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3332A - 원단 자동 제단기 - Google Patents

원단 자동 제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3332A
KR20140093332A KR1020130004169A KR20130004169A KR20140093332A KR 20140093332 A KR20140093332 A KR 20140093332A KR 1020130004169 A KR1020130004169 A KR 1020130004169A KR 20130004169 A KR20130004169 A KR 20130004169A KR 20140093332 A KR20140093332 A KR 201400933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cutting
cutter
unit
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4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3364B1 (ko
Inventor
정연호
Original Assignee
정연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연호 filed Critical 정연호
Priority to KR1020130004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3364B1/ko
Publication of KR20140093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33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3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3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7/00Apparatus or processes for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specially adapted for the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of textile materials
    • D06H7/04Apparatus or processes for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specially adapted for the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of textile materials longitudin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8Means for treating work or cutting member to facilitate cutting
    • B26D7/14Means for treating work or cutting member to facilitate cutting by tensioning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73Details
    • B65H35/00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cutting devices
    • B65H35/008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cutting devices using movable cutting el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7/00Apparatus or processes for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specially adapted for the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of textile materials
    • D06H7/02Apparatus or processes for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specially adapted for the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of textile materials transverse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언와인딩롤(1)의 원단(F)을 연속적으로 이송하면서 설정된 폭(세로)과 길이(가로)로 절단하는 제단기에 관련되며, 그 구성의 특징으로서 상기 언와인딩롤(1)을 탈부착 하는 연결대(11)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대(11)상에 원단(F)의 장력을 조절하는 텐션대(15)를 구비하는 공급부(10); 상기 공급부(10)의 하류단에 구비하고, 커터(C)에 의해 원단(F)을 세로방향으로 절단하는 세로절단부(20); 상기 세로절단부(20)의 하류단에 구비하고, 커터(C)에 의해 원단(F)을 가로방향으로 절단하는 가로절단부(30); 상기 세로ㆍ가로절단부(20)(30) 사이에 구비하고, 모터(41)에 의해 원단(F)을 연속적으로 이송하는 구동롤러(42)를 구비하는 구동부(40); 및 상기 가로절단부(30)의 하류단에 구비하고, 가압롤러(51)에 의해 절단된 원단(F)을 배출하는 컨베이어(55)를 구비하는 배출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원단을 자동으로 설정된 폭과 길이를 정밀하고 신속하게 제단할 수 있어 공수를 절감하고, 원단의 장력과 수평을 조절할 수 있어 불량을 최소화함과 함께 다양한 원단에 대응할 수 있는 호환성을 지니는 것은 물론, 전반적인 품질의 향상으로 고부가가치 제품의 생산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원단 자동 제단기{The fabric auto slitting-machine}
