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3599A -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3599A
KR20160103599A KR1020150025947A KR20150025947A KR20160103599A KR 20160103599 A KR20160103599 A KR 20160103599A KR 1020150025947 A KR1020150025947 A KR 1020150025947A KR 20150025947 A KR20150025947 A KR 20150025947A KR 20160103599 A KR20160103599 A KR 201601035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isplay device
unit
state
fold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5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4461B1 (ko
Inventor
정성곤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5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4461B1/ko
Priority to US15/050,229 priority patent/US9733883B2/en
Publication of KR20160103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3599A/ko
Priority to US15/674,366 priority patent/US10082996B2/en
Priority to US16/140,440 priority patent/US10514879B2/en
Priority to US16/719,888 priority patent/US10963204B2/en
Priority to US17/207,534 priority patent/US11385854B2/en
Priority to KR1020210122741A priority patent/KR1025135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4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44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31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using a single graphics controll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06F1/165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the additional display being small, e.g. for presenting status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7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detecting open or closed state or particular intermediate positions assumed by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e.g. detection of display lid position with respect to main body in a laptop, detection of opening of the cover of battery compart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15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65Power saving in display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Composi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3Display panel composed of stacked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Composi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6Video wall, i.e. juxtaposition of a plurality of screens to create a display screen of bigger dimens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6/00Detection of the display position w.r.t. other display scree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80/00Specific applications
    • G09G2380/02Flexible displa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언폴딩된 제1 상태, 및 폴딩된 제2 상태를 가지며, 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에 위치한 제1 표시부; 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표시부에 대하여 제1 경사각으로 기울어진 제2 표시부; 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타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표시부에 대하여 제2 경사각으로 기울어진 제3 표시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1 내지 제3 표시부가 노출되며,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표시부가 폴딩되고 상기 제2 및 제3 표시부가 노출되되, 상기 노출된 제2 및 제3 표시부는 상기 폴딩된 제1 표시부에 대하여 경사진 제4 표시부를 형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FOLDABLE DISPLAY APPARATUS}
본 명세서는 복수의 표시부들을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란 이미지를 표시하는 다양한 전자 장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는 텔레비전, 컴퓨터 모니터, PDA 및 스마트 기기 등을 포함하여, 이미지를 표시하는 모든 전자 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표시 장치에는 유기 발광 표시 패널, 액정 표시 패널, 플라즈마 표시 패널, 전기 영동 표시 패널 등과 같은 고화질의 평판형 표시 모듈이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유저의 편의 및 사용 목적에 따라 포지션의 변경이 가능한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유저는 사용 목적에 따라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폴딩 또는 언폴딩하여 사용 가능한 표시 영역의 면적을 조절함으로써 보다 더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명세서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한 표시부의 배치 구조를 제안하고자 함이 목적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언폴딩된 제1 상태, 및 폴딩된 제2 상태를 가지며, 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에 위치한 제1 표시부; 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표시부에 대하여 제1 경사각으로 기울어진 제2 표시부; 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타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표시부에 대하여 제2 경사각으로 기울어진 제3 표시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1 내지 제3 표시부가 노출되며,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표시부가 폴딩되고 상기 제2 및 제3 표시부가 노출되되, 상기 노출된 제2 및 제3 표시부는 상기 폴딩된 제1 표시부에 대하여 경사진 제4 표시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경사각은 상기 제2 경사각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2 표시부와 상기 제3 표시부는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경사각의 합은 실질적으로 180˚일 수 있다.
상기 제4 표시부는 상기 폴딩된 제1 표시부에 대하여 상기 제1 또는 제2 경사각으로 경사질 수 있다.
상기 제4 표시부는, 동일한 경사면에 포함된 상기 제2 및 제3 표시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표시부는 하나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표시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중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을 커버하는 영역, 상기 제2 및 제3 표시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중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양측면을 각각 커버하는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표시부는 하나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복수의 인플렉서블 디스플레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표시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에 위치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상기 제2 표시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측면에 위치한 제1 인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제3 표시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타측면에 위치한 제2 인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2 또는 제3 표시부와 인접한 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에 위치한 제5 표시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2 및 제3 표시부, 및 상기 제5 표시부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및 제2 상태를 센싱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 및 상기 제1 내지 제4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상태를 디텍트한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3 표시부를 활성화하고, 상기 제2 상태를 디텍트한 경우, 상기 제2 및 제3 표시부를 활성화함으로써 상기 제4 표시부를 활성화할 수 있다.
