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7347A - 충전 장치, 충전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주변 장치를 검출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충전 장치, 충전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주변 장치를 검출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7347A
KR20140097347A KR1020147015938A KR20147015938A KR20140097347A KR 20140097347 A KR20140097347 A KR 20140097347A KR 1020147015938 A KR1020147015938 A KR 1020147015938A KR 20147015938 A KR20147015938 A KR 20147015938A KR 20140097347 A KR20140097347 A KR 201400973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peripheral device
charging
unit
charg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5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1216B1 (ko
Inventor
성후이 왕
젠화 장
샤오펑 쉔
카이화 뉴
샤오 첸
지엔웨이 후앙
차오지에 종
린 류
Original Assignee
쉔젠 비와이디 오토 알앤디 컴퍼니 리미티드
비와이디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쉔젠 비와이디 오토 알앤디 컴퍼니 리미티드, 비와이디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쉔젠 비와이디 오토 알앤디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40097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73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1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12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46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electric energy storage systems, e.g. batteries or capac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69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the isolation, e.g. ground fault or leak cur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12Recording operating variables ; Monitoring of operating vari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05Communication inte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5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involving identification of vehicles or their battery ty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60L53/665Methods related to measuring, billing or pay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80Time lim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40The network being an on-board power network, i.e. within a vehicle
    • H02J2310/48The network being an on-board power network, i.e. within a vehicle for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28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 H02J3/32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using batteries with converting means
    • H02J3/322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using batteries with converting means the battery being on-board an electric or hybrid vehicle, e.g. vehicle to grid arrangements [V2G], power aggregation, use of the battery for network load balancing, coordinated or cooperative battery charg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6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connection detecting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02J7/04Regulation of charging current or volt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7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i.e. smartgrids as interface for battery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04S30/12Remote or cooperative charg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04S30/14Details associated with the interoperability, e.g. vehicle recognition, authentication, identification or bi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충전 장치는, 접속 확인 유닛과 수신 유닛을 포함하는 충전 건; 저전압 보조 전원; AC 전기를 DC 전기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전력 모듈; 및 저전압 보조 전원을 제어하여 제어 모듈에 접속된 회로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충전 건, 저전압 보조 전원, 및 전력 모듈에 각각 접속된 그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충전 장치, 충전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주변 장치를 검출하는 방법{CHARGING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CHARGING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PERIPHERAL DEVICE}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1년 12월 28일자로 중국 특허청에 출원한 중국 특허출원번호 제201110445376.X호인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문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원용된다.
본 개시 내용은, 일반적으로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충전 장치, 충전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충전 장치에 의해 충전될 주변 장치를 검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서, 자동차 기술은 급격하게 발전하였다. 에너지 위기 때문에, 전기 차량이 새롭고 경쟁력 있는 대안으로 되고 있으며, 충전 캐비넷(cabinet)도 개발되고 있다.
통상적인 충전 캐비넷은 서로 다른 전기 차량들의 서로 다른 충전 요건들을 만족시킬 필요가 있으며, 이에 따라 충전이 실패할 우려가 있다. 또한, 제조 후 또는 수리 후 전기 차량의 충전부(charge entrance)의 애노드와 캐소드를 반대로 접속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충전이 비정상적일 수 있다. 따라서, 충전 전에 충전부를 위한 하이 디버깅(high debugging)이 필요하다. 그러나, 통상적인 충전 캐비넷은, 큰 사이즈로 인해 이동이 불편하므로, 전기 차량을 충전 캐비넷으로 이동시켜 충전 디버깅을 수행해야 하며, 이는 불편하다.
