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9337A - 광중합성 조성물, 광중합성 코팅제, 적층체 및 편광판 - Google Patents

광중합성 조성물, 광중합성 코팅제, 적층체 및 편광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9337A
KR20140089337A KR1020147006258A KR20147006258A KR20140089337A KR 20140089337 A KR20140089337 A KR 20140089337A KR 1020147006258 A KR1020147006258 A KR 1020147006258A KR 20147006258 A KR20147006258 A KR 20147006258A KR 20140089337 A KR20140089337 A KR 201400893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cyclic
ring
film
skele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6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6193B1 (ko
Inventor
신지 이시자키
쥰지 오카모토
사토코 니와
마사시 코이데
나오히로 하마다
Original Assignee
토요잉크Sc홀딩스주식회사
토요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1184037A external-priority patent/JP530485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2080883A external-priority patent/JP5824747B2/ja
Application filed by 토요잉크Sc홀딩스주식회사, 토요켐주식회사 filed Critical 토요잉크Sc홀딩스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40089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93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6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61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 C08G59/20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characterised by the epoxy compounds used
    • C08G59/22Di-ep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3Improving the adhesiveness of the coatings per se, e.g. forming pri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epoxy resin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4/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D183/00 - C09D183/16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4/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D183/00 - C09D183/16
    • C09D4/06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in combination with a macromolecular compound other than an unsaturated polymer of groups C09D159/00 - C09D187/00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046Photosensitive materials with perfluoro compounds, e.g. for dry lithograph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38Macromolecular compounds which are rendered insoluble or differentially wettable

