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1579A - 가요성 표시 장치 및 가요성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가요성 표시 장치 및 가요성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1579A
KR20140001579A KR1020120069474A KR20120069474A KR20140001579A KR 20140001579 A KR20140001579 A KR 20140001579A KR 1020120069474 A KR1020120069474 A KR 1020120069474A KR 20120069474 A KR20120069474 A KR 20120069474A KR 20140001579 A KR20140001579 A KR 201400015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display
display panel
transparent protective
protective window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9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식
안성상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9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1579A/ko
Publication of KR20140001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5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을 구현하는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가요성 표시 패널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을 보호하는 투명 보호창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과 상기 투명 보호창을 부착하는 단계와, 부착된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투명 보호창의 적어도 일부를 동시에 구부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요성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가요성 표시 장치 및 가요성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가요성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란 영상 신호를 표시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표시 장치는 텔레비전, 컴퓨터 모니터, PDA 및 최근 폭발적으로 수요가 증가한 스마트 기기 등을 포함하여,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표시하는 모든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장치에 유기 발광 표시 패널, 액정 표시 패널, 플라즈마 표시 패널 또는 전기 영동 표시 패널 등과 같은 고화질의 평판형 표시 모듈이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경량화 및 박형화가 가능하고, 휴대성을 높일 수 있는 가요성 표시 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며, 가요성 표시 장치의 심미감을 증대시키거나, 표시 영역에 증가하는 것과 같은 시각적인 효과를 얻기 위해 가요성 표시 장치에 곡면부를 형성한다.
그러나, 가요성 표시 장치가 3차원의 고정된 형상을 유지하기가 어렵고, 고정된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3차원 형상의 지지 수단과의 정렬이 어렵고, 곡면부에서 균일한 밀착력을 확보하기 어려워 가요성 표시 장치에 결함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가요성 표시 패널과 투명 보호창의 정렬이 용이하고, 밴딩부에서 밀착력이 개선된 가요성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화상을 구현하는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가요성 표시 패널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투명 보호창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과 상기 투명 보호창을 부착하는 단계와, 부착된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투명 보호창의 적어도 일부를 동시에 구부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요성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의하면,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투명 보호창을 구부리는 단계는,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 방향에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에 곡면을 포함하며 제1 온도로 가열된 제1 금형 및 상기 투명 보호창 방향에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제1 금형에 대응되는 곡면을 포함하며 제2 온도로 가열된 제2 금형을 사용하여,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투명 보호창을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온도는 상기 제2 온도보다 낮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온도는 100도 이하이며, 상기 제2 온도는 120도 내지 160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투명 보호창을 구부리는 단계는,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 방향에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에 곡면을 포함하며 가열되지 않은 제1 금형 및 상기 투명 보호창 방향에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제1 금형에 대응되는 곡면을 포함하며 미리 정해진 온도로 가열된 제2 금형을 사용하여,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투명 보호창을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 금형은 120도 내지 160도로 가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투명 보호창을 구부리는 단계 후에 상기 투명 보호창의 일부를 절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투명 보호창을 구부리는 단계 전에 상기 투명 보호창의 일부를 절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투명 보호창을 준비하는 단계는, 투명한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상기 투명 보호창을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터치 패널을 준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과 상기 투명 보호창을 부착하는 단계는,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 상기 터치 패널 및 상기 투명 보호창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부착된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투명 보호창의 적어도 일부를 동시에 구부리는 단계는, 부착된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 