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1544A - 돌출부를 구비하는 반도체 칩, 이의 적층 패키지 및 적층 패키지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돌출부를 구비하는 반도체 칩, 이의 적층 패키지 및 적층 패키지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1544A
KR20140081544A KR20120151421A KR20120151421A KR20140081544A KR 20140081544 A KR20140081544 A KR 20140081544A KR 20120151421 A KR20120151421 A KR 20120151421A KR 20120151421 A KR20120151421 A KR 20120151421A KR 20140081544 A KR20140081544 A KR 201400815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miconductor
package
semiconductor chip
protrusion
stack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151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은
조철호
신희민
이규원
조종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20151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81544A/ko
Priority to US13/846,713 priority patent/US9093441B2/en
Publication of KR20140081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15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01L23/48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consisting of soldered or bonded constructions
    • H01L23/498Leads, i.e. metallisations or lead-frames on insulating substrates, e.g. chip carriers
    • H01L23/49827Via connections through the substrates, e.g. pins going through the substrate, coaxial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12Mountings, e.g. non-detachable insulating substr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35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temporarily an auxiliary support
    • H01L21/6836Wafer tapes, e.g. grinding or dicing support tap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91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bodies including different method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of groups H01L24/80 - H01L24/90
    • H01L24/92Specific sequence of method ste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0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 H01L25/04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5/041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31/00
    • H01L25/043Stacked arrangements of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0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 H01L25/04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5/065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 H01L25/0652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the devices being arranged next and on each other, i.e. mixed assembl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0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 H01L25/04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5/065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 H01L25/0657Stacked arrangements of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0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 H01L25/04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5/075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33/00
    • H01L25/0756Stacked arrangements of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50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assemblies consisting of devices, each device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or H01L29/0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 capacitors or resistor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 H01L29/0657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covered by H01L21/00
    • H01L2221/67Apparatus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221/683Apparatus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221/68304Apparatus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temporarily an auxiliary support
    • H01L2221/68327Apparatus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temporarily an auxiliary support used during dicing or grin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2Bonding area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04042Bonding areas specifically adapted for wire connectors, e.g. wirebond p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26Layer connectors, e.g. plate connectors, solder or adhesive laye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31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32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layer connector
    • H01L2224/321Disposition
    • H01L2224/32135Disposition the layer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different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i.e. chip-to-chip
    • H01L2224/32145Disposition the layer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different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i.e. chip-to-chip the bodies being stack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26Layer connectors, e.g. plate connectors, solder or adhesive laye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31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32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layer connector
    • H01L2224/321Disposition
    • H01L2224/32151Disposition the layer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32221Disposition the layer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32225Disposition the layer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1Disposition
    • H01L2224/4815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4822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48225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 H01L2224/48227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connecting the wire to a bond pad of the it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9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 plurality of wire connectors
    • H01L2224/491Disposition
    • H01L2224/4912Layout
    • H01L2224/49174Stacked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73Means for bonding being of different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of groups H01L2224/10, H01L2224/18, H01L2224/26, H01L2224/34, H01L2224/42, H01L2224/50, H01L2224/63, H01L2224/71
    • H01L2224/732Location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73251Location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n different surfaces
    • H01L2224/73265Layer and wire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74Apparatus for manufacturing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for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78Apparatus for connecting with wire connectors
    • H01L2224/7825Means for applying energy, e.g. heating means
    • H01L2224/783Means for applying energy, e.g. heating means by means of pressure
    • H01L2224/78343Means for applying energy, e.g. heating means by means of pressure by ultrasonic vibrations
    • H01L2224/78344Eccentric cams
    • H01L2224/78346Eccentric cams in the upper part of the bonding apparatus, e.g. in the capillary or wed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91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bodies including different method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of groups H01L2224/80 - H01L2224/90
    • H01L2224/92Specific sequence of method steps
    • H01L2224/922Connecting different surfaces of the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with connectors of different types
    • H01L2224/9222Sequential connecting processes
    • H01L2224/92242Sequential connecting processes the first connecting process involving a layer connector
    • H01L2224/92247Sequential connecting processes the first connecting process involving a layer connector the second connecting process involving a wire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5/00Details relating to assemblies covered by the group H01L25/00 but not provided for in its subgroups
    • H01L2225/03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 H01L2225/04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225/065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 H01L2225/06503Stacked arrangements of devices
    • H01L2225/0651Wire or wire-like electrical connections from device to substr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5/00Details relating to assemblies covered by the group H01L25/00 but not provided for in its subgroups
    • H01L2225/03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 H01L2225/04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225/065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 H01L2225/06503Stacked arrangements of devices
    • H01L2225/06555Geometry of the stack, e.g. form of the devices, geometry to facilitate stacking
    • H01L2225/06562Geometry of the stack, e.g. form of the devices, geometry to facilitate stacking at least one device in the stack being rotated or offs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26Layer connectors, e.g. plate connectors, solder or adhesive laye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31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4/32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layer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4/49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 plurality of wire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73Means for bonding being of different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of groups H01L24/10, H01L24/18, H01L24/26, H01L24/34, H01L24/42, H01L24/50, H01L24/63, H01L24/71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74Apparatus for manufacturing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 H01L24/78Apparatus for connecting with wire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14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the subject-matter covered by the group, the symbol of which is combined with the symbol of this group, being disclosed without further technical 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015Shape
    • H01L2924/10155Shape being other than a cuboi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015Shape
    • H01L2924/10155Shape being other than a cuboid
    • H01L2924/10158Shape being other than a cuboid at the passive surfa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5Details of package parts other than the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51Die mounting substrate
    • H01L2924/153Connection portion
    • H01L2924/1531Connection portion the connection portion being formed only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opposite to the die mounting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 Wire Bonding (AREA)

Abstract

일 실시 에에 따르는 반도체 패키지는 패키지 기판 및 상기 패키지 기판 상에 적층되는 반도체 칩을 포함한다. 상기 반도체 칩은 에지 영역에 위치하는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돌출부는 하부에 위치하는 반도체 칩 또는 지지층의 측면부와 결합한다.

