durox Company, Inc. Valve cover
JP3817716B2 (ja) * 2002-01-30 2006-09-06 愛知機械工業株式会社 カムブラケット
US6742481B2 (en) * 2002-09-23 2004-06-01 General Motors Corporation Piston cooling oil system with windage tray
US7363892B2 (en) 2003-12-25 2008-04-29 Honda Motor Co., Ltd. Engine valve operating system
JP4256268B2 (ja) * 2004-01-05 2009-04-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動弁装置の潤滑油供給構造
JP4574483B2 (ja) 2005-07-27 2010-11-04 愛知機械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
JP4238874B2 (ja) * 2006-01-19 2009-03-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カムシャフト支持構造
JP2009121259A (ja) 2007-11-12 2009-06-04 Mazda Motor Corp エンジンの給油構造
JP2010164009A (ja) 2009-01-16 2010-07-29 Toyota Motor Corp 潤滑油給油構造
JP2011085022A (ja) 2009-10-13 2011-04-28 Otics Corp 車両用エンジ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253542A (ja) 2013-12-19
EP2860364B1 (en) 2017-03-22
CN104350245B (zh) 2015-09-30
EP2860364A4 (en) 2016-01-27
EP2860364A1 (en) 2015-04-15
WO2013183537A1 (ja) 2013-12-12
US20150136066A1 (en) 2015-05-21
CN104350245A (zh) 2015-02-11
US9115614B2 (en) 2015-08-25
JP5662965B2 (ja) 2015-02-04
KR101528445B1 (ko) 2015-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8445B1 (ko) 엔진의 윤활유 공급 기구
JP6151672B2 (ja) 給油部材及びそれを具備するエンジンの潤滑油供給機構
JP4978383B2 (ja) 潤滑装置
JP5918095B2 (ja) エンジンの潤滑油供給機構
JP6149419B2 (ja) オイルシャワーパイプ
WO2015178180A1 (ja) 給油部材及びそれを具備するエンジンの潤滑油供給機構
US9562446B2 (en) Engine
JP6713710B2 (ja) スラント型内燃機関
US7942121B2 (en) Camshaft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15028328A (ja) エンジンの潤滑油供給機構
JP2017101581A (ja) エンジンの潤滑油供給機構
JP2015169120A (ja) エンジンの潤滑油供給機構
JP2015028329A (ja) エンジンの潤滑油供給機構
JP6063297B2 (ja) 給油部材及びそれを具備するエンジンの潤滑油供給機構
JP2015152004A (ja) 給油部材及びそれを具備するエンジンの潤滑油供給機構
JP2014125934A (ja) エンジンの潤滑油供給機構
JP2017053289A (ja) 給油部材及びそれを具備するエンジンの潤滑油供給機構
JP2015175300A (ja) エンジンの潤滑油供給機構
JP5911815B2 (ja) 給油部材及びそれを具備するエンジンの潤滑油供給機構
JP2017048710A (ja) 給油部材及びそれを具備するエンジンの潤滑油供給機構
JP2015169201A (ja) 給油部材及びそれを具備するエンジンの潤滑油供給機構
JP2017048740A (ja) 給油部材及びそれを具備するエンジンの潤滑油供給機構
JP2009121258A (ja) エンジンの給油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