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5976A - 끊김 없이 이미지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끊김 없이 이미지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5976A
KR20210035976A KR1020190117813A KR20190117813A KR20210035976A KR 20210035976 A KR20210035976 A KR 20210035976A KR 1020190117813 A KR1020190117813 A KR 1020190117813A KR 20190117813 A KR20190117813 A KR 20190117813A KR 20210035976 A KR20210035976 A KR 202100359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image
electronic device
area
identif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7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진
이성준
김정배
박준영
정지순
김무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17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5976A/ko
Priority to CN202080067839.0A priority patent/CN114514501A/zh
Priority to EP20869094.1A priority patent/EP4024195A4/en
Priority to PCT/KR2020/012785 priority patent/WO2021060806A1/ko
Publication of KR20210035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5976A/ko
Priority to US17/703,347 priority patent/US20220214850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31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using a single graphics controll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7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detecting open or closed state or particular intermediate positions assumed by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e.g. detection of display lid position with respect to main body in a laptop, detection of opening of the cover of battery compart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60Rotation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specially adapted for displays having non-planar surfaces, e.g. curved displays
    • G09G3/03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specially adapted for displays having non-planar surfaces, e.g. curved displays for flexible display surfa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1Arbitration of resources in a display system, e.g. control of access to frame buffer by video controller and/or main process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Composi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3Display panel composed of stacked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8Use of a frame buffer in a display terminal, inclusive of the display pa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는 상기 전자 장치의 제1 면에 배치되는 제1 디스플레이, 상기 전자 장치의 제2 면에 배치되고, 상기 전자 장치의 폴딩 상태에 따라 적어도 일부가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는(invisible to a user) 제2 디스플레이, 명령어들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및 상기 메모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중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제1 이미지를 표시 하는 중 상기 전자 장치의 폴딩 상태의 변화를 감지하고, 상기 폴딩 상태의 변화가 감지되면,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중 다른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제2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이미지를 생성하는 동안, 상기 제1 이미지에 대한 스냅샷 이미지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스냅샷 이미지를, 상기 다른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제2 이미지가 생성되면, 상기 스냅샷 이미지 대신에 상기 제2 이미지를, 상기 다른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끊김 없이 이미지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ELECTRONIC DEVICE FOR SEAMLESSLY DISPLAYING IMAG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후술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은 끊김 없이 이미지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함께 전자 장치는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고 있다. 전자 장치는 이동성(portability) 및 사용자의 접근성(accessibility)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휴대용 또는 사용자에 착용할 수 있는 형태로 개발되고 있다.
최근 들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장치는 휴대 용이성을 위해 가볍고, 얇아지고 있으며, 사용 편의성을 위해 다방면으로 발전을 꾀하고 있다. 특히,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폴더블 타입(foldable type)의 전자 장치는 일반적인 바 타입(bar type)의 전자 장치보다 상대적으로 큰 화면을 제공하면서도, 전자 장치를 접게(folding) 되면 그 크기가 줄어들어 휴대하기 편리해지므로, 소비자의 기호를 충족시키기 위한 전자 장치로 각광받고 있다.
폴더블 전자 장치는 힌지 구조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접힘 상태(folded state) 또는 펼침 상태(unfolded state)가 될 수 있다. 폴더블 전자 장치는, 접힘 상태일 때와 펼침 상태일 때, 표시 장치의 해상도가 다를 수 있다. 이에 따라, 폴더블 전자 장치는, 접힘 상태와 펼침 상태 간의 상태 변경 시 이종 해상도의 이미지가 필요할 수 있다. 그러나, 새로운 이미지를 드로잉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은, 접힘 상태와 펼침 상태 간의 상태 변경에 따른 시간 보다 길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접힘 상태와 펼침 상태 간의 상태 변경 시, 폴더블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어느 것도 표시되지 않는 지연을 경험하게 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는 상기 전자 장치의 제1 면에 배치되는 제1 디스플레이, 상기 전자 장치의 제2 면에 배치되고, 상기 전자 장치의 폴딩 상태에 따라 적어도 일부가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는(invisible to a user) 제2 디스플레이, 명령어들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및 상기 메모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중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제1 이미지를 표시 하는 중 상기 전자 장치의 폴딩 상태의 변화를 감지된다. 예를 들어 일정 수준(각도)이상의 펼침 또는 닫힘 동작이 발생할 경우 동작이 수행할 수 있다. 일정 수준 이하의 펼침인 경우, 동작이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예들들어 , 폴딩 상태가 빠른 속도로 반복해서 동작할 경우 , 최초 폴딩상태 변화로 생긴 스냅샷 이미지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중 다른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제2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이미지를 생성하는 동안, 상기 제1 이미지에 대한 스냅샷 이미지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스냅샷 이미지를, 상기 다른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제2 이미지가 생성되면, 상기 스냅샷 이미지 대신에 상기 제2 이미지를, 상기 다른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는 상기 전자 장치의 폴딩 상태에 따라 사용자와 마주하는 영역(area facing to a user)이 변경되는 디스플레이, 명령어들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메모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1 영역에 제1 이미지를 표시하는 중 상기 전자 장치의 폴딩 상태의 변화를 감지하고, 상기 폴딩 상태의 변화가 감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변화된 폴딩 상태에 상응하는 제2 영역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제2 영역에 표시할 제2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이미지를 생성하는 동안, 상기 제1 이미지에 대한 스냅샷 이미지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스냅샷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기 식별된 제2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제2 이미지가 생성되면, 상기 스냅샷 이미지 대신에 상기 제2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기 식별된 제2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은, 접힘 상태와 펼침 상태 간의 상태 변경 시, 기존의 이미지를 스냅샷하고, 스냅샷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의 새로운 표시 영역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지연 경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프로그램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아웃-폴딩 방식의 전자 장치의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인-폴딩 방식의 전자 장치의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프로그램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스냅샷 이미지를 표시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새로운 이미지를 처리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23)은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 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은,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또는 디지털 펜(예: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16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이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은,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3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이 추가로 안테나 모듈(197)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102, 104, or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140)을 예시하는 블록도(200)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그램(140)은 전자 장치(101)의 하나 이상의 리소스들을 제어하기 위한 운영 체제(142), 미들웨어(144), 또는 상기 운영 체제(142)에서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운영 체제(142)는, 예를 들면, AndroidTM, iOSTM, WindowsTM, SymbianTM, TizenTM, 또는 BadaTM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 중 적어도 일부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제조 시에 전자 장치(101)에 프리로드되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사용 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또는 104), 또는 서버(108))로부터 다운로드되거나 갱신될 수 있다.
