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5194A - 저굴절층 코팅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투명 도전성 필름 - Google Patents

저굴절층 코팅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투명 도전성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5194A
KR20140075194A KR20120143302A KR20120143302A KR20140075194A KR 20140075194 A KR20140075194 A KR 20140075194A KR 20120143302 A KR20120143302 A KR 20120143302A KR 20120143302 A KR20120143302 A KR 20120143302A KR 20140075194 A KR20140075194 A KR 201400751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 refractive
layer
transparent conductive
conductive film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143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1202B1 (ko
Inventor
서지연
김원국
김헌조
류무선
홍진기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20143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1202B1/ko
Priority to PCT/KR2013/010111 priority patent/WO2014092344A1/ko
Priority to CN201380064934.5A priority patent/CN104884554A/zh
Priority to US14/650,209 priority patent/US20150307721A1/en
Priority to JP2015547840A priority patent/JP2016509079A/ja
Priority to TW102143295A priority patent/TW201422733A/zh
Publication of KR20140075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5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1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12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8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8Forming gas barrier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Coating with two or more layers, where at least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s a polymer binder
    • C08J7/0423Coating with two or more layers, where at least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s a polymer binder with at least one layer of inorganic material and at least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4Forming conductive coatings; Forming coatings having anti-static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6Forming abrasion-resistant coatings; Forming surface-hardening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8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83/02Polysilic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8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83/04Polysiloxanes
    • C09D183/06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xygen-containing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24Electrically-conducting pai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14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rising conductive layers or films on insulating-suppor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3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J23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7/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J2327/0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08J2327/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9/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Derivatives of such polymer
    • C08J2329/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08J2329/04Polyvinyl alcohol; Partially hydrolysed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3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cyloxy radical of a saturated carboxylic acid, or carbonic acid, or of a haloformic acid
    • C08J2331/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08J2331/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3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33/0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 C08J2333/06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J23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8J23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9/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carbonates;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8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ulfur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Polysulfo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81/06Polysulfones; Polyethersulf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3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33/0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 C08J2433/06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J24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8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83/04Polysiloxanes
    • C08J2483/06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xygen-containing grou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Non-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실록산 화합물 및 금속염을 포함하는 저굴절층 코팅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저굴절층 코팅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저굴절층을 포함하는 투명 도전성 필름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저굴절층 코팅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투명 도전성 필름{COATING COMPOSITION FOR LOW REFRACTIVE LAYER AND TRANSPARENT CONDUCTIVE FILM INCLUDING THE SAME}
저굴절층 코팅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투명 도전성 필름을 제공한다.
터치 패널에는, 위치 검출의 방법에 따라 광학 방식, 초음파 방식, 정전 용량 방식, 저항막 방식 등이 있다.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은, 투명 도전성 필름과 투명 도전체층이 부착된 유리가 스페이서를 개재하여 대향 배치 되어 있고, 투명 도전성 필름에 전류를 흘려 투명 도전체층이 부착된 유리에서의 전압을 계측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은, 기재 상에 투명 도전층을
갖는 것을 기본적 구성으로 하고, 가동 부분이 없는 것이 특징이며, 고내구성, 고투과율을 갖기 때문에, 차재 용도 등에 있어서 적용되고 있다.
상기 터치 패널에 적용되는 투명 도전성 필름은 투명한 필름 기재의 일방면에, 상기 필름 기재측에서부터 언더코트층 및 도전층이 순서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보통인바,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3-197035호에서 기재필름과 도전층 사이에 언더코팅층이 형성된 투명 도전성 필름을 개시하고 있다. 최근에는 상기 투명 도전성 필름뿐 아니라, 투명 도전성 필름을 구성하는 언더코팅층의 굴절률의 조절 및 내구성을 동시에 확보하기 위한 언더코팅층 조성물에 대한 연구가 계속 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실록산 화합물 및 금속염을 포함함으로써 저굴절층의 구조적 결합을 치밀하게 하고 외부환경 의한 손상을 저하시키는 저굴절층 코팅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상기 저굴절용 코팅용 조성물로 형성된 저굴절층을 포함하는 투명 도전성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실록산 화합물 및 금속염을 포함하는 저굴절층 코팅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금속염은 아연, 이트륨, 3가크롬, 2가 및 3가 코발트, 니켈, 마그네슘, 알루미늄, 1가 및 2가 구리, 3가철, 카드뮴, 안티몬, 수은, 루비듐, 바나듐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염은 질산염, 황산염, 칼본산염, 할로겐화물, 알콕시드, 아세틸아세톤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염은 총 100중량%에 대하여 약 0.1중량% 내지 약 1.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록산 화합물은 테트라메톡시실란, 테트라에톡시실란, 메틸트리메톡시실란, 글리시딜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어 형성된 실록산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록산 중합체의 분자량이 약 1,000 내지 약 50,000일 수 있다.
