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2561A -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방법 및 기체봉입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방법 및 기체봉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2561A
KR20140082561A KR1020130142723A KR20130142723A KR20140082561A KR 20140082561 A KR20140082561 A KR 20140082561A KR 1020130142723 A KR1020130142723 A KR 1020130142723A KR 20130142723 A KR20130142723 A KR 20130142723A KR 20140082561 A KR20140082561 A KR 201400825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gripper
slit
airbag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2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5719B1 (ko
Inventor
겐지 가와무라
도루 요시카네
Original Assignee
도요지도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지도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지도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82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25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5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5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1/00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der special atmospheric or gaseous conditions; Adding propellants to aerosol containers
    • B65B31/04Evacuating, pressurising or gasifying filled containers or wrappers by means of nozzles through which air or other gas, e.g. an inert gas, is withdrawn or supplied
    • B65B31/046Evacuating, pressurising or gasifying filled containers or wrappers by means of nozzles through which air or other gas, e.g. an inert gas, is withdrawn or supplied the nozzles co-operating, or being combined, with a device for opening or closing the container or wrapper
    • B65B31/048Evacuating, pressurising or gasifying filled containers or wrappers by means of nozzles through which air or other gas, e.g. an inert gas, is withdrawn or supplied the nozzles co-operating, or being combined, with a device for opening or closing the container or wrapper specially adapted for wrappers o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46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using grippers
    • B65B43/465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using grippers fo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65B51/14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by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members
    • B65B51/146Closing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5/00Preserving, protecting or purifying packages or package content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55/20Embedding contents in shock-absorbing media, e.g. plastic foam, granula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5/00Methods or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under pressures
    • F17C5/06Methods or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under pressures for filling with compressed g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 Closing Of Containers (AREA)
  • Bag Frames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Package Closures (AREA)
  • Toys (AREA)

Abstract

(과제) 슬릿(17)으로부터 에어백부(16)내로 기체 분출을 계속하는 중에 차단용 그리퍼(42)에 의하여 에어백부(16)의 차단부위를 협지하여 닫고, 그 후에 슬릿(17)을 밀봉하는 기체봉입방법에 있어서, 차단용 그리퍼(42)에 의하여 차단부위를 협지했을 때에 동 부위에 있어서 기체의 흐름을 확실하게 차단한다.
(해결수단) 자루이송용 그리퍼(41)는 한 쌍의 그립편(45, 46)으로 이루어지며, 그립편(45)의 내면(협지면)에 얕은 홈(47)이 형성되어 있다. 자루이송용 그리퍼(41)가 밀봉부(12)를 협지했을 때에, 에어백부(16)의 협폭부(16a)가 상기 홈(47)의 부분에 끼워져 있다. 가압기체는 슬릿(17)으로부터 협폭부(16a)를 통해서 에어백부(16)내로 유입되어 에어백부(16)를 팽창시킨다. 자루이송용 그리퍼(41)에 협지된 협폭부(16a)의 팽창형태는, 자루이송용 그리퍼(41)의 내면에 의하여 편평형상으로 제한된다.

Description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방법 및 기체봉입장치{GAS FILLING EQUIPMENT AND GAS FILLING METHOD TO THE BAG WITH AIR BAG}
본 발명은 테두리의 밀봉부에 에어백부(Air bag部)를 구비한 에어백 부착 자루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부에 기체(氣體)를 봉입(封入)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 자루라 함은 자루는 물론 포대, 봉지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고, 이들을 혼용하는 경우도 있다.
특허문헌1에는, 피포장물의 수납부로부터 분리된 에어백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된 에어백 부착 자루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부에 기체를 봉입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에어백부를 구성하는 필름면에 에어백부내와 자루외를 통하게 하는 슬릿(slit) 또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 압력기체 공급원(壓力氣體 供給源)에 접속된 노즐의 분출구를 상기 슬릿 또는 구멍에 대고, 또한 수용부재에 의하여 자루의 배면측을 지지하고, 상기 노즐로부터 상기 슬릿 또는 구멍을 통하여 상기 에어백부내로 기체를 분출하여, 분출이 계속되는 중에 상기 슬릿 또는 구멍의 근방에 설정된 차단부위(遮斷部位)를 자루의 양면으로부터 차단용 그리퍼에 의하여 협지하고, 이에 따라 상기 슬릿 또는 구멍과 상기 에어백부내의 기체의 흐름을 차단한 후에, 그 차단상태를 유지한 채 상기 슬릿 또는 구멍의 위치에서 자루를 양면으로부터 열판(熱板)으로 협압(挾壓)하고, 상기 슬릿 또는 구멍을 밀봉하여 기체를 에어백부내에 봉입한다, 라고 하는 것이다
특허문헌1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부는, 예를 들면 자루의 테두리의 밀봉부에 있어서 표리면(表裏面)을 구성하는 필름 사이에 형성되고, 혹은 자루의 표리면을 구성하는 필름이 적층필름의 경우에, 상기 에어백부는 적어도 일방의 적층필름의 내부에 형성된다. 이러한 에어백부는 평자루(平袋)뿐만 아니라 바닥 거싯 방식(底 gusset 方式)의 자립자루(自立袋), 또한 스파우트 부착 자루(spout 附着袋)에도 형성시킬 수 있다.
에어백부가 자루의 상단 근방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슬릿 또는 구멍이 에어백부의 상단 근방에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 상기 슬릿 또는 구멍의 하방위치를 차단용 그리퍼에 의하여 협지하고, 상기 슬릿 또는 구멍과 상기 에어백부내의 기체의 흐름을 차단한 후에, 자루입구 전체를 양면으로부터 밀봉하고, 이때 동시에 상기 슬릿 또는 구멍을 함께 밀봉하여, 기체를 에어백부내에 봉입할 수 있다.
특허문헌1에 있어서, 에어백부에 대한 기체봉입을 자루(평자루, 거싯 자루 등)의 포장처리공정의 일부로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에어백 부착 자루의 양측 가장자리를 그리퍼에 의하여 파지하고 매달아서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이송하고, 그 이송과정에서 자루입구의 개구(開口), 피포장물의 충전(充塡), 자루입구의 밀봉(密封) 등의 각 포장공정을 순차적으로 하는 경우에, 에어백부에 대한 기체봉입공정을 충전공정 후에 둔다. 또는 에어백부에 대한 기체봉입을 스파우트 부착 자루의 포장처리공정의 일부로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파우트에 형성된 상하의 플랜지(flange) 사이에 삽입되는 두 갈래 모양의 스파우트 지지부재로 상기 스파우트를 지지하여 스파우트 부착 자루를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이송하고, 그 이송과정에서 자루입구의 필름과 스파우트의 밀봉, 자루입구의 필름 상호간의 밀봉, 내용물의 충전 및 스파우트 입구에 대한 캡핑(capping) 등의 각 포장공정을 순차적으로 하는 경우에, 에어백부에 대한 기체봉입공정을 충전공정의 앞에 둔다. 어느 쪽의 경우에도, 자루입구의 밀봉과 슬릿 또는 구멍의 밀봉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허문헌2에는, 자루의 테두리 밀봉부에 형성된 에어백부의 상단에 슬릿 또는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슬릿 또는 구멍에 이어서 협폭(狹幅)의 봉입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슬릿 또는 구멍을 통하여 상기 에어백부내로 기체를 분출하고, 분출이 계속되는 중에 상기 봉입 경로중에 상기 슬릿 또는 구멍의 근방(바로 아래 위치)을 열밀봉(熱密封)하고, 기체를 에어백부에 봉입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2의 기체봉입방법(氣體封入方法)은 에어백부에 대한 기체의 분출공정과 열밀봉공정을 분리할 수 없기 때문에, 이것을 예를 들면 간헐회전형(間歇回轉型)의 로터리식 포장장치에 적용하였을 경우에, 특허문헌1의 기체봉입방법에 비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어렵다.
; 일본국 특허 제4771785호 공보 ; 일본국 특허 제5104073호 공보
특허문헌1에 기재된 기체봉입방법에서는, 에어백부에 대한 기체분출을 계속하는 중에, 팽창된 상태의 에어백부를 차단용 그리퍼에 의하여 협지하고, 슬릿 또는 구멍과 에어백부내의 기체의 흐름을 차단한다. 이때에 협지한 에어백부(차단부위)의 표리의 필름 또는 적층필름이 평평하게 눌려지지 않아, 에어백부의 내부에 틈새가 생겨, 슬릿 또는 구멍과 에어백부내의 기체의 흐름이 완전하게 차단되지 않을 경우가 있다. 그 경우에 노즐과 수용부재를 슬릿 또는 구멍으로부터 대피시키고, 이어서 동(同) 부분 또는 그 근방을 열판으로 협압하여 밀봉하기까지 사이에, 에어백부내의 기체가 누설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 문제를 도22, 2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22(a)에 있어서, (1)은 에어백 부착 자루(특허문헌1의 도1 참조)의 일부인 한쪽의 테두리의 밀봉부, (2)는 밀봉부(1)에 있어서 표리면을 구성하는 필름(3, 4)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에어백부, (5, 5)는 차단용 그리퍼, (6)은 기체분출용의 노즐, (7)은 수용부재이다.
도22(a)에 나타나 있는 에어백 부착 자루는, 특허문헌1에 기재된 에어백 부착 자루(1), 에어백부(2)는 마찬가지로 에어백부(5)(모두 특허문헌1의 도1 참조)에 대응하고, 차단용 그리퍼(5), 노즐(6) 및 수용부재(7)는, 특허문헌1에 기재된 서브 그리퍼(7), 노즐(11) 및 수용부재(12)(모두 특허문헌1의 도2∼4 참조)에 대응한다. 도22(a)에 나타나 있는 에어백 부착 자루는, 그 양측 가장자리가 특허문헌1의 도4에 나타내는 형태로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자루이송용 그리퍼(특허문헌1의 그리퍼(8)에 대응)로 협지되어 있다.
도22(b)는 노즐(6) 및 수용부재(7)가 도22(a)에 나타나 있는 대피위치로부터 전진하여, 노즐(6)의 선단(분출구)을 에어백부(2)에 형성된 슬릿 또는 구멍에 대고, 수용부재(7)가 노즐(6)에 대향하여 에어백부(2)의 배면을 지지하고, 에어백부(2)내로 기체가 분출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에어백부(2)는 기체압에 의하여 자유팽창하고, 그에 따라 가장자리부(1)의 단(1a)이 끌어 당겨져 에어백 부착 자루의 중심을 향하여 거리(D)만큼 이동하고 있다.
도23(a)는 노즐(6)에 의한 기체의 분출이 계속되는 중에 차단용 그리퍼(5)가 도22(a)에 나타나 있는 대피위치로부터 전진하고, 에어백부(2)의 상단에 형성된 슬릿 또는 구멍의 하방 근방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부분(차단부위)을 에어백 부착 자루의 양면으로부터 협지하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낸다. 팽창한 에어백부(2)를 편평하게 누르는 과정에 의하여, 남은 필름(3, 4)이 에어백부(2)의 폭방향 외측으로 부풀어 오르고, 이에 따라 에어백부(2)의 양측에 세로주름(8)이 발생하고 있다.
