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4667B1 - 근위 황막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근위 황막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4667B1
KR101684667B1 KR1020160087983A KR20160087983A KR101684667B1 KR 101684667 B1 KR101684667 B1 KR 101684667B1 KR 1020160087983 A KR1020160087983 A KR 1020160087983A KR 20160087983 A KR20160087983 A KR 20160087983A KR 101684667 B1 KR101684667 B1 KR 1016846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ximal
fluid
membrane
fluid ejection
vertical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7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은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빠보로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빠보로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빠보로꼬
Priority to KR1020160087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46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4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4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BSLAUGHTERING
    • A22B5/00Accessories for use during or after slaughtering
    • A22B5/18Cleaning the stomach of slaughtered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1/00Processing poultry
    • A22C21/06Eviscerating devices for poultry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1/00Processing poultry
    • A22C21/0053Transferring or conveying devices for poultr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위 황막 제거장치는, 근위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되는 근위가 황막 제거 구간에 위치하면 근위에 유체를 분사하여 유체 분사력에 의해 근위가 하방으로 낙하하면서 탈피장치에 밀착되어 근위의 황막이 탈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근위 황막 제거장치{DEVICE FOR REMOVING YELLOW MEMBRANE OF GIZZARD}
본 발명은 닭 근위 가공장치에 구비되는 근위 황막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닭 근위(GIZZARD)는 모래주머니 또는 일명 "닭똥집" 라고도 한다. 닭은 이가 없기 때문에 섭취한 곡류나 단단한 먹이는 근위에서 같이 섭취한 모래알이나 작은 돌에 의해 분쇄되어 소화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근위는 이러한 역할을 위해 중심의 좁은 공소를 둘러싸고 건과 근이 잘 발달되어 있다. 모양은 볼록렌즈처럼 부풀어 있으며 근육이 강하고 단단하여 식감이 매우 좋아 가공식품으로 인기가 높다.
한편, 기존 근위 황막 제거장치는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홀(412) 및 가이드 홀(413)이 구비되는 작동부재(411), 작동부재(411)의 선단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근위(300)를 눌러 탈피장치(107)에 밀착되게 하는 발(414), 결합 홀(412)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으로서 회전작동에 의해 발(414)이 상하로 작동되게 하는 편심축(421) 및 가이드 홀(413)에 결합되는 고정축(422)으로 이루어지는 근위 가압장치(400); 및 작동부재(411) 아래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회전작동에 의해 밀착되는 근위(300)의 황막(301)을 탈피하는 탈피장치(107); 를 포함한다.
그런데 기존 근위 황막 제거장치는 근위 가압장치의 발이 근위에 밀착되면서 누르기 때문에 이 과정에서 근위 표피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표피에 손상이 있는 근위는 식품으로서 상품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폐기처리된다.
일례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42523호는 "닭근위(모레집) 가공 시스템"을 개시한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유체 분사력에 의해 근위가 탈피장치에 밀착되게 하는 근위 황막 제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위 황막 제거장치는 근위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되는 근위가 황막 제거 구간에 위치하면 근위에 유체를 분사하여 유체 분사력에 의해 근위가 하방으로 낙하하면서 탈피장치에 밀착되어 근위의 황막이 탈피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체는 에어 또는 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체는 유체분사장치에 의해 분사되며, 상기 유체분사장치는 유체가 분사되는 선단 부위가 황막 제거 구간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근위 이송장치에 의해 근위가 황막 제거 구간에 위치하면 선단 부위에서 유체를 분사하여 유체 분사력에 근위가 낙하하면서 탈피장치에 밀착되어 근위의 황막이 탈피되게 하는 유체분사노즐; 및 상기 유체분사노즐과 연결되어 상기 유체분사노즐에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호스;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체분사장치의 유체 분사방향은 탈피장치와 직각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탈피장치는 상기 유체분사장치 아래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좌, 우 양측으로 대향 설치되면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헬리컬기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탈피장치는 근위가 접촉되면서 황막이 제거되는 것으로서, 톱니로 이루어지는 탈피영역; 및 상기 탈피영역을 제외한 영역 또는 탈피영역 이후 영역으로서, 근위가 접촉되더라도 손상이 없는 톱니가 구비되지 않은 매끄러운 영역; 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끄러운 영역은 롤러 영역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탈피장치 부근에는 황막이 제거된 근위를 밀어서 탈피장치로부터 벗어나게 하는 근위 탈리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근위 탈리장치는 수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부에 링 기어가 구비되는 수직 회전축; 및 상기 링 기어 아래에 위치하면서 수직 회전축의 외주를 따라 방사형으로 구비되는 것으로서, 수직 회전축의 회전작동에 의해 회전하면서 탈피장치에 의해 황막이 제거된 근위를 밀어서 탈피장치로부터 벗어나게 하는 날개;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 기어는 상기 수직 회전축에 대응하여 교차하는 수평 회전축에 구비되는 피니언 기어와 맞물릴 수 있다.
