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5913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5913A
KR20140115913A KR1020130072965A KR20130072965A KR20140115913A KR 20140115913 A KR20140115913 A KR 20140115913A KR 1020130072965 A KR1020130072965 A KR 1020130072965A KR 20130072965 A KR20130072965 A KR 20130072965A KR 20140115913 A KR20140115913 A KR 201401159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camera
display device
image
bend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2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1932B1 (ko
Inventor
조은형
천시내
김지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3/957,199 priority Critical patent/US9013458B2/en
Priority to PCT/KR2013/007068 priority patent/WO2014148698A1/en
Priority to EP13878664.5A priority patent/EP2976766B1/en
Publication of KR20140115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5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1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1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7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omprising more than two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5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open/close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기 설정된 위치에 해상도가 상이한 두 개의 카메라를 구비한 3-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두 개의 카메라 중 액티베이팅 되는 카메라에 따라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위치를 조정하는 3-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명세서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기 설정된 위치에 해상도가 상이한 두 개의 카메라를 구비한 3-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두 개의 카메라 중 액티베이팅 되는 카메라에 따라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위치를 조정하는 3-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2개의 카메라를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후면에 제 1 카메라, 전면에 제 2 카메라가 구비하는 경우가 많다.
이때, 후면의 제 1 카메라는 고해상도, 전면의 제 2 카메라는 저해상도인 것이 일반적이다. 전면의 제 2 카메라는 사용자의 셀프 촬영 등과 같이 근거리 촬영에 자주 이용되기 때문이다.
다만, 디스플레이 장치가 3-폴더블이고 두 개의 카메라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같은 측면(예를 들어, 전면 또는 후면)에 위치할 때, 해상도가 다른 제 1 카메라 및 제 2 카메라를 어디에 위치시키고, 제 1 카메라로부터 획득되는 제 1 이미지 또는 제 2 카메라로부터 획득되는 제 2 이미지를 어느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할지는 정해진 바가 없다.
일 실시예는, 해상도가 상이한 제 1 카메라 및 제 2 카메라를 구성하는 위치가 결정된 3-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다른 일 실시예는, 해상도가 상이한 제 1 카메라 및 제 2 카메라 중, 액티베이팅 되는 카메라에 따라 카메라로부터 획득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위치를 조정하는 3-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스크린을 포함하는 제 1 바디와, 제 2 스크린을 포함하는 제 2 바디와, 제 3 스크린을 포함하는 제 3 바디와, 상기 제 1 스크린, 상기 제 2 스크린 및 상기 제 3 스크린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 1 바디 및 상기 제 2 바디를 연결하는 제 1 밴딩부와, 상기 제 2 바디 및 상기 제 3 바디를 연결하는 제 2 밴딩부와, 상기 제 1 바디에 구비된 제 1 해상도의 제 1 카메라와, 상기 제 2 바디에 구비된 제 2 해상도의 제 2 카메라 및, 상기 제 1 카메라의 상기 제 1 해상도는 상기 제 2 카메라의 상기 제 2 해상도보다 크고, 상기 제 1 카메라 및 상기 제 2 카메라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에 구비됨, 상기 제 1 카메라, 상기 제 2 카메라, 상기 제 1 스크린, 상기 제 2 스크린 및 상기 제 3 스크린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카메라를 액티베이팅(activating) 하는 경우,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상기 제 2 스크린 및 상기 제 3 스크린에 제공하되, 상기 프리뷰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 1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제 1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제 2 카메라를 액티베이팅(activating) 하는 경우,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상기 제 1 스크린 또는 상기 제 3 스크린에 제공하되, 상기 프리뷰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 2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제 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스크린을 포함하는 제 1 바디, 제 2 스크린을 포함하는 제 2 바디, 제 3 스크린을 포함하는 제 3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바디 및 상기 제 2 바디를 연결하는 제 1 밴딩부 및 상기 제 2 바디 및 상기 제 3 바디를 연결하는 제 2 밴딩부를 포함함, 상기 제 1 바디에 구비된 제 1 해상도의 제 1 카메라를 액티베이팅 하는 경우,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상기 제 2 스크린 및 상기 제 3 스크린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프리뷰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 1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제 1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함, 상기 제 2 바디에 구비된 제 2 해상도의 제 2 카메라를 액티베이팅(activating) 하는 경우, 상기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상기 제 1 스크린 또는 제 3 스크린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프리뷰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 2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제 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카메라의 상기 제 1 해상도는 상기 제 2 카메라의 상기 제 2 해상도보다 크고, 상기 제 1 카메라 및 상기 제 2 카메라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스크린을 포함하는 제 1 바디와, 제 2 스크린을 포함하는 제 2 바디와, 제 3 스크린을 포함하는 제 3 바디와, 상기 제 1 스크린, 상기 제 2 스크린 및 상기 제 3 스크린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에 구비됨, 상기 제 1 바디 및 상기 제 2 바디를 연결하는 제 1 밴딩부와, 상기 제 2 바디 및 상기 제 3 바디를 연결하는 제 2 밴딩부와, 상기 제 1 바디에 구비된 제 1 해상도의 제 1 카메라와, 상기 제 2 바디에 구비된 제 2 해상도의 제 2 카메라 및, 상기 제 1 카메라의 상기 제 1 해상도는 상기 제 2 카메라의 상기 제 2 해상도보다 크고, 상기 제 1 카메라 및 상기 제 2 카메라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에 구비됨, 상기 제 1 카메라, 상기 제 2 카메라, 상기 제 1 스크린, 상기 제 2 스크린 및 상기 제 3 스크린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2D 모드이면, 상기 제 1 카메라를 액티베이팅 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3D 모드이면, 상기 제 1 카메라 및 상기 제 2 카메라를 액티베이팅 하되, 상기 제 1 해상도와 상기 제 2 해상도와 동일하도록 상기 제 1 해상도를 낮게 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3-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해상도가 다른 제 1 카메라 및 제 2 카메라를 구성하는 위치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3-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고해상도에 다른 이미지를 큰 스크린 영역에서, 저해상도에 따른 이미지를 작은 스크린 영역에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미지의 해상도에 적합한 스크린 영역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3-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해상도가 다른 제 1 카메라 및 제 2 카메라를 구성하는 위치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액티베이팅 되는 제 1 카메라 또는 제 2 카메라에 따라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보기 편한 스크린에서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발명의 효과에 대해서는, 이하 목차에서 상세히 후술하도록 하겠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은 실시예에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폴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 내지 도 8은 회전시 밴딩부의 형상이 변형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가 특정 방향으로 접힌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밴딩부의 구성에 따라 접어진 상태에서 밴딩부의 예시적인 형상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자기적 성질이 할당된 영역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오픈 상태에서 도 14에 도시된 자기적 성질이 할당된 영역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젤 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오픈된 상태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 내지 도 2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닫힌 상태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 내지 도 2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폐 여부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전원을 제어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5 내지 도 2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젤 구조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균등하게 분할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7 내지 도 2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접히는 순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9 내지 도 3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양한 활용 용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폴딩 전후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폴딩 전후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종횡비가 일정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4는 제 1 밴딩부와 제 2 밴딩부가 비대칭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5는 적어도 두 개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6은 제 2 밴딩부를 밴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7은 제 1 밴딩부를 밴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8은 제 1 밴딩부를 밴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9는 제 1 카메라를 액티베이팅 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0은 제 2 카메라를 액티베이팅 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1은 셀프 촬영을 위한 제 1 모드에서 제 1 카메라를 액티베이팅 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2는 셀프 촬영을 위한 제 1 모드에서 제 2 카메라를 액티베이팅 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3은 일반 촬영을 위한 제 2 모드에서 제 2 카메라를 액티베이팅 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4는 일반 촬영을 위한 제 2 모드에서 제 1 카메라를 액티베이팅 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5는 2D 모드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3D 모드로 진입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6은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세로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더욱이,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명세서가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노트북, 태블릿 PC, 스마트 폰 등 이미지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바디(100) 및 바디에 의해 지지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20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디(100)는 경사면(111,131)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경사면(111,131)은 바디(100)의 양 끝단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바디(100)의 길이는 L1이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200)의 길이는 바디(100)의 길이(L1)보다 긴 L2일 수 있다.
한편, 바디(100)는, 바디(100)의 양 끝단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200)의 양 끝단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1 경사 바디(111, slope body), 제 2 경사 바디(131)로 구성될 수 있다.
바디(100), 제 1 경사 바디(111), 제 2 경사 바디(131)는 하나의 하우징(housing)에서 논리적으로 구분되거나, 물리적으로 분리된 영역을 구성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200)은 바디(100)가 소정의 방향으로 휘어짐에 따라 바디(100)에 의해 지지되어 함께 휘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바디(100)의 미리 정해진 영역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휘어질 수 있다. 바디(100)는 복수의 바디로 분할되고, 각 분할된 바디 사이에 형성되는 밴딩부(bending portion)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미리 정해진 영역은 상기 밴딩부에 해당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바디(100)는 제 1 바디(110), 제 2 바디(120) 및 제 3 바디(1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바디(110), 제 2 바디(120) 및 제 3 바디(130)는 순차적으로 연결된 형태일 수 있다.
제 1 바디(110)와 제 2 바디(120) 사이에 제 1 밴딩부(140)를 구비하고, 제 2 바디와 제 3 바디 사이에 제 2 밴딩부(15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200)은 제 1 바디(110), 제 2 바디(120) 및 제 3 바디(130)에 의해 지지되어 연속하는 스크린(continuous screen)을 구성할 수 있다.
제 1 밴딩부(140) 및 제 2 밴딩부(150)는 제 1 내지 제 3 바디(110,120,130)와 동일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200)이 휘어짐에 따라 제 1 내지 제 3 바디(110,120,130) 또한 플렉서블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밴딩부(140) 및 제 2 밴딩부(150)는 탄성을 가지는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바디(110) 및/또는 제 3 바디(130)가 각각 소정의 방향으로 휘어진 이후, 미리 정해진 힘이 가해지면 제 1 밴딩부(140) 및 제 2 밴딩부(150)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이상 도 1 및 도 2를 통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휘어짐에 따라 일체의 풀 바디 스크린(full body screen)을 형성하는 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내지 도 6은 일 실시예에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폴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은, 제 1 바디(110)가 제 1 밴딩부(141)를 기준으로 폴딩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제 1 바디(110)가 폴딩된 상태에서 제 3 바디(130)가 제 2 밴딩부(151)를 기준으로 폴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200)은 제 1 스크린(210), 제 2 스크린(220) 및 제 3 스크린(2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스크린(210)은 제 1 바디(110)에 의해 지지되고, 제 2 스크린(220)은 제 2 바디(210)에 의해 지지되고, 제 3 스크린(230)은 제 3 바디(1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즉, 바디(100)의 일 측면(예를 들어, 전면(前面))에 배치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200)이 하나의 연속하는 스크린을 구성한다.
제 1 바디(110)가 제 1 밴딩부(141)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 1 바디(110)의 일 단면에 형성되는 경사면(111)이 제 2 바디(120)의 미리 정해진 영역(C1)에 부착된다.