본 발명은 언와인딩롤의 원단을 연속적으로 이송하면서 설정된 폭(세로)과 길이(가로)로 절단하는 제단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원단을 자동으로 설정된 폭과 길이를 정밀하고 신속하게 제단할 수 있어 공수를 절감하고, 원단의 장력과 수평을 조절할 수 있어 불량을 최소화함과 함께 다양한 원단에 대응할 수 있는 호환성을 지니는 것은 물론, 전반적인 품질의 향상으로 고부가가치 제품의 생산이 가능한 원단 자동 제단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슬리터(제단기)는 원단, 종이, 필름, 알루미늄 박 등 감겨있는 원반으로부터 임의의 새로운 크기로 절단(Slitting)하여 되감거나 제품화 하는 롤 가공 기계이다. 이러한 슬리터는 기본적으로 권출부, 롤러부, 절단부, 배출부로 구성되지만, 재료의 사양과 품질로 인하여 여러가지 기계적 구조와 부가장치를 탑재할 필요가 있다. 즉, 주지된 바와 같이 슬리터는 절단할 재료에 따라 요구되는 사양이 달라지는데 특히, 원단의 경우엔 다양한 두께와 장력을 지니고 있으므로 고품질의 제품을 위해 보다 정밀하고 신속한 절단 기술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일예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83018호 "원단 절단장치"에 의하면, 원단인출부(200)로부터 공급된 원단(212)이 원단 절단부(300)에 구성된 텐션롤러(320)를 지그재그로 통과되게 한 다음 받침롤러(321)를 지나면서 절단기(400)에 장치된 히터커팅나이프(437)에 의해 절단되게 구성하고, 절단된 원단(313)은 권취롤러(312)에 권취되게 구성하며, 상기 절단기(400)는 승강조정롤러(322)의 승강에 의해 높이가 조정되게 구성하고, 승강조정롤러(322)에는 절단기(400)의 고정관체(410) 및 유동관체(430)가 끼워져 결합되게 하고, 상기 유동관체(430) 일측에는 작동간(431)을 구성한 다음 단부에 히터(433)를 체결고정하고, 상기 히터(433)는 발열봉(436)에 의해 가열되게 함과 동시에 저면에 히터커팅나이프(437)가 고정되게 하므로서 받침롤러(321)와 히터커팅나이프(437)사이를 통과하는 원단이 절단되게 하고, 히터(433)가 체결고정된 작동간(431)은 고정관체(410)에 체결고정된 브라켓(411)의 지지간(412)과 축봉(438)으로 연결구성되게 하되, 상기 축봉(438)은 스프링(441)에 의해 탄지되게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절단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다른 일예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54646호 "원단절단장치"에 의하면, 원단이 가이드되어 안착되며 일측에 홈이 형성된 외부프레임; 상기 외부프레임의 양측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외부프레임의 홈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하여 상기 원단을 절단하는 열와이어가 구비된 커팅부; 상기 커팅부와 결합하여 상기 커팅부를 상기 외부프레임의 내외측으로 출몰하도록 구동신호를 인가받아 구동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절단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전자의 경우, 원단을 커팅하는 나이프에 히터로 가열함에 따라 원단의 절단면을 열융착시켜 조직을 붕괴시키지 않는 장점은 있으며 후자의 경우, 고온의 와이어를 이용함에 따라 수명의 증가와 절단면의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은 있다. 하지만, 열수축과 함께 주변온도에 민감한 반응으로 인한 변형으로 불량을 초래할 가능성이 높고, 예열시간이 필요함에 따라 생산성이 저할될 뿐더러 에너지의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무엇보다 원단을 일방향으로만 절단할 수가 있어 경우에 따라 별도의 후공정이 더 필요하게 되는 폐단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83018호 "원단 절단장치"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54646호 "원단절단장치"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원단을 자동으로 설정된 폭과 길이를 정밀하고 신속하게 제단할 수 있어 공수를 절감하고, 원단의 장력과 수평을 조절할 수 있어 불량을 최소화함과 함께 다양한 원단에 대응할 수 있는 호환성을 지니는 것은 물론, 전반적인 품질의 향상으로 고부가가치 제품의 생산이 가능한 원단 자동 제단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언와인딩롤의 원단을 연속적으로 이송하면서 설정된 폭(세로)과 길이(가로)로 절단하는 제단기에 있어서: 상기 언와인딩롤을 탈부착 하는 연결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대 상에 원단의 장력을 조절하는 텐션대를 구비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의 하류단에 구비하고, 커터에 의해 원단을 세로방향으로 절단하는 세로절단부; 상기 세로절단부의 하류단에 구비하고, 커터에 의해 원단을 가로방향으로 절단하는 가로절단부; 상기 세로ㆍ가로절단부 사이에 구비하고, 모터에 의해 원단을 연속적으로 이송하는 구동롤러를 구비하는 구동부; 및 상기 가로절단부의 하류단에 구비하고, 가압롤러에 의해 절단된 원단을 배출하는 컨베이어를 구비하는 배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공급부는 원단의 장력과 수평이 조절되도록 전후로 이송하는 텐션롤러와, 상기 텐션롤러를 고정되게 가압하는 핸들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세로절단부는 커터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홈을 구비한 커터블럭과, 상기 커터블럭과 맞물리는 위치에 좌우로 이송되게 레일을 구비한 회전바와, 상기 회전바를 회전시켜 원단을 절단되게 작동하는 실린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로절단부는 회전바 상에 눈금자를 통하여 작업자가 수동으로 커터블럭의 위치를 가변시켜 원단의 절단폭을 조절하는 수동형 또는 모터를 통하여 수치제어로 커터블럭의 위치를 가변시켜 원단의 절단폭을 조절하는 자동형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로절단부는 커터를 탈부착 하는 결합홈과 결합노브를 구비한 커터블럭과, 상기 커터블럭과 맞물리는 위치에 좌우 및 상하로 이송되게 레일을 구비한 승강바와, 상기 커터블럭과 승강바에 각각 연결되어 원단을 절단되게 작동하는 실린더와 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로절단부는 승강바의 