도23(b)는 차단용 그리퍼(5)가 서로 가장 근접하여 에어백부(2)를 누른 상태를 나타낸다. 도23(a)에 나타나 있는 세로주름(8)의 부분에서 에어백부(2)의 필름이 밀봉부(1)에 겹쳐지며, 차단용 그리퍼(5)가 에어백부(2)의 상기 차단부위를 평평하게 눌러 없에지 못해, 동 부위의 내부에 극히 얇고 편평한 틈새(9)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1에 기재된 기체봉입방법에서는, 에어백부가 형성되는 테두리의 밀봉부의 폭을 에어백부의 폭에 비하여 상당 정도 넓게 형성하여, 에어백부의 외측(도22(a)에 나타나 있는 폭(W)의 부분)에 자루이송용 그리퍼의 협지폭을 확보하고 있다(특허문헌1의 도4 참조). 한편 에어백부가 형성되는 테두리의 밀봉부의 폭을 에어백부의 폭에 비하여 그다지 넓게 형성할 수 없을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에어백 부착 자루의 경우에, 에어백부의 외측에 자루이송용 그리퍼의 협지폭을 확보하는 것이 어렵고, 특허문헌1에 기재된 기체봉입방법을 적용할 수 없다.
본 발명은 특허문헌1에 기재된 기체봉입방법에 관한 이상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주된 목적은, 차단용 그리퍼에 의하여 에어백부의 차단부위를 협지했을 때에, 슬릿 또는 구멍과 에어백부내의 기체의 흐름을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에어백부의 외측에 자루이송용 그리퍼의 협지폭을 확보할 수 없는 에어백 부착 자루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특허문헌1에 기재된 기체봉입방법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방법은, 자루의 테두리의 밀봉부에 세로방향으로 연장되는 에어백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에어백부를 구성하는 필름면에 에어백부내와 자루외를 통하게 하는 슬릿 또는 구멍이 형성된 에어백 부착 자루를 사용하고, 압력기체 공급원에 접속된 노즐의 분출구를 상기 슬릿 또는 구멍에 대고, 상기 노즐로부터 상기 슬릿 또는 구멍을 통하여 상기 에어백부내로 기체를 분출하고, 분출이 계속되는 중에 상기 슬릿 또는 구멍의 근방에 설정된 차단부위를 자루의 양면으로부터 차단용 그리퍼에 의하여 협지하고, 이에 따라 상기 슬릿 또는 구멍과 상기 에어백부내의 기체의 흐름을 차단한 후에, 그 차단상태를 유지한 채 상기 슬릿 또는 구멍, 또는 상기 슬릿 또는 구멍의 근방에서 자루를 양면으로부터 열판으로 협압하고, 상기 슬릿 또는 구멍, 또는 상기 슬릿 또는 구멍의 근방을 밀봉하여 기체를 에어백부내에 봉입하는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방법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부내로 기체를 분출하여 상기 에어백부를 팽창시킬 때에, 상기 차단부위의 근방에 설정된 제한부위의 팽창을 자루의 양면으로부터 제한하여 동 부위의 팽창형태를 편평형상으로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체봉입방법의 발명은, 예를 들면 이하에 열거하는 다양한 구체적 형태를 취할 수 있다.
(1) 기체를 분출하는 방법
(a) 에어백 부착 자루를 협지하고 노즐의 반대측에 수용부재를 배치하여, 기체의 분출중에 상기 수용부재에 의하여 자루의 배면을 지지한다(특허문헌1에 기재된 방법).
(b) 에어백부가 자루의 테두리의 밀봉부에 있어서 자루의 표리면을 구성하는 필름 사이에 형성되고, 또한 표리 양면의 필름에 슬릿 또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 에어백 부착 자루를 협지하여 양측에 노즐을 대향하도록 배치하고, 양쪽 노즐을 각각 표리면의 슬릿 또는 구멍에 대고 에어백부로 기체를 분출한다.
(2) 상기 제한부위의 팽창을 제한하는 방법
(a) 상기 에어백부내로 기체를 분출하기 전에, 상기 제한부위를 자루의 양면으로부터 팽창제한 그리퍼에 의하여 협지한다. 이때의 팽창제한 그리퍼의 대향면 상호간의 간격을 상기 제한부위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부의 필름의 두께보다 약간 넓어지도록 설정한다. 예를 들면 팽창제한 그리퍼의 대향면(일방 또는 양방)에 상기 간격을 획정(劃定)하는 얕은 홈(groove)을 형성하고, 이 홈의 부분으로 상기 제한부위를 협지한다.
(b) 상기 에어백부내로 기체를 분출하기 전에, 상기 제한부위를 자루의 양면으로부터 팽창제한 그리퍼에 의하여 협지한다. 이 팽창제한 그리퍼의 협지력(挾持力)은 에어백부내로 기체가 분출되어 상기 제한부위가 팽창했을 때에, 그 팽창력에 의하여 팽창제한 그리퍼의 대향면 상호간의 간격이 상기 협지력에 저항하여 조금만 넓어지도록, 에어 흡입중의 에어백부의 팽창력보다 약간 작게 설정된다.
(c) 상기 팽창제한 그리퍼 대신에, 대향면(협지면)에 얕은 홈이 형성된 자루이송용 그리퍼를 사용하거나, 혹은 협지력이 에어 흡입중의 에어백부의 팽창력보다 약간 작게 설정된 자루이송용 그리퍼를 사용할 수 있다. 이 자루이송용 그리퍼는 특허문헌1에 기재된 그리퍼(8, 8)에 상당하고, 에어백 부착 자루의 양측의 밀봉부를 협지해 소정의 1 이송경로를 따라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이송하는 것이다. 좌우 한 쌍의 자루이송용 그리퍼중에 에어백부가 형성된 테두리의 밀봉부를 협지하는 자루이송용 그리퍼에 대해서, 대향면(협지면)에 상기 홈을 형성하고, 또는 협지력을 상기한 바와 같이 설정하면 된다.
본 발명에 관한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장치(氣體封入裝置)는, 이상의 기체봉입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이다.
본 발명에 관한 기체봉입방법 및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차단용 그리퍼에 의하여 에어백부의 차단부위를 협지했을 때에, 특허문헌1의 기체봉입방법에 의하여 발생되었던 세로주름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슬릿 또는 구멍과 에어백부내의 기체의 흐름을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협지력이 에어 흡입중의 에어백부의 팽창력보다 작게 설정된 자루이송용 그리퍼를 사용하는 경우에, 혹은 대향면(협지면)에 얕은 홈이 형성된 자루이송용 그리퍼를 사용하여 상기 홈의 부분에 의하여 상기 제한부위를 협지하는 경우에, 에어백부의 외측에 자루이송용 그리퍼의 협지폭을 설치할 필요가 없고, 자루이송용 그리퍼에 의하여 에어백부를 협지하여, 지장없이 에어백부에 기체를 봉입할 수 있도록 된다.
도1은 본 발명에 사용하는 에어백 부착 자루의 정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관한 기체봉입방법을 실시하는 로터리식 포장장치의 도식적인 사시도이다.
도3은 그 로터리식 포장장치에 의하여 실시하는 기체봉입방법 및 포장방법을 공정순으로 설명하는 측면도(a)∼(c)이다.
도4는 그 계속인 공정을 공정순으로 설명하는 측면도(a)∼(c)이다.
도5는 또한 그 계속인 공정을 공정순으로 설명하는 측면도(a), (b)이다.
도6은 그 기체봉입방법에 있어서, 에어백 부착 자루가 빈자루 공급공정위치(a), 기체충전공정위치(b) 및 밀봉공정위치(c)에 있을 때의 정면도이다.
도7은 그 기체봉입방법에 있어서, 기체분출전(a) 및 기체분출중(b)의 주요부를 확대한 단면도다.
도8은 또한 차단용 그리퍼에 의한 협지 도중(c) 및 협지후(d)의 주요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9는 다른 기체봉입방법을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10은 그 기체봉입방법에 있어서, 팽창제한 그리퍼에 의한 협지전(a) 및 팽창제한 그리퍼에 의한 협지후(b)의 주요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11은 또한 기체분출시작후(a) 및 차단용 그리퍼에 의한 협지후(b) 의 주요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12는 또한 다른 기체봉입방법을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13은 그 기체봉입방법에 있어서, 팽창제한 그리퍼에 의하여 협지하기 전(a) 및 팽창제한 그리퍼에 의하여 협지한 후(b)의 주요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14는 또한 기체분출시작후(a) 및 차단용 그리퍼에 의한 협지후(b) 의 주요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15는 또한 다른 기체봉입방법을 설명하는 정면도이다.
도16은 또한 다른 기체봉입방법 및 포장방법을 공정순으로 설명하는 측면도(a)∼(c)이다.
도17은 그 계속인 공정을 공정순으로 설명하는 측면도(a)∼(c)이다.
도18은 또한 그 계속인 공정을 공정순으로 설명하는 측면도(a), (b)이다.
도19는 그 기체봉입방법에 있어서, 기체분출중의 주요부 평면도(a) 및 주요부 정면도(b)이다.
도20은 그 기체봉입방법에 있어서, 기체분출전(a) 및 기체분출시작후(b)의 주요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21은 또한 차단용 그리퍼에 의한 협지전(a) 및 협지후(b)의 주요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22는 특허문헌1에 기재된 기체봉입방법에 있어서, 기체분출전(a) 및 기체분출중(b)의 주요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23은 또한 차단용 그리퍼에 의한 협지 도중(c) 및 협지후(d)의 주요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이하, 도1∼도2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기체봉입방법 및 장치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형태]
도1에 에어백 부착 자루(11)를 나타낸다. 자루(11)는 바닥 거싯 방식의 자립자루로서, 표리 양면의 필름과 꺾어 접어진 바닥부의 필름으로부터 이루어진다. 자루(11)의 상부영역(X)에서는 양측 테두리에 있어서 자루(11)의 표리 양면의 필름 상호간이 접착하여 밀봉부(12, 13)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 테두리는 표리 양면의 필름이 접착되어 있지 않고 개구된 자루입구(14)로 되어 있다. 자루(11)의 하부영역(Y)에서는 양측 테두리에 있어서 표리 양면의 필름이 바닥부의 필름을 협지하여 접착하고, 또한 바닥부의 필름 자체도 접어 넣어진 내측에서 접착하고, 중앙부에 있어서 표리 양면의 필름이 각각 바닥부의 필름과 접착하여(바닥부의 필름 상호간은 접착하지 않고 있다), 밀봉부(15)가 형성되어 있다. 밀봉부(12, 13, 15)를 도1에 사선으로 나타낸다.
밀봉부(12)의 일부에 표리 양면의 필름 상호간이 접착하지 않고 있는 비접착부(에어백부)(16)가 형성되어 있다.