운영 체제(142)는 전자 장치(101)의 하나 이상의 시스템 리소스들(예: 프로세스, 메모리, 또는 전원)의 관리(예: 할당 또는 회수)를 제어할 수 있다. 운영 체제(142)는,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전자 장치(101)의 다른 하드웨어 디바이스, 예를 들면,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구동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드라이버 프로그램들을 포함할 수 있다.
미들웨어(144)는 전자 장치(101)의 하나 이상의 리소스들로부터 제공되는 기능 또는 정보가 어플리케이션(146)에 의해 사용될 수 있도록 다양한 기능들을 어플리케이션(146)으로 제공할 수 있다. 미들웨어(144)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 매니저(201), 윈도우 매니저(203), 멀티미디어 매니저(205), 리소스 매니저(207), 파워 매니저(209), 데이터베이스 매니저(211), 패키지 매니저(213), 커넥티비티 매니저(215), 노티피케이션 매니저(217), 로케이션 매니저(219), 그래픽 매니저(221), 시큐리티 매니저(223), 통화 매니저(225), 또는 음성 인식 매니저(227)를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매니저(201)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146)의 생명 주기를 관리할 수 있다. 윈도우 매니저(203)는, 예를 들면, 화면에서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GUI 자원들을 관리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매니저(205)는, 예를 들면, 미디어 파일들의 재생에 필요한 하나 이상의 포맷들을 파악하고, 그 중 선택된 해당하는 포맷에 맞는 코덱을 이용하여 상기 미디어 파일들 중 해당하는 미디어 파일의 인코딩 또는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리소스 매니저(207)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146)의 소스 코드 또는 메모리(130)의 공간을 관리할 수 있다. 파워 매니저(209)는, 예를 들면, 배터리(189)의 용량, 온도 또는 전원을 관리하고, 이 중 해당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101)의 동작에 필요한 관련 정보를 결정 또는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파워 매니저(209)는 전자 장치(101)의 바이오스(BIOS: basic input/output system)(미도시)와 연동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매니저(211)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146)에 의해 사용될 데이터베이스를 생성, 검색, 또는 변경할 수 있다. 패키지 매니저(213)는, 예를 들면, 패키지 파일의 형태로 배포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또는 갱신을 관리할 수 있다. 커넥티비티 매니저(215)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 간의 무선 연결 또는 직접 연결을 관리할 수 있다. 노티피케이션 매니저(217)는, 예를 들면, 지정된 이벤트(예: 착신 통화, 메시지, 또는 알람)의 발생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로케이션 매니저(219)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의 위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그래픽 매니저(221)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제공될 하나 이상의 그래픽 효과들 또는 이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관리할 수 있다.
시큐리티 매니저(223)는, 예를 들면, 시스템 보안 또는 사용자 인증을 제공할 수 있다. 통화(telephony) 매니저(225)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에 의해 제공되는 음성 통화 기능 또는 영상 통화 기능을 관리할 수 있다. 음성 인식 매니저(227)는, 예를 들면,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를 서버(108)로 전송하고, 그 음성 데이터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에서 수행될 기능에 대응하는 명령어(command), 또는 그 음성 데이터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변환된 문자 데이터를 서버(108)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들웨어(244)는 동적으로 기존의 구성요소를 일부 삭제하거나 새로운 구성요소들을 추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들웨어(144)의 적어도 일부는 운영 체제(142)의 일부로 포함되거나, 또는 운영 체제(142)와는 다른 별도의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146)은, 예를 들면, 홈(251), 다이얼러(253), SMS/MMS(255), IM(instant message)(257), 브라우저(259), 카메라(261), 알람(263), 컨택트(265), 음성 인식(267), 이메일(269), 달력(271), 미디어 플레이어(273), 앨범(275), 와치(277), 헬스(279)(예: 운동량 또는 혈당과 같은 생체 정보를 측정), 또는 환경 정보(281)(예: 기압, 습도, 또는 온도 정보 측정)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146)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 사이의 정보 교환을 지원할 수 있는 정보 교환 어플리케이션(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정보 교환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외부 전자 장치로 지정된 정보 (예: 통화, 메시지, 또는 알람)를 전달하도록 설정된 노티피케이션 릴레이 어플리케이션, 또는 외부 전자 장치를 관리하도록 설정된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노티피케이션 릴레이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예: 이메일 어플리케이션(269))에서 발생된 지정된 이벤트(예: 메일 수신)에 대응하는 알림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노티피케이션 릴레이 어플리케이션은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알림 정보를 수신하여 전자 장치(101)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와 통신하는 외부 전자 장치 또는 그 일부 구성 요소(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의 전원(예: 턴-온 또는 턴-오프) 또는 기능(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의 밝기, 해상도, 또는 포커스)을 제어할 수 있다.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외부 전자 장치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삭제, 또는 갱신을 지원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아웃-폴딩 방식의 전자 장치(101)의 예를 도시한다. 도 3의 (a)는, 전자 장치(101)의 펼침 상태를 예시한다. 도 3의 (b), (c)는 전자 장치(101)의 접힘 상태를 예시한다.
도 3의 (a) 내지 (c)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는, 폴더블 하우징(301), 및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4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1)가 펼침 상태일 때의 전자 장치(101)의 전면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40)가 배치된 면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1)가 펼침 상태일 때의 전자 장치(101)의 후면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40)가 배치된 면의 반대 면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1)가 접힘 상태일 때의 전자 장치(101)의 전면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40)의 제1 부분(341)이 배치된 면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1)가 접힘 상태일 때의 전자 장치(101)의 후면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40)의 제2 부분(345)이 배치된 면일 수 있다.
도 3의 (a) 내지 (c)를 참조하면, 폴더블 하우징(301)은, 제1 하우징 부분(310), 제2 하우징 부분(320), 및 폴딩 부분(33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하우징 부분(310)과 제2 하우징 부분(320)은, 폴딩 부분(330)의 폴딩 축(335)을 기준으로 전체적으로 대칭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폴딩 부분(330)은, 제1 하우징 부분(310)과 제2 하우징 부분(320)을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폴딩 부분(330)은, 제1 하우징 부분(310)과 제2 하우징 부분(320)의 피벗(pivot) 움직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폴딩 부분(330)이 펼쳐진 경우, 제1 하우징 부분(310)과 제2 하우징 부분(320)은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하우징 부분(310)과 제2 하우징 부분(320)이 서로 평행한 경우, 전자 장치(101)는 펼침 상태일 수 있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폴딩 부분(330)이 펼쳐진 경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40)의 모든 영역(341, 345)은 사용자와 마주할 수 있다.