또한, 본 개시 내용의 발명자는, 충전부가 비정상적인지 여부만을 통상적인 충전 캐비넷이 검출할 수 있고, 충전 실패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는 없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당업자가 충전 캐비넷을 체크하여 충전이 실패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있으며, 이는 시간 및 비용 소모적일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충전 장치는, 접속 확인 유닛과 수신 유닛을 포함하는 충전 건(charging gun); 저전압 보조 전원; AC 전기를 DC 전기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전력 모듈; 및 충전 건, 저전압 보조 전원, 및 전력 모듈에 각각 접속된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제어 모듈은, 제어 모듈에 접속된 회로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저전압 보조 전원을 제어하고, 접속 확인 유닛은, 충전 건이 주변 장치에 접속되어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 제어 모듈에 접속 확인 신호를 송신하고, 제어 모듈은, 접속 확인 신호를 수신한 후, 수신 유닛에 제1 요구를 트리거하고, 제어 모듈이 제1 요구에 대한 응답으로 제1 보고를 수신 유닛으로부터 수신하면, 제어 모듈은, AC 전기를 DC 전기로 변환하여 주변 장치를 충전하도록 전력 모듈을 제어한다.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는, 저전압 보조 전원과 전력 모듈을 자체적으로 사용하여 전력을 공급하며, 이는 주변 장치의 충전뿐만 아니라 충전 장치의 이동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가, 주변 장치를 충전하기 전에 제어 모듈을 사용하여 충전 장치의 작업 상태를 자동 검출함에 따라, 충전의 안전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충전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여기서, 충전 장치는, 접속 확인 유닛과 수신 유닛을 포함하는 충전 건; 저전압 보조 전원; AC 전기를 DC 전기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전력 모듈; 및 충전 건, 저전압 보조 전원, 및 전력 모듈에 각각 접속된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충전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은, 제어 모듈과 저전압 보조 전원을 기동하여 제어 모듈에 접속된 회로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 충전 건이 주변 장치에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충전 건이 주변 장치에 접속되어 있다면, 제어 모듈에 접속 확인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접속 확인 신호를 수신한 후, 제어 모듈에 의해 수신 유닛에 제1 요구를 송신하는 단계; 제1 요구에 대한 응답으로 제1 보고가 제어 유닛에 의해 수신 유닛으로부터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제1 보고가 제어 유닛에 의해 수신되었다면, 제어 모듈에 의해, 전력 모듈을 제어하여 AC 전기를 DC 전기로 변환하여 주변 장치를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은 충전 전에 충전 장치가 주변 장치를 충전하는 데 적합한지 여부를 판정하고, 이는 충전의 안전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충전 장치는 저전압 보조 전원을 자체적으로 구비하여 전력을 공급하므로, 충전뿐만 아니라 충전 장치의 이동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충전 장치는, 주변 장치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건; 충전 건이 주변 장치에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접속 결정 유닛; 충전 건이 주변 장치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 충전 장치와 주변 장치 간의 통신을 활성화하기 위한 저전압 전원 유닛; 주변 장치에 제1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송신하기 위한 송신 유닛; 제1 기간 후의 송신 유닛에 의한 제1 메시지의 송신을 중단하기 위한 타이밍 유닛; 주변 장치로부터, 제1 기간 후의 송신 유닛에 의한 제1 메시지의 송신의 중단에 응답하여 제1 보고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유닛; 및 송신 유닛에 의한 제1 메시지의 송신의 중단 후에 수신 유닛이 제2 기간 내에 제1 보고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수신 유닛이 제2 기간 내에 제1 보고를 수신하였다면, 충전 건을 제어하여 주변 장치를 충전하기 위한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는 저전압 전원 유닛을 자체적으로 구비하며, 이는 주변 장치의 충전뿐만 아니라 충전 장치의 이동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는 주변 장치를 충전하기 전에 주변 장치와의 접속이 정상적인지 여부를 자동 검출하므로, 충전의 안전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충전 장치에 의해 충전될 주변 장치를 검출하는 방법은, 충전 장치가 주변 장치에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충전 장치가 주변 장치에 접속되어 있다면, 충전 장치와 주변 장치 간의 통신을 활성화하는 단계; 주변 장치에 제1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송신하는 단계; 제1 기간 후의 제1 메시지의 송신을 중단하는 단계; 제1 기간 후의 제1 메시지의 송신 중단에 응답하여 제1 보고가 제2 기간 내에 주변 장치로부터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제1 보고가 제2 기간 내에 주변 장치로부터 수신되었다면, 충전 장치를 제어하여 주변 장치를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에 의해 충전될 주변 장치를 검출하는 방법은, 충전 장치와 주변 장치 간의 접속이 정상적인지 여부를 검출하고, 이는 충전의 안전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들의 추가 양태들과 장점들은, 부분적으로는 이하의 설명에서 제공되며, 부분적으로는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며, 또는,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들의 실시로부터 교시된다.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들의 양태들과 장점들 및 다른 양태들과 장점들은, 첨부 도면과 함께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할 것이며 더욱 쉽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 내용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본 개시 내용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본 개시 내용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4는 본 개시 내용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5는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6은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에 의해 충전될 주변 장치를 검출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참조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서술적이며, 예시적이며, 본 개시 내용을 대략적으로 이해하는 데 사용된다. 실시예들은 본 개시 내용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동일한 또는 유사한 요소들 및 동일한 또는 유사한 기능들을 갖는 요소들은 명세서 전반에 걸쳐 유사한 참조 번호들로 표시한다.
본 개시 내용에 따른 충전 장치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 내용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충전 장치(10)는, 충전 건(charging gun; 110), 저전압 보조 전원(120), 전력 모듈(130), 및 제어 모듈(140)을 포함한다. 제어 모듈(140)은, 충전 건(110), 저전압 보조 전원(120), 및 전력(130)에 각각 접속된다. 충전 건(110)은 접속 확인 유닛(111)과 수신 유닛(112)을 더 포함한다.
전력 모듈(130)은 AC 전기를 DC 전기로 변환하도록 구성된다. 제어 모듈(140)은, 저전압 보조 전원(120)을 제어하여 제어 모듈에 접속된 회로에 전력을 공급시키도록 구성된다.