상기 터치 패널 및 상기 투명 보호창의 적어도 일부를 동시에 구부리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가요성 표시 패널을 준비하는 단계는, 가요성 기판, 상기 가요성 기판 상의 상기 표시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된 유기 발광 소자 및 상기 유기 발광 소자 상에 배치된 봉지 수단을 포함하는 가요성 표시 패널을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하면, 화상을 구현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 이외의 영역인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가요성 표시 패널과,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을 지지하며,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에 부착된 투명 보호창을 포함하며,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은 적어도 일부에 상기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제1 영역, 적어도 일부에 상기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제2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을 연결하며 소정의 곡률을 갖는 밴딩부를 포함하며, 상기 투명 보호창은 상기 제1 영역, 상기 제2 영역 및 상기 밴딩부를 덮도록 배치된 가요성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의하면,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과 상기 투명 보호창 사이에,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의 상기 제1 영역, 상기 제2 영역 및 상기 밴딩부를 덮도록 배치된 터치 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가요성 표시 패널은, 가요성 기판, 상기 가요성 기판 상의 상기 표시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된 유기 발광 소자 및 상기 유기 발광 소자 상에 배치된 봉지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들에 관한 가요성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은, 가요성 표시 패널과 투명 보호창을 평면 상태에서 부착한 후 곡면을 형성하므로, 밴딩부에서 밀착력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가요성 표시 패널, 터치 패널 및 투명 보호창을 평면 상태에서 용이하게 정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가요성 표시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가요성 표시 장치의 표시 영역에 포함된 일 화소 영역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은 도 1의 실시예에 관한 가요성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 8은 (a) 절단 전의 투명 표시창과 (b) 절단 후의 투명 표시창의 일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가요성 표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가요성 표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가요성 표시 장치(1)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가요성 표시 장치(1)의 표시 영역(D)에 포함된 일 화소 영역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관한 가요성 표시 장치(1)는 화상을 구현하는 표시 영역(D)와 표시 영역(D) 이외의 영역인 비표시 영역(N)을 포함하는 가요성 표시 패널(100)과, 가요성 표시 패널(100)을 지지하며 가요성 표시 패널(100)에 부착된 투명 보호창(200)을 포함한다.
가요성 표시 패널(100)은 적어도 일부에 표시 영역(D)을 포함하는 제1 영역(10)과, 적어도 일부에 비표시 영역(N)을 포함하는 제2 영역(20)과, 제1 영역(10)과 제2 영역(20)을 연결하며 소정의 곡률을 갖는 밴딩부(30)를 포함하며, 투명 보호창(200)은 제1 영역(10), 제2 영역(20) 및 밴딩부(30)를 덮도록 배치된다.
가요성 표시 패널(100)은, 가요성 기판(110), 가요성 기판(110) 상의 표시 영역(D)에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된 유기 발광 소자(140) 및 유기 발광 소자(140) 상에 배치된 봉지 수단(15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요성 기판(110)과 유기 발광 소자(140) 사이에는, 베리어막(120)과, 베리어막(120) 상에 배치된 소자/배선층(130)이 배치될 수 있다.
가요성 기판(110)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alate), 폴리아릴레이트(PAR; polyarylate) 및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 등과 같이 내열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플라스틱으로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가요성 기판(110)은 가요성이 있는 다양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가요성 기판(110) 상에는 수분이나 산소와 같은 외부의 이물질이 가요성 기판(110)을 투과하여 소자/배선층(130) 및 유기 발광 소자(140) 등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베리어막(120)이 배치될 수 있다.
베리어막(120) 상에는 소자/배선층(130)이 배치될 수 있으며, 소자/배선층(130)은 유기 발광 소자(140)를 구동시키는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FT),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 및 커패시터(미도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FT)는 활성층(131)과, 게이트 전극(133)과,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135a, 135b)을 포함한다.
소자/배선층(130) 상에는 유기 발광 소자(140)가 배치된다. 유기 발광 소자(140)는 화소 전극(141)과, 화소 전극(141) 상에 배치된 유기 발광층(142)과, 유기 발광층(142) 상에 형성된 대향 전극(143)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FT)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대향 전극(143) 상에는 봉지 수단(150)이 배치될 수 있다. 봉지 수단(150)은 다층으로 형성된 무기막, 또는 무기막과 유기막을 포함하는 박막으로 구성될 수 있다. 봉지 수단(150)은 외부의 수분과 산소 등으로부터 유기 발광 소자(140)를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유기 발광 소자(140)에 포함된 유기 발광층(142)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은 가요성 기판(110) 또는 봉지 수단(150) 측으로 방출될 수 있으며, 가요성 기판(100) 또는 봉지 수단(150) 중 화상이 구현되는 측에 투명 보호창(200)이 배치될 수 있다.
표시 영역(D)은 가요성 표시 패널(100)의 제1 영역(10)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며, 표시 영역(D)의 외곽 가장자리를 따라 비표시 영역(N)이 배치될 수 있다.