상기 실록산 화합물은 총 100중량%에 대하여 약 5중량% 내지 약 10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저굴절층 코팅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저굴절층을 포함하는 투명 도전성 필름을 제공한다.
상기 투명 도전성 필름은 투명기재, 상기 고굴절층, 저굴절층 및 도전층의 적층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저굴절층의 굴절율은 약 1.4 내지 약 1.5일 수 있다.
상기 저굴절층의 두께는 약 5nm 내지 약 100nm일 수 있다.
상기 고굴절층의 두께는 약 20nm 내지 약 150nm일 수 있다.
상기 투명 기재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PEN), 폴리에테르설폰(PES),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프로필렌(PP),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VC), 폴리에틸렌(PE),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에틸렌 비닐 알코올(EVA), 폴리비닐알콜(PVA)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단일 또는 적층 필름일 수 있다.
상기 도전층은 ITO(Indium Tin Oxide) 또는 FTO(Fluorine-doped Tin Oxid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명 기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하드코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굴절층 코팅용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코팅성, 광특성 및 배리어 특성이 우수한 저굴절층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투명 도전성 필름은 산 또는 알칼리 종류의 에칭액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하며, 도전층의 저항을 낮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명 전도성 필름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투명 전도성 필름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붙이도록 한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이하에서 기재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기재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형성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기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형성되는 것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상기 기재와 기재 상에 (또는 하에) 형성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저굴절층 코팅용 조성물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실록산 화합물 및 금속염을 포함하는 저굴절층 코팅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투명 도전성 필름을 형성하는 데 있어서, 통상의 경우 저굴절층 상부에 도전층을 증착하고 결정화를 위해 실시되는 고온에서의 어닐링 과정 후에 도전층의 각 영역에서 전도도의 차이가 발생하는데, 이는 투명기재에서 발생하는 휘발성 기체와 수분 등이 도전층의 결정화를 방해하기 때문이다. 또한 도전층과 저굴절층 및 고굴절층과의 굴절률 차이로 발생하는 시인성의 문제점과 도전층에 패텅형성을 위한 에칭시에 발생하는 저굴절층 파괴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기 저굴절층 코팅용 조성물은 실록산 화합물과 금속염을 동시에 포함함으로써, 상기 저굴절층 코팅용 조성물을 포함하여 형성된 저굴절층에 배리어 특성을 부여할 수 있고, 상기 배리어 특성으로 인해 투명기재에서 발생하는 휘발성 기체와 수분이 도전층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게 하여 도전층의 전도도가 감소되는 현상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산 또는 알칼리 등의 에칭액에 따른 손상을 막을 수 있고, 도전층의 저항을 낮춤과 동시에 향상된 물리적 특성의 확보가 가능하다.
