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2332A - 대파 탈피기 - Google Patents

대파 탈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2332A
KR20120042332A KR1020100103988A KR20100103988A KR20120042332A KR 20120042332 A KR20120042332 A KR 20120042332A KR 1020100103988 A KR1020100103988 A KR 1020100103988A KR 20100103988 A KR20100103988 A KR 20100103988A KR 20120042332 A KR20120042332 A KR 201200423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ek
conveying conveyor
compressed air
air pressure
injection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3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호철
Original Assignee
(주)팩타운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팩타운코리아 filed Critical (주)팩타운코리아
Priority to KR1020100103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42332A/ko
Publication of KR20120042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23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 A23N15/02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for stemming, piercing, or stripping fruit; Removing sprouts of potato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7/00Peeling vegetables or frui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지에서 수거되는 대파를 정렬하여 이송컨베이어 위에 올려놓을 경우, 이송컨베이어를 따라 이동되는 대파의 외피쪽으로 압축공기압을 분출시켜 외피를 벗겨 제거하거나, 절단기에 의해 대파의 뿌리를 절단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대파 탈피기는,
본체 상에 장착되는 이송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대파의 외피에 압축공기압을 분출시켜 외피를 제거하는 대파 탈피기에 있어서,
이송컨베이어에 장착되어 로딩되는 대파를 일정간격으로 정열하며, 이송컨베이어에 대해 대파의 로딩 위치를 가이드하는 구획판과,
이송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대파에 압축공기압을 분출시켜 대파로부터 외피를 벗겨 제거할 수 있도록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유지하여 설치되는 분사노즐부와,
이송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대파가 설정된 위치에 이동시 검출하여 분사노즐을 통해 압축공기압을 대파의 외피에 분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검출수단과,
이송컨베이어 상에 로딩된 대파의 외피를 압축공기압에 의해 제거시 대파의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송컨베이어 상방에 설치되어 대파의 줄기부를 눌러 가압하는 유동방지용 컨베이어와,
이송컨베이어의 하방으로 분사노즐부의 최후단에 설치되며, 대파의 길이에 따라 분사노즐의 분출위치를 가변 조정할 수 있도록 실린더에 연결되어 좌우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 분사노즐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대파 탈피기{a thin layer-off machine of a small green onion}
본 발명은 산지에서 수거되는 대파의 외피를 압축공기압에 의해 박피할 수 있도록 한 대파 탈피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다발로 묶지않은 대파(일 예로서 3?4개를 말함)를 정렬하여 이송컨베이어 위에 올려놓을 경우(loading됨을 말함), 이송컨베이어를 따라 이동되는 대파의 외피쪽으로 압축공기압을 분출시켜 외피를 벗겨제거하거나, 절단기에 의해 대파의 뿌리를 절단할 수 있도록 한 대파 탈피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파는 칼슘, 인과 같은 무기염류와 비타민A, 비타민C 등이 풍부한 채소로서, 각종 찌게류, 탕류, 복음류의 다양한 요리에 첨가되어 음식맛을 증대시켜 준다. 특히 대파에는 유황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 몸을 따뜻하게 데워주고 위장기능을 도와주며 살균작용을 한다.
산지에서 수확되어 공급되는 대파를 음식물로써 조리하기 위해서는 먼저 뿌리를 절단하고, 외피를 벗겨내야 한다. 즉 여려 겹으로 이루어진 대파의 외피를 작업자가 직접 수작업으로 하나 하나를 벗길 경우 작업능률이 현저하게 떨어진다. 또한 인력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농촌의 경우, 수확되는 대파의 외피를 제거하지 않은 통째로 시중에 출하시킬 경우 상품성이 떨어져 제대로 가격을 보상받지 못하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대파의 뿌리를 절단하지 않은 상태에서 차량에 대파를 포갠상태로 적재하여 운반할 경우 이송도중에 뿌리에 묻은 흙이 줄기 또는 잎사귀에 떨어져 오염되어 상품성이 떨어지는 단점을 갖는다.
한편, 대파의 외피를 벗길 경우에 대파로부터 발생되는 냄새(대파로부터 발산되는 매운 향을 말함)로 인해 눈이 따갑거나 눈물이 고이는 등 불편함을 감수해야 된다.
