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2358B1 - 음료 용기 및 음료 용기용 코어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음료 용기 및 음료 용기용 코어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2358B1
KR101802358B1 KR1020160026805A KR20160026805A KR101802358B1 KR 101802358 B1 KR101802358 B1 KR 101802358B1 KR 1020160026805 A KR1020160026805 A KR 1020160026805A KR 20160026805 A KR20160026805 A KR 20160026805A KR 101802358 B1 KR101802358 B1 KR 101802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assembly
core
protrusion
beverage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6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4170A (ko
Inventor
송인환
Original Assignee
엔피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피씨(주) filed Critical 엔피씨(주)
Priority to KR1020160026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2358B1/ko
Priority to PCT/KR2016/004883 priority patent/WO2017155153A1/ko
Publication of KR20170104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4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2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2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13/00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06/00Special receptacle or pack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 용기 및 음료 용기용 코어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코어 어셈블리에는 바디부와 상기 코어 어셈블리가 분리되도록 하는 절취부가 형성되어, 상기 바디부에 견고하게 설치된 상기 코어 어셈블리를 절취부를 통해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어서, 상기 코어 어셈블리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음료 용기 및 음료 용기용 코어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음료 용기 및 음료 용기용 코어 어셈블리{BOTTLE FOR BEVERAGE AND CORE ASSEMBLY OF BOTTLE FOR BEVERAGE}
본 발명은 음료 용기 및 음료 용기용 코어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코어 어셈블리에는 바디부와 상기 코어 어셈블리가 분리되도록 하는 절취부가 형성되는 음료 용기 및 음료 용기용 코어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거품이 형성되는 음료가 수용되는 용기로써, 일례로 가장 보편화되어 사용되는 맥주잔은 투명한 재질의 유리 또는 합성수지 제품으로 이루어지며, 한 번에 비교적 많은 양을 따라 마시게 되므로, 통상적으로 500cc, 1000cc의 맥주를 담아 마실 수 있는 맥주잔이 널리 사용된다.
상기 종래의 맥주잔은 하부 바닥이 차단되고, 상부가 개구되어 상측 개구부를 통해 음료가 주입되도록 구성된다.
음료 공급 장치를 통해 공급되는 생맥주 등의 음료는 다른음료에 비하여 맥주를 상부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따르게 됨에 따라 주입 압력에 의하여 맥주 거품이 많은 양의 거품이 발생 되는바, 맥주잔 등의 용기에 음료를 주입한 후 거품을 일일이 제거해주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었다.
따라서 기존의 생맥주 공급장치로 음료 용기에 생맥주를 공급할 때, 주로 상측에서 공급하므로 온도가 맞지 않는 경우 거품이 다량 발생하여 흘러 내려 의복을 젖게 하거나 위생상 좋지 않았으며, 너무 많은 거품으로 인해 생맥주 맛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지금까지의 맥주잔은 맥주를 따를 때 맥주가 공기와의 접촉으로 인해 산화되면서 맛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현상은 생맥주를 마시는 경우, 더 심하게 나타나게 되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음료 용기의 저면에 구멍을 형성하고 생맥주를 공급하는 경우 생맥주 거품을 적절하게 유지할 수는 있으나, 이 방법을 적용하려고 하여도 생맥주를 음료 용기 바닥 구멍으로 주입한 후, 구멍을 밀봉하는 방법이 적절하지 않아 채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수 있는 음료 용기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써,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43382호(2013.03.07.) "음료컵 주입구 차단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이하 종래기술1이라 함.)이 있는데, 상기 종래 기술1은 음료컵의 바닥 내외부로 관통 형성되고, 음료 공급 장치의 노즐을 통해 음료컵 내부에 음료를 공급하는 주입구와, 음료컵의 바닥 외면과 바닥내면에 각각 마련되고, 음료 공급 장치의 노즐을 통해 음료가 강제 주입된 후 주입구를 밀봉하도록 자력 부착되는 자력차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종래 기술1은 주입구가 개방된 상태에서 음료 주입이 완료되면 자력을 통해 자력차단부가 주입구를 폐쇄시켜 음료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1은 자력을 갖는 금속 재질의 자력차단부가 사용됨에 따라 음료가 자력차단부에 접촉하기 쉽고, 이러한 접촉은 음료컵을 장기간 사용할경우 녹이 스는 등 음료를 변질시킬 위험성을 매우 크게 내포하고 있는바 사람이 직접 음용하는 음료 용기로써 위생 관리 및 인체에 무해한 용기로써 실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1은 컵 본체와 주입구가 형성된 바닥이 일체로 형성되어, 주입구나 차단장치가 오염될 경우 컵 전체를 버려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로써, 미국특허 제8827106호(이하 종래기술2라 함)가 있는데, 종래기술2는 바디부에 주입구가 형성된 베이스 어셈블리가 나사결합을 통해 탈착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이 베이스 어셈블리를 회전시켜서 조립하는 방식은 사용자가 조립시키기에 불편함이 있으며 나사산을 형성할 경우 바디부와 베이스 어셈블리의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243382호 미국특허공보 제8827106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코어 어셈블리가 바디부에 견고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는 음료 용기 및 음료 용기용 코어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음료 용기는, 바디부와, 주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주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코어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코어 어셈블리에는 상기 바디부와 상기 코어 어셈블리가 분리되도록 하는 절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디부는 상기 코어 어셈블리에 억지끼움될 수 있다.