나아가, 실록산 화합물 자체의 물리적 굴절율이 낮아 실록산 화합물 및 금속염을 포함하는 저굴절층 코팅용 조성물로 저굴절층을 형성하고, 상기 저굴절층의 굴절율 및 두께의 조절을 통해 우수한 시인성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저굴절층 코팅용 조성물은 금속염을 포함할 수 있다. 금속염은 금속을 포함하고 있는 산이 중화반응을 하여 물과 함께 발생하는 금속 화합물을 일컫는바, 상기 금속염을 포함함으로써, 도전층 형성 후 고온에서 어닐링시 투명기재에서 발생되는 휘발성 기체가 도전층에 닿지 않게 하여 도전층의 결정화 공정 후에 전도도가 감소하는 현상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실록산 화합물과 상기 금속염을 동시에 포함함으로써 상기 저굴절층 코팅용 조성물의 구조적 결합을 치밀하게 하여 밀도가 높은 저굴절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금속염은 아연, 이트륨, 3가크롬, 2가 및 3가 코발트, 니켈, 마그네슘, 알루미늄, 1가 및 2가 구리, 3가철, 카드뮴, 안티몬, 수은, 루비듐, 바나듐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염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전도도가 있는 통상의 전이금속 중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염은 질산염, 황산염, 칼본산염, 할로겐화물, 알콕시드, 아세틸아세톤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염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금속염은 총 100중량%에 대하여 약 0.1중량% 내지 약 1.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염을 상기 범위의 함량 포함함으로써 저굴절층 코팅용 조성물의 코팅성을 확보할 수 있고, 상기 조성물로 코팅시 겔화를 촉진시켜 경화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저굴절층 형성시 금속염이 보이드(void) 부분을 채워줌으로써 저굴절층의 내화학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상기 저굴절층 코팅용 조성물은 실록산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록산 화합물은 테트라메톡시실란, 메틸트리메톡시실란, 테트라에톡시실란, 글리시딜옥시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 선택되어 형성된 실록산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록산 화합물은 화학식 1로부터 형성된 실록산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은 (R1)n-Si-(O-R2)4-n이며, 상기 R1은 탄소수 1 내지 18을 갖는 알킬기, 비닐기, 알릴기, 에폭시기 또는 아크릴기, 상기 R2는 탄소수 1 내지 6을 갖는 알킬기 또는 아세톡시기이고, 상기 n은 0<n<4의 정수이다.
그러므로, 상기 실록산 화합물은 전술한 것 이외에 트리에톡시(에틸) 실란(C2H5Si(OC2H5)3), 트리아세톡시(메틸)실란(CH3CO2)3SiCH3), 트리아세톡시(비닐)실란(CH3CO2)3SiCH=CH2), 트리스(2-메톡시에톡시)(비닐)실란 (CH3OCH2CH2O)3SiCH=CH2), 트리메톡시(옥틸)실란(CH3(CH2)7Si(OC2H5)3), 트리메톡시[2-(7-옥사비시클로[4.1.0]헵(hept)-3-일)에틸]실란(C11H22O4Si), 트리메톡시(프로필)실란(CH3CH2CH2Si(OCH3)3), 트리메톡시(옥실)실란 (CH3(CH2)7Si(OCH3)3), 트리메톡시(옥타데실)실란(CH3(CH2)17Si(OCH3)3), 이소부틸(트리메톡시)실란(CH3)2CHCH2Si(OCH3)3, 트리에톡시(이소부틸)실란 ((CH3)2CHCH2Si(OC2H5)3), 트리메톡시(7-옥텐-1-일)실란 (H2C=CH(CH2)6Si(OCH3)3), 트리메톡시(2-페닐에틸)실란(C6H5CH2CH2Si(OCH3)3), 디메톡시-메틸(3,3,3-트리플로오로프로필)실란(C6H13F3O2Si), 디메톡시(디메틸)실란 (C2H6Si(OC2H6)2), 트리에톡시(1-페닐에테닐)실란((C2H5O)3SiC(CH2)C6H5), 트리에톡시[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실란(CF3C6H4Si(OC2H5)2), 트리에톡시(4-메톡시페닐)실란((C2H5O)3SiC6H4OCH3), 3-(트리메톡시실일)프로필메타 아크릴레이트(H2C=C(CH3)CO2(CH2)3Si(OCH3)3), 3-(글라이시독시)메틸디에톡시 실란(C11H24O4Si), 3-(트리에톡시실일)프로필이소시아네이트 (C2H5O)3Si(CH2)3NCO), 이소부틸트리에톡시실란(CH3)2CHCH2Si(OC2H5)3)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어 형성된 실록산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록산 중합체의 분자량은 약 1,000 내지 약 50,000일 수 있다. 상기 실록산 중합체는 상기 화학식 1로부터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실록산 중합체가 상기 분자량의 범위를 유지함으로써 저굴절층 코팅용 조성물이 코팅성을 유지할 수 있고, 저굴절층 형성시 박막에 광학 물성 및 내화학성을 부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록산 화합물은 총 100중량%에 대하여 약 5중량% 내지 약 10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록산 화합물은 상기 저굴절층 코팅용 조성물의 굴절률 및 광학 물성에 영향을 미치는 바, 상기 범위의 실록산 화합물을 포함함으로써 굴절률 제어가 가능하고, 투과율 및 반사율이 우수한 저굴절층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투명 도전성 필름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실록산 화합물 및 금속염을 포함하는 저굴절층 코팅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저굴절층을 포함하는 투명 도전성 필름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명 전도성 필름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투명 도전성 필름(10)은 투명기재(1), 하드코팅층(2), 고굴절층(3), 저굴절층(4) 및 도전층(5)의 적층구조이다.