상기 제4 표시부는 인커밍 이벤트에 관한 노티피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4 표시부는 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수신된 인커밍 이벤트에 관한 간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4 표시부는 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잠금을 해제를 위한 잠금 해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에 배치된 표시부들에 의해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폴딩된 경우에도 유저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존재한다.
도 1a는 제1 상태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1b는 제1 상태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1c는 제1 상태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a는 제2 상태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b는 제2 상태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c는 제2 상태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제4 표시부가 활성화된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잠금 해제 버튼을 구비한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제5 표시부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실시예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아닌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더욱이,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에서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언폴딩된 제1 상태, 및 폴딩된 제2 상태를 가질 수 있다.
도 1a는 제1 상태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1b는 제1 상태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1c는 제1 상태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a 내지 1c를 참조하면,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전면에 위치한 제1 표시부(R1),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일측면에 위치한 제2 표시부(R2),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타측면에 위치한 제3 표시부(R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표시부(R2)는 제1 표시부(R1)에 대하여 제1 경사각(θ1)으로 기울어져있을 수 있다. 또한, 제3 표시부(R3)는 제1 표시부(R1)에 대하여 제2 경사각(θ2)으로 기울어져 있을 수 있다. 이때, 제1 경사각(θ1)은 제2 경사각(θ2)과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경사각(θ1)은 제2 경사각(θ2)보다 작을 수 있다.
제2 표시부(R2)는 제3 표시부(R3)와 평행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표시부(R1, R2)가 이루는 제1 경사각(θ1)과, 제1 및 제3 표시부(R1, R3)가 이루는 제2 경사각(θ2)의 합은 실질적으로 180˚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가 제2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제2 및 제3 표시부(R2, R3)가 만나 새로운 표시 영역인 제4 표시부(R4)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2a 내지 2c와 관련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제1 내지 제3 표시부(R1~R3)는 하나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로 구성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란, 디스플레이 특성이 손실없이 휘거나, 접거나, 말 수 있는 유연한 기판에 제작된 디스플레이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유기 발광 표시 패널(organic display panel), 또는 전기영동 표시 패널(electrophoretic display panel), 일 수 있다. 이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중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전면을 커버하는 영역을 제1 표시부(R1),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일측면을 커버하는 영역은 제2 표시부(R2),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타측면을 커버하는 영역은 제3 표시부(R3)일 수 있다. 제1 및 제2 측면은 상호 대향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양측면일 수 있다.
또는, 제1 내지 제3 표시부(R1~R3)는 하나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복수의 인플렉서블 디스플레이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인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와 달리, 단단한 기판에 제작된 디스플레이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인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액정 표시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플라즈마 표시패널(plasma display panel), 및 일렉트로웨팅 표시 패널(electrowetting display panel)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표시부(R1)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전면에 위치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제2 표시부(R2)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일측면에 위치한 제1 인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제3 표시부(R3)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타측면에 위치한 제2 인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제1 및 제2 측면은 상호 대향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양측면일 수 있다.