상기 바디부의 외주면과 상기 코어 어셈블리의 내주면 중 하나에는 끼움돌기가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끼움돌기가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취부의 끝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취부의 끝단 양측 또는 일측에는 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취부의 양측 또는 일측에는 근접한 다른 부분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된 절취선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부의 외주면과 상기 코어 어셈블리의 내주면 중 하나에는 끼움돌기가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끼움돌기가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되며, 상기 절취부는 상기 끼움돌기 또는 상기 끼움홈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되며, 상기 절취부의 내주면에도 상기 끼움돌기 또는 상기 끼움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부와 상기 코어 어셈블리 사이에는 실링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바디부는 병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어 어셈블리의 외측에는 보관시 근접한 코어 어셈블리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음료 용기용 코어 어셈블리는, 주입구가 형성된 코어본체와, 상기 주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코어본체에는 용기 바디부의 하부에 체결되는 체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코어본체에는 상기 체결부의 체결이 해제되도록 하는 절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음료 용기 및 음료 용기용 코어 어셈블리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코어 어셈블리에는 바디부와 상기 코어 어셈블리가 분리되도록 하는 절취부가 형성되어, 상기 바디부에 견고하게 설치된 상기 코어 어셈블리를 절취부를 통해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어서, 상기 코어 어셈블리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따라서, 구조가 단순하고 큰 부피를 차지하는 바디부는 다회 사용가능하며, 구조가 복잡하여 세척에 어려움이 있으며 상대적으로 작은 부피를 차지하는 코어 어셈블리는 일회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절취부의 절취 여부를 통해 사용자가 용이하게 코어 어셈블리의 사용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사용 편의성이 더욱 향상된다.
상기 바디부는 상기 코어 어셈블리에 억지끼움되어, 상기 바디부와 상기 코어 어셈블리의 결합이 더욱 견고하게 될 수 있다.
상기 바디부의 외주면과 상기 코어 어셈블리의 내주면 중 하나에는 끼움돌기가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끼움돌기가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되어, 체결부의 성형이 더욱 용이하게 될 수 있어서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조립시 상기 바디부를 상기 코어 어셈블리를 향해 밀어넣기만 하면 되므로 조립도 단순하고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절취부의 끝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절취부를 잡을 수 있다.
상기 절취부의 끝단 양측 또는 일측에는 절개부가 형성되어, 절취가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절취부의 양측 또는 일측에는 근접한 다른 부분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된 절취선이 형성되어, 절취가 더욱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상기 바디부의 외주면과 상기 코어 어셈블리의 내주면 중 하나에는 끼움돌기가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끼움돌기가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되며, 상기 절취부는 상기 끼움돌기 또는 상기 끼움홈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되며, 상기 절취부의 내주면에도 상기 끼움돌기 또는 상기 끼움홈이 형성되어, 절취후에 상기 바디부로부터 상기 코어 어셈블리를 더욱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와 상기 코어 어셈블리 사이에는 실링부재가 배치되어, 상기 바디부와 상기 코어 어셈블리 사이에 실링이 더욱 효과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바디부는 병모양으로 형성되어, 용기의 외관이 더욱 미려해지며, 주점이나 식당에서 더욱 용이하게 서빙할 수 있으며, 테이크아웃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코어 어셈블리의 외측에는 보관시 근접한 코어 어셈블리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상기 코어 어셈블리를 용이하게 적층하여 보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의 바디부와 코어 어셈블리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 분리 저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용 코어 어셈블리 분리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용 코어 어셈블리 보관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 단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재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 단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용 코어 어셈블리 저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 저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에 음료를 주입하기 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에 음료를 주입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의 절취부를 절취하여 바디부로부터 코어 어셈블리를 분리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음료 용기는, 바디부(100)와, 주입구(1111)가 형성되며, 상기 주입구(1111)를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부(100)의 하부에 설치되는 코어 어셈블리(1000)를 포함하며, 상기 코어 어셈블리(1000)에는 상기 바디부(100)와 상기 코어 어셈블리(1000)가 분리되도록 하는 절취부(114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100)는 하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상부에 음료를 마시거나 따를 수 있는 구연부(130)가 형성된다. 즉, 바디부(100)에 형성된 음료가 담기는 수용부는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바디부(100)는 바디 본체(110)와, 바디 본체(110) 상부에 형성되는 목부(120)와, 목부(120)의 상부에 형성되는 구연부(130)를 포함한다. 바디부(100)는 일체로 형성된다.
