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8284A - 디스플레이 윈도우 성형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윈도우 성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8284A
KR20190098284A KR1020180016892A KR20180016892A KR20190098284A KR 20190098284 A KR20190098284 A KR 20190098284A KR 1020180016892 A KR1020180016892 A KR 1020180016892A KR 20180016892 A KR20180016892 A KR 20180016892A KR 20190098284 A KR20190098284 A KR 201900982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corner
bending
mold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6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0901B1 (ko
Inventor
황인범
박상호
이정규
최종현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6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0901B1/ko
Priority to US16/233,292 priority patent/US11279646B2/en
Priority to CN201910109777.4A priority patent/CN110156305B/zh
Publication of KR20190098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8284A/ko
Priority to US17/667,082 priority patent/US11820693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0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0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press-bending between shaping mould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press-bending between shaping moulds
    • C03B23/0307Press-bending involving applying local or additional heating, cooling or insulating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press-bending between shaping moulds
    • C03B23/0302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press-bending between shaping moulds between opposing full-face shaping mould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1/00Pressing molten glass or performed glass reheated to equivalent low viscosity without blowing
    • C03B11/12Cooling, heating, or insulating the plunger, the mould, or the glass-pressing machine; cooling or heating of the glass in the mould
    • C03B11/122He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press-bending between shaping moulds
    • C03B23/0305Press-bending accelerated by applying mechanical forces, e.g. inertia, weights or local for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215/00Press-moulding glass
    • C03B2215/40Product characteristics
    • C03B2215/44Flat, parallel-faced disc or plate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215/00Press-moulding glass
    • C03B2215/50Structural details of the press-mould 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1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면 입체형 디스플레이 구현 방법에 관한 것으로, 윈도우의 코너를 곡면으로 성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윈도우 성형 방법{DISPLAY WINDOW MOLDING METHOD}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윈도우 곡면 성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윈도우의 코너를 곡면으로 성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디스플레이에서 좌우 엣지(edge) 부분은 활용이 되지 않는 공간이었으나 이제 좌우 엣지 부분 곡면으로 처리되어 새로운 디스플레이 면으로 활용된다.
1면 또는 2면의 곡면 윈도우와 플렉서블 패널을 활용하여 좌측이나 우측 엣지 또는 양측 엣지 디스플레이의 구현이 가능하며 4면의 모든 엣지를 활용한 4면 엣지 디스플레이 또한 개발되고 있다. 이에 따라 4면이 모두 곡면으로 처리된 디스플레이는 4면의 곡면 윈도우를 가진 입체 윈도우 형태를 갖게 된다.
한편, 이러한 곡면 디스플레이는 금형을 이용하여 유리를 열성형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유리의 점탄성을 이용하여 평판 형상으로부터 곡률을 가지는 곡면 형상의 제품으로 만들어진다.
한편, 서로 겹치지 않는 1면 또는 2면을 구부리는 기술은 구현이 비교적 자유로워 현재 모바일 제품에 사용중이다.
하지만 3개면이 중첩되는 코너 부분의 형상은 최소 3개의 굽힘선(bending line)이 필요하고, 3개의 굽힘선의 교차 지점에서 코너가 형성되며 이와 같은 코너부분의 형상은 평판 형태의 유리 형태로부터 성형을 진행해서 원하는 형태로 만들기가 어렵다.
평판형태의 유리로 금형을 이용하여 모바일 디스플레이의 4면을 모두 구부리면 코너에 유리의 인장변화가 집중되어 입체적인 형상 제어가 어렵다. 즉, 코너의 두께 감소나 주름 발생등의 현상이 발생하고 아래쪽으로 쏠리는 현상이 발생되며 모서리의 길이 편차가 발생하고 전면부의 평탄도가 저하되어 전반적인 유리 입체 형상의 치수 제어가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디스플레이 윈도우의 코너를 곡면으로 성형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윈도우 성형 금형은, 윈도우 측면 벤딩부;
윈도우 코너 벤딩부; 및 윈도우 평탄부와 접하는 상부 평탄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 벤딩부는 상기 코너 벤딩부 아래에 위치한다.
