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9625A - 음료 주입장치용 노즐 - Google Patents

음료 주입장치용 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9625A
KR20200119625A KR1020190042069A KR20190042069A KR20200119625A KR 20200119625 A KR20200119625 A KR 20200119625A KR 1020190042069 A KR1020190042069 A KR 1020190042069A KR 20190042069 A KR20190042069 A KR 20190042069A KR 20200119625 A KR20200119625 A KR 202001196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nozzle
plunger
flow path
out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2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6826B1 (ko
Inventor
김문주
Original Assignee
엔피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피씨(주) filed Critical 엔피씨(주)
Priority to KR1020190042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6826B1/ko
Publication of KR20200119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96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6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68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6Mountings or arrangements of dispensing apparatus in or on shop or bar coun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01Details of beverage containers, e.g. casks, kegs
    • B67D1/0805Openings for f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7Froth control
    • B67D1/1272Froth control preventing froth

Landscapes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 주입장치용 노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료 주입장치에 구비되어 저장부에 저장된 음료가 토출되는 노즐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음료 주입장치와 결합되며 음료 토출부가 형성된 이너 바디; 상기 토출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이너 바디의 외측에 배치되는 아우터 바디; 상기 이너 바디의 내측에 형성된 걸림플랜지에 의해 형성된 개폐유로; 상기 아우터 바디에 지지되어 상기 개폐유로의 하측에 배치되는 플런저; 상기 플런저에 결합되어 상기 플런저와 상기 걸림플랜지 사이에 배치되는 유로덮개; 상기 아우터 바디에 상방으로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아우터 바디와 상기 플런저를 상승시킴에 따라 상기 걸림플랜지와 상기 유로덮개가 서로 접촉되어 상기 개폐유로를 폐쇄시키는 리턴 스프링;을 포함며, 상기 구성에 의해 음료 용기가 장착되면 개폐유로와 토출부가 개방되는 무동력 방식의 리버스탭 디스펜서 방식의 음료 주입장치용 노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음료 주입장치용 노즐{Nozzles for beverage inje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음료 주입장치용 노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별도의 전기장치 없이 무동력으로 개폐유로와 토출부가 개폐되는 음료 주입장치용 노즐에 관한 것이다.
거품이 형성되는 음료가 수용되는 용기로써, 일례로 가장 보편화되어 사용되는 맥주잔은 하부 바닥이 차단되고, 상부가 개구되어 상측 개구부를 통해 음료가 주입된다.
음료 주입 장치를 통해 공급되는 생맥주 등의 음료는 다른 음료에 비하여 상부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따르게 되며, 주입시 압력에 의하여 많은 양의 거품이 발생 되는바, 맥주잔 등의 용기에 음료를 주입한 후 따로 거품을 제거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생맥주 공급장치를 이용해 음료 용기에 생맥주를 공급할 때, 생맥주를 주로 음료 용기의 상측부터 공급하므로 온도가 알맞지 않은 경우, 음료 용기에서 거품이 다량 발생하여 흘러 내려 의복을 젖게 하거나 위생상 좋지 않았으며, 너무 많은 거품으로 인해 생맥주의 맛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지금까지의 맥주잔은 맥주를 따를 때 맥주가 공기와의 접촉으로 인해 산화되면서 맛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현상은 생맥주를 마시는 경우 더 심하게 나타날 수 있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음료 용기의 하면에 구멍을 형성하고 생맥주를 공급하는 경우 생맥주 거품을 적절하게 유지할 수는 있으나, 이 방법을 적용하려고 하여도 생맥주를 음료 용기 바닥 구멍으로 주입한 후, 구멍을 밀봉하는 방법이 적절하지 않아 채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음료 용기의 하부로 음료를 주입하기 위한 기술로써, 출원인이 기출원한 한국 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0482767호(2017.02.24)의 '음료가 바닥에서 주입되는 음료 용기를 위한 음료 주입 장치'(이하, '특허문헌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83349호(2017.09.25)의 '음료 용기 및 하부 주입 음료 용기용 밸브'(이하, '특허문헌 2'),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02358호(2017.11.22)의 '음료 용기 및 음료 용기용 코어 어셈블리'(이하, '특허문헌 3')가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하부 주입용 음료 주입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음료 저장부와, 음료 공급수단이 내장된 본체(100)와, 음료 용기(10)가 탈착되는 장착부(110)와, 상기 안착부(110)에 구비되되 상기 장착부(110)보다 상측으로 돌출되며 장착된 상기 음룔 용기(10)측으로 음료를 주입하는 노즐(1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음료 용기(10)의 하부에는 주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주입구에는 밸브(20)가 구비된다. 상기 음료 용기(10)를 상기 장착부(110)에 장착시키면, 상기 밸브(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즐(120)에 밀려 개방되며, 개방된 상기 밸브(20)를 통해 상기 음료 주입 장치에서 상기 음료 용기(10)로 음료 주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특허문헌 1의 상기 노즐(120)에는 토출부(121)가 형성되는데, 상기 토출부(121)는 상기 음료 용기(10)의 장착 여부와 관계 없이 항상 개방된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상기 음료 용기(10)가 상기 장착부(110)에 장착되지 않은 경우, 즉 노즐(120)이 대기 상태인 경우, 개방된 상기 토출부(121)를 통해 상기 노즐(120)의 내부와 상기 노즐(120)이 장착된 상기 음료 공급수단으로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어 노즐(120)과 상기 음료 주입 장치를 청결하게 유지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었다.