투명기재(1)는 투명성과 강도가 우수한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투명기재(1)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폴리에테르설폰(PES),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프로필렌(PP),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폴리에틸렌(PE),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에틸렌 비닐 알코올(EVA), 폴리비닐알콜(PVA)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단일 또는 적층 필름의 형태가 될 수 있다.
상기 고굴절층(3) 및 저굴절층(4)은 투명기재(1)와 도전층(5) 사이에 절연특성 및 투과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바, 이 때 저굴절층은 전술한 저굴절층 코팅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통상의 저굴절층은 투과도와 헤이즈 등의 광학적 특성과 도전층에 패턴 형성시, 전도도를 저해시키지 않는 배리어 특성이 요구된다. 이에, 금속염 및 실록산 화합물을 포함하는 저굴절층 코팅용 조성물에 의하여 일정 두께의 저굴절층을 형성함으로써 투과율을 높임과 동시에 투과 b*, 반사b*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록산 화합물을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보이드(void) 부분을 상기 금속염이 채워줌으로써 저굴절층에 배리어 특성을 부여할 수 있고, 상기 배리어 특성에 의해 도전층 결정화 공정에서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고, 산, 알칼리 환경에서도 파괴되지 않아 우수한 시인성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저굴절층(4)의 굴절률은 약 1.4 내지 약 1.5일 수 있다. 상기 저굴절층 형성에 물리적으로 굴절율이 낮은 실록산 화합물을 포함하는 저굴절층 코팅용 조성물을 이용함으로써 굴절률이 약 1.4 내지 약 1.5로 조절가능하며, 고굴절층과의 굴절율 차이가 조절 가능함으로써 투명 전도성 필름 전체적인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저굴절층(4)의 두께는 약 5nm 내지 약 100nm 일 수 있다. 패턴 은폐성이란 상기 저굴절층 상부에 도전층을 패터일 했을 때, 도전성 물질이 있는 부분과 없는 부분의 투과율, 반사율 또는 색차값의 차이가 나지 않는 것을 의미하는바, 패턴을 은폐하기 위해서는 도전층 하부의 저굴절층 등에 특정한 굴절률과 두께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상기 저굴절층의 두께를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패턴 은폐성(인덱스 매칭)의 효과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상기 고굴절층(3)의 두께는 약 20nm 내지 약 150nm 일 수 있다. 상기 고굴절층(3)의 두께를 유지함으로써 우수한 투과율 및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고, 응력으로 인한 크랙(Crack) 및 컬(Curl)의 발생을 저하시킬 수 있다.
상기 도전층(5)은 상기 저굴절층(4)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ITO(Indium Tin Oxide) 또는 FTO(Fluorine-doped Tin Oxide)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전층(5)의 두께는 약 5nm 내지 약 50nm일 수 있고, 상기 도전층의 두께를 상기 범위로 유지함으로써 상기 도전층이 낮은 저항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한 효과를 가진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투명 전도성 필름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도 2에서는 투명기재(1)의 하부에 하드코팅층(2)이 더 형성되어 있다. 하드코팅층(2)은 표면 경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며, 아크릴계 화합물 등 하드 코팅 형성을 위하여 이용되는 것이라면 제한없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하드코팅층(2)은 도 1에서와 같이 투명기재(1)의 일면에만 형성될 수 있으나, 도 2에서와 같이 투명기재(1)의 양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제시한다. 다만, 하기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거나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서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아니된다.