일 실시례에서, 상기 측면 벤딩부는 경사면을 포함한다.
일 실시례에서, 상기 코너 벤딩부는 코너에 접하는 면을 구부려서 곡면으로 성형한다.
일 실시례에서, 상기 금형은 복수의 부속 금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윈도우 성형 금형은, 상부 금형;
하부 금형;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금형은 윈도우 측면 벤딩부;
윈도우 코너 벤딩부; 및 윈도우 평탄부와 접하는 상부 평탄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 벤딩부는 상기 코너 벤딩부 아래에 위치한다.
일 실시례에서, 상기 측면 벤딩부는 경사면을 포함한다.
일 실시례에서, 상기 코너 벤딩부는 코너에 접하는 면을 구부려서 곡면으로 성형한다.
일 실시례에서, 상기 금형은 복수의 부속 금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윈도우 성형 방법은, 유리의 트랜지션 포인트 이상으로 가열한 유리를 윈도우 측면 벤딩부에 압착하여 윈도우 측면을 성형하는 단계; 상기 측면이 성형된 유리를 윈도우 코너 벤딩부와 상부 평탄부에 압착하여 윈도우 코너와 윈도우 상부를 성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일 실시례에서, 상기 측면 벤딩부는 경사면을 포함한다.
일 실시례에서, 상기 코너 벤딩부는 코너에 접하는 면을 구부려서 곡면으로 성형한다.
일 실시례에서, 상기 금형은 복수의 부속 금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윈도우 코너 곡면 성형 방법은, 코너 부분의 길어짐 및 주름/깨짐이 없는 곡면 코너를 성형할 수 있다.
도 1은 벤디드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벤디드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벤디드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a는 2개의 금형을 이용한 윈도우 성형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b는 도 4a의 윈도우 성형 방법을 이용한 윈도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내지 5b는 유리 성형시 사용되는 금형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c는 윈도우의 코너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유리 성형시 사용되는 금형의 상부 금형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유리 성형시 사용되는 상부 금형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내지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윈도우 성형 방법을 이용한 윈도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코너 부분에서 교차하는 굽힘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d)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 방법에 따른 다면 모서리 글라스 윈도우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례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례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례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소자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 1 내지 도 9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례를 설명한다.
도 1은 벤디드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벤디드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벤디드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벤디드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00), 및 표시 패널(100) 상에 배치된 윈도우(2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표시 패널(100)은 플렉시블 표시 패널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표시 패널(100)은 가장자리가 구부러진 형태를 갖는 벤디드 표시 패널일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가장자리가 구부러진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거나, 편평한 형태로 제작된 후, 윈도우(200) 또는 고정 프레임(미도시)등과의 결합에 의해 가장자리가 구부러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표시 패널(100)은 윈도우(2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상 표시 패널(100) 중심의 편평한 부분을 평면부(101)라 하고, 평면부(101) 가장자리의 구부러진 부분을 곡면부(102)라 한다. 표시 패널(100)은 평면부(101)의 양 가장자리에 곡면부(102)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곡면부(102)는 평면부(101)의 일 가장자리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평면부(101) 및 곡면부(102)는 설명의 편의상 구분된 영역으로 실제로 하나의 표시 영역일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영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화소(PX)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화소(PX)들은 표시 패널(100)의 평면부(101) 및 곡면부(102)에 각각 배치되어 영상을 표시 할 수 있다.