전후로 원단을 가압하는 하나 이상의 가압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구동롤러의 상부에 원단을 가압하는 종동롤러와, 상기 종동롤러의 양단에 원단의 사행을 방지하도록 가압량을 조절하는 조절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원단을 자동으로 설정된 폭과 길이를 정밀하고 신속하게 제단할 수 있어 공수를 절감하고, 원단의 장력과 수평을 조절할 수 있어 불량을 최소화함과 함께 다양한 원단에 대응할 수 있는 호환성을 지니는 것은 물론, 전반적인 품질의 향상으로 고부가가치 제품의 생산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단기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단기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급부의 요부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로절단부의 요부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로절단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로절단부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출부의 요부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언와인딩롤(1)의 원단(F)을 연속적으로 이송하면서 설정된 폭(세로)과 길이(가로)로 절단하는 제단기와 관련되며, 공급부(10), 세로절단부(20), 가로절단부(30), 이송부(40), 배출부(50)를 주요 구성으로 하는 원단 자동 제단기에 관 한다. 본 발명의 원단(F)은 섬유조직으로 이루어진 것에 한정하여 의류, 침구, 커튼 등의 용도에 국한하지 않고 다양하게 적용할 수가 있다. 다만, 당업자는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을 포함하는 범위 내에서 종이, 필름, 알루미늄 박 등에도 적용할 수도 있다. 한편, 이하에서 기재되는 하류단은 각 구성의 위치를 지칭하는 것이 아닌, 원단(F)이 이송되는 경로를 지칭하는 것이므로 도면에 도시된 것에 국한하지는 않는다. 또, 이하에서 기재되는 방향은 도 2를 기준으로 우측이 전방, 좌측이 후방임을 의미하며 원단(F)의 공급방향을 기준으로 세로절단은 원단(F)의 수직방향, 가로절단은 원단(F)의 수평방향임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급부(10)는 상기 언와인딩롤(1)을 탈부착 하는 연결대(11)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대(11)상에 원단(F)의 장력을 조절하는 텐션대(15)를 구비한다. 공급부(10)는 도 1 및 도 2처럼 언와인딩롤(1)에 권취된 원단(F)을 후술하는 세로절단부(20), 가로절단부(30), 이송부(40)로 공급(권출)하는 것으로, 연결대(11)와 텐션대(15)를 구비한다.
연결대(11)는 도 3처럼 베어링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면서 언와인딩롤(1)의 양단을 탈부착 가능한 구조를 지니고, 텐션대(15)는 연결대(15)의 일단과 연결되면서 브레이크에 의한 마찰력을 지닌 구조를 지닌다. 즉, 연결대(11)는 언와인딩롤(1)에 권취된 원단(F)을 공급하면서 텐션대(15)에 의해 원단(F)에 일정한 장력을 지니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공급부(10)는 원단(F)의 장력과 수평이 조절되도록 전후로 이송하는 텐션롤러(16)와, 상기 텐션롤러(16)를 고정되게 가압하는 핸들(17)을 더 구비한다. 텐션롤러(16)는 도 3처럼 연결대(11)의 하류단에 구비하는 것으로, 원단(F)의 장력을 조절하면서도 사행을 방지하도록 수평을 조절한다.
여기서 사행(Meandering)이란, 벨트나 원단 따위는 롤러와 접촉되는 가압량의 분포(수평상태)에 따라 강한 쪽으로 이동 할려는 작용이 발생되어 지그재그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언와인딩롤(1)로부터 권출되는 원단(F)은 하나 이상의 롤러를 지나 후술하는 세로절단부(20)로 공급되므로 보다 정밀한 절단을 위해 원단(F)의 사행을 방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따라서 연결대(11)의 하류단에 전후로 이송하는 텐션롤러(16)와 핸들(17)을 구비하여 장력과 수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한다.
이러한 텐션롤러(16)는 양단에 LM블럭에 의해 각각 개별 이송되고, 핸들(17)은 LM블럭의 상부에 텐션롤러(16)를 가압시켜 원하는 위치에 고정과 해제를 수행하도록 구비한다. 가령, 원단(F)이 우측으로 사행하게 되면 텐션롤러(16)의 우측단에 핸들(17)로 고정을 해제한 다음, 텐션롤러(16)를 후진시켜 좌측과 동일한 가압량으로 분포되게 조절한다. 이러한 텐션롤러(16)는 원단(F)의 장력에도 미세한 영향을 주게 되므로 조절 시 양단을 동시에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텐션롤러(16)와 핸들(17)로 이루어진 구조외에도 핸들(17)을 통하여 텐션롤러(16)의 이송을 조절하는 스크류타입도 가능하며 경우에 따라 모터와 실린더를 이용한 자동형의 구조로도 구비할 수 있다. 어느 경우에나 당업자는 편의성과 정밀성 그리고 제조비용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세로절단부(20)는 상기 공급부(10)의 하류단에 구비하고, 커터(C)에 의해 원단(F)을 세로방향으로 절단한다. 세로절단부(20)는 도 4처럼 면도칼(Razor-knife)로 형성된 커터(C)가 원단(F)의 공급방향을 기준으로 수직방향으로 구비하여 공급되는 원단(F)을 세로방향으로 분할되게 절단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세로절단부(20)는 커터(C)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홈(21a)을 구비한 커터블럭(21)과, 상기 커터블럭(21)과 맞물리는 위치에 좌우로 이송되게 레일(22a)을 구비한 회전바(22)와, 상기 회전바(22)를 회전시켜 원단(F)을 절단되게 작동하는 실린더(23)를 구비한다. 세로절단부(20)는 원단(F)을 세로방향으로 분할되게 절단하는 것으로, 도 4처럼 커터블럭(21)과 회전바(22) 및 실린더(23)가 유기적으로 연동되게 구비한다.
