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090983A1 - 폴더블 영상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폴더블 영상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090983A1
WO2021090983A1 PCT/KR2019/015024 KR2019015024W WO2021090983A1 WO 2021090983 A1 WO2021090983 A1 WO 2021090983A1 KR 2019015024 W KR2019015024 W KR 2019015024W WO 2021090983 A1 WO2021090983 A1 WO 202109098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vibration generator
sliding
image display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1502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임유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가난한동지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가난한동지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가난한동지들
Priority to PCT/KR2019/01502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1090983A1/ko
Publication of WO202109098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09098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Abstract

본 발명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해 접힘 및 펼침 상태와 무관하게 전 방향에 대한 화면 표시 및 음향 재생을 가능케하며, 몸체의 접힘시 생성되는 가변 공간에 스피커를 적용해 저음 발생을 증대시킨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폴더블 영상표시장치
본 발명은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해 전 방향에 대한 화면 표시 및 음향의 재생을 가능케하며, 저음 재생에 효과적인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스마트 스피커로서의 활용성을 향상시킨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판상 고정형의 스마트폰을 대체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로서 e-INK가 적용된 전자종이, 플렉시블 OLED 및 마이크로 LED와 같이 접힘이 가능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적용된다양한 폴더블 영상표시장치가 공개된 바 있다.
이러한 폴더블 영상표시장치는 접히는 부위에서의 힌지 적용 유무에 따라 무 힌지 방식과 힌지 적용 방식으로 구분되며 이와 관련한 다수의 특허가 존재한다.
대한민국 특허 10-0106358에는 삼각기둥 접힘 상태를 가능케 하는 실시예가 포함되어있으나 접힘 상태에서, 가변 공간이 형성되지 않고, 힌지 축을 기준으로 회전 펼침되는 덮개판이 제어부의 구성품들을 적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확보할 수 없는 두께 문제가 있으며, 힌지 축 부위에서의 불연속 노출부위 발생 문제와 더불어 펼침 상태시 중간 부분의 삼각기둥 형태가 돌출 존재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첫째,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가 거치 상태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스마트 스피커(AI 스피커)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전방향에 대한 음성 및 영상 인식과 함께 전 방향에 대한 화면 표시 및 소리 출력이 가능하도록 하고자 한다.
둘째, 접힘 및 펼침 수행시 힌지 축 부위에서 발생하는 불연속 노출부위 및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끝단의 미끄럼 이동을 감소시키고자 한다.
셋째, 사용자가 접힘 및 펼침상태 전환을 선택적으로 통제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이외에 접힘 또는 펼침 상태에서 낙하 되어도 자체적으로 낙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상기 기술적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폴더블 영상표시장치는 제어부, 접힘 및 펼침이 가능하며 접힘 상태시 평면을 형성하는 화면 표시면 반대 면의 접착면 일부분이 소리 발생을 위한 비접착 영역인 진동판 영역을 갖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및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고정 또는 지지되고 접힘 및 펼침이 가능한 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는 제어부 및 베터리의 적용을 위한 내부공간을 갖으며 접힘시 형성되고 펼침시 사라지는 가변 공간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첫째, 폴더블 영상표시장치가 거치 상태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전방향에 대한 음성 및 영상 인식과 함께 전 방향에 대한 화면 표시 및 소리 출력이 가능하게 되어 폴더블 영상표시장치가 휴대성을 겸비한 영상표시장치 이외에 스마트 스피커로 기능할 수 있다.
둘째, 접힘 및 펼침 수행시 힌지 축 부위에서 발생하는 불연속 노출부위 및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끝단의 미끄럼 이동이 힌지 반경과 접힘 각도 축소를 통해 감소된다.
셋째, 접힘 및 펼침상태 전환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적 통제(불허 또는 허용)가 가능하게 된다.
이외에, 접힘 또는 펼침 상태에서 어느 방향으로 낙하 되어도 자체적인 탄성력을 이용해 낙하 충격을 흡수할 수 있으며, 그립하고 있는 손바닥을 그립면 으로부터 떼지 않고도 손바닥을 이용한 네비게이션 조작이 가능하게 되어 낙하 가능성이 줄어들고 터치 빈도를 줄여 몰입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접힘 상태 개념도이고,
도 2는 진동판 영역을 갖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적용되고 삼각기둥 가변 공간 형성이 가능한 몸체가 적용된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도면이며,
도 3은 진동판 영역을 갖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적용되고 삼각기둥 가변 공간 형성이 가능하며 슬라이딩 개방구가 일면에 형성되어있는 몸체가 적용된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도면이며,
도 4는 도 2의 다른 실시예 이며,
도 5는 도 4의 다른 실시예 이고,
도 6은 도 2 및 도 4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 진동판 영역이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 및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표시를 생략하여 진동 발생기 적용을 보여주는 개념도 이며,
도 7은 도 6의 Section Cut AA-AA, Section Cut AB-AB, Section Cut AC-AC 및 Section Cut AD-AD에 대한 단면도 이고,
도 8은 도 3 및 도 5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 진동판 영역이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 및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표시를 생략하여 진동 발생기 적용을 보여주는 개념도 이며,
도 9는 도 8의 Section Cut AE-AE, Section Cut AF-AF, Section Cut AG-AG 및 Section Cut AH-AH에 대한 단면도 이고,
도 10은 도 5의 폴더블 영상표시장치를 이용한 입체 소리발생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 이며,
도 11은 도 2의 실시예에 대한 분해 사시도 이고,
도 12는 도 2의 실시예를 위한 제1몸체 및 제3몸체의 형상을 도시하며,
도 13은 도 12의 Section Cut A-A, Section Cut B-B 및 Section Cut C-C에 대한 단면도 이고,
도 14는 도 2의 실시예를 위한 제2몸체를 도시하며,
도 15는 도 14의 Section Cut D-D 및 Section Cut E-E에 대한 단면도 이고,
도 16은 도 2의 실시예를 위한 미끄럼 이동판을 도시하며,
도 17은 도 2의 실시예를 위한 고정판의 평면도 및 단면도 이고,
도 18은 도 2의 실시예를 위한 탄성부재의 적용 개념도 이며,
도 19는 도 2의 평면 펼침 상태에 대한 도면이며,
도 20은 도 19의 평면 펼침 상태에서 10도 초과 펼쳐짐이 수행된 상태에 대한 도면이며,
도 21은 도 2의 접힘 상태에서 제3몸체가 노트북 모드로 초과 펼쳐짐이 수행된 상태에 대한 사시도 및 평면도 이고,
도 22는 도 21의 Section Cut F-F에 대한 단면도 및 부분 상세도들 이며,
도 23은 도 2의 접힘 상태에서 제1몸체는 평면 펼침되고 제3몸체는 노트북 모드로 초과 펼쳐짐이 수행된 상태에 대한 사시도 및 부분 상세도들 이고,
도 24는 도 2의 평면 펼침 상태에 대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비접착 부위 개념도 및 상시 밀착부위 개념도 이며,
도 25는 도 24와 달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진동판 영역이 타원 형상을 갖는 예시도 이고,
도 26은 도 3의 실시예에 대한 분해 사시도 이며,
도 27은 도 3의 실시예를 위한 제1몸체와 제3몸체의 사시도 이고,
도 28은 도 3의 실시예를 위한 제1몸체와 제3몸체의 도면이며,
도 29는 도 3의 실시예를 위한 제2몸체의 도면이며,
도 30은 도 3의 실시예를 위한 제1몸체 적용 미끄럼 이동판(300a)의 사시도 및 부분 상세도 이며,
도 31은 도 30의 평면도 및 단면도 이고,
도 32는 도 3의 실시예를 위한 제3몸체 적용 미끄럼 이동판(300b)의 사시도 및 부분 상세도 이며,
도 33은 도 3의 평면 펼침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34는 도 33의 Section Cut G-G 및 Section Cut H-H에 대한 단면도 및 부분 상세도 이며,
도 35는 도 33의 Section Cut I-I 및 Section Cut J-J에 대한 단면도 및 부분 상세도 이고,
도 36은 도 33의 Section Cut K-K에 대한 및 부분 상세도 이며,
도 37은 도 3의 접힘 상태에서 제1몸체는 접힘 유지되고 제3몸체는 노트북 모드로 초과 펼쳐짐이 수행된 상태에 대한 도면이며,
도 38은 도 37의 Section Cut L-L 및 Section Cut M-M에 대한 단면도 및 부분 상세도 이며,
도 39는 도 37의 Section Cut N-N에 대한 단면도 이고,
도 40은 도 3의 평면 펼침 상태에 대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비접착 부위 개념도 및 상시 밀착부위 개념도 이며,
도 41은 도 4의 실시예에 대한 분해 사시도 이고,
도 42는 도 4의 실시예를 위한 제1몸체 및 제3몸체의 도면이며,
도 43은 도 4의 실시예를 위한 제2몸체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44는 도 4의 평면 펼침 상태에 대한 도면이며,
도 45는 도 4의 평면 펼침 상태에 대한 화면 표시면 반대측을 도시하며,
도 46은 도 4의 평면 펼침 상태에서 제3몸체는 펼침 유지되고 제1몸체는 노트북 모드로 초과 펼쳐짐이 수행된 상태에 대한 평면도 및 정면도 이며,
도 47은 도 46의 Section Cut O-O에 대한 단면도 및 부분 상세도들 이고,
도 48은 도 4의 접힘 상태에 대한 평면도 및 제2몸체 측 에서의 도면이며,
도 49는 도 48의 Section Cut P-P에 대한 단면도 및 부분 상세도들 이고,
도 50은 제1몸체와 제3몸체에 경사면1과 그립면1의 적용 유무에 따른 차이와 함께 접힘 각도에 따른 차이를 보여주는 도 4의 접힘 상태에 대한 평면도들 이며,
도 51은 도 5의 실시예에 대한 분해 사시도 이고,
도 52는 도 5의 실시예를 위한 제1몸체 및 제3몸체의 도면이며,
도 53은 도 52의 Section Cut Q-Q, Section Cut R-R, Section Cut S-S 및 Section Cut T-T에 대한 단면도 이고,
도 54는 도 5의 실시예를 위한 제2몸체를 도시하며,
도 55는 도 5의 평면 펼침 상태를 도시하며,
도 56은 도 5의 평면 펼침 상태에서 제1몸체는 펼침 유지되고 제3몸체는 노트북 모드로 초과 펼쳐짐이 수행된 상태에 대한 평면도 및 정면도 이며,
도 57은 도 56의 Section Cut U-U에 대한 단면도 및 부분 상세도들 이고,
도 58은 도 5의 접힘 상태에 대한 평면도 및 제2몸체 측 에서의 도면이며,
도 59는 도 58의 Section Cut V-V에 대한 단면도 및 부분 상세도들 이고,
도 60은 도 5의 평면 펼침 상태에 대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비접착 부위 개념도 및 상시 밀착부위 개념도 이며,
도 61은 도 4의 실시예에 힌지 범퍼가 적용된 개념도들 이고,
도 62는 도 5의 실시예에 힌지 범퍼가 적용된 개념도들 이며,
도 63은 도 3의 실시예에 힌지 범퍼가 적용된 접힘 상태에서 낙하되어도 힌지 범퍼에 의해 1차 충격 흡수가 가능함을 보여주는 개념도 이고,
도 64는 도 63의 접힘 상태가 펼침 상태로 전환되어 낙하되어도 힌지 범퍼에 의해 2차 충격 흡수가 가능함을 보여주는 개념도 이며,
도 65는 도 5의 실시예에 회전 걸림판이 적용되어 제1몸체 또는 제3몸체에 대한 접힘 상태와 완전 평면 펼침 상태에 대한 선택적 걸림을 도시하며,
도 66은 도 5의 실시예에 회전 걸림판이 적용되어 제1몸체 또는 제3몸체에 대한 초과 펼침 상태에 대한 선택적 걸림을 보여주는 개념도 이며,
도 67은 도 4 및 도 5의 실시예의 제2몸체에 탈부착 베터리가 적용됨을 보여주는 개념도 이고,
도 68은 슬라이딩 개방구가 그립면1에 형성된 도 3 및 도 5의 실시예가 도 2 및 도 4의 실시예 보다 넓은 표시화면을 제공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개념도 이며,
도 69는 도 2 부터 도 5의 실시예가 다양한 상태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개념도 이고,
도 70은 도 2 부터 도 5의 실시예의 가변 공간에 무선이어폰 및 터치펜이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시도 및 평면도 이며,
도 71은 도 3 및 도 5의 실시예에 적용된 가변 공간 및 미끄럼 이동판(300a, 300b)이 방열 기능을 수행함을 보여주는 개념도 이고,
도 72는 도 3 및 도 5의 실시예에 적용된 미끄럼 이동판에 손바닥을 이용해 외력을 작용하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미접착 부위가 융기되어 솟아 올라옴을 보여주는 개념도 이며,
도 73은 도 3 및 도 5 실시예의 완전 평면 펼침 상태에서 제1몸체 또는 제3몸체의 어느 한쪽에 회전력을 가하면 힌지 축 회전 감지 센서가 회전 량을 감지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개념도 이고,
도 74는 초과 펼침 회전시 고정되지 않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끝단이 힌지 영역 겹침으로 인해 밀림 이동이 발생함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가 적용된 폴더블 영상표시장치를 이용해 접힘 상태시 가변 공간이 형성되고 펼침시 가변 공간이 사라지는 형태가 가능한 경우는 단순 판상형태의 2분할 2차원 접힘이 아니라 원기둥 또는 각기둥을 형성하는 3차원 접힘이어야 한다.