충전 건(110)이 주변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다고 판정하면, 접속 확인 유닛(111)은 접속 확인 신호를 제어 모듈(140)에 송신한다. 제어 유닛(140)은, 접속 확인 신호를 수신한 후, 수신 유닛(112)에 제1 요구를 트리거한다. 수신 유닛(112)이 제어 모듈(140)로부터 제1 요구를 수신하면, 수신 유닛은 제1 요구에 대한 응답으로 제1 보고를 제어 모듈(140)에 송신한다. 제어 모듈(140)은, 제1 보고를 수신한 후, 전력 모듈(130)을 제어하여 AC 전기를 DC 전기로 변환하여 주변 장치를 충전시킨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어 모듈(140)은, 또한, 제1 요구가 수신 유닛(112)에 송신될 최종 항목의 요구인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요구들의 개수와 시퀀스는 제어 모듈(140)에 의해 미리 설정되어 있다. 제1 요구가 최종 요구가 아니면, 제어 모듈(140)은, 또한, 저전압 보조 전원(120)을 리셋하고 수신 유닛(112)에 제2 요구를 트리거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요구 및/또는 제2 요구는, 수신 유닛(112)으로의 송신을 중단하는 메시지의 형태를 취할 수 있고, 제1 보고 및/또는 제2 보고는 타임 아웃 보고일 수 있다. 또한, 메시지들은 충전 건의 작업 상태들에 각각 대응할 수 있고, 용량 메시지, 전류 메시지, 및 정격 전력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러한 예들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시 말하면, 제어 유닛(140)은, 접속 확인 유닛(111)으로부터 접속 확인 신호를 수신한 후, 제1 메시지에 대응하는 작업 상태가 정상적인지 여부를 검출하도록 제1 메시지(예를 들어, 전류 메시지)를 수신 유닛(112)에 송신하는 것을 중단할 수 있다. 현재의 기간 내에 제1 보고가 제어 유닛(140)에 의해 수신되면, 제어 모듈(140)은, 제1 메시지에 대응하는 작업 상태가 정상적이라고 결정한 후, 전력 모듈(130)을 제어하여 AC 전기를 DC 전기로 변환하여 주변 장치를 충전시킨다.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는 전력을 공급하는 데 전력 모듈과 저전합 보조 전원을 자체적으로 이용하며, 이는 주변 장치에 대한 충전뿐만 아니라 충전 장치의 이동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는 주변 장치를 충전하기 전에 제어 모듈을 사용하여 충전 장치의 작업 상태를 자동 검출함에 따라, 충전의 안전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 내용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 간의 차이점은, 충전 장치가 표시 모듈(160)과 누출 검출 모듈(170)을 더 포함한다는 점이다. 표시 모듈(160)은 제어 모듈(140)에 지시하기 위한 항목들을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누출 검출 모듈(170)은 접속 모듈(140)에 접속되고, 충전 장치(10)의 누출을 검출하도록 제어 모듈(140)에 의해 제어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표시 모듈(160)은 대화형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모듈(160)은 복수의 파일럿 램프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각 파일럿 램프는 작업 상태들의 각 항목에 각각 대응한다. 작업 상태가 정상이면, 대응하는 파일럿 램프가 점등되고, 작업 상태가 비정상이면, 대응하는 램프가 어둡다. 따라서, 작업 상태들 중 어느 항목에서 고장이 발생하였는지를 사람들이 간단히 인식할 수 있으며, 이와 다른 경우에서는 시간 및 비용 소모적일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 내용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충전 장치(20)는, 충전 건(210), 접속 결정 유닛(220), 저전압 전원 유닛(230), 송신 유닛(240), 타이밍 유닛(250), 수신 유닛(260), 및 제어 유닛(270)을 포함한다.
충전 건(210)은 주변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충전하도록 구성된다. 접속 결정 유닛(220)은 충전 건(210)이 주변 장치에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저전압 전원 유닛(230)은 충전 건(210)이 주변 장치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 충전 장치(20)와 주변 장치 간의 통신을 활성화하도록 구성된다. 저전압 전원 유닛(230)은 주변 장치와의 통신을 위해 충분한 전기를 제공할 수 있다. 송신 유닛(240)은 주변 장치에 제1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타이밍 유닛(250)은 제1 기간 후의 송신 유닛(240)에 의한 제1 메시지의 송신을 중단하도록 구성된다. 수신 유닛(260)은 주변 장치로부터 제1 보고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이는 제1 기간 후의 송신 유닛(240)에 의한 제1 메시지의 송신의 중단에 주변 장치가 응답함에 따른 것이다. 제어 유닛(270)은, 송신 유닛(240)에 의한 제1 메시지의 송신의 중단 후에 수신 유닛(260)이 제2 기간 내에 제1 보고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수신 유닛이 제2 기간 내에 제1 보고를 수신하였다면, 충전 건(210)을 제어하여 주변 장치를 충전시키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메시지는, 용량 메시지, 전류 메시지, 정격 전력 메시지 등 중 하나일 수 있으며, 이는 작업 상태에 각각 대응하는 것이다. 따라서, 제어 유닛(270)은, 제1 기간 후의 송신 유닛(240)에 의한 제1 메시지의 송신의 중단에 대한 응답으로 제1 보고를 수신하면, 충전 장치(20)와 주변 장치 간의 접속이 정상적임을 나타내고, 이에 따라 주변 장치에 대한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주변 장치는 전기 차량일 수 있고, 충전 장치는 제어 에리어 네트워크(CAN) 등을 통해 전기 차량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과 통신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 건은 저전압 전원 유닛을 자체적으로 구비하며, 이는 주변 장치의 충전뿐만 아니라 충전 장치의 이동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는 주변 장치의 충전 전에 주변 장치와의 접속이 정상적인지 여부를 자동 검출하므로, 충전의 안전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 내용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와 제4 실시예 간의 차이점은, 충전 장치가 판정 유닛(280), 리셋 유닛(290), 및 표시 유닛(300)을 더 포함한다는 점이다. 판정 유닛(280)은, 제1 메시지가 주변 장치에 송신될 최종 항목의 메시지인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다. 메시지들의 개수와 시퀀스는 미리 설정되어 있다. 리셋 유닛(290)은, 제1 메시지가 최종 항목의 메시지가 아니라면 저전압 전원 유닛(230)을 리셋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저전압 전원 유닛(230)을 리셋한 후, 송신 유닛(240)은 주변 장치에 제2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송신한다. 제1 기간 후, 타이밍 유닛(250)은 송신 유닛(240)에 의한 제2 메시지의 송신을 중단한다. 이어서, 제어 유닛(270)은, 송신 유닛에 의한 제2 메시지의 송신을 중단한 후 제2 기간 내에 수신 유닛(260)이 제2 보고를 주변 장치로부터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제2 보고를 수신하였다면, 제어 유닛(270)은 충전 건(210)을 제어하여 주변 장치를 충전시킨다. 제2 메시지는, 또한, 용량 메시지, 전류 메시지, 정격 전력 메시지 등 중 하나일 수 있고, 제2 메시지는 제1 메시지와 다르다.