< 제조예 >
제조예 1-1 내지 1-4 - 저굴절층 코팅용 조성물
테트라-에톡시오르소실리케이트(TEOS), 에탄올, 물을 1:2:2의 비율로 혼합 후 질산을 첨가하여 24시간 동안 반응시켜 굴절률이 1.43인 실리카 졸을 합성하였다. 상기 합성된 실리카 졸의 고형분을 측정하고 메틸에틸케톤(MEK)로 희석하여, 상기 고형분 10%의 실록산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실록산 화합물에 하기 표 1과 같은 금속염을 혼합하고, 메틸에틸케톤(MEK)으로 희석하여 전체 고형분 5%의 저굴절층 코팅용 조성물(제조예 1-1 내지 제조예 1-4)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1-5 - 저굴절층 코팅용 조성물
테트라-에톡시오르소실리케이트(TEOS)에 메틸트리메톡시실란을 소량 도입하고, 에탄올, 물을 1:2:2의 비율로 혼합 후 질산을 첨가하여 24시간 동안 반응시켜 굴절률이 1.43인 실리카 졸을 합성하였다. 상기 합성된 실리카 졸의 고형분을 측정하고 메틸에틸케톤(MEK)로 희석하여, 상기 고형분 10%의 실록산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1-6 - 저굴절층 코팅용 조성물
테트라-에톡시오르소실리케이트(TEOS)와 에탄올, 물을 1:2:2의 비율로 혼합 후 질산을 첨가하여 24시간 동안 반응시켜 굴절률이 1.43인 실리카 졸을 합성하였다. 상기 합성된 실리카 졸의 고형분을 측정하고 메틸에틸케톤(MEK)로 희석하여, 상기 고형분 10%의 실록산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구분 조성
금속염 실록산 화합물 함량(중량%)
종류 함량(중량%)
제조예 1-1 FeCl3 0.1 99
제조예 1-2 CoCl2 0.1 99
제조예 1-3 CrO3 0.1 99
제조예 1-4 Mg(OEt)2 0.1 99
제조예 1-5 - - 100
제조예 1-6 - - 100
제조예 2 - 하드코팅층 코팅용 조성물
총 고형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 아크릴레이트 20 중량부,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레이트 (상품명 HX-920UV, Kyoeisha) 60 중량부, 실리카 미립자 15 중량부(상품명 XBA-ST, 일산 화학), 광중합 개시제 Irgacure-184 5 중량부(Ciba사)를 혼합하고 희석용제 메틸에틸케톤(MEK)으로 희석하여 고형분 45%의 하드코팅층 조성물(굴절률 1.52)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 고굴절층 코팅용 조성물
총 고형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레이트 (상품명 HX-920UV, Kyoeisha) 36 중량부, 고굴절 나노입자 60 중량부(ZrO2 나노입자), 광중합 개시제 4 중량부(상품명 Irgacure-184, BASF)를 혼합하고 희석용제 메틸에틸케톤(MEK)으로 희석하여 고형분 5%의 고굴절층 코팅용 조성물(굴절률 1.64)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비교예 >
실시예 1
제조예 2의 하드코팅층 조성물을 Meyer bar를 이용해 125㎛ PET필름 상에, 건조막 두께가 1.5㎛이 되도록 도포하고, 180W 고압수은 등으로 300mJ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켜 하드코팅필름을 제작했다. 상기 제작한 필름의 반대면에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예 2의 하드코팅층 조성물을 건조막 두께 1.5㎛이 되도록 도포하고 경화시켜 양면에 하드코팅층을 포함하는 필름을 제작했다.
그 후, 양면에 하드코팅층을 포함하는 필름의 한 면에 제조예 3으로 제조된 고굴절층 코팅용 조성물을 이용해 건조막 두께가 50nm가 되도록 도포하고, 180W 고압수은등으로 300mJ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켜 고굴절층을 형성하였다.
