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6350B1 - 양파 정렬 장치 - Google Patents

양파 정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6350B1
KR101996350B1 KR1020170058564A KR20170058564A KR101996350B1 KR 101996350 B1 KR101996350 B1 KR 101996350B1 KR 1020170058564 A KR1020170058564 A KR 1020170058564A KR 20170058564 A KR20170058564 A KR 20170058564A KR 101996350 B1 KR101996350 B1 KR 101996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nion
guide plate
rolling guide
rolling
on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8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4295A (ko
Inventor
윤기석
Original Assignee
윤기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기석 filed Critical 윤기석
Priority to KR1020170058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6350B1/ko
Publication of KR20180124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42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6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63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26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co-operating units, e.g. interconnected by piv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1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 B65G47/1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 A23N2015/008Sorting of fruit and vege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02Agricultural and processed food products
    • B65G2201/0211Fruits and vege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1Conveyors composed of several types of conveyors
    • B65G2812/016Conveyors composed of several types of conveyors for conveying material by co-operating units in tandem
    • B65G2812/017Conveyors composed of several types of conveyors for conveying material by co-operating units in tandem using tilted or side by side conveyor s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파 정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양파의 뿌리와 꼭지를 절단하는 양파절단장치에 양파를 투입할 때 수작업에 의존하지 않고 자동으로 양파의 방향성을 맞출 수 있도록 할 목적으로, 양파가 투입되고 배출되는 과정에서 롤링에 의해 양파의 뿌리와 꼭지가 수평으로 전환되도록 경사지게 설치된 롤링가이드플레이트(11)를 포함하는 정렬수단(10); 상기 정렬수단(10)에서 배출된 양파를 수취하여 양파가 양파절단장치로 이송되게 하기 위해 한 쌍의 바가 소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설치된 정렬 이송부(20); 를 포함하는 양파 정렬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양파 정렬 장치{ONION SORTING DEVICE}
본 발명은 양파 정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양파의 뿌리 부분과 꼭지 부분을 절단하기 위하여 절단 장치로 양파를 투입할 때 인력에 의하지 않고 뿌리 부분과 꼭지 부분이 수평을 이루도록 자동 정렬시킬 수 있도록 하는 양파 정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파(onion)는 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에 속하는 두해살이 풀로서, 재배 역사는 매우 오래되어 기원전 3000년경의 고대 이집트 분묘의 벽화에는 피라미드를 쌓는 노동자에게 마늘과 양파를 먹였다는 기록이 있고, 그리스에서는 기원전 7∼8세기부터 재배하였다고 한다.
비늘줄기는 품종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납작한 둥근 모양 또는 둥근 모양이며 겉에 얇은 막질(膜質: 얇은 종이처럼 반투명한 것)의 자줏빛이 도는 갈색 껍질이 있고 안쪽의 비늘은 두꺼우며 층층이 겹쳐지고 매운맛이 난다.
양파는 그 뿌리와 꼭지(줄기가 연결된 부분)를 절단한 다음, 껍질을 벗겨서 남은 알맹이를 직접 먹거나 다양한 형태로 요리하여 먹고 있는데, 양파의 뿌리와 꼭지 부분을 절단하는 형태는 수작업에 의존해야 하므로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일 예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41352호(특허문헌 1)에서는, 양파 꼭지 및 뿌리 절단장치를 제안하였는데, 그 구성은 양파의 꼭지와 뿌리 부분을 절단하는 양파 꼭지 및 뿌리 절단장치에 있어서; 지지체와; 지지체 상부에 대칭으로 마련된 서포트(support)와; 상기 양쪽 서포트 사이에 설치되며, 체인에 일정간격으로 양파의 꼭지와 뿌리가 외부로 노출되게 구성한 양파안치버킷이 결합된 체인컨베이어와; 상기 양파안치버킷에 안치되어 이동하는 양파의 꼭지와 뿌리를 절단할 수 있도록 양파 공급측과 반대쪽의 서포트 상측에 대칭되도록 설치한 제1절단부 및 제2절단부와; 상기 체인컨베이어와 대향되도록 제1절단부와 제2절단부 사이에 위치되게 일측 서포트에 지지되도록 설치한 가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명세서 중 '요약' 비롯하여 '기술분야' 및 '발명의 효과' 부분에 기재되어 있듯이, 공급호퍼에 담겨있는 양파를 체인컨베이어에 설치되어 있는 양파안치버킷에 양파의 방향성만 정확하게 수작업으로 투입하는 수고로움만으로 양파의 꼭지와 뿌리 부분을 절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시 말해, 특허문헌 1은, 양파의 뿌리와 꼭지를 자동 절단하기 위하여 양쪽 제1절단부 및 제2절단부 사이로 양파를 투입할 때 작업자가 손으로 직접 양파를 양파안치버킷에 올려놓아야 하는데, 이는 양파의 방향성을 정확하게 맞추어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즉, 양파의 뿌리와 꼭지가 수평 상태로 놓아야만 수직으로 세워진 제1,2절단부의 원판형 칼날에 의해 각각 뿌리와 꼭지가 절단될 수 있다.