상기 특허문헌 2는 용기본체의 하부에 주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음료 용기의 주입구에 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밸브는 음료 주입 장치의 노즐이 끼워지면 개방되어 상기 노즐을 통해 상기 음료 용기에 음료를 삽입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특허문헌 2 또한 상기 노즐에 상기 음료 용기가 끼워지지 않은 상태, 즉 상기 노즐이 대기 상태인 경우, 상기 노즐의 개방부가 개방된 상태로 대기 중에 노출되어 있어 이물질이 상기 노즐 내부와 상기 노즐이 장착된 음료 공급 장치로 유입되어 상기 노즐과 상기 음료 공급 장치를 청결하게 유지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었다.
상기 특허문헌 3은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하부에 형성된 주입구를 갖는 음료 용기, 상기 주입구에 끼워질 수 있는 음료 공급 장치의 노즐로 이루어진다. 상기 노즐의 상부에는 음료가 배출되는 배출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특허문헌 3 또한 상기 노즐을 상기 음료 용기에서 분리한 상태, 즉 대기 중인 경우, 상기 배출부가 개방된 상태로 대기 중에 노출되어 있어 이물질이 상기 노즐 내부와 음료 공급 장치로 유입되어 상기 노즐과 상기 음료 공급 장치를 청결하게 유지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었다.
한국 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0482767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83349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02358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별도의 전기장치 없이 컵 삽입 여부에 따라 개폐유로와 토출부가 개폐되는 음료 주입장치용 노즐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음료 미토출시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음료 주입장치용 노즐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음료 주입장치용 노즐은, 음료 주입장치에 구비되어 저장부에 저장된 음료가 토출되는 노즐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음료 주입장치와 결합되며 음료 토출부가 형성된 이너 바디; 상기 토출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이너 바디의 외측에 배치되는 아우터 바디; 상기 이너 바디의 내측에 형성된 걸림플랜지에 의해 형성된 개폐유로; 상기 아우터 바디에 지지되어 상기 개폐유로의 하측에 배치되는 플런저; 상기 플런저에 결합되어 상기 플런저와 상기 걸림플랜지 사이에 배치되는 유로덮개; 상기 아우터 바디에 상방으로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아우터 바디와 상기 플런저를 상승시킴에 따라 상기 걸림플랜지와 상기 유로덮개가 서로 접촉되어 상기 개폐유로를 폐쇄시키는 리턴 스프링;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음료 주입장치용 노즐은, 상기 유로덮개의 외경 및 상기 플런저의 외경은 상기 개폐유로의 직경보다 크다.
또한, 본 발명의 음료 주입장치용 노즐은, 상기 아우터 바디에 형성되어 상기 플런저와 결합되는 플런저지지부; 상기 플런저지지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플런저에 형성되는 홈;을 더 포함하되, 상기 유로덮개는 링 형상이며, 상기 유로덮개는 상기 플런저지지부가 관통 삽입되어 상하측이 상기 플런저지지부와 상기 플런저에 둘러싸인다.
본 발명의 음료 주입장치용 노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노즐에 장착된 음료 용기의 자체 무게만으로도 리턴 스프링이 충분히 변형되어 음료 주입에 문제가 없을 정도로 개폐유로와 토출부가 개방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노즐이 적용된 음료 주입장치의 사용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노즐이 적용된 음료 주입장치는 음료 용기가 장착되지 않은 대기상태, 즉 음료를 토출하지 않을 때에는 개폐유로와 토출부가 폐쇄되므로 노즐의 내부 또는 토출관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이 방지된다. 따라서 노즐과 상기 음료 주입장치의 청결한 음료관리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음료가 스프링 삽입부에 유입되더라도 배수홀을 통해 노즐의 외부로 배출되므로, 스프링 삽입부 내의 이물질 누적이 방지되고 리턴 스프링의 기능 저하가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상 음료가 누수될 수 있는 부위에 오링이 배치되므로, 노즐 내부의 수밀, 노즐과 음료 주입장치 간에 수밀, 노즐과 음료 용기간에 수밀이 이루어진다.
도 1은 상기 특허문헌 1에 게재된 음료 주입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상기 특허문헌 1의 음료 주입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음료 용기 단면도
도 3은 음료 주입장치에 장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노즐의 토출부가 폐쇄된 사시도
도 4는 음료 주입장치에 장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노즐의 토출부가 개방된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노즐을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6는 도 4에 도시된 노즐의 단면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노즐에 음료 용기가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노즐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된 아우터 바디의 사시도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배경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배경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 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촉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촉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3은 음료 주입장치에 장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노즐의 토출부가 폐쇄된 사시도이고, 도 4는 음료 주입장치에 장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노즐의 토출부가 개방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노즐을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6는 도 4에 도시된 노즐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노즐에 음료 용기가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노즐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된 이너 바디의 사시도이다.
