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9599B1 - 근위 황막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근위 황막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9599B1
KR101769599B1 KR1020170063347A KR20170063347A KR101769599B1 KR 101769599 B1 KR101769599 B1 KR 101769599B1 KR 1020170063347 A KR1020170063347 A KR 1020170063347A KR 20170063347 A KR20170063347 A KR 20170063347A KR 101769599 B1 KR101769599 B1 KR 101769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ximal
rotating
center
roller
jetting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3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은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빠보로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빠보로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빠보로꼬
Priority to KR1020170063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95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9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9599B1/ko
Priority to CN201810082907.5A priority patent/CN108283209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BSLAUGHTERING
    • A22B5/00Accessories for use during or after slaughtering
    • A22B5/18Cleaning the stomach of slaughtered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1/00Processing poultry
    • A22C21/06Eviscerating devices for poultry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1/00Processing poultry
    • A22C21/0053Transferring or conveying devices for poultr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위 황막 제거장치는, 절개된 근위의 일측 부위와 타측 부위가 벌어진 상태로 이송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근위 벌림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근위 벌림장치는 이송방향 반대쪽 부위에 설치공간이 구비되는 본체; 및 상기 설치공간에 회전 가능하도록 중심축에 의해 축설되는 회전장치;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근위 황막 제거장치{DEVICE FOR REMOVING YELLOW MEMBRANE OF GIZZARD}
본 발명은 절개된 근위의 양측 부위를 벌려주는 근위 황막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위(GIZZARD)의 모양은 일반적으로 한 쌍으로 된 붉은 살점의 두툼한 근육이 아래위 방향으로 서로 엇갈려 볼록렌즈처럼 마주보고 있다. 근위는 주름 벽 황막을 둥그렇게 감싸고 있으며 이 붉은 살점의 두툼한 근육의 수축활동으로 주름 벽 황막 안으로 들어오는 먹이를 1차 분쇄한다. 안 주름 벽 쪽의 황막을 감싼 붉은 살점의 두툼한 근육은 정중앙에 양쪽으로 똑같이 상, 하 반대방향으로 서로 엇갈리도록 나누어져 있으며 근위의 크기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근위는 대략 중심 상하 좌우, 상하 약 15mm 정도 넓이이며 수축활동이 원활하도록 약 두께 1mm 정도의 아주 질긴 막이 형성되어 있다. 주변으로 붉은 살점으로 된 근육을 보호할 수 있도록 아주 섬세한 약 0.1 mm의 엷은 막이 근육 전체를 감싸고 있다. 식품으로서 근위의 가공작업은 한 쌍의 붉은 살점으로 된 근육의 중심을 정확히 절개하여 붉은 살점의 근육에 손상이 가지 않게 작업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엷은 막에도 상처가 나지 않도록 세심하게 작업을 하는 것이 최우선적이라 할 수 있다. 정확히 절개되지 않으면 양쪽 모양이 다르고 칼집이 한쪽으로 치우쳐 모양 자체가 찌그러지고 손상이 간다. 그리고 엷은 막으로 감싸진 부분은 육안으로는 자세히 보아야만 식별할 수 있기 때문에 흠집 및 표피의 손상을 작업자가 자칫 소홀히 간과할 수 있다. 근위에 흠집 또는 상처가 나거나 엷은 막이 벗겨지면 오염에 노출되어 미생물 번식이 쉽게 되며 부패속도가 빨라질 수 있어 신선도 유지에 문제가 있으며 붉은 살점으로 된 근육을 정확히 절개하지 않아 양쪽 모양이 다르게 되면 상품가치가 반감됨은 물론 신선도 유지에도 문제가 생길 수 있어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 작업을 하여야 한다.
그런데 기존 근위 황막 제거장치에는 절개된 근위의 양측 부위를 벌려주면서 동시에 근위를 이송방향으로 미는 별도의 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황막이 드러나도록 근위의 양측 부위가 충분히 벌어지지 않은 상태로 근위가 황막 탈피장치로 이송되기 때문에 황막 제거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았다.