단순 판상형태의 2분할 2차원 접힘의 경우에는 지면을 이용한 경우에만 제한적인 삼각기둥 접힘이 가능한 단점이 존재한다.
3차원 접힘중 원기둥 접힘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외에도 몸체, 제어부 및 베터리를 포함한 모든 구성품들이 플렉시블 가능해야 구현이 가능하며 접힘시 원기둥 유지 및 펼침시 평면 유지가 어려운 문제가 존재한다.
4각기둥 이상의 각기둥 접힘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와 연결 기판을 포함한 일부 구성품만이 플렉시블하면 구현이 가능한 장점을 갖으나 몸체가 네부분 이상으로 나뉘어 제어부 및 베터리 적용을 위한 유효 공간 확보가 어렵고 접힘 및 펼침 통제가 어려운 문제가 존재한다.
그러나 삼각기둥 접힘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와 연결 기판을 포함한 일부 구성품만이 플렉시블하면 구현이 가능한 장점을 갖으며 몸체가 세부분으로 나뉘어 제어부 및 베터리 적용을 위한 공간 확보가 용이하고 접힘 및 펼침 통제가 어렵지 않음과 더불어 2분할 2차원 접힘의 경우와 달리 접힘 상태시 삼각기둥 자체의 고유특성인 구조적 안정성을 이룰 수 있는 장점도 갖는다.
또한 삼각기둥 형성시 어떠한 상태로 배치하여도 방향을 달리하는 두면 이상이 노출 상태로 유지되는 장점도 갖으며 삼각기둥 형상의 가변 공간에 스피커를 적용할 경우에는 가변 공간을 공명통(Resonance Chamber)으로 활용해 저음 특성을 보강할 수 있는 부가적인 장점도 얻을 수 있다.
이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소리 발생 수단으로 이용하는 경우에 갖게되는 저음 발생의 불리함을 해결할 수 있는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삼각기둥 형상의 가변 공간 특징들을 구현할 수 있는 몸체와 접힘 및 펼침이 자유롭고 화면 표시면의 일부를 진동판 영역으로 이용해 화면 표시면의 전(Front)방향으로 화면 표시와 함께 소리를 발생 시킬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두방향 이상에서의 카메라 감시 및 음성 명령 입력이 가능한 폴더블 영상표치장치의 실시예를 이하 도면들을 이용해 제시한다.
도 2부터 도 9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폴더블 영상표시장치(1)는 제어부(20), 접힘 및 펼침이 가능하며 접힘 상태시 평면을 형성하는 화면 표시면 반대 면의 접착면 일부분이 소리 발생을 위한 비접착 영역인 진동판 영역(11)을 갖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 및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가 고정 또는 지지되고 접힘 및 펼침이 가능한 몸체(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부터 도 5에 나타내어진 본 발명의 실시 예들과 같이 몸체(100)는 제어부(20) 및 베터리의 적용을 위한 내부공간을 갖으며 접힘시 형성되고 펼침시 사라지는 가변 공간(700)을 형성하는 특징을 갖는다.
도 6부터 도 9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진동판 영역(11)은 원형 또는 타원형의 비접착 영역을 이루며 제어부에 연결되어 구동되는 진동 발생기(30)에 의해 진동되고 화면 표시면의 전 방향(Front) 측으로 소리를 발생시키는 특징을 갖는다.
도 2부터 도 5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화면 표시면 반대 측 몸체의 일면에는 가변 공간 측을 향하며 스피커(171)가 적용되며 삼각기둥 형상의 내부 가변 공간(700)을 공명통(Resonance Chamber)으로 활용해 저음 특성을 보강할 수 있다.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에 있어서 가변 공간(700)은 도 1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원기둥, 삼각기둥, 사각기둥, 오각기둥 또는 육각기둥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이루며 접힘이 이루어지는 접힘 축의 양측 끝단 부분은 개방 형성되어있는 특징을 갖는다.
도 2부터 도 5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삼각기둥 형상의 가변 공간(700)이 형성되는 몸체(100)가 적용된다.
도 2부터 도 5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몸체(100)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의 일측 끝단이 고정 또는 지지되며 모서리 부분에 힌지 관련 형상이 적용되어있는 제1몸체(101a)와 제3몸체(101c) 및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의 중간 부분이 고정 또는 지지되며 일측 모서리가 제1몸체(101a)에 힌지 결합되고 반대편 일측 모서리는 제3몸체(101c)에 힌지 결합되는 제2몸체(101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부터 도 9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1몸체(101a) 및 제3몸체(101c)에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의 일측 끝단 화면 표시면 반대 측 면이 접착 고정되는 디스플레이 접착면1(311)이 일면에 반영되어 있고 힌지 축과 수직인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한 상태로 조립되는 미끄럼 이동판(300 또는 300a, 300b)이 적용된다.
도 6부터 도 9 및 후술할 도 11, 도 16, 도 30, 도 32, 도 41 및 도 51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미끄럼 이동판(300)의 디스플레이 접착면1(311)에는 진동 발생기(30)의 고정을 위한 진동 발생기 적용구1(314)이 관통 또는 함몰 형성되어 있고 미끄럼 이동판(300a, 300b)의 디스플레이 접착면1(311)에는 진동 발생기(30)의 고정을 위한 진동 발생기 적용구1(314a)가 관통 또는 함몰 형성되어 있다.
도 6부터 도 9 및 후술할 도면11, 도 17, 도 26, 도 41 및 도 51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2몸체(101b)에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의 중간부분 화면 표시면 반대 측 면이 접착 고정되는 면인 디스플레이 접착면2(510)가 일면에 반영되어있고 반대편 일면은 제2몸체(101b)의 일면에 접착 고정 또는 조립되는 고정판(500)이 적용되고 디스플레이 접착면2(510)에는 진동 발생기(30)의 고정을 위한 진동 발생기 적용구2(511 또는 511a)가 관통 또는 함몰 형성되어 있다.
후술할 도 11, 도 12 및 도 42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1몸체(101a) 및 제3몸체(101c)에는 미끄럼 이동판(300)의 미끄럼 이동 및 지지를 위해 화면 표시면의 반대면 측 일면으로부터 미끄럼 이동판(300)의 두께 깊이로 함몰 형성된 미끄럼 이동판 지지면1(141)이 형성되어 있고 미끄럼 이동판 지지면1(141)에는 접힘 및 펼침 수행시 미끄럼 이동판 지지면(141) 측으로 돌출된 진동 발생기(30) 또는 진동 발생기 적용구1(314)와 미끄럼 이동판 지지면1(141) 사이의 간섭 방지를 위해 진동 발생기 지지 장공(147)이 형성되어있다.
후술할 도 11, 도 14, 도 41 및 도 43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2몸체(101b)에는 화면 표시면의 반대면 측 일면으로부터 고정판(500)의 두께 깊이로 함몰 형성된 고정판 접착면(203)이 형성되어 있고, 고정판 접착면(203)에는 고정판 접착면(203) 측으로 돌출된 진동 발생기(30) 또는 진동 발생기 적용구2(511)와의 간섭 방지를 위해 진동 발생기 고정구(230)가 형성되어 있다.
도 7의 Section Cut AA-AA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1몸체(101a) 및 제3몸체(101c)의 진동 발생기 지지 장공(147)에는 접힘 및 펼침시 진동 발생기 지지 장공(147) 측으로 돌출된 진동 발생기(30) 또는 진동 발생기 적용구1(314)과 진동 발생기 지지 장공(147) 내부 둘레면 사이의 간섭 방지를 위해 돌출된 진동 발생기(30) 또는 진동 발생기 적용구1(314a)의 미끄럼 이동 방향 전방 및 후방에 간섭 방지공간이 각각 적용되며 전방의 간섭 방지 공간은 후술될 전방 슬라이딩 영역1(143) 및 전방 슬라이딩 영역2(144)의 미끄럼 이동거리와 돌출된 진동 발생기(30) 또는 진동 발생기 적용구1(314)의 중심점을 지나는 단면으로 이루어지는 공간이고 후방의 간섭 방지 공간은 후술될 후방 슬라이딩 영역1(145) 및 후방 슬라이딩 영역2(146)의 미끄럼 이동거리와 돌출된 진동 발생기(30) 또는 진동 발생기 적용구1(314)의 중심점을 지나는 단면으로 이루어지는 공간이다.