목부(120) 및 구연부(130)는 바디 본체(110)보다 외경 및 내경이 작도록 형성된다.
즉, 바디부(100)는 병모양으로 형성되어, 용기의 외관이 더욱 미려해지며, 주점이나 식당에서 더욱 용이하게 서빙할 수 있으며, 테이크아웃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바디 본체(110)와 목부(120)의 연결부분은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상부로 향할수록 외경이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다르게, 바디부(100)는 컵모양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바디 본체(110)의 하부에는 코어 어셈블리(1000)에 끼워지는 끼움부(111)가 단차지게 형성된다. 끼움부(111)의 외경은 근접한 바디 본체(110)의 외경보다 작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끼움부(111)가 단차지게 형성되어, 조립 완료시 코어 어셈블리(1000)의 상단이 단차진 부분에 걸리게 되어 조립완료 여부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조립이 완료되면 바디부(100)와 코어 어셈블리(1000)의 외주면이 연속되게 되어 외관이 더욱 미려하게 되며, 바디부(100)와 코어 어셈블리(1000) 사이에 이물질이 끼는 것이 최소화 된다.
끼움부(111)의 하부 외주면의 온 둘레에는 끼움홈(112)이 형성된다.
또한, 끼움부(111)의 하부 외주면의 온 둘레에는 실링부재(150)가 끼워지는 실링부재 끼움홈이 형성된다. 상기 실링부재 끼움홈은 끼움홈(112)의 하부에 배치된다.
이로 인해 바디부(100)와 코어 어셈블리(1000) 사이에는 실링부재(150)가 배치된다. 따라서, 바디부(100)와 코어 어셈블리(1000) 사이에 실링이 더욱 효과적으로 될 수 있다.
또한, 실링부재(150)가 끼움홈(112)의 하부에 배치되어 용기에 채워지는 내용물이 끼움홈(112)에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어 바디부(100)를 세척하기에 더욱 용이해진다.
실링부재(150)는 오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코어 어셈블리(1000)는 바디부(100)의 하부에 설치된다.
코어 어셈블리(1000)와 바디부(100)는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바디부(100)는 여러번 세척해서 사용해도 세균 번식이 쉽게 되지 않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코어 어셈블리(1000)와 바디부(100)는 서로 다른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디부(100)는 코어 어셈블리(1000)보다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 어셈블리(1000)는 주입구(1111)가 형성된 코어본체(1100)와, 상기 주입구(1111)를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한다.
코어본체(1100)는 주입구(1111)가 형성된 코어 바닥면(1110)과, 코어 바닥면(1110)을 둘러싸는 코어 측벽(1120)을 포함한다.
코어 바닥면(1110)의 중심부에 상부로 돌출된 융기부(1113)가 형성된다. 융기부(1113)는 코어 측벽(1120)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따라서, 융기부(1113)와 코어 측벽(1120)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융기부(1113)의 중심에는 주입구(1111)가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융기부(1113)로 인해, 주입구(1111)에 설치되는 이하 서술되는 개폐부재의 홀더(200) 하단이 코어 바닥면(1110)의 최하단보다 높게 배치되어, 음료 용기를 바닥에 놓았을 때 상기 개폐부재가 바닥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개폐부재를 더욱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융기부(1113)의 상면에는 주입구(1111)를 둘러싸도록 홈(1112)이 형성된다. 홈(1112)은 융기부(1113)의 상면 외측단이 아래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홈(1112)은 주입구(1111)와 외측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또한, 융기부(1113)의 중심부에는 주입구(1111)를 둘러싸는 둘레부가 하부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둘레부는 이하 서술되는 상기 개폐부재의 홀더(200)의 승강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여, 홀더(200)의 승강이동이 더욱 원활하게 될 수 있다.
나아가, 융기부(1113)의 하부에는 상기 둘레부와 홈(1112) 사이에 수용홈(1114)이 형성된다.
수용홈(1114)은 링형상으로 형성된다.
