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9661A - 다기능 접이식 거치대 - Google Patents

다기능 접이식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9661A
KR20140049661A KR1020120115734A KR20120115734A KR20140049661A KR 20140049661 A KR20140049661 A KR 20140049661A KR 1020120115734 A KR1020120115734 A KR 1020120115734A KR 20120115734 A KR20120115734 A KR 20120115734A KR 20140049661 A KR20140049661 A KR 201400496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nnection
connection plate
portable terminal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5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0087B1 (ko
Inventor
이병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템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템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템퍼스
Priority to KR1020120115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0087B1/ko
Publication of KR20140049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96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0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0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치된 기기로 사진 촬영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타용도로 사용가능하며 보관이 용이한 다기능 접이식 거치대를 위하여, 촬영대상물을 안착할 수 있는 제1플레이트와, 카메라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으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상기 촬영대상물을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제1플레이트에 대향되어 배치될 수 있는 제2플레이트와,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가 다른 부분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연결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다기능 접이식 거치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다기능 접이식 거치대{Multi function folding stands}
본 발명은 접이식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다양한 기능을 갖는 접이식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치대는 카메라나 스마트폰을 충전하기 위하여 거치하거나 전시하기 위하여 거치하는 등 기기를 안정적으로 거치하는 것이 주 용도이다. 이러한 거치대는 사용자가 기기의 화면을 시청하기 용이하며 기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기기를 일정각도로 기울여 거치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거치대는 기기를 일정한 각도로 기울려 거치하여 사진촬영 시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으며, 단순히 기기를 거치할 뿐 다른 용도가 없어 기기를 거치하지 않는 경우 무용지물이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거치된 기기로 사진 촬영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타용도로 사용가능하며 보관이 용이한 다기능 접이식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촬영대상물을 안착할 수 있는 제1플레이트와, 카메라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으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상기 촬영대상물을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제1플레이트에 대향되어 배치될 수 있는 제2플레이트와,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가 다른 부분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연결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다기능 접이식 거치대가 제공된다.
상기 제1플레이트, 상기 제1연결 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는 어느 일 평면상에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가 대향되도록 접힐 수 있다.
상기 제1플레이트는, 상기 촬영대상물의 안착위치를 안내할 수 있는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플레이트는, 상기 촬영대상물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플레이트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안정적인 거치를 위한 거치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 플레이트는 제1힌지부에 의해 상기 제1플레이트에 결합되는, 되고, 제2힌지부에 의해 상기 제2플레이트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플레이트, 상기 제1연결 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에 이어 어느 한 평면 상에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2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연결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 플레이트, 상기 제2플레이트 및 상기 제2연결 플레이트의 일방향의 길이는 상기 제1플레이트의 상기 일 방향의 길이와 각각 동일하거나 작으며, 상기 제1연결 플레이트, 상기 제2플레이트 및 상기 제2연결 플레이트의 상기 일 방향과 수직한 다른 일 방향의 길이의 합은 상기 제1플레이트의 상기 다른 일 방향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다.
상기 제1플레이트는 상기 촬영대상물이 안착되는 면이 평평하고 매끄러울 수 있다.
상기 제1플레이트는 상기 촬영대상물이 안착되는 면의 반대편 면이 평평할 수 있다.
상기 제1플레이트는 상기 제1연결 플레이트와 연결되는 부분에서 먼 모서리에 인접한 부분에 스토퍼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거치된 기기로 사진 촬영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타용도로 사용가능하며 보관이 용이한 다기능 접이식 거치대를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접이식 거치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접이식 거치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 내지 도 5는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접이식 거치대는 제1플레이트(100), 제2플레이트(200) 및 제1연결 플레이트(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플레이트(100)는 촬영대상물(1)을 안착할 수 있다. 예컨대, 제1플레이트(100)는 촬영대상물(1)이 안착되기 용이하도록 평평한 면을 가지고, 대략 사각 플레이트일 수 있다. 여기서 촬영대상물(1)은 명함일 수 있다. 여기서 촬영대상물(1)이 안착할 수 있는 제1플레이트(100)의 면은 평평하고 매끄러울 수 있다. 또는 촬영대상물(1)이 안착할 수 있는 제1플레이트(100)의 면은 +y방향으로 복수의 요철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제1플레이트(100)는 촬영대상물(1)의 안착되는 위치를 안내할 수 있는 가이드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촬영대상물(1)이 명함이면 명함의 크기와 형태가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따라서 가이드부(110)는 명함의 모서리가 안착되는 위치를 한정할 수 있다. 예컨대, 가이드부(110)는 "ㄴ"자 형태일 수 있다.