여기서, 제 1 바디(110)의 경사면(111)과 제 2 바디(120)의 미리 정해진 영역(C1)은 자기력에 의한 상호 인력(magnectic attraction)이 적용될 수 있다. 즉, 경사면(111)과 제 2 바디(120)의 미리 정해진 영역(C1)은 서로 반대의 극성(other pole)을 가진다. 특정 바디의 회전에 의한 자기 결합에 대해서는 도 14 내지 도 16을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제 1 밴딩부(141)의 탄성력에 따라 제 1 바디(11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각도가 미리 정해진 임계 각도를 초과하는 경우, 제 1 밴딩부(141)의 탄성력 및 상기 경사면(111)과 제 2 바디(120)의 미리 정해진 영역(C1) 사이의 자기력에 의한 상호 인력이 작용하여 경사면(111)은 제 2 바디(120)의 미리 정해진 영역(C1)에 부착될 수 있다.
한편, 경사면(111)이 제 2 바디(120)의 미리 정해진 영역(C1)에 부착될 때, 제 1 바디(110)와 제 2 바디(120)는 서로 부착되지 않는다. 즉, 제 1 밴딩부(141)는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되 제 1 바디(110)의 회전에 따라 소정의 형상을 유지한다. 이에 따라, 제 1 바디(110)와 제 2 바디(120) 사이에 공간이 존재하게 된다.
한편, 경사면(111)이 부착되는 제 2 바디(120)의 미리 정해진 영역(C1)의 위치는, 제 3 바디(13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 1 바디(110)가 지지하는 제 1 스크린(210)의 미리 정해진 영역(도 4의 C2)에 부착되었을 때 제 2 바디(120)와 제 3 바디(130)가 평행한 상태에 있도록 하는 위치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1 바디(110)의 경사면(111)이 제 2 바디(120)의 미리 정해진 영역(C1)에 부착된 이후, 제 3 바디(13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 1 바디(110)와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3 바디(130)의 경사면(131)이 제 2 밴딩부(151)를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 1 바디(110)에 의해 지지되는 제 1 스크린(210)의 미리 정해진 영역(C2)에 부착될 수 있다.
도 3에서와 마찬가지로 제 3 바디(130)의 경사면(131)과 제 1 스크린(210)의 미리 정해진 영역(C2)은 자기력에 의한 상호 인력(magnectic attraction)이 작용될 수 있다.
제 3 바디(130)의 경사면(131) 부착되는 제 1 스크린(210)의 미리 정해진 영역(C2) 전술한 바와 같이, 제 3 바디(130)가 제 2 밴딩부(151)를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 제 2 바디(120)와 평행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위치일 수 있다.
한편, 도 3 내지 도 4에서, 제 1 바디(110)의 경사면(111)은 제 1 바디의 경사면 영역과 제 1 스크린(210)의 경사면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제 3 바디(130)의 경사면(131)은 제 3 바디(130)의 경사면 영역과 제 3 스크린(230)의 경사면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바디(110)의 회전으로 인해, 제 1 바디(110)의 경사면 영역과 제 1 스크린(210)의 경사면 영역은 모두 제 2 바디의 미리 정해진 영역(C1)과 자기 결합된다. 또한, 제 3 바디(130)의 회전으로 인해, 제 3 바디(130)의 경사면 영역과 제 3 스크린(230)의 경사면 영역은 모두 제 1 스크린(210)의 미리 정해진 영역(C2)과 자기 결합된다.
또한,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할 때, 제 1 밴딩부(141)와 제 2 밴딩부(151)는 제 1 바디(110)와 제 3 바디(130)의 회전으로 인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풀 바디 스크린(full body screen)이 형성될 수 있도록 소정의 형상이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도 3 내지 도 4에서는 제 1 바디(110)가 먼저 폴딩된 상태에서 제 3 바디(130)가 폴딩되는 순서로 풀 바디 스크린이 형성되는 과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제 1 바디(110)와 제 3 바디(130)의 폴딩 순서에 관계 없이 풀 바디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대칭적 구조로 인해, 제 1 바디(110)와 제 3 바디(130)의 폴딩 순서에 관계 없이 동일한 풀 바디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 3 바디(130)가 제 2 밴딩부(151)를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 3 바디(130)의 일 단면에 형성되는 경사면(131)이 제 2 바디(120)의 미리 정해진 영역(C3)에 부착된다.
여기서, 제 3 바디(130)의 경사면(131)과 제 2 바디(120)의 미리 정해진 영역(C3)은 자기력에 의한 상호 인력(magnectic attraction)이 적용될 수 있다. 즉, 경사면(111)과 제 2 바디(120)의 미리 정해진 영역(C1)은 서로 반대의 극성(other pole)을 가진다.
또한, 제 2 밴딩부(151)의 탄성력에 따라 제 3 바디(13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각도가 미리 정해진 임계 각도를 초과하는 경우, 제 2 밴딩부(151)의 탄성력 및 상기 경사면(131)과 제 2 바디(120)의 미리 정해진 영역(C3) 사이의 자기력에 의한 상호 인력이 작용하여 경사면(131)은 제 2 바디(120)의 미리 정해진 영역(C3)에 부착될 수 있다.
한편, 경사면(131)이 제 2 바디(120)의 미리 정해진 영역(C3)에 부착될 때, 제 3 바디(130)와 제 2 바디(120)는 서로 부착되지 않는다. 즉, 제 2 밴딩부(151)는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되 제 3 바디(130)의 회전에 따라 소정의 형상을 유지한다. 이에 따라, 제 3 바디(130)와 제 2 바디(120) 사이에 공간이 존재하게 된다.
한편, 경사면(131)이 부착되는 제 2 바디(120)의 미리 정해진 영역(C3)의 위치는, 제 1 바디(11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 3 바디(130)가 지지하는 제 3 스크린(310)의 미리 정해진 영역(도 6의 C4)에 부착되었을 때 제 2 바디(120)와 제 1 바디(110)가 평행한 상태에 있도록 하는 위치일 수 있다.
그런 후, 도 6을 참조하면, 제 3 바디(130)의 경사면(131)이 제 2 바디(120)의 미리 정해진 영역(C3)에 부착된 이후, 제 1 바디(11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 1 바디(110)와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바디(110)의 경사면(131)이 제 1 밴딩부(141)를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 3 바디(130)에 의해 지지되는 제 3 스크린(230)의 미리 정해진 영역(C4)에 부착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을 통해 살펴본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완전 대칭 구조를 이루기 때문에 제 2 바디(120)를 기준으로 제 1 바디(110) 또는 제 3 바디(130) 중 어떠한 것을 먼저 회전시키는지에 관계 없이 동일한 풀 바디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제 1 바디(110) 및/또는 제 3 바디(130)가 회전함에 따라 바디(100)에 구비되는 밴딩부(140,150)의 변형에 대하여 이하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7 내지 도 8은 회전시 밴딩부의 형상이 변형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 1 밴딩부(140)는 제 1 바디(110)와 제 2 바디(120) 사이에 위치한다.
제 1 바디(11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제 1 밴딩부(140)는 반원 형태의 밴딩부(141)로 그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 1 바디(11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반원 형태의 밴딩부(141')로 형상이 변형된 상태에서, 제 1 바디(110)가 재차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길이가 줄어들면서 처음의 제 1 밴딩부(140)의 형상으로 복귀할 수 있다. 즉, 제 1 바디(110)의 회전에 따라 제 1 밴딩부(140)는 141', 141''와 같이 그 형상이 플렉서블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 3 바디(130)의 회전에 따라 제 2 밴딩부(150)의 형상 변형도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진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가 특정 방향으로 접힌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바디(100), 상기 바디(100)와 접하는 백라이트 유닛 레이어(20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202), 터치 레이어(20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바디(100)는 제 1 바디(110)와 제 2 바디(120) 사이에 제 1 밴딩부(140)를 구비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 2 바디(120)와 제 3 바디(130) 사이에 제 2 밴딩부(150)가 구비되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200)이 제 1 바디(110), 제 1 밴딩부(140), 제 2 바디(120), 제 2 밴딩부(150), 제 3 바디(130)에 의해 지지되어 연속적인 스크린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각 밴딩부(140,150)에 의해 바디(100)가 밴딩됨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200) 또한 휘어지게 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 1 밴딩부(140)를 기준으로 제 2 바디(12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제 1 바디와(110)와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밴딩부(140)는 직사각형 형상에서 반원 형상으로 그 형상을 변형하여 제 1 바디(110)와 제 2 바디(120)가 부착된 상태에서 두 개의 바디(110,120)를 연계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밴딩부(140)의 구조와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밴딩부의 구성에 따라 접어진 상태에서 밴딩부의 예시적인 형상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 1 밴딩부(141)는 슬라이딩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 2 바디(120)가 제 1 밴딩부(141)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 1 밴딩부(141')는 상단부가 부채꼴 형상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그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200)은 상기 제 1 밴딩부(141)의 슬라이딩과 함께 슬라이딩되면서 접힐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 1 밴딩부(140)는 제 1 블럭(141) 및 제 2 블럭(143)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블럭(142)은 제 1 바디(110)에 부착되고 제 2 블럭(143)은 제 2 바디(120)에 부착된다. 제 1 블럭(142) 및 제 2 블럭(143)은 삼각형 형상으로서, 두 블럭(142,143)이 하나의 꼭지점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바디(120)가 시계 방향으로 90°회전하는 경우, 제 1 블럭(142')의 일면과 제 2 블럭(143')의 일면이 서로 겹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 1 밴딩부(140)는 플렉서블 바디(144)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바디(110)와 제 2 바디(120) 사이에 플렉서블 바디(144)가 구비되고, 제 2 바디(12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플렉서블 바디(144')가 소정의 방향으로 인장됨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200)의 접혀질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바디(144')의 인장 강도는 부위별로 다를 수 있으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200)과 접하는 면의 인장성이 그렇지 않은 면보다 좋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풀 바디 스크린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 1 바디(110) 및/또는 제 3 바디(130)가 휘어짐에 따라 바디 영역 사이 또는 바디 영역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 영역 사이의 부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자기적 성질이 할당된 영역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바디(100)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200)은 각각 미리 정해진 영역에 자성(magnetic)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바디(110)의 경사면(111)과 제 3 바디(130)의 경사면(131)은 제 1 극성(pole)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 1 바디(110)의 경사면(111)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부착될 제 2 바디의 미리 정해진 영역(A1)은 상기 제 1 극성과 반대의 제 2 극성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 1 바디(110)의 경사면(110)이 A1 영역에 부착된 상태에서, 제 1 극성을 갖는 제 3 바디(130)의 경사면(131)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부착하게 될 제 1 스크린(110)의 영역(A3)은 상기 제 1 극성(예를 들어,'-극')과 반대의 제 2 극성(예를 들어,'+극')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대칭 구조이므로 제 3 바디(130)가 제 1 바디(110) 보다 먼저 회전하는 경우를 고려할 때, 제 1 극성(예를 들어, '-극')을 갖는 제 3 바디(130)의 경사면(131)이 부착하게 될 제 2 바디의 영역 A2는 제 2 극성(예를 들어, '+극')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 1 극성(예를 들어, '-극')을 갖는 제 1 바디(110)의 경사면(111)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부착하게 될 제 3 스크린(230)의 영역 A4는 제 2 극성(예를 들어 '+극')을 가질 수 있다.
