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7942B1 - 코일스프링 보호튜브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코일스프링 보호튜브 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7942B1
KR101577942B1 KR1020140174727A KR20140174727A KR101577942B1 KR 101577942 B1 KR101577942 B1 KR 101577942B1 KR 1020140174727 A KR1020140174727 A KR 1020140174727A KR 20140174727 A KR20140174727 A KR 20140174727A KR 101577942 B1 KR101577942 B1 KR 1015779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spring
feeding
sensor
shaf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4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만승
김충훈
박익수
김동욱
고원식
Original Assignee
대원강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원강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원강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4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79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7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79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suspensions, brakes or wheel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24Covers or coating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일스프링 보호튜브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보호튜브의 조립작업시 큰 힘이 요구되는 보호튜브의 끼움 결합 작업을 제외한 나머지 작업은 작업자에게 의존하도록 하는 반자동 방식으로 보호튜브의 조립 작업을 보다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한 코일스프링 보호튜브 조립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상면에 코일스프링이 놓이고,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프레임에 설치된 스프링 지지대; 조립작업위치로 이동된 코일스프링을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하는 제1 센서유닛; 코일스프링의 선단부에 가조립된 보호튜브를 사이에 두고 마주하는 한 쌍의 피딩롤러로 이루어진 제1 피딩유닛; 상기 제1 피딩유닛을 구성하는 두 피딩롤러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과 함께 두 피딩롤러의 위치를 조절하는 제1 구동유닛; 코일스프링의 선단부에 끼워진 보호튜브를 사이에 두고 마주하는 구조를 갖도록 배치된 또 다른 한 쌍의 피딩롤러로 이루어진 제2 피딩유닛; 상기 제2 피딩유닛을 구성하는 두 피딩롤러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과 함께 두 피딩롤러의 위치를 조절하는 제2 구동유닛; 상기 제2 피딩유닛에 의하여 보호튜브가 미리 설정된 위치까지 끼워진 경우, 보호튜브를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하도록 프레임에 설치된 제2 센서유닛;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스프링 보호튜브 조립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코일스프링 보호튜브 조립장치{Apparatus for assembling protective tube and coil spring}
본 발명은 자동차의 현가장치에 사용되는 코일스프링에 보호튜브를 조립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딩롤러의 회전동작을 통해서 보호튜브를 코일스프링에 끼움 결합시키되, 반자동 방식으로 종래에 비하여 빠르게 보호튜브의 조립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 코일스프링 보호튜브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자동차의 현가장치의 구조도를 도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현가장치는 차량의 운행 중 발생하는 충격이나 진동이 차체나 탑승자에게 전달되지 않도록 충격이나 진동을 흡수하는 장치로써, 쇽업소버(Shock absorber) 실린더(10)에 어퍼패드(11)와 로어패드(12)가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어퍼패드(11)와 로어패드(12) 사이에 코일스프링(20)이 설치되며, 상기 어퍼패드(11)와 로어패드(12)의 안쪽면에 고무재질로 된 스프링 패드(30)가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어퍼패드(11)와 로어패드(12)의 안쪽면에 설치된 스프링 패드(30)는 코일스프링(20)이 어퍼패드 및 로어패드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금속 부품간의 직접적인 접촉에 의한 손상이나 소음 발생을 줄이고, 코일스프링의 도장 손상에 의한 부식 발생을 억제하여 코일스프링의 내구 수명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그러나 스프링 패드는 코일스프링으로부터 전달되는 불규칙한 방향 및 크기의 하중에 의하여 압축과 복원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손상될 위험성이 높고, 스프링 패드가 손상될 경우, 코일스프링이 어퍼패드나 로어패드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면서 소음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충격이 어퍼패드나 로어패드에 그대로 전달되어 어퍼패드나 로어패드가 손상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코일스프링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별도의 보호튜브를 설치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도 2는 코일스프링에 장착되는 보호튜브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코일스프링 보호튜브는 코일스프링을 구성하는 선재의 직경에 상응하는 내경을 갖는 튜브를 링 모양으로 성형한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보호튜브를 코일스프링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보호튜브의 측면부에 절개부를 형성하여 보호튜브를 벌린 상태로 코일스프링과의 조립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경우, 이물질이 절개부를 통하여 보호튜브와 코일스프링의 사이로 유입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코일스프링 및 보호튜브가 손상될 위험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보호튜브와 같이 절개부가 없이 측면부가 완전히 밀폐된 구조를 갖는 보호튜브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측면부가 완전히 밀폐된 구조를 갖는 보호튜브의 경우, 코일스프링의 끝단부로부터 강제적으로 끼움 결합하는 방식으로 설치가 이루어지게 되며, 이러한 보호튜브의 조립작업을 수작업에 의존하게 되는 경우,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하나하나의 보호튜브 조립작업에 큰 힘이 요구됨에 따라 지속적인 작업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본 출원인은 코일스프링에 보호튜브를 자동으로 조립할 수 있도록 한 조립장치를 개발한 바 있으며, 상기 조립장치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51453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3은 종래 코일스프링 튜브 조립장치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발명에 개시된 코일스프링 튜브 조립장치는 상단부에 코일스프링(20)이 수직한 구조로 세워지고, 회전구동부(51)의 구동에 회전하면서 코일스프링(20)을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스프링 설치대(50)와, 상기 스프링 설치대(50)에 설치되며, 코일스프링(20)의 측면을 다수개의 지지블록(61)으로 파지하여 고정하는 스프링 홀딩부(60)와, 상기 스프링 설치대(50)의 수직 상부에 구성되며, 두 피딩롤러(71)의 회전동작을 통하여 코일스프링(20)에 보호튜브를 끼움 결합시키는 튜브 피딩부(70)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조립장치는 코일스프링을 스프링 설치대에 세워 놓기만 하면 보호튜브의 조립을 위한 일련의 작업을 자동으로 실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코일스프링을 스프링 설치대에 세우거나, 또는 보호튜브의 조립작업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코일스프링이 쓰러져 작업이 중단되는 경우가 발생되고 있으며, 코일스프링의 고정 및 해제, 그리고 코일스프링의 끝단부가 두 피딩롤러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코일스프링을 회전시키는 동작이 요구됨에 따라 하나의 보호 튜브를 조립하는데 요구되는 시간이 길어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조립장치는 스프링 설치대의 회전동작에 의해 코일스프링의 끝단부가 두 피딩롤러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므로, 결국 양끝단부가 동일한 중심점을 갖도록 곧게 연장된 구조를 갖는 일자형 코일스프링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뿐, 사이드로드 코일스프링과 같이 양끝단부의 중심이 직선상에 위치하지 않는 변형된 형태의 코일스프링에는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51453호 (2012.05.22.