Description

돌출부를 구비하는 반도체 칩, 이의 적층 패키지 및 적층 패키지의 제조 방법{semiconductor chip having protrusion, stacked package of the same and method of fabricating stacked package}
본 개시(disclosure)는 대체로 반도체 칩 및 이의 패키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반도체 칩, 이의 적층 패키지 및 적층 패키지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이르러, 반도체 패키지 분야의 소형화, 박형화 및 고성능화의 추세가 가속화되고 있다. 일 예로서, 칩 스케일 패키지와 적층 반도체 패키지 기술은 이러한 추세를 대변하고 있는 대표적인 예이다.
적층 반도체 패키지는 반도체 칩의 처리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고안되었으며, 일반적으로, 복수의 반도체 칩을 3차원으로 적층하고 반도체 칩과 기판 사이를 와이어 본딩과 같은 접속 방법으로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러한, 적층 반도체 패키지에 있어서도, 패키지의 소형화, 박형화를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적층되는 반도체 칩의 두께를 지속적으로 감소시키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아울러, 반도체 패키지 내 적층되는 반도체 칩의 두께가 감소됨에 따라, 반도체 패키지의 전기적 신뢰성 및 구조적 신뢰성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연구도 함께 진행되고 있다.
본 개시는 반도체 칩의 적층 구조에 있어서 구조적 신뢰성이 개선된 반도체 패키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가 제공된다. 상기 반도체 패키지는 패키지 기판 및 상기 패키지 기판 상에 적층되는 반도체 칩을 포함한다. 상기 반도체 칩은 에지 영역에 위치하는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돌출부는 하부에 위치하는 반도체 칩 또는 지지층의 측면부와 결합한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가 제공된다. 상기 반도체 패키지는 패키지 기판, 상기 패키지 기판 상에서 제1 방향으로 시프트되어 적층되는 반도체 칩을 포함하는 제1 적층체, 및 상기 제1 적층체 상에서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시프트되어 적층되는 반도체 칩을 포함하는 제2 적층체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적층체 및 상기 제2 적층체의 상기 반도체 칩은 에지 영역에 위치하는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돌출부는 하부에 위치하는 반도체 칩 또는 지지층의 측면부와 결합한다.
본 개시의 또다른 측면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반도체 칩이 제1 면에 형성되는 웨이퍼를 준비한다. 상기 제1 면에 반대쪽인 상기 웨이퍼의 제2 면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규칙적으로 배열되는 단차 패턴을 형성한다. 상기 웨이퍼를 절단하여 상기 복수의 반도체 칩을 개별 반도체 칩으로 분리하되, 상기 개별 반도체 칩의 에지 영역에는 상기 단차 패턴으로부터 기인하는 돌출부를 배치시킨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반도체 칩이 적층되는 패키지 구조에 있어서, 일 반도체 칩의 에지 영역에 위치하는 돌출부가 하부에 배치된 다른 반도체 칩의 측면부와 결합하여 지지력을 부가함으로써, 반도체 패키지의 구조적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를 따르는 반도체 패키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b는 상기 반도체 패키지 내에서 적층되는 반도체 칩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a 및 2b는 본 출원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적층 반도체 패키지 내의 반도체 칩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반도체 패키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또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반도체 패키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또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반도체 패키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a 및 6b는 본 개시의 일 비교 예에 따르는 반도체 패키지 및 일 실시 예로서의 반도체 패키지의 구조적 신뢰성을 표현하는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또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반도체 패키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 내지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개시에 개시된 기술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단지,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개시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각 장치의 구성요소를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상기 구성요소의 폭이나 두께 등의 크기를 다소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전체적으로 도면 설명시 관찰자 시점에서 설명하였고,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위에 위치하는 것으로 언급되는 경우, 이는 상기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위에 바로 위치하거나 또는 그들 요소들 사이에 추가적인 요소가 개재될 수 있다는 의미를 모두 포함한다. 그리고, 복수의 도면들 상에서 동일 부호는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또,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기술되는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방법 또는 제조 방법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방법을 이루는 각 과정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과정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패키지 기판의 개념은 내부에 집적 회로를 구비하거나, 복층의 적층 구조물을 가지는 대상 기판을 포괄하여 의미할 수 있다.