Abstract

3원환상의 옥시란 화합물(A)과, 2개 이상의 산소원자를 갖는 4원환 이상의 환상 화합물(B1), 1개 이상의 산소원자 및 1개 이상의 황원자를 갖는 4원환 이상의 환상 화합물(B2), 및 적어도 1개의 환상 구조와 수산기를 모두 갖는 분자량 500 이하의 화합물(C)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중합성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광중합성 조성물, 광중합성 코팅제, 적층체 및 편광판{PHOTOPOLYMERIZABLE COMPOSITION, PHOTOPOLYMERIZABLE COATING AGENT, LAMINATE, AND POLARIZING PLATE}
본 발명은, 광중합성 조성물, 이것을 이용한 코팅제, 적층체 및 편광판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일렉트로닉스의 비약적인 진보에 따라, 액정 디스플레이(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P), 리어 프로젝션 디스플레이(RPJ), EL 디스플레이(ELD),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등의 다양한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FPD)가, 다양한 분야에서 표시장치로서 사용되게 되었다. 예를 들어, 이들 FPD는, 퍼스널 컴퓨터의 디스플레이나 액정 텔레비전을 비롯해 실내에서 사용될 뿐만 아니라, 차 네비게이션용 디스플레이 등과 같은 차량에 탑재되어 사용된다.
이러한 표시장치에는, 통상, 외부 광원으로부터의 반사를 방지하기 위한 반사방지필름이나, 표시장치의 표면의 흠집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필름(프로텍트 필름) 등, 용도에 따라 다양한 필름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LCD를 구성하는 액정셀용 부재의 경우에는, 편광판이나 위상차 필름이 적층되어 있다.
또한, 이들, 반사방지필름이나, 표시장치의 표면의 흡집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필름(프로텍트 필름) 등, 특히 PDP, LCD, ELD 등의 표면이 플랫한 화상표시장치에 이용되는 코팅필름은, 광학특성 이외에도, 내찰상성, 연필경도, 내약품성, 내후성 등이 요구되기 때문에, 통상, 열경화형 수지, 혹은 자외선 경화형 등의 광중합성 수지를 투명기판 상에 직접, 혹은 프라이머층을 통해 4~20㎛ 정도의 얇은 도막을 형성하여 제조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코팅필름은, 그 코팅층의 경도가 충분한 것이어도, 그 도막두께가 얇은 것에 기인하여, 하지의 투명기판이 변형된 경우에, 그에 따라 코팅층도 변형되어, 코팅필름 전체적으로 경도가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코팅층의 두께를 통상의 0.5~20㎛보다 단지 두껍게 하면, 얻어진 코팅필름의 경도는 향상되지만, 코팅층의 균열이나 박리가 일어나기 쉬워짐과 동시에 경화 수축에 의해 코팅필름의 컬(curl)이 커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코팅층의 경도를 더욱 향상시킬 목적으로, 광중합성 수지의 가교율을 높이는 방법도 있으나 마찬가지로 코팅필름의 컬이 커진다.
컬이 크면, 다음 공정인 디스플레이 표면에 접합하는 공정에서의 생산성, 혹은 접합 후의 내구성 등을 현저하게 저하시키기 때문에, 투명기판 상에 코팅층을 마련하는 경우에는, 코팅층의 두께, 광중합성 수지의 가교율을 제한해야만 한다. 그러므로, 다음 공정에 지장을 주지 않는 코팅층의 두께에서는, 연필경도는 2H~3H가 한도가 되는 경우가 많았다.
낮은 컬과 높은 연필경도를 양립시키기 위해, 투명필름 혹은 시트 기재(基材)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광중합성 수지의 비커스 경도를 규정하여, 2층의 코팅층을 마련하는 수법이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그러나, 이 수법은 광중합성 조성물만을 사용하면, 컬이 커진다고 기재되어 있으며, 컬을 개선하기 위해 코팅층에 실리카 등의 미립자를 함유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미립자를 함유하는 코팅층에서는 필름의 투과율이 저하되기 때문에, 각종 화상표시장치에 사용하면, 콘트라스트가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나아가, FPD는, 표시장치로서 이용할 뿐만 아니라, 그 표면에 터치패널의 기능을 마련하여, 입력장치로서 이용되는 경우도 있다. 터치패널에도, 보호필름, 반사방지필름이나 ITO 증착 수지필름 등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표시장치에는, 액정층을 배면(背面)으로부터 비추어 발광시키는 백라이트 방식이 보급되어, 액정층의 하면측에 에지라이트형, 직하형 등의 백라이트 유닛이 장비되어 있다. 이러한 에지라이트형 백라이트 유닛은, 기본적으로는 광원으로서의 선상(線狀) 램프와, 램프에 단부(端部)가 따르도록 배치되는 방형판상의 도광판과, 도광판의 표면측에 배설(配設; 배열설치)되는 광확산 시트와, 광확산 시트의 표면측에 배설되는 프리즘 시트를 구비하고 있다. 최근에는, 광원에 냉음극관으로부터 색재현성이나 전력 절전이 우수한 발광 다이오드(LED)가 사용되게 되었으므로, 내열성이나 치수안정성의 요구가 더욱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필름은, 접착제를 통해 피착체에 접착하여 표시장치에 사용되고 있다. 표시장치에 이용되는 접착제는, 우선 투명성이나 내열성이 우수할 것이 요구되므로, 아크릴계 수지를 주제(主劑)로 하는 용제 함유의 2액 경화형 접착제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각종 필름 중, 편광필름은, 폴리비닐알코올(PVA)계 편광자의 양면을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계나 시클로올레핀(COP)계 보호필름으로 끼워 수계 접착제로 접합한 3층 구조가 일반적이다. 이 때문에, 편광필름에서는, 각 층을 구성하는 재료의 치수변화 특성이 상이하므로, 온도나 습도의 변화에 따른 치수변화에 의한 휨이 발생하기 쉽다.
TAC계 필름은, 투습도가 높으므로 수계 접착제를 사용하고, 수분을 휘발시키지 않고 그대로 PVA계 편광자에 겹친 상태로, 물을 건조시키면서 접착할 수 있다.
보호필름으로는 TAC계 필름 대신에, 저비용이거나, 투명성 등의 광학특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폴리염화비닐계 필름, 폴리카보네이트계 필름, 아크릴계 필름, 비결정성 폴리올레핀계 필름이나 시클로올레핀계 필름 등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2, 3, 4). 이들 보호필름은, TAC계 필름보다 소수성인 것과, 투습도가 낮기 때문에, PVA계 편광자에 겹치기 전에 물을 충분히 건조시킬 필요가 있으나, 물이 쉽게 남고, 물이 남으면, 접착강도 부족이나 외관 불량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에, 폴리비닐알코올계와 소수성 보호필름을 접합하기 위해, 수계 접착제 대신에 광중합성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그런데, 액정표시장치용 편광판은 점착제층을 통해 액정셀에 붙여진다. 이때 이물 혼입 등의 접합 미스가 생긴 경우, 편광판을 박리하여 액정셀을 재이용한다. PVA계 편광자와 보호필름의 접착력이 충분하지 않으면, 편광판의 박리시에 PVA계 편광자와 보호필름 사이가 박리되어, 액정셀에 보호필름이 남아버려 액정셀을 재이용할 수 없게 된다. 그 때문에, PVA계 편광자와 보호필름 사이의 접착력은, 편광판과 액정셀을 접합하기 위한 점착제의 점착력보다 높은 것이 요구되고, 나아가 PVA계 편광자와 보호필름을 박리할 수 없게 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액정표시장치는 고온하나 고습도하 등의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되므로, 편광판에도 매우 엄격한 습열내성이 요구된다. PVA계 편광자와 보호필름의 접착력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 고온 고습도하에 장시간 노출되면(습열폭로) PVA계 편광자의 치수변화에 의해, PVA계 편광자와 보호필름 사이에서 박리가 발생한다.
일본특허공개 2004-245925(특허문헌 5)에는, 방향환을 포함하지 않는 옥시란계 수지로서 수소화(수첨이라고도 함) 비스페놀형 옥시란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접착제가 개시되어 있으며, 가열 또는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한 광중합에 의한 접착법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5에 기재된 접착제는 매우 고점도여서, 도공성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특허문헌 5에 기재된 접착제와 같이 수소화 비스페놀형 옥시란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면,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폴리염화비닐계 필름, 폴리카보네이트계 필름, 아크릴계 필름 등의 보호필름을 이용한 경우, 이들 보호필름에는 전혀 접착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런데, PVA계 편광자와 보호필름을 접착하는 접착제층의 두께는, 광의 투과율을 높이기 위해서나, 비용을 낮추기 위해 가능한 한 얇은 것이 요구된다. 구체적으로는 접착제층은, 0.1~6㎛의 두께로 평활한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박막의 접착제층을 공업적으로 마련하려면, 광학접착제를 도공할 때 마이크로 그라비어 코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경 그라비어 코터는, 보다 촘촘한 요판을 이용함으로써 박막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접착제의 점도가 높으면, 가능한 한 촘촘한 요판(예를 들어 500선/인치)을 이용해도, 0.1~6㎛의 두께의 접착제층을 형성할 수 없다.
따라서, 0.1~6㎛의 두께의 접착제층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접착제의 점도를 1~1500mPa·s로 할 필요가 있다.
일본특허공개 2008-63397호 공보(특허문헌 6)에는, 지방족 옥시란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비교적 저점도의 접착제가 개시되어 있으며, 가열 또는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한 광중합에 의한 접착법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5에 기재된 접착제를 이용하면, 습열폭로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PVA계 편광자와 TAC계 필름, PVA계 편광자와 시클로올레핀계 필름을 충분한 강도로 접착할 수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6에 기재된 접착제를 이용한 경우, 습열폭로되면 PVA계 편광자와 어느 하나의 보호필름의 사이, 혹은 PVA계 편광자와 양 보호필름 사이에서 박리가 발생한다.
또한, 특허문헌 6에 기재된 접착제와 같이 지방족 옥시란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면,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폴리염화비닐계 필름, 폴리카보네이트계 필름, 아크릴계 필름 등의 보호필름을 이용한 경우, 이들 보호필름에는 전혀 접착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었다.
일본특허공개 2008-257199호 공보(특허문헌 7)에는, 분자내에 1개 이상의 지환식 에폭시기를 갖는 다관능의 옥시란 수지와, 분자내에 지환식 환에 결합된 3원환상 에테르기를 갖지 않는 다관능의 옥시란 수지를 포함하는 접착제가 개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지환식 에폭시 수지는, 광경화성이 좋으나 점도가 200mPa·s 이상으로 높다.
한편, 지환식 환에 결합된 3원환상 에테르기를 갖지 않는 다관능 옥시란 수지는, 광경화성은 낮지만 100mPa·s 이하라고 하는 저점도의 것이 있다. 그 때문에 박막 도공을 하기 위하여 접착제 점도를 낮추고자 한다면, 지환식 환에 결합된 3원환상 에테르기를 갖지 않는 다관능 옥시란 수지 함유량을 증가시키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나, 그 결과, 경화성이 저하되어, 밀착성 불량이나 습열폭로되면 PVA계 편광자와 보호필름 사이에서 박리가 발생한다.
한편, 경화성을 유지하고자 한다면, 지환식 환에 결합된 3원환상 에테르기를 갖는 수지를 증가시키지 않으면 안되고, 접착제 점도가 높아져, 그 결과, 박막 도공을 할 수 없게 된다.
나아가, 지환식 에폭시 수지를 증가시키면,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폴리염화비닐계 필름, 폴리카보네이트계 필름, 아크릴계 필름 등의 보호필름을 이용한 경우, 이들 보호필름에는 전혀 접착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접착제의 점도를 저하시키기 위해, 유기용제를 이용하여 희석한다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유기용제를 이용하면, 도공설비를 방폭사양으로 하거나, 특별한 용제 회수장치를 설치하지 않으면 안되게 된다.
이에, 편광판 형성용의 광중합성 접착제에는, 실질적으로 유기용제를 함유하지 않는 상태로 저점도인 것이 요구된다.
또한, 최근에는 생산속도를 높이기 위해, 저노광량으로 경화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 문헌 5~7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실질적으로 1000mJ/㎠ 이상의 적산광량이 필요하여 생산효율이 나빴다.
또한 특허문헌 8에는 3원환상의 옥시란 화합물, 광중합 개시제 및 페놀계 레졸 또는 수산기 함유 화합물로 이루어진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8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광학용 필름을 적층한 경우, 광학용도에 요구되는 내열성, 내습열성을 만족시킬 수는 없었다.
일본특허공개 2000-127281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2001-324616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2009-300768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2007-140092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2004-245925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2008-63397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2008-257199호 공보 일본특허공표 2005-520007호 공보
저조도에서도 우수한 경화성을 가지며, 경화했을 때에 우수한 내열성, 내습성, 열적 치수안정성, 내후성 등을 갖는 광중합성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각종 광학필름의 접합에 있어서, 각종 광학필름의 종류에 불문하고, 간편하면서 강고하게 접착할 수 있고, 유기용제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고, 저점도이고 박막 도공성이 우수한 광중합성 코팅제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나아가, 펀칭 가공성 및 습열 내구성이 우수한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코팅제란, 기재에 새로운 층을 마련할 수 있는 재료의 총칭으로서, 용도에 따라 접착제, 이접착(易接着; 접착용이) 코팅제, 도료 등으로 실현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이하에 나타내는 광중합성 조성물에 의해, 상기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본 발명의 실시태양은, 3원환상의 옥시란 화합물(A)과, 2개 이상의 산소원자를 갖는 4원환 이상의 환상 화합물(B1), 1개 이상의 산소원자 및 1개 이상의 황원자를 갖는 4원환 이상의 환상 화합물(B2), 및 적어도 1개의 환상 구조와 수산기를 모두 갖는 분자량 500 이하의 화합물(C)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중합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옥시란 화합물(A)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환상 화합물(B1)을 0.5~60중량부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옥시란 화합물(A)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환상 화합물(B2)을 0.5~60중량부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옥시란 화합물(A)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화합물(C)을 0.5~40중량부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옥시란 화합물(A) 100중량부에 대하여, 수분을 0.05~3중량부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옥시란 화합물(A)이, 방향환을 갖는 옥시란 화합물(a-1) 및/또는 3원환상의 옥시란환을 2개 이상 갖는 화합물(a-2)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환상 화합물(B1)이, 환상 에스테르 화합물(b1-1), 환상 포르말(formal) 화합물(b1-2), 및 환상 카보네이트 화합물(b1-3)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환상 에스테르 화합물(b1-1)은, 락톤류(b1-1-1)를 함유하고, 상기 환상 포르말 화합물(b1-2)은, 디옥솔란류(b1-2-1), 디옥산류(b1-2-2) 및 트리옥산류(b1-2-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환상 화합물(B1)이, F원자를 갖는 치환기로 적어도 1 이상 치환되어 있는 함불소 환상 화합물(b1-4)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환상 화합물(B2)이, 환 내에 술폭사이드 골격, 술폰 골격, 설파이트 골격, 설페이트 골격, 술폰산에스테르 골격, 및 티오에스테르 골격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의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합물(C)의 환상 구조가, 시클로알칸류, 시클로알켄류, 벤젠환, 및 2환 이상의 축합 다환류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의 환상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합물(C)은, 수산기가 환 구조에 직접 결합되는 화합물, 및/또는 C1~18의 탄소수를 갖는 알킬렌기를 통해 수산기가 환 구조에 결합되는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합물(C)이, 시클로헥산환, 시클로헥센환, 노보난환, 노보넨환, 아다만탄환, 프탈란(phthalan)환, 쿠마란(coumaran)환, 피페로닐로환, 및 크로만환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의 환상 구조와 수산기를 모두 갖는 화합물(c-1)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합물(c-1)이 시클로헥실알코올, 벤질알코올, 노보난알코올, 아다만탄알코올, 피페로닐알코올, 또는 3,4-메틸렌디옥시페놀인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옥시란 화합물(A) 100중량부에 대하여,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D)을 5~1000중량부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D)이 수산기를 갖는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d-1)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광중합 개시제(E)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E)가, 광조사에 의해 산성 활성종을 발생하는 A+B-로 표시되는 염으로서, 이 양이온 A+이, 방향족 요오드늄 이온 및 방향족 술포늄 이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중합성 조성물은, 실질적으로 유기용제를 함유하지 않고, 23℃에서의 측정점도가 1~1500mPa·S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태양은, 상기 광중합성 조성물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광중합성 코팅제에 관한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태양은, 상기 광중합성 코팅제로 이루어진 층을, 기재(G)의 편면, 또는 양면에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 기재(G)가 투명필름(H)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명필름(H)이 광학필름(I)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학필름(I)이, 아세틸셀룰로오스계 필름, 노보넨계 필름, 아크릴계 필름, 폴리카보네이트계 필름,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또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태양은, 상기 적층체를, 폴리비닐알코올계 편광자의 편면 또는 양면에 갖는 편광판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태양 I에 관한 것이다.
즉, 본원발명의 실시태양은, 3원환상의 옥시란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고, 또한, 2개 이상의 산소원자를 갖는 4원환 이상의 환상 화합물을 함유하는, 실질적으로 유기용제를 함유하지 않고, 23℃에서의 점도가 1~1500mPa·s인 광중합성 옥시란계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3원환상의 옥시란 화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2개 이상의 산소원자를 갖는 4원환 이상의 환상 화합물을 0.5~60중량부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개 이상의 산소원자를 갖는 4원환 이상의 환상 화합물이, 락톤환, 카보네이트환, 디옥솔란환, 디옥산환 중 적어도 어느 1종의 환상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2개 이상의 산소원자를 갖는 4원환 이상의 환상 화합물이, F원자를 갖는 치환기로 적어도 1개 이상 치환되어 있는, 함불소 환상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원환상의 옥시란 화합물이, 방향환을 갖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원환상의 옥시란 화합물이, 3원환상의 옥시란환을 2개 이상 갖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광중합 개시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중합 개시제가, 광조사에 의해 산성 활성종을 발생하는 A+B-로 표시되는 염으로서, 이 양이온 A+이, 방향족 요오드늄 이온 및 방향족 술포늄 이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원발명의 실시태양은, 상기 광중합성 코팅제를 이용하여, 광학필름을 접착하여 이루어지는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원발명의 실시태양은, 광중합성 코팅제를 이용하여 폴리비닐알코올계 편광자의 편면 또는 양면에 보호필름을 접착하여 이루어지는 편광판에 관한 것이다. 상기 편광판의 보호필름의 적어도 1개가 아세틸셀룰로오스계 필름 또는 노보넨계 필름, 아크릴계 필름, 폴리카보네이트계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태양 II에 관한 것이다.
즉, 본원발명의 실시태양은, 3원환상의 옥시란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고, 또한, 1개 이상의 산소원자 및 황원자를 갖는 4원환 이상의 환상 화합물을 함유하는, 실질적으로 유기용제를 함유하지 않고, 23℃에서의 용액점도가 1~1500mPa·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중합성 옥시란계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주성분인 3원환상의 옥시란 화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1개 이상의 산소원자 및 황원자를 갖는 4원환 이상의 환상 화합물을 0.5~60중량부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개 이상의 산소원자 및 황원자를 갖는 4원환 이상의 환상 화합물이, 환 내에 술폭사이드 골격, 술폰 골격, 설파이트 골격, 설페이트 골격, 술폰산에스테르 골격, 술핀산에스테르 골격, 티오에스테르 골격 중 적어도 어느 1종의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3원환상의 옥시란 화합물이, 방향환을 갖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원환상의 옥시란 화합물이, 3원환상의 옥시란환을 2개 이상 갖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2개 이상의 산소원자를 갖는 4원환 이상의 환상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개 이상의 산소원자를 갖는 4원환 이상의 환상 화합물이, 락톤환, 카보네이트환, 디옥솔란환, 디옥산환, 트리옥산환 중 적어도 어느 1종의 환상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광중합 개시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중합 개시제가, 광조사에 의해 산성 활성종을 발생하는 A+B-로 표시되는 염으로서, 상기 양이온 A+이, 방향족 요오드늄 이온 및 방향족 술포늄 이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원발명의 실시태양은, 상기 광중합성 코팅제를 이용하여, 광학필름을 접착하여 이루어지는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원발명의 실시태양은, 상기 광중합성 코팅제를 이용하여 폴리비닐알코올계 편광자의 편면 또는 양면에 보호필름을 접착하여 이루어지는 편광판에 관한 것이다. 상기 편광판의 보호필름의 적어도 1개가 아세틸셀룰로오스계 필름 또는 노보넨계 필름, 아크릴계 필름, 폴리카보네이트계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원발명은, 이하의 실시태양 III에 관한 것이다.
즉, 본원발명의 실시태양은, 3원환상의 옥시란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고, 2개 이상의 산소원자를 갖는 4원환 이상의 환상 화합물, 및 적어도 1개의 환상 구조와 수산기를 모두 갖는 분자량 500 이하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실질적으로 유기용제를 함유하지 않고, 23℃에서의 용액점도가 1~1500mPa·s인 광중합성 옥시란계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3원환상의 옥시란 화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2개 이상의 산소원자를 갖는 4원환 이상의 환상 화합물을 0.5~60중량부, 적어도 1개의 환상 구조와 수산기를 모두 갖는 분자량 500 이하의 화합물을 0.5~40중량부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개 이상의 산소원자를 갖는 4원환 이상의 환상 화합물이, 환상 에스테르 화합물, 환상 포르말 화합물 및/또는, 환상 카보네이트 화합물이고, 적어도 1종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상 에스테르로는, 락톤류, 환상 포르말 화합물로는, 디옥솔란류, 디옥산류, 트리옥산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적어도 1개의 환상 구조와 수산기를 모두 갖는 분자량 500 이하의 화합물의 환 구조가, 시클로알칸류, 시클로알켄류, 벤젠환, 2환 이상의 축합 다환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적어도 1개의 환 구조와 수산기를 모두 갖는 분자량 500 이하의 화합물의 수산기가, 환 구조에, 직접, 및/또는 C1~18의 탄소수를 갖는 알킬렌기를 통해 1개 이상 치환되어 있는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적어도 1개의 환 구조와 수산기를 모두 갖는 분자량 500 이하의 화합물이, 시클로헥산환, 시클로헥센환, 노보난환, 노보넨환, 아다만탄환, 프탈란(phthalan)환, 쿠마란환, 피페로닐로환, 및 크로만환 중 적어도 1종의 환상 구조와 수산기를 모두 갖는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시클로헥산환, 시클로헥센환, 노보난환, 노보넨환, 아다만탄환, 프탈란(phthalan)환, 쿠마란환, 피페로닐로환, 및 크로만환 중 적어도 1종의 환상 구조와 수산기를 갖는 화합물이 시클로헥실알코올, 벤질알코올, 노보난알코올, 아다만탄알코올, 피페로닐알코올, 또는 3,4-메틸렌디옥시페놀인 것이 바람직하다. 3원환상의 옥시란 화합물이, 방향환을 갖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원환상의 옥시란 화합물이, 3원환상의 옥시란환을 2개 이상 갖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원발명의 실시태양은, 상기 광중합성 옥시란계 수지 조성물에 광중합 개시제를 함유하는 광중합성 코팅제에 관한 것이다. 광중합 개시제가, 광조사에 의해 산성 활성종을 발생하는 A+B-로 표시되는 염으로서, 이 양이온 A+이, 방향족 요오드늄 이온 및 방향족 술포늄 이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원발명의 실시태양은, 상기 광중합성 코팅제를 이용하여, 광학필름을 접착하여 이루어지는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원발명의 실시태양은, 상기 광중합성 코팅제를 이용하여 폴리비닐알코올계 편광자의 편면 또는 양면에 보호필름을 접착하여 이루어지는 편광판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보호필름의 적어도 1개가 아세틸셀룰로오스계 필름 또는 시클로올레핀계 필름, 아크릴계 필름, 폴리카보네이트계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태양 IV에 관한 것이다.
즉, 본원발명의 실시태양은, 3원환상의 옥시란 화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광중합 개시제를 0.5~10중량부를 함유하는 광중합성 조성물에 있어서, 이 광중합성 조성물 100중량부 중에 수분을 0.05~3중량부 함유하고, 또한 실질적으로 유기용제를 함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중합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3원환상의 옥시란 화합물이 지환 구조를 갖는 옥시란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환 구조를 갖는 옥시란 화합물이, 추가로 방향환을 갖는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한 광중합성 조성물이 추가로 2개 이상의 산소원자를 갖는 4원환 이상의 환상 화합물을 옥시란 화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5~60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개 이상의 산소원자를 갖는 4원환 이상의 환상 화합물이, 환상 에스테르 화합물, 환상 포르말 화합물, 환상 카보네이트 화합물 중, 적어도 어느 1종의 환상 구조를 갖는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환상 에스테르 화합물이 락톤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원발명은, 상기, 환상 포르말 화합물이 디옥솔란류, 디옥산류, 트리옥산류 중 적어도 어느 1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을, 옥시란 화합물(A) 100중량부에 대하여, 5~1000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D)이 수산기를 갖는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d1)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산기를 갖는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이 탄소수 2~18인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d1-1)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원발명의 실시태양은, 상기 광중합성 조성물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이접착 코팅제 및/또는 광중합성 접착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원발명의 실시태양은, 상기 광중합성 조성물, 및/또는 이접착 코팅제, 및/또는 광중합성 접착제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광학필름에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 광학필름이 아세틸셀룰로오스계 필름 또는 노보넨계 필름, 아크릴계 필름, 폴리카보네이트계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필름,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원발명의 실시태양은, 상기 광중합성 조성물, 및/또는 이접착 코팅제, 및/또는 광중합성 접착제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폴리비닐알코올계 편광자의 편면 또는 양면에 광학필름을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의 개시는, 2011년 8월 25일에 출원한 일본특허출원 2011-184037, 2011년 12월 21일에 출원한 일본특허출원 2011-280020, 2012년 3월 9일에 출원한 일본특허출원 2012-053614, 2012년 3월 29일에 출원한 일본특허출원 2012-077306, 2012년 3월 30일에 출원한 일본특허출원 2012-080883에 포함되는 주제에 관한 것으로, 이들 명세서의 개시를 참조하기 위해 전체적으로 본 명세서에 편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태양에 따라, 저조도에서 중합 가능한 광중합성 옥시란계 수지 조성물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이것을 이용한 광중합성 코팅제에 의해, 광학필름을 간편하면서 강고하게 접착할 수 있고, 펀칭 가공성, 내열성, 및 내습열성의 양호한 적층체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우수한 편광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본원발명의 실시태양은, 3원환상의 옥시란 화합물(A)과, 2개 이상의 산소원자를 갖는 4원환 이상의 환상 화합물(B1), 1개 이상의 산소원자 및 1개 이상의 황원자를 갖는 4원환 이상의 환상 화합물(B2), 및 적어도 1개의 환상 구조와 수산기를 모두 갖는 분자량 500 이하의 화합물(C)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광중합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각 성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광중합성 조성물」을 「광경화성 조성물」 또는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이라 기재한다.
<3원환상의 옥시란 화합물(A)>
3원환상의 옥시란 화합물(A)이란, 반응성 관능기로서 분자내에 3원환상의 환상 에테르기를 1개 이상 갖는 화합물로서,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이하, 「3원환상의 옥시란 화합물(A)」을, 「옥시란 화합물(A)」이라고도 기재한다.
3원환상의 환상 에테르기로는, 예를 들어, 옥시란, 메틸옥시란, 페닐옥시란, 1,2-디페닐옥시란, 메틸리딘옥시란, 옥시라닐메틸, 옥시라닐메탄올, 옥시란카르본산, (클로로메틸)옥시란, (브로모메틸)옥시란, 옥시라닐아세토니트릴 등의 지방족계 환상 에테르기; 예를 들어, 3,4-옥시란시클로헥실메틸 3,4-옥시란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3,4-옥시란-6-메틸시클로헥실메틸 3,4-옥시란-6-메틸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에틸렌비스(3,4-옥시란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비스(3,4-옥시란시클로헥실메틸)아디페이트, 비스(3,4-옥시란-6-메틸시클로헥실메틸)아디페이트, 디에틸렌글리콜비스(3,4-옥시란시클로헥실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비스(3,4-옥시란시클로헥실메틸에테르), 2,3,14,15-디옥시란-7,11,18,21-테트라옥사트리스피로-[5.2.2.5.2.2]헤네이코산(또한, 3,4-옥시란시클로헥산스피로-2’,6’-디옥산스피로-3’’,5’’-디옥산스피로-3’’’,4’’’-옥시란시클로헥산이라고도 명명할 수 있는 화합물), 4-(3,4-옥시란시클로헥실)-2,6-디옥사-8,9-옥시란스피로[5.5]운데칸, 4-비닐시클로헥센디옥사이드, 비스-2,3-옥시란시클로펜틸에테르, 및 디시클로펜타디엔디옥사이드 등의 지환식 환에 결합된 3원환상의 환상 에테르기를 들 수 있다. 이들 3원환상의 환상 에테르기 함유 화합물 중의 수소원자를 1개 또는 복수개 제거한 형태의 기가 다른 화학구조에 결합된 화합물이, 옥시란 화합물(A)이 될 수 있다.
