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8726B1 - 음료 주입장치용 노즐 - Google Patents

음료 주입장치용 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8726B1
KR102128726B1 KR1020180110902A KR20180110902A KR102128726B1 KR 102128726 B1 KR102128726 B1 KR 102128726B1 KR 1020180110902 A KR1020180110902 A KR 1020180110902A KR 20180110902 A KR20180110902 A KR 20180110902A KR 102128726 B1 KR102128726 B1 KR 102128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nozzle
injecting device
inner body
out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0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1876A (ko
Inventor
김문주
Original Assignee
엔피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피씨(주) filed Critical 엔피씨(주)
Priority to KR1020180110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8726B1/ko
Publication of KR20200031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18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8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87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2Beer engines or like manually-operable pumping apparatus
    • B67D1/025Beer engines or like manually-operable pumping apparatus with means for carbonating the beverage, or for maintaining its carbon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12Cans, casks, barrels, or drums
    • B65D1/20Cans, casks, barrels, or drums characterised by location or arrangement of filling or discharge aper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01Details of beverage containers, e.g. casks, kegs
    • B67D1/0805Openings for filling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 주입장치용 노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료 주입장치에 구비되어 음료를 토출하는 노즐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음료 주입장치와 결합되는 이너 바디와, 상기 이너 바디와 결합되는 아우터 바디를 포함하는 바디; 상기 음료 주입장치와 결합되며 토출부가 형성되는 헤드; 상기 바디와 상기 헤드 또는 상기 바디와 상기 음료 주입장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토출부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상기 바디에 탄성력을 가하는 리턴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구성에 의해 음료 용기가 장착되지 않은 경우 음료 주입장치용 노즐이 폐쇄되어 있어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는 리버스탭 디스펜서 방식의 음료 주입장치용 노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음료 주입장치용 노즐{Nozzles for beverage inje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음료 주입장치용 노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료 토출시에만 토출부가 개방되는 음료 주입장치용 노즐에 관한 것이다.
거품이 형성되는 음료가 수용되는 용기로써, 일례로 가장 보편화되어 사용되는 맥주잔은 하부 바닥이 차단되고, 상부가 개구되어 상측 개구부를 통해 음료가 주입된다.
음료 주입 장치를 통해 공급되는 생맥주 등의 음료는 다른 음료에 비하여 상부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따르게 되며, 주입시 압력에 의하여 많은 양의 거품이 발생 되는바, 맥주잔 등의 용기에 음료를 주입한 후 따로 거품을 제거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생맥주 공급장치를 이용해 음료 용기에 생맥주를 공급할 때, 생맥주를 주로 음료 용기의 상측부터 공급하므로 온도가 알맞지 않은 경우, 음료 용기에서 거품이 다량 발생하여 흘러 내려 의복을 젖게 하거나 위생상 좋지 않았으며, 너무 많은 거품으로 인해 생맥주의 맛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지금까지의 맥주잔은 맥주를 따를 때 맥주가 공기와의 접촉으로 인해 산화되면서 맛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현상은 생맥주를 마시는 경우 더 심하게 나타날 수 있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음료 용기의 하면에 구멍을 형성하고 생맥주를 공급하는 경우 생맥주 거품을 적절하게 유지할 수는 있으나, 이 방법을 적용하려고 하여도 생맥주를 음료 용기 바닥 구멍으로 주입한 후, 구멍을 밀봉하는 방법이 적절하지 않아 채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음료 용기의 하부로 음료를 주입하기 위한 기술로써, 출원인이 기출원한 한국 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0482767호(2017.02.24)의 '음료가 바닥에서 주입되는 음료 용기를 위한 음료 주입 장치'(이하, '특허문헌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83349호(2017.09.25)의 '음료 용기 및 하부 주입 음료 용기용 밸브'(이하, '특허문헌 2'),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02358호(2017.11.22)의 '음료 용기 및 음료 용기용 코어 어셈블리'(이하, '특허문헌 3')가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하부 주입용 음료 주입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음료 공급수단이 내장된 본체(100)와, 음료 용기(10)가 탈착되는 장착부(110)와, 상기 안착부(110)에 구비되되 상기 장착부(110)보다 상측으로 돌출되며 장착된 상기 음룔 용기(10)측으로 음료를 주입하는 노즐(1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음료 용기(10)의 하부에는 주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주입구에는 밸브(20)가 구비된다. 상기 음료 용기(10)를 상기 장착부(110)에 장착시키면, 상기 밸브(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즐(120)에 밀려 개방되며, 개방된 상기 밸브(20)를 통해 상기 음료 주입 장치에서 상기 음료 용기(10)로 음료 주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특허문헌 1의 상기 노즐(120)에는 토출부(121)가 형성되는데, 상기 토출부(121)는 상기 음료 용기(10)의 장착 여부와 관계 없이 항상 개방된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상기 음료 용기(10)가 상기 장착부(110)에 장착되지 않은 경우, 즉 노즐(120)이 대기 상태인 경우, 개방된 상기 토출부(121)를 통해 상기 노즐(120)의 내부와 상기 노즐(120)이 장착된 상기 음료 공급수단으로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어 노즐(120)과 상기 음료 주입 장치를 청결하게 유지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었다.