이외에도, 제1 내지 제3 표시부(R1~R3)는 적어도 하나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또는 적어도 하나의 인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제1 상태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가 언폴딩된 상태를 지칭한다. 이 경우,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제1 내지 제3 표시부(R1~R3)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유저는 제1 내지 제3 표시부(R1~R3)를 사용하기 위해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를 제1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다만, 제3 표시부(R3)에 대한 유저의 시야각이 확보되기 어려워, 실시예에 따라 제1 상태에서 제3 표시부(R3)는 선택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제2 상태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가 폴딩된 상태를 지칭한다. 이 경우,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제2 및 제3 표시부(R2, R3)는 외부로 노출되며, 제1 표시부(R1)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유저는 제2 및 제3 표시부(R2, R3)만을 사용하기 위해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를 제2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표시부(R1)에 대한 유저의 시야 확보가 어려우므로, 제1 표시부(R1)는 비활성화될 수 있으며, 제2 및 제3 표시부(R2, R3)는 활성화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2 상태의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에 관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는 제2 상태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b는 제2 상태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c는 제2 상태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a 내지 2c를 참조하면,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제2 상태에서 제1 표시부(R1)는 기설정된 폴딩축(A)을 따라 폴딩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제2 및 제3 표시부(R2, R3)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및 제3 표시부(R2, R3)는 폴딩된 제1 표시부(R1)에 대하여 경사진 제4 표시부(R4)를 형성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2 표시부(R2)는 제1 표시부(R1)에 대하여 제1 경사각(θ1), 제3 표시부(R3)는 제1 표시부(R1)에 대하여 제2 경사각(θ2)을 가질 수 있다. 제2 및 제3 표시부(R2, R3)가 서로 평행하여 제1 및 제2 경사각(θ1, θ2)의 합이 실질적으로 180˚인 경우,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를 제2 상태로 전환하면 제2 및 제3 표시부(R2, R3)는 새로운 표시 영역인 제4 표시부(R4)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및 제3 표시부(R2, R3)는 서로 평행하므로,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제2 상태에서 제2 및 제3 표시부(R2, R3)는 동일한 경사면에 포함되어, 제4 표시부(R4)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4 표시부(R4)는 폴딩된 제1 표시부(R1)에 대하여 제1 또는 제2 경사각(θ1, θ2)을 가질 수 있다.
표시부가 폴딩된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내측에 위치하는 경우, 종래에는 유저가 간단한 정보, 예를 들어, 수신 전화, 수신 메시지, 현재 시각, 현재 날씨, 현재 온도 등을 확인하고자 때마다,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를 언폴딩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존재했다. 또한,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가 언폴딩되는 경우,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 내의 표시부 전체가 활성화되어, 소비 전력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표시부가 폴딩된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외측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표시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작은 충격에도 쉽게 손상된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그러나, 본 명세서의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는 폴딩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측면에 제2 및 제3 표시부(R2, R3)를 배치시킴으로써 유저가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를 언폴딩하지 않더라도 간단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는 효과가 존재한다. 이로써, 본 발명의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정보 제공의 신속성 및 편리성을 확보할 뿐만 아니라, 소비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가장 큰 표시부인 제1 표시부(R1)는 폴딩된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내측에 위치하므로, 외부의 충격에도 쉽게 손상되지 않는다는 효과가 존재한다.
제2 및 제3 표시부(R2, R3)는 상호 연동하여 하나의 표시부와 같이 동작함으로써, 새로운 표시 영역인 제4 표시부(R4)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도 3은 제4 표시부가 활성화된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4 표시부(R4)는 제4 표시부(R4)를 형성하는 제2 및 제3 표시부(R2, R3)가 활성화됨으로써 활성화될 수 있다. 제4 표시부(R4)는 제2 및 제3 표시부(R2, R3)를 이용하여 유저에게 간단한 정보를 다양하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4 표시부(R4)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에서 발생한 인커밍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표시부(R4)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에 수신된 전화, 메시지 등에 관한 노티피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제4 표시부(R4)는 수신된 전화, 메시지 등에 관한 간단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표시부(R4)는 수신된 전화의 발신인, 수신된 메시지의 발신인 및 메시지의 내용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4 표시부(R4)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현재 상태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표시부(R4)는 현재 시간, 현재 날씨, 현재 날짜, 현재 온도 등 현재의 주변 환경에 관한 간단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4 표시부(R4)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잠금 해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표시부(R4)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잠금 해제용 비밀 번호, 지문 등을 입력 받기 위한 다양한 잠금 해제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유저는 표시된 잠금 해제 인터페이스에 기설정된 잠금 해제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잠금을 해제하고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을 고려할 때, 본 발명의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유저가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를 언폴딩하지 않더라도 제4 표시부(R4)를 통해 인커밍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제공받을 수 있다는 효과가 존재한다.
