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7669B1 - 크레인의 붐 레스트 장치 - Google Patents
크레인의 붐 레스트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27669B1 KR101627669B1 KR1020140071643A KR20140071643A KR101627669B1 KR 101627669 B1 KR101627669 B1 KR 101627669B1 KR 1020140071643 A KR1020140071643 A KR 1020140071643A KR 20140071643 A KR20140071643 A KR 20140071643A KR 101627669 B1 KR101627669 B1 KR 10162766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il
- crane
- post
- stopper
- convey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88—Safety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크레인의 붐 레스트 장치가 개시된다. 크레인의 붐 레스트 장치는, 이송 공간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이송 레일과, 이송 레일에 접촉되어 회전되는 회전 롤러가 설치되어 이송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포스트부와, 포스트부에 설치되며 회전 롤러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와, 포스트부에 설치되어 크레인 붐을 거치하는 거치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크레인의 미작동시에 크레인 붐을 효과적으로 거치하고, 크레인의 작동시에는 크레인의 작업 반경의 외부로 이동이 가능한 크레인의 붐 레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크레인(Crane)의 파킹(Parking)을 위해 크레인 붐을 고정하고 무게를 지탱하는 붐 레스트 장치를 설치한다.
붐 레스트 장치는, 해양 프로젝트(offshore project)에 배치되는 대형 크레인의 고정을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크레인 붐이 고정된 상태에서 본선의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등과 같이 외력에 의해 크레인 붐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대형 크레인의 작업 과정에서 작업 위치의 변동 및 규격 사양의 변동이 발생하는 경우, 크레인의 파킹 위치의 변동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붐 레스트 장치는, 설치된 위치의 변동이 불가능하여 붐 레스트의 위치를 변동하기 위해 해체 후 재설치함으로써, 붐 레스트의 설치를 위한 비용이 과다하게 발생하고 효율적인 크레인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크레인 붐을 거치하는 붐 레스트 장치의 위치 이동이 가능한 크레인의 붐 레스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송 공간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이송 레일과, 이송 레일에 접촉되어 회전되는 회전 롤러가 설치되어 이송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포스트부와, 포스트부에 설치되며 회전 롤러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와, 포스트부에 설치되어 크레인 붐을 거치하는 거치부를 포함한다.
구동부는, 포스트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설치되어 회전 롤러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감속기와, 회전 롤러에 연결되는 롤러 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이송 레일은, 바닥면에 설치되는 제1 레일과, 제1 레일과 이격된 상태로 제1 레일에 대응하는 긴 길이를 갖도록 설치되는 제2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포스트부는, 제1 레일에 접촉되어 회전되는 회전 롤러가 설치되어 제1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지지부와, 제1 지지부에 연결되어 제1 지지부와 함께 이동되며 제2 레일에 접촉되어 회전되는 회전 롤러가 설치되어 제2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 레일에는 포스트부의 이동된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기가 설치될 수 있다.
고정기는, 이송 레일에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스토퍼 바와, 스토퍼 바와 포스트부를 연결하는 커넥터 바와, 커넥터 바와 스토퍼 바를 고정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 레일에는 포스트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엔드 스토퍼부가 설치될 수 있다.
엔드 스토퍼부는, 이송 레일의 길이 방향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며 포스트부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돌출되는 스토퍼 플레이트와, 스토퍼 플레이트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완충부재는, 이송 레일에 돌출되게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와, 고정 플레이트의 일측면에 돌출되어 포스트부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스프링 댐퍼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거치부는, 포스트부의 단부에 설치되는 거치 프레임과, 거치 프레임에 돌출되게 설치되며 크레인 붐이 삽입되는 거치 홈이 형성된 거치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크레인의 위치 변경 또는 사양의 변경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크레인의 변경된 위치 및 설비에 대응하여 크레인의 붐 레스트 장치를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효과적은 크레인 붐의 거치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의 붐 레스트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포스트부가 레일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구동부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도면이다.