또한, 일단은 피니언 기어와 날개 사이의 수직 회전축 부위에 연결되고, 타단은 수평 회전축의 일단을 지지하는 받침프레임에 연결되는 연결부재;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날개의 끝단은 회전작동시 상기 유체분사장치에 닿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체분사장치를 중심으로 좌, 우 양측으로 구비되는 것으로서, 근위 이송장치에 의해 황막 부위가 아래를 향하도록 뒤집힌 채 황막 제거 구간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근위의 상면 양측을 잡아주는 근위 지지 가이드; 를 포함하며, 상기 근위 지지 가이드는 환봉으로 이루어지며 끝단이 유체분사장치의 선단 부근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위 황막 제거장치에 의하면, 유체 분사력에 의해 근위가 탈피장치에 밀착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닭 근위에 붙어 있는 황막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각 근위 마다 크기, 모양 및 표면의 생김이 다르고 기름에 엉김이 각기 다름에 영향을 받지 않고 근위 내측에 붙어 있는 황막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근위의 황막이 완벽하게 제거되지 않을 경우 상품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를 완벽하게 해결할 수 있는 등 근위 가공장치에 최적화된 근위 황막 제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기존 근위 황막 제거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기존 근위 황막 제거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근위 황막 제거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근위 황막 제거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분사장치의 유체 분사방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분사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근위 탈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근위 탈리장치의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위 황막 제거장치는 근위 가공장치(100)에 최적화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위 황막 제거장치는 근위(300)에 유체를 분사하여 탈피장치(107)에 밀착되게 함으로써 황막(301)을 제거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분사장치(700)에서 분사되는 유체(720)는 탈피장치(107) 방향으로 분사된다. 유체분사장치(700)에 분사되는 유체(720) 분사방향은 탈피장치(107)와 직각을 이루도록 분사된다. 유체(720) 분사방향이 탈피장치(107)와 직각을 이룰 때 유체(720) 분사력이 가장 강하다. 그로 인해 근위(300)가 탈피장치(107)에 안정적으로 밀착되어 황막(301)을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만일 유체(720) 분사방향이 탈피장치(107)와 직각을 이루지 못할 경우 유체 분사력이 약해질 수 있다. 유체(720) 분사력이 약할 경우 근위(300)가 탈피장치(107)에 긴밀히 밀착되지 않아 황막(301)이 말끔하게 제거되지 않을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위 이송장치(102)에 의해 이송되는 근위(300)가 황막 제거 구간에 위치하면 유체분사장치(700)에서 유체(720)를 분사한다. 유체(720) 분사력에 의해 근위 이송장치(102)에 끼워져 있던 근위(300)가 하방으로 낙하하면서 탈피장치(107)에 밀착된다. 유체(720) 분사력에 의해 탈피장치(107)에 밀착된 근위(300)는 탈피장치(107)의 회전 작동에 의한 마찰에 의해 황막(301)이 제거된다. 유체분사장치(700)는 고정 프레임에 의해 황막 제거 구간에 안정적으로 고정설치될 수 있다. 유체분사장치(700)에서 분사되는 유체(720)는 에어(air) 또는 물(water)일 수 있다.
유체분사장치(700)는 유체(720)를 분사하는 유체분사노즐(701) 및 유체공급호스(702)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유체분사노즐(701)은 유체가 분사되는 선단 부위가 황막 제거 구간에 위치한다. 유체공급호스(702)를 통해 유체가 유체분사노즐(701) 내부로 공급된다. 유체(720)는 유체분사노즐(701)에 의해 더욱 강한 힘으로 분사될 수 있다. 유체분사노즐(701) 내부로 공급된 유체(720)는 유체분사노즐(701)의 선단에 구비되는 토출구를 통해 분사된다.