도 4는 잠금 해제 버튼을 구비한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2)는 후면에 잠금 해제 버튼(20)을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 잠금 해제 버튼(20)은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2)의 잠금 해제를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유저는 잠금 해제 버튼(20)을 터치하거나 프레스함으로써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2)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잠금 해제 버튼(20)은 기계식 버튼일 수 있다. 유저는 상기 기계식 버튼을 프레스함으로써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2)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또는, 잠금 해제 버튼(20)은 터치 센서로 구비될 수 있다. 유저는 상기 터치 센서를 터치함으로써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2)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2)의 잠금이 해제되면 제4 표시부(R4)가 활성화될 수 있다.
도 5는 제5 표시부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1)는 후면에 제5 표시부(R5)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제5 표시부(R5)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1)의 후면에 제2 또는 제3 표시부(R2, R3)와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1)의 제2 상태에서 제2 및 제3 표시부(R2, R3), 및 제5 표시부(R5)가 외부로 노출된다. 본 도면에는 제3 표시부(R3)와 인접한 제5 표시부(R5)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1)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였다.
제5 표시부(R5)는 제4 표시부(R4)와 연동하여, 또는 제4 표시부(R4)와 독립적으로 유저에게 간단한 정보를 다양하게 제공할 수 있다. 제5 표시부(R5)가 제공하는 정보는 도 3과 관련하여 상술한 실시예가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5 표시부(R5)가 추가로 구비됨에 따라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1)의 간편 정보 등을 제공하는 표시부에 대한 유저의 시야각이 넓게 확보될 수 있다.
도 6은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센서부(200), 제1 내지 제4 표시부(R1~R4), 및 제어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200)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상태를 센싱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센서부(200)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가 언폴딩된 제1 상태, 및 폴딩된 제2 상태를 센싱할 수 있다.
센서부(200)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상태를 센싱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센싱 수단을 구비하여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상태를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200)는 터치 센서, 적외선 센서, 자외선 센서, 자이로, 자이로스코프 센서, 스트레인 게이지 센서, 기울임 센서, 가속도 센서, 뎁스 센서, 압력 센서, 그립 센서, 카메라 센서, 조도 센서, 근접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여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폴딩/언폴딩 상태를 센싱할 수 있다.
센서부(200)는 센싱한 결과를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으며, 센싱 결과를 수신한 제어부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현재 상태를 디텍트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표시부(R1~R4)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상태에 대응하여 활성화되어,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란 유저의 시각에 의해 인식 가능한 정지 화상, 동영상 등의 다양한 시각적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제1 상태에서 제1 내지 제3 표시부(R1~R3)는 활성화되어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제2 상태에서 제1 표시부(R1)는 비활성화되며, 제2 및 제3 표시부(R2, R3)(또는 제4 표시부(R4))만 활성화되어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표시부(R1)는 제2 내지 제4 표시부(R2~R4)에 비하여 화면이 클 수 있다. 따라서, 제1 표시부(R1)는 제2 내지 제4 표시부(R2~R4)에 비해 보다 더 다양하고, 세부적인 정보들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유저는 보다 넓은 화면을 이용하려는 경우,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를 제1 상태로 전환하여 제1 표시부(R1)를 사용할 수 있다. 제2 내지 제4 표시부(R2~R4)는 작은 화면을 통해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는 간편하고 간단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한 상세한 설명은 도 3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다.