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보호튜브의 조립작업시 큰 힘이 요구되는 보호튜브의 끼움 결합 작업을 제외한 나머지 작업은 작업자에게 의존하도록 하는 반자동 방식으로 보호튜브의 조립 작업을 보다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한 코일스프링 보호튜브 조립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며의 또 다른 목적은 코일스프링의 형상에 상관없이 적용할 수 있는 코일스프링 보호튜브 조립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상면에 코일스프링이 눕혀진 상태로 놓이고, 놓인 코일스프링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프레임에 설치되어 코일스프링을 대기위치와 조립작업위치로 이동시키는 스프링 지지대; 상기 스프링 지지대의 이동에 의하여 조립작업위치로 이동된 코일스프링을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하도록 프레임에 설치된 제1 센서유닛; 상기 조립작업위치로 이동된 코일스프링의 선단부에 가조립된 보호튜브를 사이에 두고 마주하는 구조를 갖도록 배치된 한 쌍의 피딩롤러로 이루어지며, 두 피딩롤러의 회전동작을 통하여 보호튜브를 코일스프링에 끼움 결합시키는 제1 피딩유닛; 상기 제1 피딩유닛을 구성하는 두 피딩롤러와 연결되어 두 피딩롤러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과 함께 두 피딩롤러의 위치를 조절하는 제1 구동유닛; 상기 제1 피딩유닛에 의해 코일스프링의 선단부에 끼워진 보호튜브를 사이에 두고 마주하는 구조를 갖도록 배치된 또 다른 한 쌍의 피딩롤러로 이루어지며, 두 피딩롤러의 회전동작을 통하여 보호튜브를 코일스프링의 권선방향을 따라 더 끼워 넣는 제2 피딩유닛; 상기 제2 피딩유닛을 구성하는 두 피딩롤러와 연결되어 두 피딩롤러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과 함께 두 피딩롤러의 위치를 조절하는 제2 구동유닛; 상기 제2 피딩유닛에 의하여 보호튜브가 미리 설정된 위치까지 끼워진 경우, 보호튜브를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하도록 프레임에 설치된 제2 센서유닛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스프링 보호튜브 조립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코일스프링 보호튜브 조립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지지대는, 상기 프레임에 구비된 가이드 레일에 결합되어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구조를 갖는 다수개의 가이드 블록이 구비된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코일스프링이 놓이는 V형 홈을 형성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지지블록; 및 상기 지지블록에 의해 형성되는 V형 홈에 놓이는 코일스프링의 후단부에 위치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설치되고, 코일스프링의 후단 중앙부로 삽입되어 코일스프링과 결합되도록 수평한 원기둥 구조로 형성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와 결합된 코일스프링의 후단부 끝단면과 마주하도록 지지부의 측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코일스프링이 항상 일정한 자세로 스프링 지지대에 놓일 수 있게 하는 세팅용 돌출부를 포함하는 세팅블록;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코일스프링 보호튜브 조립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블록과 세팅블록은 베이스 플레이트와 분해 조립을 통한 교체가 가능하도록 볼트 체결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코일스프링 보호튜브 조립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유닛은, 상기 조립작업위치와 근접한 곳에 위치하도록 프레임에 설치된 제1 실린더; 상기 제1 실린더에 의해 이동하는 제1 센서브라켓; 상기 제1 센서브라켓에 설치된 제1 감지센서; 상기 제1 센서브라켓의 끝단에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장착되고,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며, 조립작업위치로 이동하는 코일스프링과의 접촉에 의해 제1 감지센서에 근접하도록 회전하면서 제1 감지센서로부터 신호가 발생되게 하는 제1 센서도그;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코일스프링 보호튜브 조립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유닛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제1 구동모터; 상기 제1 구동모터에 구비된 제1 회전축의 이웃한 곳에서 두 기어를 매개로 제1 회전축과 연결되어 제1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제2 회전축; 상기 제1 피딩유닛을 구성하는 두 피딩롤러 중 어느 한 피딩롤러와 결합되어 피딩롤러와 함께 회전하며, 유니버셜 조인트를 매개로 제1 회전축과 결합된 제1 구동축; 상기 제1 피딩유닛을 구성하는 두 피딩롤러 중 나머지 한 피딩롤러와 결합되어 피딩롤러와 함께 회전하며, 유니버셜 조인트를 매개로 제2 회전축과 결합된 제2 구동축; 상기 제1 구동축과 결합되어 제1 구동축의 회전을 지지하되,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제1 조립브라켓에 이동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어 제1 구동축의 위치이동을 통하여 피딩롤러를 이동시키는 제1 베어링 블록; 상기 제2 구동축과 결합되어 제2 구동축의 회전을 지지하되,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제1 조립브라켓에 이동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어 제2 구동축의 위치이동을 통하여 피딩롤러를 이동시키는 제2 베어링 블록; 상기 제1 베어링 블록에 설치되고, 상기 제2 베어링 블록과 결합되어 제1,2 베어링 블록이 상호 근접하거나 멀어지도록 이동시키는 제1 공기 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코일스프링 보호튜브 조립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유닛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제2 구동모터; 상기 제2 구동모터에 구비된 제3 회전축의 이웃한 곳에서 두 기어를 매개로 제3 회전축과 연결되어 제3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제4 회전축; 상기 제2 피딩유닛을 구성하는 두 피딩롤러 중 어느 한 피딩롤러와 결합되어 피딩롤러와 함께 회전하며, 유니버셜 조인트를 매개로 제3 회전축과 결합된 제3 구동축; 상기 제2 피딩유닛을 구성하는 두 피딩롤러 중 나머지 한 피딩롤러와 결합되어 피딩롤러와 함께 회전하며, 유니버셜 조인트를 매개로 제4 회전축과 결합된 제4 구동축; 상기 제3 구동축과 결합되어 제3 구동축의 회전을 지지하되,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제2 조립브라켓에 이동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어 제3 구동축의 위치이동을 통하여 피딩롤러를 이동시키는 제3 베어링 블록; 상기 제4 구동축과 결합되어 제4 구동축의 회전을 지지하되,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제2 조립브라켓에 이동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어 제4 구동축의 위치이동을 통하여 피딩롤러를 이동시키는 제4 베어링 블록; 상기 제3 베어링 블록에 설치되고, 상기 제4 베어링 블록과 결합되어 제3,4 베어링 블록이 상호 근접하거나 멀어지도록 이동시키는 제2 공기 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코일스프링 보호튜브 조립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서유닛은, 상기 조립작업위치와 근접한 곳에 위치하도록 프레임에 설치된 제2 실린더; 상기 제2 실린더에 의해 이동하는 제2 센서브라켓; 상기 제2 센서브라켓에 설치된 제2 감지센서; 및 상기 제2 센서브라켓의 끝단에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장착되고,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며, 제2 피딩유닛에 의하여 보호튜브가 미리 설정된 위치로 끼워졌을 때 보호튜브와의 접촉에 의해 제2 감지센서에 근접하도록 회전하면서 제2 감지센서로부터 신호가 발생되게 하는 제2 센서도그;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보호튜브를 코일스프링에 끼움 결합시키는 조립작업 과정에서 코일스프링이 넘어져 작업이 중단되는 일이 전혀 없을 뿐만 아니라, 코일스프링의 고정과 해제 및 위치세팅을 위한 일련의 동작을 최소화하여 보호튜브의 조립 작업의 속도를 높일 수 있고, 이를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코일스프링의 형상에 상관없이 보호튜브의 조립작업이 가능하므로, 하나의 조립장치로써 여러 종류의 코일스프링에 대한 보호튜브의 조립작업이 가능하게 되는 바, 관련 설비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자동차의 현가장치의 구조도,