근위 이송장치(102)에 의해 근위(300)가 황막 제거 구간에 위치하면 유체분사노즐(701)의 선단 부위에서 유체를 분사한다. 근위(300)는 유체분사노즐(701)에서 분사되는 유체(720) 분사력에 의해 탈피장치(107)에 밀착되어 황막(301)이 제거된다. 유체공급호스(702)는 유체분사노즐(701) 후단에 연결된다. 유체공급호스(702)는 유체공급장치와 연결되어 유체분사노즐(701) 내부로 유체를 공급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황막(301) 제거 전 이송되는 근위(300)를 잡아주어 근위 지지 가이드(500) 및 유체분사장치(700) 부근에 구비되는 근위 탈리장치(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탈피장치(107)는 회전작동을 하면서 밀착되는 근위의 황막을 탈피하는 장치이다. 탈피장치(107)는 유체분사장치(700) 아래에 구비된다. 탈피장치(107)는 양측으로 대향 설치된다. 탈피장치(107)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헬리컬기어(helical gear)일 수 있다. 탈피장치(107)는 모터 등과 같은 동력발생장치(104b)와 연결되어 동력발생장치(104b)의 구동에 의해 회전한다.
탈피장치(107)는 탈피영역(107a) 및 매끄러운 영역(107b)을 포함한다. 근위(300)는 탈피영역(107a)에서 황막이 제거된다. 근위(300)는 탈피영역에 순간적으로 밀착된다. 탈피영역(107a)은 톱니가 구비되는 톱니 영역이다. 탈피영역(107a)은 근위(300)의 접촉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밀착되는 근위(300)의 면적에 부합하는 면적으로 설계되어야 한다. 근위(300)가 탈피영역(107a)에 접촉하는 시간 및 압력이 너무 과도할 경우 근위(300)에 손상을 줄 수 있다. 따라서, 근위(300)가 탈피영역(107a)에 접촉되는 시간과 압력이 과도하지 않도록 최적의 시간과 압력으로 설계해야 한다.
매끄러운 영역(107b)은 탈피영역(107a) 이후 구간에 구비된다. 매끄러운 영역(107b)은 근위(300)가 접촉하더라도 손상이 전혀 없다. 매끄러운 영역(107b)은 톱니가 생성되지 않은 매끄러운 영역(107b)이다. 매끄러운 영역(107b)은 탈피영역(170a)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매끄러운 영역(107b)은 롤러로 이루어지는 롤러 영역일 수 있다.
근위 지지 가이드(500)는 유체분사장치(700)의 유체분사노즐(701) 선단을 중심으로 좌, 우 양측으로 대향 설치된다. 근위 지지 가이드(500)는 근위 이송장치(102)에 의해 황막 부위가 아래를 향하도록 뒤집힌 채 작동부재(411)로 이동하는 근위(300)의 상면 양측을 안정적으로 잡아준다. 근위 지지 가이드(500)는 환봉일 수 있다. 근위 지지 가이드(500)는 부분적으로 절곡될 수 있다. 근위 지지 가이드(500)의 끝단은 대략 유체분사장치(700)의 유체분사노즐(701) 선단 부근에 위치한다.
도 7,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피장치(107) 부근에는 황막이 제거된 근위(300)를 밀어서 탈피장치(107)로부터 벗어나게 하는 근위 탈리장치(600)가 구비될 수 있다. 근위 탈리장치(600)는 수직으로 설치된다. 근위 탈리장치(600)는 수직 회전축(601), 수직 회전축(601)의 상부에 구비되는 링 기어(602) 및 링 기어(602) 아래의 수직 회전축(601) 부위에 구비되는 날개(603)를 포함한다.
날개(603)는 수직 회전축(601)의 하부에 구비된다. 날개(603)는 수직 회전축(601)의 외주를 따라 방사형으로 구비된다. 날개(603)는 수직 회전축(601)의 회전작동에 의해 회전하면서 탈피장치(107)에 의해 황막(301)이 제거된 근위(300)를 밀어서 탈피장치(107)로부터 벗어나게 한다. 도 7에는 날개(603)가 8개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며 날개(603)는 8개 이하 또는 8개 이상일 수 있다. 날개(603) 끝단은 회전작동시 유체분사장치(700)는 물론 기타 장치들과 부딪히지 않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링 기어(602)는 수직 회전축(601)에 대응하여 교차하는 수평 회전축(123a)에 구비되는 피니언 기어(123b)와 맞물린다. 수평 회전축(123a)은 모터 등과 같은 동력발생장치(104a)와 연결되어 동력발생장치(104a)의 구동에 의해 회전한다. 링기어(602)와 피니언 기어(123b)는 베벨기어(bevel gear)일 수 있다.
