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0537A - 맥주의 가스터짐 및 비어스톤 생성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맥주의 가스터짐 및 비어스톤 생성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0537A
KR20140090537A KR1020130057505A KR20130057505A KR20140090537A KR 20140090537 A KR20140090537 A KR 20140090537A KR 1020130057505 A KR1020130057505 A KR 1020130057505A KR 20130057505 A KR20130057505 A KR 20130057505A KR 20140090537 A KR20140090537 A KR 201400905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er
gas
groove
draft beer
carbon diox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7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4148B1 (ko
Inventor
박종하
조정호
Original Assignee
박종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하 filed Critical 박종하
Priority to DE112013001303.7T priority Critical patent/DE112013001303T5/de
Priority to JP2014556495A priority patent/JP5980959B2/ja
Priority to KR1020130057505A priority patent/KR101534148B1/ko
Priority to US14/385,049 priority patent/US9580287B2/en
Priority to PCT/KR2013/004472 priority patent/WO2014109439A1/ko
Publication of KR20140090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05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4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41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03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6Mountings or arrangements of dispensing apparatus in or on shop or bar coun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29Keg connection means
    • B67D1/0831Keg connection means combined with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29Keg connection means
    • B67D1/0841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45Change-over devices, i.e. connecting a flow line from an empty container to a full 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5Safety means, e.g. over-pressure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52Gas pressure control means, e.g. for maintaining proper carbon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287Liquid level responsive or maintaining systems
    • Y10T137/7313Control of outflow from tank
    • Y10T137/7323By float

Landscapes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맥주의 가스터짐 및 비어스톤 생성 방지는 생맥주통과 생맥주 인출장치 사이의 도관에 설치되어 생맥주통으로부터 생맥주 인출장치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가스터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생맥주통으로부터 생맥주 인출장치까지의 도관이나 생맥주 인출장치의 내면에 침착되는 비어스톤(Beer Stone)을 제거 및 예방한다.

Description

맥주의 가스터짐 및 비어스톤 생성 방지 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Beer Stone and Gas Break of Beer}
본 발명은 맥주의 가스터짐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생맥주통과 생맥주 인출장치 사이의 도관에 설치되어 생맥주통으로부터 생맥주 인출장치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가스터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생맥주통으로부터 생맥주 인출장치까지의 도관이나 생맥주 인출장치의 내면에 침착되는 비어스톤(Beer Stone)을 제거 및 예방하는 맥주의 가스터짐 및 비어스톤 생성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맥주는 완전히 밀폐된 생맥주통에 생맥주 인출장치의 도관을 연결하여 생맥주 인출장치의 콕크 밸브를 조작하여 맥주잔에 담아서 소비자에게 제공되고 필요에 따라서 생맥주 인출장치의 도관에 냉각장치를 더 부착하는 경우도 있다.
그런데 생맥주통의 맥주가 생맥주 인출장치를 통해 배출되는 경우 도관이나 생맥주 인출장치의 내면에 비어스톤(Beer Stone)이 침착된다.
이러한 비어스톤은 맥주를 변질시켜 맛을 저하시키고 맥주를 오염시키는 원인이 된다. 종래에는 약제를 주입하거나 또는 세척수를 가압 주입하여 비어스톤을 제거하였으나 비어스톤 제거 효율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비어스톤 제거 약제를 식용으로 사용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생맥주통을 생맥주 인출장치와 연결한 후, 처음 생맥주 인출장치를 개방하여 첫 잔의 맥주를 받을 때, 생맥주통으로부터 공급되는 이산화탄소 가스로 인하여 "펑"하는 소음이 발생하면서 맥주가 거품과 함께 터지듯이 분출되어 나오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소위 가스터짐 현상이라고 하는데, 가스터짐 현상은 전술한 첫 잔의 맥주를 따를 때 뿐만 아니라, 생맥주통으로부터 마지막 잔의 맥주를 따를 때도 발생한다. 왜냐하면 생맥주통에 담겨져 있던 잔류 맥주와 함께 이산화탄소 가스가 생맥주 인출장치로 배출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가스터짐 현상은 사용자에게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분출되어 터진 생맥주가 사방으로 튀어서 위생에도 좋지 않다.
이러한 가스터짐 현상을 방지하려면, 생맥주통을 교체할 때, 생맥주통과 생맥주 인출장치를 분리한 상태에서 생맥주 인출장치와 그 도관에 담겨져 있던 잔류 맥주와 이산화탄소 가스를 인위적으로 배출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잔류 맥주와 이산화탄소 가스 배출 과정은 상당한 량의 생맥주의 손실이 발생하며, 생맥주통 교체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생맥주통 교체 작업이 매우 번거롭게 되는 문제점이 생기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생맥주통과 생맥주 인출장치 사이의 도관에 설치되어 생맥주통으로부터 생맥주 인출장치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가스터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생맥주통으로부터 생맥주 인출장치까지의 도관이나 생맥주 인출장치의 내면에 침착되어 맥주를 변질시켜 맛을 저하시키고 맥주를 오염시키는 원인이 되는 비어스톤(Beer Stone)이 침작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제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쓰리웨이 밸브의 간단한 조작으로 맥주통으로부터 생맥주 인출장치까지의 도관이나 생맥주 인출장치의 내면을 물로 세척할 수 있어 세척 비용과 시간을 크게 줄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맥주의 가스터짐 및 비어스톤 생성 방지는,