도 9의 Section Cut AE-AE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1몸체(101a) 및 제3몸체(101c)의 내부공간에는 접힘 및 펼침시 내부공간 측으로 돌출된 진동 발생기(30) 또는 진동 발생기 적용구1(314a)과 내부공간 적용 구성품 사이의 간섭 방지를 위해 돌출된 진동 발생기(30) 또는 진동 발생기 적용구1(314a)의 미끄럼 이동 방향 전방 및 후방에 간섭 방지공간이 각각 적용되며 전방의 간섭 방지 공간은 후술될 전방 슬라이딩 영역1(143) 및 전방 슬라이딩 영역2(144)의 미끄럼 이동거리와 돌출된 진동 발생기(30) 또는 진동 발생기 적용구1(314a)의 중심점을 지나는 단면으로 이루어지는 공간이고 후방의 간섭 방지 공간은 후술될 후방 슬라이딩 영역1(145) 및 후방 슬라이딩 영역2(146)의 미끄럼 이동거리와 돌출된 진동 발생기(30) 또는 진동 발생기 적용구1(314a)의 중심점을 지나는 단면으로 이루어지는 공간이다.
도 2부터 도 8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미끄럼 이동판(300 또는 300a, 300b)에는 접힘 상태시 방향을 달리하여 두 방향에서 영상정보 입력이 수행되도록 하나 이상의 카메라(360)가 각각의 미끄럼 이동판(300 또는 300a, 300b)에 적용되고 여러 방향에서의 음성 명령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나 이상의 마이크(364)가 각각의 미끄럼 이동판(300 또는 300a, 300b)에 적용된다.
접힘 상태시 방향을 달리하여 유지되는 미끄럼 이동판(300 또는 300a, 300b)에 카메라(360) 및 마이크(364)가 각각 적용되어 있음으로 인해 삼각기둥 형태의 접힘 상태인 폴더블 영상표시장치(1)가 지면, 손바닥 또는 책상면에 대하여 어떻게 놓여있어도 하나 이상의 미끄럼 이동판은 영상 정보 입력 및 음성 정보 입력이 가능한 상태로 유지됨과 더불어 하나 이상의 화면 표시면은 화면표시가 가능한 상태로 유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폴더블 영상표시장치가 음성 정보 입력 또는 영상 정보 입력을 받으면 제어부는 화면 표시면에 사용자에 의해 사전 지정된 사이버 도우미 영상이 표시됨과 동시에 음성 출력 또는 네트워크 작업 수행을 할 수 있어 단순히 음성 출력 또는 네트워크 작업 수행만 할 수 있는 기존의 스마트 스피커보다 사용자의 공감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
도 10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1몸체(101a)와 제3몸체(101c)를 완전 평면 펼침상태에서 추가로 더 펼침을 진행시켜 고정시킨 상태에서는 방향을 달리하는 3개의 화면 표시면으로부터 소리가 입체적으로 발생됨을 느낄 수 있게 된다.
이때 사라진 가변 공간(700)으로 인해 가변 공간측에 적용된 스피커(171)의 공명효과가 사라지는 단점을 갖으나 이는 공명 챔버를 형성시킬 수 있는 보조 장착물(챔버 형성판)을 후면에 적용시켜줌으로 인해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도 11부터 도 25는 도 2의 실시예를 위한 도면들이고, 도 26부터 도 40은 도 3의 실시예를 위한 도면들이며, 도 41부터 도 50은 도 4의 실시예를 위한 도면들이고, 도 51부터 도 60은 도 5의 실시예를 위한 도면들이다.
도 2부터 도 5 및 도 11, 도 26, 도 41, 도 51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몸체(100)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의 일측 끝단이 고정 또는 지지되며 모서리 부분에 힌지 관련 형상이 적용되어있는 제1몸체(101a) 및 제3몸체(101c) 및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의 중간 부분이 고정 또는 지지되며 일측 모서리가 제1몸체(101a)에 힌지 결합되고 반대편 일측 모서리는 제3몸체(101c)에 힌지 결합되는 제2몸체(101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100)는 제2몸체(101b)에 대한 제1몸체(101a)와 제3몸체(101c)의 모두 접힘시 삼각기둥 형상의 가변 공간(700)이 형성되고 어느 하나의 펼침시에는 가변 공간(700)이 사라지는 특징을 갖는다.
도 12, 도 13, 도 27 및 도 28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1몸체(101a) 및 제3몸체(101c)의 힌지 축에 수직인 일부분 형상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의 화면 표시면 반대측 면이 직접 또는 간접 고정되거나 지지되는 평면인 표시장치 지지면1(110), 표시장치 지지면1(110)의 반대측 노출면을 이루는 몸체 내측면1(111), 표시장치 지지면1(110)과 접하는 상태로 힌지 원주면을 따라 곡면 형성된 힌지 원주면1(112), 힌지 원주면1(112)과 접하거나 또는 연결된 상태로 표시장치 지지면1(110)의 반대측 면에 위치되는 접힘 지지면1(113) 및 접힘 지지면1(113)의 끝단과 몸체 내측면1(111)을 연결하여 형성되며 접힘 지지면1(113)에 접하지 않는 접힘 지지면2(114)를 포함한다.
이에 대응하는 제2몸체(101b)의 힌지 축에 수직인 일부분 형상은 도 14, 도 15, 도 19, 도 20, 도 21, 도 29, 도 34, 도 35 및 도 36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의 평면 펼침시 표시장치 지지면1(110)과 동일 평면을 이루는 표시장치 지지면2(210), 표시장치 지지면2(210)의 반대측 노출면을 이루는 몸체 내측면2(211), 일측 끝단은 몸체 내측면2(211)의 힌지 측 끝단에 연결되고 반대측 끝단은 제1몸체(101a)와 제2몸체(101b) 또는 제3몸체(101c)와 제2몸체(101b)의 접힘 상태시 제2몸체(101b)에 위치되는 제1몸체(101a) 또는 제3몸체(101c)의 접힘 지지면2(114)에 접촉되거나 마주 보며 위치되는 접힘 지지면4(214) 및 제1몸체(101a)와 제2몸체(101b) 또는 제3몸체(101c)와 제2몸체(101b)의 접힘 상태시 제2몸체(101b)의 힌지 측에 위치되는 제1몸체(101a) 또는 제3몸체(101c)의 접힘 지지면1(113)의 연장면에 해당되는 접힘 지지면6(215)을 포함하는 형상을 갖는다.
제2몸체(101b)의 힌지 축선상 다른 위치에 수직인 일부분 형상은 표시장치 지지면2(210), 몸체 내측면2(211), 표시장치 지지면2(210)와 접하는 상태로 힌지 원주면을 따라 곡면 형성된 한쌍의 마주보며 위치되는 힌지 원주면2(212), 힌지 원주면2(212)와 접하거나 또는 연결된 상태로 표시장치 지지면2(210)의 반대측 면을 이루고 마주보며 위치되는 한쌍의 접힘 지지면3(213) 및 접힘 지지면3(213)의 끝단과 몸체 내측면2(211)를 연결하여 형성되며 접힘 지지면3(213)에 접하지 않고 마주보며 위치되는 한쌍의 접힘 지지면4(214)를 포함한다.
이에 대응하는 제1몸체(101a) 및 제3몸체(101c)의 힌지 축에 수직인 일부분 형상은 표시장치 지지면1(110), 접힘 지지면2(114), 제1몸체(101a)와 제2몸체(101b) 또는 제3몸체(101c)와 제2몸체(101b)의 접힘 상태시 제1몸체(101a) 또는 제3몸체(101c)의 내측에 위치되는 제2몸체(101b)의 접힘 지지면3(213)의 연장면에 해당되는 접힘 지지면5(115) 및 몸체 내측면1(111)을 포함하는 형상을 갖는다.
도 42, 도 43, 도 44, 도 47, 도 52, 도 53, 도 54 및 도 57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1몸체(101a) 및 제3몸체(101c)의 힌지 축에 수직인 일부분 형상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의 화면 표시면 반대측 면이 직접 또는 간접 고정되거나 지지되는 평면인 표시장치 지지면1(110), 표시장치 지지면1(110)과 접하는 상태로 힌지 원주면을 따라 곡면 형성된 힌지 원주면1(112), 표시장치 지지면1(110)의 반대측 노출면을 이루며 힌지 원주면1(112)에 접하는 몸체 내측면1(111)을 포함한다.
이에 대응하는 제2몸체(101b)의 힌지 축에 수직인 일부분 형상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의 평면 펼침시 표시장치 지지면1(110)과 동일 평면을 이루는 표시장치 지지면2(210), 표시장치 지지면2(210)의 반대측 노출면을 이루는 몸체 내측면2(211) 및 표시장치 지지면2(210)와 몸체 내측면2(211)를 연결하고 제1몸체(101a)와 제2몸체(101b) 또는 제3몸체(101c)와 제2몸체(101b)의 접힘 상태시 제2몸체(101b)의 힌지 측에 위치되는 제1몸체(101a) 또는 제3몸체(101c)의 몸체 내측면1(111)에 접촉되거나 마주보며 위치되는 접힘 지지면6(215)을 포함하는 형상을 갖는다.
제2몸체(101b)의 힌지 축선상 다른 위치에 수직인 일부분 형상은 표시장치 지지면2(210), 몸체 내측면2(211), 표시장치 지지면2(210)와 접하는 상태로 힌지 원주면을 따라 곡면 형성된 한쌍의 마주보며 위치되는 힌지 원주면2(212) 및 표시장치 지지면2(210)의 반대측 노출면을 이루며 힌지 원주면2(212)에 접하는 몸체 내측면2(211)를 포함한다.
이에 대응하는 제1몸체(101a) 및 제3몸체(101c)의 힌지 축에 수직인 일부분 형상은 표시장치 지지면1(110), 몸체 내측면1(111) 및 표시장치 지지면1(110)과 몸체 내측면1(111)을 연결하고 제1몸체(101a)와 제2몸체(101b) 또는 제3몸체(101c)와 제2몸체(101b)의 접힘 상태시 제1몸체(101a) 또는 제3몸체(101c)의 내측에 위치되는 제2몸체(101b)의 몸체 내측면2(211)에 접촉되거나 마주보며 위치되는 접힘 지지면5(115)를 포함하는 형상을 갖는다.
도 2부터 도 5 및 도 12, 도 27, 도 42, 도 52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1몸체(101a) 및 제3몸체(101c)는 몸체 내측면1(111)의 힌지 측 반대편 끝단 부분으로 부터 표시장치 지지면1(110) 측을 향하여 형성된 경사면1(116) 및 경사면1(116)과 표시장치 지지면1(110)을 연결하며 힌지 반대 측 바깥 노출면을 이루는 그립면1(117)을 포함하는 형상을 갖는다.
도 50은 제1몸체와 제3몸체에 경사면1과 그립면1의 적용 유무에 따른 차이와 함께 접힘 각도에 따른 차이를 보여주는 도 4의 접힘 상태에 대한 평면도들 이다.
도 50의 경사면1(116)과 그립면1(117)의 개념은 도 2, 도 3 및 도 5의 실시 예들에도 적용된다.
도 50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1몸체(101a) 및 제3몸체(101c)에서 경사면1(116)이 적용되면 적용되지 않은 경우보다 제1몸체(101a) 및 제3몸체(101c)의 힌지 축 방향에 수직인 부분의 치수가 도시된 것과 같이 “beta” 만큼 증가되고 그 결과 화면 표시면의 치수가 증대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또한 제1몸체(101a) 및 제3몸체(101c)에서 경사면1(116)이 적용되면 적용되지 않은 경우보다 제1몸체(101a)와 제3몸체(101c)의 동시 접힘 상태시 상호 지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경사면1(116)에 동시 접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자석, 벨크로와 같은 걸림 수단이 적용될 수 있는 장점도 갖는다.