여기에 예시한 옥시란 화합물은, 각각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또한 복수의 옥시란 화합물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옥시란 화합물(A)의 옥시란 당량은, 통상, 30~3000g/eq이고, 50~1500g/eq가 바람직하다. 옥시란 당량이 30g/eq 이상이면, 경화 후의 광학필름의 가요성이 우수하고, 접착강도가 높다. 한편, 3000g/eq 이하이면, 다른 성분과의 상용성이 우수하다.
옥시란 화합물(A)은, 방향환을 갖는 옥시란 화합물(a-1) 및/또는 3원환상의 옥시란환을 2개 이상 갖는 화합물(a-2)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향환을 갖는 옥시란 화합물(a-1)>
3원환상의 옥시란 화합물(A)은 내열성이나 내습열성 향상을 위해, 옥시란 화합물(a-1)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방향환을 갖는 옥시란 화합물(a-1)」을, 「옥시란 화합물(a-1)」라고도 기재한다.
바람직한 방향환 치환기로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페닐, 페닐렌, 톨릴, 톨릴레노(tolileno), 벤질, 벤질리덴, 벤질리딘, 자일릴, 자일릴렌, 프탈릴리덴, 이소프탈릴리덴, 테레프탈릴리덴, 페네틸리덴, 페네틸리딘, 스티릴, 스티릴리덴, as-슈도큐밀(pseudocumyl), v-슈도큐밀, s-슈도큐밀, 메시틸, 큐멘일, α-큐밀, 하이드로신나밀, 신나밀, 신나밀리덴, 신나밀리딘, 듀릴(duryl), 듀릴렌(durylene), 티밀(thymyl), 카바크릴, 큐미닐(cuminyl), 큐미닐리덴(cuminylidene), 네오필, 크세닐(xenyl), 벤즈하이드릴, 벤즈하이드릴리덴(benzhydrylidene), 트리틸 등으로 대표되는 치환기를 들 수 있다. 이들은, 벤젠, 톨루엔, 자일렌, 스티렌, 헤미멜리텐, 슈도큐멘(pseudocumene), 메시틸렌, 쿠멘, 이소듀렌(isodurene), 듀렌(durene), 시멘, 멜리텐(mellitene) 등의 벤젠 유도체 중의 수소원자를 1개 또는 복수개 제거한 형태의 기가 다른 화학구조에 결합될 수 있는 방향환을 들 수 있다.
그 밖에, 예를 들어, 시클로프로펜, 시클로부텐, 시클로펜텐, 시클로헥센, 시클로헵텐, 시클로옥텐, 시클로부타디엔, 시클로펜타디엔, 시클로헥사디엔, 시클로헵타디엔, 시클로옥타디엔 등의 시클로알켄류;
예를 들어, 벤젠 이외의 탄소수를 갖는, 환을 구성하는 탄소수가 3 이상인 [4n+2]아눌렌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페닐, 트리페닐메탄 등의 방향족 다환 화합물;
예를 들어, 펜타렌, 인덴, 인단, 닌히드린, 나프탈렌, 테트랄린, 데칼린, 사포탈렌(sapotalene), 카달렌, 유달렌(eudalene), 나프톨, 메나디올(menadiol), 고시폴, 나프토퀴논, 로손, 주글론, 메나디온, 플럼바긴, 프티오콜, 에키노크롬A, 알칸닌, 시코닌, 아세토나프톤(acetonaphthone), 나프토산, 나프토일, 나프탈산, 나프탈레이트, 아세토메나프톤(acetomenaphthone), 나프티온산, 나프티오네이트(naphthionate), 나프티오닐(naphthionyl), 단실, 크로세인산, 플라비안산, 크로모트로프산, 네오쿠페론(neocupferron), 아줄렌, 카마줄렌, 구아이아줄렌, 헵탈렌, 옥타렌, 푸르푸로갈린(purpurogallin) 등의 탄소 축합2환계;
예를 들어, as-인다센, s-인다센, as-하이드로인다센, s-하이드로인다센, 비페닐렌, 아세나프틸렌, 아세나프텐, 아세나프토퀴논, 플루오렌, 페날렌, 페리나프텐(perinaphthene), 페난트렌, 페난트릴, 페난트릴리윰(phenanthrylium), 페난트릴리덴(phenanthrylidene), 페난트릴렌(phenanthrylene), 페난트롤린, 모르폴(morphol), 페난트론, 페난트라퀴논(phenanthraquinone), 피만트렌(pimanthrene), 레텐(retene), 안트라센, 안트릴, 안트릴륨(anthrylium), 안트릴리덴(anthrylidene), 안트릴렌, 안트롤, 안트라놀(anthranol), 안트라로빈(anthrarobin), 안트라린(anthralin), 디트라놀, 안트로일(anthroyl), 안트론, 비안트론(bianthrone), 안트라퀴논, 안트라퀴노닐, 안트라퀴노닐렌(anthraquinonylene), 알리자린, 퀴니자린(quinizarin), 안트라루핀(anthrarufin), 크리사진(chrysazin), 안트라갈롤(anthragallol), 푸르푸린, 플라보푸르푸린, 안트라푸르푸린, 퀴날리자린(quinalizarin), 텍토퀴논(tectoquinone), 크리소파놀, 크리소판산, 에모딘, 레인(rhein), 켈메스산(kermesic acid), 카민산, 디안트리미드(dianthrimide), 안트리미드(anthrimide), 크리산민산(chrysamminic acid), 콜히친 등의 탄소 축합3환계;
예를 들어, 트린덴(trindene), 트린단(trindan), 플루오란텐, 아세페난트릴렌(acephenanthrylene), 아세페난트렌, 아세안트릴렌, 아세안트렌(aceanthrene), 트리페닐렌, 피렌, 크리센, 테트라펜(tetraphene), 테트라센, 나프타센, 루브렌(rubrene), 테트라사이클린, 클로르테트라사이클린, 옥시테트라사이클린, 프레이아덴(pleiadene), 벤조안트론 등의 탄소 축합4환계;
예를 들어, 피센, 페릴렌, 펜타펜, 펜타센, 테트라페닐렌, 코란트릴렌(cholanthrylene), 코란트렌(cholanthrene) 등의 탄소 축합5환계;
예를 들어, 코라눌렌, 풀미넨(fulminene), 안탄트렌, 제트렌, 헥사헬리센(hexahelicene), 헥사펜, 헥사센, 루비센(rubicene), 코로넨, 트리나프틸렌, 헵타펜, 헵타센, 피란트렌, 옥타펜, 옥타센, 테릴렌, 나프타세노나프타센(naphthacenonaphthacene), 노나펜(nonaphene), 노나센, 비오란트렌(violanthrene), 비오란트론(violanthrone), 이소비오란트렌(isoviolanthrene), 이소비오란트론(isoviolanthrone), 오바렌, 데카펜(decaphene), 데카센(decacene), 데카시클렌(decacyclene), 펜타세노펜타센, 쿠아테릴렌, 헥사세노헥사센(hexacenohexacene) 등의 환수 6 이상의 탄소 축합환계; 등의 환상 화합물 중의 수소원자를 1개 또는 복수개 제거한 형태의 기가 다른 화학구조에 결합될 수 있는 방향환을 들 수 있다.
<3원환상의 옥시란환을 2개 이상 갖는 화합물(a-2)>
3원환상의 옥시란 화합물(A)이, 3원환상의 옥시란환을 2개 이상 갖는 화합물(a-2)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원환상의 옥시란환을 복수개 함유함으로써, 후술하는 중합성 조성물의 가교성이 향상되고, 효과적인 접착력과 내열성이나 내습열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3원환상의 옥시란환을 2개 이상 갖는 화합물(a-2)」을 「화합물(a-2)」이라고도 기재한다.
화합물(a-2)로는, 예를 들어,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3,4-에폭시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2-(3,4-에폭시시클로헥실-5,5-스피로-3,4-에폭시)시클로헥산-메타-디옥산, 비스(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아디페이트, 비스(3,4-에폭시-6-메틸시클로헥실메틸)아디페이트, 1,2,8,9-디에폭시리모넨, ε-카프로락톤 변성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3’,4’-에폭시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3,4,3’,4’-디에폭시비시클로헥실, 비스페놀A의 글리시딜에테르, 비스페놀F의 글리시딜에테르, 디글리시딜테레프탈레이트, 네오펜틸디글리시딜에테르, 1,6-헥산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2,2-비스[4-(2,3-에폭시프로폭시)시클로헥실]프로판, 2,2-비스[3,5-디메틸-4-(2,3-에폭시프로폭시)시클로헥실]프로판, 비스[o,o-(2,3-에폭시프로폭시)시클로헥실]메탄, 비스[o,p-(2,3-에폭시프로폭시)시클로헥실]메탄, 비스[p,p-(2,3-에폭시프로폭시)시클로헥실]메탄, 비스[3,5-디메틸-4-(2,3-에폭시프로폭시)시클로헥실]메탄, 수첨 비페놀형 에폭시 화합물, 등의 옥시란환을 2개 갖는 화합물이나 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테르, 디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폴리글리시딜에테르, 펜타에리스리톨폴리글리시딜에테르, 솔비톨폴리글리시딜에테르 등의 옥시란환을 3개 이상 갖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화합물(a-1)과 (a-2)이 동일 화합물, 즉, 방향환을 가지며, 또한, 3원환상의 옥시란환을 2개 이상 갖는 화합물(a-12)이더라도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옥시란 화합물(A) 중에 있어서의 이들 함유량은, (A) 100중량% 중, 화합물(a-1), (a-2) 및 (a-12) 중 어느 하나가, 50중량% 이상인 것이, 중합성이나 내습열성의 점에서 바람직하고, 70중량%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화합물(a-1), (a-2) 및 (a-12)의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 옥시란 화합물(A)이더라도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다(화합물(a-3)이라 한다.). 이들은, 1종만을 이용할 수도 있고, 혹은, 복수종을 병용할 수도 있다.
<2개 이상의 산소원자를 갖는 4원환 이상의 환상 화합물(B1)>
이하, 「2개 이상의 산소원자를 갖는 4원환 이상의 환상 화합물(B1)」을 「환상 화합물(B1)」라고도 기재한다. 환상 화합물(B1)은, 환상 에스테르 화합물(b1-1), 환상 포르말 화합물(b1-2), 환상 카보네이트 화합물(b1-3), 함불소 환상 화합물(b1-4)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인 것이 광중합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나아가, 환상 에스테르 화합물(b1-1)이, 락톤류(b1-1-1)인 것이 바람직하다. 환상 포르말 화합물(b1-2)이, 디옥솔란류(b1-2-1), 디옥산류(b1-2-2) 및 트리옥산류(b1-2-3)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환상 에스테르 화합물(b1-1)>
환상 에스테르 화합물(b1-1)이란 하이드록시카르본산의 수산기와 카르본산이 분자내 또는 분자간에서 탈수축합하여 환 구조를 형성한 옥시산 축합물이나, 2분자 이상의 카르본산이 탈수축합하여 환 구조를 형성한 환상 디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환상 에스테르 화합물(b1-1)로는, 락톤류(b1-1-1)와 환상 디에스테르류(b1-1-2)를 들 수 있고, 락톤류(b1-1-1)가 바람직하다. 락톤류(b1-1-1)로는, 하이드록시카르본산의 수산기와 카르본산이 분자내 또는 분자간에서 탈수축합하여 환 구조를 형성한 옥시산 축합물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이량체 또는 삼량체 이상의 다량체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하이드록시카르본산으로서 지방족, 지환식, 방향족 및 복소환식의 화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지방족 하이드록시카르본산으로는, 예를 들어, 하이드록시에탄산, 2-하이드록시프로판산, 하이드록시프로펜산, α-옥시부탄산, α-하이드록시이소부탄산, 하이드록시펜탄산, α-하이드록시헥산산, δ-하이드록시헥산산, 2,3-디하이드록시프로판산, 2-옥소프로판산, 하이드록시부탄이산, 2-하이드록시프로판-1,2,3-트리카르본산, 하이드록시옥탄산, 하이드록사이드데칸산, 하이드록시(9Z,12Z)-옥타데카-9,12-디엔산, α-하이드록사이드트리아콘탄산, α-하이드록시테트라트리아콘탄산, α-하이드록시헥사트리아콘탄산, α-하이드록시옥타트리아콘탄산, α-하이드록시테트라아콘탄산, 하이드록시-2,2-디메틸프로판산, 하이드록시프로판산, 6-하이드록시펜탄산, α-하이드록시헵탄산, 10-하이드록시옥타데칸산, 12-하이드록시옥타데칸산, 10-하이드록시데칸산, 12-하이드록사이드데칸산, 3-하이드록시테트라데칸산, 16-하이드록시헥사데칸산, 15-하이드록시펜타데칸산, α-하이드록시에이코산산, α-하이드록사이드코산산, α-하이드록시테트라에이코산산, α-하이드록시헥사에이코산산, α-하이드록시옥타에이코산산, α-하이드록시트리아콘탄산, β-하이드록시테트라데칸산, 1,3-비스(하이드록시메틸)프로판산 등을 들 수 있다.
지환식, 방향족 및 복소환식 하이드록시카르본산으로는, 예를 들어, 2-하이드록시안식향산, 3,5-디-tert-부틸-2-하이드록시안식향산, 3-하이드록시안식향산, 3,4-디하이드록시안식향산, 4-하이드록시-3-페닐안식향산, 4-하이드록시-3-메톡시안식향산, 4-하이드록시-3,5-디메톡시안식향산, 4’-하이드록시-4-카르복시비페닐, 6-하이드록시-2-나프탈렌카르본산, 3-하이드록시-2-나프탈렌카르본산, 5-하이드록시-1-나프탈렌카르본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하이드록시카르본산은, 1분자내에 카르본산과 수산기를 갖는 유기 화합물이면 되며, 상기 예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옥시산 축합물 중에서도, 반응성의 관점으로부터, 락톤류가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α-아세토락톤, β-프로피오락톤, β-부티로락톤, γ-부티로락톤, γ-발레로락톤, δ-발레로락톤, ε-카프로락톤, γ-카프로락톤, δ-카프로락톤, γ-헵타노락톤, γ-옥타노락톤, δ-옥타노락톤, ε-옥타노락톤, δ-노나락톤, ε-카프로락톤글리콜리드, 피발로락톤, 7-헵타놀라이드, 8-옥토놀라이드, 11-운데카놀라이드, 12-도데카놀라이드, 15-펜타데카놀라이드, 10-옥사헥사데카놀라이드, 2-노넨-4-올라이드, 16-헥사도데카놀라이드, 7-데센-4-올라이드, 9-데센-5-올라이드, 2-데센-5-올라이드, 7-데센-5-올라이드, 6-데센-4-올라이드, 8-데센-5-올라이드, 8-운데센-5-올라이드, 4-메틸-cis-7-데센-4-올라이드, 2-부텐-4-올라이드, 2-메틸-4-부탄올라이드, 3-메틸-4-옥타놀라이드, 3-메틸-4-노나놀라이드, 4-메틸-4-데카놀라이드, 시클로펜타데칼리드, 2,4-데카디엔-5-올라이드, 4-메틸-5-헥센-4-올라이드, 펜타노-4-락톤, 4-에테닐-γ-발레로락톤, 글루쿠로놀락톤, 자스모락톤, 멘톤락톤, 민트락톤, 마소이아(massoia)락톤, 와인락톤, 판토락톤, 호모세린락톤, 메발로닉락톤, 글루코노델타락톤, 베르가프텐, 암브레톨리드, 스클라레올라이드, α-안젤리카락톤, β-안젤리카락톤, 7-데센-1,4-락톤, 9-데센-5-올라이드, 2,3-디메틸-2,4-노나디엔-4-올라이드, 디하이드록시액티니디올라이드, 5-하이드록시-8-운데세노익 애시드-δ-락톤, 2-하이드록시-3,3-디메틸-4-부탄올라이드, 1,4-디옥사시클로헵타데칸-5,17-디온, α-아세틸-γ-부티로락톤, α-메틸-β-프로피오락톤, β-메틸-α-프로피오락톤, α,α-디메틸-β-프로피오락톤, D-글루코노-1,5-락톤, 4-하이드록시-4-메틸테트라하이드로피란-2-온, 페난트렌-1,10:9,8-디카르보락톤, 3α-하이드록시-5α-코라노(cholano)-24,17-락톤 등을 들 수 있다.
환상 에스테르 화합물(b1-1)로서 사용 가능한 하이드록시카르본산의 환상 이량체로는, 유산에 의한 3,6-디메틸-1,4-디옥산-2,5-디온, 글리콜산에 의한 1,4-디옥산-2,5-디온, 글리콜리드, 락티드, 나아가 α-하이드록시부티르산, α-하이드록시이소부티르산, α-하이드록시길초산, α-하이드록시이소길초산, α-하이드록시-α-메틸부티르산, α-하이드록시카프론산, α-하이드록시이소카프론산, α-하이드록시-β-메틸길초산, α-하이드록시헵탄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락톤류(b1-1-1) 중에서도, 개환에 의해 형성되는 측쇄 길이나, 3원환상의 옥시란 화합물(A)과의 개환 공중합성의 면으로부터, 에스테르환을 구성하는 탄소수가 4~18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프로피오락톤, 부티로락톤, 발레로락톤, 카프로락톤이 특히 바람직하다.
<환상 포르말 화합물(b1-2)>
환상 포르말 화합물(b1-2)은, 디옥솔란류(b1-2-1), 디옥산류(b1-2-2) 및 트리옥산류(b1-2-3)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디옥솔란류(b1-2-1)로는, 에틸렌글리콜의 카르보닐기를 아세탈화함으로써 얻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1,2-디옥솔란, 1,3-디옥솔란, 2,2-디메틸-1,3-디옥솔란, 2,2-디메틸-1,3-디옥솔란-4-메탄올, (R)-(-)-2,2-디메틸-1,3-디옥솔란-4-메탄올, (+)-4,5-비스[하이드록시(디페닐)메틸]-2,2-디메틸-1,3-디옥솔란, (4S)-α,α,α’,α-테트라페닐-2,2-디메틸-1,3-디옥솔란-4α,5β-디메탄올, 4α,5β-비스(하이드록시디페닐메틸)-2,2-디메틸-1,3-디옥솔란, (4S,5S)-2,2-디메틸-α,α,α’,α’-테트라페닐-1,3-디옥솔란-4,5-디메탄올, 2,2-디메틸-1,3-디옥솔란-4α,5β-디일비스(디페닐메탄올), (4S)-2,2-디메틸-4α,5β-비스(α-하이드록시벤즈하이드릴)-1,3-디옥솔란, α,α,α’,α’-테트라페닐-2,2-디메틸-1,3-디옥솔란-4α,5β-디메탄올, 2,2-디메틸-α,α,α’,α’-테트라페닐-1,3-디옥솔란-4α,5β-디메탄올, (4S,5S)-2,2-디메틸 1,3-디옥솔란-4,5-비스(디페닐메탄올), α,α’-(2,2-디메틸-1,3-디옥솔란-4,5-디일)비스(α-페닐벤질알코올), (4S,5S)-2,2-디메틸-α,α,α’,α’-테트라페닐-1,3-디옥솔란-4,5-비스(메탄올), 2,2-디메틸-1,3-디옥솔란-4α,5β-비스(디페닐메탄올), (4S)-2,2-디메틸-4α,5β-비스(α-하이드록시-α-페닐벤질)-1,3-디옥솔란, (4S,5S)-α,α,α’,α’-테트라페닐-2,2-디메틸-1,3-디옥솔란-4α,5β-디메탄올, [(4S,5S)-2,2-디메틸-4,5-디하이드로-1,3-디옥솔]-4,5-디일비스(디페닐메탄올), α,α’-[(4S,5S)-2,2-디메틸-1,3-디옥솔란-4,5-디일]비스(α-페닐벤질알코올), α,α,α’,α’-테트라페닐-2,2-디메틸-1,3-디옥솔란-4,5-디메탄올, α,α,α’,α’-테트라페닐-2,2-디메틸-1,3-디옥솔란-4α,5β-비스메탄올, α,α’-(2,2-디메틸-1,3-디옥솔란-4,5-디일)비스(디페닐메탄올), (4S,5S)-α,α,α’,α’-테트라페닐-2,2-디메틸-1,3-디옥솔란-4,5-디메탄올, (+)-trans-α’,α’-(2,2-디메틸-1,3-디옥솔란-4,5-디일)비스(디페닐메탄올), 1,1,4,4-테트라페닐-2-O,3-O-이소프로필리덴-D-트레이톨, [(4S,5S)-2,2-디메틸-1,3-디옥솔란-4,5-디일]비스(디페닐메탄올), (4S)-2,2-디메틸-4α,5β-비스(하이드록시디페닐메틸)-1,3-디옥솔란, 2,2-디메틸-1,3-디옥솔란-4,5-비스(α’,α’-디페닐메탄올), (4S)-2,2-디메틸-α,α,α’,α’-테트라페닐-1,3-디옥솔란-4α,5β-디메탄올, (4S,5S)-2,2-디메틸-4α,5β-비스(α-하이드록시-α-페닐벤질)-1,3-디옥솔란, 2,2-디메틸-1,3-디옥솔란-4α,5β-비스(α,α’-디페닐메탄올), α,α’-(2,2-디메틸-1,3-디옥솔란-4α,5β-디일)비스(디페닐메탄올)디옥산, (2-메틸-2-에틸-1,3-디옥솔란-4-일)메틸아크릴레이트, (2-메틸-2-에틸-1,3-디옥솔란-4-일)메틸메타크릴레이트, [시클로헥산스피로-2-(1,3-디옥솔란-4-일)]메틸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산스피로-2-(1,3-디옥솔란-4-일)]메틸메타크릴레이트, (2-메틸-2-옥소-1,3-디옥솔란-4-일)메틸아크릴레이트, (2-메틸-2-옥소-1,3-디옥솔란-4-일)메틸메타크릴레이트, 2,2’-비(1,3-디옥솔란), 2-페닐-2,2’-비(1,3-디옥솔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디옥솔란류(b1-2-1) 중에서도, 옥시란 화합물(A)과의 개환 공중합성의 면으로부터, 1,3-디옥솔란, (2-메틸-2-에틸-1,3-디옥솔란-4-일)메틸메타크릴레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디옥산류(b1-2-2)로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황산 등의 광산이나 방향족 술폰산 촉매의 존재 하에 반응하는 방법이나, 황산, 삼불화붕소 등의 산촉매를 이용하여 에틸렌옥사이드를 환화 이량화하는 방법에 의해 합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1,2-디옥산, 4-아세틸-6-헥실-3-메틸-1,2-디옥산-3-올, 4-아세틸-3,4-디메틸-6,6-디페닐-1,2-디옥산-3-올, 4-아세틸-6-페닐-3-메틸-1,2-디옥산-3-올, 6,6-디페닐-4-(페닐아미노카르보닐)-3-메틸-1,2-디옥산-3-올, 6,6-디페닐-4-벤조일-3-메틸-1,2-디옥산-3-올, (3S)-3β,6α디메틸-4α,5β-비스(4-아세톡시-3-메톡시페닐)-1,2-디옥산, 6,6-디페닐-4-아세틸-3-메틸-4-에틸-1,2-디옥산-3-올, (3S)-4α-아세틸-6,6-디페닐-3-메틸-1,2-디옥산-3α-올, (3S)-3β,6α-디메틸-4α,5β-비스(4-하이드록시-3-메톡시페닐)-1,2-디옥산, 4-아세틸-6,6-비스(4-메틸페닐)-3-메틸-1,2-디옥산-3-올, 4-아세틸-6,6-비스(4-클로로페닐)-3-메틸-1,2-디옥산-3-올, 4-아세틸-6,6-비스(4-메톡시페닐)-3-메틸-1,2-디옥산-3-올, 4-아세틸-6,6-비스(4-플루오로페닐)-3-메틸-1,2-디옥산-3-올, α,6-디메틸-6-[4-메틸-6-(2,6,6-트리메틸-1-시클로헥센-1-일)-3-헥세닐]-1,2-디옥산-3-아세트산, 4-에틸-6-(2-에틸-3-헥세닐)-6-메틸-1,2-디옥산-3-아세트산메틸, (3R,αR,6R)-6-[2-[[(4aR,8aS)-1,4,4αβ,7,8,8αβ-헥사하이드로-1,1,3,6-테트라메틸나프탈렌]-2-일]에틸]-α,6-디메틸-1,2-디옥산-3-아세트산, (R)-2-[(3R,6R)-6β-메틸-6-[[(2S)-2,3,3α,4,5,9β-헥사하이드로-3aα,4α,7,9bα-테트라메틸나프토[1,2-b]푸란]-2α-일]-1,2-디옥산-3β-일]프로피온산메틸, (2S)-2-[(3S,6S)-6-[2-[(1S,2R,4aα,8αβ)-데카하이드로-1,2α,4a-트리메틸-5-메틸렌나프탈렌-1β-일]에틸]-6-메틸-1,2-디옥산-3-일]프로판산, (R)-2-[(3R,6S)-6β-메틸-6-[2-[[(2R,4aβ,8aβ)-데카하이드로-1,1-디메틸-3,6-디메틸렌나프탈렌]-2α-일]에틸]-1,2-디옥산-3β-일]프로피온산 등의 1,2-디옥산 유도체류;
예를 들어, 1,3-디옥산, 2,4-디페닐-1,3-디옥산, 5-하이드록시-1,3-디옥산, 2-시클로헥실-1, 3-디옥산, 1,3-디옥산-2-온, 2α,4α-디메틸-1,3-디옥산, 5,6-디메틸-1,3-디옥산, 5,5-디에틸-1,3-디옥산, 4,6-디부틸-1,3-디옥산, 2-에틸-1,3-디옥산, 2-메틸렌-1,3-디옥산, 4,6-디메틸-1,3-디옥산, 2,2-디페녹시-1,3-디옥산, 2,2,4-트리메틸-1,3-디옥산, 5,5-디플루오로-1,3-디옥산, 2α-tert-부틸-4α-메틸-1,3-디옥산, 2-페닐-4-메틸-1,3-디옥산, 4-메틸-4-페닐-1,3-디옥산, 4,6-디메틸-2-메틸렌-1,3-디옥산, 4,5,5-트리메틸-1,3-디옥산, 4,6-디네오펜틸-1,3-디옥산, 2-에틸-5-메틸-1,3-디옥산, 2,5-디메틸-5-페닐-1,3-디옥산, 2-펜타데실-1,3-디옥산, 2-헥실-1,3-디옥산, 2-부틸 2,5,5-트리메틸-1,3-디옥산, 5-(1-메틸에틸)-1,3-디옥산, 2-페닐-2-벤조일-1,3-디옥산, 4-페닐-1,3-디옥산-2-온, 2,4,4,6-테트라메틸-1,3-디옥산, 2α,4α,5α-트리메틸-1,3-디옥산, 2α-헥실-1,3-디옥산-5β-올, 5,5-디메틸-2-비닐-1,3-디옥산, 4-(1-메틸에테닐)-1,3-디옥산, 2-메틸-1,3-디옥산-2-(1-프로판올), 4,5-디메틸-1,3-디옥산-5-메탄올, 4,5-디메틸-1,3-디옥산-4-메탄올, 4,4,5-트리메틸-1,3-디옥산-5-올, 5-에틸-2-(2-푸릴)-4-프로필-1,3-디옥산, 5,5’-스피로비[1,3-디옥산], 4-메틸-1,3-디옥산, 2,2-디메틸-5-페닐-1,3-디옥산-4,6-디온, 3,3-디메틸-1,5-디옥사스피로[5,5]운데칸-9-온, 2-(1,3-디옥산-2-일)에틸트리페닐포스포늄브로마이드, 2,2-디메틸-5-메틸-1,3-디옥산-4,6-디온, 4-페닐-1,3-디옥산, 5,5-디메틸-1,3-디옥산-2-온, 5-브로모-2,2,5-트리메틸-1,3-디옥산-4,6-디온, 5-프로필-2-[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1,3-디옥산, 5-프로필-2-[4-(3,4,5-트리플루오로페닐)시클로헥실]-1,3-디옥산, 5-프로필-2-[4-(3,5-디플루오로페닐)에틸]-1,3-디옥산, 5-프로필-2-[4-(3-플루오로-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시클로헥실]-1,3-디옥산, 5-프로필-2-[4-(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부틸]-1,3-디옥산, 5-프로필-2-[4-(3,5-디플루오로페닐)시클로헥실]-1,3-디옥산, 5-프로필-2-[4-{4-(3-플루오로-4-클로로페닐)-3,5-디플루오로페닐}시클로헥실]-1,3-디옥산, 4-(5-펜틸-1,3-디옥산-2-일시클로헥산)카르본산, 4-[5-펜틸-(1,3-디옥산)-2-일]-시클로헥산카르본산 3,4,5-트리플루오로페닐에스테르, 1-[2-(1,3-디옥산-2-일)에틸]시클로헥실-3,4,5-트리플루오로벤젠, 1-[2-(5-프로필-1,3-디옥산-2-일)에틸]시클로헥실-3,4,5-트리플루오로벤젠, (Z)-6-(2-(2-클로로페닐)-4-(2-하이드록시페닐)-1,3-디옥산-5-일)헥사-4-엔산, (Z)-6-(2-[4-메톡시페녹시-o-페닐]-4-o-하이드록시페닐-1,3-디옥산-시스-5-일)헥사-4-엔산], (Z)-6-(2-3-[6-클로로-4H-크로멘-4-온6-클로로-4-옥소-4H-크로멘-3-일]-4-(2-하이드록시페닐-1,3-디옥산-시스-5-일)헥사-4-엔산, (Z)-6-((2R,4R,5S)-2-(2-클로로페닐)-4-(2-하이드록시페닐)-1,3-디옥산-5-일)헥사-4-엔산, (Z)-6-((2S,4S,5R)-2-(2-클로로페닐)-4-(2-메톡시페닐)-1,3-디옥산-5-일)헥사-4-엔산, (Z)-6-((2S,4S,5R)-2-(2-클로로페닐)-4-(2-아세톡시페닐)-1,3-디옥산-5-일)헥사-4-엔산, 메틸-(Z)-6-((2S,4S,5R)-2-(2-클로로페닐)-4-(2-하이드록시페닐)-1,3-디옥산-5-일)헥사-4-에노에이트, (Z)-6-((2S,4S,5R)-2-(2-클로로페닐)-4-(2-하이드록시페닐)-1,3-디옥산-5-일)헥사-4-에노에이트메틸, (Z)-6-((2S,4S,5R)-4-(2-아세톡시페닐)-2-(2-클로로페닐)-1,3-디옥산-5-일)헥사-4-엔산 등의 1,3-디옥산 유도체류;
예를 들어, 1,4-디옥산, 1,4-디옥산-2,3-디티온, 2,5-디메틸-1,4-디옥산, 5α,6α-디메틸-1,4-디옥산-2-온, 2,5-디비닐-1,4-디옥산, 2,2’-비(1,4-디옥산), 2,2,3,3,5,6,6-헵타클로로-1,4-디옥산, 메틸렌-1,4-디옥산, (2R,3S)-2,3-디클로로-1,4-디옥산, 2-메틸-3-메틸렌-1,4-디옥산, 2,5-디메틸-3-메틸렌-1,4-디옥산, 2-에틸-5-메틸-1,4-디옥산, 3,6-디에틸-1,4-디옥산-2,5-디온, 2,6-디메틸-1,4-디옥산, 2-메틸-1,4-디옥산-2,3-디올, 2-(2-푸라닐)-1,4-디옥산, 3,6-디이소부틸-1,4-디옥산-2,5-디온, 2,2,3,3,5,6-헥사플루오로-5,6-디클로로-1,4-디옥산, 2,3-비스(옥시라닐메틸)-1,4-디옥산, 1,4-디옥산-2-일하이드로퍼옥사이드, 3,6-디프로필-1,4-디옥산-2,5-디온, 2,5,6-트리메틸-1,4-디옥산-2,3-디올, 2,3,3-트리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1,4-디옥산, 5,6-디메틸-1,4-디옥산-2,3-디올, 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메틸]-1,4-디옥산, 아세트산(1,4-디옥산-2-일)메틸, 2,2,3,3-테트라플루오로-5,5,6,6-테트라클로로-1,4-디옥산, 1,4-디옥산-2,6-디메탄올, 2-(1,4-디옥산-2-일)-1,4-나프토퀴논, 1,4-디옥산-2,5-비스메탄올, N,N’-비스(벤질옥시)-1,4-디옥산-2,5-디이민, 3,6-비스[(트리메틸실릴)옥시]-1,4-디옥산-2,5-디온, 2,3,3-트리플루오로5,5,6,6-테트라클로로-2-(트리플루오로메틸)-1,4-디옥산, 2,3-에폭시-2,3,5,5,6-펜타플루오로-6-(트리플루오로메틸)-1,4-디옥산, 2,2’-(3,6-디메톡시-1,4-디옥산-2,5-디일리덴)이아세트산디메틸, 비스[모르폴린-4-(디티오포름산)], 1,4-디옥산-2α,3β-디일, 2,5-비스(클로로메틸)-1,4-디옥산, 3,3-디클로로-5-(1-메틸프로폭시)-1,4-디옥산-2-온, 2,5-디메틸-1,4-디옥산, 2-(2-플루오로-2-페닐술포닐에틸)-1,4-디옥산, 2,3,3,5,6-펜타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5,6-디클로로-1,4-디옥산, (2H8)-1,4-디옥산, trans-2,3-디클로로-1,4-디옥산, 2-[3-(3,3-디메틸-2-이소프로필옥시라닐)-1-메틸렌-2-프로피닐]-1,4-디옥산, 2,5-디하이드록시-3,6-디메틸-3,6-디포스포노-2,5-디포스파(V)-1,4-디옥산-2,5-디온, N,N’-[(1,4-디옥산-2,5-디일)비스(메틸렌)]비스[N-(카르복시메틸)글리신], (3S,5R)-3α-이소프로필-5α-[(2S)-1-[부톡시카르보닐]피롤리딘-2-일]-6-[(E)-브로모메틸렌]-1,4-디옥산-2-온, 3,5,5,6-테트라플루오로-3,6-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1,4-디옥산-2-온, 2,2,3,5,6-펜타플루오로-5-(펜타플루오로에톡시)-3,6-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1,4-디옥산, (3S,5S)-3α-이소프로필-5β-[(2S)-1-[부톡시카르보닐]피롤리딘-2-일]-6-[(E)-브로모메틸렌]-1,4-디옥산-2-온, (3S,5S)-3α-이소프로필-5β-[(2S)-1-[부톡시카르보닐]피롤리딘-2-일]-6-메틸렌-1,4-디옥산-2-온, 3,3,6,6,-테트라메틸-1,4-디옥산-2,5-디온, [(2S,3R)-1,4-디옥산-2,3-디일]비스(티오)비스(티오포스폰산0,0-디에틸), α-[(3,3-디메틸-2-이소프로필옥시라닐)에티닐]-α-메틸-1,4-디옥산-2-메탄올, 2,3-디클로로-p-디옥산, 3,6-비스(아세트산메틸수은)-1,4-디옥산, 1,4-디옥산-2-온, (3S,5S)-3α-이소프로필-5α-[(2S)-1-[N-(4-메톡시-1,4-디옥소부틸)-L-Ala-L-Ala-]피롤리딘-2-일]-6-메틸렌-1,4-디옥산-2-온, 5-메톡시-1,4-디옥사시클로헥산, 2,2,3,5,6-펜타플루오로-5-[(트리플루오로에테닐)옥시]-3,6-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1,4-디옥산, 2,3,5,6-테트라메틸-1,4-디옥산-2,5-디올, (3S,5S)-3α-이소프로필-5β-[(2S)-1-[N-(4-메톡시-1,4-디옥소부틸)-L-Ala-L-Ala-]피롤리딘-2-일]-6-메틸렌-1,4-디옥산-2-온, 1,1,1,2,4,5,5,5-옥타플루오로-2,4-비스[[2,3,5,5,6-펜타플루오로-3,6-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1,4-디옥산-2-일]옥시]-3-펜타논, 1,3-디하이드록시아세톤(다이머), 1,4-디옥산-2α,5β-디올, 1,4-디옥산-2,3-디올, 1,4-디옥산-2,5-디온, [(1,4-디옥산-2,3-디일)비스티오]비스(티오포스폰산0,0-디에틸) 등의 1,4-디옥산 유도체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디옥산류(b1-2-2) 중에서도, 3원환상의 옥시란 화합물(A)과의 개환 공중합성의 면으로부터, 1,2-디옥산, 1,3-디옥산, 1,4-디옥산, 1,3-디옥산-2-온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들 2개 이상의 산소원자를 갖는 4원환 이상의 환상 화합물(B1)은, 1종만을 이용할 수도 있고, 혹은, 복수종을 병용할 수도 있다.
트리옥산류(b1-2-3)로는, 포름알데히드를 산촉매로 축합하거나 하여 합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1,3,5-트리옥산, 파라알데히드, 시아메라이드(cyamelide), 2,4,6-트리스(클로로메틸)-1,3,5-트리옥산, 2,4,6-트리이소프로필-1,3,5-트리옥산, 2,4,6-트리비닐-1,3,5-트리옥산, 2,4,6-트리프로필-1,3,5-트리옥산, 2-(1,1-디메틸에틸)-1,3,5-트리옥산, 2,4,6-트리에틸-1,3,5-트리옥산, 2,4,6-트리부틸-1,3,5-트리옥산, 2,4-디에틸-6-메틸-1,3,5-트리옥산, 2-에틸-4,6-디메틸-1,3,5-트리옥산, 2,4,6-트리스(디클로로메틸)-1,3,5-트리옥산, 2,4,6-트리스(2-클로로에틸)-1,3,5-트리옥산, 1,3,5-트리옥산-2,4,6-트리프로피오니트릴, 2,4,6-트리벤질-1,3,5-트리옥산, 2,4,6-트리이소부틸-1,3,5-트리옥산, 11β-(메톡시메톡시)스피로[앤드로스트-1,4-디엔-17,2’-[1,3,5]트리옥산]-3-온, 11β-(메톡시메톡시)스피로[앤드로스트-1,4-디엔-17,2’-[1,3,5]트리옥산]-3-티온, 1,7,9-트리메틸-3,5,12-트리옥사테트라시클로[5.3.1.12,6.04,9]도데칸, 2,4,6-트리스(1-클로로에틸)-1,3,5-트리옥산, 2,4,6-트리페네틸-1,3,5-트리옥산, 2,4,6-트리시클로헥실-1,3,5-트리옥산, 2-시클로헥실-4,6-디메틸-1,3,5-트리옥산, 2-시클로헥실-4,6-디벤질-1,3,5-트리옥산, 2,2,4,4,6,6-헥사메틸-1,3,5-트리옥산, 4,4’,4’’-(1,3,5-트리옥산-2,4,6-트리일)삼부티르산, 트리스(p-톨루엔술폰산)1,3,5-트리옥산-2,4,6-트리일트리스에틸렌, 1,3,5,7-테트라메틸-6-[3-(1,3,5,7-테트라메틸-2,4,9-트리옥사-6-포스파아다만탄-6-일)프로필]-2,4,8-트리옥사-6-포스파아다만탄, 2,4,6-트리아세틸-1,3,5-트리옥산, 1,3,5-트리옥산-2-온, 2,2,4,4,6,6-헥사클로로-1,3,5-트리옥산, 2,2-디클로로-1,3,5-트리옥산, 1,3,5-트리옥산-2,4-디온, 1,3,5-트리옥산-2,4,6-트리온, 2-(트리에틸실릴)-1,3,5-트리옥산, 2-(트리메틸실릴)-1,3,5-트리옥산, 2,4,6-트리헥실-1,3,5-트리옥산, 2,4,6-트리옥틸-1,3,5-트리옥산, 1,3,5-트리옥산-2,4,6-트리스(프로판산메틸), 2,2’,2’’-(1,3,5-트리옥산-2,4,6-트리일)트리스아세토니트릴, 2,4,6-트리시클로펜틸-1,3,5-트리옥산, 2,4,6-트리스(2,6-디메틸헵틸)-1,3,5-트리옥산, 2,4,6-트리스(9-데세닐)-1,3,5-트리옥산, 2,4,6-트리스(4-펜테닐)-1,3,5-트리옥산, 2,4,6-트리스[3-(벤질옥시)프로필]-1,3,5-트리옥산, 2,4,6-트리스[4-벤조일옥시부틸]-1,3,5-트리옥산, 2,4,6-트리스(3-메톡시카르보닐프로필)-1,3,5-트리옥산, 2,4,6-트리스[4-(메톡시카르보닐)부틸]-1,3,5-트리옥산, 2,4,6-트리스[5-(메톡시카르보닐)펜틸]-1,3,5-트리옥산, 2,4,6-트리스[2-(벤조일옥시카르보닐)에틸]-1,3,5-트리옥산, 2,4,6-트리스(5-브로모펜틸)-1,3,5-트리옥산, 2,4,6-트리스(3-메틸-5-브로모펜틸)-1,3,5-트리옥산, 2,4,6-트리스(5-아지드펜틸)-1,3,5-트리옥산, 2,4,6-트리스[2-(아세톡시메틸)-3-아세톡시프로필]-1,3,5-트리옥산, 2,2’,2’’-(1,3,5-트리옥산-2,4,6-트리일)트리스에탄올, 5,5’,5’’-(1,3,5-트리옥산-2,4,6-트리일)트리스펜탄산, 3,3’,3’’-(1,3,5-트리옥산-2,4,6-트리일)트리스프로피온산, 2,4,6-트리스(5-아미노펜틸)-1,3,5-트리옥산, 2,2’,2’’-[(1,3,5-트리옥산-2,4,6-트리일)트리스메틸렌]트리스(1,3-프로판디올), (2H6)-1,3,5-트리옥산, 2,4,6-트리-tert-부틸-1,3,5-트리옥산, 2,4,6-트리노닐-1,3,5-트리옥산, 2,4,6-트리헵틸-1,3,5-트리옥산, 1,3,5-트리옥산-2,4,6-트리카르본산트리에틸, 2,4,6-트리스(1-페닐에틸)-1,3,5-트리옥산, 2,4,6-트리스(2,6-디메틸-5-헵텐-1-일)-1,3,5-트리옥산, 2,4,6,8,9,10-헥사옥사아다만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트리옥산류(b1-2-3) 중에서도, 3원환상의 옥시란 화합물(A)과의 개환 공중합성의 면으로부터, 1,3,5-트리옥산이 특히 바람직하다.
<환상 카보네이트 화합물(b1-3)>
