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0478A - 축전지용 연결 소자 - Google Patents

축전지용 연결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0478A
KR20140100478A KR1020147014041A KR20147014041A KR20140100478A KR 20140100478 A KR20140100478 A KR 20140100478A KR 1020147014041 A KR1020147014041 A KR 1020147014041A KR 20147014041 A KR20147014041 A KR 20147014041A KR 20140100478 A KR20140100478 A KR 201401004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onnecting pin
housing
axis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4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셸 윈덴베르거
오렐리엥 헬
Original Assignee
멀티-홀딩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멀티-홀딩 아게 filed Critical 멀티-홀딩 아게
Publication of KR20140100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04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28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 H01R11/281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for connections to batteries
    • H01R11/284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for connections to batteries comprising means for preventing corrosion, e.g. covers, enclosures filled with g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28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 H01R11/281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for connections to batteries
    • H01R11/289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for connections to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structure of the battery pos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01R13/187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with spring member in the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93Means f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at the end of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zero insertion force or no fri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54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wire spring
    • H01R4/4863Coil sp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 H01R12/72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containing contact members forming a right ang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8Snap or like fastening comprising a pin snapping into a rece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81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ouver type sp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engaging or disengaging the two parts of a coupling device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 1 축을 따라 연장되는 연결 핀(2), 및 내부 공간(9)을 규정하는 하우징 벽(10)을 포함하는 전기 절연 하우징 소자(8)을 갖는 연결 소자(7)를 포함하고, 접촉 소자(13)는 하우징 소자(8)의 내부 공간(9) 안에 배치되고, 접촉 소자(13)는 상기 제 1 축(A1)을 따라 연결 핀(2)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 소자(7)는 접촉 소자(13)에 대해 고정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 안으로 이동할 수 있는 고정 소자(8, 22)를 포함하고, 접촉 소자(13)가 연결 핀(2)에 접촉 상태인 경우, 고정 소자(8, 22)는 고정 위치에 있고, 상기 고정 소자는 연결 핀(2)의 고정부(4)에 폼피팅 방식으로 연결됨으로써 연결 소자(7)와 연결 핀(2) 사이의 연결이 폼-피팅 방식으로 고정되고, 고정 소자(8, 22)는 고정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 안으로 이동할 수 있고, 해제 위치에서 고정 소자(8, 22)와 연결 핀(2) 사이의 폼피트는 제거되고 따라서 접촉 소자(13)와 연결 핀(2) 사이의 이동이 가능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1)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축전지용 연결 소자{CONNECTING ELEMENT FOR A STORAGE BATTERY}
본 발명은 축전지용 연결 소자에 관한 것이다.
축전지용 연결 소자가 종래 기술에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축전지는 차량, 즉 승용차 또는 트럭에 사용될 수 있다. 이 축전지는 차량의 전기적 네트워크에 연결 단자를 통해 연결된다. 축전지는 일반적으로 연결 단자는 축전지와 접촉하게 하는 연결 핀을 포함한다.
이러한 연결 소자는 배터리 셋을 직렬 및/또는 병렬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단자는 통상적으로 단자에 고정 효과(clamping effect)를 제공하는 해당 나사 연결을 통해 구성된다. 나사가 도전물질로 구성된다는 점은 사용자에게 또는 차량 정비에 대해 불리한 점인데, 특히 양극과 음극 사이의 접촉이 의도하지 않고 제공되는 경우 불리하다.