이로 인해, 분사노즐을 통해 고압수를 분사시켜 대파의 외피를 벗겨낼 수 있도록 한 등록특허 제10-778188호에 "고압수 분사에 의한 대파의 탈피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즉 펌프에 의해 고압수를 대파의 외피에 분사시켜 외피를 벗겨 제거하는 방식으로서, 물을 대파에 분사시킴에 따라 외피를 벗기는 작업도중에 먼지가 발생되지않고, 대파의 매운 향이 현저하게 줄어들어 작업자 눈이 맵지않아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이점을 갖는다.
반면에, 고압수를 대파에 분사시키는 분사노즐의 분사각도가 일정하여 일정방향으로만 고압수를 분사시킴에 따라 대파로부터 외피가 제대로 벗겨지지 않는 문제점과, 크기가 작은 대파의 외피를 고압수에 의해 벗길 경우 몸통부분이 파손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송컨베이어를 따라 이동되는 대파의 외피쪽으로 분출되는 압축공기압에 의해 외피를 자동으로 벗겨 제거하므로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대파 탈피기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압축공기압을 분출하는 분사노즐의 분출위치를 가변시켜 대파의 길이에 구애받지않고 외피를 벗길 수 있도록 한 대파 탈피기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대파의 외피를 벗기거나 뿌리를 절단하는 작업을 무인 자동화하므로 인건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대파 탈피기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컨베이어를 따라 이동되는 대파가 설정위치에 이동된 경우에 이를 검출하여 분사노즐을 통해 압축공기압을 분출시킴에 따라, 압축공기압 공급원의 가동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대파 탈피기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대파 탈피기는,
본체 상에 장착되는 이송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대파의 외피에 압축공기압을 분출시켜 외피를 제거하는 대파 탈피기에 있어서,
이송컨베이어에 장착되어 로딩되는 대파를 일정간격으로 정열하며, 이송컨베이어에 대해 대파의 로딩 위치를 가이드하는 구획판과,
이송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대파에 압축공기압을 분출시켜 대파로부터 외피를 벗겨 제거할 수 있도록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유지하여 설치되는 분사노즐부와,
이송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대파가 설정된 위치에 이동시 검출하여 분사노즐을 통해 압축공기압을 대파의 외피에 분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검출수단과,
이송컨베이어 상에 로딩된 대파의 외피를 압축공기압에 의해 제거시 대파의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송컨베이어 상방에 설치되어 대파의 줄기부를 눌러 가압하는 유동방지용 컨베이어와,
이송컨베이어의 하방으로 분사노즐부의 최후단에 설치되며, 대파의 길이에 따라 분사노즐의 분출위치를 가변 조정할 수 있도록 실린더에 연결되어 좌우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 분사노즐부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분사노즐부는
이송컨베이어의 상,하측에서 대파를 향하여 경사지게 설치되며, 대파의 외피에 압축공기압을 분출시키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진 제1분사노즐과,
이송컨베이어의 상,하측에서 대파를 향하여 경사지게 설치되며, 제1분사노즐보다 대파의 뿌리에 근접한 위치에 놓이도록 배치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제2분사노즐과,
이송컨베이어의 상측에서 대파를 향하여 경사지게 설치되며, 제2분사노즐보다 대파의 뿌리에 근접한 위치에 놓이도록 배치되는 제3분사노즐과,