환상 카보네이트 화합물(b1-3)로는, 글리콜과 디알킬카보네이트의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폴리머를 해중합하는 방법(일본특허공개 H2-56356호 공보참조), 또는 대응하는 알킬렌옥사이드와 이산화탄소의 반응에 의해 합성할 수 있다. 환상 카보네이트는, 5원환, 6원환 또는 7원환 이상의 구조를 가지며, 5원환에서는, 1,3-디옥솔란류, 6원환에서는 1,3-디옥산류, 7원환에서는 1,3-디옥세판류에 포함되지만, 2위의 탄소가 카르보닐탄소이기 때문에, 환상 카보네이트류로서 독립적으로 분류된다. 그 구체예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카보네이트(1,3-디옥솔란-2-온이라고도 칭함), 프로필렌카보네이트, 부틸렌카보네이트, 4-펜틸-1,3-디옥솔란-2-온, 4-부틸-1,3-디옥솔란-2-온, 4-프로필-1,3-디옥솔란-2-온, 4-(이소프로폭시메틸)-1,3-디옥솔란-2-온, 4-헥실-1,3-디옥솔란-2-온, 4-헥실-5-메틸렌-1,3-디옥솔란-2-온, 4,5-디메틸-1,3-디옥솔란-2-온, 4,4,5,5-테트라메틸-1,3-디옥솔란-2-온, 4-옥틸-1,3-디옥솔란-2-온, 4-노닐-5-비닐-1,3-디옥솔란-2-온, 4-데실-1,3-디옥솔란-2-온, 4,5-비스메틸렌-1,3-디옥솔란-2-온, 4,4-디메틸-1,3-디옥솔란-2-온, 4,4,5,5-테트라에틸-1,3-디옥솔란-2-온, 헥사하이드로-1,3-벤조디옥솔-2-온, 4-이소프로필-4-메틸-5-메틸렌-1,3-디옥솔란-2-온, 비닐렌카보네이트, 알릴에틸렌카보네이트, 알릴숙신산 무수물, 4-비닐-1,3-디옥솔란-2-온, 4-페네틸-5-비닐-1,3-디옥솔란-2-온, 4-메틸렌-1,3-디옥솔란-2-온, 4-(3-부테닐)-1,3-디옥솔란-2-온, 4-(5-하이드록시-6,6-디메틸테트라하이드로-2H-피란-2-일)-1,3-디옥솔란-2-온, 4-[(E)-요오드메틸렌]-5-시클로프로필-1,3-디옥솔란-2-온, 4-시클로헥실-5-비닐-1,3-디옥솔란-2-온, 4-(알릴옥시)-4,5,5-트리메틸-1,3-디옥솔란-2-온, 4-[(1E)-1,3-부타디에닐]-1,3-디옥솔란-2-온, 4-에틸-4-메틸-5-메틸렌-1,3-디옥솔란-2-온, 4-(2-메틸-2-프로페닐리덴)-5,5-디메틸-1,3-디옥솔란-2-온, 4-[4-(메톡시카르보닐옥시)부틸]-1,3-디옥솔란-2-온, 4-비닐-5,5-디에틸-1,3-디옥솔란-2-온, 4-페닐-5-비닐-1,3-디옥솔란-2-온, 4,5,5-트리메틸-4-(1-프로피닐)-1,3-디옥솔란-2-온, 4-비닐-5,5-비스(2-시클로헥실에틸)-1,3-디옥솔란-2-온, 4,5,5-트리메틸-4-(3-메틸-3-부텐-1-이닐)-1,3-디옥솔란-2-온, 4-(비닐옥시메틸)-1,3-디옥솔란-2-온, 4,4-디메틸-5-[(E)-3-부텐-1-일리덴]-1,3-디옥솔란-2-온, 4-[(E)-3-부텐-1-일리덴]-1,3-디옥솔란-2-온, 4,4-디메틸-5-[(Z)-1-페닐-3-부텐-1-일리덴]-1,3-디옥솔란-2-온, 메타크릴산(2-옥소-1,3-디옥솔란-4-일)메틸, 4-메틸-5-[(E)-3-부텐-1-일리덴]-1,3-디옥솔란-2-온, 4-메틸-5-[(Z)-3-부텐-1-일리덴]-1,3-디옥솔란-2-온, 4,4-디메틸-5-[(Z)-2-부틴-1-일리덴]-1,3-디옥솔란-2-온, 4,4-디메틸-5-[(E)-에틸리덴]-1,3-디옥솔란-2-온, 4,4-디메틸-5-[(Z)-3-부텐-1-일리덴]-1,3-디옥솔란-2-온, 4-(1-헥시닐)-4-메틸-1,3-디옥솔란-2-온, 4-(1-프로페닐옥시메틸)-1,3-디옥솔란-2-온, 4-[(1E)-1-메틸-3-부테닐리덴]-1,3-디옥솔란-2-온, 4-[(1Z)-1-페닐-3-부테닐리덴]-1,3-디옥솔란-2-온, 4,4-디펜틸-5-[(1E)-1,3-부타디에닐]-1,3-디옥솔란-2-온, 4-페닐-5-메틸렌-1,3-디옥솔란-2-온, 4-메틸-5-메틸렌-1,3-디옥솔란-2-온, 4-메틸-4-비닐-5-메틸렌-1,3-디옥솔란-2-온, 4-프로파길-5-메틸렌-1,3-디옥솔란-2-온, 4-[(E)-브로모메틸렌]-1,3-디옥솔란-2-온, [(E)-2-옥소-5,5-디메틸-1,3-디옥솔란-4-일리덴]아세트산에틸, 4-[(E)-2-(tert-부톡시카르보닐옥시)에틸리덴]-1,3-디옥솔란-2-온, 4-에틸-5-메틸렌-1,3-디옥솔란-2-온, 4-(하이드록시메틸)-1,3-디옥솔란-2-온, 4-[(E)-2-(tert-부톡시카르보닐옥시)에틸리덴]-5-메틸-1,3-디옥솔란-2-온, 4,5-디비닐-1,3-디옥솔란-2-온, 4-(1-나프틸)-5-비닐-1,3-디옥솔란-2-온, 4,4-비스(2-시클로헥실에틸)-5-[(1E)-1,3-부타디에닐]-1,3-디옥솔란-2-온, (4S)-4-페닐-4-메틸-5-(1,3-부타디에닐)-1,3-디옥솔란-2-온, 4-(2-프로핀-1-일리덴)-5,5-디메틸-1,3-디옥솔란-2-온, 4,4-디메틸-5-메틸렌-1,3-디옥솔란-2-온, 5-부틸-5-메틸-4-메틸렌-1,3-디옥솔란-2-온, 글리세린카보네이트, 4-(부톡시메틸)-1,3-디옥솔란-2-온, 4-(알릴옥시메틸)-1,3-디옥솔란-2-온, 4-(하이드록시메틸)-1,3-디옥솔란-2-온, 4-(메톡시메틸)-1,3-디옥솔란-2-온, 4-(4-에테닐벤질옥시메틸)-1,3-디옥솔란-2-온, 4-에틸-4-메틸-5-(3-페닐프로필리덴)-1,3-디옥솔란-2-온, 4-에틸-4-메틸-5-벤질리덴-1,3-디옥솔란-2-온, 4-(헥실티오메틸)-1,3-디옥솔란-2-온, 4,4-디메틸-5-[(E)-2-페닐에틸리덴]-1,3-디옥솔란-2-온, 4-(p-톨릴)-1,3-디옥솔란-2-온, 4-메틸-5-페닐-1,3-디옥솔란-2-온, 4-벤질-1,3-디옥솔란-2-온, 4-(벤질옥시메틸)-1,3-디옥솔란-2-온, 4-페닐-1,3-디옥솔란-2-온, 4-페닐-4-메틸-5-메틸렌-1,3-디옥솔란-2-온, 4-페닐-1,3-디옥솔란-2-온, 4-메틸-4-페닐-1,3-디옥솔란-2-온, 4-페녹시-1,3-디옥솔란-2-온, 4-부톡시-4,5-디메틸-5-페닐-1,3-디옥솔란-2-온, (4S)-4β-(페닐에티닐)-4-페네틸-5-[(Z)-벤질리덴]-1,3-디옥솔란-2-온, 4-[4-(페녹시카르보닐옥시)부틸]-1,3-디옥솔란-2-온, 4-[4-(글리시딜카바모일옥시)부틸]-1,3-디옥솔란-2-온, 4-옥시라닐-1,3-디옥솔란-2-온, 4-[4-(2-옥소-1,3-디옥솔란-4-일메틸카바모일옥시)부틸]-1,3-디옥솔란-2-온, 4-(2-옥소-1,3-디옥솔란-4-일메틸카바모일옥시메틸)-1,3-디옥솔란-2-온, 4,4’-비[1,3-디옥솔란-2-온], 4,4’-테트라메틸렌비스(1,3-디옥솔란-2-온), 4,4’-(에틸렌비스티오비스테트라메틸렌)비스(1,3-디옥솔란-2-온), 4,4’-[1,6-헥산디일비스(옥시메틸렌)]비스(1,3-디옥솔란-2-온), 4,4’-[헥사메틸렌비스(티오에틸렌)]비스(1,3-디옥솔란-2-온), 4,4’-[이소부틸리덴비스(4,1-페닐렌)비스옥시비스메틸렌]비스(1,3-디옥솔란-2-온), 4,4’-[이소프로필리덴비스[(4,1-페닐렌)옥시메틸렌]]비스(1,3-디옥솔란-2-온), 4,4-디메틸-5-[(Z)-벤질리덴]-1,3-디옥솔란-2-온, 4-[2-(벤질옥시)에틸]-1,3-디옥솔란-2-온, 4-[2-(트리틸옥시)에틸]-1,3-디옥솔란-2-온, 4,5-디페닐-1,3-디옥솔란-2-온, 4,4-디메틸-5-[1-(1-나프틸)에테닐]-1,3-디옥솔란-2-온, 4,4-디메틸-5-[1-(2-나프틸)에테닐]-1,3-디옥솔란-2-온, 4,4-디메틸-5-[1-(4-메틸페닐)에테닐]-1,3-디옥솔란-2-온, 4,4-디메틸-5-[1-(4-메톡시페닐)에테닐]-1,3-디옥솔란-2-온, 4,4-디메틸-5-[1-(4-하이드록시페닐)에테닐]-1,3-디옥솔란-2-온, 4,4-디메틸-5-(1-메틸렌-2-페닐-2-프로페닐)-1,3-디옥솔란-2-온, 4,4-디메틸-5-[(E)-1-메틸렌-3-페닐-2-프로페닐]-1,3-디옥솔란-2-온, 4,4-디메틸-5-(1-페닐에테닐)-1,3-디옥솔란-2-온, 4-메틸-5-(1-페닐에테닐)-1,3-디옥솔란-2-온, 4,4-디메틸-5-[(E)-3-페닐-1-프로페닐]-1,3-디옥솔란-2-온, 4-(1-페닐에테닐)-1,3-디옥솔란-2-온, 4,4-디메틸-5-(1-페닐-1-프로페닐)-1,3-디옥솔란-2-온, 4,4-디메틸-5-(1,2-디페닐에테닐)-1,3-디옥솔란-2-온, 4,4-디메틸-5-(2-메틸-1-페닐-1-프로페닐)-1,3-디옥솔란-2-온, 4,4,5-트리메틸-5-(1-페닐에테닐)-1,3-디옥솔란-2-온, 4-(벤질옥시메틸)-1,3-디옥솔란-2-온, 4,4-디페닐-1,3-디옥솔란-2-온, 4,4’-[(1,3-페닐렌)비스(옥시메틸렌)]비스(1,3-디옥솔란-2-온, 4,4-디메틸-5-[(Z)-1-나프틸메틸렌]-1,3-디옥솔란-2-온, 4,4-디메틸-5-[(Z)-4-메톡시벤질리덴]-1,3-디옥솔란-2-온, 4,4-디메틸-5-[(Z)-4-하이드록시벤질리덴]-1,3-디옥솔란-2-온, 4-(페닐에티닐)-4-메틸-1,3-디옥솔란-2-온, 4-(페닐에티닐)-4,5-디메틸-1,3-디옥솔란-2-온, 4-[1-(4-메톡시페녹시)비닐]-5,5-디에틸-1,3-디옥솔란-2-온, 4-[1-(4-메톡시페녹시)에테닐]-5,5-디메틸-1,3-디옥솔란-2-온, 4-[3-(벤질옥시)프로필]-5-메틸-1,3-디옥솔란-2-온, 7-[2-(2-옥소-1,3-디옥솔란-4-일)에톡시]-2H-1-벤조피란-2-온, 7-[2-(2-옥소-4-메틸-1,3-디옥솔란-4-일)에톡시]-2H-1-벤조피란-2-온, 5-(벤질옥시)-1,3-디옥솔란-2-온, 4-(이소부톡시메틸)-1,3-디옥솔란-2-온, 4-(4-노닐벤질옥시메틸)-1,3-디옥솔란-2-온, 4-(4-클로로페닐티오메틸)-1,3-디옥솔란-2-온, 4-[3-(클로로메틸)페닐]-1,3-디옥솔란-2-온, 4-[4-(클로로메틸)페닐]-1,3-디옥솔란-2-온, 4,4-디프로필-5-[1-(4-메톡시페녹시)에테닐]-1,3-디옥솔란-2-온, 4,4-디펜틸-5-[1-(4-메톡시페녹시)에테닐]-1,3-디옥솔란-2-온, 4,4-디이소프로필-5-[1-(4-메톡시페녹시)에테닐]-1,3-디옥솔란-2-온, 4,4-디페네틸-5-[1-(4-메톡시페녹시)에테닐]-1,3-디옥솔란-2-온, 4,4-비스(2-시클로헥실에틸)-5-[1-(4-메톡시페녹시)에테닐]-1,3-디옥솔란-2-온, 4-[1-(페닐티오)시클로헥실]-1,3-디옥솔란-2-온, 4-(3-메톡시-4-에톡시페닐)-5-(하이드록시메틸)-1,3-디옥솔란-2-온, 4-(페녹시카르보닐옥시메틸)-1,3-디옥솔란-2-온, 4-벤질리덴-5,5-디메틸-1,3-디옥솔란-2-온, 4-[(2-나프틸)메틸렌]-5,5-디메틸-1,3-디옥솔란-2-온, 4-(4-클로로벤질리덴)-5,5-디메틸-1,3-디옥솔란-2-온, 5-메틸-5-페닐-4-(3-페닐프로필리덴)-1,3-디옥솔란-2-온, 5,5-디메틸-4-(3-페닐프로필리덴)-1,3-디옥솔란-2-온, 4-[4-(클로로카르보닐옥시)부틸]-1,3-디옥솔란-2-온, 4-클로로-1,3-디옥솔란-2-온, 4-클로로-4,5-디메틸-1,3-디옥솔란-2-온, 4-(클로로카르보닐옥시메틸)-1,3-디옥솔란-2-온, 4-(p-클로로페녹시메틸)-1,3-디옥솔란-2-온, 4-(클로로메틸)-1,3-디옥솔란-2-온, 4,5-디클로로-1,3-디옥솔란-2-온, (4S,5R)-4,5-디페닐-1,3-디옥솔란-2-온, 4α,5α-디메틸-1,3-디옥솔란-2-온, (4R,5R)-4,5-디메틸-1,3-디옥솔란-2-온, (4S,5S)-4,5-디메틸-1,3-디옥솔란-2-온, (4S)-4β-메틸-1,3-디옥솔란-2-온, (R)-4-메틸-1,3-디옥솔란-2-온, (S)-5-에틸-1,3-디옥솔란-2-온, 4-[(트리페닐실릴)메틸]-5,5-디메틸-1,3-디옥솔란-2-온, 4-[9-(3-티에닐)노닐]-1,3-디옥솔란-2-온, 4-(메틸아미노메틸)-1,3-디옥솔란-2-온, 4-(4-클로로페닐티오)-1,3-디옥솔란-2-온, 4-(페닐티오)-1,3-디옥솔란-2-온, 4-(4-메톡시페닐티오)-1,3-디옥솔란-2-온, 4-(4-브로모페닐티오)-1,3-디옥솔란-2-온4-(페닐티오메틸)-1,3-디옥솔란-2-온, 4,4’-[술포닐비스(p-페닐렌옥시메틸렌)]비스(1,3-디옥솔란-2-온), 4-(4-메틸페닐티오)-1,3-디옥솔란-2-온, 4,4,5,5-테트라메틸-2-(페닐술포닐옥시이미노)-1,3-디옥솔란, 2-(4-니트로페녹시)-4-메틸-2-포스파(V)-1,3-디옥솔란-2-온, 4-(글리시딜옥시메틸)-1,3-디옥솔란-2-온, 글리시딜카바마이드산(2-옥소-1,3-디옥솔란-4-일)메틸, 4-(노보나-5-엔-2-일)-1,3-디옥솔란-2-온, 4-[2-(2-나프틸)에틸]-5-메톡시-1,3-디옥솔란-2-온, 4-[2-(1-나프틸)에틸]-5-메톡시-1,3-디옥솔란-2-온, 4,4-디메틸-5-(3-티에닐메틸렌)-1,3-디옥솔란-2-온, 4-[2-[디메틸(트리메틸실릴옥시)실릴]에틸]-1,3-디옥솔란-2-온, 4-[2-[(메틸)비스(트리메틸실릴옥시)실릴]에틸]-1,3-디옥솔란-2-온, 4-[2-(트리메틸실릴)에틸]-1,3-디옥솔란-2-온, 4-[4-(글리시딜카바모일옥시)부틸]-1,3-디옥솔란-2-온, 4-[4-(2-옥소-1,3-디옥솔란-4-일메틸카바모일옥시)부틸]-1,3-디옥솔란-2-온, 4-[4-(글리시딜카바모일옥시)부틸]-1,3-디옥솔란-2-온, 4-(2-옥소-1,3-디옥솔란-4-일메틸카바모일옥시메틸)-1,3-디옥솔란-2-온 등의 5원환 카보네이트류;
예를 들어, 탄산트리메틸렌(1,3-디옥산-2-온이라고도 칭함), 4-메틸-1,3-디옥산-2-온, 탄산2,2-디메톡시프로판-1,3-디일, 5-메틸-1,3-디옥산-2-온, 5,5-디메틸-1,3-디옥산-2-온(네오펜틸글리콜카보네이트라고도 칭함), 5-메틸-5-프로필-1,3-디옥산-2-온, 5-하이드록시메틸-5-메틸-1,3-디옥산-2-온, 4-페닐-1,3-디옥산-2-온, 5-(하이드록시메틸)-5-에틸-1,3-디옥산-2-온, 4-메틸렌-1,3-디옥산-2-온, 5,5-디메틸-4-에테닐-1,3-디옥산-2-온, 5-시아노-5-메틸-1,3-디옥산-2-온, 4,4-디메틸-1,3-디옥산-2-온, 5-부틸-1,3-디옥산-2-온, 5,5-디에틸-1,3-디옥산-2-온, 5-에틸-5-페닐-1,3-디옥산-2-온, 메타크릴산 2-옥소-5-에틸-1,3-디옥산-5-일메틸, 5-메틸-5-페닐-1,3-디옥산-2-온, 4-스티릴-5,5-디메틸-1,3-디옥산-2-온, 4-스티릴-1,3-디옥산-2-온, 4-(1-헵테닐)-1,3-디옥산-2-온, 4-에테닐-6-페닐-1,3-디옥산-2-온, 4-이소프로페닐-6-페닐-1,3-디옥산-2-온, 4-알릴-6-페닐-1,3-디옥산-2-온, 4-에테닐-6-tert-부틸-1,3-디옥산-2-온, 4-스티릴-5,5-디메틸-6-이소프로필-1,3-디옥산-2-온, 5-[2-(2-아미노-9H-푸린-9-일)에틸]-1,3-디옥산-2-온, 4-(1-페닐에테닐)-1,3-디옥산-2-온, 5,5-디페닐-1,3-디옥산-2-온, 5-메틸-4-(1-페닐에테닐)-1,3-디옥산-2-온, 4,4-디메틸-6-(1-페닐에테닐)-1,3-디옥산-2-온, 5-메틸렌-1,3-디옥산-2-온, 4-[(E)-스티릴]-1,3-디옥산-2-온, 5-옥틸-1,3-디옥산-2-온, 5-도데실-1,3-디옥산-2-온, 2-옥소-5-메틸-1,3-디옥산-5-카르본산벤질, 4,6-디메틸-1,3-디옥산-2-온, 4-메톡시안식향산2-옥소-5-메틸-1,3-디옥산-5-일메틸, 안식향산2-옥소-5-메틸-1,3-디옥산-5-일메틸, 4-니트로안식향산2-옥소-5-메틸-1,3-디옥산-5-일메틸, 4,4,6-트리메틸-1,3-디옥산-2-온, 5-에틸-5-(메톡시카르보닐옥시메틸)-1,3-디옥산-2-온, 5-에틸-5-(에톡시카르보닐옥시메틸)-1,3-디옥산-2-온, 5-(4-부톡시페닐)-1,3-디옥산-2-온, 5-[4-(펜틸옥시)페닐]-1,3-디옥산-2-온, 5-(4-프로폭시페닐)-1,3-디옥산-2-온, 5-[4-(헥실옥시)페닐]-1,3-디옥산-2-온, 5-알릴-1,3-디옥산-2-온, 5-(벤질옥시카르보닐)-1,3-디옥산-2-온, 5-메틸-4-(벤조일옥시메틸)-1,3-디옥산-2-온, 5-메틸-4-(4-니트로벤조일옥시메틸)-1,3-디옥산-2-온, 5-메틸-4-(4-메톡시벤조일옥시메틸)-1,3-디옥산-2-온, 5-(4-메틸렌-5-헥센-1-일리덴)-1,3-디옥산-2-온, 5-에틸-5-(4-비닐벤질옥시메틸)-1,3-디옥산-2-온, 5-(벤질옥시)-1,3-디옥산-2-온, 5-하이드록시-1,3-디옥산-2-온, 4-메틸렌-5,5-디메틸-1,3-디옥산-2-온, 5-에틸-5-(2-하이드록시에틸)-1,3-디옥산-2-온, 4-[1-(페닐티오)시클로헥실]-1,3-디옥산-2-온, 4-[4-(옥틸옥시)페닐아조]-6-헥실-1,3-디옥산-2-온, 4-(4-메톡시페닐아조)-6-헥실-1,3-디옥산-2-온, 4-[4-(옥틸옥시)페닐아조]-6-데실-1,3-디옥산-2-온, 2-옥소-5-메틸-1,3-디옥산-5-카르본산알릴, 4-[1-(페닐티오)시클로헥실]-5,5-디메틸-1,3-디옥산-2-온, 4-알릴-6-메틸-1,3-디옥산-2-온, 5-에틸-5-(벤질옥시메틸)-1,3-디옥산-2-온, 5-[2-(벤질옥시)에톡시]-1,3-디옥산-2-온, 5-(알릴옥시)-1,3-디옥산-2-온, 5-[3-(2-하이드록시에틸티오)프로폭시]-1,3-디옥산-2-온, 5-(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1,3-디옥산-2-온, 5-[6-[4-(4-펜틸시클로헥실)페녹시]헥실옥시]-1,3-디옥산-2-온, 4-(요오드메틸)-6-[2-(4-메톡시벤질옥시)에틸]-1,3-디옥산-2-온, (5S)-4-비닐-5β-(2,2-디메톡시에틸)-1,3-디옥산-2-온, 5-알릴-5-프로파길-1,3-디옥산-2-온, 4-비닐-5-(1-메틸-5-이미다졸릴메틸)-1,3-디옥산-2-온, 5-벤질리덴-1,3-디옥산-2-온, 5-(글리시딜옥시메틸)-5-에틸-1,3-디옥산-2-온, 5-(알릴옥시메틸)-5-에틸-1,3-디옥산-2-온, 5,5-비스(아지드메틸)-1,3-디옥산-2-온, 5-메틸-5-[[2-(비닐술포닐)에틸]티오메틸]-1,3-디옥산-2-온, 5-(알릴옥시메틸)-5-에틸-1,3-디옥산-2-온, 5,5’-(옥시비스메틸렌)비스(5-에틸-1,3-디옥산-2-온), 5,5’-(4,7-디티아데칸-1,10-디일)비스(1,3-디옥산-2-온), 5,5’-(에틸렌비스티오비스테트라메틸렌)비스(1,3-디옥산-2-온), 5-메틸-5-(2-옥소-1,3-디옥솔란-4-일메틸)-1,3-디옥산-2-온, 5-에틸-5-(2-옥소-1,3-디옥솔란-4-일메틸)-1,3-디옥산-2-온, 5-[(2-옥소-1,3-디옥솔란-4-일)메틸]-5-프로필-1,3-디옥산-2-온, 5-(2-옥소-1,3-디옥솔란-4-일메톡시)-5-에틸-1,3-디옥산-2-온 등의 6원환 카보네이트류;
예를 들어, 탄산테트라메틸렌(1,3-디옥세판-2-온이라고도 칭함), 5-메틸-1,3-디옥세판-2-온, 4-메틸-1,3-디옥세판-2-온, 5,5-디메틸-1,3-디옥세판-2-온, 5-페닐-1,3-디옥세판-2-온, 4-페닐-1,3-디옥세판-2-온, 4-[1-(페닐티오)시클로헥실]-1,3-디옥세판-2-온, 5,5’-(에틸렌비스티오비스트리메틸렌)비스(1,3-디옥세판-2-온) 등의 7원환 카보네이트류를 들 수 있으나, 에틸렌카보네이트, 프로필렌카보네이트, 글리세린카보네이트 등의 5원환 카보네이트류가 반응성의 점에서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함불소 환상 화합물(b1-4)>
환상 화합물(B1)에는, 내열성이나 내습열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추가로, 환상 화합물(B1)의 환상 구조 중에, F원자를 갖는 치환기로 적어도 1개 이상 치환된 함불소 환상 화합물(b1-4)을 포함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F원자 함유치환기로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F-, CF3-, CF2H-, CFH2-, CF3CF2-, CHF2CF2-, CH3CF2-, CF3CH2-, CF3CF2CH2-, CF3CF2CF2-, CH(CF3)2-, CHF2CF2CH2-, CHF2CF2CH2-, CF3CH2CH2-, CF3CF2CF2CF2-, CHF2CF2CF2CH2-, CF3CHFCF2CH2-, CHF2CF(CF3)CH2-, CF3CF2CH2CH2-, CHF2CF2CF2CF2CH2-, CF3CF2CF2CF2CF2- 등을 예시할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F원자 단독의 치환기나, 탄소수 3이하의 함불소알킬기인 것이, 효과적인 접착력과 내열성이나 내습열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는 점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환상 화합물(B1)의 구조상, 어느 위치여도 바람직하고,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
또한, F원자를 갖는 치환기로 적어도 1개 이상 치환된 함불소 환상 화합물(b1-4)로는, 함불소락톤류(b1-4-1), 함불소카보네이트류(b1-4-2), 함불소디옥솔란류(b1-4-3) 중 적어도 어느 1종을 갖는 것이 내열성이나 내습열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함불소락톤류(b1-4-1)로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α-플루오로-γ-부티로락톤, β-플루오로-γ-부티로락톤, γ-플루오로-γ-부티로락톤, α-트리플루오로메틸-γ-부티로락톤, 2-(4-플루오로페녹시)-4-하이드록시부탄산락톤, 1-데하이드로-9-플루오로-11-옥소테스트로락톤, 10-플루오로-11-하이드록시운데칸산락톤, 5-(1’-플루오로에틸)-5-페닐-2-옥소테트라하이드로푸란, 5-플루오로메틸-5-페닐-2-옥소테트라하이드로푸란의 함불소락톤류를 들 수 있는데, 플루오로-γ-부티로락톤의 함불소락톤류가 반응성의 점에서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함불소카보네이트류(b1-4-2)로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플루오로에틸렌카보네이트, 트리플루오로메틸에틸렌카보네이트, 4-(트리플루오로메틸)-5-(페닐티오)-1,3-디옥솔란-2-온, 4-[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리덴]-5,5-디메틸-1,3-디옥솔란-2-온, 4-플루오로-4-메틸-1,3-디옥솔란-2-온, 4-플루오로-5-메틸-1,3-디옥솔란-2-온, 4-트리플루오로메틸-4-메틸-1,3-디옥솔란-2-온, 4-(트리플루오로메틸)-1,3-디옥솔란-2-온, 4-(2,2,3,3,4,4,5,5,5-노나플루오로펜틸)-1,3-디옥솔란-2-온, 4,5-디플루오로-1,3-디옥솔란-2-온, 4-플루오로-4-에틸-1,3-디옥솔란-2-온, 4,4-디플루오로-1,3-디옥솔란-2-온, 4-(α,α-디플루오로벤질)-1,3-디옥솔란-2-온, 4-[(테트라하이드로푸란-3-일)디플루오로메틸]-1,3-디옥솔란-2-온, 4-플루오로-4-[(4-메톡시페닐)티오]-1,3-디옥솔란-2-온, 4-플루오로-4-(4-브로모페닐티오)-1,3-디옥솔란-2-온, 4-(페닐티오플루오로메틸)-1,3-디옥솔란-2-온, 4-(페닐티오디플루오로메틸)-1,3-디옥솔란-2-온, 4-[디플루오로(페닐술포닐)메틸]-1,3-디옥솔란-2-온, 4-[디플루오로(페닐술피닐)메틸]-1,3-디옥솔란-2-온, 4-플루오로-4-(4-메틸페닐티오)-1,3-디옥솔란-2-온, 4-[[4-(플루오로메틸)페닐]티오]-1,3-디옥솔란-2-온, 4-플루오로-4-(페닐티오)-1,3-디옥솔란-2-온, 4-플루오로-4-(4-클로로페닐티오)-1,3-디옥솔란-2-온 등의 5원환 함불소카보네이트류;
예를 들어, 4-플루오로-1,3-디옥산-2-온, 4-플루오로-4-메틸-1,3-디옥산-2-온, 4-플루오로-5-메틸-1,3-디옥산-2-온, 4,5-디플루오로-1,3-디옥산-2-온, 4-트리플루오로메틸-1,3-디옥산-2-온, 4,5-디(트리플루오로메틸)-1,3-디옥산-2-온 등의 6원환 함불소카보네이트류;
예를 들어, 4-플루오로-1,3-디옥세판-2-온, 5-플루오로-1,3-디옥세판-2-온, 4-플루오로-4-메틸-1,3-디옥세판-2-온, 4-트리플루오로메틸-1,3-디옥세판-2-온 등의 7원환 함불소카보네이트류를 들 수 있으나, 플루오로에틸렌카보네이트, 트리플루오로메틸에틸렌카보네이트, 4,4-디플루오로-1,3-디옥솔란-2-온, 4,5-디플루오로-1,3-디옥솔란-2-온의 5원환 함불소카보네이트류가 반응성의 점에서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함불소디옥솔란류(b1-4-3)로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2-플루오로-1,3-디옥솔란, 4-플루오로-1,3-디옥솔란, 2-(플루오로메틸렌)-1,3-디옥솔란, 2-(트리플루오로메틸)-1,3-디옥솔란, 2-디플루오로메틸-1,3-디옥솔란, 2-옥소-4α-플루오로메틸-1,3-디옥솔란, 2,2-디메틸-4-(플루오로메틸)-1,3-디옥솔란, cis-4-플루오로메틸-2-메틸-1,3-디옥솔란, 2-(3-클로로프로필)-2-(p-플루오로페닐)-1,3-디옥솔란 등의 함불소1,3-디옥산류를 들 수 있는데, 2-플루오로-1,3-디옥솔란, 4-플루오로-1,3-디옥솔란의 함불소1,3-디옥산류가 반응성의 점에서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이들 F원자를 갖는 치환기로 적어도 1개 이상 치환된 함불소 환상 화합물(b1-4)은, 1종만을 이용할 수도 있고, 혹은, 복수종을 병용할 수도 있다.
광중합성 조성물에 있어서, 2개 이상의 산소원자를 갖는 4원환 이상의 환상 화합물(B1)은, 주성분인 3원환상의 옥시란 화합물(A) 100중량부에 대하여, (B1)을 0.5~60중량부의 범위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30중량부의 범위로 함유하는 것이 더욱더 바람직하다. 2개 이상의 산소원자를 갖는 4원환 이상의 환상 화합물(B)이 0.5중량부 이상이면, 광중합을 행했을 때에, 3원환상의 옥시란 화합물(A)의 중합속도가 향상되고, 응집력이 올라가기 때문에, 효과적인 가교 도막이 얻어진다. 한편, 60중량부 이하이면, 중합성 조성물을 광중합성 접착제로서 이용한 경우에는, 가교 도막의 극성이 적절한 범위가 되므로, 비극성계 광학필름(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노보넨계 필름 등)의 접착력이 우수하다.
환상 화합물(B1) 100중량% 중의, 환상 화합물(b1-1), 환상 화합물(b1-2), 화합물(b1-3)을, 중합속도의 관점으로부터, 합계 80중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0중량% 이상이다. 또한, 이들 바람직한 배합비는, 가교 도막의 응집력의 관점으로부터 각각 (b1-1)/(b1-2)/(b1-3)=5~10/5~10/70~6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b1-1)/(b1-2)/(b1-3)=0~5/0~5/80~70이다.
함불소 환상 화합물(b1-4)은, 환상 화합물(B1) 100중량% 중, (b1-4)를 10~100중량%의 범위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0~100중량%의 범위로 함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F원자를 갖는 치환기로 적어도 1개 이상 치환된 함불소 환상 화합물(b1-4)을 이 범위에서 이용함으로써, 한층 더 엄격한 조건 하에서의 내열성, 및 내습열성을 부가할 수 있게 되므로, 더욱 바람직하다.
<1개 이상의 산소원자 및 황원자를 갖는 4원환 이상의 환상 화합물(B2)>
이하, 「1개 이상의 산소원자 및 황원자를 갖는 4원환 이상의 환상 화합물(B2)」을, 「환상 화합물(B2)」라고도 기재한다. 환상 화합물(B2)은, 환 내에 술폭사이드 골격, 술폰 골격, 설파이트 골격, 설페이트 골격, 술폰산에스테르 골격, 술핀산에스테르 골격, 티오에스테르 골격 중 적어도 어느 1종의 구조를 갖는 것이 광중합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술폭사이드 골격을 갖는 환상 화합물(b2-1)로는 티에탄1-옥사이드(트리메틸렌술폭사이드라고도 칭함), 3-하이드록시티에탄1-옥사이드, 3-메틸티에탄1-옥사이드, 1,3-디티에탄1-옥사이드, 3-tert-부틸티에탄1-옥사이드, 테트라하이드로-2H-티오피란1-옥사이드, 2-메틸테트라하이드로-2H-티오피란1-옥사이드, 2-에틸테트라하이드로-2H-티오피란1-옥사이드, 2-이소프로필테트라하이드로-2H-티오피란1-옥사이드, 3,5-디메틸테트라하이드로-2H-티오피란1-옥사이드, 4-메틸테트라하이드로-2H-티오피란1-옥사이드, 4-에틸테트라하이드로-2H-티오피란1-옥사이드, 4-네오펜틸테트라하이드로-2H-티오피란1-옥사이드, 4-이소프로필테트라하이드로-2H-티오피란1-옥사이드, 4-tert-부틸테트라하이드로-2H-티오피란1-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술폰 골격을 갖는 환상 화합물(b2-2)로는 술포란, 3-메틸술포란, 디메틸술포란 3-술포렌, 2,5-디메틸술포란, 4,4-디옥소-1,4-옥사티안 등을 들 수 있다.
설파이트 골격을 갖는 환상 화합물(b2-3)로는 1,3,2-디옥사티올란2-옥사이드(글리콜설파이트라고도 칭함), 4,5-디메틸-1,3,2-디옥사티올란2-옥사이드, 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티올란2-옥사이드, 4,5-디페닐-1,3,2-디옥사티올란-2-옥사이드, 4-(하이드록시메틸)-1,3,2-디옥사티올란2-옥사이드, 4-부틸-1,3,2-디옥사티올란2-옥사이드, 5-메틸-4-옥소-1,3,2-디옥사티올란2-옥사이드, 4-페닐-1,3,2-디옥사티올란2-옥사이드, 4-메틸-1,3,2-디옥사티올란2-옥사이드, 4-부틸-4-페닐-1,3,2-디옥사티올란2-옥사이드, 4-프로필-1,3, 2-디옥사티올란-2-옥사이드, 4-메틸-4-페닐-1,3,2-디옥사티올란2-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설페이트 골격을 갖는 환상 화합물(b2-4)로는 1,3,2-디옥사티올란2,2-디옥사이드(에틸렌설페이트라고도 칭함), 4-에틸-1,3,2-디옥사티올란2,2-디옥사이드, 4-메틸-1,3,2-디옥사티올란2,2-디옥사이드, 4-(3-메틸부틸)-1,3,2-디옥사티올란2,2-디옥사이드, 4-tert-부틸-1,3,2-디옥사티올란2,2-디옥사이드, 4-(벤질옥시메틸)-1,3,2-디옥사티올란2,2-디옥사이드, 4-이소프로필-1,3,2-디옥사티올란2,2-디옥사이드, 4-프로필-1,3,2-디옥사티올란2,2-디옥사이드, 4-(4-페닐부틸)-4-메틸-1,3,2-디옥사티올란2,2-디옥사이드, 4-헥실-1,3,2-디옥사티올란2,2-디옥사이드, 4,4-디에틸-1,3,2-디옥사티올란2,2-디옥사이드, 4-카르복시-4-메틸-1,3,2-디옥사티올란2,2-디옥사이드, 4-페네틸-1,3,2-디옥사티올란2,2-디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술폰산에스테르 골격을 갖는 환상 화합물 (b2-5)로는 3-하이드록시-2-옥탄술폰산술톤, 1,3-프로판술톤, 1-메틸-1,3-프로판술톤, 1,4-부탄술톤, 2,4-부탄술톤, 4-하이드록시-2-옥탄술폰산술톤, 3-하이드록시-1-프로펜-1-술폰산술톤, γ-부탄술톤, 1,8-나프타술톤, δ-헥사데칸술톤, 1-벤질-4-하이드록시부탄-1-술폰산술톤 등을 들 수 있다.
술핀산에스테르 골격을 갖는 환상 화합물(b2-6)로는, 1,2-옥사티올란2-옥사이드, 3-메틸-1,2-옥사티올란2-옥사이드, 3-프로필-1,2-옥사티올란2-옥사이드, 3,3,5-트리메틸-1,2-옥사티올란2-옥사이드, 3-펜틸-5-메틸-1,2-옥사티올란2-옥사이드, 3,3-디메틸-1,2-옥사티올란2-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티오에스테르 골격을 갖는 환상 화합물(b2-7)로는, 예를 들어, 티에탄-2-온, 3,3-디메틸티에탄-2-온, 4-메틸티에탄-2-온, 3-메틸티에탄-2-온, 3-에틸티에탄-2-온, 3-메틸-3-에틸티에탄-2-온, γ-티오부티로락톤, 3-메틸디하이드로티오펜-2(3H)-온, 3-에틸티오란-2-온, 4,5-디하이드로-3-이소프로필티오펜-2(3H)-온, 4,5-디하이드로-3-tert-부틸티오펜-2(3H)-온, 3,3-디메틸테트라하이드로티오펜-2-온, 4,5-디하이드로-3,3-디에틸티오펜-2(3H)-온, 4,5-디하이드로-3-이소프로필-3-메틸티오펜-2(3H)-온, 4,5-디하이드로-3,3-디이소프로필티오펜-2 (3H)-온, 5-메틸디하이드로티오펜-2 (3H)-온, 4-메틸디하이드로티오펜-2(3H)-온, 5-부틸디하이드로티오펜-2(3H)-온, 5-헥실테트라하이드로티오펜-2-온, 5-옥틸디하이드로티오펜-2(3H)-온, 4-부틸디하이드로티오펜-2(3H)-온, 5-에틸테트라하이드로티오펜-2-온4-메틸디하이드로티오펜-2 (3H)-온α-에틸-α-메틸-γ-티오부티로락톤, 4-에틸-3-메틸-1-티아시클로펜탄-2-온, 3-에틸-4-메틸-1-티아시클로펜탄-2-온, β-에틸-β-메틸-γ-티오부티로락톤, 테트라하이드로-2H-티오피란-2-온, 6-메틸테트라하이드로-2H-티오피란-2-온, 6-프로필테트라하이드로-2H-티오피란-2-온, 6-펜틸테트라하이드로-2H-티오피란-2-온, 6-헵틸테트라하이드로-2H-티오피란-2-온, 6-헥실테트라하이드로-2H-티오피란-2-온 등을 들 수 있다.
환상 화합물(B2)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환상 화합물(B2) 중에서도, 술포란, 1,3,2-디옥사티올란2-옥사이드, 1,3,2-디옥사티올란2,2-디옥사이드, 1,3-프로판술톤, 1,4-부탄술톤이 반응성 및 저점도화의 점에서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환상 화합물(B2)은, 주성분인 옥시란 화합물(A) 100중량부에 대하여, 0. 5~60중량부의 범위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30중량부의 범위로 함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환상 화합물(B2)이 0.5중량부 이상이면, 광중합을 행했을 때에, 옥시란 화합물(A) 의 중합속도가 향상되고, 응집력이 올라가기 때문에, 효과적인 가교 도막이 얻어진다. 한편, 60중량부 이하이면, 광중합성 조성물을 광중합성 접착제로서 이용한 경우에는, 가교 도막의 극성이 적절한 범위가 되므로, 비극성계 광학필름(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노보넨계 필름 등)에 대한 접착력이 우수하다.
<적어도 1개의 환상 구조와 수산기를 갖는 분자량 500 이하의 화합물(C)>
이하, 「적어도 1개의 환상 구조와 수산기를 갖는 분자량 500 이하의 화합물(C)」를 「화합물(C)」라고도 기재한다.
화합물(C)이란 적어도 1개의 방향환이나 시클로알칸, 시클로알켄 등의 탄소만으로 이루어진 환상 화합물이나 티이란, 아제티딘, 옥솔란, 티올란 등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환상 화합물과 1~10개의 수산기를 모두 갖는 분자량 500 이하의 화합물로, 수산기는 페놀성 수산기 혹은 알코올성 수산기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화합물(C)은, 옥시란 화합물(A), 환상 화합물(B1) 및 환상 화합물(B2)과 반응하여 중합도가 올라갈 뿐 아니라, 옥시란 화합물(A), 환상 화합물(B1) 및 환상 화합물(B2)의 반응을 촉진시킨다. 화합물(C)의 분자량이 500 이하이면 반응촉진효과가 높고, 옥시란 화합물(A), 환상 화합물(B1) 및 환상 화합물(B2)과의 반응성이 우수하다.
한편, 분자량의 측정방법은, Showa Denko K.K.제 GPC(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Shodex GPC System-21」를 이용하였다. GPC는 용매에 용해한 물질을 그 분자 사이즈의 차에 의해 분리 정량하는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이며, 용매로는 테트로하이드로푸란, 분자량으로는, 수평균분자량(Mn)으로서 결정하여, 폴리스티렌 환산으로 행한 것이다.
화합물(C)에서의 환상 화합물이란,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페닐, 페닐렌, 톨릴, 톨릴레노(tolileno), 벤질, 벤질리덴, 벤질리딘, 자일릴, 자일릴렌, 프탈릴리덴, 이소프탈릴리덴, 테레프탈릴리덴, 페네틸리덴, 페네틸리딘, 스티릴, 스티릴리덴, as-슈도큐밀(pseudocumyl), v-슈도큐밀, s-슈도큐밀, 메시틸, 큐멘일, α-큐밀, 하이드로신나밀, 신나밀, 신나밀리덴, 신나밀리딘, 듀릴(duryl), 듀릴렌(durylene), 티밀, 카바크릴, 큐미닐(cuminyl), 큐미닐리덴(cuminylidene), 네오필, 크세닐(xenyl), 벤즈하이드릴, 벤즈하이드릴리덴(benzhydrylidene), 트리틸 등으로 대표되는 치환기를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벤젠, 톨루엔, 자일렌, 스티렌, 헤미멜리텐, 슈도큐멘, 메시틸렌, 쿠멘, 이소듀렌, 듀렌, 시멘, 멜리텐 등의 벤젠 유도체 중의 수소원자를 1개 또는 복수개 제거한 형태의 기가 다른 화학구조에 결합될 수 있는 방향환 함유 화합물.
예를 들어, 비페닐, 트리페닐메탄 등의 방향족 다환 화합물;
예를 들어, 펜타렌, 인덴, 인단, 닌히드린, 나프탈렌, 테트랄린, 데칼린, 사포탈렌(sapotalene), 카달렌, 유달렌(eudalene), 나프톨, 메나디올(menadiol), 고시폴, 나프토퀴논, 로손, 주글론, 메나디온, 플럼바긴, 프티오콜, 에키노크롬A, 알칸닌, 시코닌, 아세토나프톤, 나프토산, 나프토일, 나프탈산, 나프탈레이트, 아세토메나프톤(acetomenaphthone), 나프티온산, 나프티오네이트(naphthionate), 나프티오닐(naphthionyl), 단실, 크로세인산, 플라비안산, 크로모트로프산, 네오쿠페론, 아줄렌, 카마줄렌, 구아이아줄렌, 헵탈렌, 옥타렌, 푸르푸로갈린(purpurogallin) 등의 탄소 축합2환계:
예를 들어, as-인다센, s-인다센, as-하이드로인다센, s-하이드로인다센, 비페닐렌, 아세나프틸렌, 아세나프텐, 아세나프토퀴논, 플루오렌, 페날렌, 페리나프텐(perinaphthene), 페난트렌, 페난트릴, 페난트릴리윰(phenanthrylium), 페난트릴리덴(phenanthrylidene), 페난트릴렌(phenanthrylene), 페난트롤린, 모르폴(morphol), 페난트론, 페난트라퀴논(phenanthraquinone), 피만트렌(pimanthrene), 레텐, 안트라센, 안트릴, 안트릴륨(anthrylium), 안트릴리덴(anthrylidene), 안트릴렌, 안트롤, 안트라놀(anthranol), 안트라로빈(anthrarobin), 안트라린(anthralin), 디트라놀, 안트로일(anthroyl), 안트론, 비안트론(bianthrone), 안트라퀴논, 안트라퀴노닐, 안트라퀴노닐렌(anthraquinonylene), 알리자린, 퀴니자린(quinizarin), 안트라루핀(anthrarufin), 크리사진(chrysazin), 안트라갈롤(anthragallol), 푸르푸린, 플라보푸르푸린, 안트라푸르푸린, 퀴날리자린(quinalizarin), 텍토퀴논(tectoquinone), 크리소파놀, 크리소판산, 에모딘, 레인(rhein), 켈메스산(kermesic acid), 카민산, 디안트리미드(dianthrimide), 안트리미드(anthrimide), 크리산민산(chrysamminic acid), 콜히친 등의 탄소 축합3환계;
예를 들어, 트린덴(trindene), 트린단(trindan), 플루오란텐, 아세페난트릴렌(acephenanthrylene), 아세페난트렌, 아세안트릴렌, 아세안트렌(aceanthrene), 트리페닐렌, 피렌, 크리센, 테트라펜(tetraphene), 테트라센, 나프타센, 루브렌(rubrene), 테트라사이클린, 클로르테트라사이클린, 옥시테트라사이클린, 프레이아덴(pleiadene), 벤조안트론 등의 탄소 축합4환계;
예를 들어, 피센, 페릴렌, 펜타펜, 펜타센, 테트라페닐렌, 코란트릴렌(cholanthrylene), 코란트렌(cholanthrene) 등의 탄소 축합5환계;
예를 들어, 코라눌렌, 풀미넨(fulminene), 안탄트렌, 제트렌, 헥사헬리센(hexahelicene), 헥사펜, 헥사센, 루비센(rubicene), 코로넨, 트리나프틸렌, 헵타펜, 헵타센, 피란트렌, 옥타펜, 옥타센, 테릴렌, 나프타세노나프타센(naphthacenonaphthacene), 노나펜(nonaphene), 노나센, 비오란트렌(violanthrene), 비오란트론(violanthrone), 이소비오란트렌(isoviolanthrene), 이소비오란트론(isoviolanthrone), 오바렌, 데카펜(decaphene), 데카센(decacene), 데카시클렌(decacyclene), 펜타세노펜타센, 쿠아테릴렌, 헥사노헥사센(hexacenohexacene) 등의 환수 6 이상의 탄소 축합환계; 등의 환상 화합물 중의 수소원자를 1개 또는 복수개 제거한 형태의 기가 다른 화학구조에 결합될 수 있는 방향환을 들 수 있다.
그 밖에, 예를 들어, 시클로프로펜, 시클로부텐, 시클로펜텐, 시클로헥센, 시클로헵텐, 시클로옥텐, 시클로부타디엔, 시클로펜타디엔, 시클로헥사디엔, 시클로헵타디엔, 시클로옥타디엔 등의 시클로알켄류;
예를 들어, 벤젠 이외의 탄소수를 갖는, 환을 구성하는 탄소수가 3 이상인 [4n+2]아눌렌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푸란, 푸릴, 푸라닐, 푸릴리덴, 푸라닐리덴, 푸릴렌, 푸란디일, 푸르푸릴, 2-푸릴메틸, 푸르푸릴리덴, 2-푸릴메틸리딘, 푸르푸릴리딘, 2-푸릴메틸리딘, 2-푸르알데히드, 2,2’-푸로인, 푸로일, 테트로닉산, 테트라하이드로푸란-2,4-디온, 무수숙신산, 무수말레산, 시트라콘산무수물, 무수이타콘산, 2H-피란, 피론, 피라논, 옥세탄, 말론산 무수물, 디글리콜리드, 디락티드, 2-벤조푸란, 프탈란(phthalan), 프탈라이드, 프탈리딜, 프탈리딜리덴(phthalidylidene), 메코닌, 무수프탈산, 트리멜리트산 무수물, 쿠마론, 쿠마란, 이소크로멘, 이소크로만, 이소쿠마린, 이소크로메닐리윰(isochromenylium), 크로멘, 쿠마린, 크로메닐리윰(chromenylium), 크산틸리윰(xanthylium), 옥산트렌(oxanthrene), 피페로닐, 피페로닐리덴(piperonylidene), 호모피페로닐, 로가닌, 디벤조푸란, 모르페놀(morphenol) 등의 산소함유 환상 화합물.
예를 들어, 티오펜, 티에닐, 티에닐리덴, 티에닐렌, 테닐, 데닐리덴(thenylidene), 테닐리딘(thenylidyne), 텐알데히드(thenaldehyde), 텐알독심( thenaldoxime), 테트라메틸렌설파이드, 티오피란, 이소티오크로멘, 이소티오크로메닐리윰(isothiochromenylium), 티오크로멘, 티옥산톤, 티안트렌, 페노크산틴, 티이란, 티에탄, 티아나프텐, 티오판트렌(thiophanthrene) 등의 황함유 환상 화합물.
예를 들어, 피롤, 이미다졸, 피라졸, 셀레나졸, 티아졸, 옥사졸, 푸라잔, 피페리딘, 피리딘, 피라진, 피페라진, 피리미딘, 피리다진, 텔루로모르폴린(telluromorpholine), 셀레노모르폴린(selenomorpholine), 티오모르폴린, 모르폴린, 에틸렌이민, 트리메틸렌이민, 헥사메틸렌이민, 옥토겐, 피롤리딘, 피린딘(pyrindine), 인돌리진, 인돌, 인다졸, 푸린, 퀴놀리진, 퀴놀린, 나프티리딘 등의 질소함유 환상 화합물.