표시 유닛(300)은, 제2 기간 내에 수신 유닛(260)이 제1 보고 또는 제2 보고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 유닛(300)은, 복수의 파일럿 램프를 포함할 수 있고, 각 파일럿 램프는 각 작업 상태에 각각 대응한다. 작업 상태가 정상적이면, 대응하는 파일럿 램프가 점등되고, 작업 상태가 비정상적이면, 대응하는 램프가 어둡다. 따라서, 작업 상태들 중 어느 항목에서 고장이 발생하였는지를 사람들이 간단히 인식할 수 있으며, 이와 다른 경우에서는 시간 및 비용 소모적일 수 있다.
이하, 충전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충전 장치는, 접속 확인 유닛과 수신 유닛을 포함하는 충전 건; 저전압 보조 전원; AC 전기를 DC 전기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전력 모듈; 및 충전 건, 저전압 보조 전원, 및 전력 모듈에 각각 접속된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충전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은 이하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S11: 제어 모듈과 저전압 전원을 기동하여 제어 모듈에 접속되어 있는 회로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
단계 S12: 충전 건이 주변 장치에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단계 S13: 충전 건이 주변 장치에 접속되어 있다면, 충전 건이 접속 확인 신호를 제어 모듈에 송신하는 단계
단계 S14: 접속 확인 신호를 수신한 후, 제어 모듈이 수신 유닛에 제1 요구를 송신하는 단계
일 실시예에서, 제1 요구는 수신 유닛으로의 송신을 중단하는 메시지의 형태를 취한다. 메시지들은, 충전 건의 작업 상태들에 각각 대응할 수 있고, 용량 메시지, 전류 메시지, 및 정격 전력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러한 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시 말하면, 제어 모듈은, 접속 확인 유닛으로부터 접속 확인 신호를 수신한 후, 제1 메시지에 대응하는 작업 상태가 정확한지 여부를 검출하도록 수신 유닛으로의 제1 메시지(예를 들어, 전류 메시지)의 송신을 중단할 수 있다.
단계 S15: 제1 요구에 대한 응답으로 수신 유닛으로부터의 제1 보고가 제어 모듈에 의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단계 S16: 제어 모듈이 수신 유닛으로부터 제1 보고를 수신하였다면, 제어 모듈이 전력 모듈을 제어하여 AC 전기를 DC 전기로 변환하여 주변 장치를 충전시키는 단계
일 실시예에서, 제1 보고는 타임아웃 보고이다. 미리 설정되어 있는 기간 내에 타임아웃 보고가 제어 모듈에 의해 수신되면, 제어 모듈은, 제1 메시지에 대응하는 작업 상태가 정상적이라고 결정하고, 전력 모듈을 제어하여 AC 전기를 DC 전기로 변환하여 주변 장치를 충전시킨다.
본 개시 내용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충전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은, 제1 요구가 수신 유닛에 송신될 최종 항목의 메시지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S17)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요구들의 개수와 시퀀스는 미리 설정되어 있다. 제1 요구가 최종 항목의 메시지가 아니라면, 제어 모듈은, 수신 유닛에 제2 요구를 송신하고(단계 S18), 이어서 제어 유닛은 제2 요구에 대한 응답으로 제2 보고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19). 제2 요구에 대한 응답으로 제2 보고가 제어 모듈에 의해 수신되었다면, 제어 모듈은 전력 모듈을 제어하여 AC 전기를 DC 전기로 변환하여 주변 장치를 충전시킨다(단계 S110). 여기서, 제2 요구는, 또한, 수신 유닛으로의 송신을 중단하는 메시지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충전 장치는, 제어 모듈에 지시하기 위한 항목들을 표시하는 표시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 상태들 중 어느 항목에서 고장이 발생하였는지를 사람들이 간단히 인식할 수 있으며, 이와 다른 경우에서는 시간 및 비용 소모적일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충전 장치는 제어 모듈에 접속된 누출 검출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모듈은 충전 장치의 누출을 검출하도록 누출 검출 모듈을 제어한다. 따라서, 충전의 안전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은 충전 전에 충전 장치가 주변 장치를 충전하는 데 적합한지 여부를 판정하고, 이는 충전의 안전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충전 장치는 저전압 보조 전원을 자체적으로 구비하여 전력을 공급하므로, 이는 주변 장치의 충전뿐만 아니라 충전 장치의 이동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하, 충전 장치에 의해 충전될 주변 장치를 검출하는 방법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에 의해 충전될 주변 장치를 검출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충전 장치에 의해 충전될 주변 장치를 검출하는 방법은 이하의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21: 충전 장치가 주변 장치에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일 실시예에서, 주변 장치는 전기 차량일 수 있다.