한편, 제1플레이트(100)는 촬영대상물(1)이 안착되는 면(이하 제1면)의 반대편 면(이하 제2면)이 평평할 수 있다. 예컨대, 제1플레이트(100)의 제2면은 마우스패드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플레이트(100)의 제2면은 마우스패드로 사용되기 적합한 형태 또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플레이트(200)는 카메라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2)를 거치할 수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2)로 촬영대상물(1)을 촬영할 수 있도록 제1플레이트(100)에 대향되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플레이트(200)는 제1플레이트(100)에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특정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예컨대, 제2플레이트(200)는 제1플레이트(100)에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질 수 있으며, 제1플레이트(100)에서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어 평행을 이룰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2)로 촬영할 수 있는 경우는 제1플레이트(100)가 제1플레이트(100)에서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어 평행한 때이다. 이러한 제2플레이트(200)는 사각 플레이트이며 제1플레이트(100)보다 작을 수 있다.
이러한 제2플레이트(200)에 휴대용 단말기(2)를 거치하여 촬영대상물(1)을 촬영하기 위하여, 제2플레이트(200)는 촬영대상물(1)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홀(21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촬영홀(210)을 통해 휴대용 단말기(2)를 이용하여 촬영할 수 있다. 또는 제2플레이트(200)가 투명한 재질로 이루여져 이미지가 휴대용 단말기(2)의 촬상소자로 입사될 수 있다.
한편, 휴대용 단말기(2)는 그 형태가 매우 다양하다. 예컨대, 휴대용 단말기(2)는 평평하거나 곡면으로 이루어지거나 돌출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렇게 다양한 휴대용 단말기(2)를 안정적으로 가치하기 위하여 제2플레이트(200)는 거치홀(22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연결 플레이트(300)는 제1플레이트(100) 및 제2플레이트(200)가 다른 부분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연결 플레이트(300)는 대략 사각 플레이트 형태이며, 제1플레이트(100)보다 작을 수 있다.
제1연결 플레이트(300)는 일단에 제1플레이트(10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에 제2플레이트(20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플레이트(100)와 제2플레이트(200)는 상호 반대편에 위치하도록 제1연결 플레이트(300)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플레이트(100)와 제1연결 플레이트(300)는 제1힌지부(500)에 의해, 제1연결 플레이트(300) 및 제2플레이트(200)는 제2힌지부(60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1힌지부(500) 및 제2힌지부(600)는 별도의 힌지로 구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각 플레이트들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1힌지부(500) 및 제2힌지부(600)는 제1플레이트(100), 제1연결 플레이트(300) 및 제2플레이트(200)를 일정한 각도로 이루도록 유지시킬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플레이트(100), 제1연결 플레이트(300) 및 제2플레이트(200)는 상호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므로 펼쳐진 경우 어느 한 평면상에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플레이트(100), 제1연결 플레이트(300) 및 제2플레이트(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플레이트(100)과 제1플레이트(200)가 대향되도록 접힐 수도 있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1플레이트(100), 제1연결 플레이트(300) 및 제2플레이트(200)는 접혀서 상호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특정한 형태 예컨대 삼각형 등의 형상도 이루도록 접힐 수도 있다.
이러한, 제1플레이트(100), 제1연결 플레이트(300) 및 제2플레이트(200) 순으로 순차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연결 플레이트(300)의 일단에 제1플레이트(100)가 제1힌지에 의해 결합되고, 타단에 제2플레이트(200)가 제2힌지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플레이트(100) 및 제2플레이트(200)는 제1플레이트(100)의 대향하는 모서리에 각각 결합되어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플레이트(100), 제1연결 플레이트(300) 및 제2플레이트(200)는 펼쳐진 경우 어느 한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접이식 거치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접이식 거치대의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용상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접이식 거치대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접이식 거치대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따라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접이식 거치대는 제1플레이트(100), 제2플레이트(200), 제1연결 플레이트(300) 및 제2연결 플레이트(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2연결 플레이트(400) 및 다기능 접이식 거치대의 사용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2연결 플레이트(400)는 제2플레이트(2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플레이트(200)는 제3힌지부(700)에 의해 제2플레이트(2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3힌지부(700)는 별도의 힌지인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2플레이트(200) 및 제2연결 플레이트(40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제2연결 플레이트(400)는 제1연결 플레이트(300)가 제1연결 플레이트(300)에 결합되는 부분의 반대편 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연결 플레이트(400)는 일단에 제1연결 플레이트(300)가 결합되고 타단에 제2연결 플레이트(40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2플레이트(200)의 일단과 타단은 상호 대향하는 단부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플레이트(100), 제1연결 플레이트(300), 제2플레이트(200) 순으로 배치될 수 있으므로, 제1플레이트(100), 제1연결 플레이트(300), 제2플레이트(200), 제2연결 플레이트(400) 순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게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것은 다기능 접이식 거치대를 다양한 형상으로 접어 사용하기 위함이며, 보관시 최대한 작게 접어 용이하게 보관하기 위함이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다기능 접이식 거치대의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다기능 접이식 거치대는 예컨대 명함 촬영용 거치대로 사용될 수 있다.