상기 특허문헌 2는 용기본체의 하부에 주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음료 용기의 주입구에 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밸브는 음료 주입 장치의 노즐이 끼워지면 개방되어 상기 노즐을 통해 상기 음료 용기에 음료를 삽입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특허문헌 2 또한 상기 노즐에 상기 음료 용기가 끼워지지 않은 상태, 즉 상기 노즐이 대기 상태인 경우, 상기 노즐의 개방부가 개방된 상태로 대기 중에 노출되어 있어 이물질이 상기 노즐 내부와 상기 노즐이 장착된 음료 공급 장치로 유입되어 상기 노즐과 상기 음료 공급 장치를 청결하게 유지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었다.
상기 특허문헌 3은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하부에 형성된 주입구를 갖는 음료 용기, 상기 주입구에 끼워질 수 있는 음료 공급 장치의 노즐로 이루어진다. 상기 노즐의 상부에는 음료가 배출되는 배출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특허문헌 3 또한 상기 노즐을 상기 음료 용기에서 분리한 상태, 즉 대기 중인 경우, 상기 배출부가 개방된 상태로 대기 중에 노출되어 있어 이물질이 상기 노즐 내부와 음료 공급 장치로 유입되어 상기 노즐과 상기 음료 공급 장치를 청결하게 유지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었다.
한국 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0482767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83349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02358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음료 토출시에만 토출부가 개방되는 음료 주입장치용 노즐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음료 미토출시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음료 주입장치용 노즐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에 음료가 잔류하지 않고 배수되는 음료 주입장치용 노즐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상 음료가 누수될 수 있는 부위의 수밀 효과가 향상된 음료 주입장치용 노즐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음료 주입장치용 노즐은, 음료 주입장치에 구비되어 음료를 토출하는 노즐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음료 주입장치와 결합되는 이너 바디와, 상기 이너 바디와 결합되는 아우터 바디를 포함하는 바디; 상기 음료 주입장치와 결합되며 토출부가 형성되는 헤드; 상기 바디와 상기 헤드 또는 상기 바디와 상기 음료 주입장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토출부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상기 바디에 탄성력을 가하는 리턴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음료 주입장치용 노즐은, 상기 헤드는 상기 바디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의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음료 주입장치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토출부는 상기 덮개부와 상기 결합부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리턴 스프링이 변형되어 상기 바디가 이동하면 상기 바디와 상기 덮개부가 이격되어 상기 토출부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음료 주입장치용 노즐은, 상기 리턴 스프링은 상기 이너 바디와 상기 아우터 바디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음료 주입장치용 노즐은, 상기 아우터 바디에는 음료 용기 장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장착부의 하측에 상기 리턴 스프링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음료 주입장치용 노즐은, 상기 이너 바디에는 상기 리턴 스프링이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와 연통된 배수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음료 주입장치용 노즐은, 상기 헤드의 결합부는 상기 이너 바디와 결합되고, 상기 아우터 바디는 상기 헤드와 상기 이너 바디의 외측에 위치되며, 상기 헤드와 상기 이너 바디는 상기 아우터 바디와 이격되어 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통로는 상기 토출부와, 상기 배수홀과 연통된 상기 삽입부에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음료 주입장치용 노즐은, 상기 헤드의 결합부와 상기 아우터 바디 사이가 이격되어 상기 토출부와 상기 홈에 연통된 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통로에 제1오링이 설치되고, 상기 토출부가 개방되도록 상기 아우터 바디가 이동하면 상기 아우터 바디에 형성된 돌출부가 상기 제1오링과 접촉되어 상기 통로가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음료 주입장치용 노즐은, 상기 아우터 바디의 외측에는 상기 토출부에서 토출된 음료가 주입되는 음료 용기가 장착될 수 있는 장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장착부에 제2오링이 설치되며, 상기 이너 바디와 상기 음료 주입장치 사이에 제3오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음료 주입장치용 노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노즐이 적용된 음료 주입장치는 음료 용기가 장착되지 않은 대기상태, 즉 음료를 토출하지 않을 때에는 토출부가 폐쇄되므로 노즐의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이 방지된다. 따라서 노즐과 상기 음료 주입장치의 청결한 음료관리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리턴 스프링이 노즐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원활하게 작동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노즐에 장착된 음료 용기의 자체 무게만으로도 리턴 스프링이 충분히 변형되어 음료 주입에 문제가 없을 정도로 토출부가 개방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노즐이 적용된 음료 주입장치의 사용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음료가 스프링 삽입부에 유입되더라도 배수홀을 통해 노즐의 외부로 배출되므로, 스프링 삽입부 내의 이물질 누적이 방지되고 리턴 스프링의 기능 저하가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상 음료가 누수될 수 있는 부위에 오링이 배치되므로, 노즐 내부의 수밀, 노즐과 음료 주입장치 간에 수밀, 노즐과 음료 용기간에 수밀이 이루어진다.