우선,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일 예의 음료 용기(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 수용부(도면부호 미도시)가 형성된 용기 본체(10), 상기 용기 본체(10)의 하면에 형성되며 밸브(53)가 장착된 주입구(51)를 포함한다.
상기 주입구(51)에는 주입구멍(51a)이 형성된다.
상기 주입구멍(51a)은 음료가 음료 수용부(도면부호 미도시)로 잘 주입되도록 토출부(140)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주입구멍(51a)은 좌우방향으로 형성된다.
음료 용기(50)는 후술될 노즐과 나사산 체결결합이나 억지 끼움 방식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6,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의 노즐이 적용되는 상기 음료 주입장치는 본체(10)에 장착된 토출관(11)을 포함한다.
토출관(11) 내부의 유로, 즉 토출관유로(11a)는 음료 저장부(미도시), 상기 음료 주입장치의 구성품인 음료 공급수단(미도시)이 연통된다.
음료 주입장치(미도시)에 구비되어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된 음료가 토출되는 노즐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음료 주입장치(미도시)와 결합되며 음료 토출부(140)가 형성된 이너 바디(200); 상기 토출부(140)를 개폐하도록 상기 이너 바디(200)의 외측에 배치되는 아우터 바디(300); 상기 이너 바디(200)의 내측에 형성된 걸림플랜지(243a)에 의해 형성된 개폐유로(203); 상기 아우터 바디(300)에 지지되어 상기 개폐유로(203)의 하측에 배치되는 플런저(600); 상기 플런저(600)에 결합되어 상기 플런저(600)와 상기 걸림플랜지(243a) 사이에 배치되는 유로덮개(700); 상기 아우터 바디(300)에 상방으로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아우터 바디(300)와 상기 플런저(600)를 상승시킴에 따라 상기 걸림플랜지(243a)와 상기 유로덮개(700)가 서로 접촉되어 상기 개폐유로(203)를 폐쇄시키는 리턴 스프링(400);을 포함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노즐이 적용된 음료 주입장치는 음료 용기(50)가 장착되지 않은 대기상태, 즉 음료를 토출하지 않을 때에는 후술될 개폐유로(203) 및 토출부(140)가 폐쇄되므로 노즐의 내부 또는 토출관(11)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이 방지된다. 따라서 노즐과 상기 음료 주입장치의 청결한 음료관리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음료 주입장치용 노즐은, 상기 아우터 바디(300)에 형성되어 상기 플런저(600)와 결합되는 플런저지지부; 상기 플런저지지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플런저(600)에 형성되는 홈(610)(이후, 중앙홈);을 더 포함한다.
상기 유로덮개(700)는 링 형상이며, 상기 유로덮개(700)는 상기 플런저지지부가 관통 삽입되어 상하측이 상기 플런저지지부와 상기 플런저(600)에 둘러싸인다. 따라서 유로덮개(700)는 상하측이 후술될 상측지지축(343)과 플런저(600)에 막혀있고 삽입축(345)에 끼워진 상태이므로 플런저지지부 및 플런저(600)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음료 주입장치용 노즐은, 상기 유로덮개(700)의 외경 및 상기 플런저(600)의 외경은 상기 개폐유로(203)의 직경보다 크다. 따라서 플런저(600)는 걸림플랜지(243a)보다 상측으로 올라가지 않고 후술될 제1유로(205)와 토출관유로(11a) 내부에서만 상승 및 하강된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9를 토대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노즐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 이너 바디(200) ---
이너 바디(200)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관 형상이다.
이너 바디(200)의 내부에는 음료 주입장치의 토출관(11)이 삽입된다.
이너 바디(200)는 상기 음료 주입장치 본체(10)의 상면과 상기 토출관(11)의 외주면에 접촉된다.
이너 바디(200)의 후술될 제1유로(205)는 토출관유로(11a)와 연통된다.
이너 바디(200)에는 상기 리턴 스프링(400)이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와 연통된 배수홀(236)이 형성된다. 따라서 음료가 스프링 삽입부(237)에 유입되더라도 배수홀(236)을 통해 노즐의 외부로 배출되므로, 스프링 삽입부(237) 내의 이물질 누적이 방지되고 리턴 스프링(400)의 기능 저하가 방지된다.
또한 이너 바디(200)와 상기 음료 주입장치 사이에는 수밀을 위한 제2오링(201)과 제4오링(401)이 설치된다.
제4오링(401)은 이너 바디(200)와 토출관(11) 사이의 틈새를 수밀하도록 배치된다.
제4오링(401)은 플런저(600)에 조립되어 노즐에 음료 용기(50)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 즉 대기상태일 때 음료가 노즐을 통해 토출되지 않도록 개폐유로(203)를 폐쇄시키고, 노즐에 음료 용기(50)가 장착되면 개폐유로(203)를 개방하는 역할을 한다.
이너 바디(200)는 헤드(100)와 토출관(11) 사이에 위치되는 제1이너 바디(210)와, 제1이너 바디(210)의 하측에 연결되며 아우터 바디(300)의 후술될 제1,2아우터 바디(310, 320)와 토출관(11) 사이에 위치되는 제2이너 바디(220)와, 제2이너 바디(220)의 외면의 하측에 상측이 연결되며 아우터 바디(300)의 후술될 제3아우터 바디(330)와 토출관(11) 사이에 위치되는 제3이너 바디(230)를 포함한다.