단계 S22: 충전 장치가 주변 장치에 접속되어 있다면, 충전 장치와 주변 장치 간의 통신을 활성화하는 단계
통신하는 데 충분한 저전압을 주변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충전 장치는, CAN 등을 통해 전기 차량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과 통신한다.
단계 S23: 제1 메시지를 주변 장치에 주기적으로 송신하는 단계로서, 예를 들어, 2초당 하나의 제1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일 실시예에서, 제1 메시지는 용량 메시지, 전류 메시지, 및 정격 전력 메시지 중 하나일 수 있다.
단계 S24: 10초 등의 제1 기간 후에 제1 메시지의 송신을 중단하는 단계
단계 S25: 제1 기간 후 제1 메시지의 송신의 중단에 응답하여 제1 보고가 제2 기간 내에 주변 장치로부터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일 실시예에서, 주변 장치는, 4초 등의 제2 기간 내에 제1 요구를 수신하지 못하면 제1 보고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하면, 제1 보고가 제2 기간 내에 수신되면, 이는 충전 장치와 주변 장치 간의 접속이 정상적임을 나타내고, 주변 장치의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S26: 제1 보고가 제2 기간 내에 주변 장치로부터 수신되었다면, 충전 장치를 제어하여 주변 장치를 충전시키는 단계
본 개시 내용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충전 장치에 의해 충전될 주변 장치를 검출하는 방법은, 제1 기간 후 제1 메시지의 송신의 중단에 응답하여 제1 보고가 주변 장치로부터 제2 기간 내에 수신되지 않았다면 에러를 표시하는 단계(S27); 및 제1 보고가 제2 기간 내에 수신되었음을 표시하는 단계(S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 상태들 중 어느 항목에서 고장이 발생하였는지를 사람들이 간단히 인식할 수 있으며, 이와 다른 경우에서는 시간 및 비용 소모적일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충전 장치에 의해 충전될 주변 장치를 검출하는 방법은, 또한, 제1 메시지가 최종 항목의 메시지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S29)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메시지들의 개수와 시퀀스는 미리 설정되어 있다. 제1 메시지가 최종 항목의 메시지라면, 검출이 종료됨을 표시하는 단계(S210)를 수행한다. 제1 메시지가 최종 항목의 메시지가 아니라면, 제2 메시지를 주변 장치에 주기적으로 송신하고(S211), 제1 기간 후에 제2 메시지의 송신을 중단한다(S212). 이어서, 제1 기간 후 제2 메시지의 송신의 중단에 응답하여 제2 보고가 주변 장치로부터 제2 기간 내에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S213), 제2 보고가 제2 기간 내에 수신되었다면, 충전 장치를 제어하여 주변 장치를 충전시키고(S214), 제2 보고가 제2 기간 내에 수신되지 않았다면, 에러를 표시한다(S215). 제2 메시지는, 또한, 용량 메시지, 전류 메시지, 및 정격 전력 메시지 중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계 S213 후에, 상기한 방법은 제2 메시지가 최종 항목의 메시지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종류의 판정은, 그 메시지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최종 항목의 메시지일 때까지 반복된다.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장치에 의해 충전될 주변 장치를 검출하는 방법은, 충전 장치와 주변 장치 간의 접속이 정상적인지 여부를 검출하고, 이는 충전의 안전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전술한 예들을 변경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 내용은 개시된 구체적인 예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진 바와 같은 본 개시 내용의 사상과 범위 내의 수정을 포함하려는 것이라는 점을 이해하기 바란다.

Claims (28)

  1. 충전 장치로서,
    접속 확인 유닛과 수신 유닛을 포함하는 충전 건(charging gun);
    저전압 보조 전원;
    AC 전기를 DC 전기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전력 모듈; 및
    상기 충전 건, 상기 저전압 보조 전원, 및 상기 전력 모듈에 각각 접속된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제어 모듈에 접속된 회로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상기 저전압 보조 전원을 제어하고,
    상기 접속 확인 유닛은, 상기 충전 건이 주변 장치에 접속되어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 상기 제어 모듈에 접속 확인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접속 확인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수신 유닛에 제1 요구를 트리거하고,
    상기 제어 모듈이 제1 요구에 대한 응답으로 제1 보고를 상기 수신 유닛으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AC 전기를 상기 DC 전기로 변환하여 상기 주변 장치를 충전하도록 상기 전력 모듈을 제어하는, 충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에 지시하기 위한 항목들을 표시하는 표시 모듈을 더 포함하는, 충전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모듈은 대화형 인터페이스인, 충전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또한, 상기 제1 요구가 상기 수신 유닛에 송신될 최종 항목의 요구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제1 요구가 상기 수신 유닛에 송신될 최종 항목의 요구가 아니라면, 상기 저전압 보조 전원을 리셋하고 상기 수신 유닛에 제2 요구를 트리거하도록 구성된, 충전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구 및/또는 상기 제2 요구는 상기 수신 유닛으로의 송신을 중단하는 메시지의 형태를 취하고, 상기 제1 보고 및/또는 제2 보고는 타임아웃 보고(time-out reports)인, 충전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용량 메시지, 전류 메시지, 및 정격 전력 메시지를 포함하는, 충전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에 접속된 누출 검출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충전 장치의 누출을 검출하도록 상기 누출 검출 모듈을 제어하는, 충전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장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충전 장치.