비표시 영역(N)은 표시 영역(D)에서 화상을 구현하도록 제어하는 각종 회로(미도시) 및 배선(미도시) 등이 배치될 수 있으며, 가요성 표시 패널(100)의 제2 영역(20)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될 수 있다.
가요성 표시 패널(100)은 제1 영역(10)과 제2 영역(20) 및 제1 영역(10)과 제2 영역(20)을 연결하며 소정의 곡률을 갖는 밴딩부(30)를 포함한다.
도 1의 밴딩부(30)의 곡률 및 위치는 일 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가요성 표시 패널(100) 상에는, 밴딩부(30)를 포함하는 가요성 표시 패널(100)의 형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투명 보호창(200)이 가요성 표시 패널(100)의 제1 영역(10)과 제2 영역(20) 및 밴딩부(30)를 덮도록 배치된다.
투명 보호창(200)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polymethyl methacrylate),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 등의 투명한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투명 보호창(200)과 가요성 표시 패널(100)은 평면 상태에서 부착된 후, 금형 등에 의해 설계된 위치와 곡률을 갖도록 동시에 구부러지거나 접히도록 함으로써 밴딩부(30)를 형성한다.
이때, 투명 보호창(200)과 가요성 표시 패널(100)을 평면 상태에서 부착한 후, 밴딩부(30)를 형성하므로 밴딩부(30)에서 투명 보호창(200)과 가요성 표시 패널(100)는 높은 밀착력을 유지할 수 있다.
즉, 투명 보호창(200)은 가요성 표시 패널(100)의 표시 화면이 잘 투과될 수 있을 정도의 투과율과 가요성 표시 패널(100)의 곡면 형상을 잘 유지 할 수 있을 정도의 강도를 가지며, 가요성 표시 패널(100)의 화상이 구현되는 측 상면에 가요성 표시 패널(10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결합된다.
투명 보호창(200)은 가요성 표시 패널(100)을 외부의 충격이나 스크래치로부터 보호하는 역할 뿐만 아니라, 가요성 표시 패널(100) 곡면 형상을 유지하는 지지 수단으로서도 기능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7은 도 1의 실시예에 관한 가요성 표시 장치(1)의 제조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화상을 구현하는 표시 영역(D)을 포함하는 가요성 표시 패널(100)과, 가요성 표시 패널(100)을 지지하는 투명 보호창(200)을 준비한다.
가요성 표시 패널(D)은 가요성 기판(도 2, 110), 가요성 기판(110) 상의 표시 영역(D)에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된 유기 발광 소자(도 2, 140) 및 유기 발광 소자(140) 상에 배치된 봉지 수단(도 2, 150)을 포함할 수 있으며, 투명 보호창(200)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polymethyl methacrylate),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 등의 투명한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가요성 표시 패널(100)의 표시 영역(D)의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 비표시 영역(N)이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표시 영역(D)이 서로 다른 화상을 구현하는 복수 개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을 수도 있고, 비표시 영역(N)이 구분되어 있는 표시 영역(D)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가요성 표시 패널(100)과 투명 보호창(200)을 부착한다.
가요성 표시 패널(100)과 투명 보호창(200)은 롤러(roller)또는 진공 면압 등의 방식을 이용하여 라미네이션(lamination)될 수 있다.
이때, 가요성 표시 패널(100)과 투명 보호창(200)은 평면 상태에서 부착되므로, 정렬이 용이하고, 가요성 표시 패널(100) 및 투명 보호창(200)의 전 영역에 균일한 압력을 가할 수 있어 기포 등의 결함이 개재되지 않으며, 균일하고 높은 밀착도를 갖도록 부착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부착된 가요성 표시 패널(100) 및 투명 보호창(200)의 적어도 일부를 제1 금형(310) 및 제2 금형(320)을 이용하여 동시에 구부린다.
제1 금형(310)은 가요성 표시 패널(100) 방향에 배치되고, 가요성 표시 장치(1)의 미리 설정된 3차원 형상에 대응되는 곡면을 포함하며, 제2 금형(320)은 투명 보호창(200) 방향에 배치되고, 제1 금형(310)에 대응되는 곡면을 포함한다.