도 3의 (b), 및 (c)를 참조하면, 폴딩 부분(330)이 접힌 경우, 제1 하우징 부분(310)의 후면과 제2 하우징 부분(320)의 후면은 서로 마주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하우징 부분(310)과 제2 하우징 부분(320)이 서로 마주한 경우, 전자 장치(101)는 접힘 상태일 수 있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폴딩 부분(330)이 접힌 경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40)의 모든 영역(341, 345) 중 제1 영역(341)은 사용자와 마주하고, 제2 영역(345)은 사용자와 마주하지 않을 수 있다. 도 3의 (c)를 참조하면, 폴딩 부분(330)이 접힌 경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40)의 모든 영역(341, 345) 중 제2 영역(345)은 사용자와 마주하고, 제1 영역(341)은 사용자와 마주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폴딩 부분(330)이 일부 펼쳐지고, 일부 접힌 경우, 제1 하우징 부분(310)과 제2 하우징 부분(320)은 폴딩 축(335)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하우징 부분(310)과 제2 하우징 부분(320)은 폴딩 축(335)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는 경우, 전자 장치(101)는 중간 상태일 수 있다.
도 4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인-폴딩 방식의 전자 장치(101)의 예를 도시한다. 도 4의 (a)는, 전자 장치(101)의 펼침 상태를 예시한다. 도 4의 (b), (c)는 전자 장치(101)의 접힘 상태를 예시한다.
도 4의 (a) 내지 (c)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는, 폴더블 하우징(401), 제1 디스플레이(440), 및 제2 디스플레이(45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1)가 펼침 상태일 때의 전자 장치(101)의 전면은, 제1 디스플레이(440)가 배치된 면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1)가 펼침 상태일 때의 전자 장치(101)의 후면은 제1 디스플레이(440)가 배치된 면의 반대 면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1)가 접힘 상태일 때의 전자 장치(101)의 전면은, 제2 디스플레이(450)가 배치된 면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1)가 접힘 상태일 때의 전자 장치(101)의 후면은 제2 디스플레이(450)가 배치된 면의 반대 면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1)가 접힘 상태일 때의 전자 장치(101)의 전면 및 후면은, 전자 장치(101)가 펼침 상태일 때의 전자 장치(101)의 후면을 대응할 수 있다.
도 4의 (a) 내지 (c)를 참조하면, 폴더블 하우징(401)은, 제1 하우징 부분(410), 제2 하우징 부분(420), 및 폴딩 부분(43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하우징 부분(410)과 제2 하우징 부분(420)은, 폴딩 부분(430)의 폴딩 축(435)을 기준으로 전체적으로 대칭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폴딩 부분(430)은, 제1 하우징 부분(410)과 제2 하우징 부분(420)을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폴딩 부분(430)은, 제1 하우징 부분(410)과 제2 하우징 부분(420)의 피벗 움직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폴딩 부분(430)이 펼쳐진 경우, 제1 하우징 부분(410)과 제2 하우징 부분(420)은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하우징 부분(410)과 제2 하우징 부분(420)이 서로 평행한 경우, 전자 장치(101)는 펼침 상태일 수 있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폴딩 부분(430)이 펼쳐진 경우, 제1 디스플레이(440), 또는 제2 디스플레이(450)는 사용자에게 보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가 펼침 상태일 때의 전자 장치(101)의 전면을 바라볼 경우, 제1 디스플레이(440)가 사용자에게 보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가 펼침 상태일 때의 전자 장치(101)의 후면을 바라볼 경우, 제2 디스플레이(450)가 사용자에게 보일 수 있다.
도 4의 (b), 및 (c)를 참조하면, 폴딩 부분(430)이 접힌 경우, 제1 하우징 부분(410)의 전면과 제2 하우징 부분(420)의 전면은 서로 마주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하우징 부분(410)과 제2 하우징 부분(420)이 서로 마주한 경우, 전자 장치(101)는 접힘 상태일 수 있다.
도 4의 (b) 및 (c)를 참조하면, 폴딩 부분(430)이 접힌 경우, 제1 디스플레이(440)는 접힐 수 있다.
도 4의 (b) 및 (c)를 참조하면, 폴딩 부분(430)이 접힌 경우, 제1 디스플레이(440)의 적어도 일부는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 4의 (b) 및 (c)를 참조하면, 폴딩 부분(430)이 접힌 경우, 제2 디스플레이(450)는 사용자에게 보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가 접힘 상태일 때의 전자 장치(101)의 전면을 바라볼 경우, 제2 디스플레이(440)가 사용자에게 보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폴딩 부분(430)이 일부 펼쳐지고, 일부 접힌 경우, 제1 하우징 부분(410)과 제2 하우징 부분(420)은 폴딩 축(435)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하우징 부분(410)과 제2 하우징 부분(420)은 폴딩 축(435)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는 경우, 전자 장치(101)는 중간 상태일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501)의 블록도이다. 일 실시 예에서, 도 5의 전자 장치(501)는, 도 1의 전자 장치(101)에 대응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501)는, 프로세서(510), 디스플레이(520), 센서 모듈(530), 메모리(540),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 5의 프로세서(510), 디스플레이(520),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DDI; Display Driver Integrated circuit, 525), 센서 모듈(530), 또는 메모리(540)는, 도 1의 프로세서(120),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메모리(130)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전자 장치(501)가 하나의 디스플레이(52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는 예시일 뿐이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501)는, 둘 이상의 디스플레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510)는, 메모리(540)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예: 도 1의 프로그램(140))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520)에 표시할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510)는, 전자 장치(101)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510)는, 미리 지정된 주기마다 상기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미리 지정된 주기마다 생성되는 이미지는 이미지 스트림으로도 지칭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510)는, 전자 장치(101)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할당된 레이어(layer)에 이미지를 드로잉(drawing)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드로잉은, 어플리케이션의 레이어에 할당된 메모리(540)(예: 버퍼)에 이미지(또는, 그래픽 데이터)를 기록(writing)하는 동작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레이어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 영역(예: 레이어 영역 또는 서피스 영역)을 관리하는 정보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레이어는 지정된(specified) 자료구조에 대응하는 객체 또는 인스턴스로서, 어플리케이션 요청에 의해 생성되고 삭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레이어는 어플리케이션이 이미지(또는, 그래픽 데이터)를 드로잉할 그래픽 버퍼의 주소, 프레임 영역(프레임 버퍼의 전체 영역에서 레이어가 차지하는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레이어는, 서피스(surface), 윈도우(window)로도 지칭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510)는, 임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레이어, 상태 바(status bar)에 대한 레이어, 런처(launcher) 레이어, 월페이퍼(wallpaper) 레이어, 노티피케이션(notification)에 대한 레이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합성하여, 디스플레이(520)에 표시할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510)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DDI, 525)에게 생성된 이미지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DDI, 525)는,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DDI, 525)와 디스플레이(520)를 작동적으로 연결하거나 결합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520)에게 상기 이미지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DDI, 525)는, 수신된 이미지를 각 인터페이스의 프로토콜에 따라 패키징하고, 패키징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520)에게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DP(Display Port),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510)는, 전자 장치(501)의 상태(예: 접힘 상태, 또는 펼침 상태)에 상응하는 