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6524A - 재설정 수단을 갖는 안전 브레이크 - Google Patents

재설정 수단을 갖는 안전 브레이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6524A
KR20140106524A KR1020147014425A KR20147014425A KR20140106524A KR 20140106524 A KR20140106524 A KR 20140106524A KR 1020147014425 A KR1020147014425 A KR 1020147014425A KR 20147014425 A KR20147014425 A KR 20147014425A KR 20140106524 A KR20140106524 A KR 201401065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safety
elevator
controller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4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7945B1 (ko
Inventor
파룩 오스만바직
니꼴라 그레모
미하엘 가이쓰휘슬러
Original Assignee
인벤티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벤티오 아게 filed Critical 인벤티오 아게
Publication of KR20140106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6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7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7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Abstract

이 승강기 설비에서, 승강기 케이지 (2) 는 가이드 레일들 (6) 을 따라서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되고, 리프트 케이지 (2) 는 바람직하게는 2 개의 안전 브레이크들 (20) 을 갖는 브레이크 시스템을 구비한다. 안전 디바이스는 임계적 또는 비-임계적 이벤트들로부터 안전 디바이스를 트리거할 수 있는 제어 디바이스 (10, 11) 에 의해서 활성화된다. 제어기 디바이스들은, 비-임계적인 것으로 평가된 이벤트가 안전 브레이크를 트리거링하기 위한 이유로서 표시될 때 안전 브레이크 (20) 의 자동 재설정 (A) 을 위한 기능을 포함한다. 안전 브레이크 (20) 의 재설정은 리프트 케이지 (2) 의 미리-결정된 재설정 단계들 (R) 의 실시를 통해서 방생된다.

Description

재설정 수단을 갖는 안전 브레이크{SAFETY BRAKE WITH RESETTING MEANS}
본 발명은, 제동을 위해서 해제되는, 승강기 설비의 주행체의 안전 브레이크를 재설정하기 위한 방법, 및 승강기 설비의 안전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승강기 설비는 건물에 설치된다. 이것은, 실질적으로 카운터웨이트 또는 제 2 케이지와 지지 수단에 의해 연결되는 케이지로 구성된다. 케이지는, 선택적으로 지지 수단에 또는 직접적으로 케이지 또는 카운터웨이트에 작용하는 구동부에 의해서, 실질적으로 수직인 가이드 레일들을 따라서 이동됩니다. 승강기 설비는 개별 또는 몇개의 층들에 걸쳐서, 건물 내에서 사람들과 물건을 이송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승강기 설비는, 구동부 또는 지지 수단의 고장 시에 승강기 케이지를 보호하기 위해서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이 목적을 위해서, 일반적으로, 필요한 경우에 가이드 레일들에서 승강기 케이지를 제동할 수 있는 안전 브레이크들이 이용된다.
활성화 된 상태에서 대기 설정 (readiness setting) 에 안전 브레이크를 유지할 수 있고, 비활성 상태에서 제동을 위한 안전 브레이크를 해제시키는 전기기계식 유지 장치를 갖는 안전 브레이크들이 알려져 있다. EP 1930282 는 이러한 종류의 안전 브레이크를 개시한다. 이 안전 브레이크를 재설정하기 위해서, 전기기계적 유지 디바이스가 공기 갭을 극복하기 위해 공기역학적 힘을 발휘해야합니다. 재설정을 위해서, 공기 갭의 극복은 적합하게 치수 지어진 전기기계적 디바이스에 유용하다. 다른 안전 브레이크들은 전자기계적 트리거 디바이스들을 구비한다. 이와 관련하여, 안전 브레이크는 대기 설정에서, 예를 들어 기계적으로 잠긴 상태로 유지되고, 제동을 위한 활성화 신호에 의해서 해제된다. 안전 브레이크는 리프트 케이지 또는 주행체의 후속 운동에 의해서 제동 위치에 자동적으로 설정된다. EP 1733992 는, 예를 들어 이러한 종류의 안전 브레이크를 보여준다. 이 장치는 안전한 에너지 공급을 필요로하고, 이것은 에너지 배전반의 더 긴 차단의 경우에도 안전한 브레이크의 신뢰가능한 트리거링 (triggering) 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더 장기간의 에너지 차단의 경우에, 또는 안전 문제들 때문이 아닌 다른 스위치 오프 후에도 안전 브레이크를 다시 작동 상태로 하기 위해서 방법 및 대응하는 안전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목적을 갖는다. 상기 방법은 언제나 승강기 설비의 안전을 명백하게 보장할 것이다.
다음에 설명된 해결책들은 이 목적의 충족을 허여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승강기 설비는 안전 디바이스를 구비한다. 이것은, 안전 브레이크가 제동을 위해서 해제될 때 브레이크 안전 회로를 차단하는 안전 스위치를 구비하는 안전 브레이크를 포함한다. 안전 디바이스는, 필요할 때, 만약 한편으로 오류 이벤트 또는 임계 이벤트가 승강기 설비에서 검출된다면, 또는 만약 다른 한편으로 비-임계적으로 평가된 이벤트가 발생되면, 제동을 위해서 안전 브레이크를 해제하는 브레이크 안전 제어기를 더 포함한다. 비-임계적으로 평가된 이벤트는, 예를 들어 빌딩의 에너지 차단, 또는 더 긴 기강에 걸친 승강기의 스위치 오프, 또는, 또한 테스트의 목적을 위해서 실시되는 이벤트이다. 브레이크 안전 제어기는, 제동을 위한 안전 브레이크의 해제의 경우에, 바람직하게는 안전 브레이크를 해제하는 이유, 또는 이벤트를 저장한다. 한편으로, 승강기 제어기는, 승강기 안전 회로 또는 브레이크 안전 회로가 차단된 것을 인식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안전 브레이크를 해제하기 위한 비-임계적 원인이 브레이크 안전 제어기에 의해서 보고되고, 승강기 제어기는 상기 안전 브레이크의 자동 재설정을 시작한다. 자동은 안전 브레이크를 재설정하는 프로세스가 실질적으로 사람의 지원없이 시작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승강기 설비의 주행체의 안전 브레이크는 바람직하게는 전기기계적 유지 디바이스를 구비하고, 이 유지 디바이스는 비활성 상태에서 제동을 위해서 안전 브레이크를 해제한다. 안전 브레이크의 해제 후에, 안전 브레이크는, 제 1 단계에서 주행체가 제 1 주행 방향으로 운동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재설정된다. 따라서, 안전 브레이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스트레스 (stress) 되거나 또는 대부분 재-스트레스된다. 제 1 운동과 동시에, 또는 전 또는 후 기간에서, 상기 안전 브레이크의 유지 디바이스는, 대기 설정에서 안전 브레이크의 유지를 위해 안전 브레이크를 준비시키기 위해 안전 브레이크의 유지 디바이스는 활성화된다. 주행체는 후속하여 제 1 주행 방향과 반대인 제 2 주행 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안전 브레이크는, 안전 브레이크가 활성화된 유지 디바이스에 의해서 유지되는 대기 설정으로 이동된다. 안전 브레이크는 따라서 다시 대기 설정에 있다. 유리하게는, 이 재설정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자동화된 프로세스로 실시될 수 있다. 절차는, 안전 브레이크가 초기에 즉각적인 계합 상태에 독립적으로 클램핑 영역에 들어 가는 효과를 갖는다. 클램핑 영역에서, 바이어스가 안전 브레이크에 형성되고, 이것은 안전 브레이크의 유지 디바이스 및 제동 요소들의 대기 설정으로의 복귀 안내를 가능하게 한다.
만약, 예를 들어 빌딩에서 장기간의 에너지 고장의 결과로서 안전 브레이크가 작동된다면, 즉 유지 디바이스가 불활성화되면, 예를 들어 안전 브레이크의 브레이크 요소는 레일에 대해서 조절된다. 그러나, 케이지 운동 또는 주행체의 운동이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 물론, 건물 내에 에너지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안전 브레이크는 실제로 계합되지 않는다. 따라서, 안전 브레이크는 또한 스트레스되지 않는다. 그러나, 앞에서 설명된 종류의 안전 브레이크들의 경우에, 유지 또는 안전 브레이크의 대기 설정으로의 재설정은 안전 브레이크 및 브레이크 레일 사이의 상대적 운동에 의해서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이런 재설정은 실행될 수 없고 안전 브레이크는 여전히 스트레스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이 태양에 따라서 실시된 선택적 주행 운동들을 통해서, 안전 브레이크는 제 1 운동에서 스트레스되고, 제 2 운동에서 대기 설정으로 재설정된다.