한편, 제1이너 바디(210)의 외경은 제2이너 바디(220)의 외경보다 작고, 제2이너 바디(220)의 외경은 제3이너 바디(230)의 외경보다 작다.
제1이너 바디(210)의 외주면과 제2이너 바디(220)의 상면과 연결되고, 제1이너 바디(210)의 하면이 제2이너 바디(220)의 내면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1이너 바디(210)와 제2이너 바디(220)에 단차(도면 부호 미도시)가 생긴다.
노즐과 토출관(11)의 결합이 잘 유지되도록 제2이너 바디(220)는 상기 토출관(11)의 상측에 형성된 둘레홈(도면부호 미도시)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이너 바디(210)의 상측에는 상기 토출부(140)가 형성된 제4이너 바디(240)가 일체로 연결된다.
제4이너 바디(240)는 상측이 헤드부(100)와 결합된다.
제4이너 바디(240)의 하측 내주면에는 상기 걸림플랜지(243a)가 형성된다.
이로 인해 이너 바디(200)에는 걸림플랜지(243a)에 둘러싸인 개폐유로(203)가 형성된다.
또한, 도 6과 도 7처럼 토출관(11)과 결합된 상태를 기준으로, 이너 바디(200)에는 제1이너 바디(210)와 제2이너 바디(220)에 둘러싸인 제1유로(205)가 형성된다.
개폐유로(203)의 상측은 토출부(140)와 연통되고, 하측은 제1유로(205)와 연통된다.
걸림플랜지(243a)에 유로덮개(700)가 접촉 또는 걸리면 개폐유로(203)가 폐쇄되어 음료가 노즐 외부로 공급되지 않는다.
본 실시 예에서 유로덮개(700)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된 오링이다. 보다 자세하게 유로덮개(700)는 도 6, 도 7과 같은 수직 단면의 형상이 사각형이다. 따라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유로덮개(700)의 상면과 걸림플랜지(243a)의 하면이 밀착되어 개폐유로(203)가 보다 확실하게 폐쇄된다.
걸림플랜지(243a)의 상면은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걸림플랜지(243a)의 내측에 형성된 유로의 내경은 유로덮개(700)의 외경보다 작다.
제4이너 바디(240)는 외측 하면에 제1오링(101)이 걸린다.
한편, 제4이너 바디(240)에는 연결대(150)와 가이드홈(160)이 형성된다.
상기 토출부(140)는 복수의 연결대(150) 사이에 배치된다.
토출부(140)는 좌우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구멍이다.
연결대(150)는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 연결대(150)의 상하 길이가 토출부(140)의 상하 길이와 같다.
토출부(140)는 복수 개의 연결대(150)들 사이에 형성된다.
연결대(150)는 제4이너 바디(240)의 중심축에 대해 방사상으로 6 개가 형성된다.
6 개의 연결대(150) 중 4 개는 2 개씩 서로 가까이 형성되어 1 개의 가이드홈(160)을 형성한다. 따라서 1 개의 노즐 당 총 2 개의 가이드홈(160)이 형성된다.
가이드홈(160)은 상부와 내외측이 개방된 홈이다.
가이드홈(160)에는 후술될 연결축(341)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수용된다.
나머지 2 개의 연결대(150)는 양측에 토출부(140)가 배치되며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후술될 연결축(341)이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2 개의 가이드홈(160)은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홈(160)으로도 음료가 토출될 수 있다. 즉 가이드홈(160)은 토출부 역할을 할 수 있다.
토출부(140)는 제4이너 바디(240)의 중심축에 대해 방사상으로 4 개가 형성된다.
제3이너 바디(230)에는 상면이 움푹 파져 상기 스프링 삽입부(237)가 형성된다.
스프링 삽입부(237)는 측부의 일부와 상부가 개방되어 있다.
이때 상기 스프링 삽입부(237)의 측부의 일부는 배수홀(236)과 연통된다.
스프링 삽입부(237)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양측면(도면부호 미도시), 상기 양측면의 하단에 연결된 오목한 'U'자 형태의 하면(도면부호 미도시)에 의해 형성되는 홈이다.
제3이너 바디(230)의 하면에는 제2오링(201)이 삽입되는 홈(도면부호 미도시)이 형성된다.
제2오링(201)에 의해 배수홀(236)을 통해 배출된 음료가 이너 바디(200)의 내측, 즉 토출관(11) 측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제3이너 바디(230)의 외주면 중 상측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위치유지돌기(235)가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 위치유지돌기(235)는 1 개의 아우터 바디(300) 중 양측에 1 개씩, 총 2 개가 형성된다.
위치유지돌기(235)는 제3아우터 바디(330)의 후술될 수용부(331)에 삽입 수용되며, 보다 자세한 것은 후술하도록 한다.
제2오링(201)이 배치되는 상기 홈(도면부호 미도시)과 스프링 삽입부(237)는 상하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한편, 전술된 구성을 갖는 제3이너 바디(230)는 제2오링수용홈(도면부호 미도시)과 스프링 삽입부(237)를 기준으로 내측(231)과 외측(233)으로 나눌 수 있다.