도 1은 상기 특허문헌 1에 게재된 음료 주입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상기 특허문헌 1의 음료 주입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음료 용기 단면도
도 3의 (a)는 음료 주입장치에 장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노즐의 토출부가 폐쇄된 사시도이고, 도 3의 (b)는 음료 주입장치에 장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노즐의 토출부가 개방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노즐을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노즐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3(a)에 도시된 노즐의 단면도
도 7은 도 3(b)에 도시된 노즐에 음료 용기가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배경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배경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 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촉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촉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7을 토대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음료 주입장치에 구비되어 음료를 토출하는 노즐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음료 주입장치와 결합되는 이너 바디(200)와, 상기 이너 바디(200)와 결합되는 아우터 바디(300)를 포함하는 바디; 상기 음료 주입장치와 결합되며 토출부(140)가 형성되는 헤드(100); 상기 바디와 상기 헤드(100) 또는 상기 바디와 상기 음료 주입장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토출부(140)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상기 바디에 탄성력을 가하는 리턴 스프링(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노즐이 적용된 음료 주입장치는 음료 용기(50)가 장착되지 않은 대기상태, 즉 음료를 토출하지 않을 때에는 토출부(140)가 폐쇄되므로 노즐의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이 방지된다. 따라서 노즐과 상기 음료 주입장치의 청결한 음료관리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 헤드(100)는 상기 바디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덮개부(110)와, 상기 덮개부(110)의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음료 주입장치와 결합되는 결합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토출부(140)는 상기 덮개부(110)와 상기 결합부(120)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리턴 스프링(400)이 변형되어 상기 바디가 이동하면 상기 바디와 상기 덮개부(110)가 이격되어 상기 토출부(140)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턴 스프링(400)은 상기 이너 바디(200)와 상기 아우터 바디(300)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리턴 스프링(400)은 노즐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원활하게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바디(300)에는 음료 용기(50) 장착부(323)가 형성되며, 상기 장착부(323)의 하측에 상기 리턴 스프링(400)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노즐에 장착된 음료 용기(50)의 자체 무게만으로도 리턴 스프링(400)이 충분히 변형되어 음료 주입에 문제가 없을 정도로 토출부(140)가 개방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노즐이 적용된 음료 주입장치의 사용이 용이하다.
상기 이너 바디(200)에는 상기 리턴 스프링(400)이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와 연통된 배수홀(23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음료가 스프링 삽입부(237)에 유입되더라도 배수홀(236)을 통해 노즐의 외부로 배출되므로, 스프링 삽입부(237) 내의 이물질 누적이 방지되고 리턴 스프링(400)의 기능 저하가 방지된다.
상기 헤드(100)의 결합부(120)는 상기 이너 바디(200)와 결합되고, 상기 아우터 바디(300)는 상기 헤드(100)와 상기 이너 바디(200)의 외측에 위치되며, 상기 헤드(100)와 상기 이너 바디(200)는 상기 아우터 바디(300)와 이격되어 통로(500)가 형성되며, 상기 통로(500)는 상기 토출부(140)와, 상기 배수홀(236)과 연통된 상기 삽입부에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토출부(140)에서 토출된 음료가 헤드(100)와 아우터 바디(300) 사이로 유입되어도 배수홀(236)을 통해 노즐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헤드(100)의 결합부(120)와 상기 아우터 바디(300) 사이가 이격되어 상기 토출부(140)와 상기 홈에 연통된 상기 통로(500)가 형성되며, 상기 통로(500)에 제1오링(101)이 설치되고, 상기 토출부(140)가 개방되도록 상기 아우터 바디(300)가 이동하면 상기 아우터 바디(300)에 형성된 돌출부(311)가 상기 제1오링(101)과 접촉되어 상기 통로(500)가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우터 바디(300)의 외측에는 상기 토출부(140)에서 토출된 음료가 주입되는 음료 용기(50)가 장착될 수 있는 장착부(323)가 형성되고, 상기 장착부(323)에 제2오링(201)이 설치되며, 상기 이너 바디(200)와 상기 음료 주입장치 사이에 제3오링(301)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구조상 음료가 누수될 수 있는 부위, 보다 자세하게는 이너 바디(200)와 아우터 바디(300) 사이의 상기 통로(500), 바디(이너 바디(200))와 음료 주입장치 사이, 음료 용기(50)의 주입구(51)와 아우터 바디(300) 사이에 오링(101,201,301)들이 배치되므로, 노즐 내부의 수밀, 노즐과 음료 주입장치 간에 수밀, 노즐과 음료 용기(50)간에 수밀이 이루어진다.
본 실시 예의 오링(101,201,301)은 모두 실리콘 재질로 형성된 오링이다.