제1플레이트(100)를 책상이나 테이블에 위치시키고, 제1연결 플레이트(300) 및 제2연결 플레이트(400)를 세워, 제2플레이트(200)를 제1플레이트(100)와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며 평행한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1플레이트(100)에 촬영대상물(1)을 안착시키고, 제2플레이트(200)에 휴대용 단말기(2)를 거치시킬 수 있다. 이때, 휴대용 단말기(2)의 화면을 보면서 제1플레이트(100)에 촬영대상물(1)이 정확히 안착되었는지 확인하여 촬영할 수 있다.
이처럼, 다기능 접이식 거치대를 사용하여 명함 등을 안정적이고 정확히 촬영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다기능 접이식 거치대는 노트북 등을 거치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2연결 플레이트(400)가 제1플레이트(100)와 제2플레이트(200) 사이에 위치하도록 접을 수 있다. 그리고 제1플레이트(100)와 제1연결 플레이트(300)는 소정의 각도를 이뤄, 전체적으로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각 플레이트들은 삼각형을 이루도록 접힐 수 있다.
이때, 제1플레이트(100)와 제2연결 플레이트(400)는 상호 매끈한 면이 맞닿아 접착력에 의해 노트북의 하중을 견딜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제1플레이트(100)에 형성된 복수의 요철에 제2플레이트(200)의 모서리가 걸려 노트북의 하중을 견딜 수 있다.
그리고 제1플레이트(100)는 제1연결 플레이트(300)와 연결되는 부분에서 먼 모서리에 인접한 부분에 스토퍼(80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힌지부(500)의 반대편에 스토퍼(80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800)는 노트북 등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노트북을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다기능 접이식 거치대는 마우스패드로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연결 플레이트(300), 제2플레이트(200) 및 제2연결 플레이트(400)를 제1플레이트(100)와 평행하게 펼치고, 제1플레이트(100)의 제2면이 상방을 향하도록 다기능 접이식 거치대를 위치시킬 수 있다. 이때, 제1플레이트(100)의 제2면은 평평하며 마우스패드로 사용되는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마우스패드로 사용되기 적합하다.
한편, 제1플레이트(100)보다 제1연결 플레이트(300), 제2플레이트(200) 및 제2연결 플레이트(400)의 크기가 크다면, 제1연결 플레이트(300), 제2플레이트(200) 및 제2연결 플레이트(400) 중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어, 미관상 좋지 않으며 마우스패드로 사용시 노출된 부분에 사용자의 손이 걸리는 등 사용상 불편할 수 있다.
이러한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연결 플레이트(300), 제2플레이트(200) 및 제2연결 플레이트(400)의 일 방향(+y방향)의 길이는 제1플레이트(100)의 일 방향(+y방향)의 길이와 각각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다. 그리고 제1연결 플레이트(300), 제2플레이트(200) 및 제2연결 플레이트(400)의 일 방향(+y방향)과 수직한 다른 일 방향(+x방향)의 길이의 합은 상기 제1플레이트(100)의 다른 일 방향(+x방향)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각 플레이트들은 대략 사각 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대략 +y방향 길이가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제1플레이트(100)의 +x방향 길이는 제2플레이트(200), 제1연결 플레이트(300) 및 제2연결 플레이트(400)의 +x방향의 길이의 합과 대략 동일할 수 있다. 이처럼 제1플레이트(100)의 면적은 제1연결 플레이트(300), 제2플레이트(200) 및 제2연결 플레이트(400)의 면적과 대략 동일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다기능 접이식 플레이트를 접었을 때, 제1힌지부(500), 제2힌지부(600) 및 제3힌지부(700)에 의해 제1플레이트(100)와, 나머지 플레이트들이 이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플레이트(100)는 수평을 유지하지 못하고 책상에서 기울어져 마우스패드로 사용될 때 사용자가 불편할 수 있다. 이러한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토퍼(800)는 제1플레이트(100)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 즉 스토퍼(800)는 제1플레이트(100)가 책상 등의 평면에서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다기능 접이식 거치대는 상호 접히는 복수의 플레이트들을 다양한 각도로 접거나 펼쳐,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 의하면 다기능 접이식 거치대는 3개 또는 4개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나 이보다 많은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제1플레이트 200: 제2플레이트
300: 제1연결 플레이트 400: 제2연결 플레이트
500: 제1힌지부 600: 제2힌지부
700: 제3힌지부 800: 스토퍼

Claims (11)

  1. 촬영대상물을 안착할 수 있는 제1플레이트;
    카메라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으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상기 촬영대상물을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제1플레이트에 대향되어 배치될 수 있는 제2플레이트; 및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가 다른 부분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연결 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다기능 접이식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 상기 제1연결 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는 어느 일 평면상에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가 대향되도록 접힐 수 있는, 다기능 접이식 거치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는, 상기 촬영대상물의 안착위치를 안내할 수 있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다기능 접이식 거치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플레이트는, 