에어백부(16)는, 표리 양면의 필름(23, 24)(도7(b) 참조)을 열밀봉할 때에 가압하지 않고 밀봉하다가 남긴 부분으로서, 자루입구(14)(밀봉부(12)의 상단)의 근방으로부터 하방으로 가늘고 길게 연장되어서 닫힌 윤곽을 구비하고, 그 상단 근방의 표리에 있어서 어느 일면 또는 양면의 필름에 에어백부(16)내와 자루외를 통하게 하는 십자(十字)의 슬릿(17)이 형성되어 있다. 에어백부(16)에는, 슬릿(17)에 이어 소정의 길이에 걸쳐 협폭부(狹幅部)(16a)가 형성되어 있다. 후술하는 자루이송용 그리퍼(18) 및 차단용 그리퍼(21)는, 밀봉부(12)중에 이 협폭부(16a)가 형성된 부분를 수평으로 횡단하는 형태로 협지한다.
다음에 에어백 부착 자루(11)를 사용하여 로터리식 포장장치에 의하여 에어백 부착 자루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기체봉입방법 및 장치를 포함한다)에 대해서, 도2∼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2에 나타내는 로터리식 포장장치는 특허문헌1의 도5에 기재된 로터리식 포장장치와 마찬가지로, 간헐회전(間歇回轉)하는 테이블의 주위에 여러 쌍의 자루이송용 그리퍼(18, 19)가 동일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어, 공급된 에어백 부착 자루(11)의 양측 테두리를 협지하여 매달아 원형의 이송경로를 따라 간헐적으로 이송한다. 그리퍼(18, 19)가 정지하는 각 정지위치(정지위치(I)∼(VIII))에서는, 그리퍼(18, 19)에 대한 에어백 부착 자루(11)의 공급에 이어, 그리퍼(18, 19)에 협지된 에어백 부착 자루(11)에 대하여 자루입구의 개구, 피포장물의 충전 및 자루입구의 밀봉 등의 각 포장공정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고, 아울러 에어백부(16)에 기체를 봉입하는 공정(에어백부(16)에 기체를 충전하는 공정과 슬릿(17)을 닫는(밀봉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이 실시된다.
한 쌍의 그리퍼(18, 19)중에 일방의 그리퍼(18)는, 도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볼 때에 대략 ㄷ자 형상을 이루고, 그 상하의 횡행부(橫行部)(18a, 18b)에 의하여 에어백부(16)가 형성된 테두리의 밀봉부(12)를 표리 양면으로부터 협지한다. 그 협지 부위는 슬릿(17)의 근방에 있어서 에어백부(16)에 협폭부(16a)가 형성된 부분으로서, 그리퍼(18)는 협폭부(16a)를 수평으로 횡단하는 형태로 협지한다. 타방의 그리퍼(19)는, 특허문헌1에 기재된 그리퍼(8)와 마찬가지로 일반적인 것으로서, 에어백부가 형성되지 않고 있는 테두리의 밀봉부(13)를 그리퍼(18)와 거의 같은 높이로 협지한다.
또 에어백 부착 자루(11)의 밀봉부(12)에 있어서 에어백부(16)의 외측부분의 폭(W)은 좁고, 그리퍼(19)와 같은 일반적인 그리퍼의 협지폭으로서는 부족하지만, 그리퍼(18)로 협지하는 경우는,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전혀 문제가 없다.
상기 로터리식 포장장치는 상기 기체봉입공정을 실시하기 위해서, 특허문헌1에 기재된 로터리식 포장장치와 마찬가지로 소정의 정지위치에 기체충전수단을 구비하고, 또한 각 쌍의 그리퍼(18, 19)에 대응시켜서 1개씩의, 슬릿(17)의 근방에 있어서 소정의 부위(에어백부(16)의 이 부위를 본 발명에서는 차단부위라고 한다)를 표리 양면으로부터 협지하는 차단용 그리퍼(21)를 구비한다. 도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차단부위는 그리퍼(18)의 횡행부(18a, 18b) 사이에, 또한 상기 횡행부(18a, 18b)에 극히 근접하여 설정되어 있다. 차단용 그리퍼(21)는 에어백부(16)의 협폭부(16a)에 설정된 상기 차단부위를 수평으로 횡단하는 형태로 협지하여, 슬릿(17)과 에어백부(16)내의 기체의 흐름을 차단한다. 이 차단용 그리퍼(21)는 그리퍼(18, 19)와 아울러 간헐적으로 이동한다.
상기 기체충전수단은 후술하는 기체분출용의 노즐(28) 및 수용부재(29)를 구비한다.
도2에 나타내는 로터리식 포장장치를 사용한 포장방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1) 정지위치(I)(자루공급공정위치)에 있어서, 컨베이어 매거진식 자루공급장치(22)로부터 에어백 부착 자루(11)가 그리퍼(18, 19)에 공급되어, 그리퍼(18, 19)가 밀봉부(12, 13)의 소정의 위치를 표리 양면으로부터 협지한다. 이때에 에어백부(16)의 협폭부(16a)중에 상기 차단부위의 근방에 있어서 소정의 부위(에어백부(16)의 이 부위를 본 발명에서는 제한부위라고 한다)가 그리퍼(18)(횡행부(18a, 18b))에 의하여 협지된다. 그 상태를 도3(a) 및 도6(a)에 나타나 있다. 이때에 차단용 그리퍼(21)는 열려 있다.
그리퍼(18)의 협지력은 후술하는 크기(통상보다 작게 설정된다)로 설정되고, 그리퍼(19)의 협지력은 통상의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에어백부(16)의 협폭부(16a)중에 그리퍼(18)(횡행부(18a, 18b))에 의하여 양면으로부터 협지된 상기 제한부위는, 도7(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표리면을 구성하는 필름(23, 24)이 밀착하여 접착되고, 완전하게 눌려져 있다.
(2) 정지위치(II)(인쇄공정위치)에 있어서, 인쇄장치(헤드부(24)만 나타낸다)에 의하여 자루면에 대한 인쇄가 이루어진다.
(3) 정지위치(III)(개구공정위치)에 있어서, 개구장치(흡입반(吸入盤)(25) 및 개구 헤드(26)만 나타낸다)에 의하여 자루입구의 개구가 이루어진다.
(4) 정지위치(IV)(충전공정위치)에 있어서, 충전장치(노즐부(27)만 나타낸다)에 의하여 액상물(液狀物)의 충전이 이루어진다(도6(b)의 충전물(30) 참조).
(5) 정지위치(V)(기체충전공정위치)에는, 에어백 부착 자루(11)의 이송경로의 근방에 기체충전수단의 일부인 기체분출용의 노즐(28) 및 수용부재(29)가 배치되어 있다. 노즐(28)은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절환 밸브 등을 통하여 압력기체 공급원에 접속되고, 에어백 부착 자루(11)를 향하여 진퇴(進退)하여, 전진위치에 있어서 선단의 분출개구(28a)를 슬릿(17)에 댄다. 수용부재(29)는 에어백 부착 자루(11)를 협지하여 노즐(28)의 반대측에 배치되고, 에어백 부착 자루(11)를 향하여 진퇴하여, 전진위치에 있어서 노즐(28)의 분출개구(28a)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에어백 부착 자루(11)의 배면측을 지지한다. 수용부재(29)의 선단에 오목부(29a)가 형성되어 있다. 노즐(28)은 압축 스프링(40)에 의하여 전방으로 가압되고 있다.
도3(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자루(11)가 이 기체충전공정위치에 정지했을 때에, 노즐(28) 및 수용부재(29)는 후퇴해서 대기위치에 있다. 이어서 도3(c) 및 도6(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노즐(28) 및 수용부재(29)가 아울러 전진하여 노즐(28)의 선단의 분출개구(28a)가 슬릿(17)의 주위의 자루면에 접촉하고, 그 배면을 수용부재(29)가 지지하고, 동시에 노즐(28)의 선단으로부터 가압기체가 분출되어 슬릿(17)을 통하여 기체가 에어백부(16)내로 분출되고, 에어백부(16)내의 기압이 높아져 에어백부(16)가 팽창한다.
또 기체분출중에, 에어압(air壓)에 의하여 노즐(28)은 압축 스프링(40)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약간 후퇴하고, 이에 따라 에어백부(16)를 구성하는 필름(23, 24)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여, 슬릿(17)을 통하여 기체가 에어백부(16)내로 분출된다(특허문헌1 참조). 또한 수용부재(29)의 선단에 오목부(29a)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에어백부(16)의 팽창이 슬릿(17)의 배면측에서도 발생하여 슬릿(17)을 통한 기체의 유입이 촉진된다.
기체의 분출에 의하여 에어백부(16)내의 기압이 높아져, 자루이송용 그리퍼(18)가 협지한 부위(상기 제한부위)에서도 에어백부(16)가 팽창하려고 하고, 그 팽창력이 자루이송용 그리퍼(18)에 작용하여, 자루이송용 그리퍼(18)의 협지력이 약해져서, 도7(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자루이송용 그리퍼(18)의 대향면(협지면)(18A, 18A) 상호간의 간격이, 상기 팽창력과 협지력이 균형을 이루는 위치까지 넓혀진다. 이에 따라 자루이송용 그리퍼(18)가 협지한 부위(상기 제한부위)의 양쪽 필름(23, 24)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여, 상기 제한부위보다 하방의 에어백부(16)에도 상기 틈새를 통하여 가압기체가 흐르고, 기체압에 따라 자유팽창한다. 한편 자루이송용 그리퍼(18)가 협지한 부위(상기 제한부위) 및 그 근방에서는, 에어백부(16)는 기체압에 따라 팽창하지만, 자루이송용 그리퍼(18)에 의하여 팽창이 제한된 상태이기 때문에 에어백부(16)의 팽창형태는 편평형상으로 제한된다.
자루이송용 그리퍼(18)의 협지력의 크기는, 기체의 분출시에 자루이송용 그리퍼(18)의 대향면(협지면)(18A, 18A) 상호간의 틈새가 약간 넓어져, 에어백부(16)의 상기 제한부위의 팽창형태가 극히 얇은 편평형상이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에어백부(16)의 팽창에 따라 밀봉부(12)의 단(12a)이 이동하는 거리(도22(b)의 거리(D) 참조)도 무시할 수 있는 정도가 된다.
이어서 도4(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차단용 그리퍼(21)가 닫혀서, 자루이송용 그리퍼(18)의 횡행부(18a, 18b) 사이(상기 제한부위 사이)에 설정된 상기 차단부위를 양면으로부터 협지하고, 슬릿(17)과 에어백부(16)내의 기체의 흐름을 차단하여, 에어백부(16)내의 기체가 슬릿(17)을 통하여 외부로 빠지는 것을 막는다.