한편,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의 노즐이 적용되는 상기 음료 주입장치는 본체(10)에 장착된 토출관(11)과, 상기 토출관(11)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설치되는 브라켓(13)을 포함한다. 상기 브라켓(13)의 하면과 상기 본체(10)의 상면 사이에 오링(도면 부호 미도시)이 설치된다. 상기 토출관(11)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토출구가 형성된다. 상기 토출구는 상기 음료 주입장치의 구성품인 음료 공급수단(미도시)과 연통된다. 상기 브라켓(13)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음료 용기(50)는 음료 수용부(331)가 형성된 용기 본체(10)와, 상기 용기 본체(10)의 하면에 형성되며 밸브(53)가 장착된 주입구(51)를 포함한다. 상기 주입구(51)에는 주입구멍(51a)이 형성되며, 상기 주입구멍(51a)은 좌우로 형성된다. 음료가 잘 주입되도록 상기 주입구멍(51a)은 토출부(140)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노즐의 구성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헤드(100)와 이너 바디(200)는 나사산 결합이나 억지 끼움 방식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고, 헤드(100) 및 이너 바디(200)는 토출관(11)과 나사산 결합이나 억지 끼움 방식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며, 음료 용기(50)는 노즐과 나사산 결합이나 억지 끼움 방식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너 바디(200)-
이너 바디(200)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관 형상이다.
이너 바디(200)는 상기 음료 주입장치 본체(10)의 상면,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브라켓(13)의 상면과 상기 토출관(11)의 외주면에 접촉된다.
이너 바디(200)는 헤드(100)의 결합부(120)와 토출관(11) 사이에 위치되는 제1이너 바디(210)와, 제1이너 바디(210)의 하측에 연결되며 아우터 바디(300)의 후술될 제1,2아우터 바디(300)(310, 320)와 토출관(11) 사이에 위치되는 제2이너 바디(220)와, 제2이너 바디(220)의 외면의 하측에 상측이 연결되며 아우터 바디(300)의 후술될 제3아우터 바디(330)와 토출관(11) 사이에 위치되는 제3이너 바디(230)를 포함한다.
제1이너 바디(210)의 외경은 제2이너 바디(220)의 외경보다 작고, 제2이너 바디(220)의 외경은 제3이너 바디(230)의 외경보다 작다.
제1이너 바디(210)의 직경 방향 두께는 제2이너 바디(220)의 직경 방향 두께보다 작고, 제2이너 바디(220)의 직경 방향 두께는 제3이너 바디(230)의 의 직경 방향 두께보다 작다.
제1이너 바디(210)의 외면은 제2이너 바디(220)의 외면보다 내측에 위치되고, 제1이너 바디(210)의 내면은 제2이너 바디(220)의 내면보다 내측에 위치된다.
제1이너 바디(210)의 외주면과 제2이너 바디(220)의 상면과 연결되고, 제1이너 바디(210)의 하면이 제2이너 바디(220)의 내면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1이너 바디(210)와 제2이너 바디(220)에 단차(도면 부호 미도시)가 생긴다.
제1이너 바디(210)에는 제2이너 바디(220)와 연결되는 내면의 하측에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경사진 경사면(도면 부호 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은 상기 토출관(11)의 외면에 형성된 경사면(도면 부호 미도시)과 대응되는 형상이다. 따라서 상기 토출관(11)과 결합되는 이너 바디(200)가 적절한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제2이너 바디(220)는 브라켓(13)에 얹혀진다.
제2이너 바디(220)의 내면은 상기 브라켓(13)의 내면과 상하로 나란하다.
노즐과 토출관(11)의 결합이 잘 유지되도록 제2이너 바디(220)의 내면과 상기 브라켓(13)의 내면은 상기 토출관(11)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이너 바디(230)에는 상면이 움푹 파져 상기 스프링 삽입부(237)가 형성된다.
스프링 삽입부(237)는 측부의 일부와 상부가 개방된다. 이때 상기 측부의 일부가 배수홀(236)과 연통된다.
노즐을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향의 단면으로 볼 때, 스프링 삽입부(237)의 단면은 상부가 개방되고 양측면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양측면에 연결된 하면은 오목한 곡면, 즉 'U'자 형상이다.
제3이너 바디(230)의 하면에는 제3오링(301)이 삽입되는 홈이 형성된다.
제3오링(301)에 의해 배수홀(236)을 통해 배출된 음료가 이너 바디(200)의 내측, 즉 토출관(11) 측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제3이너 바디(230)의 외면 중 상측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235)가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 돌기(235)는 1 개의 아우터 바디(300) 중 양측에 1 개씩, 총 2 개가 형성된다.
돌기(235)는 제3아우터 바디(330)의 후술될 수용부(331)에 삽입 수용되며, 보다 자세한 것은 후술하도록 한다.
돌기(235)의 직경 방향 두께는 제3이너 바디(230)의 외면과 후술될 제3아우터 바디(330)간에 이격 간격과 같거나 이격 간격보다 작다. 보다 자세한 것은 후술하도록 한다.
