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3496B1 - 휠 밸런스 웨이트 자동 부착장치 - Google Patents

휠 밸런스 웨이트 자동 부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3496B1
KR101683496B1 KR1020140170354A KR20140170354A KR101683496B1 KR 101683496 B1 KR101683496 B1 KR 101683496B1 KR 1020140170354 A KR1020140170354 A KR 1020140170354A KR 20140170354 A KR20140170354 A KR 20140170354A KR 101683496 B1 KR101683496 B1 KR 101683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balance weight
fixing bracket
spring member
inner circum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0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6245A (ko
Inventor
임준홍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0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3496B1/ko
Publication of KR20160066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6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3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3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11/00Units comprising multiple wheels arranged side by side; Wheels having more than one rim or capable of carrying more than one tyre
    • B60B11/08Arrangements of balancing mechanisms enabling a uniform distribution of load to ty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28Counterweights, i.e. additional weights counterbalancing inertia forces induced by the reciprocating movement of masses in the system, e.g. of pistons attached to an engine crankshaft; Attaching or mounting sam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80/00Motor vehicles
    • Y10S180/906Adjustable ax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esting Of Balance (AREA)

Abstract

휠 밸런스 웨이트 자동 부착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휠 밸런스 웨이트 자동 부착장치는 한 쪽 면에 접착제층을 형성하고 있는 소정 크기의 밸런스 웨이트를 휠의 내주 면에 자동으로 부착하기 위한 것으로서, ⅰ)로봇의 아암 선단에 장착되는 고정 브라켓과, ⅱ)고정 브라켓의 양측 각각에 스프링부재를 통하여 탄발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그 블록과, ⅲ)각 지그 블록에 결합되고, 소정 곡률 반경의 곡면을 지니며 그 곡면에 밸런스 웨이트의 다른 한 쪽 면을 자력으로 부착하는 가압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휠 밸런스 웨이트 자동 부착장치 {AUTOMATIC STICKING DEVICE FOR WHEEL BALANCE WEIGHT}
본 발명의 실시예는 휠 밸런스 웨이트 자동 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접착식의 밸런스 웨이트를 로봇을 통해 휠의 내주 면에 자동으로 부착하는 휠 밸런스 웨이트 자동 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타이어 휠의 경우 중량이 불균형한 부분이 있으면 회전에 따른 원심력으로 인해 진동이 발생하고, 그로 인해 소음발생 및 타이어의 편마모, 핸들의 떨림현상 등이 유발된다. 상기 원심력은 회전속도에 비례하기 때문에 특히 고속으로 주행할 경우 바퀴에 불균형이 있으면 진동이 커지므로 휠 밸런스가 정확해야 한다.
휠 밸런스는 그 성질상 정적 밸런스와 동적 밸런스로 나누어지는데, 정적 밸런스가 잡혀있지 않으면 휠이 상하로 진동하고, 동적 밸런스가 잡혀 있지 않으면 좌우 방향으로 흔들림이 일어난다.
이러한 자동차 휠의 언밸런스를 수정하려면 휠의 가장자리 임의의 개소(중량 불균형을 일으키는 부위의 반대편)에 적당한 무게의 밸런스 웨이트를 설치함으로써 반대방향의 원심력을 발생시켜 균형을 이루게 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은 밸런스 웨이트는 휠에 해당되는 무게만큼 밸런스 웨이트를 끼우는 클립식과, 근래에 들어서 소형에서 대형차량까지 사용되고 휠에 해당하는 무게만큼 밸런스 웨이트를 부착하는 접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최근에 들어서는 접착식 밸런스 웨이트로서, 띠 형상의 고분자 소재로 구성하여 유연성을 부여하고, 한 쪽 면에 접착층을 형성하며 그 접착층에 이형지를 부착한 상태에서 롤 형태로 감은 밸런스 웨이트를 필요한 양만큼 절단하여 휠의 내주 면에 접착하는 밸런스 웨이트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웨이트 밸런스의 부착 작업은 작업자에 의한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반복적으로 손가락에 과다한 하중이 가해져 작업환경 문제 예컨대,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을 유발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작업자의 작업 기피 현상이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수작업에 의한 밸런스 웨이트의 가압력 부족으로 인해 밸런스 웨이트의 접착 품질 확보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별도의 구동부를 사용하지 않고, 로봇의 티칭 이동으로서 밸런스 웨이트를 휠의 내주 면에 자동으로 부착할 수 있도록 한 휠 밸런스 웨이트 자동 