바람직하게는, 하향의 주행 방향은 제 1 주행 방향으로서 이용되고, 그리고 대응적으로 상향의 주행 방향은 제 2 주행 방향으로서 이용된다. 이것은 유리한데, 많은 승강기 설비들이 주행체의 추락에 대해 보호하기 위한 안전 브레이크만을 구비하기 때문이다. 제 1 주행 방향으로 하향 주행 방향의 선택으로, 모든 승강기 설비들에 대해서 적합하게 이용가능한 선택이 따라서 규정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이 종류의 작동 상황에서 승강기 케이지는 비어있고 따라서 카운터웨이트의 초과 중량은 운동을 위해서 이용가능하기 때문에, 최대 이탈력은 제 2 주행 방향으로 운동을 위해서 이용가능하다.
안전 브레이크의 유지 디바이스는, 바람직하게는 제 2 주행 방향으로 주행체의 운동 전에 활성화된다. 유지 디바이스의 이 선행 활성화 때문에 활성화 시간의 정확한 결정이 불필요하다. 유지 디바이스는 케이지 운동의 과정 중에 언젠가 유지 디바이스의 활성된 상태를 획득하기 때문에 이것은 앞서의 스위치 온의 경우에 직접적으로 유지된다. 만약 안전 브레이크의 유지 디바이스가 제 1 주행 방향으로의 주행체의 운동 전에 이미 활성화되면 특히 유리하다. 따라서, 예비 테스팅 및 준비 알고리즘은 간단한 구성의 것이 될 수 있다.
제 1 주행 방향으로의 주행체의 운동은 바람직하게는, 안전 브레이크가 제동을 위해서 제공되는 브레이크 표면 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클램프될 때까지 실시된다. 제동을 위해서 제공되는 브레이크 표면은 일반적으로 브레이크 레일 또는 가이드 레일의 가이드 웹이고, 가이드 레일은 동시에 브레이크 레일이다. 안전 브레이크가 최소의 바이어싱을 갖는 점 또는 안전 브레이크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브레이크 레일에 클램핑되는 점이 주행체의 제 1 운동에 의해서 보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제동을 위해서 제공된 브레이크 표면에 실시되는 안전 브레이크의 적어도 부분적 클램핑은, 어느 하나의 주행체의 주행 경로가, 바람직하게는 구동 풀리의 회전 운동을 측정함으로써 확인되고, 주행 목표 프리셋과 비교된다는 점에서 검출된다. 주행체가, 일반적으로 실험적으로 결정되는 규정된 주행 경로를 완주하자 마자, 이로부터 안전 브레이크의 부분 클램핑이 발생했다는 점이 가정될 수 있다. 일반적 승강기 구동부들은 구동 풀리의 회전 운동에 근거하여 운동 경로를 확인하기 위해서 구동 샤프트상에 회전속도계들 또는 증분형 송신기들과 같은 측정 시스템들을 이미 갖는다. 따라서 이 실시형태는 유리하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구동 엔진의 구동 토크는, 바람직하게는 구동 전류의 측정에 의해서 검출될 수 있고, 이 구동 토크는 목표 토크와 비교된다. 구동 토크가 미리-규정된 값에 도달되거나 또는 초과하자 마자, 이로부터 안전 브레이크의 적어도 부분 클램핑이 발생되었다는 점이 가정될 수 있다. 이 실시형태는, 구동 토크가 발생된 클램핑에 대한 직접적인 참조를 제공하기 때문에, 특히 신뢰가능하다.
대안적으로, 제 1 방향으로의 주행체의 운동에 대한 시간 기간은 또한 확인될 수 있고, 한계 시간 값과 비교될 수 있다. 여기서, 또한 바람직하게는, 요구되는 시간 기간은 실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 실시형태는, 특별한 센서들이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특히 경제적 실시형태이다.
바람직하게는, 주행체의 제 1 운동에 후속하여 제 2 주행 방향으로의 주행체의 운동이 실시된다. 이 제 2 운동은, 브레이크 안전 회로가 폐쇄되고, 주행체가 미리 규정된 주행 경로를 완주할 때까지 실시된다. 일반적으로, 브레이크 안전 회로의 폐쇄는 안전 브레이크가 다시 안전 브레이크의 대기 설정에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안전 브레이크의 모든 구성요소들 및 최대 전체 주행체가 자유롭다는 점이 완주된 주행 경로에 의해서 확인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구동 엔진의 드라이브 토크는 또한 모니터링되고, 제 2 주행 방향으로의 주행체의 운동은, 만약 구동 토크가 지표 값을 얻는다면 종료된다. 안전 브레이크는 안전 브레이크의 클램핑 위치 외부로 이동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당한 구동 토크가 제 2 주행 방향으로의 주행체의 운동을 위해서 일반적으로 요구된다. 구동 토크 또는 개시 (start-off) 토크가 피크 값을 초과하고, 다음으로 실질적으로 일정한 값으로 또는 지표 값의 범위 안으로 돌아오는 지가 측정에 의해서 이제 성립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만약, 예를 들어 구동 엔진의 구동 토크가 최대 한계 값에 도달되거나 초과하면 제 2 주행 방향으로의 주행체의 운동을 종료하거나, 적어도 차단하는 종료 기준이 규정된다. 시간 제한은 이 제한 값에 부착될 수 있다. 이것은, 만약 구동 엔진의 구동 토크가 미리-규정된 시간 한계 동안에 작업 한계 값을 초과하면 제 2 주행 방향으로의 주행체의 운동이 종료됨을 의미한다. 대안적으로, 또한 시간 한계 기간은 제 2 운동의 시간 한계에 대해서 미리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2 주행 방향으로의 주행체의 운동은, 만약 승강기 샤프트에서 주행체의 한계 위치가 통과되거나, 또한 명백하게 승강기 설비의 불완전한 상태가 검출되면, 유사하게 종료된다. 예를 들어서, 만약 때때로 전자 속도 제한기가 과도한 속도를 확인하면, 안전 브레이크의 유지 디바이스는 다시 비활성화되고, 이것은 매 경우에 즉각적인 재설정 상태와 관련없는 브레이크의 작동으로 직접적으로 이어진다. 따라서, 특별한 이벤트들은 재설정 시에 고려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빌딩의 에너지 고장은, 승강기 케이지 또는 주행체가 승강기 샤프트에서 샤프트 단부 근처의 한계 위치 또는 극한 위치의 완전 상부 또는 하부에 있을 때 동시 발생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 이 상황에서 승강기 케이지는 샤프트 단부 부근에 이미 위치될 수 있기 때문에, 큰 운동이 주행 방향들 중 하나의 방향으로 일어나는 것이 명백하게 가능하지 않다. 이 종류의 개별 사건들에 있어서, 가능한 피해는 종료 기준에 의해서 방지된다.
만약 제 2 주행 방향으로의 주행체의 운동의 종료 또는 종결이 발생된 후에 브레이크 안전 회로가 폐쇄되면, 바람직하게는 재설정 단계들이 선택적으로 반복된다. 이것은, 만약, 예를 들어 제 1 재설정 시도의 경우에, 개시 토크가 주행체 또는 안전 브레이크를 미끄러지게 (break loose) 하기에 충분하지 않다면, 도움이 될 수 있다. 재설정 프로세스는 다음으로 선택적으로 다시 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것은 2 내지 3 회 반복된다. 이 복수의 시도들 후에 재설정이 성공적으로 종결될 수 없다면, 자동 재설정이 바람직하게는 종료된다. 다음으로, 재설정 절차가, 예를 들어 서비스 엔지니어와 같은 인가된 사람에 의해서만 다시 시작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안전 브레이크의 대기 설정은 모니터링되고, 만약 안전 브레이크의 대기 설정에 있는 안전 브레이크 및 유지 디바이스가 활성화되면, 승강기 설비의 브레이크 안전 회로는 폐쇄된다. 그렇지 않으면, 안전 브레이크 또는 유지 디바이스가 이들의 대기 설정에 있지 않은 한 승강기 설비의 브레이크 안전 회로는 차단되거나 또는 차단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승강기 설비는, 안전 브레이크가 안전 브레이크의 대기 설정에 있지 않는 한 정상 작동으로 전이될 수 없다.