상기 배수홀(236)은 제3이너 바디(230)의 외측(233) 상면의 일부분이 움푹 파져 형성된 것이다.
배수홀(236)은 상측과 내외측부가 개방된다.
본 실시 예에서 배수홀(236)은 이너 바디(200)의 중심축에 대해 방사상으로 4 개가 서로 등간격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 아우터 바디(300) ---
아우터 바디(300)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관 형상이다.
아우터 바디(300)는 이너 바디(200)의 상측 및 외측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아우터 바디(300)는 제1,2이너 바디(210,220)의 외측에 위치되는 제1아우터 바디(310)와, 제1아우터 바디(310)의 외면 하측에서 측방으로 연장된 제2아우터 바디(320)와, 제2아우터 바디(320)의 외측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제3아우터 바디(330)를 포함한다.
제1아우터 바디(310)의 직경 방향 두께는 제3아우터 바디(330)의 직경 방향 두께보다 작다.
제1아우터 바디(310)의 내면의 상측에는 돌출부(311)가 형성된다.
돌출부(311)는 제1아우터 바디(310)의 상면과 연결된다.
토출부(140) 개방시 후술될 통로(500)를 통한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돌출부(311)가 제1오링(101)과 확실히 접촉되어야 하므로, 돌출부(311)의 상하 방향 길이는 제1오링(101)의 직경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장착부(323)의 하측에는 상기 리턴 스프링(400)이 배치된다. 따라서 동력 없이 음료 용기(50)의 자체 무게만으로 리턴 스프링(400)이 압축 변형되어 음료 주입에 문제가 없을 정도로 토출부(140)와 개폐유로(203)가 개방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노즐이 적용된 음료 주입장치의 사용이 용이하다.
한편 제2아우터 바디(320)에는 음료 용기(50)가 장착될 수 있는 장착부(323)가 형성된다.
장착부(323)는 제1아우터 바디(310)의 외면과 제2아우터 바디(320)의 움푹 들어간 상면과 후술될 뾰족한 외측(321)에 둘러싸여 형성된 공간이다.
제2아우터 바디(320)의 상면에는 제3오링(301)이 삽입되는 홈(도면부호 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홈은 제1아우터 바디(310)의 외면과 연결된다. 따라서 제3오링(301)은 제1아우터 바디(310)와 주입구(51) 사이로 발생될 수 있는 누수를 방지한다.
한편 제2아우터 바디(320)의 상면 중 상기 뾰족한 외측(321)은 상측으로 뾰족하게 돌출된 형상이다.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면을 기준으로, 뾰족한 외측(321)의 단면은 대략 삼각형이다. 따라서 음료 용기(50)의 주입구(51)는 제1아우터 바디(310)와 상기 뾰족한 외측(321)에 걸려 장착 위치가 잘 유지될 수 있다.
뾰족한 외측(321)의 외면과 연결된 제2아우터 바디(320)의 외면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경사진 면으로 형성된다.
제3아우터 바디(330)의 내주면의 일지점에는 이너 바디(200)의 상기 위치유지돌기(235)가 수용되는 수용부(331)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다.
수용부(331)의 원주 방향 길이는 위치유지돌기(235)의 폭과 같거나 위치유지돌기(235)의 직경보다 조금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위치유지돌기(235)가 수용부(331)에 수용되면 이너 바디(200)와 아우터 바디(300)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될 수 없다. 따라서 리턴 스프링(400)과 아우터 바디(300)가 부딪혀 이들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제1오링(101)과 돌출부(311)의 접촉 해제가 방지된다.
한편 제3아우터 바디(330)의 하면은 음료 주입장치 본체(10)의 상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어 틈새(도면부호 미도시)가 형성된다. 따라서 배수홀(236)을 통해 배출된 음료 등의 이물질이 상기 틈새를 통해 노즐의 외부 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어 노즐과 음료 주입장치가 청결하게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제1아우터 바디(310)의 내측에는 플런저(600)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결합되는 플런저지지부가 일체로 형성된다.
플런저지지부는 제1아우터 바디(310)를 가로지르며 내주면에 연결되는 연결축(341)과, 연결축(341)의 중앙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3단의 결합축을 포함한다.
3단의 결합축은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며, 연결축(341)과 연결된 상측지지축(343), 유로덮개(700)에 끼워지는 삽입축(345), 플런저(600)에 끼워지는 플런저축(347)을 포함한다.
--- 플런저(600) ---
플런저(600)는 대략 원추 형상이되, 상측 일부는 외경이 일정한 원기둥 형상이다.
플런저(600)의 상측에는 삽입축(345)과 플런저축(347)이 삽입되는 중앙홈(610)이 형성되고, 그 주위를 둘러싸도록 유로덮개(700)의 일부가 삽입되는 홈(620)이 형성된다. 따라서 유로덮개(700)는 상측지지축(343)과 플런저(600) 사이에 낀 상태가 되어 플런저(600)나 플런저지지부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플런저(600)의 상기 상측 일부의 외주면에는 중심축에 대해 방사상으로 4 개의 센터맞춤돌기(601)가 형성된다.