그리고 도 50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1몸체(101a) 및 제3몸체(101c)의 접힘 각도(Y)가 정삼각형을 이루는 60도 보다 작은 55도로 변경되면 제1몸체(101a) 및 제3몸체(101c)의 힌지 축 방향에 수직인 부분의 치수가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고 이는 결국 화면 표시면의 치수가 감소되는 결과를 얻게 된다.
그러나 접힘 각도(Y)가 정삼각형을 이루는 60도 보다 작은 55도로 줄어들면 제1몸체(101a)와 제3몸체(101c)의 동시 접힘 상태시 힌지 축으로 부터의 그립면1(117) 거리가 줄어들어 사용자가 손으로 그립하기가 수월해지는 장점을 갖는다.
반면 도 50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1몸체(101a) 및 제3몸체(101c)의 접힘 각도(Y)가 정삼각형을 이루는 60도 보다 큰 65도로 변경되면 제1몸체(101a) 및 제3몸체(101c)의 힌지 축 방향에 수직인 부분의 치수가 증대되는 것을 알 수 있고 이는 결국 화면 표시면의 치수가 증대되는 결과를 얻게 된다.
그러나 접힘 각도(Y)가 정삼각형을 이루는 60도 보다 큰 65도로 증대되면 제1몸체(101a)와 제3몸체(101c)의 동시 접힘 상태시 힌지 축으로 부터의 그립면1(117) 거리가 증대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그립하기가 불편해지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접힘 각도(Y)가 55도 보다 더 작아지면 노트북형 초과펼쳐짐 수행시 세워지는 부분의 각도가 너무 낮아 사용이 불편한 단점도 존재하고 더불어 가변 공간(700)이 효용 가치가 없는 정도로 줄어드는 문제도 발생한다.
반대로 접힘 각도(Y)가 65도 보다 더 커지면 한손으로 움켜쥐며 그립하기가 불편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의 접힘 각도는 55도 이상 65도 이하를 유지하는 것으로 적용된다.
도 3, 도 5, 도 27, 도 52 및 도 53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1몸체(101a) 및 제3몸체(101c)의 힌지 축 반대편 형상 면인 그립면1(117)에는 표시장치 지지면1(110) 측 상단 모서리 부분이 힌지 측 방향으로 개방되어 형성된 슬라이딩 개방구(108)가 형성되어 있다.
도 12, 도 27, 도 42 및 도 52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1몸체(101a) 및 제3몸체(101c)에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의 모서리면 노출 방지를 위해 표시장치 지지면1(110)의 힌지 축과 수직인 양측 모서리 끝단 부분에 표시장치 지지면1(110)로부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 두께 이상으로 돌출 형성된 베젤형상1(120)이 형성되어 있고 도 14, 도 29, 도 43 및 도 54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2몸체(101b)에는 표시장치 지지면2(210)에 위치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의 양측 모서리 부분 노출 방지를 위해 표시장치 지지면2(210)로부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 두께 이상으로 돌출 형성된 베젤형상2(220)가 형성되어 있다.
베젤형상1(120)의 힌지 측 끝단 모서리에는 완전 평면 펼침 상태시 힌지 축과 일치하지 않고 그립면1(117)측을 향하여 끝단부가 간섭 방지 거리를 유지하며 그 끝단에는 경사면이 반영된 베젤 간섭 방지부1(121)가 형성되어 있고 베젤형상2(220)의 힌지 측 끝단 모서리는 완전 평면 펼침 상태시 힌지 축과 일치하지 않고 반대 편의 힌지 축을 향하여 끝단부 길이가 감소된 간섭 방지 거리를 유지하며 그 끝단에는 경사면이 반영된 베젤 간섭 방지부2(222)가 형성되어 있다.
베젤 간섭 방지부1(121) 및 베젤형상2(220)가 적용되는 것은 노트북형 초과펼쳐짐의 수행시 베젤형상1(120)과 베젤형상2(220)의 힌지 측 끝단들의 겹침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이다.
도 12부터 도 15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1몸체(101a) 및 제3몸체(101c)에는 제2몸체(101b)와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플렉시블 기판의 경유 경로 확보를 위해 접힘 지지면2(114)의 일부를 관통해 형성된 경로 관통구1(102)가 형성되어 있고 제2몸체(101b)에는 경로 관통구1(102)에 대응하여 접힘 지지면4(214)의 일부를 관통해 형성된 경로 관통구2(201)가 형성되어 있다.
도 27, 도 28 및 도 52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1몸체(101a) 및 제3몸체(101c)에는 힌지 원주면1(112)의 반경보다 제1몸체(101a) 또는 제3몸체(101c)와 제2몸체(101b)를 경유하는 플렉시블 기판(21)의 두께 이상의 반경이 감소된 반경을 갖는 기판 경유 원주면1(131), 기판 경유 원주면1(131)에 연장되어 경유하는 플렉시블 기판(21)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기판 경유 상부면1(132), 기판 경유 원주면1(131)에 연장되어 접힘 지지면1(113)에 대응하는 면을 이루는 기판 경유 하부면1(133) 및 기판 경유 상부면1(132)과 기판 경유 하부면1(133)을 연결하는 적용면(13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기판 경유 지지대(130)가 힌지 축에 1개 이상 적용된다.
제1몸체(101a) 및 제3몸체(101c)의 힌지 축선 상 임의의 위치에는 기판 경유 지지대(130)의 적용을 위해 기판 경유 지지대(130)에 대응하는 적용 형상을 갖는 기판 지지대 적용부(105) 형상이 반영되어 있으며 제2몸체(101b)에는 표시장치 지지면2(210)에 위치하는 접힘 지지면6(215) 끝단 부분에 기판 경유홈(251)이 형성되어 있다.
도 11, 도 16, 도 18, 도 26, 도 30, 도 32, 도 41 및 도 51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1몸체(101a) 및 제3몸체(101c)에는 힌지 축과 수직인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한 상태로 조립되는 미끄럼 이동판(300 또는 300a, 300b) 및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탄성부재(340)가 조립 적용되고 미끄럼 이동판(300 또는 300a, 300b)에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의 일측 끝단 화면 표시면 반대 측 면이 접착 고정되고 표시장치 지지면1(110)과 동일 평면을 유지하는 디스플레이 접착면1(311) 및 디스플레이 접착면1(311)의 반대면 일측 일부분이 돌출 형성된 탄성력 작용면(310)이 형성되어 있다.
미끄럼 이동판(300 또는 300a, 300b)의 디스플레이 접착면1(311)에는 진동 발생기(30)의 고정을 위한 진동 발생기 적용구1(314 또는 314a);이 관통 또는 함몰 형성되어 있다.
탄성부재(340)의 일측은 지지되고 반대측 자유단은 탄성력 작용면(310)에 접촉되어 힌지 축과 수직인 방향으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의 일측 끝단에 탄성력을 간접 작용시킨다.
탄성부재(340)는 코일 스프링, 판 스프링 또는 와이어 스프링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이 적용가능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는 판 스프링이 일예로 적용되어있다.
도 18은 도 2의 실시예를 위한 탄성부재의 적용 개념도 이다.
도 18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탄성부재(340)는 탄성부재 적용부(103) 내측 공간 안에서 일측면이 탄성부재 적용부의 내부 벽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반대측 자유단 부분은 탄성력 작용면(310)에 밀착 지지되며 탄성 반발력을 작용시킨다.
탄성력 작용면(310)에 밀착 지지되며 탄성 반발력을 작용시키는 부분은 제1몸체(101a) 또는 제3몸체(101c)의 접힘 및 펼침 상태에 따라 탄성부재 적용부(103) 내측 공간 안에서 움직이고 제1몸체(101a) 또는 제3몸체(101c)가 접힘 상태인 경우 압박되며 수축된 상태를 유지하며 낙하 충격 흡수를 위한 여분의 수축이 가능함이 바람직하다.
탄성부재(340)의 화면 표시면측 상단 모서리 부분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의 화면 표시면 반대편 면으로서 비접착 상태를 유지하는 부분에 밀착되며 유지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터치 조작시 터치감각을 개선하는 효과는 얻을 수 있으나 장기간의 마찰 발생으로 인해 화면 표시면 반대편 면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는 탄성부재(340)의 화면 표시면측 상단 모서리 부분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의 화면 표시면 반대편 면과 에어갭(Air Gap)을 형성하는 상태로 유지되어 직접적인 마찰은 발생치 않고 터치 조작시 눌러지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의 화면 표시면을 탄성부재(340)의 화면 표시면측 상단 모서리 부분이 받쳐주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30, 도 31, 도 32 및 도 36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미끄럼 이동판(300)과 달리 미끄럼 이동판(300a, 300b)은 제1몸체(101a) 또는 제3몸체(101c)에 미끄럼 지지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접착면1(311)의 반대편 면의 힌지 축 방향에 수직하는 양측 모서리 부분에 미끄럼 돌출 지지부(320)가 형성되어있고 미끄럼 돌출 지지부(320)의 일면에는 제1몸체(101a) 또는 제3몸체(101c)에 대한 미끄럼 이동판(300a, 300b)의 미끄럼 고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미끄럼 이동판 고정 장공(321) 형상이 미끄럼 이동 방향의 양측 끝단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미끄럼 이동판(300a, 300b)은 디스플레이 접착면1(311)의 힌지 측 끝단에 개방 형성된 다수의 미끄럼 이동판 개방부(312) 및 힌지 축에 수직인 방향에 위치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의 끝단이 화면 표시면 밖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디스플레이 접착면1(311)로 부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의 두께 이상으로 돌출된 미끄럼 이동판 돌출부1(313)가 형성되어 있다.
미끄럼 이동판(300a, 300b)의 힌지 반대측 부분에는 전방 카메라(360) 및 포토 센서(365), 마이크(364)가 적용되어 있다.
도 11, 도 17, 도 26, 도 41 및 도 51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2몸체(101b)에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의 중간부분 화면 표시면 반대 측 면이 접착 고정되는 면인 디스플레이 접착면2(510)가 일면에 반영되어있고 반대편 일면은 디스플레이 접착면2(510)가 표시장치 지지면2(210)와 동일 평면이 유지되도록 제2몸체(101b)의 일면에 접착 고정 또는 조립되는 고정판(500)이 적용된다.
디스플레이 접착면2(510)에는 진동 발생기(30)의 고정을 위한 진동 발생기 적용구2(511)가 관통 또는 함몰 형성되어 있다.
도 11, 도 13 및 도 42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1몸체(101a) 및 제3몸체(101c)에는 미끄럼 이동판(300 또는 300a, 300b)의 미끄럼 이동 및 지지를 위해 표시장치 지지면1(110) 측 일면으로부터 몸체 내측면1(111) 측으로 미끄럼 이동판(300 또는 300a, 300b)의 두께 깊이로 함몰 형성된 미끄럼 이동판 지지면1(141)이 형성되어 있으며 베젤형상1(120) 내측 둘레 부분과 미끄럼 이동판 지지면1(141) 사이에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의 화면 표시면 높이와 일치되는 일면인 베젤커버 접착면1(122)이 형성되어있다.