디스플레이(520)의 표시 영역에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520)의 표시 영역은 디스플레이(520)의 전체 영역 중 활성화된 영역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520)의 전체 영역은, 도 3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40)의 영역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520)의 전체 영역은, 도 4의 제1 디스플레이(440)의 영역, 및 제2 디스플레이(450)의 영역에 대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501)가 아웃-폴딩 방식인 경우, 펼침 상태일 때 디스플레이(520)의 표시 영역은 디스플레이(520)의 전체 영역(예: 도 3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40)의 영역)에 대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501)가 아웃-폴딩 방식인 경우, 접힘 상태일 때 디스플레이(520)의 표시 영역은 디스플레이(520)의 일부 영역(예: 도 3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340)의 제1 영역(341), 또는 제2 영역(345))에 대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501)가 인-폴딩 방식인 경우, 펼침 상태일 때 디스플레이(520)의 표시 영역은 디스플레이(520) 중 제1 디스플레이(예: 도 4의 제1 디스플레이(440))의 영역에 대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501)가 인-폴딩 방식인 경우, 접힘 상태일 때 디스플레이(520)의 표시 영역은 디스플레이(520) 중 제2 디스플레이(예: 도 4의 제2 디스플레이(450))의 영역에 대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510)는,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예: 도 1의 어플리케이션(146))의 실행 결과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520)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510)는, 전자 장치(501)의 상태에 상응하는 디스플레이(520)의 제1 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제1 해상도의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1 해상도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520)의 제1 표시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표시 영역은, 전자 장치(101)가 제1 상태(예: 접힘 상태)인 경우에 미리 지정된 표시 영역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해상도는 제1 표시 영역의 해상도에 대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 나타내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520)에 표시하는 것은,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520)에 표시하는 것으로 지칭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510)는, 제1 해상도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520)의 제1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중 전자 장치(501)의 상태 변경을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510)는, 센서 모듈(530)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501)의 상태 변경을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510)는, 센서 모듈(530)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501)의 접힘 상태에서 펼침 상태로의 제1 상태 변경을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510)는, 센서 모듈(530)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501)의 펼침 상태에서 접힘 상태로의 두개 이상의 센서를 활용하여 상태변경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센서를 통해 터치 동작(접힘 또는 펼침을 하기 위한 그립)발생이 후, 각속도 센서를 통해 접힘 및 펼침 진행을 확인하여 완전한 접힘 또는 펼침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510)는, 전자 장치(501)의 상태 변경이 식별되면, 전자 장치(501)의 변경된 상태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520)의 새로운 표시 영역을 활성화(예: 턴-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510)는, 전자 장치(501)의 상태 변경이 식별되면, 디스플레이(520)의 제1 표시 영역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501)의 변경된 상태에 대응하는 새로운 표시 영역은 제2 표시 영역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510)는, 전자 장치(501)의 상태 변경이 식별되면, 디스플레이(520)의 제1 표시 영역에서 표시 중인 어플리케이션(예: 도 1의 어플리케이션(146))의 연속성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연속성 정보는, 전자 장치(501)의 상태 변경 시 표시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연속성 정보는, 전자 장치(501)의 제1 상태 변경 시 표시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여부, 및 전자 장치(501)의 제2 상태 변경 시 표시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표시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임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제1 상태 변경 시의 연속성과 제2 상태 변경 시의 연속성은 서로 동일하거나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제1 상태 변경 시의 연속성과 제2 상태 변경 시의 연속성은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제1 상태 변경 시의 연속성과 제2 상태 변경 시의 연속성은 해제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제1 상태 변경 시의 연속성은 설정되어 있고, 제2 상태 변경 시의 연속성은 해제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501)의 접힘 상태에서 표시 중인 임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임의 상태 변경(예: 제1 상태 변경) 시의 연속성이 설정된 경우, 전자 장치(501)가 제1 상태(예: 접힘 상태)에서 제2 상태(예: 펼침 상태)로 변경되면 임의 어플리케이션은 제2 상태(예: 펼침 상태)에서도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501)의 접힘 상태에서 표시 중인 임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임의 상태 변경(예: 제1 상태 변경) 시의 연속성이 해제된 경우, 전자 장치(501)가 제1 상태(예: 접힘 상태)에서 제2 상태(예: 펼침 상태)로 변경되면 임의 어플리케이션의 표시는 중단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501)의 접힘 상태에서 표시 중인 모든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해 임의 상태 변경(예: 제1 상태 변경) 시의 연속성이 해제된 경우, 전자 장치(501)가 제1 상태(예: 접힘 상태)에서 제2 상태(예: 펼침 상태)로 변경되면 디스플레이(520)는 모두 비활성화(예: 턴-오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501)의 접힘 상태에서 표시 중인 모든 어플리케이션들에 대해 임의 상태 변경(예: 제1 상태 변경) 시의 연속성이 해제된 경우, 전자 장치(501)가 제1 상태(예: 접힘 상태)에서 제2 상태(예: 펼침 상태)로 변경되면 디스플레이(520)는 미리 지정된 스크린(예: 홈 스크린, 락 스크린)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510)는, 디스플레이(520)의 제1 표시 영역에서 표시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연속성이 설정된 경우,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예: 도 1의 어플리케이션(146))의 실행 결과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새롭게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예: 도 1의 어플리케이션(146))의 실행 결과를 나타내는 새로운 이미지는, 디스플레이(520)의 제2 표시 영역의 해상도에 대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510)는, 임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레이어, 상태 바에 대한 레이어, 런처 레이어, 월페이퍼 레이어, 노티피케이션에 대한 레이어, 또는 이들의 조합을 새롭게 드로잉함으로써, 이미지를 새롭게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510)는, 디스플레이(520)의 제2 표시 영역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예: 도 1의 어플리케이션(146))의 실행 결과를 나타내는 새로운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510)는, 전자 장치(501)의 상태 변경이 식별되면, 제1 표시 영역에서 표시된 기존의 이미지를 스냅샷하여 메모리(540)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510)는, 전자 장치(501)의 상태 변경이 식별되면, 제1 표시 영역에서 표시된 기존의 이미지의 스냅샷 이미지를 디스플레이(520)의 제2 표시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510)는, 새로운 이미지가 생성되기 전까지 스냅샷 이미지를 디스플레이(520)의 제2 표시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510)는 스냅샷된 이미지를 제2 표시 영역의 해상도에 기반하여 이미지 처리(예: 스케일링(scaling), 회전(rotation), 블러(Blur), 또는 이들의 조합)한 후 이미지 처리된 스냅샷 이미지를 디스플레이(520)의 제2 표시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510)는, 새로운 이미지가 생성되면, 기존의 이미지 대신에 새로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520)의 제2 