표시 패널(100)은 예를 들어, 플라스틱 필름과 같은 플렉시블 필름을 포함할 수 있으며, 플렉시블 필름 상에 유기 발광 다이오드와 화소 회로를 배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표시 패널(100) 상에 윈도우(200)가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200)는 투명한 경질의 소재로 제작되어 표시 패널(100)의 이미지를 그대로 투과시키면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표시 패널(100)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윈도우(200)는 플라스틱 필름과 같은 플렉시블 필름의 소재로 제작될 수도 있다.
윈도우(200)는 가장자리가 구부러진 형태를 갖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상 윈도우(200) 중심의 편평한 부분을 평면부(201)라 하고, 평면부(201) 가장자리의 구부러진 부분을 곡면부(202)라 한다. 곡면부(202)는 윈도우(200) 최외곽의 제1 곡면부(202a), 및 평면부(201)와 제1 곡면부(202a) 사이의 제2 곡면부(202b)로 구분될 수 있다.
윈도우(200)는 평면부(201)의 양 가장자리에 곡면부(202)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곡면부(202)는 평면부(201)의 일 가장자리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평면부(201), 제1 곡면부(202a) 및 제2 곡면부(202b)는 설명의 편의상 구분된 영역으로 실제로 하나의 연속된 영역일 수 있다.
곡면부(202)는 제1 곡면부(202a) 및 제2 곡면부(202b)를 갖는 것을 전제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곡면부(202)는 구부러지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적어도 2이상의 부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곡면부(202a) 및 제2 곡면부(202b)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곡률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윈도우용 소재의 가장자리(제1 곡면부(202a)가 형성될 영역)를 일정한 곡률로 구부러지게 형성하여 평면부와 제1 곡면부(202a)를 형성하고, 이어서 평면부의 가장자리(제2 곡면부(202b)가 형성될 영역)를 일정한 곡률로 구부러지게 형성하여 평면부(201)와 제2 곡면부(202b)를 형성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한 제1 곡면부(202a) 및 제2 곡면부(202b) 형성 방법은 후술한다.
윈도우(200)는 평면부(201)의 종단면과 곡면부(202)의 종단면 사이의 각도가 둔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평면부(201)의 종단면과 곡면부(202)의 종단면 사이의 각도는 120도 내지 180도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평면부(201)의 종단면은 평면부(201)와 곡면부(202) 사이의 절단면을 의미하고, 곡면부(202)의 종단면은 윈도우(200)의 최외곽 가장자리면을 의미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평면부(201)의 종단면과 곡면부(202)의 종단면이 이루는 제1 각(θ1)은 120도일 수 있고, 도 3을 참조하면, 평면부(201)의 종단면과 곡면부(202)종단면이 이루는 제2 각(θ2)은 180도일 수 있다.
곡면부(202)의 단면 형태는 원호의 일부이거나, 타원의 일부일 수 있다.
평면부(201)와 곡면부(202)가 이루는 각도는 제1 곡면부(202a) 및 제2 곡면부(202b)가 구부러지는 각도의 합일 수 있다. 제1 곡면부(202a)는 45도 내지 90도로 구부러질 수 있으며, 제2 곡면부(202b)는 45도 내지 90도로 구부러질 수 있다.
윈도우(500)는 표시 패널(1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100)이 평면부(101) 및 평면부(101) 가장자리의 곡면부(102)를 갖는 경우, 윈도우(500) 또한 표시 패널(100)의 평면부(101) 및 곡면부(102)에 대응되는 평면부(201) 및 곡면부(202)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윈도우(200)가 평면부(201) 및 곡면부(202)를 갖더라도 표시 패널(100)은 평면부(101)만 가질 수도 있다. 그러나 윈도우(200)은 한쪽 또는 양쪽 측면의 곡면부(202)를 가지며 교차되지 않는 하나의 굽힘선(bending line, 미도시)만을 갖는다.
도 4a는 2개의 금형을 이용한 윈도우 성형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디스플레이를 위한 유리 열성형은 금형(mold)을 이용하여 수행되며 상부 금형(401) 및 하부 금형(402)을 이용하여 가공된다. 이외에 중간금형(미도시)이 사용될 수도 있다. 상부 금형(401)은 4개 이상의 금형을 포함하며, 하부 금형(402)도 4개 이상의 금형을 포함한다.
