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8820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8820A
KR20170098820A KR1020177015773A KR20177015773A KR20170098820A KR 20170098820 A KR20170098820 A KR 20170098820A KR 1020177015773 A KR1020177015773 A KR 1020177015773A KR 20177015773 A KR20177015773 A KR 20177015773A KR 20170098820 A KR20170098820 A KR 201700988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display
image
display unit
area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5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0042B1 (ko
Inventor
이도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70098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88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0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0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8Means for changing the camera field of view without moving the camera body, e.g. nutating or panning of optics or image sensors
    • H04N5/2259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양 방향으로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 제1 방향으로 배치되어 제1 방향의 영상을 입력받는 카메라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입력된 제1 방향의 영상을 임시 캡쳐하고, 카메라부가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의 영상을 입력받을 수 있도록 카메라부가 포함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이 기 설정된 각도 이상 제2 방향으로 벤딩될 때, 임시 캡쳐된 제1 방향의 영상을 제2 방향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 또는 벤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본 명세서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술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전자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화면을 터치하여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터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되고 있고, 다양한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개발 중인 디스플레이 모듈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제품이 발표되었다. 그리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용화를 위해 개발자들은 노력하고 있다.
한편, 현재 디스플레이 장치는 두 개의 카메라를 포함하고 있다. 두 개의 카메라는 각각 사물 촬영 및 사용자 자신의 촬영에 사용될 수 있다. 또는, 두 개의 카메라는 화상 통화 기능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나의 카메라만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UI/UX에 대한 필요성이 있다.
본 명세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목적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을 보면서 하나의 카메라를 사용하여 다양한 방향의 오브젝트를 촬영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양 방향으로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 제1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 방향의 영상을 입력받는 카메라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제1 방향의 영상을 임시 캡쳐하고, 상기 카메라부가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의 영상을 입력받을 수 있도록 상기 카메라부가 포함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이 기 설정된 각도 이상 상기 제2 방향으로 벤딩될 때, 상기 임시 캡쳐된 제1 방향의 영상을 상기 제2 방향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 또는 상기 벤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주기로 상기 제1 방향의 영상을 임시 캡쳐하고, 기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상기 임시 캡쳐된 제1 방향의 영상을 삭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카메라부가 포함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이 기 설정된 각도 이상 상기 제2 방향으로 벤딩될 때, 상기 제2 방향의 영상을 입력받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제2 방향의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중력 방향으로 방향을 전환하고 크롭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임시 캡쳐된 제1 방향의 영상을 상기 벤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상기 입력된 제2 방향의 영상을 상기 제2 방향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임시 캡쳐된 제1 방향의 영상을 상기 제2 방향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상기 입력된 제2 방향의 영상을 상기 벤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임시 캡쳐된 제1 방향의 영상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촬영 이미지를 상기 제2 방향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방향의 영상과 관련된 촬영 이미지는 동일한 인물을 포함한 이미지, 동일한 배경을 포함한 이미지 및 기 설정된 시간 범위 내에서 촬영된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벤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을 펼치는 경우, 상기 임시 캡쳐된 제1 방향의 영상을 삭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벤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의 벤딩 라인을 상기 제2 방향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제2 방향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카메라부의 위치와 대응되는 영역을 표시하도록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벤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에 촬영과 관련된 메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벤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과 상기 제2 방향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도록 상기 벤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과 상기 제2 방향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경계 부분에 촬영 버튼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벤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의 촬영 버튼만 선택되는 경우, 상기 벤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방향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촬영 버튼만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2 방향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벤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 및 상기 제2 방향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촬영 버튼이 동시에 선택되는 경우, 상기 벤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영상 및 상기 제2 방향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영상 모두를 촬영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양 방향으로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1 방향으로 배치된 카메라부를 통해 제1 방향의 영상을 입력받아 임시 캡쳐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부가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의 영상을 입력받을 수 있도록 상기 카메라부가 포함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이 기 설정된 각도 이상 상기 제2 방향으로 벤딩되는 단계 및 상기 임시 캡쳐된 제1 방향의 영상을 상기 제2 방향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 또는 상기 벤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카메라부가 포함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이 기 설정된 각도 이상 상기 제2 방향으로 벤딩될 때, 상기 제2 방향의 영상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제2 방향의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중력 방향으로 방향을 전환하고 크롭하여 상기 제2 방향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방향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임시 캡쳐된 제1 방향의 영상을 상기 제2 방향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2 방향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된 제2 방향의 영상을 상기 벤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벤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을 펼치는 경우, 상기 벤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의 벤딩 라인을 상기 제2 방향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벤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과 상기 제2 방향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도록 상기 벤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과 상기 제2 방향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경계 부분에 촬영 버튼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은 촬영되는 이미지를 보면서 하나의 카메라로 다양한 각도의 물체를 촬영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은 양 방향의 물체를 선택하여 촬영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은 직전에 벤딩된 영역을 표시할 수 있따.