도 2 는 코일스프링에 장착되는 보호튜브의 사시도,
도 3 은 종래 코일스프링 튜브 조립장치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코일스프링 보호튜브 조립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간략하게 나타낸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코일스프링 보호튜브 조립장치의 정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코일스프링 보호튜브 조립장치의 측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코일스프링 보호튜브 조립장치의 평면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지지대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지지대의 구조를 보인 측면도,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센서유닛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피딩유닛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
도 12 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구동유닛의 정면도,
도 13 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구동유닛의 측면도,
도 14 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구동유닛의 평면도,
도 15 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피딩유닛과 제2 구동유닛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 16 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구동유닛의 구조를 보인 측면도,
도 17 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베어링 블록과 제2 조립브라켓의 결합 구조를 보인 도면,
도 18 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센서유닛의 구조를 보인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코일스프링 보호튜브 조립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간략하게 나타낸 사시도를,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코일스프링 보호튜브 조립장치의 정면도를,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코일스프링 보호튜브 조립장치의 측면도를,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코일스프링 보호튜브 조립장치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일스프링 보호튜브 조립장치는 코일스프링의 움직임을 최소화한 채 피딩롤러의 회전동작을 통하여 코일스프링에 보호튜브를 끼움 결합시키는 반자동 방식의 조립장치로써, 스프링 지지대(110), 제1 센서유닛(120), 제1 피딩유닛(130), 제1 구동유닛(140), 제2 피딩유닛(150), 제2 구동유닛(160), 제2 센서유닛(170)으로 구성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지지대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를,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지지대의 구조를 보인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스프링 지지대(110)는 작업자에 의한 운반된 코일스프링(S)이 놓이는 공간을 제공하며, 더불어 코일스프링을 대기위치와 조립작업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베이스 플레이트(111)와 지지블록(112) 및 세팅블록(113)으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1)는 수평한 평판형의 부재로써 저면에는 다수개의 가이드 블록(1111)이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 블록(1111)은 프레임(100)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101)을 따라 이동하는 구조를 갖도록 가이드 레일(101)에 결합된다.
상기 지지블록(112)은 눕혀진 상태의 코일스프링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V자형의 홈을 형성하는 것으로, 다수개로 구성되며, 각 지지블록(112)의 한 쪽 모서리에는 경사면(1121)이 형성된다.
이처럼 구성된 다수개의 지지블록(112)은 경사면(1121)이 서로 마주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111)의 상면에 설치되어 V자형의 홈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세팅블록(113)은 코일스프링과 결합되어 코일스프링을 지지하는 것과 더불어 코일스프링(S)이 항상 일정한 자세로 스프링 지지대(110)에 놓일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베이스 플레이트(111)의 상면에 수직하게 세워진 지지브라켓(1131)의 전면에 코일스프링의 후단 중앙부로 삽입되어 코일스프링과 결합되는 수평한 원기둥 구조의 지지부(1132)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1132)의 측면에는 코일스프링(S)의 후단부 끝단면(S1)과 마주하여 코일스프링이 항상 일정한 자세로 놓일 수 있도록 유도하는 세팅용 돌출부(1133)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세팅용 돌출부(1133)는 지지부(1132)의 측면방향으로 돌출된 구조로 형성되며, 이처럼 지지부(1132)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 세팅용 돌출부(1133)에 코일스프링(S)의 후단부 끝단면(S)이 밀착되도록 코일스프링을 배치함으로써, 코일스프링을 항상 일정한 자세로 배치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스프링 지지대(110)에는 코일스프링이 지지블록(112)에 놓인 경우, 코일스프링을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하는 감지센서(1134)가 더 구비되며, 상기 감지센서(1134)는 지지브라켓(1131)에 비접촉식 센서를 설치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블록(112)과 세팅블록(113)은 베이스 플레이트(111)와 분해 조립을 통한 교체가 가능하도록 볼트 체결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111)에 고정되며,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지지블록(112)과 세팅블록(113)을 자유롭게 교체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장치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상의 코일스프링에 보호튜브를 조립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센서유닛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1 센서유닛(120)은 스프링 지지대(110)의 이동에 의하여 코일스프링(S)이 조립작업위치로 이동할 때 코일스프링을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하는 것으로, 제1 실린더(121), 제1 센서브라켓(122), 제1 감지센서(123), 제1 센서도그(124)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실린더(121)는 조립작업위치의 측면부 이웃한 곳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며, 이러한 제1 실린더(121)는 프레임에 고정된 구조로 설치되는 제1 고정브라켓(102)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상기 제1 센서브라켓(122)은 제1 실린더(121)에 의해 이동하면서 제1 감지센서(123)와 제1 센서도그(124)를 이동시키는 것으로, 제1 고정브라켓과 가이드 레일(1221) 및 가이드 블록(1222)을 매개로 결합되며, 제1 실린더(121)와 연결되어 제1 실린더(121)의 구동에 의하여 가이드 레일(1221)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감지센서(123)는 제1 센서브라켓(122)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이러한 제1 감지센서(123)는 공지의 접촉식 센서 또는 비접촉식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센서도그(124)는 감지위치와 신호발생위치의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제1 센서브라켓(122)의 끝단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감지위치는 도 10에서 제1 센서도그(124)의 실선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로써 조립작업위치로 이동하는 코일스프링과 접촉하도록 펼쳐진 위치이고, 상기 신호발생위치는 도 10에서 제1 센서도그(124)의 이점 쇄선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로써 코일스프링과의 접촉에 의해 회전하여 제1 감지센서(123)에 근접한 위치이다.