그 후 상기 고굴절층에 제조예 1-1로 제조된 저굴절층 코팅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건조막 두께가 20nm가 되도록 도포하고, 150℃ 오븐에서 1분 동안 경화시켜 저굴절층을 형성했다. 이 때, 인듐:주석 = 95:5의 ITO 타겟을 이용하여 저굴절층에 막두께 20nm의 ITO층을 형성하여 투명 도전성 필름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2
저굴절층 코팅용 조성물을 제조예 1-2를 적용하고, 저굴절층 두께를 40nm로 코팅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투명 도전성 필름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3
저굴절층 코팅용 조성물을 제조예 1-3를 적용하고, 저굴절층 두께를 50nm로 코팅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투명 도전성 필름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4
저굴절층 코팅용 조성물을 제조예 1-4를 적용하고, 저굴절층 두께를 60nm로 코팅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투명 도전성 필름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1
저굴절층 코팅용 조성물을 제조예 1-5를 적용하고, 저굴절층 두께를 100nm로 코팅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투명 도전성 필름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2
저굴절층 코팅용 조성물을 제조예 1-6를 적용하고, 저굴절층 두께를 100nm로 코팅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투명 도전성 필름을 제작하였다.
< 실험예 > 투명 도전성 필름의 물리적 특성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투명 도전성 필름을 이용하여 하기 물성들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1) 산 안정성 평가: 상기 저굴절층에 패턴화 되어 있는 실크 스크린을 이용하여 감광성 수지를 도포하고 건조 및 경화 후 25℃, 5% 염산 수용액에 침지하였다. 그 후에 패턴의 육안 관찰을 통하여 저굴절층이 산성액 의해 손상되었는지 여부를 평가하였다.
2) 투과율, 투과 b*/반사 b*: CM-5(Konica minolta사)를 이용해 전광선 투과율 및 투과 b*/반사 b* 값을 측정하였다.
3) 헤이즈(Haze) : CM-5(Konica minolta사)를 이용하여 헤이즈 값을 측정하였다.
4) 코팅성 : 1차로는 육안으로, 2차로는 광학 현미경 AM413T Dino-Lite Pro로 확인하여 투명 도전성 필름의 코팅성을 측정하였다.
5) 밀착성: 코팅층 표면을 커터를 이용하여 1mm 간격 및 10mmX10mm 가로X세로의 바둑판 모양으로 컷팅하고, 셀로판테이프(Nichiban사)를 이용하여 박리 시험을 하였다. 동일한 부위를 테이프를 이용해 3회 박리 시험하였고, 평가 후 밀착되어 있는 숫자를 /100으로 표기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산에 대한 손상 X X X X
투과율 (%) 90.0 90.6 90.7 90.8 90.6 90.5
투과 b* 0.66 0.42 0.18 0.51 0.38 0.43
반사 b* -1.16 -0.19 0.97 -0.55 -0.36 -0.18
Haze 0.29 0.3 0.29 0.27 0.3 0.31
코팅성
밀착성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산에 대한 손상> - ○:손상 심함, △:손상 보통, X: 손상 없음
<코팅성> - ◎ : 매우 우수, ○: 우수, △:보통, X: 나쁨
상기 표 2의 측정결과를 통해 실시예 1 내지 4의 투명 도전성 필름은 일정수준이상의 광특성, 코팅성 및 밀착성을 가지고, 산에 의한 손상이 거의 없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상기 산 안정성 평가를 통해 금속염을 포함하는 저굴절층 코팅용 조성물로 형성된 저굴절층의 구조가 더 치밀해져 에칭액, 즉 산성용액에 의한 손상이 거의 없음을 육안으로 판별할 수 있었다.
반면에, 금속염을 포함하지 않는 저굴절층 코팅용 조성물로 형성된 저굴절층을 포함하는 비교예 1 및 2의 투명 도전성 필름의 경우, 투과율, 투과 b* 및 반사 b*는 실시예 1 내지 4와 유사하게 측정되었고, 코팅성 및 밀착성 또한 보통이상의 수준을 유지하였으나, 산 안정성 평가에 있어서 에칭액, 즉 산에 의한 손상이 발생하였다.
결과적으로, 실록산 화합물 및 금속염을 포함하는 저굴절층 코팅용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저굴절층 및 이를 포함하는 투명 전도성 필름은 금속염에 의해 산에 의한 손상이 방지됨을 알 수 있었는바, 상기 저굴절층으로 인해 도전층의 패터닝을 위하여 부여되는 에칭액에 의한 영향이 없고, 투명 기재에서 발생하는 휘발성 기체등에 대해 배리어 특성을 확보함을 유추할 수 있다.