부착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휠 밸런스 웨이트 자동 부착장치는, 한 쪽 면에 접착제층을 형성하고 있는 소정 크기의 밸런스 웨이트를 휠의 내주 면에 자동으로 부착하기 위한 것으로서, ⅰ)로봇의 아암 선단에 장착되는 고정 브라켓과, ⅱ)상기 고정 브라켓의 양측 각각에 스프링부재를 통하여 탄발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그 블록과, ⅲ)상기 각 지그 블록에 결합되고, 소정 곡률 반경의 곡면을 지니며 그 곡면에 상기 밸런스 웨이트의 다른 한 쪽 면을 자력으로 부착하는 가압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휠 밸런스 웨이트 자동 부착장치는, 상기 로봇에 의한 가압력과 상기 스프링부재의 탄성력을 상기 가압 패드에 제공하며 상기 밸런스 웨이트의 한 쪽 면을 휠의 내주 면에 부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휠 밸런스 웨이트 자동 부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지그 블록은 한 쌍의 가이드 바를 통해 상기 고정 브라켓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휠 밸런스 웨이트 자동 부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가이드 바에는 상기 스프링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휠 밸런스 웨이트 자동 부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압 패드의 곡면에는 다수 개의 자석들이 매립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휠 밸런스 웨이트 자동 부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압 패드는 상기 고정 브라켓을 중심으로 하여 180도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휠 밸런스 웨이트 자동 부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압 패드는 상기 휠 내주 면의 상하 측에 각각 대응하여 소정 높이 차를 두고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휠 밸런스 웨이트 자동 부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압 패드는 상기 로봇에 의해 한 쪽 끝단에서 다른 한 쪽 끝단으로 곡률 반경을 따라 상기 휠의 내주 면에 밀착되며 상기 밸런스 웨이트를 상기 휠의 내주 면에 부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별도의 구동부를 사용하지 않고 로봇의 티칭 이동 및 탄성부재의 탄성력으로서 밸런스 웨이트를 휠의 내주 면에 자동으로 부착할 수 있으므로, 전체 장치의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으며, 수작업에 따른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 및 작업 기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로봇에 의한 가압력과 스프링부재의 탄성력으로서 밸런스 웨이트를 휠의 내주 면에 부착할 수 있으므로, 밸런스 웨이트의 접착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휠 밸런스 웨이트 자동 부착장치를 도시한 전체 시스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휠 밸런스 웨이트 자동 부착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휠 밸런스 웨이트 자동 부착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이 동일한 관계로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의 설명에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수단", "...부", "...부재"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하는 포괄적인 구성의 단위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휠 밸런스 웨이트 자동 부착장치를 도시한 전체 시스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휠 밸런스 웨이트 자동 부착장치(100)는 차량 조립라인에서 타이어와 휠(W)을 결합하고, 타이어의 최소 탄성점과 휠의 최대 반경점을 맞추는 과정을 거치며, 타이어에 공기를 주입하는 인플레이터 과정 및 타이어의 질량 불평형량을 측정하는 밸런스머신 과정을 마친 상태에서, 타이어의 불평형량 만큼 밸런스 웨이트(B)를 휠(W)의 인너 림(이하에서는 편의 상 "내주 면" 이라고 한다)에 부착하는 공정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밸런스 웨이트(B)는 띠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한 쪽 면에 접착제층(1)이 형성되고 그 접착제층(1)에 이형지(3)가 부착되며 롤 형태로 감긴 코일 밸런스 웨이트(5)로부터 절단된 것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밸런스 웨이트(B)는 롤 형태로 감긴 코일 밸런스 웨이트(5)를 풀어내며 이형지(3)를 제거한 상태로 코일 밸런스 웨이트(5)를 일정 중량만큼의 길이로서 절단한 것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밸런스 웨이트(B)의 소재는 유연성을 지닌 고분자 소재로 이루어지며, 자석에 달라붙을 수 있는 공지 기술의 밸런스 웨이트(3M사 제품)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될 각종 구성 요소는 프레임(7)에 설치되는 바, 상기 프레임(7)은 각종 구성 요소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하나의 프레임 또는 둘 이상으로 구획된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7)에는 각각의 구성 요소들을 지지하기 위한 각종 브라켓, 바아, 로드, 플레이트, 하우징, 케이스, 블록, 격벽, 리브, 레일, 칼라 등과 같은 각종 부속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각종 부속요소들은 이하에서 설명될 각각의 구성 요소들을 프레임(7)에 설치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 상기한 부속 요소들을 프레임(7)으로 통칭한다.