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은 카메라의 각도에 상관없이 촬영된 이미지를 수직 방향으로 보정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사용자 방향을 촬영하는 제1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사용자 방향을 촬영하는 제2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카메라가 배치된 제1 방향의 이미지를 임시 저장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이미지 방향을 보정하는 일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벤딩 영역 UI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사용자가 위치하는 제2 방향의 이미지를 선택하여 촬영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카메라가 배치된 제1 방향의 이미지를 선택하여 촬영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1 및 제2 방향의 이미지를 모두 선택하여 촬영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디스플레이부에 벤딩된 영역을 표시하는 일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벤딩에 따른 디스플레이 영역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상술한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해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명세서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카메라부(110),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110)는 제1 방향으로 배치되어 제1 방향의 영상을 입력받는다.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장치는 메인 카메라부와 디스플레이부를 서로 다른 면에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카메라부가 배치된 면을 물체가 있는 방향으로 향하도록 하고, 디스플레이부가 배치된 면을 사용자가 있는 방향으로 향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이용하여 촬영을 할 때, 물체가 존재하는 방향을 제1 방향으로 정의하고, 사용자가 존재하는 방향을 제2 방향으로 정의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는 양 방향으로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는 벤딩될 수 있다. 그리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는 양면 디스플레이 모듈일 수 있다.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는 두 개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결합한 구조일 수 있다. 그리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는 카메라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카메라부(1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의 모서리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는 카메라부(110)가 배치된 일정 영역까지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는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를 터치하여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즉,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는 터치 센서에서 감지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제어부(130)는 카메라부(110)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30)는 입력된 제1 방향의 영상을 임시 캡쳐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기 설정된 주기로 제1 방향의 영상을 임시 캡쳐하고, 기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임시 캡쳐된 제1 방향의 영상을 삭제할 수 있다. 임시 캡쳐는 뒤에서 자세히 설명된다. 카메라부(110)가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의 영상을 입력받을 수 있도록 카메라부(110)가 포함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의 일 영역이 기 설정된 각도 이상 제2 방향으로 벤딩될 때, 제어부(130)는 임시 캡쳐된 제1 방향의 영상을 제2 방향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 또는 벤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의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기 설정된 각도는 90도, 160도 또는 180도와 같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각도가 170도로 설정된 경우, 카메라부(110)가 포함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의 일 영역이 제2 방향으로 170도 벤딩되면 임시 캡쳐된 제1 방향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1 방향의 영상은 제2 방향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에 디스플레이되거나 카메라부(110)와 인접한 벤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의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2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카메라부(110),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 제어부(130), 통신부(140), 입력부(150), 센서부(160), 오디오부(170), 저장부(180), 파워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주변 환경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이를 위해 카메라부(110)는 광학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110)에서 촬영되어 전기적 신호로 변환된 이미지는 저장부(180)에 저장된 후 제어부(130)로 출력되거나, 저장없이 바로 제어부(130)로 출력될 수도 있다. 또한 카메라부(110)에 의해 촬영되는 이미지는 정지 영상이 될 수도 있고, 동영상이 될 수도 있다. 카메라부(110)는 모션 센서 또는 비디오 센서로 사용될 수도 있다.
카메라부(110)는 하나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1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의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부(110)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의 벤딩에 따라 카메라부(110)는 다양한 방향의 물체를 촬영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는 제어부(130)에서 실행되는 컨텐츠 또는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는 자유롭게 벤딩될 수 있다. 그리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는 양 방향으로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는 터치 센서와 함께 구현되어 사용자의 터치 명령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제어부(130)는 저장부(180)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데이터 통신을 통해 수신된 컨텐츠 등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디스플레이 장치 내부의 데이터를 프로세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상술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 구성들을 제어하며, 각 구성들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할 수도 있다. 제어부(130)는 이하 상세하게 설명될 다양한 제어 로직을 실행하기 위해 관련된 기술분야에 알려진 프로세서,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다른 칩셋, 논리 회로, 레지스터, 통신 모뎀, 데이터 처리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어 로직이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때, 제어부(130)는 프로그램 모듈의 집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프로그램 모듈은 저장부(180)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제1 방향의 이미지를 기 설정된 주기로 임시 캡쳐하고, 기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임시 캡쳐된 제1 방향의 이미지를 삭제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의 카메라부(110)가 포함된 일 영역이 기 설정된 각도 이상 제2 방향으로 벤딩될 때, 임시 캡쳐된 제1 방향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통신부(140)는 외부 장치와 다양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외부 장치는 이동 단말기가 될 수도 있고, 고정 단말기가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 폰,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스마트 패드, 노트북,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지털 카메라, 네비게이션 등이 될 수 있고, 고정 단말기는 데스크 탑, DVD (Digital Video Disc or Digital Versatile Disc) 플레이어, TV 등이 될 수 있다.
다양한 프로토콜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프로토콜이 될 수 있다. 유선 통신인 경우, 통신부(140)는 외부 장치와 유선 데이터 전송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입출력 인터페이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는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DVI(Digital Visual Interface), IEEE 1394, 또는 데이터 전송과 관련된 다른 유사 규격에 따른 데이터 전송을 고려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인 경우, 통신부(140)는 인터넷,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등의 외부 통신망으로의 무선 접속을 고려한 RF 전기회로망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40)에 의해 접속되는 무선 통신망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 그 외에 HSPA (High Speed Packet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LTE (Long Term Evolution) 등의 이동 통신 방식 또는 블루투스,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WLAN(Wireless LAN)(Wi-Fi) 등의 근거리 통신 방식의 인터페이스가 지원될 수 있다.