도 4는 이송 레일 상에 고정기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이송 레일에 설치되는 엔드 스토퍼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포스트부가 레일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구동부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도면이다.
도 4는 이송 레일 상에 고정기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이송 레일에 설치되는 엔드 스토퍼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의 붐 레스트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의 붐 레스트 장치(100)는, 이송 공간의 바닥면(11)에 설치되는 이송 레일(10)과, 이송 레일(10)에 접촉되어 회전되는 회전 롤러(35)가 설치되어 이송 레일(1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포스트부(20)와, 포스트부(20)에 설치되며 회전 롤러(35)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30)와, 포스트부(20)에 설치되어 크레인 붐을 거치하는 거치부(40)를 포함한다.
이송 레일(10)은, 크레인(미도시) 작업이 이루어지는 작업 공간의 바닥면(11)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포스트부(2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송 레일(10)은, 바닥면(11)에 설치되는 제1 레일(12)과, 제1 레일(12)과 이격된 상태로 제1 레일(12)에 대응하는 긴 길이를 갖도록 설치되는 제2 레일(14)을 포함한다.
제1 레일(12)은 크레인의 작업 공간의 바닥면에 설정된 길이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레일(12)의 측면에는 제1 레일(12)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제2 레일(14)이 설치될 수 있다.
제2 레일(14)은 제1 레일(12)과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제1 레일(12)의 측면에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제1 레일(12)과 제2 레일(14)에는 포스트부(20)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2는 도 1의 포스트부가 레일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부(20)는 크레인 붐(16)을 거치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1 레일(12)과 제2 레일(14)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스트부(20)는, 제1 레일(12)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지지부(21)와, 제1 지지부(21)와 연결되며 제2 레일(14)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지지부(23)를 포함한다.
제1 지지부(21)는 크레인 붐(16)의 거치 높이에 대응한 높이를 갖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제1 레일(12)에 접촉되어 회전되는 회전 롤러(35)가 설치된다. 제1 지지부(21)는 크레인 붐(16)을 안정적으로 지지 가능하기 위한 강도를 갖는 스틸 재질로 적용될 수 있다. 제1 지지부(21)의 측면에는 제2 지지부(23)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지지부(23)는 제1 지지부(21)의 측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1 지지부(21)에 연결 리브(22)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지지부(23)는 제1 지지부(21)의 높이에 대응한 높이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2 레일(14)에 접촉되어 회전되는 회전 롤러(35)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지지부(23)는 제1 지지부(21)와 동일한 재질로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포스트부(20)는 제1 지지부(21)와 제2 지지부(23)로 설치되어 제1 레일(12) 및 제2 레일(14)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이송 공간에서 안정적인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포스트부(20)의 이동은 구동부(30)를 통해 구동력을 제공받아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구동부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30)는, 포스트부(20)에 설치되는 구동모터(31)와, 구동모터(31)의 구동축에 설치되어 회전 롤러(35)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감속기(33)와, 회전 롤러(35)에 연결되는 롤러 베어링(37)을 포함한다.
구동모터(31)는, 포스트부(20)에서 회전 롤러(35)가 설치된 근접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모터(31)의 구동력은 감속기(33)를 통해 회전 롤러(35)로 전달된다. 회전 롤러(35)의 회전 작동은 롤러 베어링(37)을 통해 원활한 회전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동모터(31)의 구동 작동이 이루어져 회전 롤러(35)를 구동하면, 포스트부(20)는 위치 이동하고자 하는 이송 공간의 소정의 위치로 용이하게 이동되는 것이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포스트부(20)는 구동부(30)의 구동에 따라 크레인의 작동 중에는 크레인의 작업 반경에서 벗어난 위치로 위치 이동되고, 크레인의 미작동 시에는 크레인 붐(16)이 안착될 수 있는 위치로 이동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거치부(40)를 설명하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포스트부(20)의 상부에는 크레인 붐(16)을 거치하는 거치부(40)가 설치된다.
