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3932B1 - 플랜지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플랜지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3932B1
KR101303932B1 KR1020130013098A KR20130013098A KR101303932B1 KR 101303932 B1 KR101303932 B1 KR 101303932B1 KR 1020130013098 A KR1020130013098 A KR 1020130013098A KR 20130013098 A KR20130013098 A KR 20130013098A KR 101303932 B1 KR101303932 B1 KR 101303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arm
rail
processing apparatus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3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제이피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제이피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제이피에스
Priority to KR1020130013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39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3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3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9/00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9/00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 B21D19/08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by single or successive action of pressing tools, e.g. vice j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5/00Driving or feeding mechanisms;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23Q5/22Feeding members carrying tools or work
    • B23Q5/34Feeding other members supporting tools or work, e.g. saddles, tool-slides, through mechanical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chine Tool Units (AREA)

Abstract

본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 가공장치는 플랜지의 내측에 배치되는 받침대; 일측이 상기 받침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에는 상기 플랜지를 가공하기 위한 플랜지가공부와 레일접촉부가 마련된 제1아암; 및 상기 레일접촉부와 접촉하여 상기 제1아암의 상기 플랜지가공부와 상기 레일접촉부가 마련된 상기 타측을 지탱하기 위한 레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플랜지 가공장치{Flange Processing Apparatus}
본 실시예는 플랜지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관이음의 접속부분을 구성하는 관지름이 큰 대형 플랜지의 페이스면 등을 가공하기 위한 각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플랜지( Flange )는 관(管)과 관, 관과 다른 기계 부분을 결합할 때 쓰는 부품이다. 플랜지는 사용되는 환경에 따라 가스켓(Gasket)의 접촉면인 플랜지 페이스에 절삭, 연마 또는 체결용 볼트홀을 내는 등의 가공을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가공을 위하여 종래에는 플랜지가 형성된 관의 외경 또는 내경에 척을 고정시키고, 척의 상부에 바이트가 연결된 아암을 이동가능하게 연결하여, 척의 중앙을 중심으로 공압 등을 이용하여 바이트(Bite)를 회전시켜 작업을 수행하는 가공장치를 이용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가공장치는 관의 직경이 큰 대형 플랜지의 페이스를 가공함에 있어서 척의 중앙으로부터 바이트가 너무 떨어지게 되므로 바이트가 회전할 때 진동이 심하여 플랜지 페이스를 정밀하게 가공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무거운 아암을 척과 아암 사이에 개재된 베어링이 단독으로 지탱하게 되므로 베어링이 쉽게 마모되어 내구성에 문제가 있다.
또한, 아암의 무게 균형을 맞추기 위하여 가공부의 반대쪽에 웨이트 벨런스를 설치해야 하는데 이는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대형 플랜지를 가공하는 데 한계가 있다.
본 실시예는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실시예의 여러 목적 중 하나는 레일을 이용하여 아암의 무게를 분산시켜 장치의 내구성 향상시키고, 가공 정밀도를 향상시킨 플랜지 가공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 가공장치는 플랜지의 내측에 배치되는 받침대; 일측이 상기 받침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에는 상기 플랜지를 가공하기 위한 플랜지가공부와 레일접촉부가 마련된 제1아암; 및 상기 레일접촉부와 접촉하여 상기 제1아암의 상기 플랜지가공부와 상기 레일접촉부가 마련된 상기 타측을 지탱하기 위한 레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 가공장치는 공작물의 내측에 배치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공작물을 가공하기 위한 공작물가공부가 설치된 회전아암; 상기 회전아암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아암의 무게를 지탱하면서 상기 회전아암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롤러부; 및 상기 공작물의 내측 또는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아암의 무게를 지탱하고, 상기 회전롤러가 접촉하여 타고 이동하는 레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플랜지 가공장치는 제1아암의 무게를 레일부가 주로 지탱하고 받침대는 회전중심을 잡아주는 역할만 하므로 받침대의 베어링을 작은 것을 사용하더라도 무방하고, 웨이트 밸런스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플랜지 가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플랜지 가공장치는 제1아암이 레일 위를 이동하면서 작업을 수행하므로 레일의 평탄도에 따라서 플랜지 페이스의 가공 정밀도가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아암의 길이가 길더라도 플랜지가공부의 진동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가공 정밀도를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제1아암의 길이를 길게 하여도 무방하므로 대형 플랜지의 가공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 가공장치를 나타낸다.