  9. 충전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충전 장치는, 접속 확인 유닛과 수신 유닛을 포함하는 충전 건; 저전압 보조 전원; AC 전기를 DC 전기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전력 모듈; 및 상기 충전 건, 상기 저전압 보조 전원, 및 상기 전력 모듈에 각각 접속된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제어 모듈과 상기 저전압 보조 전원을 기동하여 상기 제어 모듈에 접속된 회로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충전 건이 주변 장치에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충전 건이 상기 주변 장치에 접속되어 있다면, 상기 제어 유닛에 접속 확인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접속 확인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제어 모듈에 의해 상기 수신 유닛에 제1 요구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요구에 대한 응답으로 제1 보고가 상기 제어 유닛에 의해 상기 수신 유닛으로부터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보고가 상기 제어 유닛에 의해 수신되었다면, 상기 제어 모듈에 의해, 상기 전력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AC 전기를 상기 DC 전기로 변환하여 상기 주변 장치를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충전 장치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에 의해, 상기 제1 요구가 상기 수신 유닛에 송신될 최종 항목의 요구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요구가 상기 수신 유닛에 송신될 최종 항목의 요구가 아니라면, 상기 제어 모듈에 의해, 상기 수신 유닛에 제2 요구를 송신하고 상기 제2 요구에 대한 응답으로 제2 보고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요구가 상기 수신 유닛에 송신될 최종 항목의 요구라면, 상기 제어 모듈에 의해, 상기 전력 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AC 전기를 상기 DC 전기로 변환하여 상기 주변 장치를 충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충전 장치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구 및/또는 상기 제2 요구는 상기 수신 유닛으로의 송신을 중단하는 메시지의 형태를 취하고, 상기 제1 보고 및/또는 제2 보고는 타임아웃 보고인, 충전 장치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용량 메시지, 전류 메시지, 및 정격 전력 메시지를 포함하는, 충전 장치 제어 방법.
  13.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장치는 상기 제어 모듈에 지시하기 위한 항목들을 표시하는 표시 모듈을 더 포함하는, 충전 장치 제어 방법.
  14.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장치는, 상기 제어 모듈에 접속된 누출 검출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충전 장치의 누출을 검출하도록 상기 누출 검출 모듈을 제어하는, 충전 장치 제어 방법.
  15. 충전 장치에 의해 충전될 주변 장치를 검출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충전 장치가 주변 장치에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충전 장치가 상기 주변 장치에 접속되어 있다면, 상기 충전 장치와 상기 주변 장치 간의 통신을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주변 장치에 제1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송신하는 단계;
    제1 기간 후에 상기 제1 메시지의 송신을 중단하는 단계;
    상기 제1 기간 후의 상기 제1 메시지의 송신 중단에 응답하여 제1 보고가 제2 기간 내에 상기 주변 장치로부터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보고가 상기 제2 기간 내에 상기 주변 장치로부터 수신되었다면, 상기 충전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주변 장치를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변 장치 검출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간 후의 상기 제1 메시지의 송신 중단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보고가 상기 제2 기간 내에 상기 주변 장치로부터 수신되지 않았다면, 에러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주변 장치 검출 방법.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고가 상기 제2 기간 내에 수신되었음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주변 장치 검출 방법.
  18.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가 최종 항목의 메시지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메시지가 상기 최종 항목의 메시지라면, 검출이 종료됨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주변 장치 검출 방법.
  19. 제15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가 상기 최종 항목의 메시지가 아니라면, 상기 충전 장치와 상기 주변 장치 간의 통신을 리셋하는 단계;
    상기 주변 장치에 제2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1 기간 후에 상기 제2 메시지의 송신을 중단하는 단계;
    상기 제1 기간 후의 상기 제2 메시지의 송신 중단에 응답하여 제2 보고가 상기 제2 기간 내에 상기 주변 장치로부터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2 보고가 상기 제2 기간 내에 상기 주변 장치로부터 수신되었다면, 상기 충전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주변 장치를 충전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보고가 상기 제2 기간 내에 상기 주변 장치로부터 수신되지 않았다면, 에러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주변 장치 검출 방법.
  20. 제15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 또는 상기 제2 메시지는 용량 메시지, 전류 메시지, 및 정격 전력 메시지 중 하나인, 주변 장치 검출 방법.
  21. 제15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장치는 전기 차량인, 주변 장치 검출 방법.
  22. 제15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장치는 전기 차량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과 통신하는, 주변 장치 검출 방법.