이처럼 특허문헌 1에서는 양파를 양파안치버킷에 올려놓는 작업을 수작업에 의존해야 하므로 번거로울 뿐 아니라, 그만큼 인건비가 지출되어야 하므로 생산성과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41352호
본 발명은 전술한 특허문헌 1이 내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양파의 뿌리와 꼭지를 절단하는 양파절단장치에 양파를 투입할 때 수작업에 의존하지 않고 자동으로 양파의 방향성을 맞출 수 있는, 즉 양파의 뿌리와 꼭지가 자동으로 수평으로 놓일 수 있도록 하는 양파 정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양파 정렬 장치는, 양파가 투입되고 배출되는 과정에서 롤링에 의해 양파의 뿌리와 꼭지가 수평으로 전환되도록 경사지게 설치된 롤링가이드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정렬수단; 상기 정렬수단에서 배출된 양파를 수취하여 양파가 양파절단장치로 이송되게 하기 위해 한 쌍의 바가 소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설치된 정렬 이송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경사지게 설치된 롤링가이드플레이트로 양파가 투입되어 구르는 동안 양파의 표면 중 모가 나지 않은 부분인 가운데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구르게 되면서 방향이 전환되며, 이와 같이 자연적으로 양파의 뿌리와 꼭지 부분이 가장자리게 위치하면서 수평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한 쌍의 정렬 이송부를 통해 양파절단장치로 이송될 수 있다.
따라서, 양파절단장치로 투입되는 양파가 수작업에 의존하지 않고 자동으로 그 방향성이 정해진 상태에서 투입되므로 인력 투입을 방지함으로써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작업자를 배제하고 연속 작업이 가능하여 대량 가공이 가능하므로 양파 절단 공정 상의 생산성과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양파 정렬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양파 정렬 장치의 길이방향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양파 정렬 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양파 정렬 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양파 정렬 장치의 측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구조를 예시하고 이에 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예시된 형태만으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는 예시된 형태의 통상적인 변경이나 균등물 내지 대체물까지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된다는 것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어떠한 요소를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를 포함하며,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닌,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양파 정렬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양파 정렬 장치의 길이방향의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양파 정렬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양파 정렬 장치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양쪽에 수직으로 설치된 원판형 칼날을 구비한 양파절단장치(미도시, 특허문헌 1 참조)로 양파의 투입시 자동으로 일정한 방향성을 갖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크게 롤링가이드플레이트(11)를 포함하는 정렬수단(10)과, 정렬 이송부(20)를 포함하고, 또한 회수조(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롤링가이드플레이트(11)는, 양파가 투입되고 배출되는 과정에서 양파(40)가 롤링(rolling)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배출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다. 즉 양파 투입구 측이 높고 배출구 측이 낮게 설치된다.