예를 들어, 포스핀돌리진(phosphindolizine), 이소포스핀돌(isophosphindole), 포스핀돌(phosphindole), 포스피놀리진(phosphinolizine), 포스피놀린(phosphinoline), 포스판트리딘(phosphanthridine), 아크리도포스핀(acridophosphine), 포스파트렌(phosphatrane), 페녹사포스피닌(phenoxaphosphinine), 페노포스파진(phenophosphazine) 등의 인함유 환상 화합물이 있다.
환상 화합물로는, 시클로헥산환, 시클로헥센환, 노보난환, 노보넨환, 아다만탄환, 프탈란(phthalan)환, 쿠마란환, 피페로니환, 크로만환이 보다 저조도에서의 경화성이 우수하므로 바람직하다.
화합물(C)로는 예를 들어, 시클로프로필알코올, 시클로부틸알코올, 시클로펜틸알코올, 시클로헥실알코올, 페놀, 벤질알코올, 디페닐알코올, 벤질에탄올, 시클로헥센알코올, 노보난알코올, 노보넨알코올, 아다만탄알코올, 프탈란(phthalan)알코올, 쿠마란알코올, 피페로닐로알코올, 크로만알코올과 같이 환상 화합물에 직접, 혹은 탄소수 1~18의 알킬기를 통해 수산기가 1개 결합된 것이나, 1,3-시클로헥산디메탄올, 살리실알코올, 겐티실알코올, 바닐릴알코올, 실린길(syringyl)알코올, 페네틸알코올, 호모바닐릴알코올, 하이드로퀴논, 레조르시놀, 카테콜과 같이 복수의 수산기를 갖는 화합물, 혹은 3-메톡시시클로헥사놀, anisyl알코올, (3,4-디메톡시페닐)메탄올, (4-이소프로필페닐)메탄올, 3-페닐프로파-2-엔-1-올, 3-(4-하이드록시-3-메톡시페닐)프로파-2-엔-1-올, 크레졸과 같이 수산기 이외에 환상 화합물에 알킬, 알칸, 알켄, 에테르, 에스테르 등의 관능기가 결합되어 있는 화합물, 혹은 알킬, 알칸, 알켄, 에테르, 에스테르 등의 관능기를 통해 수산기가 결합되어 있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화합물(C)로는 특히, 시클로헥실알코올, 벤질알코올, 노보난알코올, 아다만탄알코올, 피페로닐알코올, 3,4-메틸렌디옥시페놀이 저조도에서의 경화성이 우수한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화합물(C)은 3원환상의 옥시란 화합물(A) 100중량부에 대하여, 0.5~40중량부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30중량부이다. 0.5중량부 이상이면 옥시란 화합물(A), 환상 화합물(B1), 또는 환상 화합물(B2)과의 반응촉진효과가 높고, 40중량부 이하이면 반응성이 양호하다.
광중합성 조성물에 있어서, 3원환상의 옥시란 화합물(A)의 점도는, 200mPa·s 이상인 것이 많고, 방향환을 갖는 화합물(a-1)의 점도는 5000mPa·s 이상인 것이 많고, 고형인 것이 많다.
옥시란 화합물(A), 환상 화합물(B1), 환상 화합물(B2), 화합물(C) 이외의 기타 광중합성 성분을, 광중합성 조성물 100중량% 중, 80중량% 이하의 범위로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D)>
광중합성 조성물 중에, 기타 광중합성 성분으로서,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D)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D)이란 분자구조 중에 불포화 이중결합을 갖는 화합물이다.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D)을 함유하는 경우에는, 3원환상의 옥시란 화합물(A) 100중량부에 대하여, 5~1000중량부의 비율로 이용할 수 있다.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D)이 5중량부보다 적으면, 광중합성 조성물의 점도를 충분히 저하시킬 수 없고, 1000중량부보다 많으면 3원환상의 옥시란 화합물(A)의 중합성 향상을 방해한다.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D)로는, 점도가 0.5~2000mPa·s인 것이 바람직하고, 1~1000mPa·s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D)을 이용함으로써, 광중합성 조성물의 고점도화를 억제하고, 박막 도공성을 개량하면서, 광중합성을 유지함과 함께, 후술하는 접착제의 접착력이나 가공성을 유지할 수 있다.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D)로는, 광학필름과의 밀착성을 고려할 때, 수산기 함유의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d-1), 및, 또는, 시클로알칸 골격 및/또는 시클로알켄 골격을 갖는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d-2)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산기 함유의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d-1)로는, 그 구조 중에 수산기를 갖는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산 2-하이드록시에틸과 메타크릴산 2-하이드록시에틸을 통틀어 「(메트)아크릴산 2-하이드록시에틸」라 표기한다. 이하 동일.〕, (메트)아크릴산 1-하이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 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 3-하이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 1-하이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산 2-하이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산 3-하이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산4-하이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산6-하이드록시헥실, (메트)아크릴산8-하이드록시옥틸, (메트)아크릴산 10-하이드록시데실, (메트)아크릴산 12-하이드록시라우릴, (메트)아크릴산에틸-α-(하이드록시메틸), 단관능 (메트)아크릴산글리세롤, 혹은 (메트)아크릴산글리시딜라우르산에스테르, (메트)아크릴산글리시딜올레산에스테르, (메트)아크릴산글리시딜스테아린산에스테르 등의 지방산에스테르계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혹은 락톤환의 개환 부가에 의해 말단에 수산기를 갖는 폴리락톤계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혹은 에틸렌옥사이드나 프로필렌옥사이드 등의 알킬렌옥사이드가 반복 부가된 말단에 수산기를 갖는 알킬렌옥사이드부가계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메트)아크릴산 2-하이드록시에틸포스페이트 등의 수산기 함유의 지방족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류;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 1,2-시클로헥산디메탄올, (메트)아크릴산 1,3-시클로헥산디메탄올, (메트)아크릴산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메트)아크릴산시클로헥실글리시딜에테르, (메트)아크릴산페닐글리시딜에테르, (메트)아크릴산 2-하이드록시-3-페녹시메틸, (메트)아크릴산 2-하이드록시-3-페녹시에틸, (메트)아크릴산 2-하이드록시-3-페녹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 2-하이드록시-3-페녹시부틸, (메트)아크릴산 2-하이드록시-3-페녹시데실, (메트)아크릴산 2-하이드록시-3-페녹시옥타데실, (메트)아크릴산모노하이드록시에틸프탈레이트, (메트)아크릴산 2-(4-벤조일-3-하이드록시페녹시)에틸, 디(메트)아크릴산 1,4-비스(2-하이드록시프로필)벤젠, 디(메트)아크릴산 1,3-비스(2-하이드록시프로필)벤젠 등의 수산기 함유의 지환 혹은 방향족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류;
예를 들어, 2-(2’-하이드록시-5’-(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페닐)-2H-벤조트리아졸,〔2-(2’-하이드록시-5’-아크릴로일옥시에틸페닐)-2H-벤조트리아졸과 2-(2’-하이드록시-5’-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페닐)-2H-벤조트리아졸을 통틀어 「2-(2’-하이드록시-5’-(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페닐)-2H-벤조트리아졸」이라 표기한다. 이하 동일.〕, 2-(2’-하이드록시-5’-(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페닐)-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5’-(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페닐)-2H-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5’-(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페닐)-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3’-tert-부틸-5’-(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3’-tert-부틸-5’-(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페닐)-5-클로로-2 H-벤조트리아졸 등의 수산기 함유 벤조트리아졸계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류;
예를 들어, 2-하이드록시-4-{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2-(메트)아크릴로일옥시}부톡시벤조페논, 2, 2’-디하이드록시-4-{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4’-(2-하이드록시에톡시)벤조페논 등의 수산기 함유 벤조페논계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류;
예를 들어, 2, 4-디페닐-6-[ 2-하이드록시-4-{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S-트리아진, 2, 4-비스(2-메틸페닐)-6-[2-하이드록시-4-{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 ]-S-트리아진, 2, 4-비스(2-메톡시페닐)-6-[ 2-하이드록시-4-{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S-트리아진, 2, 4-비스(2-에틸페닐)-6-[ 2-하이드록시-4-{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S-트리아진, 2, 4-비스(2-에톡시페닐)-6-[ 2-하이드록시-4-{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S-트리아진, 2, 4-비스(2, 4-디메틸페닐)-6-[ 2-하이드록시-4-{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S-트리아진, 2, 4-비스(2, 4-디에톡시실페닐)-6-[2-하이드록시-4-{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S-트리아진, 2, 4-비스(2, 4-디에틸페닐)-6-[ 2-하이드록시-4-{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S-트리아진 등의 수산기 함유트리아진계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류;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글리코실메틸, (메트)아크릴산글리코실에틸, (메트)아크릴산글리코실프로필, (메트)아크릴산글리코실부틸 등의 글루코스환계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류;
예를 들어, 하이드록시에틸비닐에테르, 하이드록시프로필비닐에테르, 하이드록시부틸비닐에테르, 하이드록시헥실비닐에테르, 하이드록시옥틸비닐에테르, 하이드록시데실비닐에테르, 하이드록사이드데실비닐에테르, 하이드록시옥타데실비닐에테르, 글리세릴비닐에테르, 혹은 에틸렌옥사이드나 프로필렌옥사이드 등의 알킬렌옥사이드가 반복 부가된 말단에 수산기를 갖는 알킬렌옥사이드부가계 비닐에테르 등의 수산기 함유의 지방족 비닐에테르류;
예를 들어, 1,2-시클로헥산디메탄올모노비닐에테르, 1,3-시클로헥산디메탄올모노비닐에테르,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모노비닐에테르, 2-하이드록시-3-페녹시메틸모노비닐에테르, 2-하이드록시-3-페녹시에틸모노비닐에테르, 2-하이드록시-3-페녹시프로필모노비닐에테르, 2-하이드록시-3-페녹시부틸모노비닐에테르, 2-하이드록시-3-페녹시데실모노비닐에테르, 2-하이드록시-3-페녹시옥타데실모노비닐에테르, 2-(4-벤조일-3-하이드록시페녹시)에틸모노비닐에테르 등의 수산기 함유의 지환이나 방향환을 갖는 비닐에테르류;
예를 들어, 2-하이드록시스티렌, 3-하이드록시스티렌, 4-하이드록시스티렌, 2-하이드록시-α-메틸스티렌, 3-하이드록시-α-메틸스티렌, 4-하이드록시-α-메틸스티렌, 2-메틸-3-하이드록시스티렌, 4-메틸-3-하이드록시스티렌, 5-메틸-3-하이드록시스티렌, 2-메틸-4-하이드록시스티렌, 3-메틸-4-하이드록시스티렌, 3,4-디하이드록시스티렌, 2,4,6-트리하이드록시스티렌, 2-하이드록시-6-비닐나프탈렌 등의 수산기 함유의 방향족 비닐 화합물류;
예를 들어, (메트)알릴알코올〔알릴알코올과 메탈릴알코올을 통틀어 「(메트)알릴알코올」이라 표기한다. 이하 동일.〕, 이소프로페닐알코올, 디메틸(메트)알릴알코올, 하이드록시에틸(메트)알릴에테르, 하이드록시프로필(메트)알릴에테르, 하이드록시부틸(메트)알릴에테르, 하이드록시헥실(메트)알릴에테르, 하이드록시옥틸(메트)알릴에테르, 하이드록시데실(메트)알릴에테르, 하이드록사이드데실(메트)알릴에테르, 하이드록시옥타데실(메트)알릴에테르, 글리세릴(메트)알릴에테르, 혹은 에틸렌옥사이드나 프로필렌옥사이드 등의 알킬렌옥사이드가 반복 부가된 말단에 수산기를 갖는 알킬렌옥사이드부가계 (메트)알릴에테르 등의 수산기 함유의 지방족 (메트)알릴알코올류 내지는 (메트)알릴에테르류;
예를 들어, 1,2-시클로헥산디메탄올모노(메트)알릴에테르, 1,3-시클로헥산디메탄올모노(메트)알릴에테르,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모노(메트)알릴에테르, o-(메트)알릴페놀, m-(메트)알릴페놀, p-(메트)알릴페놀, 2-하이드록시-3-페녹시메틸모노(메트)알릴에테르, 2-하이드록시-3-페녹시에틸모노(메트)알릴에테르, 2-하이드록시-3-페녹시프로필모노(메트)알릴에테르, 2-하이드록시-3-페녹시부틸모노(메트)알릴에테르, 2-하이드록시-3-페녹시데실모노(메트)알릴에테르, 2-하이드록시-3-페녹시옥타데실모노(메트)알릴에테르, 2-(4-벤조일-3-하이드록시페녹시)에틸모노(메트)알릴에테르 등의 수산기 함유의 지환이나 방향환을 갖는 (메트)알릴에테르류;
예를 들어, 프로펜디올, 부텐디올, 헵텐디올, 옥텐디올, 디(메트)아크릴산글루세롤, o-디(메트)알릴비스페놀A 등의 복수의 수산기를 갖는 에틸렌성 불포화단량체류;
예를 들어, N-하이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N-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아미드와 N-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아미드를 통틀어 「N-하이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라 표기한다. 이하 동일.〕, N-하이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 N-하이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아미드, N-하이드록시헥실(메트)아크릴아미드, N-하이드록시옥틸(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의 수산기 함유의 (메트)아크릴아미드류;
예를 들어, 하이드록시스티렌, 비닐알코올 등의 수산기와 알케닐기를 갖는 단량체류 등을 들 수 있으나, 특별히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1종만을 이용할 수도 있고, 혹은, 복수종을 병용할 수도 있다.
시클로알칸 골격 및/또는 시클로알켄 골격을 갖는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d-2)은, 시클로알칸 골격 및/또는 시클로알켄 골격과, 1개 이상의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결합을 갖는 중합성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이고, 2개 이상의 환 구조를 갖는 시클로알켄 골격 및/또는 시클로알켄 골격은 환 구조와 환 구조가 알킬기나 에테르기, 에스테르기 등에 의해 이격되어 있을 수도 있고, 노보난이나 노보넨, 아다만탄 구조와 같이 시클로환의 다리 구조일수도 있으나, 내열성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노보난이나 노보넨, 아다만탄 골격이 바람직하다.
시클로알칸 골격 및/또는 시클로알켄 골격을 갖는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d-2)로는,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시클로헥실, (메트)아크릴산 1-메틸-1-시클로펜틸, (메트)아크릴산 1-에틸-1-시클로펜틸, (메트)아크릴산 1-이소프로필-1-시클로펜틸, (메트)아크릴산 1-메틸-1-시클로헥실, (메트)아크릴산 1-에틸-1-시클로헥실, (메트)아크릴산 1-이소프로필-1-시클로헥실, (메트)아크릴산 1-에틸-1-시클로옥틸, (메트)아크릴산벤질, (메트)아크릴산iso-보닐, (메트)아크릴산페닐, (메트)아크릴산 2-페녹시에틸, (메트)아크릴산 2-옥소-1,2-페닐에틸, (메트)아크릴산 2-옥소-1,2-디페닐에틸, (메트)아크릴산 1-나프틸, (메트)아크릴산 2-나프틸, (메트)아크릴산 1-나프틸메틸, (메트)아크릴산 1-안트릴, (메트)아크릴산 2-안트릴, (메트)아크릴산9-안트릴, (메트)아크릴산9-안트릴메틸, (메트)아크릴산 2-메틸아다만틸-2-일, (메트)아크릴산 2-에틸아다만틸-2-일, (메트)아크릴산 2-n-프로필아다만틸-2-일, (메트)아크릴산 2-이소프로필아다만틸-2-일, (메트)아크릴산 1-(아다만탄-1-일)-1-메틸에틸, (메트)아크릴산 1-(아다만탄-1-일)-1-에틸에틸, (메트)아크릴산 1-(아다만탄-1-일)-1-메틸프로필, (메트)아크릴산 1-(아다만탄-1-일)-1-에틸프로필, (메트)아크릴산-5-옥소-4-옥사-트리시클로[4.2.1.03,7]노나-2-일, (메트)아크릴산-5-옥소-4-옥사-트리시클로[5.2.1.03,8]데카-2-일, (메트)아크릴산디하이드로-α-테르피닐, (메트)아크릴산-6-옥소-7-옥사-비시클로[3.2.1]옥타-2-일, (메트)아크릴산-7-옥소-8-옥사-비시클로[3.3.1]옥타-2-일 등의 (메트)아크릴산환상 에스테르류;
예를 들어, 5-비닐비시클로[2.2.1]헵타-2-엔, 2,5-비스(알릴옥시)노보난, 5-비닐-2,3-옥시란노보난, 2-(2-프로페닐)비시클로[2.2.1]헵탄, 5-비닐비시클로[2.2.1]헵타-2-엔, 2-에테닐리덴아다만탄, 3-알릴아다만탄-1-올, 1-알릴아다만탄 등의 알케닐기 함유의 환상 화합물류를 들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방향환 구조가 수첨된 수첨 비스페놀A 등도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결합을 갖는다면, (d-2)에 포함된다. 이들은, 1종만을 이용할 수도 있고, 혹은, 복수종을 병용할 수도 있다.
<광중합 개시제(E)>
광중합성 조성물은 광중합 개시제(E)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E)가, 광조사에 의해 산성 활성종을 발생하는 A+B-로 표시되는 염으로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일반적으로는 오늄염이 잘 알려져 있다. 오늄염으로는 루이스산의 디아조늄염, 루이스산의 요오드늄염, 루이스산의 술포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이 양이온 A+이, 방향족 요오드늄 이온 및/또는 방향족 술포늄 이온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중합 개시제(E)로는, 예를 들어, UVACURE 1590(Daicel-cytec company Ltd.제), CPI-110P(San-Apro Ltd.제), 등의 술포늄염이나 IRGACURE 250(Ciba Specialty Chemicals Inc.제), WPI-113(Wako Pure Chemical Industries, Ltd.제), Rp-2074(Rhodia Japan, Ltd.제) 등의 요오드늄염을 들 수 있으나,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광중합 개시제(E)로는, 광라디칼 중합개시제를 갖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광라디칼 중합개시제로는, 예를 들어, IRGACURE 184, 907, 651, 1700, 1800, 819, 369, 261, DAROCUR-TPO(Ciba Specialty Chemicals Inc.제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DAROCUR-1173(Merck사제), ESACURE KIP150, TZT(Nihon SiberHegner K.K.제), KAYACURE BMS, KAYACURE DMBI, (Nippon Kayaku Co., Ltd.제) 등을 들 수 있다.
광중합 개시제(E)의 배합비율은, 광중합성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5~20중량부이고, 0.5~1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증감제(F)>
광중합 개시제(E)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광증감제를 병용할 수도 있다. 광증감제로는, 안트라센계나 벤조페논계, 티옥산톤계나 페릴렌, 페노티아진, 로즈벤갈등을 들 수 있다.
광증감제의 배합비율은, 광중합성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1~20이 바람직하다.
<산화방지제>
광중합성 조성물은, 산화방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산화방지제를 포함함으로써, 광경화 후의 접착제층의 경시에서의 착색을 억제할 수 있다.
산화방지제로는, 예를 들어, ADEKASTAB AO-50, ADEKASTAB AO-80(Asahi Electrochemical Co., Ltd.제), 등의 페놀계 산화 방지제나, IRGANOX-PS-800FD(Ciba Specialty Chemicals Inc.제), 등의 황계 산화 방지제, TINUBIN622LD, TINUBIN144, TINUBIN765 등의 힌더드아민계의 광안정제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산화방지제의 배합비율은, 중합성 성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0~5중량부가 바람직하고, 0.01~3중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유기용제>
광경화성 조성물은, 실질적으로 유기용제를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용제를 전혀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광중합 개시제(E)는 중합성 성분에 난용성인 것이 많다. 그 때문에 광중합 개시제(E)를 용해하기 위해 소량의 유기용제는 포함할 수도 있다. 광중합성 조성물中의 유기용제의 함유량은 5중량%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분>
광중합성 조성물은 수분 0.05~3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3원환상의 옥시란 화합물의 광중합 반응에 있어서, 수분은 경화성을 악화시키는 것이 알려져 있으나, 0.05~3중량부의 범위로 포함함으로써 반대로 경화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발견하였다. 수분이 0.05중량부 이상이면 경화성의 향상이 보여지고, 3중량부 이하이면 경화성이 우수하다.
<기타 첨가제>
광중합성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이면, 중합성 모노머나 올리고머, 실란 커플링제, 중합금지제, 연화제, 염료, 안료, 소포제, 점착제(tackifier), 가소제, 충전제 및 노화방지제 등의 각종 공지의 첨가제를,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포함할 수 있다.
<광중합성 조성물>
옥시란 화합물(A)과, 환상 화합물(B1), 환상 화합물(B2) 및 화합물(C)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과, 필요에 따라 기타 성분을 혼합함으로써, 광중합성 조성물이 얻어진다.
광중합성 조성물은, 23℃에서의 점도는 1~1500mPa·s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1300mPa·s이고, 20~1000mPa·s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점도가 1500mPa·s 이하이면 보호필름에 도공한 경우, 0.1~6㎛의 박막 도공이 충분히 가능하고, 투과율 등의 광학적 특성이 양호하다. 한편, 점도가 1mPa·s 이상이면 접착제층의 막두께 제어가 양호하다.
광중합성 조성물의 점도는, 옥시란 화합물(A)의 점도로 대부분 결정되기 때문에, 옥시란 화합물(A)의 점도를 1~1500mPa·s의 범위로 관리함으로써, 광중합성 조성물의 점도도 관리가 가능하다.
광중합성 조성물은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경화시킬 수 있으나, 이용하는 광원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파장 500nm 이하로 발광 분포로 갖는 에너지선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저압 수은등, 중압 수은등, 고압 수은등, 초고압 수은등, 케미컬 램프, 블랙라이트 램프, 마이크로 웨이브 여기 수은등, 메탈할라이드 램프, 발광 다이오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광조사 강도로는 10~500mW/㎠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조사 강도가 10mW/㎠ 이상이면, 경화가 단시간에 끝나고, 500mW/㎠ 이하이면, 램프로부터 복사되는 열에 의해, 기재 열화가 발생하는 일이 없다. 조사강도와 조사시간의 곱으로 나타나는 적산광량은 50~5000mJ/㎠인 것이 바람직하다. 적산광량이 50mJ/㎠보다도 이상이면, 경화가 단시간에 끝나고, 5000mJ/㎠ 이하이면, 조사시간이 짧고, 생산성이 우수하다.
<적층체>
광중합성 조성물을 광중합성 코딩제로서 이용하여, 상법에 따라 적당한 방법으로, 기재(G)에 광중합성 조성물을 도공하여, 적층체를 형성할 수 있다.
광중합성 코팅제를 접착제로서 이용하는 경우에는, 0.1~6㎛의 박막 도공인 것이 바람직하고, 0.1㎛~3㎛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0.1㎛ 이상이면 충분한 접착력이 얻어지고, 6㎛를 넘더라도 접착력 등의 특성은 그 이상 향상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광중합성 코팅제를 이접착 코팅제나 도료로서 이용하는 경우에는, 코팅층의 경도의 관점으로부터, 0.1~20㎛의 도공막두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이다.
광중합성 조성물을 기재에 도공하는 방법으로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메이어바(mayer bar), 애플리케이터, 쇄모, 스프레이, 롤러, 그라비어 코터, 다이 코터, 마이크로 그라비어 코터, 립(lip) 코터, 콤마 코터, 커튼 코터, 나이프 코터, 리버스 코터, 스핀 코터 등 여러가지 도공방법을 들 수 있으나, 박막 도공이 가능하다면, 특별한 제한은 없다.
기재(G)로는, 광중합성 조성물을 코팅제로서 기재(G) 일층의 편면이나 양면에 사용한 경우에는, 천, 목재, 금속판, 플라스틱판, 필름상 기재, 유리판, 종이가공품 등,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한편, 광중합성 조성물을 2개 이상의 기재(G)를 붙이는 접착제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중합시키기 위하여, 활성 에너지선을 쉽게 투과하는 기재를 사용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투명필름(H)이나 투명유리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쪽을 활성 에너지선이 투과되기 어려운 기재, 예를 들어, 목재, 금속판, 플라스틱판, 종이가공품 등을 사용한 경우여도, 다른 한쪽을 투명필름(H)이나 투명유리판을 사용하고, 투명필름(H)이나 투명유리판 측에서부터 조사하여, 중합경화를 행한다면 사용할 수 있다.
기재(G)로는, 필름상 기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필름상 기재로는, 셀로판, 각종 플라스틱 필름, 종이 등의 필름상 기재를 들 수 있는데, 투명한 각종 플라스틱 필름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름상 기재로는, 투명하다면, 단층인 것도 이용할 수 있고, 복수의 기재를 적층하여 이루어진 다층 상태에 있는 것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광중합코팅제를 이용하여, 기재(G)의 편면, 또는 양면에 적층하여 이루어진 적층체에 대하여, 일반적인 설명을 한다.
광중합성 조성물의 활성 에너지선에 의한 중합 반응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즉, 상기한 기재(G) 중, 필름상 기재인 투명필름(H)과 이 투명필름(H)의 적어도 한쪽 면에 위치하는 광중합성 조성물층을 구비하는 적층체의 형성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필름(H)의 적층체는, 이하와 같이 하여 얻을 수 있다.
광중합성 조성물을 코팅제로서 사용한 경우에는, 필름상 기재인 투명필름(H)의 편면에 코팅제를 도공함으로써, 적층체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코트층은, 이접착화를 위한 프라이머층으로서도 사용된다.
또한, 광중합성 조성물을 광중합성 접착제로서 사용한 경우에는, 필름상 기재인 투명필름(H)의 편면에 광중합성 접착제를 도공하고, 별도의 투명필름(H)을 접착층의 표면에 적층하거나, 다시 이 적층체의 편면이나 양면에 접착제를 도공하고, 다시 별도의 투명필름(H), 유리, 혹은 투명성형체에 적층하거나 함으로써, 적층체를 얻을 수 있다.
광중합성 코팅제의 활성 에너지선 중합 반응은, 코팅제의 도공시, 혹은 적층할 때, 나아가 적층한 후에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진행하는데, 적층한 후에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중합 반응을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필름(H)은, 디스플레이나 터치패널 등의 정보통신기기 등의 광학필름(I)에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광학소자용 적층체에 대하여 일반적인 설명을 한다.
광중합성 코팅제는, 광학소자용 적층체를 형성하기 위해 이용된다.
광학용 적층체의 기본적 적층구성은, 광중합성 코팅제를, 이접착 코팅제로서 사용한 경우에는, 투명필름/코트층, 혹은 코트층/투명필름/코트층과 같은 시트상의 광학코트 적층체이다.
또한, 접착제로서 사용한 경우에는, 투명필름/접착층/투명필름, 혹은 투명필름/접착층/투명필름/접착층/투명필름과 같은 시트상의 양면 감광경화성 접착 적층체이다. 나아가, 투명필름/접착층/투명필름/접착층/투명필름/접착층/투명필름, 유리, 혹은 광학성형체와 같은 다층의 광학필름을 광학부재로 고정화한 광학소자용 적층체로서 사용된다.
광학필름(I)으로서 사용되는 각종 투명필름(H)은, 예를 들어 투명성, 기계적 강도, 열안정성, 수분차단성, 등방성 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가 이용된다. 각종 투명필름(H)로는, 각종 플라스틱 필름이나 플라스틱 시트라고도 불리는데,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필름이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필름,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시클로올레핀, 에틸렌-아세트산비닐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계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폴리카보네이트계 필름, 폴리노보넨계 필름, 폴리아릴레이트계 필름, 아크릴계 필름, 폴리페닐렌설파이드계 필름, 폴리스티렌계 필름, 비닐계 필름, 폴리아미드계 필름, 폴리이미드계 필름, 옥시란계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투명필름(H)은, 다층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동일 조성일 수도 상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편면에 시클로올레핀계 필름을 사용하고, 다른 한쪽 편면에 아크릴계 필름을 사용할 수도 있다.
투명필름(H)의 두께는, 적당히 결정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는 강도나 취급성 등의 작업성, 박층성 등의 점으로부터 1~500㎛ 정도이다. 특히 1~300㎛가 바람직하고, 5~200㎛가 보다 바람직하다. 투명필름(H)은, 5~150㎛인 경우에 특히 호적하다.
한편, 광학필름인 편광판의 편광자의 양측에 투명필름(H)을 마련하는 경우, 그 앞뒤로 동일한 폴리머 재료로 이루어진 투명필름(H)을 이용할 수도 있고, 상이한 폴리머 재료 등으로 이루어진 투명필름(H)을 이용할 수도 있다.
광학용 적층체로는, 상기 각종 투명필름(H) 중, 주로 광학용도로 이용되는 광학필름(I)이 호적하게 사용된다. 광학필름(I)로는, 상기 투명필름(H)에 특수한 처리가 실시된 것으로서, 광학적 기능(광투과, 광확산, 집광, 굴절, 산란, HAZE 등의 여러 기능)을 갖는 것이 광학필름이라 일켤어지고 있다. 이들 광학필름은 단독으로, 또는 여러 종류의 광학필름을 광중합성 코팅제로 다층으로 적층되어 광학소자용 적층체로서 사용된다. 예를 들어, 하드코트필름, 대전방지코트필름, 방현코트필름, 편광필름, 위상차 필름, 타원편광필름, 반사방지필름, 광확산필름, 휘도향상필름, 프리즘필름(프리즘 시트라고도 함), 도광필름(도광판이라고도 함) 등을 들 수 있다.
편광필름은, 편광판이라도 불리며, 폴리비닐알코올계 편광자의 양면을 2매의 아세틸셀룰로오스계 필름인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계 보호필름(이하, 「TAC필름」이라고도 함)이나, 폴리비닐알코올계 편광자의 편면이나 양면을 노보넨계 필름인 시클로올레핀계 필름, 아크릴계 필름, 폴리카보네이트계 필름,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등으로 끼운 다층구조의 시트상의 광학소자용 적층체이다.
광중합성 접착제를 사용한 광학필름의 적층체는, 액정표시장치, PDP모듈, 터치패널모듈, 유기EL모듈 등의 유리판이나 상기 각종 플라스틱 필름 등의 투명필름(H)에 접착하여 광학소자용 적층체로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편광판은,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이하의 (I)~(III) 중 어느 하나와 같이 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I) 제1의 투명필름(H)인 보호필름의 한쪽 면에, 광중합성 접착제를 도공하여, 제1의 광중합성 접착층(2’)을 형성하고,
제2의 보호필름의 한쪽 면에, 광중합성 접착제를 도공하여, 제2의 광중합성 접착층을 형성하고,
이어서, 폴리비닐알코올계 편광자의 각 면에, 제1의 광중합성 접착층 및 제2의 광중합성 접착층을, 동시에/또는 순서대로 중첩한 후,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고, 제1의 광중합성 접착층 및 제2의 광중합성 접착층을 중합경화함으로써 제조하는 방법.
(II)폴리비닐알코올계 편광자의 한쪽 면에, 광중합성 접착제를 도공하여, 제1의 광중합성 접착층을 형성하고, 형성된 제1의 광중합성 접착층의 표면을 제1의 보호필름으로 덮고, 이어서 폴리비닐알코올계 편광자의 다른쪽 면에, 광중합성 접착제를 도공하여, 제2의 광중합성 접착층을 형성하고, 형성된 제2의 광중합성 접착층의 표면을 제2의 보호필름으로 덮어,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고, 제1의 광중합성 접착층 및 제2의 광중합성 접착층을 중합경화함으로써 제조하는 방법.
(III) 제1의 투명필름(H)인 보호필름과 폴리비닐알코올계 편광자를 겹친 단부 및, 폴리비닐알코올계 편광자의 제1의 보호필름이 없는 면에 겹친 제2의 보호필름의 단부에 광중합성 접착제를 떨어뜨린 후, 롤 사이를 통과시켜 각 층 사이에 접착제를 편다. 다음에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고, 광중합성 코팅제를 중합경화시킴으로써 제조하는 방법 등이 있으나,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비교예와 함께 설명하나,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 중, 「부」 및 「%」는, 각각 「중량부」 및 「중량%」를 나타낸다.
이하에, 실시태양 I에 관한 것이다.
[배합예 1-1~1-34]
산소농도가 10% 이하로 치환된 차광된 300cc의 마요네즈 병에, 3원환상의 옥시란 화합물(A), 2개 이상의 산소원자를 갖는 4원환 이상의 환상 화합물(B1),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D), 광중합 개시제(E), 증감제 및 산화방지제를 표 1-1에 나타내는 비율로 투입하고, 에어모터로 충분히 교반을 행하고, 충분히 탈포를 행한 후, 배합예에 나타내는 광중합성 코팅제를 얻었다.
표 1-1에 나타낸 배합예의 광중합성 코팅제에 대하여, 용액 외관, 점도를 이하의 방법에 따라 구하고, 결과를 표 1-2에 나타내었다.
《외관》
각 배합예에서 얻어진 광중합성 코팅제의 액체 외관을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점도》
각 배합예에서 얻어진 광중합성 코팅제를 23℃의 분위기 하에서 E형 점도계(Toki Sangyo Co., Ltd.제 TV-22)로, 약 1.2㎖를 측정용 시료로 하고, 회전속도 0.5~100rpm, 1분간 회전의 조건으로 측정하여, 용액점도(mPa·s)로 하였다.
[표 1]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표 2]
Figure pct00005