2개 이상의 굽힘선이 만나 응력 집중이 발생되거나 굽힘 반지름이 작은 경우 최소 2개금형(상/하 금형)이 사용되어야 하며 금형 사이에 유리의 트랜지션 포인트(Transition Point)이상으로 가열된 유리를 압착하여 성형하는 방법으로 유리가 가공된다. 트랜지션 포인트 이상으로 가열된 유리는 성형 또는 가공이 용이하다.
금형을 하나만 사용하는 1 금형(mold) 공법의 경우 내부의 공간은 진공이며 굽힘 반지름이 작아지면 성형공정 중에 유리에 작용력이 커지므로 1금형 공법의 사용이 불가능하다.
최소 2개 금형을 사용하는 형태의 성형 공법에서는, 복수의 굽힘이 발생하는 코너 부분(410)에서 금형과의 간섭이 발생되며 상부 금형(401)과 하부 금형(402)의 압착시에 코너부의 길이가 증가하는 형태로 성형이 되어 4면 모두를 곡면화한 디스플레이의 구현이 불가능하다.
윈도우의 곡선부의 길이가 짧으면 성형이 비교적 용이하나 윈도우의 코너에서는 3개의 bending 라인이 만나기 때문에 3방향에서의 굽힘이 필요하다.
평판의 유리를 곡률을 가진 입체로 성형하는 경우 코너 부분에서 재료의 중첩이 발생하고 곡률 발생시 직선 부위가 감소하므로 굽힘에 대한 난이도가 증가하여 성형이 어렵다.
도 4b는 도 4a의 윈도우 성형 방법을 이용한 윈도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윈도우는 코너부에서 유리 재료가 중첩되어 코너부(420)가 길어진다.
도 5a 내지 5b는 유리 성형시 사용되는 금형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는 유리 성형시 사용되는 상부 금형의 1/4의 형상(501)을 나타내며 도5b는 상부 금형 전체(502)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금형 사용시, 측면 및 코너부를 동시성형하게 되므로 유리 재료가 코너부(510)에 중첩되어 주름이 발생되며 코너부가 길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하부 형상이 제어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도 5c는 윈도우의 코너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유리 성형시 사용되는 금형의 상부 금형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부 부속 금형(601)은 상부 금형 전체의 1/4을 나타내는 금형이다. 상부 부속 금형(601)은 음각으로 제작되고 음각 내부는 하단과 상단의 2단을 포함한다. 또한 음각 내부는 2단 이상의 다단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부 부속 금형(601)은 윈도우 측면 벤딩부(605), 윈도우 코너 벤딩부(615) 및 윈도우의 평탄부와 접하는 상부 평탄부(625)를 포함한다. 윈도우 측면 벤딩부(605)는 윈도우 코너 벤딩부(615) 아래에 위치한다.
하단의 윈도우 측면 벤딩부(605)를 이용하여 상하좌우 측면의 성형이 1차로 수행되고, 상하좌우 측면의 성형이 종료되면 상단의 윈도우 코너 벤딩부를 이용하여 코너부의 성형이 2차로 수행된다.
윈도우 측면 벤딩부(605)는 경사를 형성하여 하부 금형에 부착된 유리의 트랜지션 포인트 이상으로 가열한 유리의 성형을 용이하게 한다.
윈도우 코너 벤딩부(615)는 코너에 접하는 면을 구부려서 곡면으로 성형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성형 금형의 윈도우 코너 벤딩부는 1개 내지 3개의 굽힘선이 만나는 코너를 곡면으로 성형할 수 있다.