표시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510)는, 새로운 이미지를 이미지 처리하고, 이미지 처리된 새로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520)의 제2 표시 영역에 미리 지정된 시간 동안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510)는, 미리 지정된 시간 동안 이미지 처리된 새로운 이미지를 표시한 후 이미지 처리가 적용되지 않은 새로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520)의 제2 표시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501)의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에만 스냅샷 이미지를 새로운 이미지가 생성되기 전까지 표시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는 예시일 뿐이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520)의 표시 영역이 변화되는 경우에도 기존의 이미지에 대한 스냅샷 이미지를 새로운 이미지가 생성되기 전까지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520)의 표시 영역이 변화는, 활성화된 디스플레이의 변경(예: 도 4의 제1 디스플레이(440) 및 제2 디스플레이(450) 간의 변경), 디스플레이의 전체 영역 중 활성화된 영역의 변경, 해상도의 변경, 또는 이들의 조합에 기초한 변화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의 활성화된 영역의 변경은, 디스플레이의 전체 영역에서 활성화된 영역의 크기, 위치, 또는 이들의 조합이 변경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의 프로그램(예: 도 1의 프로그램(140))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프로세서(510)는, 윈도우 매니저(610), 상태 관리 모듈(620), 스냅샷 이미지 처리 모듈(630), 어플리케이션(650), 윈도우 합성기(Window Compositor, 660),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컨트롤러(640)는, 도 5의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DDI, 525)에 대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510)의 구성들은, 하드웨어적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 6의 센서 모듈(530), 및 디스플레이(520)는, 도 5의 센서 모듈(530), 및 디스플레이(520)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윈도우 매니저(610)는, 센서 모듈(530)을 통해 전자 장치(501)의 상태 변경이 식별되면, 전자 장치(501)의 변경된 상태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의 정보를 어플리케이션(650)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윈도우 매니저(610)는, 전자 장치(501)의 상태 변경이 식별되면,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들 중 연속성이 설정된 어플리케이션(650)에게 전자 장치(501)의 변경된 상태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501)의 변경 전의 상태에 따른 디스플레이(520)의 제1 표시 영역으로 지칭하고, 전자 장치(501)의 변경 후의 상태에 따른 디스플레이(520)의 제2 표시 영역으로 지칭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표시 영역의 정보는, 제2 표시 영역의 해상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태 관리 모듈(620)은, 센서 모듈(530)을 통해 전자 장치(501)의 상태 변경이 식별되면, 디스플레이(520)의 제2 표시 영역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태 관리 모듈(620)은, 디스플레이 컨트롤러(640)를 통해 디스플레이(520)의 제2 표시 영역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501)의 상태가 접힘 상태에서 펼침 상태로 변경된 경우, 상태 관리 모듈(620)은, 펼침 상태에 상응하는 디스플레이(520)의 표시 영역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501)의 상태가 펼침 상태에서 접힘 상태로 변경된 경우, 상태 관리 모듈(620)은, 접힘 상태에 상응하는 디스플레이(520)의 표시 영역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아웃-폴딩 방식의 경우, 접힘 상태에 상응하는 디스플레이(520)의 표시 영역은, 도 3의 디스플레이(340)의 제1 영역(341)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인-폴딩 방식의 경우, 접힘 상태에 상응하는 디스플레이(520)의 표시 영역은, 도 4의 제2 디스플레이(440)의 영역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아웃-폴딩 방식의 경우, 펼침 상태에 상응하는 디스플레이(520)의 표시 영역은, 도 3의 디스플레이(340)의 전체 영역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인-폴딩 방식의 경우, 펼침 상태에 상응하는 디스플레이(520)의 표시 영역은, 도 4의 제1 디스플레이(430)의 영역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냅샷 이미지 처리 모듈(630)은, 센서 모듈(530)을 통해 전자 장치(501)의 상태 변경이 식별되면, 디스플레이(520)의 제1 표시 영역에 표시된 이미지를 스냅샷하여 메모리(예: 도 5의 메모리(540))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냅샷 이미지 처리 모듈(630)은, 디스플레이 컨트롤러(640)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를 후킹(hooking)하여 메모리(예: 도 5의 메모리(540))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냅샷 이미지 처리 모듈(630)은, 스냅샷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520)의 제2 표시 영역에 기반하여 처리(예: 스케일링(scaling), 회전(rotation), 블러(Blur), 또는 이들의 조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냅샷 이미지 처리 모듈(630)은, 스냅샷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520)의 제2 표시 영역의 해상도에 대응하도록 스냅샷된 이미지를 스케일링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냅샷 이미지 처리 모듈(630)은, 스냅샷된 이미지의 해상도가 디스플레이(520)의 제2 표시 영역의 해상도보다 낮을 경우, 스냅샷된 이미지의 해상도를 업-스케일링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냅샷 이미지 처리 모듈(630)은, 스냅샷된 이미지의 해상도가 디스플레이(520)의 제2 표시 영역의 해상도보다 높을 경우, 스냅샷된 이미지의 해상도를 다운-스케일링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냅샷 이미지 처리 모듈(630)은, 스냅샷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520)의 제2 표시 영역의 화면비(aspect ratio)에 대응하도록 스냅샷된 이미지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냅샷 이미지 처리 모듈(630)은, 스냅샷된 이미지의 장 축 및 단 축이 디스플레이(520)의 제2 표시 영역의 장 축 및 단 축에 각각 대응하도록 스냅샷된 이미지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냅샷 이미지 처리 모듈(630)은, 스냅샷된 이미지가 전자 장치(501)의 상태 변경에 따른 디스플레이(520)의 회전 방향, 및/또는 회전 정도에 대응하도록 스냅샷된 이미지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스냅샷 이미지 처리 모듈(630)은, 스케일링, 및/또는 회전된 스냅샷된 이미지를 블러(또는, 스무딩(smoothing))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컨트롤러(640)는, 디스플레이(520)의 제2 표시 영역에 기반하여 처리된 스냅샷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520)의 제2 표시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컨트롤러(640)는, 새로운 이미지가 생성되기 전까지 스냅샷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520)의 제2 표시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어플리케이션(650)은, 디스플레이(520)의 제2 표시 영역의 해상도에 기반한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를 드로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어플리케이션(650)은 드로잉 라이브러리(예: 뷰)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520)의 제2 표시 영역의 해상도에 기반한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를 드로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윈도우 합성기(660)는, 어플리케이션(650)의 레이어들 결합하여, 새로운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컨트롤러(640)는, 윈도우 합성기(660)로부터의 새로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520)의 제2 표시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컨트롤러(640)는, 새로운 이미지에 미리 지정된 이미지 효과(예: 블러)가 적용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520)의 제2 표시 영역에 표시한 후 미리 지정된 이미지 효과가 적용되지 않은 새로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520)의 제2 표시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의 구조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의 구조는, 커널, 라이브러리, 프레임워크, 및 어플리케이션 계층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하드웨어 계층은, 센서 모듈(530), 디스플레이(520),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커널 계층은, 상태 관리 모듈(620), 스냅샷 이미지 처리 모듈(630), 디스플레이 컨트롤러(640),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라이브러리 계층은, 서피스 플링거(76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프레임워크 