  23. 충전 장치로서,
    주변 장치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건;
    상기 충전 건이 상기 주변 장치에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접속 결정 유닛;
    상기 충전 건이 상기 주변 장치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충전 장치와 상기 주변 장치 간의 통신을 활성화하기 위한 저전압 전원 유닛;
    상기 주변 장치에 제1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송신하기 위한 송신 유닛;
    제1 기간 후의 상기 송신 유닛에 의한 상기 제1 메시지의 송신을 중단하기 위한 타이밍 유닛;
    상기 주변 장치로부터, 제1 기간 후의 상기 송신 유닛에 의한 상기 제1 메시지의 송신의 중단에 응답하여 제1 보고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유닛; 및
    상기 송신 유닛에 의한 상기 제1 메시지의 송신의 중단 후에 상기 수신 유닛이 제2 기간 내에 상기 제1 보고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수신 유닛이 상기 제2 기간 내에 상기 제1 보고를 수신하였다면, 상기 충전 건을 제어하여 상기 주변 장치를 충전하기 위한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충전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가 상기 주변 장치에 송신될 최종 항목의 메시지인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판정 유닛; 및
    상기 제1 메시지가 상기 최종 항목의 메시지가 아니라면 상기 저전압 전원 유닛을 리셋하기 위한 리셋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송신 유닛은 상기 주변 장치에 제2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송신하고,
    상기 타이밍 유닛은, 제1 기간 후의 상기 송신 유닛에 의한 상기 제2 메시지의 송신을 중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송신 유닛에 의한 상기 제2 메시지의 송신의 중단 후 상기 제2 기간 내에 상기 수신 유닛이 상기 주변 장치로부터 제2 보고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수신 유닛이 상기 주변 장치로부터 상기 제2 보고를 수신하였다면, 상기 충전 건을 제어하여 상기 주변 장치를 충전하는, 충전 장치.
  25.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시지 또는 상기 제2 메시지는 용량 메시지, 전류 메시지, 및 정격 전력 메시지 중 하나인, 충전 장치.
  26. 제23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이 상기 제2 기간 내에 상기 제1 보고 또는 상기 제2 보고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유닛을 더 포함하는, 충전 장치.
  27. 제23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장치는 전기 차량인, 충전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장치는 상기 전기 차량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과 통신하는, 충전 장치.
KR1020147015938A 2011-12-28 2012-12-04 충전 장치, 충전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주변 장치를 검출하는 방법 KR1015912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110445376.XA CN103187777B (zh) 2011-12-28 2011-12-28 一种充电机及检测方法
CN201110445376.X 2011-12-28
PCT/CN2012/085875 WO2013097583A1 (en) 2011-12-28 2012-12-04 Charging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charging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peripheral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7347A true KR20140097347A (ko) 2014-08-06
KR101591216B1 KR101591216B1 (ko) 2016-02-02

Family

ID=48678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5938A KR101591216B1 (ko) 2011-12-28 2012-12-04 충전 장치, 충전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주변 장치를 검출하는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583956B2 (ko)
EP (1) EP2798720B1 (ko)
JP (1) JP6041892B2 (ko)
KR (1) KR101591216B1 (ko)
CN (1) CN103187777B (ko)
WO (1) WO201309758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6543B1 (ko) * 2016-09-08 2017-02-16 주식회사 에스비테크 전지용 충전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87777B (zh) 2011-12-28 2016-04-27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充电机及检测方法
DE102014016620B4 (de) * 2014-10-24 2021-08-26 Audi Ag Verfahren zum Betrieb einer Energiespeichereinrichtung in einem Kraftfahrzeug und Kraftfahrzeug
CN104648178B (zh) * 2015-02-11 2017-03-08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纯电动汽车的充电上电控制方法
CN104950204B (zh) * 2015-06-30 2017-08-11 郑州日产汽车有限公司 国标充电枪信号检测装置
CN105291875B (zh) * 2015-11-24 2017-12-12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电动汽车快速充电方法
CN106891744B (zh) * 2015-12-18 2019-11-08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电动汽车及其车载充电器和车载充电器的控制方法
CN106891748B (zh) * 2015-12-18 2019-02-26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电动汽车及其车载充电器和车载充电器的控制方法
DE102016106700A1 (de) * 2016-04-12 2017-10-12 Rwe International Se Ladestation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Ladestation
CN106872832A (zh) * 2017-03-27 2017-06-20 江苏万帮德和新能源科技有限公司 非车载充电机的模拟检测方法、装置以及系统
KR102449128B1 (ko) * 2018-05-25 2022-09-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기적 연결성 검증 장치
CN109494828A (zh) * 2018-10-17 2019-03-19 北京车和家信息技术有限公司 充电控制方法、遥控钥匙及车辆
CN110588375A (zh) * 2019-08-07 2019-12-20 云杉智慧新能源技术有限公司 一种移动补电车充电机
CN112600487B (zh) * 2020-12-07 2022-11-11 中国科学院长春光学精密机械与物理研究所 一种电机飞车保护系统和方法
CN113438127A (zh) * 2021-06-18 2021-09-24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电动车直流充电通信智能化测试方法、装置、终端及储存介质