내부의 일정한 공간을 형성한 원통 형상의 본체(210)와, 본체(210)의 하부에 형성되어 맥주와 이산화탄소의 유입과 유출을 제어하는 연결부(220)를 포함하는 케이싱(200); 및 본체(210)의 상부를 폐쇄하는 상부캡(300)을 포함하고,
연결부(220)의 하부면에는 생맥주통(10)의 접속관이 연결되며, 상부캡(300)은 이산화탄소 가스의 배출을 위한 가스배출관(340)이 연결되고 본체(210)의 측면에는 생맥주의 배출을 위한 생맥주 유출홈(2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연결부(220)의 상면과 상기 본체(210)의 하우징으로 생맥주나 이산화탄소가 채워지는 본체(210)의 내부 공간부(212)를 형성하고, 본체(210)의 내부 공간부(212)에는 부유차단볼(328)이 구비되고, 연결부(220)의 하부면 개방부와 연결부(220)의 상면의 제1 홈(410)을 관통하여 생맥주나 이산화탄소가 유입되는 제1 공급유로를 형성하고, 연결부(220)의 상면의 제2 홈(420)과 생맥주 유출홈(223)을 관통하여 생맥주가 유출되는 배출유로를 형성하며,
공급유로를 통해 생맥주가 공급되면 부유차단볼(328)이 부력에 의해 부유되면서 배출유로가 개방되어 배출유로를 통해 생맥주가 배출되고, 공급유로를 통해 이산화탄소 가스가 공급되어 본체(210)의 내부 공간부(212)에 채워지면, 이산화탄소 가스의 압력으로 부유차단볼(328)이 제2 홈(420)의 개방구를 막아 이산화탄소 가스의 배출을 차단한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은 생맥주통과 생맥주 인출장치 사이의 도관에 설치되어 생맥주통으로부터 생맥주 인출장치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가스터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생맥주통으로부터 생맥주 인출장치까지의 도관이나 생맥주 인출장치의 내면에 침착되어 맥주를 변질시켜 맛을 저하시키고 맥주를 오염시키는 원인이 되는 비어스톤(Beer Stone)이 침작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생맥주통 교체 작없시 생맥주의 분출로 인한 위생 불량을 방지함과 동시에 생맥주의 손실을 방지하며 생맥주통의 교체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여 생맥주통 교체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쓰리웨이 밸브의 간단한 조작으로 맥주통으로부터 생맥주 인출장치까지의 도관이나 생맥주 인출장치의 내면을 물로 세척할 수 있어 세척 비용과 시간을 크게 줄이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맥주의 가스터짐 및 비어스톤 생성 방지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맥주의 가스터짐 및 비어스톤 생성 방지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맥주의 가스터짐 및 비어스톤 생성 방지 장치를 나타낸 조립 단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쓰리웨이 밸브의 통로를 나타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쓰리웨이 밸브의 작동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맥주의 가스터짐 및 비어스톤 생성 방지를 수평 방향에서 자른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맥주의 가스터짐 및 비어스톤 생성 방지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맥주의 가스터짐 및 비어스톤 생성 방지 장치에서 생맥주가 본체의 내부 공간부로 유입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맥주의 가스터짐 및 비어스톤 생성 방지 장치에서 이산화탄소 가스를 배출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맥주의 가스터짐 및 비어스톤 생성 방지 장치에서 물이 공급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맥주의 가스터짐 및 비어스톤 생성 방지 장치는 생생맥주통의 접속관에 연결되는 장치이다. 접속관은 커플러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생맥주통의 상부에 연결되어 이산화탄소 가스를 주입하는 주입관과 생맥주를 배출하는 생맥주 배출관을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맥주의 가스터짐 및 비어스톤 생성 방지 장치는 커플러의 생맥주 배출관에 연결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본 발명의 맥주의 가스터짐 및 비어스톤 생성 방지 장치는 생맥주통의 접속관에 연결되는 것으로 기재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맥주의 가스터짐 및 비어스톤 생성 방지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맥주의 가스터짐 및 비어스톤 생성 방지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맥주의 가스터짐 및 비어스톤 생성 방지 장치를 나타낸 조립 단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맥주의 가스터짐 및 비어스톤 생성 방지 장치(100)는 일정한 공간의 원통 형상의 케이싱(200)과, 케이싱(200)의 상부에 결합되어 분리 조립이 가능한 상부캡(300)을 포함한다.
케이싱(200)은 생맥주가 담기는 공간인 본체(210)와, 본체(210)의 하부에 형성되어 맥주, 이산화탄소 및 물의 유입과 유출을 제어하는 연결부(220)를 포함한다.
본체(210)의 내부 공간부(212)는 연결부(220)의 상면과 본체(210)의 하우징으로 이루어져 생맥주, 이산화탄소 가스 및 물이 채워지는 공간으로 후술할 부유차단볼(328)이 배치된다.
연결부(220)의 상면은 본체(210)의 내부 공간부(212)의 바닥면을 나타내고 생맥주, 이산화탄소 및 물이 유입되는 제1 바닥홈(410)과 생맥주가 유출되는 제2 바닥홈(420)을 형성한다.
특히, 제2 바닥홈(420)은 누수 방지를 위해 오링(214)으로 둘러 싸여 있고 부유차단볼(328)이 입구를 막을 수 있게 오목하게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상부캡(300)은 케이싱(200)의 상부 끝단부와 나사 결합 방식으로 회전시켜 결합되는 원형의 상부판(310)을 포함한다.
상부판(310)은 중심부가 상부판(310)의 두께를 관통하는 관통공 형태의 가스배출구(312)가 형성되고, 관통된 가스배출구(312)를 통해 승하강부재(320)가 관입되어 있다.
승하강부재(320)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원형 막대 부재로서 하부 끝단부가 뽀족한 형태를 이룬다.
승하강부재(320)는 상단부에 원형 고리 형태의 상부오링(322)과 하부오링(324)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부오링홈(322a)과 하부오링홈(324a)이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된다.
승하강부재(320)는 부유차단볼(328)에 근접하도록 수직 방향으로 세워져 형성된다.
상부오링홈(322a)과 하부오링홈(324a)의 사이의 공간에는 가스배출공(326)이 뚫려 있다.
승하강부재(320)의 상부 끝단부에는 푸쉬버튼(330)이 결합되고 푸쉬버튼(330)은 수평 방향으로 내부가 관통되어 있는 가스배출관(340)이 돌출되어 있다.
승하강부재(320)의 내부에는 가스배출공(326)과 연통되어 이산화탄소 가스가 배출되는 가스유로(332)가 형성되어 있다.
가스유로(332)는 푸쉬버튼(330)에 결합되어 있는 가스배출관(340)과 연통되어 있다.
상부판(310)은 상부면의 가스배출구(312)의 주변을 단턱부를 형성하여 푸쉬버튼(330)의 결합시 단턱부에 푸쉬버튼(330)이 안착되도록 한다.
가스를 배출하지 않게 되는 '폐쇄' 위치에서는 승하강부재(320)가 가스배출구(312) 내에 위치하면서 가스배출공(326)이 상부판(310)의 두께 부분에 막히게 되어 본체(210)의 내부 공간부(212)의 이산화탄소 가스가 가스배출공(326)으로 유입되지 않는다.