여기서 유/무선 인터페이스 방식은 본 명세서의 이해를 돕기 위한 실시예들이며,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방식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될 수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 인터페이스 방식은 상술한 실시예들로 한정되지 않을 것이다.
입력부(150)는 외부로부터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입력부(150)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50)는 터치패드, 버튼, 소프트키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넓은 의미로 입력부(150)는 마이크, 터치 스크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는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을 수 있고,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를 입력받을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마이크는 오디오부에 포함시킬 수 있고, 터치 스크린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포함시킬 수 있다.
센서부(160)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 주위 환경을 감지하고 이를 제어부(13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60)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고 이를 제어부(13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센서부(160)는 적어도 하나의 센싱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 수단은 중력(gravity) 센서, 지자기 센서, 모션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적외선 센서, 기울임(inclination) 센서, 밝기 센서, 고도 센서, 후각 센서, 온도 센서, 뎁스 센서, 압력 센서, 밴딩 센서, 오디오 센서, 비디오 센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센서, 터치 센서, 지문 센서 등의 다양한 센싱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60)는 상술한 다양한 센싱 수단을 통칭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다양한 입력 및 사용자의 환경을 센싱하여, 제어부(130)가 그에 따른 작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센싱 결과를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센싱 수단들은 별도의 엘리먼트로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엘리먼트로 통합되어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센서부(160)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 상에 함께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 상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사용자 입력을 센서부(160)를 통해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160)가 터치 센서를 포함할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 상에 수행되는 사용자의 다양한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60)가 지문 센서를 포함할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 상에서 수행되는 사용자 입력으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와 센서부(160)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스크린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센서부(16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의 벤딩을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제어부(130)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센서부(160)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기초로 벤딩 각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각도가 기 설정된 각도 이상인 경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60)는 카메라부(110)가 기울어진 각도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센서부(110)에서 감지된 카메라부(110)의 기울어진 각도를 기초로 이미지의 각도를 보정할 수 있다.
오디오부(170)는 스피커 등의 오디오 출력 수단 및 마이크 등의 오디오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 수단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실행 중인 컨텐츠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컨텐츠는 저장부(180)로부터 제공받을 수도 있고, 외부 장치로부터 통신부(140)를 통해 제공받을 수도 있다. 출력 수단은 공기 전도 스피커와 골전도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전도 스피커는 이어폰 등이 해당된다. 공기 전도 스피커는 오디오 신호에 따라 공기를 진동시켜 음파를 발생시킨다. 즉, 공기로 전해지는 소리의 진동은 귓속에 있는 고막으로 전달되고, 고막의 진동은 고막 속에 자리 잡고 있는 3개의 뼈를 통해 나사 모양의 와우에 전달된다. 와우에는 림프액이라는 액체가 차 있고, 이 액체의 진동이 전기 신호로 바뀌면서 청각 신경에 전달되어 사람의 뇌는 소리를 인식한다. 골전도 스피커는 주파수 형태의 진동으로 변환된 오디오 신호를 사용자에게 원할하게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만일 골전도 스피커를 이용한다면, 오디오 신호는 골전도 스피커를 구동시킴으로써, 골전도 음파가 사용자의 두개골에 전도되어 주파수 형태의 진동이 사용자의 내이로 전달되게 된다. 골전도 스피커를 이용하면 사용자는 고막에 무리없이 오디오 신호를 들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오디오부(170)는 오디오 센서로 사용될 수도 있다.
저장부(180)는 비디오, 오디오, 사진, 어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디지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은 제어부(13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일 수 있다. 또한, 비디오 또는 사진은 카메라부(110)를 통해 획득한 데이터일 수 있다. 저장부(180)는 RAM(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80)는 인터넷(internet) 상에서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하여 저장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80)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착탈 가능한 외부 저장 매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저장 매체는 SD(Secure Digital)나 CF(Compact Flash) 메모리와 같은 슬롯 형태, 메모리 스틱 형태, USB(Universal Serial Bus) 형태 등이 가능하다. 즉, 외부 저장 매체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착탈 가능하고, 오디오, 사진, 동영상, 어플리케이션 등과 같은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80)는 램(RAM), 롬(ROM), 캐쉬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CD, DVD, 블루레이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FDD), 자기 디스크, 메모리 카드, 플래쉬 메모리, USB 메모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파워부(190)는 배터리 또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파워 소스로서,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는 일차 전지뿐만 아니라 이차 전지를 포함한다. 이차 전지의 경우, 재충전이 가능한 리튬 이온 전지, 리튬 폴리머 전지, 니켈 카드늄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지털 데이터를 처리하고 이에 대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성능이 향상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다양한 컨텐츠의 실행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는 TV, 랩탑 컴퓨터, 데스크탑 컴퓨터, 모니터, 스마트폰, 태블릿 PC, 네비게이터, PMP, 결제용 단말기, 보안용 단말기, 키오스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최근 널리 사용되고 있는 포터블 장치는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 장치로도 활용되고 있다.