이송컨베이어의 상측에서 대파를 향하여 경사지게 설치되며, 제3분사노즐보다 대파의 뿌리에 근접한 위치에 놓이도록 배치되는 제4분사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이송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대파의 뿌리를 절단할 수 있도록, 분사노즐부를 통과전 위치의 본체 일측에 설치되거나, 또는 분사노즐부를 통과한 위치의 본체 일측에 설치되는 커팅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보조 분사노즐부는, 대파의 길이에 따라 실린더의 스트로크가 조정되며, 설정된 스트로크범위내에서 실린더가 신축구동하여 대파에 압축공기압을 분출시킬 경우 실린더의 1행정 중 적어도 2구간 이상의 대파에 압축공기압을 동시에 분출시킬 수 있도록 제5분사노즐이 일렬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대파 탈피기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이송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대파의 외피를 압축공기압을 이용하여 벗겨 자동으로 제거하므로 작업능률을 높여 대파의 원가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분사노즐의 분출위치를 가변시켜 대파의 길이, 종류에 구애받지않고 외피를 정확하게 벗길 수 있어 깨끗하게 다듬어진 대파를 식당, 소비자, 김치공장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대파의 외피를 벗기거나 뿌리를 절단하는 작업을 무인 자동화하므로 노동력 감소에 따른 인건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이송컨베이어를 따라 이동되는 대파가 설정위치에 이동된 경우에 압축공기압을 선택적으로 분출시켜 압축공기압을 공급하는 에어콤퓨레셔의 가동시간을 줄여 유지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대파 탈피기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대파 탈피기에서, 유동방지용 컨베이어의 아이들러부의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대파 탈피기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대파 탈피기에서, 대파의 외피부에 압축공기압을 분출시켜 구간별로 외피를 제거하는 분사노즐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대파 탈피기에서, 대파의 길이가 상이한 경우 분사노즐의 분출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는 보조 분사노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대파 탈피기는,
캐스터(1) 및 높낮이 조정구(2)가 구비되는 본체(3)와,
제1구동수단에 의해 본체(3)에 궤도운동하도록 설치되어 로딩되는 대파(4)를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대파(4)를 이송시키는 도중에 흙 등의 이물질이 틈새를 통해 바닥으로 자연낙하될 수 있도록 봉(5)이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엮어져 이루어짐)(6)와,
이송컨베이어(6)에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장착되어 로딩(loading)되는 대파(4)를 일정간격으로 정열하며, 이송컨베이어(6)에 대해 대파(4)의 로딩 위치를 가이드하는 구획판(7)과,
이송컨베이어(6)를 따라 이송되는 대파(4)에 압축공기압을 분출시켜 대파(4)로부터 외피를 벗겨 제거할 수 있도록 전후 방향(이송컨베이어(6)의 구동방향을 말함)으로 간격을 유지하여 설치되는 분사노즐부(8)와,
이송컨베이어(6)를 따라 이송되는 대파(4)가 설정된 위치에 이동시 검출하여 각각의 분사노즐을 통해 압축공기압을 대파(4)의 외피에 분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검출수단(일 예로서 광센서가 사용될 수 있음)(9)과,
이송컨베이어(6) 상에 로딩된 대파(4)의 외피를 압축공기압에 의해 벗겨 제거시 대파(4)의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2구동수단에 의해 이송컨베이어(6) 상방에 궤도운동하도록 설치되어 대파(4)의 줄기부(4a)를 눌러 가압하는 유동방지용 컨베이어(10)와,
이송컨베이어(6)의 하방으로 분사노즐부(8)의 최후단(제일 뒷쪽에 위치됨을 말함)에 설치되며, 대파(4)의 길이에 따라 분사노즐의 분출위치를 가변 조정할 수 있도록 실린더(일 예로서 공압실린더가 사용될 수 있음)(11)의 로드(11a)에 연결되어 좌우 방향(이송컨베이어(6)의 구동방향에 대해 90방향을 말함)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 분사노즐부(12)를 포함한다.