이러한 단점을 갖지 않는 연결 구조가 미국특허 4270827에 게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연결 소자 및 연결 핀 사이의 연결은 스프링 연결을 통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는 축전지용 연결 소자를 한정하는 것이다. 특히, 축전지 및 연결 소자 사이의 기계적 연결이 비의도적 분리에 대해 개선된 방식으로 고정되는 동시에, 연결 소자와 축전지 사이의 의도적 분리가 과도하게 증가되지 않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는 연결 장치는
제 1 축을 따라 연장되고, 접촉부, 고정부 및 연결부를 갖는 연결 핀과, 내부 공간의 범위를 정하는 하우징 벽을 구비한 전기 절연 하우징 소자와, 연결 핀의 접촉부에 연결 소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 1 접촉부 및 외부 전기 도전 소자에 연결 소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 2 접촉부를 포함하는 접촉 소자를 갖는 연결 소자를 포함한다. 접촉 소자는 하우징 소자의 내부 공간 안에 배열되고, 접촉소자는 상기 제 1 축을 따라 접촉 핀에 연결되어 접촉 소자 및 연결 핀 사이에 전기 접촉이 이뤄질 수 있다. 연결 핀은 따라서 하우징 소자의 내부 공간 안으로 돌출된다. 연결 소자는 고정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release position)로 접촉 소자에 관해 이동할 수 있는 고정 소자를 갖는다. 고정 소자는 따라서 접촉 소자에 대해 이동할 수 있으며, 특히 슬라이드할 수 있다. 접촉 소자가 연결 핀과 접촉하는 경우, 고정 소자는 고정 위치에 있으며, 연결 핀의 고정부에 맞는 형태를 통해 연결됨으로써, 연결 소자 및 연결 핀 사이의 연결이 폼-피팅(form-fitting) 방식으로 고정된다. 고정 소자는 고정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 안으로 이동할 수 있는데, 해제 위치에서, 조정 위치와 연결 핀 사이의 폼피트는 제거되고(cancel) 따라서 접촉 소자와 연결 핀 사이의 이동이 가능해짐으로써, 연결이 취소될 수 있다.
접촉 소자에 관해 이동할 수 있는 고정 소자의 배열로 인해, 연결 핀과 연결 소자사이의 연결이 비의도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 소자와 접촉 소자 사이의 미끄러짐성(slidability)때문에, 연결을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다.
내부 공간은 하우징 벽의 개구를 통해 접근가능한데, 바람직하게는 접촉부당 하나의 개구가 배열된다. 그 결과, 연결 핀은 내부 공간 또는 하우징 소자 안으로 개구 중 하나를 통해 각각 돌출된다.
고정 소자는 바람직하게는 하우징 소자의 전체 부분을 구성하는데, 하우징 소자는 접촉 소자에 관해 전체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고정 소자는 하우징 소자 상에 구성되거나 견고하게 구성되거나 성형되고(molded) 하우징 소자로부터 연장된다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특히 간단한 구조가 만들어질 수 있으며, 사용도중에 분실하게 되는 분리된 고정 소자를 준비할 필요는 없다. 접촉 소자 및 연결 핀에 관해 전체적으로 하우징의 슬라이딩은 연결 소자가 연결 핀과 접촉되어 있는 경우 연결을 분리할 때 연결 소자를 꽉 잡기 위해 더 큰 결합부를 사용자가 갖는다는 장점을 추가로 갖는다.
고정 소자 또는 하우징 소자 각각은 바람직하게는 제 1 축, 즉 연결 핀의 축에 직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고정 소자는 바람직하게는 하우징 벽 안의 개구의 에지부 부분 또는 에지부에 의해 제공된다. 그렇지않으면, 고정 소자는 하우징 벽으로부터 멀리 연장되고 연결 핀의 고정부와 결합하는 탭(tab)을 구성한다.
고정 소자는 바람직하게는 하우징 벽 안의 개구의 에지부의 적어도 일부인데, 연결 핀이 상기 개구를 통해 하우징 소자 안으로 돌출된다.
고정 소자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구 안으로 돌출되며 따라서 상기 개구의 단면을 어느 정도 줄인다. 그렇지않으면, 고정 소자는 개구 자체의 에지부에 의해 제공되는데, 개구가 연결 핀 또는 접촉 소자 각각의 제 1 축에 대해 중심을 달리하여 오프셋(offset)된다.
연결 핀의 고정 소자는 바람직하게는 리세스(recess) 형상을 갖는데, 특히 골(furrow) 또는 홈(groove) 형상을 가지며, 고정 소자는 리세스와 결합하거나 리세스 안으로 돌출된다. 상기 리세스는 상기 제 1 축에 경사지게, 특히 직각으로 향하는 멈춤면(stop face)을 제공하는데, 고정 소자는 이 멈춤면과 접촉하거나 연결을 분리하려고 할 경우 이 멈춤면에 대해 각각 기댄다. 연결 소자가 연결 핀으로부터 분리되어야 하는 경우, 고정 소자는 멈춤면 부분으로부터 제거되어야 한다.