수용홈(1114)은 주입구(1111)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코어 어셈블리(1000)의 외측에는 보관시 근접한 코어 어셈블리(1000)의 코어 측벽(1120)의 상단이 안착되는 안착홈(1122)이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코어 측벽(1120)과 코어 바닥면(1110)을 연결하는 모서리 부분이 내측으로 함몰되어 안착홈(1122)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안착홈(1122)으로 인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 어셈블리(1000)를 용이하게 상하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적층하여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코어 어셈블리(1000)와 바디부(100)를 조립할 때 조립 완료시 바디부(100)의 하단이 안착홈(1122)이 형성된 부분의 내벽에 걸리게 되어 조립이 더욱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코어 측벽(1120) 내부에는 바디부(100)의 끼움부(111)가 끼워진다.
코어 측벽(1120)은 내측에 바디부(100)의 하부에 체결되는 체결부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는 코어 측벽(1120)의 내주면의 온둘레를 따라 형성된 끼움돌기(1121)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상기 체결부의 성형이 더욱 용이하게 될 수 있어서 생산성이 향상된다.
전술한 바와 다르게, 바디부(100)에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코어 어셈블리에 끼움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끼움돌기(1121)는 코어 측벽(1120)의 상단보다 하단에 더 근접하되, 코어 측벽(1120)의 하단으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된다.
조립시 끼움돌기(1121)는 바디부(100)의 끼움홈(112)에 끼워진다. 이와 같이, 바디부(100)와 코어 어셈블리(1000)는 억지끼움되어 체결된다. 이로 인해, 바디부(100)와 코어 어셈블리(1000)의 결합이 더욱 견고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조립시에 바디부(100)를 코어 어셈블리(1000)를 향해 밀어넣기만 하면 되므로 조립도 단순하고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코어 측벽(1120)의 외주면에는 음료 공급장치의 그리퍼가 걸리는 걸림 돌기(1123)가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이러한 음료 공급장치의 그리퍼는 한국특허출원 제10-2015-0065776호 등에 나타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걸림 돌기(1123)는 코어 측벽(1120) 하부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은 코어 측벽(1120)의 폭방향 두께가 걸림 돌기(1123)를 향할수록 점점 커지도록 형성된다. 즉, 걸림 돌기(1123)는 후크 형상으로 형성된다.
걸림 돌기(1123)의 높이는 끼움돌기(1121)의 높이보다 높다.
걸림 돌기(1123)는 코어 측벽(1120)의 둘레 일부에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걸림 돌기(1123)는 이하 서술되는 절취부(1140)의 외주면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그리퍼에 절취부(1140)는 걸리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음료 주입을 완료한 후에 음료 공급장치로부터 음료 용기를 이탈시킬 때 절취부(140)가 절취되는 것이 방지된다.
코어본체(1100)의 코어 측벽(1120)에는 상기 체결부의 체결이 해제되도록 하는 절취부(1140)가 형성된다.
따라서, 절취부(1140)를 절취하면 바디부(100)와 코어 어셈블리(1000)는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바디부(100)에 견고하게 설치된 코어 어셈블리(1000)를 절취부(1140)를 통해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어서, 코어 어셈블리(1000)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따라서, 구조가 단순하고 큰 부피를 차지하는 바디부(100)는 다회 사용가능하며, 구조가 복잡하여 세척에 어려움이 있으며 상대적으로 작은 부피를 차지하는 코어 어셈블리(1000)는 일회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절취부(1140)는 코어 측벽(1120)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두개의 절취부(1140)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절취부(1140)의 외주면은 밋밋하게 형성된다.
절취부(1140)는 끼움돌기(1121)를 가로지르도록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즉, 절취부(1140)는 코어 측벽(1120) 일측을 상하방향으로 절개하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절취후에 바디부(100)로부터 코어 어셈블리(1000)를 더욱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절취부(1140)의 내주면에도 끼움돌기(1121)가 형성된다.
절취부(1140)의 상부 끝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1141)가 형성된다. 돌출부(1141)는 외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돌출부(1141)는 손잡이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용이하게 절취부(1140)를 잡을 수 있다.
또한, 돌출부(1141)는 걸림 돌기(1123)보다 높게 배치된다. 따라서, 음료 용기를 음료 공급장치에 연결하거나 분리할때 돌출부(1141)로 인해 방해되지 않게 된다.
절취부(1140)의 끝단 양측 또는 일측에는 절개부(1142)가 형성되어, 절취가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절개부(1142)가 절취부(1140)의 상부 양쪽에 각각 형성된다.
절개부(1142)는 끼움돌기(1121) 상부까지 형성된다.
