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6006A - 양파 탈피장치 - Google Patents

양파 탈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6006A
KR20140086006A KR1020120155981A KR20120155981A KR20140086006A KR 20140086006 A KR20140086006 A KR 20140086006A KR 1020120155981 A KR1020120155981 A KR 1020120155981A KR 20120155981 A KR20120155981 A KR 20120155981A KR 20140086006 A KR20140086006 A KR 201400860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nion
conveyor
cut
fluid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5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1199B1 (ko
Inventor
김도환
이희철
백상학
윤석현
Original Assignee
김도환
윤석현
백상학
이희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도환, 윤석현, 백상학, 이희철 filed Critical 김도환
Priority to KR1020120155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1199B1/ko
Publication of KR20140086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60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1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1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 A23N15/08Devices for topping or skinning onions or flower bulb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 A23N15/04Devices for topping fruit or vege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1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 B26D1/143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rotating about a stationary axis
    • B26D1/15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rotating about a stationary axis with vertical cut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2210/00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 B26D2210/02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for cutting food products, e.g. food slic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양파의 탈피작업 효율을 개선함과 동시에 양파의 탈피과정에서 양파의 상품성이 저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 양파 탈피장치를 개시한다.
본 양파 탈피장치는 양파의 이송을 위한 이송장치; 상기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중인 양파의 꼭지와 뿌리 쪽 양 단부를 절단하도록 마련된 절단장치; 및 상기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중인 양파 중 상기 절단장치를 통해 양 단부가 절단된 양파 표면으로 고압의 유체를 분사하여 양파의 외피를 제거하는 유체분사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양파 탈피장치{onion peeling device}
본 발명은 양파 탈피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파의 이송과정 중양파 외피를 자동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마련된 양파 탈피장치에 관한 것이다.
매운 맛이 강한 양파는 예로부터 마늘 등과 함께 각종 음식물의 첨가물로 활용되어 왔다. 또 최근 들어서는 체내의 유해물질을 배출시키고 피를 맑게 해주는 건강식품으로써의 효능이 밝혀짐에 따라 양파는 즙 형태로도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양파의 수요는 날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양파는 통상 이용자에 의해 손이나 칼로 외피가 제거된 상태에서 음식재료로 이용되는데, 식당과 같이 양파를 대량으로 사용하는 곳에서는 양파의 탈피작업에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근래에는 대량의 양파를 탈피상태로 유통시키기 위해 다양한 방식의 양파 탈피장치가 등장하고 있다.
종래 대부분의 양파 탈피장치는 양파의 이송을 위한 컨베이어와, 고압의 물이나 공기를 분사할 수 있는 유체분사기를 구비하여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중인 양파 쪽으로 고압의 유체를 분사하는 방식으로 양파가 탈피되도록 하고 있다. 유체분사기를 통해 외피가 제거된 양파는 다시 별도의 절단장치를 통해 꼭지와 뿌리 쪽 양 단부가 절단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양파의 양 단부를 절단하는 작업이 양파 탈피장치 외부에서 개별적으로 수행되는 방식에서는 탈피장치를 통해 외피가 제거된 양파의 양 단부를 다시 별도의 절단공정을 거쳐 절단해 내야 하기 때문에, 양파의 탈피효율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모양이 둥근 양파는 컨베이어 상에서 위치가 고정되기 어려워 이송과정에서 쉽게 흔들릴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컨베이어 상의 양파가 계속적으로 유동할 경우에는 유체분사기를 통해 분사되는 고압의 유체가 양파의 표면에 고르게 분사되기 어렵게 되므로, 유체가 과도하게 분사된 부위의 양파 표면은 깊숙이 파이게 되는 반면 유체가 제대로 분사되지 못한 부위의 양파 표면은 외피가 제대로 벗겨지지 않게 되면서 탈피된 양파의 상품가치가 쉽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공개특허공보 10-2010-0091874호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양파의 탈피작업 효율을 보다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도록 마련된 양파 탈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양파의 탈피과정에서 양파의 상품성이 저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 양파 탈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따른 양파 탈피장치는 양파의 이송을 위한 이송장치; 상기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중인 양파의 꼭지와 뿌리 쪽 양 단부를 