일례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12773호는 "근위 가공 장치"를 개시한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중앙 롤러 및 사이드 롤러가 회전 작동을 하면서 중앙 부위가 절개되어 이송방향으로 이송되는 근위의 양측 부위를 회전력으로 펴주는 근위 황막 제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위 황막 제거장치는, 절개된 근위의 일측 부위와 타측 부위가 벌어진 상태로 이송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근위 벌림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근위 벌림장치는 이송방향 반대쪽 부위에 설치공간이 구비되는 본체; 및 상기 설치공간에 회전 가능하도록 중심축에 의해 축설되는 회전장치;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근위 벌림장치는 근위 절개장치를 지난 구간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장치는 복수로 배열되는 롤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장치는 근위에 닿는 중앙 롤러; 및 근위에 닿으면서 상기 중앙 롤러를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위치하는 사이드 롤러;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심축의 일측 단부는 상기 본체 일측으로 노출되고 동력발생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력발생장치는 모터이며, 동력전달부재에 의해 중심축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벨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력발생장치는 상기 중심축 및 상기 근위 벌림장치 전 구간에 위치하는 근위 절개장치와 동시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력발생장치의 로드를 통해 동력이 출력되며, 상기 동력발생장치의 로드는 상기 근위 절개장치의 회전커터와 연결되면서 동력전달부재에 의해 상기 중심축의 일측 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근위 벌림장치 전방으로 중앙 프레임이 위치하며, 상기 중앙 프레임은 근위 이송장치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보조 세척수 분사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보조 세척수 분사장치는 상기 중앙 프레임의 양측으로 배치되어 근위를 향하여 양측에서 세척을 분사할 수 있는 제1 분사구 및 제2 분사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분사구 및 제2 분사구는 하단이 근위 이송방향 반대편 쪽으로 치우치도록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위 황막 제거장치에 의하면, 중앙 롤러 및 사이드 롤러가 회전 작동을 하면서 중앙 부위가 절개되어 이송방향으로 이송되는 근위의 양측 부위를 회전력으로 펴줄 수 있다.
또한, 근위의 양측 부위가 충분히 벌어진 상태로 황막 탈피장치로 이송되기 때문에 황막 제거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근위 벌림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근위 벌림장치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근위 벌림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근위 벌림장치의 작동에 의해 근위 양측 부위가 벌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근위 벌림장치의 작동에 의해 근위 양측 부위가 벌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근위의 황막 제거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프레임에 보조 세척수 분사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세척수 분사장치의 저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위 황막 제거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위 황막 제거장치는 근위 절개장치(101)를 통과하면서 절개가 이루어진 근위(300)의 일측 부위(301)와 타측 부위(302)를 벌려주는 근위 벌림장치(108)가 구비된다.
근위 벌림장치(108)는 근위 이송장치(102)를 지나 근위 이송라인 구간에 위치한다. 근위 벌림장치(108)는 근위 이송장치(102)에 의해 이송되는 근위(300)의 양측이 충분히 벌어진 상태로 이송방향(105)으로 이송될 수 있게 한다. 근위 벌림장치(108)는 본체(1082) 및 본체(1082)의 설치공간(1083)에 구비되는 회전장치(1084)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체(1082)는 근위 절개장치(101)를 지나서 근위(300) 이송라인 구간에 위치한다. 본체(1082)에는 회전장치(1084)가 설치되는 설치공간(1083)이 구비된다. 설치공간(1083)은 이송방향(105)의 반대쪽 즉 근위 절개장치(101)를 향하는 면에 구비된다. 본체(1082)는 근위 황막 제거장치에 구비되는 중앙 프레임에 볼트 등과 같은 결합부재에 의해 고정 결합될 수 있다.
회전장치(1084)는 설치공간(1083)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회전장치(1084)는 근위(300)가 이송방향(105)로 이송될 수 있도록 일 방향으로 회전한다. 회전장치(1084)는 중심축(1081)에 의해 설치공간(1083)에 축설된다. 중심축(1081)은 중앙 롤러(1085) 및 사이드 롤러(1086)의 중심에 위치한다. 회전장치(1084)는 중앙 롤러(1085) 및 중앙 롤러(1085)를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설치되는 사이드 롤러(1086)의 3개의 롤러로 이루어진다.