푸쉬버튼(330)을 누르게 되면 푸쉬버튼(330)의 하부에 형성된 스프링부재(334)가 눌리면서 승하강부재(320)가 하부 방향으로 하강하면서 가스배출공(326)이 본체(210)의 내부 공간부(212)로 돌출된다.
이에 따라 가스배출공(326)이 본체(210)의 내부 공간부(212)로 노출되면서 '개방' 위치로 되어 이산화탄소 가스가 가스배출공(326)으로 유입된다.
유입된 이산화탄소 가스는 가스배출공(326)과 연통되어 있는 가스유로(332)를 지나 가스배출관(340)으로 배출된다.
푸쉬버튼(330)을 누르고 있던 힘을 제거하면, 스프링부재(334)의 복원력에 의해 푸쉬버튼(330)이 다시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고 이에 따라 승하강부재(320)가 다시 상승하여 가스배출구(312) 내에 관입된 상태로 된다.
또한, 가스배출공(326)은 가스배출구(312) 내에 위치하여 이산화탄소 가스가 유입되지 않는 '폐쇄' 위치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은 푸쉬버튼(330)을 이용한 가스 배출 구조는 가스 배출밸브의 일례이며 이러한 구성에 한정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구성될 수 있다.
연결부(220)의 하부면은 생맥주통의 접속관과 연결되는 연결공(221)이 형성되고 연결공(221)에서 생맥주가 유입되도록 일측이 개방된 생맥주 유입홈(222)이 뚫려있다.
연결부(220)의 측면에는 생맥주가 유출되는 생맥주 유출홈(223)이 뚫려있고 생맥주 유출홈(223)에 결합되어 생맥주 인출장치(미도시)와 연결되는 맥주도관 연결체(224)를 형성한다.
연결부(220)의 측면에는 생맥주 유출홈(223)과 직각 방향에 위치하는 면에 물이 유입되는 물유입홈(225)이 뚫려 있고 물유입홈(225)에 결합되어 물탱크의 공급호스와 결합되는 물도관 연결체(226)를 형성한다.
맥주도관 연결체(224)와 물도관연결체는 관형상의 부재로 본체(210)와 일체를 이루어 구비된다.
연결부(220)의 측면에는 물유입홈(225)에 직각 방향에 위치하면서 생맥주 유출홈(223)과 일직선 방향의 면에 가스배출관(340)가 결합되는 밸브홈(402)이 뚫려 있고 밸브홈(402)에 결합되어 물과 생맥주의 유입을 제어하는 가스배출관(340)가 형성한다.
연결부(220)의 내부에는 연결부(220)의 상면의 제1 바닥홈(410)과 연결부(220)의 하부면인 생맥주 유입홈(222)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 공급유로가 형성되어 있다. 제1 공급유로는 생맥주와 이산화탄소가 유입된다.
여기서, 연결부(220)의 상면은 본체(210)의 내부 공간부(212)의 바닥면을 나타내고, 연결부(220)의 하면은 케이싱(200)의 하부면을 나타낸다.
연결부(220)는 제1 공급유로와 나란하게 배출유로도 형성되는데 배출유로는 연결부(220)의 상면의 제2 바닥홈(420)으로부터 시작하여 연결부(220)의 내부로 연통되지만 중간에 구부러져서 연결부(220)의 측면의 생맥주 유출홈(223)으로 이어진다.
배출유로의 입구는 연결부(220)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지만, 배출유로의 출구는 연결부(220)의 측면에 형성되어 생맥주 유출홈(223)과 맥주도관 연결체(224)와 연통된다.
연결부(220)의 측면은 생맥주 유출홈(223)과 직각 방향에 위치하는 면에 물이 공급되는 제2 공급유로의 입구(물유입홈(225))가 형성되어 있다.
제2 공급유로는 연결부(220)의 측면에 형성된 물유입홈(225)으로부터 연결부(220)의 내부로 연통하여 제1 바닥홈(410)까지 관통하여 형성하며, 제2 공급유로는 연결부(220)의 측면으로부터 시작하여 제1 공급유로와 연통되어 있다. 제1 공급유로와 제2 공급유로는 직각 방향으로 연결부(220)의 내부에서 연통되어 있다.
부유차단볼(328)은 제1 공급유로를 통해 생맥주통으로부터 새로운 생맥주가 유입되는 상황에서도 압력 차이로 인하여 부유차단볼(328)이 제2 바닥홈(420)을 계속 폐쇄한 상태를 지속할 경우 부유차단볼(328)이 생맥주에 의해 부유할 수 있도록 조금 움직여줄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승하강부재(320)는 푸쉬버튼(330)을 누르게 되면 푸쉬버튼(330)의 하부에 형성된 스프링부재(334)가 눌리면서 하부 방향으로 하강하면서 부유차단볼(328)을 밀어서 움직이게 된다.
푸쉬버튼(330)이 누르고 있던 힘을 제거하면, 푸쉬버튼(330)은 스프링부재(334)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고 이에 따라 승하강부재(320)가 본체(210)의 내부 공간부(212)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가스배출관(340)는 연결부(220)의 측면으로부터 내부로 연통된 밸브홈(402)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작동봉(440)과 작동봉(440)과 결합되어 작동봉(440)을 회동시키는 레버(432)를 포함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봉(440)은 연결부(220)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제1 공급유로를 형성하기 위해 작동봉(440)의 두께를 관통하는 제1 통로(442)와, 제2 공급유로를 형성하기 위해 제1 통로(442)와 직각으로 교차하여 관통하는 제2 통로(444)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통로(442)는 제1 공급유로를 개방하고 제2 공급유로를 폐쇄시켜 생맥주나 이산화탄소 가스를 공급하고, 제2 통로(444)는 제1 공급유로를 폐쇄하고, 제2 공급유로를 개방시켜 물을 공급한다.
작동봉(440)은 일측에 레버(432)의 방향 전환시 회동 범위가 90도를 벗어나지 않도록 저지하는 스토퍼(448)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작동봉(440)은 제1 통로(442), 제2 통로(444)와 스토퍼(448) 사이에 패킹(446)을 내장하여 밀착되도록 하여 맥주나 물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작동봉(44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432)의 회동에 의해 제1 통로(442)가 개방되고 제2 통로(444)가 폐쇄되며, 다시 레버(432)의 방향을 90도 전환하면, 제1 통로(442)가 폐쇄되고 제2 통로(444)가 개방된다.