제어부(100)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구성 유닛들과 통신을 수행하고, 구성 유닛들(100, 200, R1~R4)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어부(100)는 센서부(200)와 통신을 수행하여, 센서부(200)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00)는 센서부(200)로부터 센싱 결과를 수신하여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제1 및 제2 상태를 디텍트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어부(100)는 제1 내지 제4 표시부(R1~R4)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00)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상태에 대응하여 제1 내지 제4 표시부(R1~R4)의 활성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센서부(200)를 이용하여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제1 상태를 디텍트한 경우, 제1 내지 제3 표시부(R1~R3)를 활성화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센서부(200)를 이용하여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제2 상태를 디텍트한 경우, 제2 및 제3 표시부(R2, R3)를 활성화함으로써 제4 표시부(R4)를 활성화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제2 및 제3 표시부(R2, R3)를 하나의 표시부인 제4 표시부(R4)로 인식하고, 제2 및 제3 표시부(R2, R3)의 활성을 제어함으로써 제4 표시부(R4)의 활성을 제어할 수 있다.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에 제5 표시부(R5)가 추가로 구비되는 경우, 제어부(100)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상태에 대응하여 제5 표시부(R5)의 활성화 역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제1 내지 제4 표시부(R1~R4)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넓은 화면을 필요로 하는 이미지 예를 들어, 영화, TV,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등을 표시하도록 제1 표시부(R1)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좁은 화면을 필요로하는 이미지 예를 들어, 잠금 해제 인터페이스, 현재 시간, 인커밍 이벤트에 관한 노티피케이션, 또는 간편 정보 등을 표시하도록 제2 내지 제4 표시부(R2~R4)를 제어할 수 있다.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에 제5 표시부(R5)가 추가로 구비되는 경우, 제어부(100)는 제5 표시부(R5)의 이미지 표시 역시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로서, 분리하여 표시한 블록들은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구성 유닛들(100, 200, R1~R4)을 논리적으로 구별하여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10)의 구성 유닛들(100, 200, R1~R4)은 설계에 따라 하나의 칩으로 또는 복수의 칩으로 장착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도면을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각 도면에 서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병합하여 새로운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표시 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술한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R1~R4: 제1 내지 제4 표시부
A: 폴딩축
θ1, θ2: 제1 및 제2 경사각

Claims (17)

  1. 언폴딩된 제1 상태, 및 폴딩된 제2 상태를 갖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에 위치한 제1 표시부;
    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표시부에 대하여 제1 경사각으로 기울어진 제2 표시부;
    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타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표시부에 대하여 제2 경사각으로 기울어진 제3 표시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1 내지 제3 표시부가 노출되며,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표시부가 폴딩되고 상기 제2 및 제3 표시부가 노출되되, 상기 노출된 제2 및 제3 표시부는 상기 폴딩된 제1 표시부에 대하여 경사진 제4 표시부를 형성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각은 상기 제2 경사각보다 작은,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시부와 상기 제3 표시부는 서로 평행한,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경사각의 합은 실질적으로 180˚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표시부는 상기 폴딩된 제1 표시부에 대하여 상기 제1 또는 제2 경사각으로 경사진,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표시부는, 동일한 경사면에 포함된 상기 제2 및 제3 표시부로 구성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표시부는 하나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로 구성된,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중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을 커버하는 영역, 상기 제2 및 제3 표시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중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양측면을 각각 커버하는 영역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표시부는 하나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복수의 인플렉서블 디스플레이로 구성된,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에 위치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상기 제2 표시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측면에 위치한 제1 인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제3 표시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타측면에 위치한 제2 인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또는 제3 표시부와 인접한 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에 위치한 제5 표시부; 를 더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2 및 제3 표시부, 및 상기 제5 표시부가 노출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및 제2 상태를 센싱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 및 상기 제1 내지 제4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상태를 디텍트한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3 표시부를 활성화하고, 상기 제2 상태를 디텍트한 경우, 상기 제2 및 제3 표시부를 활성화함으로써 상기 제4 표시부를 활성화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표시부는 인커밍 이벤트에 관한 노티피케이션을 제공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표시부는 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수신된 인커밍 이벤트에 관한 간편 정보를 제공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표시부는 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잠금을 해제를 위한 잠금 해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50025947A 2015-02-24 2015-02-24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044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5947A KR102304461B1 (ko) 2015-02-24 2015-02-24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US15/050,229 US9733883B2 (en) 2015-02-24 2016-02-22 Foldable display