도 1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를 따르는 반도체 패키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1b는 상기 반도체 패키지 내에서 적층되는 반도체 칩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반도체 패키지(100)는 패키지 기판(110) 및 패키지 기판(110) 상에 적층되는 반도체 칩(120)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일 예로서 4개의 반도체 칩이 패키지 기판(110) 상에 적층되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반도체 칩이 적층되는 다른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키지 기판(110)은 적어도 한층 이상의 집적 회로(112)를 구비할 수 있다. 패키지 기판(110)은 집적 회로(1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반도체 칩(120)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본딩 패드(114)를 구비할 수 있다. 본딩 패드(114)는 반도체 칩(120)이 실장되는 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반도체 칩(120)은 패키지 기판(110) 상에서 계단 형태로 적층될 수 있다. 반도체 칩(120)의 제1 면 상에는 패키지 기판(110)과의 와이어 본딩을 위한 본딩 패드(122)가 배치될 수 있다. 반도체 칩(120)은 본딩 패드(112)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도록 일 방향을 따라 소정의 폭만큼 시프트(shift)된 상태로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적층되는 반도체 칩(120)은 에지 영역에 위치하는 돌출부(124)를 구비할 수 있다. 반도체 칩(120)의 돌출부(124)는 하부에 위치하는 다른 반도체 칩 또는 지지층(130)의 측면부와 결합할 수 있다. 돌출부(124)는 하부에 위치하는 다른 반도체 칩 또는 지지층(130)과의 결합력을 증가시켜 구조적 지지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돌출부(124)의 선폭(Wp)은 반도체 칩(120)이 계단 형태로 적층될 때 각각 시프트되는 폭과 동일할 수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돌출부(124)는 본딩 패드(122)가 배치되는 반도체 칩(120)의 제1 면(120a)의 반대쪽 면인 제2 면(120b)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124)가 제1 면(120a) 상에 투영되는 경우에, 투영된 돌출부(124')는 본딩 패드(122)의 위치를 기준으로 반대쪽 방향에 위치하는 반도체 칩(120)의 에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124)는 반도체 칩(120)과 일체일 수 있으며, 제2 면(120b) 상에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돌출부(124)는 제2 면(120b)에 대하여 균일한 높이(Hp)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돌출부(124)는 상기 제2 면으로부터 적어도 5 ㎛ 이상의 높이를 가지도록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24)의 높이는 반도체 칩의 구조적 신뢰성이 위협받을 수 있는 최저 두께인 약 10 ㎛ 의 두께에 있어서도, 상기 반도체 칩의 두께의 50%에 해당되는 두께일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124)는 반도체 칩(120) 및 이의 적층 패키지(100)에 있어서, 지지력을 부가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돌출부(124)는 제2 면(120b) 상에서 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서, 돌출부(124)는 반도체 칩(120)의 폭(Wc) 대비 1/30 내지 1/40의 선폭(Wp)을 가질 수 있으며, 반도체 칩(120)의 길이(Lc)와 동일한 길이(Lp)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서, 반도체 칩(120)의 폭(Wc)이 약 9 내지 12 mm 일 경우, 돌출부(124)의 폭(Vp)는 약 300 ㎛ 일 수 있다. 반도체 칩(120)의 길이(Lc)가 약 9 내지 12 mm 일 경우, 돌출부(124)의 길이(Lp)도 약 9 내지 12 mm 일 수 있다.
다시 도 1a를 참조하면, 패키지 기판(100) 상에는 지지층(130)이 배치될 수 있다. 지지층(130)은 일 예로서, 집적회로를 구비하지 않는 더미 패턴층일 수 있다. 다르게는, 지지층(130)은 반도체 칩(120)과 패키지 기판(110) 사이의 간격을 메우는 기능을 수행하는 접착층일 수 있다. 지지층(130)은 일 예로서, 절연층 또는 에폭시층일 수 있다. 지지층(130)은 에지 영역에 돌출부를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지지층(130) 상에 반도체 칩(120)이 적층될 수 있다. 이때, 반도체 칩(120)의 돌출부(124)가 지지층(130)의 측면부와 결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반도체 칩(120) 상에 다른 반도체 칩(120)이 적층된다. 이때, 상부에 위치하는 반도체 칩의 돌출부가 하부에 위치하는 반도체 칩의 측면부와 결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복수의 반도체 칩(120)은 돌출부(124)가 형성되는 방향으로 돌출부(124)의 폭(Wp)만큼 시프트되어 패키지 기판(110) 상에 적층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지지층(130)과 반도체 칩(120) 사이에는 접착층이 배치되어, 지지층(130)과 반도체 칩(120)을 접착시킬 수 있다.
적층되는 반도체 칩(120) 사이에는 접착층(140)이 배치되어, 반도체 칩(120) 들을 서로 접합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접착층(140)은 에폭시 등과 같은 공지의 접합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 칩(120)의 제1 면(120a) 상의 본딩 패드(122)는 패키지 기판(110)의 본딩 패드(114)와 본딩 와이어(15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반도체 패키지는 에지 영역에 돌출부를 구비하는 반도체 칩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반도체 칩들은 서로 동종 또는 이종의 칩일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하부에 위치하는 반도체 칩 또는 지지층의 측면부와 결합함으로써, 반도체 패키지의 구조적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일 예로서, 반도체 칩의 두께가 감소됨에 따라, 적층되는 반도체 칩 간에 접합력 약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출부는 하부의 반도체 또는 지지층의 측면부를 추가적으로 지지함으로써, 구조적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a 및 2b는 본 출원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적층 반도체 패키지 내의 반도체 칩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시되는 반도체 칩(220, 240)은 에지 영역에 배치되는 돌출부(224, 244)의 형태를 제외하고는 도 1a 및 1b에 도시되는 반도체 칩(12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2a를 참조하면, 돌출부(224)는 섬(island) 패턴이 부가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돌출부(224)는 반도체 칩(120)의 길이(Lc)보다 짧은 길이(Lp1)을 가질 수 있다. 돌출부(224)는 제2 방향을 따라 반도체 칩(220)의 측면의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다른 예로서, 돌출부(224)가 중앙부에서 벗어나서 배치될 수도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돌출부(244)는 복수의 섬(island) 패턴이 부가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244)는 제2 방향을 따라 반도체 칩(240)의 에지 영역에 분포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반도체 패키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반도체 패키지(300)는 패키지 기판(110) 및 패키지 기판(110) 상에 적층되는 복수의 반도체 칩(320, 322)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키지 기판(110)과 접합하는 반도체 칩(322)은 돌출부를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패키지 기판(110)과 반도체 칩(322) 사이에는 도 1a의 지지층(130)에 대응되는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결론적으로, 반도체 패키지(300)는 도 1a의 지지층(130)에 대응하는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a의 반도체 패키지(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일 수 있다. 반도체 칩(322) 상에는 돌출부(324)를 구비하는 반도체 칩(320)이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324)는 하부에 위치하는 반도체 칩(322, 320)의 측면부와 결합하도록 배치된다.