상기에서 프레임(7)에는 별도의 이송라인(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이송된 타이어를 지지 및 고정하는 타이어 지지유닛(9)을 상부에 구성하고 있다. 상기 타이어 지지유닛(9)은 타이어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지지롤러(4)와, 그 타이어의 트레드 면을 지지하는 측면 지지롤러(6)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휠 밸런스 웨이트 자동 부착장치(100)는 별도의 구동부를 사용하지 않고, 로봇(R)의 티칭 이동으로서 밸런스 웨이트(B)를 휠(W)의 내주 면에 자동으로 부착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휠 밸런스 웨이트 자동 부착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휠 밸런스 웨이트 자동 부착장치(100)는 밸런스 웨이트 공급유닛(10), 고정 브라켓(30), 지그 블록(50) 그리고 가압 패드(70)를 포함하며, 이를 구성 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밸런스 웨이트 공급유닛(10)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롤 형태로 감겨있는 코일 밸런스 웨이트(5)를 풀어내며 이형지(3)를 제거하고, 그 코일 밸런스 웨이트(5)를 소정의 크기로 절단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밸런스 웨이트 공급유닛(10)은 롤 형태로 감긴 코일 밸런스 웨이트(5)를 풀어내는 리와인딩 롤러부(11)와, 리와인딩 롤러부(11)로부터 풀려진 코일 밸런스 웨이트(5)를 일정 경로를 따라 이송시키는 이송 롤러부(13)와, 이형지(3)가 제거된 코일 밸런스 웨이트(5)를 일정 크기로 절단하는 컷팅부(15)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밸런스 웨이트 공급유닛(10)은 리와인딩 롤러부(11)를 통해 롤 형태로 감겨있는 코일 밸런스 웨이트(5)를 풀어내고, 이송 롤러부(13)를 통해 코일 밸런스 웨이트(5)를 이송시키며, 코일 밸런스 웨이트(5)에 붙어있는 이형지(3)를 제거한 상태로 컷팅부(15)를 통해 코일 밸런스 웨이트(5)를 일정 중량만큼의 길이로서 절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 브라켓(30)은 로봇(R)의 아암(A) 선단에 장착된다. 상기 로봇(R)은 위에서 언급한 바 있는 타이어 지지유닛(9)의 하측에서 프레임(7)의 하부에 설치된다. 상기 로봇(R)은 로봇 제어기에 의해 티칭 제어되며, 다축 방향으로 아암(A)을 이동 및 회전시킬 수 있는 공지 기술의 다축 로봇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브라켓(30)은 로봇(R)의 아암(A) 선단에 구비된 툴 체인저(T)에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러한 고정 브라켓(30)은 툴 체인저(T)에 고정되는 고정판(31)과, 그 고정판(31)의 양측에 180도 방향으로 위치하며 세워진 한 쌍의 측면판(33)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지그 블록(50)은 고정 브라켓(30)의 양측에 각각 탄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지그 블록(50)은 고정 브라켓(30)을 중심에 두고 180도 방향으로 배치되는 바, 고정 브라켓(30)의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측면판(33)에 각각 설치된다. 이러한 지그 블록(50)은 스프링부재(51)를 통하여 고정 브라켓(30)의 각 측면판(33)에 탄발 유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각 지그 블록(50)은 한 쌍의 가이드 바(53)를 통해 고정 브라켓(30)의 측면판(33)에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각 가이드 바(53)에는 고정 브라켓(30)에 대해 지그 블록(50)으로 탄발력을 발휘하는 상기한 스프링부재(51)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바(53)는 고정 브라켓(30)의 측면판(33)을 관통하며 그 측면판(33)에 일측 단부가 지지되고, 지그 블록(50)의 장착홈(55)에 끼워진 상태로 그 지그 블록(50)에 다른 일측 단부가 결합된다.
