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3852B1 - 인쇄물 제작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쇄물 제작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3852B1
KR102483852B1 KR1020220094987A KR20220094987A KR102483852B1 KR 102483852 B1 KR102483852 B1 KR 102483852B1 KR 1020220094987 A KR1020220094987 A KR 1020220094987A KR 20220094987 A KR20220094987 A KR 20220094987A KR 102483852 B1 KR102483852 B1 KR 1024838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ing part
leg
support
shape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4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광
Original Assignee
김재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광 filed Critical 김재광
Priority to KR1020220094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38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3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38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7/00Apparatus or processes for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specially adapted for the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of textile materials
    • D06H7/02Apparatus or processes for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specially adapted for the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of textile materials transverse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0Cutting b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2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쇄물 제작 시스템으로서 인쇄물이 삽입되는 제단부; 상기 제단부로부터 상기 인쇄물의 일부분이 이탈하는 것을 수거하는 수거받침부; 및 상기 제단부의 하단 양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단부를 지지하고, 상기 수거받침부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다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쇄물 제작 시스템{A printmaking system}
본 발명은 인쇄물 제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슬리터(제단기)는 인쇄물, 종이, 필름, 알루미늄 박 등 감겨있는 원반으로부터 임의의 새로운 크기로 절단(Slitting)하여 되감거나 제품화하는 롤 가공 기계이다.
이러한 슬리터는 기본적으로 권출부, 롤러부, 절단부, 배출부로 구성되지만, 재료의 사양과 품질로 인하여 여러가지 기계적 구조와 안전장치를 탑재할 필요가 있다.
즉, 주지된 바와 같이 슬리터는 절단할 재료에 따라 요구되는 사양이 달라지는데 특히, 인쇄물의 경우엔 다양한 두께와 장력을 지니고 있으므로 인쇄물을 제단하는 장치로부터 작업자의 안전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 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 10-1433364 호
본 발명의 목적은 합성섬유의 소재로 형성되어 있는 받침형성부를 통해 인쇄물이 삽입 및 제단되는 제단부로부터 이탈되는 인쇄물(잔여 인쇄물)이 반동으로 인하여 튕겨져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인쇄물 제작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물 제작 시스템은, 삽입된 인쇄물이 제단되는 제단부; 상기 제단부로부터 상기 인쇄물의 일부분이 이탈하는 것을 수거하는 수거받침부; 및 상기 제단부의 하단 양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단부를 지지하고, 상기 수거받침부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다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단부는, 내측으로 삽입되는 상기 인쇄물을 절단하는 절단날을 이용하여 상기 인쇄물을 제단하는 인쇄물제단부; 상기 인쇄물제단부에 의해 제단될 때 발생하는 열에 의해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상기 인쇄물제단부의 상단에 위치하는 상단지지부; 상기 인쇄물제단부에 의해 제단될 때 발생하는 열에 의해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상기 인쇄물제단부의 하단에 위치하는 하단지지부; 및 상기 하단지지부의 하단에 위치하고, 상기 인쇄물을 제단하도록 구동하는 인쇄물제단부 및 상기 상단지지부, 상기 하단지지부를 지지하도록 넓은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는 인쇄물제단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다리부는, 'ㅗ'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단부는 상기 제단부의 하단면과 맞닿아 고정되며 하단부는 바닥면과 평행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거받침부는, 상기 제단부의 하단 양측에 위치한 상기 다리부의 상단부를 관통하여 상하부로 위치한 양단지지부; 양단이 상기 다리부에 위치한 상기 양단지지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하부로 