이하 도 15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5 내지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오픈 상태에서 도 14에 도시된 자기적 성질이 할당된 영역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펼쳐진 상태에서 제 1 스크린(210), 제 2 스크린(220) 및 제 3 스크린(230)이 외부로 노출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크린 상단 및 하단 영역에 소정의 베젤 영역(B1, B2)을 구비할 수 있다.
제 1 스크린(210)의 A3 영역은 '+극성'을 갖는 영역으로서, 제 3 바디(130)의 경사면(131)과 자기력에 의한 인력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 3 스크린(230)의 A4 영역은 '+극성"을 갖는 영역으로서, 제 1 바디(110)의 경사면(111)과 자기력에 의한 인력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 1 스크린(210) 및 제 3 스크린(230)의 특정 영역이 갖는 자기적 성질을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적 특성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밴딩부는 밴딩 센서(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밴딩 센서는 제 1 바디(110)의 회전을 감지할 수 있다. 제 1 바디(11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미도시)는, 디스플레이를 제어하여 제 1 스크린(210)의 A3 영역이 특정 자성을 가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바디(110)가 밴딩된 상태에서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는 경우, 상기 밴딩 센서가 이를 감지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미도시)에서, 디스플레이를 제어하여 제 1 스크린(210)의 A3 영역이 가지는 극성을 제거할 수 있다.
제 1 스크린(210) 및 제 3 스크린(230)에 소정의 자성을 갖는 물질이 존재하는 경우, 제 1 스크린(210) 및 제 3 스크린(230)을 통해 표시되는 영상의 왜곡이 존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200)이 완전히 펼쳐진 경우, 제 1 스크린(210) 및 제 3 스크린(230)이 특정 바디 영역과 자기력에 의해 결합될 필요가 없으므로, A3 영역 및 A4 영역이 가지는 자성을 제거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러나, 제 1 스크린(210) 및 제 3 스크린(230)이 각각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 2 스크린(220) 만이 전면(前面)으로 향하고, 나머지 스크린(210 또는 230)은 후면(後面) 또는 바디 내부에 존재하게 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미도시)는, A3 영역 및 A4 영역이 소정의 자성을 갖도록 디스플레이의 물리적 특성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 1 스크린(210), 제 2 스크린(220) 및 제 3 스크린(230)으로 구성될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200)에 있어서, 자성을 가지는 영역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스크린(210) 및/또는 제 3 스크린(230) 영역이 아니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200)의 베젤 영역(B1, B2)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6을 참조하면, A31,A32,A41,A42 영역에 각각 소정의 극성을 가지는 자성이 할당될 수 있으며, A31 영역 및/또는 A32은 제 3 바디(130)의 회전에 의해 제 3 바디의 경사면(131)과 자기 결합될 수 있다. A41 영역 및/또는 A42은 제 1 바디(110)의 회전에 의해 제 1 바디의 경사면(111)과 자기 결합될 수 있다.
도 17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200)을 지지하는 바디(100)를 나타낸다.
도 17을 참조하면, 제 1 바디(110)의 경사면(111)과 제 3 바디(130)의 경사면(131)은 각각 제 1 극성(예를 들어, '-'극)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면(111,131)과 회전에 의해 결합될 제 2 바디(120)의 A1 및 A2 영역은 상기 제 1 극성과 반대의 제 2 극성(예를 들어, '+'극)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에 따라 제 1 바디의 경사면(111) 및 제 3 바디의 경사면(131)이 제 1 극성(예를 들어, '-'극)을 가지는 영역은 각 경사면(111,131)의 전체 영역일 수도 있으나,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베젤 영역(111a, 111b, 131a, 131b)에 한정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경사면(111,131)과 회전에 의해 결합될 제 2 바디(120)의 A1 및 A2 영역은 상기 제 1 극성과 반대의 제 2 극성(예를 들어, '+'극)을 가질 수 있다.
제 1 극성(예를 들어, '-'극)을 가지는 베젤 영역(111a, 111b)과 자기 결합되는 제 2 바디(120)의 영역 또한 A21, A22, A11, A12로 한정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바디(110) 및 제 3 바디(130)의 회전에 의해 각각 자기 결합되는 영역이 베젤 영역(A21, A22, A11, A12)의 일부일 수 있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젤 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한편, 도 15 내지 도 18에서 참조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200)의 상단 및 하단 영역에 각각 베젤 영역(B1,B2)을 구비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210,220,230)은 각각 상단, 하단, 좌측면, 우측면에 각각 베젤 영역(B)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젤 영역(B)은, 제 1 스크린(210) 및/또는 제 3 스크린(230)의 회전에 의해 자기 결합 가능하도록 미리 정해진 영역에 소정의 자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젤 영역(B)의 상기 미리 정해진 영역은 밴딩 센서(미도시)의해 감지되는 제 1 스크린(210) 및/또는 제 3 스크린(230)의 회전량에 따라 미리 정해진 자기적 성질을 가지도록 자성 특성을 제어될 수 있다.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오픈된 상태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 내지 도 2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닫힌 상태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바디(110) 내지 제 3 바디(130) 중 어느 하나의 바디에 카메라(31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구비된 카메라에 대해서는 도 35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2 바디(120)에 스피커(320) 및 마이크(3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310)는 제 3 바디(130)의 대응되는 베젤 영역(B1)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스피커(320) 및 마이크(330)는 각각 제 2 바디(120)의 대응되는 베젤 영역(B2)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310)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적 특성에 따라 전방 카메라 또는 후방 카메라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200)이 모두 펼쳐진 상태에서는, 제 3 바디(130)에 의해 지지되는 스크린의 베젤 영역 중 특정 영역에 배치되는 카메라(310)는 전방 카메라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21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200)의 제 2 스크린(220) 만이 전면에 노출되고, 제 3 스크린(230)은 후면에 노출되고, 제 1 스크린(210)은 전면 및 후면 어느 영역에도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3 스크린(230)의 대응되는 베젤 영역에 구비되는 카메라(310)는 후방 카메라로 이용될 수 있다.
즉, 실시되는 예에 따라, 제 2 스크린(220)만이 전면에 노출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휴대용 전화기 모드(제 1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제 1 스크린(210), 제 2 스크린(220) 및 제 3 스크린(230) 모두 전면에 노출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마트 패드 모드(제 2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제 1 모드 또는 제 2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에 존재하는 경우, 모드에 따라 스크린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3 내지 도 2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폐 여부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전원을 제어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밴딩센서(미도시)에 의해 제 1 바디(110) 및/또는 제 3 바디(120)가 밴딩된 상태임을 감지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 1 모드에서 동작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전면(前面)에 노출되는 제 2 스크린(220)의 전원만을 온(on)하고, 나머지 제 1 스크린(210) 및 제 3 스크린(230)의 전원을 오프(off) 시킬 수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제 1 스크린(210)이 P1 위치에 존재하는 경우, 전원이 온(on) 상태로 존재하지만, 제 1 스크린(210)이 상기 P1 위치에서 P2 방향으로 밴딩됨에 따라, 제어부(미도시)는 제 1 스크린(210)의 전원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제 3 스크린(23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P3 위치에서 P4 방향으로 밴딩됨에 따라 제어부(미도시)는 제 3 스크린(230)의 전원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적 특성 및 사용 용도를 고려하여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제 1 바디(110), 제 2 바디(120) 및 제 3 바디(130)의 길이는 서로 동일하다. 그리도, 제 1 스크린(210), 제 2 스크린(220) 및 제 3 스크린(230)은 서로 균등하게 분할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바디 또는 스크린이 균등하게 분할되는 예를 설명한다.
도 25 내지 도 2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젤 구조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균등하게 분할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0)는 상단 및 하단에 각각 베젤 영역(B1, B2)을 구비할 수 있다.
제 1 바디와 제 3 바디 모두 회전하여 접혀진 경우, 각 바디의 길이(L1, L2, L3)는 도 2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또한, 각 바디가 접혀짐에 따라 발생하게 되는 높이 또는 두께(d1, d2) 또한 동일하다.
한편, 도 26을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200)는 상단, 하단, 좌측면 및 우측면이 모두 베젤 영역(B1, B2, B3, B4)으로 둘러싸여 있는 모습니다.
이 경우, 제 1 바디와 제 3 바디가 모두 회전하여 접혀진 경우, 좌측면의 베젤 영역(B3)과 우측면의 베젤 영역(B4)의 길이를 제외한 L1, L2, L3 가 서로 동일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27 내지 도 2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접혀지는 순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7을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200)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200)을 지지하는 바디(100)가 펼쳐진 상태에서(a), 제 1 바디(10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 2 바디와 연결된다(b). 그런 후, 제 3 바디(3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c) 상기 제 2 바디와 연결된 제 1 바디와 연결된다(d).
이에 따라, 모든 스크린에 외부로 노출되어 풀 바디 스크린이 구현될 수 있다. 즉, 이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200)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회전시키는 형태이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바디 및 제 3 바디의 회전에 따라 모든 스크린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바디는, 제 1 바디(110), 제 2 바디(120) 및 제 3 바디(130)가 순차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 1 바디(110)와 제 2 바디(120) 사이에 제 1 밴딩부(140)를 구비하고, 제 2 바디(120)와 제 3 바디(130) 사이에 제 2 밴딩부(150)를 구비할 수 있다(a).
그리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200)은 상기 제 1 바디(110)에 의해 지지되고 일 단면에 경사면이 마련된 제 1 스크린(210)과, 제 2 바디에 의해 지지되는 제 2 스크린(220) 및 제 3 바디(130)에 의해 지지되고 일 단면에 경사면이 마련된 제 3 스크린(2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스크린(210), 제 2 스크린(220) 및 제 3 스크린(230)은 연속하는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다.
제 3 바디(13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b), 제 3 스크린(230)의 경사면이 제 1 스크린(210)에 부착에 부착될 수 있다(c).
그런 후, 제 1 바디(110)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d), 제 1 스크린(210)과 부착된 제 3 스크린(230)을 지지하는 제 3 바디(230)와 부착될 수 있다(e).
이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200)은 모두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바디만이 외부로 노출된다.
이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20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안도록 접는 경우,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200)을 3 가지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스크린(210), 제 2 스크린(220) 및 3 스크린(250) 모두 외부로 노출되는 오픈 구성(open configuration)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 1 바디(110)가 회전하여 제 1 스크린의 경사면이 제 2 스크린에 부착됨에 따라 제 3 스크린만이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적으로 닫힌 구성(partially closed configuration)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 1 바디(110)가 회전하여 제 1 스크린(210)의 경사면이 제 2 스크린(220)에 부착된 상태에서 제 3 바디(130)가 회전하여 제 3 스크린(230)의 경사면이 제 1 바디(110)와 부착되어 제 1 내지 제 3 터치 스크린이 모두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닫힌 구성(closed configuration)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도 28을 통해 설명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경사면을 가지도록 서술하였으나, 상기 경사면은 바디에 해당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경사면 없이 평면 패널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9 내지 도 3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양한 활용 용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9를 참조하면, 제 3 바디(130)만이 회전되어 접혀진 상태에서 제 1 스크린(210)과 제 2 스크린(220)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혀진 제 3 바디(130)의 경사로 인하여 제 1 스크린(210) 및 제 2 스크린(220)을 이용함에 있어서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다.