US15/674,366 US10082996B2 (en) 2015-02-24 2017-08-10 Foldable display
US16/140,440 US10514879B2 (en) 2015-02-24 2018-09-24 Foldable display
US16/719,888 US10963204B2 (en) 2015-02-24 2019-12-18 Foldable display
US17/207,534 US11385854B2 (en) 2015-02-24 2021-03-19 Foldable display
KR1020210122741A KR102513589B1 (ko) 2015-02-24 2021-09-14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5947A KR102304461B1 (ko) 2015-02-24 2015-02-24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2741A Division KR102513589B1 (ko) 2015-02-24 2021-09-14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3599A true KR20160103599A (ko) 2016-09-02
KR102304461B1 KR102304461B1 (ko) 2021-09-24

Family

ID=5668990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5947A KR102304461B1 (ko) 2015-02-24 2015-02-24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10122741A KR102513589B1 (ko) 2015-02-24 2021-09-14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2741A KR102513589B1 (ko) 2015-02-24 2021-09-14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5) US9733883B2 (ko)
KR (2) KR102304461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9229A (ko) * 2017-01-31 2018-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저장 매체 및 전자 장치
USD839267S1 (en) 2017-04-25 2019-01-2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D847814S1 (en) 2017-03-31 2019-05-0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D864953S1 (en) 2017-07-04 2019-10-2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D883943S1 (en) 2018-01-31 2020-05-1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D885381S1 (en) 2017-10-11 2020-05-2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N111386698A (zh) * 2017-12-06 2020-07-07 索尼公司 显示装置
USD893475S1 (en) 2017-10-11 2020-08-1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O2021025263A1 (ko) * 2019-08-07 2021-02-11 삼성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및 방법
USD913282S1 (en) 2017-11-13 2021-03-1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20220058876A (ko) * 2018-11-16 2022-05-10 (주)대호테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덮는 투명 커버, 투명 커버의 제조 방법 및 투명 커버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4461B1 (ko) 2015-02-24 2021-09-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CN106249862B (zh) * 2016-02-04 2019-02-15 北京智谷睿拓技术服务有限公司 交互方法、交互装置及用户设备
CN106293449B (zh) * 2016-02-04 2020-03-03 北京智谷睿拓技术服务有限公司 交互方法、交互装置及用户设备
CN106325718B (zh) * 2016-02-04 2019-11-29 北京智谷睿拓技术服务有限公司 交互方法、交互装置及用户设备
CN106249861B (zh) * 2016-02-04 2019-09-27 北京智谷睿拓技术服务有限公司 交互方法、交互装置及用户设备
CN106325588B (zh) * 2016-02-04 2019-11-15 北京智谷睿拓技术服务有限公司 交互方法、交互装置及用户设备
CN106249863B (zh) * 2016-02-04 2019-02-12 北京智谷睿拓技术服务有限公司 交互方法、交互装置及用户设备
CN106250074B (zh) * 2016-02-04 2019-09-10 北京智谷睿拓技术服务有限公司 交互方法、交互装置及用户设备
US20180284844A1 (en) * 2017-04-04 2018-10-0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oldable display device with interactable user interface surface on the external shell
CN107613058B (zh) * 2017-10-31 2019-10-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多页显示屏和包括该多页显示屏的手机
US10757396B2 (en) * 2018-01-26 2020-08-25 Weining Tan Adding new imaging capabilities to smart mobile device
US10594849B2 (en) * 2018-05-07 2020-03-17 Star Co Scientific Technologies Advanced Research Co, Llc Mobile device cover for use with a host mobile device
CN109582207B (zh) * 2018-11-30 2020-12-2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多任务管理界面的显示方法、装置、终端和存储介质
CN109961694B (zh) * 2019-02-28 2023-02-28 重庆京东方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装置
EP3931663A1 (en) * 2019-03-01 2022-01-05 Peratech Holdco Ltd Foldable display
CN110726363B (zh) * 2019-10-14 2021-11-02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及其制作方法
KR20210071177A (ko) 2019-12-05 2021-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블 전자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CN113407263A (zh) * 2020-03-16 2021-09-17 富顶精密组件(深圳)有限公司 车用中控屏系统及控制该系统的方法
US11405060B2 (en) * 2020-06-30 2022-08-02 Lenovo (Beijing) Co., Ltd. Electronic device
KR102278840B1 (ko) * 2020-08-31 2021-07-16 정민우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기를 접는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13614A1 (en) * 2009-07-01 2012-05-10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KR20140115913A (ko) * 2013-03-21 2014-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77099B2 (en) * 2008-08-29 2014-07-15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Bendable electronic device status information system and method
US8803816B2 (en) * 2008-09-08 2014-08-12 Qualcomm Incorporated Multi-fold mobile device with configurable interface
US8385055B2 (en) * 2008-12-26 2013-02-26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Electric device and display panel thereof