바람직하게는, 승강기 안전 회로는 제 1 주행 방향으로 주행체의 운동 전에 확인되고, 제 1 주행 방향으로의 운동은 단지 승강기 안전 회로의 미리결정된 부분들이 적합한 것으로 발견된 때에만 실행된다. 따라서, 승강기 설비의 환경에서의 승강기 설비 및 임의의 이용자들의 안전은 보장된다. 예를 들어, 승강기 안전 회로는, 승강기 샤프트에 대한 접근들이 폐쇄되지 않을 때 또는 만약, 예를 들어 케이블 장력, 버퍼 디바이스, 위치 검출 디바이스 또는 스피드 측정 디바이스 등과 같은 중요한 기능부들이 기능적으로 가능하지 않으면, 개방된다. 바람직하게는, 승강기 안전 회로의 미리결정된 부분들은, 브레이크 안전 회로를 배제하면서, 승강기 안전 회로의 모든 나머지 부분들을 포함한다. 유지 디바이스가 비활성화될 때 안전 브레이크는 더 이상 준비 위치에 있지 않기 때문에 브레이크 안전 회로가 분명하게 개방되어, 브레이크 안전 회로가 바람직하게는 브릿지 (bridge) 된다. 따라서, 재설정을 시작하기 위해서 평가를 위한 승강기 안전 회로의 이 부분을 배제하는 것이 필요하다.
바람직하게는, 재설정 단계들의 실시 전 첫 단계에서, 브레이크 제어기의 오류 상태가 조사되고, 적절한 절차가 오류 상태에 의존해서 선택된다.
예를 들어, 재설정 단계들은, 만약 비-임계적인 것으로 평가된 이벤트의 결과로서 유지 디바이스가 비활성화되었고, 동시에 승강기 설비의 안전 회로가 승강기 설비의 중요한 부분들을 안전한 것으로 지정하면, 자동적으로 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임계적 이벤트들은, 승강기 설비가 휴지하고 있거나 또는 만약 자가-테스트의 결과로서 유지 디바이스의 비활성화가 발생되면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해서 에너지 고장의 결과로서의 유지 디바이스의 의도적 비활성화이다. 재설정 단계들의 자동 개시는, 제어기, 예를 들어 승강기 제어기가 승강기 제어기의 구동부를 적절하게 제어함으로써 적절한 주행 명령을 생성하고 실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한편으로, 재설정 단계들은, 만약 유지 디바이스가 비-임계적으로 평가된 이벤트의 결과로서 비활성화되지 않았다면, 또는 만약 승강기 설비의 안전 회로가 설비를 안전한 것으로 지정하지 않는다면, 또한 수동으로 시작될 수 있다. 이것은 평가된 또는 승인된 사람에 의한 평가가 요구된다는 점을 의미한다. 이 사람은 승강기의 상태를 평가하고, 필요한 수리를 실시되게 하거나 또는 때때로 혼자서 이 수리를 실시한다. 승강기 설비의 상태가 승인된 사람에 의해서 안전한 것으로 평가된 후, 그 또는 그녀는 적절한 명령들에 의해서 안전 디바이스 또는 안전 브레이크의 재설정을 시작할 수 있고, 다음으로, 선택적으로 이 재설정 단계들은 승인된 사람에 의해서 직접적으로 실시되고, 또는 이 사람은 단지 재설정 단계들의 자동 개시에 해제를 제공한다. 이 방법을 통해서, 승강기 설비의 안전은 최선의 가능한 범위까지 언제든 보장되고, 동시에 승강기 설비는 필요 이상으로 작동하지 않게 된다.
앞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재설정 단계의 수동 개시는 바람직하게는 승인된 사람에 의해서 실시된다. 이와 관련하여, 유리하게는 승인된 사람의 승인은, 그 사람이 실제로 요구되는 작업들을 충분하게 수행하도록 실제로 승인되었는 지 여부를 성립하기 위하여 확인된다. 이 목적을 위해서, 예를 들어 승인 코드가 브레이크 제어기 또는 승강기 제어기 안으로 입력되어야 한다. 간단한 확인으로, 제어기는 이 승인 코드가 프리셋들 (presets) 에 대응하는 지 여부를 성립시킨다. 이 승인 코드는 서비스 문헌들에 기록된 코드일 수 있고, 또는 이 승인 코드는 브레이크 제어기의 식별 번호의 부분에 대응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승인을 확인하기 위한 미리 규정된 명령 및 작동 사이클이 또한 이용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미리결정된 시간 내에서 제어기 버튼의 작동이 후속하는 승강키 호출 버튼의 더블 작동이다.
대안적으로, 바람직하게는 개인 키가 또한 브레이크 제어기 또는 승강기 제어기와 연결될 수 있다. 키는, 승강기의 특정 기능들에 대한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기계적 키일 수 있다. 이것은 또한, 승강기의 특정 기능들에 대한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전자 카드 등과 같은 전자 키일 수 있다. 다양한 해결책들이 승강기 설비에 매칭되는 안전 및 서비스가능성 레벨의 달성을 허여한다.
재설정 단계들의 수동 개시는 바람직하게는 브레이크 제어기의 상태의 수동 작동을 포함한다. 이것은, 명백히 전문 평가 및 수리 후에 승인된 사람이 브레이크 제어기에 저장된 상태 또는 오류 상태를 인정하여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후속하여, 주행체의 수동 운동이, 바람직하게는 승인된 사람에 의해서 직접적으로, 제 1 주행 방향으로의 승강기 구동부의 작동 및 제 1 방향에 반대되는 제 2 주행 방향으로의 주행체의 후속 수동 운동에 의해서 실시된다. 이와 관련하여, 승인된 사람은 운동 상태에 대한 완전한 제어를 갖는다. 그 사람은, 만약 불규칙들이 확인되면 어느 때라도 즉시 주행을 종료시킨다.
요구되는 제어 기능들은, 바람직하게는 승강기 제어부와 브레이크 제어기 사이에서 분활된다. 따라서, 유리하게는 소위 전자 속도 제한기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러한, 예를 들어 유지 디바이스의 제어기와 연결되는 브레이크 제어기는 승강기 제어기에 대해 브레이크 안전 회로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브릿지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브레이크 제어기는 오류, 예를 들어 초과 속도의 경우에 안전 브레이크의 유지 디바이스를 비활성화시키고, 승강기의 안전 회로의 관련된 부분을 개방한다. 그러나, 이것은, 또한 에너지 공급이 미리결정된 더 긴 기간동안 차단될 때, 또는 비-임계적인 것으로 평가된 다른 이벤트들이 발생될 때, 예를 들어 안전 브레이크의 유지 디바이스를 비활성화시킨다. 브레이크 제어기는, 비-휘발성 메모리에 이 트리거 이벤트를 비-임계적인 것으로 저장한다.
승강기 제어부는 승강기의 제어를 위해 요구되는 부분들을 포함하고, 특히 승강기 제어부는 승강기 주행체의 운동을 위한 승강기 구동부를 활성화시키는 위치 및 브레이크 제어부와 통신하는 위치에 있다. 전체 승강기의 스위칭-오프 후, 예를 들어 만약 빌딩의 에너지 공급부가 스위칭 오프되면, 전체 승강기는 전류가 없는 상태에 있고, 브레이크 제어기는, 규정된 바에 따라서, 안전 브레이크의 유지 디바이스를 비활성화시킨다. 다시 승강기로의 에너지 공급의 스위칭 온 후에, 승강기 제어기는 안전 브레이크에서 안전 회로의 차단을 확인하여, 승강기의 개시가 방지된다. 브레이크 제어부는 실제 안전 상태를 확인하고, 한편으로, 자가-테스트 기능에 의해서 제어부 및, 예를 들어 집적된 전자 속도 제한기의 기능이 이용가능한 점을 성립시키고, 또한 대응하는 진입이 비-휘발성 메모리에 파일링되었기 때문에, 스위칭 오프의 원인이 비-임계적이었다는 점을 성립시킨다. 브레이크 제어부는 승강기 제어부에 이 정보를 전달하고, 승강기 제어부는 이제 안전 브레이크의 재설정을 시작한다. 승강기 제어부는 안전 회로의 나머지의 상태를 확인하고, 다음으로 대응하는 재설정 단계들을 트리거링한다.
상기 방법 및 대응하는 안전 디바이스는, 최소의 에너지원들로 작동될 수 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특별한 이벤트들의 경우에 또는 특별한 이벤트들의 후에 다시 빠르게 서비스가능해지는 더 안전한 승강기 설비의 제공을 가능하게 한다.
설명된 실시형태들 및 해결책들은 전문가에 의해서 변경되고 보충될 수 있다. 전문가는 특정 설비에 대해서 바람직한 해결책들을 선택하고 이들을 결합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은 실시예들 및 개략적 실시형태들에 의해서 다음에 설명된다.