도 30을 참조하면, 전술한 예들과 달리, 제 1 바디(110)와 제 3 바디(130)를 연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바디(100)의 경사면의 모서리와 제 3 바디(131)의 경사면의 모서리를 연결하는 경우, 제 1 스크린(210)과 제 3 스크린(230)을 활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자체를 거치대로 이용할 수도 있다.
도 31을 참조하면, 도 17 내지 도 1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200)을 모두 펼친 상태에서 후면의 바디(100) 영역 중 A1 및 A2 영역이 소정의 자성을 갖는 영역으로 구성됨에 따라, 자성을 갖는 외부 물체에 간편하게 부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폴딩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종횡비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폴딩 전후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2의 좌측은 폴딩 전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3010)를 나타내고, 우측은 폴딩 후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3010)의 폴딩된 일부(3020)를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3010)은 제 1 바디에 의해 지지되는 제 1 스크린(3030), 제 2 바디에 의해 지지되는 제 2 스크린(3040), 제 3 바디에 의해 지지되는 제 3 스크린(305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 1 스크린(3030)을 지지하는 제 1 바디 및 제 2 스크린(3040)을 지지하는 제 2 바디 사이에 구비되어, 제 1 스크린(3030) 및 제 2 스크린(3040)의 경계부를 지지하는 제 1 밴딩부(3060) 및 제 2 스크린(3040)을 지지하는 제 2 바디 및 제 3 스크린(3050)을 지지하는 제 3 바디 사이에 구비되어, 제 2 스크린(3040) 및 제 3 스크린(3050)의 경계부를 지지하는 제 2 밴딩부(307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스크린(3030), 제 2 스크린(3040) 및 제 3 스크린(3050)의 사이즈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제 1 밴딩부(3060) 및 제 2 밴딩부(307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3010)의 후면에 위치하며, 도 32 및 도 33에서는 해당 위치를 편의상 정면도에서 도시하였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폴딩되면, 제 1 스크린(3030), 제 2 스크린(3040) 및 제 3 스크린(3050) 중 하나의 스크린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면에, 다른 하나의 스크린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후면에 위치하게 된다. 도 30에서 우측의 스크린(3020)은 폴딩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전면 또는 후면의 스크린을 나타내며, 따라서 우측의 스크린(3020)은 제 1 스크린(3030) 내지 제 3 스크린(3050) 중 하나에 해당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소정의 종횡비를 갖도록 설계된다. 도 32의 실시예에서, 폴딩 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3010)의 종횡비는 a : b 에 해당한다. 그리고 폴딩 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스크린(3020)의 종횡비는 c : d 에 해당한다. 다만, 폴딩 전후에 따라 종횡비가 변하는 것 보다는 동일한 종횡비를 갖도록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설계하는 것이 사용자에게 보다 좋은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즉, 폴딩 전후의 종횡비가 다른 경우 폴딩 전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디스플레이 되던 콘텐츠가 폴딩 후에는 여백이 남거나 종횡비가 바뀌어야 하므로 콘텐츠 디스플레이의 일관성이 없어지고, 종횡비 등 콘텐츠 디스플레이 수정에 따른 추가적인 프로세싱까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폴딩 전후의 디스플레이 종횡비가 동일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 가로 길이 및 세로 길이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 x축, y축의 수직하는 길이들 중 더 긴 길이를 가로 길이로, 더 짧은 길이를 세로 길이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폴딩 전후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종횡비가 일정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3에서, 폴딩 전후에 일정하게 유지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종횡비는 a : b로 가정하도록 한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폴딩 전의 디스플레이 스크린(3010)의 종횡비(a : b)가 폴딩 후의 디스플레이 스크린(3020)의 종횡비(c : d)와 갖도록 설계하고자 한다.
도 32 및 도 33에서, 폴딩 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가로 길이는 a, 세로 길이는 b로 가정한다. 또한, 폴딩 후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가로길이는 c, 세로 길이는 d로 가정한다. a, b, c 및 d 는 양의 정수로, 단위는 인치, 센치미터 등이 될 수 있다.
폴딩 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3010)의 세로 길이(b)는 폴딩 후 디스플레이 스크린(3020)의 가로 길이(c)에 해당하므로, c = b 가 된다. 폴딩 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3010)의 가로 길이(a)는 제 1 스크린, 제 2 스크린 및 제 3 스크린의 너비와 제 1 밴딩부 및 제 2 밴딩부의 너비의 합이 된다. 다만, 폴딩 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사이즈가 모두 동일한 사이즈를 갖고, 동일한 종횡비를 갖도록 제 1 스크린, 제 2 스크린, 제 3 스크린의 사이즈가 동일하도록 설계함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폴딩 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3010)의 가로 길이(a)는, 제 1 스크린의 너비(d), 제 2 스크린의 너비(d) 및 제 3 스크린의 너비(d)와 제 1 밴딩부의 너비(x) 및 제 2 밴딩부의 너비(x)의 합(a = d+d+d+x+x = 3d+2x)가 된다. 제 1 스크린의 너비(d), 제 2 스크린의 너비(d) 및 제 3 스크린의 너비(d)는 폴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3020)의 세로 길이(d)가 된다.
폴딩 전후 스크린들의 종횡비를 동일하게 유지하는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3010)의 사이즈와 종횡비가 결정되면, 그에 따라 폴딩된 디스플레이 스크린(3020)의 사이즈가 결정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31에서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3010)의 사이즈가 종횡비(a : b)에 따라 가로 길이는 a, 세로 길이는 b로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폴딩된 디스플레이 스크린(3020)의 종횡비도 a : b가 되어야 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c = b 이므로, d의 길이는 b의 제곱을 a로 나눈 값이 되며, 이 과정은 아래와 같다.
a : b = c : d, b = c
b * c = a * d
d = (b * c) / a = b2 / a
그리고, 제 1 밴딩부 및 제 2 밴딩부 각각의 너비(x)는 아래와 같이 산출할 수 있다.
a = 3d + 2x
x = (a - 3d)/2 이고,
d = b2 / a 이므로
x = (a2 - 3b2) / (2a) 가 된다. (x = a2-3b2/2a)
또한, x는 양의 정수이어야 하므로,
x > 0 이고, (a2-3b2) > 0 이다.
따라서,
Figure pat00001
가 된다.
여기에서,
Figure pat00002
이므로, 일 실시예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폴딩 전후 종횡비를 동일하게 유지하려면, 종횡비(a/b)가 약 1.7302 보다 커야 한다.
결론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3분할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종횡비(a : b)가 약 1:1.7302보다 큰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종:횡 사이즈(a:b)에 따라서, 포함되는 제 1 스크린 내지 제 3 스크린의 각각의 종/횡 사이즈는 (b: b2/a)로 결정되고, 제 1 밴딩부 및 제 2 밴딩부 각각의 너비는 (x = a2-3b2/2a)가 된다.
밴딩부의 너비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종횡비와 디바이스 사이즈를 기준으로 다시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가로 길이가 a, 세로길이가 b이고, 종횡비는 α : β로 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a : b = α : β이므로, 이를 사용하여 밴딩부의 너비를 표현하면, 밴딩부의 너비는 a/2(1-3(β/α)2) 로 표현할 수도 있다.
종횡비에 따른 가로/세로 사이즈들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베젤 부분의 포함 여부 및 베젤 부분의 폭 등을 고려하여 적어도 5% 내외의 수치에서 변할 수 있다. 또한, 도 32 및 도 33에서는 스크린 전체의 종횡비 및 사이즈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스크린 내에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는 유효 영역(베젤을 제외한 부분)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34는 제 1 밴딩부와 제 2 밴딩부가 비대칭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지금까지는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밴딩부(141) 및 제 2 밴딩부(151)의 사이즈 및 밴딩된 곡률이 동일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도 34와 같이, 제 1 밴딩부(3410)와 제 2 밴딩부(3420)가 비대칭인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35는 적어도 두 개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5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오픈된 상태의 일 실시예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스크린(3210)을 지지하는 제 1 바디, 제 2 스크린(3220)을 지지하는 제 2 바디 및 제 3 스크린(3230)을 지지하는 제 3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스크린(3210), 제 2 스크린(3220) 및 제 3 스크린(3230)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에 구비될 수 있고, 도 35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바디에 대응되는 베젤 영역(B1)에 제 1 해상도의 제 1 카메라(3260)을 구비하고, 제 2 바디에 대응되는 베젤 영역(B1)에 제 2 해상도의 제 2 카메라(327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카메라(3260)의 제 1 해상도는 제 2 카메라(3270)의 해상도보다 크고, 제 1 카메라(3260) 및 제 2 카메라(327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바디 및 제 2 바디를 연결하는 제 1 밴딩부(328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2 바디 및 제 3 바디를 연결하는 제 2 밴딩부(329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3 바디에 대응되는 베젤 영역(B1)에 스피커(3240)를 구비하고, 제 3 바디에 대응되는 베젤 영역(B2)에 마이크(3250)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적 특성 또는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제 1 카메라(3260) 및 제 2 카메라(3270) 중 적어도 하나를 액티베이팅 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 도 39 내지 도 4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에 앞서, 제 1 카메라(3260) 및 제 2 카메라(3270) 중 적어도 하나를 액티베이팅 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적 특성을 먼저 설명하도록 한다.
도 36은 제 2 밴딩부를 밴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도 35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관지어 설명한다.
제 1 카메라(3260) 및 제 2 카메라(327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구비된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제 1 카메라(3260) 및 제 2 카메라(3270)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과 후면에 나눠지지 않고, 동일한 면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카메라(3260)와 제 2 카메라(3270)는, 제 1 밴딩부(3280)가 밴딩되는 않는다면, 둘 다 동일한 방향을 촬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카메라(3260)와 제 2 카메라(3270)가 동일한 방향을 촬영하는 경우, 제 1 카메라(3260)부터 획득한 제 1 이미지 및 제 2 카메라(3270)로부터 획득한 제 2 이미지를 이용하여 3D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 1 카메라(3260)과 제 2 카메라(3270)는 동일한 방향을 촬영하지만 거리가 어느 정도 떨어져 있다. 따라서, 제 1 카메라(3260)는 사용자의 좌안에서 보는 제 1 이미지를, 제 2 카메라(3270)는 사용자의 우안에서 보는 제 2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이미지 및 제 2 이미지를 이용하여 3D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모드에 따라 3D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스크린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모드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셀프 촬영을 위한 제 1 모드 및 사용자가 바라보는 배경을 일반 촬영하기 위한 제 2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일반 촬영을 위한 제 2 모드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2 밴딩부(3290)가 밴딩된 경우, 제 1 카메라(3260) 및 제 2 카메라(3270)를 이용하여 생성 또는 획득한 3D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의 전면에 위치하는 제 3 스크린(3230)에 제공할 수 있다.