제1 금형(310) 및 제2 금형(320) 각각 제1 온도와 제2 온도로 가열될 수 있으며, 가열된 제1 금형(310) 및 제2 금형(320)을 사용하여 가요성 표시 패널(100)과 투명 보호창을 가압함으로써, 3차원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온도와 제2 온도는 가요성 표시 패널(100)이 손상되지 않는 최대 온도와, 투명 보호창(200)이 열에 의해 변형될 수 있는 최저 온도를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하며, 제1 온도는 제2 온도보다 낮게 설정될 수 있다.
가요성 표시 패널(100)은 유기 발광 소자(도 2, 140), 각종 회로 소자 및 배선들을 포함하며, 가요성 표시 패널(100)이 열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제1 온도는 100도 이하로 설정될 수 있다.
제2 온도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polymethyl methacrylate),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 등의 투명한 열가소성 수지가 열에 의해 변형될 수 있는 최저 온도인 120도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가요성 표시 패널(100)과 투명 보호창(200)은 부착된 상태에서, 제1 금형(310) 및 제2 금형(320)에 의해 가압되므로, 제2 금형(320)의 열에 의해 가요성 표시 패널(100)이 손상될 수 있다.
투명 보호창(200)은 일정한 두께와 열 전도성을 가지며, 이에 따라 제2 금형(320)에 의해 가요성 표시 패널(100)에 도달하는 열의 양이 달라질 수 있다.
제2 금형(320)의 온도와 제2 금형(320)에 의해 가요성 표시 패널(100)에 가해지는 열의 온도의 차이는 60도 이하이므로, 가요성 표시 패널(10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2 온도는 160도 이하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제2 온도는 120도 내지 160도로 설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제1 금형(310) 및 제2 금형(320) 각각 제1 온도와 제2 온도로 가열된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1 금형(310)은 가요성 표시 패널(10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가열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2 금형(320) 만을 소정의 온도로 가열한 후, 가요성 표시 패널(100)과 투명 보호창(200)을 가압할 수 있으며, 이때 제2 금형(320)은 120도 내지 160도로 가열할 수 있다.
가요성 표시 패널(100)과 투명 보호창(200)을 제1 금형(310) 및 제2 금형(320)을 사용하여 가압할 때, 제1 금형(310)과 제2 금형(320) 중 하나는 고정되어 있고, 다른 하나가 이동하면서 가압을 수행할 수도 있고, 제1 금형(310)과 제2 금형(320)이 모두 이동하면서 가압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금형(310)과 제2 금형(320)에 의해 가열 및 가압된 후, 제1 금형(310)과 제2 금형(320)을 제거하고 감열시킴으로써 가요성 표시 패널(100)과 투명 보호창(200)의 형상을 고정시킨 후, 열에 의해 늘어난 투명 보호창(200)의 일부 영역(S)을 절단할 수 있다.
이때, 투명 보호창(200)은 CNC(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 절단 장비에 의해 절단될 수 있지만, 절단 방법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4의 제1 금형(310) 및 제2 금형(320)의 형상에 대응되는 곡면을 갖는 가요성 표시 장치(1)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의 가요성 표시 장치(1)는 제1 영역(10), 제2 영역(20) 및 제1 영역(10)과 제2 영역(20)을 연결하는 밴딩부(30)를 포함하는 가요성 표시 패널(100)과, 가요성 표시 패널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제1 영역(10), 제2 영역(20) 및 밴딩부(30)를 덮도록 형성된 투명 표시창(200)을 구비한다.
가요성 표시 장치(1)는 가요성 표시 패널(100)의 제1 영역(10) 및 제2 영역(20)뿐만 아니라 밴딩부(30)에 대응되는 영역에서도, 가요성 표시 패널(100)과 투명 표시창(200) 사이에 기포 등이 개재되지 않고, 균일하고 높은 밀착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제1 영역(10)의 적어도 일부에는 표시 영역(D)이 포함되고, 제2 영역(20)의 적어도 일부에는 비표시 영역(N)이 포함될 수 있다.