연결부(22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바닥홈(420)과 배출유로의 양측면에서 각각 오목부(450)를 형성하고 각각 오목부(450)에 자석(452)이 구비된다. 또한, 연결부(220)는 오목부(450)를 크게 형성하여 배출유로 및 제1 공급유로의 양측면에 걸쳐서 자석(452)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맥주의 가스터짐 방지 장치 및 비어스톤 생성 방지 장치(100)의 작동 및 효과를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맥주의 가스터짐 및 비어스톤 생성 방지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맥주의 가스터짐 및 비어스톤 생성 방지 장치에서 생맥주가 본체의 내부 공간부로 유입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맥주의 가스터짐 및 비어스톤 생성 방지 장치(100)는 가스배출관(340)를 작동하여 맥주 공급유로인 제1 통로(442)가 개방하고 물 공급유로인 제2 통로(444)가 폐쇄시킨다.
맥주의 가스터짐 방지 장치 및 비어스톤 생성 방지 장치(100)는 생맥주통으로부터 생맥주가 접속관을 통해서 연결공(221)의 생맥주 유입홈(222)으로 유입된다.
생맥주는 생맥주 유입홈(222)으로부터 제1 공급유로를 통해 본체(210)의 내부 공간부(212)로 유입된다.
유입된 생맥주는 본체(210)의 내부 공간부(212)를 채우게 되고 이에 따라 부유차단볼(328)이 생맥주에 의해 부유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본체(210)의 바닥면의 제2 바닥홈(420)(즉, 배출유로의 입구)은 개방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유입된 생맥주는 제2 바닥홈(420)으로 들어가서 본체(210)의 측면에 형성된 생맥주 유출홈(223)(즉, 배출유로의 출구)으로 배출되어 맥주도관 연결체(224)에 접속된 생맥주 인출장치로 공급된다.
생맥주에는 미네랄 등의 금속성 양이온들이 녹아 있는데 제1 공급유로와 배출유로를 통과할 때 발생되는 정전기의 음전하가 금속성 양이온의 주변으로 끌어당겨지게 되면서 금속성 양이온의 주변에 음전하의 이온층이 만들어진다.
이렇게 음전하의 이온층이 외부에 형성된 금속성 양이온들은 비어스톤을 유발하게 되는 칼슘 이온이나 마그네슘 이온 등과 결합하면서 응집 형태의 이온 담체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이온 담체는 도관에 잘 들어붙지 않는다.
즉, 도관에 칼슘 이온 등이 들러붙어 만들어지는 비어스톤의 생성이 억제되는 것이다.
생맥주는 제2 바닥홈(420)으로 들어가서 본체(210)의 측면에 형성된 생맥주 유출홈(223)(즉 배출유로의 출구)으로 배출되어 맥주도관 연결체(224)에 접속된 생맥주 인출장치로 공급된다.
생맥주는 제2 바닥홈(420)으로부터 생맥주 유출홈(223)을 통과하면서 오목부(450)에 위치한 자석(452)으로 인하여 강한 자기장을 받게 된다.
이와 같이 자기장이 생맥주에 가해지면, 물분자들 사이에 진동과 공극이 생기게 되는 자기 공진 공명 현상이 발생되며 이에 따라 생맥주의 물분자들 사이에 활발한 운동과 많은 충돌로 인하여 에너지가 생성된다.
이러한 에너지를 통해 생맥주에 포함된 물은 수소이온(H+)과 수산화이온(OH-)이 풍부한 이온수가 된다.
수산화이온은 도관의 벽면 등의 계면에서 비어스톤의 성분이 되는 칼슘 이온 등의 전하를 잃어버리게 하여 칼슘 등이 도관의 벽면에 부착되는 대신에 고체 미립자 형태로 변하게 만들어 비어스톤의 생성을 억제한다.
한편, 생맥주가 좁은 직경의 제1 공급유로와 배출유로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생맥주에 포함된 이산화탄소 가스의 기포들이 미세한 크기의 기포로 바뀌게 된다.
도관 등에 침착된 비어스톤은 미세한 이산화탄소 가스의 기포의 영향으로 탈락하기 쉬운 상태가 되고 생맥주가 지속적으로 공급되어 도관 내부를 흐르면서 생기는 수류가 비어스톤을 타격하여 제거한다.
생맥주는 배출유로의 좁은 직경을 가압 상태로 밀려 올라오면서 맥주의 물분자를 영구자석(452)의 자기장 파동에 의해 물분자들 사이에 진동과 일정 공극이 생기는 공진 공명 현상이 발생하고 맥주의 물분자를 미세하게 깨뜨려 분자의 구조가 치밀해진 부드러운 맥주로 만들 수 있어 생맥주 맛의 저하를 방지한다.
맥주의 가스터짐 방지 장치 및 비어스톤 생성 방지 장치(100)는 제1 공급유로와 배출유로의 좁은 직경을 고압으로 통과하면서 발생되는 정전기와 영구자석(452)에 의해 맥주 속에 녹아있는 비어스톤 물질을 맥주와 함께 밖으로 몰아내 비어스톤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고 이미 생성된 비어스톤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으며 수산기이온의 항균 살균 작용으로 유해 부산물이 생기지 않는 맥주 라인의 상태를 청결하게 유지한다.
이하에서, 도 11을 참조하여 생맥주통에 담겨진 생맥주가 소진된 후 생맥주통으로부터 거품과 이산화탄소 가스만이 공급되고 생맥주통을 교체해야 하는 상태를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맥주의 가스터짐 및 비어스톤 생성 방지 장치에서 이산화탄소 가스를 배출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맥주의 가스터짐 방지 장치 및 비어스톤 생성 방지 장치(100)는 가스배출관(340)를 작동하여 맥주 공급유로인 제1 통로(442)가 개방되고 물 공급유로인 제2 통로(444)를 폐쇄시킨다.
종래에는 생맥주통의 생맥주가 소진되어 거품과 이산화탄소 가스가 생맥주 인출장치로 공급되면서 가스터짐 현상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의 맥주의 가스터짐 및 비어스톤 생성 방지 장치(100)는 생맥주통으로부터 생맥주가 접속관을 통해서 연결공(221)의 생맥주 유입홈(222)으로 유입된다.
