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3129A - 음료 용기 및 음료 주입 장치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음료 용기 및 음료 주입 장치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3129A
KR20160133129A KR1020150065777A KR20150065777A KR20160133129A KR 20160133129 A KR20160133129 A KR 20160133129A KR 1020150065777 A KR1020150065777 A KR 1020150065777A KR 20150065777 A KR20150065777 A KR 20150065777A KR 20160133129 A KR20160133129 A KR 201601331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beverage container
nozzle
side wall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5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인환
Original Assignee
엔피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피씨(주) filed Critical 엔피씨(주)
Priority to KR1020150065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33129A/ko
Priority to PCT/KR2016/004633 priority patent/WO2016182247A1/ko
Publication of KR20160133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31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7Froth control
    • B67D1/1272Froth control preventing fro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9/00Closures arranged within necks or pouring openings or in discharge apertures, e.g. sto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9/00Closures arranged within necks or pouring openings or in discharge apertures, e.g. stoppers
    • B65D39/0005Closures arranged within necks or pouring openings or in discharge apertures, e.g. stoppers made in one 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3/00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Filling casks or barrel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 B67C3/02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 용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음료 용기의 측벽의 외주면에는 음료 주입 장치에 걸리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음료 용기에 음료가 주입될 때 음료 용기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해주는 음료 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음료 용기 및 음료 주입 장치 어셈블리 및 음료 용기 제조방법{Bottle for beverage and dispenser assembly of beverag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bottle for beverage}
본 발명은 음료 용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음료 용기의 측벽의 외주면에는 음료 주입 장치에 걸리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음료 용기에 음료가 주입될 때 음료 용기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해주는 음료 용기에 관한 것이다.
거품이 형성되는 음료가 수용되는 용기로써, 일례로 가장 보편화되어 사용되는 맥주잔은 투명한 재질의 유리 또는 합성수지 제품으로 이루어지며, 한 번에 비교적 많은 양을 따라 마시게 되므로, 통상적으로 500cc, 1000cc의 맥주를 담아 마실 수 있는 맥주잔이 널리 사용된다.
상기 종래의 맥주잔은 하부 바닥이 차단되고, 상부가 개구되어 상측 개구부를 통해 음료가 주입되도록 구성된다.
음료 공급 장치를 통해 공급되는 생맥주 등의 음료는 다른음료에 비하여 맥주를 상부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따르게 됨에 따라 주입 압력에 의하여 맥주 거품이 많은 양의 거품이 발생 되는바, 맥주잔 등의 용기에 음료를 주입한 후 거품을 일일이 제거해주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었다.
따라서 기존의 생맥주 공급장치로 음료 용기에 생맥주를 공급할 때, 주로 상측에서 공급하므로 온도가 맞지 않는 경우 거품이 다량 발생하여 흘러 내려 의복을 젖게 하거나 위생상 좋지 않았으며, 너무 많은 거품으로 인해 생맥주 맛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지금까지의 맥주잔은 맥주를 따를 때 맥주가 공기와의 접촉으로 인해 산화되면서 맛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현상은 생맥주를 마시는 경우, 더 심하게 나타나게 되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음료 용기의 저면에 구멍을 형성하고 생맥주를 공급하는 경우 생맥주 거품을 적절하게 유지할 수는 있으나, 이 방법을 적용하려고 하여도 생맥주를 음료 용기 바닥 구멍으로 주입한 후, 구멍을 밀봉하는 방법이 적절하지 않아 채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수 있는 음료 용기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써,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43382호(2013.03.07.) "음료컵 주입구 차단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이하 종래기술1이라 함.)