도 8은 (a) 절단 전의 투명 표시창(200)과 (b) 절단 후의 투명 표시창(200')의 일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6의 투명 표시창(200)의 절단 단계를 생략하기 위하여, 도 3의 투명 표시창(200)을 준비하는 단계 전에, 투명 표시창(200)의 일부를 미리 절단할 수 있다.
이때, 절단 영역은 도 5의 제1 금형(310) 및 제1 금형(310)의 온도, 투명 표시창(200)을 구성하는 소재 및 최종적으로 구현될 투명 표시창(200)의 형상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8의 (a)는 절단 전의 투명 표시창(200)을 나타내고, (b)는 절단 후의 투명 표시창(200')의 일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와 같이 미리 투명 표시창(200)을 절단한 후, 가요성 표시 패널(100)가 절단된 투명 표시창(200')을 부착 및 곡면 형성을 함으로써, 도 6의 절단 단계를 생략할 수 있어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도 9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가요성 표시 장치(2)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가요성 표시 장치(2)는, 가요성 표시 패널(100)과 투명 보호창(200) 사이에, 가요성 표시 패널(100)의 제1 영역(10), 제2 영역(20) 및 밴딩부(30)를 덮도록 배치된 터치 패널(400)을 더 포함한다.
터치 패널(400)은, 터치 패널(400)에 가해지는 압력이나 전기 용량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터치에 따른 신호를 발생시키는 장치이며, 투명 전극(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가요성 표시 패널(100)과 투명 보호창(200) 사이에 터치 패널(400)을 배치시킴으로써, 터치를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시키는 가요성 표시 장치(2)를 구현할 수 있다.
터치 패널(400)은 가요성 표시 패널(100)의 제1 영역(10), 제2 영역(20) 및 밴딩부(30)를 덮도록 배치되며, 가요성 표시 패널(100)의 표시 영역(D)에 대응되는 터치 영역(미도시)과, 비표시 영역(N)에 대응되는 배선 영역(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가요성 표시 장치(2)의 제조 방법을 살펴보면, 가요성 표시 패널(100), 투명 보호창(200) 및 터치 패널(400)을 준비한 후, 가요성 표시 패널(100), 투명 보호창(200) 및 터치 패널(400)을 평면 상태에서 부착할 수 있다.
따라서, 가요성 표시 패널(100), 투명 보호창(200) 및 터치 패널(400)의 정렬이 용이하고, 전 영역에 균일한 압력을 가할 수 있어 기포 등의 결함이 개재되지 않으며, 균일하고 높은 밀착도를 갖도록 부착할 수 있다.
가요성 표시 패널(100), 투명 보호창(200) 및 터치 패널(400)을 부착한 후, 도 5의 제1 금형(310) 및 제2 금형(320)을 사용하여, 가요성 표시 패널(100), 투명 보호창(200) 및 터치 패널(400)을 동시에 구부림으로써, 적어도 일부에 곡면을 포함하는 가요성 표시 장치(2)를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인 제조 방법은, 도 1의 가요성 표시 장치(1)의 제조 방법과 동일하므로, 그 기재를 생략한다.
도 10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가요성 표시 장치(3)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가요성 표시 장치(3)은 제1 영역(10), 제2 영역(20) 및 제1 영역(10)과 제2 영역(20)을 연결하는 제1 밴딩부(31)와 제2 밴딩부(32)를 포함하는 가요성 표시 패널(100)과, 가요성 표시 패널(100)을 지지하며 제1 영역(10), 제2 영역(20), 제1 밴딩부(31) 및 제2 밴딩부를 덮도록 배치된 투명 보호창(20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가요성 표시 장치(3)는 도 1의 가요성 표시 장치(1)와 다른 구성은 동일하며, 제1 영역(10)의 양 가장자리에 배치된 제1 밴딩부(31)와 제2 밴딩부(32)의 곡률이 서로 다르다는 차이점만 존재한다.