도 2는 복수의 회전롤러와 상기 복수의 회전롤러를 사이에 두고 자석이 배치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3은 도 1의 플랜지 가공장치의 모습 중 일부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레일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5는 평철편이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6은 레일의 연결부가 중첩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7은 도 1의 플랜지 가공장치의 모습 중 일부(A부분)를 더욱 확대한 도면이다.
도 8은 레일이 플랜지의 외측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9는 레일의 밀착장치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 가공장치(10)를 나타낸다. 도 2는 복수의 회전롤러(51)와 상기 복수의 회전롤러(51)를 사이에 두고 자석(52)이 배치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3은 도 1의 플랜지 가공장치(10)의 모습 중 일부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레일(80)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5는 평철편(83)이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5(a)는 측면도이고, 도 5(b)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레일(80)의 연결부(83c)가 중첩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7은 도 1의 플랜지 가공장치(10)의 모습 중 일부(A부분)를 더욱 확대한 도면이다.
도 8은 레일(80)이 플랜지의 외측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9는 레일(80)의 밀착장치(87)를 나타낸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 가공장치(10)는 받침대(20)와 제1아암(30)과 레일부(70)를 포함한다.
받침대(20)에는 제1아암(30)의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받침대(20)는 제1아암(30)의 일측을 지탱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받침대(20)는 제1아암(30)이 회전할 때 회전중심축의 역할을 한다.
받침대(20)는 플랜지(1)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랜지(1) 내경의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받침대(20)는 플랜지(1)와는 독립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받침대(20)는 플랜지(1)와 접촉하지 않고, 플랜지(1)의 내측에 위치한 바닥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는 받침대(20)는 플랜지(1)의 내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받침대(20)는 반드시 바닥면에 고정될 필요가 없으며, 바닥면과 접촉하지 않을 수도 있다.
받침대(20)가 플랜지(1) 내측면에 고정되는 경우의 일례를 설명한다. 이 경우 받침대(20)는 몸체(21), 제2아암(22), 밀착부(23), 베어링(24) 및 샤프트(25)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21)는 제2아암(22)이 연결될 수 있으며 제2아암(22)을 플랜지(1)의 내경에 맞추어 길이방향으로 늘리거나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제2아암(22)은 여러 개의 제2서브아암(22a)을 연결하여 만들 수 있으며, 적절한 개수의 제2서브아암(22a)을 연결하여 제2아암(22)을 길이방향으로 늘리거나 줄일 수 있다.
제2아암(22)의 끝단에는 밀착부(23)가 부착될 수 있다. 밀착부(23)는 Q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플랜지(1)의 내측면에 받침대(20)가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몸체(21)의 중앙부에는 샤프트홀(26)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샤프트(25)가 삽입될 수 있다. 샤프트(25)와 샤프트홀(26) 사이에는 베어링(24)이 개재될 수 있다.
제1아암(30)은 일측이 받침대(2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타측에는 플랜지(1)를 가공하기 위한 플랜지가공부(40)와 레일접촉부(50)가 마련될 수 있다. 플랜지가공부(40)와 레일접촉부(50)는 서로 인접하여 설치될 수 있다.
레일접촉부(50)는 제1아암(30)과 플랜지가공부(40)의 무게를 레일부(7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플랜지가공부(40)와 인접하게 설치되면 레일부(70)가 효율적으로 플랜지가공부(40)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다. 결국 이러한 구조는 제1아암(30)의 진동을 방지하여 플랜지(1) 가공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1아암(30)은 받침대(20)의 샤프트(25)에 결합될 수 있다. 제1아암(30)은 샤프트(25)의 회전축 방향(R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샤프트(25)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제1아암(30)은 제2아암(22)과 마찬가지로 길이방향으로 늘리거나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제1아암(30)을 늘리거나 줄이는 원리는 제2아암(22)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플랜지가공부(40)는 플랜지(1)의 페이스를 가공하거나 플랜지(1) 페이스에 구멍을 뚫는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플랜지가공부(40)가 수행할 수 있는 작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플랜지가공부(40)는 헤드부(41)와 스핀들부(42)와 절삭 등의 가공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커터(43)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헤드부(41)는 스핀들부(42) 상에서 X방향 또는 Y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레일접촉부(50)는 제1아암(30)의 무게를 지탱하고, 제1아암(30)의 무게를 레일부(70)로 전달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레일접촉부(50)는 제1아암(3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레일접촉부(50)는 회전롤러(Roller,51), 자석(52), 롤러지지대(53) 및 구동력전달축(54)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롤러(5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롤러(51)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롤러(51)가 다수 개인 경우를 설명한다. 회전롤러(51)는 일렬로 직렬배치될 수 있다. 회전롤러(51)는 탄성재질의 탄성롤러(51a)와 스틸(Steel)재질의 강성롤러(51b)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롤러(51a)는 제1아암(30)의 무게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압축되면서 마찰력을 제공하여 제1아암(30)이 회전하도록 한다. 강성롤러(51b)는 제1아암(30)의 회전시 제1아암(30)의 상하 진동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탄성롤러(51a)와 강성롤러(51b)는 서로 교차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양 끝단에 배치되는 회전롤러(51)는 동일한 재질의 롤러일 수 있으며, 이로써 제1아암(30)의 비틀림을 억제할 수 있다.