이 있는데, 상기 종래 기술1은 음료컵의 바닥 내외부로 관통 형성되고, 음료 공급 장치의 노즐을 통해 음료컵 내부에 음료를 공급하는 주입구와, 음료컵의 바닥 외면과 바닥내면에 각각 마련되고, 음료 공급 장치의 노즐을 통해 음료가 강제 주입된 후 주입구를 밀봉하도록 자력 부착되는 자력차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 1에는 음료 용기에 음료가 주입될 때 음료 용기가 음료 주입 장치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 나타나 있지 않아서 편의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14-180438호에는 음료 용기를 음료 주입 장치에 나사결합되어 결합되는 것이 나타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나사결합 될 경우 음료 용기를 탈착시키기에 어려움이 있고 탈착시키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도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음료 용기를 플라스틱 재질의 일회용 컵으로 구비할 경우 음료 주입 후에 음료 용기를 잡고 돌리는 과정에서 음료가 흘러 넘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243382호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14-180438호 한국특허출원 제2014-0085888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음료 용기에 음료가 주입될 때 음료 용기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해주는 음료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음료 용기는, 주입구가 형성되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을 둘러싸는 측벽을 포함하는 용기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측벽의 외주면에는 음료 주입 장치에 걸리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음료 주입 장치 어셈블리는 주입구가 바닥면에 형성되는 음료 용기와, 상기 음료 용기에 음료를 공급하는 음료 공급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음료 용기의 외주면과 상기 음료 공급 장치 중 하나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걸리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음료 공급 장치는 노즐과, 상기 노즐 둘레에 배치되는 그리퍼와, 상기 노즐과 상기 그리퍼가 설치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홈은 상기 그리퍼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음료 용기 제조방법은, 주입구가 형성되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을 둘러싸는 측벽을 포함하는 용기본체를 사출성형하는 제1성형단계와, 상기 측벽 외주면에 음료 주입 장치에 걸리는 걸림돌기를 핫멜트 공법으로 형성하는 제2성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음료 용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음료 용기의 측벽의 외주면에는 음료 주입 장치에 걸리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단순한 구조로 음료 용기에 음료가 주입될 때 음료 용기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해준다. 또한, 음료 용기를 음료 주입 장치에 신속하게 탈착시킬 수 있다.
음료 용기 제조방법은, 주입구가 형성되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을 둘러싸는 측벽을 포함하는 용기본체를 사출성형하는 제1성형단계와, 상기 측벽 외주면에 음료 주입 장치에 걸리는 걸림돌기를 핫멜트 공법으로 형성하는 제2성형단계를 포함하여, 걸림돌기를 단순하게 형성할 수 있어서 제조공정이 단순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 주요부 분리 단면도.
도 5b는 도 5a 결합 단면도.
도 6은 도 5b의 단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의 홀더와 패킹부재와 락킹부재 분리 사시도.
도 8은 도 7의 결합도.
도 9는 도 5b의 단면 저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 저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 저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를 음료 공급 장치의 노즐에 끼워넣는 과정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에 음료 공급 장치의 노즐을 통해 음료를 주입하는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공급 장치의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공급 장치의 평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공급 장치의 그리퍼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료 공급 장치에 음료 용기가 끼워진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음료 공급 장치 어셈블리는, 주입구(111)가 바닥면(110)에 형성되는 음료 용기와, 상기 주입구(111)에 삽입되는 노즐(540)을 포함하는 음료 공급 장치(5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음료 용기는, 주입구(111)가 형성되는 바닥면(110)과, 상기 바닥면(110)을 둘러싸는 측벽(120)을 포함하는 용기본체(100)와, 상기 용기본체(100)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주입구(111)에 설치되어 상기 주입구(111)를 개폐하는 홀더(200)와, 상기 홀더(200)와 상기 용기본체(10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주입구(111)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상기 홀더(200)를 탄성 지지하는 락킹부재(400)를 포함하며, 상기 락킹부재(400)는 제1부재(410)와, 상기 제1부재(410)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부재(430)와, 상기 제1부재(410)와 상기 제2부재(430)를 연결하며 탄성변형되는 탄성암(4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용기본체(100)는 상부가 개방된 컵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120)은 바닥면(110)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측벽(121)과 바닥면(110)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측벽(122)을 포함한다.