반면에, 셀프 촬영을 위한 제 1 모드인 디스플레이 장치는,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제 1 스크린(3210) 및 제 2 스크린(3220)에 제공할 수 있다. 즉, 따라서, 사용자는 스스로 촬영하면서, 촬영된 본인에 대한 3D 이미지를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통해 바로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제 1 카메라(3260)와 제 2 카메라(3270)를 이용하여 3D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제 1 카메라(3260)의 해상도와 제 2 카메라(3270)의 해상도가 동일해야 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고해상도인 제 2 카메라(3270)의 제 2 해상도를 저해상도인 제 1 카메라(3260)의 제 1 해상도에 맞춤으로써, 제 1 카메라(3260)의 제 1 해상도 및 제 2 카메라(3270)의 제 2 해상도를 동일하게 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 1 카메라(3260)의 제 1 해상도와 제 2 카메라(3270)의 제 2 해상도는 하드웨어적으로는 다르다. 그러나,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처리 등의 방법을 통해 제 1 카메라(3260)의 제 1 해상도와 제 2 카메라(3270)의 제 2 해상도를 소프트웨어적으로 동일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는 고해상도의 이미지를 저해상도의 이미지로 조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좌안에 대응하는 제 1 이미지와 사용자의 우안에 대응하는 제 2 이미지의 해상도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도 37은 제 1 밴딩부를 밴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도 35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관지어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카메라(3260) 및 제 2 카메라(327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구비된 전면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밴딩부(3280)가 밴딩되면, 제 1 카메라(3260)과 제 2 카메라(3270)는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카메라(3260)는 후방 카메라로, 제 2 카메라(3270)는 전방 카메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전방에 위치한 사용자는 제 2 스크린(3220) 및 제 3 스크린(3230)에 제공된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1 카메라(3260)로부터 획득한 제 1 이미지를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카메라(3260)는 제 1 밴딩부(3280)가 밴딩되면, 향하는 방향이 변할 수 있다. 또한, 제 1 카메라(3260)는 후방 카메라로서 이용되는 경우가 많아, 원거리의 풍경 또는 피사체 등을 촬영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밴딩부(3280) 또는 제 2 밴딩부(3290)가 밴딩 되더라도, 제 2 카메라(3270)가 향하는 방향을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제 2 카메라(3270)는 전방 카메라로서 이용되는 경우가 많아, 셀프 모드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셀프 카메라 기능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카메라(3260)의 제 1 해상도는 고해상도, 제 2 카메라(3270)의 제 2 해상도는 저해상도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해상도 차이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즉, 하드웨어적 해상도가 차이 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밴딩부(3280)를 기준으로 제 1 스크린(3210)에 근접한 제 1 카메라(3260)는 고해상도의 카메라를, 제 2 스크린(3220)에 근접한 제 2 카메라(3270)는 저해상도의 카메라를 위치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풍경이나 다른 피사체를 촬영하기를 원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고해상도인 제 1 카메라(3260)를 통해 풍경이나 다른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2 스크린(3220) 및 제 3 스크린(3230)에 촬영한 제 1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고해상도 영상을 제 1 스크린(3210) 및 제 2 스크린(3220)을 통해 크게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사용자가 고해상도 영상을 더욱 잘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38은 제 1 밴딩부를 밴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도 35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관지어 설명한다. 또한, 도 37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카메라(3260)는 고해상도, 제 2 카메라(3270)는 저해상도인 것을 가정한다.
제 1 밴딩부(3280)가 밴딩되면, 제 1 카메라(3260)와 제 2 카메라(3270)는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카메라(3260)를 전방 카메라로, 제 2 카메라(3270)를 후방 카메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전방에 위치한 사용자는 촬영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제 1 스크린(3210)을 통해 볼 수 있다.
도 37 내지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하게 제 1 밴딩부(3280)가 밴딩된 경우라 할지라도,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제 1 카메라(3260)가 전방 카메라 또는 후방 카메라로 이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가 제 1 밴딩부를 밴딩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잡고 있는 형태에 따라 제 2 카메라(3270)가 전방 카메라 또는 후방 카메라로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가 근접 거리의 영상을 촬영하거나, 고해상도 이미지가 필요 없는 경우, 저해상도인 제 2 카메라(3270)를 통해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2 카메라(3270)로부터 획득한 제 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제 1 스크린(3210) 또는 제 3 스크린(3230)에 제공할 수 있다.
저해상도 이미지의 경우, 큰 스크린의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하면 화질이 더 떨어져 보일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스크린(3210) 또는 제 3 스크린(3230)만을 이용하여 작게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저해상도 이미지의 화질을 더 떨어뜨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37 내지 도 3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고해상도의 이미지는 크게 디스플레이 하고, 저해상도의 이미지는 작게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하는 이미지의 해상도에 적합하도록 스크린을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고해상도의 제 1 이미지를 제 2 스크린(3220) 및 제 3 스크린(3230)을 이용하여 볼 수 있고, 저해상도의 제 2 이미지를 제 1 스크린(3210) 또는 제 3 스크린(3230)을 이용하여 볼 수 있다. 즉, 사용자는 고화질을 더욱 잘 실감할 수 있고, 저화질은 덜 실감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카메라(3260) 및 제 2 카메라(3270)를 동일한 측면에 구비하고, 제 1 밴딩부(3280) 및 제 2 밴딩부(3290)를 구비함으로써, 제 1 카메라(3260) 및 제 2 카메라(3270)를 전방 카메라 또는 후방 카메라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전면에 위치한 카메라를 전방 카메라로 정의하고, 전방 카메라와 반대 방향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후방 카메라로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전방 카메라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스스로는 찍는 경우와 같이, 셀프 촬영을 하는 경우에 이용될 수 있고, 후방 카메라는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나 다른 피사체, 풍경 등을 촬영하는 경우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가 촬영하는 대상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제 1 스크린(3210), 제 2 스크린(3220) 및 제 3 스크린(3230) 중 적어도 하나의 스크린에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밴딩부(3280) 및 제 2 밴딩부(3290)를 통해 밴딩될 수 있고,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액티베이팅 하는 카메라 및 스크린을 경우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도 39 내지 45를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장치가 액티베이팅 하는 카메라 및 스크린을 조정하는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9는 제 1 카메라를 액티베이팅 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카메라(3260)를 액티베이팅 하는 경우, 제 1 카메라(3260)로부터 획득한 제 1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제 2 스크린(3220) 및 제 3 스크린(323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밴딩부(3280)가 밴딩되고 제 1 카메라(3260)가 액티베이팅 된 경우, 제 1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제 2 스크린(3220) 및 제 3 스크린(323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40은 제 2 카메라를 액티베이팅 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2 카메라(3270)를 액티베이팅 하는 경우, 제 2 카메라(3270)로부터 획득한 제 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제 1 스크린(321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밴딩부(3280)가 밴딩되고 제 2 카메라(3270)가 액티베이팅 된 경우, 제 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제 1 스크린(3210)에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2 밴딩부(3290)가 밴딩되고 제 2 카메라(3270)가 액티베이팅 된 경우, 제 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제 3 스크린(3230)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는 셀프 촬영을 위한 제 1 모드 또는 일반 촬영을 위한 제 2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 1 모드인 경우,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스크린은 액티베이팅 된 카메라와 같은 방향으로 밴딩된 스크린이어야 한다. 셀프 촬영을 하는 사용자가 촬영된 이미지를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하에서는 도 41 내지 도 4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1은 셀프 촬영을 위한 제 1 모드에서 제 1 카메라를 액티베이팅 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 1 모드인 경우,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스크린은 액티베이팅 된 카메라와 같은 방향으로 밴딩된 스크린이어야 한다. 따라서, 도 41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액티베이팅 된 제 1 카메라(320)가 포함된 제 1 바디에 함께 포함된 제 1 스크린(3210)을 액티베이팅 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2 스크린(3220) 및 제 3 스크린(3230)을 디액티베이팅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불필요한 카메라 및 스크린은 디액티베이팅 함으로써 전원을 절약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모드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카메라(3260)을 통해 사용자를 촬영하고, 제 1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제 1 스크린(3210)에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 1 카메라(3260)을 통해 촬영되는 자신의 모습을 제 1 스크린(3210)을 통해서 볼 수 있다.
도 42는 셀프 촬영을 위한 제 1 모드에서 제 2 카메라를 액티베이팅 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제 1 모드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셀프 촬영을 위한 사용자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카메라(3260) 및 제 2 카메라(3270)를 통해 사용자의 얼굴 또는 시선을 디텍팅 하고, 사용자의 얼굴 또는 시선을 디텍팅 한 카메라를 액티베이팅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얼굴 또는 시선을 디텍팅 하지 못한 카메라는 디액티베이팅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모드 또는 제 2 모드를 선택하는 신호를 디텍팅 하고, 신호에 따라 제 1 모드 또는 제 2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제 1 모드로 진입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카메라(3260)로부터 획득한 제 1 이미지 및 제 2 카메라(3270)로부터 획득한 제 2 이미지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디텍팅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카메라(3260) 및 제 2 카메라(3270) 중 사용자를 디텍팅 한 카메라를 액티베이팅 할 수 있다.
도 42는 사용자가 제 2 카메라(3270)의 전면에 위치하여, 사용자를 디텍팅 한 제 2 카메라(3270)가 액티베이팅 되고, 제 1 카메라(320)는 디액티베이팅 된 일 실시예이다. 따라서, 제 2 카메라(3270)를 액티베이팅 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에게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스크린을 결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 1 모드인 경우, 프리뷰 이미지를 제공할 스크린은 액티베이팅 된 카메라와 같은 방향으로 밴딩된 스크린이어야 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2 카메라(3270)가 포함된 제 2 바디에 함께 포함된 제 2 스크린(3220)을 액티베이팅 할 수 있다. 또한, 제 2 밴딩부(3290)가 밴딩되지 않았으므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3 스크린(3230)도 함께 액티베이팅 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스크린(3210)을 디액티베이팅 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모드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2 카메라(3270)를 통해 사용자를 촬영하고, 제 2 카메라(3270)로부터 획득한 제 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제 2 스크린(3220) 및 제 3 스크린(3240)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 2 카메라(3270)를 통해 촬영되는 자신의 모습을 제 2 스크린(3220) 및 제 3 스크린(3230)을 통해서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모드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디텍팅 하는 사용자의 얼굴 또는 시선의 위치에 따라, 액티베이팅 되는 카메라 및 스크린을 조정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 1 모드일 때 액티베이팅 되는 카메라 및 스크린은 정해진 것이 아니고, 촬영하는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 1 밴딩부(3280) 또는 제 2 밴딩부(3290)를 밴딩하여 제 1 모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기만 하면 된다. 예를 들어, 촬영되는 자신의 이미지를 큰 스크린에서 보고 싶은 사용자는 도 42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형태로 촬영할 수 있고, 촬영되는 자신의 이미지를 작은 스크린에서 보고 싶은 사용자는 도 41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형태로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셀프 촬영이므로 저해상도로 찍고 싶은 사용자는 도 42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형태로 촬영할 수 있고, 고해상도로 찍고 싶은 사용자는 도 41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형태로 촬영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셀프 촬영하기 위해 정해진 형태로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해야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다.