[실시예 1-1]
배합예 1-1에서 얻어진 광중합성 코팅제를 사용하여, 이하의 적층체를 작성하였다.
보호필름(1)으로서, Fujifilm Corporation제의 자외선 흡수제 함유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계 필름: 상품명「FUJITAC: 80㎛」를 이용하고, 보호필름(2)으로서, Fujifilm Business Supply Co., Ltd.제의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지 않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계 필름: 상품명「TAC 50μ」(두께 50㎛)를 사용하고, 각각 그 표면에 300W·min/㎡의 방전량으로 코로나 처리를 행하고, 표면 처리 후 1시간 이내에, 배합예 1-1에 나타내는 광중합성 코팅제를 와이어 바코터(bar coater)를 이용하여 막두께 4㎛가 되도록 도공하고, 광중합성 코팅층을 형성하고, 상기 광중합성 코팅층과의 사이에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편광자를 끼워, 보호필름(1)/광중합성 코팅층/PVA계 편광자/광중합성 코팅층/보호필름(2)으로 이루어진 적층체를 얻었다.
보호필름(1)이 생철판(tinned sheet-iron)에 접하도록, 이 적층체의 사방을 셀로판 테이프로 고정하여, 생철판에 고정하였다.
UV 조사장치(Toshiba Corporation제 고압 수은등)로 최대조도 300mW/㎠, 적산광량 300mJ/㎠의 자외선을 보호필름(2)측에서부터 조사하여,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1-1]
실시예 1-1에서 광중합성 코팅제(배합예 1-1) 대신에, 2개 이상의 산소원자를 갖는 4원환 이상의 환상 화합물(B1)을 사용하지 않는 배합예 1-20에 나타내는 광중합성 코팅제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1-2]
실시예 1-1에서 광중합성 코팅제(배합예 1-1) 대신에, 3원환상의 옥시란 화합물(A)을 사용하지 않은 배합예 1-27에 나타내는 광중합성 코팅제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1-2~1-25, 1-39, 1-40]
실시예 1-1에서 광중합성 코팅제(배합예 1-1) 대신에, 표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배합예 1-2~1-19, 1-21~1-26, 1-35, 1-36으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1-26~1-28]
실시예 1-3에서 사용한 보호필름(2)을, Nippon Zeon Corporation제의 노보넨계 필름(상품명「ZEONOR ZF-14: 100㎛」)로(실시예 1-26), Mitsubishi Rayon Co., Ltd.제의 아크릴계 필름(상품명「HDB-002: 50㎛」)으로(실시예 1-27), Kaneka Corporation제의 폴리카보네이트계 필름(상품명「R-140: 43㎛」)로(실시예 1-28), 각각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3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을 얻은 후, 동일하게 평가하였다.
[실시예 1-29~1-31]
실시예 1-3에서 사용한 보호필름(1)을, Tohcello, Inc.(東セロ社)제의 폴리프로필렌계 필름(상품명「OPU-1: 50㎛」)로(실시예 1-29), Tohcello, Inc.제의 폴리에틸렌계 필름(상품명「TUX-HZ: 50㎛」)으로(실시예 1-30), Unitika Limited.제의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상품명「EMBLET S: 50㎛」)로(실시예 1-31), 각각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을 얻은 후, 동일하게 평가하였다.
[실시예 1-32~1-38]
실시예 1-1에서 사용한 광중합성 코팅제(배합예 1-1) 대신에, 표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배합예 1-28~1-34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을 제작한 후, 동일하게 평가하였다.
실시예, 비교예에서 얻어진 적층체(편광판)에 대하여, 박리강도, 겔분률, 펀칭 가공성, 및 내습열성을 이하의 방법에 따라 구하고, 결과를 표 1-3에 나타내었다.
《박리강도》
접착력은, JIS K6 854-4 접착제-박리 접착강도 시험방법-제4부: 부동(浮動) 롤러법에 준거하여 측정하였다.
즉, 얻어진 편광판을, 25㎜×150㎜의 사이즈로 커터를 이용하여 재단하여 측정용 샘플로 하였다. 샘플을 양면 점착 테이프(Toyo Ink Mfg. Co., Ltd.제 DF8712S)를 사용하여, 라미네이터를 이용하여 금속판 상에 붙여, 편광판과 금속판의 측정용 적층체를 얻었다. 측정용 적층체의 편광판에는, 보호필름과 편광자 사이에 사전에 박리의 계기를 마련해 두고, 이 측정용 적층체를 23℃, 상대습도 50%의 조건 하에서, 300㎜/분의 속도로 떼어내고, 박리력으로 하였다. 이때, 폴리비닐알코올계 편광자와 보호필름(1), 및 폴리비닐알코올계 편광자와 보호필름(2)의 양쪽 박리력을 측정하였다. 이 박리력을 접착력으로 하여 4단계로 평가하였다.
◎: 박리불가, 혹은 편광판 파괴
○: 박리력이 2.0(N/25㎜) 이상~5.0(N/25㎜) 미만.
△: 박리력이 1.0(N/25㎜) 이상~2.0(N/25㎜) 미만.
×: 박리력이 1.0(N/25㎜) 미만.
《겔분률》
코로나 처리를 실시하지 않은 Nippon Zeon Corporation제의 노보넨계 필름(상품명「ZEONOR ZF-14: 100㎛」에, 얻어진 광중합성 코팅제를, 와이어 바코터를 이용하여 막두께 20~25㎛가 되도록 도공하고, 광중합성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다시 광중합성 코팅층 위에 코로나 처리를 하지 않은 ZEONOR ZF-14를 겹쳐, 3층으로 이루어진 적층체를 얻은 후, UV 조사장치(Toshiba Corporation제 고압 수은등)로 최대조도 300mW/㎠, 적산광량 300mJ/㎠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광중합성 코팅층을 경화시켰다. 3층으로 이루어진 적층체의 ZEONOR ZF-14를 박리하여 접착제층을 얻었다.
접착제층의 중량을 측정한 후(중량 1)를 금속 메쉬와 금속 메쉬 사이에 끼우고 접착제층끼리 겹치지 않도록 하여, 메틸에틸케톤(MEK) 중에서 3시간 환류하였다. 다시 80℃-30분 건조하여, 접착제층의 중량을 측정하였다(중량 2). 하기 식으로부터 겔분률을 구한 후, 3단계로 평가하였다.
겔분률(%)={1-(중량 1-중량 2)/중량 1)}×100
○: 겔분률이 90% 이상
△: 겔분률이 80% 이상~90% 미만
×: 겔분률이 80% 미만
《펀칭 가공성》
Dumbbell Co., Ltd.제의 100㎜×100㎜의 커터날을 이용하여, 제작한 편광판을 보호필름(1)측에서부터 펀칭하였다.
펀칭한 편광판의, 주변의 박리거리를 자로 측정한 후, 이하의 4단계로 평가하였다.
◎: 0㎜
○: 1㎜ 이하
△: 1~3㎜
×: 3㎜ 이상
《내열성》
각 실시예, 비교예에서 얻어진 편광판을, 50㎜×40㎜의 크기로 재단하고, 80℃-dry, 및 100℃ dry의 조건 하에서, 각각 1000시간 폭로하였다. 폭로후 편광판의 단부의 박리 유무를 육안으로, 이하의 3단계로 평가하였다.
◎ : 100℃ dry의 조건 하에서도 박리가 전혀 없음.
○ : 80℃-dry조건 하에서 박리가 전혀 없음.
○△: 80℃-dry조건 하에서 1㎜ 미만의 박리가 있음.
△ : 80℃-dry조건 하에서 1㎜ 이상, 2㎜ 미만의 박리가 있음.
× : 80℃-dry조건 하에서 2㎜ 이상의 박리가 있음.
《내습열성》
각 실시예, 비교예에서 얻어진 편광판을, 50㎜×40㎜의 크기로 재단하고, 60℃-90%RH의 조건 하, 및 85℃-85%RH의 조건 하에서 1000시간 폭로하였다. 폭로후 편광판의 단부의 박리 유무를 육안으로, 이하의 3단계로 평가하였다.
◎ : 85℃-85%RH의 조건 하에서도 박리가 전혀 없음.
○ : 60℃-90%RH의 조건 하에서 박리가 전혀 없음.
○△: 60℃-90%RH의 조건 하에서 1㎜ 미만의 박리가 있음.
△ : 60℃-90%RH의 조건 하에서 1㎜ 이상, 2㎜ 미만의 박리가 있음.
× : 60℃-90%RH의 조건 하에서 1㎜ 이상의 박리가 있음.
[표 3]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본 실시태양에 따른 광중합성 코팅제는, 표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1~1-10, 1-13~1-19, 1-26~1-40에서는, 약간 점도가 높지만, 특별한 문제는 없다. 3원환상의 옥시란 화합물(A) 중, 전혀 방향환을 함유하지 않는 실시예 1-20~1-22는 광중합성 코팅제의 경화 도막이 약간 부드러우므로, 내습열성에 어려움은 있으나, 특별한 문제는 없다. 또한, 방향환을 포함하지 않고, 또한, 3원환상의 옥시란환을 1개만 갖는 실시예 1-24는, 겔분률, 펀칭 가공성, 및 내습열성에 어려움은 있으나, 특별한 문제는 없다. 또한, 실시예 1-32~1-38은, 환상 화합물(B1)로서 함불소 환상 화합물(b1-4)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내열성이나 내습열성의 향상이 뚜렷하다.
이와 같이, 어떠한 실시예에서도, 이용한 광중합성 수지 조성물의 점도가 1500mPa·s 이하이고, 접착력, 펀칭 가공성, 내열성, 내습열성이 우수한 편광판을 형성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해, 2개 이상의 산소원자를 갖는 4원환 이상의 환상 화합물(B1)을 함유하지 않는 비교예 1-1에서는, 이용한 광중합성 수지 조성물의 점도가 1600mPa·s로 높고, 또한 겔분률이 낮고 경화성이 나쁘기 때문에 펀칭 가공성, 내열성, 내습열성이 뒤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비교예 1-2에서는, 3원환상의 옥시란 화합물(A)을 갖지 않기 때문에, 광경화성이 불충분해지고, 접착력, 겔분률, 펀칭 가공성 및 내열성, 내습열성이 모두 뒤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하, 실시태양 II에 관한 것이다.
[배합예 2-1~2-28]
산소농도가 10% 이하로 치환된 차광된 300cc의 마요네즈 병에, 3원환상의 옥시란 화합물(A), 1개 이상의 산소원자 및 황원자를 갖는 4원환 이상의 환상 화합물(B2), 2개 이상의 산소원자를 갖는 4원환 이상의 환상 화합물(B1),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D), 광중합 개시제(E), 증감제, 및 산화방지제를 표 2-1에 나타내는 비율로 투입하고, 에어모터로 충분히 교반을 행하고, 충분히 탈포를 행한 후, 배합예에 나타내는 광중합성 코팅제를 얻었다.
표 2-1에 나타낸 배합예의 광중합성 코팅제에 대하여, 용액 외관, 점도를 상기와 동일한 방법에 따라 구하고, 결과를 표 2-2에 나타내었다.
[표 4]
Figure pct00008