이외에도 가요성 표시 장치는 다양한 형태를 갖도록 제조될 수 있으며, 이러한 형태에 따라 도 5의 제1 금형(310) 및 제2 금형(320)의 형태도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상기 도면들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설명의 편의상 확대 또는 축소되어 표시될 수 있으므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크기나 형상에 본 발명이 구속되는 것은 아니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2, 3: 가요성 표시 장치 10: 제1 영역
20: 제2 영역 30: 밴딩부
31: 제1 밴딩부 32: 제2 밴딩부
100: 가요성 표시 패널 110: 가요성 기판
120: 베리어막 130: 소자/배선층
140: 유기 발광 소자 150: 봉지 수단
200, 200': 투명 보호창 310: 제1 금형
320: 제2 금형 400: 터치 패널

Claims (14)

  1. 화상을 구현하는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가요성 표시 패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투명 보호창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과 상기 투명 보호창을 부착하는 단계; 및
    부착된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투명 보호창의 적어도 일부를 동시에 구부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요성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투명 보호창을 구부리는 단계는,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 방향에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에 곡면을 포함하며 제1 온도로 가열된 제1 금형 및 상기 투명 보호창 방향에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제1 금형에 대응되는 곡면을 포함하며 제2 온도로 가열된 제2 금형을 사용하여,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투명 보호창을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요성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온도는 상기 제2 온도보다 낮은 가요성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온도는 100도 이하이며, 상기 제2 온도는 120도 내지 160도인 가요성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투명 보호창을 구부리는 단계는,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 방향에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에 곡면을 포함하며 가열되지 않은 제1 금형 및 상기 투명 보호창 방향에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제1 금형에 대응되는 곡면을 포함하며 미리 정해진 온도로 가열된 제2 금형을 사용하여,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투명 보호창을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요성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금형은 120도 내지 160도로 가열된 가요성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투명 보호창을 구부리는 단계 후에 상기 투명 보호창의 일부를 절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요성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투명 보호창을 구부리는 단계 전에 상기 투명 보호창의 일부를 절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요성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보호창을 준비하는 단계는, 투명한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상기 투명 보호창을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요성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0. 제1 항에 있어서,
    터치 패널을 준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과 상기 투명 보호창을 부착하는 단계는,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 상기 터치 패널 및 상기 투명 보호창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부착된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투명 보호창의 적어도 일부를 동시에 구부리는 단계는, 부착된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 상기 터치 패널 및 상기 투명 보호창의 적어도 일부를 동시에 구부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요성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1. 제1 항에 있어서,
    가요성 표시 패널을 준비하는 단계는,
    가요성 기판, 상기 가요성 기판 상의 상기 표시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된 유기 발광 소자 및 상기 유기 발광 소자 상에 배치된 봉지 수단을 포함하는 가요성 표시 패널을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요성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2. 화상을 구현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 이외의 영역인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가요성 표시 패널;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을 지지하며,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에 부착된 투명 보호창;을 포함하며,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은 적어도 일부에 상기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제1 영역, 적어도 일부에 상기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제2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을 연결하며 소정의 곡률을 갖는 밴딩부를 포함하며, 상기 투명 보호창은 상기 제1 영역, 상기 제2 영역 및 상기 밴딩부를 덮도록 배치된 가요성 표시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과 상기 투명 보호창 사이에,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의 상기 제1 영역, 상기 제2 영역 및 상기 밴딩부를 덮도록 배치된 터치 패널을 더 포함하는 가요성 표시 장치.
  14. 제12 항에 있어서,
    가요성 표시 패널은, 가요성 기판, 상기 가요성 기판 상의 상기 표시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된 유기 발광 소자 및 상기 유기 발광 소자 상에 배치된 봉지 수단을 포함하는 가요성 표시 장치.