커터블럭(21)은 일단에 커터(C)가 결합되도록 결합홈(21a)을 구비하고, 타단에 회전바(22)와 결합되도록 레일홈(21b)을 구비한다. 그리고 회전바(22)는 일단에 커터블럭(21)의 레일홈(21b)과 맞물려 좌우로 이송됨을 유도하는 레일(22a)을 구비하고, 양단은 베어링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비한다. 또, 실린더(23)는 링크에 의해 회전바(22)와 결합되어 커터(C)를 소정의 반경으로 회전되게 작동력을 발생되도록 구비한다.
즉, 커터블럭(21)은 회전바(22)로부터 좌우로 이송되어 원단(F)의 절단 위치(폭)가 조절되고, 실린더(23)에 의해 회전바(22)가 회전되어 커터(C)를 원단(F)내로 침투시켜 분할되도록 절단시켜 준다. 여기서 커터블럭(21)은 단일로 구비한 것으로 도면에 도시하였지만, 경우에 따라 커터블럭(21)을 하나 이상의 복수로 구비하여 원단(F)을 다수로 분할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세로절단부(20)는 회전바(22)상에 눈금자(26)를 통하여 작업자가 수동으로 커터블럭(21)의 위치를 가변시켜 원단(F)의 절단폭을 조절하는 수동형 또는 모터(27)를 통하여 수치제어로 커터블럭(21)의 위치를 가변시켜 원단(F)의 절단폭을 조절하는 자동형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구비한다.
수동형은 도 4처럼 회전바(22)상에 눈금자(26)를 통하여 작업자가 커터블럭(21)을 직접적으로 가변시켜 절단폭을 조절한다. 이러한 수동형은 제조가 용이하고 제조비용이 저렴한 장점은 있지만, 작업성과 정확성이 비교적 낮은 단점이 있다.
자동형은 도 5처럼 회전바(22)상에 모터(27)와 벨트(B)를 구비하고 이러한 벨트(B)의 일단과 커터블럭(21)을 연결하여 모터(27)의 작동으로 커터블럭(21)을 가변시켜 절단폭을 조절한다. 이러한 자동형은 수동형에 비해서 복잡한 제조와 부가비용은 소모되지만, 신속한 작업성과 정확성을 기대할 수는 장점이 있다. 물론, 자동형은 모터(27)와 벨트(B)로 구성한 구조 외에도 볼스크류, 마그네틱실린더를 이용한 구조로도 구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가로절단부(30)는 상기 세로절단부(20)의 하류단에 구비하고, 커터(C)에 의해 원단(F)을 가로방향으로 절단한다. 가로절단부(30)는 도 6처럼 면도칼(Razor-knife)로 형성된 커터(C)가 원단(F)의 공급방향을 기준으로 수평방향으로 구비하여 공급되는 원단(F)을 가로방향으로 완전히 절단시켜 단품(제품)화 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가로절단부(30)는 커터(C)를 탈부착 하는 결합홈(31a)과 결합노브(31b)를 구비한 커터블럭(31)과, 상기 커터블럭(31)과 맞물리는 위치에 좌우 및 상하로 이송되게 레일(32a)(32b)을 구비한 승강바(32)와, 상기 커터블럭(31)과 승강바(32)에 각각 연결되어 원단(F)을 절단되게 작동하는 실린더(33)와 모터(34)를 구비한다. 가로절단부(30)는 도 6처럼 원단(F)을 가로방향으로 단품화 되도록 절단하는 것으로, 커터블럭(31)과 승강바(32) 및 실린더(33)와 모터(34)가 유기적으로 연동되게 구비한다.
커터블럭(31)은 일단에 커터(C)가 결합되도록 결합홈(31a)과 결합노브(31b)를 구비하고, 타단에 승강바(32)와 결합되도록 레일돌부(31c)를 구비한다. 그리고 승강바(32)는 일단에 커터블럭(31)의 레일돌부(31c)와 맞물려 좌우로 이송됨을 유도하는 레일(32a)을 구비하고, 양단은 LM가이드와 맞물려 상하로 이송됨을 유도하는 레일(32b)을 구비한다. 또, 실린더(33)는 승강바(32)의 상단과 결합되어 소정의 길이로 승하강 되게 작동력을 발생되게 구비하고, 모터(34)는 커터블럭(31)과 연결된 벨트(B)를 구동시켜 커터(C)를 좌우로 이송되게 작동력을 발생되도록 구비한다.