특허문헌1에 기재된 기체봉입방법에서는, 도23(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차단용 그리퍼(5)가 닫혀서 자유팽창한 에어백부(2)를 협지하는 과정에 의하여, 에어백부(2)의 양측에 세로주름(8)이 발생하고, 그 결과 차단용 그리퍼(5)가 닫혀 막을 때도 에어백부(2)를 평평하게 눌러 없엘 수 없어, 에어백부(2)의 내부에 얇고 편평한 틈새(9)가 발생하고, 이 틈새(9)를 통하여 에어백부(2)내의 기체가 빠졌다. 한편 본 발명의 경우에, 차단용 그리퍼(21)가 협지하는 차단부위의 상하 근방(상기 제한부위)에서, 자루이송용 그리퍼(18)에 의하여 에어백부(16)의 팽창형태가 편평형상으로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도8(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차단용 그리퍼(21)가 닫혀서 에어백부(16)를 협지하는 과정에 의하여, 상기와 같이 세로주름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차단용 그리퍼(21)가 닫혀 눌렸을 때에, 도8(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에어백부(16)의 상기 차단부위를 평평하게 눌러 막아, 슬릿(17)과 에어백부(16)내의 기체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다.
또 차단용 그리퍼(21)가 협지하는 상기 차단부위 및 자루이송용 그리퍼(18)가 협지하는 상기 제한부위가, 에어백부(16)에 형성된 협폭부(16a)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당해 부위에 있어서 에어백부(16)의 팽창이 원래 크지 않은 것도 상기와 같은 세로주름의 발생을 방지하는 데 큰 효과가 있다.
차단용 그리퍼(21)에 의하여 에어백부(16)의 상기 차단부위를 협지한 후에, 노즐(28)로부터의 기체분출(에어백부(16)내에 대한 기체분출)이 끊기고, 이어서 도4(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노즐(28) 및 수용부재(29)가 자루면으로부터 분리되어 대피위치로 후퇴한다. 이것으로 기체충전공정이 종료된다.
(6) 정지위치(VI)(제1밀봉공정위치)에는, 자루입구의 밀봉을 하는 제1밀봉장치(한 쌍의 열판(31)만 나타낸다)가 배치되어 에어백 부착 자루(11)가 이 제1밀봉공정위치에 정지했을 때에, 열판(31)은 에어백 부착 자루(11)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둔 대기위치에 있다. 열판(31)은 슬릿(17)을 덮을 수 있는 높이방향의 폭을 구비하고, 도4(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닫아서 에어백 부착 자루(11)를 양면으로부터 협압했을 때에, 표리면의 필름(23, 24)을 자루입구에서 밀봉하여 피포장물을 에어백 부착 자루(11)내에 밀봉함과 동시에, 슬릿(17)인 부분에 관해서도 필름(23, 24)을 밀봉하여 닫고, 에어백부(16)내에 기체를 봉입한다. 열판(31)에 의하여 밀봉된 자루입구의 밀봉부(32)를 도6(c)에 나타낸다. 이와 같이 제1밀봉공정은 자루입구의 밀봉과 슬릿(17)의 밀봉을 겸해서 이루어진다.
이어서 열판(31)이 열리며 이것으로 제1밀봉공정이 종료된다.
(7) 정지위치(VII)(제2밀봉공정위치)에는, 자루입구의 밀봉을 하는 제2밀봉장치(한 쌍의 열판(33)만 나타낸다)가 배치되어 제1밀봉공정과 마찬가지로 자루입구의 밀봉과 슬릿(17)의 밀봉을 겸하고, 밀봉부(32)를 열판(33)에 의하여 다시 협압하는 제2밀봉공정이 이루어진다.
(8) 정지위치(VIII)(밀봉부 냉각 및 배출공정위치)에는, 자루입구의 밀봉부(32)를 냉각하는 밀봉부 냉각장치(한 쌍의 냉각판(34)만 나타낸다)가 배치되어 있다. 도5(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냉각판(34)에 의하여 자루면을 협압하여 냉각하고, 이어서 냉각중에 차단용 그리퍼(21) 및 자루이송용 그리퍼(18, 19)가 열리고, 또한 도5(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냉각판(34)이 열려 에어백 부착 자루(11P)(에어백 부착 자루 제품)가 슈트(shoot)(35)에 의하여 장치외부로 배출된다. 또 차단용 그리퍼(21)는 제1밀봉공정 또는 제2밀봉공정이 종료된 단계에서 열어도 좋다.
[제2형태]
다음에 도9∼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다른 기체봉입방법 및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9∼11에 있어서, [제1형태]에서 설명한 에어백 부착 자루 및 기체봉입장치의 각 부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고 있다.
도9에 나타내는 에어백 부착 자루(11A)는, 밀봉부(12)중에 에어백부(16)의 외측부분의 폭(W)이 약간 넓고, 밀봉부(13)와 마찬가지로 동 부분을 자루이송용 그리퍼(19)에 의하여 협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점에서 도1에 나타내는 에어백 부착 자루(11)와는 다르다.
또한 여러 쌍의 자루이송용 그리퍼(19, 19)가 자루이송용 그리퍼(18, 19) 대신에 도2에 나타내는 로터리식 포장장치에 설치되고, 또한 자루이송용 그리퍼(18)를 사용하지 않음에 따라, 기체봉입장치의 일부로서 새롭게 팽창제한 그리퍼(36)가 설치된다.
팽창제한 그리퍼(36)는, 차단용 그리퍼(21)와 마찬가지로 각 쌍의 그리퍼(19, 19)에 대응시켜서 1개씩 설치하더라도 좋고(이 경우에 그리퍼(19, 19)와 함께 간헐적으로 이동한다), 혹은 정지위치(V)(도2 참조)에 1개(표리 한 쌍) 설치하여 같은 위치에 정지한 에어백 부착 자루(11A)에 대하여 작용시키도록 하더라도 좋다.
팽창제한 그리퍼(36)는, [제1형태]에서 사용한 자루이송용 그리퍼(18)와 마찬가지로 정면에서 볼 때에 대략 ㄷ자 모양을 하고, 그 상하의 횡행부(36a, 36b)에 의하여 에어백부(16)의 협폭부(16a)를 수평으로 횡단하는 형태로, 밀봉부(12)를 표리 양면으로부터 소정의 협지력으로 협지한다. 이 협지력의 크기는, [제1형태]에서 사용한 자루이송용 그리퍼(18)와 동일한 생각에 의거하여 설정되어 있다. 차단용 그리퍼(21)는, [제1형태]의 것과 마찬가지로 에어백부(16)의 협폭부(16a)를 수평으로 횡단하는 형태로, 밀봉부(12)를 표리 양면으로부터 협지하고, 그 협지하는 부분은 팽창제한 그리퍼(36)의 상하의 횡행부(36a, 36b) 사이이다. 에어백부(16)중에 차단용 그리퍼(21)가 협지하는 부위를 본 발명에서는 차단부위라고 하고, 슬릿(17)의 근방에 설정되어 있다. 에어백부(16)의 팽창제한 그리퍼(36)(횡행부(36a, 36b))가 협지하는 부위는 상기 차단부위의 근방에 설정되어, 본 발명에서는 이 부위를 제한부위라고 한다.
다음에 도9∼11을 참조하여 [제2형태]의 기체봉입방법에 대해서, [제1형태]에서 한 설명을 모방하여 설명한다. 이 예에서는 팽창제한 그리퍼(36)는, 차단용 그리퍼(21)와 마찬가지로 각 쌍의 그리퍼(19, 19)에 대응시켜서 1개(표리 한 쌍)씩 설치하는 것으로 한다.
(1) 정지위치(I)(자루공급공정위치)에 있어서, 컨베이어 매거진식 자루공급장치(22)로부터 에어백 부착 자루(11A)가 그리퍼(19, 19)에 공급되어, 도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그리퍼(19, 19)가 밀봉부(12)의 소정의 위치(에어백부(16)의 외측부분) 및 밀봉부(13)의 소정의 위치를 협지한다. 차단용 그리퍼(21)와 팽창제한 그리퍼(36)는 모두 열려 있다. 그 상태를 도10(a)에 나타내고 있다.
(2) 정지위치(II)∼(IV)에 있어서, 인쇄공정, 개구공정 및 충전공정이 실시된다. 한편 이 사이에 소정의 타이밍으로 팽창제한 그리퍼(36)가 닫혀 밀봉부(12)를 표리 양면으로부터 협지한다(이 타이밍은 다음의 정지위치(V)에 있어서 기체의 분출시작 직전에도 좋다). 이때에 에어백부(16)의 협폭부(16a)중에 상기 제한부위가 팽창제한 그리퍼(36)(횡행부(36a, 36b))에 의하여 협지되어, 도10(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자루의 표리면을 구성하는 필름(23, 24)이 밀착되고 접착되어, 에어백부(16)의 상기 제한부위는 완전하게 눌려져 있다.
(3) 정지위치(V)(기체충전공정위치)에 있어서, 노즐(28) 및 수용부재(29)가 전진하고 기체의 분출이 시작된다. 기체의 분출에 의하여 에어백부(16)내의 기압이 높아져, 팽창제한 그리퍼(36)가 협지한 부위(상기 제한부위)에서도 에어백부(16)가 팽창하려고 하여 그 팽창력이 팽창제한 그리퍼(36)에 작용하고, 팽창제한 그리퍼(36)의 협지력이 약해서, 도11(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팽창제한 그리퍼(36)의 대향면(협지면)(36A, 36A) 상호간의 간격이, 상기 팽창력과 협지력이 균형을 이루는 위치까지 넓혀진다. 이에 따라 팽창제한 그리퍼(36)가 협지한 부위(상기 제한부위)의 양쪽 필름(23, 24) 사이에 틈새가 생겨, 상기 제한부위보다 하방의 에어백부(16)에도 가압기체가 흐르고, 기체압에 따라 자유팽창한다. 한편 팽창제한 그리퍼(36)가 협지한 부위(상기 제한부위) 및 그 근방에서는, 에어백부(16)는 기체압에 따라 팽창하지만, 팽창제한 그리퍼(36)에 의하여 팽창이 제한된 상태이기 때문에 에어백부(16)의 팽창형태는 편평형상으로 제한된다. 이상의 작용은 [제1형태]에서 설명한 자루이송용 그리퍼(18)의 작용과 동일하다.
이어서 도11(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차단용 그리퍼(21)가 닫혀서, 팽창제한 그리퍼(36)의 횡행부(36a, 36b) 사이(상기 제한부위 사이)에 설정된 상기 차단부위를 양면으로부터 협지하여, 슬릿(17)과 에어백부(16)내의 기체의 흐름을 차단한다.
(4) 정지위치(VI)∼(VIII)에 있어서, 제1밀봉공정, 제2밀봉공정 및 밀봉부 냉각공정이 이루어지고, 뒤이어서 에어백 부착 자루 제품이 장치외부로 배출된다. 또 팽창제한 그리퍼(36)는, 정지위치(V)에서 차단용 그리퍼(21)가 닫힌 후에, 정지위치(VIII)에서 냉각판(34)이 열리기까지 사이의 적당한 타이밍으로 열려 밀봉부(12)를 개방한다. 또한 차단용 그리퍼(21)는, 제1밀봉공정후에 정지위치(VIII)에서 냉각판(34)이 열리기까지 사이의 적당한 타이밍으로 열려 밀봉부(12)를 개방한다.