도 43은 일반 촬영을 위한 제 2 모드에서 제 2 카메라를 액티베이팅 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일반 촬영을 위한 제 2 모드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미지를 획득할 카메라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카메라(3260) 및 제 2 카메라(3270)을 통해 사용자의 얼굴 또는 시선을 디텍팅 할 수 있다.
사용자가 배경 등을 촬영하는 경우, 제 1 카메라(3260) 및 제 2 카메라(3270) 중 하나의 카메라만 사용자를 디텍팅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를 디텍팅 한 제 1 카메라(3260)를 디액티베이팅하고, 사용자를 디텍팅 하지 않은 제 2 카메라(3270)를 액티베이팅 할 수 있다. 도 43은 촬영하는 사용자가 제 1 카메라(3260)의 전면에 위치하여, 제 1 카메라(3260)이 디액티베이팅 되고, 제 2 카메라(3270)가 액티베이팅 된 일 실시예이다.
다만,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를 촬영하는 경우, 제 1 카메라(3260) 및 제 2 카메라(3270) 모두 사용자의 얼굴 또는 시선을 디텍팅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더욱 가까이 위치한 사용자를 디텍팅 한 제 1 카메라(3260)를 디액티베이팅 하고, 멀리 위치한 사용자를 디텍팅 한 제 2 카메라(3270)를 액티베이팅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촬영하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근접하기 위치하기 때문이다.
또한, 액티베이팅 할 카메라를 결정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에게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스크린을 결정할 수 있다. 제 2 모드인 경우,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스크린은 액티베이팅 된 카메라와 다른 방향으로 밴딩된 스크린이어야 한다. 즉,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스크린은 디액티베이팅 된 카메라와 같은 방향으로 밴딩된 스크린이다. 프리뷰 인터페이스에 디스플레이 된 이미지를 촬영하는 사용자가 볼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 43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액티베이팅 된 제 1 카메라(3260)가 포함된 제 1 바디에 함께 포함된 제 1 스크린(3210)을 액티베이팅 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2 스크린(3220) 및 제 3 스크린(3230)을 디액티베이팅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불필요한 카메라 및 스크린은 디액티베이팅 함으로써 전원을 절약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모드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2 카메라(3270)를 통해 배경을 촬영하고, 획득한 제 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제 1 스크린(3210)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도 44는 일반 촬영을 위한 제 2 모드에서 제 1 카메라를 액티베이팅 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모드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일반 촬영을 위한 카메라를 결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카메라(3260) 및 제 2 카메라(3270)를 통해 사용자의 얼굴 또는 시선을 디텍팅 하고, 그에 따라 액티베이팅 및 디액티베이팅 할 카메라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카메라(3260) 및 제 2 카메라(3270) 모두가 사용자의 얼굴 또는 시선을 디텍팅 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더욱 가까이 위치한 사용자를 디텍팅 한 제 2 카메라(3270)를 디액티베이팅 하고, 멀리 위치한 사용자를 디텍팅 한 제 1 카메라(3260)을 액티베이팅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촬영하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근접하기 위치하기 때문이다.
또 다른 예로서, 제 1 카메라(3260) 및 제 2 카메라(3270) 중 하나의 카메라만 사용자를 디텍팅 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를 디텍팅 한 제 2 카메라(3270)를 디액티베이팅하고, 사용자를 디텍팅 하지 않은 제 1 카메라(3260)를 액티베이팅 할 수 있다.
따라서, 도 44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모드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카메라(3260)를 통해 배경을 촬영하고, 제 1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제 2 스크린(3220) 및 제 3 스크린(3230)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밴딩부(3280)가 밴딩되고 제 1 카메라(3260)가 액티베이팅 된 경우, 제 1 이미지를 제 2 스크린(3220)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카메라(3260) 또는 제 1 카메라(3260)로부터 획득한 제 1 이미지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제 3 스크린(323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리뷰 인터페이스는 제 1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제 1 이미지 또는 제 2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제 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고, 제 1 이미지, 제 2 이미지, 제 1 카메라 및 제 2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리뷰 인터페이스는 제 1 밴딩부 및 제 2 밴딩부의 밴딩 여부 및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제 1 스크린, 제 2 스크린 및 제 3 스크린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가 제 1 카메라(3260) 또는 제 2 카메라(3270)를 선택하는 신호를 디텍팅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텍팅 한 신호에 따라 제 1 카메라(3260) 또는 제 2 카메라(3270)를 액티베이팅 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 디텍팅, 선택 신호 디텍팅 등 다양한 방법으로 액티베이팅 할 카메라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밴딩된 상태에 있는 제 1 모드 또는 제 2 모드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 1 밴딩부 및 제 2 밴딩부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를 디텍팅 하는 경우, 3D 촬영을 하는 3D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제 1 모드 또는 제 2 모드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일반적인 2D 촬영을 하는 2D 모드인 것을 전제로 한다. 따라서, 제 1 밴딩부 또는 제 2 밴딩부가 밴딩된 디스플레이 장치가 펼쳐져서 오픈된 상태가 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3D 촬영을 위한 3D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4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5는 2D 모드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3D 모드로 진입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5의 (a)는 2D 모드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예로서, 제 2 카메라(3270)가 액티베이팅 되고, 제 1 스크린(3210)이 액티베이팅 되고, 제 1 카메라(3260), 제 2 스크린(3220) 및 제 3 스크린(3230)은 디액티베이팅 된 상태이다. 액티베이팅 된 카메라와 스크린의 위치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는 일반 촬영을 하는 제 2 모드임을 알 수 있다. 제 1 모드 및 제 2 모드는 기본적으로 2D 촬영을 하는 2D 모드인 것을 가정한다.
이때, 도 45의 (b)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밴딩되어 있던 제 1 밴딩부(3280)가 펼쳐지는 신호를 디텍팅 하면, 3D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3D 모드는 3D 촬영을 하기 위한 모드로서, 도 35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카메라(3260) 및 제 2 카메라(3270) 모두를 액티베이팅 하고, 제 1 스크린(3210), 제 2 스크린(3220) 및 제 3 스크린(3230)을 디액티베이팅 할 수 있다.
다만,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카메라(3260) 또는 제 2 카메라(3270)을 통해 사용자의 얼굴 또는 시선을 인식하는 경우, 제 1 스크린(3210), 제 2 스크린(3220) 및 제 3 스크린(3230) 중 적어도 하나를 액티베이팅 하여 3D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도 45의 (c)와 같이, 사용자가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보기 위하여 제 2 밴딩부(3290)를 밴딩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3 스크린(3230)을 액티베이팅 하여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 2 밴딩부(3290)를 밴딩하는 신호를 디텍팅 하였을 때, 이미 제 1 스크린(3210), 제 2 스크린(3220) 및 제 3 스크린(3230)이 액티베이팅 된 상태였다면, 제 1 스크린(3210) 및 제 2 스크린(3220)을 디액티베이팅 하고, 제 3 스크린(3230)을 액티베이팅 할 수도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밴딩부(3280)가 밴딩되고, 제 2 카메라(3270)가 액티베이팅 된 경우,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세로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 도 4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6은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세로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제 2 카메라(3270)가 액티베이팅 되고, 제 2 밴딩부(3290)가 밴딩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3 스크린(3230)에 제 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도 4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밴딩부(3290)의 밴딩 각도가 기 설정된 각도 범위에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세로로 제공할 수 있다. 기 설정된 각도 범위는 제 3 바디와 제 2 바디가 이루는 각도가 90도인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리뷰 인터페이스는 제 2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제 2 이미지 및, 제 2 이미지 또는 제 2 카메라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 3 바디를 디스플레이 장치의 받침대로 이용하면서 편하게 이미지를 촬영 및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4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스크린을 포함하는 제 1 바디, 제 2 스크린을 포함하는 제 2 바디, 제 3 스크린을 포함하는 제 3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바디와 제 2 바디를 연결하는 제 1 밴딩부 및 제 2 바디와 제 3 바디를 포함하는 제 2 밴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바디에 제 1 해상도의 제 1 카메라 및 제 2 바디에 제 2 해상도의 제 2 카메라를 구비할 수 있다. 있다. 이때, 제 1 해상도는 제 2 해상도보다 크고, 제 1 카메라 및 제 2 카메라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 1 스크린, 제 2 스크린 및 제 3 스크린도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에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카메라가 액티베이팅 되었는지 여부를 디텍팅 할 수 있다(S4410).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가 액티베이팅 하고자 하는 카메라를 선택하는 신호를 디텍팅 하여 제 1 카메라 또는 제 2 카메라를 액티베이팅 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위치를 디텍팅 하여, 위치에 따라 제 1 카메라 또는 제 2 카메라를 액티베이팅 할 수 있다.
제 1 카메라가 액티베이팅 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제 1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제 2 스크린 및 제 3 스크린에 제공할 수 있다(S4420). 이때, 제 1 밴딩부가 밴딩되어 있을 수 있다.
제 1 카메라는 디액티베이팅 되고, 제 2 카메라가 액티베이팅 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2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제 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제 1 스크린 또는 제 3 스크린에 제공할 수 있다(S4430). 이때, 제 1 밴딩부가 밴딩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제 1 스크린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 2 밴딩부가 밴딩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제 3 스크린에 제공할 수 있다.
도 42 내지 도 44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이미지 또는 제 2 이미지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디텍팅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이미지를 통해 사용자를 디텍팅 한 경우 제 1 스크린에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2 이미지를 통해 사용자를 디텍팅 한 경우 제 2 스크린 및 제 3 스크린에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거나 제 1 스크린 및 제 2 스크린에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를 셀프 촬영을 위한 제 1 모드 또는 일반 촬영을 위한 제 2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스크린에 제공되는 프리뷰 인터페이스라 하더라도, 제 1 모드인 경우에는 제 1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가고, 제 2 모드인 경우에는 제 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제 2 스크린 및 제 3 스크린에 제공되는 프리뷰 인터페이스라 하더라도, 제 1 모드인 경우에는 제 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고, 제 2 모드인 경우에는 제 1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때, 제 1 밴딩부는 밴딩된 상태일 수 있다.
나아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도면을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각 도면에 서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병합하여 새로운 실시 예를 구현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이전에 설명된 실시 예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설계하는 것도 본 명세서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그리고, 당해 명세서에서는 물건 발명과 방법 발명이 모두 설명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양발명의 설명은 보충적으로 적용될 수가 있다.