도 4는 본 개시의 또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반도체 패키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반도체 패키지(400)는 패키지 기판(110) 및 패키지 기판(110) 상에 적층되는 복수의 반도체 칩(420, 430, 440, 450)을 포함한다. 반도체 패키지(400)는 돌출부(424, 434, 444, 454)의 구조를 제외하고는 반도체 패키지(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구체적인 일 실시 예로서, 돌출부(424, 434, 444, 454)는 패키지 기판(110)과 직접 접합할 수 있는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반도체 칩(420, 430, 440, 450)의 돌출부(424, 434, 444. 454)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돌출부(424, 434, 444, 454)가 패키지 기판(110)과 접합하여 반도체 칩(420, 430, 440, 450)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므로, 반도체 패키지(400)의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또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반도체 패키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반도체 패키지(500)은 패키지 기판(110), 패키지 기판(110) 상에서 배치되는 제1 적층체(510) 및 제1 적층체(510) 상에 배치되는 제2 적층체(550)을 포함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1 적층체(510)는 패키지 기판(110) 상에서 제1 방향으로 시프트되어 적층되는 반도체 칩(512)을 포함한다. 패키지 기판(110)과 반도체 칩(512) 사이에는 제1 지지층(514)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지지층(514)은 일 예로서, 집적회로를 구비하지 않는 더미 패턴층일 수 있다. 다르게는, 제1 지지층(514)은 반도체 칩(120)과 패키지 기판(110) 사이의 간격을 메우는 기능을 수행하는 접착층일 수 있다. 제1 지지층(514)은 일 예로서, 절연층 또는 에폭시층일 수 있다.
패키지 기판(110) 상에서 제1 적층체(510)를 포함하는 구조는 도 1의 반도체 패키지(100)의 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패키지 기판(110) 상에서 제1 적층체(510)를 포함하는 구조는 도 3 또는 도 4와 관련하여 상술한 반도체 패키지(300, 400)의 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되는 반도체 칩(512)은 에지 영역에 위치하는 돌출부(518)를 구비할 수 있다. 반도체 칩(512)의 돌출부(518)는 하부에 위치하는 다른 반도체 칩 또는 제1 지지층(514)의 측면부와 결합할 수 있다. 돌출부(518)는 하부에 위치하는 다른 반도체 칩 또는 제1 지지층(514)과의 결합력을 증가시켜 구조적 지지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돌출부(512)의 선폭(Wp1)은 반도체 칩(512)이 적층될 때 제1 방향을 따라 시프트되는 폭과 동일할 수 있다.
선폭, 길이, 높이, 형태, 분포와 같은 돌출부(512)의 구성은 도 1b, 도 2a 또는 2b와 관련하여 상술한 반도체 칩(120, 220, 240)의 돌출부(124, 224, 244) 중 어느 하나와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도 5를 다시 참조하면, 제2 적층체(550)가 제1 적층체(5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적층체(550)는 복수의 반도체 칩(552)을 포함한다. 복수의 반도체 칩(552)은 제1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소정의 폭만큼 각각 시프트되어 적층될 수 있다.
제1 적층체(510)의 반도체 칩(512)과 제2 적층체(550)의 반도체 칩(552) 사이에는 제2 지지층(554)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지지층(554)은 일 예로서, 집적회로를 구비하지 않는 더미 패턴층일 수 있다. 제2 지지층(554)은 제1 적층체(510)의 최상위 반도체 칩(512)과 제2 적층체(550)의 최하위 반도체 칩(514)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지지층(554)은 일 예로서, 절연층 또는 에폭시층일 수 있다.
제2 적층체(550)는 제1 적층체(5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적층되는 반도체 칩(552)은 에지 영역에 위치하는 돌출부(558)를 구비할 수 있다. 반도체 칩(552)의 돌출부(558)는 하부에 위치하는 다른 반도체 칩 또는 제2 지지층(554)의 측면부와 결합할 수 있다. 돌출부(558)는 하부에 위치하는 다른 반도체 칩 또는 제2 지지층(554)과의 결합력을 증가시켜 구조적 지지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돌출부(558)의 선폭(Wp2)은 반도체 칩(552)이 적층될 때 시프트되는 폭과 동일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선폭, 길이, 높이, 형태, 분포와 같은 돌출부(552)의 구성은 제1 적층체(510)의 돌출부(518)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도면에서, 제1 적층체(510)에서 적층되는 반도체 칩(512) 사이에는 접착층(515)이 배치되며, 제2 적층체(550)에서 적층되는 반도체 칩(552) 사이에는 접착층(555)이 배치되어, 반도체 칩(512, 552)들을 서로 접합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반도체 칩(512, 552)의 본딩 패드(516, 556)와 패키지 기판(110)의 본딩 패드(114)는 본딩 와이어(15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적층체(510)의 반도체 칩(512)과 제2 적층체(550)의 반도체 칩(552)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시프트하여 적층되며, 반도체 칩(512, 552)은 돌출부(558)을 구비함으로써, 패키지 구조의 구조적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돌출부와 관련되는 구조적 신뢰성은 일 예로서, 반도체 패키지의 와이어 본딩 공정 과정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도 6a 및 6b는 본 개시의 일 비교 예에 따르는 반도체 패키지 및 일 실시 예로서의 반도체 패키지의 구조적 신뢰성을 표현하는 모식도이다.