이와 같이 제1 센서브라켓(122)에 설치되는 제1 센서도그(124)는 제1 센서브라켓(122)에 설치되는 스프링(125)에 의해 탄성 지지되며, 상기 스프링(125)은 제1 센서도그(124)가 신호발생위치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제1 센서도그(124)에 의해 압축되어 제1 센서도그(124)를 감지위치로 복원시키기 위한 에너지를 축적하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피딩유닛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1 피딩유닛(130)은 작업자에 의하여 코일스프링(S)의 선단부에 일부분이 끼워진 채로 가조립된 보호튜브(P)를 코일스프링에 끼움 결합시키는 것으로, 조립작업위치로 이동된 코일스프링에 가조립된 보호튜브를 사이에 두고 마주하는 구조를 갖도록 배치된 두 피딩롤러(131,132)로 구성된다.
한편, 각각의 피딩롤러(131,132)의 외주면에는 보호튜브의 형상에 대응하는 홈(1311,1321)이 원주를 따라 균일하게 형성되며, 보호튜브와 피딩롤러(131,132)의 사이에 발생되는 마찰저항을 증가시킬 목적으로 홈의(1311,1321) 표면을 요철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두 피딩롤러(131,132)는 제1 구동유닛(140)에 의해 상호 근접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두 피딩롤러(131,132)가 보호튜브(P)를 사이에 두고 최대한 근접하도록 이동된 상태에서 두 피딩롤러(131,132)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보호튜브(P)의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구동유닛의 정면도를,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구동유닛의 측면도를,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구동유닛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1 구동유닛(140)은 제1 피딩유닛(130)을 구성하는 두 피딩롤러(131,132)를 상황에 맞추어 이동 및 회전시키는 것으로, 제1 구동모터(141), 제1 회전축(142), 제2 회전축(143), 제1 구동축(144), 제2 구동축(145), 제1 베어링 블록(146), 제2 베어링 블록(147), 제1 공기 실린더(148)로 구성된다.
상기 제1 구동모터(141)는 두 피딩롤러(131,132)의 회전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프레임(100)에 설치된 제1 조립브라켓(103)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상기 제1 회전축(142)은 제1 구동모터(141)에 구비된 회전축이다.
상기 제2 회전축(143)은 제1 회전축(142)의 이웃한 위치에서 회전하도록 제1 조립브라켓(103)에 설치되며, 두 기어(G1,G2)를 매개로 제1 회전축(142)과 연결되어 제1 회전축(142)과 함께 회전하는 구조를 갖는다.
한편, 제1,2 회전축(142,143)을 연결하는 두 기어(G1,G2)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평기어로서, 제1 회전축(142)에 하나의 평기어(G1)가 설치되고, 나머지 하나의 평기어(G2)가 제2 회전축(143)에 설치되며, 이처럼 설치된 두 평기어(G1,G2)가 서로 맞물려 회전함에 따라 제1 회전축(142)과 제2 회전축(143)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1 구동축(144)은 제1 피딩유닛(130)을 구성하는 두 피딩롤러(131,132) 중 어느 한 피딩롤러(131)에 일측단이 결합되고, 타측단이 유니버셜 조인트(U1)를 매개로 제1 회전축(142)과 결합되어 제1 회전축(142)의 회전운동을 피딩롤러(131)에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 구동축(145)은 제1 피딩유닛(130)을 구성하는 두 피딩롤러(131,132) 중 나머지 하나의 피딩롤러(132)에 일측단이 결합되고, 타측단이 유니버셜 조인트(U2)를 매개로 제2 회전축(143)과 결합되어 제2 회전축(143)의 회전운동을 피딩롤러(132)에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베어링 블록(146)은 제1 구동축(144)의 회전을 지지하면서 제1 구동축(144)과 함께 이동하여 피딩롤러(131)의 위치 이동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으로, 제1 구동축(144)과 베어링을 매개로 결합되어 제1 구동축(144)의 회전을 지지하며, 프레임(100)에 설치된 제1 조립브라켓(103)에 설치되되, 후술될 제1 공기 실린더(148)의 작동에 의하여 제1 조립브라켓(103)에 마련된 제1 가이드 홈(1031)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1 조립브라켓(103)에 설치된다.
상기 제2 베어링 블록(147)은 제2 구동축(145)의 회전을 지지하면서 제2 구동축(145)과 함께 이동하여 피딩롤러(132)의 위치 이동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으로, 제2 구동축(145)과 베어링을 매개로 결합되어 제2 구동축(145)의 회전을 지지하며, 상기 제1 조립브라켓(103)에 마련된 제1 가이드 홈(1031)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1 조립브라켓(103)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2 베어링 블록(147)은 제1 베어링 블록(146)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제1 가이드 홈(1031)에 결합되며, 상기 제1 가이드 홈(1031)은 두 피딩롤러(131,132)의 이동을 위하여 요구되는 제1,2 베어링 블록(144,145)의 이동궤적을 따라 연장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 가이드 홈(1031)은 제1,2 베어링 블록(146,147)의 이탈 방지를 위하여 상단부와 하단부가 폐쇄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공기 실린더(148)는 제1 피딩유닛(130)을 구성하는 두 피딩롤러(131,132)가 보호튜브에 밀착되도록 두 피딩롤러를 상호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두 피딩롤러가 보호튜브로부터 이격되도록 두 피딩롤러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제1 베어링 블록(146)에 몸체가 힌지결합되고, 몸체로부터 연장되는 로드가 제2 베어링 블록(147)에 힌지결합된다.