도 11, 도 13 및 도 42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미끄럼 이동판 지지면1(141)에는 접힘 및 펼침 수행시 미끄럼 이동판 지지면1(141) 측으로 돌출된 진동 발생기(30) 또는 진동 발생기 적용구1(314)와 미끄럼 이동판 지지면1(141) 사이의 간섭 방지를 위해 진동 발생기 지지 장공(147)이 형성되어있다.
도 14 및 도 43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2몸체(101b)에는 표시장치 지지면2(210) 측 일면으로부터 몸체 내측면2(211) 측으로 고정판(500)의 두께 깊이로 함몰 형성된 고정판 접착면(203)이 형성되어 있고, 베젤형상2(220) 내측 둘레 부분과 고정판 접착면(203) 사이에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의 화면 표시면 높이와 일치되는 일면인 베젤커버 접착면2(221)이 형성되어 있다.
도 14 및 도 43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고정판 접착면(203)에는 고정판 접착면(203) 측으로 돌출된 진동 발생기(30) 또는 진동 발생기 적용구2(511)와의 간섭 방지를 위해 진동 발생기 고정구(230)가 형성되어 있다.
도 11, 도 12, 도 14, 도 41, 도 42 및 도 43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1몸체(101a) 및 제3몸체(101b)에는 화면 표시면 측 중앙부분과 힌지 축 부분이 개방된 판상 형태를 갖고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의 화면 표시면 측 일측 끝단 둘레를 미끄럼 이동 가능한 상태로 눌러주며 베젤형상1(120)의 내측 둘레 및 베젤커버 접착면1(122)에 고정되는 개방형 베젤커버1(400)이 조립 적용되고 제2몸체(101b)에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의 힌지 축에 수직인 중간 모서리 부분을 덮어주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의 화면 표시면 및 베젤커버 접착면2(221)에 접착 고정되는 한쌍의 베젤커버2(410)가 적용된다.
개방형 베젤커버1(400)의 힌지 반대측 부분에는 전방 카메라(360) 및 포토 센서(365), 마이크(364)가 적용되어 있다.
도 12, 도 28, 도 42, 도 52 및 도 53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1몸체(101a) 및 제3몸체(101c)에는 탄성부재(340) 및 탄성력 작용면(310)이 적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 탄성부재 적용부(103) 및 제어부 구성품들이 적용되며 탄성부재 적용부(103)와 분리되어 형성된 내부공간1(104)이 형성되어 있다.
도 15, 도 29, 도 43 및 도 54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2몸체(101b)에는 구성품들이 적용되는 내부공간2(202)가 형성되어 있다.
도 26, 도 36 및 도 51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1몸체(101a) 및 제3몸체(101c)에는 표시장치 지지면1(110)이 개방 형성된 측으로 적용된 미끄럼 이동판(300a, 300b)의 이탈 방지 및 미끄럼 고정 상태 유지를 위해 미끄럼 이동판 고정 장공(321) 측으로 끝단 돌출 부분이 걸림 될 수 있도록 내부공간1(104)의 벽면을 관통해 적용되는 1개 이상의 미끄럼 고정 가이드(330)가 적용된다.
미끄럼 고정 가이드(330)가 적용되는 제1몸체(101a) 및 제3몸체(101c)에는 미끄럼 이동판(300a, 300b)의 미끄럼 돌출 지지부(320)에 대한 밀착 지지를 수행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1(104)의 내측 벽면 중에서 힌지 축에 수직인 벽면에 마주보며 형성된 미끄럼 이동판 지지대(106),
슬라이딩 개방구(108)의 개방 형성된 하단면 으로서 미끄럼 이동판(300a, 300b)의 힌지 반대측 끝단 부분을 슬라이딩 지지하는 미끄럼 이동판 지지면1(141), 내부공간1(104)의 힌지 측 벽면부터 힌지 인접 부분에 걸쳐 미끄럼 이동판(300a, 300b)의 힌지 측 끝단 하부면을 지지하는 미끄럼 이동판 지지면2(142) 및 미끄럼 고정 가이드(330)의 적용, 교체 및 돌출 길이 조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1(104)의 벽면을 관통해 형성된 미끄럼 고정 가이드 적용구(107)가 형성되어 있다.
도 19, 도 20, 도 22, 도 47 및 도 49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1몸체(101a) 및 제3몸체(101c)의 표시장치 지지면1(110) 연장면과 미끄럼 이동판 지지면1(141) 사이의 공간에는 완전평면 펼침 상태에서 접힘 상태로의 전환시 미끄럼 이동판(300)의 힌지 반대 측 끝단 부분이 힌지 측으로 미끄럼 이동되어 형성된 빈 공간영역인 전방 슬라이딩 영역1(143), 완전평면 펼침 상태를 이룬 후 추가적인 펼침 회전 완료시 미끄럼 이동판(300)의 힌지 반대 측 끝단 부분이 전방 슬라이딩 영역1(143)을 벗어나 힌지 반대 측으로 미끄럼 이동되어 점유되는 공간영역인 전방 슬라이딩 영역2(144) 및 접힘 상태에서 완전 평면 펼침 상태로의 전환시 미끄럼 이동판(300)의 힌지 측 끝단 부분이 힌지 반대 측으로 미끄럼 전진되어 형성된 빈 공간영역인 후방 슬라이딩 영역1(145)이 형성된다.
또한 도 19, 도 20, 도 22 및 도 47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1몸체(101a) 및 제3몸체(101c)의 탄성부재 적용부(103)에는 완전평면 펼침 상태를 이룬 후 추가적인 펼침 회전 완료시 미끄럼 이동판(300)의 탄성력 작용면(310)이 후방 슬라이딩 영역1(154)을 벗어나 탄성부재 적용부(103)의 힌지 반대 측 벽면 측으로 미끄럼 전진되어 추가적으로 형성된 빈 공간영역인 후방 슬라이딩 영역2(146)가 형성된다.
도 11,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후방 슬라이딩 영역2(146)의 형성을 위해 제1몸체(101a) 및 제3몸체(101c)의 탄성부재 적용부(103)에는 완전평면 펼침 상태를 이룬 후 추가적인 펼침 회전 완료시 미끄럼 이동판(300 또는 300a, 300b)의 탄성력 작용면(310)이 후방 슬라이딩 영역1(145)을 벗어나 탄성부재 적용부(103)의 힌지 반대 측 벽면 측으로 미끄럼 전진될 수 있도록 초과펼쳐짐 섭동 영역부(103a)가 반영되어 있다.
도 35, 도 36, 도 38 및 도 57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슬라이딩 개방구(108)가 형성되어 있는 제1몸체(101a) 및 제3몸체(101c)의 표시장치 지지면1(110) 연장면과 미끄럼 이동판 지지면2(142) 사이의 공간에는 접힘 상태에서 완전 평면 펼침 상태로의 전환시 미끄럼 이동판(300a, 300b)의 힌지 측 끝단 부분이 힌지 반대 측으로 미끄럼 전진되어 형성된 빈 공간영역인 후방 슬라이딩 영역1(145)이 형성되며 후방 슬라이딩 영역1(145)과 힌지 축 사이에는 별도로 여유 간극이 반영된다.
도 40 및 도 60에 간접 적으로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슬라이딩 개방구(108)가 형성되어 있는 제1몸체(101a) 및 제3몸체(101c)에서 형성되는 후방 슬라이딩 영역1(145)은 미끄럼 이동판(300a, 300b)의 미끄럼 이동판 개방부(312)로 인해 단일 직사각형 형태를 유지하지 않고 요철 형태(또는 굴절 형태)로 파편화된 형태를 갖음을 간접적으로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개방구(108)가 형성되어 있는 제1몸체(101a) 및 제3몸체(101c)의 탄성부재 적용부에는 완전평면 펼침 상태를 이룬 후 추가적인 펼침 회전 완료시 미끄럼 이동판(300a, 300b)의 탄성력 작용면(310)이 후방 슬라이딩 영역1(145)을 벗어나 탄성부재 적용부(103)의 힌지 반대 측 벽면 측으로 미끄럼 전진되어 추가적으로 형성된 빈 공간영역인 후방 슬라이딩 영역2(146)가 형성된다.
그리고 도 36 및 도 39에 별도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슬라이딩 개방구(108)가 형성되어 있는 제1몸체(101a) 및 제3몸체(101c)에 적용되는 미끄럼 이동판(300a, 300b)의 미끄럼 이동판 고정 장공(321)의 양측 끝단에는 미끄럼 고정 가이드(330)의 원활한 기능 수행을 위해 전방 슬라이딩 영역2(144)에 대응하는 간섭 방지 형상이 반영되어야 한다.
도 45 및 도 51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1몸체(101a) 또는 제3몸체(101c)의 내부공간1(104)에는 외부저장장치인 SD카드 또는 마이크로 SD카드의 적용위한 SD카드 모듈(180)이 적용되고 제1몸체(101a) 또는 제3몸체(101c)의 경사면1(116)에는 사용자에 의한 SD카드 또는 마이크로 SD카드의 교체 적용을 수행할 수 있는 SD카드 적용구(181)가 형성되어 있다.
도 2, 도 3, 도 4 및 도 5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가변 공간(700) 측에 위치되는 제1몸체(101a) 또는 제3몸체(101c) 중 어느 하나의 일면에는 스피커(171)가 적용되어있다.
도 24, 도 25 , 도 40 및 도 60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도 2, 도 3, 도 4 및 도 5의 실시 예들에 나타내어진 폴더블 영상표시장치는 고정판(500)을 기준으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가 직사각 영역을 갖는 단일의 비접착 부위와 보다 넓은 직사각 영역을 갖는 단일의 접착 부위가 쌍을 이루며 적용되고 있다.
비접착 부위를 세분하면 진동판 영역(11) 부분을 제외한 표시장치 지지면1(110) 및 표시장치 지지면2(210)와 같이 상시 밀착을 유지하는 부분, 탄성부재 적용부(103) 영역 중에서 탄성부재(340)의 점유 영역과 탄성부재 고정판(350)에 의해 일부 점유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과 같이 상시 들뜸이 유지되는 부분, 미끄럼 이동판 지지면1(141)의 후방 슬라이딩 영역1(145) 부위 중에서 상시 들뜸이 유지되는 부분을 배제한 나머지 부분과 같이 미끄럼 이동판(300 또는 300a, 300b)의 위치에 따라 밀착과 들뜸 전환이 발생하는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삼각기둥 접힘 상태fh 유지되는 경우는 완전 평면 펼침 상태보다 상시 밀착부위 비중이 커지고 상시 들뜸 부위 및 전환 발생부위의 비중은 줄어든다.
터치펜 또는 손가락을 이용해 비접착 부위에 해당하는 화면 표시면을 터치하는 경우 상시 밀착 부위를 터치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접착면1(311) 및 디스플레이 접착면2(510)과 같은 접착 부위와 동일한 감촉을 얻으나 상시 들뜸 부위 및 전환 부위를 터치하는 경우에는 터치면 하단이 비어있음을 느낄 수 있다.