예를 들어, 경사진 바닥면에서 양파(40)를 임의의 방향으로 굴리면(즉, 양파가 임의의 방향으로 투입되어 임의의 방향으로 구르면), 처음에는 양파(40)의 표면 중 모가 난 부분(뿌리 또는 꼭지)이 바닥에 닿아 불규칙하게 구르게 되고, 이처첨 처음에는 불규칙한 상태로 규칙성 없이 구르다가 자연적으로 모가 난 부분(뿌리 또는 꼭지)을 회피하여 모가 나지 않은 부분을 중심으로 구르게 되며, 이와 같이 양파의 무게중심이 위치한 가운데 부분을 중심으로 롤링하면서 양파(40)의 뿌리(41)와 꼭지(42)가 양쪽 가장자리에 수평으로 위치한 상태로 구르게 되어, 그 방향성이 일정하고 규칙적으로 전환된다.
이러한 자연적인 원리를 응용하여, 상기 롤링가이드플레이트(11)는 양파(40)가 투입되는 방향에서 배출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양파(40)가 롤링가이드플레이트(11)를 경유하는 동안 롤링할 수 있도록 하여 종국에는 일정한 방향성, 즉 도 3과 같이 양파(40)의 뿌리(41)와 꼭지(42)가 수평으로 전환되어 그 가장자리에 양쪽으로 위치 전환된다.
이때 양파(40)가 소망하는 방향으로 신속하게 전환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롤링가이드플레이트의 바닥면(11)은 도 3의 단면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심(가운데) 부분이 낮고 양쪽 측면으로 점차 높아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예시한 것과 같이 단면이 'V'자 형태일 수 있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반원형 관 또는 원통형 관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더욱이, 상기 롤링가이드플레이트(11)에 투입된 양파(40)의 롤링 시 좌우 방향으로 스윙(swing) 유동하는 경우 소망하는 방향으로 전환되는 시기가 늦춰지고 그만큼 롤링가이드플레이트(11)의 길이가 길어져야 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양파(40)의 좌우 스윙 유동을 차단하거나 스윙 유동량을 최소화하기 위해 롤링가이드플레이트(11)의 상부, 즉 경사진 롤링가이드플레이트(11)를 기준으로 하여 경사진 상부 바닥면에는 경사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진 스윙차단돌기(13)가 상향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링가이드플레이트의 중심(가운데) 부분에는 바닥면이 없는 슬릿(15)을 형성하여, 양파에서 떨어진 흙과 같은 이물질이 배출되게 하는 것이 좋다. 상기 슬릿(15)의 폭은 양파의 뿌리가 끼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흙이나 이물질이 배출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면 적당하며, 이러한 조건을 충족하면 그 폭은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정렬 이송부(20)는, 상기 정렬수단(10)에서 일정한 방향성을 가진 상태에서 배출된 양파를 수취하여 양파의 방향성을 유지한 상태 그대로 양파절단장치로 이송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한 쌍의 바 또는 봉이 소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양파(40)는 한 쌍의 정렬 이송부(20)에 의해 안내되어 방향성을 유지한 상태에서 양파(40)의 뿌리(41) 및 꼭지(42) 절단장치로 투입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상기 정렬 이송부(20)는, 상기 롤링가이드플레이트(11)의 배출구 측에 위치하고 이송 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한 쌍의 원호 레일(21)과, 상기 원호 레일(21)에서 이송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한 쌍의 직선 레일(22)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정렬수단(10) 및 정렬 이송부(20)의 하부에는 회수조(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수조(30)에는 정렬수단 지지대(14) 및 정렬 이송부 지지대(23)가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정렬수단(10) 및 상기 정렬 이송부(20)를 지지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정렬수단 지지대(14)와 정렬 이송부 지지대(23)는 도시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에서 특정된 정렬수단(10) 및 정렬 이송부(20)의 형태나 구성의 특징 구성을 저해하지 않는 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상기 회수조(30)는 하단과 사방이 폐쇄된 형태로 되어 내부에 회수공간(31)이 형성된다.