중앙 롤러(1085)는 설치공간(1083)의 중앙에 위치하며 절개된 근위(300)의 중앙 부위(303)에 닿는다. 사이드 롤러(1086)는 중앙 롤러(1085)를 사이에 두고 설치공간(1083) 양측 가장자리에 위치한다. 사이드 롤러(1086)는 절개된 근위(300)의 일측 부위(301)와 타측 부위(302)에 닿는다.
중앙 롤러(1085) 및 사이드 롤러(1086)는 중심축(1081)에 의해 축설되어 중심축(1081)의 회전에 의해 동시에 회전한다. 중심축(1081)의 일측 단부는 본체(1082)의 좌측 또는 우측의 일측면으로 노출된다. 노출된 중심축(1081)의 일측 단부는 동력전달부재(1200)에 의해 동력발생장치(1100)와 연결된다.
동력발생장치(1100)는 모터일 수 있다. 동력전달부재(1200)는 벨트일 수 있다. 동력전달부재(1200)는 동력발생장치(1100)의 로드(1101)와 노출된 중심축(1081)의 일측 단부를 연결한다. 동력발생장치(1100)의 로드(1101)와 노출된 중심축(1081)의 일측 단부에는 동력전달부재(1200)가 대응 결합되는 결합홈이 구비될 수 있다. 동력발생장치(1100)의 로드(1101)는 동력전달부재(1200)에 의해 노출된 중심축(1081)의 일측 단부와 연결되는 동시에 근위 절개장치(101)의 회전커터(1011)와 연결된다.
동력발생장치(1100)의 구동에 의해 회전커터(1011) 및 회전장치(1084)를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다. 동력발생장치(1100)의 동력은 로드(1101)를 통해 출력되고 회전커터(1011)와 회전장치(1084)로 동시에 전달된다. 구체적으로 동력발생장치(1100)가 구동하면 로드(1101)가 회전하고 로드(1101)의 회전에 의해 회전커터(1011)가 회전한다. 이와 동시에 로드(1101)의 회전은 동력전달부재(1200)에 전달되고 동력전달부재(1200)의 회전은 중심축(1081)에 전달되며 중심축(1081)의 회전에 의해 중앙 롤러(1085) 및 사이드 롤러(1086)가 회전한다.
도 7,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위 벌림장치(108) 전방으로 중앙 프레임(107)이 위치한다. 중앙 프레임(107)은 근위 이송장치(102)의 상부에 위치한다. 중앙 프레임(107)에는 보조 세척수 분사장치(13)가 구비될 수 있다. 보조 세척수 분사장치(13)는 제1 분사구(131) 및 제2 분사구(132)를 포함한다.
제1 분사구(131) 및 제2 분사구(132)는 한 몸체의 보조 세척수 분사장치(13)에 2갈래로 갈라져 양측으로 세척수(14)를 분사할 수 있다. 제1 분사구(131) 및 제2 분사구(132)는 중앙 프레임(107)의 양측으로 배치된다. 제1 분사구(131) 및 제2 분사구(132)는 근위 절개장치(101)를 거치면서 절개가 이루어진 근위(300)의 절개부 양측으로 동시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근위를 세척한다. 제1 분사구(131) 및 제2 분사구(132) 하단은 근위 이송방향(105) 반대편 쪽으로 치우치도록 경사지게 설치한다. 제1 분사구(131) 및 제2 분사구(132) 하단을 수직으로 설치할 경우 세척수의 분사 압력이 강하여 근위(300)에 손상으로 줄 수 있고 세척수 분사 범위가 좁아질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제1 분사구(131) 및 제2 분사구(132)은 적절한 경사 각도를 가지도록 경사지게 설계하여야 한다. 분사구(131) 및 제2 분사구(132)에서 분사되는 세척수(14)는 10bar의 압력으로 분사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위 황막 제거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4, 5와 같이 근위 절개장치(101)를 통과하면서 중앙 부위(303)가 절개된 근위(300)는 근위 벌림장치(108)로 이송된다.