연결 소자는 해제 위치로부터 고정 위치 방향으로 고정 소자 상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원 소자(restoring element)를 추가로 포함하여, 고정 소자가 복원력에 대해 작용하는 작동력(actuation force)의 소멸과 함께 고정 위치에 고정된다. 따라서 간단한 고정 위치 선정이 이뤄진다.
복원 소자는 바람직하게는 스프링 수단이며, 특히 하우징 소자 및 접촉 소자 사이에 배치된 압축 스프링이다.
하우징 소자는 바람직하게는 멈춤 소자를 포함하는데, 멈춤 소자는 하우징 소자외 접촉 소자 사이의 이동 범위를 정하는 역할을 하거나, 접촉 소자 및 연결 핀이 각각 분리된 상태에 있는 경우 복원력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추가적인 실시예는 종속항에서 한정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연결 소자는 연결 핀과 연결 소자사이의 연결이 비의도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고정 소자와 접촉 소자 사이의 미끄러짐성(slidability)때문에, 연결을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르는 연결 소자의 투시도이다.
도2는 상이한 관점으로부터 도1에 따르는 연결 소자의 투시도이다.
도3은 도1 및 도2에 따르는 연결 소자의 단면도이다.
도4는 도3에 따르는 단면도로서, 축전지의 연결 핀이 추가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
도5는 연결 핀이 없는 도2에 따르는 투시도이다.
연결 장치(1)의 투시도가 도1 및 도2에 표시되어 있다. 연결 장치는 기본적으로 연결 핀(2) 및 연결 소자(7)를 포함하는데, 연결 핀(2)과 연결 소자(7) 사이에 전기적 접촉이 이뤄진다.
연결 핀(2)은, 예를 들어, 차량용 배터리와 같은 축전지의 부품이거나 다른 전기 장치의 부품일 수 있다. 연결 핀은 도4에서 특히 잘 볼 수 있다. 연결 핀(2)은 제 1 축(A1)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접촉부(3), 고정부(4) 및 연결부(5)를 포함한다. 접촉부(3)는 대체로 원기둥 형태이다. 축(A1)의 방향으로 직접 접촉부(3)에 인접하는 고정부(4)는 원기둥 형태와 유사하며 접촉부(3)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다. 연결부(5)에 마주보는 고정부(4)에 인접하는 연결부(5)는 임의대로 구성될 수 있다. 연결부(5)의 형태는 대체로 처음에 언급합 바와 같이 전기 장치에 따른다. 여기에서, 플랜지(30)는 인접하는 나사산부(31)를 갖는데, 나사산부(31)를 통해 연결부(5)가 전기 장치에 연결된다. 고정부(4)를 이루는 해당 주변 홈 또는 골(32)이 생성되도록 플랜지(30)는 고정부(4)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
연결 소자(7)는 기본적으로 전류를 절연하는 하우징 소자(8), 접촉 소자(13) 및 고정 소자(22)를 포함한다.
하우징 소자(8)는 내부 공간의 범위를 정하는 하우징 벽(10)을 포함한다. 내부 공간(9)은 하우징 벽(10)을 관통하는 개구(11, 12)를 통해 접근가능하다. 고정 소자(22)는 본 실시예의 하우징 소자(8)의 일부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연결 소자(7)는 연결 핀(7)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역할을 하는 접촉 소자(13)를 추가로 포함한다. 접촉 소자(13)는 하우징 소자(8)의 내부 공간(9) 안에 배치된다. 접촉 소자(13)는 제 1 축(A1)을 따라 연결 핀(2)에 연결할 수 있는데, 연결 핀(2)과 접촉 소자(13) 사이의 전기적 접촉이 이 연결을 통해 이뤄진다.
고정 소자(8)는 접촉 소자(13)에 대해 고정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 안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이동은 바람직하게는 손으로 이뤄진다. 접촉 소자가 연결 핀(2)에 접촉하는 경우, 고정 소자(8, 22)는 따라서 고정 위치에 존재하는데, 고정 소자(8, 22)는 연결 핀(2)의 고정 영역(4)에 꼭 맞는 형태를 통해 연결된다. 이 방식에서, 고정 소자(8,22)에 의해, 연결 소자(7) 및 연결 핀(2) 사이의 연결은 비의도족 분리에 대해 폼-피팅 방식으로 고정된다. 고정 소자(8,22)는 고정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데, 해제 위치에서, 고정 소자(8, 22)와 연결 핀 사이에 끼워진 형태는 무효화되어, 접촉 소자(13) 및 연결 핀(2) 사이의 이동이 가능해진다.