이러한 구조의 제1 공기 실린더(148)에 의하면, 제1 공기 실린더(148)의 신장시 제1,2 베어링 블록(146,147)이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두 피딩롤러를 이격시키게 되고, 제1 공기 실린더(148)의 수축시 제1,2 베어링 블록(146,147)이 상호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두 피딩롤러를 근접시키게 된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피딩유닛과 제2 구동유닛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를,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구동유닛의 구조를 보인 측면도를,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베어링 블록과 제2 조립브라켓의 결합 구조를 보인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2 피딩유닛(150)은 제1 피딩유닛(130)에 의하여 코일스프링의 선단부에 끼워진 보호튜브를 최종적으로 요구되는 위치까지 보호튜브를 더 끼워 넣는 것으로, 제1 피딩유닛(130)에 의해 코일스프링에 끼움 결합된 보호튜브를 사이에 두고 마주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피딩롤러(151,152)로 구성된다.
이러한 제2 피딩유닛(150)은 실질적인 구조에 있어서 제1 피딩유닛(130)과 동일하므로, 제2 피딩유닛(150)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제2 구동유닛(160)은 제2 피딩유닛(150)을 구성하는 두 피딩롤러(151,152)를 상황에 맞추어 이동 및 회전시키는 것으로, 제2 구동모터(161), 제3 회전축(162), 제4 회전축(163), 제3 구동축(164), 제4 구동축(165), 제3 베어링 블록(166), 제4 베어링 블록(167), 제2 공기 실린더(168)로 구성된다.
이러한 제2 구동유닛(160)은 각 구성요소의 설치위치에 있어서 제1 구동유닛(140)과 다소 차이가 있을 뿐, 실질적인 작동구조를 동일하므로, 각 구성요소의 설치위치에 대해서만 간략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제2 구동모터(161)는 프레임(100)에 설치된 제2 조립브라켓(104)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상기 제3 회전축(162)은 제2 구동모터(161)에 구비된 회전축이다.
상기 제4 회전축(163)은 제3 회전축(162)과 두 기어(G3,G4)를 매개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조를 갖도록 제2 조립브라켓(104)에 설치된다.
상기 제3 구동축(164)은 제2 피딩유닛(150)을 구성하는 두 피딩롤러(151,152) 중 어느 한 피딩롤러(151)와 제3 회전축(162)을 연결하되, 제3 회전축(162)과 유니버셜 조인트(U3)를 매개로 연결된다.
상기 제4 구동축(165)은 제2 피딩유닛(150)을 구성하는 두 피딩롤러(151,152) 중 나머지 한 피딩롤러(152)와 제4 회전축(163)을 연결하되, 제4 회전축(163)과 유니버셜 조인트(U4)를 매개로 연결된다.
상기 제3 베어링 블록(166)은 제3 구동축(164)과 결합되어 제3 구동축(164)의 회전을 지지하도록 제2 조립브라켓(104)에 설치되며, 제2 조립브라켓(104)에 형성된 제2 가이드 홈(1041)에 결합되어 제2 가이드 홈(1041)을 따라 이동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4 베어링 블록(167)은 제4 구동축(165)과 결합되어 제4 구동축(165)의 회전을 지지하도록 제2 조립브라켓(104)에 설치되며, 제2 조립브라켓(104)에 형성된 제2 가이드 홈(1041)에 결합되어 제2 가이드 홈(1041)을 따라 이동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2 공기 실린더(168)는 제3 베어링 블록(166)에 몸체가 힌지 결합되고, 몸체로부터 돌출된 로드가 제4 베어링 블록(167)에 힌지 결합되어 제3,4 베어링 블록(166,167)을 상호 근접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센서유닛의 구조를 보인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2 센서유닛(170)은 제2 피딩유닛(150)의 작동에 의하여 보호튜브(P)가 미리 설정된 위치까지 끼워진 경우, 보호튜브(P)를 감지하여 제2 피딩유닛(150)의 정지를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것으로, 제2 실린더(171), 제2 센서브라켓(172), 제2 감지센서(173), 제2 센서도그(174)로 구성된다.
이러한 제2 센서유닛(170)은 각 구성요소의 설치위치에 있어서 제1 센서유닛(120)과 다소 차이가 있을 뿐, 실질적인 작동구조는 동일하므로, 각 구성요소의 설치위치에 대해서만 간략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제2 실린더(171)는 조립작업위치와 근접한 곳에 위치하도록 프레임(100)에 설치된 제2 고정브라켓(105)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상기 제2 센서브라켓(172)은 제2 고정브라켓(105)과 가이드 레일(1721) 및 가이드 블록(1722)을 매개로 결합되며, 제2 실린더(171)와 연결되어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 감지센서(173)는 제2 센서브라켓(172)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공지의 접촉식 센서 또는 비접촉식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센서도그(174)는 제2 센서브라켓(172)의 끝단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며, 보호튜브(P)가 제2 피딩유닛(150)에 의하여 미리 설정된 위치까지 끼워진 경우, 보호튜브와의 접촉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코일스프링 보호튜브 조립장치를 이용하여 코일스프링에 보호튜브를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보호튜브의 내부에 접착제를 주입하고, 이처럼 준비된 보호튜브에 코일스프링의 선단부가 일부 삽입되도록 하여 보호튜브와 코일스프링을 가조립한다.
상기와 같이 보호튜브가 가조립된 코일스프링의 후단부의 내부로 스프링 지지대(110)에 설치된 세팅블록(113)의 지지부(1132)가 삽입되고, 코일스프링의 후단부 끝단면(S1)이 지지부(1132)의 측면부에 형성된 세팅용 돌출부(1133)에 밀착되도록 코일스프링을 스프링 지지대(110)에 배치한다.
한편, 스프링 지지대(110)에 배치되는 코일스프링은 대략 수평한 상태로 눕혀진 구조로써, 후단부는 세팅블록(113)에 결합되고, 선단부는 제1,2 피딩유닛(130,150) 방향을 향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코일스프링이 스프링 지지대(110)에 놓인 경우, 스프링 지지대(110), 보다 구체적은 세팅블록(113)에 설치된 감지센서(1134)가 코일스프링을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신호에 의하여 제1 실린더(121)가 작동하여 제1 센서브라켓(122)을 전진시키게 되며, 이러한 제1 센서브라켓(122)의 전진동작에 의하여 제1 센서도그(124)는 코일스프링의 이동경로 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후, 작업자가 스프링 지지대(110)에 놓인 코일스프링을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스프링 지지대(110)를 밀어 코일스프링이 조립작업위치로 이동하도록 스프링 지지대(110)를 이동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코일스프링이 조립작업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코일스프링은 제1 센서도그(124)와 접촉하여 제1 센서도그(124)를 회전시키게 되고, 이처럼 회전하는 제1 센서도그(124)의 움직임을 제1 감지센서(123)가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시키게 되며, 제1 감지센서(123)에서 발생되는 신호에 의해 제1 실린더(121)가 작동하여 제1 센서브라켓(122)을 후진시키고, 이와 더불어 제1 구동유닛(140)이 작동하여 제1 피딩유닛(130)을 작동시키게 된다.