상기 스프링부재(51)는 가이드 바(53)의 외주 면에 끼워지며 지그 블록(50)의 장착홈(55)에 설치된다. 즉 상기 스프링부재(51)의 일측 단부는 지그 블록(50)의 장착홈(55) 내부에 지지되며, 다른 일측 단부는 고정 브라켓(30)의 측면판(33)에 지지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가압 패드(70)는 각 지그 블록(50)의 가이드 바(53)가 결합되는 부분의 반대쪽에 고정되게 결합된다. 상기 가압 패드(70)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밸런스 웨이트 공급유닛(10)에 의해 일정 크기로 절단된 밸런스 웨이트(B)를 지지하며, 그 밸런스 웨이트(B)를 휠(W)의 내주 면에 가압하며 부착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가압 패드(70)는 고정 브라켓(30)을 중심으로 하여 180도 방향으로 배치되는 바, 최 외측 면에 소정 곡률 반경의 곡면을 형성하고, 그 곡면에 밸런스 웨이트(B)의 다른 한 쪽 면을 자력으로 부착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밸런스 웨이트(B)의 한 쪽 면(도면에서의 상면)에는 접착제층(1)이 형성되어 있으며, 밸런스 웨이트(B)의 다른 한 쪽 면(도면에서의 하면)은 가압 패드(70)의 곡면에 자력으로 부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가압 패드(70)의 곡면에는 밸런스 웨이트(B)의 다른 한 쪽 면을 자력으로서 부착하기 위한 다수 개의 자석들(71)이 매립 설치된다. 상기 자석들(71)은 가압 패드(70)의 곡면 표면에 구비된 요홈에 끼워지며 그 곡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가압 패드(70)는 고정 브라켓(30)을 중심으로 180도 방향으로 위치하며 지그 블록(50)에 설치되는 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휠(W) 내주 면의 상하 측에 대응하여 소정 높이 차를 두고 각각의 지그 블록(50)에 설치된다.
이는 로봇(R)을 통해 고정 브라켓(30)을 수평 방향으로 위치시킨 상태로 휠(W)의 내측에서 그 휠(W)의 내주 면 상측에 어느 하나의 가압 패드(70)(도면에서의 우측)를 통해 밸런스 웨이트(B)를 부착하고, 고정 브라켓(30)을 180도 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휠(W)의 내주면 하측에 다른 하나의 가압 패드(70)(도면에서의 좌측)를 통해 밸런스 웨이트(B)를 부착하기 위함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휠 밸런스 웨이트 자동 부착장치(100)의 작동을 앞서 개시한 도면들 및 하기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로봇(R)을 통해 고정 브라켓(30) 양측의 가압 패드(70)가 수직 방향으로 180도 위치하도록 고정 브라켓(30)을 회전시키며 상측에 위치하는 가압 패드(70)를 밸런스 웨이트 공급유닛(10)의 컷팅부(15) 측으로 이동시킨다. 이 때 타이어는 이송라인을 통해 프레임(7) 상부의 타이어 지지유닛(9) 측으로 이동되며, 그 타이어 지지유닛(9)을 통해 타이어를 지지 및 고정하고 있는 상태에 있다.
이러는 과정을 거치는 동안, 상기 밸런스 웨이트 공급유닛(10)은 리와인딩 롤러부(11)를 통해 롤 형태로 감겨있는 코일 밸런스 웨이트(5)를 풀어내고, 이송 롤러부(13)를 통해 코일 밸런스 웨이트(5)를 이송시키며, 코일 밸런스 웨이트(5)에 붙어있는 이형지(3)를 제거한 상태로 컷팅부(15)를 통해 코일 밸런스 웨이트(5)를 일정 중량만큼의 길이로 절단한다.