상기 촬영대상물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홀이 형성되는, 다기능 접이식 거치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플레이트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안정적인 거치를 위한 거치홀이 형성되는, 다기능 접이식 거치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 플레이트는 제1힌지부에 의해 상기 제1플레이트에 결합되는, 되고, 제2힌지부에 의해 상기 제2플레이트에 결합되는, 다기능 접이식 거치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 상기 제1연결 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에 이어 어느 한 평면 상에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2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연결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다기능 접이식 거치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 플레이트, 상기 제2플레이트 및 상기 제2연결 플레이트의 일방향의 길이는 상기 제1플레이트의 상기 일 방향의 길이와 각각 동일하거나 작으며,
    상기 제1연결 플레이트, 상기 제2플레이트 및 상기 제2연결 플레이트의 상기 일 방향과 수직한 다른 일 방향의 길이의 합은 상기 제1플레이트의 상기 다른 일 방향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작은, 다기능 접이식 거치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는 상기 촬영대상물이 안착되는 면이 평평하고 매끄러운, 다기능 접이식 거치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는 상기 촬영대상물이 안착되는 면의 반대편 면이 평평한, 다기능 접이식 거치대.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는 상기 제1연결 플레이트와 연결되는 부분에서 먼 모서리에 인접한 부분에 스토퍼가 형성되는, 다기능 접이식 거치대.


KR1020120115734A 2012-10-18 2012-10-18 다기능 접이식 거치대 KR1014500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5734A KR101450087B1 (ko) 2012-10-18 2012-10-18 다기능 접이식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5734A KR101450087B1 (ko) 2012-10-18 2012-10-18 다기능 접이식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9661A true KR20140049661A (ko) 2014-04-28
KR101450087B1 KR101450087B1 (ko) 2014-10-15

Family

ID=50655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5734A KR101450087B1 (ko) 2012-10-18 2012-10-18 다기능 접이식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008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28323A (ja) * 2017-07-31 2019-02-21 信也 山田 スマートフォン載置台
KR102135009B1 (ko) * 2020-02-28 2020-07-16 서민석 오링 검사장치
KR20210003645A (ko) * 2019-07-02 2021-01-12 홍순천 무선충전이 가능한 다용도 거치대
KR102421868B1 (ko) * 2021-06-02 2022-07-15 문병철 다용도 거치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960B1 (ko) * 2009-08-04 2011-07-26 이보름 컴퓨터 가방 또는 포장재 겸용 거치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28323A (ja) * 2017-07-31 2019-02-21 信也 山田 スマートフォン載置台
KR20210003645A (ko) * 2019-07-02 2021-01-12 홍순천 무선충전이 가능한 다용도 거치대
KR102135009B1 (ko) * 2020-02-28 2020-07-16 서민석 오링 검사장치
KR102421868B1 (ko) * 2021-06-02 2022-07-15 문병철 다용도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0087B1 (ko) 2014-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193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154541B1 (ko) 스탠드가 내장된 태블릿 컴퓨터용 무선 키보드
US8544639B2 (en) Hold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background
US9677704B1 (en) Mobile telephone holder and display
US8954123B2 (en) Connector cover and mobile type electronic device
US20120211631A1 (en) Hold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EP2647306A1 (en) Protective apparatus for tablet electronic device
US20090322967A1 (en) Notebook computer having projection function
KR101450087B1 (ko) 다기능 접이식 거치대
US20130044257A1 (en) Mobile device with side-mounted camera module
TWI574560B (zh) 電子裝置
JP6799545B2 (ja) 携帯用電子映像拡大装置
US20150252936A1 (en) Device for holding a sheet of paper, a holder for a mobile device and software program for use with such holder
TW201006686A (en) Portable frame for supporting a document
US20200389574A1 (en) Usb camera
TWI249323B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KR101919051B1 (ko) 디스플레이부 힌지 회전 모바일 단말기
CN211780012U (zh) 翻折式置物架
WO2018192140A1 (zh) 带投影功能的移动通信设备
TW201120621A (en) Business card case mounted on notebook computer
TWM449975U (zh) 自動拍攝文件之裝置
US9816664B2 (en) Support for electronic device
JP6217039B2 (ja) 資料撮影装置
CN214700122U (zh) 一种一体化支撑件
KR200471146Y1 (ko)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겸용 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