생맥주통으로부터 유입된 거품과 이산화탄소 가스는 연결공(221)의 생맥주 유입홈(222)을 거쳐 제1 공급유로를 통해 본체(210)의 내부 공간부(212)로 유입된다.
이산화탄소 가스는 본체(210)의 내부 공간부(212)의 상부부터 채워지게 되고 본체(210)의 내부 공간부(212)에 남아있던 생맥주는 제2 바닥홈(420)을 거쳐 생맥주 유출홈(223)으로 배출된다.
생맥주에 부유하고 있던 부유차단볼(328)은 이산화탄소 가스이 압력에 의해 오목하게 형성된 본체(210)의 제2 바닥홈(420)(배출유로의 입구)에 놓여 제2 바닥홈(420)을 폐쇄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생맥주 인출장치를 개방하게 되면, 생맥주 인출장치 방향으로 배출유로의 내부에 부압(-)이 형성되면서 부유차단볼(328)이 제2 바닥홈(420)에 밀착하게 되고 이에 따라 배출유로가 완전히 차단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가스터짐 및 비어스톤 생성 방지 장치(100)는 생맥주통의 생맥주가 소진되어 생맥주통으로부터 거품과 이산화탄소 가스만이 공급되는 상태가 되면 배출유로의 입구인 제2 바닥홈(420)을 부유차단볼(328)이 본체(210)의 내부 공간부(212)에 채워지는 이산화탄소 가스의 압력에 의해 움직여서 자동적으로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생맥주 인출장치를 개방하더라도 이산화탄소 가스의 배출로 인한 가스터짐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가스터짐 현상이 방지되므로 거품 등이 분출하여 사방으로 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어 깨끗한 위생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유발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는 가스터짐 현상을 경험하지 않고 생맥주 인출장치를 개방하여 생맥주가 더 이상 나오지 않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생맥주통의 교체 시기를 용이하게 알 수 있게 된다.
부유차단볼(328)에 의해 제2 바닥홈(420)(배출유로의 입구)이 폐쇄되면, 빈 생맥주통을 새로운 맥주통으로 교체하기 전에, 본체(210)의 내부 공간부(212)에 채워진 이산화탄소 가스를 배출해야 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가 푸쉬버튼(330)을 누르게 되는데 푸쉬버튼(330)의 하부에 스프링부재(334)가 눌리면서 승하강부재(320)가 하부 방향으로 눌려서 하강한다.
이에 따라 가스배출공(326)이 형성된 승하강부재(320)의 하단부가 가스배출구(312)의 외부로 돌출되고 가스배출공(326)이 본체(210)의 내부 공간부(212)로 노출되면서 '개방' 위치로 되어 이산화탄소 가스가 가스배출공(326)으로 유입된다.
유입된 이산화탄소 가스는 가스배출공(326)이 연통되어 있는 가스유로(332)를 따라 가스배출관(340)으로 흘러가서 외부로 배출된다.
푸쉬버튼(330)을 살짝 누르는 경우 상부오링(322)이 상부오링홈(322a)에서 롤링 작용으로 장애물 역할을 하여 승하강부재(320)가 하부 방향으로 2mm 정도 움직인다.
이러한 푸쉬버튼(330)은 승하강부재(320)가 부유차단볼(328)을 건드리지 않으면서 가스배출공(326)이 본체(210)의 내부 공간부(212)로 노출되도록 한다. 즉, 본체(210)의 내부 공간부(212)의 상단에 채워진 이산화탄소 가스를 배출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이산화탄소 가스의 배출이 완료되면, 푸쉬버튼(330)을 누르고 있던 힘을 제거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스프링부재(334)의 복원력에 의해 푸쉬버튼(330)이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며 승하강부재(320)가 다시 상승하여 가스배출구(312) 내에 관입된 상태로 가스배출공(326)이 상부판(310)의 두께에 막혀 폐쇄된다.
이와 같이 맥주의 가스터짐 및 비어스톤 생성 방지 장치(100)는 이산화탄소 가스의 외부 배출이 완료된 후, 빈 생맥주통을 새로운 생맥주통으로 교체하고, 교체된 생맥주통에 접속관을 연결하며 접속관을 연결부(220)의 연결공(221)에 결합하게 되면 새로운 생맥주통으로부터 생맥주가 다시 유입된다.
유입된 생맥주는 생맥주 유입홈(222)을 거쳐 본체(210)의 바닥면의 제1 바닥홈(410)을 통해 본체(210)의 내부 공간부(212)로 유입된다(제1 공급유로).
유입된 생맥주는 본체(210)의 내부 공간부(212)를 채우게 되고 이에 따라 부유차단볼(328)이 생맥주에 의해 다시 부유하게 되며 본체(210)의 바닥면의 제2 바닥홈(420)(즉 배출유로의 입구)을 개방하면서 본체(210)의 측면에 형성된 생맥주 유출홈(223)(즉 배출유로의 출구)으로 배출되어 맥주도관 연결체(224)에 접속된 도관을 거쳐 생맥주 인출장치로 공급된다(배출유로).
이때, 부유차단볼(328)은 생맥주가 채워지면서 부력을 받아 이동하여 제2 바닥홈(420)이 개방되므로 본체(210)의 내부 공간부(212)의 상부에 이산화탄소 가스가 아닌 생맥주가 채워진 상태에서 배출유로의 입구가 개방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생맥주 인출장치로부터 부압이 발생하여 부유차단볼(328)이 제2 바닥홈(420)에 가압되어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본체(210)의 내부 공간부(212)로 유입되는 생맥주에 의해 부유차단볼(328)이 부유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푸쉬버튼(330)을 강하게 누르면 푸쉬버튼(330)의 하부에 스프링부재(334)가 눌리면서 승하강부재(320)가 하부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승하강부재(320)의 하부 끝단부가 부유차단볼(328)을 밀어서 움직이게 한다.
부유차단볼(328)이 움직여서 제2 바닥홈(420)을 조금이라도 개방하게 되면, 부유차단볼(328)은 생맥주가 제2 바닥홈(420)을 통해 배출유로로 배출되면서 부압이 사라지게 되고 이에 따라 부유차단볼(328)이 당기는 힘을 받지 않게 되며 생맥주에 의한 부력을 받아 부유하게 된다.