일반적으로, 와이어 본딩 공정은 반도체 칩의 본딩 패드 상에 본딩 장치의 캐필러리(610)가 압력과 진동을 인가하여 본딩 와이어를 본딩 패드에 부착시키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이때, 반도체 칩의 두께가 임계값 이하로 감소하는 경우, 반도체 칩은 상기 캐필러리의 압력을 견디지 못하고 파손되거나, 또는 캐필러리(610)의 본딩 공정 중 펄럭임(bouncing) 현상이 반도체 칩에 발생하여 본딩 패드와 본딩 와이어 사이에 접합 불량이 발생될 수 있다. 도 6a는 반도체 칩(652, 612)의 두께가 얇으며 지지층(655)의 두께도 얇은 경우, 본딩 패드(656) 상에서 와이어 본딩 공정의 신뢰성이 낮아질 수 있는 가능성을 표현하고 있다. 즉, 본딩 패드(656) 하부에는 반도체 칩(652), 지지층(644) 및 반도체 칩(612)이 각각 h1, h2 및 h3의 두께를 가지며 배치되어 있다. 와이어 본딩시 본딩 패드(656)에 대해 인가되는 상기 캐필러리의 압력과 진동에 대항하는 하부 지지 구조물의 두께는 h1, h2 및 h3의 합이다. 반도체 칩(652) 및 반도체 칩(612)의 두께 h1 및 h3이 임계치 이하로 감소하는 경우, 본딩 패드(656) 하부에서 상기 캐필러리의 압력 및 진동에 충분히 저항할 수 없어서 상술한 본딩의 접합 불량을 야기할 수 있다.
도 6의 (b)의 경우,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반도체 칩(622, 662)이 돌출부(624, 654)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본딩 패드(656) 상에서 와이어 본딩 공정이 이루어지는 경우, 돌출부(624)가 본딩 패드(656)의 하부에 존재함으로써, 캐필러리(610)의 압력을 돌출부(624)가 추가적으로 나누어 분담할 수 있다. 즉, 와이어 본딩시, 본딩 패드(656)에 대해 인가되는 상기 캐필러리의 압력과 진동에 대항하는 하부 지지 구조물의 두께는 h1', h2', h3' 및 h4의 합이다. 이로서, 와이어 본딩 공정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와이어 본딩 공정 상의 장점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구성으로부터 도출되는 다양한 효과 중의 일 예일 뿐, 유일한 효과에 해당되는 것은 아니다.
도 7은 본 개시의 또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반도체 패키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반도체 패키지(700)은 패키지 기판(110), 패키지 기판(110) 상에서 배치되는 제1 적층체(510) 및 제1 적층체(510) 상에 배치되는 제2 적층체(750)을 포함한다. 반도체 패키지(700)은 제2 적층체(750)의 구조를 제외하고는 도 5의 반도체 패키지(5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이다.
제2 적층체(750)는 제1 적층체(510)의 최상위층의 반도체 칩(502)과 제2 적층체(750)의 최하위 반도체 칩(752) 사이에 도 5의 지지층(554)에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구비하지 않는다. 제2 적층체(750)의 최하위 반도체 칩(752)의 돌출부(758)는 제1 적층체(510)의 반도체 칩(502, 512)의 돌출부(518)의 배향 방향과 동일한 제1 방향으로 위치한다. 또한, 제2 적층체(750)의 최하위 반도체 칩(752)의 본딩 패드(746)는 돌출부(758)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최하위 반도체 칩(752)의 상부에 배치되는 반도체 칩(762)는 돌출부(768)의 위치가 반대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의 610 블록을 참조하면, 복수의 반도체 칩이 제1 면에 형성되는 웨이퍼를 준비한다. 상기 복수의 반도체 칩은 공지의 반도체 공정을 통하여 웨이퍼 상에 완성될 수 있다. 620 블록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면에 반대쪽인 상기 웨이퍼의 제2 면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단차 패턴을 상기 제2 면 상에 형성한다. 상기 단차 패턴은 일 예로서, 기계적 연마법 또는 화학적 식각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630 블록을 참조하면, 상기 웨이퍼를 절단하여 상기 복수의 반도체 칩을 개별 반도체 칩으로 분리한다. 이때, 분리된 개별 반도체 칩의 에지 영역에는 상기 단차 패턴으로부터 기인하는 돌출부가 배치된다. 도 8에 도시지는 않았지만,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은 상기 분리된 개별 반도체 칩을 상기 패키지 기판 상에 적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일 개별 반도체 칩의 상기 돌출부는 하부에 적층되는 다른 개별 반도체 칩의 측면부와 결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일 개별 반도체 칩을 상기 패키지 기판 상에 적층할 때, 상기 개별 반도체 칩이 상기 돌출부의 선폭 만큼 일 방향으로 시프트된 상태로 적층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을 참조하면, 공지의 반도체 공정을 통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반도체 칩(920)을 구비하는 웨이퍼(910)를 준비한다. 복수의 반도체 칩(920)은 웨이퍼(910)의 제1 면(912)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 면(912)에 반대쪽인 제2 면(914)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단차 패턴(1010)을 형성한다. 