회전롤러(51)는 롤러지지대(5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롤러지지대(53)는 제1아암(30)에 부착될 수 있다. 회전롤러(51)와 연결된 축의 길이방향으로 구동력전달축(54)이 연장형성될 수 있다.
자석(52)은 회전롤러(51)를 사이에 두고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자석(52)은 예를 들어 영구자석(52)일 수 있고, 전자석(52)일 수도 있다. 자석(52)은 복수 개일 수 있으며, 회전롤러(51)가 일렬로 직렬배치되는 경우는 롤러지지대(53)의 양 끝단에 각각 부착될 수 있다. 자석(52)은 레일접촉부(50)를 레일(80)과 견고하게 밀착시키므로 제1아암(30)이 회전할 때 발생하는 제1아암(30)의 상하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 가공장치(10)는 구동부(6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60)는 제1아암(30)에 설치될 수 있으며, 회전롤러(51)로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구동부(60)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61), 감속기(62) 및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부(63)를 포함할 수 있다. 기어부(63)의 일측은 감속기(62)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고, 타측은 레일접촉부(50)의 구동력전달축(54)과 연결되어 회전롤러(51)로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레일부(70)는 레일(80)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일(80)은 철도 등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레일일 수 있으며, 용접 등의 방법으로 플랜지(1)에 임시로 부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레일(80)은 평철띠가 스파이럴(Spiral) 형상으로 감긴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도 4를 참조). 평철띠는 복수 개의 평철편(83)을 연결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평철편(83) 각각은 일단에는 돌출부(83a)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홈부(83b)가 형성되는 형상일 수 있다(도 5를 참조).
평철편(83)은 얇고 긴 판의 형상이다. 얇은 평철편(83)을 연결한 평철띠는 플랜지(1) 모양대로 휘어질 수 있으므로 플랜지(1) 모양대로 레일(80)의 모양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평철띠를 여러 겹으로 감음으로써 제1아암(30)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을 만큼의 강도를 갖는 레일(80)을 만들 수 있다.
레일(80)은 임시적으로 설치했다가 플랜지(1) 가공이 끝나면 철거하는 것이다. 따라서 평철편(83) 연결도 임시적 행하는 것이다. 평철편(83) 연결은 실시예에 따라서 평철편(83)의 돌출부(83a)를 다른 평철편(83)의 홈부(83b)에 끼우고 연결부(83c)에 렌치볼트홀(84)을 뚫은 후 나사산을 내고, 렌치볼트(85)를 체결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평철편(83)의 연결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다. 렌치볼트(85)는 머리부가 없으므로 평철띠 여러 겹을 서로 밀착시킬 수 있고, 이러한 평철띠의 밀착은 레일(80)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이러한 밀착을 위하여 평철띠를 여러 겹으로 감은 레일(80)에 복수의 밀착장치(87)를 간격을 두고 설치할 수 있다(도 8 및 도 9를 참조).
복수의 평철편(83) 각각은 길이가 서로 다른 것일 수 있다. 스파이럴 구조의 레일(80)은 평철편(83)과 평철편(83)이 연결된 연결부(83c)를 갖는데 이러한 연결부(83c)가 중첩되면 레일(80)의 강도가 약해진다(도 6을 참조). 따라서 연결부(83c)가 서로 떨어져 있도록 레일(80)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평철편(83)의 길이가 서로 다르면 연결부(83c)가 서로 떨어져 있도록 레일(80)을 설계할 수 있으므로 레일(80)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레일부(70)는 상기 플랜지(1)에 설치될 수 있고, 플랜지(1)와는 독립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레일부(70)는 플랜지(1)의 내측에 설치될 수도 있고, 플랜지(1)의 외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레일부(70)는 제2아암(22)에 설치될 수도 있다.
레일부(70)가 설치되는 방법은 다양하다. 레일부(70)는 용접 등의 방법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레일부(70)는 레일연결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레일연결장치에 의하여 설치될 수도 있다.