본 발명의 가스터짐 및 비어스톤 생성 방지 장치(100)는 본체(210)의 내부 공간부(212)의 상단부에 이산화탄소 가스가 아닌 생맥주가 채워진 상태에서 부유차단볼(328)이 움직이면서 배출유로가 개방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배출유로는 이산화탄소 가스가 유입되지 않고 생맥주만이 유입된 상태가 되며 생맥주통을 새로 교체한 후 생맥주 인출장치에서 첫잔의 생맥주를 받을 때 이산화탄소 가스가 급격하게 배출되는 가스터짐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곧바로 생맥주가 배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가스터짐 및 비어스톤 생성 방지 장치(100)는 가스터짐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위생 불량, 불쾌감 유발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되며 더 나아가 생맥주통 교체시 상당한 량의 맥주 손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가스터짐 및 비어스톤 생성 방지 장치(100)는 생맥주통의 교체 작업을 간편하게 하고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 도 12를 참조하여 물을 가압 주입하여 도관에 있는 비어스톤 또는 이물질을 세척하는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맥주의 가스터짐 및 비어스톤 생성 방지 장치에서 물이 공급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맥주의 가스터짐 및 비어스톤 생성 방지 장치(100)는 가스배출관(340)를 작동시켜 맥주 공급유로인 제1 통로(442)가 폐쇄하고 물 공급유로인 제2 통로(444)를 개방시킨다.
맥주의 가스터짐 및 비어스톤 생성 방지 장치(100)는 물 공급장치(미도시)로부터 물이 물도관 연결체(226)를 통해 물유입홈(225)으로 유입된다.
유입된 물은 물유입홈(225)으로부터 제2 통로(444)를 거쳐 제1 바닥홈(410)으로 유입되고(제2 공급유로), 본체(210)의 내부 공간부(212)에서 제2 바닥홈(420)을 통해 본체(210)의 측면에 형성된 생맥주 유출홈(223)(즉, 배출유로의 출구)으로 배출되며 맥주도관 연결체(224)에 접속된 도관을 거쳐 생맥주 인출장치로 공급된다(배출유로).
이와 같이 가압 주입된 물은 가스터짐 및 비어스톤 생성 방지 장치(100)를 통해 제2 공급유로, 배출유로, 도관과 생맥주 인출장치로 강하게 이동하여 비어스톤과 같은 이물질을 세척하게 된다.
본 발명의 가스터짐 및 비어스톤 생성 방지 장치(100)는 생맥주통을 분리하지 않고 도관과 생맥주 인출장치를 세척할 수 있어 세척 작업의 편리성을 높이고 세척 비용과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맥주의 가스터짐 및 비어스톤 생성 방지 장치
200: 케이싱 210: 본체
212: 내부 공간부 214: 오링
220: 연결부 221: 연결공
222: 생맥주 유입홈 223: 생맥주 유출홈
224: 맥주도관 연결체 225: 물유입홈
226: 물도관 연결체 300: 상부캡
310: 상부판 312: 가스배출구
320: 승하강부재 322: 상부오링
322a: 상부오링홈 324: 하부오링
324a: 하부오링홈 326: 가스배출공
328: 부유차단볼 330: 푸쉬버튼
332: 가스유로 334: 스프링부재
340: 가스배출관 400: 쓰리웨이 밸브
402: 밸브홈 410: 제1 바닥홈
420: 제2 바닥홈 432: 레버
440: 작동봉 442: 제1 통로
444: 제2 통로 446: 패킹
448: 스토퍼 450: 오목부
452: 자석

Claims (7)

  1. 내부의 일정한 공간을 형성한 원통 형상의 본체(210)와, 상기 본체(210)의 하부에 형성되어 맥주와 이산화탄소의 유입과 유출을 제어하는 연결부(220)를 포함하는 케이싱(200); 및 상기 본체(210)의 상부를 폐쇄하는 상부캡(300)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220)의 하부면에는 생맥주통의 접속관이 연결되며, 상기 상부캡(300)은 이산화탄소 가스의 배출을 위한 가스배출관(340)이 연결되고 상기 본체(210)의 측면에는 생맥주의 배출을 위한 생맥주 유출홈(2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부(220)의 상면과 상기 본체(210)의 하우징으로 생맥주나 이산화탄소가 채워지는 상기 본체(210)의 내부 공간부(212)를 형성하고, 상기 본체(210)의 내부 공간부(212)에는 부유차단볼(328)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220)의 하부면 개방부와 상기 연결부(220)의 상면의 제1 홈(410)을 관통하여 생맥주나 이산화탄소가 유입되는 제1 공급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부(220)의 상면의 제2 홈(420)과 상기 생맥주 유출홈(223)을 관통하여 생맥주가 유출되는 배출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공급유로를 통해 생맥주가 공급되면 상기 부유차단볼(328)이 부력에 의해 부유되면서 상기 배출유로가 개방되어 상기 배출유로를 통해 생맥주가 배출되고,
    상기 공급유로를 통해 이산화탄소 가스가 공급되어 상기 본체(210)의 내부 공간부(212)에 채워지면, 이산화탄소 가스의 압력으로 상기 부유차단볼(328)이 상기 제2 홈(420)의 개방구를 막아 이산화탄소 가스의 배출을 차단하는 맥주의 가스터짐 및 비어스톤 생성 방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220)의 측면에는 물이 유입되는 물유입홈(225)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220)의 내부에서 상기 물유입홈(225)과 상기 연결부(220)의 제1 홈(410)을 관통하여 물이 유입되는 경로인 제2 공급유로를 형성하는 맥주의 가스터짐 및 비어스톤 생성 방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급유로와 상기 제2 공급유로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가스배출관(340)가 상기 연결부(220)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연결부(220)의 내부로 측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하고, 상기 가스배출관(340)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제1 공급유로를 개방하고 상기 제2 공급유로를 폐쇄시켜 생맥주나 이산화탄소 가스를 공급하고, 상기 제1 공급유로를 폐쇄하고, 상기 제2 공급유로를 개방시켜 물을 공급하는 맥주의 가스터짐 및 비어스톤 생성 방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홈(420)과 상기 배출유로를 중심으로 양측면에 해당하는 상기 연결부(220)의 내부 영역에 자석(452)을 위치시켜 생맥주가 상기 배출유로를 흐를 때 자기장이 가해지는 맥주의 가스터짐 및 비어스톤 생성 방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캡(300)은 중심부가 개방된 관통공 형태의 가스배출구(312)가 형성된 상부판(310)과 상기 가스배출구(312)를 통해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형태의 원형 막대 형태의 승하강부재(320)가 삽입되고,