절단하도록 마련된 절단장치; 및 상기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중인 양파 중 상기 절단장치를 통해 양 단부가 절단된 양파 표면으로 고압의 유체를 분사하여 양파의 외피를 제거하는 유체분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양파 탈피장치는 상기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중인 양파의 자세를 유지시키도록 마련된 자세유지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장치는 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자세유지장치는 상기 컨베이어의 길이방향으로 양파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컨베이어에 부착되는 복수의 가이드판과, 상기 컨베이어의 폭 방향으로 양파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컨베이어 상부 양측에 상기 컨베이어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된 한 쌍의 가이드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판 사이의 간격은 절단하고자 하는 양파의 지름크기에 대응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봉 사이의 간격은 절단하고자 하는 양파의 축 방향 길이보다 작게 마련되며, 상기 가이드봉의 높이는 상기 컨베이어로부터 절단하고자 하는 양파의 반지름크기보다 작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절단장치는 상기 컨베이어와 한 쌍의 상기 가이드봉 사이에 상기 켄베이어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회전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날은 상기 컨베이어의 이송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유체분사장치는 상기 절단장치에 의해 절단된 양파 단부의 절단면 바깥쪽으로 양파의 축방향을 따라 유체를 분사하도록 마련된 복수의 유체분사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양파 탈피장치는 양파를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양파의 양 단부를 절단해 내는 절단공정과, 고압의 유체를 분사하여 양 단부가 절단된 양파의 외피를 탈피하는 공정을 일괄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되어 양파의 탈피작업 효율을 보다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 자세유지장치를 구비하는 양파 탈피장치는 절단공정 및 탈피공정에서 양파의 자세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 되므로, 양파 표면의 국부적인 손상 없이 양파의 외피를 안전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되어 탈피과정에서 양파의 상품성이 저하되는 문제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파 탈피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파 탈피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파 탈피장치에 있어서, 자세유지장치의 가이드판을 통해 컨베이어 상에 고정된 양파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파 탈피장치에 있어서, 자세유지장치의 가이드봉을 통해 컨베이어 상에 고정된 양파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파 탈피장치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로, 절단장치를 통해 양파의 양 단부가 절단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도 5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파 탈피장치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로, 유체분사장치를 통해 양파의 외피가 제거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도 7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파 탈피장치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로, 유체분사장치를 통해 양파의 외피가 제거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항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양파 탈피장치는 양파(1)의 이송을 위한 이송장치(10)와, 이송장치(10)에 의해 이송중인 양파(1)의 꼭지(1a)와 뿌리(1b) 쪽 양 단부를 절단하도록 마련된 절단장치(20)와, 이송장치(10)에 의해 이송중인 양파(1) 중 절단장치(20)를 통해 양 단부가 절단된 양파(1) 표면으로 고압의 유체를 분사하여 양파(1)의 외피(1c)를 제거하는 유체분사장치(30)를 포함한다.
이송장치(10)와 함께 절단장치(20)와 유체분사장치(30)를 구비하는 양파 탈피장치는 절단장치(20)를 통해 양파(1)의 양 단부를 절단해 내는 공정과, 유체분사장치(30)를 이용하여 양 단부가 절단된 양파(1)의 외피(1c)를 탈피하는 공정을 양파(1)의 이송과정 일괄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되어 양파의 탈피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외피(1c)는 가장 바깥 쪽 껍질은 물론 바깥쪽에 인접한 일부 속 껍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송장치(10)는 이송구동모터(11)와, 이송구동모터(10)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스프로킷(12)과, 구동스프로킷(12) 타측에 마련된 종동스프로킷(13)과, 구동 및 종동스프로킷(12,13)을 연결하는 컨베이어(14)를 구비한다. 컨베이어(14)는 벨트식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구동 및 종동스프로킷(12,13)과 이송구동모터(11)의 설치를 위해 이송장치(10) 주변으로는 프레임(100)이 설치된다. 프레임(100)은 복수의 가로대(101,102) 및 세로대(103)와 수직대(104)를 통해 구성된다.
따라서 이송구동모터(11)의 구동시 회전하는 컨베이어(14) 상에 양파(1)를 올려놓게 되면, 양파(1)는 컨베이어(14)를 따라 일방향으로 이송된다. 이송장치(10)는 복수의 양파(1)를 일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다른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 양파 탈피장치는 이송장치(10)에 의한 이송도중 양파(1)가 이송장치(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절단장치(20)에 의한 절단공정 및 유체분사장치(30)에 의한 탈피공정에서 양파(1)의 상품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송장치(10)에 의해 이송중인 양파(1)의 자세를 유지시키는 자세유지장치(40)를 구비한다.