위치한 상기 양단지지부에 의해 상하부에 위치되어 있는 횡단연결부; 및 상하부에 위치한 상기 횡단연결부에 걸쳐져 있는 받침형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횡단연결부는, 하나는 상기 다리부의 상단에 위치한 상기 양단지지부의 후면에 연결되어 있고, 다른 하나는 상기 다리부의 하단에 위치한 상기 양단지지부의 전면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받침형성부는, 상기 양단지지부에 연결됨에 따라 상단 후면 및 하단 전면에 위치한 상기 횡단연결부에 의해 'ι'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받침형성부는, 합성섬유의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제단부로부터 이탈되는 인쇄물(잔여 인쇄물)이 반동으로 인하여 튕겨져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다리부는, 바닥면과 평행하게 위치한 하단부를 감싸며 바닥면과 수직하게 위치한 다리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다리고정부는, 상기 다리부의 너비와 동일한 길이 또는 너비보다 더 긴 길이로 형성되는 끼움형성부; 및 상기 끼움형성부의 하측 양단에 구비되어 있는 양단기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양단기둥부는, 소정의 직경 및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되, 내측 방향으로 일정 각도 꺽인 채 형성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에는 부착 가능한 소재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끼움형성부의 하측 양단에 부착 고정되어 있는 제1 형성부; 상기 제1 형성부의 하단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형성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제2 형성부; 상기 제2 형성부의 하단에 위치하여 상단의 직경은 상기 제2 형성부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며 하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줄어드는 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3 형성부; 상기 제3 형성부의 하단에 구비되어 있으며 소정의 길이를 갖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4 형성부; 및 상기 제4 형성부의 하단에 위치하고, 상단은 상기 제4 형성부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되 하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줄어드는 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5 형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형성부는, 상기 제1 형성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다리부의 하단부에 억지 끼움 가능하여 상기 다리부의 하단부가 바닥면에 위치한 채 상기 다리고정부의 내측에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3 형성부는, 콘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하단에 상기 제4 형성부가 위치하도록 하단은 평평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5 형성부는, 하단이 뾰족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형성부 내지 상기 제4 형성부는, 상기 다리부의 하단부 높이에 맞추어 길이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5 형성부는, 상기 다리부의 하단부가 바닥면에 고정되도록 바닥면에 삽입되어 위치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인쇄물 제작 시스템은 합성섬유의 소재로 형성되어 있는 받침형성부를 통해 인쇄물이 삽입 및 제단되는 제단부로부터 이탈되는 인쇄물(잔여 인쇄물)이 반동으로 인하여 튕겨져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다리부를 고정하는 다리고정부는 제1 형성부의 직경 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제2 형성부에 의해 다리부의 하단부에 억지 끼움 가능하여 다리부의 하단부가 바닥면에 위치한 채 다리고정부의 내측에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다리고정부에 의해 인쇄물 제작 중 진동이 발생하여 인쇄물에 외부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도 있고, 인쇄물 제작 장치가 설치된 원래의 위치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형성부에 구성 중 일부인 탄성부는 외측성형부의 하단 내측에 위치하여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충격 또는 진동에 의해 수축 또는 이완 구동할 수 있어 충격 또는 진동에 의해 끼움고정부 및 다리고정부가 손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형성부에 구성 중 일부인 이탈방지부는 내측형성부의 중앙부에 위치한 탄성부가 외부로부터 발생한 충격 또는 진동에 의해 수축 구동한 후 이완 구동할 때, 외측형성부가 반동에 의하여 끼움형성부에 손상 입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형성부에 구성 중 일부인 내측형성부의 외측면에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외측형성부의 내측면과 맞닿아 외측형성부가 회전하고, 내측형성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미만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물 제작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쇄물 제작 시스템의 일부 구성인 키오스크에 대한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Figure 112022079941468-pat00001