3210 제 1 스크린 3220 제 2 스크린
3230 제 3 스크린 3260 제 1 카메라
3270 제 2 카메라 3280 제 1 밴딩부
3290 제 2 밴딩부

Claims (20)

  1.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제 1 스크린을 포함하는 제 1 바디;
    제 2 스크린을 포함하는 제 2 바디;
    제 3 스크린을 포함하는 제 3 바디, 상기 제 1 스크린, 상기 제 2 스크린 및 상기 제 3 스크린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에 구비됨;
    상기 제 1 바디 및 상기 제 2 바디를 연결하는 제 1 밴딩부;
    상기 제 2 바디 및 상기 제 3 바디를 연결하는 제 2 밴딩부;
    상기 제 1 바디에 구비된 제 1 해상도의 제 1 카메라;
    상기 제 2 바디에 구비된 제 2 해상도의 제 2 카메라, 상기 제 1 카메라의 상기 제 1 해상도는 상기 제 2 카메라의 상기 제 2 해상도보다 크고, 상기 제 1 카메라 및 상기 제 2 카메라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에 구비됨; 및
    상기 제 1 카메라, 상기 제 2 카메라, 상기 제 1 스크린, 상기 제 2 스크린 및 상기 제 3 스크린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카메라를 액티베이팅(activating) 하는 경우,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상기 제 2 스크린 및 상기 제 3 스크린에 제공하되, 상기 프리뷰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 1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제 1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상기 제 2 카메라를 액티베이팅(activating) 하는 경우,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상기 제 1 스크린 또는 상기 제 3 스크린에 제공하되, 상기 프리뷰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 2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제 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 1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상기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상기 제 2 스크린 및 상기 제 3 스크린에 제공하는 경우는, 상기 제 1 밴딩부가 밴딩된,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 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상기 제 1 스크린에 제공하는 경우는, 상기 제 1 밴딩부가 밴딩된,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 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상기 제 3 스크린에 제공하는 경우는, 상기 제 2 밴딩부가 밴딩된,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제 1 이미지 및 상기 제 2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제 2 이미지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디텍팅 하고,
    상기 제 1 이미지를 통해 사용자를 디텍팅 한 경우, 상기 제 1 스크린에 상기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제 2 이미지를 통해 사용자를 디텍팅 한 경우, 상기 제 2 스크린 및 상기 제 3 스크린에 상기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거나, 상기 제 1 스크린 및 상기 제 2 스크린에 상기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크린에 제공되는 프리뷰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 1 이미지 또는 상기 제 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크린 및 상기 제 3 스크린에 제공되는 프리뷰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 1 이미지 또는 상기 제 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제 1 밴딩부는 밴딩된,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크린 및 상기 제 2 스크린에 제공되는 프리뷰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 1 이미지 또는 상기 제 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제 2 밴딩부는 밴딩된,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셀프 촬영을 위한 제 1 모드 또는 일반 촬영을 위한 제 2 모드에서 동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제 1 이미지 및 상기 제 2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제 2 이미지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디텍팅 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제 1 모드인 경우, 상기 사용자를 디텍팅 한 제 1 카메라 또는 상기 제 2 카메라를 액티베이팅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모드 또는 상기 제 2 모드를 선택하는 신호를 디텍팅 하고,
    상기 신호에 따라 상기 상기 제 1 모드 또는 상기 제 2 모드로 진입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카메라 또는 상기 제 2 카메라를 선택하는 신호를 디텍팅 하고,
    상기 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카메라 또는 상기 제 2 카메라를 액티베이팅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뷰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 1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제 1 이미지 또는 상기 제 2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제 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제 1 카메라, 상기 제 2 카메라, 상기 제 1 이미지 및 상기 제 2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컨트롤 하기 위한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밴딩부가 밴딩되고 상기 제 1 카메라가 액티베이팅 된 경우, 상기 제 1 이미지를 상기 제 2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제 1 카메라 또는 상기 제 1 이미지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인터페이스를 상기 제 3 스크린에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밴딩부가 밴딩되고 상기 제 2 카메라가 액티베이팅 된 경우, 상기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세로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밴딩부가 밴딩된 경우, 상기 제 1 이미지 및 상기 제 2 이미지를 이용하여 3D 이미지를 생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카메라 또는 상기 제 2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를 디텍팅 한 경우, 상기 3D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상기 제 1 스크린 및 상기 제 2 스크린에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카메라의 제 1 해상도가 상기 제 2 카메라의 제 2 해상도와 동일하도록, 상기 제 1 카메라의 제 1 해상도를 낮게 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스크린을 포함하는 제 1 바디, 제 2 스크린을 포함하는 제 2 바디, 제 3 스크린을 포함하는 제 3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바디 및 상기 제 2 바디를 연결하는 제 1 밴딩부 및 상기 제 2 바디 및 상기 제 3 바디를 연결하는 제 2 밴딩부를 포함함,
    상기 제 1 바디에 구비된 제 1 해상도의 제 1 카메라를 액티베이팅 하는 경우,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상기 제 2 스크린 및 상기 제 3 스크린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프리뷰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 1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제 1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함; 및
    상기 제 2 바디에 구비된 제 2 해상도의 제 2 카메라를 액티베이팅(activating) 하는 경우, 상기 프리뷰 인터페이스를 상기 제 1 스크린 또는 제 3 스크린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프리뷰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 2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제 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함;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카메라의 상기 제 1 해상도는 상기 제 2 카메라의 상기 제 2 해상도보다 크고, 상기 제 1 카메라 및 상기 제 2 카메라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20.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제 1 스크린을 포함하는 제 1 바디;
    제 2 스크린을 포함하는 제 2 바디;
    제 3 스크린을 포함하는 제 3 바디, 상기 제 1 스크린, 상기 제 2 스크린 및 상기 제 3 스크린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에 구비됨;
    상기 제 1 바디 및 상기 제 2 바디를 연결하는 제 1 밴딩부;
    상기 제 2 바디 및 상기 제 3 바디를 연결하는 제 2 밴딩부;
    상기 제 1 바디에 구비된 제 1 해상도의 제 1 카메라;
    상기 제 2 바디에 구비된 제 2 해상도의 제 2 카메라, 상기 제 1 카메라의 상기 제 1 해상도는 상기 제 2 카메라의 상기 제 2 해상도보다 크고, 상기 제 1 카메라 및 상기 제 2 카메라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에 구비됨; 및
    상기 제 1 카메라, 상기 제 2 카메라, 상기 제 1 스크린, 상기 제 2 스크린 및 상기 제 3 스크린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2D 모드이면, 상기 제 1 카메라를 액티베이팅 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3D 모드이면, 상기 제 1 카메라 및 상기 제 2 카메라를 액티베이팅 하되, 상기 제 1 해상도와 상기 제 2 해상도와 동일하도록 상기 제 1 해상도를 낮게 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30072965A 2013-03-21 2013-06-25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81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957,199 US9013458B2 (en) 2013-03-21 2013-08-01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PCT/KR2013/007068 WO2014148698A1 (en) 2013-03-21 2013-08-06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13878664.5A EP2976766B1 (en) 2013-03-21 2013-08-06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803799P 2013-03-21 2013-03-21
US61/803,799 2013-03-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5913A true KR20140115913A (ko) 2014-10-01
KR102081932B1 KR102081932B1 (ko) 2020-04-14

Family

ID=51990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2965A KR102081932B1 (ko) 2013-03-21 2013-06-25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013458B2 (ko)
EP (1) EP2976766B1 (ko)
KR (1) KR102081932B1 (ko)
WO (1) WO2014148698A1 (ko)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2799A (ko) * 2014-12-29 2016-07-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딩 가능한 어레이 기판 및 표시장치
KR20160103599A (ko) * 2015-02-24 2016-09-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38365A (ko) * 2015-09-30 2017-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의 이미지 처리장치 및 방법
KR20170098820A (ko) * 2014-12-23 2017-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180037780A (ko) * 2016-10-05 2018-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양면 디스플레이를 갖는 전자 장치 및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US10057996B2 (en) 2015-11-13 2018-08-21 Samsung Display Co., Ltd. Foldable portable terminal device
US10448522B2 (en) 2016-09-02 2019-10-15 Samsun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device
CN111107196A (zh) * 2019-12-19 2020-05-05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移动终端装置
WO2021090983A1 (ko) * 2019-11-07 2021-05-14 주식회사 가난한동지들 폴더블 영상표시장치
WO2021112490A1 (ko) * 2019-12-02 2021-06-10 삼성전자 주식회사 카메라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WO2021141287A1 (ko) * 2020-01-08 2021-07-15 삼성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프리뷰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KR20210090742A (ko) * 2013-08-30 2021-07-20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 장치
KR20210119349A (ko) * 2015-02-24 2021-10-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WO2022055178A1 (ko) * 2020-09-09 2022-03-17 삼성전자 주식회사 다양한 형태의 콘텐트를 표시하기 위한 폴더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22092633A1 (ko) * 2020-10-30 2022-05-05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촬영 안내 방법 및 장치
WO2024048961A1 (ko) * 2022-08-31 2024-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의 변형에 기반하여 하나 이상의 카메라들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2781B1 (ko) * 2013-04-01 2020-03-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및 장치.