전술한 분사노즐부(8)는
이송컨베이어(6)의 상,하측에서 대파(4)를 향하여 경사지게 설치되며, 대파(4)의 외피에 압축공기압을 분출시키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진 제1분사노즐(13)과,
이송컨베이어(6)의 상,하측에서 대파(4)를 향하여 경사지게 설치되며, 제1분사노즐(13)보다 대파(4)의 뿌리에 근접한 위치에 놓이도록 배치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제2분사노즐(14)과,
이송컨베이어(6)의 상측에서 대파(4)를 향하여 경사지게 설치되며, 제2분사노즐(14)보다 대파(4)의 뿌리에 근접한 위치에 놓이도록 배치되는 제3분사노즐(15)과,
이송컨베이어(6)의 상측에서 대파(4)를 향하여 경사지게 설치되며, 제3분사노즐(15)보다 대파(4)의 뿌리에 근접한 위치에 놓이도록 배치되는 제4분사노즐(16)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이송컨베이어(6)를 따라 이송되는 대파(4)의 뿌리(4b)를 절단할 수 있도록, 분사노즐부(8)를 통과전 위치의 본체(3) 일측에 설치되거나, 또는 분사노즐부(8)를 통과한 위치의 본체(3) 일측에 설치되는 커팅기(17)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보조 분사노즐부(12)는, 대파(4)의 길이에 따라 실린더(11)의 스트로크가 조정되며, 설정된 스트로크(stroke)범위내에서 실린더(11)가 신축구동하여 대파(4)에 압축공기압을 분출시킬 경우 실린더(11)의 1행정 중에 적어도 2구간 이상의 대파(4)에 압축공기압을 동시에 분출시킬 수 있도록 제5분사노즐(일 예로서 3개로 이뤄짐)(18)이 전후 방향(이송컨베이어(6)의 구동방향을 말함)으로 일렬로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이송컨베이어(6)를 궤도운동시키는 제1구동수단은, 본체(3) 상에 장착되는 제1구동모터(20)와, 제1구동모터(20)의 회전축상에 고정된 구동스프로킷(32)에 연결되는 체인(31)과, 체인(31)에 의해 구동되는 피동스프로킷(33)에 연결되어 본체(3)에 대해 궤도운동하는 이송컨베이어(6) 후단부(궤도운동시 방향전환되는 뒷쪽 위치를 말함)를 지지하는 구동축(21)과, 본체(3)에 대해 궤도운동하는 이송컨베이어(6) 전단부(궤도운동시 방향전환되는 앞쪽 위치를 말함)를 지지하는 피동축(22)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유동방지용 컨베이어(10)를 궤도운동시키는 제2구동수단은, 본체(3) 상에 장착되는 제2구동모터(23)와, 제2구동모터(23)의 회전축상에 고정되는 구동스프로킷(24)과, 구동스프로킷(24)에 체인(25)을 통해 연결되어 구동되는 피동스프로킷(26)과, 피동스프로킷(26)에 연결되어 궤도운동하는 유동방지용 컨베이어(10) 후단부(궤도운동시 방향전환되는 뒷쪽 위치를 말함)를 지지하는 구동롤러(27)와, 본체(3)에 대해 궤도운동하는 유동방지용 컨베이어(10) 전단부(궤도운동시 방향전환되는 앞쪽 위치를 말함)를 지지하는 피동롤러(28)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중 미 설명부호 30은 제1,2구동수단의 구동을 제어하여 탈피기 및 커팅기의 구동을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control panel)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대파 탈피기의 사용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4에서와 같이, 현지 밭에서 수확되어 운반되는 다발로 묶지않은 대파(일예로서 3?4개의 대파를 말함)(4)를 작업자에 의해 이송컨베이어(6) 상에 로딩한다. 이때 대파(4)는 이송컨베이어(6) 상에 일체형으로 고정된 구획판(7)에 의해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놓여지도록 정렬되며, 동시에 이송컨베이어(6)에 놓여지는 대파(4)의 위치가 가이드된다.
이때, 전술한 제어부(30)의 해당 스위치를 조작함에 따라 제1구동수단의 구동으로 인해 이송컨베이어(6)가 궤도운동을 시작하게 된다. 즉 제1구동모터(20)의 구동에 따라 체인(31)을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본체(3)의 뒷쪽에 설치된 구동축(21)을 회전시킨다. 구동축(21)의 회전으로 인해 궤도운동하는 이송컨베이어(6)의 후단부를 지지한다. 이와 동시에 본체(3)의 앞쪽에 설치된 피동축(아이들 구동을 하므로 이송컨베이어(6)에 의해 회전됨)(22)을 회전시킴에 따라 궤도운동하는 이송컨베이어(6)의 전단부를 지지한다.
한편,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전술한 제어부(30)의 해당 스위치를 조작함에 따라 제2구동수단의 구동으로 인해 유동방지용 컨베이어(10)가 궤도운동을 시작하게 된다. 즉 제2구동모터(23)의 구동에 따라 체인(25)을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본체(3)의 뒷쪽에 설치된 구동롤러(27)을 회전시킨다. 이와 동시에 본체(3)의 앞쪽에 설치된 피동롤러(아이들 구동을 하므로 유동방지용 컨베이어(10)에 의해 회전됨)(28)를 회전시킴에 따라 궤도운동하는 유동방지용 컨베이어(10)의 전단부를 지지한다.