홈과 스프링 삽입부(237)는 서로 상하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전술된 구성을 갖는 제3이너 바디(230)는 홈과 스프링 삽입부(237)를 기준으로 내측(231)과 외측(233)으로 나눌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수홀(236)은 제3이너 바디(230)의 외측(233) 상면의 일부분이 움푹 파져 형성된 것이다.
배수홀(236)은 상측과 내외측부가 개방된다.
본 실시 예에서 배수홀(236)은 이너 바디(200)의 중심축에 대해 방사상으로 4 개가 서로 등간격을 이루며 배치된다.
-아우터 바디(300)-
아우터 바디(300)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관 형상이다.
아우터 바디(300)는 이너 바디(200)의 상측 및 외측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아우터 바디(300)는 헤드(100)의 결합부(120)의 외측에 위치되는 제1아우터 바디(310)와, 제1아우터 바디(310)의 외면 하측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제2아우터 바디(320)와, 제2아우터 바디(320)의 외주면 하측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3아우터 바디(330)를 포함한다.
제1아우터 바디(310)의 직경 방향 두께는 제3아우터 바디(330)의 직경 방향 두께보다 다소 작고, 제2아우터 바디(320)의 상하 방향 두께는 제1,3아우터 바디(300)(310, 330)의 직경 방향 두께보다 크다. 제2아우터 바디(320)의 상하 방향 두께는 최소한 제2오링(201)의 직경보다 커야 한다.
제1아우터 바디(310)의 내면의 상측에는 상기 돌출부(311)가 형성된다.
돌출부(311)는 제1아우터 바디(310)의 상면과 연결된다.
돌출부(311)가 제1오링(101)과 충분히 접촉하여 누수를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해, 돌출부(311)의 상하 방향 길이는 제1오링(101)의 직경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음료 용기(50)가 장착될 수 있는 상기 장착부(323)는 제1아우터 바디(310)의 외면과 제2아우터 바디(320)의 움푹 들어간 상면과 후술될 뾰족한 외측(321)에 둘러싸여 형성된 공간이다.
제2아우터 바디(320)의 상면 중 외측(321)은 상측으로 뾰족하게 돌출된 형상이다.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면을 기준으로, 뾰족한 외측(321)의 단면은 대략 삼각형이다. 따라서 음료 용기(50)의 주입구(51)는 제1아우터 바디(310)와 상기 뾰족한 외측(321)에 걸려 장착 위치가 잘 유지될 수 있다.
제2아우터 바디(320)의 상면에는 제2오링(201)이 삽입되는 홈(도면부호 미도시)이 형성된다. 이 홈은 제1아우터 바디(310)의 외면과 연결된다. 따라서 제2오링(201)은 제1아우터 바디(310)와 주입구(51) 사이로 발생될 수 있는 누수를 방지한다.
뾰족한 외측(321)의 외면과 연결된 제2아우터 바디(320)의 외면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경사진 면으로 형성된다.
제3아우터 바디(330)의 내면의 일지점에는 이너 바디(200)의 상기 돌기(235)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다.
수용홈의 원주 방향 길이는 돌기(235)의 직경과 같거나 돌기(235)의 직경보다 조금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돌기(235)가 수용홈에 수용되면 이너 바디(200)와 아우터 바디(300)는 따로 회전될 수 없다. 따라서 리턴 스프링(400)과 아우터 바디(300)가 부딪혀 둘 중 하나라도 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제1오링(101)과 돌출부(311)가 접촉됐을 때 접촉의 해제가 방지되어 누수가 예방된다.
제3아우터 바디(330)의 하면은 음료 주입장치 본체(10)의 상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틈새가 생긴다. 따라서 배수홀(236)을 통해 배출된 음료 등의 이물질이 상기 틈새를 통해 노즐의 외부 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어 노즐과 음료 주입장치를 청결하게 할 수 있다.
-리턴 스프링(400)-
본 실시 예의 리턴 스프링(400)의 종류는 코일 스프링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코일이 약 4 번 감겨 있으나, 이와 다르게 할 수도 있다.
리턴 스프링(400)의 상단은 제2아우터 바디(320)의 하면과 접촉되고, 하단은 스프링 삽입부(237)를 형성하는 상기 곡면과 접촉된다.
음료 용기(50)가 아우터 바디(300)에 장착되면 음료 용기(50)의 주입구(51)와 밸브(53)의 무게가 바로 하측에 있는 리턴 스프링(400)에 직접적으로 작용하므로, 리턴 스프링(400)이 압축이 용이해지며 이로 인해 토출부(140)가 잘 개방될 수 있다.
리턴 스프링(400)은 상하 방향으로 압축 또는 인장될 수 있도록 스프링 삽입부(237)에 배치된다. 따라서 리턴 스프링(400)의 상측에 아우터 바디(300)가 위치되고, 리턴 스프링(400)의 하측에 이너 바디(200)가 위치되므로, 리턴 스프링(400)은 노즐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원활하게 작동될 수 있다.
-헤드(100)-
헤드(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덮개부(110), 결합부(120), 토출부(140)를 포함하되, 덮개부(110)와 결합부(120)를 연결하는 연결대(150)를 더 포함한다.