거치부(40)는, 포스트부(20)의 단부에 설치되는 거치 프레임(41)과, 거치 프레임(41)에 돌출되게 설치되며 크레인 붐(16)이 삽입되는 거치 홈(43a)이 형성된 거치 블록(43)을 포함할 수 있다.
거치 프레임(41)은 포스트부(20)를 구성하는 제1 지지부(21)와 제2 지지부(23)를 함께 연결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거치 프레임(41)은 제1 지지부(21) 및 제2 지지부(23)의 단부에 각각 용접으로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고, 별도의 체결 수단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거치 프레임(41)에는 거치 블록(43)이 일체로 설치될 수 있다.
거치 블록(43)은 거치 프레임(41)에 용접 등으로 일체로 설치되며, 크레인의 미작동시에 크레인 붐(16)이 삽입될 수 있는 거치 홈(43a)이 형성될 수 있다. 거치 홈(43a)은 크레인 붐(16)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것으로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고 크레인 붐(16)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하는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거치부(40)는 포스트부(20)의 단부에 돌출되게 설치되며 크레인 붐(16)이 안착되는 거치 홈(43a)이 형성됨으로써, 크레인의 미작동시에 크레인 붐(16)이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하여 효율적은 크레인 운용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이송 레일(10)에는 포스트부(20)의 이동된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기(50)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송 레일(10)에 설치되는 고정기(50)는 포스트부(20)가 이송 레일(10)을 따라 일정 거리 이동된 위치를 안정적으로 위치 고정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이다. 이하에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고정기(50)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이송 레일 상에 고정기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기(50)는, 이송 레일(10)에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스토퍼 바(51)와, 스토퍼 바(51)와 포스트부(20)를 연결하는 커넥터 바(53)와, 커넥터 바(53)와 스토퍼 바(51)를 고정하는 체결부재(55)를 포함한다.
스토퍼 바(51)는, 이송 레일(10)을 따라 복수개가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송 레일(10)의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 바(51)는 포스트부(20)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강도를 갖는 스틸 등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이송 레일(10)에 용접 등으로 고정될 수 있다. 스토퍼 바(51)에는 포스트부(20)와 연결을 위한 커넥터 바(53)가 설치된다.
커넥터 바(53)는 일단은 포스트부(20)에 연결되고 타단은 스토퍼 바(51)에 연결된다. 이러한 커넥터 바(53)는 포스트부(20) 및 스토퍼 바(51)에 볼트부재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커넥터 바(53)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은, 포스트부(20)의 이동된 위치를 선택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즉, 이송 레일(10)의 측면에는 고정기(50)가 이송 레일(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등간격의 복수개로 설치된다. 따라서, 포스트부(20)는 구동부(3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이송 레일(10)을 따라 이동되는 과정에서, 이동하고자 하는 위치에 정지된 상태에서 고정기(50)에 의해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고정기(50)에 의해 포스트부(20)는 이송 레일(10)의 일 위치에 이동된 상태로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함으로써, 크레인 붐(16)의 거치 자유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이송 레일(10)에는 포스트부(20)의 과도한 이동을 방지하는 엔드 스토퍼(6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엔드 스토퍼(60)는 이송 레일(10)의 길이 방향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설치되어 포스트부(20)의 과도한 이동이 발생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 이하에서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이송 레일에 설치되는 엔드 스토퍼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드 스토퍼(60)는, 이송 레일(10) 길이 방향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며 포스트부(20)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돌출되는 스토퍼 플레이트(61)와, 스토퍼 플레이트(61)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재(63)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 플레이트(61)는, 이송 레일(10)의 양단에 각각 돌출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송 레일(10)에 직접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고, 이송 레일(10)에 브라켓을 이용하여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완충부재(63)는 스토퍼 플레이트(61)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포스트부(20)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완충부재(63)는 이송 레일(10)에 돌출되게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63a)와, 고정 플레이트(63a)의 일측면에 돌출되어 포스트부(20)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스프링 댐퍼부재(63b)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플레이트(63a)는 이송 레일(10)에 용접으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스프링 댐퍼부재(63b)는 일단은 고정 플레이트(63a)에 연결되고 타단은 포스트부(20)에 선택적으로 접촉 가능하게 돌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 플레이트(63a)와 스프링 댐퍼부재(63b)를 포함한 완충부재(63)가 이송 레일(10)의 양단에 각각 설치됨으로서, 포스트부(20)가 이송 레일(1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효과적은 크레인 작업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의 붐 레스트 장치의 작용에 대해 이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크레인이 구동중이면, 크레인의 붐 레스트 장치(100)의 구동부(30)를 구동하여, 크레인의 붐 레스트 장치(100)의 포스트부(20)를 크레인 작업 반경 외부로 위치하도록 이송 레일(10)의 일 위치로 위치 이동시킨다.