이때 유동방지용 컨베이어(10)와 이송컨베이어(6)는 동일한 구동속도를 유지하여 궤도운동하게 된다.
따라서 이송컨베이어(6)의 구획판(7)사이에 로딩된 대파(4)는 분사노즐부(8)가 설치된 앞쪽으로 차례대로 이송된다.
도 4(a)에서와 같이, 전술한 이송컨베이어(6)를 따라 이송되는 대파(4)가 이송컨베이어(6)의 상,하측에 대향되게 설치된 제1분사노즐(13) 위치로 이동될 경우, 제1분사노즐(13)에 근접되는 위치에 설치된 검출수단(일 예로서 광센서를 말함)(9)에 의해 대파(4)를 검출한다. 이로 인해 제1분사노즐(13)에 공급되는 압축공기압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34)를 개방시킴에 따라 압축공기압 공급원(일 예로서 에어콤퓨레셔를 말함)으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압을 제1분사노즐(13)에 의해 대파(4)의 외피를 향하여 1차로 분출하여, 대파(4)의 외피 일부를 벗기게 된다. 이때 대파(4)는 이송컨베이어(6)에 대해 대파(4)의 줄기부(4a)를 가압하는 유동방지용 컨베이어(10)에 의해 가압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흩어지거나, 위치 이동이 방지된다.
도 4(b)에서와 같이, 대파(4)는 외피 일부가 벗겨진 상태로 이송컨베이어(6)를 따라 앞쪽으로 이동되므로, 이송컨베이어(6)의 상,하측에 대향되게 설치된 제2분사노즐(14) 위치로 이동된다. 이때 제2분사노즐(14)은 제1분사노즐(13)에 비해 대파(4)의 뿌리쪽에 근접하도록 배치된다(일 예로서 3?5㎝ 간격차이가 발생된다).
한편, 검출수단(19)에 의해 대파(4)의 이동됨을 검출하게 되므로, 제2분사노즐(14)의 솔레노이드(35)를 개방시킴에 따라 제2분사노즐(14)에 의해 대파(4)의 외피를 향하여 압축공기압을 2차로 분출하게 된다.
도 4(c)에서와 같이, 전술한 대파(4)는 외피가 조금 더 벗겨진 상태로 이송컨베이어(6)를 따라 앞쪽으로 이동되므로, 이송컨베이어(6)의 상측에 설치된 제3분사노즐(15) 위치로 이동된다. 이때 제3분사노즐(15)은 제2분사노즐(13)에 비해 대파(4)의 뿌리쪽에 근접하도록 배치된다(일 예로서 3?5㎝ 간격차이가 발생된다).
한편, 검출수단(29)에 의해 대파(4)의 이동됨을 검출하게 되므로, 제3분사노즐(15)의 솔레노이드(36)를 개방시킴에 따라 제3분사노즐(15)에 의해 대파(4)의 외피를 향하여 압축공기압을 3차로 분출하게 된다.
도 4(d)에서와 같이, 전술한 대파(4)는 외피가 거의 다 벗겨진 상태로 이송컨베이어(6)를 따라 앞쪽으로 이동되므로, 이송컨베이어(6)의 상측에 설치된 제4분사노즐(16) 위치로 이동된다. 이때 제4분사노즐(16)은 제3분사노즐(15)에 비해 대파(4)의 뿌리쪽에 근접하도록 배치된다(일 예로서 3?5㎝ 간격차이가 발생된다).
한편, 검출수단(39)에 의해 대파(4)의 이동됨을 검출하게 되므로, 제4분사노즐(16)의 솔레노이드(37)를 개방시킴에 따라 제4분사노즐(16)에 의해 대파(4)의 외피를 향하여 압축공기압을 4차로 분출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송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대파(4)의 외피에 대해 제1분사노즐(13) - 제4분사노즐(16)을 이용하여 4차례(대파(4)에 대해 압축공기압을 분출하는 분사노즐의 분출위치가 매회(1차 - 4차를 말함) 마다 상이하게 분출됨)에 걸쳐 압축공기압을 분출시킴에 따라 외피를 완전하게 벗겨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대파(4)는 이를 재배하는 지역마다 종류가 상이하여 대파(4)의 길이가 일반적인 대파의 길이보다 길이가 긴 경우에, 전술한 보조 분사노즐부(12)를 이용하여 대파(4)의 외피를 완전하게 벗길 수 있다.