도 1 은 측면도로 승강기 설비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도 2 는 횡단면도로 승강기 설비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도 3 은 안전 브레이크의 재설정의 개략적 흐름도를 도시하고,
도 4 는 재설정 개시를 위한 개략적 흐름도를 도시하고,
도 5 는 재설정의 수동 개시를 위한 개략적 흐름도를 도시하고,
도 6 은 전기적으로 연결된 시스템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도 7s 는, 우선 비작동된 위치에서 안전 브레이크의 실시형태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7f 는 도 7s 의 안전 브레이크의 전면도를 도시하고,
도 8s 는 제 2 활성 위치에 있는 도 7s 의 안전 브레이크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8f 는 도 8s 의 안전 브레이크의 전면도를 도시한다.
동일한 참조부호들이 모든 도면들에서 동등한 부재들에 대해서 도면들에서 이용된다.
도 1 은 승강기 설비 (1) 를 전체적으로 도시한다. 승강기 설비 (1) 는 빌딩에 설치되고, 건물 내에서 사람이나 물품의 운송을 위한 역할을 한다. 승강기 설비는 가이드 레일 (6) 을 따라 위로 아래로 이동될 수 있는 승강기 케이지 (2) 를 포함한다. 승강기 케이지 (2) 는 이 목적을 위해서 미리 결정된 운동 경로를 따라서 가능한 정확하게 승강기 케이지를 안내하는 가이드 슈즈 (8) 를 구비한다. 승강기 케이지 (2) 는 샤프트 도어들 (12) 에 의해서 빌딩으로부터 액세스될 수 있다. 구동부 (5) 는 승강기 케이지 (2) 를 구동하고 유지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구동부 (5) 는, 예를 들어 건물의 상측 영역에 배치되고, 케이지 (2) 는 지지 수단 (4), 예를 들어 지지 케이블들 또는 지지 벨트들에 의해서 구동부 (5) 에 매달린다. 지지 수단 (4) 은 구동부 (5) 를 통해서 카운터웨이트 (3) 로 계속 이어진다. 카운터웨이트는, 구동부 (5) 가 주로 케이지 (2) 와 카운터웨이트 (3) 사이의 불균형을 보상하기만 하도록 승강기 케이지 (2) 의 질량 성분을 보상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구동부 (5) 는 빌딩의 상측 영역에 배치된다. 또한, 자명하게 구동부는 빌딩의 다른 위치 또는 케이지 (2) 또는 카운터웨이트 (3) 의 영역에 배치될 수도 있다.
승강기 설비 (1) 는 승강기 제어기 (10) 에 의해 제어된다. 승강기 제어기 (10) 는 이용자 요청들을 수용하고, 승강기 설비의 작동 코스를 최적화하고, 일반적으로 구동 제어기 (9), 구동부 (5) 에 의해서 제어한다. 구동부 (5) 는 인코더 또는 증분형 송신기 (14) 를 구비한다. 따라서, 구동부의 축의 회전 운동은 구동부의 조절 목적을 위해서 확인되고 구동부 제어기 (9) 에 통신된다. 또한, 증분형 송신기 (14) 는 승강기 케이지 (2) 의 주행 경로를 확인하고, 그래서 승강기 케이지의 조절 및 제어를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승강기 제어기 (10) 는 승강기 설비의 안전 상태를 모니터하고, 만약 불안전 작동 상태가 발생되면, 주행 작동은 차단된다. 이 모니터링은 일반적으로, 모든 안전 관련 기능들이 포함된 승강기 안전 회로의 이용으로 행해진다. 이 종류의 모니터링 또는 이 승강기 안전 회로에서, 예를 들어 샤프트 도어들 (12) 의 정확한 폐쇄를 모니터링하는 샤프트 도어 접속부들 (13) 이 포함되고, 예를 들어 또한 승강기 샤프트에서 주행체 (2, 3) 의 제한 위치들은 상측 제한 스위치 (16) 및 하측 제한 스위치 (17) 에 의해서 모니터링된다.
승강기 케이지 (2) 및, 필요한 경우, 또한 카운터웨이트 (3) 는 승강기 케이지 (2) 를, 의외의 움직임 또는 과도한 속도의 경우에, 보호하고 그리고/또는 늦추기 위해 적합한 브레이크 시스템을 더 구비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제동 시스템은 주행체 (2, 3) 의 양 측부에서 주행체에 장착된 두 개의 동일한 안전 브레이크들 (20, 20') 을 포함한다. 안전 브레이크들 (20, 20') 은, 실시예에 있어서, 케이지 (2) 아래에 배치되고, 브레이크 제어기 (11) 에 의해 전기적으로 활성된다. 이 브레이크 제어기 (11) 는 바람직하게는, 승강기 케이지 (2) 의 주행 운동들을 모미터링하는 전기 속도 또는 주행 플롯 제한기를 더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바와 같이, 속도 제한기는, 따라서 생략될 수 있다.
도 2 는 개략적 평면도로 도 1 의 리프트 설비를 도시한다. 브레이크 시스템은 2 개의 안전 브레이크들 (20, 20') 을 포함한다. 2 개의 안전 브레이크들 (20, 20') 은, 이 실시예에서, 동기화 로드 (15) 의 수단에 의해서 연결되어, 2 개의 안전 브레이크들 (20, 20') 이 반드시 함께 작동된다. 따라서, 의도되지 않은 일측 제동이 회피될 수 있다. 2 개의 안전 브레이크들 (20, 20') 은, 바람직하게는 동일하거나, 또는 거울 대칭으로 구성되고, 케이지 (2) 의 어느 한쪽에 배치된 브레이크 레일들 (7) 상에서 작동된다. 브레이크 레일들 (7) 은, 실시예에서 가이드 레일들 (6) 과 동일하다.
또한, 동기화 막대 (15) 는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그렇다면, 승강기 케이지의 어느 일 측부에 배치된 안전 브레이크들 (20, 20') 의 동시 트리거링을 보장하는 전기 동기화 수단이 추천된다.
안전 브레이크 (20, 20') 의 가능한 일 실시예는 도 7 및 도 8 에 도시되고, 이하에서 설명된다. 2 개의 안전 브레이크들 (20, 20') 은 기능적으로 동일하고, 이 이유 때문에 다음에서 단지 안전 브레이크 (20) 만의 논의가 있다. 안전 브레이크 (20) 는 브레이크 요소 (22) 를 갖는 브레이크 하우징 (21) 을 포함한다. 브레이크 하우징 (21) 은 대기 설정 (도 7s, 도 7f) 에서 유지 디바이스 (28) 에 의해 유지된다. 이 목적을 위해서, 유지 디바이스 (28) 는 유지 자석 (29) 에 의해 고정된다. 유지 자석 (28) 의 이 위치는 제 1 브레이크 접촉부 (24) 에 의해서 제어된다. 실시예에서, 제 1 브레이크 접촉부 (24) 는 접촉 브릿지 (25) 및 접촉 지점들 (26) 을 포함하고, 이 접촉 지점들은 브레이크 안전 회로 (23) 로 이어진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안전 브레이크 (20) 의 대기 설정은 제 2 브레이크 접촉부 (27) 를 통해서 체크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이 제 2 브레이크 접촉부 (27) 는 브레이크 요소 (22) 를 모니터링하고, 이 제 2 브레이크 접촉부 (27) 는, 또한 때때로, 제 1 브레이크 접촉부 (24), 브레이크 안전 회로 (23) 와 직렬로 연결된다. 유지 자석 (29) 은 브레이크 제어기 (11) 및 대응하는 전원 (30) 에 연결되고, 브레이크 제어기 (11) 에 의해 제어된다.
브레이크 제어기 (11) 가 유지 마그넷 (29) (도 8s, 도 8f) 을 비활성화시키자 마자, 안전 브레이크 (20) 는 제동 위치로 변위되고, 브레이크 요소 (22) 는 브레이크 또는 가이드 레일 (6, 7) 과 접촉된다. 승강기 케이지가 브레이크 또는 가이드 레일 (6, 7) 에 대해서 계속 운동되는 한, 이것은 안전 브레이크 (20) 의 추가적 결합 및 궁극적으로 리프트 케이지 (2) 의 안전한 제동으로 이어진다. 유지 마그넷 (29) 또는 유지 디바이스 (28) 의 비활성화로, 제 1 브레이크 접촉부 (24) 는 차단되고, 또한 선택적 제 2 브레이크 접촉부 (27) 는 브레이크 하우징 (21) 및 브레이크 요소 (22) 의 운동을 통해서 차단되고, 브레이크 안전 회로 (23) 는 차단되고 이에 의해서 승강기 설비 (1) 의 작동이 중단된다.