헤드(100)의 내부에는 음료 주입장치의 토출관(11)이 삽입되는 공간(도면 부호 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은 토출부(140)와 연통된다. 이로 인해 토출관(11)을 통해 토출된 음료가 상기 공간을 거친 뒤 토출부(140)로 보내질 수 있다.
덮개부(110)는 원판 형상이다.
결합부(120)는 대략 관 형상이다.
토출부(140)는 복수의 연결대(150) 사이에 배치된다.
토출부(140)는 덮개부(110)의 하면과 연결대(150)와 결합부(120)의 상면에 둘러싸여 형성된다.
토출부(140)는 좌우방향으로 관통된 구멍이다.
토출부(140)의 단면은 좌우방향으로 일정하다. 토출부(140)와 연통된 주입구(51)의 단면도 좌우방향으로 일정하다.
연결대(150)는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 연결대(150)의 상하 길이가 토출부(140)의 상하 길이와 같다.
연결대(150)는 결합부(120)의 중심축에 대해 방사상으로 3 개가 서로 등간격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토출부(140) 또한 결합부(120)의 중심축에 대해 방사상으로 3 개가 서로 등간격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덮개부(110)의 외경은 결합부(120)의 외경보다 크다.
또한 덮개부(110)의 외경은 제1아우터 바디(310)의 내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토출부(140)가 폐쇄되었을 때, 덮개부(110)의 하면과 제1아우터 바디(310)의 상면이 접촉되므로 헤드(100)와 아우터 바디(300) 사이로 누수가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리턴 스프링(400)에 의해 상측으로 밀려난 아우터 바디(300)는, 제1아우터 바디(310)가 덮개부(110)의 하면에 걸리기 때문에 덮개부(110)와 이너 바디(200) 사이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따라서 아우터 바디(300)는 추가 구성 없이도 다른 구성들과의 위치 관계가 유지될 수 있으므로 노즐의 생산과 사용이 용이하다.
한편, 결합부(120)는 제1오링(101)이 삽입되는 홈(도면 부호 미도시)이 형성된 제1결합부(121)와, 제1결합부(121)의 하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제2결합부(123)를 포함한다.
제1결합부(121)의 직경 방향 폭이 제2결합부(123)의 직경 방향 폭보다 크다.
제1결합부(121)의 내면은 상기 토출관(11)의 외면 상측과 마주본다.
제1결합부(121)의 외면과 제2결합부(123)의 외면은 상하로 나란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도 6이나 도 7과 같이 노즐의 단면을 볼 때, 제2결합부(123)의 내면은 제1결합부(121)의 내면보다 외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부(120)에는 단차(도면 부호 미도시)가 생긴다.
전술된 결합부(120)와 이너 바디(200)는 각각에 형성된 상기 단차들을 이용하면, 제1결합부(121)의 하면과 제2결합부(123)의 내면 사이에 제1이너 바디(210)가 위치되고, 제1이너 바디(210)의 외면과 제2이너 바디(220)의 상면 사이에 제2결합부(123)가 위치된다. 따라서 헤드(100)와 이너 바디(200)가 서로 쉽게 결합될 수 있고, 결합되면 쉽게 해제되지 않는다.
결합부(120)의 외면 및 제2,3이너 바디(200)(220, 230)의 외면은 아우터 바디(300)의 내면과 이격된다. 따라서 결합부(120) 및 이너 바디(200)와 아우터 바디(300) 사이에 상기 통로(50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6과 같이 토출부(140)가 폐쇄된 상태일 때, 제1아우터 바디(310)의 돌출부(311)는 토출부(140)의 측부에 위치되고, 제1오링(101)과 제1아우터 바디(310)의 내면이 이격된다. 이로 인해 제1오링(101)과 제1아우터 바디(310)가 접촉되지 않아 상기 통로(500)가 개방된다. 이때 토출부(140)와 주입구멍(51a) 사이에 음료가 잔류되어 있다면, 잔류 음료가 개방된 통로(500)를 통해 배출부로 유도되어 노즐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어 노즐을 청결하게 할 수 있다.
반면, 도 7과 같이 토출부(140)가 개방된 상태일 때, 제1아우터 바디(310)의 돌출부(311)는 제1결합부(121)의 측부에 위치된다. 이로 인해 돌출부(311)가 제1오링(101)을 누르면서 제1오링(101)과 접촉되어 상기 통로(500)가 폐쇄된다. 따라서 토출부(140)를 통해 토출된 음료가 결합부(120)와 아우터 바디(300)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바디의 상측에서부터 방지하므로 노즐을 청결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제1오링(101)과 제1아우터 바디(310)의 접촉부 또는 결합부(120)와 이너 바디(200)의 접촉부 사이로 음료가 유입되더라도, 유입된 음료는 상기 통로(500)를 통해 스프링 삽입부(237) 및 배수홀(236)로 유도된 후 아우터 바디(300)와 음료 주입장치 사이의 상기 틈새를 통해 노즐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어 노즐을 청결하게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노즐이 적용된 음료 주입장치를 이용하여 음료 용기(50)에 음료를 주입시키는 실시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노즐은 음료 주입장치의 토출관(11)을 둘러싸도록 음료 주입장치의 본체(10)에 장착된다.