계층은, 윈도우 매니저(610), 뷰(761),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 계층은, 어플리케이션(65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윈도우 합성기(660)의 일부 기능은 디스플레이 컨트롤러(64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윈도우 합성기(660)의 일부 기능은 서피스 플링거(765)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 7의 디스플레이(520), 센서 모듈(530), 윈도우 매니저(610), 상태 관리 모듈(620), 스냅샷 이미지 처리 모듈(630), 어플리케이션(650), 및 디스플레이 컨트롤러(640)는, 도 6의 디스플레이(520), 센서 모듈(530), 윈도우 매니저(610), 상태 관리 모듈(620), 스냅샷 이미지 처리 모듈(630), 어플리케이션(650), 및 디스플레이 컨트롤러(640)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뷰(761)는, 디스플레이(520)의 제2 표시 영역의 해상도에 기반하여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를 드로잉하기 위한 프로그램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어플리케이션(650)은, 뷰(761)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520)의 제2 표시 영역의 해상도에 기반한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를 드로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피스 플링거(SurfaceFlinger, 765)는, 복수의 레이어들을 합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피스 플링거(765)는 합성된 복수의 레이어들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컨트롤러(64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의 디스플레이 컨트롤러(640)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의 디스플레이 컨트롤러(640)는, 적어도 하나의 플레인들(821, 823), 적어도 하나의 스케일러들(821, 823), 블렌더(840), 인터페이스(850), 라이트백 플레인(825),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플레인들(821, 823)은, 적어도 하나의 플레인들(821, 823) 각각에 대응하는 그래픽 버퍼들(811, 813)에 기록되어 있는 이미지를 리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스케일러들(821, 823)은, 적어도 하나의 플레인들(821, 823)에 리드된 이미지 데이터들에 대한 그래픽 처리(예: 스케일링)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블렌더(840)는 적어도 하나의 스케일러들(821, 823)에서 그래픽 처리된 이미지 데이터들을 합성하여, 최종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인터페이스(850)는, 인터페이스(850)의 프로토콜에 따라 최종 이미지를 패키징하고, 패키징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520)에게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MIPI, HDMI, DP,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라이트백 플레인(825)은, 블렌더(840)에 기록되어 있는, 최종 이미지를 후킹(hooking)하여, 메모리(540)의 라이트백 버퍼(815)에 기록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동작 910에서,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510))는, 전자 장치(101)의 상태 변경을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510)는, 센서 모듈(530)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501)의 상태 변경을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510)는, 센서 모듈(530)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501)의 접힘 상태에서 펼침 상태로의 제1 상태 변경을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510)는, 센서 모듈(530)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501)의 펼침 상태에서 접힘 상태로의 제2 상태 변경을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510)는, 전자 장치(501)의 상태 변경이 식별되면, 전자 장치(501)의 변경된 상태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520)의 새로운 표시 영역을 활성화(예: 턴-온)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동작 920에서, 프로세서(510)는, 어플리케이션이 연속성이 설정되어 있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510)는, 전자 장치(501)의 상태 변경이 식별되면, 디스플레이(520)의 제1 표시 영역에서 표시 중인 어플리케이션(예: 도 1의 어플리케이션(146))의 연속성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510)는, 제1 상태 변경이 식별되면, 제1 표시 영역에서 표시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제1 상태 변경에 따른 연속성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510)는, 제2 상태 변경이 식별되면, 제1 표시 영역에서 표시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제2 상태 변경에 따른 연속성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프로세서(510)는, 동작 930에 따른 동작과, 동작 940에 따른 동작을 병렬 처리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동작 930에서, 프로세서(510)는, 새로운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510)는, 디스플레이(520)의 제1 표시 영역에서 표시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연속성이 설정된 경우,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결과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새롭게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예: 도 1의 어플리케이션(146))의 실행 결과를 나타내는 새로운 이미지는, 디스플레이(520)의 제2 표시 영역의 해상도에 대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510)는, 임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레이어, 상태 바에 대한 레이어, 런처 레이어, 월페이퍼 레이어, 노티피케이션에 대한 레이어, 또는 이들의 조합을 새롭게 드로잉함으로써, 이미지를 새롭게 생성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동작 940에서, 프로세서(510)는, 기존의 이미지를 스냅샷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510)는, 전자 장치(501)의 상태 변경이 식별되면, 제1 표시 영역에서 표시된 기존의 이미지를 스냅샷하여 메모리(540)에 저장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동작 950에서, 프로세서(510)는, 스냅샷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510)는, 새로운 이미지가 생성되기 전까지 스냅샷 이미지를 디스플레이(520)의 제2 표시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동작 960에서, 프로세서(510)는, 새로운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510)는, 새로운 이미지가 생성되면, 기존의 이미지 대신에 새로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520)의 제2 표시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의 스냅샷 이미지를 표시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의 동작들은, 도 9의 동작들에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 10의 동작들은, 도 9의 동작 940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 10의 동작들은, 도 9의 동작 960 이전에 수행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동작 945에서,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510))는, 스냅샷된 이미지를 이미지 처리(예: 스케일링(scaling), 회전(rotation), 블러(Blur), 또는 이들의 조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510)는, 디스플레이(520)의 제2 표시 영역의 해상도에 기반하여, 스냅샷된 이미지를 이미지 처리(예: 스케일링(scaling), 회전(rotation), 블러(Blur), 또는 이들의 조합)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동작 950에서, 프로세서(510)는, 이미지 처리된 스냅샷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510)는, 이미지 처리된 스냅샷 이미지를 디스플레이(520)의 제2 표시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의 새로운 이미지를 처리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의 동작들은, 도 9의 동작들에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 11의 동작들은, 도 9의 동작 930, 및 950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 11의 동작들은, 도 9의 동작 960 이전에 수행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동작 951에서,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510))는, 새로운 이미지에 대해 이미지 처리(예: 블러(Blur))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동작 955에서, 프로세서(510) 이미지 처리된 새로운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510)는, 이미지 처리된 새로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520)의 제2 표시 영역에 미리 지정된 시간 동안 표시할 수 있다.