이어서, 크레인 구동이 완료된 것으로 확인되면, 크레인의 붐 레스트 장치(100)의 구동부(30)를 구동하여, 크레인 붐(16)을 거치하고자 하는 위치로 크레인의 붐 레스트 장치(100)의 포스트부(20)를 위치 이동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크레인의 위치 변경 또는 사양의 변경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크레인의 변경된 위치 및 설비에 대응하여 크레인의 붐 레스트 장치(100)를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효과적은 크레인 붐의 거치가 가능하다.
다음, 작업자는 크레인 붐(16)이 거치부(40)에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크레인의 미구동시에 크레인 붐(16)의 안정적인 거치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과 균등한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예 또는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10...이송 레일 12...제1 레일
14...제2 레일 16...크레인 붐
20...포스트부 21...제1 지지부
23...제2 지지부 30...구동부
31...구동모터 33...감속기
35...회전 롤러 40...거치부
41...거치 프레임 43...거치 블록
43a..거치 홈 50...고정기
51...스토퍼 바 53...커넥터 바
55...체결부재 60...엔드 스토퍼
61...스토퍼 플레이트 63...완충부재
63a..고정 플레이트 63b..스프링 댐퍼부재
14...제2 레일 16...크레인 붐
20...포스트부 21...제1 지지부
23...제2 지지부 30...구동부
31...구동모터 33...감속기
35...회전 롤러 40...거치부
41...거치 프레임 43...거치 블록
43a..거치 홈 50...고정기
51...스토퍼 바 53...커넥터 바
55...체결부재 60...엔드 스토퍼
61...스토퍼 플레이트 63...완충부재
63a..고정 플레이트 63b..스프링 댐퍼부재
Claims (10)
- 이송 공간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이송 레일;
상기 이송 레일에 접촉되어 회전되는 회전 롤러가 설치되어, 상기 이송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포스트부;
상기 포스트부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 롤러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포스트부에 설치되어 크레인 붐을 거치하는 거치부; 및
상기 이송 레일에 설치되어 상기 포스트부의 이동된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기;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기는,
상기 이송 레일에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스토퍼 바;
상기 스토퍼 바와 상기 포스트부를 연결하는 커넥터 바; 및
상기 커넥터 바와 상기 스토퍼 바를 고정하는 체결부재
를 포함하는 크레인의 붐 레스트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포스트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 롤러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감속기; 및
상기 회전 롤러에 연결되는 롤러 베어링
을 포함하는 크레인의 붐 레스트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레일은,
상기 바닥면에 설치되는 제1 레일; 및
상기 제1 레일과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1 레일에 대응하는 긴 길이를 갖도록 설치되는 제2 레일
을 포함하는 크레인의 붐 레스트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부는,
상기 제1 레일에 접촉되어 회전되는 회전 롤러가 설치되어, 상기 제1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지지부와 함께 이동되며, 상기 제2 레일에 접촉되어 회전되는 회전 롤러가 설치되어 상기 제2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지지부
를 포함하는 크레인의 붐 레스트 장치.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레일에는 상기 포스트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엔드 스토퍼부가 설치되는 크레인의 붐 레스트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 스토퍼부는,
상기 이송 레일의 길이 방향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포스트부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돌출되는 스토퍼 플레이트; 및
상기 스토퍼 플레이트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재