상기와 같이 코일 밸런스 웨이트(5)로부터 소정 크기로 절단된 밸런스 웨이트(B)는 상기한 상측 가압 패드(70)의 곡면 상에 위치하게 되는데, 곡면 상의 자석들(71)에 의해 그 곡면 상에 부착된다. 이 때 상기 밸런스 웨이트(B)의 한 쪽 면에는 접착제층(1)이 형성되어 있으며, 밸런스 웨이트(B)의 다른 한 쪽 면은 가압 패드(70)의 곡면에 자석들(71)의 자력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로봇(R)을 통해 고정 브라켓(30)을 180도 회전시키고, 하측에 위치하는 가압 패드(70)를 밸런스 웨이트 공급유닛(10)의 컷팅부(15) 측으로 이동시키며,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밸런스 웨이트(B)를 그 가압 패드(70)의 곡면에 부착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4에서와 같이, 로봇(R)을 통해 고정 브라켓(30) 양측의 가압 패드(70)가 수평 방향으로 180도 위치하도록 고정 브라켓(30)을 회전시키며, 그 고정 브라켓(30)을 휠(W)의 내측으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상기 고정 브라켓(30) 양측의 가압 패드(70)는 곡면 상에 밸런스 웨이트(B)를 부착한 상태로, 고정 브라켓(30)을 중심으로 휠(W) 내주 면의 상하 측에 대응하여 소정 높이 차를 두고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나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로봇(R)의 티칭 이동으로서 어느 하나의 가압 패드(70)(도면에서의 우측)에 부착된 밸런스 웨이트(B)를 휠(W)의 내주 면 상측에 부착하고, 고정 브라켓(30)을 180도 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다른 하나의 가압 패드(70)(도면에서의 좌측)에 부착된 밸런스 웨이트(B)를 휠(W)의 내주 면 하측에 부착한다.
이러는 과정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로봇(R)의 티칭 이동에 의해 가압 패드(70)를 휠(W)의 내주 면에 밀착시키며 밸런스 웨이트(B)를 휠(W)의 내주 면에 부착하는데, 가압 패드(70)를 고정하고 있는 지그 블록(50)은 스프링부재(51)의 탄성력을 극복하며 고정 브라켓(30)에 대하여 가이드 바(53)를 통해 고정 브라켓(30) 측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로봇(R)에 의한 가압력과 스프링부재(51)의 탄성력을 지그 블록(50)을 통해 가압 패드(70)에 제공하며 접착제층(1)이 형성된 밸런스 웨이트(B)의 한 쪽 면을 휠(W)의 내주 면에 부착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가압 패드(70)는 로봇(R)의 티칭 이동에 의해 도 5에서와 같이 한 쪽 끝단에서 다른 한 쪽 끝단으로 곡률 반경을 따라 휠(W)의 내주 면에 밀착되며 밸런스 웨이트(B)를 휠(W)의 내주 면에 부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휠(W)의 내주 면에 대한 밸런스 웨이트(B)의 부착이 완료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로봇(R)을 통해 고정 브라켓(30)을 밸런스 웨이트 공급유닛(10) 측으로 이동시키며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반복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휠 밸런스 웨이트 자동 부착장치(100)에 의하면, 별도의 구동부를 사용하지 않고, 로봇(R)의 티칭 이동 및 스프링부재(51)의 탄성력에 의해 밸런스 웨이트(B)를 휠(W)의 내주 면에 자동으로 부착할 수 있으므로, 전체 장치(100)의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으며, 수작업에 따른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 및 작업 기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로봇(R)에 의한 가압력과 스프링부재(51)의 탄성력으로서 밸런스 웨이트(B)를 휠(W)의 내주 면에 부착할 수 있으므로, 밸런스 웨이트(B)의 접착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명세서에서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접착제층 3... 이형지
4... 하부 지지롤러 5... 코일 밸런스 웨이트
6... 측면 지지롤러 7... 프레임
9... 지지유닛 10... 밸런스 웨이트 공급유닛
11... 리와인딩 롤러부 13... 이송 롤러부
15... 컷팅부 30... 고정 브라켓
31... 고정판 33... 측면판
50... 지그 블록 51... 스프링부재
53... 가이드 바 55... 장착홈
70... 가압 패드 71... 자석
A... 아암 B... 밸런스 웨이트
R... 로봇 T... 툴 체인저
W... 휠

Claims (7)

  1. 한 쪽 면에 접착제층을 형성하고 있는 소정 크기의 밸런스 웨이트를 휠의 내주 면에 자동으로 부착하기 위한 휠 밸런스 웨이트 자동 부착장치로서,
    로봇의 아암 선단에 툴 체인저를 통해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고정 브라켓;
    상기 고정 브라켓의 양측 각각에 결합되는 지그 블록;
    상기 고정 브라켓과 상기 지그 블록 사이의 거리가 탄성적으로 가변되도록 상기 고정브라켓과 상기 지그 블록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스프링부재; 및
    상기 각 지그 블록에 결합되고, 소정 곡률 반경의 곡면을 지니며 그 곡면에 상기 밸런스 웨이트의 내측면을 자력으로 부착하는 가압 패드; 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부재(51)는, 상기 각 지그 블록에 대응하여 상기 고정브라켓(30)의 회전방향으로 설정된 간격을 두고 적어도 일측과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로봇에 의한 가압력과 상기 스프링부재의 탄성력을 상기 가압 패드에 제공하며 상기 밸런스 웨이트의 외측면을 휠의 내주 면에 부착하되,