[제3형태]
다음에 도12∼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또 다른 기체봉입방법 및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12∼14에 있어서, [제1형태]에서 설명한 에어백 부착 자루 및 기체봉입장치의 각 부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고 있다.
이 기체봉입방법 및 장치에서는, [제2형태]에서 설명한 기체봉입방법 및 장치로 사용한 팽창제한 그리퍼(36) 대신에 팽창제한 그리퍼(37)가 사용된다. 팽창제한 그리퍼(37)는, 팽창제한 그리퍼(36)와 동일한 형상을 구비하지만, 닫혔을 때의 대향면(37A, 37A) 상호간의 간격이 에어백부(16)의 필름의 두께보다 넓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팽창제한 그리퍼(37)가 닫혔을 때도 에어백 부착 자루(11A)의 밀봉부(12)를 서로 소정의 거리를 두고 협지하는 것만이고, 밀봉부(12)를 잡지 않는다. 이 팽창제한 그리퍼(37)는, 각 쌍의 그리퍼(19, 19)에 대응시켜서 1개씩 설치하더라도 좋고(이 경우에 그리퍼(19, 19)와 함께 간헐적으로 이동한다), 혹은 정지위치(V)(도2 참조)에 1개(표리 한 쌍) 설치하여 같은 위치에 정지한 에어백 부착 자루(11A)에 대하여 작용시키도록 하더라도 좋다.
다음에 도12∼14를 참조하여 [제3형태]의 기체봉입방법에 대해서, [제1형태]에서 한 설명을 모방하여 설명한다. 이 예에서는 팽창제한 그리퍼(37)는, 차단용 그리퍼(21)와 마찬가지로 각 쌍의 그리퍼(19, 19)에 대응시켜서 1개(표리 한 쌍)씩 설치하는 것으로 한다.
(1) 정지위치(I)(자루공급공정위치)에 있어서, 컨베이어 매거진식 자루공급장치(22)로부터 에어백 부착 자루(11A)가 그리퍼(19, 19)에 공급되어, 도1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그리퍼(19, 19)가 밀봉부(12)의 소정의 위치(에어백부(16)의 외측부분) 및 밀봉부(13)의 소정의 위치를 협지한다. 차단용 그리퍼(21)와 팽창제한 그리퍼(37)는 모두 열려 있다. 그 상태를 도13(a)에 나타내고 있다.
(2) 정지위치(II∼IV)에 있어서, 인쇄공정, 개구공정 및 충전공정이 실시된다. 한편 이 사이에 소정의 타이밍으로 팽창제한 그리퍼(37)가 닫혀, 밀봉부(12)를 표리 양면으로부터 협지한다(이 타이밍은 다음의 정지위치(V)에 있어서 기체의 분출시작 직전에서도 좋다). 밀봉부(12)에는 에어백부(16)가 형성되어, 팽창제한 그리퍼(37)는 에어백부(16)의 협폭부(16a)를 협지한다. 에어백부(16)중에 팽창제한 그리퍼(37)가 협지하는 부위는, 차단용 그리퍼(12)가 협지하는 부위(본 발명에서는 차단부위라고 한다)의 근방에 위치하고, 본 발명에서는 이것을 제한부위라고 한다. 도13(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팽창제한 그리퍼(37)의 대향면(37A, 37A) 사이에 극히 좁은 간격(H)이 형성되어 있다.
(3) 정지위치(V)(기체충전공정위치)에 있어서, 노즐(28) 및 수용부재(29)가 전진하고 기체의 분출이 시작된다. 기체의 분출에 의하여 에어백부(16)내의 기압이 높아져, 팽창제한 그리퍼(37)가 협지한 부위(상기 제한부위)에서도 에어백부(16)가 팽창하려고 하지만, 도14(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한부위의 팽창은 팽창제한 그리퍼(37)의 대향면(37A, 37A)으로 제한되어, 동 부위 및 그 근방에서는, 에어백부(16)의 팽창형태는 편평형상으로 제한된다. 팽창제한 그리퍼(37)가 협지한 부위(상기 제한부위)에서는, 양쪽 필름(23, 24) 사이에 틈새가 생겨, 상기 제한부위보다 하방의 에어백부(16)내에도 가압기체가 흐르고, 기체압에 따라 자유팽창한다. 이상의 작용은 [제2형태]에서 설명한 팽창제한 그리퍼(36)의 작용과 같다.
이어서 도14(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차단용 그리퍼(21)가 닫혀서, 팽창제한 그리퍼(37)의 횡행부 사이(상기 제한부위 사이)에 설정된 상기 차단부위를 양면으로부터 협지하고, 슬릿(17)과 에어백부(16)내의 기체의 흐름을 차단한다.
(4) 정지위치(VI)∼(VIII)에 있어서, 제1밀봉공정, 제2밀봉공정 및 밀봉부 냉각공정이 이루어지고, 에어백 부착 자루 제품이 장치외부로 배출된다. 또 팽창제한 그리퍼(37)는 정지위치(V)에서 차단용 그리퍼(21)가 닫힌 후에, 정지위치(VIII)에서 냉각판(34)이 열리기까지 사이의 적당한 타이밍으로 열려 밀봉부(12)를 개방한다. 또한 차단용 그리퍼(21)는 제1밀봉공정후에, 정지위치(VIII)에서 냉각판(34)이 열리기까지 사이의 적당한 타이밍으로 열려 밀봉부(12)를 개방한다.
[제4형태]
다음에 도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또 다른 기체봉입방법 및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15에 있어서, [제1형태]에서 설명한 에어백 부착 자루 및 기체봉입장치의 각 부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고 있다.
상기 [제1형태]에서 설명한 기체봉입방법 및 장치에서는, 차단용 그리퍼(21)에 의하여 에어백부(16)의 차단부위를 협지하고, 슬릿(17)과 에어백부(16)내의 기체의 흐름을 차단한 후에, 그 차단상태를 유지한 채 슬릿(17)을 포함하는 에어백 부착 자루(11)의 자루입구를 열판으로 협압하고, 상기 자루입구를 밀봉함과 동시에 슬릿(17)을 밀봉하여 기체를 에어백부(16)내에 봉입하고 있었지만, 이 [제4형태]에서는 기체를 에어백부(16)에 봉입함에 있어서, 슬릿(17)의 바로 아래 위치를 열판으로 협압한다.
다음에 도15를 참조하여 [제4형태]의 기체봉입방법에 대해서, [제1형태]에서 한 설명을 모방하여 설명한다.
(1) 정지위치(I)∼(V)에 있어서, 자루공급공정, 인쇄공정, 개구공정, 충전공정 및 기체충전공정이 순차적으로 [제1형태]와 동일하게 된다(도6(a), (b) 등 참조).
(2) 정지위치(VI)(제1밀봉공정위치)에는, 슬릿(17)의 바로 아래 위치에 있어서 에어백부(16)(협폭부(16a))를 밀봉하는 제1밀봉장치(한 쌍의 열판을 구비한다)가 배치되어 있다. 자루이송용 그리퍼(18, 19)에 협지된 에어백 부착 자루(11)가 이 정지위치(VI)에 정지했을 때에, 도15(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상기 열판이, 슬릿(17)의 바로 아래 위치를 양면으로부터 협지하여 같은 위치를 수평으로 횡단하는 형태로 밀봉하여(밀봉부(38)), 에어백부(16)내에 기체를 봉입한다.
(3) 정지위치(VII)(제2밀봉공정위치)에는, 자루입구의 밀봉을 하는 제2밀봉장치(한 쌍의 열판을 구비한다)가 배치되어 있다. 에어백 부착 자루(11)가 이 정지위치(VII)에 정지했을 때에, 도15(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상기 열판이 자루입구를 양면으로부터 협지하여 밀봉하여(밀봉부(39)), 피포장물을 에어백 부착 자루(11)내에 밀봉한다. 이때에 필요에 따라서 슬릿(17)의 부분을 함께 밀봉할 수도 있다. 혹은 슬릿(17)을 밀봉하는 공정을 별도로 설치할 수도 있다.
(4) 정지위치(VIII)에는, 밀봉부(39)를 냉각하는 밀봉부 냉각장치(한 쌍의 냉각판을 구비한다)가 배치되어 있다. 에어백 부착 자루(11)가 이 정지위치(VIII)에 정지했을 때에,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상기 냉각판이 밀봉부(39)를 협지하여 냉각하고, 이어서 냉각중에 차단용 그리퍼(21) 및 자루이송용 그리퍼(18, 19)가 열리고, 또한 상기 냉각판이 열려서 에어백 부착 자루(11P)(에어백 부착 자루 제품)가 장치외부로 배출된다. 또 차단용 그리퍼(21)는 제1밀봉공정이 종료된 단계에서 열어도 좋다.
[제5형태]
다음에 도16∼2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다른 기체봉입방법 및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16∼21에 있어서, [제1형태]에서 설명한 에어백 부착 자루 및 기체봉입장치의 각 부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고 있다.
이 [제5형태]에서는, [제1형태]에서 사용한 자루이송용 그리퍼(18) 대신에 자루이송용 그리퍼(41)가 사용되고, 차단용 그리퍼(21) 대신에 차단용 그리퍼(42)와 자루이송용 그리퍼(41)의 일부(후술하는 그립편(grip片))가 사용된다. 또한 기체충전수단으로서, [제1형태]에서 사용한 기체분출용의 노즐(28) 및 수용부재(29) 대신에 기체분출용의 한 쌍의 노즐(43, 44)이 사용된다. 또한 에어백 부착 자루로서 [제1형태]에서 설명한 에어백 부착 자루(11)가 사용되지만, 이 [제5형태]의 경우에 에어백부(16)에 형성되는 슬릿(17)은 표리 양면의 필름(23, 24)에 형성되어 있다.
자루이송용 그리퍼(41)는 한 쌍의 그립편(45, 46)을 구비하고, 그립편(45)은 [제1형태]에서 사용한 자루이송용 그리퍼(18)와 마찬가지로 정면에서 볼 때에 대략 ㄷ자 형상을 하고(도19 참조), 한편 그립편(46)은 정면에서 볼 때에 대략 사각형 모양을 하여, 그 윤곽이 그립편(45)의 외형과 거의 일치한다. 자루이송용 그리퍼(41)는, 그립편(45)의 상하의 횡행부(45a, 45b)와 그립편(46)에 의하여 에어백부(16)가 형성된 테두리의 밀봉부(12)를 표리 양면으로부터 협지한다. 그립편(45)의 상하의 횡행부(45a, 45b)의 협지면(대향면)(45A)측에는, 상하방향으로 이어지는 얕은 홈(47)이 형성되고(도20(a) 참조), 그립편(46)의 협지면(대향면)(46A)측은 홈 등은 없고 실질적으로 평탄하다. 자루이송용 그리퍼(41)가 협지하는 부위는 에어백부(16)에 협폭부(16a)가 형성된 부분이며, 그립편(45)의 상하의 횡행부(45a, 45b)와 그립편(46)이 슬릿(17)의 근방에 있어서 협폭부(16a)를 수평으로 횡단하는 형태로 협지한다. 다만 자루이송용 그리퍼(41)는, 닫혔을 때에 상기 홈(47)이 협폭부(16a)를 협지하는 위치에 있어, 협폭부(16a)에 있어서 그립편(45, 46)의 대향면(45A, 46A) 상호간의 간격(J)은, 에어백부(16)의 필름의 두께보다 홈(47)의 깊이만큼 넓어지고 있다. 즉 자루이송용 그리퍼(41)가 닫혔을 때도, 그립편(45, 46)은 협폭부(16a)를 서로 소정의 거리(J)를 두고 협지하는 것만이고, 상기 협폭부(16a)만은 협지하지 않는다.