서로 마주보는 센터맞춤돌기(601)의 양단의 폭은 토출관(11)의 내경과 유사하게 형성되며, 이로 인해 승하강하는 플런저(600)의 흔들림이 최소화되고, 플런저(600)의 제위치, 즉 센터가 유지될 수 있다.
--- 리턴 스프링(400) ---
본 실시 예의 리턴 스프링(400)는 코일 스프링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코일이 약 4 번 감겨 있으나, 이와 다르게 할 수도 있다.
상기 리턴 스프링(400)은 상기 이너 바디(200)와 상기 아우터 바디(300) 사이에 배치된다. 보다 자세하게 리턴 스프링(400)은 상하 방향으로 압축 또는 인장될 수 있도록 스프링 삽입부(237)에 배치된다. 따라서 리턴 스프링(400)의 상측에 아우터 바디(300)가 위치되고, 리턴 스프링(400)의 하측에 이너 바디(200)가 위치되므로, 리턴 스프링(400)은 노즐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원활하게 작동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리턴 스프링(400)의 상단은 제2아우터 바디(320)의 하면과 접촉되고, 하단은 스프링 삽입부(237)를 형성하는 상기 하면과 접촉된다.
음료 용기(50)가 아우터 바디(300)에 장착되면 음료 용기(50)의 주입구(51)와 밸브(53)의 무게가 바로 하측에 배치된 리턴 스프링(400)에 하중으로 작용하므로, 리턴 스프링(400)이 용이하게 압축되며 이로 인해 토출부(140)가 잘 개방된다.
--- 헤드(100) ---
헤드(100)는 대략 원판 형상이다.
헤드(100)는 이너 바디(200)와 끼움 결합된다.
헤드(100)에는 이너 바디(200)의 상단을 둘러싸는 플랜지가 형성된다.
상기 헤드(100)는 아우터 바디(300)의 상측에 결합되어 아우터 바디(300)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다.
또한 헤드부(100) 플랜지의 외경은 제1아우터 바디(310)의 내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토출부(140)가 폐쇄되었을 때, 헤드부(100) 플랜지의 하면과 제1아우터 바디(310)의 상면이 접촉되므로 헤드(100)와 아우터 바디(300) 사이로 누수가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리턴 스프링(400)에 의해 상측으로 밀려난 아우터 바디(300)는, 제1아우터 바디(310)가 헤드부(100) 플랜지의 하면에 걸려 위치가 유지된다. 따라서 아우터 바디(300)는 추가 구성 없이도 다른 구성들과의 위치 관계가 유지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노즐의 생산과 사용이 용이하다.
한편, 상기 아우터 바디(300)는 상기 이너 바디(200)의 외측에 위치된다.
이때, 노즐에는 제1,2이너 바디(210,220)의 외주면과 제1아우터 바디(310)의 내주면이 이격되어 이들에 둘러싸인 통로(500)가 형성된다.
상기 통로(500)는 상기 토출부(140)와, 상기 배수홀(236)과 연통된 상기 삽입부에 연통된다.
한편, 상기 통로(500)에는 제1오링(101)이 설치되고, 상기 아우터 바디(300)에는 제1오링(101)과 접촉될 수 있는 돌출부(311)가 형성된다.
이로 인해 도 6과 같이 토출부(140)가 폐쇄된 상태일 때, 제1아우터 바디(310)의 돌출부(311)는 토출부(140)의 측부에 위치되고, 제1오링(101)과 제1아우터 바디(310)의 내면이 이격된다. 이로 인해 제1오링(101)과 제1아우터 바디(310)가 접촉되지 않아 상기 통로(500)가 개방된다. 이때 토출부(140)와 주입구멍(51a) 사이에 음료가 잔류되어 있다면, 잔류 음료가 개방된 통로(500)를 통해 스프링 삽입부(237) 및 배수홀(236)로 유도된 후 아우터 바디(300)와 음료 주입장치의 상면 사이의 상기 틈새를 통해 노즐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어 노즐을 청결하게 할 수 있다.
도 7과 같이 토출부(140)가 개방된 상태일 때, 제1아우터 바디(310)의 돌출부(311)는 제1결합부(121)의 측부에 위치된다. 이로 인해 상기 토출부(140)가 개방되도록 상기 아우터 바디(300)가 이동하면 돌출부(311)가 제1오링(101)을 누르면서 제1오링(101)과 접촉되어 상기 통로(500)가 폐쇄된다. 따라서 토출부(140)를 통해 토출된 음료가 헤드부(100)와 아우터 바디(300)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바디의 상측에서부터 방지하므로 노즐을 청결하게 할 수 있다.
-----------------
한편, 본 발명의 노즐은 구조상 음료가 누수될 수 있는 부위, 보다 자세하게는 이너 바디(200)와 아우터 바디(300) 사이의 통로(500), 이너 바디(200)와 음료 주입장치 사이, 음료 용기(50)의 주입구(51)와 아우터 바디(300) 사이에 각각 오링(101,201,301,401)들이 배치되므로, 노즐 내부의 수밀, 노즐과 음료 주입장치 간에 수밀, 노즐과 음료 용기(50)간에 수밀이 이루어진다.
본 실시 예의 오링(101,201,301,401)들은 모두 실리콘(Silicon) 재질로 형성된다.