또한, 절취부(1140)의 양측 또는 일측에는 근접한 다른 부분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된 절취선(1143)이 형성되어, 절취가 더욱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절취선(1143)이 절취부(1140)의 하부 양쪽에 각각 형성된다. 절취선(1143)은 절개부(1142)의 하부에 형성된다.
절취선(1143)은 절취부(1140)의 하부 양쪽에 상하방향으로 노치가 형성되어 형성된다.
절취선(1143)의 하단은 실링부재(150)보다 하부에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절취부(1140)의 하단은 코어 바닥면(1110)에 연결된다. 따라서, 절취부(1140)를 절취한 후에도 절취부(1140)가 코어 바닥면(1110)에 붙어 있게 되어 사용된 코어 어셈블리(1000)를 폐기하기에 더욱 용이해진다.
상기 개폐부재는 주입구(1111)를 개폐하는 홀더(200)와, 홀더(200)와 코어 본체(1100) 사이에 배치되어 주입구(1111)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홀더(200)를 탄성 지지하는 락킹부재(400)를 포함한다.
홀더(200)는 주입구(1111)를 덮는 원판형상의 덮개부(210)와, 덮개부(210) 하부에 형성되며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홀더측벽부(220)를 포함한다.
덮개부(210)는 수평하게 배치되며, 주입구(1111)보다 단면적이 큰 원형으로 형성된다.
덮개부(210) 중앙 부분에는 상부로 돌출된 덮개돌출부(211)가 형성된다.
덮개돌출부(211)는 상부로 향할수록 외경이 작아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덮개돌출부(211)의 최대외경은 홀더측벽부(220)와 유사 또는 동일하도록 형성된다.
코어 어셈블리(1000)를 상하방향으로 적층하여 보관할 때 덮개돌출부(211)에는 상부에 배치되는(근접한) 코어 어셈블리(1000)의 홀더(200)의 홀더 측벽부(220)가 삽입되어 적층이 더욱 안정적이고 원활하게 될 수 있으며, 홀더(200)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덮개돌출부(211)의 상부 중심부에는 상부가 개방된 덮개홈(212)이 형성된다.
이러한 덮개홈(212)은 홀더(200)와 락킹부재(400)를 조립할 때 손가락 등이 안착되는 홈 역할을 하여 조립이 더욱 원활하게 될 수 있다. 또는, 이러한 덮개홈(212)에 광고 문구나 문양이 새겨진 원판을 끼워넣을 수 있게 되어 광고효과를 줄 수도 있다.
또한, 덮개부(210)의 하면에는 홀더측벽부(220)로부터 이격되게 패킹부재 안착홈이 온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홀더측벽부(220)는 주입구(1111)에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며, 상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주입구멍(221)이 형성된다. 주입구멍(221)은 홀더(200)가 상부로 이동되었을 때 바디부(100) 내부에 연통된다.
본 실시예의 음료 용기는 홀더(200)와 주입구(1111)가 형성된 면인 코어 바닥면(1110) 사이에 배치되는 패킹부재(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패킹부재(300)는 상면이 홀더(200)의 덮개부(210) 하면에 설치된다. 패킹부재(300)는 상기 패킹부재 안착홈에 안착된다.
패킹부재(300)는 링형상으로 형성된 후육부(310)와, 후육부(310)의 내주면에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박육부(320)를 포함한다.
후육부(310)는 수직 단면형상이 상면은 평탄하고 하면은 아래로 향할수록 수직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된다.
후육부(310)는 하단에 온 둘레를 따라 미세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미세돌기는 두개가 형성되고, 내측과 외측에 방사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와 같은 미세돌기로 인해 실링은 효과적으로 되는 동시에 패킹부재(300)가 코어 바닥면(1110)에 부착되는 것이 방지되어 홀더(200)의 승강이동이 원활하게 될 수 있다.
후육부(310) 하부는 코어 바닥면(1110)에 형성된 홈(1112)에 삽입된다.
박육부(320)는 후육부(310)보다 상하방향 두께가 얇게 형성된다. 박육부(320)는 후육부(310) 내측에 배치된다.
박육부(320)의 하면은 후육부(310)의 하면보다 상부에 배치된다.
박육부(320)의 하부는 코어 바닥면(1110)의 융기부(1113) 상부에 배치된다.
박육부(320)는 홈(1112)과 주입구(1111)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박육부(320)는 후육부(310)와 주입구(1111) 사이의 공간을 채워줘서, 잔여 음료가 고이는 공간이 최소화될 수 있다. 따라서, 음료 주입을 완료시킨 후에 빈 공간에 있던 음료가 주입구(1111) 쪽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박육부(320)는 여러개 형성되며, 여러개의 박육부(320)는 서로 이격되게 후육부(310) 내주면을 따라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박육부(320)는 4개 구비된다.