도 5에서와 같이, 일반적인 대파의 길이보다 길이가 긴 대파의 초과된 길이에 맞추어 실린더(11)의 스트로크를 셋팅한 후, 이송컨베이어(6)를 따라 분사노즐부(8)를 통과하여 이송되는 대파(4)에 대해, 솔레노이드(38)를 개방시켜 실린더(11)의 로드에 연결된 제5분사노즐(18)을 통해 압축공기압을 토출시킨다. 이때 제5분사노즐(일 예로서 분사노즐이 3개로서 이뤄짐)(18)이 일렬로 형성됨에 따라 실린더(11)의 1행정 중 적어도 2구간(구획판(7)에 의해 구획된 2구간을 말함) 이상의 대파(4)에 압축공기압을 동시에 분출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실린더(11)의 신축구동 횟수를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일반적인 대파(4)의 길이를 초과한 경우에도 실린더(11)에 의해 제5분사노즐(18)의 분출위치를 가변시킴에 따라, 하나의 탈피기를 이용하여 대파(4)의 길이에 구애받지않고 대파(4)의 외피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외피가 벗겨져 제거된 대파(4)의 뿌리(4b)를 본체(3) 일측에 설치된 구동모터(미도시됨)에 의해 회전되는 커팅기(17)를 이용하여 절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대파 탈피기에 의하면, 이송컨베이어를 따라 이동되는 대파의 외피쪽으로 분출되는 압축공기압에 의해 외피를 벗겨 제거하거나 절단기에 의해 뿌리를 절단하는 작업을 무인 자동화하므로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고 인건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대파의 길이에 따라 압축공기압을 분출하는 분사노즐의 분출위치를 가변시켜 대파의 종류, 길이 등에 구애받지않고 외피를 정확하게 벗길 수 있다.
1; 캐스터
2; 높낮이 조정구
3; 본체
4; 대파
5; 봉
6; 이송컨베이어
7; 구획판
8; 분사노즐부
9,19,29,39; 검출수단
10; 유동방지용 컨베이어
11; 실린더
12; 보조 분사노즐부
13; 제1분사노즐
14; 제2분사노즐
15; 제3분사노즐
16; 제4분사노즐
17; 커팅기
18; 제5분사노즐

Claims (4)

  1. 본체 상에 장착되는 이송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대파의 외피에 압축공기압을 분출시켜 외피를 제거하는 대파 탈피기에 있어서:
    상기 이송컨베이어에 장착되어 로딩되는 대파를 일정간격으로 정열하며, 이송컨베이어에 대해 대파의 로딩 위치를 가이드하는 구획판과,
    상기 이송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대파에 압축공기압을 분출시켜 대파로부터 외피를 벗겨 제거할 수 있도록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유지하여 설치되는 분사노즐부와,
    상기 이송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대파가 설정된 위치에 이동시 검출하여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압축공기압을 대파의 외피에 분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검출수단과,
    이송컨베이어 상에 로딩된 대파의 외피를 압축공기압에 의해 제거시 대파의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이송컨베이어 상방에 설치되어 대파의 줄기부를 눌러 가압하는 유동방지용 컨베이어와,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하방으로 상기 분사노즐부의 최후단에 설치되며, 대파의 길이에 따라 분사노즐의 분출위치를 가변 조정할 수 있도록 실린더에 연결되어 좌우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 분사노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파 탈피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부는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상,하측에서 대파를 향하여 경사지게 설치되며, 대파의 외피에 압축공기압을 분출시키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진 제1분사노즐과,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상,하측에서 대파를 향하여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제1분사노즐보다 대파의 뿌리에 근접한 위치에 놓이도록 배치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제2분사노즐과,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상측에서 대파를 향하여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제2분사노즐보다 대파의 뿌리에 근접한 위치에 놓이도록 배치되는 제3분사노즐과,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상측에서 대파를 향하여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제3분사노즐보다 대파의 뿌리에 근접한 위치에 놓이도록 배치되는 제4분사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파 탈피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대파의 뿌리를 절단할 수 있도록, 상기 분사노즐부를 통과전 위치의 본체 일측에 설치되거나, 또는 분사노즐부를 통과한 위치의 본체 일측에 설치되는 커팅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파 탈피기.