1: 투명 기재 2: 하드코팅층
3: 고굴절층 4: 저굴절층
5: 도전층 10: 투명 도전성 필름

Claims (15)

  1. 실록산 화합물 및 금속염을 포함하는
    저굴절층 코팅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염은 아연, 이트륨, 3가크롬, 2가 및 3가 코발트, 니켈, 마그네슘, 알루미늄, 1가 및 2가 구리, 3가철, 카드뮴, 안티몬, 수은, 루비듐, 바나듐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염을 포함하는
    저굴절층 코팅용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염은 질산염, 황산염, 칼본산염, 할로겐화물, 알콕시드, 아세틸아세톤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염을 포함하는
    저굴절층 코팅용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염은 총 100중량%에 대하여 0.1중량% 내지 1.0중량%를 포함하는
    저굴절층 코팅용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록산 화합물은 테트라메톡시실란, 테트라에톡시실란, 메틸트리메톡시실란, 글리시딜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어 형성된 실록산 중합체를 포함하는
    저굴절층 코팅용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실록산 중합체의 분자량이 1,000 내지 50,000인
    저굴절층 코팅용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록산 화합물은 총 100중량%에 대하여 5중량% 내지 100중량%를 포함하는
    저굴절층 코팅용 조성물.
  8. 제 1항의 저굴절층 코팅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저굴절층을 포함하는
    투명 도전성 필름.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도전성 필름은 투명기재, 상기 고굴절층, 저굴절층 및 도전층의 적층구조인
    투명 도전성 필름.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저굴절층의 굴절율은 1.4 내지 1.5인
    투명 도전성 필름.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저굴절층의 두께는 5nm 내지 100nm인
    투명 도전성 필름.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고굴절층의 두께는 20nm 내지 150nm인
    투명 도전성 필름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기재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PEN), 폴리에테르설폰(PES),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프로필렌(PP),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VC), 폴리에틸렌(PE),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에틸렌 비닐 알코올(EVA), 폴리비닐알콜(PVA)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단일 또는 적층 필름인
    투명 전도성 필름.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은 ITO(Indium Tin Oxide) 또는 FTO(Fluorine-doped Tin Oxide)를 포함하는
    투명 전도성 필름.
  15.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기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하드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투명 전도성 필름.
KR1020120143302A 2012-12-11 2012-12-11 저굴절층 코팅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투명 도전성 필름 KR101571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3302A KR101571202B1 (ko) 2012-12-11 2012-12-11 저굴절층 코팅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투명 도전성 필름
PCT/KR2013/010111 WO2014092344A1 (ko) 2012-12-11 2013-11-08 저굴절층 코팅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투명 도전성 필름
CN201380064934.5A CN104884554A (zh) 2012-12-11 2013-11-08 低折射层涂敷用组合物及包含其的透明导电性膜
US14/650,209 US20150307721A1 (en) 2012-12-11 2013-11-08 Coating composition for layer having low refractive index, and transparent conductive film including same
JP2015547840A JP2016509079A (ja) 2012-12-11 2013-11-08 低屈折層コーティング用組成物およびそれを含む透明導電性フィルム
TW102143295A TW201422733A (zh) 2012-12-11 2013-11-27 低折射層用塗覆組合物及包含該塗覆組合物的透明導電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3302A KR101571202B1 (ko) 2012-12-11 2012-12-11 저굴절층 코팅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투명 도전성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5194A true KR20140075194A (ko) 2014-06-19
KR101571202B1 KR101571202B1 (ko) 2015-11-23

Family

ID=50934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3302A KR101571202B1 (ko) 2012-12-11 2012-12-11 저굴절층 코팅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투명 도전성 필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50307721A1 (ko)
JP (1) JP2016509079A (ko)
KR (1) KR101571202B1 (ko)
CN (1) CN104884554A (ko)