근위(300)의 양측 부위는 회전장치(1084) 아래를 지나면서 완전히 벌어지게 된다. 구체적으로 근위(300)의 중앙 부위(303)는 중앙 롤러(1085)에 닿은 상태로 이동하고, 근위(300)의 일측 부위(301)와 타측 부위(302)는 사이드 롤러(1086)에 닿아 벌어진 상태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근위(300) 양측 부위가 충분히 벌어진 상태로 황막 탈피장치로 이송되기 때문에 황막 제거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은 동력발생장치에서 발생된 동력의 전달 과정을 설명한다.
동력발생장치(1100)의 구동에 근위 절개장치(101)의 회전커터(1011)와 중앙 롤러(1085) 및 사이드 롤러(1086)가 동시에 회전한다. 구체적으로 동력발생장치(1100)의 로드(1101)는 회전커터(1011)의 중심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동력발생장치(1100)가 구동하면 로드(1101)의 회전력이 회전커터(1011)에 전달되어 회전커터(1011)가 회전한다.
로드(1101)는 동력전달부재(1200)에 의해 중심축(1081)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로드(1101)를 통해 출력된 회전력은 회전커터(1011)와 동시에 회전장치(1084)에 전달된다. 구체적으로 동력발생장치(1100)의 동력은 로드(1101)와 동력전달부재(1200)를 거쳐 중심축(1081)으로 전달된다. 중심축(1081)이 회전하면 중심축(1081)에 축설된 중앙 롤러(1085) 및 사이드 롤러(1086)가 근위(300)의 양측 부위가 충분히 벌어지도록 누르면서 회전하는 작동을 동시에 하면서 근위(300)를 이송방향(105)으로 밀어준다.
다음은 근위의 황막 제거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6과 같이 근위는 화살표 방향과 같이 5단계의 황막 제거과정을 거치면서 순차적으로 이루어진다. 도 6의 첫 번째 근위 도면과 같이 가공되지 않은 근위(300)는 근위 절개장치(101)로 투입된다. 도 6의 두 번째 근위 도면과 같이 근위 절개장치(101)를 거지면서 근위(300)의 중앙 부위(303)가 절개된다. 도 6의 세 번째 근위 도면과 같이 근위(300) 내부의 이물은 세척에 의해 제거되고 황막(304)이 완전히 들어난 상태로 황막 탈피장치로 이송된다. 도 6의 네 번째 근위 도면과 같이 황막 탈피장치의 작동에 의해 근위(300)에 붙어 있던 황막(304)은 완전히 제거된다.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위 황막 제거장치는, 중앙 롤러 및 사이드 롤러가 회전 작동을 하면서 중앙 부위가 절개되어 이송방향으로 이송되는 근위의 양측 부위를 충분히 벌려줄 수 있다. 또한, 근위의 양측 부위가 충분히 벌어진 상태로 황막 탈피장치로 이송되기 때문에 황막 제거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3:보조 세척수 분사장치
14:세척수
101:근위 절개장치
102:근위 이송장치
105:이송방향
107:중앙 프레임
108:근위 벌림장치
131:제1 분사구
132:제2 분사구
300:근위
301:일측 부위
302:타측 부위
303:중앙 부위
304:황막
1081:중심축
1082:본체
1083:설치공간
1084:회전장치
1085:중앙 롤러
1086:사이드 롤러
1100:동력발생장치
1101:로드
1011:회전커터
1200:동력전달부재

Claims (11)

  1. 절개된 근위의 일측 부위와 타측 부위가 벌어진 상태로 이송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근위 벌림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근위 벌림장치는,
    이송방향 반대쪽 부위에 설치공간이 구비되는 본체; 및
    상기 설치공간에 위치하면서 중심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축설되고 복수의 롤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중심축과 함께 회전하면서 회전력에 의해 접촉하는 근위의 절개 부위를 회전방향으로 펴주는 회전장치;
    를 포함하며,
    상기 근위 벌림장치는 근위 절개장치를 지난 구간에 위치하고,
    상기 근위 절개장치의 회전커터 및 상기 중심축은 하나의 동력발생장치에 연결되며 상기 동력발생장치의 작동에 의해 동시에 작동하며,
    상기 동력발생장치의 로드는 근위 절개장치의 회전커터와 연결되면서 동력전달부재에 의해 상기 본체 외측으로 노출되는 중심축의 일측 단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위 황막 제거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장치는,
    근위에 닿는 중앙 롤러; 및
    근위에 닿으면서 상기 중앙 롤러를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위치하는 사이드 롤러;
    를 포함하는 근위 황막 제거장치.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력발생장치는 모터이며, 동력전달부재에 의해 중심축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위 황막 제거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벨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위 황막 제거장치.