음각 내부의 윈도우 측면 벤딩부 및 윈도우 코너 벤딩부를 이용한 단계적인 성형을 수행하여 코너에서 유리의 중첩으로 인한 주름발생 및 하부형상이 과도하게 길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유리 성형시 사용되는 상부 금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부 금형(602)은 4개의 부속금형을 포함한다. 부속금형은 윈도우 측면 벤딩부(605), 윈도우 코너 벤딩부(615) 및 윈도우의 평탄부와 접하는 윈도우 상부 평탄부(625)를 포함한다. 윈도우 코너 벤딩부(615)는 교차부(630) 및 코너형성부(640)를 포함한다.
유리의 형상에 따라 교차부(630) 및 코너형성부(640)는 어느 하나 또는 모두 있을 수 있다. 윈도우 측면 벤딩부(605)를 통해서 유리의 상하좌우 측면이 성형된다. 유리의 트랜지션 포인트 이상으로 가열된 유리는 윈도우 측면 벤딩부(605)에 압착된다.
윈도우 측면 벤딩부(605) 상단의 전이부분(620)은 각 측면의 굽힘을 쉽게 하고 윈도우 코너 벤딩부(615)로의 진입을 원활하게 하며 일정 각도로 굽혀진다.
윈도우 측면 벤딩부(605)에 유리 열성형물이 가해지면 유리는 윈도우 측면벤딩부(605)의 경사 각도에 따라 각 측면이 굽혀진다. 윈도우 측면 벤딩부의 각 측면에서 측면의 성형이 완료됨에 따라 코너부에 유리가 집중되는 것이 제거된다. 윈도우 측면 벤딩부(605)에서 코너를 제외한 각 측면의 성형을 수행하여 상하좌우 및 코너가 동시 성형되어 코너에 주름이 발생하거나 측면의 길이가 달라지는 것이 방지된다.
윈도우 측면 벤딩부(605)에서 유리 열성형물의 상하 좌우 측면 성형을 종료하면 유리 열성형물은 전이대(620)를 거쳐 윈도우 코너 성형부(615)로 올라간다.
전이대(620)는 윈도우 측면 벤딩부(605)에서 성형된 유리가 윈도우 코너 벤딩부(615)로 올라가면 하단에 위치하게 된다.
전이대(620)는 윈도우 측면 벤딩부(605)보다 깊은 경사를 갖고 윈도우 측면 벤딩부(605)에서 성형된 상하좌우 측면들이 윈도우 코너 벤딩부(615)로 진입이 용이하게하며 상하좌우측면이 단단히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전이대(620)는 윈도우 코너 벤딩부(403)에 진입한 유리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막는다.
윈도우 코너 벤딩부(615)에 진입한 유리는 폭이 좁아지며 상하좌우측면이 밀착되고 윈도우 측면 벤딩부(605)에서 둔각으로 벌어져 있는 각도가 수직으로 된다.
윈도우 측면 벤딩부에서 윈도우 측면이 성형된 유리는 윈도우 코너 벤딩부(615)와 상부 평탄부(625)에 압착되어 윈도우 코너와 윈도우 상부가 성형된다.
금형 내부의 면과 면이 교차하는 교차부(630)는 면과 면이 교차하는 부분에서 일정한 곡률과 두께를 갖도록 하기 위해 일정한 곡률과 두께를 형성한다.
또한 코너형성부(640)는 3면이 접하고 3개의 bending 라인이 형성되는 코너를 형성한다.
코너형성부(640)는 교차부(630)와 동일한 곡률과 두께를 갖거나 교차부(640)와 다른 곡률과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윈도우 측면 벤딩부(605)에서 밀어 올려진 유리는 윈도우 코너 벤딩부(615)에서 각 측면이 수직으로 되고 윈도우 코너 벤딩부(615)에 밀착된다.