도 6과 같이 노즐에 음료 용기(50)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일 때, 아우터 바디(300)와 리턴 스프링(400)은 하측 방향의 힘을 받지 않고 있으며 리턴 스프링(400)의 탄성력이 이너 바디(200)와 아우터 바디(300)에 작용한다. 이때 아우터 바디(300)는 리턴 스프링(400)의 탄성력에 의해 상측으로 밀려나 헤드(100)에 걸린 상태가 되어 토출부(140)를 가리므로, 토출부(140)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음료 용기(50)를 노즐의 장착부(323)에 장착시키면, 도 7과 같이 음료 용기(50)의 무게가 바디에 가해져 리턴 스프링(400)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리턴 스프링(400)이 상하방향으로 압축되므로, 아우터 바디(300)는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제1아우터 바디(310)에 의해 폐쇄되어 있던 토출부(140)가 개방된다.
또한, 덮개부(110)는 상기 용기 밸브(53) 내에 삽입되며, 덮개부(110)는 주입구멍(51a)보다 상측에 위치된다.
개방된 토출부(140)는 상기 음료 용기(50)의 상기 주입구멍(51a)과 연통되고, 상기 주입구멍(51a)은 상기 용기 본체(10)의 음료 수용부(331)(도면 부호 미도시)와 연통된다.
한편, 아우터 바디(300)와 마찬가지로 리턴 스프링(400)의 탄성력이 작용하는 이너 바디(200)는 하측이 음료 주입장치에 막혀 있으므로 아우터 바디(300)와 달리 이동하지 않는다.
도 7의 상태에서 상기 음료 주입장치를 조작하면 상기 음료 주입장치의 공급 수단(도면 부호 미도시)을 통해 음료가 상기 토출관(11), 토출부(140), 주입구멍(51a)을 차례대로 통과한 후 상기 음료 수용부(331)로 주입될 수 있다. 이때 토출관(11)을 통해 상방으로 올라온 음료는 상측이 덮개부(110)에 막혀 있으므로 개방된 토출부(140) 측, 즉 측부로 진행 방향이 변경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노즐을 하부 주입용 음료 주입장치와 음료 용기(50)에 적용 및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00 : 헤드 101 : 제1오링
110 : 덮개부 120 : 결합부
140 : 토출부 150 : 연결대
200 : 이너 바디 201 : 제2오링
210 : 제1이너 바디 220 : 제2이너 바디
230 : 제3이너 바디 235 : 돌기
236 : 배수홀 237 : 스프링 삽입부
300 : 아우터 바디 301 : 제3오링
310 : 제1아우터 바디 311 : 돌출부
320 : 제2아우터 바디 323 : 장착부
330 : 제3아우터 바디 331 : 수용부
400 : 리턴 스프링 500 : 통로
10 : 음료 주입장치 11 : 토출관
13 : 브라켓 50 : 음료 용기
51 : 주입구 51a : 주입구멍
53 : 밸브

Claims (8)

  1. 음료 주입장치에 구비되어 음료를 토출하는 노즐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음료 주입장치와 결합되는 이너 바디와, 상기 이너 바디와 결합되는 아우터 바디를 포함하는 바디;
    상기 음료 주입장치와 결합되며 토출부가 형성되는 헤드;
    상기 이너 바디와 상기 아우터 바디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토출부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상기 바디에 탄성력을 가하는 리턴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아우터 바디에는 음료 용기 장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장착부의 하측에 상기 리턴 스프링이 위치되는 음료 주입장치용 노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헤드는 상기 바디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의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음료 주입장치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토출부는 상기 덮개부와 상기 결합부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리턴 스프링이 변형되어 상기 바디가 이동하면 상기 바디와 상기 덮개부가 이격되어 상기 토출부가 개방되는 음료 주입장치용 노즐
  3. 삭제
  4. 삭제
  5. 음료 주입장치에 구비되어 음료를 토출하는 노즐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음료 주입장치와 결합되는 이너 바디와, 상기 이너 바디와 결합되는 아우터 바디를 포함하는 바디;
    상기 음료 주입장치와 결합되며 토출부가 형성되는 헤드;
    상기 이너 바디와 상기 아우터 바디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토출부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상기 바디에 탄성력을 가하는 리턴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이너 바디에는 상기 리턴 스프링이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와 연통된 배수홀이 형성되는 음료 주입장치용 노즐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헤드의 결합부는 상기 이너 바디와 결합되고,
    상기 아우터 바디는 상기 헤드와 상기 이너 바디의 외측에 위치되며,
    상기 헤드와 상기 이너 바디는 상기 아우터 바디와 이격되어 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통로는 상기 토출부와, 상기 삽입부에 연통되는 음료 주입장치용 노즐
  7. 음료 주입장치에 구비되어 음료를 토출하는 노즐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음료 주입장치와 결합되는 이너 바디와, 상기 이너 바디와 결합되는 아우터 바디를 포함하는 바디;
    상기 음료 주입장치와 결합되며 토출부가 형성되는 헤드;