즉, 실린더(33)는 승강바(32)를 상하로 이송시켜 커터(C)를 원단(F)과 동일선상에 위치시켜 주고, 모터(34)는 커터블럭(31)을 좌우로 이송시켜 커터(C)로 원단(F)을 완전히 절단시켜 준다. 여기서 가로절단부(30)는 전술한 세로절단부(20)의 자동형 처럼 모터(34)와 벨트(B)로 구성한 구조 외에도 볼스크류, 마그네틱실린더를 이용한 구조로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가로절단부(30)는 승강바(32)의 전후로 원단(F)을 가압하는 하나 이상의 가압대(35)를 더 구비한다. 가로절단부(30)는 도 6처럼 원단(F)을 가로방향으로 단품화 되도록 절단하는 것으로, 절단 시 커터(C)가 원단(F)을 보다 정밀하게 절단될 수 있도록 고정하는 가압대(35)를 구비한다. 가압대(35)는 소정의 쿠션력을 지닌 것으로, 승강바(32)의 상단 전후로 하나 이상 배치된다. 이러한 가압대(35)는 실린더(33)에 의해 승강바(32)가 하강하게 되면 원단(F)을 가압시켜 고정한다. 따라서 커터(C)가 절단하는 과정에서 원단(F)에 주름이 지거나 이끌리는 현상을 억제시켜 불량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40)는 상기 세로ㆍ가로절단부(20)(30) 사이에 구비하고, 모터(41)에 의해 원단(F)을 연속적으로 이송하는 구동롤러(42)를 구비한다. 구동부(40)는 도 7처럼 공급부(10)로부터 원단(F)을 연속 또는 간헐적으로 공급되도록 이송하는 것으로, 모터(41)와 구동롤러(42)를 구비한다. 모터(41)는 원단(F)이 공급되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고, 구동롤러(42)는 원단(F)이 이송되도록 구동력을 전달한다. 여기서 모터(41)는 작업자의 지시에 따라 정지와 구동을 수행하고, 엔코더에 의해 이송량을 감지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구동부(40)는 구동롤러(42)의 상부에 원단(F)을 가압하는 종동롤러(43)와, 상기 종동롤러(43)의 양단에 원단(F)의 사행을 방지하도록 가압량을 조절하는 조절대(45)를 더 구비한다. 구동부(40)는 모터(41)와 구동롤러(42)를 통하여 원단(F)이 공급되게 이송하는 것으로, 종동롤러(43)와 조절대(45)를 구비한다.
종동롤러(43)는 구동롤러(42)의 상부를 지나는 원단(F)을 가압시켜 구동력이 원단(F)으로 전달되어 이송되도록 하고, 조절대(45)는 종동롤러(43)의 양단에 가압량을 조절하도록 각각 구비한다. 여기서 조절대(45)는 공급부(10)의 텐션롤러(16)처럼 원단(F)의 사행을 방지하는 역활을 수행하는 것으로, 종동롤러(43)를 상하로 유동되도록 결합된다. 예컨대, 원단(F)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사행하게 되면 종동롤러(43)의 조절대(45)로 가압량이 수평이 되도록 조절한다. 이러한 조절대(45)는 원단(F)의 이송력에도 영향을 주게 되므로 조절 시 양단을 동시에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배출부(50)는 상기 가로절단부(30)의 하류단에 구비하고, 가압롤러(51)에 의해 절단된 원단(F)을 배출하는 컨베이어(55)를 구비한다. 배출부(50)는 도 8처럼 가로절단부(30)에 의해 단품으로 절단된 원단(F)을 외부로 배출하는 것으로, 가압롤러(51)와 컨베이어(55)를 구비한다. 즉, 가압롤러(51)는 스프링에 의한 일방향의 탄성력을 지녀 상시 원단(F)과 컨베이어(55)의 상부를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가로절단부(30)에 의해 구동부(40)로부터 상실한 이송력을 가압롤러(51)와 컨베이어(55)가 절단된 원단(F)을 외부로 배출되도록 당겨주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컨베이어(55)의 하류단으로 배출된 원단(F)을 다단으로 적층되게 수용하는 보관함(56)을 더 구비한다. 보관함(56)은 세로와 가로방향으로 연속 절단되어 단품화된 원단(F)을 적층하는 박스로, 컨베이어(55)의 하류단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한다. 여기서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경우에 따라 보관함(56)을 배제하고 와인딩롤에 의한 권취부를 구비하거나 후속 공정의 따른 여타의 기기와 연결상태를 지니도록 구비할 수 있다. 어느 경우에나 당업자는 용도와 공정에 따라 보관함(56)을 구비하거나 생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작동에 있어서, 먼저 작업자는 언와이딩롤(1)을 연결대(11)에 부착하고 원단(F)을 텐션롤러(16)와 세로절단부(20) 및 구동부(40)까지 경유시켜 준다. 여기서 구동부(40)를 작동하면서 텐션대(15)와 텐션롤러(16) 및 조절대(45)를 통하여 원단(F)의 장력과 사행을 점검하고 가압력을 조절하는 예비작동을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세로절단부(20)가 수동형일 경우엔, 눈금자(26)를 통하여 작업자가 수동으로 커터블럭(21)의 위치를 가변시켜 원단(F)의 절단폭을 조절하고 제어부(60)에 절단할 원단(F)의 길이를 설정한 다음 작동을 실행한다. 예컨대, 세로절단부(20)가 자동형일 경우엔, 제어부(60)에 절단할 원단(F)의 폭과 길이를 동시에 설정하면 된다.