도 6와 같이 측면에서 볼 때, 제4오링(401)의 단면은 사각형이고, 제1오링(101), 제2오링(201), 제3오링(301)의 단면은 원형이다.
--- 작동 예 ---
이하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노즐이 적용된 음료 주입장치를 이용하여 음료 용기(50)에 음료를 주입시키는 작동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노즐은 음료 주입장치의 토출관(11)을 둘러싸도록 음료 주입장치의 본체(10)에 장착된다.
도 6과 같이 노즐에 음료 용기(50)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일 때, 리턴 스프링(400)의 탄성력이 이너 바디(200)와 아우터 바디(300)에 작용한다. 이때 아우터 바디(300)는 리턴 스프링(400)의 탄성력에 의해 상측으로 밀려나 헤드(100)에 걸린 상태가 되어 토출부(140)를 가리므로, 토출부(140)가 폐쇄된다. 이와 동시에, 아우터 바디(300)와 함께 플런저(600)가 상측으로 이동한 상태이므로 유로덮개(700)가 걸림플랜지(243a)와 접촉되어 개폐유로(203)도 폐쇄된다. 따라서 노즐 외부로 음료가 토출되지 않고, 노즐 및 토출관(11)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이 방지된다.
이러한 도 6의 상태에서 음료 용기(50)를 노즐의 장착부(323)에 장착시키면, 도 7과 같이 음료 용기(50)의 무게가 이너 바디(200)에 가해져 리턴 스프링(400)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리턴 스프링(400)이 압축되므로, 아우터 바디(300)는 하측으로 이동하고 아우터 바디(300)와 헤드부(100)가 이격되어 제1아우터 바디(310)에 의해 폐쇄되어 있던 토출부(140)가 개방된다. 이와 동시에, 아우터 바디(300)와 함께 플런저(600)가 하측으로 이동하여 유로덮개(700)와 걸림플랜지(243a)가 이격되어 개폐유로(203)가 개방된다. 따라서 노즐을 통해 음료가 토출될 수 있다.
개방된 개폐유로(203) 및 토출부(140)는 상기 음료 용기(50)의 상기 주입구멍(51a)과 연통되고, 상기 주입구멍(51a)은 상기 용기 본체(10)의 음료 수용부(도면 부호 미도시)와 연통된다.
한편, 아우터 바디(300)와 마찬가지로 리턴 스프링(400)의 탄성력이 작용하는 이너 바디(200)는 하측이 음료 주입장치에 막혀 있으므로 아우터 바디(300)와 달리 이동하지 않는다.
이후, 도 7의 상태에서 상기 음료 주입장치를 조작하면 상기 음료 주입장치의 공급 수단(도면 부호 미도시)을 통해 음료가 도 7의 화살표 방향대로 상기 토출관유로(11a), 제1유로(205), 개폐유로(203), 토출부(140), 주입구멍(51a)을 차례대로 통과한 후 상기 음료 수용부(도면부호 미도시)로 주입될 수 있다. 이때 노즐의 상측이 헤드부(100)에 막혀 있으므로 토출관유로(11a)를 통해 상측으로 올라온 음료는 흐름이 토출부(140) 측으로 변경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노즐을 하부 주입용 음료 주입장치와 음료 용기(50)에 적용 및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00 : 헤드 101 : 제1오링
140 : 토출부 150 : 연결대
200 : 이너 바디 201 : 제2오링
203 : 개폐유로 210 : 제1이너 바디
220 : 제2이너 바디 230 : 제3이너 바디
235 : 위치유지돌기 236 : 배수홀
237 : 스프링 삽입부 243a : 걸림플랜지
300 : 아우터 바디 301 : 제3오링
310 : 제1아우터 바디 311 : 돌출부
320 : 제2아우터 바디 323 : 장착부
330 : 제3아우터 바디 331 : 수용부
400 : 리턴 스프링 500 : 통로
600 : 플런저 700 : 유로덮개
10 : 음료 주입장치 11 : 토출관
50 : 음료 용기 51 : 주입구
51a : 주입구멍 53 : 밸브

Claims (3)

  1. 음료 주입장치에 구비되어 저장부에 저장된 음료가 토출되는 노즐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음료 주입장치와 결합되며 음료 토출부가 형성된 이너 바디;
    상기 토출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이너 바디의 외측에 배치되는 아우터 바디;
    상기 이너 바디의 내측에 형성된 걸림플랜지에 의해 형성된 개폐유로;
    상기 아우터 바디에 지지되어 상기 개폐유로의 하측에 배치되는 플런저;
    상기 플런저에 결합되어 상기 플런저와 상기 걸림플랜지 사이에 배치되는 유로덮개;
    상기 아우터 바디에 상방으로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아우터 바디와 상기 플런저를 상승시킴에 따라 상기 걸림플랜지와 상기 유로덮개가 서로 접촉되어 상기 개폐유로를 폐쇄시키는 리턴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음료 주입장치용 노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로덮개의 외경 및 상기 플런저의 외경은 상기 개폐유로의 직경보다 큰 음료 주입장치용 노즐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바디에 형성되어 상기 플런저와 결합되는 플런저지지부;
    상기 플런저지지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플런저에 형성되는 홈;을 더 포함하되,
    상기 유로덮개는 링 형상이며,
    상기 유로덮개는 상기 플런저지지부가 관통 삽입되어 상하측이 상기 플런저지지부와 상기 플런저에 둘러싸이는 음료 주입장치용 노즐