도 3은 사용자 방향을 촬영하는 제1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이용하여 물체를 촬영하고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카메라부(110)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를 포함하고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대부분의 영역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자유롭게 벤딩될 수 있다. 카메라부(110)는 제1 방향을 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 방향은 사용자가 위치한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는 양면에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는 카메라부(110)가 배치된 제1 방향을 향하여 배치된 면 및 사용자가 위치한 제2 방향을 향하여 배치된 면에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러나, 도 3(a)와 같이 카메라부(110)가 촬영한 영상은 제2 방향을 향하여 배치된 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카메라부(110)가 촬영한 영상은 프리뷰 영상, 촬영된 정지 이미지 또는 촬영된 동영상일 수 있다.
카메라부(1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의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부(110)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의 일 영역은 사용자가 위치한 제2 방향으로 벤딩될 수 있다.
도 3(b)에는 벤딩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카메라부(110)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가 벤딩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의 벤딩을 감지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가 기 설정된 각도 이상 벤딩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임시 캡쳐된 제1 방향의 이미지를 벤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121)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카메라부(110)를 통해 입력된 이미지를 제2 방향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2)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각도는 90도 내지 180도 사이의 임의의 각도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카메라부(110)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가 180도로 벤딩된 경우, 제2 방향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2)는 사용자의 이미지를 프리뷰할 수 있다. 임시 캡쳐된 제1 방향의 이미지의 크기는 벤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121)의 면적에 비례할 수 있다. 즉, 벤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121)이 넓으면 임시 캡쳐된 제1 방향의 이미지도 상대적으로 커질 수 있다. 벤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121)이 좁으면 임시 캡쳐된 제1 방향의 이미지도 상대적으로 작아질 수 있다.
도 4는 사용자 방향을 촬영하는 제2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벤딩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가 기 설정된 각도 이상 벤딩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임시 캡쳐된 제1 방향의 이미지를 제2 방향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2)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카메라부(110)를 통해 입력된 이미지를 벤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121)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방향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2)에 임시 캡쳐된 제1 방향의 이미지와 함께 관련된 이미지(11, 12, 13)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임시 캡쳐된 제1 방향의 이미지와 관련된 촬영 이미지를 제2 방향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2)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방향의 이미지와 관련된 촬영 이미지는 동일한 인물을 포함하는 이미지, 동일한 배경을 포함한 이미지 또는 기 설정된 시간 범위 내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카메라부(110)는 나무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임시 캡쳐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임시 캡쳐된 이미지에서 나무 형상을 인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임시 캡쳐된 나무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제2 방향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2)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저장된 이미지 중에서 유사한 나무 형상을 포함하는 이미지를 제2 방향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2)의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된 관련된 이미지(11, 12, 13)는 사용자의 선택을 받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임시 캡쳐된 제1 방향의 이미지를 선택된 이미지로 대체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임시 캡쳐된 제1 방향의 이미지를 관련된 이미지 중에서 선택된 이미지로 대체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무와 집이 있는 이미지(13)가 선택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임시 캡쳐된 나무를 포함하는 이미지 대신 나무와 집이 있는 이미지(13)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가 기 설정된 각도 이상 벤딩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임시 캡쳐된 제1 방향의 이미지를 제2 방향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2) 또는 벤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121)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방향의 이미지를 임시 캡쳐해야 한다. 아래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이미지를 임시 캡쳐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카메라가 배치된 제1 방향의 이미지를 임시 저장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a)는 기 설정된 시간에 따라 임시 캡쳐된 이미지가 도시되어 있다. 일 실시 예로서, 임시 캡쳐 시간 간격은 0.5초, 임시 캡쳐 이미지 개수는 3장으로 설정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카메라부(110)가 구동되기 시작하면, 설정 값에 따라 임시 캡쳐를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카메라부(110)가 구동하기 시작할 때, 즉 0초에 한 장의 이미지(1)를 임시 캡쳐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0.5초 후에 한 장의 이미지(2)를 임시 캡쳐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시 0.5초 후에 한 장의 이미지(3)를 임시 캡쳐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는 0.5초의 설정 값에 따라 카메라부(100)의 구동 시점을 기준으로 0초, 0.5초, 1초에 이미지를 임시 캡쳐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0초, 0.5초, 1초에 캡쳐한 세 장의 이미지(1, 2, 3)를 저장할 수 있다.