수직 회전축(601)에는 연결부재(604)가 구비된다. 연결부재(604) 일단은 링 기어(602)와 날개(603) 사이의 수직 회전축(601) 부위에 연결된다. 연결부재(604) 타단은 수평 회전축(123a)의 일단을 지지하는 받침프레임(123c)에 연결된다. 연결부재(604)는 수직 회전축(601)의 상, 하 양측으로 결합되는 너트에 의해 수직 회전축(601)에 안정적으로 고정결합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발생장치(104a)가 구동하면 동력발생장치(104a)와 연결된 축이 회전한다. 축이 회전함에 따라 축에 설치된 제1스프로킷(121)이 회전작동을 한다. 제1스프로킷(121)의 회전에 의해 제1스프로킷(121)에 맞물린 근위 이송장치(102)가 회전한다.
근위 이송장치(102)의 외측 둘레에는 가이드 프레임(106)이 구비된다. 가이드 프레임(106)은 근위(300)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근위 이송장치(102)는 고리 형태의 체인일 수 있다. 근위 이송장치(102)는 제1동력전달장치(121), 제2동력전달장치(122) 및 제3동력전달장치(123)를 순차적으로 경유한다. 제1동력전달장치(121), 제2동력전달장치(122) 및 제3동력전달장치(123)는 체일 스프로킷일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위 황막 제거장치의 근위 황막 제거 과정을 설명한다.
근위(300)는 중심이 정확하게 절개되어야 한다. 중심이 정확하게 절개되지 않고 한쪽으로 쏠리게 절개되는 근위(300)는 식품으로서 모양 및 식감이 좋지 않아 폐기할 수밖에 없다. 일반적으로 근위(300)는 크기에 따라 대중소로 구분된다. 대 사이즈는 가로 45mm, 세로 65mm, 높이 30mm이고, 중 사이즈는 40mm, 세로 55mm, 높이 26mm이며, 소 사이즈는 가로 35mm, 세로 42mm, 높이 25 mm이다.
이와 같이 근위(300)는 크기와 모양이 각기 다르고 기름이 붙어 미끄럽기 때문에 근위(300)의 중심을 정확하게 절개하기가 매우 어렵다.
중앙이 절개된 근위(300)는 근위 이송장치(102)에 의해 황막 제거 구간으로 이동한다. 근위 이송장치(102)는 모터 등과 같은 동력발생장치(104a)에 의해 작동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이 절개된 근위(300)는 근위 이송장치(102)의 작동에 의해 절개부위가 아래를 향한 상태로 유체분사장치(700) 쪽으로 이동한다.
황막 제거 구간에 위치한 근위(300)는 유체분사장치(700)의 유체 분사작동에 의해 근위 이송장치(102)로부터 분리되면서 탈피장치(107)에 밀착되어 황막(301)이 제거된다.
근위(300)는 탈피장치(107)에 톱니가 형성된 탈피영역(107a)에만 순간적으로 밀착되기 때문에 다른 부위에는 전혀 손상 없이 황막만 제거된다.
탈피장치(107)는 탈피영역(107a) 이후 영역이 롤러로 이루어지는 매끄러운 영역(107b)으로 이루어져 있어 황막(301)이 탈피된 근위(300)의 살이 닿더라도 손상이 전혀 없다. 그리고 탈피장치(107)가 선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 구조여서 황막(301)이 탈피된 근위(300)가 자연스럽게 탈피장치(107)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탈피장치(107)는 좌우 한 쌍의 헬리컬기어로 이루어지고 양쪽 헬리컬기어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근위(300)가 탈치장치(107)에 밀착되는 순간 근위(300)에 붙어있던 좌우 가장자리의 황막(301) 부위가 중심 쪽으로 밀리면서 황막이 완전히 벗겨지게 된다.
도 7,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피장치(107)에 의해 황막(301)이 제거된 근위(300)는 근위 탈리장치(600)의 작동에 의해 밀리면서 탈피장치(107)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근위 탈리장치(600)의 작동은 수평 회전축(123a)의 회전에 의해 이루어진다.