이어서, 세로절단부(20)의 실린더(23)를 작동되어 커터(C)가 원단(F)내로 침투되고, 구동부(40)의 작동으로 원단(F)이 이송되어 세로로 절단시켜 분할하게 된다. 그리고 가로절단부(30)에서 설정한 길이가 도달되면 구동부(40)가 정지하고, 실린더(33)의 작동으로 커터(C)가 원단(F)과 동일선상에 위치함과 함께 가압대(35)가 원단(F)을 가압시켜 고정되며, 모터(34)의 작동으로 커터(C)를 좌우로 이송시켜 가로로 완전히 절단하게 된다.
이어서, 세로와 가로의 절단으로 단품화된 원단(F)은 배출부(50)에 의한 가압롤러(51)와 컨베이어(55)에 의해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배출된 원단(F)은 세로절단부(20)에 의해 좌우로 두 장씩 배출되는데, 세로절단부(20)의 커터블럭(21)이 하나 이상일 경우 이와 비례하는 장수로 배출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원단을 자동으로 설정된 폭과 길이를 정밀하고 신속하게 제단할 수 있어 공수를 절감하고, 원단의 장력과 수평을 조절할 수 있어 불량을 최소화함과 함께 다양한 원단에 대응할 수 있는 호환성을 지니는 것은 물론, 전반적인 품질의 향상으로 고부가가치 제품의 생산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B: 벨트 C: 커터
F: 원단 1: 언와인딩롤
10: 공급부 11: 연결대
15: 텐션대 16: 텐션롤러
17: 핸들 20: 세로절단부
21a: 결합홈 21b: 레일홈
21, 31: 커터블럭 22: 회전바
22a, 32a, 32b: 레일 23, 33: 실린더
26: 눈금자 27, 34, 41: 모터
30: 가로절단부 31a: 결합홈
31b: 결합노브 31c: 레일돌부
32: 승강바 35: 가압대
40: 구동부 42: 구동롤러
43: 종동롤러 45: 조절대
50: 배출부 51: 가압롤러
55: 컨베이어 56: 보관함

Claims (7)

  1. 언와인딩롤(1)의 원단(F)을 연속적으로 이송하면서 설정된 폭(세로)과 길이(가로)로 절단하는 제단기에 있어서:
    상기 언와인딩롤(1)을 탈부착 하는 연결대(11)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대(11)상에 원단(F)의 장력을 조절하는 텐션대(15)를 구비하는 공급부(10);
    상기 공급부(10)의 하류단에 구비하고, 커터(C)에 의해 원단(F)을 세로방향으로 절단하는 세로절단부(20);
    상기 세로절단부(20)의 하류단에 구비하고, 커터(C)에 의해 원단(F)을 가로방향으로 절단하는 가로절단부(30);
    상기 세로ㆍ가로절단부(20)(30) 사이에 구비하고, 모터(41)에 의해 원단(F)을 연속적으로 이송하는 구동롤러(42)를 구비하는 구동부(40); 및
    상기 가로절단부(30)의 하류단에 구비하고, 가압롤러(51)에 의해 절단된 원단(F)을 배출하는 컨베이어(55)를 구비하는 배출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자동 제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10)는 원단(F)의 장력과 수평이 조절되도록 전후로 이송하는 텐션롤러(16)와, 상기 텐션롤러(16)를 고정되게 가압하는 핸들(17)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자동 제단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절단부(20)는 커터(C)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홈(21a)을 구비한 커터블럭(21)과, 상기 커터블럭(21)과 맞물리는 위치에 좌우로 이송되게 레일(22a)을 구비한 회전바(22)와, 상기 회전바(22)를 회전시켜 원단(F)을 절단되게 작동하는 실린더(2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자동 제단기.