WO2023071575A1 (zh) * 2021-10-26 2023-05-04 深圳市道通合创数字能源有限公司 一种还枪检测方法、装置、充电桩及充电桩管理系统
CN114851851A (zh) * 2022-07-07 2022-08-05 中国重汽集团济南动力有限公司 一种新能源车辆绝缘问题排查系统与方法
CN115431814B (zh) * 2022-09-21 2024-05-17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车辆的充电方法及装置
CN115436674B (zh) * 2022-11-03 2023-02-17 淮安市成翔精密制造有限公司 一种新能源汽车充电枪端子加工用的双头同步检测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8704B2 (ja) * 1993-05-10 2000-04-04 住友電装株式会社 電気自動車充電用コネクタ
JPH10215523A (ja) 1997-01-29 1998-08-11 Nec Yonezawa Ltd 多種のバッテリパックに充電可能な充電器とその充電方 式
US7267090B2 (en) * 2005-11-21 2007-09-1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Method of starting a hybrid vehicle
JP4375472B2 (ja) * 2007-10-23 2009-12-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充電制御装置
JP4333798B2 (ja) * 2007-11-30 2009-09-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充電制御装置および充電制御方法
JP2009201198A (ja) * 2008-02-19 2009-09-03 Rohm Co Ltd 車両用の充電システム
JP2010103870A (ja) * 2008-10-27 2010-05-06 Pioneer Electronic Corp 車載情報装置、車外側情報装置、電気自動車充電システム、及び、電気自動車充電システムの情報転送方法
CN101740947B (zh) * 2008-11-25 2012-08-01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用于可电力驱动的车辆的充电装置
JP5643948B2 (ja) * 2009-03-23 2014-12-24 日東工業株式会社 充電装置
US8384358B2 (en) 2009-05-28 2013-02-2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and for providing notification of variations from charging expectations
JP5378965B2 (ja) * 2009-11-30 2013-12-25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充電システム
JP2011128793A (ja) * 2009-12-16 2011-06-30 Sony Corp 電動移動体、課税サーバ、充電装置、駆動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1807791B (zh) * 2010-03-19 2012-05-02 天津清源电动车辆有限责任公司 电动汽车直流充电接口安全接插保护装置
JP5647057B2 (ja) * 2010-05-19 2014-12-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充電装置、充電制御ユニット及び充電制御方法
JP2012019636A (ja) * 2010-07-08 2012-01-26 Denso Corp 車両用充電装置
CN201918773U (zh) * 2010-11-16 2011-08-03 上海畅聪新能源科技有限公司 自助智能充电系统及其充电桩
CN201877858U (zh) * 2010-12-14 2011-06-22 山东电力研究院 一种带有多路控制多充电插口的电动汽车充电桩
CN102255113A (zh) * 2011-04-07 2011-11-23 广东省电力设计研究院 电动汽车充电方法及其系统、充电机和bms通信模块
CN103187777B (zh) 2011-12-28 2016-04-27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充电机及检测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6543B1 (ko) * 2016-09-08 2017-02-16 주식회사 에스비테크 전지용 충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187777B (zh) 2016-04-27
JP6041892B2 (ja) 2016-12-14
EP2798720B1 (en) 2017-10-25
CN103187777A (zh) 2013-07-03
EP2798720A4 (en) 2015-11-25
US9583956B2 (en) 2017-02-28
EP2798720A1 (en) 2014-11-05
WO2013097583A1 (en) 2013-07-04
US20140292261A1 (en) 2014-10-02
KR101591216B1 (ko) 2016-02-02
JP2015502734A (ja) 2015-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1216B1 (ko) 충전 장치, 충전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주변 장치를 검출하는 방법
US20180009322A1 (en) Off-board charger for high-voltage battery charging
US20160124050A1 (en) Storage battery type vehicle, charge management system, and charge management method
US20220250498A1 (en) Charge-discharge apparatus, charge-discharge control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CN105022301A (zh) 电器及其待机的电源控制方法和装置
KR20140142598A (ko) 멀티채널방식의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WO2015102312A1 (ko) Hvdc 시스템의 전원 이중화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050144489A1 (en) Power supply control apparatus, power supply control system, and administration apparatus
AU2021218086A1 (en) Photovoltaic system, method for locating devices in photovoltaic string, MLPE apparatus and method for ranking MLPE apparatuses
US20190001834A1 (en) Charge/discharge apparatus
US20160285290A1 (en) Charger
JP2016185004A (ja) 通信システム、分電盤
JP2016185020A (ja) 通信システム、分電盤
CN112462163A (zh) 一种高压互锁回路故障检测方法及装置
CN106114227A (zh) 动力电池故障保护方法、装置及动力电池
US20220069769A1 (en) Photovoltaic system and method for locating devices in photovoltaic string
KR20160150474A (ko) 다중화된 전원 공급원을 구비한 전기 차량용 배터리 충전 장치 및 그 방법
US11592492B2 (en) Device and method for diagnosing battery pack
KR101821091B1 (ko) 자동 부하 전환 계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동 부하 전환 계폐 방법
WO202101956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eply discharged battery detection
JP2011123595A (ja) 交通信号システム
KR20200046619A (ko) 배터리 단자 고정 구조의 외부전원이 필요 없는 배터리 관리 장치
KR20160150370A (ko) 정전 판별 회로, 정전 판별 방법 및 이를 구비한 전기 차량용 충전 장치
CN110385994A (zh) 低压供电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JP6581944B2 (ja) 発電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