박육부(320)는 후육부(310)의 내주면에 연결되는 연결부(321)와, 연결부(321)의 내측끝단에 원호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되는 굴곡부(322)를 포함한다. 굴곡부(322)는 주입구(1111)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굴곡부(322)의 외주면과 후육부(310)의 내주면 사이에는 이격공간이 형성된다.
박육부(320)의 하단의 높이는 주입구멍(221)의 상단의 높이보다 높거나 동일 또는 유사하다.
후육부(310)의 하단의 높이는 주입구멍(221)의 상단의 높이보다 낮다.
락킹부재(400)는 제1부재(410)와, 제1부재(410)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부재(430)와, 제1부재(410)와 제2부재(430)를 연결하며 탄성변형되는 탄성암(420)을 포함한다.
제1,2부재(410, 430)는 링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2부재(410, 430)는 서로 다른 직경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부재(410)는 제2부재(430)보다 더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제1,2부재(410, 430) 중 하나는 홀더(200)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부재(410)보다 하부에 배치된 제2부재(430)가 홀더(200)에 결합된다.
홀더(200)와 락킹부재(400)는 후크를 통해 결합된다.
홀더(200)의 홀더측벽부(220) 하부에는 제1후크돌기(230)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1후크돌기(230)는 4개가 형성되고, 서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제1후크돌기(230)는 서로 연결되어 홀더(200)의 내구성이 더욱 향상된다. 홀더(200)의 홀더측벽부(220)의 외주면에는 이하 서술되는 제2후크돌기(431)가 삽입되는 제2후크돌기삽입홈이 온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상기 제2후크돌기삽입홈은 제1후크돌기(230) 상부에 배치된다.
제2부재(430)에는 내측에 제2후크돌기(431)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2후크돌기(431)는 제2부재(430)의 내주면을 따라 온둘레에 형성된다.
제2후크돌기(431)는 제1후크돌기(230)에 걸려서 홀더(200)와 락킹부재(400)는 서로 결합된다.
제1부재(410)는 코어 바닥면(1110)의 저면에 밀착된다. 상세하게는, 제1부재(410)는 홈(1112) 하부에 배치된다.
제1부재(410)의 하면에는 반구형상의 돌기(411)가 아래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돌기(411)는 제1부재(41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돌기(411)는 사출 초기의 식은 수지를 모아 놓는 기능을 할 수 있다.
탄성암(420)은 여러개 형성되며, 여러개의 탄성암(420)은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탄성암(420)은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부분(421)과, 제1부분(421)의 상단에 경사지게 절곡되어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부분(422)과, 제2부분(422)의 상단에 상부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3부분(423)을 포함한다.
제1부분(421)은 제2부재(430)의 외주면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3부분(423)은 제1부재(410)의 내주면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탄성암(420)은 일체로 형성된다.
탄성암(420)은 접힐 때 수용홈(1114)에 수용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코어 어셈블리 조립방법은 다음과 같다.
코어 본체(1100)의 주입구(1111)에 패킹부재(300)가 설치된 홀더(200)를 상부에서 끼워넣고, 하부에서 락킹부재(400)를 밀어넣으면 제1후크돌기(230)와 제2후크돌기(431)가 서로 걸려서 조립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조립이 아주 단순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락킹부재(400)를 밀어넣을 때 제1부재(410)의 직경이 제2부재(430)의 직경보다 커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음료 공급 장치의 노즐(500)은 상부가 막힌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노즐(500)은 축경부와, 상기 축경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확경부를 포함한다.
노즐(500)의 축경부는 홀더(200)의 홀더측벽부(220)에 삽입된다.
노즐(500)의 축경부의 상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배출부(501)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배출부(501)는 복수개(예를 들어 3개) 구비되며, 복수개의 배출부(501)는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음료가 배출되는 배출부(501)는 주입구멍(221)에 연통된다.
노즐(500)은 외주면에 실링부재가 설치된다. 상기 실링부재는 노즐(500)의 배출부(501)보다 하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음료 용기에 음료를 주입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음료 공급 장치의 노즐(500)이 음료 용기의 홀더측벽부(220)에 삽입되도록 상기 음료 용기를 아래로 밀어 넣는다. 이로 인해, 노즐(500)은 홀더측벽부(220)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음료 용기의 걸림 돌기(1123)는 음료 공급장치의 그리퍼의 걸림턱(미도시)에 걸린다.