KR1020190042069A 2019-04-10 2019-04-10 음료 주입장치용 노즐 KR1022068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069A KR102206826B1 (ko) 2019-04-10 2019-04-10 음료 주입장치용 노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069A KR102206826B1 (ko) 2019-04-10 2019-04-10 음료 주입장치용 노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9625A true KR20200119625A (ko) 2020-10-20
KR102206826B1 KR102206826B1 (ko) 2021-01-25

Family

ID=73025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2069A KR102206826B1 (ko) 2019-04-10 2019-04-10 음료 주입장치용 노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6826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7109Y1 (ko) * 1997-12-23 2000-04-15 윤순옥 보온병용 마개구조
KR20010079848A (ko) * 1998-09-17 2001-08-22 추후제출 액체 탄산 장치용 안전 장치
US20120211461A1 (en) * 2005-11-21 2012-08-23 David Mitchell Windmiller Bottom fillable bottles and systems for charging the same
KR101333154B1 (ko) * 2012-05-09 2013-11-26 서영이앤티 주식회사 생맥주 자동 정량 주출장치
JP2015510471A (ja) * 2011-12-30 2015-04-09 グリノン・インダストリーズ 流体移送アセンブリ及び流体移送の方法
KR200482767Y1 (ko) 2014-12-01 2017-03-07 (주)제이알피코퍼레이션 음료가 바닥에서 주입되는 음료 용기를 위한 음료 주입 장치
KR101783349B1 (ko) 2016-08-02 2017-10-10 엔피씨(주) 음료 용기 및 하부 주입 음료 용기용 밸브
KR101802358B1 (ko) 2016-03-07 2017-11-28 엔피씨(주) 음료 용기 및 음료 용기용 코어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7109Y1 (ko) * 1997-12-23 2000-04-15 윤순옥 보온병용 마개구조
KR20010079848A (ko) * 1998-09-17 2001-08-22 추후제출 액체 탄산 장치용 안전 장치
US20120211461A1 (en) * 2005-11-21 2012-08-23 David Mitchell Windmiller Bottom fillable bottles and systems for charging the same
US8827106B2 (en) * 2005-11-21 2014-09-09 David Mitchell Windmiller Bottom fillable bottles and systems for charging the same
JP2015510471A (ja) * 2011-12-30 2015-04-09 グリノン・インダストリーズ 流体移送アセンブリ及び流体移送の方法
KR101333154B1 (ko) * 2012-05-09 2013-11-26 서영이앤티 주식회사 생맥주 자동 정량 주출장치
KR200482767Y1 (ko) 2014-12-01 2017-03-07 (주)제이알피코퍼레이션 음료가 바닥에서 주입되는 음료 용기를 위한 음료 주입 장치
KR101802358B1 (ko) 2016-03-07 2017-11-28 엔피씨(주) 음료 용기 및 음료 용기용 코어 어셈블리
KR101783349B1 (ko) 2016-08-02 2017-10-10 엔피씨(주) 음료 용기 및 하부 주입 음료 용기용 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6826B1 (ko) 2021-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3349B1 (ko) 음료 용기 및 하부 주입 음료 용기용 밸브
JP5415527B2 (ja) 流体移送アセンブリおよび流体移送方法
CN107580585B (zh) 饮料供给器和饮料供给器组件
KR100786962B1 (ko) 흡입관을 갖는 탄산 음료 용기를 위한 유출 방지 유량 제어부재
JP6430430B2 (ja) ウォーターサーバー用ボトルキャップ
KR200482767Y1 (ko) 음료가 바닥에서 주입되는 음료 용기를 위한 음료 주입 장치
KR102206826B1 (ko) 음료 주입장치용 노즐
CN105822801A (zh) 一种单向阀及应用该单向阀的料理机
US9656850B2 (en) Device and method for preventing the overflow of a fluid reservoir
KR20100004545A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보온병
US20090242586A1 (en) Water intake safeguard for bottled water dispensers
KR102128726B1 (ko) 음료 주입장치용 노즐
JPH11262704A (ja) 正倒立両用の液体噴出器
KR20050017917A (ko) 냉 온수기
CN216060072U (zh) 一种简易自动出水茶具
KR200341026Y1 (ko) 음료취출기용 밸브
KR102259882B1 (ko) 음료 주입용 디스펜서 및 그 제어방법
KR101909584B1 (ko) 용기 주입구 밀봉 및 주입장치
KR101656422B1 (ko) 바닥을 통해 음료 주입이 이루어지는 음료 용기
KR200378398Y1 (ko) 애완동물용 급수통
KR102012269B1 (ko) 폐쇄된 밸브가 누수를 제거할 경우 자동으로 개방된 상태로 변환되는 누수감지 차단밸브
RU115346U1 (ru) Перепускной кран для выдачи напитка из емкости
KR102566986B1 (ko) 음료 공급기용 토출 유닛
KR101157492B1 (ko) 음료 용기 마개
KR200351520Y1 (ko) 파우치내의 음료원액 배출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