이러한 비접착 부위는 힌지 반경(R)이 작아짐에 따라 감소하므로 터치 감각의 향상을 위해서는 힌지 반경(R)을 몸체 두께대비 가능한 작은 값을 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동일한 힌지 반경(R)을 갖는 경우에는 단일의 단순 직사각형 비접착 부위를 갖는 도 24 및 도 25보다 도 40 및 도 60과 같이 굴절 형태의 비접착 부위를 갖도록 하여 비접착 부위를 파편화시켜 터치 감각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 도 3, 도 4 및 도 5의 실시예에 나타내어진 폴더블 영상표시장치는 도 19, 도 21 및 도 23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힌지 축 끝단 부분에 불연속 노출부위가 형성되며 이로 인해 힌지 원주면에 위치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의 모서리 부분이 보호 수단없이 노출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접힘 상태에서 보호수단 적용 없이 힌지 축 끝단 방향으로 낙하가 발생되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의 노출된 모서리 부분이 손상을 입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도 2부터 도 5의 실시 예들의 몸체에 모두 적용 가능한 방안을 이하 제시한다.
도 61은 도 4의 실시예에 힌지 범퍼가 적용된 개념도들 이고, 도 62는 도 5의 실시예에 힌지 범퍼가 적용된 개념도들 이며, 도 63은 도 3의 실시예에 힌지 범퍼가 적용된 접힘 상태에서 낙하되어도 힌지 범퍼에 의해 1차 충격 흡수가 가능함을 보여주는 개념도 이고, 도 64는 도 63의 접힘 상태가 펼침 상태로 전환되어 낙하되어도 힌지 범퍼에 의해 2차 충격 흡수가 가능함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61부터 도 64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폴더블 영상표시장치는 제어부(20), 접힘 및 펼침이 가능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가 고정 또는 지지되며 모서리 부분에 힌지 관련 형상이 적용되어있는 몸체(100), 힌지 축 끝단에 위치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화면 표시면을 벗어나 몸체(100)의 외부 노출면들 사이의 불연속 부위를 덮으며 힌지 축 끝단에 적용되는 힌지 범퍼(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61 및 도 62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의 화면 표시면 측에 위치하는 힌지 범퍼(600)의 바깥 둘레면은 화면 표시면 밖의 영역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갖고, 힌지 범퍼(600)는 고무,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을 갖는다.
도면에 별도 제시 되지는 않았으나 힌지 범퍼(600), 몸체(100)의 힌지 축 임의 영역에는 힌지 범퍼(600)를 힌지 축 방향으로 누르거나 잡아당기면 제어부(20)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 할 수 있는 물리버튼 구성품(미도시) 또는 힌지 범퍼(600)의 회전 수행시 제어부(20)에 회전방향 및 회전정도에 대한 전기적 신호를 전달 할 수 있는 로터리 스위치 또는 광 인터럽트 구성품(미도시)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63 및 도 64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힌지 범퍼(600)가 적용됨으로 인해 힌지 축 부분으로의 낙하시 1차 충격을 흡수할 수 있고 미끄럼 이동판(300a, 300b)측으로 낙하된 경우에는 여유 간극 및 탄성부재의 작용에 의한 충격 흡수와 반발후 발생하는 2차 충격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도 61 및 도 62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힌지 범퍼(600)의 바깥 둘레가 화면표시면 측 바깥 부분으로 돌출 되있는 특징을 갖으므로 인해 화면 표시면의 손상을 줄 수 있는 지면과의 직접적인 접촉없이 간격을 유지하며 변형된 노트북형 초과펼침 상태로 사용될 수 있거나 완전 평면 펼침 상태에서도 뒤집어 보관될 수 있다. 힌지 축 끝단면에 보여지던 불연속 노출부위도 가려져 심미적 잇점도 있다.
도 11, 도 26, 도 41, 도 51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폴더블 영상표시장치 실시 예들은 단일 내부공간을 갖는 기존의 판상형 영상표시장치와 달리 구성품이 적용되는 내부공간이 힌지 축을 기준으로 물리적으로 분리된 3개의 내부공간이 전기적으로 연결 적용되는 특징을 갖는다.
이를 위해 도 2, 도 3, 도 4 및 도 5에 나타내어진 본 발명의 실시 예인 폴더블 영상표시장치는 도 11, 도 26, 도 41, 도 51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어부(20),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 및 몸체(1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로서 몸체(100)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의 일측 끝단이 고정 또는 지지되며 모서리 부분에 힌지 관련 형상이 적용되어있고 베터리 또는 제어관련 구성품의 적용을 위한 내부공간1(104)이 형성되어있는 제1몸체(101a)와 제3몸체(101c) 및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의 중간 부분이 고정 또는 지지되며 일측 모서리가 제1몸체(101a)에 힌지 결합되고 반대편 일측 모서리는 제3몸체(101c)에 힌지 결합되며 베터리 또는 제어관련 구성품의 적용을 위한 내부공간2(202)가 형성되어있는 제2몸체(101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5, 도 34 및 도 51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1몸체(101a)의 내부공간1(104), 제3몸체(101c)의 내부공간1(104) 및 제2몸체(101b)의 내부공간2(202) 중 어느 하나에는 내장형 베터리(160)가 적용되고 내장형 베터리(160)가 적용되지 않은 나머지 내부공간1(104) 또는 내부공간2(202) 중 어느 하나에는 탈부착 베터리(250)가 적용되며 내장형 베터리(160)와 탈부착 베터리(250)는 제어부(20)와 병렬 연결되는 특징을 갖는다.
제어부와 내장형 베터리(160) 및 탈부착 베터리(250)가 병렬 연결되는 특징을 가지므로 인해 휴대 무게를 줄이기 위한 경우에는 탈부착 베터리(250)를 내부공간2(202)로부터 제거하고 내장형 베터리(160)만 적용된 상태로 사용해도 되며 이 경우 몸체(100)의 중앙 부분에 위치하는 내부공간2(202)로부터 탈부착 베터리(250)가 제거되었으므로 무게균형은 그대로 유지된다.
제어부(20)의 연산장치와 내장형 베터리(160)는 발열관리를 위해 내부공간1(104)과 내부공간2(202) 중 어느 하나에 각각 분리되어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6과 도 51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탈부착 베터리(250) 및 대용량 탈부착 베터리(250a)에는 기판 경유 지지대(130) 및 기판 경유홈(251)을 경유하는 플렉시블 기판(21)이 베터리 면에 밀려 표시장치 지지면2(210) 밖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플렉시블 기판(21) 두께 이상으로 함몰 형성된 기판 경유홈(251)이 표시장치 지지면2(210)측의 일면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내장형 베터리(160)의 그립면1(117)측 끝단 일부분에는 제3몸체(101c)에 적용된 미끄럼 이동판(300b)의 미끄럼 지지를 위해 미끄럼 이동판 지지면1(141)과 동일 평면을 유지하는 단차 형성부(161)가 형성되어있다.
도 67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탈부착 베터리(250)는 노출 부분이 가변 공간(700) 측을 향해 적용되고, 대용량 탈부착 베터리(250a)는 노출 부분이 가변 공간(700)측 안쪽으로 돌출 수용되며 돌출 부분의 모서리는 접힘 상태의 몸체 내측면1(111)과 간섭되지 않는 특징을 갖는다.
도 3 및 도 5에 나타내어진 본 발명의 실시 예인 폴더블 영상표시장치는 힌지 축에 평행한 몸체의 그립면1(117)이 아닌 제2몸체의 힌지 축에 수직인 노출면에 부가장치 적용을 위한 연결 형상이 반영되어 있다.
이를 위해 도 3 및 도 5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인 폴더블 영상표시장치는 제어부(20),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 밈 몸체(1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로서 몸체(100)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의 일측 끝단이 고정 또는 지지되며 모서리 부분에 힌지 관련 형상이 적용되어있고 베터리 또는 제어관련 구성품의 적용을 위한 내부공간1(104)이 형성되어있는 제1몸체(101a) 및 제3몸체(101c) 및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의 중간 부분이 고정 또는 지지되며 일측 모서리가 제1몸체(101a)에 힌지 결합되고 반대편 일측 모서리는 제3몸체(101c)에 힌지 결합되며 베터리 또는 제어관련 구성품의 적용을 위한 내부공간2(202)가 형성되어있는 제2몸체(101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 도 5 및 도 54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제2몸체(101b)의 힌지 축에 수직인 노출면들 중에서 어느 한쪽의 노출면에는 이어폰 잭 연결을 위한 이어폰 잭 적용구(260)가 형성되어있다.
또한 제2몸체(101b)의 힌지 축에 수직인 노출면들 중에서 어느 한쪽의 노출면에는 충전 또는 외부연결을 위한 외부연결 적용구(261)가 형성되어있다.
이어폰 잭 적용구(260) 및 외부연결 적용구(261)를 제2몸체(101b)의 힌지 축에 수직인 노출면인 그립면4(217) 또는 그립면5(218)에 적용하는 이유는 접힘 및 펼침 전환시 기준이 되는 몸체가 제2몸체 이며 제1몸체와 제3몸체의 양손 그립사용 형태가 적용되는 경우 불필요한 간섭을 배제하기 위함이며 이어폰 잭(260) 연결시 무게 균형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도 2, 도 3, 도 4 및 도 5에 제시된 폴더블 영상표시장치 실시 예들은 힌지가 적용되어있고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가 자체적인 탄성을 갖고 있으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에 간접적으로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탄성부재(340)가 적용되어있다.
힌지의 회전이 자유로운 특성과 회전을 발생시키는 구동력이 되는 탄성력의 존재로 인해 사용자가 접힘 또는 특정 펼침 상태로의 변경을 통제하는 수단이 적용되어야할 필요성이 존재한다.
몸체(100)의 내부 공간에 힌지의 선택적인 회전을 억제하고 선택적 허용하는 수단의 적용이 우선적으로 고려 가능하나 내부공간이 협소하여 적용이 어려우며 적용이 된다고 하더라도 기능 구현품의 치수가 매우 작아 가공성, 조립성 및 내구성 확보가 어렵게 된다.
또한 기능 구현품들이 내부공간에 적용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직관적인 통제를 하기도 곤란하며 고장시 수리 또한 어렵게 된다.
따라서 몸체의 내부공간이 아닌 외부 노출면에 사용자가 육안으로 접힘 및 펼침상태 변경에 대한 선택적 통제를 할 수 있는 회전 걸림판이 적용된 폴더블 영상표시장치를 이하 도면들과 함께 제시한다.
도 65는 도 5의 실시예에 회전 걸림판이 적용되어 제1몸체 또는 제3몸체에 대한 접힘 상태와 완전 평면 펼침 상태에 대한 선택적 걸림을 보여주는 개념도 이고, 도 66은 도 5의 실시예에 회전 걸림판이 적용되어 제1몸체 또는 제3몸체에 대한 초과 펼침 상태에 대한 선택적 걸림을 보여주는 개념도 이다.