또한, 노즐(500)이 홀더(200)의 홀더측벽부(220)에 삽입될 때 락킹부재(400) 및 홀더(200)는 노즐(500)에 의해 가압된다. 따라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킹부재(400)의 탄성암(420)은 탄성변형되어 접히게 되고, 홀더(200) 및 패킹부재(300)는 상승한다. 이로 인해, 주입구멍(221)은 바디부(100) 내부에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노즐(500)을 통해 주입되는 음료가 코어 바닥면(1110)을 통해 바디부(100)로 주입된다.
음료 주입이 끝나서 상기 음료 용기를 기울여서 빼내면 걸림 돌기(1123)는 걸림턱으로부터 빠져나오고 노즐(500)은 홀더(200)로부터 이탈된다. 이로 인해 탄성암(420)은 원상태로 복귀되어 제1부재(410)와 제2부재(430)의 사이 거리는 멀어지게 된다. 따라서, 제2부재(430)에 연결된 홀더(200)는 아래로 하강하게 된다. 이로 인해 주입구(1111)는 덮개부(210)로 막히게 된다. 또한, 홀더(200)가 하강됨에 따라 패킹부재(300)도 동시에 하강되어, 패킹부재(300)의 후육부(310)는 홈(1112)에 삽입되어, 실링이 더욱 효과적으로 된다. 따라서, 음료 용기에 주입된 음료는 주입구(1111)를 통해 외부로 누수되지 않게 된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코어 어셈블리를 교체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취부(1140)의 돌출부(1141)를 잡고 외측으로 당기면 절취선(1143) 부분이 절개되어 코어 측벽(1120)은 양쪽으로 벌어질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끼움돌기(1121)는 끼움홈(112)으로부터 쉽게 이탈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바디부(100)와 코어 어셈블리(1000)는 분리되게 된다. 이와 같이 단순한 동작으로 바디부(100)로부터 코어 어셈블리(1000)를 분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바디부 110 : 바디 본체
111 : 끼움부 112 : 끼움홈
120 : 목부 130 : 구연부
150 : 실링부재 200 : 홀더
300 : 패킹부재 400 : 락킹부재
1000 : 코어 어셈블리 1100 : 코어 본체
1110 : 코어 바닥면 1120 : 코어 측벽
1121 : 끼움돌기 1122 : 안착홈
1140 : 절취부 1141 : 돌출부
1142 : 절개부 1143 : 절취선

Claims (11)

  1. 바디부(100);
    주입구(1111)가 형성되며, 상기 주입구(1111)를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부(100)의 하부에 설치되는 코어 어셈블리(1000)를 포함하며;
    상기 코어 어셈블리(1000)에는 상기 바디부(100)와 상기 코어 어셈블리(1000)가 분리되도록 하는 절취부(1140)가 형성되며,
    상기 코어 어셈블리(1000)의 외주면에는 음료 공급장치가 걸리는 걸림 돌기(1123)가 둘레를 따라 일부에 형성되고,
    상기 절취부(1140)는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걸림 돌기(1123)는 상기 절취부(1140)의 외주면에는 형성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100)는 상기 코어 어셈블리(1000)에 억지끼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100)의 외주면과 상기 코어 어셈블리(1000)의 내주면 중 하나에는 끼움돌기(1121)가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끼움돌기(1121)가 끼워지는 끼움홈(11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부(1140)의 끝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114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부(1140)의 끝단 양측 또는 일측에는 절개부(114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부(1140)의 양측 또는 일측에는 근접한 다른 부분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된 절취선(114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100)의 외주면과 상기 코어 어셈블리(1000)의 내주면 중 하나에는 끼움돌기(1121)가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끼움돌기(1121)가 끼워지는 끼움홈(112)이 형성되며,
    상기 절취부(1140)는 상기 끼움돌기(1121) 또는 상기 끼움홈(112)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되며,
    상기 절취부(1140)의 내주면에도 상기 끼움돌기(1121) 또는 상기 끼움홈(11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
  8.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100)와 상기 코어 어셈블리(1000) 사이에는 실링부재(150)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
  9.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100)는 병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
  10.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어셈블리(1000)의 외측에는 보관시 근접한 코어 어셈블리(1000)가 안착되는 안착홈(112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
  11. 주입구(1111)가 형성된 코어본체(1100);
    상기 주입구(1111)를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코어본체(1100)에는 용기 바디부(100)의 하부에 체결되는 체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코어본체(1100)에는 상기 체결부의 체결이 해제되도록 하는 절취부(1140)가 형성되며,
    상기 코어본체(1100)의 외주면에는 음료 공급장치가 걸리는 걸림 돌기(1123)가 둘레를 따라 일부에 형성되고,
    상기 절취부(1140)는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걸림 돌기(1123)는 상기 절취부(1140)의 외주면에는 형성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용 코어 어셈블리.