윈도우 측면 벤딩부(605)에서 상하좌우 측면이 모두 형성되므로 윈도우 코너 벤딩부(615)에서는 코너만 형성된다. 윈도우 측면 벤딩부(605)에서 성형되는 유리가 일정 각도로 펼쳐진 상태에서 윈도우 코너 벤딩부(615)로 진입하므로 코너에 인장 집중이 줄어들어 코너 부분의 두께 감소 및 주름 발생이 줄어든다. 또한 코너 이외 부분과 코너 부분에서의 높이차이를 제거될 수 있다.
기존에는 코너부분에서 길어짐 현상이 발생하여 높이 차이를 없애기 위해 코너부의 면을 깎아내는 작업이 필요하였으나 본 발명은 별도의 면을 깎아내는 작업을 요하지 않는다.
도 7a내지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윈도우 성형 방법을 이용한 윈도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윈도우 성형 방법은 코너 부분(710)의 두께 감소, 주름 발생이나 길이 편차 증가등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도 7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윈도우 성형 방법을 이용하면 윈도우의 코너 부분에 주름 발생이나 길이 편차 증가가 발생되지 않는다.
도 8은 코너 부분에서 교차하는 굽힘선(82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굽힘선은 코너 부분에서 교차한다. 코너부에서는 3개의 굽힘선이 교차한다.
도 9(a) 내지 도 9(d)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 방법에 따른 다면 모서리 글라스 윈도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9(a) 내지 도 9(b)를 참조하면 코너부(910, 1010)의 자유로운 성형으로 사각형 형태뿐만 아니라 삼각형 또는 오각형 형태의 유리 성형도 가능하다.
도 9(c)는 2면이 교차하는 부분(1110)에 곡면의 코너를 형성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d)는 코너부를 일정 부분 비우고 성형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d)를 참조하면, 윈도우는 윈도우 코너(1210)의 상부에서 빈 코너 바로 전까지의 길이를 일정 길이 이상 남겨두고 나머지 부분은 빈 공간으로 남겨두고 성형될 수 있다.
이때, 코너의 상부에서 빈 코너 바로 전까지의 길이는 1mm 이상의 길이가 되도록 성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다면 입체형 디스플레이 구현 방법은 평판 유리로부터 정면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의 5면 모두를 보호할 수 있는 유리의 성형이 가능하다.
또한 유리 코너부가 존재하며 디자인 완성도가 높은 4면 Edge 디스플레이 제품 구현이 가능하다.
코너부의 길어짐 현상이 없으므로 추가적인 공정이 불필요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례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실시례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표시 패널 200: 윈도우
401: 상부 금형 402: 하부 금형
410: 코너 부분 420: 코너부
501: 1/4 형상 502: 상부 금형 전체
510: 코너부 601: 상부 부속 금형
602: 상부 금형 615: 윈도우 코너 벤딩부
620: 전이부분 625: 상부 평탄부
630: 교차부 640: 코너형성부
710: 코너 부분 820: 굽힘선
910: 코너부 1010: 코너부
1110: 교차하는 부분 1210: 윈도우 코너

Claims (12)

  1. 윈도우 측면 벤딩부;
    윈도우 코너 벤딩부; 및
    윈도우 평탄부와 접하는 상부 평탄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 벤딩부는 상기 코너 벤딩부 아래에 위치하는 윈도우 성형 금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벤딩부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윈도우 성형 금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 벤딩부는 코너에 접하는 면을 구부려서 곡면으로 성형하는 윈도우 성형 금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은 복수의 부속 금형을 포함하는 윈도우 성형 금형.
  5.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금형을 포함하고,
    상기 금형은
    윈도우 측면 벤딩부;
    윈도우 코너 벤딩부; 및
    윈도우 평탄부와 접하는 상부 평탄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 벤딩부는 상기 코너 벤딩부 아래에 위치하는 윈도우 성형 금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벤딩부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윈도우 성형 금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 벤딩부는 코너에 접하는 면을 구부려서 곡면으로 성형하는 윈도우 성형 금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은 복수의 부속 금형을 포함하는 윈도우 성형 금형.