도 6 은 전기적으로 연결된 브레이크 시스템의 가능한 회로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2 개의 안전 브레이크들 (20, 20') 의 브레이크 접촉부들 (24, 27) 은, 예를 들어, 직렬로 연결되고, 브레이크 제어기 (11) 에 브레이크 안전 회로 (23) 로서 이어진다. 브레이크 안전 회로 (23) 의 상태는 브레이크 제어기 (11) 에서 평가되고, 승강기 안전 회로 (19) 에 집적된다. 브레이크 제어기 (11) 는, 한편으로 승강기 설비의 일반적 상태 및 주행 작동을 모니터링하는 전자 속도 제한기 (18) 를 포함한다. 2 개의 안전 브레이크들 (20, 20') 의 유지 자석들 (29) 은, 실시예에서, 유사하게 직렬로 연결되고, 브레이크 제어기 (11) 에 이어지며, 이로부터 유지 자석들 (29) 은 제어되고 전원 (30) 에 의해 전류가 전도되도록 될 수 있다. 직렬 회로를 통해서, 전기선의 차단의 경우에, 안전 브레이크들 (20) 의 양자 또는 모든 유지 자석들 (29) 은 반드시 비활성화된다. 직렬 회로는 바람직하게는, 브레이크 제어기 (11) 에서 실시된다. 이것은 2 개의 안전 브레이크들 (20, 20') 의 유지 자석들 (29) 이 브레이크 제어기와 별도로 연결되고, 직렬 회로는 브레이크 제어기 (11) 에서 실시된다.
전자 속도 제한기 (18) 는, 만약 필요하다면, 승강기 안전 회로 (19) 뿐만 아니라 유지 자석들 (29) 의 유지 전류 회로를 차단할 수 있고, 이에 의해서 안전 브레이크 (20) 는 제동을 위해 해제된다.
만약, 속도 제한기 (18) 가 제 1 의 경우에, 예를 들어 과도한 주행 속도를 확인하면, 속도 제한기는 유지 자석 (29) 의 유지 전류 회로를 차단하고, 이에 의해서 승강기 케이지 (2) 는 제동된다. 동시에, 속도 제한기는 제 1 차단기 (31) 의 개방을 통해서 승강기 안전 회로 (19) 를 차단하고, 이후에 승강기 제어기 (10) 는 승강기 설비의 구동부 (5) 를 제동하고 셧다운한다. 속도 제한기 (18) 는 비-휘발성 메모리에서 작동의 원인을 관련 또는 임계로서 저장하고, 적합한 오류 상태 신호 (S1) 를 제공한다.
만약, 다른 경우에, 브레이크 안전 회로 (23) 가, 예를 들어 명백한 이유 없이, 개방되었음을 확인하면, 속도 제한기 (18) 는 유지 자석 (29) 의 유지 회로 전류 및 승강기 안전 회로 (19) 를 차단하고, 따라서 승강기 설비를 중지시킨다. 따라서, 안전 브레이크들 (20, 20') 중 하나의 브레이크의 오류 트리거링의 경우에, 제 2 안전 브레이크 (20', 20) 가 또한 즉시 작동되는 것이 달성된다. 따라서, 일측적 제동이 방지된다. 속도 제한기 (18) 는 비휘발성 메모리에서, 작동의 원인을 관련 또는 임계적인 것으로서 저장하고, 적합한 오류 상태 신호 (S1) 를 제공한다.
다른 경우에, 만약 속도 제한기 (18) 가, 예를 들어 정지된 (stopped) 승강기 설비가 더 긴 기간에 걸쳐 휴지 (standstill) 되거나, 휴지되어야 한다면, 비록 관련된 오류가 승강기 설비에 존재하지 않지만, 속도 제한기는 유지 자석 (29) 의 유지 전류 회로를 유사하게 차단한다. 따라서 유지 디바이스 (28) 는 해제되고, 안전 브레이크 (20) 는, 그러나 승강기 케이지가 휴지 상태에 있어 안전 브레이크가 재-조임되지 않기 때문에, 제동 없이 제동 위치로 이동된다. 속도 제한기 (18) 는 비휘발성 메모리에서, 작동의 원인을 비-관련 또는 비-임계적인 것으로서 저장하고, 적합한 오류 상태 신호 (S1) 를 제공한다.
또한, 대응하는 요구에 따라, 전자 속도 제한기 (18) 는, 필요에 따라서 승강기 케이지 (2) 의 제어된 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브릿지 접속부 (32) 에 의해서 브레이크 안전 회로 (23) 위로 연결된다.
이 마지막에 도해된 경우에 있어서, 안전 브레이크 (20) 는 따라서 대기 설정으로 조절되고, 유지 디바이스 (28) 는 비활성화된다. 따라서, 브레이크 안전 회로 (23) 는 또한 차단되고, 승강기 안전 회로 (19) 는 한편으로 브레이크 안전 회로 (23) 에 의해서 뿐만 아니라 제 1 차단기 (31) 를 개방함으로써 또한 명백하게 차단된다.
만약, 이 경우에, 건물이나 승강기 설비의 전원이 다시 켜지면, 승강기 제어기 (10) 는, 가능한 자체 테스트 및 초기화 루틴들이 런-스루 (run-through) 된 후, 승강기 안전 회로 (19) 가, 특히 케이지 안전 시스템의 영역에서 차단되었는 지를 확인한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기 제어기는 이벤트 분석 (F) 을 시작한다. 전류 공급을 스위칭-온 함과 동시에, 브레이크 제어기 (11) 는 또한 가능한 내부 테스트들 및 초기화 루틴들을 런-스루하고, 저장된 오류 상태 신호 (S1) 에 따라서, 작동 원인은 비-관련 또는 비-임계적으로 결정되었다는 점 및 브레이크 제어기의 기능 (S2) 자체는 완전한 것으로 평가되는 점을 확인한다. 승강기 제어기는 이벤트 분석 (F) 에서, 오류 상태 신호 (S1) 및 기능 대기 보고 (S2) 를 조사하고, 이로부터 다음의 절차를 결정한다. 승강기 안전 회로 (19) 의 나머지 부분들이, 도 3 하에서 다음에 더욱 상세히 설명되는 자동 재설정 (A) 인 한에 있어서, 신호 (S1) 는 "비-임계" 보고를 통신하고, 신호 (S2) 는 "기능적 테스트 통과" 보고를 통신하는 정도까지 승강기 제어기 (10) 가 시작된다. 그렇지 않은 경우, 승강기 설치의 다른 작동들은, 도 5 를 참조하여 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수동 재설정 (M) 이 실행될 때까지 차단된 상태로 남아 있는다.
자동 재설정 (A) 의 시작 후 (도 3), 실시예에서 승강기 안전 회로 (19) 의 나머지 부분들뿐만 아니라 브레이크 제어기 (11) 의 기능적 완전성 (S2) 이 체크되고 (R0.1), 양의 결과 "예" 의 경우에, 예를 들어 재설정 주행이 곧 실시될 것을 나타내는 선택적 표시 (D2) 또는 통지가 층들의 영역 또는 케이지 (2) 에 송출된다. 결과적으로, 브레이크 제어기 (11) 는, 승강기 제어기 (10) 에 의한 대응하는 지시 후에, 승강기 안전 회로 (19) 의 제 1 차단기 (31) 를 폐쇄하고, 일시적으로 브레이크 안전 회로 (23) 위로 연결된다. 동시에, 안전 브레이크의 유지 디바이스 (28) 는, 유지 디바이스의 제 2 차단기 (33) 가 폐쇄되고 유지 자석 (29) 이 대기 설정에 안전 브레이크 (20) 를 유지하기 위해 유지 디바이스 (28) 를 준비하도록 전류-전도한다는 점에서 활성된다 (R1).
후속하여, 승강기 제어기 (10) 는, 바람직하게는 저속으로 제 1 주행 방향으로 케이지 (2) 또는 때때로 카운터웨이트 (3) 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대응하는 주행 명령들을 제공한다 (R2). 이동 전에 레일들 (6, 7) 에 대해서 단지 조정되고 실제로는 클램핑되지 않은 안전 브레이크는, 따라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여지거나, 또는 재-조임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주행 방향에서 이 운동은, 안전 브레이크가, 브레이크 레일 또는 가이드 레일의, 제동을 위해서 제공된 브레이크 표면 상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클램핑될 (R2.1) 때까지 실시된다. 실시된 클램핑 (R2.1) 은, 예를 들어 주행체의 주행 경로가, 가능하게는 증분형 송신기 (14) 의 신호들에 의해서 확인되고, 주행 목적 프리셋과 비교된다는 점에서 확인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구동 모터의 구동 토크는 또한, 바람직하게는 구동 전류의 측정에 의해서 확인될 수 있고, 목표 토크와 비교될 수 있거나, 제 1 주행 방향으로의 주행체의 운동을 위한 시간 기간이 또한 간단히 확인될 수 있고 제한 시간값과 비교될 수 있다.