단차 패턴(1010)은 규칙적으로 배열되는 융기부(1020)과 바닥부(1030)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면(914)을 선택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먼저, 상기 웨이퍼의 제2 면(914) 전체를 연마할 수 있다. 상기 연마는 일 예로서, 기계적 연마법, 화학적 연마법 또는 기계적 화학적 연마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제2 면(914)이 소정의 두께로 연마됨에 따라, 상기 웨이퍼의 전체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어서, 두께가 감소된 상기 웨이퍼의 제2 면(914)을 국부적으로 패터닝할 수 있다. 상기 패터닝 방법은 일 예로서, 기계적 또는 화학적 방법에 의하여 진행될 수 있다. 상기 기계적 방법은 소정의 폭을 가지는 절삭 장치의 블레이드로서, 제2 면(914)을 국부적으로 제거하여, 바닥부(1030) 및 융기부(1020)를 형성하는 방법일 수 있다. 화학적 방법은 일 예로서, 식각액 또는 식각 가스를 이용하여 제2 면(914)을 식각함으로써, 바닥부(1030) 및 융기부(1020)를 형성하는 방법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단차 패턴(1010)이 형성된 후에, 바닥부(1030)로부터 융기부(1020)까지의 높이 단차는 적어도 5㎛ 이상의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높이는, 발명자에 따르면, 반도체 칩의 두께가 구조적 신뢰성이 위협받을 수 있는 최저 두께인 약 10 ㎛ 의 두께에 있어서도, 상기 반도체 칩의 두께의 50%에 해당되는 두께일 수 있어, 후술하는 반도체 칩의 적층 패키지에 있어서, 지지력을 효과적으로 부가시킬 수 있는 돌출부를 형성할 수 있는 최저 두께이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형성되는 융기부(1020)의 형상은 일 예로서, 바 형태, 섬(island) 형태 등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
도 11을 참조하면, 접착 필름(1110)을 준비하고, 단차 패턴(1010)이 형성된 웨이퍼(910)의 제2 면(915)을 접착 필름(1110)에 부착시킨다. 여기서, 제2 면(915)은 제1 면(912)의 반대쪽 면으로서, 단차 패턴(1010)이 형성된 면을 통칭할 수 있다. 접착 필름(1110)은 일 예로서, 에폭시층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2 면(915)에 형성된 바닥부(1030)와 융기부(1020) 사이의 단차를 커버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웨이퍼(910)을 절단하여 복수의 반도체 칩(920)을 개별 반도체 칩으로 분리한다. 웨이퍼(910)의 절단 방법은 절단용 블레이드(1210)를 이용하는 공지의 방법으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개별 반도체 칩으로 분리된 후에, 접착 필름(1110)은 제거될 수 있다. 상기 개별 반도체 칩은 도 1b, 도 2a 또는 2b에 도시되는 반도체 칩(120, 220, 240)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도 9 내지 도 12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반도체 칩(1312)를 준비하고, 반도체 칩(1312)를 패키지 기판(110) 상에 적층하여 제1 적층체(1310)를 형성한다. 반도체 칩(1312)는 동종 또는 이종의 칩일 수 있다. 반도체 칩(1312)의 에지 영역에는 단차 패턴(1010)으로부터 기인하는 돌출부(1318)가 배치된다.
구체적인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반도체 칩(1312)의 적층을 위하여, 패키지 기판(110) 상에 제1 지지층(1314)을 형성한다. 제1 지지층(1314) 상에 반도체 칩(1312)을 제1 방향으로 시프트한 채로 적층하여 제1 적층체(1310)을 형성한다. 반도체 칩(1312) 사이에는 접착층(1315)을 형성하여, 반도체 칩(1312)을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반도체 칩(1312)을 적층할 때, 돌출부(1318)가 하부에 적층되는 다른 반도체 칩(1312)의 측면부 또는 지지층(1314)의 측면부와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반도체 칩(1312)이 순차적으로 적층될 때, 돌출부(1318)의 선폭(Wp3) 만큼 반도체 칩(1312)이 제1 방향으로 시프트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1 적층체(1310) 상에 제2 지지층(1354)를 형성한다. 제2 지지층(1354) 상에 반도체 칩(1352)을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시프트하며 적층하여 제2 적층체(1350)를 형성한다. 반도체 칩(1352) 사이에는 접착층(1355)을 형성하여, 반도체 칩(1352)을 서로 접합시킬 수 있다.
반도체 칩(1352)을 적층할 때, 돌출부(1358)가 하부에 적층되는 다른 반도체 칩(1352)의 측면부 또는 지지층(1354)의 측면부와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반도체 칩(1352)이 순차적으로 적층될 때, 돌출부(1358)의 선폭(Wp4) 만큼 반도체 칩(1352)이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시프트될 수 있다.