레일부(70)가 레일연결장치에 의하여 플랜지(1)에 설치되는 모습을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플랜지(1)에 형성된 볼트홀(73)에 3개의 피스로 구성되는 고정편(76)이 둘러싸는 테이퍼축(71)을 삽입하고, 걸침판(74)을 플랜지(1) 페이스의 볼트홀(73) 주변에 걸침시킨다. 테이퍼축(71)과 걸침판(74)은 조절볼트(72)로 연결되어 있다. 고정편(76)에는 오링(75)을 끼워 고정편(76)이 테이퍼축(71)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테이퍼축(71)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형상으로서 상단에 끼워진 조절볼트(72)를 조이면 테이퍼축(71)이 하강하면서 볼트홀(73)의 반경방향으로 고정편(76)을 압박한다. 고정편(76)이 볼트홀(73)의 내측면을 압박하면서 레일연결장치를 고정시킨다. 데이퍼축의 하단에는 브라켓고정축(77)이 연장형성되어 있다. 브라켓고정축(77)에 브라켓(79)을 끼우고 브라켓고정너트(78)로 조여서 브라켓(79)을 고정한다. 브라켓(79)의 일측에는 레일(80)을 설치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레일(80)과 브라켓(79) 사이에 높이조절장치(81)가 설치될 수 있다. 높이조절장치(81)는 높이조절볼트(82)를 포함할 수 있으며, 높이조절볼트(82)를 돌려 레일(80)의 높이를 P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
플랜지 가공장치(10)의 작동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작업자가 플래지의 내부에 받침대(20)를 설치하고, 플래지의 내부 또는 외부에 레일부(70)를 설치한다. 제1아암(30)의 일측은 받침대(2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하고, 타측은 레일접촉부(50)를 레일부(70)에 올려 놓는다. 레벨기 등을 이용하여 제1아암(30)의 레벨을 맞춘 뒤에 구동기를 작동시켜 제1아암(30)을 회전시킨다. 제1아암(30)이 회전하면서 제1아암(30)에 설치된 플랜지가공부(40)가 플랜지(1)의 페이스를 가공하게 된다.
종래기술은 아암의 무게를 받침대의 베어링이 단독으로 지탱한다. 따라서 대형 베어링을 사용해야 하고, 아암의 무게 균형을 맞추기 위하여 웨이트 벨런스를 사용해야 하므로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가 있다.
또한, 아암의 길이가 길수록 플랜지가공부(40)의 진동이 커지므로 가공 정밀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대형 플랜지(1)를 가공하는 데 한계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플랜지 가공장치(10)는 제1아암(30)의 무게를 레일부(70)가 주로 지탱하고 받침대(20)는 회전중심을 잡아주는 역할만 하므로 받침대(20)의 베어링을 작은 것을 사용하더라도 무방하고, 웨이트 밸런스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플랜지(1) 가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플랜지 가공장치(10)는 제1아암(30)이 레일(80) 위를 이동하면서 작업을 수행하므로 레일(80)의 평탄도에 따라서 플랜지(1) 페이스의 가공 정밀도가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아암(30)의 길이가 길더라도 플랜지가공부(40)의 진동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가공 정밀도를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제1아암(30)의 길이를 길게 하여도 무방하므로 대형 플랜지(1)의 가공이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플랜지
10 : 플랜지 가공장치
20 : 받침대
30 : 제1아암
40 : 플랜지가공부
50 : 레일접촉부
60 : 구동부
70 : 레일부
80 : 레일

Claims (17)

  1. 플랜지의 내측에 배치되는 받침대;
    일측이 상기 받침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에는 상기 플랜지를 가공하기 위한 플랜지가공부와 레일접촉부가 마련된 제1아암; 및
    상기 레일접촉부와 접촉하여 상기 제1아암의 상기 플랜지가공부와 상기 레일접촉부가 마련된 상기 타측을 지탱하기 위한 레일부;
    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는 상기 플랜지의 내측면에 고정되기 위하여 제2아암을 가지며, 상기 레일부는 상기 제2아암에 설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지 가공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는 평철띠가 스파이럴(Spiral) 형상으로 감기는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지 가공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평철띠는 복수 개의 평철편을 연결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지 가공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평철편 각각은 일단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지 가공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평철편 각각은 길이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지 가공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가공부와 상기 레일접촉부는 서로 인접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지 가공장치.
  13. 플랜지의 내측에 배치되는 받침대;
    일측이 상기 받침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에는 상기 플랜지를 가공하기 위한 플랜지가공부와 레일접촉부가 마련된 제1아암; 및
    상기 레일접촉부와 접촉하여 상기 제1아암의 상기 플랜지가공부와 상기 레일접촉부가 마련된 상기 타측을 지탱하기 위한 레일부;
    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접촉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롤러(Roller)와 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자석은 상기 회전롤러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지 가공장치.