  4. 제1 및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절단부(20)는 회전바(22)상에 눈금자(26)를 통하여 작업자가 수동으로 커터블럭(21)의 위치를 가변시켜 원단(F)의 절단폭을 조절하는 수동형 또는 모터(27)를 통하여 수치제어로 커터블럭(21)의 위치를 가변시켜 원단(F)의 절단폭을 조절하는 자동형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자동 제단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절단부(30)는 커터(C)를 탈부착 하는 결합홈(31a)과 결합노브(31b)를 구비한 커터블럭(31)과, 상기 커터블럭(31)과 맞물리는 위치에 좌우 및 상하로 이송되게 레일(32a)(32b)을 구비한 승강바(32)와, 상기 커터블럭(31)과 승강바(32)에 각각 연결되어 원단(F)을 절단되게 작동하는 실린더(33)와 모터(3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자동 제단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절단부(30)는 승강바(32)의 전후로 원단(F)을 가압하는 하나 이상의 가압대(35)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자동 제단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40)는 구동롤러(42)의 상부에 원단(F)을 가압하는 종동롤러(43)와, 상기 종동롤러(43)의 양단에 원단(F)의 사행을 방지하도록 가압량을 조절하는 조절대(45)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자동 제단기.
KR1020130004169A 2013-01-14 2013-01-14 원단 자동 제단기 KR101433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4169A KR101433364B1 (ko) 2013-01-14 2013-01-14 원단 자동 제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4169A KR101433364B1 (ko) 2013-01-14 2013-01-14 원단 자동 제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3332A true KR20140093332A (ko) 2014-07-28
KR101433364B1 KR101433364B1 (ko) 2014-08-26

Family

ID=51739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4169A KR101433364B1 (ko) 2013-01-14 2013-01-14 원단 자동 제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3364B1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20288A (zh) * 2016-08-24 2016-11-16 速飞得(中国)自动化科技有限公司 移动组合裁布机
CN107724053A (zh) * 2017-11-01 2018-02-23 苏州印丝特纺织数码科技有限公司 一种布匹批量剪裁装置
CN108330220A (zh) * 2018-03-12 2018-07-27 嘉兴万源时装有限公司 一种皮革面料的加工装置及加工方法
CN109208317A (zh) * 2018-11-10 2019-01-15 苏州高甲防护科技有限公司 一种防刺服生产用剪裁装置
CN110117897A (zh) * 2019-06-05 2019-08-13 丽水俊翔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服装制造的布匹整切设备
KR102020734B1 (ko) * 2018-09-10 2019-09-10 한국패션산업연구원 복수 원단의 재단이 가능한 연단기
CN110640803A (zh) * 2019-10-16 2020-01-03 利辛县富亚纱网有限公司 一种门帘纱网防皱裁边机构
CN110640828A (zh) * 2019-09-18 2020-01-03 余姚创景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石棉成品分割裁切设备
CN112376259A (zh) * 2020-11-20 2021-02-19 嘉善卓奕服饰辅料厂(普通合伙) 一种布匹放卷裁切设备
CN112411165A (zh) * 2019-08-22 2021-02-26 Bmo股份有限公司 组合式百叶窗面料切割装置
CN113878656A (zh) * 2021-10-04 2022-01-04 哈尔滨理工大学 一种纸箱加工机械切割装置
KR102348850B1 (ko) * 2021-03-02 2022-01-07 서승범 부직포 원단 절단장치
CN114960166A (zh) * 2022-06-16 2022-08-30 杭州港华纺织有限公司 一种高透气性织物的加工设备及制备方法
KR102456716B1 (ko) * 2022-02-07 2022-10-20 주식회사 이디에스 슬리팅 나이프 유닛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9566B1 (ko) 2014-11-19 2015-10-1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적외선 염색기용 염색 원단 자동 재단 설계 장치 및 방법
KR101621081B1 (ko) 2015-03-25 2016-05-13 주식회사 비엠오 섬유원단의 장력을 제어하는 연단기의 칼블럭 장치
KR101850952B1 (ko) 2016-11-30 2018-05-30 주식회사 비엠오 연단기의 클램프 장치
KR101888456B1 (ko) * 2017-04-19 2018-08-14 주식회사 한일티앤에이치 원단 재단기
KR102150198B1 (ko) * 2019-05-29 2020-08-31 주식회사 피엔에이코리아 방염 처리된 기능성 작업복 제조방법