제1측벽(121)은 상부로 향할수록 내경 및 외경이 커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제1측벽(121) 상단에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플랜지 하부에는 제1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단차부 하부에는 제2단차부가 형성된다. 제1측벽(121) 하단에는 둘레를 따라 둘레함몰홈이 형성된다. 상기 둘레함몰홈을 이루는 내측벽은 제2측벽(122)의 상단에 연속되게 형성된다.
용기본체(100)에는 바닥면(110)과 제1측벽(121)에 의해 둘러싸이는 수용부(101)가 형성된다.
제2측벽(122)은 상부로 향할수록 외경이 커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제2측벽(122) 중간 부분에는 외주면에 이하 서술되는 음료 주입 장치(500)에 걸리는 걸림돌기(122a)가 형성된다.
걸림돌기(122a)는 양끝단이 서로 연결되도록 링형상으로 형성된다.
걸림돌기(122a)의 수직 단면형상은 반원형상이 되도록 굴곡지게 형성된다.
이와 다르게, 음료 주입 장치(500)에 형성된 걸림돌기가 걸리는 걸림홈이 제2측벽(122)에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음료 용기의 외주면과 음료 공급 장치(500) 중 하나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걸리는 걸림홈이 형성될 수 있다.
리브(130)는 바닥면(110)과 측벽(120)의 연결부분의 상면에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리브(130)는 방사방향으로 직선형상으로 형성된다. 리브(130)는 음료 용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리브(130)는 음료 용기를 여러개 겹쳐서 적층시켜서 보관할 경우 용기끼리 서로 끼지 않도록 스토퍼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리브(130)는 용기본체(100) 내부에 배치된다.
리브(130)는 용기본체(100)에 일체로 형성된다.
리브(130)는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바닥면(110)에 수직하게 형성된다.
용기본체(100)에서 리브(130)가 형성된 면에는 굴곡부(123)가 형성된다.
즉, 바닥면(110)과 측벽(120)의 연결부분에 굴곡부(123)가 형성된다.
한편, 제2측벽(122)의 내측 상부에는 보강리브(124)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보강리브(124)는 바닥면(110)의 저면에 상부가 연결된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200)는 주입구(111)를 덮는 원판형상의 덮개부(210)와, 덮개부(210) 하부에 형성되며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홀더측벽부(220)를 포함한다.
덮개부(210)는 수평하게 배치되며, 주입구(111)보다 단면적이 큰 원형으로 형성된다.
덮개부(210) 중앙 부분에는 상부로 돌출된 덮개돌출부(211)가 형성된다.
덮개돌출부(211)는 상부로 향할수록 외경이 작아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덮개돌출부(211)의 최대외경은 홀더측벽부(220)와 유사 또는 동일하도록 형성된다.
덮개돌출부(211)의 상부 중심부에는 상부가 개방된 덮개홈(212)이 형성된다.
홀더측벽부(220)는 주입구(111)에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며, 상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주입구멍(221)이 형성된다. 주입구멍(221)은 주입구(111)가 열릴 때 수용부(101)에 연통된다.
본 실시예의 음료 용기는 상기 홀더(200)와 상기 용기본체(100)에서 상기 주입구(111)가 형성된 면인 바닥면(110) 사이에 배치되는 패킹부재(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패킹부재(300)는 링형상으로 형성된다.
패킹부재(300)는 수직 단면형상이 상면은 평탄하고 하면은 대체적으로 반원호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패킹부재(300)는 아래로 향할수록 수직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된다.
패킹부재(300)는 하단에 온 둘레를 따라 미세돌기(301)가 형성되어 있다.
미세돌기(301)는 두개가 형성되고, 내측과 외측에 방사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와 같은 미세돌기(301)로 인해 실링은 효과적으로 되는 동시에 패킹부재(300)가 바닥면(110)에 부착되는 것이 방지되어 홀더(200)의 승강이동이 원활하게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패킹부재(300)는 평탄한 상면이 홀더(200)의 덮개부(210) 하면에 설치된다.