Figure 112022079941468-pat00002
Figure 112022079941468-pat00003
Figure 112022079941468-pat00004
Figure 112022079941468-pat00005
Figure 112022079941468-pat00006
Figure 112022079941468-pat00007
Figure 112022079941468-pat00008
Figure 112022079941468-pat00009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체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 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체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체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미만,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물 제작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물 제작 시스템(100)은 삽입된 인쇄물이 제단되는 제단부(110), 제단부(110)로부터 인쇄물의 일부분이 이탈하는 것을 수거하는 수거받침부(150) 및 제단부(110)의 하단 양측에 위치하여 제단부(110)를 지지하고, 수거받침부(150)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다리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단부(110)는 내측으로 삽입되는 인쇄물을 절단하는 절단날을 이용하여 인쇄물을 제단하는 인쇄물제단부(115), 인쇄물제단부(115)에 의해 제단될 때 발생하는 열에 의해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인쇄물제단부(115)의 상단에 위치하는 상단지지부(117), 인쇄물제단부(115)에 의해 제단될 때 발생하는 열에 의해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인쇄물제단부(115)의 하단에 위치하는 하단지지부(113) 및 하단지지부(113)의 하단에 위치하고, 인쇄물을 제단하도록 구동하는 인쇄물제단부(115) 및 상단지지부(117), 하단지지부(113)를 지지하도록 넓은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는 인쇄물제단 지지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인쇄물제단 지지부(111)는 인쇄물이 제단됨에 따라 발생하는 미세한 진동부터 큰 진동까지 버틸 수 있는 스테인레스 또는 나무 판재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인쇄물제단 지지부(111)는 스테인레스 또는 나무 판재로 형성될 수 있다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인쇄물이 제단됨에 따라 발생하는 미세한 진동부터 큰 진동까지 버틸 수 있는 소재임과 동시에 사각 판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소재라면 그 소재나 명칭에 구애됨없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다리부(190)는 'ㅗ'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단부는 제단부(110)의 하단면과 맞닿아 고정되며 하단부는 바닥면과 평행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수거받침부(150)는 제단부(110)의 하단 양측에 위치한 다리부(190)의 상단부를 관통하여 상하부로 위치한 양단지지부(153, 157), 양단이 다리부(190)에 위치한 양단지지부(153, 157)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하부로 위치한 양단지지부(153, 157)에 의해 상하부에 위치되어 있는 횡단연결부(151, 159) 및 상하부에 위치한 횡단연결부(151, 159)에 걸쳐져 있는 받침형성부(15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횡단연결부(151, 159)의 하나는 다리부(190)의 상단에 위치한 양단지지부(153, 157)의 후면에 연결되어 있고, 다른 하나는 다리부(190)의 하단에 위치한 양단지지부(153, 157)의 전면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받침형성부(155)는 양단지지부(153, 157)에 연결됨에 따라 상단 후면 및 하단 전면에 위치한 횡단연결부(151, 159)에 의해 'ι'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받침형성부(155)는 합성섬유의 소재로 형성되어 제단부(110)로부터 이탈되는 인쇄물(잔여 인쇄물)이 반동으로 인하여 튕겨져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받침형성부(155)는 합성섬유의 소재로 형성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단부(110)로부터 이탈되어 떨어지는 인쇄물이 반동으로 인하여 튕겨져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소재라면 그 명칭에 구애됨없이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쇄물 제작 시스템의 일부 구성인 다리부에 구비된 다리고정부에 대한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리부(190)는 바닥면과 평행하게 위치한 하단부를 감싸며 바닥면과 수직하게 위치한 다리고정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다리고정부(200)는 끼움형성부(210) 및 양단기둥부(220, 230, 240, 250, 260)를 포함할 수 있다.
끼움형성부(210)는 다리부(190)의 너비와 동일한 길이 또는 너비보다 더 긴 길이로 형성될 수 있고, 사각 판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끼움형성부(210)는 다리부(190)의 하단부의 너비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어 후술하는 양단기둥부(220, 230, 240, 250, 260)가 다리부(190)의 하단부에 끼움 고정될 수 있다.