  14. 삭제
  15. 제13항에 있어서,
    구동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아암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롤러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지 가공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접촉부는 복수의 회전롤러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회전롤러 중 일부는 스틸재질이고 나머지는 탄성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지 가공장치.
  17. 공작물의 내측에 배치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공작물을 가공하기 위한 공작물가공부가 설치된 회전아암;
    상기 회전아암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아암의 무게를 지탱하면서 상기 회전아암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롤러부;
    상기 공작물의 내측 또는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아암의 무게를 지탱하고, 상기 회전롤러가 접촉하여 타고 이동하는 레일부; 및
    상기 회전롤러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자석;
    을 포함하는 공작물 가공장치.
KR1020130013098A 2013-02-05 2013-02-05 플랜지 가공장치 KR101303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3098A KR101303932B1 (ko) 2013-02-05 2013-02-05 플랜지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3098A KR101303932B1 (ko) 2013-02-05 2013-02-05 플랜지 가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3932B1 true KR101303932B1 (ko) 2013-09-05

Family

ID=49455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3098A KR101303932B1 (ko) 2013-02-05 2013-02-05 플랜지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393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90412A (zh) * 2018-09-29 2019-02-01 杭州杰恺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用于钣金四面包边成型的后上刀板机构
KR20190135125A (ko) 2018-05-28 2019-12-06 주식회사 람정테크 평철소재를 이용한 링 플랜지 제조방법
KR20220085052A (ko) * 2020-11-13 2022-06-22 에임텍 주식회사 대형 구조물용 밀링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2351A (ko) * 2004-07-02 2006-01-09 조효식 대형 플랜지면 가공 장치
JP2010260092A (ja) * 2009-05-11 2010-11-18 Fumio Omoto 溶接フランジ取付工具
KR20110003342U (ko) * 2009-09-28 2011-04-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플랜지 가공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2351A (ko) * 2004-07-02 2006-01-09 조효식 대형 플랜지면 가공 장치
JP2010260092A (ja) * 2009-05-11 2010-11-18 Fumio Omoto 溶接フランジ取付工具
KR20110003342U (ko) * 2009-09-28 2011-04-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플랜지 가공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5125A (ko) 2018-05-28 2019-12-06 주식회사 람정테크 평철소재를 이용한 링 플랜지 제조방법
CN109290412A (zh) * 2018-09-29 2019-02-01 杭州杰恺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用于钣金四面包边成型的后上刀板机构
CN109290412B (zh) * 2018-09-29 2023-10-13 杭州杰恺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用于钣金四面包边成型的后上刀板机构
KR20220085052A (ko) * 2020-11-13 2022-06-22 에임텍 주식회사 대형 구조물용 밀링 장치
KR102453061B1 (ko) * 2020-11-13 2022-10-12 에임텍 주식회사 대형 구조물용 밀링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79145B (zh) 用于提升轨道车辆的至少一个车轮的设备
KR102182545B1 (ko) 공압 클램핑 척
KR101303932B1 (ko) 플랜지 가공장치
US10119653B2 (en) Suspension and guidance apparatus for tool relative to a mill
CN105592965A (zh) 用于珩磨齿轮的机器
JP3187153U (ja) 割出し盤
CN107756198A (zh) 一种罐体外壁高效率打磨装置
CN203842928U (zh) 冷床无摩擦对齐辊道
CN107520747B (zh) 一种恒力浮动装置
US20160285348A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moving a rotor relative to a generator
CN201645291U (zh) 大型滚动轴承沟道的修复研磨机床
CN104308443B (zh) 一种塔式起重机下支座焊接变位机
JP4747266B2 (ja) 可変剛性型動吸振装置
CN105152045A (zh) 一种回转起重机用回转机构
KR101258520B1 (ko) 선반 방진구 쉘 교체장치
CN209094872U (zh) 焊接滚轮架
CN207374384U (zh) 提高空铁运行稳定性的悬挂系统
CN107717554A (zh) 一种电机异形带孔工件加工夹紧装置
CN203791830U (zh) 一种夹紧机构及摩擦焊接机
CN207166035U (zh) 一种高压电缆展放装置
CN102079069A (zh) 可调式磨光机的机头结构
CN106312399B (zh) 一种自动焊接车的焊接导轨夹持装置
CN209061486U (zh) 一种长柱状轴防锈处理装置
KR101407527B1 (ko) 테이블 업다운 회전오차 방지 장치
CN203738036U (zh) 一种车床工件同轴度调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