  9. 유리의 트랜지션 포인트 이상으로 가열한 유리를 윈도우 측면 벤딩부에 압착하여 윈도우 측면을 성형하는 단계;
    상기 측면이 성형된 유리를 윈도우 코너 벤딩부와 상부 평탄부에 압착하여 윈도우 코너와 윈도우 상부를 성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윈도우 성형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벤딩부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윈도우 성형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 벤딩부는 코너에 접하는 면을 구부려서 곡면으로 성형하는 윈도우 성형 방법.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은 복수의 부속 금형을 포함하는 윈도우 성형 방법.
KR1020180016892A 2018-02-12 2018-02-12 디스플레이 윈도우 성형 방법 KR102480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6892A KR102480901B1 (ko) 2018-02-12 2018-02-12 디스플레이 윈도우 성형 방법
US16/233,292 US11279646B2 (en) 2018-02-12 2018-12-27 Method of molding window for display
CN201910109777.4A CN110156305B (zh) 2018-02-12 2019-02-11 用于模塑用于显示设备的窗的模具
US17/667,082 US11820693B2 (en) 2018-02-12 2022-02-08 Method of molding window for dis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6892A KR102480901B1 (ko) 2018-02-12 2018-02-12 디스플레이 윈도우 성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8284A true KR20190098284A (ko) 2019-08-22
KR102480901B1 KR102480901B1 (ko) 2022-12-26

Family

ID=67540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6892A KR102480901B1 (ko) 2018-02-12 2018-02-12 디스플레이 윈도우 성형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1279646B2 (ko)
KR (1) KR102480901B1 (ko)
CN (1) CN110156305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4050B1 (ko) 2019-12-16 2021-03-31 주식회사 도우인시스 자동차 cid용 멀티 곡률 윈도우 글라스 제조 방법
USD980833S1 (en) 2020-11-12 2023-03-14 Samsung Display Co., Ltd. Cover window for display device
USD981385S1 (en) 2020-11-12 2023-03-21 Samsung Display Co., Ltd. Cover window for display device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8730A (ko) * 1999-06-15 1999-09-06 성필호 평판디스플레이의커버그라스
US20100287990A1 (en) * 2009-05-15 2010-11-18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glass plate
KR20110106319A (ko) * 2008-11-25 2011-09-28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유리의 시트로부터 성형 제품을 형성하는 장치 및 방법
US20120144866A1 (en) * 2010-12-11 2012-06-14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curved glass sheet and mold employed in the same
KR20130094570A (ko) * 2012-02-16 2013-08-26 (주)엔케이이엔지 곡면을 갖는 커버 글라스 제조 장치
KR20140001579A (ko) * 2012-06-27 2014-01-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장치 및 가요성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140025413A (ko) * 2011-05-05 2014-03-04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유리 시트를 리포밍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70121438A (ko) * 2016-04-25 2017-11-02 (주)썬텍솔루션 진공성형용 금형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성형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88661A1 (en) * 2011-05-10 2012-11-15 Weis Limited Solid structure glass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8783066B2 (en) 2011-05-27 2014-07-22 Corning Incorporated Glass molding system and related apparatus and method
US9611165B2 (en) 2012-06-08 2017-04-04 Corning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bending a glass sheet and an electronic device casing
WO2014054468A1 (ja) 2012-10-02 2014-04-10 旭硝子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の製造方法
EP2958863B1 (en) 2013-02-20 2018-09-26 Corning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shaped glass articles
JP6417547B2 (ja) * 2013-05-07 2018-11-07 コーニ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整形ガラス品を成形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9975801B2 (en) 2014-07-31 2018-05-22 Corning Incorporated High strength glass having improved mechanical characteristics