고정 소자(8, 22)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3 및 도4를 각각 참고로 지금부터 설명된다. 고정 소자(22)는 하우징 소자(8)의 일부인데, 고정 소자(22)는 하우징 소자(8) 상에 구성된다. 이것은 바람직하게는 경식 성형으로, 하우징 소자(8)와 고정 소자(22)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이 없게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다시 말해, 고정 소자(22)와 하우징 소자(8)는 서로 일체로 구성된다. 고정 소자(22)는 하우징 벽(10)의 일부를 구성한다.
고정 소자(8, 22)는 하우징 벽(10)의 개구(11)의 에지부의 일부인데, 연결 핀(2)이 상기 개구(11)를 통해 하우징 소자 안으로 돌출되고, 고정 소자(8, 22)는 상기 개구(11) 안으로 돌출되며 상기 개구(11)의 단면을 어느 정도 줄인다. 고정 소자(8, 22)는 개구(11) 안으로 돌출되는 탭(tab, 33)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이것은 도5에 표시되어 있다. 탭(33)은 하우징 소자(8)로부터 개구(11) 안으로 전체 구성 부품처럼 멀리 돌출되고 따라서 탭의 단면을 약간 줄인다. 이것은 하우징 소자상에 탭(33)을 경식 성형하는 것이다. 탭(33)은 또한 탭과 고정 소자(4) 사이의 위치선정을 개선하는, 골 또는 홈(32)과 같은 오목한 둥글게된 부분을 각각 포함한다.
그렇지 않으면, 고정 소자(8, 22)는 개구(11)의 측면 벽의 일부를 쉽게 구성할 수 있는데, 이 부분은 고정부(4)와의 폼-피팅 결합을 제공한다. 도3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개구(11)는 원형 방식으로 또는 슬롯처럼 타원형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고정 위치에서 개구(11)는 제 1 축(A1)에 대해 또는 제 1 접촉부(14)에 대해 각각 중심을 달리하여 배치된다. 중심 축 및 제 1 축(A1)은 바람직하게는 해제 위치에서 서로에 대해 동일선상에 존재한다.
고정 소자(8, 22)에 관해서, 고정 소자가 고정부(4)와 부합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고정 소자(8, 22) 및 고정부(4) 사이의 연결이 비의도적 분리에 맞서 잘 고정된다는 점이 중요하다.
하우징 소자(8)는 접촉 소자(13)에 대해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상대적 이동이 접촉 소자(13)와 하우징 소자(8)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접촉 소자(13)가 하우징 소자(8)에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접촉 소자 및 하우징 소자(8) 사이의 이동은 축, 여기서는 제 2 축(A2)을 따라 수행된다. 접촉 소자(13)가 연결 핀(2)과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있으면, 하우징 소자(8)는 접촉 소자(13) 및 연결 핀(2)에 대해 고정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고정 위치에서, 도4에 표시된, 고정 소자(22)를 구비한 하우징 소자(8)는 연결 핀(2)의 고정부(4)에 꼭 맞는 형태를 통해 연결된다. 연결 소자(7) 및 연결 핀(2) 사이의 연결은 따라서 기계적으로, 특히 폼-피팅 방식으로 고정된다. 폼 피트는 따라서 연결 핀(2)에 대해, 접촉 소자(13)를 포함하는 하우징 소자(8) 사이의 이동을 방지한다. 그 결과, 연결 소자(7) 및 연결 핀(2) 사이에서 제 1 축(A1)을 따르는 이동 경로는 각각 해제되거나 고정되지 않는다.
해제 위치에서, 하우징 소자(8) 상에 구성된 고정부(4)와 고정 소자(22) 사이에 꼭맞는 형태가 제거되어, 연결 소자(7) 및 연결 핀(2) 사이의 연결이 취소될 수 있다. 하우징 소자(8)는 접촉 소자(13)에 대해 이동하고 연결 핀(2)에 대해 고정부(4)로부터 이동함으로써, 제 1 축(A1)을 따르는 이동 경로가 해제된다.