Figure pct00009

Figure pct00010

Figure pct00011

Figure pct00012

[표 5]
Figure pct00013

[실시예 2-1]
배합예 2-1에서 얻어진 광중합성 코팅제를 사용하여, 이하의 적층체를 작성하였다.
보호필름(1)으로서, Fujifilm Corporation제의 자외선 흡수제 함유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계 필름: 상품명「FUJITAC: 80㎛」를 이용하고, 보호필름(2)으로서, Fujifilm Business Supply Co., Ltd.제의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지 않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계 필름: 상품명「TAC 50μ」(두께 50㎛)를 사용하고, 각각 그 표면에 300W·min/㎡의 방전량으로 코로나 처리를 행하고, 표면 처리 후 1시간 이내에, 배합예 2-1에 나타내는 광중합성 코팅제를 와이어 바코터를 이용하여 막두께 4㎛가 되도록 도공하고, 광중합성 코팅층을 형성하고, 상기 광중합성 코팅층과의 사이에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편광자를 끼워, 보호필름(1)/광중합성 코팅층/PVA계 편광자/광중합성 코팅층/보호필름(2)으로 이루어진 적층체를 얻었다.
보호필름(1)이 생철판에 접하도록, 이 적층체의 사방을 셀로판 테이프로 고정하여, 생철판에 고정하였다.
UV 조사장치(Toshiba Corporation제 고압 수은등)로 최대조도 300mW/㎠, 적산광량 300mJ/㎠의 자외선을 보호필름(2)측에서부터 조사하여,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2-1]
실시예 2-1에서 광중합성 코팅제(배합예 2-1) 대신에, 1개 이상의 산소원자 및 황원자를 갖는 4원환 이상의 환상 화합물(B2)을 사용하지 않는 배합예 2-26에 나타내는 광중합성 코팅제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2-2]
실시예 2-1에서 광중합성 코팅제(배합예 2-1) 대신에, 3원환상의 옥시란 화합물(A)을 사용하지 않은 배합예 2-27에 나타내는 광중합성 코팅제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2-3]
실시예 2-1에서 광중합성 코팅제(배합예 2-1) 대신에, 3원환상의 옥시란 화합물(A)을 사용하지 않는 배합예 2-28에 나타내는 광중합성 코팅제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2-2~2-25]
실시예 2-1에서 광중합성 코팅제(배합예 2-1) 대신에, 표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배합예 2-2~2-25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2-26~2-28]
실시예 2-15에서 사용한 보호필름(2)을, Nippon Zeon Corporation제의 노보넨계 필름(상품명「ZEONOR ZF-14: 100㎛」)으로(실시예 2-26), Mitsubishi Rayon Co., Ltd.제의 아크릴계 필름(상품명「HDB-002: 50㎛」)으로(실시예 2-27), Kaneka Corporation제의 폴리카보네이트계 필름(상품명「R-140: 43㎛」)으로(실시예 2-28), 각각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을 얻은 후, 동일하게 평가하였다.
[실시예 2-29~2-31]
실시예 2-15에서 사용한 보호필름(1)을, Tohcello, Inc.제의 폴리프로필렌계 필름(상품명「OPU-1: 50㎛」)으로(실시예 2-29), Tohcello, Inc.(Tohcello, Inc.)제의 폴리에틸렌계 필름(상품명「TUX-HZ: 50㎛」)으로(실시예 2-30), Unitika Limited.제의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상품명「EMBLET S: 50㎛」)으로(실시예 2-31), 각각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을 얻은 후, 동일하게 평가하였다.
실시예, 비교예에서 얻어진 적층체(편광판)에 대하여, 박리강도, 겔분률, 펀칭 가공성 및 내습열성에 대해서는 실시태양 I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에 대해서는 이하의 방법에 따라 구하고, 결과를 표 2-3에 나타내었다.
《내습열성》
각 실시예, 비교예에서 얻어진 편광판을, 50㎜×40㎜의 크기로 재단하고, 60℃-90%RH의 조건 하에서 500시간 폭로하였다. 폭로후 편광판의 단부의 박리 유무를 육안으로, 이하의 4단계로 평가하였다.
○ : 60℃-90%RH의 조건 하에서 박리가 전혀 없음.
○△: 60℃-90%RH의 조건 하에서 1㎜ 미만의 박리가 있음.
△ : 60℃-90%RH의 조건 하에서 1㎜ 이상 2㎜ 미만의 박리가 있음.
× : 60℃-90%RH의 조건 하에서 2㎜ 이상의 박리가 있음.
[표 6]
Figure pct00014

Figure pct00015

본 실시태양에 따른 광중합성 코팅제는, 표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2-1~2-8, 2-10~2-13, 2-20에서는, 일부에 있어서, 약간 점도가 높고, 박리강도, 겔분률에 어려움이 있지만 특별한 문제는 없다. 또한, 실시예 2-14~2-19, 2-21~2-24에서는 2개 이상의 산소원자를 갖는 4원환 이상의 환상 화합물(B1)을 포함하기 때문에, 반응성이 양호해지고 응집력이 향상되므로, 약간 점도가 높으나 특별한 문제는 없다. 또한, 3원환상의 옥시란 화합물(A) 중, 전혀 방향환을 함유하지 않는 실시예 2-9, 2-25는 광중합성 코팅제의 경화 도막이 약간 부드러우므로, 내습열성에 어려움은 있으나, 특별한 문제는 없다. 이와 같이, 어떠한 실시예에서도, 점도가 1500mPa·s 이하이고, 접착력, 펀칭 가공성, 내습열성이 우수한 편광판을 형성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해, 1개 이상의 산소원자 및 황원자를 갖는 4원환 이상의 환상 화합물(B1) 및 (B2)을 함유하지 않는 비교예 2-1에서는, 점도가 1600mPa·s로 높고, 또한 겔분률이 낮고 경화성이 나쁘기 때문에 펀칭 가공성, 내습열성이 뒤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비교예 2-2, 2-3에서는, 3원환상의 옥시란 화합물(A)을 갖지 않기 때문에, 광경화성이 불충분해지고, 접착력, 겔분률, 펀칭 가공성 및 내습열성이 모두 뒤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하, 실시태양 III에 관한 것이다.
[배합예 3-1~3-49]
산소농도가 10% 이하로 치환된 차광된 300cc의 마요네즈 병에, 3원환상의 옥시란 화합물(A), 2개 이상의 산소원자를 갖는 4원환 이상의 환상 화합물(B1), 적어도 1개의 환상 구조와 수산기를 모두 갖는 분자량 500 이하의 화합물(C),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D), 광중합 개시제(E), 증감제 및 산화방지제를 표 3-1에 나타내는 비율로 투입하고, 에어모터로 충분히 교반을 행하고, 충분히 탈포를 행한 후, 배합예에 나타내는 광중합성 코팅제를 얻었다.
표 3-1에 나타낸 배합예의 광중합성 코팅제에 대하여, 용액 외관, 점도를 상기와 동일한 방법에 따라 구하고, 결과를 표 3-2에 나타내었다.
[표 7]
Figure pct00016

Figure pct00017

Figure pct00018

Figure pct00019

[실시예 3-1]
배합예 3-1에서 얻어진 광중합성 코팅제를 사용하여, 이하의 적층체를 작성하였다.
보호필름(1)으로서, Fujifilm Corporation제의 자외선 흡수제 함유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계 필름: 상품명「FUJITAC: 80㎛」를 이용하고, 보호필름(2)으로서, Fujifilm Business Supply Co., Ltd.제의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지 않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계 필름: 상품명「TAC 50μ」(두께 50㎛)를 사용하고, 각각 그 표면에 300W·min/㎡의 방전량으로 코로나 처리를 행하고, 표면 처리 후 1시간 이내에, 배합예 3-1에 나타내는 광중합성 코팅제를 와이어 바코터를 이용하여 막두께 4㎛가 되도록 도공하고, 광중합성 코팅층을 형성하고, 상기 광중합성 코팅층 사이에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편광자를 끼워, 보호필름(1)/광중합성 코팅층/PVA계 편광자/광중합성 코팅층/보호필름(2)으로 이루어진 적층체를 얻었다. 보호필름(1)이 생철판에 접하도록, 이 적층체의 사방을 셀로판 테이프로 고정하여, 생철판에 고정하였다. UV 조사장치(Toshiba Corporation제 고압 수은등)로 최대조도 200mW/㎠, 적산광량 200mJ/㎠의 자외선을 보호필름(2)측에서부터 조사하여,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3-2~3-36 및 3-43~3-48, 비교예 3-6~3-8]
실시예 3-1에서 광중합성 코팅제 배합예 3-1 대신에, 표 3-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배합예 3-2~3-34, 3-38~3-42 및 3-44~3-49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3-37~3-39]
실시예 3-21에서 사용한 보호필름(2)을, Nippon Zeon Corporation제의 노보넨계 필름(상품명「ZEONOR ZF-14: 100㎛」)으로(실시예 3-37), Mitsubishi Rayon Co., Ltd.제의 아크릴계 필름(상품명「HDB-002: 50㎛」)으로(실시예 3-38), Kaneka Corporation제의 폴리카보네이트계 필름(상품명「R-140: 43㎛」)으로(실시예 3-39), 각각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2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을 얻은 후, 동일하게 평가하였다.
[실시예 3-40~3-42]
실시예 3-21에서 사용한 보호필름(1)을, Tohcello, Inc.제의 폴리프로필렌계 필름(상품명「OPU-1: 50㎛」)으로(실시예 3-40), Tohcello, Inc.제의 폴리에틸렌계 필름(상품명「TUX-HZ: 50㎛」)으로(실시예 3-41), Unitika Limited.제의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상품명「EMBLET S: 50㎛」)으로(실시예 3-42), 각각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2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을 얻은 후, 동일하게 평가하였다.
실시예, 비교예에서 얻어진 적층체(편광판)에 대하여, 박리강도, 펀칭 가공성, 및 내습열성에 대해서는 실시태양 I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겔분률에 대해서는 이하의 방법에 따라 구하고, 결과를 표 3-3에 나타내었다.
《겔분률》
코로나 처리를 실시하지 않은 Nippon Zeon Corporation제의 노보넨계 필름(상품명「ZEONOR ZF-14: 100㎛」으로, 광중합성 코팅제를, 와이어 바코터를 이용하여 막두께 20~25㎛가 되도록 도공하고, 광중합성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다시 광중합≪성 코팅층 위에 코로나 처리를 하지 않은 ZEONOR ZF-14를 겹쳐, 3층으로 이루어진 적층체를 얻은 후, UV 조사장치(Toshiba Corporation제 고압 수은등)로 최대조도 200mW/㎠, 적산광량 200mJ/㎠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광중합성 코팅층을 경화시켰다. 3층으로 이루어진 적층체의 ZEONOR ZF-14를 박리하여 접착제층을 얻었다. 접착제층의 중량을 측정한 후(중량 1)를 금속 메쉬와 금속 메쉬 사이에 끼우고 접착제층끼리 겹치지 않도록 하여, 메틸에틸케톤(MEK) 중에서 3시간 환류하였다. 다시 80℃-30분 건조하여, 접착제층의 중량을 측정하였다(중량 2). 하기 식으로부터 겔분률을 구한 후, 3단계로 평가하였다.
겔분률(%)={1-(중량 1-중량 2)/중량 1)}×100
○ : 겔분률이 90% 이상
△ : 겔분률이 80% 이상~90% 미만
× : 겔분률이 80% 미만
[표 9]
Figure pct00020