  4. 제1항 또는 제2에 있어서, 상기 보조 분사노즐부는
    대파의 길이에 따라 실린더의 스트로크가 조정되며, 설정된 스트로크범위내에서 실린더가 신축구동하여 대파에 압축공기압을 분출시킬 경우 실린더의 1행정 중 적어도 2구간 이상의 대파에 압축공기압을 동시에 분출시킬 수 있도록 제5분사노즐이 일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파 탈피기.
KR1020100103988A 2010-10-25 2010-10-25 대파 탈피기 KR201200423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3988A KR20120042332A (ko) 2010-10-25 2010-10-25 대파 탈피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3988A KR20120042332A (ko) 2010-10-25 2010-10-25 대파 탈피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2332A true KR20120042332A (ko) 2012-05-03

Family

ID=46263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3988A KR20120042332A (ko) 2010-10-25 2010-10-25 대파 탈피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42332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1199B1 (ko) * 2012-12-28 2014-08-21 김도환 양파 탈피장치
KR101495998B1 (ko) * 2012-05-16 2015-02-26 신영식 채소용 탈피기
KR101521588B1 (ko) * 2014-12-11 2015-05-19 박상길 농산물 자동 제피기
CN109875054A (zh) * 2019-03-27 2019-06-14 王和勤 中药枸杞的深度加工设备
KR102035710B1 (ko) 2018-12-10 2019-10-23 문태현 테니스 연습기구
KR102135469B1 (ko) * 2019-07-24 2020-07-20 (주)가파 매트형 새싹채소의 뿌리 분리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5998B1 (ko) * 2012-05-16 2015-02-26 신영식 채소용 탈피기
KR101431199B1 (ko) * 2012-12-28 2014-08-21 김도환 양파 탈피장치
KR101521588B1 (ko) * 2014-12-11 2015-05-19 박상길 농산물 자동 제피기
WO2016093494A1 (ko) * 2014-12-11 2016-06-16 박상길 농산물 자동 제피기
KR102035710B1 (ko) 2018-12-10 2019-10-23 문태현 테니스 연습기구
CN109875054A (zh) * 2019-03-27 2019-06-14 王和勤 中药枸杞的深度加工设备
KR102135469B1 (ko) * 2019-07-24 2020-07-20 (주)가파 매트형 새싹채소의 뿌리 분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42332A (ko) 대파 탈피기
JP6541882B2 (ja) エラ除去が容易なカニの殻除去装置
KR101495998B1 (ko) 채소용 탈피기
US913878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rvesting portions with fluid nozzle arrays
KR20120013077A (ko) 야채류 가공장치
KR102171337B1 (ko) 미역의 줄기 및 엽체 분리 장치
KR20130001190A (ko) 야채류 가공장치
KR101437116B1 (ko) 양파 박피기
CA2978750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meat from crustacean legs
KR101899889B1 (ko) 양파 탈피 시스템
US1032169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meat from crustacean legs
US771229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harvesting and processing leafy vegetables
KR101222944B1 (ko) 대파탈피기
KR102344376B1 (ko) 생선비늘 제거장치
KR101729753B1 (ko) 롤러체인 컨베이어 장치와 이를 이용한 양파껍질 탈피장치
KR101698587B1 (ko) 양파껍질 탈피기
JP6069291B2 (ja) 野菜類の皮剥ぎ処理機
KR20050093690A (ko) 농작물 표피 제거장치
KR101845896B1 (ko) 대파 탈피 장치
KR100708464B1 (ko) 옥수수 껍질 제거 장치
JP2015216903A (ja) 下葉除去装置
JP4190429B2 (ja) 農作物皮剥ぎ装置
KR101222844B1 (ko) 대파탈피방법
JP2003199545A (ja) 農作物皮剥ぎ装置
JP3435564B2 (ja) 長葱の切断・皮剥処理機における皮剥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