    상기 이너 바디와 상기 아우터 바디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토출부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상기 바디에 탄성력을 가하는 리턴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헤드는 상기 바디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의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음료 주입장치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토출부는 상기 덮개부와 상기 결합부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아우터 바디는 상기 헤드의 결합부와 상기 이너 바디의 외측에 위치되며,
    상기 헤드의 결합부와 상기 아우터 바디 사이가 이격되어 상기 토출부와 연통된 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통로에 제1오링이 설치되고,
    상기 토출부가 개방되도록 상기 아우터 바디가 이동하면 상기 아우터 바디에 형성된 돌출부가 상기 제1오링과 접촉되어 상기 통로가 폐쇄되는 음료 주입장치용 노즐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바디의 외측에는 음료 용기 장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장착부에 제2오링이 설치되며,
    상기 이너 바디와 상기 음료 주입장치 사이에 제3오링이 설치되는 음료 주입장치용 노즐
KR1020180110902A 2018-09-17 2018-09-17 음료 주입장치용 노즐 KR1021287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0902A KR102128726B1 (ko) 2018-09-17 2018-09-17 음료 주입장치용 노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0902A KR102128726B1 (ko) 2018-09-17 2018-09-17 음료 주입장치용 노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1876A KR20200031876A (ko) 2020-03-25
KR102128726B1 true KR102128726B1 (ko) 2020-07-02

Family

ID=70001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0902A KR102128726B1 (ko) 2018-09-17 2018-09-17 음료 주입장치용 노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872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11461A1 (en) 2005-11-21 2012-08-23 David Mitchell Windmiller Bottom fillable bottles and systems for charging the same
KR101498251B1 (ko) * 2014-05-26 2015-03-09 (주)제이알피코퍼레이션 바닥을 통해 음료 주입이 이루어지는 음료 용기
KR101802358B1 (ko) * 2016-03-07 2017-11-28 엔피씨(주) 음료 용기 및 음료 용기용 코어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5948B1 (ko) * 2011-07-26 2013-05-21 (주)연우 펌핑식 화장품 용기
KR200482767Y1 (ko) 2014-12-01 2017-03-07 (주)제이알피코퍼레이션 음료가 바닥에서 주입되는 음료 용기를 위한 음료 주입 장치
KR101783349B1 (ko) 2016-08-02 2017-10-10 엔피씨(주) 음료 용기 및 하부 주입 음료 용기용 밸브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11461A1 (en) 2005-11-21 2012-08-23 David Mitchell Windmiller Bottom fillable bottles and systems for charging the same
KR101498251B1 (ko) * 2014-05-26 2015-03-09 (주)제이알피코퍼레이션 바닥을 통해 음료 주입이 이루어지는 음료 용기
KR101802358B1 (ko) * 2016-03-07 2017-11-28 엔피씨(주) 음료 용기 및 음료 용기용 코어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1876A (ko) 2020-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14686A1 (en) Bottled water station
KR101241344B1 (ko) 분사 시스템용 분사 라인과 이에 이용되는 추출기 튜브와 음료 분사용 분사 시스템 및 분사 시스템용 분사 라인을 이용한 방법
US4882983A (en) Appliance for brewing coffee/tea
KR101783349B1 (ko) 음료 용기 및 하부 주입 음료 용기용 밸브
OA12676A (en) Valve aassembly for use in dispensing beverage.
US6702159B2 (en) Pouring spout for sparkling beverages
KR200482767Y1 (ko) 음료가 바닥에서 주입되는 음료 용기를 위한 음료 주입 장치
KR102128726B1 (ko) 음료 주입장치용 노즐
KR101534148B1 (ko) 맥주의 가스터짐 및 비어스톤 생성 방지 장치
TW200302068A (en) Inner plug of a container for holding beverage
KR102206826B1 (ko) 음료 주입장치용 노즐
JP3822352B2 (ja) 正倒立両用の液体噴出器
US20150068619A1 (en) Device and method for preventing the overflow of a fluid reservoir
CN211242916U (zh) 一种冷热饮机出料装置
JP2000255696A (ja) 発泡飲料供給装置用泡遮断器
KR102259882B1 (ko) 음료 주입용 디스펜서 및 그 제어방법
JP3927345B2 (ja) 発泡飲料注出コック
AU6302298A (en) Liquid-foaming insert
TW200800787A (en) Draw-off valve for a drinks reservoir, as well as a drinks reservoir provided with a draw-off valve of this type
JPH092590A (ja) 泡出し機能付きタップ
CN214890530U (zh) 一次性管
KR102078690B1 (ko) 충진 노즐
KR102126025B1 (ko) 충진 노즐
JP4268306B2 (ja) 給液遮断弁
JP3373165B2 (ja) 液溜まり防止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