나아가, 패킹부재(300)가 삽입되는 홈(114)이 바닥면(110)에 형성된 융기부(113)에 형성된다.
융기부(113)는 바닥면(110)에서 주입구(111) 둘레가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홈(114)은 융기부(113)의 중간 부분이 아래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융기부(113)의 내측단에는 주입구(111)를 둘러싸는 둘레부가 하부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락킹부재(400)는 제1부재(410)와, 제1부재(410)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부재(430)와, 제1부재(410)와 제2부재(430)를 연결하며 탄성변형되는 탄성암(420)을 포함한다.
제1,2부재(410, 430)는 링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2부재(410, 430)는 서로 다른 직경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부재(410)는 제2부재(430)보다 더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제1,2부재(410, 430) 중 하나는 홀더(200)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부재(410)보다 하부에 배치된 제2부재(430)가 홀더(200)에 결합된다.
홀더(200)와 락킹부재(400)는 후크를 통해 결합된다.
홀더(200)의 홀더측벽부(220) 하부에는 제1후크돌기(230)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1후크돌기(230)는 4개가 형성되고, 서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제1후크돌기(230)는 서로 연결되어 홀더(200)의 내구성이 더욱 향상된다. 홀더(200)의 홀더측벽부(220)의 외주면에는 이하 서술되는 제2후크돌기(431)가 삽입되는 제2후크돌기삽입홈이 온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상기 제2후크돌기삽입홈은 제1후크돌기(230) 상부에 배치된다.
제2부재(430)에는 내측에 제2후크돌기(431)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2후크돌기(431)는 제2부재(430)의 내주면을 따라 온둘레에 형성된다.
제2후크돌기(431)는 제1후크돌기(230)에 걸려서 홀더(200)와 락킹부재(400)는 서로 결합된다.
제2부재(430)의 외측면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제2부재(430)의 외경은 하부로 향할수록 커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락킹부재(400)의 강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제1부재(410)는 바닥면(110)의 저면에 밀착된다. 상세하게는, 제1부재(410)는 홈(112) 하부에 배치된다.
탄성암(420)은 여러개 형성되며, 여러개의 탄성암(420)은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탄성암(420)은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부분(421)과, 제1부분(421)에 경사지게 절곡되어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부분(422)과, 제2부분(422)에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3부분(423)과, 제3부분(423)에 절곡되어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제4부분(424)을 포함한다.
제1부분(421)은 제2부재(430) 외측에 형성된다.
제2부분(422)과 제4부분(424)은 반대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제4부분(424)은 제1부재(410)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나아가, 용기본체(100)에는 탄성암(420)이 접힐 때 수용되는 수용홈(114)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수용홈(114)은 상기 둘레부와 홈(112) 사이에 배치되도록 바닥면(110)의 저면에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음료 용기의 용기본체(100)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주입구(111)가 형성되는 바닥면(110)과, 상기 바닥면(110)을 둘러싸는 측벽(120)을 포함하는 용기본체(100)를 일체로 사출성형하는 제1성형단계와, 상기 측벽(120)의 제2측벽(122)의 외주면에 음료 주입 장치(500)에 걸리는 걸림돌기(122a)를 핫멜트 공법으로 형성하는 제2성형단계를 포함한다. 이로 인해 걸림돌기(122a) 단순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음료 용기 조립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용기본체(100)의 주입구(111)에 패킹부재(300)가 설치된 홀더(200)를 상부에서 끼워넣고, 하부에서 락킹부재(400)를 밀어넣으면 제1후크돌기(230)와 제2후크돌기(431)가 서로 걸려서 조립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조립이 아주 단순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락킹부재(400)를 밀어넣을 때 제1부재(410)의 직경이 제2부재(430)의 직경보다 커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음료 공급 장치(500)의 노즐(540)은 상부가 막힌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노즐(540)은 홀더(200)의 홀더측벽부(220)에 삽입된다.