즉, 제1 구동유닛(140)에 마련된 제1 공기 실린더(148)가 수축되는 방향으로 작동하고, 이때 제1 공기 실린더(148)와 결합된 제1 베어링 블록(146)과 제2 베어링 블록(147)이 상호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러한 제1,2 베어링 블록(146,147)의 이동에 연동하여 제1,2 구동축(144,145)이 이동함에 따라 제1 피딩유닛(130)을 구성하는 두 피딩롤러(131,132)가 보호튜브의 외면에 밀착된다.
위와 같은 두 피딩롤러(131,132)의 위치 이동과 더불어 제1 구동모터(141)가 작동하게 되며, 제1 구동모터(141)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력으로 인하여 제1 회전축(142)이 회전하고, 제1 회전축(142)의 회전동작은 두 기어(G1,G2)를 통해 제2 회전축(143)으로 전달되어 제2 회전축(143)의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러한 제1,2 회전축(142,143)의 회전동작은 유니버셜 조인트(U1,U2)를 통해 제1,2 구동축(144,145)으로 전달됨에 따라 두 피딩롤러(131,132)의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처럼 제1 피딩유닛(130)을 구성하는 두 피딩롤러(131,132)가 보호튜브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함에 따라 보호튜브는 코일스프링의 권선방향을 따라 점차적으로 더 깊게 끼움 결합된다.
한편,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제2 구동유닛(160)이 작동하여 제2 피딩유닛(150)을 구성하는 두 피딩롤러(151,152)가 보호튜브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이동시키게 되며, 제2 피딩유닛(150)을 구성하는 두 피딩롤러(151,152)는 제2 구동모터(161)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제3,4 회전축(162,163)과 제3,4 구동축(164,165)을 통해 전달받아 회전하게 됨에 따라 보호튜브를 더 깊은 위치로 끼움 결합시키게 된다.
위와 같은 제2 피딩유닛(150)의 동작과 동시에 제2 실린더(171)가 작동하여 제2 센서브라켓(172)을 전진 이동시키게 되고, 이러한 제2 센서브라켓(172)의 이동에 의하여 제2 센서도그(174)는 코일스프링에 근접하게 됨에 따라 이후 제2 피딩유닛(150)에 의하여 보호튜브가 요구되는 위치까지 삽입된 경우 제2 센서도그(174)와 보호튜브의 접촉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제2 피딩유닛(150)이 보호튜브에 밀착되어 보호튜브를 끼움 결합시키는 시점은 제1 피딩유닛(130)에 의한 보호튜브의 1차 끼움 결합이 완료되는 시점과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 피딩유닛(130)에 의한 보호튜브의 1차 끼움 결합이 완료되는 시점에 제2 피딩유닛(150)이 보호튜브의 외면에 밀착되어 연속적인 보호튜브의 끼움 결합작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1차 끼움 결합이 완료되는 것과 동시에 제1 피딩유닛(130)을 구성하는 두 피딩롤러(131,132)는 보호튜브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1 구동유닛(140)에 의해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제2 구동유닛(160)에 의한 제2 피딩유닛(150)의 작동구조는 제1 구동유닛(140)에 의한 제1 피딩유닛(130)의 작동구조와 동일하므로, 제2 구동유닛(160)의 작동에 의한 제2 피딩유닛(150)의 작동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제2 피딩유닛(150)의 작동에 의하여 보호튜브가 보다 깊이 끼움 결합되는 과정에서 보호튜브가 미리 설정된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보호튜브와 제2 센서도그(174)가 접촉함에 따라 제2 센서도그(174)가 회전하게 되고, 이러한 제2 센서도그(174)의 회전동작에 의해 제2 감지센서(173)로부터 신호가 발생되며, 제2 감지센서(173)의 신호에 의하여 제2 피딩유닛(150)의 작동이 정지되고, 두 피딩롤러(151,152)가 보호튜브로부터 이격되도록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되며, 이와 더불어 제2 실린더(171)에 작동에 의 제2 센서브라켓(172)이 후진함에 따라 제2 센서도그(174) 및 제2 감지센서(173)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함으로써, 보호튜브의 조립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코일스프링 보호튜브 조립장치는 코일스프링은 수평하게 눕혀 놓은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 채, 제1,2 피딩유닛의 동작만으로 보호튜브를 원하는 위치까지 끼움 조립하는 구조로써, 코일스프링의 움직임을 최소화하여 종래 대비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코일스프링의 쓰러짐에 의한 작업 중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스프링 지지대 111: 베이스 플레이트
112: 지지블록 113: 세팅블록
1132: 지지부 1133: 세팅용 돌출부
120: 제1 센서유닛 121: 제1 실린더
122: 제1 센서브라켓 123: 제1 감지센서
124: 제1 센서도그 125: 스프링
130: 제1 피딩유닛 131, 132: 피딩롤러
140: 제1 구동유닛 141: 제1 구동모터
142: 제1 회전축 143: 제2 회전축
144: 제1 구동축 145: 제2 구동축
146: 제1 베어링 블록 147: 제2 베어링 블록
148: 제1 공기 실린더 150: 제2 피딩유닛
151, 152: 피딩롤러 160: 제2 구동유닛
161: 제2 구동모터 162: 제3 회전축
163: 제4 회전축 164: 제3 구동축
165: 제4 구동축 166: 제3 베어링 블록
167: 제4 베어링 블록 168: 제2 공기 실린더
170: 제2 센서유닛 171: 제2 실린더
172: 제2 센서브라켓 173: 제2 감지센서
174: 제2 센서도그 175: 스프링

Claims (7)

  1. 상면에 코일스프링이 눕혀진 상태로 놓이고, 놓인 코일스프링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프레임에 설치되어 코일스프링을 대기위치와 조립작업위치로 이동시키는 스프링 지지대(110);
    상기 스프링 지지대(110)의 이동에 의하여 조립작업위치로 이동된 코일스프링을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하도록 프레임에 설치된 제1 센서유닛(120);
    상기 조립작업위치로 이동된 코일스프링의 선단부에 가조립된 보호튜브를 사이에 두고 마주하는 구조를 갖도록 배치된 한 쌍의 피딩롤러(131,132)로 이루어지며, 두 피딩롤러의 회전동작을 통하여 보호튜브를 코일스프링에 끼움 결합시키는 제1 피딩유닛(130);
    상기 제1 피딩유닛(130)을 구성하는 두 피딩롤러(131,132)와 연결되어 두 피딩롤러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과 함께 두 피딩롤러의 위치를 조절하는 제1 구동유닛(140);
    상기 제1 피딩유닛(130)에 의해 코일스프링의 선단부에 끼워진 보호튜브를 사이에 두고 마주하는 구조를 갖도록 배치된 또 다른 한 쌍의 피딩롤러(151,152)로 이루어지며, 두 피딩롤러의 회전동작을 통하여 보호튜브를 코일스프링의 권선방향을 따라 더 끼워 넣는 제2 피딩유닛(150);
    상기 제2 피딩유닛(150)을 구성하는 두 피딩롤러(151,152)와 연결되어 두 피딩롤러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과 함께 두 피딩롤러의 위치를 조절하는 제2 구동유닛(160);