도 5(b)는 기 설정된 이미지 개수가 저장된 이후 임시 캡쳐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도 5(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카메라부(100)의 구동 시점을 기준으로 1초에 이미지를 임시 캡쳐한 후, 다시 0.5초가 지나면 하나의 이미지(4) 임시 캡쳐할 수 있다. 설정된 임시 캡쳐 이미지 개수가 3장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가장 오래된 이미지(1)를 삭제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카메라부(100)의 구동 시점을 기준으로 0.5초, 1초, 1.5초에 임시 캡쳐된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동일한 방법으로 0.5초마다 새로운 이미지를 임시 캡쳐하고 가장 오래된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삭제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기 설정된 주기로 제1 방향의 이미지를 임시 캡쳐하고, 기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임시 캡쳐된 제1 방향의 이미지를 삭제할 수 있다. 임시 캡쳐 시간 간격 및 임시 캡쳐 이미지 개수는 다른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임시 캡쳐 시간 간격은 0.1초, 1초 등과 같이 설정될 수 있고, 임시 캡쳐 이미지 개수는 1장, 5장, 10장 등과 같이 설정될 수도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가 기 설정된 각도 이상 벤딩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하나의 이미지를 제1 방향의 이미지로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가장 최근에 임시 캡쳐된 이미지를 제1 방향의 이미지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가 벤딩될 때, 일정한 시간이 필요하므로 가장 오래된 임시 캡쳐 이미지를 제1 방향의 이미지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벤딩을 인식한 시점을 기준으로 1초 이전에 임시 캡쳐된 이미지를 제1 방향의 이미지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벤딩 인식 시점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가 기 설정된 각도 이상 벤딩되었을 때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이미지가 0.5초, 1초, 1.5초, 2초에 임시 캡쳐되었고, 벤딩 인식 시점이 1.8초라면 1초 이전은 0.8초이다. 따라서, 벤딩 인식 시점보다 1초 이전에 임시 캡쳐된 이미지는 0.5초에 임시 캡쳐된 이미지이다.
한편, 카메라부(110)가 포함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가 벤딩되면, 카메라부(110)의 각도가 기울어질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부(110)의 각도에 따른 이미지의 보정이 필요하다. 아래에서는 이미지 방향의 보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이미지 방향을 보정하는 일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a)에는 카메라부(110)를 통해 입력된 제1 방향의 이미지가 도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방향을 향해 배치된 카메라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양면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가 벤딩되지 않은 경우, 카메라부(110)를 통해 입력된 이미지는 제2 방향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2)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위쪽 방향과 카메라부(110)의 위쪽 방향은 일치한다. 따라서, 카메라부(110)에서 인식되는 이미지(21)의 방향은 제2 방향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2)에 표시되는 이미지의 방향과 동일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이미지의 방향 또는 각도의 보정없이 카메라부(110)를 통해 입력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6(b)에는 카메라부(110)를 통해 입력된 제2 방향의 이미지가 도시되어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는 벤딩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가 기 설정된 각도 이상 벤딩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방향의 임시 캡쳐된 이미지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의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카메라부(110)를 통해 입력된 제2 방향의 이미지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의 다른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6(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방향의 이미지를 제2 방향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2)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런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위쪽 방향과 카메라부(110)의 위쪽 방향은 다르다. 도 6(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위쪽 방향은 수직 방향이다. 그러나, 카메라부(110)의 위쪽 방향은 수직 방향에서 오른쪽으로 일정 각도만큼 기울어진 방향이다. 카메라부(110)에서 인식되는 이미지(22)는 카메라부(110)를 기준으로 왼쪽으로 일정 각도만큼 기울어질 수 있다. 만일,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카메라부(110)에서 인식되는 이미지(22)를 보정없이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왼쪽으로 일정 각도 기울어진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카메라부(110)의 기울기를 감지하여 기울어진 이미지를 보정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카메라부(110)의 기울기를 감지하고 카메라부(110)의 이미지를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진 각도 만큼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다. 즉, 카메라부(110)에서 인식된 이미지(22)의 아래쪽 방향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중력 방향과 일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이미지(22)의 전환된 방향을 기준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의 비율을 고려하여 이미지(22)를 크롭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크롭된 이미지를 제2 방향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2)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입력된 제2 방향의 이미지(22)의 아래쪽 방향을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중력 방향과 일치하도록 방향을 전환시키고 크롭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방향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와 벤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에 각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벤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에 제어 메뉴를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벤딩 영역 UI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이미지와 함께 제어 메뉴가 도시되어 있다. 벤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121)은 제1 방향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2 방향의 디스플레이부(122)는 제2 방향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벤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121)은 제2 방향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제2 방향의 디스플레이부(122)는 제1 방향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벤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121)은 촬영과 관련된 메뉴(32)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촬영과 관련된 메뉴(32)는 자동 모드, 조리개 우선 모드, 셔터 우선 모드, 수동 모드, 인물 모드, 야경 모드, 스포츠 모드, 풍경 모드, 연속 촬영 모드, 화이트밸런스 조절 메뉴, 노출 조절 메뉴, 플래쉬 설정 메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촬영 버튼(31)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촬영 버튼(31)은 벤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121)과 제2 방향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2)에 걸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촬영 버튼(31)이 벤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121)과 제2 방향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2)를 포함하도록 벤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121)과 제2 방향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2)의 경계 영역에 촬영 버튼(31)을 생성할 수 있다.
벤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121)과 제2 방향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2)를 포함하는 촬영 버튼(31)의 선택되는 영역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르게 작동할 수 있다.