자루(11)의 타방의 테두리의 밀봉부(13)는 통상의 자루이송용 그리퍼(19)(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에 의하여 협지된다.
차단용 그리퍼(42)는 자루이송용 그리퍼(41)의 그립편(46)과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닫혔을 때에 그립편(46)의 협지면(대향면)(46A) 사이에서, 에어백부(16)가 형성된 테두리의 밀봉부(12)를 표리 양면으로부터 협지한다. 이와 같이 자루이송용 그리퍼(41)의 그립편(46)은 차단용 그리퍼를 겸하고 있다. 차단용 그리퍼(42)와 그립편(46)은, 닫혔을 때에 그립편(45, 46) 사이에서 협폭부(16a)를 수평으로 횡단하는 형태로 협지한다.
노즐(43, 44)은 에어백 부착 자루(11)를 향하여 진퇴하고, 전진위치에 있어서 선단의 분출개구(43a, 44a)가 에어백부(16)의 표리 양면의 필름(23, 24)에 형성된 각 슬릿(17)에 댄다. 다만 노즐(43, 44)이 전진위치에 위치결정되었을 때에, 양쪽 분출개구(43a, 44a) 사이에는 필름(23, 24)의 두께보다 약간 넓은 소정의 간격(L)을 두고(도19(a) 참조), 이 간격(L)은 노즐(43, 44)이 상기 전진위치로부터 후퇴할 때까지 변화되지 않는다. 양쪽 분출개구(43a, 44a) 사이에 간격(L)을 둠으로써, 기체의 분출중에 필름(23, 24) 사이에 틈새가 형성된다.
또한 노즐(43, 44)의 분출개구(43a, 44a)의 내경은 슬릿(17)이 형성된 부분에 있어서의 에어백부(16)의 지름보다 작고, 또한 전진위치에 있어서 분출개구(43a, 44a)의 중심이 거리(M)만큼 상하로 어긋나서 배치된다(도19(b) 참조).
다음에 도16∼21을 참조하여, [제5형태]의 기체봉입방법에 대해서 [제1형태]에서 한 설명을 모방하여 설명한다.
(1) 정지위치(I)(자루공급공정위치)에 있어서, 컨베이어 매거진식 자루공급장치(22)로부터 에어백 부착 자루(11)가 그리퍼(41, 19)에 공급되어, 도16(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그리퍼(41)가 밀봉부(12)의 소정의 위치를 협지하고, 그리퍼(19)가 밀봉부(13)의 소정의 위치를 협지한다(그리퍼(19) 및 밀봉부(13)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 도20(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에어백부(16)의 협폭부(16a)를 협지하는 그립편(45, 46)의 대향면(45A, 46A) 상호간에, 홈(47)에 대응하여 간격(J)이 형성되어 있다. 협폭부(16a)중에 그리퍼(41)(그립편(45, 46))에 의하여 협지되는 부위는, 차단용 그리퍼(42)(및 그립편(46))가 협지하는 부위(본 발명에서는 차단부위라고 한다)의 근방에 위치하고, 본 발명에서는 이것을 제한부위라고 한다.
(2) 정지위치(II) ∼(IV)에 있어서, 인쇄공정, 개구공정 및 충전공정이 실시된다.
(3) 정지위치(V) (기체충전공정위치)에 있어서, 도16(b), (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노즐(43, 44)이 전진하고 기체의 분출이 시작된다. 기체의 분출시작까지는 노즐(43, 44)의 분출개구(43a, 44a)가 에어백부(16)의 필름(23, 24)으로부터 분리되어 있지만, 양쪽 노즐(43, 44)로부터 기체의 분출을 시작하면, 양쪽 필름(23, 24)에 형성된 슬릿(17) 및 그 주변에 있어서 에어백부(16)가 팽창하고, 필름(23, 24)이 각각 노즐(43, 44)의 분출개구(43a, 44a)에 밀착하고, 이후에 양쪽 필름(23, 24)에 형성된 슬릿(17)을 통하여 기체가 효율적으로 에어백부(16)내에 흡입된다.
기체의 분출에 의하여 에어백부(16)내의 기압이 높아져, 협폭부(16a)중에 그립편(45, 46)에 의하여 끼워져 있었던 부위(상기 제한부위)에서도 에어백부(16)가 팽창하려고 하지만, 도20(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한부위의 팽창은 그립편(45, 46)의 대향면(45A, 46A)으로 제한되어, 동 부위 및 그 근방에서는 에어백부(16)의 팽창형태는 편평형상으로 제한되어 있다. 에어백부(16)에 흡입된 기체는, 상기 제한부위에 있어서의 양쪽 필름(23, 24) 사이의 틈새로부터 하방으로 흐르고, 상기 제한부위보다 하방의 에어백부(16)는 기체압에 따라 자유팽창한다.
이어서 도17(a) 및 도21(a),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차단용 그리퍼(42)가 닫히고, 그립편(45)의 횡행부(45a, 45b) 사이(상기 제한부위 사이)에 설정된 상기 차단부위를 그립편(46)과의 사이에서 양면으로부터 협지하여, 슬릿(17)과 에어백부(16)내의 기체의 흐름을 차단한다. 이어서 도17(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노즐(43, 44)이 대기위치로 후퇴한다.
(4) 정지위치(VI)∼(VII)에 있어서, 제1밀봉공정(도17(c) 참조) 및 제2밀봉공정이 이루어진다.
(5) 정지위치(VIII)에 있어서, 밀봉부 냉각공정(도18(a) 참조))이 이루어지고, 이어서 냉각중에 차단용 그리퍼(42) 및 자루이송용 그리퍼(41, 19)가 열리고(자루이송용 그리퍼(19)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 또한 냉각판(34)이 열려(도18(b) 참조) 에어백 부착 자루(11P)(에어백 부착 자루 제품)가 낙하하고, 슈트(35)에 의하여 장치외부로 배출된다. 또 차단용 그리퍼(42)는 제1밀봉공정 또는 제2밀봉공정이 종료된 단계에서 열어도 좋다.
이상 본 발명의 제1∼제5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그 외에도 다음과 같은 형태가 생각된다.
(1) 이상의 설명에서는 자루이송용 그리퍼(18), 자루이송용 그리퍼(41)의 그립편(45) 및 팽창제한 그리퍼(36, 37)는 정면에서 볼 때에 대략 ㄷ자 모양을 하고, 그 상하의 횡행부에 의하여 밀봉부(12)(특히 협폭부(16a))를 상하 2부분에서 협지하거나 또는 대향면 상호간에 간격(H, J)을 두고 협지하고, 또한 상하의 횡행부 사이(상기 제한부위 사이)에 차단용 그리퍼(21, 42)가 협지하는 차단부위를 설정하고 있었지만, 자루이송용 그리퍼(18), 자루이송용 그리퍼(41)의 그립편(45) 및 팽창제한 그리퍼(36, 37)가 협지하거나 또는 대향면 상호간에 간격(H, J)을 두고 협지하는 제한부위는, 상기 차단부위의 근방이면 밀봉부(12)(특히 협폭부(16a))상의 1부분에서도 좋다.
(2) 이상의 설명에서는, 에어백 부착 자루(11, 11A)의 에어백부의 상단에 슬릿(17)을 형성하고 있었지만, 슬릿(17) 대신에 구멍을 형성하더라도 좋다.
(3) 제5형태에 있어서 자루이송용 그리퍼(41)의 그립편(45)에 형성된 홈(47)은 팽창제한 그리퍼(36, 37)에도 적용할 수 있다.
11, 11A ; 에어백 부착 자루
12, 13 ; 테두리의 밀봉부
14 ; 자루입구
16 ; 에어백부
16a ; 에어백부의 협폭부
17 ; 슬릿
18 ; 자루이송용 그리퍼(팽창제한기능 부착)
19 ; 자루이송용 그리퍼
21 ; 차단용 그리퍼
28, 43, 44 ; 기체분출용 노즐
29 ; 수용부재
36, 37 ; 팽창제한 그리퍼
41 ; 자루이송용 그리퍼(팽창제한기능 및 차단기능 부착)

Claims (22)

  1. 자루의 테두리의 밀봉부에 세로방향으로 연장되는 에어백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에어백부를 구성하는 필름면에 에어백부내와 자루외를 통하게 하는 슬릿(slit) 또는 구멍이 형성된 에어백 부착 자루를 사용하고, 압력기체 공급원(壓力氣體 供給源)에 접속된 노즐의 분출구를 상기 슬릿 또는 구멍에 대고, 상기 노즐로부터 상기 슬릿 또는 구멍을 통하여 상기 에어백부내로 기체를 분출하고, 분출이 계속되는 중에 상기 슬릿 또는 구멍의 근방에 설정된 차단부위를 자루의 양면으로부터 차단용 그리퍼에 의하여 협지하고, 이에 따라 상기 슬릿 또는 구멍과 상기 에어백부내의 기체의 흐름을 차단한 후에, 그 차단상태를 유지한 채 상기 슬릿 또는 구멍, 또는 상기 슬릿 또는 구멍의 근방에서 자루를 양면으로부터 열판(熱板)으로 협압(挾壓)하고, 상기 슬릿 또는 구멍, 또는 상기 슬릿 또는 구멍의 근방을 밀봉하여 기체를 에어백부내에 봉입하는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방법(氣體封入方法)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부내로 기체를 분출하여 상기 에어백부를 팽창시킬 때에, 상기 차단부위의 근방에 설정된 제한부위의 팽창을 자루의 양면으로부터 제한하여 동(同) 부위의 팽창형태를 편평형상(扁平形狀)으로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부내로 기체를 분출하기 전에 상기 제한부위를 자루의 양면으로부터 팽창제한 그리퍼에 의하여 협지하고, 그때의 상기 팽창제한 그리퍼의 대향면 상호간의 간격이 상기 제한부위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부의 필름의 두께보다 넓게 설정되고, 이에 따라 기체를 분출했을 때에 상기 제한부위에 있어서 기체가 흐르고 또한 동 부위의 팽창형태가 편평형상으로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제한 그리퍼의 대향면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위를 협지하는 부분에 홈(groove)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부내로 기체를 분출하기 전에 상기 제한부위를 자루의 양면으로부터 팽창제한 그리퍼에 의하여 협지하고, 상기 에어백부내로 기체를 분출했을 때에 상기 제한부위가 팽창하여 상기 팽창제한 그리퍼의 대향면 상호간의 간격을 그 협지력에 저항하여 넓히고, 이에 따라 상기 제한부위에 있어서 기체가 흐르고 또한 동 부위의 팽창형태가 편평형상으로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방법.