    상기 제2 피딩유닛(150)에 의하여 보호튜브가 미리 설정된 위치까지 끼워진 경우, 보호튜브를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하도록 프레임에 설치된 제2 센서유닛(17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스프링 보호튜브 조립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지지대(110)는,
    상기 프레임에 구비된 가이드 레일(101)에 결합되어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구조를 갖는 다수개의 가이드 블록(1111)이 구비된 베이스 플레이트(111);
    상기 코일스프링이 놓이는 V형 홈을 형성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111)의 상면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지지블록(112); 및
    상기 지지블록(112)에 의해 형성되는 V형 홈에 놓이는 코일스프링의 후단부에 위치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111)의 상면에 설치되고, 코일스프링의 후단 중앙부로 삽입되어 코일스프링과 결합되도록 수평한 원기둥 구조로 형성된 지지부(1132)와, 상기 지지부(1132)와 결합된 코일스프링의 후단부 끝단면과 마주하도록 지지부의 측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코일스프링이 항상 일정한 자세로 스프링 지지대(110)에 놓일 수 있게 하는 세팅용 돌출부(1133)를 포함하는 세팅블록(11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스프링 보호튜브 조립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블록(112)과 세팅블록(113)은 베이스 플레이트(111)와 분해 조립을 통한 교체가 가능하도록 볼트 체결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스프링 보호튜브 조립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유닛(120)은,
    상기 조립작업위치와 근접한 곳에 위치하도록 프레임에 설치된 제1 실린더(121);
    상기 제1 실린더(121)에 의해 이동하는 제1 센서브라켓(122);
    상기 제1 센서브라켓(122)에 설치된 제1 감지센서(123);
    상기 제1 센서브라켓(122)의 끝단에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장착되고, 스프링(125)에 의해 탄성 지지되며, 조립작업위치로 이동하는 코일스프링과의 접촉에 의해 제1 감지센서(123)에 근접하도록 회전하면서 제1 감지센서로부터 신호가 발생되게 하는 제1 센서도그(12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스프링 보호튜브 조립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유닛(140)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제1 구동모터(141);
    상기 제1 구동모터(141)에 구비된 제1 회전축(142)의 이웃한 곳에서 두 기어(G1,G2)를 매개로 제1 회전축과 연결되어 제1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제2 회전축(143);
    상기 제1 피딩유닛(130)을 구성하는 두 피딩롤러(131,132) 중 어느 한 피딩롤러(131)와 결합되어 피딩롤러와 함께 회전하며, 유니버셜 조인트(U1)를 매개로 제1 회전축(142)과 결합된 제1 구동축(144);
    상기 제1 피딩유닛(130)을 구성하는 두 피딩롤러(131,132) 중 나머지 한 피딩롤러(132)와 결합되어 피딩롤러와 함께 회전하며, 유니버셜 조인트(U2)를 매개로 제2 회전축(143)과 결합된 제2 구동축(145);
    상기 제1 구동축(144)과 결합되어 제1 구동축(144)의 회전을 지지하되,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제1 조립브라켓(103)에 이동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어 제1 구동축(144)의 위치이동을 통하여 피딩롤러(131)를 이동시키는 제1 베어링 블록(146);
    상기 제2 구동축(145)과 결합되어 제2 구동축(145)의 회전을 지지하되,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제1 조립브라켓(103)에 이동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어 제2 구동축(145)의 위치이동을 통하여 피딩롤러(132)를 이동시키는 제2 베어링 블록(147);
    상기 제1 베어링 블록(146)에 설치되고, 상기 제2 베어링 블록(147)과 결합되어 제1,2 베어링 블록이 상호 근접하거나 멀어지도록 이동시키는 제1 공기 실린더(14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스프링 보호튜브 조립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유닛(160)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제2 구동모터(161);
    상기 제2 구동모터(161)에 구비된 제3 회전축(162)의 이웃한 곳에서 두 기어(G3,G4)를 매개로 제3 회전축(162)과 연결되어 제3 회전축(162)과 함께 회전하는 제4 회전축(163);
    상기 제2 피딩유닛(150)을 구성하는 두 피딩롤러(151,152) 중 어느 한 피딩롤러(151)와 결합되어 피딩롤러와 함께 회전하며, 유니버셜 조인트(U3)를 매개로 제3 회전축(162)과 결합된 제3 구동축(164);
    상기 제2 피딩유닛(150)을 구성하는 두 피딩롤러(151,152) 중 나머지 한 피딩롤러(152)와 결합되어 피딩롤러와 함께 회전하며, 유니버셜 조인트(U4)를 매개로 제4 회전축(163)과 결합된 제4 구동축(165);
    상기 제3 구동축(164)과 결합되어 제3 구동축(164)의 회전을 지지하되,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제2 조립브라켓(104)에 이동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어 제3 구동축(164)의 위치이동을 통하여 피딩롤러(151)를 이동시키는 제3 베어링 블록(166);
    상기 제4 구동축(165)과 결합되어 제4 구동축(165)의 회전을 지지하되,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제2 조립브라켓(104)에 이동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어 제4 구동축(165)의 위치이동을 통하여 피딩롤러(152)를 이동시키는 제4 베어링 블록(167);
    상기 제3 베어링 블록(166)에 설치되고, 상기 제4 베어링 블록(167)과 결합되어 제3,4 베어링 블록이 상호 근접하거나 멀어지도록 이동시키는 제2 공기 실린더(16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스프링 보호튜브 조립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서유닛(170)은,
    상기 조립작업위치와 근접한 곳에 위치하도록 프레임에 설치된 제2 실린더(171);
    상기 제2 실린더(171)에 의해 이동하는 제2 센서브라켓(172);
    상기 제2 센서브라켓(172)에 설치된 제2 감지센서(173); 및
    상기 제2 센서브라켓(172)의 끝단에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장착되고, 스프링(175)에 의해 탄성 지지되며, 제2 피딩유닛(150)에 의하여 보호튜브가 미리 설정된 위치로 끼워졌을 때 보호튜브와의 접촉에 의해 제2 감지센서(173)에 근접하도록 회전하면서 제2 감지센서(173)로부터 신호가 발생되게 하는 제2 센서도그(17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스프링 보호튜브 조립장치.