도 8은 사용자가 위치하는 제2 방향의 이미지를 선택하여 촬영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제2 방향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2)의 촬영 버튼(31)이 선택되는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제2 방향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2)는 제2 방향의 프리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벤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121)은 임시 캡쳐된 제1 방향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벤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121)은 촬영과 관련된 메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촬영 버튼(31)은 벤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121) 및 제2 방향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2)를 포함하는 영역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제2 방향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2) 영역의 촬영 버튼(31)이 선택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촬영된 이미지가 도시되어 있다. 제2 방향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2) 영역의 촬영 버튼(31)만이 선택되는 경우, 제2 방향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2)에 프리뷰되는 제2 방향의 이미지가 촬영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촬영 버튼(31) 중에서 제2 방향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2)의 촬영 버튼(31)만 선택되는 경우, 제2 방향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2)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촬영된 이미지는 제2 방향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2)에 표시되거나 저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촬영이 종료되면, 제2 방향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2)에 다시 프리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9는 카메라가 배치된 제1 방향의 이미지를 선택하여 촬영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벤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121)에 표시된 촬영 버튼(31)이 선택되는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제2 방향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2)는 제2 방향의 프리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벤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121)은 임시 캡쳐된 제1 방향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촬영 버튼(31)은 벤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121) 및 제2 방향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2)를 포함하는 영역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벤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121)에 표시된 촬영 버튼(31)이 선택될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촬영된 이미지가 도시되어 있다. 벤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121)에 표시된 촬영 버튼(31)만이 선택되는 경우, 임시 캡쳐된 제1 방향의 이미지가 촬영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촬영 버튼(31) 중에서 벤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121)의 촬영 버튼(31)만 선택되는 경우, 벤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121)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촬영된 이미지는 제2 방향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2)에 표시되거나 저장될 수 있다.
도 10은 제1 및 제2 방향의 이미지를 모두 선택하여 촬영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a)를 참조하면, 벤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121) 및 제2 방향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2)에 표시된 촬영 버튼(31)이 선택되는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제2 방향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2)는 제2 방향의 프리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벤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121)은 임시 캡쳐된 제1 방향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벤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121) 및 제2 방향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2)에 표시된 촬영 버튼(31)이 함께 선택될 수 있다.
도 10(b)를 참조하면, 촬영된 이미지가 도시되어 있다. 벤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121) 및 제2 방향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2)에 표시된 촬영 버튼(31)이 함께 선택되는 경우, 임시 캡쳐된 제1 방향의 이미지 및 제2 방향의 프리뷰 이미지가 함께 촬영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벤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121) 및 제2 방향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2)의 촬영 버튼(31)이 동시에 선택되는 경우, 벤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121)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 및 제2 방향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2)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 모두를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하나의 이미지를 메인 이미지로 표시하고, 다른 이미지를 서브 이미지로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서브 이미지가 선택되면 서브 이미지를 크게 표시하고, 메인 이미지를 서브 이미지의 일 영역에 작게 표시할 수 있다.
도 11은 디스플레이부에 벤딩된 영역을 표시하는 일 실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a)를 참조하면, 벤딩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는 벤딩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가 기 설정된 각도 이상 벤딩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벤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121)과 제2 방향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2)에 서로 다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벤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121)은 임시 캡쳐된 제1 방향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2 방향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2)는 제2 방향의 프리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벤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는 다시 펼쳐질 수 있다.
도 11(b)를 참조하면, 벤딩되었다가 펼쳐진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가 벤딩되었다가 펼쳐지면, 제2 방향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2)는 카메라부(110)에 입력된 제1 방향의 프리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임시 캡쳐되어 표시되었던 제1 방향의 이미지를 삭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시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카메라부(110)로 입력된 제1 방향의 이미지를 임시 캡쳐할 수 있다.
한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가 벤딩되었다가 펼쳐지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벤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의 일 영역(42)의 벤딩 라인을 제2 방향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2)에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기존 벤딩 라인을 표시하는 경우, 사용자는 동일한 위치 및 각도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를 벤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카메라부(110)의 위치를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카메라부(110)의 위치에 대응되는 영역(41)을 표시할 수 있따.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방향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2)에 카메라부(110)의 위치에 대응되는 영역(41)을 표시할 수 있다. 카메라부(110)의 위치에 대응되는 영역(41)은 벤딩과 상관없이 표시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는 임의로 벤딩될 수 있다. 즉,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는 임의의 각도, 임의의 영역으로 벤딩될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벤딩에 따른 디스플레이 영역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수직 라인과 일정한 각도로 벤딩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임의의 각도로 벤딩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벤딩된 영역을 기초로 제2 방향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도 12(a)와 같이 벤딩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영역(52)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영역(51) 및 제2 영역(52)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영역(52) 및 제3 영역(53)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영역은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영역은 자동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영역이 자동으로 설정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이미지의 해상도 및 레이아웃에 따라 자동으로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4:3의 해상도를 가지는 이미지를 제2 영역(52) 및 제3 영역(53)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16:9의 해상도를 가지는 이미지를 제2 영역(52)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문서 파일을 제1 영역(52) 및 제2 영역(52)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2(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수직 라인과 평행하게 벤딩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수직 라인과 평행하게 벤딩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4 영역(55)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4 영역(55) 중 일부 영역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도 12(c)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수평 라인과 평행하게 벤딩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수평 라인과 평행하게 벤딩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5 영역(57)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5 영역(57) 중 일부 영역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지금까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20)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다. 아래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방향으로 배치된 카메라부를 통해 제1 방향의 영상을 입력받아 임시 캡쳐할 수 있다(S1310). 일 실시 예로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 설정된 시간 간격 및 기 설정된 이미지 개수를 기초로 제1 방향의 영상을 임시 캡쳐할 수 있다.