KR1020160026805A 2016-03-07 2016-03-07 음료 용기 및 음료 용기용 코어 어셈블리 KR1018023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6805A KR101802358B1 (ko) 2016-03-07 2016-03-07 음료 용기 및 음료 용기용 코어 어셈블리
PCT/KR2016/004883 WO2017155153A1 (ko) 2016-03-07 2016-05-10 음료 용기 및 음료 용기용 코어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6805A KR101802358B1 (ko) 2016-03-07 2016-03-07 음료 용기 및 음료 용기용 코어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4170A KR20170104170A (ko) 2017-09-15
KR101802358B1 true KR101802358B1 (ko) 2017-11-28

Family

ID=59790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6805A KR101802358B1 (ko) 2016-03-07 2016-03-07 음료 용기 및 음료 용기용 코어 어셈블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02358B1 (ko)
WO (1) WO2017155153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1876A (ko) 2018-09-17 2020-03-25 엔피씨(주) 음료 주입장치용 노즐
KR20200119625A (ko) 2019-04-10 2020-10-20 엔피씨(주) 음료 주입장치용 노즐
USD1037788S1 (en) 2021-05-07 2024-08-06 Precise Flight, Inc. Cup holder assembl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9424Y1 (ko) 2006-10-19 2008-04-11 동진기업 주식회사 아이스크림 용기
US20080277020A1 (en) * 2004-11-21 2008-11-13 David Mitchell Windmiller Bottom Fillable Bottles and Systems for Charging the Same
KR101577386B1 (ko) 2015-05-20 2015-12-14 (주) 넥스인테크놀러지스 하부 주입형 음료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74783B2 (ja) * 1995-03-14 2002-04-15 雪印乳業株式会社 不正開封防止容器
GB0510057D0 (en) * 2005-05-17 2005-06-22 Glaxosmithkline Biolog Sa Novel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77020A1 (en) * 2004-11-21 2008-11-13 David Mitchell Windmiller Bottom Fillable Bottles and Systems for Charging the Same
KR200439424Y1 (ko) 2006-10-19 2008-04-11 동진기업 주식회사 아이스크림 용기
KR101577386B1 (ko) 2015-05-20 2015-12-14 (주) 넥스인테크놀러지스 하부 주입형 음료 용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1876A (ko) 2018-09-17 2020-03-25 엔피씨(주) 음료 주입장치용 노즐
KR102128726B1 (ko) * 2018-09-17 2020-07-02 엔피씨(주) 음료 주입장치용 노즐
KR20200119625A (ko) 2019-04-10 2020-10-20 엔피씨(주) 음료 주입장치용 노즐
USD1037788S1 (en) 2021-05-07 2024-08-06 Precise Flight, Inc. Cup holde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55153A1 (ko) 2017-09-14
KR20170104170A (ko) 2017-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1252B1 (ko) 음료 공급 장치 어셈블리
US11518585B2 (en) Closure and lid and method of forming closure and lid
US10285522B2 (en) Travel vessel for beverages
US6752287B1 (en) Splash-proof beverage lid slide closure
US6763964B1 (en) One hand openable lid for beverage container
US9016518B2 (en) Beverage dispensing flow control device and method thereof
EP3257758B1 (en) Fluid contain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drinking container
CA2539778C (en) Reusable-bottle stopper
US20170066573A1 (en) Lid assemblies for hot beverage drinking vessels and hot beverage drinking vessels including the same
US8393487B1 (en) Hygienic twist lid for insulated beverage container
KR101802358B1 (ko) 음료 용기 및 음료 용기용 코어 어셈블리
KR101783349B1 (ko) 음료 용기 및 하부 주입 음료 용기용 밸브
WO2006028726A2 (en) Spill-resistant container
CN102459023B (zh) 防漏饮用杯和用于该防漏饮用杯的隔片
US6719134B2 (en) Toilet plunger storage device
US7828170B2 (en) Rim-mounted drinking aid for liquid containers
US20120111901A1 (en) Drip resistant dispensing valve for fluids
CN107758091B (zh) 饮料容器
KR20010033349A (ko) 빨대를 자동으로 취출하기 위한 기구를 가지는 용기
KR101667353B1 (ko) 음료 용기
JP2009005937A (ja) 液体容器用中栓
KR20160133129A (ko) 음료 용기 및 음료 주입 장치 어셈블리
WO2004039688A9 (en) Disposable leak proof child drinking cup
JP2009515790A (ja) 飲料タンク用抜き弁並びにこのタイプの抜き弁が設けられた飲料タンク
KR20160133127A (ko) 음료 용기 및 음료 용기용 락킹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