만약, 양파(40) 상태가 불량인 경우, 롤링가이드플레이트(11)를 경유하더라도 소망하는 방향성을 가지지 않은 상태로 배출됨에 따라 정렬 이송부(20)에 안착되지 않고 낙하하는데, 이때 상기 회수조(30)에서 불량 양파(40)를 회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양파 공급용 호퍼(미도시) 또는 양파 공급용 컨베이어(미도시)로부터 공급된 양파가 상기 롤링가이드플레이트(11)로 투입되면, 롤링가이드플레이트(11)에서 양파가 구르면서 점차 양파의 뿌리와 꼭지 부분을 회피되고, 또한 모가 나지 않은 부분이 롤링의 중심이 되어 소망하는 방향성, 즉 양파의 뿌리(11)와 꼭지(12)가 가장자리에서 수평으로 전환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정렬 이송부(20)를 통해 양파의 방향성이 흐트러지지 않은 상태로 롤링 속도가 점차 감소하면서 양파의 뿌리와 꼭지를 절단하는 장치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롤링가이드플레이트(11)의 입구부분에는 양파(40)가 롤링가이드플레이트(11)의 입구로 투입되도록 하는 투입가이드플레이트(12)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기능을 가진다면 상기 투입가이드플레이트(12)의 형상이나 구조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양파 정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정렬 이송부(20)는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 보인 레일을 대체하여 이송 체인(25) 한 쌍이 소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체인(25)은 구동모터(미도시)와 연결됨으로써 양파절단장치(미도시, 특허문헌 1 참조)가 위치한 방향으로 회전하여 이송 체인(25) 위에 올려진 양파를 양파절단장치로 이송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양파 정렬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정렬 이송부(20)는,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 보인 레일과 전술한 제2실시예에서 보인 이송 체인(25)을 병행하여 적용할 수도 있다.
이때 롤링가이드플레이트가 위치한 방향에 레일부, 즉 원호레일(21) 및 직선 레일(22)을 배치하고, 그 후단에 이송 체인(25)을 배치하여 양파가 레일부와 이송 체인을 순차적으로 경유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보인 한정된 실시 예에 따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나 수치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시 예들의 구성요소 일부를 변경, 혼합하는 등,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고, 그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 정렬수단
11... 롤링가이드플레이트 12... 투입가이드플레이트
13... 스윙차단돌기 14... 정렬수단 지지대
15... 슬릿
20... 정렬 이송부 21... 원호 레일
22... 직선 레일 23... 정렬 이송부 지지대
25... 이송 체인
30... 회수조 31... 회수공간
40... 양파
41... 뿌리 42... 꼭지

Claims (7)

  1. 양파가 투입되고 배출되는 과정에서 롤링에 의해 양파의 뿌리와 꼭지가 수평으로 전환되도록 투입측으로부터 배출측으로 점차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 롤링가이드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정렬수단;
    상기 정렬수단에서 배출된 양파를 수취하여 양파가 양파절단장치로 이송되게 하기 위해 한 쌍이 소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설치된 정렬 이송부;를 포함하되,
    상기 롤링가이드플레이트에서의 롤링은, 양파가 임의의 방향으로 투입되어 하향 경사진 방향으로 구름 회전시 양파의 표면 중 모가 나지 않은 부분이 회전의 중심이 되면서 자연적으로 양파의 뿌리와 꼭지가 수평으로 전환됨으로써 배출시 양파의 방향성이 규칙적인 상태로 배출되게 하되,
    상기 롤링가이드플레이트의 바닥면은 단면상 중심 부분이 낮고 양쪽 측면으로 점차 높아지게 형성되고,
    상기 롤링가이드플레이트의 중심부에는 롤링가이드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으로 바닥면이 없도록 절개된 슬릿이 형성되어 양파가 구를 때 양파에서 떨어진 이물질이 롤링가이드플레이트의 하측으로 배출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파 정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롤링가이드플레이트에 투입된 양파의 롤링 시 좌우 스윙을 차단하기 위해 롤링가이드플레이트의 경사상 상부 바닥면에는 하향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진 스윙차단돌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파 정렬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렬 이송부는, 한 쌍의 레일 또는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한 쌍의 체인 또는 상기 레일과 상기 체인이 차례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파 정렬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상기 롤링가이드플레이트의 배출구 측에 위치하고 이송 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한 쌍의 원호 레일과, 상기 원호 레일에서 이송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한 쌍의 직선 레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파 정렬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렬수단 및 상기 정렬 이송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정렬수단 지지대 및 정렬 이송부 지지대가 구비되며, 상기 정렬 이송부에서 이탈한 양파의 회수공간이 마련된 회수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파 정렬 장치.