이후 동작 960에서, 프로세서(510)는, 이미지 처리가 적용되지 않은 새로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520)의 제2 표시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전자 장치(501) 및 이의 동작 방법은, 디스플레이(520)의 접힘 상태와 펼침 상태 간의 상태 변경 시, 기존의 이미지를 스냅샷하고, 스냅샷 이미지를 디스플레이(520)의 새로운 표시 영역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지연 경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는 상기 전자 장치의 제1 면에 배치되는 제1 디스플레이, 상기 전자 장치의 제2 면에 배치되고, 상기 전자 장치의 폴딩 상태에 따라 적어도 일부가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는(invisible to a user) 제2 디스플레이, 명령어들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및 상기 메모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중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제1 이미지를 표시 하는 중 상기 전자 장치의 폴딩 상태의 변화를 감지하고, 상기 폴딩 상태의 변화가 감지되면,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중 다른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제2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이미지를 생성하는 동안, 상기 제1 이미지에 대한 스냅샷 이미지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스냅샷 이미지를, 상기 다른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제2 이미지가 생성되면, 상기 스냅샷 이미지 대신에 상기 제2 이미지를, 상기 다른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하여, 상기 폴딩 상태의 변화가 감지되면,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연속성에 대한 설정을 식별하고, 상기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연속성에 대한 설정이 식별되면, 상기 다른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제2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하여, 상기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연속성에 대한 설정이 식별되지 않으면, 미리 지정된 스크린을 상기 다른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하여, 상기 폴딩 상태의 변화에 대응하는 상기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연속성에 대한 설정이 식별되면, 상기 다른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제2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하여, 상기 스냅샷 이미지에 대해 이미지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이미지 처리된 스냅샷 이미지를, 상기 다른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이미지 처리는, 스케일링, 회전, 또는 블러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하여, 상기 제2 이미지에 대해 이미지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이미지 처리된 제2 이미지를, 상기 다른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사전 설정된 시간 동안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또는 이들의 조합의 디스플레이에게 표시할 이미지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는, 상기 디스플레이 컨트롤러에 임시 저장되어 있는 상기 데이터를 후킹함으로써, 상기 제1 이미지에 대한 스냅샷 이미지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라이트백 플레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하여, 상기 폴딩 상태의 변화가 감지되면, 상기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턴-오프하고, 상기 다른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턴-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의 해상도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의 해상도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는 상기 전자 장치의 폴딩 상태에 따라 사용자와 마주하는 영역(area facing to a user)이 변경되는 디스플레이, 명령어들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메모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1 영역에 제1 이미지를 표시하는 중 상기 전자 장치의 폴딩 상태의 변화를 감지하고, 상기 폴딩 상태의 변화가 감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변화된 폴딩 상태에 상응하는 제2 영역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제2 영역에 표시할 제2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이미지를 생성하는 동안, 상기 제1 이미지에 대한 스냅샷 이미지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스냅샷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기 식별된 제2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제2 이미지가 생성되면, 상기 스냅샷 이미지 대신에 상기 제2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기 식별된 제2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하여, 상기 폴딩 상태의 변화가 감지되면,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연속성에 대한 설정을 식별하고, 상기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연속성에 대한 설정이 식별되면, 상기 식별된 제2 영역에 표시할 제2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하여, 상기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연속성에 대한 설정이 식별되지 않으면, 미리 지정된 스크린을 상기 식별된 제2 영역에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하여, 상기 폴딩 상태의 변화에 대응하는 상기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연속성에 대한 설정이 식별되면, 상기 식별된 제2 영역에 표시할 상기 제2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하여, 상기 스냅샷 이미지에 대해 이미지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이미지 처리된 스냅샷 이미지를, 상기 식별된 제2 영역에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이미지 처리는, 스케일링, 회전, 또는 블러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하여, 상기 제2 이미지에 대해 이미지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이미지 처리된 제2 이미지를, 상기 식별된 제2 영역에 사전 설정된 시간 동안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에게 표시할 이미지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는, 상기 디스플레이 컨트롤러에 임시 저장되어 있는 상기 데이터를 후킹함으로써, 상기 제1 이미지에 대한 스냅샷 이미지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라이트백 플레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하여, 상기 폴딩 상태의 변화가 감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의 영역들 중 상기 식별된 제2 영역을 턴-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영역의 해상도와 상기 제2 영역의 해상도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implemented)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device)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된다(configured for execution).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로 하여금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 소프트웨어)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flash) 메모리를 포함하는 불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롬(ROM: read only memory), 전기적 삭제가능 프로그램가능 롬(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magnetic disc storage device), 컴팩트 디스크 롬(CD-ROM: compact disc-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VDs: digital versatile discs) 또는 다른 형태의 광학 저장 장치, 마그네틱 카세트(magnetic cassette)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조합으로 구성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 메모리는 다수 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LAN(local area network), WLAN(wide LAN), 또는 SAN(storage area network)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access)할 수 있는 부착 가능한(attachable) 저장 장치(storage device)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장치는 외부 포트를 통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상의 별도의 저장장치가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에서, 개시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개시가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제1 면에 배치되는 제1 디스플레이;
    상기 전자 장치의 제2 면에 배치되고, 상기 전자 장치의 폴딩 상태에 따라 적어도 일부가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는(invisible to a user) 제2 디스플레이;
    명령어들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및 상기 메모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중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제1 이미지를 표시하는 중 상기 전자 장치의 폴딩 상태의 변화를 감지하고,
    상기 폴딩 상태의 변화가 감지되면, 상기 제1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다른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제2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이미지를 생성하는 동안,
    상기 제1 이미지에 대한 스냅샷 이미지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스냅샷 이미지를, 상기 다른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제2 이미지가 생성되면, 상기 스냅샷 이미지 대신에 상기 제2 이미지를, 상기 다른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하여,
    상기 폴딩 상태의 변화가 감지되면,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연속성에 대한 설정을 식별하고,
    상기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연속성에 대한 설정이 식별되면, 상기 다른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제2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하여,
    상기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연속성에 대한 설정이 식별되지 않으면, 미리 지정된 스크린을 상기 다른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하여,
    상기 폴딩 상태의 변화에 대응하는 상기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연속성에 대한 설정이 식별되면, 상기 다른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제2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하여,
    상기 스냅샷 이미지에 대해 이미지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이미지 처리된 스냅샷 이미지를, 상기 다른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처리는, 스케일링, 회전, 또는 블러 중 적어도 하나인 전자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하여,
    상기 제2 이미지에 대해 이미지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이미지 처리된 제2 이미지를, 상기 다른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사전 설정된 시간 동안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또는 이들의 조합의 디스플레이에게 표시할 이미지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는,
    상기 디스플레이 컨트롤러에 임시 저장되어 있는 상기 데이터를 후킹함으로써, 상기 제1 이미지에 대한 스냅샷 이미지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라이트백 플레인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하여,
    상기 폴딩 상태의 변화가 감지되면, 상기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턴-오프하고, 상기 다른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턴-온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의 해상도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의 해상도는 서로 다른 전자 장치.