노즐(540)의 상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배출부(545)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배출부(545)는 복수개(예를 들어 3개) 구비되며, 복수개의 배출부(545)는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음료가 배출되는 배출부(545)는 주입구멍(221)에 연통된다.
노즐(540)은 축경부(541)와, 상기 축경부(541)의 하부에 배치되는 확경부(542)를 포함한다.
축경부(541)는 확경부(542)보다 외경이 작도록 형성된다.
축경부(541)의 상하길이는 홀더측벽부(220)의 내벽 길이와 동일 유사하거나 작도록 형성된다.
축경부(541)의 외경은 홀더측벽부(220)의 내경보다 약간 작도록 형성된다.
확경부(542)의 외경은 홀더측벽부(220)의 내경보다 크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노즐(540)을 홀더측벽부(220)에 끼울 때 홀더측벽부(220)의 하면은 확경부(542)에 걸리게 된다.
노즐(540)의 상부인 축경부(541)에는 상부로 향할수록 외경이 작아지도록 테이퍼부(544)가 형성된다.
테이퍼부(544)는 노즐(540)의 상부 모서리가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노즐(540)이 형성되어 음료 용기를 수직방향이 아닌 약간 기울인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상기 노즐(540)에 끼우거나 뺄 수 있다.
노즐(540)은 외주면에 실링부재(543)가 설치된다. 실링부재(543)는 오링으로 구비된다.
실링부재(543)는 노즐(540)의 배출부(545)보다 하부에 배치된다.
실링부재(543)는 축경부(541)와 상기 확경부(542) 사이에 배치된다. 즉, 실링부재(543)는 축경부(541)의 하단 외측에 배치되고 확경부(542)의 상부에 배치된다. 이로 인해 실링부재(543)가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링부재(543)는 노즐(540)의 삽입이 완료되어 홀더측벽부(220)의 하면이 걸리는 부분에 설치 및 배치된다.
실링부재(543)는 음료 용기의 하부에 배치되어, 노즐(540)에 음료 용기를 용이하게 끼우거나 뺄 수 있으며 동시에 실링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즉, 실링부재(543)는 상기 음료 용기의 하면과 상기 음료 공급 장치(500)의 노즐(540) 사이에 배치된다.
실링부재(543)는 상기 음료 용기의 홀더(200)의 홀더측벽부(220)의 하부에 배치되어 실링이 더욱 효과적으로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링부재(543)는 노즐(540)과 음료 용기의 마주보는 면 중에서 상기 음료 용기의 끼워지는 방향(상하방향)에 수직한 면(좌우방향) 사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의 음료 공급 장치(500)는 노즐(540)의 양측 둘레에 각각 배치되는 그리퍼(530)와, 노즐(540)과 그리퍼(530)가 설치되는 지지부(5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퍼(530)는 지지부(510) 상면에 고정설치되는 리미트 하우징(520)에 의해 지지부(510)에 설치된다. 리미트 하우징(520)은 두개가 구비되어 두개의 그리퍼(530) 사이에 각각 배치된다.
그리퍼(530)는 상면(531)이 원호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퍼(530)의 상면(531) 양측에는 리미트 안착홈(535)이 각각 형성된다. 리미트 안착홈(535)은 상면(531)의 양 끝단 외측 모서리 일부분이 함몰되어 형성된다. 리미트 안착홈(535)에는 리미트 하우징(520)의 양측 일부가 안착된다.
그리퍼(530)의 양 끝단은 직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리미트 하우징(520)에 형성된 홈에 삽입된다.
또한, 그리퍼(530)의 양 끝단의 측벽에는 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재질의 철판(534)이 부착된다. 이러한 철판(534)은 리미트 하우징(520)에서 그리퍼(530)의 양 끝단과 마주보는 면에 설치되는 자석(미도시)에 부착된다.
그리퍼(530)의 내측에는 걸림돌기(122a)가 걸리는 걸림턱(532)이 형성된다.