  5. 자루의 테두리의 밀봉부에 세로방향으로 연장되는 에어백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에어백부를 구성하는 필름면에 에어백부내와 자루외를 통하게 하는 슬릿 또는 구멍이 자루입구 근방에 형성된 에어백 부착 자루를 사용하고, 상기 에어백 부착 자루의 양측 테두리를 좌우 한 쌍의 자루이송용 그리퍼에 의하여 협지하여 자루를 매어단 모양으로 유지하고, 소정의 이송경로를 따라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이송하고, 그 이송과정에서 압력기체 공급원에 접속된 노즐의 분출구를 상기 슬릿 또는 구멍에 대고, 상기 노즐로부터 상기 슬릿 또는 구멍을 통하여 상기 에어백부내로 기체를 분출하고, 분출이 계속되는 중에 상기 슬릿 또는 구멍의 근방에 설정된 차단부위를 자루의 양면으로부터 차단용 그리퍼에 의하여 협지하고, 이에 따라 상기 슬릿 또는 구멍과 상기 에어백부내의 기체의 흐름을 차단한 후에, 그 차단상태를 유지한 채 상기 슬릿 또는 구멍, 또는 상기 슬릿 또는 구멍의 근방에서 자루를 양면으로부터 열판으로 협압하고, 상기 슬릿 또는 구멍, 또는 상기 슬릿 또는 구멍의 근방을 밀봉하여 기체를 에어백부내에 봉입하는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방법에 있어서,
    상기 자루이송용 그리퍼가 상기 차단부위의 근방에 설정된 제한부위를 자루의 양면으로부터 협지하고, 그때의 상기 자루이송용 그리퍼의 대향면 상호간의 간격이 상기 제한부위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부의 필름의 두께보다 넓게 설정되고, 이에 따라 기체를 분출했을 때에 상기 제한부위에 있어서 기체가 흐르고 또한 동 부위의 팽창형태가 편평형상으로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자루이송용 그리퍼의 대향면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위를 협지하는 부분에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방법.
  7. 자루의 테두리의 밀봉부에 세로방향으로 연장되는 에어백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에어백부를 구성하는 필름면에 에어백부내와 자루외를 통하게 하는 슬릿 또는 구멍이 자루입구 근방에 형성된 에어백 부착 자루를 사용하고, 상기 에어백 부착 자루의 양측 테두리를 좌우 한 쌍의 자루이송용 그리퍼에 의하여 협지하여 자루를 매어단 모양으로 유지하고, 소정의 이송경로를 따라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이송하고, 그 이송과정에서 압력기체 공급원에 접속된 노즐의 분출구를 상기 슬릿 또는 구멍에 대고, 상기 노즐로부터 상기 슬릿 또는 구멍을 통하여 상기 에어백부내로 기체를 분출하고, 분출이 계속되는 중에 상기 슬릿 또는 구멍의 근방에 설정된 차단부위를 자루의 양면으로부터 차단용 그리퍼에 의하여 협지하고, 이에 따라 상기 슬릿 또는 구멍과 상기 에어백부내의 기체의 흐름을 차단한 후에 그 차단상태를 유지한 채 상기 슬릿 또는 구멍, 또는 상기 슬릿 또는 구멍의 근방에서 자루를 양면으로부터 열판으로 협압하고, 상기 슬릿 또는 구멍, 또는 상기 슬릿 또는 구멍의 근방을 밀봉하여 기체를 에어백부내에 봉입하는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방법에 있어서,
    상기 자루이송용 그리퍼가 상기 차단부위의 근방에 설정된 제한부위를 자루의 양면으로부터 협지하고, 상기 에어백부내로 기체를 분출했을 때에 상기 제한부위가 팽창하여 상기 자루이송용 그리퍼의 대향면 상호간의 간격을 그 협지력에 저항하여 넓히고, 이에 따라 상기 제한부위에 있어서 기체가 흐르고 또한 동 부위의 팽창형태가 편평형상으로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위가 상기 차단부위의 상하 2부분에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방법.
  9. 제1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 또는 구멍이 에어백부의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근방이 상기 슬릿 또는 구멍의 바로 아래 위치에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 또는 구멍이 에어백부의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근방이 상기 슬릿 또는 구멍의 바로 아래 위치에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방법.
  11. 자루의 테두리의 밀봉부에 세로방향으로 연장되는 에어백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에어백부를 구성하는 필름면에 에어백부내와 자루외를 통하게 하는 슬릿 또는 구멍이 형성된 에어백 부착 자루를 사용하고, 상기 에어백 부착 자루의 양측 테두리를 좌우 한 쌍의 자루이송용 그리퍼에 의하여 협지하여 자루를 매어단 모양으로 유지하고, 소정의 이송경로를 따라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이송하고, 그 이송과정에서 상기 에어백부에 기체를 봉입하는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장치에 있어서,
    압력기체 공급원에 접속되어서 상기 이송경로의 근방에 배치되어 상기 에어백 부착 자루를 향하여 진퇴하고, 전진위치에 있어서 선단의 분출개구를 상기 슬릿 또는 구멍에 대고, 상기 슬릿 또는 구멍을 통하여 상기 에어백부내로 기체를 분출하는 노즐(nozzle)과,
    각 자루이송용 그리퍼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각 자루이송용 그리퍼와 함께 이동하고 상기 노즐에 의한 기체의 분출이 계속되는 중에 상기 슬릿 또는 구멍의 근방에 설정된 차단부위를 자루의 양면으로부터 협지하여 상기 슬릿 또는 구멍과 상기 에어백부내의 기체의 흐름을 차단하는 차단용 그리퍼와,
    상기 이송경로의 근방의 상기 노즐보다 하류측에 배치되어, 상기 차단용 그리퍼가 차단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사이에 상기 슬릿 또는 구멍, 또는 상기 슬릿 또는 구멍의 근방에서 자루를 양면으로부터 협지하고, 상기 슬릿 또는 구멍, 또는 상기 슬릿 또는 구멍의 근방을 밀봉하는 한 쌍의 열판과,
    또한 상기 노즐이 상기 에어백부내로 기체를 분출하기 전에 상기 차단부위의 근방에 설정된 제한부위를 자루의 양면으로부터 협지하는 팽창제한 그리퍼를
    구비하고,
    상기 팽창제한 그리퍼가 상기 제한부위를 협지했을 때의 상기 팽창제한 그리퍼의 대향면 상호간의 간격이 상기 제한부위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부의 필름의 두께보다 넓게 설정되고, 이에 따라 기체를 분출했을 때에 상기 제한부위에 있어서 기체가 흐르고 또한 동 부위의 팽창형태가 편평형상으로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제한 그리퍼의 대향면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위를 협지하는 부분에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장치.
  13. 자루의 테두리의 밀봉부에 세로방향으로 연장되는 에어백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에어백부를 구성하는 필름면에 에어백부내와 자루외를 통하게 하는 슬릿 또는 구멍이 형성된 에어백 부착 자루를 사용하고, 상기 에어백 부착 자루의 양측 테두리를 좌우 한 쌍의 자루이송용 그리퍼에 의하여 협지하여 자루를 매어단 모양으로 유지하고, 소정의 이송경로를 따라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이송하고, 그 이송과정에서 상기 에어백부에 기체를 봉입하는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장치에 있어서,
    압력기체 공급원에 접속되어서 상기 이송경로의 근방에 배치되고, 상기 에어백 부착 자루를 향하여 진퇴하고, 전진위치에 있어서 선단의 분출개구를 상기 슬릿 또는 구멍에 대고, 상기 슬릿 또는 구멍을 통하여 상기 에어백부내로 기체를 분출하는 노즐과,
    각 자루이송용 그리퍼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각 자루이송용 그리퍼와 함께 이동하고, 상기 노즐에 의한 기체의 분출이 계속되는 중에 상기 슬릿 또는 구멍의 근방에 설정된 차단부위를 자루의 양면으로부터 협지하여 상기 슬릿 또는 구멍과 상기 에어백부내의 기체의 흐름을 차단하는 차단용 그리퍼와,
    상기 이송경로의 근방의 상기 노즐 및 수용부재보다 하류측에 배치되고, 상기 차단용 그리퍼가 차단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사이에 상기 슬릿 또는 구멍, 또는 상기 슬릿 또는 구멍의 근방에서 자루를 양면으로부터 협지하고, 상기 슬릿 또는 구멍, 또는 상기 슬릿 또는 구멍의 근방을 밀봉하는 한 쌍의 열판과,
    또한 상기 노즐이 상기 에어백부내로 기체를 분출하기 전에 상기 차단부위의 근방에 설정된 제한부위를 자루의 양면으로부터 협지하는 팽창제한 그리퍼를
    구비하고,
    기체를 분출했을 때에 상기 제한부위가 팽창하여 상기 팽창제한 그리퍼의 대향면 상호간의 간격을 그 협지력에 저항하여 넓히고, 이에 따라 상기 제한부위에 있어서 기체가 흐르고 또한 동 부위의 팽창형태가 편평형상으로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장치.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부착 자루는 에어백부의 슬릿 또는 구멍이 자루입구 근방에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열판은 상기 슬릿 또는 구멍, 또는 상기 슬릿 또는 구멍의 근방을 밀봉함과 아울러 자루입구를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장치.
  15. 자루의 테두리의 밀봉부에 세로방향으로 연장되는 에어백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에어백부를 구성하는 필름면에 에어백부내와 자루외를 통하게 하는 슬릿 또는 구멍이 자루입구 근방에 형성된 에어백 부착 자루를 사용하고, 상기 에어백 부착 자루의 양측 테두리를 좌우 한 쌍의 자루이송용 그리퍼에 의하여 협지하여 자루를 매어단 모양으로 유지하고, 소정의 이송경로를 따라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이송하고, 그 이송과정에서 상기 에어백부에 기체를 봉입하는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장치에 있어서,
    압력기체 공급원에 접속되어서 상기 이송경로의 근방에 배치되고, 상기 에어백 부착 자루를 향하여 진퇴하고, 전진위치에 있어서 선단의 분출개구를 상기 슬릿 또는 구멍에 대고, 상기 슬릿 또는 구멍을 통하여 상기 에어백부내로 기체를 분출하는 노즐과,
    각 자루이송용 그리퍼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각 자루이송용 그리퍼와 함께 이동하고, 상기 노즐에 의한 기체의 분출이 계속되는 중에 상기 슬릿 또는 구멍의 근방에 설정된 차단부위를 자루의 양면으로부터 협지하여 상기 슬릿 또는 구멍과 상기 에어백부내의 기체의 흐름을 차단하는 차단용 그리퍼와,
    상기 이송경로의 근방의 상기 노즐보다 하류측에 배치되고, 상기 차단용 그리퍼가 차단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사이에 상기 슬릿 또는 구멍, 또는 상기 슬릿 또는 구멍의 근방에서 자루를 양면으로부터 협지하고, 상기 슬릿 또는 구멍, 또는 상기 슬릿 또는 구멍의 근방을 밀봉하는 한 쌍의 열판을
    구비하고,
    상기 자루이송용 그리퍼가 상기 차단부위의 근방에 설정된 제한부위를 협지하고, 상기 제한부위를 협지했을 때의 상기 자루이송용 그리퍼의 대향면 상호간의 간격이 상기 제한부위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부의 필름의 두께보다 넓게 설정되고, 이에 따라 기체를 분출했을 때에 상기 제한부위에 있어서 기체가 흐르고 또한 동 부위의 팽창형태가 편평형상으로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자루이송용 그리퍼의 대향면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위를 협지하는 부분에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장치.