  1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폴딩 상태에 따라 사용자와 마주하는 영역(area facing to a user)이 변경되는 디스플레이;
    명령어들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메모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1 영역에 제1 이미지를 표시하는 중 상기 전자 장치의 폴딩 상태의 변화를 감지하고,
    상기 폴딩 상태의 변화가 감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변화된 폴딩 상태에 상응하는 제2 영역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제2 영역에 표시할 제2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이미지를 생성하는 동안,
    상기 제1 이미지에 대한 스냅샷 이미지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스냅샷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기 식별된 제2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제2 이미지가 생성되면, 상기 스냅샷 이미지 대신에 상기 제2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기 식별된 제2 영역에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하여,
    상기 폴딩 상태의 변화가 감지되면,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연속성에 대한 설정을 식별하고,
    상기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연속성에 대한 설정이 식별되면, 상기 식별된 제2 영역에 표시할 제2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하여,
    상기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연속성에 대한 설정이 식별되지 않으면, 미리 지정된 스크린을 상기 식별된 제2 영역에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장치.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하여,
    상기 폴딩 상태의 변화에 대응하는 상기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연속성에 대한 설정이 식별되면, 상기 식별된 제2 영역에 표시할 상기 제2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장치.
  15.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하여,
    상기 스냅샷 이미지에 대해 이미지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이미지 처리된 스냅샷 이미지를, 상기 식별된 제2 영역에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처리는, 스케일링, 회전, 또는 블러 중 적어도 하나인 전자 장치.
  17.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하여,
    상기 제2 이미지에 대해 이미지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이미지 처리된 제2 이미지를, 상기 식별된 제2 영역에 사전 설정된 시간 동안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장치.
  18.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에게 표시할 이미지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는,
    상기 디스플레이 컨트롤러에 임시 저장되어 있는 상기 데이터를 후킹함으로써, 상기 제1 이미지에 대한 스냅샷 이미지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라이트백 플레인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19.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하여,
    상기 폴딩 상태의 변화가 감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의 영역들 중 상기 식별된 제2 영역을 턴-온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장치.
  20.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해상도와 상기 제2 영역의 해상도는 서로 다른 전자 장치.
KR1020190117813A 2019-09-25 2019-09-25 끊김 없이 이미지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10035976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7813A KR20210035976A (ko) 2019-09-25 2019-09-25 끊김 없이 이미지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N202080067839.0A CN114514501A (zh) 2019-09-25 2020-09-22 用于无缝地显示图像的电子装置及其操作方法
EP20869094.1A EP4024195A4 (en) 2019-09-25 2020-09-22 ELECTRONIC DEVICE FOR CONTINUOUS IMAGE DISPLAY AND METHOD OF OPERATION
PCT/KR2020/012785 WO2021060806A1 (ko) 2019-09-25 2020-09-22 끊김 없이 이미지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7/703,347 US20220214850A1 (en) 2019-09-25 2022-03-24 Electronic device for seamlessly displaying images,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7813A KR20210035976A (ko) 2019-09-25 2019-09-25 끊김 없이 이미지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5976A true KR20210035976A (ko) 2021-04-02

Family

ID=75165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7813A KR20210035976A (ko) 2019-09-25 2019-09-25 끊김 없이 이미지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214850A1 (ko)
EP (1) EP4024195A4 (ko)
KR (1) KR20210035976A (ko)
CN (1) CN114514501A (ko)
WO (1) WO2021060806A1 (ko)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1031B1 (ko) * 2011-07-05 2017-10-30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컨텐츠 표시 장치 및 그 장치에서 채널 변경 지연 시간 중 정보 제공 방법
GB2504944A (en) * 2012-08-13 2014-02-19 Plastic Logic Ltd Wrapable flexible display for attaching to a smartphone etc. with control of display contents following display form.
KR102081932B1 (ko) * 2013-03-21 2020-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9891663B2 (en) * 2014-02-10 2018-02-13 Samsung El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US10379573B2 (en) * 2014-02-10 2019-08-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KR102016127B1 (ko) * 2014-02-10 2019-10-21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CN111443773B (zh) * 2014-05-23 2024-04-26 三星电子株式会社 可折叠装置及其控制方法
KR102171450B1 (ko) * 2014-08-18 2020-10-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10255021B2 (en) * 2015-05-28 2019-04-09 Qualcomm Incorporated Low latency screen mirroring
KR20170015622A (ko) * 2015-07-29 2017-02-09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480462B1 (ko) * 2016-02-05 2022-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디스플레이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487389B1 (ko) * 2018-01-30 2023-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제스쳐를 이용하여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폴더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200124402A (ko) * 2019-04-24 2020-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514501A (zh) 2022-05-17
WO2021060806A1 (ko) 2021-04-01
EP4024195A1 (en) 2022-07-06
US20220214850A1 (en) 2022-07-07
EP4024195A4 (en) 2022-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67567A (ko) 전자 장치의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20200043578A (ko) 폴딩 각도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KR102537922B1 (ko) 디스플레이 사이의 각도를 측정하는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US20220122514A1 (en) Foldable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for same
KR20200112378A (ko) 두 개의 디스플레이 면을 갖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디스플레이 운영 방법
US11076037B2 (en) Electronic device for synchronizing modification among screen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200047162A (ko) 분할된 화면 상에서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456456B1 (ko)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190069877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입력 제어 방법
US20230343305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high speed screen of electronic device
KR20200122106A (ko) 화면의 빠른 전환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20200045241A (ko) 폴더블 전자 장치 및 그 콘텐츠의 다단 표시 방법
CN112347048A (zh) 电子装置及其共享数据的方法
US20150067398A1 (en) Method,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for interworking with external terminal
US20190065035A1 (en) Method for changing the size of the content displayed on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11226735B2 (en) Electronic device for transmitting messag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KR20210033784A (ko) 사용자 입력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변경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200058157A (ko) Ivi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200111519A (ko) 변형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 내의 화면의 표시를 위한 전자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102524517B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1567532B2 (en) Method for providing screen using foldable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same
KR20200040554A (ko) 전자 장치, 외부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를 이용한 외부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KR20210035976A (ko) 끊김 없이 이미지를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566143B1 (ko) 이벤트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672510B1 (ko) 스크린들 간 수정 사항을 동기화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