KR20170035406A (ko) 2015-09-22 2017-03-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윈도우 성형장치 및 윈도우 성형방법
KR102410792B1 (ko) * 2015-10-20 2022-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벤딩 성형용 금형 및 이를 이용하는 벤딩 성형하는 방법
US9745219B2 (en) * 2015-12-04 2017-08-29 61C&S Co., Ltd. Apparatus for forming front glass for display of electronic device
KR101797528B1 (ko) 2017-07-24 2017-11-16 (주)유티아이 이중 사출에 의한 엣지 벤트된 디스플레이 패널의 보호커버 제조방법
KR101893830B1 (ko) * 2017-12-22 2018-08-31 (주)중우엠텍 유리기판의 엣지용 성형장치 및 이의 엣지용 성형방법
CN108117251A (zh) * 2018-01-03 2018-06-05 瑞声精密制造科技(常州)有限公司 一种玻璃加工模具及玻璃加工方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8730A (ko) * 1999-06-15 1999-09-06 성필호 평판디스플레이의커버그라스
KR20110106319A (ko) * 2008-11-25 2011-09-28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유리의 시트로부터 성형 제품을 형성하는 장치 및 방법
US20100287990A1 (en) * 2009-05-15 2010-11-18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glass plate
US20120144866A1 (en) * 2010-12-11 2012-06-14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curved glass sheet and mold employed in the same
KR20140025413A (ko) * 2011-05-05 2014-03-04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유리 시트를 리포밍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30094570A (ko) * 2012-02-16 2013-08-26 (주)엔케이이엔지 곡면을 갖는 커버 글라스 제조 장치
KR20140001579A (ko) * 2012-06-27 2014-01-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장치 및 가요성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170121438A (ko) * 2016-04-25 2017-11-02 (주)썬텍솔루션 진공성형용 금형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성형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4050B1 (ko) 2019-12-16 2021-03-31 주식회사 도우인시스 자동차 cid용 멀티 곡률 윈도우 글라스 제조 방법
USD980833S1 (en) 2020-11-12 2023-03-14 Samsung Display Co., Ltd. Cover window for display device
USD981385S1 (en) 2020-11-12 2023-03-21 Samsung Display Co., Ltd. Cover window for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248692A1 (en) 2019-08-15
CN110156305B (zh) 2023-04-11
CN110156305A (zh) 2019-08-23
US11279646B2 (en) 2022-03-22
US11820693B2 (en) 2023-11-21
US20220162110A1 (en) 2022-05-26
KR102480901B1 (ko) 2022-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98284A (ko) 디스플레이 윈도우 성형 방법
US8149348B2 (en) Display device and lenticular sheet of the display device and method thereof
US20160357053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6497672B2 (ja) レンズシート及び表示装置並びに電子機器
US9817182B2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268966B1 (ko) 표시장치
US20190371869A1 (en) Curved display, display module and display terminal
CN110908165B (zh) 一种显示模组及电子装置
US9651733B2 (en) Back pl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backlight module
US11327336B2 (en) Panel with virtual curved display surface and display device
CN111986579B (zh) 拼接式显示器
TWI546588B (zh) 具不同曲率設計之顯示裝置
CN110085123B (zh) 一种阵列基板及显示面板
US20160313488A1 (en) Display device
US10870182B2 (en) Panel positioning assembly, backlight module and display device
KR102141870B1 (ko) 표시장치 및 이의 조립방법
KR102515993B1 (ko) 디스플레이장치용 샤시 성형방법
US20170048989A1 (en) Display Device Having Flexible Fixing Design
US20160139449A1 (en) Glue frame and display device
TWI556041B (zh) 光源模組
US20200018892A1 (en) Reflective sheet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10859761B1 (en) Backlight module and display device
KR100897205B1 (ko) 액정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를 구비한 단말기, 그리고액정디스플레이 모듈의 프레임지지체 제조방법
KR102591102B1 (ko) 디스플레이장치용 복합판넬 성형방법
CN108761902A (zh) 具有反射片的背光模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