양파(1)는 양 단부가 컨베이어(14)의 폭방향을 향하도록 컨베이어(14) 상에 올려지며, 자세유지장치(40)는 컨베이어(14)의 길이방향으로 양파(1)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컨베이어(14)에 부착되는 복수의 가이드판(41)과, 컨베이어(14)의 폭 방향으로 양파(1)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컨베이어(14) 상부 양측에 컨베이어(14)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된 한 쌍의 가이드봉(42)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자세유지장치(40)는 탈피하고자 하는 양파(1)의 평균적인 크기를 고려하여 셋팅된다.
가이드판(41)은 컨베이어(14)와 같은 폭을 구비하여 일단의 체결부(41a)를 통해 컨베이어(14)에 수직을 이루도록 체결된다. 체결부(41a)는 체결부재나 접착제 등을 통해 컨베이어(14) 체결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14)의 길이방향으로 양파(1)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컨베이어(14) 상에서 가이드판(41) 사이의 간격은 절단하고자 하는 양파(1)의 지름크기에 대응하도록 마련되며, 이송과정에서 양파(1)가 가이드판(41)을 타고 넘어가는 일이 없도록 가이드판(41)의 길이 역시 양파(1)의 지름크기 정도로 마련된다. 도면에서 화살표 A는 컨베이어의 이송방향을 가리킨다.
한 쌍의 가이드봉(42)은 이송중인 양파(1)의 양 단부 바로 안쪽 저부를 지지하도록 컨베이어(14) 상부 양측으로 컨베이어(14)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각 가이드봉(42)의 양단은 프레임(100)에 고정된다.
가이드봉(42) 사이의 간격은 절단하고자 하는 양파(1)의 축방향 길이보다 작게 마련되며, 가이드봉(42)의 높이는 컨베이어(14)로부터 양파(1)의 반지름크기보다 작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14) 상에서 이송되는 과정에서 양파(1)는 축방향 양 단부 안쪽의 저부가 한 쌍의 가이드봉(42)에 지지되고 양 단부 사이의 저면이 컨베이어(14)에 지지된 상태로 컨베이어(14)의 폭 방향으로 유동이 방지된다.
그리고 절단장치(20)는 컨베이어(14)와 한 쌍의 가이드봉(42) 사이에 켄베이어(14)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회전날(21)과, 각각의 회전날(21)을 회전구동시키도록 프레임(100)에 고정되는 한 쌍의 절단구동모터(22)를 구비한다.
회전날(21)은 양파(1)보다 지름이 큰 원형으로 마련된다. 회전날(21)의 회전중심은 대략 컨베이어(14)에 의해 이송되는 양파(1)의 중심 높이 정도가 되며, 절단구동모터(22)는 회전날(21)을 컨베이어(14)의 이송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시키도록 마련된다. 도면에서 화살표 B는 회전날(21)의 회전방향을 가리킨다.
따라서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14)를 따라 이송되는 양파(1)는 유체분사장치(30)를 거치기 전에 먼저 절단장치(20)를 통과하게 되며, 절단장치(2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양파(1)는 자세유지장치(40)를 통해 컨베이어 상에 안정적으로 자세가 고정된 상태에서 한 쌍의 회전날(21)을 통해 꼭지(1a) 쪽 일단과 뿌리(1b) 쪽 타단이 거의 동시에 절단된다. 이때는 회전날(21)이 컨베이어(14)의 이송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양파(1)는 회전날(21)에 밀려 가이드판(41) 사이의 외부로 이탈될 우려도 없게 된다.
또한 유체분사장치(30)는 고압의 유체를 저장하는 유체분사유닛(31)과, 유체분사유닛(31)을 통해 전달받은 고압의 유체를 분사하도록 마련된 복수의 유체분사구(33)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분사 유체는 고압의 공기가 되며, 유체분사유닛(31)은 공기압축펌프로 마련된다. 유체분사유닛(31)에는 유체의 분사여부를 조작하기 위한 작동스위치 등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분사 유체는 고압의 물로도 대체될 수 있다.
유체분사유닛(31)은 연결관(34)을 통해 양파(1)의 이송방향을 따라 절단장치(20) 하류 쪽 컨베이어(14) 주변에 설치되는 분사대(32)와 연결되며, 유체분사구(33)는 절단장치(20)를 통과한 컨베이어(14) 상의 양파(1) 쪽으로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도록 분사대(32)에 마련된다.
한편, 유체분사구(33)를 통해 분사되는 고압의 공기가 절단장치(20)에 의해 절단된 양파(1)의 절단면(1d) 안쪽으로 분사될 경우에는 절단면(1d)으로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 복수의 겹을 이루는 양파(1)의 내피 사이가 결을 따라 분리될 우려가 있는 반면, 분사 공기를 이용하여 외피(1c)를 제거할 때는 절단면(1d)에 있어서 외피(1c)와 내피 사이로 양파(1)의 축방향을 따라 공기를 분사하는 것이 유리하게 된다.