제 1 주행 방향으로 제 1 운동 (R2) 에 후속하여, 승강기 제어기 (10) 는 주행 방향의 역을 미리 결정하고, 구동부 (5) 는 대응하여 승강기 케이지 또는 카운터웨이트를 반대의 제 2 주행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R3).
제 1 주행 방향으로의 운동 (R2) 을 통해서, 안전 브레이크는 레일과 클램핑을 위한 위치로 이동되었다. 때때로, 안전 브레이크 (20) 의 각각의 구성 형태에 의존해서, 유지 디바이스 (28) 는 따라서 또한 유지 위치로 이미 이동될 수 있었다. 안전 브레이크는 제 2 운동에 의해서 실제 작동 위치로 재설정된다 (R3). 제 2 주행 방향으로의 이 제 2 운동 (R3) 은, 안전 브레이크가 재설정될 때까지 기본적으로 연속된다 (R3.1). 이것은, 예를 들어 안전 브레이크 회로 (23) 가 폐쇄되었는 지, 그래서 안전 브레이크 (20) 가 대기 설정에 있는 지가 확인된다는 점에서, 또는 주행 경로가 측정된다는 점에서, 또는 특별히 신뢰가능한 가능성으로서, 구동 모터의 구동 토크가 측정된다는 점에서, 일반적으로 간단하게 확인될 수 있다. 구동 토크가, 일반적으로 빈 케이지의 일정한 운동 순간에 대응하는 지표값을 얻자 마자, 안전 브레이크 (20) 는 자유롭고, 따라서 더 이상 클램핑 상태에 있지 않다.
예로서, 도 3 에 따른 순서에 있어서, 만약 승강기 설비의 불안정한 상태가 인식되면, 모든 저니 (journey) 가 차단된다 (R3.2) 는 점에서, 무엇보다도 제 2 주행 방향으로의 운동의 모니터링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 모니터링은 모든 주행 운동 동안에 적용된다. 따라서, 특히 만약, 예를 들어 구동 모터의 구동 토크가 최대 한계 값에 도달되면, 만약 구동 모터의 구동 토크가 시간 한계 동안에 작동 한계 값을 초과하면, 만약 한계 기간이 도달되면, 만약 승강기 샤프트에서 주행체의 한계 위치들이 통과되면, 또는 만약 승강기 안전 회로 (19) 가 다른 불안전한 상태를 검출하면, 주행은 차단된다. 이러한 경우들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수동 재설정 (M) 은 시작되거나 또는 요구된다.
따라서 안전 브레이크 (20) 의 재설정 (R) 의 중요한 단계들은, 안전 브레이크를 대기 설정에 유지하기 위해 유지 디바이스를 준비하기 위한 안전 브레이크의 유지 디바이스의 활성화 (R1), 적어도 부분적으로 안전 브레이크를 조이거나 또는 재-조임하기 위한 제 1 주행 방향 (R2) 으로의 주행체의 운동 및, 안전 브레이크가 활성된 유지 디바이스에 의해서 유지되는 대기 설정으로 안전 브레이크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 1 주행 방향과 반대인 제 2 주행 방향 (R3) 으로의 주행체의 운동을 포함한다.
도 3 의 실시예에 있어서, 만약 제 2 주행 방향으로 주행체의 운동 종료 후에, 브레이크 안전 회로가 여전히 폐쇄되지 않고, 승강기 설비에서 아무런 오류가 확인되지 않으면, 재설정 단계들 (R) 은 가능하게는 선택적으로 반복된다. 안전 브레이크들은 확실하게 높은 레벨의 재설정 에너지 또는 힘을 요구하고, 제 1 시작은 가능하게는 충분하지 않다.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불안전한 상태들 또는 예시된 거동으로부터의 출발들의 검출은 자동 재설정의 종료 또는 비-시작으로 이어진다 (A). 이 경우들에 있어서, 수동 재설정 (M) 은, 도 5 에서 간략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되어야 한다. 이 목적을 위해서, 공인된 사람 (35) 이 소환된다. 이 소환들은 승강기 제어기에 의해서 전자적으로 목적된, 또는 예를 들어 관련된 사람들의 전화로 목적된 공지된 서비스 채널들에 의해서 실시된다. 제 1 단계에서 공인된 사람은 승강기 설비의 필요한 전문 진단들을 실시하고, 가능한 수리들을 실행한다 (M1). 승강기 설비의 적어도 주된 기능들 및 안전이 주어지자 마자, 공인된 사람은, 예를 들어 수동 제어에 의해 재설정 단계들 (R) 을 실시한다. 이 공인된 사람은 유지 디바이스 (28) 의 유지 전류 회로를 켜고, 가능하게는 브레이크 안전 회로 (23) 위로 연결한다. 후속하여, 그나 그녀는 작은 클램핑 저항을 확인할 때까지, 예를 들어 소위 검사 제어기의 이용을 통해서 승강기 케이지를 제 1 주행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후속하여, 그나 그녀는, 승강기 케이지가 자유롭게 주행될 때까지 제 1 주행 방향에 역으로 아래방향으로 승강기 케이지를 이동시킨다. 후속하여, 그나 그녀는, 정상 이용을 위해서 승강기 설비를 다시 해제하기 전에, 승강기 설비에 대한 명백하게 적절한 최종 확인들을 행한다.
대안적으로, 공인된 사람 (35) 은 승강기 제어기 안으로 공인 코드 (36) 의 입력을 통해서 재설정을 시작한다. 공인 코드 (36) 는 사람 (35) 이 적절한 연속된 명령들을 시작하도록 실제 공인된 점을 승강기 제어기 (10) 에 신호를 보낸다. 공인 코드 (36) 는, 예를 들어 브레이크 제어기의 인식 번호의 일부와 대응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미리-규정된 명령 및 액션 사이클은 또한 일치하여 실시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10 초 동안의 시간 윈도우 내에서 승강기 제어기의 재설정 명령에 의해서 추종되는 승강기 제어기의 제어 키보드에 의한 명령이다. 이 승인 확인들은 대중에 의한 오류 작동을 방지한다.
대안적으로, 승인 코드 (36) 는 바람직하게는 브레이크 제어기 (11) 또는 승강기 제어기 (10) 와 연결된 개인 키 (34) 를 포함한다. 키는, 승강기의 특별한 기능들에 접근이 가능하게 되는 기계적 키일 수 있다. 또한, 이것은, 승강기의 특별한 기능들에 접근이 가능하게 되는 전자 카드 등과 같은 전자 키일 수 있다. 키 (34) 의 이용을 통해서, 이의 소지자는 식별가능해진다.
승인 코드 (36) 의 입력 후, 브레이크 제어기 (11) 또는 승강기 제어기 (10) 는 승인을 확인하고 (M3), 성공적인 확인의 경우에 자동 재설정 (A) 을 앞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시작한다. 모든 경우에 있어서, 또한 부정적 확인 결과는 여기서 자동 재설정의 종료로 이어진다.