이 실시예에서 고정 소자(22)는 하우징 벽(10)안의 개구(11)의 에지부에 의해 제공된다. 이 에지부는 고정부(4) 안으로 돌출되는데, 여기에서는 각각 골 또는 홈(32)의 형태이다.
따라서 연결 핀(2)의 고정부(4)는 리세스(32) 형태, 특히 골 또는 홈의 형태를 갖는다. 고정 소자(8, 22)는 따라서 이 리세스와 결합한다. 리세스(32)는 멈춤면(stop face, 34)를 제공하는데, 각각 멈춤면에 고정 소자(8, 22)가 결합하거나 멈춤면 안으로 고정소자(8, 22)가 돌출된다. 멈춤면(34)은 제 1 축(A1)에 경사지게, 특히 직각, 따라서 연결 소자(7), 즉 접촉 소자(13) 및 연결 핀(2) 사이의 이동 방향에 경사지도록 향한다. 그 결과, 전기 연결을 분리하고자 할 경우, 고정 소자(8, 22)는 고정 위치에서 이 멈춤면(34)에 맞서 정지하며, 분리 방향으로의 이동이 방지된다.
바람직하게는 고정부(4) 또는 리세스(32) 각각의 정확한 폭은 고정부(4) 안으로 돌출되는 고정 소자(22) 또는 하우징 벽(10)의 두께보다 약간 크다.
접촉 소자(13)와 연결 핀(2) 사이의 연결을 취소하기 위해, 먼저 사용자는 고정부로부터 해제 위치 안으로 고정 소자(8, 22)를 가져와야 한다. 고정 소자(8, 22)는 골 또는 홈(32)로부터 잡아당겨지고 따라서 더이상 멈춤면에 맞서 멈취있지않는다. 그 결과, 연결이 분리될 수 있다.
도3 및 도4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연결 소자(1)는, 고정 소자(8, 22) 상의 복원력(FR)을 해제 위치로부터 고정 위치 안으로의 방향으로 제공하여 고정 소자(8, 22)가 복원력에 맞서 작용하는 작동력의 제거와 함께 고정 위치 안에 고정되도록 하는, 복원 소자(17)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복원 소자(17)는 하우징 소자(4)와 접촉 소자(7) 사이에 배치된 스프링 수단, 특히 압축 스프링(23)이다. 압축 스프링(23)은 복원력을 제공하고, 하우징 소자(8)의 부품인 고정 소자(22)를 고정 위치에 고정한다. 그 결과, 고정 소자(7)가 연결 핀에 연결되는 경우, 스프링 힘 때문에 연결 핀 상의 고정부 안으로 고정 위치에 있는 고정 소자(22)가 자동으로 잠겨진다(latch).
또한, 고정 소자(22)는 선택적으로 작동면(27)을 갖는다. 작동면(27)은 연결 소자(7)를 연결 핀(2)에 연결하는 경우 고정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 안으로 고정 소자(22)를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 1 축(A1)에 관해 경사져 있기 때문에 연결할 때 이동 방향에 대해 경사져 있는 작동면(27)은 연결 핀(2)의 말단면(end face, 28)과 접촉하게 된다. 연결 소자(7)에 제 1 축(A1)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경우, 연결 하우징 상의 힘은 경사진 작동면(27)을 통해 생성되며, 그로 인해 고정 소자(22)는 고정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 안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따라서 고정 소자(22)는 연결 소자(7)와 연결 핀(2) 사이의 연결을 위한 경로를 해제한다.
하우징 소자(8)는 멈춤 소자(24)를 추가로 포함한다. 멈춤 소자(24)는 기본적으로 하우징 소자(8)와 접촉 소자(17) 사이의 이동 범위를 제공한다. 다시 말해서, 멈춤 소자(24)는 접촉 소자(13)와 연결 핀(2)이 분리된 상태에 있는 경우, 복원력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고 말할 수 있다. 이것은 도3에서 알 수 있다. 멈춤 소자(24)는 소켓 개구(28) 안으로 돌출되기 때문에 접촉 소자(13)와 접촉하게 되는데, 멈춤 소자(24)는 스프링 수단(17)의 힘을 흡수한다.