TW (1) TW201422733A (ko)
WO (1) WO20140923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0972B1 (ko) * 2014-06-30 2021-02-25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를 이용한 투명전극 필름
GB201500494D0 (en) * 2015-01-13 2015-02-25 Gew Ec Ltd Print curing apparatus
EP3399393B1 (en) * 2015-12-28 2020-08-05 Alps Alpine Co., Ltd. Input device
WO2019087286A1 (ja) * 2017-10-31 2019-05-09 日立化成株式会社 バリア材形成用組成物、バリア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製品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1602A (ja) * 2001-01-26 2002-08-09 Fukuvi Chem Ind Co Ltd 耐液性に優れた反射防止膜
JP4286136B2 (ja) * 2001-09-03 2009-06-24 帝人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用透明導電性積層体及びこれを用いた透明タッチパネル
JP4107050B2 (ja) * 2001-10-25 2008-06-25 松下電工株式会社 コーティング材組成物及びそれにより形成された被膜を有する物品
JP4023142B2 (ja) * 2001-11-27 2007-12-19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反射防止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308691B2 (en) * 2003-05-28 2007-12-11 Funai Electric Co., Ltd. Disk apparatus with guide mechanism
JP4248347B2 (ja) * 2003-09-03 2009-04-0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皮膜形成用組成物、反射防止膜、偏光板、画像表示装置及び防汚性コーティング組成物及び防汚性物品
JP4949692B2 (ja) * 2006-02-07 2012-06-13 東京応化工業株式会社 低屈折率シリカ系被膜形成用組成物
KR101194180B1 (ko) * 2007-08-01 2012-10-25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반사 방지 적층체
KR20090020106A (ko) * 2007-08-22 2009-02-26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하드코팅층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하드코팅필름 및 이하드코팅필름을 포함하는 반사방지필름
JP5357502B2 (ja) 2008-10-28 2013-12-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低屈折率コーティング材組成物及び塗装品
WO2011048647A1 (ja) * 2009-10-19 2011-04-28 東洋紡績株式会社 透明導電性フィルム及びこれを用いたタッチパネル
JP5589648B2 (ja) * 2010-07-29 2014-09-17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付きλ/4板、その製造方法、偏光板、液晶表示装置、及びタッチパネル部材
JP5895406B2 (ja) * 2010-09-15 2016-03-30 東レ株式会社 反射防止部材
CN103443750B (zh) * 2011-01-20 2017-02-15 日产化学工业株式会社 触摸屏用涂布组合物、涂膜及触摸屏
JP5840848B2 (ja) * 2011-03-01 2016-01-06 メルクパフォーマンスマテリアルズIp合同会社 低屈折率膜形成用組成物、低屈折率膜の形成方法、及び該形成方法により形成された低屈折率膜並びに反射防止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1202B1 (ko) 2015-11-23
JP2016509079A (ja) 2016-03-24
TW201422733A (zh) 2014-06-16
CN104884554A (zh) 2015-09-02
US20150307721A1 (en) 2015-10-29
WO2014092344A1 (ko) 2014-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47828A (ko) 투명 도전성 필름 및 터치 패널
KR101571202B1 (ko) 저굴절층 코팅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투명 도전성 필름
TW201538636A (zh) 低折射組合物及其製備方法以及透明導電膜
JP6150404B2 (ja) 透明導電性フィルム
TWI644799B (zh) 阻障膜及其製備方法
TWI696554B (zh) 透明導電膜積層用薄膜及其製造方法以及透明導電性薄膜
KR20130036964A (ko) 광 특성이 우수한 전도성 필름
KR101541954B1 (ko) 저굴절층 코팅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투명 도전성 필름
KR101371867B1 (ko) 광 특성이 우수한 투명 전도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JP6762361B2 (ja) 導電性透光フィルム
KR101398385B1 (ko) 도전성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상기 도전성 필름을 포함하는 터치패널
KR20140147420A (ko) 양면 투명 도전성 필름의 제조방법
CN105636774A (zh) 阻挡膜及制备该阻挡膜的方法
KR102089409B1 (ko) 배리어 필름
TW202128421A (zh) 附多層膜之透明基體
TW202319780A (zh) 附反射防止膜之透明基體及圖像顯示裝置
KR20150069232A (ko) 하이브리드 굴절층 코팅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투명 도전성 필름
CN116466419A (zh) 带防反射膜的透明基体和图像显示装置
KR20160093780A (ko) 투명 도전성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KR20170126221A (ko) 투명 전도성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150126470A (ko) 투명 도전성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
KR20150126468A (ko) 고굴절 프라이머층을 포함하는 투명 기재, 이를 포함하는 투명 도전성 필름 및 터치패널
KR20150126469A (ko) 투명 도전성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