도 65 및 도 66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접힘 및 펼침 상태 전환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적 통제가 가능한 폴더블 영상표시장치는 제어부(20),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0),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일측 끝단이 고정 또는 지지되며 모서리 부분에 힌지 관련 형상이 적용되어있는 제1몸체(101a),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가 고정 또는 지지되며 일측 모서리가 제1몸체(101a)에 힌지 결합되는 제2몸체(101b) 및 힌지 축의 끝단에 수직인 제1몸체(101a) 또는 제2몸체(101b)의 외부 노출면들인 그립면들 중 어느 하나의 그립면에 조립 적용되는 선택적 걸림 작용부(도시없음) 및 선택적 걸림 작용부에 결합되어 걸림을 형성하며 선택적 걸림 작용부가 적용된 그립면의 인접 그립면에 적용되는 걸림 돌기(151a, 151b 또는 24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선택적 걸림 작용부는 회전 가능한 상태로 회전 축을 기준으로 조립 적용되고 일측 끝단 부분은 걸림 돌기에 선택적 걸림 형성되는 걸림 형성부 형상이 반영되어있는 회전 걸림판(150 또는 24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걸림 돌기(151a, 161b 또는 241)는 힌지 축으로 부터 간격을 달리해 그립면에 1개이상 분리되어 적용되있는 특징을 갖는다.
회전 걸림판(150 또는 240)이 적용되는 그립면에는 회전 걸림판(150 또는 240)의 그립면 영역 이탈 방지 및 회전방향 제한위해 돌출방지 형상(152 또는 242)이 적용되어있다.
도 65 및 도 66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회전 걸림판(150 또는 240)의 회전 중심축과 힌지 축의 거리는 고정 불변이고, 힌지 축과 걸림 돌기(151a, 151b 또는 241)의 거리도 고정불변이며 회전 걸림판1(150)의 회전 중심축과 반대측 끝단 걸림 형성부의 거리도 고정불변이다.
회전 걸림판(150 또는 240)의 끝단 걸림 형성부가 걸림 돌기(151a, 151b 또는 241)에 걸림되는 상태로 전환되면 회전 걸림판(150 또는 240)의 회전 중심축, 힌지 축 및 또는 241)로 이루어지는 삼각형이 완성되며 각각 고정불변의 거리를 가지므로 회전 걸림판(150 또는 240)의 걸림이 해제되지 않는 한 제1몸체(101a) 또는 제2몸체(101b)의 회전을 포함한 상태 변경이 불가능해 터치를 포함한 외력이 작용해도 펼침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도 65 및 도 66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회전 걸림판(150)과 회전 걸림판(240)의 회전 방향은 서로 상이하며 이는 돌출방지 형상(152 또는 242)에 기인한다.
그리고 회전 걸림판(150 또는 240)이 적용되는 및 제2몸체(101b)의 그립면에는 사용자의 외력이 회전 걸림판(150 또는 240)에 작용되는 경우에만 회전이동 될 수 있도록 회전 걸림판(150 또는 240)의 두께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된 경사 걸림턱(미도시)이 회전 개시 앞부분에 형성되어있음이 바람직하다.
회전 걸림판(150)은 걸림 형성시 화면 표시면측을 향하여 회전하고 회전 걸림판(240)은 걸림 형성시 몸체 내측면2(211)측을 향하여 회전한다.
회전 걸림판(150)이 적용되는 그립면에는 걸림 돌기(151a)로부터 걸림 해제된 회전 걸림판(150)의 걸림 형성부가 제1몸체의 접힘 회전에 의해 가이드되며 수납위치로 회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형상인 회전 걸림판 가이드(244)가 일정 길이로 돌출 형성되어있다.
도 68은 슬라이딩 개방구가 그립면1에 형성된 도 3 및 도 5의 실시예가 도 2 및 도 4의 실시예 보다 넓은 표시화면을 제공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개념도 이다.
도 2 및 도 4의 실시예의 폴더블 영상표시장치는 도 3 및 도 5의 실시예의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와 달리 슬라이딩 개방구(108)가 적용되어있지 않아 미끄럼 이동판(300)이 그립면1(117)을 벗어날 수가 없다.
반면 도 3 및 도 5의 실시예의 폴더블 영상표시장치는 미끄럼 이동판(300a, 300b)가 그립면1(117)을 벗어나 접힘시 생성되고 펼침시 소멸되는 힌지 원주면 부분을 개방형 베젤 커버1(400)에 숨기지 않고 자연스럽게 노출 시킴으로 인해 도 68과 같은 넓은 표시화면을 가능케 한다.
도 69에 나타내어진 사용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폴더블 영상표시장치가 단일 힌지가 아닌 2개의 힌지가 적용되고 노트북형 초과펼쳐짐이 가능한 구조를 갖고 있음으로 인해 가능하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바지 뒷주머니에 펼침 상태로 넣고 다녀도 자연스럽게 엉덩이 곡률에 대응하여 접힘이 가능하므로 판상형 영상표시장치와 같이 바지 뒷주머니에 넣고 않을 경우 파손될 위험성도 없게 된다.
도 70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도 2부터 도 5의 실시 예들인 폴더블 영상표시장치는 접힘 상태시 형성되고 펼침시 소멸하는 가변 공간(700)을 스마트 스피커의 저음 공명통으로 활용하는 기능 외에도 블루투스 이어폰(710) 및 접이식 터치펜(720)의 수납공간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가변 공간(700)에 수납되어있는 블루투스 이어폰(710)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펼침 상태로 전환하고 몸체 내측면1(111)측에 적용된 탄성 수납 밴드(191)에 고정되어있는 블루투스 이어폰(710)을 빼내어 사용하기만 하면 된다.
이러한 사용방법이 적용되는 경우 별도의 블루투스 이어폰 케이스를 들고 다니지 않아도 되며 즉시 수납 인출 사용이 가능한 편리성도 얻게된다.
도 71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가변 공간(700)은 공명통 기능과 수납 공간 기능 외에도 제어부와 베터리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 시키는 통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가변 공간을 형성하지 않고 면 밀착 접힙되는 경우에는 접힘 상태시 손으로 그립하고 있으면 열이 배출되는 공간이 제한되지만 삼각기둥 형상의 가변 공간이 형성되는 도 2부터 도 5의 실시 예들의 폴더블 영상장치는 사용자가 그립하고 있어도 중앙 부분에 통기가 가능한 구조를 갖고잇어 방열 기능이 뛰어남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4의 실시예의 경우 미끄럼 이동판(300)은 제1몸체(101a) 및 제3몸체(101c) 내측 공간에 갇혀있어 내부공간1(104)의 제어부에 의해 발생하는 열을 배출하는 기능이 제한적이나 도 3 및 도 5의 실시예의 미끄럼 이동판(300a, 300b)은 일측 끝단이 제1몸체(101a) 및 제3몸체(101c)를 벗어나 상대적으로 차가운 영역에 존재해 제어부에 의해 발생하는 열을 배출하는 열 배출 전달자 기능을 수행한다.
도 72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도 3 및 도 5에 제시된 본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인 폴더블 영상표시장치는 그립하고 있던 손을 떼어서 화면 표시면을 터치조작 하지 않고 그립하고 있던 상태로도 손가락의 터치 조작 없이도 네비게이션 조작을 할 수 있는 사용례를 보여준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에는 폴더블 기능과 함께 화면 표시면의 터치시 압력변화를 감지하는 압력감지 터치패널(도시생략)이 적용되고 제1몸체(101a) 또는 제3몸체(101c)가 완전 평면 펼침 상태시 슬라이딩 개방구(108)를 경유하여 그립면1(117) 밖으로 돌출되는 미끄럼 이동판(300a, 300b)의 끝단을 사용자가 그립하고 있던 손바닥의 안쪽 면을 이용해 힌지 측으로 눌러주면 후방 슬라이딩 영역1(145) 또는 후방 슬라이딩 영역2(146)에 위치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의 미접착 부분에서 순간적으로 형성되는 융기 곡면에 의한 압력변화를 압력감지 터치패널이 감지해 제어부에 전달하는 기능을 갖는다.
미끄럼 이동판(300a, 300b)의 끝단부 누름에 의해 사용자의 이벤트를 감지한 제어부는 이 입력값이 제1몸체(101a) 또는 제3몸체(101c)의 회전에 의한 미끄럼 이동판(300a, 300b) 이동 관련된 입력값 인지를 비교 판단하고 힌지 축 회전 감지 센서(135)에서 입력된 제1몸체(101a) 또는 제3몸체(101c)의 유의미한 회전 입력이 없으면 미끄럼 이동과 무관한 미끄럼 이동판(300a, 300b)의 순간적인 끝단부 누름이라고 판정하고 순간적인 끝단부 누름 이벤트에 대한 이벤트 루틴을 실시한다.
상기의 도 72에 적용된 개념은 완전 평면 펼침 상태에서 미끄럼 이동판(300a, 300b) 모서리로의 낙하가 발생시 미끄럼 이동판(300a, 300b)이 힌지 측 방향으로 낙하 충격을 흡수하며 후퇴되는 기능으로도 작용해 낙하 충격에 대한 저항성이 높아지는 부수적인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도 73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도 2, 도 3, 도 4 및 도 5에 제시된 본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인 폴더블 영상표시장치는 제1몸체(101a) 및 제3몸체(101c)를 양손으로 그립하고 있는 사용자가 일측의 회전 걸림판(240)을 걸림 해제시켜 선택적인 회전조작이 가능하게 한 후 기판 지지대 적용부(105)에 적용된 힌지 축 회전 감지 센서(135)를 이용해 사용자에 의한 허ㅏ면 표시면 위측 방향으로의 회전변위 발생 또는 아래측 방향 회전변위를 감지하고 해당변위 상태의 지속여부를 감지하여 이를 제어부에 전달하고 이를 통해 터치조작에 의한 네비게이션 조작이 아닌 손바닥 자체의 꺽임에 의한 네비게이션 수행을 가능하게 해준다.
도 74는 초과 펼침 회전시 고정되지 않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끝단이 힌지 영역 겹침으로 인해 밀림 이동이 발생함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74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힌지 반경(R)이 몸체 두께(T)와 비슷한 단일 힌지 적용 영상표시장치의 경우에는 접힘 및 펼침시 힌지 원주면의 생성 및 소멸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베젤 간극(K) 안쪽의 몸체 내측 부분에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끝단의 미끄럼 이동이 발생된다.
접힘 상태에서 부터 완전 평면 펼침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미끄럼 이동양(A)은 아래의 관계를 갖으며 힌지 반경(R) 또는 접힘각도(Y)를 줄이면 정률적으로 줄어드는 특성이 존재한다.
미끄럼 이동양(A)=힌지 반경(R) x 접힘각도(Y)
또한 완전 평면 펼침 상태를 이룬 후 노트북형의 초과펼침 상태에서는 힌지 원주면 부위의 힌지 영역 겹침 발생으로 인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 끝단의 추가적인 미끄럼 이동이 발생하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 끝단이 베젤 간극(K)을 벗어나는 현상이 발생된다.
초과펼침 미끄럼 이동량(C)은 힌지반경(R) 또는 초과펼침 회전각도와 정률적인 관계는 성립하지 않으나 초과펼침 회전각도가 증대됨에 따라 힌지영역 겹침양도 증가하여 함께 증대되는 특성을 갖는다.