  17. 자루의 테두리의 밀봉부에 세로방향으로 연장되는 에어백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에어백부를 구성하는 필름면에 에어백부내와 자루외를 통하게 하는 슬릿 또는 구멍이 자루입구 근방에 형성된 에어백 부착 자루를 사용하고, 상기 에어백 부착 자루의 양측 테두리를 좌우 한 쌍의 자루이송용 그리퍼에 의하여 협지하여 자루를 매어단 모양으로 유지하고, 소정의 이송경로를 따라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이송하고, 그 이송과정에서 상기 에어백부에 기체를 봉입하는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장치에 있어서,
    압력기체 공급원에 접속되어서 상기 이송경로의 근방에 배치되고, 상기 에어백 부착 자루를 향하여 진퇴하고, 전진위치에 있어서 선단의 분출개구를 상기 슬릿 또는 구멍에 대고, 상기 슬릿 또는 구멍을 통하여 상기 에어백부내로 기체를 분출하는 노즐과,
    각 자루이송용 그리퍼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각 자루이송용 그리퍼와 함께 이동하고, 상기 노즐에 의한 기체의 분출이 계속되는 중에 상기 슬릿 또는 구멍의 근방에 설정된 차단부위를 자루의 양면으로부터 협지하여 상기 슬릿 또는 구멍과 상기 에어백부내의 기체의 흐름을 차단하는 차단용 그리퍼와,
    상기 이송경로의 근방의 상기 노즐보다 하류측에 배치되고, 상기 차단용 그리퍼가 차단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사이에 상기 슬릿 또는 구멍, 또는 상기 슬릿 또는 구멍의 근방에서 자루를 양면으로부터 협지하고, 상기 슬릿 또는 구멍, 또는 상기 슬릿 또는 구멍의 근방을 밀봉하는 한 쌍의 열판을
    구비하고,
    상기 자루이송용 그리퍼가 상기 차단부위의 근방에 설정된 제한부위를 협지하고, 기체를 분출했을 때에 상기 제한부위가 팽창하여 상기 자루이송용 그리퍼의 대향면 상호간의 간격을 그 협지력에 저항하여 넓히고, 이에 따라 상기 제한부위에 있어서 기체가 흐르고 또한 동 부위의 팽창형태가 편평형상으로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장치.
  18. 제15항 내지 제17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열판은 상기 슬릿 또는 구멍, 또는 상기 슬릿 또는 구멍의 근방을 밀봉함과 아울러 자루입구를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장치.
  19. 제11항 내지 제13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위가 상기 차단부위의 상하 2부분에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장치.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위가 상기 차단부위의 상하 2부분에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장치.
  21. 제15항 내지 제17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위가 상기 차단부위의 상하 2부분에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장치.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위가 상기 차단부위의 상하 2부분에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장치.
KR1020130142723A 2012-12-22 2013-11-22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방법 및 기체봉입장치 KR1018757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80371 2012-12-22
JPJP-P-2012-280371 2012-12-22
JP2013042722A JP6033126B2 (ja) 2012-12-22 2013-03-05 エアバッグ付き袋への気体封入方法及び気体封入装置
JPJP-P-2013-042722 2013-03-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2561A true KR20140082561A (ko) 2014-07-02
KR101875719B1 KR101875719B1 (ko) 2018-08-02

Family

ID=49998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2723A KR101875719B1 (ko) 2012-12-22 2013-11-22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방법 및 기체봉입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920882B2 (ko)
EP (1) EP2746169B1 (ko)
JP (1) JP6033126B2 (ko)
KR (1) KR101875719B1 (ko)
CN (1) CN103879668B (ko)
DK (1) DK2746169T3 (ko)
ES (1) ES2629020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08204B2 (ja) * 2013-07-29 2018-10-17 凸版印刷株式会社 自立パウチ
JP6218669B2 (ja) * 2014-05-13 2017-10-25 東洋自動機株式会社 エアバッグ付き袋への気体封入方法及び気体封入装置
JP2016055878A (ja) 2014-09-05 2016-04-21 東洋自動機株式会社 気体流路付き袋並びに袋の包装方法及び装置
EP3067282B1 (en) * 2015-03-13 2018-03-28 Ecolean AB Apparatus and method for filling a pouch type package
JP6537961B2 (ja) 2015-12-02 2019-07-03 東洋自動機株式会社 超音波シール方法及び装置
JP6741557B2 (ja) * 2016-11-01 2020-08-19 花王株式会社 シート材容器の製造方法
CN108568161A (zh) * 2018-06-26 2018-09-25 江苏蓝天环保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防静电滤袋及其生产装置
JP7386126B2 (ja) * 2020-05-28 2023-11-24 Pacraft株式会社 気体封入方法及び気体封入装置
NL2028767B1 (en) * 2021-07-16 2023-01-23 Dd Innovations B V Device for packaging of medicine-units
CN115303539B (zh) * 2022-08-02 2023-10-13 安徽立众新材料科技有限公司 食品用具有漏气检测机构的环保型氮气包装装置及方法
CN117141053B (zh) * 2023-10-27 2024-01-05 湖南大道新材料有限公司 一种双子袋生产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4073A (ja) 1974-06-21 1976-01-13 Ebara Infilco Makuosenbutsushitsunojokyohoho
JP2006123931A (ja) * 2004-10-27 2006-05-18 Toyo Jidoki Co Ltd エアバッグ付き袋のエアバッグ充填方法及びエアバッグ付き袋の包装方法
JP2007118961A (ja) * 2005-10-25 2007-05-17 Toyo Jidoki Co Ltd エアバッグ付き袋への気体封入方法及びエアバッグ付き袋の包装方法
JP2010540278A (ja) * 2007-09-28 2010-12-24 エコリーン・リサーチ・アンド・ディベロップメント・エー/エス 容器のハンドル部分のガス充填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251672A (ko) * 1968-02-29 1971-10-27
BE850434A (fr) * 1977-01-17 1977-07-18 Ucb Sa Sachet souple a poignee pour l'emballage de liquides
CA1179996A (en) * 1980-10-17 1984-12-27 Noboru Wakayama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and continuously filling and sealing pouches with a filling material
JPS63162437A (ja) * 1986-12-20 1988-07-06 株式会社エクス 真空包装装置
US6877601B1 (en) * 1998-10-29 2005-04-12 Tres Fresh L.L.C. Packaging system for extending the shelf life of moisture-containing foods
JP3969712B2 (ja) * 2002-06-14 2007-09-05 東洋自動機株式会社 袋詰め包装機における脱気方法及び脱気装置
AU2006252840A1 (en) * 2005-05-27 2006-12-07 The Glad Products Company Device and method for evacuating a storage bag
JP4684079B2 (ja) * 2005-10-25 2011-05-18 東洋自動機株式会社 エアバッグ付き袋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エアバッグ付き袋への気体封入方法及びエアバッグ付き袋の包装方法
US7389627B2 (en) * 2005-11-03 2008-06-24 David Miles Method of shipping container with expanding bag
JP5104073B2 (ja) 2007-07-03 2012-12-19 凸版印刷株式会社 エアバッグ付スタンディングパウチ
MX2011004273A (es) * 2008-10-23 2011-05-24 Procter & Gamble Sistema y dispensador de material y metodo para su elaboracion.
US8745960B2 (en) * 2009-05-05 2014-06-10 Sealed Air Corporation (Us) Apparatus and method for inflating and sealing an inflatable mailer
JP5399224B2 (ja) * 2009-12-11 2014-01-29 東洋自動機株式会社 袋詰め包装機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4073A (ja) 1974-06-21 1976-01-13 Ebara Infilco Makuosenbutsushitsunojokyohoho
JP2006123931A (ja) * 2004-10-27 2006-05-18 Toyo Jidoki Co Ltd エアバッグ付き袋のエアバッグ充填方法及びエアバッグ付き袋の包装方法
JP2007118961A (ja) * 2005-10-25 2007-05-17 Toyo Jidoki Co Ltd エアバッグ付き袋への気体封入方法及びエアバッグ付き袋の包装方法
JP4771785B2 (ja) 2005-10-25 2011-09-14 東洋自動機株式会社 エアバッグ付き袋への気体封入方法及びエアバッグ付き袋の包装方法
JP2010540278A (ja) * 2007-09-28 2010-12-24 エコリーン・リサーチ・アンド・ディベロップメント・エー/エス 容器のハンドル部分のガス充填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46169A1 (en) 2014-06-25
JP6033126B2 (ja) 2016-11-30
KR101875719B1 (ko) 2018-08-02
EP2746169B1 (en) 2017-06-14
JP2014139090A (ja) 2014-07-31
DK2746169T3 (en) 2017-09-25
ES2629020T3 (es) 2017-08-07
CN103879668B (zh) 2017-08-04
US20140182244A1 (en) 2014-07-03
CN103879668A (zh) 2014-06-25
US9920882B2 (en) 2018-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5719B1 (ko)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방법 및 기체봉입장치
KR101877871B1 (ko)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방법 및 기체봉입장치
JP4771785B2 (ja) エアバッグ付き袋への気体封入方法及びエアバッグ付き袋の包装方法
US8661772B2 (en) Method for sealing-in a gas in a bag with a gas filling compartment
KR101805208B1 (ko) 봉지입구의 개구방법 및 개구장치
KR102118889B1 (ko)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방법 및 기체봉입장치
JP6173957B2 (ja) 袋詰め包装方法及び袋詰め包装機
KR101899771B1 (ko)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방법 및 기체봉입장치
KR101911862B1 (ko) 에어백 부착 자루의 에어백부의 기체압력검사장치
KR20160011568A (ko) 자루의 스파우트 부착부를 개구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60122057A1 (en) Packaging Machine
KR20160029676A (ko) 기체유로 부착 자루와 자루의 포장방법 및 장치
KR102232917B1 (ko) 초음파 밀봉방법 및 장치
JP2016120951A (ja) 袋の包装方法及び包装用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