US20150085060A1 (en) * 2013-09-20 2015-03-26 Microsoft Corporation User experience for conferencing with a touch screen display
IN2014CH00115A (ko) * 2014-01-09 2015-07-10 Samsung R & D Inst India Bangalore Private Ltd
USD747284S1 (en) * 2014-03-13 2016-01-12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Image display device
USD750036S1 (en) * 2014-03-13 2016-02-23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Image display device
KR102015398B1 (ko) * 2014-07-16 2019-08-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13748A (ko) * 2014-07-28 2016-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전자기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US9541962B2 (en) * 2014-10-16 2017-01-1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obile computing device having a flexible hinge structure
USD775595S1 (en) * 2014-11-19 2017-01-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Television receiver
KR102343141B1 (ko) * 2014-12-19 2021-12-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스트레쳐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디바이스 및 이의 제어 방법
EP3767448A3 (en) 2015-01-07 2021-04-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9941918B2 (en) * 2015-01-07 2018-04-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Bendable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s based on bending status thereof
USD797070S1 (en) * 2015-03-09 2017-09-12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KR102406091B1 (ko) 2015-04-01 2022-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CN104699391B (zh) * 2015-04-07 2018-10-12 联想(北京)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相机的控制方法
KR20160123620A (ko) * 2015-04-16 2016-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CN106325373B (zh) * 2015-06-30 2024-06-21 联想(北京)有限公司 电子设备和信息处理方法
CN106325371A (zh) * 2015-06-30 2017-01-11 联想(北京)有限公司 电子设备和模式切换方法
CN106325728B (zh) * 2015-06-30 2024-05-28 联想(北京)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CN106325700B (zh) * 2015-06-30 2023-10-27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CN106325372A (zh) 2015-06-30 2017-01-11 联想(北京)有限公司 电子设备和模式切换方法
CN104980544B (zh) * 2015-07-13 2016-10-26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两端可折弯的柔性屏移动终端
CN106790821B (zh) * 2015-07-13 2020-06-3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可分离滑动的柔性屏移动终端
KR102465384B1 (ko) * 2015-07-23 2022-11-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10331177B2 (en) 2015-09-25 2019-06-25 Intel Corporation Hinge for an electronic device
USD804443S1 (en) 2015-10-02 2017-12-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USD814435S1 (en) * 2015-10-26 2018-04-03 Lenovo (Beijing) Co., Ltd. Flexible electronic device
USD814455S1 (en) * 2015-10-26 2018-04-03 Lenovo (Beijing) Co., Ltd. Flexible electronic device
USD820801S1 (en) 2015-11-04 2018-06-19 Lenovo (Beijing) Co., Ltd. Flexible electronic device
US20180324356A1 (en) * 2015-11-16 2018-11-08 Intel Corporation Extended visual capture in a reconfigurable service
CN107408362B (zh) * 2015-12-31 2020-04-14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可弯折移动终端
US10412281B2 (en) 2016-06-06 2019-09-1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evice with split imaging system
US9871954B2 (en) 2016-06-06 2018-01-1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Two part device with camera and mechanical flap
USD822658S1 (en) 2016-06-30 2018-07-10 Intel Corporation Computer notebook
CN107797958B (zh) * 2016-09-06 2023-07-28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电子设备、图像显示方法、程序及显示系统
KR102636648B1 (ko) * 2016-09-13 2024-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전자 장치
CN108475122B (zh) * 2016-11-30 2020-07-07 华为技术有限公司 控制终端设备的方法和终端设备
US10965796B2 (en) * 2016-12-16 2021-03-30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KR20180097356A (ko) 2017-02-23 2018-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아웃 폴딩(out-foldable) 가능한 전자 장치 및 아웃 폴딩 가능한 전자 장치의 제어방법
US10440261B2 (en) * 2017-04-03 2019-10-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omatic selection of a camera based on facial detection
US10015442B1 (en) 2017-05-12 2018-07-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Three-way video calling on hinged multi-screen device
US10339700B2 (en) 2017-05-15 2019-07-0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anipulating virtual objects on hinged multi-screen device
CN107180597B (zh) * 2017-05-23 2019-09-2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控制电路
CN107368150A (zh) * 2017-06-30 2017-11-2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拍照方法及移动终端
CN107395969B (zh) * 2017-07-26 2019-12-0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拍摄方法及移动终端
KR102407767B1 (ko) * 2017-10-19 2022-06-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CN107623793B (zh) * 2017-10-19 2020-08-1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图像拍摄处理的方法和装置
USD920967S1 (en) * 2017-11-30 2021-06-01 Compal Electronics, Inc. Notebook computer with detachable keyboard
USD894177S1 (en) * 2017-12-14 2020-08-25 Compal Electronics, Inc. Notebook computer
USD894896S1 (en) * 2017-12-14 2020-09-01 Compal Electronics, Inc. Notebook computer
CN108289167A (zh) * 2017-12-27 2018-07-17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的拍摄界面调节方法及移动终端
CN108600428B (zh) * 2018-04-02 2021-03-1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设备
CN108234891B (zh) 2018-04-04 2019-11-0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拍照方法及移动终端
US10788860B2 (en) * 2018-05-25 2020-09-29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Display screen component and foldable device having same
WO2019227296A1 (zh) * 2018-05-28 2019-12-05 华为技术有限公司 可折叠显示装置
US10983561B2 (en) * 2018-06-29 2021-04-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managing flexible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CN109005337B (zh) * 2018-07-05 2021-08-2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拍照方法及终端
KR102485127B1 (ko) * 2018-07-06 2023-01-05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의 방향에 따라 프리뷰 이미지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USD890714S1 (en) * 2018-07-25 2020-07-21 Huawei Technologies Co., Ltd. Mobile phone
CN109067942B (zh) * 2018-08-03 2021-03-1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屏和具有其的电子装置
USD890114S1 (en) * 2018-09-05 2020-07-14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Mobile phone
TWD200860S (zh) * 2018-10-16 2019-11-11 南韓商樂金顯示科技股份有&#x9 顯示器
US11199872B2 (en) * 2018-10-30 2021-12-14 Innolux Corporation Foldable display device with biometric sensors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USD920272S1 (en) * 2018-11-27 2021-05-2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0642313B1 (en) * 2018-12-13 2020-05-05 Innolux Corporation Foldable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of electronic device
CN109769048B (zh) * 2018-12-20 2021-01-1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终端设备
CN109584725B (zh) * 2019-01-02 2021-10-01 上海天马有机发光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4710575B (zh) * 2019-01-11 2023-06-16 华为技术有限公司 显示方法及相关装置
USD941791S1 (en) * 2019-01-29 2022-01-25 Huizhou Tcl Mobile Communication Co., Ltd. Foldable mobile phone
USD906994S1 (en) * 2019-01-29 2021-01-05 Huizhou Tcl Mobile Communication Co., Ltd. Foldable mobile phone
KR102661614B1 (ko) * 2019-02-11 2024-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200121151A (ko) * 2019-04-15 2020-10-23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모듈을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
WO2020210978A1 (zh) * 2019-04-16 2020-10-22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拍照控制方法及终端设备、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200129584A (ko) * 2019-05-09 2020-11-18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카메라들을 이용한 촬영 제어 방법 및 폴더블 장치
KR20200140609A (ko) * 2019-06-07 2020-12-16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블 전자 장치 및 상기 폴더블 전자 장치에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KR20220024846A (ko) * 2019-06-20 2022-03-03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동적으로 굽힘가능한 자동차 내부 커버 재료들을 위한 지지체들
KR20210017138A (ko) * 2019-08-07 2021-02-17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210035976A (ko) * 2019-09-25 2021-04-02 삼성전자주식회사 끊김 없이 이미지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D973679S1 (en) * 2019-10-28 2022-1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transi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KR20220017284A (ko) * 2020-08-04 2022-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화면을 제어하는 방법
USD973710S1 (en) * 2020-09-22 2022-12-27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Display screen with transi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73711S1 (en) * 2020-09-22 2022-12-27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Display screen with transi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KR20220126584A (ko) * 2021-03-09 2022-09-16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장치의 카메라 시스템
US11343415B1 (en) 2021-03-16 2022-05-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ulti-camera alignment in a rollable display device
US11997805B2 (en) * 2021-04-20 2024-05-28 Lepton Computing Llc. Machine learning and wireless control of a flexible display device actuator
US20220337686A1 (en) * 2021-04-20 2022-10-20 Mohammad Faisal Mahafdhah Electronic device with symmetrical display screens and reversible camera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08668A2 (ko) * 2011-02-10 2012-08-16 삼성전자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20998A (ja) 2000-01-24 2003-07-08 スポットウェア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小型化可能/たたみ込み可能なモジュールpda
US20050164752A1 (en) 2004-01-23 2005-07-28 Stephen Lau Palm-size foldable computing and communication assembly for personal users
JP2006287982A (ja) 2005-07-13 2006-10-19 Columbus No Tamagotachi:Kk フレキシブルディスプレイを備えた携帯型通信端末
KR100640808B1 (ko) * 2005-08-12 2006-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촬상 이미지의 듀얼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80035709A (ko) 2006-10-20 2008-04-24 김종억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3단 폴더형 휴대폰
KR101507797B1 (ko) * 2008-05-29 2015-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517082B1 (ko) * 2008-11-10 2015-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55812B1 (ko) * 2010-05-06 2016-09-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649156B1 (ko) 2010-06-07 2016-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08668A2 (ko) * 2011-02-10 2012-08-16 삼성전자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0742A (ko) * 2013-08-30 2021-07-20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 장치
US11899297B2 (en) 2013-08-30 2024-02-13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1662615B2 (en) 2013-08-30 2023-05-3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1556021B2 (en) 2013-08-30 2023-01-1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70098820A (ko) * 2014-12-23 2017-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160082799A (ko) * 2014-12-29 2016-07-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딩 가능한 어레이 기판 및 표시장치
KR20220123502A (ko) * 2015-02-24 2022-09-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US11385854B2 (en) 2015-02-24 2022-07-12 Samsun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KR20160103599A (ko) * 2015-02-24 2016-09-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118376A (ko) * 2015-02-24 2021-09-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119349A (ko) * 2015-02-24 2021-10-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USRE49193E1 (en) 2015-02-24 2022-08-30 Samsun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KR20170038365A (ko) * 2015-09-30 2017-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의 이미지 처리장치 및 방법
US10057996B2 (en) 2015-11-13 2018-08-21 Samsung Display Co., Ltd. Foldable portable terminal device
US10448522B2 (en) 2016-09-02 2019-10-15 Samsun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device
KR20180037780A (ko) * 2016-10-05 2018-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양면 디스플레이를 갖는 전자 장치 및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WO2021090983A1 (ko) * 2019-11-07 2021-05-14 주식회사 가난한동지들 폴더블 영상표시장치
WO2021112490A1 (ko) * 2019-12-02 2021-06-10 삼성전자 주식회사 카메라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CN111107196A (zh) * 2019-12-19 2020-05-05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移动终端装置
WO2021141287A1 (ko) * 2020-01-08 2021-07-15 삼성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프리뷰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US11778307B2 (en) 2020-01-08 2023-10-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camera preview and method therefor
WO2022055178A1 (ko) * 2020-09-09 2022-03-17 삼성전자 주식회사 다양한 형태의 콘텐트를 표시하기 위한 폴더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22092633A1 (ko) * 2020-10-30 2022-05-05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촬영 안내 방법 및 장치
WO2024048961A1 (ko) * 2022-08-31 2024-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의 변형에 기반하여 하나 이상의 카메라들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1932B1 (ko) 2020-04-14
US20140285476A1 (en) 2014-09-25
EP2976766A4 (en) 2016-11-02
EP2976766B1 (en) 2018-12-19
US9013458B2 (en) 2015-04-21
EP2976766A1 (en) 2016-01-27
WO2014148698A1 (en) 2014-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15913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625067B2 (en) Mobile terminal for displaying imag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964091B2 (en) Digit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706089B2 (en) Shifted lens camera for mobile computing devices
US20110001762A1 (en) Method for adjusting displayed frame,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thereof
EP277072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ositioning image area using image sensor location
US20140313377A1 (en) In relation to a lens system for a camera
EP2720191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photographing thereof
US20130050407A1 (en) Method and electric device for taking panoramic photograph
EP277072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n image in device
JPWO2011033877A1 (ja) 携帯情報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
JP2013009304A (ja) 画像入力装置、会議装置、画像処理制御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2014053794A (ja)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US20110050730A1 (en) Method of displaying data o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detected movement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60073035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notification control method
US20230308743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101897549B1 (ko) 휴대 단말기에서 카메라 뷰 영역을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
WO2013136602A1 (ja) プロジェクタ付き撮影装置及びその撮影制御方法
JP5749115B2 (ja) 携帯端末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電子文書作成方法
KR20140049661A (ko) 다기능 접이식 거치대
JP5952766B2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TW201224629A (en) Multi resolution display system
US2014017936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proximity-based zooming
JP2016063249A (ja) 撮像装置、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20190129982A (ko) 전자기기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