도 74에 초과펼침 미끄럼 이동량(C)을 C가 아닌 2C로 표기한 것은 어느 한쪽 몸체쪽으로는 초과펼침 미끄럼 이동이 불가능하여 반대편 몸체측에서 초과펼침 미끄럼 이동량이 누적되어 발생됨을 표시한 것이고 만일 양쪽 몸체 모두에서 균등하게 초과펼침 미끄럼 이동이 가능한 경우에는 각각의 몸체 끝단 쪽에서 그 절반인 C값으로 발생 표시되어야 한다.
그리고 완전 평면 펼침 상태시 힌지 부위 하단에 힌지 원주면이 돌출 유지되는 문제점과 더불어 힌지 부위에서의 불연속 부위 노출 문제점이 존재하나, 힌지 존재로 인해 평면 유지 능력은 무힌지 적용 아웃폴딩 영상표시장치 보다는 좋다.
도 74와 달리 도 2, 도 3, 도 4 및 도 5에 제시한 폴더블 영상표시장치(1)는 180도 완전 접힘이 아닌 둔각의 텐트형 접힘을 적용하여 접힘각도(Y)를 1/3정도 줄임으로 인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 끝단의 미끄럼 이동양(A)을 정률적으로 1/3 줄인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제시한 폴더블 영상표시장치(1)는 몸체 두께 대비 힌지 반경(R)을 감소시켜 힌지 반경(R) 감소 비율만큼 미끄럼 이동양(A)이 정율적으로 줄어드는 효과도 추가적으로 얻는다.
그리고 도 2, 도 3, 도 4 및 도 5에 제시한 폴더블 영상표시장치(1)는 초과펼침 미끄럼 이동량(C) 또한 힌지 반경(R)이 줄어듬에 따라 힌지영역 겹침량도 감소되나 정률적인 감소 특성을 보이지는 않는다.
또한 몸체 두께 대비 힌지 반경(R)의 감소 및 접힘 각도(Y)의 1/3 정도 감소를 이루는 접힘 방식이 적용됨으로 인해 힌지 축 끝단 부위에서 발생하는 불연속 노출부위도 감소된다.

Claims (17)

  1. 접힘 및 펼침이 가능한 몸체; 및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접히거나 펼쳐지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되,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몸체에 의해 둘러 쌓여 가변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가변 공간을 향하는 스피커가 상기 몸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접혀진 상태에서 평면을 형성하는 부위의 화면 표시면 반대 면의 일부 영역에 소리 발생을 위한 진동판 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진동판 영역은 상기 몸체에 접착되지 않고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 영역은 원형 또는 타원형의 비접착 영역을 이루며,
    진동 발생기에 의해 진동되어 화면 표시면의 전면 방향(Front)으로 소리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구비면의 반대측 면에 상기 스피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가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가변 공간은 양 끝이 개구된 원기둥, 삼각기둥, 사각기둥, 오각기둥 또는 육각기둥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일측 끝단이 고정되는 제1몸체;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타측 끝단이 고정되며 제3몸체; 및
    양측단부에서 상기 제1몸체 및 상기 제3몸체와 각각 힌지 결합되는 제2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몸체 및 상기 제3몸체에는, 힌지 축과 수직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한 상태로 조립되는 미끄럼 이동판;이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이동판에는 진동 발생기의 고정을 위한 진동 발생기 적용구1;이 관통 또는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에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중앙 부위 화면표시면의 반대 측 면이 접착 고정되는 영역인 디스플레이 접착면2가 구비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접착면2에는 진동 발생기의 고정을 위한 진동 발생기 적용구2;가 관통 또는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 및 상기 제3몸체에는,
    상기 미끄럼 이동판의 미끄럼 이동 및 지지를 위해 화면 표시면의 반대면 측 일면으로부터 미끄럼 이동판의 두께 깊이로 함몰 형성된 미끄럼 이동판 지지면1;이 형성되며,
    상기 미끄럼 이동판 지지면1에는 접힘 및 펼침 수행시 상기 미끄럼 이동판 지지면1 측으로 돌출된 진동 발생기 또는 진동 발생기 적용구1와 상기 미끄럼 이동판 지지면1 사이의 간섭 방지를 위해 진동 발생기 지지 장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에는,
    화면 표시면의 반대면 측 일면으로부터 고정판의 두께 깊이로 함몰 형성된 고정판 접착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판 접착면에는 상기 고정판 접착면 측으로 돌출된 진동 발생기 또는 진동 발생기 적용구2와의 간섭 방지를 위해 진동 발생기 고정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 및 상기 제3몸체의 내부공간에는,
    접힘 및 펼침시 내부공간 측으로 돌출된 진동 발생기 또는 진동 발생기 적용구1과 내부공간 적용 구성품 사이의 간섭 방지를 위해 돌출된 진동 발생기 또는 진동 발생기 적용구1의 미끄럼 이동 방향 전방 및 후방에 간섭 방지공간이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
  12.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이동판에는 카메라 및 마이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
  13.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일측 끝단이 고정되는 제1몸체;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타측 끝단이 고정되며 상기 제1몸체와 힌지 결합하는 제2몸체; 및
    상기 제1몸체 및 상기 제2몸체의 외부 노출면 가운데 힌지 축 끝단 부위에 그립면이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그립면에 조립되는 선택적 걸림 작용부; 및
    상기 선택적 걸림 작용부에 결합되어 걸림을 형성하며, 상기 선택적 걸림 작용부가 구비된 그립면의 인접 그립면에 구비되는 걸림 돌기;를 구비하되,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제1몸체 및 제2몸체가 공동으로 접하는 타 물체의 면, 상기 제1몸체 및 상기 제2몸체에 의해 둘러 쌓여 가변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가변 공간을 향하는 스피커가 상기 제1몸체 및 상기 제2몸체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적 걸림 작용부는 회전 가능한 상태로 회전 축을 기준으로 조립되고, 일측 끝단 부분에는 걸림 돌기에 선택적 걸림 형성되는 걸림 형성부 형상이 구비되는 회전 걸림판;을 포함하며,
    상기 걸림 돌기는 힌지 축으로 부터 간격을 달리해 상기 그립면에 1개이상이 분리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걸림판이 구비되는 그립면에는 상기 회전 걸림판의 그립면 영역 이탈 방지 및 회전방향 제한을 위해 돌출방지 형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걸림판이 적용되는 그립면에는 걸림 해제된 회전 걸림판의 걸림 형성부가 제1몸체의 접힘 회전에 의해 가이드되며 수납위치로 회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형상인 회전 걸림판 가이드;가 일정 길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
  17.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접혀진 상태에서 평면을 형성하는 부위의 화면 표시면 반대 면의 일부 영역에 소리 발생을 위한 진동판 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진동판 영역은 상기 제1몸체 및 상기 제2몸체에 접착되지 않고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영상표시장치.
PCT/KR2019/015024 2019-11-07 2019-11-07 폴더블 영상표시장치 WO2021090983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15024 WO2021090983A1 (ko) 2019-11-07 2019-11-07 폴더블 영상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15024 WO2021090983A1 (ko) 2019-11-07 2019-11-07 폴더블 영상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90983A1 true WO2021090983A1 (ko) 2021-05-14

Family

ID=75848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15024 WO2021090983A1 (ko) 2019-11-07 2019-11-07 폴더블 영상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1090983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24614A (zh) * 2021-08-31 2021-11-30 深圳市美亚迪光电有限公司 一种快速组装的可折叠led显示屏
CN113888970A (zh) * 2021-09-26 2022-01-04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可折叠显示屏及显示装置
CN113889011A (zh) * 2021-11-09 2022-01-04 维信诺科技股份有限公司 可弯折支撑装置和显示装置
CN114627761A (zh) * 2022-03-01 2022-06-14 苏州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折叠屏及显示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66643A1 (en) * 2008-09-08 2010-03-1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for indicating location and direction of a graphical user interface element
KR20130085689A (ko) * 2012-01-20 2013-07-30 이충희 진동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KR20140115913A (ko) * 2013-03-21 2014-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60437A (ko) * 2013-11-26 2015-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키보드 및 스피커 어셈블리
KR20180040482A (ko) * 2016-10-11 2018-04-20 박현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이 설치되는 인폴딩타입 힌지구조
KR20200037693A (ko) * 2018-10-01 2020-04-09 주식회사 가난한동지들 폴더블 영상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66643A1 (en) * 2008-09-08 2010-03-1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for indicating location and direction of a graphical user interface element
KR20130085689A (ko) * 2012-01-20 2013-07-30 이충희 진동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KR20140115913A (ko) * 2013-03-21 2014-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60437A (ko) * 2013-11-26 2015-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키보드 및 스피커 어셈블리
KR20180040482A (ko) * 2016-10-11 2018-04-20 박현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이 설치되는 인폴딩타입 힌지구조
KR20200037693A (ko) * 2018-10-01 2020-04-09 주식회사 가난한동지들 폴더블 영상표시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24614A (zh) * 2021-08-31 2021-11-30 深圳市美亚迪光电有限公司 一种快速组装的可折叠led显示屏
CN113724614B (zh) * 2021-08-31 2023-10-31 深圳市美亚迪光电有限公司 一种快速组装的可折叠led显示屏
CN113888970A (zh) * 2021-09-26 2022-01-04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可折叠显示屏及显示装置
CN113888970B (zh) * 2021-09-26 2023-06-02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可折叠显示屏及显示装置
CN113889011A (zh) * 2021-11-09 2022-01-04 维信诺科技股份有限公司 可弯折支撑装置和显示装置
CN113889011B (zh) * 2021-11-09 2024-03-22 维信诺科技股份有限公司 可弯折支撑装置和显示装置
CN114627761A (zh) * 2022-03-01 2022-06-14 苏州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折叠屏及显示装置
CN114627761B (zh) * 2022-03-01 2023-10-13 苏州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折叠屏及显示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090983A1 (ko) 폴더블 영상표시장치
WO2021251525A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9088372A1 (en) Flexible frame and flexible display unit having the same
WO2020184988A1 (ko) 접힘 가능한 도전성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18186631A1 (ko) 롤더블 영상표시장치
WO2020209424A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WO2021221180A1 (ko) 콘텐츠를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15126068A1 (ko) 접철식 기기
WO2019146865A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17222243A1 (ko)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0204553A1 (ko) 윈도우의 보호를 위한 코팅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19027213A1 (ko) 키보드가 구비된 영상표시장치 및 이를 위한 키보드유닛
WO2020231083A1 (ko) 열전달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19198978A1 (e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flexible display and wireless charging method using the same
WO2021020801A1 (ko) 이벤트에 따라 형태가 전환되는 접이식 전자 장치 및 그 접이식 전자 장치의 형태를 전환하는 방법
WO2022030970A1 (ko) 폴더블 전자 장치 및 상기 폴더블 전자 장치에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WO2021246801A1 (ko) 복수의 디스플레이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15160231A1 (ko) 복합휴먼 인터페이스 장치
WO2022102968A1 (ko) 패턴이 형성된 폴리머층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들
WO2016190498A1 (ko) 이동 단말기
WO2022025720A1 (ko)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WO2016021946A2 (ko)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
WO2020180089A1 (ko) 오디오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기 위한 전자 장치
WO2020055203A1 (ko) 접이식 멀티미디어 단말기
WO2017111192A1 (ko) 롤러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95174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95174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