연결 소자(7) 또는 접촉 소자(13) 각각과 연결 핀(2) 사이의 전기적 접촉은 이제 도3 및 도4를 참고로 설명한다. 접촉 소자(7)의 제 1 접촉부(14)는 소켓 개구(18)에 의해 제공되는데, 소켓 개구(18)는 환상 측벽(19)를 갖고, 연결 핀(2), 특히 측면(29)과 접촉하게 된다. 접촉 소자(13)와 연결 핀(2) 사이의 전기 접촉은 따라서 측벽(19)과 측면(29) 사이에서 이뤄질 수 있다. 개별적인 추가 접촉 수단(20)이 연결 핀(2)과 소켓 하우징(18) 사이의 전기 접촉을 개선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접촉 수단(20)은 바람직하게는 연결할 경우 다수의 탄성 망(web)을 갖는 접촉 라멜라(lamella)이며, 연결되어 있는 동안 방향을 약간 바꾸고 스프링 힘을 유지한다.
접촉 소자(13)의 제 2 접촉부(15)는 접촉 소자(13) 안의 개구(21)에 의해 제공되는데, 개구(21)는 외부 소자(16)를 수용하고 외부 소자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외부 소자(16)는 케이블 형태를 갖는다. 외부 소자(16)는 개구(12)를 통해 하우징 소자(8)의 외부로 인도한다.
제 1 접촉부(14)는 바람직하게는 제 1 축(A1)을 따라 연장되고 제 2 접촉부(15)는 바람직하게는 제 2 축(A2)을 따라 연장된다. 제 1 축(A1)은 제 2 축(A2)에 대해 경사지게, 바람직하게는 수직으로 배치된다.
제 2 축에 대해 고정 소자(22)는 이 제 2 축(A2)을 따라 고정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 안으로 이동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하우징 소자(8)는 하우징 벽(10)의 외부면(24) 상에 우묵한 손잡이(25)를 갖는다. 사용자는 이 우묵한 손잡이(25)를 통해 하우징 소자(8)에 작동력을 가할 수 있고 하우징 소자를 고정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즉, 고정 접촉 소자(13)에 대해그리고 고정 연결 핀(2)에 대해, 이동시킬 수 있다.
도1 및 도2에서, 연결 핀(2)이 하우징 소자(8) 안으로 돌출되는 개구(11)는 플랜지(26)로 둘러싸이는 것을 알 수 있다. 제 1 축(A1)에 수직 방향으로 보이는 플랜지(26)는 연결 핀(2)보다 큰 직경을 갖늦다. 따라서 플랜지(26)는 해당 부분의 연결 핀(2) 이상으로 연장된다. 도2에서 하우징 소자(8)의 플랜지(26)가 연결 핀(2)의 플랜지(30) 이상으로 연장되는 것을 분명하게 알 수 있다.
1 : 연결 장치 2 : 연결 핀
3 : 접촉부 4 : 고정부
5 : 연결부 7 : 연결 소자
8 : 하우징 소자 9 : 내부 공간
10 : 하우징 벽 11 : 개구
12 : 개구 13 : 접촉 소자
14 : 제 1 접촉부 15 : 제 2 접촉부
16 : 제 1 도전 소자 17 : 복원 소자
18 : 소켓 개구 19 : 측벽
20 : 접촉 수단 21 : 개구
22 : 고정 소자 23 : 압축 스프링
24 : 외부면 25 : 우묵한 손잡이
26 : 플랜지 27 : 작동면
28 : 말단면 29 : 측면
30 : 플랜지 31 : 나사산부
32 : 골/홈 33 : 탭
34 : 멈춤면 FR : 복원력
FB : 작동력

Claims (15)

  1. 제 1 축을 따라 연장되고 접촉부(3), 고정부(5) 및 연결부(5)를 갖는 연결 핀(2), 및
    내부 공간(9)의 범위를 정하는 하우징 벽(10)을 구비한 전기 절연 하우징 소자(8)을 갖고, 연결 핀(2)의 접촉부(3)에 연결 소자(7)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 1 접촉부(14)와 외부 전기 도전 소자(16)에 연결 소자(7)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 2 접촉부를 포함하는 접촉 소자(13)를 갖는 연결 소자(7)를 포함하고,
    접촉 소자(13)는 하우징 소자(8)의 내부 공간(9) 안에 배치되고,
    접촉 소자(13)는 상기 제 1 축(A1)을 따라 연결 핀(2)에 연결되어 접촉 소자(13)와 연결 핀(2) 사이에 전기 접촉이 이뤄질 수 있고,
    상기 연결 소자(7)는 접촉 소자(13)에 대해 고정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 안으로 이동할 수 있는 고정 소자(8, 22)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접촉 소자(13)가 연결 핀(2)에 접촉하는 경우, 고정 소자(8, 22)는 고정 위치에 있고, 고정 위치에서 고정 소자는 연결 핀(2)의 고정부(4)에 폼피트를 통해 연결됨으로써 연결 소자(7)와 연결 핀(2) 사이의 연결이 폼-피팅 방식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고정 소자(8, 22)는 고정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 안으로 이동할 수 있고, 해제 위치에서 고정 소자(8, 22)와 연결 핀(2) 사이의 폼피트는 제거되고 접촉 소자(13)와 연결 핀(2) 사이의 이동이 따라서 가능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1).