따라서 양파(1)의 내피 사이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외피(1c)를 외곽 쪽 내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유체분사구(33)는 양파(1)의 절단면(1d) 바깥쪽으로 양파(1)의 축방향을 따라 유체를 분사하도록 마련되는 것일 바람직하다. 이때 절단면(1d) 바깥쪽은 절단면(1d)의 경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분사대(32)는 복수의 유체분사구(33)가 양파(1)의 절단면(1d) 상부 경계를 따라 늘어서도록 상부 쪽에 배치된 상부 분사대(32a)와, 복수의 유체분사구(33)가 양파(1)의 절단면(1d) 하부 경계를 따라 늘어서도록 하부 쪽에 배치된 하부 분사대(32b)를 포함하며, 상부 및 하부 분사대(32a,32b)는 공기가 양파(1)의 양 단부 쪽으로 모두 분사될 수 있도록 컨베이어(14) 양측으로 각각 한 쌍씩 배치된다. 도 7과 도 8에는 유체분사장치(30)를 이용한 양파(1)의 탈피과정이 도시된다. 참고로 도 9에는 다른 실시예로써 유체분사구(33′)가 측방향으로 비스듬히 설치된 구조가 도시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유체분사구(33′)는 외피(1c)의 분리 방향으로 유체를 조사할 수 있게 되어 탈피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송구동모터(11), 절단구동모터(22), 유체분사유닛(31)을 구동시킨 상태에서 컨베이어(14) 일단 쪽으로부터 차례로 양파(1)를 올려놓게 되면, 양파(1)는 컨베이어(14)를 따라 일 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절단장치(20)와 유체분사장치(30)를 차례로 거치게 된다.
절단장치(20)를 거치는 과정에서 양파(1)는 양 단부가 회전날(21)을 통해 절단되고, 양 단부가 절단된 양파(1)는 계속해서 유체분사장치(30)를 통과하게 된다. 유체분사장치(3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양파(1)의 절단면(1d) 바깥쪽으로는 분사대(32)의 유체분사구(33)로부터 고압의 공기가 분사되며, 이에 따라 양파(1) 외피(1c)는 고압의 공기를 통해 박리된다.
이러한 양파(1)의 절단과정과 탈피과정에 양파(1)는 자세유지장치(40)를 통해 컨베이어(14) 상에서 안정된 자세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되며, 유체분사장치(30)를 거치며 외피(1c)가 탈피된 양파(1)는 컨베이어(14) 끝단으로 이송된 상태에서 하부로 낙하되면서 컨베이어(14)로부터 분리된다. 이용자는 이와 같이 탈피가 완료된 상태로 낙하되는 양파(1)를 포장박스에 담아 포장하게 되며, 이로써 양파(1)의 탈피과정은 종료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 이송장치 14: 컨베이어
20: 절단장치 21: 회전날
30: 유체분사장치 32: 분사대
32a: 상부 분사대 32b: 하부 분사대
33: 유체분사구 40: 자세유지장치
41: 가이드판 42: 가이드봉

Claims (7)

  1. 양파의 이송을 위한 이송장치;
    상기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중인 양파의 꼭지와 뿌리 쪽 양 단부를 절단하도록 마련된 절단장치; 및
    상기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중인 양파 중 상기 절단장치를 통해 양 단부가 절단된 양파 표면으로 고압의 유체를 분사하여 양파의 외피를 제거하는 유체분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파 탈피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중인 양파의 자세를 유지시키도록 마련된 자세유지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파 탈피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는 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자세유지장치는 상기 컨베이어의 길이 방향으로 양파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컨베이어에 부착되는 복수의 가이드판과, 상기 컨베이어의 폭 방향으로 양파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컨베이어 상부 양측에 상기 컨베이어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된 한 쌍의 가이드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파 탈피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판 사이의 간격은 절단하고자 하는 양파의 지름크기에 대응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봉 사이의 간격은 절단하고자 하는 양파의 축방향 길이보다 작게 마련되며,
    상기 가이드봉의 높이는 상기 컨베이어로부터 절단하고자 하는 양파의 반지름크기보다 작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파 탈피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장치는 상기 컨베이어와 한 쌍의 상기 가이드봉 사이에 상기 켄베이어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회전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파 탈피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날은 상기 컨베이어의 이송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파 탈피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분사장치는 상기 절단장치에 의해 절단된 양파 단부의 절단면 바깥쪽으로 양파의 축방향을 따라 유체를 분사하도록 마련된 복수의 유체분사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파 탈피장치.