KR102402018B1 (ko) * 2020-07-28 2022-06-28 지엔씨코퍼레이션(주) 흡음시트 재단기
CN112323468B (zh) * 2020-11-04 2022-03-29 雄县海兴帽业有限公司 衣帽制作用具有平抹结构的多向剪裁设备
KR102483852B1 (ko) 2022-07-29 2022-12-30 김재광 인쇄물 제작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0535B1 (ko) 1998-12-29 2002-02-19 조윤제 와이퍼제조용 절단장치
KR100845550B1 (ko) 2007-05-16 2008-07-10 최규수 스크린 원단의 절단 장치
KR100954646B1 (ko) 2008-11-04 2010-04-27 신동주 원단절단장치
KR101106601B1 (ko) * 2009-04-20 2012-01-20 김도완 섬유 부자재 자동 절단기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20288A (zh) * 2016-08-24 2016-11-16 速飞得(中国)自动化科技有限公司 移动组合裁布机
CN107724053B (zh) * 2017-11-01 2020-02-21 苏州印丝特纺织数码科技有限公司 一种布匹批量剪裁装置
CN107724053A (zh) * 2017-11-01 2018-02-23 苏州印丝特纺织数码科技有限公司 一种布匹批量剪裁装置
CN108330220A (zh) * 2018-03-12 2018-07-27 嘉兴万源时装有限公司 一种皮革面料的加工装置及加工方法
KR102020734B1 (ko) * 2018-09-10 2019-09-10 한국패션산업연구원 복수 원단의 재단이 가능한 연단기
CN109208317A (zh) * 2018-11-10 2019-01-15 苏州高甲防护科技有限公司 一种防刺服生产用剪裁装置
CN110117897A (zh) * 2019-06-05 2019-08-13 丽水俊翔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服装制造的布匹整切设备
CN110117897B (zh) * 2019-06-05 2020-05-22 浙江新衣诚服装有限公司 一种用于服装制造的布匹整切设备
CN111392489A (zh) * 2019-06-05 2020-07-10 丽水俊翔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服装制造的布匹整切设备
CN111392489B (zh) * 2019-06-05 2021-09-10 丽水俊翔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服装制造的布匹整切设备
CN112411165A (zh) * 2019-08-22 2021-02-26 Bmo股份有限公司 组合式百叶窗面料切割装置
CN110640828A (zh) * 2019-09-18 2020-01-03 余姚创景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石棉成品分割裁切设备
CN110640803A (zh) * 2019-10-16 2020-01-03 利辛县富亚纱网有限公司 一种门帘纱网防皱裁边机构
CN112376259A (zh) * 2020-11-20 2021-02-19 嘉善卓奕服饰辅料厂(普通合伙) 一种布匹放卷裁切设备
KR102348850B1 (ko) * 2021-03-02 2022-01-07 서승범 부직포 원단 절단장치
CN113878656A (zh) * 2021-10-04 2022-01-04 哈尔滨理工大学 一种纸箱加工机械切割装置
KR102456716B1 (ko) * 2022-02-07 2022-10-20 주식회사 이디에스 슬리팅 나이프 유닛
CN114960166A (zh) * 2022-06-16 2022-08-30 杭州港华纺织有限公司 一种高透气性织物的加工设备及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3364B1 (ko) 2014-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3364B1 (ko) 원단 자동 제단기
US10406795B2 (en) Feed device for reinforcing fiber material and method for cutting reinforcing fiber material by using the feed device
KR101685737B1 (ko) 탄성사 공급 장치
JP6101546B2 (ja) 裁断装置
KR101508167B1 (ko) 카카스 재단 권취장치
JP6427952B2 (ja) 搬送装置
JP3199628U (ja) シート巻出装置
JP2012120984A (ja) 中空糸膜シート状物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2010155318A (ja) 未加硫ゴムシートの定寸切断装置及び定寸切断方法
JP5696313B2 (ja) フライング式枚葉加工装置及びこれを用いるシート加工装置
KR101474759B1 (ko) 스크린 인쇄 장치
JP2019532886A (ja) 巻取り終わりにストリップを横方向に切断する手段を備えたウェブ材料のストリップ巻取り装置及び方法
JP2008063059A (ja) 粘着シート貼付装置
KR101768496B1 (ko) 자동 롤 트리밍기
KR101482779B1 (ko) 스크린 이동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스크린 인쇄 장치
CN215325988U (zh) 腹部垫加工用进料折叠机构
CN211682470U (zh) 薄膜全自动冲膜裁切机
CN204324482U (zh) 向裁断机的开匹搬入装置
JP2014193526A (ja) Smcシートの保護フィルム剥離装置
EP3424853B1 (en) Material splicing method, and material supply device
KR20180024253A (ko) 현수막 커팅장치
KR20160061739A (ko) 점착테이프 절단시스템
JP5986556B2 (ja) シート巻取装置
JP2014105048A (ja) シート巻出装置
JP2015093328A (ja) 長尺紙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