  2. 제 1 항에 있어서,
    고정 소자(8, 22)는 하우징 소자(8)의 전체 부분을 구성하고, 하우징 소자(8)는 접촉 소자(13)에 대해 전체적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고정 소자(8, 22)는 하우징 소자(8) 상에 견고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소정 소자(22) 또는 하우징 소자(8)는 각각 상기 제 1 축(A1)에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정 소자(8, 22)는 하우징 벽(10)의 개구(11)의 에지부의 일부이고, 연결 핀(2)은 상기 개구를 통해 하우징 소자 안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고정 소자(8, 22)는 상기 개구(11) 안으로 돌출되고 상기 개구(11)의 단면을 부분적으로 감소시키고, 또는 고정 소자(8, 22)는 개구(11) 자체의 에지부에 의해 제공되고, 개구(11)는 연결 핀(13) 또는 접촉 소자(13) 각각의 제 1 축(A1)에 대해 중심을 달리하여(eccentrically)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 핀(2)의 고정부(4)는 리세스 형태, 특히 골 또는 홈의 형태를 갖고, 고정 소자(8, 22)는 각각 리세스 형태와 결합하거나 리세스 형태 안으로 돌출되고, 리세스(32)는 상기 제 1 축(A1)에 경사지게, 특히 직각으로 향하는 멈춤면(34)을 제공하고, 고정 소자(8, 22)는 이 멈춤면(34)과 접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 소자(1)는 해제 위치로부터 고정 위치 안으로의 방향으로 고정 소자(8, 22) 상에 복원력(FR)을 제공하는 복원 소자를 추가로 포함하여, 복원력에 맞서 작동하는 작동력(FB)의 제거로 고정 소자(8, 22)가 고정 위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복원 소자(7)는 하우징 소자(4)와 접촉 소자(7) 사이에 배치된 스프링 수단, 특히 압축 스프링(2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하우징 소자(8)는 멈춤 소자(24)를 포함하고, 접촉 소자(13)와 연결 핀(2)이 분리 상태인 경우, 멈춤 소자(24)는 각각 하우징 소자(8)와 접촉 소자(17) 사이의 이동 범위를 지정하거나 복원력을 흡수하는 작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촉 소자(7)의 제 1 접촉부(14)는 소켓 개구(18)에 의해 제공되고, 소켓 개구(18)는 연결 핀(2)과 접촉하게 되는 원주 측벽(19)을 갖고, 접촉 수단(20), 특히 접촉 라멜라가 측벽(19)과 연결 핀(2) 사이에 선택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촉 소자(13)의 제 2 접촉부(15)는 접촉 소자(13)의 개구(21)에 의해 제공되고, 개구(21)는 외부 소자(16)를 수용하거나 외부 소자(16)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접촉부(14)는 제 1 축(A1)을 따라 연장되고, 제 2 접촉부(15)는 제 2 축(A2)을 따라 연장되며, 제 1 축(A1)은 제 2 축(A2)에 경사지게, 바람직하게는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고정 소자(22)는 제 2 축(A2)을 따라 고정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우징 벽(10)의 외부면(24) 상의 하우징 소자(8)는 우묵한 손잡이(25)를 갖고, 손잡이를 통해 사용자는 하우징 소자(8)에 작동력을 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 핀(2)이 하우징 소자(8) 안으로 돌출하는 개구(11)는 플랜지(26)로 둘러싸이고, 제 1 축(A1)에 수직 방향인 플랜지(26)는 연결 핀(2) 보다 큰 직경을 갖고, 이 플랜지(26)는 연결 핀(2) 너머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KR1020147014041A 2011-12-05 2012-11-12 축전지용 연결 소자 KR2014010047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1191908.0A EP2602878A1 (de) 2011-12-05 2011-12-05 Anschlusselement für eine Speicherbatterie
EP11191908.0 2011-12-05
PCT/EP2012/072380 WO2013083361A1 (de) 2011-12-05 2012-11-12 Anschlusselement für eine speicherbatteri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0478A true KR20140100478A (ko) 2014-08-14

Family

ID=47215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4041A KR20140100478A (ko) 2011-12-05 2012-11-12 축전지용 연결 소자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312622B2 (ko)