    상기 승하강부재(320)의 상부 끝단부에 푸쉬버튼(330)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푸쉬버튼(330)의 작동에 따라 상기 승하강부재(32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부유차단볼(328)을 밀어서 움직이게 하는 맥주의 가스터짐 및 비어스톤 생성 방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부재(320)는 오링(322, 324)이 삽입되는 상부 원형 테두리 홈(322a)과 하부 원형 테두리 홈(324a)이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원형 테두리 홈(322a)과 하부 원형 테두리 홈(324a)의 사이의 공간에 상기 본체(210)의 내부 공간부(212)의 이산화탄소 가스를 배출하는 가스배출공(326)이 뚫려 있고,
    상기 가스배출공(326)으로부터 상기 승하강부재(320)의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푸쉬버튼(330)에 형성된 상기 가스배출관(340)을 통해 가스유로(332)가 형성되며,
    상기 푸쉬버튼(330)의 작동에 따라 상기 가스배출공(326)이 상기 상부판(310)의 두께 부분에 막히게 되는 '폐쇄' 위치에 있거나 상기 승하강부재(320)가 하부 방향으로 하강하면서 상기 가스배출공(326)이 상기 본체(210)의 내부 공간부(212)로 노출되면서 '개방' 위치로 되어 이산화탄소 가스를 유입하는 맥주의 가스터짐 및 비어스톤 생성 방지.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부재(320)는 오링(322, 324)이 삽입되는 상부 원형 테두리 홈(322a)과 하부 원형 테두리 홈(324a)이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원형 테두리 홈(322a)과 하부 원형 테두리 홈(324a)의 사이의 공간에 상기 본체(210)의 내부 공간부(212)의 이산화탄소 가스를 배출하는 가스배출공(326)이 뚫려 있고,
    상기 푸쉬버튼(330)이 눌려지면 상기 상부 원형 테두리 홈(322a)에 삽입된 오링(322)의 방해로 상기 가스배출공(326)이 상기 본체(210)의 내부 공간부(212)로 노출되면서 상기 부유차단볼(328)을 건드리지 않는 맥주의 가스터짐 및 비어스톤 생성 방지.
KR1020130057505A 2013-01-09 2013-05-22 맥주의 가스터짐 및 비어스톤 생성 방지 장치 KR101534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12013001303.7T DE112013001303T5 (de) 2013-01-09 2013-05-22 Vorrichtung zur Vermeidung von Biersteinbildung und gasbedingtem Herausschießen von schaumigem Bier
JP2014556495A JP5980959B2 (ja) 2013-01-09 2013-05-22 ビールの泡噴出及びビールストーン生成防止装置
KR1020130057505A KR101534148B1 (ko) 2013-01-09 2013-05-22 맥주의 가스터짐 및 비어스톤 생성 방지 장치
US14/385,049 US9580287B2 (en) 2013-01-09 2013-05-22 Apparatus for preventing beer stone formation and gas-induced foamy beer-spurting phenomenon
PCT/KR2013/004472 WO2014109439A1 (ko) 2013-01-09 2013-05-22 맥주의 가스터짐 및 비어스톤 생성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2353 2013-01-09
KR20130002353 2013-01-09
KR1020130057505A KR101534148B1 (ko) 2013-01-09 2013-05-22 맥주의 가스터짐 및 비어스톤 생성 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0537A true KR20140090537A (ko) 2014-07-17
KR101534148B1 KR101534148B1 (ko) 2015-07-07

Family

ID=51167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7505A KR101534148B1 (ko) 2013-01-09 2013-05-22 맥주의 가스터짐 및 비어스톤 생성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580287B2 (ko)
JP (1) JP5980959B2 (ko)
KR (1) KR101534148B1 (ko)
DE (1) DE112013001303T5 (ko)
WO (1) WO201410943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0797A (ko) * 2015-11-25 2017-06-02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맥주 거품 방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68264S1 (en) * 2013-11-26 2016-10-04 Jong-Ha Park Apparatus for preventing fluid gas explosion and cleaning and sterilizing fluid supplying line
KR20160021535A (ko) * 2014-08-18 2016-02-26 박종하 기체 혼합 액체를 이용한 세정 장치
NL2021604B1 (nl) 2018-09-11 2020-06-26 Vitens N V Toepassing van een fulvinezuur bevattend uitgangsmateriaal.