카메라부가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의 영상을 입력받을 수 있도록 카메라부가 포함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은 기 설정된 각도 이상 제2 방향으로 벤딩될 수 있다(S1320). 카메라부가 포함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이 기 설정된 각도 이상 제2 방향으로 벤딩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2 방향의 영상을 입력받을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입력된 제2 방향의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의 중력 방향으로 방향을 전환하고 크롭하여 제2 방향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임시 캡쳐된 제1 방향의 영상을 제2 방향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 또는 벤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1330). 일 실시 예로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임시 캡쳐된 제1 방향의 영상을 제2 방향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고, 제2 방향의 프리뷰 영상을 벤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임시 캡쳐된 제1 방향의 영상을 벤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제2 방향의 프리뷰 영상을 제2 방향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벤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와 제2 방향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경계 부분에 벤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와 제2 방향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도록 촬영 버튼을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촬영 버튼이 선택된 영역에 기초하여 서로 다른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은 상술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으로 한정되어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
-

Claims (20)

  1. 양 방향으로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
    제1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 방향의 영상을 입력받는 카메라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제1 방향의 영상을 임시 캡쳐하고, 상기 카메라부가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의 영상을 입력받을 수 있도록 상기 카메라부가 포함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이 기 설정된 각도 이상 상기 제2 방향으로 벤딩될 때, 상기 임시 캡쳐된 제1 방향의 영상을 상기 제2 방향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 또는 상기 벤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주기로 상기 제1 방향의 영상을 임시 캡쳐하고, 기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상기 임시 캡쳐된 제1 방향의 영상을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카메라부가 포함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이 기 설정된 각도 이상 상기 제2 방향으로 벤딩될 때, 상기 제2 방향의 영상을 입력받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제2 방향의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중력 방향으로 방향을 전환하고 크롭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임시 캡쳐된 제1 방향의 영상을 상기 벤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상기 입력된 제2 방향의 영상을 상기 제2 방향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임시 캡쳐된 제1 방향의 영상을 상기 제2 방향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상기 입력된 제2 방향의 영상을 상기 벤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임시 캡쳐된 제1 방향의 영상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촬영 이미지를 상기 제2 방향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더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의 영상과 관련된 촬영 이미지는,
    동일한 인물을 포함한 이미지, 동일한 배경을 포함한 이미지 및 기 설정된 시간 범위 내에서 촬영된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벤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을 펼치는 경우, 상기 임시 캡쳐된 제1 방향의 영상을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벤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의 벤딩 라인을 상기 제2 방향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2 방향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카메라부의 위치와 대응되는 영역을 표시하도록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벤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에 촬영과 관련된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벤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과 상기 제2 방향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도록 상기 벤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과 상기 제2 방향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경계 부분에 촬영 버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벤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의 촬영 버튼만 선택되는 경우, 상기 벤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영상을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방향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촬영 버튼만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2 방향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영상을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벤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 및 상기 제2 방향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촬영 버튼이 동시에 선택되는 경우, 상기 벤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영상 및 상기 제2 방향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영상 모두를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양 방향으로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1 방향으로 배치된 카메라부를 통해 제1 방향의 영상을 입력받아 임시 캡쳐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부가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의 영상을 입력받을 수 있도록 상기 카메라부가 포함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이 기 설정된 각도 이상 상기 제2 방향으로 벤딩되는 단계; 및
    상기 임시 캡쳐된 제1 방향의 영상을 상기 제2 방향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 또는 상기 벤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가 포함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이 기 설정된 각도 이상 상기 제2 방향으로 벤딩될 때, 상기 제2 방향의 영상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제2 방향의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중력 방향으로 방향을 전환하고 크롭하여 상기 제2 방향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임시 캡쳐된 제1 방향의 영상을 상기 제2 방향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2 방향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된 제2 방향의 영상을 상기 벤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을 펼치는 경우, 상기 벤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의 벤딩 라인을 상기 제2 방향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과 상기 제2 방향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도록 상기 벤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과 상기 제2 방향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경계 부분에 촬영 버튼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77015773A 2014-12-23 2014-12-23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23000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4/012681 WO2016104822A1 (ko) 2014-12-23 2014-12-23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8820A true KR20170098820A (ko) 2017-08-30
KR102300042B1 KR102300042B1 (ko) 2021-09-08

Family