  8. 삭제
  9. 삭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근위 벌림장치 전방으로 중앙 프레임이 위치하며, 상기 중앙 프레임은 근위 이송장치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보조 세척수 분사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보조 세척수 분사장치는,
    상기 중앙 프레임의 양측으로 배치되어 근위를 향하여 양측에서 세척을 분사할 수 있는 제1 분사구 및 제2 분사구를 포함하는 근위 황막 제거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분사구 및 제2 분사구는,
    하단이 근위 이송방향 반대편 쪽으로 치우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위 황막 제거장치.
KR1020170063347A 2017-05-23 2017-05-23 근위 황막 제거장치 KR1017695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3347A KR101769599B1 (ko) 2017-05-23 2017-05-23 근위 황막 제거장치
CN201810082907.5A CN108283209B (zh) 2017-05-23 2018-01-29 肌胃黄膜去除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3347A KR101769599B1 (ko) 2017-05-23 2017-05-23 근위 황막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9599B1 true KR101769599B1 (ko) 2017-08-18

Family

ID=59753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3347A KR101769599B1 (ko) 2017-05-23 2017-05-23 근위 황막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95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5352B1 (ko) * 2019-08-14 2020-06-22 이항재 근위 황막 제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9449B1 (ko) * 2015-10-22 2015-12-24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대마 가금류의 근위 가공장치 및 가공방법
KR101612773B1 (ko) 2015-04-09 2016-04-18 안치봉 근위 가공 장치
KR101637001B1 (ko) 2016-01-14 2016-07-07 주식회사 빠보로꼬 근위 황막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2773B1 (ko) 2015-04-09 2016-04-18 안치봉 근위 가공 장치
KR101579449B1 (ko) * 2015-10-22 2015-12-24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대마 가금류의 근위 가공장치 및 가공방법
KR101637001B1 (ko) 2016-01-14 2016-07-07 주식회사 빠보로꼬 근위 황막 제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5352B1 (ko) * 2019-08-14 2020-06-22 이항재 근위 황막 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1184B1 (ko) 근위 황막 제거장치
WO2016093494A1 (ko) 농산물 자동 제피기
KR101769599B1 (ko) 근위 황막 제거장치
JP2014082972A (ja) ネギ類の処理装置
KR910002166B1 (ko) 오징어의 처리방법 및 그 처리장치
KR101437116B1 (ko) 양파 박피기
KR101637001B1 (ko) 근위 황막 제거장치
US1009836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meat from crustacean legs
KR20120042332A (ko) 대파 탈피기
KR20150015207A (ko) 양파탈피기
US1032169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meat from crustacean legs
JP7368118B2 (ja) カニの加工装置およびカニの加工方法
KR101769600B1 (ko) 근위 황막 제거장치
KR200187317Y1 (ko) 대파 탈피기
KR102487520B1 (ko) 닭염통 부분절단장치
CN218253157U (zh) 一种具有防护结构的切割装置
KR101684667B1 (ko) 근위 황막 제거장치
EP3490384B1 (en) Pin bone removal apparatus
KR101350097B1 (ko) 양파 외피 절개장치
JP6391297B2 (ja) 下葉除去装置
KR101729753B1 (ko) 롤러체인 컨베이어 장치와 이를 이용한 양파껍질 탈피장치
KR101222944B1 (ko) 대파탈피기
KR101769598B1 (ko) 근위 황막 제거장치
KR102344376B1 (ko) 생선비늘 제거장치
KR960001001B1 (ko) 작물가공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