걸림턱(532)은 하부로 향할수록 내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걸림턱(532)은 상면(531)의 내측 하부에 형성된다.
걸림턱(532)은 원호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되되, 중간 부분의 R값이 끝단 부분의 R값보다 작게 해서 음료 용기를 기울려서 빼낼 때 보다 쉽게 빼낼 수 있게 된다.
그리퍼(530)의 양단 하부에는 지지다리(533)가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지지다리(533)는 좌우방향으로 형성된다.
지지다리(533)는 리브형상으로 형성되어 마찰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지지다리(533)는 걸림턱(532)의 양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걸림턱(532)은 지지부(510)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된다.
따라서, 걸림돌기(122a)가 삽입되는 상기 걸림홈은 상기 그리퍼(530)의 걸림턱(532)과 지지부(510) 사이에 형성된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음료 공급 장치(500)의 노즐(540)이 음료 용기의 홀더측벽부(220)에 삽입되도록 상기 음료 용기를 아래로 밀어 넣는다. 이로 인해, 노즐(540)은 홀더측벽부(220)에 삽입되고 실링부재(543)은 홀더측벽부(220)의 하부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음료 용기의 걸림돌기(122a)는 그리퍼(530)의 걸림턱(532)에 걸린다. 따라서, 실링부재(543)는 눌리게 되어 노즐(540)과 홀더측벽부(220)는 탄성적으로 밀착된다. 이로 인해 노즐(540)과 상기 음료 용기 사이의 실링이 효과적으로 될 수 있다.
또한, 노즐(540)이 홀더(200)의 홀더측벽부(220)에 삽입되어, 상기 노즐(540)의 가압에 의하여 락킹부재(400)의 탄성암(420)은 탄성변형되어 접히게 된다. 이와 동시에 홀더(200) 및 패킹부재(300)는 상승한다. 이로 인해, 주입구멍(221)은 수용부(101)에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노즐(540)을 통해 주입되는 음료가 바닥면(110)을 통해 수용부(101)로 주입된다.
음료 주입이 끝나서 상기 음료 용기를 기울여서 빼내면 걸림돌기(122a)는 걸림턱(532)으로부터 빠져나오고 노즐(540)은 홀더(200)로부터 이탈된다. 이로 인해 탄성암(420)은 원상태로 복귀되어 제1부재(410)와 제2부재(420)의 사이 거리는 멀어지게 된다. 따라서, 제2부재(420)에 연결된 홀더(200)는 아래로 하강하게 된다. 이로 인해 주입구(111)는 덮개부(210)로 막히게 된다. 또한, 홀더(200)가 하강됨에 따라 패킹부재(300)도 동시에 하강되어, 패킹부재(300)의 돌출부(301)는 홈(112)에 삽입되어, 실링이 더욱 효과적으로 된다. 따라서, 수용부(101)에 수용된 음료는 주입구(111)를 통해 외부로 누수되지 않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용기본체 101 : 수용부
110 : 바닥면 111 : 주입구
120 : 측벽 130 : 리브
200 : 홀더 300 : 패킹부재
400 : 락킹부재

Claims (4)

  1. 주입구가 형성되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을 둘러싸는 측벽을 포함하는 용기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측벽의 외주면에는 음료 주입 장치에 걸리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
  2. 주입구가 바닥면에 형성되는 음료 용기;
    상기 음료 용기에 음료를 공급하는 음료 공급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음료 용기의 외주면과 상기 음료 공급 장치 중 하나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걸리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음료 주입 장치 어셈블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 공급 장치는 노즐과, 상기 노즐 둘레에 배치되는 그리퍼와, 상기 노즐과 상기 그리퍼가 설치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홈은 상기 그리퍼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주입 장치 어셈블리.
  4. 주입구가 형성되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을 둘러싸는 측벽을 포함하는 용기본체를 사출성형하는 제1성형단계;
    상기 측벽 외주면에 음료 주입 장치에 걸리는 걸림돌기를 핫멜트 공법으로 형성하는 제2성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용기 제조방법.