Figure pct00021

본 실시태양에 따른 광중합성 코팅제는, 표 3-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3-1~3-19, 3-21~3-28, 3-34, 3-36~3-42에서는, 전체 평가항목에서 특별한 문제가 없다. 3원환상의 옥시란 화합물(A) 중, 전혀 방향환을 함유하지 않는 실시예 3-20, 3-33은 광중합성 코팅제의 경화 도막이 약간 부드러우므로, 내열성, 내습열성에 어려움은 있으나, 특별한 문제는 없다. 또한, 방향환을 포함하지 않고, 또한, 3원환상의 옥시란환을 1개만 갖는 실시예 3-35는, 겔분률, 내열성 및 내습열성에 어려움은 있으나, 특별한 문제는 없다. 또한, 2개 이상의 산소원자를 갖는 4원환 이상의 환상 화합물(B1)이 적은 실시예 3-29, 2개 이상의 산소원자를 갖는 4원환 이상의 환상 화합물(B1)이 많은 실시예 3-30은, 겔분률 및 내열성에 어려움은 있으나, 특별한 문제는 없다. 환상 구조와 수산기를 모두 갖는 분자량 500 이하의 화합물(C)이 적은 실시예 3-31, 환상 구조와 수산기를 모두 갖는 분자량 500 이하의 화합물(C)이 많은 실시예 3-32는 겔분률, 내열성 및 내습열성에 어려움은 있으나, 특별한 문제는 없다. 이와 같이, 어떠한 실시예에서도, 점도가 1500mPa·s 이하이고, 접착력, 펀칭 가공성, 내열성, 내습열성이 우수한 편광판을 형성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3-8은 환상 구조와 수산기를 모두 갖는 화합물의 분자량이 500보다 크기 때문에, 3원환상의 옥시란 화합물(A) 및/또는 2개 이상의 산소원자를 갖는 4원환 이상의 환상 화합물(B1)과의 반응성이나 반응촉진효과가 낮고, 겔분률이 낮아지고, 펀칭 가공성, 내열성, 내습열성이 뒤떨어진다. 비교예 3-7은 환상 구조를 갖지 않는 수산기를 갖는 화합물이기 때문에, 3원환상의 옥시란 화합물(A) 및/또는 2개 이상의 산소원자를 갖는 4원환 이상의 환상 화합물(B1)의 반응촉진효과가 낮고, 겔분률이 낮아지고, 펀칭 가공성, 내열성, 내습열성이 뒤떨어진다. 또한, 비교예 3-6은 3원환상의 옥시란 화합물(A)을 갖지 않기 때문에, 경화성이 나쁘고 박리강도, 펀칭 가공성, 내열성, 내습열성이 뒤떨어진다.
이하, 실시태양 IV에 관한 것이다.
[배합예 4-1]
산소농도가 10% 이하로 치환된 차광된 300cc의 마요네즈 병에, 3원환상의 옥시란 화합물(A), 광중합 개시제(E)를 표 4-1에 나타내는 비율로 투입하고, 에어모터로 충분히 교반을 행하고, 충분히 탈포를 행한 후, 배합예에 나타내는 광중합성 코팅제를 얻었다.
얻어진 광중합성 조성물 중 수분량을 이하의 방법에 따라, 점도에 대해서는 실시태양 I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구하고, 결과를 표 4-1에 나타내었다.
《수분 측정》
칼 피셔 적정법에 의해 JIS K 0113-2005에 따라 측정하였다.
[배합예 4-2~4-5]
배합예 4-1과 동일하게 조성물을 얻은 후, 표 4-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 이상의 산소원자를 갖는 4원환 이상의 환상 화합물(B1)을 첨가하고, 표 4-1에 나타내는 수분량이 되도록 정제수를 첨가하고 에어모터로 충분히 교반을 행하여 광중합성 코팅제를 얻었다.
[배합예 4-6~4-35]
표 4-1에 나타내는 비율로 3원환상의 옥시란 화합물(A), 1개 이상의 산소원자 및 황원자를 갖는 4원환 이상의 환상 화합물(B2), 2개 이상의 산소원자를 갖는 4원환 이상의 환상 화합물(B1),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D), 광중합 개시제(E) 및 증감제를 표 4-1에 나타내는 비율로 투입하고, 배합예 4-2와 동일하게 수분량을 조정하여 에어모터로 충분히 교반을 행하고, 충분히 탈포를 행한 후, 배합예에 나타내는 광중합성 코팅제를 얻었다.
[표 10]
Figure pct00022

Figure pct00023

Figure pct00024

Figure pct00025

[화학식 1]
Figure pct00026

[실시예 4-1]
배합예 4-2에서 얻어진 광중합성 코팅제를 사용하여, 이하의 적층체를 작성하였다.
광학필름으로서, Fujifilm Corporation제의 자외선 흡수제 함유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계 필름: 상품명「FUJITAC: 80㎛」를 이용하였다. 광학필름표면을 300W·min/㎡의 방전량으로 코로나 처리를 행하고, 표면 처리 후 1시간 이내에, 배합예 4-1에 나타내는 광중합성 코팅제를 와이어 바코터를 이용하여 막두께 4㎛가 되도록 도공하고, 광중합성 이접착 코팅제층을 형성하였다.
광학필름이 생철판에 접하도록, 이 적층체의 사방을 셀로판 테이프로, 생철판에 고정하였다.
UV 조사장치(Toshiba Corporation제 고압 수은등) 내를 건조질소로 치환 후, 파장 365nm의 최대조도 200mW/㎠, 적산광량 200mJ/㎠의 자외선을 이접착 코팅제층측에서부터 조사하여, 이접착 코팅제층을 갖는 적층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4-2~4-34 및 4-71, 비교예 4-1~4-5]
실시예 4-1에서 광중합성 코팅제(배합예 4-2) 대신에, 표 4-2에 나타내는 배합예, 광학필름으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적층체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4-2~4-34 및 4-71, 비교예 4-1~4-5에서 얻어진 적층체에 대하여, 밀착력, 및 내열성에 대해서는 이하의 방법에 따라, 분률에 대해서는 실시태양 II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구하고, 결과를 표 4-2에 나겔타내었다.
《밀착력》
JIS K5400에 따라 바둑눈 박리시험을 실시하였다. 100칸 중 박리된 칸수를 4단계로 평가하였다.
◎ : 0칸
○ : 1~10칸
△ : 11~30칸
× : 31칸 이상
《내열성》
각 실시예, 비교예에서 얻어진 적층체를, 50㎜×40㎜의 크기로 재단하고, 80℃-드라이의 조건 하에서 1000시간 폭로하였다. 폭로 후 적층체의 단부의 박리 유무를 육안으로, 이하의 3단계로 평가하였다.
○ : 박리가 전혀 없음
○△ : 1㎜ 미만의 박리가 있음
△ : 1㎜ 이상 2㎜ 미만의 박리가 있음
× : 2㎜ 이상의 박리가 있음
[표 11]
Figure pct00027

Figure pct00028

[실시예 4-35]
배합예 4-2에서 얻어진 광중합성 코팅제를 사용하여, 이하의 편광판을 작성하였다.
보호필름(1)으로서, Fujifilm Corporation제의 자외선 흡수제 함유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계 필름: 상품명「FUJITAC: 80㎛」를 이용하고, 보호필름(2)으로서, Fujifilm Business Supply Co., Ltd.제의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지 않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계 필름: 상품명「TAC 50μ」(두께 50㎛)를 사용하고, 각각 그 표면에 300W·min/㎡의 방전량으로 코로나 처리를 행하고, 표면 처리 후 1시간 이내에, 배합예 4-2에 나타내는 광중합성 코팅제를 와이어 바코터를 이용하여 막두께 4㎛가 되도록 도공하고, 광중합성 코팅층을 형성하고, 상기 광중합성 코팅층과의 사이에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편광자를 끼워, 보호필름(1)/광중합성 코팅층/PVA계 편광자/광중합성 코팅층/보호필름(2)으로 이루어진 적층체를 얻었다.
보호필름(1)이 생철판에 접하도록, 이 적층체의 사방을 셀로판 테이프로 생철판에 고정하였다.
UV 조사장치(Toshiba Corporation제 고압 수은등)로 파장 365nm의 최대조도 200mW/㎠, 적산광량 200mJ/㎠의 자외선을 보호필름(2)측에서부터 조사하여,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4-36~4-69 및 4-149, 비교예 4-6~4-10]
실시예에서 광중합성 코팅제(배합예 4-2) 대신에, 표 4-3에 나타내는 배합예, 광학필름으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35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4-35~4-69 및 4-149, 비교예 4-6~4-10에서 얻어진 편광판에 대하여, 박리강도 및 내열성에 관해서는 이하의 방법에 의해, 펀칭 가공성에 관해서는 실시태양 I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구하고, 결과를 표 4-3에 나타내었다.
《박리강도》
접착력은, JIS K6 854-4 접착제-박리 접착강도 시험방법-제4부: 부동 롤러법에 준거하여 측정하였다.
즉, 얻어진 편광판을, 25㎜×150㎜의 사이즈로 커터를 이용하여 재단하여 측정용 샘플로 하였다. 샘플을 양면 점착 테이프(Toyo Ink Mfg. Co., Ltd.제 DF8712S)를 사용하여, 라미네이터를 이용하여 금속판 상에 붙여, 편광판과 금속판의 측정용 적층체를 얻었다. 측정용 적층체의 편광판에는, 보호필름과 편광자 사이에 사전에 박리의 계기를 마련해 두고, 이 측정용 적층체를 23℃, 상대습도 50%의 조건 하에서, 300㎜/분의 속도로 떼어내고, 박리력으로 하였다. 이때, 폴리비닐알코올계 편광자와 보호필름(1), 및 폴리비닐알코올계 편광자와 보호필름(2)의 양쪽 박리력을 측정하였다. 이 박리력을 접착력으로 하여 4단계로 평가하였다.
◎ : 박리력이 5.0(N/25㎜) 이상 혹은 편광판 파괴
○ : 박리력이 2.0(N/25㎜) 이상~5.0(N/25㎜) 미만.
△ : 박리력이 1.0(N/25㎜) 이상~2.0(N/25㎜) 미만.
× : 박리력이 1.0(N/25㎜) 미만.
[표 12]
Figure pct00029

Figure pct00030

광중합성 코팅제는 이접착 코팅제로서 이용한 경우, 표 4-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4-1~4-6, 4-27~4-29에서는 밀착성, 겔분률, 내열성 모두 우수한 광학필름 적층체를 형성한다.
한편, 수분량이 적은 비교예 4-1, 4-4, 수분량이 많은 비교예 4-2는 최대조도 200mW/㎠, 적산광량 200mJ/㎠와 같은 저조사량에서는 경화성이 나쁘기 때문에, 겔분률이 낮고, 밀착력, 내열성이 뒤떨어진다.
마찬가지로, 2개 이상의 산소원자를 갖는 4원환 이상의 환상 화합물(B1)이나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D)을 포함한 실시예 4-7~4-21, 4-22~4-26도 우수한 광학필름 적층체를 형성한다.
한편, 3원환상의 옥시란 화합물(A)을 함유하지 않는 비교예 4-5는 겔분률은 높으나 밀착성, 내열성이 뒤떨어진다.
또한, 실시예 4-30~4-34는 각종 광학필름에서의 평가결과이지만 소수성 노보넨계 필름부터 친수성 아세틸셀룰로오스계 필름까지 우수한 광학필름 적층체를 형성한다.
표 4-3은 편광판에서의 평가결과이다. 표 4-2의 평가결과와 동일한 경향을 보이나, 편광판의 경우, 보호필름(1)과 폴리비닐알코올계 편광자 사이의 광중합성 코팅제는, 보호필름(2) 및 광중합성 코팅제, 폴리비닐알코올계 편광자에 의한 활성 에너지선의 흡수 때문에, 더 약한 조사량이 되고, 보다 현저하게 접착력의 차이가 생긴다.
실시예 4-35~4-69은 우수한 편광판을 형성하지만, 수분량이 적은 비교예 4-6, 4-8, 4-9나 수분량이 많은 비교예 4-7은 경화성이 나쁘고 특히 보호필름(1)측의 접착력이 극단적으로 뒤떨어진다. 3원환상의 옥시란 화합물(A)을 함유하지 않는 비교예 4-10은 밀착성이 뒤떨어지기 때문에, 펀칭 가공성, 내열성이 뒤떨어진다.
[실시예 4-72~4-143, 비교예 4-11~4-28]
실시예 4-1에서 이용한 광중합성 코팅제 및 광학필름을, 표 4-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적층체를 제작하였다.
얻어진 적층체에 대하여, 밀착력, 겔분률, 내열성을, 실시예 4-1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구하고, 결과를 표 4-4에 나타내었다.
[표 13]
Figure pct00031

Figure pct00032

Figure pct00033

표 4-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태양에 따른 광중합코팅제를 이용하면, 얻어진 적층체는, 밀착성, 겔분률, 내열성이 우수하다.

Claims (34)

  1. 3원환상의 옥시란 화합물(A)과,
    2개 이상의 산소원자를 갖는 4원환 이상의 환상 화합물(B1), 1개 이상의 산소원자 및 1개 이상의 황원자를 갖는 4원환 이상의 환상 화합물(B2), 및 적어도 1개의 환상 구조와 수산기를 모두 갖는 분자량 500 이하의 화합물(C)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중합성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옥시란 화합물(A)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환상 화합물(B1)을 0.5~60중량부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중합성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옥시란 화합물(A)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4원환 이상의 환상 화합물(B2)을 0.5~60중량부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중합성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옥시란 화합물(A)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화합물(C)을 0.5~40중량부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중합성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옥시란 화합물(A) 100중량부에 대하여, 수분을 0.05~3중량부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중합성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옥시란 화합물(A)이, 방향환을 갖는 화합물(a-1), 및/또는 3원환상의 옥시란환을 2개 이상 갖는 화합물(a-2)을 함유하는 광중합성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 화합물(B1)이, 환상 에스테르 화합물(b1-1), 환상 포르말 화합물(b1-2), 및 환상 카보네이트 화합물(b1-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중합성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 화합물(B1)이, 환상 에스테르 화합물(b1-1), 환상 포르말 화합물(b1-2), 및 환상 카보네이트 화합물(b1-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중합성 조성물.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 에스테르 화합물(b1-1)은, 락톤류(b1-1-1)를 함유하고,
    상기 환상 포르말 화합물(b1-2)은, 디옥솔란류(b1-2-1), 디옥산류(b1-2-2) 및 트리옥산류(b1-2-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중합성 조성물.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 에스테르 화합물(b1-1)은, 락톤류(b1-1-1)를 함유하고,
    상기 환상 포르말 화합물(b1-2)은, 디옥솔란류(b1-2-1), 디옥산류(b1-2-2) 및 트리옥산류(b1-2-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중합성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 화합물(B1)이, F원자를 갖는 치환기로 적어도 1 이상 치환되어 있는 함불소 환상 화합물(b1-4)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중합성 조성물.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 화합물(B1)이, F원자를 갖는 치환기로 적어도 1 이상 치환되어 있는 함불소 환상 화합물(b1-4)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중합성 조성물.
  13.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 화합물(B2)이, 환 내에 술폭사이드 골격, 술폰 골격, 설파이트 골격, 설페이트 골격, 술폰산에스테르 골격, 및 티오에스테르 골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골격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중합성 조성물.
  1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 화합물(B2)이, 환 내에 술폭사이드 골격, 술폰 골격, 설파이트 골격, 설페이트 골격, 술폰산에스테르 골격, 및 티오에스테르 골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골격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중합성 조성물.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 화합물(B2)이, 환 내에 술폭사이드 골격, 술폰 골격, 설파이트 골격, 설페이트 골격, 술폰산에스테르 골격, 및 티오에스테르 골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골격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중합성 조성물.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 화합물(B2)이, 환 내에 술폭사이드 골격, 술폰 골격, 설파이트 골격, 설페이트 골격, 술폰산에스테르 골격, 및 티오에스테르 골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골격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중합성 조성물.
  1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C)의 환상 구조가, 시클로알칸류, 시클로알켄류, 벤젠환, 및 2환 이상의 축합 다환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환상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중합성 조성물.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C)의 수산기가, 환 구조에 직접 결합되는 화합물, 및/또는 C1~18의 탄소수를 갖는 알킬렌기를 통해 수산기가 환 구조에 결합되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중합성 조성물.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C)이, 시클로헥산환, 시클로헥센환, 노보난환, 노보넨환, 아다만탄환, 프탈란(phthalan)환, 쿠마란환, 피페로닐로환, 및 크로만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환상 구조와, 수산기를 모두 갖는 화합물(c-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중합성 조성물.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c-1)이 시클로헥실알코올, 벤질알코올, 노보난알코올, 아다만탄알코올, 피페로닐알코올, 또는 3,4-메틸렌디옥시페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중합성 조성물.
  2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C)이 시클로헥실알코올, 벤질알코올, 노보난알코올, 아다만탄알코올, 피페로닐알코올, 또는 3,4-메틸렌디옥시페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중합성 조성물.
  2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C)이 시클로헥실알코올, 벤질알코올, 노보난알코올, 아다만탄알코올, 피페로닐알코올, 또는 3,4-메틸렌디옥시페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중합성 조성물.
  2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C)이 시클로헥실알코올, 벤질알코올, 노보난알코올, 아다만탄알코올, 피페로닐알코올, 또는 3,4-메틸렌디옥시페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중합성 조성물.
  24.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옥시란 화합물(A) 100중량부에 대하여,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D)을 5~1000중량부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중합성 조성물.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D)이 수산기를 갖는 에틸렌성 불포화 화합물(d-1)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중합성 조성물.
  2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광중합 개시제(E)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중합성 조성물.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광중합 개시제(E)가, 광조사에 의해 산성 활성종을 발생하는 A+B-로 표시되는 염으로서, 이 양이온 A+이, 방향족 요오드늄 이온, 및/또는 방향족 술포늄 이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중합성 조성물.
  2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유기용제를 함유하지 않고, 23℃에서의 측정점도가 1~1500mPa·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중합성 조성물.
  29. 제1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중합성 조성물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광중합성 코팅제.
  30. 제29항에 기재된 광중합성 코팅제로 이루어진 층을, 기재(G)의 편면, 또는 양면에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G)가 투명필름(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필름(H)이 광학필름(I)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필름(I)이, 아세틸셀룰로오스계 필름, 노보넨계 필름, 아크릴계 필름, 폴리카보네이트계 필름,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또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34. 제33항에 기재된 적층체를, 폴리비닐알코올계 편광자의 편면 또는 양면에 접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KR1020147006258A 2011-08-25 2012-08-24 광중합성 조성물, 광중합성 코팅제, 적층체 및 편광판 KR1018861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84037A JP5304859B2 (ja) 2011-08-25 2011-08-25 光重合性組成物、およびその用途
JPJP-P-2011-184037 2011-08-25
JPJP-P-2011-280020 2011-12-21
JP2011280020 2011-12-21
JPJP-P-2012-053614 2012-03-09
JP2012053614 2012-03-09
JPJP-P-2012-077306 2012-03-29
JP2012077306 2012-03-29
JP2012080883A JP5824747B2 (ja) 2012-03-30 2012-03-30 光重合性オキシラン系樹脂組成物、光硬化性接着剤、及び光学フィルム積層体
JPJP-P-2012-080883 2012-03-30
PCT/JP2012/071481 WO2013027833A1 (ja) 2011-08-25 2012-08-24 光重合性組成物、光重合性コーティング剤、積層体及び偏光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9337A true KR20140089337A (ko) 2014-07-14
KR101886193B1 KR101886193B1 (ko) 2018-08-08

Family

ID=47746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6258A KR101886193B1 (ko) 2011-08-25 2012-08-24 광중합성 조성물, 광중합성 코팅제, 적층체 및 편광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1886193B1 (ko)
CN (1) CN103764708B (ko)
TW (1) TWI592452B (ko)
WO (1) WO201302783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1799A (ko) * 2017-10-13 2019-04-2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알칸닌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130587A (ko) * 2017-04-13 2019-11-22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편광판, 화상 표시 장치 및 해당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33699A1 (en) * 2014-08-04 2016-02-04 Nitto Denko Corporation Polarizing plate
WO2016035404A1 (ja) * 2014-09-05 2016-03-10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CN110016271B (zh) * 2018-01-10 2021-04-27 常州强力电子新材料股份有限公司 环碳酸酯环氧化合物、阳离子聚合性组合物及其应用
CN109581573B (zh) * 2018-12-18 2021-12-17 深圳市三利谱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剥离偏光片的方法和鉴定偏光片类型的方法及其系统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7281A (ja) 1998-10-29 2000-05-09 Toppan Printing Co Ltd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もしくはシート
JP2001324616A (ja) 2001-04-23 2001-11-22 Nippon Zeon Co Ltd 液晶ディスプレイ用偏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
US20040110857A1 (en) * 2002-07-08 2004-06-10 Polyplastics Co., Ltd. Photo-curable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cyclic acetal compound and cured product
JP2004245925A (ja) 2003-02-12 2004-09-02 Sumitomo Chem Co Ltd 偏光板、その製造法、光学部材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5520007A (ja) 2002-03-08 2005-07-07 レンセラール ポリテクニック インスティチュート カチオン系光重合のための促進物質
JP2007140092A (ja) 2005-11-18 2007-06-07 Nippon Shokubai Co Ltd 偏光子保護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8063397A (ja) 2006-09-06 2008-03-21 Kyoritsu Kagaku Sangyo Kk 光カチオン硬化型又は熱カチオン硬化型接着剤
JP2008231168A (ja) * 2007-03-16 2008-10-02 Jsr Corp 放射線硬化性接着剤用組成物、複合体、及び、複合体の製造方法
JP2008257199A (ja) 2007-03-15 2008-10-23 Sumitomo Chemical Co Ltd 光硬化性接着剤、該光硬化性接着剤を用いた偏光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光学部材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8308588A (ja) * 2007-06-14 2008-12-25 Omron Corp 硬化性組成物および光学デバイス
JP2009300768A (ja) 2008-06-13 2009-12-24 Sumitomo Chemical Co Ltd 偏光板ロー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感圧式接着剤層付き偏光板ロール、偏光板、液晶表示装置
JP2011052161A (ja) * 2009-09-04 2011-03-17 Toyo Ink Mfg Co Ltd 紫外線硬化性組成物、それを用いた偏光板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38899A (en) * 1986-07-08 1988-04-19 Claire Bluestein Transparent abrasion-resistant flexible polymeric coating
US5140068A (en) * 1990-04-27 1992-08-18 The B. F. Goodrich Company Epoxy resin systems modified with low viscosity statistical monofunctional reactive polymers
JP4561936B1 (ja) * 2009-09-04 2010-10-13 東洋インキ製造株式会社 偏光板及び偏光板形成用光硬化性接着剤
JP5301409B2 (ja) * 2009-10-05 2013-09-25 株式会社日本触媒 カチオン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7281A (ja) 1998-10-29 2000-05-09 Toppan Printing Co Ltd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もしくはシート
JP2001324616A (ja) 2001-04-23 2001-11-22 Nippon Zeon Co Ltd 液晶ディスプレイ用偏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05520007A (ja) 2002-03-08 2005-07-07 レンセラール ポリテクニック インスティチュート カチオン系光重合のための促進物質
US20040110857A1 (en) * 2002-07-08 2004-06-10 Polyplastics Co., Ltd. Photo-curable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cyclic acetal compound and cured product
JP2004245925A (ja) 2003-02-12 2004-09-02 Sumitomo Chem Co Ltd 偏光板、その製造法、光学部材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7140092A (ja) 2005-11-18 2007-06-07 Nippon Shokubai Co Ltd 偏光子保護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8063397A (ja) 2006-09-06 2008-03-21 Kyoritsu Kagaku Sangyo Kk 光カチオン硬化型又は熱カチオン硬化型接着剤
JP2008257199A (ja) 2007-03-15 2008-10-23 Sumitomo Chemical Co Ltd 光硬化性接着剤、該光硬化性接着剤を用いた偏光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光学部材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8231168A (ja) * 2007-03-16 2008-10-02 Jsr Corp 放射線硬化性接着剤用組成物、複合体、及び、複合体の製造方法
JP2008308588A (ja) * 2007-06-14 2008-12-25 Omron Corp 硬化性組成物および光学デバイス
JP2009300768A (ja) 2008-06-13 2009-12-24 Sumitomo Chemical Co Ltd 偏光板ロー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感圧式接着剤層付き偏光板ロール、偏光板、液晶表示装置
JP2011052161A (ja) * 2009-09-04 2011-03-17 Toyo Ink Mfg Co Ltd 紫外線硬化性組成物、それを用いた偏光板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0587A (ko) * 2017-04-13 2019-11-22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편광판, 화상 표시 장치 및 해당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190041799A (ko) * 2017-10-13 2019-04-2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알칸닌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319184A (zh) 2013-05-16
CN103764708A (zh) 2014-04-30
CN103764708B (zh) 2016-12-14
KR101886193B1 (ko) 2018-08-08
WO2013027833A1 (ja) 2013-02-28
TWI592452B (zh) 2017-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35118B2 (ja) 光重合性オキシラン系樹脂組成物、光重合性コーティング剤、光重合性接着剤、及び光学フィルム積層体
KR101886193B1 (ko) 광중합성 조성물, 광중합성 코팅제, 적층체 및 편광판
JP5304859B2 (ja) 光重合性組成物、およびその用途
JP6260143B2 (ja) 活性エネルギー線重合性樹脂組成物及び積層体
JP2015151424A (ja) 活性エネルギー線重合性樹脂組成物及び積層体
WO2015002269A1 (ja) 活性エネルギー線重合性樹脂組成物及び積層体
JP6992244B2 (ja) 活性エネルギー線重合性組成物、シートおよび光学素子用積層体
KR102619470B1 (ko) 활성 에너지선 중합성 수지 조성물 및 적층체
JP6307914B2 (ja) 活性エネルギー線重合性樹脂組成物及び積層体
JP5824747B2 (ja) 光重合性オキシラン系樹脂組成物、光硬化性接着剤、及び光学フィルム積層体
JP5320614B2 (ja) 光重合性組成物及び光学フィルム積層体
JP2015172132A (ja) 活性エネルギー線重合性樹脂組成物及び積層体
JP6540250B2 (ja) 活性エネルギー線重合性樹脂組成物
JP6828281B2 (ja) 活性エネルギー線重合性樹脂組成物
JP6051856B2 (ja) 光重合性樹脂組成物、及び光学フィルム積層体
JPWO2015163216A1 (ja) 硬化性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
KR102336281B1 (ko) 광학용 활성 에너지선 중합성 접착제 및 광학용 적층체
JP2015108095A (ja) 活性エネルギー線重合性樹脂組成物及び積層体
JP2012131989A (ja) 芳香環含有脂環式エポキシ化合物
JP6314531B2 (ja) 活性エネルギー線重合性樹脂組成物及び積層体
JP2015108096A (ja) 活性エネルギー線重合性樹脂組成物及び積層体
KR20230141570A (ko) 광학 적층체
JPWO2018159260A1 (ja) プラスチック製フィルム又はシート用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接着剤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