KR1020120069474A 2012-06-27 2012-06-27 가요성 표시 장치 및 가요성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1400015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9474A KR20140001579A (ko) 2012-06-27 2012-06-27 가요성 표시 장치 및 가요성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9474A KR20140001579A (ko) 2012-06-27 2012-06-27 가요성 표시 장치 및 가요성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579A true KR20140001579A (ko) 2014-01-07

Family

ID=50139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9474A KR20140001579A (ko) 2012-06-27 2012-06-27 가요성 표시 장치 및 가요성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1579A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57939A1 (ko) * 2015-10-02 2017-04-06 삼성전자 주식회사 업무 정보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9718263B2 (en) 2014-10-14 2017-08-01 Samsung Display Co., Ltd. Manufacturing method of flexible display device
US9733883B2 (en) 2015-02-24 2017-08-15 Samsun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KR101862529B1 (ko) * 2014-08-30 2018-05-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보강된 부분을 갖는 배선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8242207A (zh) * 2016-12-27 2018-07-03 三星显示有限公司 弯曲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CN109460113A (zh) * 2018-10-26 2019-03-12 Oppo(重庆)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屏组件和电子设备
WO2019085015A1 (zh) * 2017-11-02 2019-05-09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
KR20190098284A (ko) * 2018-02-12 2019-08-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윈도우 성형 방법
US10600988B2 (en) 2016-07-19 2020-03-2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WO2020073745A1 (zh) * 2018-10-12 2020-04-1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衬底、柔性显示面板、柔性显示装置及其制作方法
WO2021147669A1 (zh) * 2020-01-21 2021-07-29 荣耀终端有限公司 电子设备
WO2022011748A1 (zh) * 2020-07-13 2022-01-20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屏幕组件和显示装置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2529B1 (ko) * 2014-08-30 2018-05-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보강된 부분을 갖는 배선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이의 제조 방법
US9718263B2 (en) 2014-10-14 2017-08-01 Samsung Display Co., Ltd. Manufacturing method of flexible display device
US10963204B2 (en) 2015-02-24 2021-03-30 Samsun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US9733883B2 (en) 2015-02-24 2017-08-15 Samsun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US10082996B2 (en) 2015-02-24 2018-09-25 Samsun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US11385854B2 (en) 2015-02-24 2022-07-12 Samsun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US10514879B2 (en) 2015-02-24 2019-12-24 Samsun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WO2017057939A1 (ko) * 2015-10-02 2017-04-06 삼성전자 주식회사 업무 정보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10600988B2 (en) 2016-07-19 2020-03-2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US11177454B2 (en) 2016-07-19 2021-11-1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CN108242207A (zh) * 2016-12-27 2018-07-03 三星显示有限公司 弯曲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WO2019085015A1 (zh) * 2017-11-02 2019-05-09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
KR20190098284A (ko) * 2018-02-12 2019-08-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윈도우 성형 방법
WO2020073745A1 (zh) * 2018-10-12 2020-04-1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衬底、柔性显示面板、柔性显示装置及其制作方法
US11349088B2 (en) 2018-10-12 2022-05-31 Boe Technology Group Co., Ltd. Flexible display panel having distributed holes
CN109460113B (zh) * 2018-10-26 2020-12-04 Oppo(重庆)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屏组件和电子设备
CN109460113A (zh) * 2018-10-26 2019-03-12 Oppo(重庆)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屏组件和电子设备
WO2021147669A1 (zh) * 2020-01-21 2021-07-29 荣耀终端有限公司 电子设备
WO2022011748A1 (zh) * 2020-07-13 2022-01-20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屏幕组件和显示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01579A (ko) 가요성 표시 장치 및 가요성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1996437B1 (ko) 투명 보호창, 이를 포함하는 가요성 표시 장치 및 투명 보호창의 제조 방법
KR101386219B1 (ko) 플렉서블 표시 패널,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EP2827372B1 (en)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2084110B1 (ko) 표시 장치용 커버 윈도우,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용 커버 윈도우의 제조 방법
US9575241B2 (en) Tiled display
US10003044B2 (en) Cover window for a display device,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200050316A1 (en) Display device
CN109285452A (zh) 显示设备以及其制作方法
US9870023B2 (en) Display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50006932A (ko) 표시 장치용 윈도우,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용 윈도우의 제조 방법
KR102084060B1 (ko) 보호용 윈도우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한 표시 장치
US20210013447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200210671A1 (en) Optical Fingerprint Module
KR20140101601A (ko) 영상 표시 장치
US9395759B2 (en) Protective window for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50087655A (ko) 표시 장치용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WO2017205154A1 (en) Electronic display device having a reduced dead border
TWI490553B (zh) 顯示裝置
US11579741B2 (en) Electronic apparatus
KR102324027B1 (ko)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74422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0034184A1 (zh) 光学指纹传感器装置及其组装方法
CN112449524A (zh) 显示装置
CN110837759A (zh) 光学指纹传感器装置及其组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