를 포함하는 크레인의 붐 레스트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이송 레일에 돌출되게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 및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일측면에 돌출되어 상기 포스트부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스프링 댐퍼부재
를 포함하는 크레인의 붐 레스트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포스트부의 단부에 설치되는 거치 프레임; 및
상기 거치 프레임에 돌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크레인 붐이 삽입되는 거치 홈이 형성된 거치 블록
을 포함하는 크레인의 붐 레스트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71643A KR101627669B1 (ko) | 2014-06-12 | 2014-06-12 | 크레인의 붐 레스트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71643A KR101627669B1 (ko) | 2014-06-12 | 2014-06-12 | 크레인의 붐 레스트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42944A KR20150142944A (ko) | 2015-12-23 |
KR101627669B1 true KR101627669B1 (ko) | 2016-06-08 |
Family
ID=55082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71643A KR101627669B1 (ko) | 2014-06-12 | 2014-06-12 | 크레인의 붐 레스트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27669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22945B2 (ja) * | 1998-11-28 | 2001-01-09 | 西田電気株式会社 | 多芯ケーブルの端末整線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122945A (ja) * | 1989-10-04 | 1991-05-24 | Mitsubishi Electric Corp | ミスランディングによる蛍光体の欠け量測定方法 |
JP3090795B2 (ja) * | 1992-10-02 | 2000-09-25 | エヌティエヌ株式会社 | 取鍋搬送装置 |
JP2576756Y2 (ja) * | 1992-12-25 | 1998-07-16 | 株式会社加藤製作所 | 自走式クレーン |
KR19990001760U (ko) * | 1997-06-21 | 1999-01-15 | 김종진 | 레일이동장비의 스토퍼장치 |
-
2014
- 2014-06-12 KR KR1020140071643A patent/KR10162766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22945B2 (ja) * | 1998-11-28 | 2001-01-09 | 西田電気株式会社 | 多芯ケーブルの端末整線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42944A (ko) | 2015-12-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63969B1 (ko) | 무인반송대차 | |
KR101239339B1 (ko) | 용접 장치 | |
CN105775603A (zh) | 一种传输系统 | |
KR101577942B1 (ko) | 코일스프링 보호튜브 조립장치 | |
KR101510273B1 (ko) | 행거 | |
KR101627669B1 (ko) | 크레인의 붐 레스트 장치 | |
KR20130000169U (ko) | 파이프 회전지지 장치 | |
CN109205192B (zh) | 一种用于皮带传输机的驱动皮带调试装置 | |
KR101869504B1 (ko) | 워크 반송 장치 및 공작 기계 | |
KR101303932B1 (ko) | 플랜지 가공장치 | |
KR101785986B1 (ko) | 케이블 안내장치 | |
KR101336414B1 (ko) | 공작 기계 | |
KR101639876B1 (ko) | 차량용 바디마운팅 진동절연장치 | |
KR20150014187A (ko) | 크레인용 트롤리 회전장치 | |
JP5838916B2 (ja) | 切断装置及び切断装置における上刃ホルダの取外し方法 | |
KR101246302B1 (ko) | 용접피더기의 고정장치 | |
KR101211425B1 (ko) | 로워암부시용 방향성 측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KR101153614B1 (ko) | 연속 주조기의 세그먼트 롤 운반장치용 받침장치 | |
KR101764194B1 (ko) | 엘리베이터용 레일 틸팅 시험장치 | |
KR200480294Y1 (ko) | 선박 블록 턴오버 지지장치 | |
CN113879634B (zh) | 检测装置 | |
JP2012184101A (ja) | 穴あけ装置 | |
KR101639917B1 (ko) | 프레임 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절단기 | |
KR20170021661A (ko) | 호이스트용 롤러 가이드장치 | |
KR100978446B1 (ko) | 크레인의 익스텐션 빔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