양단기둥부(220, 230, 240, 250, 260)는 끼움형성부(210)의 하측 양단에 구비되어 있을 수 있으며 다리부(190)의 하단부에 끼움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양단기둥부(220, 230, 240, 250, 260)는 제1 형성부(220) 내지 제5 형성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형성부(220)는 소정의 직경 및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되, 내측 방향으로 일정 각도 꺽인 채 형성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단에는 부착 가능한 소재가 구비되어 있어 끼움형성부(210)의 하측 양단에 부착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형성부(230)는 제1 형성부(220)의 하단에 구비되어 있으며 제1 형성부(220)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형성부(230)가 제1 형성부(220)의 직경 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이유는 다리부(190)의 하단부에 억지 끼움 가능하여 다리부(190)의 하단부가 바닥면에 위치한 채 다리고정부(200)의 내측에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제3 형성부(240)는 제2 형성부(230)의 하단에 위치하여 상단의 직경은 제2 형성부(230)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며 하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줄어드는 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 형성부(240)는 콘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하단에 제4 형성부(250)가 위치하도록 하단은 원기둥 형상의 제4 형성부(250)가 연결 설치 가능하도록 평평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4 형성부(250)는 제3 형성부(240)의 하단에 구비되어 있으며 소정의 길이를 갖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5 형성부(260)는 제4 형성부(250)의 하단에 위치할 수 있고, 상단은 제4 형성부(250)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되 하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줄어드는 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5 형성부(260)는 하단이 뾰족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리부(190)의 하단부가 바닥면에 고정되도록 바닥면에 삽입되어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제5 형성부(260)는 전체 길이가 바닥면에 삽입될 수도 있고, 일부분만 바닥면에 삽입될 수도 있는데 이는 바닥면의 재질 또는 다리부(190)의 하단부 높이에 따라 바닥면에 삽입되는 길이도 조정될 수 있다.
상술한 제1 형성부(220) 내지 제4 형성부(250)는 다리부(190)의 하단부 높이에 맞추어 길이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다리고정부(200)에 의해 인쇄물 제작 중 진동이 발생하여 인쇄물에 외부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도 있고, 인쇄물 제작 장치(100)가 설치된 원래의 위치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도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형성부(220)는 외측형성부(310), 탄성부(330) 및 내측형성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외측형성부(310)는 외측에 위치하여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외측형성부는 홈부(311), 충격흡수부(312) 및 하단형성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
홈부(311)는 외측형성부(310)의 중앙부에 상단으로부터 하단 방향으로 형성된 홈을 의미할 수 있다.
충격흡수부(312)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외측면에는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소재(3121)로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소재는 스펀지 등의 소재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충격을 흡수하여 외측형성부(310) 및 홈부(311)에 가해지는 손상 또는 충격 등을 최소화하기 위한 소재라면 그 명칭에 구애됨없이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충격흡수부(312)는 내측 상단으로 삽입한 내측형성부(350)가 내측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측 방향으로 끼움 고정되는 끼움고정부(3122)가 돌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하단형성부(313)는 충격흡수부(312)의 하단에 위치하고, 충격흡수부(312)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내측에는 탄성부(330)의 상단부를 감싸는 것이 가능한 직경으로 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하단형성부(313)는 충격흡수부(312)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됨에 따라 충격흡수부(312)와 하단형성부(313)에는 단턱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외측형성부(310)는 탄성부(330)가 외부로부터 발생한 충격 또는 진동에 의해 수축 구동할 때 하단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탄성부(330)가 이완 구동할 때 상단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외측형성부(310)는 내측형성부(350)의 외측면과 맞닿는 내측면이 내측형성부(350)의 외측면에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돌기(3501)에 끼움 고정되도록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외측형성부(310)의 내측면과 내측형성부(350)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끼움 고정됨에 따라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외측형성부(31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탄성부(330)는 외측형성부(310)의 하단 내측에 위치하여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충격 또는 진동에 의해 수축 또는 이완 구동할 수 있다.
여기서, 탄성부(330)는 코일 스프링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수축 및 이완 구동하여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충격 또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장치라면 그 명칭에 구애됨없이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330)는 내측형성부(350)의 중앙부를 감싸도록 위치하되 내측형성부(350)의 중앙부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생기는 하단의 돌출된 상단면에 걸리듯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330)는 내측형성부(350)의 중앙부의 직경을 감싸도록 위치하되, 중앙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하단에 걸쳐지도록 위치할 수 있다.