도시된 실시형태들 및 순서들은 전문가에 의해서 변경될 수 있다. 승강기 제어기 (10) 또는 브레이크 제어기 (11) 와 개별 기능들의 연관은 변경될 수 있고, 또는 모든 기능들은 제어 그룹에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승인 확인 (M3) 은, 예를 들어 브레이크 제어기 (11) 또는 안전 브레이크들 (20) 에서 테스트 활동들의 실행을 승인하기 위해서와 같은 승강기 유지의 다른 부분 단계들을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

Claims (14)

  1. 제동을 위해서 해제되는 안전 브레이크 (20, 20') 의 재설정 방법으로서,
    상기 안전 브레이크는, 비활성 상태에서 제동을 위해서 상기 안전 브레이크 (20, 20') 를 해제하는 바람직하게는 전기기계적 유지 디바이스 (28) 를 갖는 승강기 설비 (1) 의 주행체 (2, 3) 의 안전 브레이크이고,
    상기 방법은:
    - 상기 안전 브레이크를 대기 설정 (readiness setting) 에 유지하기 위해 상기 유지 디바이스 (28) 를 준비하기 위하여 상기 안전 브레이크 (20, 20') 의 상기 유지 디바이스 (28) 를 활성화시키는 단계 (R1),
    - 상기 안전 브레이크 (20, 20') 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이거나 또는 재-조임하기 위해서 제 1 주행 방향으로 상기 주행체 (2, 3) 를 이동시키는 단계 (R2), 및
    - 상기 안전 브레이크가 상기 활성화된 유지 디바이스 (28) 에 의해서 유지되는 상기 대기 설정 안으로 상기 안전 브레이크 (20, 20') 를 이동시키기 위해서 상기 제 1 주행 방향과 반대의 제 2 주행 방향으로 상기 주행체 (2, 3) 를 이동시키는 단계의 재설정 단계들 (R) 을 적어도 포함하고,
    상기 유지 디바이스 (28) 는 상기 제 2 주행 방향으로의 상기 주행체 (2, 3) 의 이동 전에 활성화되는, 안전 브레이크의 재설정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하향의 주행 방향은 제 1 주행 방향으로서 이용되고, 따라서 상향의 주행 방향은 제 2 주행 방향으로 이용되는, 안전 브레이크의 재설정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디바이스 (28) 는 상기 제 1 주행 방향으로의 상기 주행체 (2, 3) 의 이동 전에 활성화되는, 안전 브레이크의 재설정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주행 방향으로의 상기 주행체 (2, 3) 의 이동은, 상기 안전 브레이크 (20, 20') 가 브레이크 레일 또는 가이드 레일 (6, 7) 의 제동을 제공하는 브레이크 표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클램핑할 때 (R2.1) 까지 행해지는, 안전 브레이크의 재설정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제동을 위해서 제공된 상기 브레이크 표면에서 상기 안전 브레이크 (20, 20') 의 상기 실행된 적어도 부분적 클램핑 (R2.1) 은
    - 상기 주행체 (2, 3) 의 주행 경로가,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 풀리의 회전 이동을 측정함으로써 검출되고, 주행 목표 프리셋과 비교되는 점, 및/또는
    - 상기 구동 엔진 (5) 의 구동 토크가, 바람직하게는 구동 전류를 측정함으로써 검출되고, 목표 토크와 비교되는 점, 또는
    - 상기 제 1 주행 방향으로의 상기 주행체 (2, 3) 의 이동을 위한 시간 기간이 검출되고, 한계 시간 값과 비교되는, 안전 브레이크의 재설정 방법.
  6.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체 (2, 3) 의 이동은, 상기 안전 브레이크가 재설정될 때까지 상기 제 2 방향으로 실시되고 (R3.1),
    상기 안전 브레이크의 재설정은, 브레이크 안전 회로 (23) 가 폐쇄되고, 그리고
    - 상기 주행체 (2, 3) 가 미리-규정된 주행 경로를 회복하고, 그리고/또는
    - 상기 구동 엔진 (5) 의 구동 토크가 지표 값을 달성할 때 확인되는, 안전 브레이크의 재설정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주행 방향으로의 상기 주행체 (2, 3) 의 이동은,
    - 상기 구동 모터 (5) 의 구동 토크가 최대 한계 값에 도할할 때, 또는
    - 상기 구동 모터 (5) 의 구동 토크가 시간 한계 동안에 작업 한계 값을 초과할 때, 또는
    - 한계 시간 기간이 도달될 때, 또는
    - 승강기 샤프트에서 상기 주행체 (2, 3) 의 한계 위치들이 통과될 때, 또는
    - 승강기 안전 회로 (19) 가 불안정 상태를 검출할 때 종료되는 (R3.2), 안전 브레이크의 재설정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재설정 단계들 (R) 은, 만약 상기 제 2 주행 방향으로 상기 주행체의 이동의 종료 후에 상기 브레이크 안전 회로 (23) 가 폐쇄되지 않으면 선택적으로 반복되는 (R4), 안전 브레이크의 재설정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브레이크 (20, 20') 의 상기 대기 설정은 모니터링되고, 만약 상기 안전 브레이크 (20, 20') 가 상기 안전 브레이크의 대기 설정에 있으면, 상기 승강기 설비의 상기 브레이크 안전 회로 (23) 가 폐쇄되고, 상기 유지 디바이스 (28) 가 활성화 되고, 만약 상기 안전 브레이크 (20, 20') 또는 상기 유지 디바이스 (28) 가 이들의 상기 대기 설정에 있지 않다면, 상기 승강기 설비의 상기 브레이크 안전 회로 (23) 는 차단되는, 안전 브레이크의 재설정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주행 방향으로의 상기 주행체 (2, 3) 의 이동 전에, 상기 승강기 안전 회로 (19) 는 확인되고 (R0.1), 단지 승강기 안전 회로 (19) 의 미리 결정된 부분들이 적합한 것으로 발견된 경우에만 상기 제 1 주행 방향으로의 이동이 행해지고, 상기 승강기 안전 회로 (19) 의 미리 결정된 부분들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브레이크 안전 회로 (23) 를 제외하고, 상기 승강기 안전 회로 (19) 의 모든 나머지 부분들을 포함하는, 안전 브레이크의 재설정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유지 디바이스 (28) 가 비-임계적인 것으로 평가된 이벤트의 결과로서 비활성화되었고, 브레이크 제어기 (11) 의 기능적 대기 보고 (S2) 가 존재하고, 상기 승강기 설비의 안전 회로 (19) 가 상기 설비를 안전한 것으로 지정할 때, 상기 재설정 단계들 (R) 은 자동적으로 (A) 시작되고, 그리고
    - 상기 유지 디바이스 (28) 가 비-임계적인 것으로 평가된 이벤트의 결과로서 비활성화되었고, 상기 브레이크 제어기 (11) 의 상기 기능적 대기 보고 (S2) 가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승강기 설비의 상기 안전 회로 (19) 가 상기 설비를 안전한 것으로 지정하지 않을 때, 상기 재설정 단계들 (R) 은 수동으로 (M) 시작되고,
    상기 브레이크 제어기 (11) 의 상기 기능적 대기 보고 (S2) 는 상기 재설정 단계들 (R) 의 실시 전에 제 1 단계 (R0.2) 에서 얻어지는, 안전 브레이크의 재설정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설정 단계들 (R) 의 상기 수동 개시 (M) 는 승인된 사람 (35) 에 의해서 행해지고, 승인은
    - 승인 코드 (36) 가 상기 브레이크 제어기 (11) 또는 상기 승강기 제어기 (10) 에 입력되고, 이 승인 코드 (36) 는, 예를 들어 상기 브레이크 제어기의 식별 번호의 일 부분에 대응하고, 또는
    - 미리규정된 명령 및 액션 사이클이 행해지거나, 또는
    - 바람직하게는 개인 키 (34) 가 상기 브레이크 제어기 (11) 또는 상기 승강기 제어기 (10) 에 연결되는 점에서 확인되는, 안전 브레이크의 재설정 방법.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재설정 단계들의 수동 개시는:
    - 상기 브레이크 제어기 상태의 수동 확인 및
    - 제 1 주행 방향으로의 상기 주행체의 후속 수동 이동 및
    - 상기 제 1 주행 방향에 반대인 제 2 주행 방향으로의 상기 주행체의 후속 수동 이동을 포함하고,
    상기 수동 이동은 승강기 드라이브의 작동에 의해서 행해지는, 안전 브레이크의 재설정 방법.
  14. 승강기 설비의 안전 디바이스로서,
    - 바람직하게는 전기기계적 유지 디바이스 (28) 를 갖는 안전 브레이크 (20, 20') 로서, 상기 유지 디바이스는 비활성 상태에서, 제동을 위해서 상기 안전 브레이크 (20, 20') 를 해제하는, 상기 안전 브레이크,
    - 상기 안전 브레이크 (20, 20') 가 비-임계적인 것으로 평가된 이벤트의 결과로서 제동을 위해서 해제되었을 때, 상기 안전 브레이크의 자동 재설정 (A) 을 개시할 수 있는 승강기 제어기 (10) 로서, 상기 자동 재설정 (A) 은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대응하는 방법 단계들을 포함하는, 상기 승강기 제어기를 포함하는 승강기 설비의 안전 디바이스.