JP7412962B2 (ja) 2019-11-06 2024-01-15 剛 柴本 飲料送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45450A (en) * 1948-11-26 1953-07-14 C B Hunt & Son Inc Fluid valve means
US2906492A (en) * 1951-06-01 1959-09-29 Baker Oil Tools Inc Valves
US2839079A (en) * 1955-05-25 1958-06-17 Stanley H Holmes Servo-valve
US2892576A (en) * 1957-11-14 1959-06-30 Lawrence T Ward Metering button valve assembly
US2979080A (en) * 1959-01-29 1961-04-11 Westinghouse Air Brake Co Valve device with annular resilient valving elements
US3578285A (en) * 1969-06-26 1971-05-11 Sydney E Carlton Sample and bleed valve
US4004610A (en) * 1975-04-14 1977-01-25 B.W.B. Controls, Inc. Line control
US4098291A (en) * 1976-10-12 1978-07-04 Manoscope, Inc. Pressure relief valve
US4202330A (en) * 1978-06-26 1980-05-13 Jariabka Daniel S Life support system and valve for use therewith
US4381099A (en) * 1981-04-28 1983-04-26 The Penmont Company Faucet for frozen carbonated beverage machine
US4524951A (en) * 1981-06-15 1985-06-25 Gt Development Corporation Center-position biased slide valve
JPS603375U (ja) * 1983-06-22 1985-01-11 ハウス食品工業株式会社 三方バルブの洗浄用配管
AT383330B (de) * 1983-12-23 1987-06-25 Karl Fischer Pochtler Ges M B Dosiervorrichtung fuer einen mit einer druckgaskapsel versehenen behaelter zur abgabe von fluessigkeiten, insbesondere cremen
US4941593A (en) 1989-01-11 1990-07-17 Hicks Robert C Cleaning system for beverage delivery conduits
US5054514A (en) * 1989-05-25 1991-10-08 Plumbmaster, Inc. Drinking fountain cartridge valve
US4995421A (en) * 1989-09-12 1991-02-26 Numatics, Incorporated Lock-out valve with controlled restart
US5337786A (en) * 1990-07-09 1994-08-16 Mtd Products Inc. Slide actuation valve
US5090440A (en) * 1990-10-26 1992-02-25 Legris Incorporated Line cleaning apparatus
US5165654A (en) * 1991-09-11 1992-11-24 Liu Hsing Fu Gas control valve
DE9113488U1 (de) 1991-10-30 1992-02-06 Till, Rudolf, 7573 Sinzheim Vorrichtung zum Reinigen und Entleeren von Getränkeflüssigkeitsleitungen in Zapfanlagen
AU668538B2 (en) * 1993-01-25 1996-05-09 Kirin Beer Kabushiki Kaisha Dispenser head for soft drink and cleaning device for soft drink pouring system
JP2931493B2 (ja) 1993-01-28 1999-08-09 三洋電機株式会社 飲料供給装置
US6003542A (en) * 1993-04-28 1999-12-21 Pizzacalla; Dominic Automatic shutoff valve
US5564459A (en) * 1995-02-22 1996-10-15 Dunne; Seamus C. Fob detector
US5699829A (en) * 1996-05-14 1997-12-23 Ross Operating Vale Co. Fluid control valve with soft startup
JPH10236591A (ja) * 1997-02-25 1998-09-08 Kirin Brewery Co Ltd 液体注出装置の流路遮断機構
JPH10250796A (ja) 1997-03-12 1998-09-22 Aisan Ind Co Ltd 発泡性飲料送出弁
JPH10258896A (ja) 1997-03-14 1998-09-29 Aisan Ind Co Ltd 発泡性飲料送出弁
JPH11344141A (ja) 1998-06-03 1999-12-14 Aisan Ind Co Ltd 発泡性飲料送出弁
US6062427A (en) * 1998-08-27 2000-05-16 Du Investments L.L.C. Beer keg and pre-mixed beverage tank change-over device
JP2000272698A (ja) 1999-03-19 2000-10-03 Fuji Electric Co Ltd シロップ飲料供給ノズル装置
JP4268306B2 (ja) 2000-02-29 2009-05-27 株式会社ヰゲタ 給液遮断弁
US6312595B1 (en) * 2000-07-06 2001-11-06 Kuang-Hui Chien Water filtering system
IL145424A (en) * 2000-09-14 2004-08-31 Source Vagabond Systems Ltd Mouthpiece for drinking
JP2002332081A (ja) * 2001-05-10 2002-11-22 Bioactis:Kk ガス噴射弁及びガス注入に用いられる注入治具
KR200337470Y1 (ko) 2003-09-09 2004-01-03 최형선 노즐 일체형 생맥주 인출용 콕크밸브
JP4422468B2 (ja) * 2003-11-28 2010-02-24 株式会社ヰゲタ 給液遮断弁及びこれを用いた給液遮断装置
CN101484782B (zh) 2006-06-13 2013-07-17 高级技术材料公司 包含气体移出设备的液体分配系统
ATE533835T1 (de) * 2007-03-05 2011-12-15 Krones Ag Bierfilter
US8672289B2 (en) * 2008-04-21 2014-03-18 Pride Technologies International Pty Ltd Domestic water tap or faucet with floating buoyant ball valve and activation rod
EP2192077A1 (en) * 2008-11-27 2010-06-02 Carlsberg Breweries A/S A method of cleaning and flushing a beverage dispensing system
FR2952618B1 (fr) * 2009-11-17 2011-11-25 Serge Gandy Bouchon doseur pour recipient apte a contenir un fluide sous pression, et recipient muni d'un tel bouch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0797A (ko) * 2015-11-25 2017-06-02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맥주 거품 방지 장치
KR101879203B1 (ko) * 2015-11-25 2018-07-17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맥주 거품 방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580287B2 (en) 2017-02-28
WO2014109439A1 (ko) 2014-07-17
JP2015506318A (ja) 2015-03-02
KR101534148B1 (ko) 2015-07-07
US20150059872A1 (en) 2015-03-05
JP5980959B2 (ja) 2016-08-31
DE112013001303T5 (de) 2014-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4148B1 (ko) 맥주의 가스터짐 및 비어스톤 생성 방지 장치
CN102215778B (zh) 具有气体流限制的液体微滴邻间清洁装置
JP6347318B2 (ja) 水洗大便器装置
CN108315967B (zh) 一种洗涤剂和/或柔顺剂投放盒及洗衣机
KR101238263B1 (ko) 맥주의 가스터짐 방지 및 비어스톤 생성 방지장치
JP5123228B2 (ja) スプレー缶の再充填装置
KR101696865B1 (ko) 전자제어 양변기 및 비데 일체형 양변기용 배수밸브장치
GB2593326A8 (en) Automatic toilet cleaner device
JP2010116191A (ja) 飲料注出装置のディスペンスヘッド
JP2008240401A (ja) 洋風水洗式便器
CN109764465B (zh) 具有双重水阀的水箱及加湿器
US20210324620A1 (en) Anti-backflow device and bidet
JP5034168B2 (ja) 洗浄装置
KR101518264B1 (ko) 부력을 이용한 세정제 자동 배출장치
KR200351198Y1 (ko) 공급수로를 갖는 거품 발생기가 장착된 비데
JP2005163811A (ja) 給液遮断弁及びこれを用いた給液遮断装置
JP5735354B2 (ja) 微細気泡発生装置
JP2005350985A (ja) 給水装置の負圧破壊装置
JP2009057054A (ja) ディスペンスヘッド
CN211610148U (zh) 冲牙器
CN220134749U (zh) 电磁阀
CN212155910U (zh) 一种防倒流器及洁身器
CN214171655U (zh) 一种微泡自动排气阀
CN218993683U (zh) 一种热水器
KR102128726B1 (ko) 음료 주입장치용 노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