EP (2) EP2602878A1 (ko)
JP (1) JP2015506056A (ko)
KR (1) KR20140100478A (ko)
CN (1) CN103959563A (ko)
BR (1) BR112014013318A2 (ko)
WO (1) WO20130833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016926A1 (de) * 2015-12-24 2017-06-29 Audi Ag Elektrisches Verbindungselement
BE1023715B1 (nl) * 2016-06-07 2017-06-26 Daviation Bvba Elektrische voedingsstekker en elektrische contrastekker
USD886060S1 (en) * 2018-01-19 2020-06-02 Cps Technology Holdings, Llc Battery vent adapter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7807069U1 (de) 1978-03-09 1978-06-22 Potgieter, Maurice S., Tulsa, Okla. (V.St.A.) Batterieanschlußklemme
JPS61181060A (ja) * 1985-02-04 1986-08-13 チヤ−ルズ ア−チヤ− モ−リソン バツテリ端子コネクタ
JPS6233114U (ko) * 1985-08-13 1987-02-27
JPH0525676U (ja) * 1991-09-11 1993-04-0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ロツク構造
JP3136971B2 (ja) * 1995-10-13 2001-02-19 住友電装株式会社 バッテリポストへの電線接続装置
JP3204918B2 (ja) * 1996-04-08 2001-09-04 矢崎総業株式会社 蓄電池用端子構造
US7484987B2 (en) * 2006-12-19 2009-02-03 Finisar Corporation Latch assembly for an optoelectronic module
FR2953333B1 (fr) * 2009-11-27 2012-07-13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pour la connexion d'un cable electrique sur une borne de batterie d'accumulate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02878A1 (de) 2013-06-12
CN103959563A (zh) 2014-07-30
EP2789052A1 (de) 2014-10-15
US20140308837A1 (en) 2014-10-16
WO2013083361A1 (de) 2013-06-13
JP2015506056A (ja) 2015-02-26
US9312622B2 (en) 2016-04-12
BR112014013318A2 (pt) 2017-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087190A1 (en) Electrical Connector
JP5876510B2 (ja) 電気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システム
JP5268457B2 (ja) シガープラグの固定構造
EP2805384B1 (en) Electrical connector
JP2008258081A (ja) レバー式コネクタ
EP2805387B1 (en) Electrical connector
KR20100087059A (ko) 커넥터, 커넥터 조립체 및 접속 방법
KR101909830B1 (ko) 커넥터 부재 및 커넥터
US10390449B2 (en) Electrical device for rail mounting
KR20140100478A (ko) 축전지용 연결 소자
EP2805383B1 (en) Electrical connector
WO2016190268A1 (ja) ゴム栓アッシー
JP5018905B2 (ja) 電磁接触器ユニット
EP2805386B1 (en) Electrical connector
US9847600B2 (en) Lever fitting-type connector
WO2013108337A1 (en) Electrical connector
US20140374545A1 (en) Housing and wire holder thereof
JP5516353B2 (ja) コネクタ
JP7400004B2 (ja) プリント回路基板をプラグ本体に固定するためのアセンブリ、プリント回路基板をプラグ本体に固定する方法
CN220797299U (zh) 适配器及具有其的电气设备
RU2816578C1 (ru) Механизм для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переключателя, соответствующие электрический узел и электрический переключатель
CN111064017B (zh) 保护导体端子
WO2016038561A2 (en) Enhanced switch assembly
US20140202842A1 (en) Push button switch
JPH031741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