동력발생장치(104a)의 구동은 제1동력전달장치(121), 근위 이송장치(102) 및 제3동력전달장치(123)를 거쳐 수평 회전축(123a)으로 전달된다. 수평 회전축(123a)의 회전력은 피니언 기어(123b)를 거쳐 피니언 기어(123b)와 맞물려 있는 링 기어(602)에 전달된다. 링 기어(602)의 회전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수직 회전축(601)이 회전한다. 수직 회전축(601)이 회전함에 따라 수직 회전축(601) 하부에 방사형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날개(603)가 회전하면서 탈피장치(107)에 의해 황막(301)이 제거된 근위(300)를 밀어서 떨어뜨린다. 날개(603)의 회전시 탈피장치(107)에 놓인 황막 이외의 이물질도 날개(603)에 의해 밀리면서 떨어지게 된다.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위 황막 제거장치는, 유체 분사력에 의해 근위가 탈피장치에 밀착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닭 근위에 붙어 있는 황막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각 근위 마다 크기, 모양 및 표면의 생김이 다르고 기름에 엉김이 각기 다름에 영향을 받지 않고 근위 내측에 붙어 있는 황막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근위의 황막이 완벽하게 제거되지 않을 경우 상품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를 완벽하게 해결할 수 있는 등 근위 가공장치에 최적화된 근위 황막 제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근위 가공장치 102:근위 이송장치
104a, 104b:동력발생장치 106:가이드 프레임
107:탈피장치 107a:탈피영역
107b:매끄러운 영역 121:제1동력전달장치
122:제2동력전달장치 123:제3동력전달장치
123a:수평 회전축 123b:피니언 기어
123c:받침프레임 300:근위
301:황막 500:근위 지지 가이드
600:근위 탈리장치 601:수직 회전축
602:링 기어 603:날개
604:연결부재 700:유체분사장치
701:유체분사노즐 702:유체공급호스
720:유체

Claims (13)

  1. 근위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되는 근위가 황막 제거 구간에 위치하면 근위에 유체를 분사하여 유체 분사력에 의해 근위가 하방으로 낙하하면서 탈피장치에 밀착되어 근위의 황막이 탈피되며,
    상기 탈피장치 부근에는 황막이 제거된 근위를 밀어서 탈피장치로부터 벗어나게 하는 근위 탈리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근위 탈리장치는,
    수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부에 링 기어가 구비되는 수직 회전축; 및 상기 링 기어 아래에 위치하면서 수직 회전축의 외주를 따라 방사형으로 구비되는 것으로서, 수직 회전축의 회전작동에 의해 회전하면서 탈피장치에 의해 황막이 제거된 근위를 밀어서 탈피장치로부터 벗어나게 하는 날개; 를 포함하는 근위 황막 제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체는,
    에어 또는 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위 황막 제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체는 유체분사장치에 의해 분사되며,
    상기 유체분사장치는,
    유체가 분사되는 선단 부위가 황막 제거 구간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근위 이송장치에 의해 근위가 황막 제거 구간에 위치하면 선단 부위에서 유체를 분사하여 유체 분사력에 근위가 낙하하면서 탈피장치에 밀착되어 근위의 황막이 탈피되게 하는 유체분사노즐; 및
    상기 유체분사노즐과 연결되어 상기 유체분사노즐에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호스;
    를 포함하는 근위 황막 제거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유체분사장치의 유체 분사방향은,
    탈피장치와 직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위 황막 제거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탈피장치는,
    상기 유체분사장치 아래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좌, 우 양측으로 대향 설치되면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헬리컬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위 황막 제거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탈피장치는,
    근위가 접촉되면서 황막이 제거되는 것으로서, 톱니로 이루어지는 탈피영역; 및
    상기 탈피영역을 제외한 영역 또는 탈피영역 이후 영역으로서, 근위가 접촉되더라도 손상이 없는 톱니가 구비되지 않은 매끄러운 영역;
    을 포함하는 근위 황막 제거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매끄러운 영역은,
    롤러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위 황막 제거장치.