    상기 가압 패드는,
    일측에 배치되는 상기 스프링부재가 압축되도록 상기 밸런스 웨이트의 일측을 상기 휠의 내주면 일측에 부착한 후, 타측에 배치되는 상기 스프링부재가 압축되도록 상기 밸런스 웨이트의 타측을 상기 휠의 내주면 타측에 부착하여, 상기 밸런스 웨이트를 상기 휠의 내주면 일측에서 타측으로 순차적으로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밸런스 웨이트 자동 부착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지그 블록은 한 쌍의 가이드 바를 통해 상기 고정 브라켓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밸런스 웨이트 자동 부착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가이드 바에는 상기 스프링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밸런스 웨이트 자동 부착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패드의 곡면에는 다수 개의 자석들이 매립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밸런스 웨이트 자동 부착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패드는,
    상기 고정 브라켓을 중심으로 하여 180도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밸런스 웨이트 자동 부착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패드는,
    상기 휠 내주 면의 상하 측에 각각 대응하여 소정 높이 차를 두고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밸런스 웨이트 자동 부착장치.
  7. 삭제
KR1020140170354A 2014-12-02 2014-12-02 휠 밸런스 웨이트 자동 부착장치 KR101683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0354A KR101683496B1 (ko) 2014-12-02 2014-12-02 휠 밸런스 웨이트 자동 부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0354A KR101683496B1 (ko) 2014-12-02 2014-12-02 휠 밸런스 웨이트 자동 부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6245A KR20160066245A (ko) 2016-06-10
KR101683496B1 true KR101683496B1 (ko) 2016-12-07

Family

ID=56190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0354A KR101683496B1 (ko) 2014-12-02 2014-12-02 휠 밸런스 웨이트 자동 부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3496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39683A (ja) * 1996-03-04 1997-09-16 Tokico Ltd 工業用ロボット
KR20060022512A (ko) * 2004-09-07 2006-03-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타이어의 밸런스 웨이트 접착장치
KR101327065B1 (ko) * 2011-12-12 2013-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휠 웨이트 가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6245A (ko) 2016-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9997B1 (ko) 차량 휠의 언밸런스 교정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11660773B2 (en) Weight material cutting, dispensing and applying systems
US20080308324A1 (en) Drive unit for an inspection vehicle and also inspection vehicle with such a drive unit
CN107199508B (zh) 一种用于机器人打磨抛光的智能砂纸更换装置
US20160320260A1 (en) Automatic wheel balance weight attaching system
CN104308715A (zh) 一种新型振动光饰机
KR101683496B1 (ko) 휠 밸런스 웨이트 자동 부착장치
KR101607313B1 (ko) 코일 외주 포장장치
CA2954410C (en) Robotic wheel cleaner
JP2012172735A (ja) バランスウエイト貼着装置
KR20120051420A (ko) 1축 회전 코일스프링 튜브 조립장치
CN211696862U (zh) 一种镜头抗振性检测装置
JP5954708B2 (ja) 質量中心測定機
CN204171840U (zh) 一种新型振动光饰机
CN104308717A (zh) 一种振动光饰机
JP6274896B2 (ja) 静バランサーおよび静バランスの計測方法
CN108971524A (zh) 大型橡塑密封车削设备
KR102094174B1 (ko) 형강골조 제조기에 부설하여 골조 표면에 양면접착테이프를 부착하는 장치
CN210662139U (zh) 一种机械设备用支架装置
CN107696663B (zh) 一种具有胶带卷安装结构的遮蔽胶加工装置
KR101910612B1 (ko) 부착형 휠 밸런스 웨이트
KR101627669B1 (ko) 크레인의 붐 레스트 장치
CN114851122A (zh) 一种面罩镜片自动装配机及装配方法
JP2524715Y2 (ja) ワイドベルトサンダー機の踏圧装置
CN117506381A (zh) 安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