이어서, 패키지 기판(110)의 본딩 패드(114)와 반도체 칩(1312, 1352)의 본딩 패드(1316, 1356)을 서로 연결하는 와이어 본딩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이후에, 필요에 따라 공지의 몰딩 공정을 진행하여 반도체 패키지를 제조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는 반도체 패키지는 도 13의 제1 적층체(1310) 만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적층체(1310)을 형성한 후에, 패키지 기판(110)과 반도체 칩(1312) 사이의 본딩 패드 간에 와이어 본딩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이후에 필요에 따라 공지의 몰딩 공정을 진행하여 반도체 패키지를 제조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면 및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에 개시된 실시예들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반도체 패키지, 110: 패키지 기판, 120: 반도체 칩, 120a: 반도체 칩의 제1면, 120b: 반도체 칩의 제2 면, 114, 122: 본딩 패드, 124: 돌출부, 130: 지지층, 140: 접착층, 150: 본딩 와이어,
320, 322, 420, 430, 440, 450 : 반도체 칩, 424, 434, 444, 454: 돌출부,
510: 제1 적층체, 502, 512: 반도체 칩, 514: 제1 지지층, 515: 접착층, 518: 돌출부, 550: 제2 적층체, 552: 반도체 칩, 554: 제2 지지층, 555: 접착층, 558: 돌출부,
610: 캐필러리, 612, 622, 652, 662: 반도체 칩, 624, 654: 돌출부, 655, 665: 지지층,
750: 제2 적층체, 752, 762: 반도체 칩, 755: 접착층, 746, 756: 본딩 패드, 758, 768: 돌출부,
910: 웨이퍼, 912: 웨이퍼의 제1 면, 914, 915: 웨이퍼의 제2 면, 920: 복수의 반도체칩, 1010: 단차 패턴, 1020: 융기부, 1030: 바닥부, 1110: 접착 필름, 1210: 블레이드,
1310: 제1 적층체, 1312: 반도체 칩, 1314: 제1 지지층, 1315: 접착층, 1316: 본딩 패드, 1318:돌출부, 1340: 접착층, 1350: 제2 적층체, 1352: 반도체 칩, 1354: 제2 지지층, 1355: 접착층, 1356: 본딩 패드, 1358: 돌출부.

Claims (23)

  1. 패키지 기판 및 상기 패키지 기판 상에 적층되는 반도체 칩을 포함하되,
    상기 반도체 칩은 에지 영역에 위치하는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돌출부는 하부에 위치하는 반도체 칩 또는 지지층의 측면부와 결합하는
    반도체 패키지.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와이어 본딩을 위한 본딩 패드가 배치되는 상기 반도체 칩의 제1 면의 반대쪽 면인 상기 반도체 칩의 제2 면 상에 배치되는
    반도체 패키지.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반도체 칩의 폭 대비 1/30 내지 1/40의 선폭을 가지는
    반도체 패키지.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2 면으로부터 균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배치되는
    반도체 패키지.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2 면으로부터 적어도 5 ㎛ 이상의 높이를 가지도록 돌출되는
    반도체 패키지.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면에 투영되는 경우, 투영된 돌출부가 상기 본딩 패드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반도체 패키지.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칩은 상기 돌출부의 선폭 만큼 시프트되어 계단 형태로 적층되는
    반도체 패키지.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은 상기 패키지 기판과 상기 반도체 칩 사이 또는 상기 복수의 반도체 칩 사이에 배치되며, 돌출부를 구비하지 않는
    반도체 패키지.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칩은 상기 패키지 기판 상에서 복수 개로 적층될 수 있으며,
    상기 반도체 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다른 나머지 반도체 칩과 대비하여 상기 돌출부가 다른 높이를 가지는
    반도체 패키지.
  10. 패키지 기판;
    상기 패키지 기판 상에서 제1 방향으로 시프트되어 적층되는 반도체 칩을 포함하는 제1 적층체; 및
    상기 제1 적층체 상에서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시프트되어 적층되는 반도체 칩을 포함하는 제2 적층체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적층체 및 상기 제2 적층체의 상기 반도체 칩은 에지 영역에 위치하는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돌출부는 하부에 위치하는 반도체 칩 또는 지지층의 측면부와 결합하는
    반도체 패키지.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와이어 본딩을 위한 본딩 패드가 배치되는 상기 반도체 칩의 제1 면의 반대쪽 면인 상기 반도체 칩의 제2 면에 배치되는
    반도체 패키지.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2 면의 에지 영역에서 균일한 선폭 및 길이를 가지는
    반도체 패키지.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2 면에서 상기 반도체 칩의 폭 대비 1/30 내지 1/40의 선폭을 가지는
    반도체 패키지.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2 면의 에지 영역에서 나머지 영역과 대비하여 적어도 5 ㎛ 이상의 높이 단차를 가지는
    반도체 패키지.