KR1020140174727A 2014-12-08 2014-12-08 코일스프링 보호튜브 조립장치 KR1015779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4727A KR101577942B1 (ko) 2014-12-08 2014-12-08 코일스프링 보호튜브 조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4727A KR101577942B1 (ko) 2014-12-08 2014-12-08 코일스프링 보호튜브 조립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7942B1 true KR101577942B1 (ko) 2015-12-28

Family

ID=55084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4727A KR101577942B1 (ko) 2014-12-08 2014-12-08 코일스프링 보호튜브 조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794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5733B1 (ko) * 2016-06-15 2016-09-12 (주)서브테크 자동차 시트백 폴딩용 스파이럴 스프링 체결장치
CN108145985A (zh) * 2018-02-11 2018-06-12 浙江天井塑业有限公司 一种螺旋波纹状管道的焊接机
CN109262262A (zh) * 2018-11-26 2019-01-25 厦门攸信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锁帽锁扣安装结构及水冷固定环组装结构
CN110587275A (zh) * 2019-10-19 2019-12-20 广东益诚自动化科技有限公司 断路器成品自动组装机的扭簧自动组装机构
CN111730327A (zh) * 2020-07-07 2020-10-02 安徽环新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动力电池冷却管末端双头装配机
CN115055936A (zh) * 2022-05-13 2022-09-16 中山极冠科技有限公司 一种管件的传输组装机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48898A (en) * 1992-09-14 1996-08-27 Hoesch Suspensions, Inc. Method for providing a flexible covering for a portion of a tapered coil spring
KR20120051453A (ko) 2010-11-12 2012-05-22 대원강업주식회사 2축 회전 코일스프링 튜브 조립장치
KR20120051420A (ko) * 2010-11-12 2012-05-22 대원강업주식회사 1축 회전 코일스프링 튜브 조립장치
KR20140034973A (ko) * 2012-09-11 2014-03-21 삼목강업주식회사 자동차 현가장치 코일스프링의 보호튜브 반자동 조립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48898A (en) * 1992-09-14 1996-08-27 Hoesch Suspensions, Inc. Method for providing a flexible covering for a portion of a tapered coil spring
KR20120051453A (ko) 2010-11-12 2012-05-22 대원강업주식회사 2축 회전 코일스프링 튜브 조립장치
KR20120051420A (ko) * 2010-11-12 2012-05-22 대원강업주식회사 1축 회전 코일스프링 튜브 조립장치
KR20140034973A (ko) * 2012-09-11 2014-03-21 삼목강업주식회사 자동차 현가장치 코일스프링의 보호튜브 반자동 조립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5733B1 (ko) * 2016-06-15 2016-09-12 (주)서브테크 자동차 시트백 폴딩용 스파이럴 스프링 체결장치
CN108145985A (zh) * 2018-02-11 2018-06-12 浙江天井塑业有限公司 一种螺旋波纹状管道的焊接机
CN109262262A (zh) * 2018-11-26 2019-01-25 厦门攸信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锁帽锁扣安装结构及水冷固定环组装结构
CN109262262B (zh) * 2018-11-26 2024-05-17 厦门攸信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锁帽锁扣安装结构及水冷固定环组装结构
CN110587275A (zh) * 2019-10-19 2019-12-20 广东益诚自动化科技有限公司 断路器成品自动组装机的扭簧自动组装机构
CN111730327A (zh) * 2020-07-07 2020-10-02 安徽环新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动力电池冷却管末端双头装配机
CN115055936A (zh) * 2022-05-13 2022-09-16 中山极冠科技有限公司 一种管件的传输组装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7942B1 (ko) 코일스프링 보호튜브 조립장치
US8256811B2 (en) Door gripper for a vehicle and manufacturing methods using such a door gripper
US20220055078A1 (en) Laser cleaning equipment and cleaning method for shaft component
US20210316444A1 (en) Work machine unit and articulated robot
KR20120063778A (ko) 클램핑 장치
CN113972531A (zh) 一种可调节的柔性对接充电装置及其对接方法
CN210789833U (zh) 工件夹具
CN112748469B (zh) 一种车辆定位装置
JP5038070B2 (ja) 摩擦攪拌接合装置
KR101658814B1 (ko) 코일스프링 보호튜브 조립장치
CN204584596U (zh) 一种u肋焊接系统
CN114939758B (zh) 充气柜机器人自动焊接系统
KR20130027696A (ko) 자동차 조향장치용 스플라인 샤프트의 가공장치
KR20160025827A (ko) 용접용 오토 캐리지
JP2012139774A (ja) コンプライアンス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ロボットアームの構造
CN212238466U (zh) 一种轴类构件激光清洗设备
CN110507347B (zh) 一种车载医疗诊断设备
KR20200030850A (ko) 자동차 내장재의 흡음재 부착장치
KR100736526B1 (ko) 소재의 용접위치 자동 셋팅 장치
KR20220040706A (ko) 배관 청소 장치
CN207669221U (zh) 一种补强板安装装置
CN205147707U (zh) 专用于焊接圆筒状工件的焊接座的工件安装装置
CN215787571U (zh) 一种汽车保险杠激光切割视觉检测装置
CN217890464U (zh) 打磨机构及爬壁机器人
CN220787613U (zh) 一种横切机导向轴固定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