KR1020170058564A 2017-05-11 2017-05-11 양파 정렬 장치 KR1019963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8564A KR101996350B1 (ko) 2017-05-11 2017-05-11 양파 정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8564A KR101996350B1 (ko) 2017-05-11 2017-05-11 양파 정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4295A KR20180124295A (ko) 2018-11-21
KR101996350B1 true KR101996350B1 (ko) 2019-07-04

Family

ID=64602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8564A KR101996350B1 (ko) 2017-05-11 2017-05-11 양파 정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63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54315A (zh) * 2020-12-08 2021-03-09 陈建国 一种过滤框整齐排列调节控制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2495Y1 (ko) * 1997-04-25 1999-08-02 남송학 구근줄기 절단장치
KR200254522Y1 (ko) * 2001-08-31 2001-11-24 주식회사 평화엔지니어링 양파 자동 박피기
KR100800635B1 (ko) * 2006-11-17 2008-02-05 백성기 고추 개별화 장치
KR101431199B1 (ko) * 2012-12-28 2014-08-21 김도환 양파 탈피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0993U (ko) * 2011-08-03 2013-02-14 이우성 양파 자동 정렬 공급 기계
KR101641352B1 (ko) 2014-12-11 2016-07-21 주식회사 참코청하 양파 꼭지 및 뿌리 절단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2495Y1 (ko) * 1997-04-25 1999-08-02 남송학 구근줄기 절단장치
KR200254522Y1 (ko) * 2001-08-31 2001-11-24 주식회사 평화엔지니어링 양파 자동 박피기
KR100800635B1 (ko) * 2006-11-17 2008-02-05 백성기 고추 개별화 장치
KR101431199B1 (ko) * 2012-12-28 2014-08-21 김도환 양파 탈피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54315A (zh) * 2020-12-08 2021-03-09 陈建国 一种过滤框整齐排列调节控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4295A (ko) 2018-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7054B2 (en) Seed potato cutting system with potato positioning mechanism
BR102017007632A2 (pt) Harvest, and, sugar cane harvest disponteer
US10744667B2 (en) Seed potato cutting system with blade positioning mechanism
KR101996350B1 (ko) 양파 정렬 장치
JP2013153726A (ja) もやしの根切り装置
JP5069551B2 (ja) サトウキビ積込装置
TWM542925U (zh) 一種植物根系剪切裝置
US20080011166A1 (en) Bean sprout both end portions removing method and bean sprouts treating devices therefor
EP3412418A1 (en) Improved machine for cutting food products
CN210735337U (zh) 一种自动分料切料接料一体化装置
US2446772A (en) Combined wet screening and shredding apparatus
EP3302827B1 (en) Apparatus for selecting horticultural products
CN104541753A (zh) 一种花生联合收获机清选装置
WO2004030475A2 (en) Vegetable trimming apparatus and method
CN210819869U (zh) 一种根茎类中药切块机
JP2018126096A (ja) 芋類の切断装置
JP7131650B1 (ja) 脱穀装置
KR101797159B1 (ko) 박스재배 농작물 수확장치
US2082872A (en) Machine for slicing mushrooms
CN210230639U (zh) 一种高效自动中药饮片风选装置
WO2003047371A1 (es) Máquina para trocear hortalizas
EP4186356A1 (en) System and method for cutting and collecting vegetable products being cultivated soilless
DE734053C (de) Vorrichtung zum Abschneiden des Krautes von Zwiebelknollen
CN204997727U (zh) 一种瓜蒌根切片系统
DK143833B (da) Apparat til behandling af saltet krydret eller paa anden maade tilberedt fisk,fortrinsvis sil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