  8. 삭제
  9. 삭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링 기어는,
    상기 수직 회전축에 대응하여 교차하는 수평 회전축에 구비되는 피니언 기어와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위 황막 제거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일단은 피니언 기어와 날개 사이의 수직 회전축 부위에 연결되고, 타단은 수평 회전축의 일단을 지지하는 받침프레임에 연결되는 연결부재;
    를 더 포함하는 근위 황막 제거장치.
  12.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날개의 끝단은,
    회전작동시 상기 유체분사장치에 닿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위 황막 제거장치.
  13.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유체분사장치를 중심으로 좌, 우 양측으로 구비되는 것으로서, 근위 이송장치에 의해 황막 부위가 아래를 향하도록 뒤집힌 채 황막 제거 구간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근위의 상면 양측을 잡아주는 근위 지지 가이드;
    를 포함하며,
    상기 근위 지지 가이드는 환봉으로 이루어지며 끝단이 유체분사장치의 선단 부근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위 황막 제거장치.
KR1020160087983A 2016-07-12 2016-07-12 근위 황막 제거장치 KR101684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983A KR101684667B1 (ko) 2016-07-12 2016-07-12 근위 황막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983A KR101684667B1 (ko) 2016-07-12 2016-07-12 근위 황막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4667B1 true KR101684667B1 (ko) 2016-12-08

Family

ID=57576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7983A KR101684667B1 (ko) 2016-07-12 2016-07-12 근위 황막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466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22956A1 (ko) * 2016-01-14 2017-07-20 주식회사 빠보로꼬 근위 황막 제거장치
KR102125352B1 (ko) * 2019-08-14 2020-06-22 이항재 근위 황막 제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1501B1 (ko) * 2013-11-20 2015-10-22 주식회사 태진 도계의 근위 커팅기
KR101579449B1 (ko) * 2015-10-22 2015-12-24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대마 가금류의 근위 가공장치 및 가공방법
KR101612773B1 (ko) * 2015-04-09 2016-04-18 안치봉 근위 가공 장치
KR101637001B1 (ko) * 2016-01-14 2016-07-07 주식회사 빠보로꼬 근위 황막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1501B1 (ko) * 2013-11-20 2015-10-22 주식회사 태진 도계의 근위 커팅기
KR101612773B1 (ko) * 2015-04-09 2016-04-18 안치봉 근위 가공 장치
KR101579449B1 (ko) * 2015-10-22 2015-12-24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대마 가금류의 근위 가공장치 및 가공방법
KR101637001B1 (ko) * 2016-01-14 2016-07-07 주식회사 빠보로꼬 근위 황막 제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22956A1 (ko) * 2016-01-14 2017-07-20 주식회사 빠보로꼬 근위 황막 제거장치
KR102125352B1 (ko) * 2019-08-14 2020-06-22 이항재 근위 황막 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1184B1 (ko) 근위 황막 제거장치
KR101431199B1 (ko) 양파 탈피장치
CN204763265U (zh) 一种果实自动去核机
KR101684667B1 (ko) 근위 황막 제거장치
WO2001006861A1 (fr) Procede de traitement des coquillages et dispositif de traitement des coquillages utilises dans ce procede
JP2018530346A (ja) エラ除去が容易なカニの殻除去装置
US9538769B2 (en) System and method for peeling and deveining shrimp
JP4084178B2 (ja) 貝処理方法及び貝処理装置
US3758921A (en) Crawfish peeler
KR20150120538A (ko) 양파의 껍질까기와 뿌리 줄기 절단을 위한 장치
KR20180094161A (ko) 양파 탈피 시스템
US221553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utting whole stalks of celery into short lengths
KR101395672B1 (ko) 밤 속껍질 박피장치
KR101629662B1 (ko) 농산물 재벌 탈피기
JP3660596B2 (ja) 貝処理方法とそれに使用される貝処理装置
JP6391297B2 (ja) 下葉除去装置
KR100797056B1 (ko) 어류 가공기
KR101769599B1 (ko) 근위 황막 제거장치
KR101762908B1 (ko) 양파 탈피기 및 상기 양파 탈피기를 구성하는 양파 탈피 부재
GB2576974A (en) Method and device for coring a lettuce head and installation for industrial peeling of a lettuce head
GB244772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shelling crustaceans
EP3962278B1 (en) Automatic fish cleaning device and method
CN212994293U (zh) 一种进料机构及应用其的莲子脱皮机
US746530A (en) Machine for preparing fruit for canning.
KR100708464B1 (ko) 옥수수 껍질 제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