내측형성부(350)의 상단은 외측형성부(310)의 내측에 위치 가능한 직경으로 형성되고, 중앙부는 탄성부(330)의 내측에 위치 가능한 직경으로 형성되고, 하단은 중앙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내측형성부(350)는 외측형성부(310)의 홈부(311)를 통해 외측형성부(310)를 관통하여 상단은 외측형성부(310)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내측형성부(350)는 이탈방지부(351) 및 제단부착부(352)를 포함할 수 있다.
이탈방지부(351)는 상단에 위치하여 외측형성부(31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중앙에 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탈방지부(351)는 외측형성부(310)의 상단에 위치하여 외측형성부(310)의 상단 방향으로의 구동을 제한할 수 있다.
즉, 이탈방지부(351)는 내측형성부(350)의 중앙부에 위치한 탄성부(330)가 외부로부터 발생한 충격 또는 진동에 의해 수축 구동한 후 이완 구동할 때, 외측형성부(310)가 반동에 의하여 끼움형성부(210)에 손상 입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단부착부(352)는 이탈방지부(351)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홈에 삽입되며, 상단에는 부착 가능한 소재가 구비되어 있어 끼움형성부(210)의 하단에 부착될 수 있다.
즉, 제단부착부(352)의 상단에 구비된 부착 가능한 소재를 통해 제1 형성부(220)는 끼움형성부(210)의 하단에 고정된 채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부착 가능한 소재는 본드 또는 양면 테이프를 의미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끼움형성부(210)의 하단에 고정된 채 연결될 수 있는 장치라면 그 명칭에 구애됨없이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내측형성부(350)의 외측면에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돌기(3501)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외측형성부(310)의 내측면과 맞닿아 외측형성부(310)가 회전하고, 내측형성부(35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인쇄물 제작 시스템

Claims (3)

  1. 삽입된 인쇄물이 제단되는 제단부;
    상기 제단부로부터 상기 인쇄물의 일부분이 이탈하는 것을 수거하는 수거받침부; 및
    상기 제단부의 하단 양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단부를 지지하고, 상기 수거받침부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다리부;를 포함하는 , 인쇄물 제작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단부는,
    내측으로 삽입되는 상기 인쇄물을 절단하는 절단날을 이용하여 상기 인쇄물을 제단하는 인쇄물제단부;
    상기 인쇄물제단부에 의해 제단될 때 발생하는 열에 의해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상기 인쇄물제단부의 상단에 위치하는 상단지지부;
    상기 인쇄물제단부에 의해 제단될 때 발생하는 열에 의해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상기 인쇄물제단부의 하단에 위치하는 하단지지부; 및
    상기 하단지지부의 하단에 위치하고, 상기 인쇄물을 제단하도록 구동하는 인쇄물제단부 및 상기 상단지지부, 상기 하단지지부를 지지하도록 넓은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는 인쇄물제단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리부는,
    'ㅗ'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단부는 상기 제단부의 하단면과 맞닿아 고정되며 하단부는 바닥면과 평행하도록 위치하고,
    상기 수거받침부는,
    상기 제단부의 하단 양측에 위치한 상기 다리부의 상단부를 관통하여 상하부로 위치한 양단지지부;
    양단이 상기 다리부에 위치한 상기 양단지지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하부로 위치한 상기 양단지지부에 의해 상하부에 위치되어 있는 횡단연결부; 및
    상하부에 위치한 상기 횡단연결부에 걸쳐져 있는 받침형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횡단연결부는,
    하나는 상기 다리부의 상단에 위치한 상기 양단지지부의 후면에 연결되어 있고, 다른 하나는 상기 다리부의 하단에 위치한 상기 양단지지부의 전면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받침형성부는,
    상기 양단지지부에 연결됨에 따라 상단 후면 및 하단 전면에 위치한 상기 횡단연결부에 의해 'ι'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받침형성부는,
    합성섬유의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제단부로부터 이탈되는 인쇄물이 반동으로 인하여 튕겨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인쇄물 제작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바닥면과 평행하게 위치한 하단부를 감싸며 바닥면과 수직하게 위치한 다리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리고정부는,
    상기 다리부의 너비와 동일한 길이 또는 너비보다 더 긴 길이로 형성되는 끼움형성부; 및
    상기 끼움형성부의 하측 양단에 구비되어 있는 양단기둥부;를 포함하고,
    상기 양단기둥부는,