ID=56150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5773A KR102300042B1 (ko) 2014-12-23 2014-12-23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372165B2 (ko)
KR (1) KR102300042B1 (ko)
WO (1) WO201610482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62295A1 (ko) * 2020-02-10 2021-08-19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갖는 전자 장치의 운영 방법 및 장치
WO2022119178A1 (ko) * 2020-12-03 2022-06-09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에서 이미지를 촬영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06942A (zh) * 2016-10-31 2017-03-1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拍照方法及移动终端
KR102481292B1 (ko) * 2018-04-13 2022-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09379455B (zh) * 2018-09-27 2021-07-3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基于移动终端的图像识别方法及装置
KR20200115861A (ko) * 2019-03-28 2020-10-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35107A (ja) * 2008-07-31 2010-02-12 Fujifilm Corp 撮像装置
US20100056223A1 (en) * 2008-09-02 2010-03-04 Choi Kil Soo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flexible display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2011199571A (ja) * 2010-03-19 2011-10-06 Panasonic Corp 画像再生装置
US20130265262A1 (en) * 2012-04-08 2013-10-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20130127122A (ko) * 2012-05-14 2013-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99006A (ko) * 2013-02-01 2014-08-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40115913A (ko) * 2013-03-21 2014-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71568B2 (ja) * 2002-07-30 2008-04-02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機器
US7085590B2 (en) * 2003-12-31 2006-08-01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obile terminal with ergonomic imaging functions
JP2006287982A (ja) * 2005-07-13 2006-10-19 Columbus No Tamagotachi:Kk フレキシブルディスプレイを備えた携帯型通信端末
KR20080035709A (ko) 2006-10-20 2008-04-24 김종억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3단 폴더형 휴대폰
KR101664418B1 (ko) 2010-11-25 2016-10-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2163740B1 (ko) * 2012-10-05 2020-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70776B1 (ko) * 2013-03-21 2020-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30173733A (ko) * 2013-11-28 2023-12-27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전자 기기 및 그 구동 방법
KR102151206B1 (ko) * 2014-07-07 2020-09-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59032B1 (ko) * 2014-07-25 2016-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60013748A (ko) * 2014-07-28 2016-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전자기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EP3175440B1 (en) * 2014-07-30 2023-03-1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isplay with shape changing support panel
KR102287099B1 (ko) * 2014-09-22 2021-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접힘 또는 펼침 동작에 의해 저장된 이미지를 표시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제어 방법
TWI507966B (zh) * 2014-12-03 2015-11-11 Au Optronics Corp 軟性顯示面板以及軟性顯示面板的操作方法
CN104699391B (zh) * 2015-04-07 2018-10-12 联想(北京)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相机的控制方法
KR102319684B1 (ko) * 2015-06-22 2021-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변형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35107A (ja) * 2008-07-31 2010-02-12 Fujifilm Corp 撮像装置
US20100056223A1 (en) * 2008-09-02 2010-03-04 Choi Kil Soo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flexible display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2011199571A (ja) * 2010-03-19 2011-10-06 Panasonic Corp 画像再生装置
US20130265262A1 (en) * 2012-04-08 2013-10-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20130127122A (ko) * 2012-05-14 2013-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99006A (ko) * 2013-02-01 2014-08-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40115913A (ko) * 2013-03-21 2014-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62295A1 (ko) * 2020-02-10 2021-08-19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갖는 전자 장치의 운영 방법 및 장치
WO2022119178A1 (ko) * 2020-12-03 2022-06-09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상기 전자 장치에서 이미지를 촬영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0042B1 (ko) 2021-09-08
US10372165B2 (en) 2019-08-06
WO2016104822A1 (ko) 2016-06-30
US20170344071A1 (en) 2017-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96021B2 (en) Video recording device and camera function control program
CN106605403B (zh) 拍摄方法和电子设备
KR10230004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US9332208B2 (en) Imaging apparatus having a projector with automatic photography activation based on superimposition
KR102114377B1 (ko) 전자 장치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들을 프리뷰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JP6259095B2 (ja) パノラマ画像を取得する方法及び端末
EP3188467A1 (en) Method for image capturing using unmanned image captur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KR20170013877A (ko) 동적 배향 잠금, 일정한 프레이밍 및 규정된 종횡비를 갖는 사진 비디오 카메라
KR20140106779A (ko) 이미지 촬영장치 및 방법
JP2019121857A (ja)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EP3062513A1 (en) Video apparatus and photography method thereof
US9270982B2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control device, imag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stereoscopic image display control method
JP2018160280A (ja) 仮想ボタン及びジェスチャによるカメラ制御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2014146989A (ja) 撮像装置、撮像方法および撮像プログラム
JPWO2020158070A1 (ja)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2890116A1 (en) Method of displaying a photographing mode by using lens characteristics,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of recording the method and an electronic apparatus
KR20150128689A (ko) 리프레이밍 및 안정화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140042961A (ko) 다중 셔터 사운드 재생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JP5972302B2 (ja) オペレータ端末、携帯端末、指示送信方法、オペレータ端末用プログラム
JP7192259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6993138B (zh) 时间渐变图像拍摄装置及方法
US20160277659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JP5261092B2 (ja) 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KR102081659B1 (ko) 시각 효과 적용을 위한 촬영 방법 및 장치
JP7064609B2 (ja) 撮影装置、撮影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