KR1020150065777A 2015-05-12 2015-05-12 음료 용기 및 음료 주입 장치 어셈블리 KR2016013312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5777A KR20160133129A (ko) 2015-05-12 2015-05-12 음료 용기 및 음료 주입 장치 어셈블리
PCT/KR2016/004633 WO2016182247A1 (ko) 2015-05-12 2016-05-03 음료 용기 및 음료 주입 장치 어셈블리 및 음료 용기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5777A KR20160133129A (ko) 2015-05-12 2015-05-12 음료 용기 및 음료 주입 장치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3129A true KR20160133129A (ko) 2016-11-22

Family

ID=57249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5777A KR20160133129A (ko) 2015-05-12 2015-05-12 음료 용기 및 음료 주입 장치 어셈블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60133129A (ko)
WO (1) WO201618224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1037788S1 (en) 2021-05-07 2024-08-06 Precise Flight, Inc. Cup holder assembl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3382B1 (ko) 2011-09-27 2013-03-21 문하규 음료컵 주입구 차단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40085888A (ko) 2012-12-28 2014-07-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흡기밸브용 캠
JP2014180438A (ja) 2013-03-19 2014-09-29 Yutaka Sangyo:Kk 飲料コップ本体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56401A1 (en) * 2003-06-19 2004-12-23 Chodosh David Jeffrey Beverage container attachment
IES20060165A2 (en) * 2006-03-06 2007-05-16 Charles Russell Drinking vessel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a beverage
WO2007141719A1 (en) * 2006-06-06 2007-12-13 Cameron Seaborne A liquid dispensing system
JP4948093B2 (ja) * 2006-08-31 2012-06-06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合成樹脂製カップ状容器
KR20110025195A (ko) * 2011-02-09 2011-03-09 김예림 2중 종이컵의 제조공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3382B1 (ko) 2011-09-27 2013-03-21 문하규 음료컵 주입구 차단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40085888A (ko) 2012-12-28 2014-07-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흡기밸브용 캠
JP2014180438A (ja) 2013-03-19 2014-09-29 Yutaka Sangyo:Kk 飲料コップ本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1037788S1 (en) 2021-05-07 2024-08-06 Precise Flight, Inc. Cup holde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82247A1 (ko) 2016-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1252B1 (ko) 음료 공급 장치 어셈블리
CN108202915B (zh) 杯盖
AU2017202105B2 (en) Containers and methods for isolating liquids prior to dispensing
CA2996946C (en) Child resistant cap and dispenser
KR101783349B1 (ko) 음료 용기 및 하부 주입 음료 용기용 밸브
US8540948B2 (en) Lidded container
WO2006126288A1 (ja) 液体容器
EP0653361A2 (en) Pourer for pouring at least two different liquids
US20060273119A1 (en) Spout assembly with vertically movable spouting guide member
KR101802358B1 (ko) 음료 용기 및 음료 용기용 코어 어셈블리
KR20160133129A (ko) 음료 용기 및 음료 주입 장치 어셈블리
JP2007535444A (ja) 注液キャップ
KR101667353B1 (ko) 음료 용기
KR101651929B1 (ko) 개량된 개폐구조를 갖는 일체형 병마개
KR20160133127A (ko) 음료 용기 및 음료 용기용 락킹부재
US10183788B2 (en) Spill resistant integrated closure cap
KR102206826B1 (ko) 음료 주입장치용 노즐
KR101656422B1 (ko) 바닥을 통해 음료 주입이 이루어지는 음료 용기
KR101678897B1 (ko) 음료 용기 및 이에 결합되는 마개
KR101660485B1 (ko) 음료 주입 장치
US20230356892A1 (en) Dispensing system
KR200354366Y1 (ko) 공기 유입이 원활한 음료용 팩
CN114514181B (zh) 饮用瓶封闭装置
RU102001U1 (ru) Дозирующая насадка для жидкости
KR101896397B1 (ko) 하부주입 어댑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