KR1020120155981A 2012-12-28 2012-12-28 양파 탈피장치 KR1014311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5981A KR101431199B1 (ko) 2012-12-28 2012-12-28 양파 탈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5981A KR101431199B1 (ko) 2012-12-28 2012-12-28 양파 탈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6006A true KR20140086006A (ko) 2014-07-08
KR101431199B1 KR101431199B1 (ko) 2014-08-21

Family

ID=51735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5981A KR101431199B1 (ko) 2012-12-28 2012-12-28 양파 탈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119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08469A (zh) * 2018-06-28 2018-11-30 胡转香 振动调节装置
CN111264893A (zh) * 2020-04-07 2020-06-12 霍敏 一种压切式蒜头与蒜苗茎的分离机
CN112314992A (zh) * 2020-11-13 2021-02-05 天津市职业大学 大蒜自动脱皮机及其脱皮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9184B1 (ko) * 2013-03-21 2015-03-06 김순철 양파 가공장치
KR101488977B1 (ko) 2014-03-20 2015-02-11 주식회사 청하기계 양파 가공기
KR101773598B1 (ko) * 2015-10-21 2017-09-01 (주)에스엔피시스템 양파 박피 장치
KR101764984B1 (ko) * 2015-12-24 2017-08-10 신영식 양파 탈피 장치
KR101899889B1 (ko) * 2017-02-13 2018-09-28 주식회사 이엔푸드 양파 탈피 시스템
KR101996350B1 (ko) * 2017-05-11 2019-07-04 윤기석 양파 정렬 장치
KR101996556B1 (ko) 2018-11-16 2019-10-17 (주)토브기술 양파 탈피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4523Y1 (ko) 2001-08-31 2001-12-01 주식회사 평화엔지니어링 양파 자동 박피장치
KR100544862B1 (ko) * 2003-09-30 2006-01-24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양파박피장치
KR20120042332A (ko) * 2010-10-25 2012-05-03 (주)팩타운코리아 대파 탈피기
KR101249746B1 (ko) * 2011-08-12 2013-04-05 박민지 양파 탈피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08469A (zh) * 2018-06-28 2018-11-30 胡转香 振动调节装置
CN111264893A (zh) * 2020-04-07 2020-06-12 霍敏 一种压切式蒜头与蒜苗茎的分离机
CN111264893B (zh) * 2020-04-07 2021-09-28 宣城良知知识产权服务有限公司 一种压切式蒜头与蒜苗茎的分离机
CN112314992A (zh) * 2020-11-13 2021-02-05 天津市职业大学 大蒜自动脱皮机及其脱皮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1199B1 (ko) 2014-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1199B1 (ko) 양파 탈피장치
KR101218909B1 (ko) 다슬기 탈각기
KR101280677B1 (ko) 자동 양파 탈피장치
JP6541882B2 (ja) エラ除去が容易なカニの殻除去装置
CN103919082A (zh) 用于生产土豆块的设备
KR101832391B1 (ko) 무 껍질 제거장치
KR102143204B1 (ko) 멸치자숙용 발 세척장치
KR101152734B1 (ko) 양파 탈피기
KR101591684B1 (ko) 마늘 껍질 제거 장치
KR101666145B1 (ko) 껍질 제거 장치
KR101899889B1 (ko) 양파 탈피 시스템
MXPA06009206A (es) Metodo y aparato para procesamiento de vegetales.
KR20110055778A (ko) 밤 속껍질 박피기
KR101684667B1 (ko) 근위 황막 제거장치
CN110290699B (zh) 用于清洗壳蛋的设备和方法
CN205630771U (zh) 木瓜定向输送切片机
KR101395672B1 (ko) 밤 속껍질 박피장치
JP6391297B2 (ja) 下葉除去装置
KR101996556B1 (ko) 양파 탈피장치
KR102011131B1 (ko) 대파 탈피장치
KR101956518B1 (ko) 마늘 박피 기능을 가진 마늘 가공장치
CN203884617U (zh) 制备土豆条的加工设备
KR101924385B1 (ko) 양파 탈피 장치
KR101762908B1 (ko) 양파 탈피기 및 상기 양파 탈피기를 구성하는 양파 탈피 부재
CN207369990U (zh) 一种虾清洗输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