KR101540093B1 (ko) 2009-01-05 2015-07-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00092222A (ko) * 2009-02-12 2010-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폴더블 모바일 디스플레이 장치
KR101320384B1 (ko) 2011-06-30 2013-10-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8723824B2 (en) 2011-09-27 2014-05-13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sidewall displays
KR101995486B1 (ko) * 2012-06-26 2019-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40001579A (ko) 2012-06-27 2014-01-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장치 및 가요성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1996437B1 (ko) 2012-10-16 2019-07-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투명 보호창, 이를 포함하는 가요성 표시 장치 및 투명 보호창의 제조 방법
US8971032B2 (en) * 2012-11-02 2015-03-03 Blackberry Limited Support for a flexible display
KR101857754B1 (ko) 2013-01-10 2018-05-15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KR101452871B1 (ko) 2013-01-11 2014-10-22 (주) 프렉코 접철 가능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US9294597B2 (en) * 2013-01-25 2016-03-22 Futurewei Technologies,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a flexible display on a mobile device
KR102081931B1 (ko) 2013-06-19 2020-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제어 방법
KR102105959B1 (ko) * 2013-07-22 2020-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미지 레이어를 제공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015398B1 (ko) * 2014-07-16 2019-08-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US9780157B2 (en) * 2014-12-23 2017-10-03 L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with gate-in-panel circuit
KR102304461B1 (ko) * 2015-02-24 2021-09-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69741B1 (ko) * 2015-08-05 2022-11-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13614A1 (en) * 2009-07-01 2012-05-10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KR20140115913A (ko) * 2013-03-21 2014-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9229A (ko) * 2017-01-31 2018-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저장 매체 및 전자 장치
WO2018143624A1 (ko) * 2017-01-31 2018-08-09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저장 매체 및 전자 장치
US11210050B2 (en) 2017-01-31 2021-12-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control method,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USD847814S1 (en) 2017-03-31 2019-05-0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D839267S1 (en) 2017-04-25 2019-01-2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D864953S1 (en) 2017-07-04 2019-10-2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D885381S1 (en) 2017-10-11 2020-05-2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D893475S1 (en) 2017-10-11 2020-08-1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D913282S1 (en) 2017-11-13 2021-03-1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N111386698A (zh) * 2017-12-06 2020-07-07 索尼公司 显示装置
USD883943S1 (en) 2018-01-31 2020-05-1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20220058876A (ko) * 2018-11-16 2022-05-10 (주)대호테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덮는 투명 커버, 투명 커버의 제조 방법 및 투명 커버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WO2021025263A1 (ko) * 2019-08-07 2021-02-11 삼성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026060A1 (en) 2019-01-24
US11385854B2 (en) 2022-07-12
US20210208833A1 (en) 2021-07-08
US10082996B2 (en) 2018-09-25
KR102304461B1 (ko) 2021-09-24
US20170337029A1 (en) 2017-11-23
US20200125315A1 (en) 2020-04-23
US9733883B2 (en) 2017-08-15
US10963204B2 (en) 2021-03-30
KR20210118376A (ko) 2021-09-30
KR102513589B1 (ko) 2023-03-24
US10514879B2 (en) 2019-12-24
US20160246559A1 (en) 2016-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3589B1 (ko)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30026B1 (ko)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09046B1 (ko) 폴더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JP5589093B2 (ja) 透過性電子デバイス
KR102527064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264892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JP6046384B2 (ja) 端末装置
WO2013150998A1 (ja) 携帯型電子機器
KR102483468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WO2009075260A1 (ja) 情報処理装置
KR20140036846A (ko) 국부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방법
KR2014006595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EP4016508B1 (en) Electronic device
KR20140028257A (ko) 변형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분할 화면의 표시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TW201426406A (zh) 電子裝置及其螢幕畫面旋轉控制方法
KR20200130574A (ko) 표시 장치
JP6304232B2 (ja) 携帯電子機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711834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JP2004287640A (ja) 入力表示装置
KR20170074726A (ko) 연성디스플레이가 설치된 모바일 장치
KR101494443B1 (ko) 투명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90095168A (ko) 터치입력장치의 블랙화면모드에서 압력으로 인한 지문 센싱 방법 및 터치입력장치
JP2014067146A (ja) 電子機器
JP2009176241A (ja) 携帯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