    소정의 직경 및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되, 내측 방향으로 일정 각도 꺽인 채 형성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에는 부착 가능한 소재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끼움형성부의 하측 양단에 부착 고정되어 있는 제1 형성부;
    상기 제1 형성부의 하단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형성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제2 형성부;
    상기 제2 형성부의 하단에 위치하여 상단의 직경은 상기 제2 형성부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며 하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줄어드는 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3 형성부;
    상기 제3 형성부의 하단에 구비되어 있으며 소정의 길이를 갖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4 형성부; 및
    상기 제4 형성부의 하단에 위치하고, 상단은 상기 제4 형성부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되 하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줄어드는 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5 형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형성부는,
    상기 제1 형성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다리부의 하단부에 억지 끼움 가능하여 상기 다리부의 하단부가 바닥면에 위치한 채 상기 다리고정부의 내측에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3 형성부는,
    콘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하단에 상기 제4 형성부가 위치하도록 하단은 평평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5 형성부는,
    하단이 뾰족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콘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형성부 내지 상기 제4 형성부는,
    상기 다리부의 하단부 높이에 맞추어 길이가 형성되고,
    상기 제5 형성부는,
    상기 다리부의 하단부가 바닥면에 고정되도록 바닥면에 삽입되어 위치하는, 인쇄물 제작 시스템.
KR1020220094987A 2022-07-29 2022-07-29 인쇄물 제작 시스템 KR1024838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4987A KR102483852B1 (ko) 2022-07-29 2022-07-29 인쇄물 제작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4987A KR102483852B1 (ko) 2022-07-29 2022-07-29 인쇄물 제작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3852B1 true KR102483852B1 (ko) 2022-12-30

Family

ID=84538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4987A KR102483852B1 (ko) 2022-07-29 2022-07-29 인쇄물 제작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385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1583B1 (ko) * 2007-12-20 2008-05-22 문홍곤 용지 절단 장치 및 그 방법
KR101433364B1 (ko) 2013-01-14 2014-08-26 정연호 원단 자동 제단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1583B1 (ko) * 2007-12-20 2008-05-22 문홍곤 용지 절단 장치 및 그 방법
KR101433364B1 (ko) 2013-01-14 2014-08-26 정연호 원단 자동 제단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3852B1 (ko) 인쇄물 제작 시스템
US20160320260A1 (en) Automatic wheel balance weight attaching system
US2170764A (en) Yarn swift
US3468203A (en) Knives
KR101936973B1 (ko) 내부 가요성 지지체를 이용하여 고장력으로 미세 와이어를 권취하기 위한 스풀
US20170016191A1 (en) Self-restoring crash cushions
JP2002255179A (ja) コイル梱包用パレット及びそのパレットを用いたコイル梱包体
CN108772883A (zh) 自动切卷机卷材固定夹持器
KR20050102897A (ko) 선재 풀림 가이드장치
JP2015009885A (ja) 樹脂フィルムロールの梱包材
US2141109A (en) Film reel band
CN208120328U (zh) 一种塑料膜卷筒的开卷装置
US2844342A (en) Machine stand with floating top
US3467333A (en) Web slitter
US3718354A (en) Apparatus for sectionally delivering a web from a storage roll
US956173A (en) Machine for attaching fabric to metal.
KR102525386B1 (ko) 멸균 종이 권출 및 절단 장치
CN215797311U (zh) 一种新型放卷装置
KR102001955B1 (ko) 정전기 제거가 가능한 포장지 제조장치
JP5950786B2 (ja) 舗装機械のモールドボード保持装置
KR101382647B1 (ko) 박판 코일 보관장치
JP6365815B2 (ja) 記録装置
CN218809444U (zh) 一种薄膜高速分切机
JPH0750350Y2 (ja) 画像形成装置の給紙装置
KR101683496B1 (ko) 휠 밸런스 웨이트 자동 부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