  15.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은 상기 패키지 기판 및 제1 적층체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지지층또는 상기 제1 적층체 및 상기 제2 적층체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지지층을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16. 복수의 반도체 칩이 제1 면에 형성되는 웨이퍼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 면에 반대쪽인 상기 웨이퍼의 제2 면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단차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웨이퍼를 절단하여 상기 복수의 반도체 칩을 개별 반도체 칩으로 분리하되, 상기 개별 반도체 칩의 에지 영역에는 상기 단차 패턴으로부터 기인하는 돌출부를 배치시키는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된 개별 반도체 칩을 패키지 기판 상에 적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일 개별 반도체 칩의 상기 돌출부는 하부에 적층되는 다른 개별 반도체 칩의 측면부와 결합하는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된 개별 반도체 칩을 패키지 기판 상에 적층하는 단계는, 상기 돌출부의 선폭 만큼 상기 개별 반도체 칩을 일 방향으로 시프트하여 적층하는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
  19.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된 개별 반도체 칩을 패키지 기판 상에 적층하는 단계는,
    상기 패키지 기판 상에 제1 지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지지층 상에 상기 개별 반도체 칩을 제1 방향으로 시프트하며 적층하여 제1 적층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적층체 상에 제2 지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지지층 상에 상기 개별 반도체 칩을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시프트하며 적층하여 제2 적층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
  20.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된 개별 반도체 칩을 패키지 기판 상에 적층하는 단계는
    상기 패키지 기판의 본딩 패드와 상기 개별 반도체 칩의 본딩 패드를 서로 와이어 본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
  21.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에 반대쪽인 상기 웨이퍼의 제2 면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웨이퍼의 제2 면 전체를 연마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면을 국부적으로 패터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
  22.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면을 국부적으로 패터닝하는 단계는
    기계적 또는 화학적 방법에 의하여 수행되는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
  23.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퍼의 제2 면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단차 패턴의 높이 단차가 적어도 5 ㎛ 이상이 되도록 형성하는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 방법.
KR20120151421A 2012-12-21 2012-12-21 돌출부를 구비하는 반도체 칩, 이의 적층 패키지 및 적층 패키지의 제조 방법 KR2014008154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51421A KR20140081544A (ko) 2012-12-21 2012-12-21 돌출부를 구비하는 반도체 칩, 이의 적층 패키지 및 적층 패키지의 제조 방법
US13/846,713 US9093441B2 (en) 2012-12-21 2013-03-18 Semiconductor packages including semiconductor chips having protrusions and methods of fabric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51421A KR20140081544A (ko) 2012-12-21 2012-12-21 돌출부를 구비하는 반도체 칩, 이의 적층 패키지 및 적층 패키지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1544A true KR20140081544A (ko) 2014-07-01

Family

ID=50973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151421A KR20140081544A (ko) 2012-12-21 2012-12-21 돌출부를 구비하는 반도체 칩, 이의 적층 패키지 및 적층 패키지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093441B2 (ko)
KR (1) KR2014008154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81718B2 (en) * 2015-01-22 2019-01-15 Littelfuse, Inc. Surface-mountable electrical circuit protection device
KR20180004413A (ko) * 2016-07-04 2018-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패키지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19161095A (ja) * 2018-03-15 2019-09-19 東芝メモリ株式会社 半導体装置
KR102592327B1 (ko) 2018-10-16 2023-10-20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패키지
KR20220006818A (ko) * 2020-07-09 2022-01-18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웨이퍼, 이 반도체 웨이퍼의 분리 방법, 반도체 칩 및 이 반도체 칩을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23841B2 (en) 2006-12-22 2010-05-25 Intel Corporation Thermal spacer for stacked die package thermal management
KR101413220B1 (ko) 2007-10-02 2014-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인터포저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및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방법
KR100886717B1 (ko) 2007-10-16 2009-03-0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적층 반도체 패키지 및 이의 제조 방법
US8294251B2 (en) * 2008-06-30 2012-10-23 Sandisk Technologies Inc. Stacked semiconductor package with localized cavities for wire bonding
US8552546B2 (en) * 2009-10-06 2013-10-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package, semiconductor package structure including the semiconductor package, and mobile phone including the semiconductor package structure
JP5665511B2 (ja) * 2010-12-10 2015-02-04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製造プログラム、および製造装置
JP5646415B2 (ja) * 2011-08-31 2014-12-24 株式会社東芝 半導体パッケージ
US8731346B2 (en) * 2012-06-28 2014-05-20 Intel Corporation Waveguide integration on laser for alignment-tolerant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093441B2 (en) 2015-07-28
US20140175638A1 (en) 2014-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05428B (zh) 晶片封裝體及其形成方法
JP4143345B2 (ja) チップ積層型パッケージ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594229B1 (ko) 반도체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TWI402941B (zh) 半導體結構及其製造方法
US9711403B2 (en) Method for forming chip package
JP2015133520A (ja) チップパッケージ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80067511A (ko) 반도체 소자 적층 패키지 및 그 형성 방법
KR20140081544A (ko) 돌출부를 구비하는 반도체 칩, 이의 적층 패키지 및 적층 패키지의 제조 방법
US7271026B2 (en) Method for producing chip stacks and chip stacks formed by integrated devices
JP2020096153A (ja) 半導体パッケージ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90107701A1 (en)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adhesive layer and semiconductor package using the same
JP2010021194A (ja) 積層型半導体装置、及び積層型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8164200B2 (en) Stack semiconductor packag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O2011086611A1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20005422A (ko) 반도체 패키지용 기판의 제조 방법
KR101727657B1 (ko) 박형의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 방법
JP2004228142A (ja) 半導体素子およびマルチチップパッケージ
JP4472481B2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積層型半導体装置
US7923291B2 (en) Method of fabricating electronic device having stacked chips
KR101054492B1 (ko) 적층용 단위 칩의 제조방법과, 단위 칩을 이용한 3차원 적층 칩 및 그 제조방법
KR101432488B1 (ko) 적층형 반도체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JP2003224242A (ja) 積層型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5188039B2 (ja) 半導体装置及び半導体構成体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KR100843232B1 (ko) 측면패드를 구비하는 칩, 그 제조방법 및 그 칩을 이용한패키지
KR20090074498A (ko) 반도체 칩의 재배선 형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스택패키지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