KR1020147014425A 2011-11-29 2012-11-07 재설정 수단을 갖는 안전 브레이크 KR1019979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1191102 2011-11-29
EP11191102.0 2011-11-29
PCT/EP2012/071991 WO2013079288A1 (de) 2011-11-29 2012-11-07 Sicherheitsbremse mit zurückstell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6524A true KR20140106524A (ko) 2014-09-03
KR101997945B1 KR101997945B1 (ko) 2019-07-08

Family

ID=47146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4425A KR101997945B1 (ko) 2011-11-29 2012-11-07 재설정 수단을 갖는 안전 브레이크

Country Status (21)

Country Link
US (1) US9206015B2 (ko)
EP (1) EP2785626B1 (ko)
KR (1) KR101997945B1 (ko)
CN (1) CN103958385B (ko)
AU (1) AU2012344215B2 (ko)
BR (1) BR112014012859B1 (ko)
CA (1) CA2850583C (ko)
DK (1) DK2785626T3 (ko)
ES (1) ES2559046T3 (ko)
HR (1) HRP20151169T1 (ko)
HU (1) HUE028382T2 (ko)
IN (1) IN2014CN03943A (ko)
MX (1) MX341590B (ko)
MY (1) MY167280A (ko)
PH (1) PH12014501193B1 (ko)
PL (1) PL2785626T3 (ko)
PT (1) PT2785626E (ko)
RU (1) RU2600424C2 (ko)
SG (1) SG11201402582WA (ko)
WO (1) WO2013079288A1 (ko)
ZA (1) ZA20140317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45358A1 (de) 2011-09-30 2013-04-04 Inventio Ag Bremseinrichtung mit elektromechanischer betätigung
WO2013045359A1 (de) * 2011-09-30 2013-04-04 Inventio Ag Bremseinrichtung mit elektromechanischer betätigungseinrichtung
CN104837758B (zh) 2012-12-13 2017-04-12 因温特奥股份公司 用于电梯系统的防坠装置
US10494227B2 (en) 2014-06-12 2019-12-03 Otis Elevator Company Braking system resetting mechanism for a hoisted structure
EP3154892B1 (en) 2014-06-12 2018-12-12 Otis Elevator Company Brake member actuation mechanism
CN107108154B (zh) * 2014-12-17 2019-11-12 因温特奥股份公司 具有制动系统的电梯设备
WO2017199329A1 (ja) * 2016-05-17 2017-11-23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システム
DE102016218635A1 (de) * 2016-09-28 2018-03-29 Thyssenkrupp Ag Elektromechanischer Betätiger zum Betätigen einer Bremse einer Aufzugsanlage
CN106744141A (zh) * 2017-01-23 2017-05-31 菱王电梯股份有限公司 防止电梯意外移动的抱绳器控制电路
US10562739B2 (en) * 2017-08-25 2020-02-18 Otis Elevator Company Synchronized electronic safety actuator
US11807496B2 (en) 2017-12-07 2023-11-07 Inventio Ag Catching device for a traveling body, elevator system having a catching device and method for unblocking a catching device
US11040854B2 (en) 2018-03-03 2021-06-22 Otis Elevator Company Resetting governor sub-systems
EP3656718A1 (en) 2018-11-23 2020-05-27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afety system with self-diagnostic functionality
CN111288100B (zh) * 2018-12-10 2023-03-14 奥的斯电梯公司 制动装置、制动装置检测方法以及电梯系统
CN109944574A (zh) * 2019-03-21 2019-06-28 新疆中凌工程技术有限公司 弱固结油砂储层扩容直井辅助扩容结构及施工方法
CN113753707A (zh) * 2021-10-26 2021-12-07 杭州赛翔科技有限公司 一种别墅电梯故障自救系统
WO2023148267A1 (de) * 2022-02-04 2023-08-10 Cobianchi Liftteile Ag Bremsfangvorrichtung
WO2023148266A1 (de) * 2022-02-04 2023-08-10 Cobianchi Liftteile Ag Bremsfangvorrichtung
WO2023197073A1 (en) * 2022-04-12 2023-10-19 Les Produits Fraco Ltée Synchronized emergency braking system
CN115061532A (zh) * 2022-06-10 2022-09-16 北京主导时代科技有限公司 一种安全触边的触发复位装置
US11975945B1 (en) 2022-11-28 2024-05-07 Otis Elevator Company Frictionless safety brake actuat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28218A1 (en) * 2006-12-05 2008-06-05 Nicolas Gremaud Brake equipment for holding and braking an elevator car in an elevator installation and a method of holding and braking an elevator installation
US20110226560A1 (en) * 2010-03-18 2011-09-22 Josef Husmann Elevator braking equipment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48298A (en) * 1980-10-15 1985-10-22 Born Raymond W Rotor and screw elevator equipped with a fail-safe control system
US5301773A (en) * 1992-10-23 1994-04-12 Otis Elevator Company Positive terminal overspeed protection by rail grabbing
US5518087A (en) * 1993-09-11 1996-05-21 Lg Industrial Systems Co., Ltd. Rail brake apparatus for a linear motor elevator
US5467850A (en) * 1993-12-16 1995-11-21 Otis Elevator Company Permanent magnet, magnetodynamic safety brake for elevators and the like
CN1241815C (zh) * 2001-12-24 2006-02-15 因温特奥股份公司 电梯设备的安全制动装置和具有安全制动装置的电梯设备
AT501415B1 (de) * 2005-01-21 2009-01-15 Wittur Gmbh Brems- bzw. fangeinrichtung für eine aufzugskabine
BRPI0601926B1 (pt) * 2005-06-17 2018-06-12 Inventio Aktiengesellschaft Dispositivo de pára-quedas do freio
WO2008080243A1 (de) * 2007-01-05 2008-07-10 Inventio Ag Aufzugsanlage mit einer aufzugskabine mit einer im bereiche der aufzugskabine angeordneten bremseinrichtung zum halten und bremsen der aufzugskabine und ein verfahren zum halten und bremsen einer solchen aufzugskabine
JP5818810B2 (ja) * 2009-12-23 2015-11-18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Otis Elevator Company エレベータブレーキ装置
AU2011344433B2 (en) * 2010-12-17 2017-03-23 Inventio Ag Lift installation comprising car and counterweight
KR20140002760A (ko) * 2011-03-22 2014-01-08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엘리베이터 제동 시스템
WO2013045358A1 (de) * 2011-09-30 2013-04-04 Inventio Ag Bremseinrichtung mit elektromechanischer betätigu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28218A1 (en) * 2006-12-05 2008-06-05 Nicolas Gremaud Brake equipment for holding and braking an elevator car in an elevator installation and a method of holding and braking an elevator installation
US20110226560A1 (en) * 2010-03-18 2011-09-22 Josef Husmann Elevator braking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559046T3 (es) 2016-02-10
PH12014501193A1 (en) 2014-09-08
IN2014CN03943A (ko) 2015-07-03
RU2600424C2 (ru) 2016-10-20
CA2850583A1 (en) 2013-06-06
AU2012344215A1 (en) 2014-06-19
EP2785626B1 (de) 2015-10-14
WO2013079288A1 (de) 2013-06-06
PH12014501193B1 (en) 2014-09-08
CA2850583C (en) 2019-12-10
HRP20151169T1 (hr) 2015-12-04
NZ624024A (en) 2015-06-26
MX2014006355A (es) 2014-06-23
DK2785626T3 (en) 2016-01-11
BR112014012859A2 (pt) 2017-06-13
EP2785626A1 (de) 2014-10-08
PL2785626T3 (pl) 2016-03-31
MY167280A (en) 2018-08-15
MX341590B (es) 2016-08-26
HUE028382T2 (en) 2016-12-28
PT2785626E (pt) 2016-01-27
BR112014012859B1 (pt) 2021-07-13
RU2014120987A (ru) 2015-11-27
KR101997945B1 (ko) 2019-07-08
US9206015B2 (en) 2015-12-08
ZA201403170B (en) 2015-07-29
US20130133984A1 (en) 2013-05-30
CN103958385B (zh) 2016-11-16
AU2012344215B2 (en) 2017-08-03
CN103958385A (zh) 2014-07-30
SG11201402582WA (en) 2014-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7945B1 (ko) 재설정 수단을 갖는 안전 브레이크
JP4994837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4907342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4607011B2 (ja) エレベータ装置
CN101268003B (zh) 电梯装置
US20120118675A1 (en) Elevator safety circuit
JPWO2005102898A1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WO2005115903A1 (ja) エレベータのロープ滑り検出装置、及びエレベータ装置
WO2006106575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WO2005105646A1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WO2021166144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4792477B2 (ja) エレベーターの安全運転システム
JP4712696B2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WO2005105651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5525347B2 (ja) エレベータの戸開走行防止装置の点検方法ならびにエレベータ監視装置
WO2017199332A1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4292204B2 (ja) エレベータ装置
NZ624024B2 (en) Safety brake with resetting means
KR101943567B1 (ko) 에스컬레이터 주 브레이크 동작 이상시 제어방법
KR100491224B1 (ko) 엘리베이터 제동장치
KR200290749Y1 (ko) 엘리베이터 제동장치
JP2002128413A (ja) エレベータの閉じ込め救出装置
KR20060026026A (ko)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